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통일 대비 음악교육을 위한 북한음악의 이해 : 민요와 개량악기를 중심으로

        한희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Since the Liberation in 1945, the South and North Korean people have lived in different system caused by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for more half a century. Due to the fix of division, the differences of Korean nation are serious more and more. From the start of the Reunification of West and East Germany, the interchanges of political, economical, cultural and sport fields are becoming active ones between two Koreas. Therefore the re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is near at hand as a concrete reality. But even if the Reunification gets accomplished, a colossal disorder of society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can be incurred because of the differences of politics and culture. In order to overcome the chaos, with the procedure of political and economical reunification, the integration and reflection of education are the important issue on the purpose of formation national communit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rogram of accepting the North Korean music into the South Korean musical education, by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orth and the South Korean education and integration of two Koreas musical education, and by grasping and understanding the actual conditions of differences of music between two Koreas which may can be incurred the disorder after reunification. There exists a strong and political inclination of Juche Ideology in theory and education of music in North Korea, so there exist many differences of musical education between two Koreas. For this reason, the gradual progress in accepting program of the North Korean music and analysis of musical education of North Korea are presented to minimize the refusal and the different nature caused by the heterogeneity existed in two Korean music. The detailed program of accepting the North Korean music is to analyze the North Korean folk music and reformed musical instruments which are used in practical skill, which are less political inclinations. As a method of utilization in the course of musical education in the understand field, the North Korean folk music is analyzed theoretically, and to put to practical use in the activity field of musical education, the North Korean reformed instruments that are similar to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can be used and played as an example of school lessons. The consequence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the program of musical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reunification, and can be used in the course of educational integration which is achieved actively between two Koreas before and after the Reunification of Korea. 남과 북은 해방 이후 분단으로 말미암아 반세기 동안 서로 다른 체제 속에서 살아 왔다. 이러한 분단의 고착화로 인해 민족의 이질화가 점점 심해지고 있다. 90년대 들어 동독과 서독의 통일을 기점으로 최근 정치, 경제, 문화, 스포츠의 각 분야에서 활발한 남한과 북한의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우리 민족에게도 이제 통일은 구체적인 현실로써 다가오고 있다. 그러나, 통일이 이루어진 후 남한과 북한에는 정치적, 문화적, 민족적 이질화로 인해 엄청난 사회 혼란이 초래될 것이다. 이를 극복(克服)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경제적인 통일의 진행과 함께 궁극적으로는 민족 공동체 형성을 목적으로 교육의 통합을 이루고, 이를 학교 교육에 반영해 나감으로써 혼란으로부터 가장 빨리 극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ㆍ북한의 음악 교육의 통합에 관한 연구로 남·북한의 교육을 비교 분석하고, 통일 이후에 남ㆍ북한 음악의 이질화(異質化)로 인한 혼란을 초래 할 수 있는 남·북한 음악의 실태(實態)를 파악(把握)하고 이해하며, 학교에서 북한 음악의 이해를 위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여 민족적 공동체(民族的 共同體)로써 융합(融合)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북한의 음악 교육은 주체음악론이 중심이 되어 정치적인 성향을 강하게 띄고 있어 남한의 음악 교육과는 많은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한과 북한 음악의 차이점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거부감과 이질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먼저 북한의 교육과 음악 교육을 분석하여 북한 음악을 이해하고 수용 방안하기 위한 방법으로 점진적인 수용 방안을 제시하였고, 구체적인 수용 과정으로는 정치적인 성향이 적게 포함되어 있는 북한 민요와 실기에서 사용되는 북한의 개량악기를 중심으로 이를 분석하여 남한의 음악 교육에서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음악 교육과정에서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북한의 민요에 대하여 이론과 음악적으로 분석하여 음악 교육의 이해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남한의 전통악기와 비슷한 북한의 개량악기를 이용하여 북한의 민요를 연주할 수 있는 수업방안의 예를 제시하여 이를 음악 교육의 활동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 교육에서 통일을 대비한 음악 교육 방안으로 활용 할 수 있으며, 향후 통일을 전후해서 남한과 북한에서 가장 활발히 이루어져야할 남ㆍ북한 교육 통합의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북한 음악 장단 변화 연구 : 현행 남·북한 민요장단을 중심으로

        김선희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research is a thesis paper to analyze the folk song, Jangdan, that the music in used in South and North Korea. The folk song Jangdan of the two Koreas began with the premises of national homogeneity in the origin for the starting point of study on the comparative thesis, which is the main comparison topic. Therefore, this research compares the contents of the North Korean folk song, Jangdan, that has been changed due to the difference in ideologies and ruling method with the unchanged Jangdan system in South Korea. And, the contemplation is made on the differences and use in both Koreas on the basis of its characteristics. The music of South-North Korea had maintained the same music at the times of Japanese imperialistic ruling, but it had gone through the changes after the liberation. Therefore, the main contents of this thesis are focused more on the evolution of the folk song Jangdan in North Korea than the comparison of the Jangdan of South and North Korea. The information that could be accessed on the North Korean music was limited, and the earlier theses and researches in South Korea were used to supplement this study.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South and North Korean Jangdan history, and contents and features of the folk music in both countries are provided with the following summary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First, there is a discrepancy in musical terminology for both Koreas. The terms of Jangdan in South Korea, with respect to ‘Jajinmori Jangdan’ and ‘Yeombul Jangdan’, are indicated in North Korea as “Jajeunmori Jangdan’ and ‘Nyeombul Jangdan’ that there is a clear difference of grammars, and the technical terminologies in the music, such as, ‘Kideok’ and ‘Deok’, are expressed as ‘Darak’ and ‘Pyeon’ in the North. Second, the North Korean folk songs listed on the folk song collections published in North Korea contain the unique Jangdan used only in North Korea. In North Korean music, there are Anjjang Jangdan, jinsoe Jangdan, man Jangdan, salpuri Jangdan and bakgutgeori Jangdan that are not used in the South Korean music. Third, the Jangdan of both countries used in folk songs has difference in speed and regularity. In South Korean folk songs use slow Jangdan and fast Jangdan in even frequency with the relatively slow irregular Jangdan in many occasions, while the North Korean Jangdan frequently use the fast speed of Jangdan, such as anjjang Jangdan. Fourth, there is a difference in names and contents used in North Korean Jangdan. There are similarities in names and contents aspects jinyang Jangdan, jungmori Jangdan, jungjungmori Jangdan, yeotmori Jangdan, jateunmori Jangdan and others. There are some Jangdans that have similar contents but different names, such as yanghsado Jangdan and dodeuri Jangdan. And there are same names but different contents in difference for jutgeori Jangdan, jateungukgeori Jangdan, deongdukgung Jangdan. Also, there are clearly different name and contents in ‘Jinswae Jangdan’, ‘Man Jangdan’, ‘Salpuli Jangdan’, ‘Bangutgeori Jangdan’ and others. Fifth, in the Jangdan playing method, the two Koreas show the difference. From the jinyang Jangdan, jungmori Jangdan, jungjungmori Jangdan, gutgeori Jangdan, jajinmori Jangdan and others have similar basic Jangdan. In the playing method of Jangdan, South Korea mainly uses the Jangdan modification method of Ki, Kyung, Kyul and Hae along the flow of music, while North Korea shows many variations in jeongak (front part of Jangdan), hugak (real part of Jangdan) and jeon-hugak (entire Jangdan). As shown above, the South Korean Jangdan that has been maintaining the frame of traditional music and the North Korean Jangdan that has been through the relatively significant changes over time share some basic common points, but as the result of pursuing the changes in North Korea as mucis a part of political tools, it has used the light and fast Jangdan like the Anddang Jangdan.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 has tended to substantiate the original form to separate the two Koreas. Korean people that have identical language and history have been maintaining and evolving under the different system in the history of demarcation for the 50 years. And inevitably, South and North Korea have to face the numerous differences in every phase of society, not only in music and culture. However, it is hop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changed music of North Korea would be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and heritage of high level of culture for Korea. 본 연구는 남·북한 음악에 쓰이는 민요장단을 중심으로 하여 북한 음악 장단의 변화 양상을 고찰한 분석 논문이다. 본 고에서의 비교 주제인 남·북한 민요장단에 관한 연구의 출발점은 근원적으로는 민족적 동질성을 전제로 시작되었다. 따라서 전통음악의 틀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남한 장단과 사상과 통치 방법상의 차이로 인하여 변화된 북한 민요 장단의 내용을 비교하고, 그 특징을 바탕으로 남북한 음악 장단의 차이점과 쓰임새에 대해 고찰하였다. 남북한의 음악이 일제 강점기기 까지는 동일한 음악으로 유지되어오다가 해방이후 변화과정을 거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은 남북한 민요장단을 비교 하는 것 보다는 과연 전통 민요장단이 북한에서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에 치중하였다. 북한음악 자료의 확보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남한에서 발행된 선행 연구자들의 논문이나 연구물을 참고로 하여 장단의 이론적 배경, 남·북한 장단 연구사, 남·북한 민요장단의 내용과 특징에 대하여 순서대로 살펴 도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한의 음악용어는 철자법과 구음에서 차이점이 있다. 남한에서 장단용어로 사용되는 자진모리장단 염불장단 등은 북한에서 잦은모리장단, 념불장단 등으로 표기함으로써 연철-분철, 두음법칙과 같은 차이점을 보이며 연주기법용어인 ‘기덕’과 ‘덕’은 ‘다락’, ‘편’ 등으로 사용하여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둘째, 북한 발행 민요곡집에 수록된 북한의 민요장단에는 북한에서만 사용하는 고유의 장단들이 있다. 북한음악에서는 남한음악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은 안땅장단, 진쇄장단, 만장단, 살푸리장단, 반굿거리장단 등이 있다. 셋째, 민요에 사용된 남북한 음악 장단은 속도와 규칙성에서 차이점이 있다. 남한 민요에서는 느린장단과 빠른장단이 고르게 쓰이고, 비교적 속도가 느린 불규칙 장단 사용도 적지 않다. 한편, 북한 민요에서는 안땅장단과 같이 속도가 빠른 장단의 사용이 많다. 넷째, 북한의 민요에 사용된 장단은 명칭과 내용면에 차이가 있다.먼저 명칭과 내용면에서 같은 것으로는 진양장단, 중모리장단, 중중모리장단, 엇모리장단, 잦은 모리장단 등이 있고, 내용은 같으나 명칭이 다른 것으로는 양산도장단과 도드리장단이 있으며, 명칭은 같지만 내용면에서 다소 차이점을 보이는 것으로는 굿거리장단, 잦은굿거리장단, 덩덕궁장단 등이 있다. 명칭과 내용면에서 확연히 다른 장단으로는 만장단, 진쇄장단, 살푸리장단, 반굿거리장단 등이 있다. 다섯째, 장단 변주 방법에 있어서 남·북한이 차이점을 보인다. 진 양장단, 중모리장단, 중중모리장단, 굿거리장단, 자진모리장단 등은 기본 장단에서는 유사하다. 장단의 변주방법에 있어서 남한에서는 음악적 흐름에 따라 기,경, 결,해(起,經,結,解)의 장단 변형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반면, 북한에서는 전각(장단의 앞부분)변형, 후각(장단의 뒷부분)변형, 전·후각(장단전체)변형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 점이 서로 다른 점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결과, 전통음악의 틀을 잘 유지해온 남한의 음악 장단과 비교적 변화 과정을 거쳐온 북한의 음악 장단은 서로 기본적인 공통점은 가지고 있지만, 북한에서는 음악을 정치적 도구로 보는 관점에서 변화를 추구해온 결과 안땅장단 등과 같은 경쾌하고 빠른 장단을 즐겨 사용하고 있는 반면, 남한에서는 원형에 충실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두드러진 차이점이라고 하겠다. 동일한 언어와 역사를 가진 한 민족이 50여년 분단의 역사 속 에서 각기 다른 체제를 유지하며 변화해온 결과 남·북한은 음악문화뿐 아니라 사회의 모든 부분에서 필연적으로 수 많은 이질성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 연구를 통하여 북한의 변화된 음악이 한국의 수준 높은 문화의 창조와 전승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 북한 예술영화 음악의 특징 분석 : 『새 노래 종합본』 22∼29호를 중심으로

        백기쁨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rs, North and South Korea have been polarized in a wide range of art ane cultural fields including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educational fields, from the period of the Japanese imperialist colonial rule in 1945 during the perio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US and Soviet Union’s military administrations and the two Koreas’ single government and the outbreak of the Korea War on June 25, 1950. As North and South Koreas have been divid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two Koreas become the closest and the furthermost countries.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at we must recognize differences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lthough the former has the same root as the latter, therefore trying th narrow the far distance. It is found that there are also a lot of differenc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s in the art fields. In this regard, this study compared between the music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nd investigated media music that is included in culture and art fields, in other words, film and television drama music. In an era of digital media power, one click has enabled us to encounter music that lies on the opposite site of the globe. However, there is a music that we cannot easily encounter. It might be none other than North Korea’s music. Only a few art film musical prices of North Korea that this study covers were broadcast in South Korea. A limited amount of other data is searched on even the Internet. The research is conducted based on No. 22~ 29 of 『Comprehensive Version of New Songs』, the original text of North Korea which is possessed in data center of Ministry of Unification in North Korea. No. 22~ 29 of 『Comprehensive Version of New Songs』 is data as of the 2000s, and a total of 385 film and TV musical pieces of North Korea are collected and classified on a separate basis. The number of art film musical pieces among them is 19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eral feature of art film music pieces of North Korea by considering the descriptions of the year of the composition of songs, song writers, composers and song lines and by systemically analyzing the features of melody, rhythm and chord. It singled out each five musical piece in order by classifying musical pieces according to chronicle to interpret the scores and overviews of the musical pieces. Also, this study understood the overall movement of North Korea after the North Korean regime was replaced with Jeong-eun Kim due to the death of Jeong-il Kim at the end of 2011, and investigated the whole history of music and art film musical pieces of North Korea. Firstly, the definition of film and video arts of North Korea was made in the course of establishing the definition of art films of North Korea, and ‘the film and TV music of North Korea’ classified in 『Comprehensive Version of New Songs』, the original text of North Korea, was clarified. The standard of art film music of North Korea that would be performed in the future was established by setting the criteria of classifying music used for film and video arts. Musical elements and non-musical elements were classified for a general analysis. In order to find out the features of film and TV music of North Korea, in various ways, the musical elements were subdivided into forms, tunes, scales, circle of fifth, secondary dominant, notes, voice, pitches for an analysis, while the non-musical elements were subdivided into genre patterns, genre types, and words, repetitions and exclamations of musical feelings. There was also an analysis of the changes in an era of the regime of Jeong-eun Kim after the death of Jeong-il Kim. The features of art film musical pieces presented in the course of undergoing such a proces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chronicle, and each five musical piece was selected to clarify the scores and overviews of the musical prices. In addition, an analysis chart about a total of 193 musical pieces of art films was prepared and recorde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usical pieces of North Korea were registered into 『Comprehensive Version of New Songs』, the original text of North Korea through a strict censorship from the North Korean regime, which reflects their sovereignty and idea. Given this fact, it is judged that the art film musical pieces of North Korea show differences from those of other countries as well as South Korea. North and South Koreas which suffer the national division only in the whole world have a great difficulty in making interchanges. It is a fact that music itself of North Korea including art film musical pieces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can hardly be encountered. With the recent evolution of civilization across the ages, films of North Korea have broadcast in South Korea and children ‘s songs of North Korea have been circulated in the nation. The development and facilitation of Internet and the video-sharing site YouTube enables interchanges with the two Koreas, little by little. Yet, the things cannot become the sufficient condition to make North and South Koreas have close ties. It is expected that specific features of the two Koreas would understood and recognized, therefore making active interchanges, through the constant concerns and researches about the North Korean music. 남⋅북한은 역사적으로 볼 때 1945년 일제 식민통치로부터 해방 이후 지금까지 미국⋅소련 군정, 남⋅북한 단독정부 수립, 1950년 6월 25일 전쟁을 거치면서 정치, 경제, 사회, 교육은 물론이고 예술, 문화 등 다방면에서 양분되어왔다. 오랜 시간 분리 되어 있었기에 북한과 남한은 서로 가장 가깝지만 먼 나라가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와 같은 뿌리를 가진 민족인 북한과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멀어진 거리를 좁혀가야 함을 강조하고 싶다. 예술적인 부분에서도 여러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 남한의 음악과 북한의 음악을 비교하고 그 중 문화 예술 분야에 속하는 미디어 음악, 즉 북한의 영화, 텔레비죤 극의 음악을 살펴보았다. 디지털 미디어 강대국 시대에 클릭 한번으로 지구 반대편 음악까지 접할 수 있게 되었는데 우리가 쉽게 접하지 못하는 음악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북한의 음악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북한의 예술영화 음악 또한 한국에 방영된 것 극소수만 있을 뿐 그 외의 자료는 인터넷으로 찾아보기에도 극히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통일부 북한 자료센터에서 소장하고 있는 북한 원전인 『새 노래 종합본』 22~29호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새 노래 종합본』 22~29호는 2000년대 이후 자료이며 수록 된 곡 중 따로 분류된 북한 영화 및 TV음악은 총 385곡이다. 이 중 예술영화의 음악은 194곡이다. 곡이 작곡된 연도와 작사 작곡가를 비롯하여 가사의 내용을 고찰함과 동시에 선율적⋅리듬적⋅화성적 특징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북한 예술영화 음악이 지닌 전체적인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았고 이 중 연대별로 분류하여 곡의 순서대로 5곡씩 선정하여 악보와 개요를 풀이하였다. 또한 2011년 말 김정일의 사망으로 인한 김정은으로의 정권 교체 이후 북한 전반적 동향을 파악하며 북한 음악과 더불어 예술영화 음악의 대표적인 변화를 살펴보았다. 우선 북한 예술영화의 정의를 내리는 과정을 통해 북한의 영화⋅영상예술의 정의와 북한원전 『새 노래 종합본』에서 분류되어있는 ‘북한 영화 및 TV음악’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영화⋅영상예술에 사용된 음악을 분류하는 기준을 세움으로써 차후에 이루어질 북한 예술영화 음악의 잣대를 확립하였다. 전체적인 분석은 음악적 요소와 비음악적 요소를 구분하여 진행하였으며 북한 영화 및 TV음악의 특징을 여러방면으로 살펴보기 위해 음악적인 요소로는 형식⋅박자⋅음계⋅5도권⋅세컨터리 도미넌트⋅조성⋅음역 등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고, 비음악적 요소로는 장르류⋅장르종⋅느낌에 관한 말⋅후렴 반복 여부⋅수령 언급 여부⋅감탄사 사용 여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김정일의 사망 이후 김정은 정권의 시대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변화된 점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곡의 순서대로 5곡씩 선정하여 악보와 개요를 설명하였고, 도출된 북한 예술영화의 특징들은 연대별로 분류와 더불어 예술영화 전체 194곡에 대한 각 분야별 분석표를 만들어 기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북한 원전인 『새 노래 종합본』에 수록된 북한의 음악들은 당의 철저한 검열을 통해 선발된 곡들이 나열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들의 주체성과 사상성 등이 담겨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는 남한 뿐 만 아니라 다른 국가의 예술영화 음악과는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다고 판단된다. 현재 전 세계에서 유일한 분단국가인 남북한은 서로 교류하기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고, 본 고의 논제인 예술영화 음악을 비롯해 북한 음악 자체를 쉽게 접할 수 없는 것은 사실이다. 최근 시대적으로 문명이 발전됨에 따라 남한에서도 북한의 영화를 상영하고, 북한의 동요가 국내에 유포되며, 인터넷의 발달과 동영상 공유 사이트인 유튜브(YouTube)의 활성화로 서로의 문화를 찾아볼 수 있는 등 조금씩 교류를 하는 듯 보이지만 남⋅북한이 가까워지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북한의 예술영화 음악을 포함하여 북한 음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를 통해 서로의 고유성을 이해하고 인정하며, 남⋅북한의 교류가 활성화되길 바라본다.

      • 북한의 수령형상 음악에 인입된 기독교적 특성 연구

        백미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북한의 수령형상 음악에 인입된 기독교적 특성’에 대한 고찰이다. 연구는 한반도 통일의 과정과 통일 이후 남북한 주민들이 직면할 가장 큰 문제가 사상적 괴리감이라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무엇보다 북한 주민들에게 깊이 뿌리내려져 있는 주체사상의 문제가 심각하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주체사상을 세뇌하는데 음악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았다. 북한 정권에서는 각종 음악적 요소를 활용하여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가계에 대한 우상화, 신격화에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범주의 북한 음악을 ‘수령형상 음악’이라고 지칭했다. 연구자는 음악을 전공한 학문적 배경을 바탕으로 북한의 수령형상 음악에 대한 연구를 축적하는 과정에서 북한 음악과 기독교의 찬송가 사이에는 가사와 악곡의 측면에서 밀접한 유사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수령형상 음악과 기독교 찬송가와의 공통성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면 한반도 평화통일시대를 대비하여 남북한이 직면할 사상적 괴리감을 줄일 수 있겠다고 추론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음악을 통한 선교적 기반을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지 검토해 보았다. 북한의 수령형상 음악 연구에서는 북한 음악 전체를 망라할 수 없기 때문에 서로 비교분석이 가능한 악곡과 음원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또한 다양한 음악적 요소 중에서 가사, 선율, 리듬이라는 요소를 중심으로 의도, 기능, 구조 등만 분석하였다. 북한 음악과 관련된 악보는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북한의 대표적인 예술전문 학술지 ‘조선예술(월간)’에 실린 곡 중에서 김정은 시대 출범 이후인 2012년부터 이 학술지의 최근 도착 본인 2017년까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선곡된 악보를 바탕으로 수령형상 음악의 가사에 함의된 기독교적 특성을 성경과 신학적 관점에서 접근했다. 또한 수령형상 음악에 인입된 한국의 복음성가적 특성을 악곡의 구조와 형식, 화성 진행, 리듬의 사용 양상, 가사 표현을 위한 극적 선율 진행 등으로 나눠 분석했다. 연구 결과, 수령형상 음악의 가사와 악곡을 고찰해 보면 가사에는 기독교의 교리가, 악곡에는 한국 복음성가의 선율이 인입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1장 서론에 이어, 2장에서는 주체사상에 기반을 둔 수령형상 음악의 이해와 체계화의 과정을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시대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수령형상 음악의 가사에 함의된 기독교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수령형상 음악을 수령송가, 당 송가, 인민 송가로 나누어 가사의 내용을 북한 음악 전문가의 해석에 기독교의 신학 교리와 성경 내용을 접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수령형상 음악의 악곡 특성과 한국 복음성가의 악곡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수령형상 음악에 인입된 기독교적 특성을 밝혔다. 5장에서는 북한의 김정은 정권 시기의 음악이 한국의 기독교 음악에 주는 도전을 중심으로 논구하였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남북한 주민 간의 사상적 이질감을 극복하고, 북한선교를 위한 시사점을 ‘음악치료를 통한 선교적 접근, 기독교 찬양을 통한 영적 접근’이라는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6장은 결론으로서 논문에서 다루어진 핵심내용들과 학문적 기여 내용을 요약하고 본 논문 주제와 관련하여 향후 발전시켜야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의 학문적 기여는 다섯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본 논문은 북한의 수령형상 음악과 기독교의 찬송가를 비교분석하는 주제와 관련해서는 처음으로 연구의 문을 열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연구자가 북한의 수령형상 음악에 주목하고 분석을 진행할수록 그 기능과 형태의 측면에서 기독교 찬송가와 매우 유사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본 논문은 북한의 수령형상 음악과 기독교 찬송가의 가사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북한 음악에 찬송가의 속성들이 인입되어 있음을 논증하였다. 북한 체제의 기독교적 특성을 밝힌 연구 결과들이 이미 다수 제출되었기 때문에 음악 또한 그 궤를 같이할 것이라는 추론은 쉽게 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한 논증을 시도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자는 북한 수령형상 음악의 악곡에 인입된 한국의 복음성가적 특성을 추출하여, 양자 간의 분석을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넷째, 본 논문은 북한의 현 정권인 김정은 시대에 활용되고 있는 음악을 중점적으로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북한 음악은 수령의 주요정책을 가사에 담고 있기 때문에 노래의 제목과 내용만으로도 정치적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 통일과 북한선교를 위한 선교적 시사점을 제시했다. 일차적으로 남북주민 간의 이질감을 극복하기 위해 음악치료를 통한 공감대 형성 방법을 제언하였다. 또한 복음성가와 찬송가의 선율적 특성 활용을 통해 향후 통일과정에서 남북한 주민들의 사상적 괴리감을 줄이면서 선교할 수 있는 방안을 예시하였다. 이 방안들은 북한 주민에게 직접적으로 복음을 전파할 때 접촉점을 형성하는 데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f the Christian characteristics of ‘Suryong (supreme ruler) Image Music’ in North Korea. The study starts with the perception that the biggest problem facing the Korean Peninsula's unification process and the people of the two Koreas is the ideological divide. Music plays a crucial role in the indoctrination of such ideology as Juche which is deeply rooted in North Koreans. The North Korean regime is using various musical elements to idolize and deify the families of Kim Il Sung, Kim Jong Il, and Kim Jong Un which, in this dissertation, will be referred to as Suryong Image Music. In accumulating research on Suryong Image Music in North Korea, the researcher found that there was a close similarity between North Korean music and Christian hymns in terms of lyrics and music. Therefore, if the similarity between Suryong Image Music and Christian hymns can be properly utilized, the ideological divide between the two Koreas,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can be reduced. Since North Korea's Suryong Image Music research does not cover all of North Korean music, the research focused on music sources that can b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intent, function, and structure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elements of lyrics, melody and rhythm among the various musical elements. The research was limited to the North Korean sheet music published in North Korea's leading art journal Chosun Art (Monthly) from 2012 to 2017 housed 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Based on the data analysis of the sheet music, the Christian characteristics in the lyrics of Suryong Image Music were approached from biblical and theological perspectives. The research also analyzed the gospel characteristics of the Suryong Image Music by dividing the structure and format and the use of the rhythm, and the dramatic melody for the lyrics. The study found that the lyrics of Suryong Image Music contained Christian-like doctrines and Korean gospel melodies. The composition of the dissertation is as follows: Chapter 1 constitutes the introduction, and Chapter 2 divided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systematization of Suryong Image Music into the Kim Il Sung, Kim Jong Il, and Kim Jong Un eras. Chapter 3 examined the Christian characteristics of Suryong Image Music. The contents of the lyric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music into doxology, doxology of the party, and doxology of the people by combining the Christian theological doctrines and the Bible into the interpretation of the North Korean music experts. Chapter 4 revealed the Christian characteristics of the Suryong Image Music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and the music of the Korean gospel artists. In Chapter 5, music from the Kim Jong Un regime in North Korea focused on the challenges posed by Christian music in South Korea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implications for missionary approach through music therapy was presented. As a conclusion, Chapter 6 summarizes the key contents and academic contributions addressed in the paper and presents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the Suryong Image Music. The scholarly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summed up as follows: firstly, this is the first research of comparative analysis of Suryong Image Music and Christian hymns. The research foun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Suryong Image Music and Christian hymns in terms of function and form. Secondly, through the analysis of Christian hymn lyrics, it was found that the attributes of Christian hymns are imbued in Suryong Image Music. Previous researches revealed the Christian nature of the North Korean regime, but it is meaningful that this research has substantiate it through the musical analysis. Thirdly, this research extract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hristian music in the Suryong Image Music, and derive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wo. Fourthly, this paper focused on music used in the Kim Jong Un era, the current regime in North Korea. Since North Korean music contains the Suryong's major policies in the lyrics, the title and content of the lyrics can grasp the political trend of North Korea. Lastly, this paper presented missionary implications for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 Korean missionary work. To overcome the alien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s, the paper suggested a way to build consensus through music therapy. It also demonstrated a plan to reduce the ideological ga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s through the use of the melodic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This research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contact points when spreading the gospel to the North Koreans.

      • 한국전쟁 시기의 북한 전시가요 연구

        이정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해방 직후 한반도는 소련군정과 미국군정의 주둔으로 각각 서로 다른 이념이 심어졌다. 이어지는 한국전쟁은 이를 공고히 하였으며, 특히 북한에서는 김일성 유일사상체제를 굳건하게 만드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본 연구자는 한국전쟁 시기 긴급하게 돌아가던 정치·사회적 상황 속에서 인민군대를 전쟁승리로 이끌고 후방인민의 전쟁 지지와 참여를 고무시키기 위해 전시가요가 중요하게 이용되었음을 주시하였다. 그리고 전시가요 연구로 김일성 정권 초기 프로파간다 음악 정책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작업은 현 북한 인민음악의 시원을 찾는 기회라 생각되었다. 본 연구 범위는 전시가요연구임에도 불구하고 해방 직후(1945. 8)부터 한국전쟁기(1950-1953)까지로 정하였다. 그 이유는 한국전쟁은 김일성 정권 창출 시기부터 실행하였던 소련식 사회주의 국가건설을 한반도 전체로 확장하기 위한 무력통일의 시도로써 결코 그 이전과 동떨어진 별개의 사건이 아닐 거라는 판단 때문이었다. 그래서 한국전쟁을 기준으로 그 이전은 인민가요, 이후는 전시가요로 규정하여 가사와 음악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사 내용과 음악분석에서 소련 번안가요 36곡, 정권 수립기 인민가요 64곡과 전시가요 227곡을 이용하여 그 특징과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전시가요 가사 내용의 주제 제1위는 ‘국가보위를 위한 임무와 역할 강조’였다. 정권 수립기 인민가요가 마르크스의 레닌 사상에 기초하여 전쟁의 필연성과 정당성을 인민들에게 끊임없이 선전 선동하였다면, 전시가요는 인민군대와 후방인민에게 미국과 이승만정권을 끊임없이 혐오하며 전쟁의 필연성과 정당성으로 전쟁승리에 이바지하도록 그들의 임무와 역할을 세뇌하였다. 주제 제2위는 ‘애국주의 강조’였다. 정권 수립기 인민가요가 반제반봉건 민주개혁에서 노동자, 농민이 애국주의로 앞장설 것을 선동하였다면, 전시가요도 마찬가지로 반제반봉건 민주개혁의 실행을 찬양하며 한반도 전체에 사회주의 국가건설을 위해 이들이 애국주의로 전투할 것을 나타냈다. 애국심 자극에서는 마르크스 증오교육 원리에 국가주의와 서정적 요소가 강조되었다. 주제 제3위는 ‘지도자 찬양 및 우방국에 대한 친선 강조’였다. 이것은 인민가요 ‘소련의 지도자 및 소련군 찬양·우호 강조’가 전시가요로 이어진 것이다. 인민가요는 스탈린과 소련군대 찬양으로 북한에 소련식 사회주의 국가건설을 종용하였다면, 전시가요는 소련 원조로 전쟁을 치르기 위한 장치로 이용되었다. 주제 제4위는 ‘김일성 중심의 국가건설’이었다. 이것은 개전초 북한과 남한 점령지 모두에서 강조된 것이었다. 인민가요에서 이 주제는 북한에 프롤레타리아 계급 중심의 사회주의 국가건설을 독려하였다면, 전시가요는 북한 인민의 전쟁참여 독려와 남한 주민의 사회주의 국가건설 참여를 끌어내기 위한 기제였다. 한마디로 한반도 전체에 사회주의 국가건설 목표로 이용되었다. 주제 제5위는 정권 수립기 인민가요에서 ‘한국전쟁을 암시했었던 노래’가 전시가요로 다시 불리어 전쟁의 타당성과 정당성에 의미를 부여했다. 이것은 한국전쟁 예고로 김일성 정권이 전쟁을 미리 계획하여 실행한 것임을 확인시켜 주었다. 제6위 주제는 ‘사회개혁과 관련된 노래’이다. 이 주제는 북한 정권 수립기의 인민가요가 전시가요로 재이용된 것으로 남한 점령지에서 북한체제의 우월성을 남한 주민들에게 선전함으로써 이들의 정치적 지지를 얻고자 한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휴전 암시 및 전후 복구’이다. 이것은 휴전 암시와 전후 복구로 나눌 수 있다. 휴전 암시는 상징적 요소를 통해서 전쟁의 상흔을 달래었다. 전후 복구는 김일성 중심의 단결로 미국과 전투를 벌이듯이 복구건설에 참여할 것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위에서 나타난 정권 수립기 인민가요와 전시가요의 행태는 소련의 가요를 모방한 것임이 확인되었다. 즉, 인민가요는 새로운 국가건설을 위한 인민 사상개조의 방향 제시와 사회주의 경제체제지향을 위해서, 전시가요는 전쟁승리를 위해서 과거 소련가요가 강조하였던 것을 답습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가사 내용분석에 이어서 음악분석을 하였다. 이것은 크게 세 가지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모든 전시가요의 외형적·구조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둘째, 시기별로 의미가 있는 곡을 선정하여 악곡 분석하였다. 셋째, 각각의 곡들에서 나타난 음악적 특징들을 개괄적으로 검토하였다. 위의 음악분석 내용을 종합해 보면 음악은 한결같이 가사전달을 위한 보조적 역할에 치중하고 있었다. 이를 위해 북한 정권 수립기 인민가요는 일제 치하의 음악 어법과 새로운 소련의 창작 방식을 혼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어 한국전쟁 시기에는 소련 번안전시가요가 북한 전시가요로 적극적으로 권장·이용되면서 북한가요에 소련의 음악 어법과 창작 방식이 완전하게 이식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자는 한국전쟁 시기의 북한 전시가요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의 주목적이었던 북한 정권 초기 음악을 통한 프로파간다 정책과 현 북한 인민음악의 시원을 찾을 수 있었다.

      • 북한 서정가요의 주제와 음악분석

        홍성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북한 서정가요의 가사와 더불어 음악적 요소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북한 서정가요가 지닌 문학적, 음악적 특징들을 고찰해보았다. 또한 북한가요가 지니고 있는 미학적 특징과 시대적 한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북한음악의 개념에 대하여 알아보고, 북한음악의 역사적 흐름에 대해서는 해방 전후 시기・한국전쟁과 건설 시기・주체사상 발전시기・공산주의 몰락과 고난의 행군 시기・선군음악정치 시기 등으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 음악동향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북한음악의 사상적 배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마르크스・레닌주의에 입각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와 주체사상에 입각한 주체 사실주의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북한가요의 종류와 시대별 특징에 대한 고찰에서는 북한가요의 종류를 장르류에 따라 서정・서사・교술・희곡으로 나누고 그 대표 곡들에 대한 가사분석을 통하여 각 장르의 성격과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장르류의 하위 범주인 세부장르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그것을 토대로 북한가요 분석에 적용할 세부장르들을 설정하였다. 북한가요의 시대별 특징에서는 해방을 기준으로 해방 이전의 북한가요와 해방 이후부터 1949년까지의 북한가요로 양분하여 살펴보았으며, 그 이후의 시기는 10년 단위로 구분하여 1950년대・1960년대・1970년대・1980년대・1990년대 그리고 2000년대 이후로 나누어 분석해 봄으로써 각 해당 시기별 북한가요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먼저 본 연구의 범위인 해방 이전부터 2011년까지의 4,219곡에 대해 서정・서사・교술・희곡의 4개의 장르류로 분류하고 그 각각을 세부장르로 분류하였으며, 개별 곡의 음악적 요소인 음계, 박자 등에 관하여 세부적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을 통한 데이터들은 시대 순에 따라 나열하여 그 분포를 살펴보고 시대별 특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방 이전 북한음악은 순수서정가요의 비율이 어느 시대 보다 가장 높았으며, 음계부분에서는 전통음악의 5음음계와 5음 간의 선율진행을 바탕으로 창작된 곡이 전체 220곡 중 155곡으로 70%에 해당한다. 박자 분포에 있어서는 2/4박자가 가장 많은 것이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 해방 이후 북한가요는 선전・선동가요가 47.8%를 차지하고 있으며 노동가요・수령송가・당송가・통일가요 등이 처음 등장하였다. 이전 시대에 비해 순수서정가요의 수는 감소하였다. 음계부분을 살펴보면, 5음음계보다 서양음계인 7음음계의 비중이 커졌다. 박자 분포에 있어서는 4/4박자가 23곡 중 11곡으로 47.8%를 차지하고 있으며, 해방 이전 북한가요에서 43.2%의 분포를 보인 2/4박자가 한 곡도 없다는 점은 이 시기의 특이점 중 하나이다. 또한 노동가요에서 변박자가 처음 등장했다. 1950년대 북한가요의 시대적 특징은 다른 장르에 비해 노동가요의 비중이 가장 크다는 점이다. 그리고 송가의 수가 서서히 증가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 시기에는 수령송가가 등장하지 않았으나 1956년 '8월 종파사건' 이후 수령송가가 다시 창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주체철학과 공산주의 사상 교양 및 당 찬양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당송가, 선전・선동가요가 눈에 띄게 늘어났다. 또한 새로운 세부장르로 추모가가 등장했다. 음계는 이전 시대에 비해 장조계열과 단조계열의 격차가 대폭 감소했으며 5음음계의 비율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세부장르에서는 장음계와 단음계의 비율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박자 분포에 있어서는 다양한 변박자의 등장과 2/4박자의 재등장이 특징적이다. 1960년대 북한가요의 특징은 이전 시대에 비해 서정가요가 눈에 띄게 늘어난 점이다. 1950년대 6곡이었던 수령송가는 65곡으로 급격히 늘어났다. 이 시기의 송가와 선전・선동가요는 225곡으로 77.6%에 해당한다. 또한 민요의 현대화와 더불어 통속적인 음악을 강조한 시기이므로 전통적인 선율소재인 5음음계의 비중이 늘어났다. 박자 분포에 있어서는 모든 세부장르에서 4/4박자의 곡이 많았으며, 35%정도의 비율이었던 이전 시기에 비해 59%로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1970년대 북한가요의 가장 큰 특징은 전체 창작곡의 수가 이전 시대에 비해 3배 이상 늘었다는 점이다. 서정가요는 총 420곡으로 전체 곡 중 64.4%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점은 1973년 문화혁명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세부장르에서 수령송가가 이전 시대의 비해 4배 이상으로 증가하였고, 당송가도 85곡으로 3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선전・선동가요도 207곡으로 50%가량 증가되었다. 음계적인 특징은 단일음계의 곡에서 단조가 장조보다 비율이 높아진 첫 시기라는 점이다. 5음음계와 7음음계의 비교에서는 7음음계의 비중이 월등히 높았다. 1980년대 북한음악의 특징은 수령송가가 큰 폭으로 줄고 선전・선동가요와 당송가가 크게 상승했다는 점이다. 음계적 특징은 단조계열이 장조계열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7음음계의 비중 역시 월등히 상승하였다. 박자 분포에 있어서는 4/4박자의 비중이 높았다. 1990년대의 북한가요를 살펴보면 김일성의 사후, 본격적인 김정일 시대에서의 정치・경제적 변화가 반영된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80년대 말 동구권 공산주의의 몰락과 1990년대 초 소련의 붕괴 그리고 이른바 고난의 행군기를 거치면서 북한의 가요는 주민들에 대한 사상교양에 중점을 두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수령송가 392곡, 당송가 221곡, 선전・선동가요 376곡 등 창작물의 양적 증가로 나타났다. 이 중 수령송가가 전 시대에 비해 168곡에서 392곡으로 큰 폭의 상승을 나타냈다. 음계부분에서는 이전 시대에 비해 다시 장조계열의 음계가 많이 나타난다. 2000년대의 북한가요는 서정가요가 587곡으로 전체 곡 중에 93.9%를 차지하고 있다. 세부장르에서는 선전・선동가요가 크게 줄었는데 이는 1990년대 말 고난의 행군시기를 극복한 이후 풍속가요와 애정가요 등 서정가요의 비중이 상승한 결과로 추정된다. 음계는 장조계열이 많았고, 7음음계의 높은 비중은 계속 유지되었으며 박자에서도 4/4박자의 높은 비율이 지속되었다. 그리고 북한의 서정가요를 주제에 따라, 경치를 노래한 서정가요・전통민요를 수용한 서정가요・애정과 풍속을 노래한 서정가요・가극 속의 서정가요・수령 찬양 서정가요의 5가지로 구분하고, 각 분류별 대표곡들의 분석을 통해 주제에 따른 내용과 표현들을 살펴보았다. 먼저 경치를 노래한 서정가요의 서술방식은 자연 속의 경치에 대한 세밀한 서술 이후 시적화자의 심상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었다. 경치를 노래한 서정가요에서의 묘사되는 경치는 매우 구체적으로 그려지며 시적화자의 감정이입으로 인해 또 다른 의미를 생산하게 된다. 고향산천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하거나 조국의 자연을 묘사하면서 우월성을 과시하기도 하며 애향심을 표현하기 위하여 고향의 강을 소재로 하기도 한다. 경치를 소재로 하기 때문에 고향과 관련된 내용이 많으며 이러한 시적화자의 고향에 대한 그리움은 해방과 통일 등에 대한 의지로 연결되기도 한다. 또한 북한의 서정가요이므로 지도자의 은혜를 칭송하는 내용이 포함되기도 한다. 전통민요를 수용한 서정가요는 전통민요의 가사를 개사한 노래들로, 대부분 농사나 어업 등 그 소재에 있어서 노동요적 특징을 갖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북한의 가요인만큼 내용 중에는 당정책을 선전하거나 수령의 은덕을 찬양하는 표현이 존재한다. 애정과 풍속을 노래한 서정가요는 1990년 이후 많이 등장하게 되는데, 애정주제의 경우, 남녀의 애정사를 소재로 하고 있으나 사회주의적 전형으로서의 총각을 흠모하는 처녀 또는 처녀를 흠모하는 총각이 혁신자의 영예를 획득하여 처녀에게 인정받겠다고 하는 식의 내용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풍속을 노래한 서정가요로는 전통적 소재를 가지고 노래한 곡들이 있는데, 전통적 소재에 대한 찬양은 곧 민족에 대한 자긍심으로 이어지게 된다. 가극 속의 서정가요는 가극 속의 각 장면들과 연관된 정서를 담고 있는 가사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는 《꽃파는 처녀》・《피바다》・민족가극 《춘향전》에서의 주요 곡들을 살펴보았다. 대부분 역경 속의 주인공에 관한 이야기이므로 전반적으로 흐르는 정서는 슬픔에 관한 것이 많다. 하나의 곡에 하나의 주제를 담아 표현해내는 일반적인 가요와는 다르게, 가극 속의 노래는 각 장면에 따른 등장인물들의 정서를 서술하고 있어 하나의 곡이 지니는 서정성은 보다 심화된다. 수령 찬양가요에서 표현되는 지도자의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신적이며 영웅적이다. 지도자는 태양으로 은유되어 온 세상을 밝혀주며, 민족을 위해 고난을 극복하고 승리하는 영웅으로서 묘사될 때는 민족적 상징인 백두산이 동반되어 표현된다. 또한 수령 찬양가요 속의 지도자는 아버지로 호칭되어 유교적 효의 대상이며, 비참한 자신의 인생을 구해주거나 풍년을 가져다 준 은인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김정일 집권기 이후 형상화되는 지도자상은 그립고 정다운 연인이거나 어머니가 되기도 한다. 북한 서정가요에 대한 악곡 분석을 시행하기 위하여 북한의 가요 146곡을 선별하였고, 분석을 위한 다양한 항목을 설정하여 음악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의 항목은 악곡의 구조적 특징・선율적 특징・화성적 특징・전통리듬의 사용양상 등 4가지 항목이며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적 특징으로는 북한가요의 절가적 특성으로 인해 두도막형식의 간단한 곡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점이며, 악곡의 구조가 복잡해질수록 창작곡의 빈도수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북한가요의 구조적 특징은 전렴과 후렴의 대구적인 절가형식이 대부분이라는 점이다. 둘째, 북한가요에서는 주선율의 음역대가 남한의 가요에 비해 협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주민들이 이해하기 쉽고 부르기 편해야 한다는 노래의 통속성을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것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원칙 중 하나인 '인민성'과 관련이 있으며, 가요를 감상용이 아닌 가창을 통한 사상교화의 목적으로 수단화했음을 나타내는 방증이기도 하다. 셋째, 선율적 특징으로는 선율의 소재 면에서 5음음계 위주의 사용이 많다는 점이다. 이는 민족적 형식을 강조하는 북한음악의 기본적인 원칙이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렴에서 후렴으로의 선율진행에서 극적 대비를 보이는 가요들을 많이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후렴 부분의 가사에서 수령과 당의 언급 시 해당 단어에 대한 강조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설정으로 판단된다. 반대로 전렴에서 후렴으로의 선율진행이 평이한 양상을 보여주는 모습도 볼 수 있는데, 감정의 나열이나 사실의 나열과 같은 가사의 내용과 관련된 음악적 고려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렴과 후렴의 음역대가 유사하게 나타난다. 또한 주목할 만한 선율적 특이점은 최근의 북한가요에서 반음계적 수법의 선율진행이 발견된다는 점이다. 북한에서는 선율을 복잡하게 쓰지 않도록 하며 특별히 반음의 사용을 '날라리풍'이라 하여 금하고 있다. 넷째, 화성적 특징을 살펴보면, 북한가요는 기본적으로 가사와 선율이 음악의 중심이 되므로 화성에 대한 고려는 미약한 편이다. 또한 음악창작의 원칙상 화성의 다양성을 피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원칙에서 벗어나 예외적인 화성소재나 화성진행이 적용된 특이한 사례들을 시대적 맥락과 함께 살펴보았다. 그 첫 번째로는 5도권 화성진행의 사용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증가한다는 점이다. 북한에서는 원칙적으로 재즈음악적 요소의 사용을 금기시 하였지만 1970년대 김정일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시기부터 스탠다드 재즈에서 자주 나타나는 5도권 화성진행의 사용빈도가 늘어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단조 곡에서의 5도권 화성진행이 두드러진다. 또한 부속7화음의 사용 빈도 역시, 시대가 바뀜에 따라 증가하고 있다. 1960년대에는 그 빈도수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는데 천리마운동 등에 따른 다수의 선전・선동가요가 보급된 것이 그 원인으로 추정된다. 교술적인 가사는 메시지 전달이 주목적이므로 음악적 다양성의 추구는 오히려 해가 되기 때문이다. 그 이후 부속7화음 소재의 빈도는 지속적으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그 밖의 특수화음들의 사용은 매우 드물지만, 그러한 화성이 적용된 사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화음의 자리바꿈 사용에 있어서 2000년대 이후 사용 빈도가 늘어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러한 점은 시기적으로 김정일의 음악정치 그리고 김정은의 집권과 관련하여 음악소재가 확대되고 다양화되었음을 말해준다. 마지막으로, 리듬적인 측면에서는 서양리듬에 비해 전통리듬 소재의 사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민족적 형식을 우위에 두고 서구의 음악을 복종시켜야 한다고 역설하지만 사실상 음악의 창작에 있어서는 서구적 리듬소재를 많이 사용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서구의 리듬에 대한 분석이 아닌 전통리듬의 사용양상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이를 통해 전통리듬소재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그들 나름대로의 변용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북한의 전통리듬과 그 변용의 양상을 정리해보고 변형된 전통리듬이 가요에 적용된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북한가요에서의 서정성은 해방 이후 분단 상황 하에서 이데올로기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경향을 나타냈고, 한국전쟁 이후부터는 서서히 정치적 수단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전후 복구와 건설을 독려하는 선전・선동적인 곡들이 등장함과 동시에 김일성 유일사상체제의 확립시기를 기점으로 북한서정가요는 대부분 정치적 성향으로 변모된다.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이나 '우리민족제일주의론' 등을 통해 예술작품에 사회주의적 내용을 담을 것을 명시하면서 북한 서정가요는 대부분 사회주의 체제유지와 선전을 위한 목적으로 창작 보급되게 된다. 음악적 요소에 관해서도 창작에 관한 당의 엄격한 통제와 검열에 따라 창작의 범위가 좁아지게 되어 북한음악은 지극히 제한된 상황 하에서의 흐름을 보여 왔다. 이러한 북한 서정가요의 한계는 곧 그들의 미학적 특징에서 기인한다고 판단하여 북한 서정가요의 미학적 특징과 한계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미학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인민성・당성・계급성과 주체문예이론에서의 종자론, 인민성과 통속성에 대해 살펴보고, 통일을 주제로 한 가요의 가사분석을 통해 통일지향의 방향성이라는 측면에서 그들이 지닌 한계를 규명해보았다.

      • 북한 음악 교육에 대한 연구 : 1996년 개정된 북한 고등중학교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이수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민주주의를 수용하고 있는 남한과 사회주의와 주체사상을 중심으로 한 북한은 달라진 이념과 감정, 가치관 등에서 나타날 수 밖에 없는 이질적인 요소가 교육에 까지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통일을 앞당기고 통일 후 두 체제의 융합에서 오는 문화적 대립과 충격에 대비하는 길은, 이질성 극복과 동질성 회복에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의 교육과 실제 음악 교육 상황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 가를 밝히고, 남북한 음악 교과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북한 고등중학교 교육과정과 남한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비교하였다. 또한 북한 음악 교과서를 학년별, 영역별로 분석하였으며, 남·북한의 음악 용어, 개량된 악기를 비교 분석하고, 남·북한 음악 교과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 북한 음악의 실상을 파악함으로써 이질성을 찾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고등중학교 음악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한 본 연구의 결과 북한의 음악 교과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상의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주체사상을 강조하기 위하여 음악 교과서의 설명 기준을 김일성·김정일의 교시를 유일한 척도로 삼고 있고, 내용의 중요성을 교시로서 강조하고 있다. 둘째, 기악곡보다 가창곡 위주였으며, 가창곡에 있어서 합창 형태가 두드러지게 많았는데 이는 정치 사상 교양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셋째, 우리의 순수한 전통음악은 교과서에서 소개되지 않고 있다. 그리고 타악기를 제외한 모든 전통악기는 개량 작업을 통해서 현대화하였고, 국악기를 12음으로 개량하여 서양 음악에서 함께 연주할 수 있게 하였다. 넷째, 북한 음악 교과서는 '시창곡'이라 하여 많은 양의 곡을 수록하고 있다. 이는 가창곡의 보급과 음악의 대중화를 수월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분석된다. 다섯째, 음악 용어에 있어서 순수한 옛 우리말 표현도 쓰고 있으나,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이태리의 음악 용어를 많이 쓰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외국 작곡가를 소개할 때 소련의 영향으로 소련식 발음으로 표기하고 있다. 남북간의 관계는 동질성 회복이라는 차원에서 음악을 비롯한 모든 것의 북한을 이해하고 남한과의 음악 교육의 이질화를 어떻게 적극적인 방법으로 극복할 수 있을지를 모색하는 일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North-Korea which has already have the Socialism system Principalism, the other doctrine, emotion and valuable showed relatively special aspects compare to the South-Korea which has adopted the Democracy system. These opposite factors have also effected into the educational organization. So if we should want the sooner unification, we shall prepare the confrontation of civilization and culture shock and we will also have to overcome the opposite factors and try to find the homogeneous recover between the two nation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at the practical situation of musical education in North-Korea , also 'What and Hose to teach', and analysis of the common and different points between the two nations. There are many analysis about the changing process of North -Korea's music and this research want to know the characteristic and find the middle-high school music educational process compared to the South-Korea's. And also this research analyzed that the North-Korea's textbook which has characteristic of grade and domain, and studied the musical term, compared the reformed instruments and tried to know the real North-Korea's musical situation which are compared to the common and different points of South-Korea's textbook in order to recover the two nations' heterogeneous. There are followed characteristics in the North-Korea's middle-high school music textbooks. First, there is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which is the instruction of Ill-Soung, Kim and Joung-Ill, Kim to emphasize the Principleism and stress the contents as the instruction. Second, the sing part which mostly consists of the chorus is preferred to the instrument part because that is much easier to teach the political idea than this.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possess the praise of the Kim's family, nation's fidelity and the induction of absolute detestation and struggle which make more serious relationship of the consciousness system between the two nations. Third, there is no reference in the textbooks about the Korea's traditional music. All kinds of traditional instruments have been modernized except percussion, and reformed Korea instruments with 12-sounds could perform with the Western music. Forth, there is a called Ci-Chang Kug' which wrote down many quantity of songs. It constitutes the systematic organization which shows very well controled changing of composing by the grades. It has bees used to spread the musical popularization. Fifth, mostly the Italian language which is the Global language is used, and sometimes the Korea's pure language is used in musical term. However, when the foreign composers are introduced, the Russia pronounce has been used by the Russia's influence. The North and South Korea's relationship that is include everything has been more understood, and it is also said that the more positive approach methods are more seriously considered for the homogeneous recover.

      • 북한음악관련 한국 석·박사학위 논문의 총람 및 내용분석

        김현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북한음악관련 논문들을 정리·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체계적인 정보를 주어 논제선정과 북한음악의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해주는데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 북한음악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특히 음악교육에 중심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북한음악관련 37편의 논문을 외형적으로 분석하고, 그 중 북한음악교육에 관련된 30편의 논문을 내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형적 분석에서 지역별로는 서울에서 연구된 논문이 67.7%로 가장 많았고, 대학은 성신여대가 13.5%로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하였다. 내용은 교과서 분석 59.4%, 음악교육 관련 연구가 24.3% 그리고 기타 16.3%로 교과서 분석에 지나치게 치우쳐 있었다. 연구 대상은 인민학교가 35.1%, 고등중학교가 40.5%로 고르게 연구되었다. 둘째, 내용적 분석은 음악교육 분야와 교과서 분석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음악교육 분야를 연구한 8편의 논문은 교육과정·교육제도·교육실태·제안으로서의 통일교육방안 연구로 분류하였다. 북한의 교육은 사회주의 건설에 매진할 수 있는 공산주의자를 양성하는데 목표를 두고 교육과정을 제6차까지 개편하였다. 또한 11년의 기본학제와는 별도로 각종 특수학교를 설치하고 예·체능분야의 특기교육과 출신성분에 의거한 특수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음악교수형태는 개별교수·앙상블교수·전공실습·현실체험 등의 교수형태가 있으며, 교육방법에는 깨우쳐주는 교수방법, 예술이론과 전공실시교육 및 창조·실천·활동의 결합, 학교교육과 가정교육의 배합, 조직생활의 강화 등의 방법이 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사실은 음악가를 양성하기 위한 북한의 음악예술교육은 그 목표부터 우리의 음악교육과는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며,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에서 우리와 많은 차이점이 있다는 것이다. 교과서 분석 분야의 연구는 인민학교 10편과 고등중학교 12편이 있었다. 교과서 분석은 크게 가창·기악·창작·시창으로 분류하고, 교재구성·영역별 분류·내용 분석·외형 분석·작사자·작곡자·음악용어 비교 등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이상과 같이 북한음악관련 논문 37편을 외형적·내용적으로 살펴본 결과, 북한음악에 관한 연구는 자료의 한계 때문인지 유사한 방법의 연구가 계속 이루어지고 있었고, 심지어 내용이 대동소이한 논문도 있었다. 이 연구가 앞으로 북한음악 분야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북한음악교과서 분석이라는 한계에서 벗어나 좀 더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researchers with a systematic information of North Koran music through reviewing and analyzing theses about the music, proposing new directions in researching North Korean music and determining main subjects of the research.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analyzed characteristics of 37 theses about North Korean music apparently. Out of the total theses, then, 30 which discuss the music education of North Korea were processed through content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out of the 37 theses whose apparent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here, 67.7% were presented in Seoul and 13.5% of the presentations were made by Sungshin Women's University, more than any others located in the same city. Out of the total theses, 59.4% focused on the review of North Korean music textbooks, followed by 24.3%, the music education of North Korea and 16.3%, others. Among the analyzed textbooks, 35.1% wer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40.5% for middle and high school ones. Second, for their content analysis, the 30 theses about the music education of North Korea were classified here into two groups, those of music education and textbook analysis. The former group contained 8 theses which were herein regarded studies about ways of unified education focusing on the curriculum, system, status and suggestions of North Korean music education. While the latter consisted of 12 theses analyzing North Korean music textbooks for the elementary school level and 12,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These results show that studies regarding North Korean music have continued and now still continue. Finally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study provide researchers an accurate information of North Korean music and thereon helps them study North Korean music in various aspects rather than restricting themselves to the analysis of the music textbooks.

      • 북한 음악의 통시적 고찰 -『 조선중앙년감』1949년~주체108(2018)을 중심으로-

        박희정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1949년 이후 북한음악의 전체적인 음악사적 시기구분과 그 구분된 시기에는 어떤 장르의 음악이 주된 장르였으며 이 주된 장르는 어떻게 역할을 하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의 공간문헌인 『 조선중앙년감』 최초 발간본부터 남한에서 확인할수 있는 마지막 발간본인 2018년 발간본까지의 『 조선중앙년감』에 서술된 음악부문의 내용을 연구범위로 선정하고, 그 내용구성과 편집체계 변경과 핵심용어 사용시기에 따라 구분해 보았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북한 음악을 중심으로 북한음악의 음악사적 시기를 크게 2시기로 나눌 수 있었다. 그 시기구분의 기준은 『 조선중앙년감』 1975년본에 음악부문 편집체계에서 나타난 ‘혁명문학예술’ 시기로 이전과 이후의 편집체계가 확연히 구분된다. 이보다 앞선 1973년본 문학예술부문에서 ‘주체적문예리론연구’를 소개하고 있는데 ‘주체적문예리론연구’가 소개, 서술 된후 발간본에서는 주체예술, 주체체육, 주체교예 등 문학예술부문에 대부분 주체를 사용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1973년에 소개한 ‘주체적문예리론연구’와 1975년에 소개한 ‘혁명문학예술’ 를 전·후하여 북한음악에 변화가 생겼고 다루는 소재 또한 변하게 되지만 1973년의 ‘주체적문예리론연구’는 편집체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1975년 ‘혁명문학예술’은 그 후로 4차례의 편집체계 변화에도 계속해서 ‘혁명문학예술’이 중요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혁명문학예술’의 편집체계로 구분된 1975년 전 시기를 “사회주의 문학예술시기” 로 1975년 이후 시기를 “주체적 혁명문학예술시기”로 구분하였다. 전 시기인 “사회주의 문학예술시기”를 이끈 주된 장르는 민족음악과 합창 장르였으며, 세부적으로 고상한 사실주의와 인민음악시기, 전쟁문화와 사회주의 문학예술 기초건설시기, 사회주의문학예술발아시기, 혁명적문학예술 파종기의 4개 세부시기로 구분되었으며, 후 시기인 “주체적혁명문학예시기”를 이끈 주된 장르는 기악장르와 성악(중,합창) 장르였으며, 세부적으로 혁명적 종자를 바로잡은 혁명문학예술정착기, 우리식주체문학예술의 완성기, 주체문학예술로 문화강국 건설기, 주체문학예술의 세계화의 4개 세부시기로 구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musical historical period of North Korean music since 1949 and what genre of music was the main genre and how it played a role. The contents of the music section described in the 『Joseon Central Yearbook』 from the first publication headquarters of the 『Joseon Central Yearbook』, which is a spatial literature of North Korea, to the last publication in South Korea in 2018, were selected as the scope of the study, and classified according to its content composition, editorial system change, and key terminology use. Through this method, the period of music history of North Korean music could be divided into two periods, centering on North Korean music.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period are the "revolutionary literary art" period, which appeared in the editing system of the music sector in the 1975 edition of the 『Joseon Central Yearbook』. Prior to this, in 1973, this paper introduced the "Research on Subjective Literature and Art," and after the "Research on Subjective Literature and Art" was introduced and described, most of the subjects were used in the literary and artistic sectors such as subjective art, sports, and subjective art. As a result, before and after the "Research on Subjective Literature" introduced in 1973 and the "Revolutionary Literature Art" introduced in 1975, North Korean music changed and the subject matter changed, but the "Research on Subjective Literature" in 1973 did not affect the editing system, and the "Revolutionary Literature Art" in 1975 continued to appear importantly despite four subsequent changes in the editing system, so this study classified the period before 1975 as the "Society Literature Art Period" and the period after 1975 as the "Subjective Revolutionary Literature Art Period." The main genres that led to the "Socialist Literature and Art Period" were national music and chorus. The period was divided into four sub-periods: the period of noble realism and people's music, the period of the foundation of war culture and socialist literary art, the period of the development of socialist literary art, and the period of the dissemination of revolutionary literary art. The main genres that led to the "subjective revolutionary literary art period" were instrumental and vocal (middle and chorus) genres. The period of establishment of revolutionary literary art, the period of the completion of Korean-style Juche literary art, the period of the construction of a cultural powerhouse as Juche literary art, and the period of the globalization of Juche literary art.

      • 南·北韓의 새납 比較 硏究

        빈중영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55

        It has been passed 50 years that Korea divided. And now, there exist big differences between politics, ideas and many other thing. So, it seems that there is no same thing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But there must be the same thing among the differences. Then, What is the same and the difference? The first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know above the question. For the first, There is Shoe-nap, among the wind instruments. it is i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It is the same thing, and North Shoe-nap differ from South Shoe-nap. That is the difference. The second purpose of this is that How's the Shop-nap influenced on the folk music of North and South Korea. For achieving these purposes, the indicative mood is used focusing on the analysing and comparing the documents. But, for the difficulties to get the book published in North, the series of Folk Instruments of chosen is quoted usually in this thesis. This thesis is studies on the origin, structure, musical range, tone, and playing method of the North and South Shoe-nap. In North, Shoe-nap is called TaePyoungSo. TaePyoungSo is also called Shoe-nap, Hojeck, Nalary or etcetera and it is used at the Daechita (a royal march), JongMyoJaeReyAk (the music of a King's religious service) and NongAk(the farming music). TaePyoungSo is gotten in Korea from the Myong, China in 3, the year of the first Emperor on the record of TaeJoSilLok(an authentic record in the first Emperor). And before, Jeong, Mong-joo wrote a poem about Shoe-nap. So, it is supposed that Shoe-nap is gotten before the years of the first Emperor. Contrast, in North Korea Shoe-nap has been spread since the end of the 14th century and called TaePyoungSo or HoJeok. In South Korea, the shape of Shoe-nap is keeping the original shape, however, in North it is reformed newly like a clarinet, the western instrument. Also, if the shapes of Shoe-nap are the same in North and South, the tone qualities are different and the terms, too. At the whole structure, Shoe-nap in North is bigger and stronger. As the result, generally, Shoe-nap of the South can play the various tones from the low to the high, and in North, Jang-Shoe-nap can play the diverse tones, but differ from the musical range according to the players. Shoe-nap of South has the high tone among the wind instruments, So is higher one eighth. At last, in South, there is a reformed TaePyoungSo which is reformed the Length of the tube and the places of an orifice. But there is few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reformed Shoe-nap. Many kinds of reformed TaePyoungSo are not spread today. Especially, three kinds of TaePyoungSo(low tone ? mid tone ? high tone) have the key and are played the semi-tone. So the time to come, TaePyoungSo will be played in the musical performances. Contrast. TaePyoungSo of the North is more delicate than that of the South, and can played diverse tone color. So the player can be proud of his talent. In the South, the original TaePyoungSo is popular and used to play the traditional music and the creative music. On the other side, in the North, through the reforming the instruments, Long-Shoe-nap is adapted the average rate and used to play the accompaniment and the creative music. From now on, this thesis which is studied on the comparison with the merits and demerits of Shoe-nap between the North and South is put to practical use and would be the ground of the interchange in the North and South Korean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