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수학교 방과후 프로그램에 관한 학부모의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

        김혜정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첫째, 신체장애 아동의 부모들의 방과후 프로그램에 대하여 대체로 만족하고 있으며 자녀들이 다닐만한 적절한 사회교육기관의 부재로 대부분 특수학교방과후 프로그램에 많이 참여하고 있다. 방과후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자녀의 사회성 향상과 정서적인 안정의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방과후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기준으로 자녀의 관심도를 가장 중요시 여기고 있으며 특기·적성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을 요구도하고 있으며 장애아동을 존중하고 이해하는 방과후 전담교사와 전문적인 강사를 통한 질 높은 교육을 원하고 있다. 둘째, 발달장애 아동의 부모들 역시 방과후 프로그램에 대하여 대체로 만족하고 있으며 방과후 담임교사와의 상담도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다고 했다. 신체장애 아동과 마찬가지로 방과후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자녀의 사회성 향상과 정서적인 안정의 효과가 있다고 하며, 부모들 역시 자녀 양육에 대한 부담감과 사교육비에 대한 부담감이 경감되었다. 발달장애 아동의 경우 부모들이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고려하여 방과후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있으며 방과후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프로그램 개설과 많은 전문 강사의 확보로 좀 더 질 높은 교육을 받기를 원하고 있다. 셋째, 신체 및 발달장애 아동의 부모들의 방과후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도 비교에서 방과후 운영전반에 대한 만족도와 앞으로의 발전 전망에 대해서도 낙관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방과후 담임교사와의 상담 여부에 대해서는 발달장애 아동의 부모들은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신체장애 아동의 부모들은 그렇지 않았다. 또한 사교육비 경감에 대한 만족도에서도 신체장애를 가진 아동의 부모보다는 발달장애를 가진 아동의 부모가 사교육비 경감에 대하여 더 만족하고 있다. 또한 신체장애 아동의 부모들은 자녀의 관심도에 따라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소질과 적성을 키워나갈 수 있는 교육으로 컴퓨터를 많이 선택하고 있으나, 발달장애 아동의 부모들은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많이 고려하여 선택하고 있으며 체육·무용과 같은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더 많이 선택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implement parent's request and satisfaction of after-school program and compare and analyze their responds between physically and developmental handicapped children to inform fundamental data to improve after-school program. To achieve this goal, literature study on concept of disability and object and necessity of after-school program was performed and parents was asked questions. In questionnaire, there were information of parents whose children are physically and developmental handicapped and satisfaction and request of after-school program. The conclusion of study is below. Firstly, parents whose children are physically handicapped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program. They thought the program made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ocial relationships and metal stability. Owing to the lack of the proper social institution, however, they brought their children to special school for the program. In choosing the program, they placed children's interest first. They require more programs that help improve children's specialty and aptitude and want high-quality programs and teachers which understand and respect their children. Secondly, parents of developmental children are also satisfied with the program and they thought they had enough chances to receive advice from teachers. In addition, they thought it helped their children to become more sociable and mentally stable. It reduced a burden of bringing up children and expense of education as well. They chose program by its quality and they think there must be more divers consumer-oriented programs and qualified teaches for success of the program. Thirdly, in comparison of request and satisfaction of parents, they took optimistic view about the general management and a prospect of the program in the future. In counsel, however, not like developmental handicapped children's parents,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s parents are not satisfied with it. In reduction of private education expense,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s parents are more satisfied than developmental handicapped children's parents.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s parents chose the program by children's interest and aptitude which can improve them, especially compute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al handicapped children's parents considered quality factor more in program and chose it especially physical movement like physical training and dancing.

      • 장애아동 방과후프로그램 모형개발

        한인규 명지대학교 지방자치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장애아동이 일반 아동과 함께 경험하고 공부할 수 있는 기회는 제공하였으나 실질적으로 장애아동이 일반 아동과 함께 어떻게 적응해 나가야하는 것에 대해서는 문제점으로 남아 있기 때문에 교사들은 장애아동을 지도하는데 어려움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방과후 프로그램을 보는 관점을 범주화하고, 실질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바람직한 프로그램 개발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장애아동 방과후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목적을 위해 구체적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실시되었다. 첫째, 장애아동 방과후 프로그램의 개념을 정립하고, 일반 아동의 발달특성 및 장애아동의 특수성에 대해서 고찰 둘째, 일반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41명을 대상으로 장애아동 방과후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조사 실시 셋째, 이러한 욕구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장애아동 방과후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 넷째, 장애아동 방과후 프로그램 모형개발에 따른 시범적용을 통해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모형의 개선방안 제시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 방과후프로그램이란,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갖고 있는 초등학생을 주요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방과후 혹은 방학중의 시간을 활용하여 학교에서 발생되는 문제들을 보완·수정·완화하여 학교생활을 원만하게 할 수 있도록 능력을 배양시켜 학교 교육을 보완, 지원, 확장하는 것이다. 둘째, 장애아동 방과후프로그램을 담당하는 교사는 장애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갖고 있어야 하며 장애의 특성에 따라서 표출되는 다양한 행동에 대한 이해심과 그에 따른 적절한 대처방법을 알고 있어야 한다. 셋째, 장애아동 방과후프로그램을 위한 반편성은 장애아동의 학년과 능력수준을 고려해야 한다 넷째, 장애아동 방과후프로그램은 다양한 여건을 반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기관에서의 프로그램 시범적용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 모형을 적용해 본 결과, 활동내용 및 방법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이것은 프로그램의 모형이 간접적으로 이들의 욕구를 반영했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연구대상의 범위를 확대하여 광범위한 욕구를 반영하면서도 지역적 특성과 방과후 시설의 여건에 적합한 장애아동 방과후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107228 The handicapped children given the opportunity to get along with normal children in the school. But whether they are well adapted for the school life associrzing with normal children is still in question, and this uncertainty alwzvs causes a difficulty to the teachers leading the handicapped child : On the assumption that the after-school program after class may help out the handicapped children being adapted to school life more easily,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desirable model of after-schod program, presenting a practically applicable way. The study has been progressed with the following sub-subjects. 1. Study of special characteristics of normal children and handicapped children in grown progress respectively, after designating the conccpt of after-school program. 2. Survey of the need of after-school program with 41 teachers of special classes for the handicapped in the elementary schools. 3. Development of a model of after-school program, based on the survey result of need. 4. Presentation of the improvement measures after experimental application of the model to the handicapped children. The results of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fter-school program is for supplementing the school education after class or during the vacation for the handicapped children so that they could cultivate the adaptation ability to the school life. 2. The teachers taking care of after-school program should have basic knowledge of the har;dicapped and be aware of the appropriate countermeasure for the various unexpected activities bursting out by different characters of the handicapped. 3. The classes of after-school program should be organized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grade and handicapped level. 4. The after-school program for the handicapped children should pass through the experimental applications at various education organizations so that it reflects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5. The satisfaction feedback to the modeling program developed by this study was very positive after experimental application. It may be because it was developed reflecting the need of the handicapped. Therefore, further improved programs should be studied and developed pertinent to each geographical character, and environmental condition and facility of education, expanding the scope of study objects and reflecting their needs in more detail.

      • 유아교육기관 방과 후 과정 영어 특성화 프로그램에 대한 담당강사의 인식

        이지선 순천향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논 문 요 약 유아교육기관 방과 후 과정 영어 특성화 프로그램에 대한 담당강사의 인식 이 지 선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권혜진) 본 연구는 충청남도 소재 방과 후 과정 영어 특성화 프로그램에 대한 담당강사의 인식을 파악하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분석하여, 방과 후 영어 특성화 프로그램의 방향설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기관 방과 후 과정 영어 특성화 프로그램에 대한 담당강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충청남도에 위치한 영어 프로그램 공급회사 소속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유아교육기관에 파견되어 유아를 대상으로 영어수업을 실시하는 영어 특성화 프로그램 담당강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충청남도에 여러 곳의 영어 특성화 프로그램 담당강사가 속한 영어 프로그램 공급회사의 규모와 운영되는 프로그램의 수, 그리고 소속되어 있는 강사의 수를 고려하여 4개의 회사 A(삼성), B(튼튼), C(YBM시사), D(동심)사를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김은아(1996), 황혜영(2005)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참고하고 기타 관련문헌 이경우 외(2004) 유아영어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조사하여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였다.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SPSS/Window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한 후,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방과 후 영어 특성화 프로그램에 대한 담당강사들의 인식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담당강사들이 영어 특성화 활동 실시에 찬성하였고 유아교육기관에서 행해지는 영어 특성화 활동이 유아의 영어에 대한 흥미와 동기유발을 가져올 수 있다고 답했다. 방과 후 영어 특성화 활동에 적합한 교사는 담임교사와 영어 특성화 담당강사가 함께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인식하였으며, 활동내용은 간단한 대화듣기, 말하기가 다루어져야 하며 활동방법으로는 알파벳 이름 배우기라고 인식하였으며, 이런 모든 활동은 정규유아교육과정과 연계되어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 유아기 방과 후 프로그램의 현황 및 부모-자녀 지원 프로그램 요구 조사

        백진영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는 유아기 방과 후 프로그램의 참여 현황을 알아보고 부모-자녀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통해 자녀양육 지원정책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기 방과 후 프로그램의 실시 현황은 어떠한가? 1) 유아기 방과 후 프로그램의 참여시기와 참여기관 어떠한가? 2) 유아기 방과 후 프로그램의 선택 시 고려사항과 만족도는 어떠한가? 3) 가정의 수입정도에 따른 방과 후 프로그램의 참여정도는 어떠한가? 4) 어머니의 취업 형태에 따라 방과 후 프로그램의 참여정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부모-자녀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들의 요구는 어떠한가? 1) 부모-자녀가 함께 하는 시간의 활동 현황과 요구는 어떠한가? 2) 부모-자녀 지원 프로그램의 실시기관 및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요구는 어떠한가? 3) 가정의 수입에 따라 부모-자녀 지원 프로그램의 고려 요소에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 6곳에 다니는 유아의 부모306명 이다. 총 5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고 그 중 343부를 회수하여 그 중 부실 기재 된 37부를 제외한 306부를 연구 자료로 하여 빈도분석과 백분율, 평균을 산출하고 카이검증(χ²)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방과 후 프로그램의 실시 현황은 아래와 같다. 1) 유아기 방과 후 프로그램은 12∼18개월 사이에 가장 많이 시작하고 있으며 방문교사가 집으로 방문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2) 유아기 방과 후 프로그램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며. 방과 후 프로그램은 내용을 가장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가정의 수입정도에 따른 방과 후 프로그램의 참여 여부는 가정의 수입이 높은 가정에서 참여가 많았고, 가정의 수입이 낮은 가정에서는 참여 여부가 낮았다. 이는 가정의 수입정도에 따라 방과 후 프로그램의 참여여부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관계없이 방과 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 지원프로그램에 대한 부모들의 요구는 아래와 같다. 1) 부모-자녀가 함께 하는 시간에 가장 많이 하는 것은 “집에서 놀이하기”이고, 가장 많이 하고 싶어 하는 것은 “책보기”로 나타났다. 자녀와 함께 있는 시간에는 “주변에 마땅히 갈 곳이 없어서”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부모-자녀 놀이 학습을 위한 시설의 설치를 가장 많이 요구 하였고, 도서관, 운동 및 체육시설, 박물관의 순으로 설치를 희망하였다. 그 외 소수의 의견으로는 자연학습원, 문화체험장, 미술 놀이터 등의 요구도 높았다. 프로그램의 내용으로는 협동놀이 등 사회생활 관련 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부모-자녀 지원 프로그램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인품이 좋고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교사가 놀이를 통한 자연스런 경험을 쌓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가정의 수입에 따른 부모-자녀 지원 프로그램의 고려요소는 월수입이 낮은 가정에서는 “시간 및 거리문제” 와 “프로그램의 내용 및 질” 을 가장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수입이 가장 높은 가정에서는 “프로그램의 내용 및 질” 을 가장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월수입에 따라 부모-자녀 지원 프로그램의 고려요소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hildhood after school programs, conduct a study on parents’ request for parent-child support programs,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 for preparation of support policies for parenting. In order to meet the above study goals,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were established. Study Question 1. What is the current operational status of childhood after school programs? 1) How are the place and time of childhood after school programs? 2) What are things considered when selecting childhood after school programs and what is the level of satisfaction? 3) What is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after school program based on level of family income? 4) What is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after school programs based in the work status of mothers? Study Question 2. What are some requests made by parents regarding parent-child support programs? 1) How are the current activities and time demands shared between parents-children? 2) How is the demand of parents for an executive organization for parents-children support programs and what are the programs? 3) Is there a difference in elements of concern regarding parent-child support program based on family income? F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a total of 5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parents of young children attending 6 child education facilities located in Daejeon, and of the 343 questionnaires that were collected, with the exception of 37, a total of 306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study material, and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questionnaire, percentile and average were computed, and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χ²) test were conducted. Summary of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programs offered after school for infants are as follows. 1) Majority of children started childhood after school programs between 12-18 months of age, and of these children, majority of children studied with visiting teachers. 2) Content of program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considered when selecting after school programs, and majority of parents were found to be satisfied with program contents. 3) As for level of participation in after school programs based on family income, families with highest level of income showed highest level of participation, and families with lowest level of income showed lowest level of participation in after school programs, which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4) More families participated in after school programs regardless of work status of mothers. Second, the demands of parents for parents-children support programs are as follows. 1) The activity parent-child spend most time engaged in was found to be “playing indoors” and the activity parents wished to engage in with their children was found to be “reading”, and it was found that parents faced difficulties spending time with their children because there are no appropriate places to which they can go. 2) The most popular demand of parents was the establishment of facilities for learning through parents-children play, and the next most popular demands in order were the establishment of a library, gym and workout facilities, and museum. A few other opinions were provided including a nature study field, cultural experience field, and playground for art. For the contents of programs, parents were shown to prefer most programs related to sociability such as cooperative play. Also, they wanted to have programs with teachers who have a good personality and specialty in infant education organizations to enable the accumulation of experiences naturally through play. 3) For factors to be considered in parents-children support programs according to family income, lower income families were shown to consider “time and distance” and the “contents and quality of programs” the most, and the highest income families were shown to consider the “contents and quality of programs” the most.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in parents-children support programs according to monthly income level.

      • 방과후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 전주시를 중심으로

        최명희 한일장신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과 아동의 방과후 아동지도 활동의 형태에 따라서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바람직한 방과후 형태를 제시함으로써, 아동이 사회적 환경의 차이로 인하여 차별받지 않고 건전한 자아를 형성할 수 있는 공공 보육시스템 형성에 기여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전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 10개소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교육하는 사설학원 10개를 선정하여 1개소 당 15명씩 총 300명을 유의표집하였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이중 243부가 회수 되었으며, 응답 자료중 자료로서 적합하지 않은 33부를 제외한 210부만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 및 방과후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아동들은 가정의 경제적 상황과 가정내의 화목정도, 아동에게 증요한 사람들의 인정과 지지정도, 방과후 활동기관에 따라서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었는데, 부모의 지지가 높을수록, 학교선생님의 지지가 높을수록, 방과후 선생님의 지지가 높을수록, 친구지지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고, 사설학원이 어린이집 방과후 프로그램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높았다. 이는 아동들의 자아존중감 발달이 아동개인의 심리내적인 문제가 아닌 아동을 둘러싼 가정내 환경과 사회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방과후 아동의 자아존증감 향상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 및 방과후 교실 등과 같은 보충적 시스템들은 아동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중요한 사회적 체계로 자리잡아 가고 있으며, 아동들의 성장과 성숙을 담당하고, 체계적인 사회화를 담당하는 중요한 사회환경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기 때문에 본 논문의 분석 결과들은 이에 대해 집중 연구하였다. 이는 보육 및 방과후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아동들에 대한 프로그램이 아동-보육 및 방과후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학원, 보육시설-학교-가정-지역사회의 연계를 통한 접근이 요구되며, 아동들의 보호 뿐만아니라 지적 · 사회적 · 정서적 욕구와 결합한 전문적이고, 통합적인 서비스 접근이 요구되어 짐을 보여 주고 있다. 특히 이러한 통합적 시스템은 반드시 현재 우리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가족 중심의 문제와 가족정책을 포함하고 있는 종합적인 접근 방식으로의 접근이 요구되며, 이러한 노력이 수반 될 때 우리나라의 밝은 미래가 준비 될 것이다. 둘째,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방과후 프로그램의 대안으로서 사설학원이 갖고 있는 강사의 전문적 서비스와 어린이집 방과후 교실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접목하여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질 높은 프로그램과 아동의 개별특성과 발달단계에 적합한 교육과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사회적 지지체계가 마련된다면 부모와 아동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사설학원에서 아동보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법개정이 필요하고, 어린이집 등 기존 방과후 활동 시설에서 전문강사를 활용할 수 있는 예산이 지원될 수 있는 제도적 지원체계가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 특수학교 방과후학교의 운영실태 및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과 만족도

        류성 고신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특수학교 방과후학교의 확대 추세에 대응하여 부산지역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과 만족도, 그리고 발전 전망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첫째, 특수학교 방과후학교의 운영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넷째, 방과후학교 운영의 발전에 대한 향후 전망은 어떠한가? 에 대해 알아보았다. 아울러 교사들은 학교별, 부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학부모들은 자녀의 부별, 장애영역, 장애등급, 학부모의 취업형태 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의 대상으로는 부산지역 특수학교 12개교 중 유치부 과정만 있는 2개교를 제외한 10개 학교를 선정, 각 학교의 방과후학교 담당자와 교사, 학부모 각각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성실하게 응답한 교사 133명, 학부모 249명의 설문지를 SPSS WINDOW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산지역 특수학교 방과후학교의 운영실태 2004년 국회연차보고서에 의하면 전국의 특수학교 학생의 9.5%만이 방과후 교육활동에 참여하고 있었으나,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자율성?다양성?개방성이 확대된 방과후학교가 도입되면서 부산지역 특수학교의 전체 재학생 중 87.25%가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나 큰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부산 지역의 방과후학교 운영은 2005년과 2006년에 90%의 학교가 시작되었고, 모든 학교가 방과후학교를 운영하고 있었다. 평균 14.6학급이 운영되고 있었고, 한 학급당 학생수는 평균 9.2명이었으며, 학급 편성은 부별로 통합하여 희망에 따라 편성을 한다는 학교가 가장 많았다. 교실 운영 면에서 보면 별도의 교실을 마련하지 않고 일반교실을 방과후학교 교실로 활용하고 있는 학교가 많았는데, 이는 교실 사용으로 인한 교사의 업무 방해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학교의 학기 중 운영시간은 오후 3시에서 3시 20분 사이에 시작하여 4시 30분에서 5시 사이에 종료하는 학교가 대부분이었다. 통학 차량이나 재정 지원 등의 제한점으로 인해 학기 중에만 실시되던 방과후학교가 일반학교처럼 방학 중에도 실시하는 특수학교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방과후학교 강사로는 당해교사와 외부강사를 함께 활용, 보조교사는 본교 보조원만을 보조교사로 활용하는 학교가 많았다. 방과후학교의 학부모 부담 비용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장애학생 부모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려는 국가의 정책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나, 적은 예산에만 의존하다 보니 강사수급이나 프로그램에 제한이 생길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지니게 된다. 프로그램 현황 면에서 살펴볼 때, 개설 중인 프로그램은 평균 11.6개, 프로그램 종류는 체육, 음악, 미술이 가장 많았으며, 프로그램 기획은 강사가 직접 기획하여 사용하며, 교육계획서는 주간?연간을 함께 작성한다는 학교가 많았다. 2. 부산지역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 첫째, 방과후학교의 필요성에 대해 교사는 M=3.77, 학부모는 M=4.24로 모두 높게 인식하고 있었는데, 학부모가 교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녀가 초등부에 재학 중인 학부모일수록, 장애정도가 중증일수록, 어머니만 취업을 한 가정일수록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방과후학교가 가장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분에 대하여 교사들은 방과후 자녀보호를 통한 자녀양육 부담 경감을, 학부모들은 장애아동이 다닐만한 사회교육기관 부재로부터의 다양한 교육적 욕구 충족을 가장 큰 이점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방과후학교에서 중점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프로그램으로 교사들은 특기?적성 교육을, 학부모들은 잔존능력 향상을 위한 치료교육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방과후학교에서 가장 관심을 가져야 할 내용으로 교사와 학부모 모두 프로그램 내용이라는 인식을 함께 가지고 있었다. 다섯째, 방과후학교 운영주체에 대해 교사는 외부기관에 위탁되어 운영되기를 바랐는데, 그 이유로는 프로그램의 다양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라는 하였고, 학부모는 학교가 주체가 되어 운영되기를 바랐는데, 그 이유로는 학교가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성이 높고 외부기관에 비해 더 잘 운영할 전문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여섯째, 방과후학교의 한 학급당 학생수로 교사와 학부모 모두 5명 미만을, 반 편성의 경우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려 융통성 있게 편성하기를, 한 주의 자료비는 5천원이 적당하다고 교사와 학부모가 같은 요구를 하고 있었다. 일곱째, 교육비에 있어서 학부모들은 올해처럼 재정지원을 받아 무료로 수강해야 한다고 했고, 교사들은 재정지원에다가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기 위해 학부모가 얼마정도를 부담해야 한다는 상반된 의견을 갖고 있었다. 여덟째, 방과후학교 강사로 교사와 학부모 모두 해당 프로그램 분야의 전문가가 가장 적합하다고 하였다. 아홉째, 방과후학교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가장 중요한 점으로 교사는 관계기관으로부터의 재정지원을, 학부모는 전문 강사 확보로 교육의 질 높이기를 가장 중요한 점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3. 부산지역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교사 및 학부모의 만족도 첫째,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평가하도록 한 결과 교사의 경우 M=3.08로 보통이상의 만족을 나타내었는데, 사립교사(M=3.28)가 공립교사(M=2.98)에 비해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조금 더 높았다. 학부모의 경우도 M=3.55의 만족도를 나타내었는데, 장애유형별로 보면 정서장애를 가진 학부모들이 다른 장애를 가진 학부모보다 만족도가 낮았고, 취업형태 별로 보면 어머니만 취업한 가정의 경우가 가장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자녀의 방과후학교 참가 후 학부모의 변화에 대해 물어본 결과, 여가 활용을 하게 되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셋째, 방과후학교에 참가한 후 자녀에게 나타난 변화 중 사회성 향상 및 정서적 안정 등의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는 학부모가 31.85%로 가장 많았다. 4. 부산지역 특수학교 방과후학교의 발전 전망 방과후학교의 발전 가능성을 대한 결과를 살펴본 결과, 51.88%의 과반수가 넘는 교사들이 방과후학교의 발전 가능성을 낙관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69.07%의 많은 학부모들 역시 방과후학교의 발전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 방과 후 프로그램에 적용한 영남사물놀이 지도 방안 연구 : 칼 오르프 교수법을 중심으로

        김지우 용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방과 후 프로그램에 적용한 영남사물놀이 지도 방안 연구이다. 영남사물놀이 가락에 칼 오르프 교수법의 학습매체인 ‘말하기, 노래 부르기, 신체표현, 악기연주하기’를 대입하여 총 4과정(기초다지기-가락 배우기-합주하기-발표하기)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12차시의 지도 방안을 구성하여 지도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다지기’ 수업을 진행한 후 학생들은 정규수업 때 배웠지만 장구를 좀 더 편안하게 연주할 수 있었으며, 3.2 분박자의 장단으로 학생들이 직접 가락을 만들어 연주할 수 있어 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었다. 둘째, ‘가락 배우기’를 수업을 진행한 후 설문조사 결과 A초등학교 93%, B초등학교 88%로 학생들이 말 리듬으로 바꿔 배운 장단이 장구 구음으로 배운 장단보다 장단의 리듬을 쉽게 이해할 수 있었고, 신체활동을 함으로서 학생들이 흥미가 있었다는 점을 답하였다. 또한 A초등학교 86%, B초등학교 81%로 신체표현을 통해 호흡법을 익혀, 앉아서도 호흡하면서 악기를 연주할 수 있었다. 셋째, ‘합주하기’를 수업한 결과, A초등학교 93%, B초등학교 88%로, 학생들이 서로의 악기를 듣고 호흡 및 강/약을 살려 연주하는데 자신감을 가지고 연주하였다. 넷째, ‘발표하기’를 수업한 결과, 학생들이 국악에 대한 흥미도가 높아졌다는 것과 협동심이 생겼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 A초등학교 71%, B초등학교 56%로 칼 오르프 교수법을 활용한 사물놀이 지도 방안이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총 4과정(기초다지기-가락배우기-합주하기-발표하기) 나누어 분석하여 12차시 수업을 진행 한 결과, A초등학교 79%, B초등학교 81%로, 수업의 만족도가 높아 앞으로 기회가 된다면 사물놀이(풍물)부 수업을 다시 수강하고 싶다고 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각 지역적 가락의 특징과 악기의 특성을 살린 다양한 지도 방안을 제시하여 흥미롭고 멋스러운 우리 가락의 맛을 느낄 수 있도록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Yeongnam samulnori applied to after - school program. In the Yeongnam samulnori melody, I substitute the learning medium of the Karl Orff method 'speaking, singing, body expression, playing musical instrument', 4 courses (basic chopping - learning to rhythm - concert - presentation) split and analyze, The results of the instructional plan of the 12th class are as follows. First, after conducting the lesson 'Tacking the Basics', the students learned during regular classes, but they were able to play the equipment more comfortably, with a short length of 3.2 minutes students were able to made and play their own melodies, giving them the opportunity to improve their creativity. Second, after conducting the lesson 'Learning the rhythm', survey results, 93% of A elementary school, 88% of B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able to easily understand the beat of the rhythm than the rhythm learned by changing beat into rhythm and they responded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doing physical activity. Also, 86% of A elementary school, 81% of B elementary school, the students learned breathing through body expressions and I was able to sit down and play instruments while breathing. Third, after conducting the lesson 'Concert', 93% of A elementary school, 88% of B elementary school, the students played with confidence listening to each other's instruments and breathing and playing the river / medicine. Fourth, after conducting the lesson 'Announce', I was able to learn that students' interest in national music increased and collaboration occurred. Survey results, 71% of A elementary school, 56% of B elementary school, it was found that the method of guiding Samulnori using Cal Orff's method was effective. Like this, 4 courses (basic chopping - learning to rhythm - concert - presentation) split and analyze, 93% of A elementary school, 88% of B elementary school, the satisfaction of the class is high so if the students had an opportunity in the future, they would like to take classes again in Samulnori. Through this study, we suggest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that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rhythm and the characteristics of musical instruments, it is thought that a lot of research is needed so that we can taste the interesting and wonderful taste of our rhythm.

      • 저소득층 아동 대상 방과 후 교육프로그램의 개선방안

        송영선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plan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after-school program that studyroom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are implementing as an effort to break off poverty heredity. To do this, it explored the concept of the after-school program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built an analytical framework composed of the five conceptual components of the program: its contents, participants, finance, reeducation for teachers and parents, and networks with other organizations. A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whole number of 23 studyrooms in Daegu, and then follow-up face-to-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13 officials in charge for the purpose of finding the reasons behind of the survey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very studyroom had curricular activities as a common program content, including at least two courses, and some had extracurricular activities. Second, participants included students and teachers. In terms of students, lower grades including first-to third-year classes took 62.85% of total numbers, and studyrooms with more than 21 students took 56.52% of total numbers, recording highest. There were 11 studyrooms that had one full-time teacher, taking 47.83% of total numbers. Volunteers were the highest proportion, 71.17%, of all teacher forms. One full-time teacher was charged with about 22 or 23 students. Third, the basic financial sources of studyroom operation were the budget of their own welfare centers, supplemented with course fees and other donations. Those who are not satisfied with financial conditions were 91.3%, 21 of 23 officials in charge. Fourth, teacher reeducations include programs for full-time teachers, on one hand, and for volunteers, on the other. Studyrooms without full-time teacher reeducation and without volunteer education took 69.56% and 56.52%, respectively. Parent educations were not established in 16 places, 69.56%. Finally, just four studyrooms were networked with schools, but 17 officials wanted to be networked. Despite only three studyrooms networked with private academic institutes, 19 officials wished for such networks. Networks with parents were the best preference for all 23 officials.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are as follows: First, neither student nor parent reflect their needs in program contents, and a new program has never been developed. Verified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develop new programs, officials in charge should conduct needs assessment for students and parents, and government-certified experts need to develop verified programs and standard curricular on the basis of those assessment results. Second, the number of full-time teachers is not only too small, but their expertise is also problematic. The government should verify and supervise the qualification of full-time teachers by authorizing the after-school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as a government certificate. The government must also support full-time teachers, considering the number of students in every studyroom. Third, most officials complain of financial problems. Government needs to financially support studyrooms in advance so that can be converted to Community Children Centers, which are considerably subsidized, and then may continue to supervise those qualified Centers by higher requirements. Fourth, reeducation for teachers and parents affects children's emotional growth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Government needs to bring up some professionals, who then hierarchically reeducate all other teachers and instructors. For parent education, the centers are proposed to encourage parents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studyroom programs by opening family events on weekend or holidays. These events will facilitate conversations with parents and advice for them, minimizing their feeling of rejection. Fifth, all interviewees agree that a major reason for just few networks is the self-interest of other organizations to be networked. Active public relations will encourage the organizational leaders to assist programs by developing their community spirit as well as by drawing their attention. Such public relations can also help officials share a sense of purpose and responsibility as well as lead to more donations and volunte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