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분노기분에서의 반추사고와 반추초점의 효과

        이근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s of rumination and its focusing on anger. Rumination is known to play a role in negative effect by either maintaining or increasing negative moods.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there are subcomponents in rumination which have different effects on negative moods. The purpose of study 1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ause-focused rumination versus emotion-focused rumination on angry mood through group experiments. In study 1-A, experimenter asked participants to write an essay about a particular topic and gave them negative feedback. Rumination was manipulated by requiring participants to repeatedly think about negative feedback.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who ruminated following the angry mood induction exhibited an increase in angry mood. In study 1-B, cause-focused rumination and emotion-focused rumination were manipulated after inducting angry mood by using the same procedure of study 1-A. The results indicated that emotion-focused rumination group exhibited an increase in angry mood than cause-focused rumination group. In study 1-C, cause-focused rumination and emotion-focused rumination were manipulated after requiring participants to read a story that vividly described a situation in which a teacher repeatedly mistreats a student by giving unfair grades without any justific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emotion-focused rumination group exhibited an increase in angry mood than cause-focused rumination group. The goal of study 2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umination and anger through group comparison and path analysis. High cause-focused rumination group showed greater angry mood than low cause-focused rumination group, but ‘high cause-focused and low emotion-focused rumination group’ showed less angry mood than ‘low cause-focused and high emotion-focused rumination group’. And emotion-focused rumination showed higher positive correlation with angry mood than cause-focused rumination. Same pattern of results appeared in anger experience.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showed that rumination of causes was related with angry mood indirectly through anger-in. Emotion-focused rumination was related with angry mood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anger-in or anger-out. Same pattern of results appeared in anger experience. Based on the finding of the present study, it was concluded that rumination could maintain angry mood and the effect of anger rumination c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subcomponents in rumin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provide useful ideas of anger management program or intervention for anger problem. 본 연구에서는 분노를 유발시킨 사건에 대한 반추가 분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부정적 감정을 유발시킨 사건에 대한 반추가 그 부정적 감정을 심화시킨다는 주장이 있다. 최근 들어 반추에 하위유형이 있을 수 있고 하위유형에 따라 반추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을 검증한 대부분의 연구들에서는 우울을 대상으로 하였고, 분노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분노에서의 반추 효과를 검토하였다. 연구 1에서는 집단실험을 통해 분노에서의 반추사고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반추를 원인반추와 정서반추로 구분하여 반추초점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1-A에서는 참가자들에게 특정 주제에 대한 에세이를 작성하도록 하고 작성한 에세이에 대한 다른 학생의 부정적 평가(실제로는 연구자가 작성한 가상의 자료)를 제시하여 분노를 유발시킨 후에 반추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반추 집단은 통제 집단보다 분노기분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1-B에서는 연구 1-A와 동일한 절차로 분노를 유발시킨 후에 원인반추 혹은 정서반추 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정서반추 집단은 원인반추 집단보다 분노기분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1-C에서는 분노 시나리오를 읽으면서 심상하도록 하여 분노를 유발시킨 후에 원인반추 혹은 정서반추 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정서반추 집단은 원인반추 집단보다 분노기분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집단비교와 경로분석을 통해 반추와 분노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집단비교 결과, 원인반추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분노기분이 높았고 분노경험도 높았다. 그러나 ‘원인반추는 높으면서 정서반추는 낮은 집단’은 ‘원인반추는 낮으면서 정서반추는 높은 집단’보다 분노기분이 낮았고 분노경험도 낮았다. 상관분석 결과, 정서반추는 원인반추에 비해 분노기분과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분노경험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경로분석 결과, 원인반추는 분노억제를 통한 간접 경로로만 분노기분과 관련이 있었다. 정서반추는 직접 경로로도 분노기분과 관련이 있었고, 분노억제나 분노표출을 통한 간접 경로로도 분노기분과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분노경험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반추가 분노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반추의 초점에 따라 분노에 다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사실은 본 연구가 분노 조절에 유익한 정보들을 제공해 주며 이러한 정보들이 분노 조절을 위한 중재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분노반추와 분노의 관계에서 사고통제감의 조절효과

        소영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분노반추와 사고통제감이 분노경험 및 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노반추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뉘는데, 분노기억반추, 원인반추, 보복반추가 그것이다. 이 세 변인이 각각 분노경험 및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관계를 사고통제감이 조절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대학생 5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분노반추척도(K-ARS), 사고통제능력질문지(TCAQ), 한국판 상태-분노 표현척도(STAXI-K),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SDS)를 사용하였다.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각 변인간의 관련성을 알아본 후,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분노반추의 모든 하위요인과 상태분노의 관계에서 사고통제감이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어, 이 관계에서 사고통제감이 일시적인 분노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노반추의 하위요인 중 원인반추와 분노통제, 원인반추와 분노억제와의 관계에서도 사고통제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상위인지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nger rumination and perceived thought control ability of the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anger. Anger rumination is divided into three factors: Anger Memories Rumination, Rumination of Causes, and Rumination of Revenge.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se three factors, an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thought control on the relationship, five-hundred eighty eight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following: Anger Rumination Scale (K-ARS), Thought Control Ability Questionnaire (TCAQ),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 Korean (STAXI-K), and Social Desirability Scale (SD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connections between factors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trol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on perceived thought control ability indicates an interactive effect between anger rumination subscale and state anger. Perceived thought control ability could effectively reduce the temporary level of anger. It also indicates that perceived thought control has an interactive effect between Rumination of Causes, the lower factors of anger rumination, and anger-control/anger-in.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meta-cognition.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several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 청소년의 분노반추와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이 학교분노에 미치는 영향

        최영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분노반추와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이 학교분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분노반추의 하위요인에 따라 학교분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이 분노반추와 학교분노와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의 3개 중학교 남녀 2, 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52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한국판 분노반추 척도(K-ARS), 정서지능 척도, 학교분노척도(Multidimensional School Anger Inventory)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노반추와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 학교분노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분노반추 중 분노후사고와 보복사고 반추는 학교분노 중 적극적 대처를 제외하고 모든 하위변인에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반면에 원인이해 반추는 학교분노 중 적극적 대처에만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은 원인이해와 적극적 대처를 제외하고 분노반추와 학교분노의 다른 하위변인에서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분노반추와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이 학교분노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분노반추와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의 하위요인에 따라 학교분노에 대한 영향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이 분노반추와 학교분노와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분노반추와 학교분노의 각 하위변인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 중 사고촉진과 정서인식 및 표현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분노와 관련하여 반추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분노반추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대학생이나 성인 집단에 제한되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전기까지 그 대상을 확장하였고, 학교 장면에서 발생하는 분노 경험과 관련하여 분노반추의 기능적인 역할과 역기능적인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청소년의 분노반추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둘째, 학교분노에 영향을 미치는 분노반추와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의 역할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학교장면에서 일어나는 또래 괴롭힘이나 집단따돌림, 학교폭력 등의 여러 부적응 문제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중재할 수 있는 청소년의 상담 및 심리치료프로그램에 대해 유용한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분노반추와 학교분노와의 관계에서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분노에 대한 효과적인 조절변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는 학교기반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시행함에 있어서 각 학교단계에 보다 적합하고 효과적인 개입방법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것으로 본다. 특히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중․고등학교 각 단계에 따른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의 하위요인들의 역할을 비교 연구해 봄으로써, 학교기반의 분노조절프로그램을 보다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거부민감성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관계에서 분노반추의 매개효과와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수빈 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거부민감성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관계에서 분노반추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매개효과를 마음챙김이 조절 하는지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성인 남녀 399명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RSQ), 분노반추(K-ARS), 역기능적 분노표현(STAXI-K), 마음챙김(K-FFMQ)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부민감성, 분노반추,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하위요인 간 상관이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마음챙김 및 다른 세 변인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거부민감성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관계에서 분노반추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하위요인인 분노표출, 분노억제와 거부민감성의 관계에서 분노반추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거부민감성이 높을수록 분노반추에 영향을 미쳐 분노표출 및 분노억제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분노반추와 분노표출 및 분노억제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분노억제는 마음챙김의 하위요인인 비자동, 관찰, 비판단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비자동, 관찰, 비판단의 수준이 높을 때 분노반추와 분노억제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거부민감성이 분노반추를 통해 역기능적 분노표출을 증가 시키며, 마음챙김의 하위요인 중 비자동, 관찰, 비판단은 분노억제를 완화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분노표출은 마음챙김의 하위요인인 비판단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비판단을 할수록 분노반추가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한점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분노반추와 용서,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이은화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anger rumination and forgiven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how social connectedness mediated those factors. For this purpose, a sample of 416 workers was asked to complete Anger Rumination Scale, Heartland Forgiveness Sacle, Social connectedness Scale - Revise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al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anger rumination and forgivenes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 showed that anger rumin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forgive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give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positively related. In addi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onnectedness on relationships between anger rumination and forgivenes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 : (1) social connected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ngry memories and forgiveness, psychological well-being. (2) social connected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ought of revenge and forgiveness, psychological well-being.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several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분노반추와 용서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생활을 하는 성인 416명을 대상으로 분노반추척도(K-ARS), 용서척도(HFS), 사회적 유대감척도(SCS-R), 심리적 안녕감 척도(PWBS)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분노반추는 용서 및 심리적 안녕감과 부적인 상관이 있었고, 용서와 사회적 유대감은 심리적 안녕감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분노반추와, 사회적 유대감의 관계는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다음으로 분노반추의 하위요인별로 용서,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사회적 유대감은 분노반추와 용서,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매개하였으나, 분노반추의 하위요인인 분노기억반추, 보복반추, 원인반추 중에서 원인반추와 용서의 관계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는 그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아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반면, 분노기억반추 및 보복반추와 용서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는 사회적 유대감에 의해 매개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고통 감내력, 분노반추와 역기능적 분노의 관계 : 청소년과 성인 집단 비교

        권희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직장인 집단을 대상으로 연령집단에 따라 고통 감내력, 분노반추, 역기능적 분노가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연령집단별로 고통 감내력과 분노반추가 역기능적 분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고통 감내력과 역기능적 분노의 관계에서 분노반추의 매개효과가 연령집단별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지역의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2학년, 대학교 2, 3, 4학년, 만 27~35세 직장인 남 ․ 여 총 460명을 대상으로 고통 감내력 척도(DTS), 분노반추 척도(K-ARS), 상태-특성 분노 표현척도(STAXI-K)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다변량 분석, t-검증,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 집단이 고등학생 집단에 비해 고통 감내력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직장인 집단이 고등학생과 대학생 집단보다 고통 감내력 하위요인인 평가 수준이 높았다. 또한 대학생 집단은 중학생 및 고등학생 집단에 비해 분노반추 하위요인인 분노원인반추 수준이 높았고, 직장인 집단에 비해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집단이 특성분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직장인 집단의 고통 감내력은 역기능적 분노 즉 특성분노, 분노표출, 분노억제와 모두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고, 분노반추는 역기능적 분노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고통 감내력과 분노반추 간에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고통 감내력과 역기능적 분노 간의 관계에서 분노반추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연령집단에 따른 매개효과의 양상이 달리 나타났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고통 감내력이 역기능적 분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분노반추를 통해 간접적으로 역기능적 분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와 성인기에 해당하는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직장인 집단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청소년과 성인 집단에서 고통 감내력과 역기능적 분노의 관계에서 분노반추의 매개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청소년 집단에서는 고통 감내력이 역기능적 분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역기능적 분노의 유지 및 심화과정에서 고통 감내력의 부족이 일종의 취약성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토대로 역기능적 분노 문제의 치료적 개입에 있어 고통 감내력의 증진과 발달적 특징을 고려한 접근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비롯하여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at relation there are in distress tolerance, anger rumination and dysfunctional anger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s on the subjects of groups including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collegiate students and employee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distress tolerance and anger rumination upon dysfunctional anger by the developmental stage. Further, this study purposed to explore how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 rumination by the developmental stage represents in the relation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dysfunctional ang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DTS, K-ARS and STAXI-K on the subjects of the total 460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including 2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2nd year high school students, sophomore, junior and senior collegiate students and employees aged between 27 and 35 years old. The data were then processed by using an SPSS 18.0 program to carry out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group of employees showed a high level of distress tolerance comparing that of the group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at the group of employees showed a higher level of evaluation, a sub-factor of distress tolerance than that of those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Also, it is found that the group of high school students comparing that of those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a high level of anger cause rumination, a sub-factor of anger rumination and that the groups of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iate students comparing that of employees showed a high level of trait anger. Second, in the relation between different variables, distress tolerance for the groups of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collegiate students and employees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dysfunctional anger, that is to say, trait anger, anger-out and anger-in, and anger rumination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dysfunctional anger. And it i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anger rumination. Third, from the result of examining mediating effects of anger rumin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dysfunctional anger, it i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t aspects of mediating effect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It is found that distress tolerance, other than directly affecting dysfunctional anger, indirectly affected dysfunctional anger through anger rumination as the age grew older. This study has its meaning in that it attempted to empirically verify relation aspects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ger rumination and dysfunctional anger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by selecting groups of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collegiate students and employees who were in their adolescence and adult period as research subjects. Also,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ack of distress tolerance possibly function as so called a vulnerable factor in the course of maintaining and/or deepening of dysfunctional anger by exploring roles of distress tolerance and anger rumination affecting dysfunctional anger. Based on this study, a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into the matter of dysfunctional anger,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approach considering increase of distress tolerance and developmental features. And this study discussed limits of this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s well.

      • 분노반추와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임문영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2014년 4월 16일, 여객선 세월호의 침몰 사건이 있었다. 온 국민이 깊은 슬픔에 빠졌으며, 동시에 이 사건을 유발시킨 사람들에 대한 분노감에 휩싸였다. 사건이 발생한지 수일이 지난 지금도 분노는 쉽게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이런 분노가 지나칠 경우 자살, 묻지마 범죄, 학생들 간의 폭력 사건, 직장 내에서의 살인사건과 같은 파괴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분노로 유발된 이런 사건들의 대부분은 대인관계 불만에서 비롯된 것들이 많다. 이처럼 청소년들에서 성인까지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 때 분노라는 감정을 느끼게 된다. 최근 들어 분노의 인지적 요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분노반추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분노반추와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분노반추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으로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역할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분노반추와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대인관계문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분노반추와 대인관계문제에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매개효과를 갖는가? 하는 것이다.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2개 대학, 대구광역시 1개 대학, 강원도 1개 대학 총 4개 대학의 대학생 324명을 연구대상으로 분노반추, 역기능적 분노표현, 대인관계문제를 측정하는 설문지를 참여자들에게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는 SPSS통계 프로그램과 Sobel 검증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t검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문제의 하위영역 중 냉담에서 남학생 집단이 여학생 집단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 = 2.159, p < .05). 둘째, 분노반추와 역기능적 분노표현과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r = .500, p < .01). 특히 분노반추가 분노표출(r = .295, p < .01)보다는 분노억제(r = .503, p < .01)와 더 높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노반추와 대인관계문제와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r = .425, p < .01). 분노기억반추와 보복반추는 대인관계문제의 모든 하위영역인 사회적 억제, 비주장성, 과관여, 자기희생, 냉담, 과순응성, 통제지배, 자기중심성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원인반추도 통제지배와 자기중심성을 제외한 사회적 억제, 비주장성, 과관여, 자기희생, 냉담, 과순응성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넷째, 역기능적 분노표현과 대인관계문제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r = .506, p < .01).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하위영역인 분노표출은 비주장성과 자기희생을 제외한 사회적 억제, 과관여, 냉담, 과순응성, 통제지배, 자기중심성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분노억제는 대인관계문제의 모든 하위영역인 사회적 억제, 비주장성, 과관여, 자기희생, 냉담, 과순응성, 통제지배, 자기중심성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다섯째, 분노반추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β = .184, p < .01). 분노반추는 대인관계문제 하위영역 중 자기중심성, 비주장성, 과관여, 사회적 억제, 과순응성, 자기희생에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나타냈다. 여섯째, 역기능적 분노표현 중 분노표출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분노억제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β = .449, p < .001). 하지만 분노표출은 대인관계문제 하위영역 중 통제지배, 자기중심성, 과관여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비주장성에서는 유의한 부적 영향력을 나타냈다. 반면, 분노억제는 통제지배를 제외한 냉담, 자기중심성, 비주장성, 과관여, 사회적 억제, 과순응성, 자기희생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나타냈다. 일곱째, 분노반추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역기능적 분노표현(분노표출, 분노억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분노반추가 대인관계문제에 대해 가지는 설명량은 18.1%이었으나, 분노반추와 분노표출을 함께 투입 되었을 때 대인관계문제에 대해 가지는 설명량은 19.6%로 증가하였다. 또한 분노반추와 분노억제가 함께 투입 되었을 때 대인관계문제에 대해 가지는 설명량은 33.9%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분노로 인해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가진 내담자를 상담할 때, 분노반추에 대한 탐색과 통제를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 둘째, 자신의 분노를 적절히 통제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기능적 분노표현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 셋째, 분노로 인해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내담자들을 상담할 때, 정서(분노)-인지(분노반추)-행동(분노표현)으로 문제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상담해야 한다. April 16, 2014, there was the accident of sunken ferry Sewol’s. The whole country has fallen into grief, and the nations are furious with them who caused the accident. Days passed the disaster, many people still feels furious. But, if the anger is extremely severed, it will lead to devastating consequences such as suicide, do-not-ask crime, the violence in schools, and a murder at workplace. Anger causes many incidents, and it results from interpersonal dissatisfaction. In this way, most people from youth to adult are facing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y feel the emotion of“anger”. Recently, interest of the cognitive factors for anger is increasing, and especially“Anger rum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or not anger rumination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anger-out, anger-in) affect to university student’s interpersonal problems and to see the mediation effects of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anger-out, anger-in) in relationship between the anger rumination and university student’s interpersonal problem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what is the influence of the anger rumination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on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how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ger-out) has a mediation effect between anger rumin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ree hundred twenty four men/woman university students who are come from Seoul, Daegu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participate in order to verify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asked the questionnaires of Anger Rumination Scale(K-ARS),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Korean version(STAXI-K) and Short form of the Korea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 Circumplex Scales(KIIP-SC). SPSS and Sobel test were used for date and descriptive statistics, realiability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conducted to prove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male students have more difficulties than female students in cold of interpersonal problems (t = 2.159, p < .05). Secondly, i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nger rumination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ger-out, anger-in) (r = .500, p < .01). Especially, anger rumination has a higher positive correlation with anger-in(r = .503, p < .01) than anger-out(r = .295, p < .01). Thirdly, the study found that i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nger rumin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r = .425, p < .01). Memories rumination and rumination of revenge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of interpersonal problems. Also, Rumination of causes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s except domineering and vindictive. Fourthly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ger-out, anger-i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terpersonal problems (r = .506, p < .01).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ger-out)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s except nonassertive and overly nurturant.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ger-out)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s from all parts. Fifthly, anger rumination yielde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personal problems(β = .184, p < .01). Anger rumination yield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vindictive, nonassertive, intrusive, socially avoidant, exploitable and overly nurturant of interpersonal problems. Sixthly,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ger-out) do not affect significantly on interpersonal problems, but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ger-in) do affect (β = .449, p < .001). However, anger-out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omineering, vindictive and intrusive of interpersonal problems and negative effect on nonassertive. On the other hand, Anger-in yield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nonassertive, overly nurturant, cold, vindictive, intrusive, socially avoidant, exploitable and domineering of interpersonal problems. Lastly, the study says that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ger-out, anger-i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rumin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explanation point of relation anger rumination to interpersonal problems is 18.1%. And after anger rumination and anger-out put together, the correlation increase by 1.5% to 19.6%. When anger rumination and anger-in put together, it is greatly increasing to 33.9%. As a result of this conclusion can be drawn as follows : First, when you take counsel with client who has a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ich is caused anger, you need to exploration of anger rumination and intervention for control. Secondly, functional anger expression program must be implemented to help control and express their own anger properly. Lastly, when you take counsel with client who has a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ich is caused anger, you need to have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emotion(anger) - cognition(anger rumination) - behavior (anger expression)"

      • 자기자비가 분노반추에 미치는 영향 : 유머스타일의 매개효과

        선종훈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의 목표는 자기자비와 분노반추의 관계에서 유머스타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총 347명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자기자비, 분노반추, 유머스타일을 각각 설문방식으로 측정한 후, SPSS 23.0을 사용하여 상관 분석, 회귀분석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을 수행하였다.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SCS), 한국판 분노반추척도(K-ARS), 유머스타일 척도(HSQ)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자비는 분노반추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 관계적 유머와 자기고양적 유머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공격적 유머와 자멸적 유머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분노반추는 자기고양적 유머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공격적 유머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자기자비와 분노반추의 관계에서 공격적 유머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자기자비, 분노반추, 유머스타일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role of humor style as mediator variables between self-compassion and anger rumination. Self-report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for measure self-compassion, anger rumination and humor styles to totally 347 adults. SPSS 23.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including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for validate the mediation effects. In order to assess each variable, Korean Version of the Self-Compassion Scale(SCS), K-Anger Rumination Scalse(K-ARS), Humor Styles Questionnaire(HSQ) were included in questionnaire. Following results are the brief summary of the study. First, self-compassion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anger rumination, positive correlation with affiliative humor and self-enhancing humor, negative correlation with aggressive humor and self-defeated humor. In addition, anger rumination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nhancing humor, positive correlation with aggressive humor. Secondly, aggressive humor appeared to have partial mediation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anger rumination. Lastly the implication, limitation and points of proposal for follow up research were discussed.

      • 내면화된 수치심과 공격성의 관계 :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김주희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에서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분노반추가 매개하는지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남녀 대학생 248명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반추, 공격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반추, 공격성은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서의 분노반추 효과를 확인하였다. 내면화된 수치심과 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에서 분노반추는 완전 매개의 효과를 나타냈고,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감, 적대감에서는 부분 매개의 효과를 나타냈다. 즉, 내면화된 수치심은 공격성에 대하여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분노반추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과 분노반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내면화된 수치심에 대하여 보다 더 자세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또한 내면화된 수치심 성향의 사람들이 공격성을 나타낼 때 이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의 제안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verify whether mediating anger rumination is mediated by internalized shame and aggression. For this purpose, I surveyed 248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using internalized shame, anger rumination, and aggression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ternalized shame, anger rumination, and aggress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effects of anger rumination as a mediator were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ggression. In internalized shame, physical aggression and verbal aggression, anger rumination showed the effect of full mediation, internal mediated shame, anger, hostility showed partial mediation effect. In other words, the internalized shame directly affects aggression, but it also h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anger rum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on aggress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anger rumination to help understand more internalized shame. In addition, I discussed the proposal of the treatment program when internalized shameful people showed agg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