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헌터증후군 효소치료제 Iduronate 2-sulphatase의 고생산성을 위한 재조합 CHO 세포 무혈청 현탁 저온 배양공정 최적화

        朴喜正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헌터증후군 (Hunter syndrome)은 선천성 대사이상 질환인 뮤코다당증 (mucopolysaccharidosis; MPS)의 일종이다. 헌터증후군의 발병 원인은 세포내 lysosomal enzyme인 iduronate 2-sulphatase (IDS)의 비활성화로 인해 glycosaminoglycans (GAGS)의 일종인 heparan sulfate (HS)와 dermatan sulfate (DS)가 체내 각 기관의 세포에 축적 되어 발병되며 유전적으로 X-염색체와 연관 되는 단일 유전자 질환이다. 즉, IDS 유전자의 부분 돌연변이 또는 부분 결실 등으로 인한 IDS의 기능 저하는 mucopolysaccharidosis type II (MPS Ⅱ, Hunter syndrome)를 초래 한다. 효소기질의 침착으로 저신장, 운동성 저하 및 생리기능 저하, 지능 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다가 심할 경우 20대 이전에 조기 사망 한다. 본 연구에서는 헌터증후군 치료 방법 중의 하나인 효소 대체 치료를 위해 재조합된 CHO 세포 배양을 통하여 IDS의 생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재조합 단백질의 대량 생산을 위해서는 고생산성 세포의 확립과 배양공정의 최적화가 요구된다. 최근에 산업적 규모로의 대량 생산을 위해 현탁 배양공정을 많이 사용하고 있고 동물세포의 배양에 의한 생물공학 제품의 생산에 있어서 혈청의 여러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무혈청 배지의 사용이 긴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재조합 CHO 세포를 상용되고 있는 무혈청 배지에서 현탁 배양하였고 현탁 배양시 세포의 shear stress를 줄이기 위해 dextran sulfate를 배지에 첨가하여 세포의 생존률과 생상성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배양배지의 고삼투압에 의한 영향과 저온 배양의 영향으로 재조합 CHO 세포의 성장과 생존률, IDS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최적의 배양을 위한 삼투압과 온도 조건을 확인하였다. 기본 배양배지의 삼투압인 350 mOsm/kg 이상의 고삼투압에서는 세포의 성장과 IDS의 생산성에 악영향을 줌을 확인하였고, 배양온도는 37℃에서 3일 배양한 후 32℃로 저온 배양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단백질의 발현을 높여주는 sodium butyrate, DMSO, pentanoic acid 첨가제들에 의해서 IDS 생산성이 향상되었다. IDS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또 다른 접근 방법으로, lysosomotropic agent인 chloroquine을 첨가하여 IDS의 endocytosis를 억제함으로써 IDS 생산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생물의약 단백질의 대량 생산을 위한 선행조건으로는 erlenmeyer flask에서 glucose와 glutamine의 유가식 배양을 수행하였다. Mucopolysaccharidosis II, also known as Hunter syndrome, is a rare, X-linked disorder caused by a deficiency in the activity of the lysosomal enzyme iduronate 2-sulfatase (IDS). IDS catalyses a step in the catabolism of glycosaminoglycans (GAGs) dermatan sulfate and heparan sulfate, and when it is deficient or absent GAGs accumulate in tissues and organs. Until recently, there has been no effective therapy for MPS II, and care has been palliative. However enzyme replacement therapy (ERT) with recombinant IDS, which is produced in a human cell line and targets the underlying cause of the disease, has now been approved. so ERT with IDS has the potential to benefit many patients with Hunter syndrome. Thus industrial production of IDS is required for the treatment of Hunter syndrome since patients should be continuously supplied by IDS. Accordingly,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 is required to produce IDS with high productivity by recombinant CHO cells. In this study, the optimization of culture strategy was searched in serum free medium, in terms of osmotic pressure, and culture temperature. Also, methods for increasing IDS production was investigated by addition of small molecule enhancers (SMEs) such as sodium butyrate, pentanoic acid, and DMSO. In addition to that, the endocytosis inhibition agents such as mannose 6-phosphate and chloroquine were also tried. Addition of 50 μg/mL dextran sulfate to culture medium was effective for high cell density and viability in the suspension culture. Hypoosmotic pressure of culture medium showed decreased cell growth and IDS production. The osmotic pressure of basal medium used optimum for cell growth and IDS production. Higher IDS productivity was observed in the culture with temperature shift from 37℃ to 32℃ after 3days than in the cultures at constant temperature of 37℃ or 32℃. The addition of sodium butyrate, pentanoic acid, DMSO were effective for increasing IDS productivity. The optimum concentration and addition time of SMEs was 5mM of sodium butyrate at 6days, 1 mM of pentanoic acid at 3days, 0.5 % of DMSO at 1days respectively. Also, when 100 μM chloroquine was added to culture medium for endocytosis inhibition, the relative productivity of IDS was increased. 2 mM of glutamine and 9 mM of glucose were maintained in the fed batch culture. The cell density and specific productivity were higher than batch culture when glutamine and glucose were fed to media after 4 days. Therefore, this work suggested the optimization of culture medium condition, culture temperature, adding agents was effective for improving IDS productivity. Also, fed-batch culture was satisfactory for the enhancement of IDS production.

      •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성격요인이 직무몰입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박희정 경희사이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성격요인이 직무몰입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박희정 관광레저항공MBA 경희사이버대학교 호텔관광대학원 본 연구는 성격구조 이론인 5요인 모델을 적용하여 객실승무원들이 서비스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개인적인 성격요인이 직무몰입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객실승무원의 성격유형을 분석하여 직무몰입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고객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적 결과를 항공사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객실승무원의 채용 및 배치 그리고 교육 훈련에 활용하여 직무에 대한 몰입도를 높임과 동시에 고객지향성의 향상을 통해 고객만족이라는 기업의 목표달성에 일조함으로써 항공사의 경쟁력 향상 및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객실승무원의 성격5요인을 분석하여 성격요인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둘째, 객실승무원의 성격 5요인을 분석하여 성격요인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셋째, 객실승무원의 업무수행에 있어 직무몰입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고객만족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 마련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항공사에 근무하는 객실승무원 중 최다 운항 노선과 기종을 경험하며, 퍼스트, 비즈니스, 이코노미 클래스 별 다양한 객실서비스를 수행하고 다 국적의 승객을 대면하는 K항공사의 현직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하였고, 표본의 추출은 편의표본 추출법을 사용하였다. 객실승무원의 성격요인, 직무몰입, 고객지향성에 대한 조사의 목적으로 자기기입식 방법의 설문을 진행하였고, 2017년 10월24일부터 11월2일까지 10일간 온/오프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된 280부의 설문응답을 가설 검증을 위한 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검증의 단계로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고, 가설 검증을 위한 기초분석으로 측정변수에 대한 기술적 통계 및 가설검증을 위한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가설의 검증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성격요인에 대한 하위요인으로는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개방성, 안정성의 5개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직무몰입은 단일요인, 고객지향성은 자발적 고객지향성과 업무적 고객지향성 두 개의 하위요인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를 기초로 본 연구에서는 9개의 가설을 제시하였는데 그 중 5개의 가설이 채택되었고, 2개의 가설이 부분 채택되었으며, 2개의 가설이 기각되었다. 실증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성격5요인 중 성실성, 외향성, 안정성의 3개 요인이 객실승무원의 직무몰입에 유의한 정(+)의 관계로 분석되었고, 성격5요인 중 성실성, 친화성, 외향성 순위의 3개 요인이 객실승무원의 자발적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며, 4개의 요인 즉, 친화성, 안정성, 외향성, 성실성 순으로 객실승무원의 업무적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객실승무원의 직무몰입은 자발적 고객지향성과 업무적 고객지향성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관계로 분석되었으며, 자발적 고객지향성이 업무적 고객지향성에 비하여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가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 방안과 관련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을 뿐만 아니라 객실승무원의 직무몰입과 고객지향성의 향상을 통해 궁극적으로 기업이 목표하는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더욱 발전적인 연구를 위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K항공사뿐만 아니라 다양한 항공사에 근무하는 객실승무원으로 연구대상을 확장한다면 보다 대표성을 지닌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편의표본추출에 의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의 한계점을 고려하여 심층인터뷰 등 자료수집의 방법을 보강한다면 구체적이고 정확한 결과를 얻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행 요인을 직무몰입 뿐만 아니라 조직 몰입, 직무만족도 등으로 요인을 확대한다면 다각적인 관점의 접근을 통해 고객지향성의 향상을 위한 의미있는 자료를 얻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초등학교 고학년생 영양지식의 식태도, 식행동, 자기효능감에 대한 영향 연구

        박희정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인천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 231명을 대상으로 영양지식, 식태도, 식행동, 식이 자기효능감을 설문 조사하여 상호 관련성을 알아보고,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한 영양교육에 도움을 주고자 실시하였으며,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는 어머니의 직장은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더 많았고, 자신을 포함한 동거인 수는 ‘4명’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평균비만도(%)는 남녀 모두 정상범위에 속하였다. 본인의 영양지식 정도에 대한 인식정도는 ‘약간 알고 있다’고 인식한 학생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영양정보의 출처를 조사한 결과, ‘TV, 라디오, 교과서외도서’, ‘인터넷’, ‘학교 수업’의 순으로 나타났다. 영양지식을 살펴보면 인지도의 평균 82.6%, 정확도의 평균은 84.6%로 나타났고, 본인의 영양지식정도 인지와 영양지식정보 출처는 인지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01, p<0.05). 영양지식점수의 전체 평균은 15점 만점에 10.58점이었고, 영양지식의 ‘기름기가 없는 음식과 살’, ‘비만과 성인병’, ‘비타민의 섭취’에 관한 문항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차이가 나타났다(p<0.001). 식태도의 전체 평균 점수는 총 55점 만점 일 때 40.98점이었고, ‘양치질’(p<0.001)에 관한 문항이 ‘식사후 뒷정리.’, ‘반찬을 골고루.’, ‘잘못된 식습관(편식, 과식 등).’, ‘식사할 때 다른 행동’(p<0.01)의 문항들보다 남녀 간 높은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적 식행동의 전체 평균 점수는 총 46점 만점에 32.68점으로 나타났으며, ‘저녁식사의 규칙성’에 관한 문항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아침결식의 이유는 ‘시간이 부족해서’가 54.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하루 중 결식 시기는 ‘없음’이 56.7%로 가장 많았다. 하루 중 과식시기는 ‘없음’이 52.8%로 가장 많았다. 대용식을 이용하는 조사대상자 중 주로 이용하는 대용식의 종류는 ‘우유 및 유제품’이 29.8%로 가장 많았고, 남녀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대용식 사용 이유는 ‘간편해서’가 44.0%로 가장 많았다. 식이 자기효능감의 전체 평균은 90점 만점에 71.11점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71.96점)이 남학생(70.31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본인의 영양지식정도 인지는 식이 자기효능감 점수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영양지식 수준은 식태도 점수, 식행동 점수, 식이 자기효능감 점수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1, p<0.01, p<0.001). 비만도, 영양지식 점수, 식태도 점수, 식행동 점수, 식이자기효능감 점수에 대한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식태도와 영양지식, 식행동과 영양지식, 식행동과 식태도, 식이자기효능감과 영양지식, 식이자기효능감과 식태도, 식이자기효능감과 식행동 사이에서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p<0.001, p<0.001, p<0.001, p<0.001, p<0.001, p<0.001). 그러므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영양교육은 영양지식을 증가시키는 것은 물론 식태도, 식행동, 식이 자기효능감까지 높일 수 있으므로, 초등학교에서의 영양교육은 아동기의 올바른 식습관형성은 물론 미래의 식습관에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영양교육시 영양지식 함양만을 위한 교육이 아닌 식태도, 식생동, 식이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체계적이고 다양한 영양교육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 거점 제공자에 대한 호감도가 거점효과에 미치는 영향

        박희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거점을 주는 사람의 호감도에 따른 거점효과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거점효과(anchoring effect)란 불확실한 상황에서 판단을 내릴 때에 판단 직전에 주어진 숫자 정보에 영향을 받아 그 수치에 고정되어 가까운 값을 결정하게 되는 현상이다. 거점효과가 어떠한 상황에서도 매우 강력하게 나타난다는 기존 연구들의 결과에서 더 나아가, 거점효과가 발생하는 과정에서 거점을 제시하는 사람과 최종 결정을 하게 되는 사람의 대인적 관계 차원에서 거점 제공자에 대해 느끼는 호감(liking)의 차이에 따라 거점효과에도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거점 제공자와 거점 수신자(최종 판단을 하는 사람)의 대면 상황에서 거점 제공자가 호의적인 태도와 행동, 말투를 보이며 대화를 하는지 비호의적인 태도로 대화를 하는지에 따라 그가 전달한 거점 정보에 영향을 받는 정도에도 차이를 줄 수 있는지 실험하였다. 설득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는 메시지 전달자에 대해 호감이 있을 때 설득 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난다고 하였는데 이 때에 메시지 전달자의 호감도가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주변적 단서로 사용되어 휴리스틱에 의한 사고를 더 용이하게 만든다고 하였다. 긍정적인 기분은 부정적인 기분을 느낄 때보다 휴리스틱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되어 더욱 빠른 결정을 내린다고 하였으며, 부정적 기분은 정교화 된 사고를 많이 하게 된다는 선행연구가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호감이 없는 사람이 준 거점 정보보다 호감이 있는 사람이 준 거점 정보를 더욱 따라가게 되어 해당 거점에 가까운 값을 결정하게 되고, 부정적 기분을 느낄 때보다 결정에 걸리는 시간이 빠를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먼저 거점 제공자의 호감도에 따른 거점효과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려대학교 학생 81명을 대상으로 호감 조건, 비호감 조건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호감도뿐만 아니라 기분 또한 사고처리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두 요인의 혼합을 통제하기 위하여 호감도 조건 이외에 부정적 감정 조건을 추가하였다. 호감도 관련 조건에서는 거점 제공자(실험 협조자)의 행동을 다르게 조작하였다. 부정적 감정 조건에서는 과거에 경험한 부정적 사건을 회상하게 해 부정적 감정을 유발하도록 하였다. 이어서 박희정, 김현정, 최승혁, 허태균(2011)의 거점효과 실험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하게 거점 질문을 주고 실험 협조자가 직접 거점 값을 제공하였으며, 피험자들은 거점 제공자가 준 거점 값을 보고 최종 값을 판단하였다. 그 결과, 피험자들의 최종값은 호감도가 높은 거점 제공자가 준 거점 값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비호감 조건과 부정적 감정 조건보다 유의미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호감 조건과 부정적 감정 조건 간의 거점효과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호감도 관련 조건과 부정적 감정 조건 간 사고처리 과정의 차이를 증명하기 위해 거점 질문에 응답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부정적 감정 조건에서보다 호감도 관련 조건에서 더 빠른 시간 내에 응답하였지만, 호감 조건 또한 비호감 조건보다 유의미하게 빠른 응답시간을 보여 세 조건 간에 모두 유의미한 반응시간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응답시간 결과는 거점효과의 차이가 비호감의 감정 때문인지 부정적 기분 때문인지를 구분하기에는 부족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거점효과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거점이라는 정보의 특성이나 거점이 제시되는 방법 등을 다루어 인지적 차원에서 주로 연구되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그 메커니즘 또한 이러한 차원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거점 제공자와 거점 수신자라는 대인관계적 관점에서 거점효과를 바라본 연구이며, 특히 상대에 대한 호감의 정도라는 감정적 변인에 의한 효과 차이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메커니즘과 더불어 통합적으로 거점효과를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메커니즘의 가능성을 제시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교육지원과의 상관관계

        박희정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ocial phenomena such as private education expenses is a factor to give suffering to most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correlation between bringing attitude of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208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for parents bringing attitudes was developed based on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Schaefer, 1959) by researcher. And the questionnaire for private education expenses was developed based on other questionnaire on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by resear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in the bringing attitudes of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grief attitudes was the highest, then control, onlooking, denial attitudes; (b) the attitudes of the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were the strong needs and will; and (c) in the correlation between bringing attitude of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grief, onlooking, and denial attitudes were related with low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control attitudes was related with high private education expense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bringing attitude of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correlated with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 중년여성의 비형식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박희정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비형식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중년여성의 개인특성, 가족특성, 학습동기 및 학습기대가 평생교육 프로그램 중 직업능력향상교육프로그램, 인문교양교육프로그램, 문화예술스포츠교육프로그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2020년도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실시한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실태’ 조사 자료 중 만 40∼64세인 중년여성 1,020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χ²-검정, t-검정, 상관분석, 이분형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개인특성은 연령대, 학력, 건강상태, 취업여부, 사회활동참여여부를 분석하였고, 가족특성은 월가구소득, 거주지역,자녀유무 및 막내자녀 상태, 부양가족유무를 분석하였다. 둘째, 학습지향동기의 평균은 5점 만점 기준으로 3.98점이었고, 학습기대 하위요인은 정신적 건강이 4.08점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육체적 건강 3.97점, 사회참여만족 3.90점, 경제적 안정감 3.33점 순이었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개인특성과 가족특성에 따른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직업능력향상교육프로그램은 연령대, 학력, 취업여부, 월 가구소득, 자녀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문교양교육프로그램은 취업여부, 사회활동참여, 거주지역, 자녀상태, 부양가족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문화예술스포츠교육프로그램은 연령대, 학력, 취업여부, 자녀상태, 부양가족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직업능력향상교육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특성 중 연령대는 40대가 60대 보다 참여 확률이 2.6배 높았고, 취업여부는 취업자가 미취업자보다 참여 확률이 10.5배 높았다. 또한 학습지향동기가 높을수록 참여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기대 하위요인 중에는 경제적 안정감에 대한 기대가 클수록 참여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적 건강과 육체적 건강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문교양교육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특성 중 취업여부는 미취업자가 취업자보다 1.5배, 사회활동참여는 미참여자가 참여자보다 1.6배 인문교양 프로그램에 참여할 확률이 높았다. 가족특성 중에는 거주지역과 부양가족유무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기대 하위요인 중 정신적 건강은 정적(+)으로, 육체적 건강은 부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즉, 정신적 건강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참여 확률이 높아지는데 반해, 육체적 건강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참여 확률은 낮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섯째, 문화예술스포츠교육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특성 중 학력은 중학교 졸업이하보다 고등학교 졸업자의 참여 확률이 1.8배 높았고, 취업여부는 미취업자가 취업자보다 3.5배 높았다. 가족특성 중에서는 부양가족이 없는 중년여성이 있는 중년여성에 비해 참여 확률이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기대 하위요인 중에는 육체적 건강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참여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년여성들의 프로그램 참여 활성화를 위해 중년여성들의 평생학습 수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수요에 기초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중년여성들은 분명한 학습기대를 갖고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때문에 학습기대에 대한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내용이 갖추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중년여성들의 다중역할을 고려하여 강좌 시간대와 접근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쾌적한 학습환경, 학습지원시스템, 다양한 홍보 등 수업 외적인 부분의 보완을 통해 중년여성의 학습동기와 학습기대를 유발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middle-aged women's participation in a non-formal lifelong education program. Specifically, it analyzed the effects of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family characteristic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expectation on their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covering the enhancement of vocational abilities, humanities & liberal arts, and culture, arts and sports. Analyzed in the study was the data of 1,020 middle-aged women aged 40∼64 from the "2020 Korean Adult Lifelong Learning Survey"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SPSS 22.0 program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χ²-test,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b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analyzed such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s age, educational background, health status, employment,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s well as their family characteristics including monthly household income, place of residence, children, state of the youngest child, and dependents. Second, they scored mean 3.98 points out of 5 in learning-oriented motivation. Of the subfactors of learning expectation, mental health recorded the highest points at 4.08, being followed by physical health at 3.97, satisfaction with social participation at 3.90, and economic stability at 3.33 in the order. Third, the study analyzed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and family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grams for the enhancement of vocational abilities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background, employment,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state of children.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umanities & liberal arts programs according to employment,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place of residence, state of children, and dependents and in culture, arts and sports programs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background, employment, state of children, and dependents. Fourth, the study analyzed the influential factors of programs for the enhancement of vocational abilities and found that those who were in their forties recorded a participation probability 2.6 time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were in their sixties. Those who had a job recorded a participation probability 10.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had no jobs. Higher learning-oriented motivation led to higher participation probabilities. Of the subfactors of learning expectation, higher expectation for economic stability resulted in higher participation probabilities. Mental and physical health had negative(-) effects on them. Fifth, the study also analyzed the influential factors of humanities & liberal arts programs and found that those who had no jobs recorded a participation probability 1.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had a job. Those who participated in no social activities were 1.6 times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humanities & liberal arts programs than those who participated in one. Of family characteristics, place of residence and dependents had impacts on the probabilities. Of the subfactors of learning expectati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had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them, respectively. That is, higher expectation for mental health led to higher probabilities for participation. Higher expectation for physical health led to lower probabilities for participation. Finally, the analysis results of the influential factors of culture, arts and sports programs show that high school graduates recorded a participation probability 1.8 times higher than that of middle school graduates or lower. Those who had no jobs recorded a participation probability 3.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had a job. The middle-aged women with no dependents were 1.5 times more likely to participate than those with a dependent. Of the subfactors of learning expectation, higher expectation for physical health led to higher participation probabilities. These findings raise a need to analyze systematically the lifelong learning demand of middle-aged women and develop various programs based on their demand in order to vitalize their participation in programs. Since middle-aged women participate in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with clear learning expectation, it is important to include content that can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learning expectation in a program. There is also a need to vitalize onlin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at can solve the issues of lecture hours and accessibility based on the multiple roles of middle-aged women. Moreover, it is required to promote their learning motivation and expectation by supplementing such programs in aspects other than lessons including a pleasant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assistance system, and diverse promotions.

      • 5성급 호텔구성원이 지각한 윤리경영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박희정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5성급 호텔 구성원이 지각한 윤리경영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이러한 영향 관계에 있어서 조직신뢰의 매개효과가 작용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현 시대의 대다수 기업들은 외부 환경에 의해 변화하고 있어 조직의 인적자원 관리시 고객과의 서비스 접점에 있는 구성원들의 관리가 매우 중요할것이며 구성원들이 조직에 대한 신뢰를 갖도록 윤리경영 하는것이 조직에 대한 믿음으로 이어지고 조직신뢰 또한 조직몰입에 많은 영향관계가 있을것으로 보았다. 윤리경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경영자뿐 아니라 호텔 구성원의 시각에서 윤리경영을 실천할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며 구성원이 지각하는 시점에서 윤리경영을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텔기업에서의 구성원이 지각하는 윤리경영과 조직신뢰를 바탕으로 한 호텔조직에서의 조직몰입과의 영향 관계를 검증한 후 호텔 구성원이 지각하는 윤리경영의 필요성에 대하여 이야기하고자 한다.

      • 정서적 피학대 경험과 젠더 감수성의 관계에서 성인 애착의 매개효과

        박희정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정서적 학대와 젠더 감수성, 성인 애착의 관계를 확인하고 정서적 학대 경험과 젠더 감수성의 관계에서 성인 애착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아동·청소년기의 정서적 학대 경험이 젠더 감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설을 세웠다. 그리고 아동·청소년기의 정서적 학대 경험과 젠더 감수성의 관계에 있어 성인 애착 불안과 성인 애착 회피가 각각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성인 20~39세, 남성 150명, 여성 150명 총 300명을 대상을 설문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정서적 학대 척도, 젠더 감수성 척도, 성인 애착 유형 척도를 측정 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가 정상분포를 따르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측정 도구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a)를 확인하고자 신뢰도 분석을 하였으며, 변인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Pearson’s corrd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조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모형적합도와 변인 간 인과적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팬텀 변인(phantom variable)을 사용하여 각 매개변수의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남녀 성별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 및 다중집단 경로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아동·청소년기의 정서적 학대 경험과 젠더 감수성의 관계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아동·청소년기의 정서적 학대 경험은 성인 애착 불안과 성인 애착 회피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성인 애착 불안과 성인 애착 회피는 각각 부적, 정적의 상관이 있었다. 넷째, 아동·청소년기의 정서적 학대 경험과 젠더 감수성의 관계에서 성인 애착 불안과 성인 애착 회피는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동·청소년기 정서적 학대 경험과 성인 애착과 젠더 감수성의 관계에서 남녀의 성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아동·청소년기의 정서적 학대 경험이 젠더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성인 애착 불안은 젠더 감수성을 감소시키고 성인 애착 회피는 젠더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매개 변인이라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이로써 젠더 문제에 대한 상담을 진행할 때 상담자는 아동·청소년기의 학대 경험과 성인 애착 유형의 탐색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아동·청소년기 정서적 학대 경험과 젠더 감수성 및 성인 애착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관련한 더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목포지역 중학생의 급식 만족도 및 기호도 조사

        박희정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is research has shown the recent state,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f the meal service at meddle school for finding out better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meal service. 350 of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this research and this research is about the satisfaction of the meal service and the menu and preference of the vegetable and seafood. This is the result of the reserch. 1. Male students got 72 points in eating habits which is normal and female students got 70 points as well. 2. The research has shown that male students eat animal fat less than fe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prefer outing eating more than male students. Male students who work out everyday are more than female students. The points are male students a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It seems male students have more proper eating habits however, female students have right eating habits from the few questions. For examle, female students have meal at proper time with multi grain. They like side dishes made of aniaml protien. they don't like process food or sweet dishes, they don't like animal fat and not eating out often and they don't prefer drink. 3. The satisfation of the maeal service at school is similer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however female students are slightly higher than male students. 4. Few questions in the satisfaction of the meal service are less than average(2.62~2.97) for male students. Those questions are about the price, the timing and the order of the meal service. For female students, the questions less than average(2.57~2.99) are price, timing, order and the temperture at the facility of meal service. 5. 34.4%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 reason of the left over is the food is not delicious. 6. The satisfaction of the menu from the meal service at school is sweet and sour pork(4.61), marinated pork ribs(4.34/4.38), yogurt(4.39/4.47), sandwich (4.43/4.51), deep fried dishes(4.37/4.42), mixed rice(4.34/4.40), rice(4.28/4.31), spaghetti(4.34/4.45) to each male and female students from the analysis of the preference of main course, side dish and dissert. This is higher preference compare to meat or sweet food however it is lower preference compare to spinich soy bean stew(3.46/3.45), pan fried sweet potato stem(3.56/3.76), seasoning cucumber curry(3.33/3.37). Lack of preference of vegetable could be one of the concerns. In order to solve those problems, it is required to make efforts at the direction as follows. 7. As the result of the vegetable and cooking method, compare to another menu, the preference of the vegetable is lower. The reason is not tasty or they have tried it before but they didn't like the flavor. There some suggestions to solve this problem. First, it needs the improvement of the facility, meal service time and order for satisfaction of the meal service.Second, in order for students to have good eating habits and nutrients, we should start an education on nutrition instead of just providing well-balanced meals. Third, in an effort to reduce left-overs, we should conduct a survey for food preferences of students when making try hard to improve the food taste. As for some ingredients students do not like, we should develop various menus and recipes. For example, we should finely chop or grind such ingredients so that students do not notice what they are. Fourth, a former survey for menu satisfaction showe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 dishes with meat (tangsooyuk (deep-fried meat strips with sweet and sour sauce), poor rib stew, chicken stew) and sweet food (yogurt, fried sweet potato chunks with syrup). On the other hand, they dislike vegetable dishes (spinach miso soup, stir-fried sweet potato stem, cucumber chicory salad) and hard-to-chew dishes (stir-fried seaweed stem). We should develop new menus with enhanced recipes and flavors. At the same time, we should provide intensified education on nutrition and health which teaches students that ingredients that are hard to chew are highly nutritious. Fif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recipes that students prefer, and do research for ways to increase their consumption of non-preferable food items. Cooking popular items such as meat and non-popular items such as vegetables together in one dish is likely to help. In order to help students grow a taste for vegetables and seafood, we should first provide education on nutrition that teaches how great they are for our bodi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중학교를 대상으로 급식현황 및 메뉴 만족도 및 기호도에 대한 연구를 통해 개선방안을 모색함으로서 좀 더 질 높은 급식이 될 수 있기를 바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남․녀 중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급식 및 메뉴 만족도와 채소류와 수산물 선호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식습관 조사에서 남학생은 72점으로 정상범위였고, 여학생은 70점으로 정상범위였다. 2. 남학생은 자주 동물성 지방을 섭취하지 않는다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자주 외식을 하지 않는다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운동을 매일한다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총점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데 반해 정해진 시간에 식사한다. 곡류음식을 매끼 먹는다. 육류반찬을 매끼 먹는다. 가공식품을 자주 먹지 않는다. 단 음식을 많이 먹지 않는다. 동물성 기름을 자주 먹지 않는다, 외식을 자주 하지 않는다, 과음 및 잦은 음주는 피한다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높았다. 3. 학교급식 전반적인 만족도는 남녀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4. 급식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에서 식탁, 의자 편의성이 남녀 각각 3.38, 3.2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남학생에서 보통미만(2.62~2.97)으로 나타난 항목은 식단가, 배식시간, 배식순서 등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에서 보통미만(2.57~2.99)으로 나타난 항목은 식단가, 배식시간, 배식순서, 식당 공간 온도 등으로 나타났다. 5. 잔반을 남기는 이유로 음식의 맛이 없어서가 34.4%로 가장 많게 나타났다. 6. 학교급식의 메뉴별 만족도는 주, 부, 후식의 기호도 분석에서 남녀 각각탕수육(4.61), 돼지갈비찜(4.34/4.38), 요구르트 (4.39/4.47), 샌드위치(4.43/4.51),튀김류(4.37/4.42),비빔밥(4.34/4.40),쌀밥(4.28/4.31),스파게티(4.34/4.45)등 육류나 단 음식에 대해 높은 기호도를 보인 반면에 시금치된장국(3.46/3.45),고구마줄기볶음(3.56/3.76), 오이 치커리무침(3.33/3.37)등 채소에 대해 낮은 기호도를 보여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7. 채소와 조리법에 대한 조사결과 다른 메뉴에 비해 채소류 기호도가 다소 낮은 편이었고, 싫어하는 이유가 예전에 먹었을 때 맛이 없어서와 그냥 맛이 없어서가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방향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급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첫 번째는 학교급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위생시설의 개선, 급식 서비스에 있어서 배식시간, 배식순서 등이 개선이 필요하다고 사료되고, 두 번째로는 바람직한 식행동과 영양태도를 영위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교급식이 단순하게 영양적으로 균형 있는 식사를 제공하는 차원을 넘어 영양교육이 병행된 교육적인 차원에서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세 번째로는 잔반을 남기지 않기 위해 학교급식의 식단 작성 시 학생의 음식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하여 학교급식에서 선호하는 음식에 대한 반영과 음식의 맛 개선 노력이 체계적이고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아이들이 기피하는 음식에 대해서는 싫어하는 재료가 보이지 않게 다지거나 갈아서 조리하는 등 다양한 메뉴 ․조리법을 개발하여야 겠다.네 번째로는 메뉴 만족도 조사 결과 중학생들이 육류(탕수육, 돼지갈비찜, 닭찜)나 단 음식(요구르트, 고구마 맛탕)에 대한 기호도와 만족도가 높은 반면에 채소(시금치된장국,고구마줄기볶음,오이치커리무침)나 씹히기 어려운 종류의 메뉴(미역줄기볶음 등)에 대한 기호도와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들 메뉴의 조리법 개선이나 식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대체 메뉴개발이 시급하며, 중학생에 대한 영양건강교육의 강화를 통해 질기고 씹히기 어려운 메뉴 건강효능에 대한 인지도를 높여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다섯 번째로는 학교급식에서 학생들이 선호하는 조리방법을 개발하고 연구하여 기호도와 섭취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기호도가 낮은 채소의 경우 기호도가 높은 육류와 함께 조리하면 기호도가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또 채소류와 수산물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영양교육을 통해 식품의 우수성을 알리고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로우 테크놀로지 AAC와 하이 테크놀로지 AAC가 중도 중복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에 미치는 영향

        박희정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low technology AAC and high technology AAC using script activities on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children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As experimental research, the rotating intervention design method in single subject research methods was applied. The research subjects were two children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in the elementary course of study at a special school, and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picture communication board, which is low technology AAC, and ‘Kids Voice,’ which is high technology AAC, on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children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the pretesting stage and experimental stages (baseline, interventio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stages) and the testing and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sessions composed of the sessions, each of which lasted for 25 minutes. In the snack making script activities, the intervention using the picture communication board, and the intervention using ‘Kids Voice’ were conducted alternately each time. The script activity had a theme and was presented in the form of a script in accordance with causal and timely composition. The script activity provided 16 times communication circumstances for the children so that they could express 4 times per each of the four communication functions (requesting things, requesting actions, refusal, and answering), and in each circumstance, 3 times opportunities were given and when they were successful at least once, it was regarded as forward reaction and counted as forward reac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picture communication board and ‘Kids Voice,’ which used script activities in the acquisition of communication skill. Both the picture communication board and ‘Kids Voice,’ were effective in enhancing functional communication, and it was found that ‘Kids Voice’ was found to have more positive effects on the language acquisition of the children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Second, the communication skills acquired through the picture communication board and ‘Kids Voice,’ which used script activities, were also found to hav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ystems in other activities In the new activity (juice making script) which had the similar structure as in the intervention stage, both the picture communication board and ‘Kids Voice’ were effective in generalization of the script activities, and it was found that ‘Kids Voice’ was more effective in generalization of the children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than the picture communication board. Third, in the communication skill acquired through the picture communication board and ‘Kids Voice,’ which used script activitie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ystems even after the intervention was finished. The subject children obtained more enhanced performance scores in the maintenance stage than in the baseline stage and the intervention stage, and thus both the picture communication board and ‘Kids Voice’ were effective in maintaining the script activities and ‘Kids Voice’ was more effective in maintaining the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than in the picture communication board. Based on this, it can be seen that high technology AAC had more positive effects on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children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than low technology AA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