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NS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 영유아자녀를 둔 부모를 중심으로

        노인순 광주대학교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735

        본 연구는 SNS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으로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가 SNS를 활용한 환경에서 유아의 특성을 이해하고, 자녀교육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을 습득하고 소통하여 SNS활용능력을 높이고, 양육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부모가 개별 자녀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 시킬 수 있도록 SNS를 활용한 부모교육을 실시하는데 프로그램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 문헌분석과 유아교육전문가와 SNS활용 전문가의 의견, 영유아 부모들의 요구를 기초로 프로그램의 목표, 내용, 교육방법 등을 선정·조직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 연구는 2020년 6월 3일부터 7월 30일까지, SNS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의사를 밝힌 부모 13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이혜영(2008)이 개발한 대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 검사도구와 최형성, 정옥분(2001)이 개발한 양육효능감 검사도구를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후 수집한 데이터의 분석을 위해 SPSS 24.0을 활용하였다. 모수통계분석에 앞서 연구대상의 수가 정규분포를 가정하는지에 대한 검증을 위해 왜도와 첨도를 확인하고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동일집단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SNS활용능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램을 시행하기 전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해 SNS활용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즉,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SNS활용능력 증진프로그램이 부모의 SNS활용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SNS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효능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프로그램을 통해 양육에 대한 정보와 기술, 태도 등을 점검하며 양육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양육하는 과정에서의 갈등을 해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SNS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들은 SNS를 활용하여 문제해결의 주체자가 되어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하면서 실천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을 통해 SNS를 활용능력과 양육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SNS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삶에 있어서 영향력이 가장 중요한 시기에 있는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의미 있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SNS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부모들에게는 올바른 양육정보를 습득하고 긍정적인 양육지식을 통해 자녀양육의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SNS in which parents can help their children reach their full potential by learning to understand their children’s characteristics in an environment. Such a program can help parents learn and practice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that will improve how they educate their children, in addition to improving their parenting efficacy and ability to use SNS. For this purpose, the program was organized by determining its goals, contents, and education methods based on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review, the opinions of infant education and SNS experts, and requests from parents. From June 3 to July 30, 2020,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3 pare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parent education programs using SNS. This study also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information literacy test tools developed by Lee Hye-young (2008) and parenting efficacy test tools developed by Choi Hyung-sung and Jeong Ok-bun (2001) to improve the program’s effectiveness. SPSS 24.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Before the 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the same group t-test was performed to verify whether the number of subjects assumed a normal distribution by checking the skewness and kurtosis, and then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In addition, a matching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SNS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using S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se programs have improved their utilization of SNS when comparing pre-test and post-test, thus improving parents’ SNS skills. Second and last, a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SNS was found to have improved parenting efficacy. The improvement was measured by how parents checked information, skills, and parenting attitudes in the program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parenting effectiveness.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learned practical knowledge by shar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using S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SNS is important for parents who are struggling with raising their children by minimizing the difficulties of parenting through positive parenting knowledge.

      • 대상관계 이론에 기초한 Good Enough Mother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강진아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the emotional insights of mother’s role in children. But this parent education programs are different from original program because they are more emotionally in insightful rather than being intellectually insightful. The Object Relation theory is when people were young, their relationship patterns up with their future relationship of mother and children. The relationship repeats itself like a scenario between every relationship in different generation. Donald Winnicott established the perspective of good enough mother. Therefore, I summoned up and showed my opinion of the Object Relation Theory. I helped Korean cultural people to understand this theory. And I developed the parent’s education program which allows Good Enough Mother to give motherly caring environment to children. The first result is that Winnicott said, Good Enough Mother provides an environment that gives children holding, handling, providing object, mirroring, surviving, playing, and living real self. These factors were taught to the mothers and saw their true attitude of how they were cared and parented, and finally, realized their shamed and then regretted their attitude toward their children. The mother’s recognized their self-awareness in the point of view of being motherly parents. In the second result, the unconscious feelings that the mothers had were realized after going through the program. With that, they also realized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 mothers and their children had. Because of this, the mothers became an object of having an internal healthy and saf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this program made a feed backed data that has an atmospheric important to the mothers that were involved. This research involved only housewives. But to make this research more general among women, we should establish a new research that involves working women.

      • 유아기 부모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이은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4367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부모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은 어떤 목적과 내용으로 구성하여야 할 것인가에 대해 문제의식을 갖고,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이 생활 속에서 유아기자녀의 발달단계에 적합한 효과적인 성교육을 할 수 있도록 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유아기 부모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의 방향과 지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통하여 4개의 주제(임신과 출생, 유아기 성의 발달과 성인식형성과정, 안전한 성을 위한 지도방법, 양성평등교육)로 구성된 총 4회기의 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유아기부모를 대상으로, 임신과 탄생을 중심으로 인간존중, 생명존중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성교육프로그램으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효과성 분석은 경기도에 위치한 3개 유치원의 유아부모 53명을 대상으로 실험군(26명)과 대조군(27명)으로 구분하여, 실험군에게만 주 1회 2시간 씩 총 4회기의 성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프로그램 실시 전 동일한 시기에 사전검사로 성지식, 성태도, 부모효능감을 검사도구로 측정하였고, 4주의 프로그램이 끝난 후 동일한 시기에 사전검사와 동일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성교육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18ver.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기 부모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이 부모의 성지식을 향상시키고, 부모의 성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으며, 유아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을 증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기 부모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성지식의 향상과 성태도의 긍정적인 변화 그리고 유아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밝혀내었다. 유아기 부모의 가정 성교육은 단순히 성에 국한되는 교육이 아니라 인간과 성을 연계하는 생명존중, 인간존중이라는 인성교육의 가장 기초가 되는 교육이므로 유아기 부모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은 유아자녀에게 성교육을 지도할 수 있는 기술적인 면뿐만 아니라 생명존중과 인간존중이라는 가치관을 함양하는 교육으로서의 지향성을 갖고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한국형아유르베다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연구

        김지은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2023 국내박사

        RANK : 234366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아유르베다 교육훈련체계를 기반으로 한 부모의 자기탐색, 자기치유, 자기행복을 증진시키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로 부모교육에 적용하여 ‘부모-자녀 의사소통’, ‘부모-자녀의 공감’,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 차원에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부모교육은 긍정적인 부모-자녀 관계 개선을 돕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에 시행되고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주로 훈육과 의사소통기법 등 단편적인 기법들에 기댄 대증적(對症的) 처방이며 교육적으로 지속 효과가 매우 짧다는 한계가 있다. 부모교육의 효과성과 지속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인지적 접근을 통한 행동 변화에서 한발 더 나아가 부모와 자녀의 정서적 측면까지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부모와 자녀의 심리유형 차이에 주목하여 근본적(根本的)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한국형아유르베다 교육훈련체계는 태동을 시작으로 생장, 정착, 성숙, 균형 과정을 통해 심신의 균형을 추구하는 인간의 교육체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교수체계개발(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모형을 활용하였다.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부모교육의 방향 분석 및 프로그램 목적, 설계, 교육 자료의 개발, 부모교육 실행, 부모교육 효과 평가의 5단계로 진행되었다. 1단계는 프로그램의 목적과 방향을 분석하는 단계로,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요구도 조사 설문을 개발 설문지 213부를 분석하였다. 2단계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설계하는 단계로, 1단계에서 도출한 프로그램의 내용 요소를 토대로 예비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고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3단계는 프로그램 교육 자료를 개발하는 단계로, 2단계에서 설계한 교육내용, 교수방법에 따라 교재, 교안, 강의 자료를 개발하여 1차 프로그램을 실행하였고 만족도 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4단계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로, 1차 교육 프로그램 실행 이후 문제점을 수정 보완하여 2차 프로그램을 실행하였으며 사전 및 사후 설문지를 통하여 효과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2차 프로그램 교육 종료 후 심층 인터뷰와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국형아유르베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3일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부모교육 프로그램 연구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3일 프로그램을 1일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여 실행하였으며 프로그램의 모듈을 줄여서 실행하였다. 1일 프로그램 실행의 부족함은 전문가들의 타당성 검증으로 보완하였으며 최종의 목표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완성하여 정착시키는 것이다. 5단계는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단계로, 2차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통해 프로그램 만족도 및 개선사항을 파악한 후에 최종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2차 프로그램 검증 후 수집된 자료는 SPSS v. 25.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방법은 첫째, 연구대상자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알아보았다. 둘째, 한국형아유르베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자녀 의사소통, 공감, 양육태도,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한국형아유르베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부모-자녀 의사소통, 공감, 양육태도, 양육효능감 효과검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한국형아유르베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전반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연구자가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 심층교육 이수를 통해서 방법론을 도출하였으며 심리유형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본다. 본 프로그램 진행은 교육 전에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 검사를 통하여 자기탐색, 자기치유. 자기행복의 시간을 갖게 된다. 이 검사를 통하여 자녀의 이해도가 높아졌으며 아울러 프로그램 안에서 심리적 해석을 통한 귀결점을 찾을 수 있다. 한국형아유르베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부모 자신에 대한 성찰을 통하여 자녀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개발된 한국형아유르베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의 자기이해와 자녀이해를 통해 통합적 균형성장을 이루고, 부모로서의 균형적인 삶을 이해하고 실천하여 행복한 가정 만들기에 도움이 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는 현장 부모교육 전문가에게는 효과성과 신뢰성이 높은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부모-자녀 관계의 심리적 환경적 건강성을 향상시키고 바른 가정교육과 인성교육을 제고시켜 국가경쟁력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  한국형아유르베다,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효과성 검 증, 한국형아유르베다심리유형검사(KAPTI)

      • 영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진혜숙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435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changes after developing and applying programs to support parents to promote media literacy for young children.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focuses on improving young children's media literac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is the composi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to promote media literacy for young children?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changes in children and parents' roles after applying a parent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media literacy for young children? In order to develop a program to promote media literacy for young children, a literature analysis and a demand analysis were conducted, and a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The developed program was finalized through focus group discussions with experts targeting 10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ged 1 to 5, and was conducted for 7 months from July 1, 2022 to January 31, 2023. The composition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to media literac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oal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media literacy for young children,' 'support media control and media-related interaction methods for young children,' and 'actually support various ways to expand play in connection with media', 'supporting various utilization methods and learning links for media literacy promotion.' Second,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media literacy promotion for young children consisted of 'recognition-understanding-understanding-knowing how to support literacy promotion' to achieve the purpose and goal of the program. Looking at the detailed educational content, the understanding stage consisted of the changed media environment, over-immersion in media for young children,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 development and parental roles, and media literacy. The recognition stage consisted of understanding the elements of media literacy for young children and the need to enhance media literacy. In the media literacy promotion stage, various actual settings were applied to the media literacy components of young children. Third,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12 sessions of 7 weeks, 1∼2 sessions of theory and 30 minutes of practice each, and was conducted by this researcher, and a group of 10 participants was formed. The principl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the program applied the principle of diversity, efficiency, and spontaneity.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consisted of recall (presentation)- introduction-development-finishing-evaluation-linked activities. The teaching strategy utilized lectures, discussions, workshops, Q&A, presentations, video materials, and actual materials. As for teaching media, audiovisual materials such as videos, picture materials, activity worksheets, and activity sheets were produced and used for lectures, workshops, and related activities. Fourth, the evaluation of this program consisted of evaluation of the program operation process, program satisfaction evaluation, and evaluation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operation process is conducted by evaluating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the young children's program goals and changes in the aspect of program operation as observed by the parents who recorded and submitted their feelings while working with their children in the form of a journal i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Adequacy was evaluated. The program satisfaction evaluation analyzed the overall evaluation of the program and individual interviews evaluated by the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fter the program was finished, and looked at the changes of the child and the parent's role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1st, I am more fun to create (create), 2nd, My relationships are better and broader (engage and explore), 3rd, I find and use them when I need them (access), and 4th, I am able to express myself in different ways. It has changed in the order of (comprehend), 5th, More questions that allowed me to think differently (critically inquire), and 6th, I am able to safely play special games (evaluate). Changes in the role of parents include changes in interaction, use of media functions, changes in content selection criteria, changes in the value concept of play, and changes in the idea of being a role model.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to promote media literacy in young children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media literacy and changes in the role of parents. In this study, a basic model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media literacy in young children was presented, and the program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developed program to help parents support their children and revealing the relevance of media literacy enhancement in young children. The usefulness of was confirmed. In addition, this study's linked activity program induces follow-up studies that reveal the positive effects of children's media literacy enhancement and parental role chang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related programs to support parents to promote media literacy for young children in a diversified media environment. 본 연구는 영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증진을 위해 부모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적용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부모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영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영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자녀의 변화와 부모의 변화는 어떠한가? 영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해 문헌분석과 요구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부모교육 프로그 램의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방법을 구성하고 구체적인 활동을 구안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전문가와 포커스 그룹 협의 를 거쳐 적절성을 검토하여 확정하였으며, 만 1∼5세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 10명을 대상으로 2022년 7월 1일부터 2023년 1월 31일까지 7개월간 진행하였다. 영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첫째, 프로그램의 목적은 영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증진에 초점을 맞추 었다. 목표는 ‘영유아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이해한다’, ‘영유아 미디어 조절과 미디어 관련 상호작용 방법을 지원한다’, ‘미디어와 연계하여 놀이를 확장하는 다양한 방법의 실제를 지원한다’, ‘미디어 리터 러시 증진을 위한 다양한 활용 방안과 학습 연계를 지원한다’로 정하였다. 둘째, 교육내용은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인식-이해 -리터러시 증진 지원을 위한 방법을 안다’로 구성하고 회기별 과정은 회 상-도입-전개-마무리-평가-연계 활동으로, 교수학습방법은 강의, 토론, 워크숍, 질의응답, 발표, 동영상자료, 활동워크지, 실물자료 등으로 하였고 평가는 운영과정, 만족도, 종료 후 개별 인터뷰로 평가방법을 구성하였다. 셋째,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1∼2회기 이론과 증진의 실제 각 30분씩, 총 12회기의 7주간으로, 본 연구자가 진행하였으며 감염병의 사회적 상황을 고려하여 ZOOM 활용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변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적용 후 자녀의 가장 두드러진 긍정적 변화는 ‘만들기가 더 재밌어졌어요(창작)’로 나타났다. 자녀에게는 영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요소 중 미디어를 활용하여 일상에서의 자연스러운 경험을 확장하고 새롭게 만들어 놀거나 가상공간을 활용하여 새로운 놀이에 도전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둘째, ‘관계가 더 좋아지고 넓어졌어요(참여와 탐색)’의 변 화로 자녀는 일상에서의 경험을 미디어와 연계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미디 어의 즉각적 반응의 활용은 흥미와 관심으로 연결되고 이는 적극적 탐색 으로 이어지는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필요할 때 찾고 사용하게 되었어 요(접근)’로 보고되었다. 자녀는 무분별한 접근보다 필요에 따라 미디어를 활용하여 정보를 잘 찾고 선택하고 활용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미디어 라는 매체는 언제든 우리의 궁금증을 빠르게 해결해 줄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넷째,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을 표현하게 되었어요 (이해)’의 변화였다. 자녀는 미디어를 활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미디어는 마음을 이어주는 연결고리 가 되어주기도 하고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매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섯째, ‘다른 생각을 할 수 있는 질문이 늘었어요(비판적 탐구)’는 미디어 의 숨은 의도에 관심과 의문을 품고 알아보고자 하는 탐구의 증진이 관찰 된 변화였다. 여섯째, ‘특별한 놀이를 안전하게 할 수 있게 되었어요(평 가)’로 나타났다. 자녀는 목적에 의해 미디어 세상으로 들어갈 수도 있고, 미디어 공간 밖으로 가지고 나오는 놀이는 온 가족이 함께 어울려 안전하 고 즐겁게 놀이할 수 있다는 것을 체득하는 변화로 나타났다. 부모는 자녀를 지원하면서 자연스럽게 나타난 부모의 변화를 보고하였 는데 부모의 가장 두드러진 긍정적 변화는 첫째, ‘상호작용의 변화’였다. 부모는 프로그램 회기를 거듭해 진행하면서 자녀의 말에 귀를 기울여 듣 게 되었고 자녀의 의도를 알게 되고 수용과 공감을 기반으로 이전과는 다 르게 상호작용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미디어의 기능 활용 변화’로 부모는 자녀를 지원하여 미디어 가상공간을 넘나들면서 미디어의 유용한 기능에 대한 정보를 발견하여 배울 수 있게 되었고 교육적 자극은 부모 스스로 더 배움의 필요성을 갖게 되었다. 셋째, ‘콘텐츠 선택기준의 변화’ 로 부모는 자녀를 지원하면서 특히, 토론 회기 참여를 통해 자녀의 발달 에 적합하고 유익한 콘텐츠를 선별하는 기준과 그 영향력에 대해 알 수 있게 되었다. 넷째, ‘놀이에 대한 가치 개념의 변화’로 부모는 그동안 대수 롭지 않게 여겼던 자녀의 놀이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서 영유아기는 놀이 자체가 곧 학습이라는 것을 점차 이해하게 되었다. 다섯째, ‘롤모델이라는 생각으로의 변화’로 나타났다. 부모는 자녀가 본받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 하게 되었고 미디어와 관련해서도 실천적 행동과 태도를 보이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영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자녀의 변화와 더불어 부모도 변화되었다. 이 러한 결과는 영유아 자녀의 미디어 리터러시 증진을 위해 부모를 지원하 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는 등 후속연구들을 유도하고 연계프로그램 활성화의 적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 부모 학습기술향상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남경인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34351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parents' learning skills through which they can help their children improve academic competence. It also aim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order to structure this education program, existing studies on the parental role for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parents' support fo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nd parental education programs for learning skills have been reviewed. 256 parents living in Seoul and its outskirts were asked to review the questionnaires on the purpose of this program, its procedures as well as their formal experience in parental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survey, a preliminary program was developed and carried out. The final program called '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Learning Skills'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standardized U & I personality-learning type test. The purpose of the program was help parents acquire sub-learning skills such as management skills,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and exam skills. It was composed of 11 weekly sessions, with 10 subjects whose children are in 5th or 6th grade.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pre and post tests of learning skills, the level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the observer's reports were examined. In order to guide parents to support children with skills, the participants were trained to acquire specific learning skills specialized for each type.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ough Wilcoxon signed-rank.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rogram had an impact on the parents' learning skills significantly. The participants' learning skills improved including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management skills and motivation skills, 2) Parents' learning skill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children's learning skills. In conclusion, the results reveal that it is important for parents to understand their children's personality-learning types and adjust their parenting behaviors to promote their children's learning skills. 본 연구는 자녀의 학업성취가 가족 전체의 삶에 심리적인 영향을 미치는 한국사회의 특수성을 그 출발점으로 하였다. 부모-자녀의 학습성격유형 이해를 통해, 학령기 자녀와 갈등을 줄이고, 자녀의 학습지원 활동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부모역할 행동을 변화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자녀의 학업성취에 도움을 주는 「부모 학습기술향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연구하였다. 「부모 학습기술향상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 학령기 자녀의 부모역할, 학업과 관련된 부모의 학습지원행동, 학습기술을 적용한 부모교육프로그램 등의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요구도 조사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256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목표와 내용, 실시방법, 이전 부모교육 경험여부 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선행연구와 요구도를 바탕으로 하여 부모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예비실시 하였으며, 예비실시 과정에서 발견된 문제점들을 수정하고 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최종적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은 「부모 학습기술향상 교육프로그램」으로 초등학교 5·6학년 자녀를 둔 10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총 11회 동안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연구하였다.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를 어느 정도 성취하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학습기술 사전·사후 검사, 프로그램 만족도, 관찰자의 보고 등을 통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프로그램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성격유형별 학습기술 지도를 위해, 부모-자녀의 U&I 학습성격유형 검사를 실시하였고, 유형별로 학습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자료의 분석 방법으로는, 요구도 조사에서는 SPSS/WIN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선다형 질문문항에 대한 응답빈도를 백분율로 산출하여 분석하였고, 학습기술의 향상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자녀 학습기술 차이를 검증할 수 있는 비모수검정의 윌콕슨 부호순위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을 실시하였다. 먼저 요구도 조사에서 나타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부모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질문에 대해 자녀의 성격에 맞는 학습방법과 자녀학습지원을 위해 자녀학습 기술지도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프로그램 목표에 대한 질문에서도 자녀에게 맞는 공부방법을 찾거나 자녀에게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부모교육프로그램에서 다루어 주었으면 하는 내용으로는 학습성격유형, 주의집중력, 관리기술과 학업동기, 기억기술과 읽기기술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서 나타난 요구도와 선행연구의 고찰 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고, 예비실시를 거치면서 문제점을 보완하여 부모들이 구체적인 학습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부모 학습기술향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표준화된 진단검사인 U&I 학습성격유형 검사 결과를 부모교육에 활용하는 점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즉, 부모와 자녀의 성격유형을 파악하여 각각의 학습성격유형에 적합한 학습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학습효과의 극대화를 추구했다. 특히 본「부모 학습기술향상 교육프로그램」은 학습기술의 하위요소인 관리기술, 정보처리기술, 시험치기기술 등을 부모들이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교육은 강의 및 훈련을 통한 학습 및 실습, 과제 제시 방법 등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회기별 프로그램 주제는 다음과 같다. 1회기는 프로그램 소개로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 소개와 프로그램의 참여동기 부여를 부여하였다. 2회기는 자신과 자녀이해로 학습성격유형을 파악하고 각각의 유형에 맞는 학습방법 교육을 교육하였다. 3회기에는 학습환경관리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부모역할에서 학습지원과 관련하여 환경관리방법에 대한 교육하였다. 4회기는 시간관리기술로 효과적으로 시간을 관리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하였다. 5회기에는 읽기기술로 글을 읽을 때 단계별로 글을 읽고 내용을 이해하는 방법(SQ3R)을 교육하였다. 6회기는 기억기술로 학습상황에서 기억력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기억력 향상방법 훈련하였다. 7회기는 쓰기기술을 말로 하는 설명이나 칠판에 쓴 내용을 노트에 옮겨 적거나, 학습자가 읽고 난 후에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을 노트에 체계적으로 기록하는 방법을 교육 하였다. 8회기에는 긴장이완기술은 공부 및 시험 성적에 대한 학생들의 긴장과 불안을 다루는 기술로써, 이완 을 통하여 부모자신이 편안함을 경험해보도록 훈련 하였다. 9회기 시험치기기술에서는 시험 준비 방법, 시험문제를 읽고 답을 적는 요령, 답을 쓴 다음 정답여부를 확인하고 보완하는 기술, 시험불안을 이기는 여러 가지 훈련을 실습하였다. 10회기 집중기술에서는 자녀의 학습집중을 방해하는 요인을 진단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훈련하였다. 11회기는 마무리 단계로서 프로그램을 통한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양적평가와 내용평가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부모 학습기술향상 교육프로그램」은 부모의 학습기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학습기술이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 점수가 낮은 사람은 없었으며, 학습기술 향상을 요인별로 보면 정보처리기술, 관리기술, 동기기술 등이 향상을 보였다. 둘째, 자녀의 학습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부모의 학습기술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가 학습기술을 얼마나 잘 익히고 소화했느냐에 따라 자녀의 학습기술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자녀 학습지원을 위한 부모역할 행동에 부모들의 긍정적 변화가 있음을 확인 하였다. 또한 자녀의 학습성격유형을 파악하는 것이 유용함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성격유형을 고려해서 개발한「부모 학습기술향상 교육프로그램」은 다양한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활용하여 자녀의 학업성취를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녀와의 갈등도 줄일 수 있고, 학습기술이 부족한 성인에게 적용하여 평생교육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부모 학습기술향상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회학교 유아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최민숙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4351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회학교 유아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 시대를 살아가는 교회학교 부모들에게 하나님 안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자녀를 잘 양육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데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도움을 주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만 3∼5세의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구성하였고, 관련된 문헌과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기본방향,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운영형태, 교육평가를 선정하여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기본방향은 하나님알기, 부모알기, 자녀알기, 비전보기 및 미래핵심역량교육이다. 프로그램의 목적은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살아가는 교회학교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하나님 안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자녀를 잘 양육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프로그램의 목표는 ‘첫째, 기독교 부모로써 정체성과 소명을 바르게 인식한다. 둘째, 기독교적 가치관을 토대로 자녀교육에 대한 바른 이해를 정립한다. 셋째, 부모와 자녀의 존중과 의사소통하는 기술을 익힌다. 넷째,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한 이해와 교회학교 자녀의 미래 핵심역량을 신장시키도록 돕는다. 다섯째, 성경말씀의 바탕위에 코딩교육의 실제 방법과 기술을 습득한다.’이다. 교육내용으로는 첫째, 부모들이 자녀를 교육함에 있어 기독교적 가치관과 세계관을 정립하고, 하나님의 말씀이 집약된 성경구조체계를 아는 것이며, 둘째, 자녀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부모 자신을 알아야 하기에 부모자신의 성격기질 및 특성을 이해하고 하나님 관점에서 부모자신을 바라보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유아기 발달에 따라 부모가 행해야 할 역할을 이해하는 것을 내용요소에 포함시켰다. 셋째, 부모가 자녀를 어떻게 바라보며, 어떤 양육태도를 가지는지 알아보고 자녀와의 의사소통 및 존중방법과 같은 양육태도 기술의 내용을 선정하였으며, 넷째, 부모와 자녀의 재능 및 달란트를 바라보고 하나님의 소명을 발견하는 것을 구성내용으로 선정하였다. 다섯째,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뿐 만 아니라 자녀의 미래핵심 역량교육을 신장시키기 위해 유아기에 적용할 수 있는 코딩교육의 언플러그드 놀이 활동을 성경말씀에 융합시켜 가정에서 자녀와 함께 확장활동으로 연계하여 활용하는 것을 내용에 포함시켰다. 교육방법으로는 이론 및 지식을 제시할 때는 강의법을 선정하였으며, 이론과 관련된 경험, 의견을 제시할 때는 소그룹별로 자유롭게 발표하고 토의하는 방법을 선정하였다. 또한 코딩교육을 실시할 때에는 구체적인 체험활동, 실생활과 밀접한 놀이 활동 및 소그룹 협력학습을 포함시켰다. 프로그램의 운영방법은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총 20시간, 8회기 프로그램으로 한회기당 150분으로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 평가는 부모교육 만족도 평가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이는 성경말씀의 바탕위에 기독교적 가치관, 기독부모로써의 정체성과 소명, 존중과 의사소통방법과 같은 유아 양육태도기술 등을 제4차 산업혁명시대 부모들이 요구하는 코딩교육의 실제 방법과 함께 습득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교회학교 유아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라고 볼 수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meaning in helping the parent's competencies to establish their own identity in God as well as raising the children well for them at church school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e reason, the study was conducted on parent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aged between 3 to 5. Based on the related literature and preceding study results, this program was developed to reflect on the basic direction, purpose and objective of the program, content of education, method and operation of education, and method of assessment. The basic direction of the program will promote the Key Competencies of the future and acquire knowledge of God, parents and children. It's also consisted in searching the calling for each individuals. The goal of the program is to develop their competencies to establish their identity in God and to raise children well for the parents of church schools who liv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achieve this goal, the objectives of the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as a Christian parent, they should be properly aware of their identity and calling. Second, a proper understanding of children's education established based on Christian values. Third, parents must learn how to communicate with their children. Fourth, it helps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future Key Competencies of children in church schools. Fifth, parents learn the actual methods and skills of coding education on the basics of the Bible. The contents of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should establish Christian values and worldviews in order to be aware of God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know the structure of the Bible that contains the Word of God. Second, parents should understand their own personal traits and see themselves from God's perspective in order to understand and know their children. It also includes understanding the role the parents should play in their children's infant development. Third, the selected contents include parenting skills such as how accurately parents view their children, how to communicate and respect them. Fourth, the contents were chosen as a tool to search for the gifts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 in discovering the calling of God. Fifth, It will provide coding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in early childhood to improve children's future key competencies as well as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addition, the Unplugged Coding Education Program is combined with the scripture to allow parents to experience the activities for themselves and to link them with their children at home as an extension activity. As a method of education, the lecture method was chosen to present theories and knowledge, and when presenting experiences and opinions related to theories, the method was chosen to freely announce and discuss them in small groups. When teaching Coding Program the method also included specific experience activities, life-related play activities, and small-group collaborative learning. Based on the related literatur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program is consisted of a total of 20 hours for education and an eight-session program including of 150 minutes for each program. The program evaluation is a method of assessing satisfaction in education. Therefore, through this parent education program, parents who have early childhood children, learn about the Christian values, identity and calling, the Early Childhood parenting skills as Christian parents. The skill of learning to respect and communicate based on the Bible. The coding education programs required by the need of the parent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also effective programs to learn together.

      •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신혜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박사

        RANK : 234319

        Parents in modern society are not given proper opportunities to be educated and trained in parent role even though the parental responsibility and skills in rearing their children are still demanding Parent education which provides opportunities for parental skill acquisition, started in the 1960's to maximize the effect of child education and preparent education for unmarried youths is emphasized throughout the world in light of the increasing number of unmarried mothers, which causes a lot of social programs. The necessity of preparent education for adolescents as well as that of parent education have started to be recognized in korea since 1980's. However, there is little proper pre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unmarried youths with a theoretical framework, and little studies for developing such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eparent education program for unmarried youths, which would have theoretical, practical, and emperical bases. Specific problems of this study was first, to clarify the meaning and present situation of preparent education and to reveal philosoph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needs for preparent education; second, to develop a preparent education program for unmarried youths ; thir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by applying it to college students.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preparent education intents to help unmarried youth to think sincerely about the role of parents prior to their being actual parents and to effectively acquire knowledge and attitudes required by parenthood. Preparent education in korea is still in its beginning phase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pre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the programs which have no theoretical framework are being practiced. Preparent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to b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ree aspects. Specifically, philosophical needs are respect for human life, the recovery of basic human values, and the establishment of democratic family relations; societal needs are the restoration of weakened family education, and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psychological need are ego development of the youth and identity formation on marriage and family life. Secondly, a preparent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which includes 5 thematic areas, self-recognition of youths, sex education, pregnancy and child-birth, family reations, development of infant. Five principles on which the program were developed are principle of comprehensiveness, principle of situational specificity, principle of cor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and the attitude, principle of emphasis on the thinking process, and principle of various methods of education. The program was also based on the analysis of thematic areas included in existing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preparent education programs. Thirdl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by applying it to 52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shows that college students' knowledge acquisition and attitude formation needed to become capable parents have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receiving the program. The effect size of knowledge acquisition was larger than that of attitude formation.

      • 웹 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홍정효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4318

        This study was purposed to an exploratory study for development of Web-based parents education program. The developed program would help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to have critical information, necessary skill, and guide method for child to access useful information to using a computer. Extensive literature regrading of parent education was reviewe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e model program.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parent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 needs for a Web based parents education program.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below : First, based upon the literature review, Web-based parents education program have foster the satisfaction, demand, educational method, feedback, and improvement against a parents education program. The program designed to child development and guide metho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parents. Second, The teachers and parents of most answer back that from survey the Web-based parents education program is necessary to a teaching activity from preschool. Web-based parents education program it led and the teachers in the parents the education contents which is sufficient for the infant provision the parents doing as a favor to come to be expected in program at the time of the which or participating came to be expected. Finally, For the Web-based parents education program for the parents and the teacher it decided the direction, purpose, and a contents of program with result of relation literature research and the surve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