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드라마 기법을 활용한 방과 후 영어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습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이진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4334

        본 연구는 드라마 기법을 활용한 방과 후 영어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습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과 후 수업에서 하나의 드라마 작품을 완성시키는 과정이 학생들의 영어 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더불어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특별시 송파구 소재의 S초등학교의 3학년에서 6학년까지 방과 후 영어 수업에 참여한 학생 56명(실험반 28명, 통제반 28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앞서 사전 조사를 위해 관찰 및 설문을 통하여 영어에 대한 흥미도, 영어 학습 실태, 영어에 대한 자신감 영어연극에 대한 관심도 등을 분석하였다. 드라마 기법을 활용한 수업은 실험반을 대상으로 총 7주간 진행되었으며 주당 2차시의 수업이 실시되었다. 통제반은 주당 2차시의 전통적인 교수법 중심의 활동으로 일반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 적용 후 실험반과 통제반의 사전, 사후 결과를 분석하고 흥미도 및 자신감 등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 반, 통제 반의 수업을 통해 살펴본 드라마수업의 활용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드라마 활용 교육방법으로 학습한 학생들은 일반적인 전통적 교수법 방법으로 학습을 한 학생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 영어 듣기․읽기ㆍ쓰기능력 평가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여주었다. 이는 영어 드라마를 활용한 학습이 학생들의 영어 학습 능력 신장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해 주었다. 둘째, 영어 드라마를 활용한 교육방법으로 학습한 학생들은 일반적인 전통적 교수 방법으로 학습을 한 학생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 자신감, 흥미도 등의 정의적 측면에서 매우 유의미한 향상을 보여주었다. 이는 영어 드라마를 활용한 학습이 학생들에게 영어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 등 정의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검중해 주었다. 본 연구에서실험반의 학습에 참가한학생들은 학습의 방법이 직접적인 방식이 아닌 상호작용(interaction)을 고려한, 의사소통 중심의 자발적인 학습으로 변화되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학생, 그리고 교사와의 소통과 교류의 친밀도가 상당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동료의식 속에 학생들은 자신의 경험을 교사 등 주변인과 공유하고 표현하려 하였고, 이러한 태도의 변화가 수업의 참여도를 높여줌으로써 드라마 수업을 한 반의 전반적인 수업을 이끌어 가는데 큰 공헌을 한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연극의 완벽한 구성도 중요하지만 드라마기법을 활용한 영어수업은 학생들의 친밀도를 높이고 영어를 재미있게 생각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내성적인 학생이 활발하게 변하는 개인의 변화와 친밀한 조직문화 형성 등으로 긍정적 효과가 발생하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 초등영어 수업에서 영어 드라마 활동들을 활용하여, 자신감을 가지고 자연스럽게 영어로 의사소통을 하는 지도 방법과 구체적인 평가 방안들이 제시 되어야 할 것이다.

      • 방과후 수업에서 음운 인식 활동을 통한 영어 읽기 능력 향상 방안

        김진만 한국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4303

        본 연구는 영어 학습의 초기 단계에 있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음운 인식 활동을 적용하여 지도 한 후 적용한 활동의 효과성을 검증하여 초기 영어 읽기 지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보령시 소재 D초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26명의 학생들에게 영어 방과 후 수업을 이용하여 본인이 구안한 음운 인식 활동을 수행하였다. 수행한 후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사전․사후 결과를 질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초기 영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음운 인식 활동의 효과성과 개선점을 파악하여 향후 효과적 읽기 지도를 위한 방향을 모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측면에서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 향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DIBELS 테스트를 활용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사후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이는 음운 인식 활동을 적용한 읽기 지도가 학습자의 읽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정의적인 측면에서의 분석 결과, 음운 인식 활동을 적용한 읽기 지도는 학습자의 흥미와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적용된 음운 인식 활동이 사전 기초 조사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흥미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었고 학생들의 성취 수준을 고려하여 쉬운 내용으로 조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해 초기 영어 학습자들에게 음운 인식 활동을 통해 읽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서 흥미도와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읽기 교수법의 개발과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EFL상황인 우리나라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적합한 효과적인 음운 인식 활동 방법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둘째, 체계적인 음운 인식 활동 모형의 구안과 소리와 듣기의 관계 습득을 위한 음운 인식 활동이 선행되는 기능 통합 교수․학습 모형이 연구될 필요가 있다. 셋째,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른 새로운 교과서와 교재는 체계적이고 다양한 음운 인식 활동이 포함되도록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초기 영어 읽기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 초등학교 방과 후 학교 영어수업의 실태분석

        박정미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135

        English plays a significant role in global society as not only the method of communication but also the medium connecting countries. Among the functions of English, communication skill is regarded to be necessary. Recently, the school curriculum focuses on fluency rather than accuracy. As the necessity of using English is growing, most parents who believe that the regular education is not sufficient rely their children's education on private education. As a result,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is a burden to the parents. To recover these problems, the government suggest 'Afterschool program' that aims to mitigate the high private education fee and restore the truth of public education. Even though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afterschool English program increases every year, there still have been some problems regarding the actual conditions of this program. Therefore, we need to examine the basic system for afterschool English program. This study has a purpose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and problems in afterschool English programs by surveying students' satisfaction and parents' recognition in afterschool English program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students answered that one of the reasons for attending afterschool english program is persuasion by parents. The second reason is because of low cost. Parents choose this program due to burden of excessive private education cost. Second, due to the financial cause and the operation that is influenced by the number of students, instruction by achievement level is faced with some barriers. We need to take students' individual difference into account and reflect it on the class. Third, after participating in class, although they are likely to obtain interest in English, there was no change in confidence in English. We need to develop the way to give them confidence through tailored program to the needs of students. Fourth, it is shown that most students prefer English game and instruction based on computer. As seen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earli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be able to obtain educational effects through the studying activities using movements and senses. Fifth,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are going to consistently attend afterschool English class. They are currently satisfied with the class. The results of surveying the parents who have a student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program are the following. Since 2009 the rate of the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program and the private education fee have been decreasing. Parents responded that they make their children participate in this program due to the low cost of afterschool program. Also, they recognized that afterschool program help to reduce the private education fee. As assimilating private education into the public education, it helps to restore trust of public education and also minimize the massive cost of private education for English. Moreover, through diversified programs it is expected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in English and attract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students.

      • 초등방과 후 영어수업에 대한 인식 차이 - 저학년과 고학년, 학생과 학부모 간 비교 분석

        최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135

        As English becomes the official language of the world, the interest about English and English education is getting higher and higher in Korea. So the Korean Government has carried out 'after-school programs' since 2006 as one of the ways to cut the excessive private English education costs. Among after-school programs, English is one of the highest demand programs and the number of the students who take part in the program has been growing. However, in my experience as an after-school English teacher, many students and parents seem to have less confidence in the effects of the after-school English program than those of the private instit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udents' and the parents' perceptions about the after-school English program by surveying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lower grades and higher grades, students and parents. For that, I surveyed students and parents from the first to the sixth grade who are enrolled in the after-school English program in three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By analyzing the questionnaires, I tried to propose some solutions for the problem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estionnaires, satisfaction about the after-school English program of the two groups, students and parents, has been increased when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y. However, in case of the students, the interest in the program has been decreased as their school grades become high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as they become higher grade students, they take part in the English class because of their parents' encouraging, not because of their desire. It means that motivation is the problem. Therefore, English teachers in after-school need to encourage the higher grade students to get intrinsic motivation as well as the lower grade students. Second, in case of the parents, even though their satisfaction has been increased, the parents whose children are in lower grade prefer the private institutions in aspect of the effectiveness, continuity, and systematization of English learning when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y. They also point out that their children can not be evaluated and be divided by the level properly in the after-school English class. In light of these two facts, it is the level-based classes that are most desired in the after-school English programs. With the level-based classes, the teachers can design their classes more effectively. Currently, the interest in English keeps growing in global world and, as a result of that, the participants in after-school English program are increasing. The authorities on schools and after-school English programs should not take it for granted, but try to improve the problems and by doing so, they should be able to contribute to invigoration of the after-school English programs and reduction of private English education.

      • 중학교 방과후 학교 영어 단계형 수준별 수업 운영에 대한 실태 분석

        안성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68831

        본 연구는 학생들의 개인차를 인정하고 학생들의 능력에 따라 수준별로 학습 집단을 재구성하여 능력에 맞는 교육과정을 도입하는 영어 수준별 이동수업이 방과후 학교에서의 운영 실태를 분석 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학교 현장에서 방과후 학교 영어 수준별 이동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강사, 그리고 수업을 받는 학생의 의견을 수렴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 네 가지 문제를 제기하여 조사 연구하였다. 첫째, 영어과 수준별 교육과정을 방과후 학교 현장에 적용하는데 필요한 조건 탐색, 둘째, 방과후 학교 영어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의 실태조사, 셋째, 방과후 학교 수준별 영어수업에 대한 수준별 학생들의 인식과 영어과 교사들과 강사들의 인식 비교 분석, 넷째, 현재 중학교에서 방과후 학교 영어과 수업에 적용되고 있는 수준별 교육과정이 안고 있는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하여 방과후 학교 수준별 영어수업을 좀 더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방안을 연구문제로 수행하였다. 제 2장에서는 방과후 학교의 의의와 수준별 교육에 대한 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제 3장에서는 방과후 학교 단계형 수준별 수업을 시행하고 있는 중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하여 교사·강사, 학생의 의견을 분석하였고, 제 4장에서는 그에 따른 결론과 제언을 실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방과후 학교 영어 수준별 이동 수업의 효율적 운용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고려되어져야 한다. 첫째, 방과후 학교 영어 수준별 이동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가중된 업무 부담 해소를 정책적으로 해결해야하며, 교사 자신들도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자세로 방과후 학교 수업에 임해야겠다. 둘째, 활기찬 수업을 위해, 학생들의 자발적 수업 참여를 유도하는 제도적 보안이 필요 하겠다. 셋째, 방과후 학교 영어 수준별 반 편성을 더 세분화하고 한 반의 인원을 더 줄여 실질적인 소규모 학급으로 재구성 하여 모든 학생에게 세심한 관심과 노력이 경주되어져야겠다. 넷째, 방과후 학교 영어 수준별 이동 수업이 더 효과적이고 활발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각각의 수준에 맞는 다양한 학습 자료가 개발되어 활용되어져야 한다. This research gathered and analyzed the opinions of the teachers and lectures who are actually in charge of after-school, level- differentiated,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as well as the opinions of the students who take the classes. The results of the survey by questionnaire presented to the teachers and lecturers are as follows: First, neither teachers nor lecturers were well trained for after-school, level- differentiated,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Second, the teachers and lecturers should firmly recognize the prerequisite for applying English curriculum on after-school classes. Third, it is necessary to eliminate the excessive work load of the teachers in charge of after-school, level- differentiated,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by policy. The results of the survey by questionnaire presented to students in are as follows: First, almost half the students in lower classes aren't satisfied with after-school, level-differentiated,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Second, the emotional superiority of the students in upper classes and the emotional uneasiness of the students in lower classes observed in the regular level-differentiated English classes were hardly seen in the after-school, level-differentiated English classes. Third, it is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all students by subdividing the after-school, level-differentiated,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and to reorganize small class with fewer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required to consider the following matters to efficiently manage after-school, level-differentiated,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First, The teachers and lecturers themselves should perform after-school, level-differentiated,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with spontaneous and active posture. Second, some system that encourages the students to spontaneously participate in the classes needs to be supplemented for active classes. Third, it is essential to develop and utilize diverse learning materials proper to each level so as to more effectively and actively perform after-school, level-differentiated,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