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민간경비원의 경력태도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주관적 경력성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종준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focuses on addressing the longstanding issue of high turnover rates and resulting unprofessionalism among private security guards in the industry. The research specifically aims to explore whether these challenges can be mitigated by empowering security personnel to proactively develop their careers, rather than relying solely on environmental or organizational management factors. The objective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attitudes of private security guards towards protean and boundaryless careers, their subjective perceptions of career success, and their job performance. By investigating these aspects, the study seeks to enhance the efficiency and professionalism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within the private security sector. To achieve this, seven research questions are formulated, drawing on existing studies to hypothesize the interconnec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structured as follows: 1) the impact of a protean career attitude on job results, 2) the influence of a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on job results, 3) the effect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on job results, 4) the relationship between a protean career attitud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5) the relationship between a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6) the mediating role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in the link between a protean career attitude and job results, and 7) the mediating role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in the connection between a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and job results. To garner data, 5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ecurity guards at 10 different companies over 20 days, from September 1, 2023, to September 20, 2023. Half of these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using a NAVER Form and distributed via SNS by managers, while the other half were physically distributed at work sites. In the end, 392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data was processed using SPSS Statistics 24.0 for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dditionall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AMOS 24.0 program. This study employed a systematic approach to test its hypotheses, which involved several key analytical methods: 1. Frequency Analysis: Th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with results presented as frequencies and percentages (%). 2.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his helped in understanding the overall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the collected data. 3. Reliability Testing: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e study. 4. Factor Analysis: Both exploratory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ere utilized to establish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nstruments and the measurement of latent variables. 5. Correlation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6. Structural Analysis: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as implemented to evaluate the fit of the structural model and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latent variab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first hypothesis, stating "Private Security Guard’s Protean Career will significantly impact job outcomes," was partially accepted. Specifically, it was observed that self-dire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outcomes. However, the aspect of value orientation within the Protean Career construct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job outcomes, leading to the rejection of this component of the hypothesis. Hypothesis 2, which proposed that a Private Security Guard's Protean Career would significantly impact their Subjective Career Success, was partially supported. Specifically, the aspect of self-directedness within the Protean Career framework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employability. However, i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atisfaction with objective criteria or overall career satisfaction. In contrast, the value orientation component of the Protean Career did impact employability and satisfaction with personal power, but it failed to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objective criteria. Hypothesis 3 was fully supported. It posited that a Private Security Guard's Subjective Career Success would significantly influence Job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employability, a key component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positively affected job outcomes, satisfaction with objective criteria, and career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Subjective Career Success is a critical factor in enhancing job results for Private Security Guards. Hypothesis 4 suggested that Subjective Career Success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 Private Security Guard's Protean Career and Job Result. This hypothesis was partially validated. Employability, a component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self-direction and value orientation (elements of Protean Career) and job outcomes. It acted as a fully mediating variable in these relationships, leading to the full acceptance of Hypothesis 4-1. Hypothesis 5 posited that a Private Security Guard's boundaryless career would significantly impact Job Results. This hypothesis was fully supporte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increased psychological and physical mobility in a guard's career positively affects job outcomes, which include task performance and innovative behavior. This suggests that as private security guards enhance their career mobility, both psychologically and physically, their job performance and capacity for innovation are likely to improve. Hypothesis 6 proposed that a Private Security Guard's boundaryless career would significantly influence their Subjective Career Success. This hypothesis was partially confirm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psychological mobility positively affects employability, while negatively impacting satisfaction with objective criteria. However, psychological mobility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career satisfaction. Hypothesis 7 suggested that Subjective Career Success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 Private Security Guard's boundaryless career and their job outcomes. This hypothesis was also partially supported. It was found that physical mobility has a more direct impact on job outcomes than career satisfaction. This implies that job results for Private Security Guards are better when they manage their careers with a focus on physical mobility rather than solely on caree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our analysis, we propose the following policy alternatives: Firstly, to ensure the survival of private security organizations, it is critical to establish an independent private security department within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introduce legislation for advanced partnerships. Furthermore, addressing the issue of small-scale private security businesses through job creation is an urgent priority. Simultaneously, it is crucial to enact legisl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private security support system (advanced partnership) involving major government entities like the National Police Agency, ultimately leading to a reduction in turnover rates. Currently, there are more than 4,000 private security companies and approximately 200,000 security guards operating nationwide. However, the available manpower, which includes about 270 individuals within the National Police Agency's Crime Prevention and Response Division, as well as one person in each of the 18 city and provincial police departments and 260 police stations, is insufficient to effectively manage this industry. Similar to the mobilization of reserve forces during times of war, we anticipate the regular activation of a support system for private security organizations during large-scale national events and natural disasters, such as COVID-19, floods, and earthquakes. This approach represents a groundbreaking alternative for national prevention and streamlined post-event measures, enhancing professionalism and reducing turnover through internal market expans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ulture wherein the Private Security Guard can learn on its own by expanding its size through integration between small private security organizations and sharing knowledge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organization members. Unless we improve the outdated operating methods that is market-based compensation(*market-driven compensation) and promote internal and external welfare while sacrificing labor solely for corporate profit, the development of private security companies will be nothing more than lip service. To this end, the organization secures professionalism by activating self-development learning clubs, while keeping pace with the rapidly changing information society externally and creating an atmosphere internally to secure a solid position within the organization through self-directed self-development.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organization's Job Result capabilities. Thirdly,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an organizational-level learning program designed to enhance the employability of private security guards by expanding their capabilities in various new employment areas. As revealed in this study, it was fairly evident that job outcomes significantly influenced employability but did not have a noteworthy impact on economic compensation satisfaction or career growth satisfaction.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alignment between aspirations for upward mobility within the current workplace and prospects for external employment in more advanced organizations, both hinging on job outcomes. To achieve this, private security guards should implement an organizational capacity-building learning initiative that fosters self-esteem and bolsters confidence. Fourth, private security organizations must prioritize the establishment of support programs aimed at fostering the growth of security guards, enhancing their job-processing skills, and nurturing leadership capabilities such as communication and presentation skills. Additionally, it is crucial to design comprehensive, tailored programs specifically tailored to security guard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Upon analyzing the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it becomes evident that 63.3% of survey respondents fall within the 20s and 30s age group, 72% hold junior college degrees, and 63% have less than three years of tenure in their current roles. This demographic trend, characterized by younger and more highly educated security guards with relatively short tenures, signals a potential increase in turnover rates unless proactive measures are taken to accommodate them. Therefore, an immediate shift in the career paradigm for private security market members is necessary, encompassing improvements in compensation, welfare, self-development programs, job coaching, communication skill enhancement, presentation skills training, workplace club activation, personal branding initiatives, and post-retirement employment programs, particularly tailored to the highly educated young security guard demographic. Furthermore, this study presents several limitations and suggests areas for future research. Firstly, the ability to generalize findings nationwide is restricted due to the regional focus on private security companies. Both the preliminary and main surveys were conducted among 15 private security compan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including Seoul and Gyeonggi. To enhance accuracy and reliability, it is advisable for future follow-up studies to include security guards from private security companies across the country in proportion to their representation. Secondly, the wide variation in the sample ratios of tasks assigned by industry posed challenges in confirming common attributes of Private Security Guards. In subsequent research, it is essential to investigat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by aligning the sample ratios with different job types. Thirdly, the concepts of "Protean Career" and "Boundaryless Career" have not been explored within the realm of private security, limiting the extent to which professional results can be derived. These terms have primarily been studied in the fields of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 and talent development as management concepts. Given this, it is anticipated that active follow-up research will continue to evolve within the emerging private security market, building upon the foundation of this study's findings. 이 연구는 민간경비산업에서 오랫동안 지적되어 왔던 민간경비원의 높은 이직률과 그에 따른 비전문성으로 인해 유발되는 직무성과에 관한 문제점을 조직운용과 관련된 환경에서 찾지 않고 조직구성원이 직접 주도적으로 경력을 개발함으로써 이를 해결할 수 있는지 여부를 규명하여 민간경비산업이 현재보다 더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인적자원관리 역량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민간경비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Protean Career)와 무경계 경력태도(Bundaryless Career), 주관적 경력성공(Subjective Career Success), 직무성과(Job Result)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토대로 변수들 간의 관계를 추론하여 일곱 개의 연구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직무성과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무경계 경력태도는 직무성과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주관적 경력성공은 직무성과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주관적 경력성공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무경계 경력태도는 주관적 경력성공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가?, 여섯째,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주관적 경력성공이 어느 정도의 매개역할을 하는가?, 일곱째, 무경계 경력태도와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주관적 경력성공이 어느 정도의 매개역할을 하는가? 이 연구의 문제를 검증하고자 2023년 09월 1일부터 2023년 09월 20일까지 총 20일 동안 10개의 경비업체에 재직 중인 경비원을 대상으로 총 500부의 설문지를 관리자의 협조로 배부하였다. 이 중에서 250부는 네이버 폼 설문지로 작성한 후 관리자를 통하여 SNS로 조사대상자들에게 전달하는 온라인 응답방식을 채택하였으며, 나머지 250부는 직접 현장에 방문하여 배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최종적으로 392부가 데이터 처리에 사용되었다. 이 연구는 SPSS Statistic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실시하였고, AMO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세부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표기하였다. 둘째, 데이터의 전체적인 특성과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셋째,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Alpha 계수를 사용하였다. 넷째, 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와 잠재변인의 측정을 검증하고자 탐색적 요인분석(EFA)과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변수들 간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피어슨의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구조모형에 대한 적합성 및 잠재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모형 분석(Covariance Structur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경비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 1은 ‘부분채택’되었다. 구체적으로 자기주도성이 직무성과에는 정(+)의 영향을 미친 반면 가치지향성은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2는 ‘기각’되었다. 둘째, “민간경비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주관적 경력성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2는 ‘부분채택’되었다. 자기주도성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의 영향을, 객관적 기준만족, 경력만족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가치지향성이 고용가능성, 겅력만족에는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객관적 기준만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민간경비원의 주관적 경력성공은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 3은 ‘채택’되었다. 결과를 보면 고용가능성이 직무성과, 객관적 기준만족, 경력만족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민간경비원에게 있어서 주관적 경력성공은 직무성과를 높이는 아주 중요한 변수임을 의미한다. 넷째, “민간경비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주관적 경력성공이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라는 가설 4는 ‘부분채택’되었다. 구체적으로 고용가능성은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구성하는 자기주도성과 직무성과와 가치지향성과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도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완전매개역학을 하는 변수로 나타나 가설 4-1은 ‘채택’되었다. 다섯째, “민간경비원의 무경계 경력태도는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 5는 ‘채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민간경비원이 자신의 경력을 위해 심리적 이동성과 물리적 이동성이 높아지면 과업성과 및 혁신행동을 구성하는 직무성과도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여섯째, “민간경비원의 무경계 경력태도는 주관적 경력성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 6은 ‘부분채택’되었다. 결과를 보면, 심리적 이동성이 고용가능성에 정(+)의 영향을, 객관적 기준만족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경력만족과의 관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민간경비원의 무경계 경력태도와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주관적 경력성공이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라는 가설 7은 ‘부분채택’되었다. 이는 물리적 이동성이 경력만족을 통하는 것보다 직접적으로 직무성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민간경비원의 직무성과는 경력만족보다는 물리적 이동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자신의 경력을 관리할 때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분석된 결과에 따라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경비조직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먼저 경찰청에 과(課)단위 규모의 독립적인 민간경비전담부서 신설과 고도화된 파트너십의 법제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민간경비조직의 일자리 창출을 통한 영세성 극복과 더불어 궁극적으로는 이직률을 낮추기 위한 경찰청 등 대정부 기관과의 민간경비 응원제도(파트너십 고도화) 구축의 법제화가 절실해 보인다. 전국 4천 여개 민간경비업체와 20여 만명의 경비원을 관할하는 조직이 경찰청(본청) 범죄예방대응과 소속의 경비업 담당자를 비롯하여 18개 시․도경찰청 및 260개 경찰서에 각 1명씩 약 270여 명 정도로 이 인력으로는 내실있는 관리역량은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전쟁발발시 국가가 예비군을 동원하는 것처럼 국가 대규모 행사 및 코로나19, 홍수, 지진 등과 같은 국가재난 발생시 민간경비조직에 대한 응원시스템 발동을 상시화하여 국가적으로 예방 및 일사불란한 후속조치, 내부적으로는 시장성 확대를 통한 전문성 강화와 이직률을 낮추는 획기적인 대안이 될 것으로 본다. 둘째, 소규모 민간경비조직간 통합을 통한 규모 확대와 조직구성원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민간경비원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조직문화 개선이 필요하다. 보수의 현실화, 내·외부 복지 증진에는 소극적인 반면 오롯이 기업 영리만을 위해 노동력을 희생하게 하는 구태적 운영 방식을 개선하지 않으면 민간경비업체의 발전은 말뿐인 허언에 불과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조직에서 자기 계발 학습 동아리 등을 활성화하여 업무의 전문성을 확보하는 한편, 외부로는 급변하는 정보사회에 발맞추고, 내부로는 자기 주도적인 자기 계발을 통해 조직 내에서 견고한 지위 확보를 위한 분위기를 만들어 궁극적으로 조직의 직무성과 역량향상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민간경비원이 다양하고 새로운 고용가능성에 대한 자기 역량을 높이는 조직 차원의 학습프로그램이 절실하다. 이 연구를 통해 보았듯이 직무성과는 고용가능성과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과 대조적으로 경제적 보상 만족이나 경력 성장 만족과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의 직장에서 상위 계급으로의 내부 고용가능성과 좀 더 진전된 타 조직으로의 외부 고용가능성에 대한 희망이 곧 직무성과와 맞물린다는 사실을 알았고, 이를 위해서는 민간경비원 스스로 자긍심을 갖고 자신감을 북돋을 수 있는 조직 차원의 역량 강화 학습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할 것이다. 넷째, 민간경비조직은 경비원의 업무처리 능력 개발과 소통 능력 및 발표(Presentation) 능력 등 리더십 역량 개발을 위한 경비원 성장 지원 프로그램을 구축하는데 게을리해서는 안된다. 또한 3년 미만의 젊은 청년층 민간경비원에 대한 심화된 맞춤형 프로그램 구축도 병행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인구 사회적 특성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를 보면, 설문에 응한 민간경비원의 비율이 20~30대가 63.3%를 차지하였고, 전문대 졸업자 인상의 비율이 72%, 입사 3년 미만이 63%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민간경비원들의 청년층과 고학력화가 가속화하고 입사 3년 미만 자들이 주를 이루고 있는 점 등을 감안하여 이들을 끌어안을 특단의 처우개선이 뒤따르지 않는 한 이직률은 더욱 심화할 것이다. 따라서 고학력의 젊은 민간경비원에 대한 보수, 복지, 자기 개발 프로그램, 업무코칭, 소통 능력개발, 발표력 능력교육, 직장 내 동아리 활성화, 개인의 브랜드 향상(Up) 프로그램, 퇴사 후의 취업 프로그램 운영 등 민간경비시장에서의 구성원에 대한 커리어 패러다임(Career Paradigm)전환이 시급하다. 또한 이 연구는 몇 가지의 한계와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가진다. 첫째, 민간경비업체의 지역적 한계로 인하여 전국적으로 일반화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예비조사와 본조사 모두 서울과 경기권 등 수도권 소재 민간경비업체 15개를 조사하였다. 시간적․예산적 문제의 한계로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전국적 민간경비업체 재직 경비원들을 비율에 맞게 조사하면 좀 더 정확성과 신뢰성 담보될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업종별 담당업무의 표본비율 편차가 커서 민간경비원의 공통된 속성을 검증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업무 종별 표본비율을 맞추어 변수 간 인과관계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셋째, 프로티언 경력태도, 무경계 경력태도의 개념이 민간경비 분야에서는 다뤄진 예가 없어 전문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데 한계가 있다. 프로티언이나 무경계 경력태도라는 용어 자체가 경영학적 개념으로 경영학, 교육학, 인재 개발 분야에 국한되어 연구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내용을 기반으로 새로운 민간경비 시장에서의 활발한 후속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 민간경호·경비 관련 전문자격제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홍준혁 용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최근 우리 사회가 도시화, 산업화 그리고 정보화 시대로 급속히 변동하면서 야기되는 범죄와 무질서 등 각종 사회병리현상들로 인하여 그 어느 때보다도 국민 개개인의 생명과 재산에 대한 안전의 욕구가 날로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국민생활안전 대한 각종 사외 불안현상은 우려할 정도를 지나 심각한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이와 같은 사회불안 요인들이 이제 우리 사회 깊숙한 곳까지 파고들어 국민들의 건전한 경제활동을 어렵게 하고 있으며, 특히 국민 모두가 범죄의 표적이 되어 언제 피해를 당할지 모르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이미 겪은 선진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국가차원이 아닌 민간차원의 범죄예방제도인 민간경비산업을 연구·발전시켜 지금은 경찰의 범죄예방능력과 상용하는 존재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민간경비산업이 범죄예방활동에 크게 기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과 경찰기관의 전통적인 고정관념 때문에 민간경비의 범죄예방 활동에 대해서는 중요하게 인식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민간경호·경비인력의 질적 향상과 효과적인 치안유지의 민·관 분할을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국가에서 법으로 지정한 제도 외에 전문화된 민간경비 관련자격의 도입과 민간경비에 대한 인식의 개선이 필요하다. 경비산업에 있어서의 전문경비자격증제도는 현재 미국, 일본 등 선진국가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그 가치를 높이 평가받고 있기 때문에 이 제도를 우리나라 국가중요시설경비에 도입한다고 하면 매우 큰 의의가 있을 것이다. 국가에서 공인한 전문경비자격증을 갖춘 사람을 국가중요시설에 배치시킴으로써 기존에 논의되어 왔던 경비인력의 자질 문제를 희석시킬 수 있으며, 이는 곧 국가중요시설경비의 효율화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민간경호·경비 관련자격증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국내 시행중인 생활체육지도자, 사회복지사, 컴퓨터 관련자격증 제도의 자격운영체제와 검정 및 연수방법 등에 대한 내용을 비교, 연구하여 현행 자격 및 교육제도의 문제점과 이상적인 민간경호·경비의 전문자격제도의 도입방안 제시하였다. 전문자격제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자격분야의 다양화, 관·학·산업체의 상호협력과 행정지도 및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e most recent, desire of safety about person's life and property is increasing more and more as for crimes, disorder and various social phenomenon caused by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Especially, uneasiness phenomenon about security of the people's life is too serious. Like this social uneasiness facts penetrate our society deeply to make healthy economic activity hard and specially all the people is in sign of crime and may be damaged. Advanced countries already studied and developed the Private Security Business as the crime prevention-not national dimension but private dimension and now it is placed after the crime prevention of police. Though Private Security Business contributed to the crime prevention, the people tend to recognize it worthless owing to the traditional fixed idea between people at large and police organ. To advance qualitatively and divide Private and Police effectively for Private Guard and Defense Guard, as well as system of the rule, need introduction of professional private security and improvement of the recognition about private security. In Security Business, the system of professional security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is applied around the advanced nations just like US and, Japan and because it is set a high value, if our country, introduce national main security facilities, it is much meaningful. It is possible to hush up the quality problem that was discussed up to date as the men who have National authorization-professional security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set in the important institution in country, and it is expected the efficiency of the security for the important national institution. In this study, making comparative study the problems about the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connected korean private security and improvement program with system of cerfiticate of qualification on the life physical director, the social welfare worker and computer programmer, presented the problems of education system and the ideal introduction plan about Private Security and Professional Qualification System. To improve Professional Qualification System , need variety of fields, cooperation with academy and industrial organization, administration guidance and change of recognition.

      • 한국 민간경비업체의 마케팅 전략 실태 및 발전 방안

        심재춘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국의 민간경비산업은 짧은 역사에 비해 양적 성장과 외적 발전은 괄목할만 하지만 질적 성장, 즉 경영기업의 다각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전문인력, 자본, 기술력의 부족으로 다양한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국내 민간경비업체나 담당자들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업체의 구조조정 및 선진업체의 벤치마킹 등을 통해 국내 현실에 맞는 다각화된 마케팅 전략 활동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SWOT분석을 통해 시장의 내·외적환경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STP전략을 수립하여 시장을 세분화하고 목표시장을 선정한 다음, 포지셔닝한 후에 마케팅 믹스 전략을 수립하는 고객지향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 시장 점유율보다 고객 점유율을 중시해야 한다. 고객 지향적 마케팅 활동을 실천하기 위해 첫번째로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제품의 판매에 초점을 두지 말고 고객과의 장기적 관계 구축에 초점을 두라는 점이다. 마케팅 활동의 성공여부를 판단하는 잣대도 시장 점유율이나 수익성이 아니라 고객 점유율과 고객 로열티로 바뀌어야 한다. 고객 점유율이란 개별 고객이 여러 제품이나 서비스 가운데 특정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고객 지향적 마케팅의 두번째 성공요건은 제품차별화보다 고객차별화에 초점을 두라는 것이다. 제품의 범람, 경쟁 제품간 유사성, 라이프 사이클의 단축화 현상 등은 제품차별화를 더욱 어렵게 만드는 요인들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제품차별화가 아니라 고객을 차별화 하는 어프로치가 필요하다. 고객차별화란 고객유형별로 그들의 욕구에 가장 잘 부합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차별화 하여 제공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차별화 된 제품을 미리 만들어놓고 목표 고객을 찾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고객의 욕구부터 파악하고 고객 유형별로 차별적인 대응을 하는 방식을 말한다. 고객차별화가 가능하려면 고객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고객의 욕구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들이 활용될 수 있다. 정기적인 고객 서베이나 고객 면담, 상담창구나 핫 라인 등을 통한 고객의 소리 듣기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만으로는 개별 고객의 욕구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차별적 마케팅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보다 구체적인 고객 이해를 위해서는 고객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고객에 관한 신상 정보와 거래정보가 체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으면 이것을 분석하여 고객별로 차별적인 대응 활동을 전개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목표고객을 선정해서 집중 공략해야 한다. 목표고객을 효과적으로 선정하기 위해서는 시장 세분화 작업이 필수적이다. 효과적인 시장 세분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고객의 인구통계적 변수 뿐 아니라 구매 형태, 추구하는 효익(Benefit) 등 고객의 욕구(Needs)에 기반을 둔 세분화 변수들이 적절하게 활용되어야 한다.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모델링(Modeling) 기법을 활용하여 고객의 생애가치나 수익기여도에 의해 시장을 세분화하면 목표 고객을 선정하는데 있어서 새로운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셋째,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고객 편의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축적된 고객정보 분석을 통해 고객의 관심사가 무엇인지, 고객 유형별로 추구하는 효익(Benefit)이 무엇인지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지만 어떠한 오퍼를 제공해야 기대하는 반응률을 얻을 수 있을지는 예측하기 어렵다. 즉 고객에게 어떠한 가치 제안(Value Proposition)을 제공해야 기대하는 반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인가는 또 다른 과제인 것이다. 넷째, 제품 중심 조직으로부터 고객 지향 조직으로 전환해야 한다. 고객 지향적 마케팅 활동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고객과의 접점에서 고객의 편의를 증대시키고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는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정보기술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와 같은 활동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고객정보의 데이터베이스화 작업에 많은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다. 마케팅 관리자들이 고객 점유율을 높이는 일에 집중하도록 하고 그 일에 지속적으로 책임을 지게 하기 위해서는 마케팅 부서를 고객관리 조직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객 지향적 조직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우선 고객을 집단별로 분류, 고객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즉, 고객의 생애가치, 수익기여도, 구매 형태 등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세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고객 포트폴리오에 따라 고객관리자들이 적절히 배치되면 각각의 고객 관리자들은 자신의 포트폴리오에 속해 있는 개별 고객들에 대한 고객 점유율과 고객의 생애가치의 증감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해야 한다. 고객 관리자들은 고객들이 필요로 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는 일을 사명으로 삼게 된다. 고객관리자들이 원활하게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 책임과 함께 그에 상응하는 권한도 부여하여야 한다. 즉, 고객관리자들로 하여금 개별 고객의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권한과 제품/서비스 믹스를 결정하는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객 지향적 문화의 형성은 바텀업(Bottom-up) 방식 보다 탑다운(Top-down) 방식에 의해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고경영자의 강력한 리더십 없이는 고객 지향적 문화가 자연발생적으로 조직 내에 정착되기를 기대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특히 최고경영자는 물론 임원들의 솔선수범이 요구된다. Korea private security industry has made its remarkable quantitative growth and external development for its short history, while relatively few researches on the qualitative growth that would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with the diversified management have been done. And it does not meet needs for various customers, lacking experts, capitals and technologies. Thus Korea private security companies need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for our domestic status including training of experts, restructuring of the companies and benchmarking of companies of developed countries to meet needs for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e custom-oriented strategies to meet needs for various consumers that SWOT analyses are used for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investigation for the market, on a basis of which marketing mix strategies are made after market segmentation, targeting and positioning with STP strategies. The main results are followed : First, make more of customer share rather than market share. The first consideration for the practice of customer-oriented marketing activities is to focus not on product sales, but on the construction of the long-term relationship to customers. And the standard for the success of marketing activities should be changed not into the market share or profit, but the customer share or customer loyalty. The customer share means the rate that each customer uses a specific product or service among various products or services. The second consideration for the customer-oriented marketing is to concentrate not on product segmentation, but on customer segmentation. An oversupply of products, similarities between the competitive products, the shortening of life cycle, etc are acting as factors to make product segmentation difficult. So from now on, an approach to customer segmentation is necessary ; not to product segmentation. Product segmentation is to provide each customer with products and services that meet their needs most. This is not to provide targeted customers with segregated products manufactured in advance, but to face each customer individual by individual after grasping needs for customers. It is certain that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customers should precede for customer segmentation. In order to catch precise hold of needs for customers, various ways can be used ; regular customer surveys, customer interviews, consultation windows, hot lines and so on. But there is a boundary to definitely catch needs for each customer and to search for marketing coping methods only with these activities. For more concrete understanding of customers, the construction of customer database is required. The systematic database of personal and purchasing information on customers enables companies to analyze it and deal with customers individual by individual. Secondly, choose target customers and concentrate on making them purchase. The market segmentation is essential To select target customers effectively. For the effective market segmentation, in addition to demographic variables of customers, segmentation variables such as purchase patters, pursuing benefits based on needs for customers should be utilized properly ; additionally, a new insight to choose target customers can be obtained through market segmentation with customer lifetime value or contribution to profits using modeling techniques. Thirdly, improve the customer convenience using information technologies. Analyses of accumulated customer information enables companies to have a indirect grip on what interests customers have and what benefits each customer pursue, but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rough what offers expected response rates can be obtained : though what value propositions expected responses can be gained from customers is another matter. Fourthly, convert product centered organizations to customer oriented organizations. In order to succeed in customer-oriented marketing activities, the concentration should be focused on increasing customer convenience and improving service qualities. In these aspects, information technologies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se activities, much interest and investment in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are needed. To let marketing managers focus on increasing customer shares and keep taking responsibilities for that matter, it is desirable that marketing departments should be converted to customer management organizations. For conversion to customer-oriented organizations, classifying customers in groups and making customer portfolios should go first : effective segmentation should be done on a basis of customer lifetime value, contribution to profits, purchase patterns etc. If customer managers are arranged properly according to completed customer portfolios, each of them should be allowed to take responsibilities for increases and decreases in customer shares and customer lifetime values of every customer in his portfolio. Customer managers should be responsible for developing and providing products and services that customers want. Responsibilities and authorities must be given to customer managers at the same time so that they can carry out their duties smoothly : customer managers should be empowered to take rapid steps to solve every customer's problems and to decide products/services mix. It is desirable that customer-oriented culture should be formed by top-down way rather than by bottom-up one ; for it is difficult to expect that customer-oriented culture will be spontaneously fixed without CEO's strong leadership. Especially, staff as well as CEO need to take the initiative.

      • 한국 민간경비 교육훈련제도의 정립에 관한 연구

        강영길 용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number of security companies in Korea is 2,671 and the number of security guards have reached 127,620 as of December 2006. However, the qualitative growth of private security leaves much to be desired and is yet faced with many problems for its quantitative growth known to the general public. It is necessary to systemize the founda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in order to run effectively the private security services that are diversified and specialized and enhance the quality of the private security guards. Among problems in enhancing the quality of the private security, this study has dealt with the training aspect of the object to secure the professionalism of the security guard. The goal of this research lies in presenting the practical establishment plans of private security force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rivate security force in Korea. The problems of current regulations regarding the private security were analyzed and the improvement plans have been presented. And the actual conditions were analyzed to ameliorate problems of formal training system that's run by private security training facilities and security companies. The fundamental research method of this thesis to establish private security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includes collecting and analyzing documents published in and outside the country, scientific journal and research thesis.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regarding foreign private security forces, which is considered as advanced security countries, was reviewed. The researcher of this thesis utiliz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research. Collection of the materials needed was done by the collection method of technological research. Relevant document materials were reviewed and the in-depth interviews of professors of relevant department in college, operators of private security education and training facility and staffs in charge of security company & relevant organization of private security force were conducted. The plans to establish the training system of private security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of private security according to the change in policy needs to be increased. Before, the obsolete thought that all the security activities are the responsibility of the policemen was rampant. Now, there has been a change in paradigm that it also includes all activities and security participation of various groups. The role of private security must increase more from now on. Moreover, cooperation between the police force and the private security force is essential and must come true in order to establish the social safety net. Security business is a professional job. Change in societal recognition must take place through securing professionalism. Introduction of qualification system of the guard must be examined in the ways to promote specialized security business through enhancing the quality of the guard and enhanced credibility by the customers. And from the participatory point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when the guard or the security leader maintains the right attitudes and participates voluntarily to secure professionalism regarding that the duty of training as an investment, ideal result of the training would be produced. Second, improvement of legislative system regarding private security education and training is demanded. The restriction of security business law such as reinforcement of qualification or disqualification of guards and officials of security company needs to be strengthened. Moreover, the resolution of original problems is demanded through hiring professional manpower by providing benefits to students who received professional training at the relevant department of the university. According to current security business law, the education and training regulations of security guards consist of low standard and short training hours. The reform of security business law regarding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incoming general guards that consists of programs focused on manpower security is demanded. The hours and subjects of training must be reorganized by the five duties of security business classified by the law of security business which are facility guard, escort guard, safety guard, machinery guard, and special forces guard. And under the guard system of no national qualification except for the guard leader, introduction of qualification system by guard duties and reconstitution of educational programs are essential. The police has introduced the special forces guard system so that the security duties of important national facilities that was presided by specially detailed policeman can also be executed by private guards to promote specialized and systemized security of important national facilities. And the legislative system that's divided into specially detailed policeman and special forces guard must be integrated. The problems regarding education and training of incoming guards and job training are indicated as education and training hours and formal enforce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And the hours and subjects of the training must be regulated in order for practical training could take place and the hours could be adjusted to longer periods of time. Third, the capacity of private security education and training facility must be reinforced. professional quality of the instructor of education and training facility must be secured for that and the improvement of labor conditions for the instructor is necessary as well. But more than anything, the qualitative enhancement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facility should be the main focus. As a good example, after grasping equipment status of educational devices/·appliance at the training space of private security education and training facility in the whole country, th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only seven with exclusive exercise facility to practice self defense and apprehension skills. The private security education and training facility needs to be facilitated as a specialized education and training facility.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 number of students in class must be regulated and to increase educational effectiveness, the program must be customized for the level of students and be business practice oriented. Moreover,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materials must be continued. Fourth, educational facility of universities must secure its identity. The security concerned departments of in Korea are established in about 60 universities and the numbers are increasing. But it's pointed out that there has only been qualitative growth without abundant research record/result or the establishment of scientific domain regarding private security. And each school by running individu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to nurture professional manpower lacks realism. University should be faithful to its original duty. Universities these days are focused on supplementing the students due to oversupply and decrease in demand. And in provincial universities, it's happened that the school does not serve its original purpose and even the professors are mobilized in supplementing the students. These factors will play major role in degrading the quality of education. It is time for the university to realize the nature of its existence and functions and secure the identity. Fifth, substantial training should be given through the reform of security leader system. Many security leaders have passed the exam yet most of them tend to not go further than just holding the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This situation is caused by the lack of recognition of the current security industry. Conditions that need to be improved include security leader's ability to perform his duties, problems of security leader exam(qualification standard including the age limit, need for subject adjustment, problems of relative difficulty of the exam), subjects adjustment regarding applicants who've passed the security leader exam(theory and business practice), absence of working manual, absence of refresher education and training, reinforcement of capacity of security leader association, reinforcement of administrative guidance and conversion of recognition by the security industry, and nurturing policy of profess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acility. Sixth, the role of relevant organization and academic world needs to be increased. Substantial organizations of private security include the National Police Agency, Korea security association, Korea private security leader association, universities, academy, and research institution. The role of relevant organizations that mutually cooperate in management and supervision needs to be augmented for smooth operation of the private security services. The Korea security association must fully support the matter regarding sturdy nurturing and promotion of private security by carrying out major tasks like security efficiency completely. The Korea private security leader association must continuously make efforts to raise the leaders that directly instruct, supervise, and educate security guards. The police force since it holds direct control over the private security service, needs to manage and supervise that the division of works is in ideal condition along with augmentation of personnels that work in relevant department of main office & intendants in accordance with the rapid growth of private security services. Duties regarding instructing and operating the security business must be carried out effectively and the systematic standard manual in accordance with the case needs to be secured and provided. 국내 경비업체는 2006년 12월 현재 2,671개에 이르며, 경비원 수는 127,620명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민간경비에서는 대외적으로 알려진 만큼의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은 아직까지 당면된 문제들과 미흡한 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다양화·전문화되어가는 민간경비업무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민간경비원의 질적 수준향상을 위해서는 원천적으로 교육훈련제도를 체계화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민간경비의 질적 성장의 문제점 들 중 경비원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교육훈련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현행 민간경비관련 법 규정들의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민간경비 교육기관과 경비업체에서 실질적으로 행하고 있는 형식적인 교육훈련제도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실태를 분석하며, 현재 한국의 민간경비 업무특성을 고려한 실질적인 민간경비 교육훈련제도의 정립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민간경비 교육훈련제도를 정립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는 국내외에서 발간된 문헌들과 학술지 및 연구논문 등과 같은 문헌자료를 수집·분석하였고, 시큐리티 선진국으로 일컬어지는 외국의 민간경비와 관련된 교육훈련제도를 조사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기술적 연구의 자료수집 방식에 따라 관련 문헌자료 조사, 민간경비 유관기관 및 경비업체 실무자, 민간경비 교육기관 운영자, 그리고 경호·경비관련학과 교수들에 대한 심층면담 조사의 방식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민간경비 교육훈련제도의 정립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적 변화에 따라 민간경비의 역할은 한층 더 증대되어야 한다. 종전 모든 치안활동은 경찰만의 책임이라는 사고가 만연했다. 최근에는 다양한 주체의 치안참여와 활동이라는 패러다임 변화가 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민간경비의 역할이 한층 증대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경찰과 민간경비의 협력치안이야말로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과제라 말할 수 있다. 경비업은 전문직이다. 전문성 확보를 통해 사회 인식의 변화의 틀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경비원의 자질향상을 통한 경비업의 전문화와 고객 신뢰도 향상을 기할 수 있는 방안으로 경비원 자격제도의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 또 교육의 참여 측면에서 경비원, 경비지도사 스스로가 자발적으로 전문성 확보를 위한 교육 자세를 견지하고 참여할 때, 그리고 경비업자는 교육의 의무를 투자라는 인식으로 접근할 때 비로소 교육훈련에 대한 바람직한 결과가 나타날 것이다. 둘째, 민간경비 교육훈련 관련 법제의 정비가 요구된다. 경비원과 경비업체 임원의 자격 및 결격사유 보강 등 경비업법의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 아울러 전문적 교육훈련을 받은 경호·경비관련학과 학생들에게 혜택을 주는 등의 전문적 인적자원 채용을 통한 근원적 문제 해결방안이 요구된다. 현행 경비업법상 경비원에 대한 교육훈련에 관한 규정은 낮은 수준, 짧은 교육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력경비위주의 교육으로 구성된 일반경비원 신임교육에 대한 경비업법의 개정이 요구된다. 경비업법에서 구분한 경비업의 5개 업무(시설경비, 호송경비, 신변보호, 기계경비, 특수경비)별로 그에 맞는 교육의 과목과 시간을 재정비해야 한다. 그리고 경비지도사외에 국가자격이 없는 경비원 제도 하에서 경비업무별 자격제도 도입과 교육프로그램 재구성 되어야 하겠다. 경찰에서는 국가중요시설 경비의 전문화, 과학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종래 청원경찰이 전담하는 국가중요시설의 경비업무를 민간경비원도 수행 가능토록 특수경비제도를 도입하였는데 청원경찰과 특수경비원으로 이원화되어있는 법제의 통합이 되어야 한다. 경비원의 신임교육과 직무교육에 관한 문제는 교육시간 문제, 형식적인 교육의 시행 등으로 지적되고 있는바 경비원 교육 시간을 강화하고 실질적인 교육이 시행될 수 있도록 교육시간과 교과목들을 조정해야 한다. 셋째, 민간경비 교육기관의 역량을 강화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민간경비 교육기관 강사의 전문성을 확보해야 하고 강사에 대한 처우개선도 요구된다. 무엇보다 교육기관의 질적 향상을 기해야 한다. 실례로 전국 민간경비 교육기관의 교육장 및 교육장비·기자재 구비현황을 파악한 결과를 보면 호신·체포술을 실습할 수 있는 전용실습장을 구비한 기관은 7개에 불과한 것과 같이 민간경비 교육기관은 전문교육 기관화 되어야 한다. 교육운영 측면에서는 수업인원을 적정화 하여야 하고,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획일적인 교육보다는 교육생의 수준에 맞고 실무중심적인 교육방법을 채택해야 한다. 더불어 교육을 위한 교육교재의 개발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대학 교육기관은 정체성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의 경호·경비관련학과는 현재 60여개 대학에 설치되어 있고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민간경비에 대한 학문적 영역의 설정이나 풍부한 연구 실적과 성과가 없이 양적 팽창만 이루어졌다는 지적과 전문 인력의 양성과 배치되는 교육과정을 학교마다 달리 운영함으로써 현장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으며, 대학은 대학으로서 본연의 임무에 충실해야 한다. 최근 대학들은 공급과잉, 수요부족으로 학생충원에 열을 올리고 있으며 지방대학의 경우 본연의 기능보다는 학생모집에 교수들 또한 내몰리고 있다. 이러한 것들은 대학 교육의 질을 떨어뜨리게 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대학은 대학기능과 존재의 본질을 깨닫는 정체성을 확보해야 할 때이다. 다섯째, 경비지도사제도 개정을 통한 실질적 교육이 시행되어야 한다. 현재 경비업계의 인식부족 등으로 인해 많은 경비지도가가 시험에 합격하여 배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단지 ‘자격증’소지자로서만 만족해야 하는 경향이 있다. 개선사항들로는 경비지도사의 직무수행역량 문제, 경비지도사시험 문제(연령 등의 응시자 자격기준, 시험과목 조정의 필요성, 시험 난이도의 문제점), 경비지도사 합격자에 대한 교육과목에 관한 조정(이론과 실무), 경비지도사 업무매뉴얼 부재, 경비지도사의 직무·보수교육 등 재교육 부재, 한국경비지도사협회의 역량 강화, 행정지도 강화와 경비업계의 인식 전환, 전문교육기관의 육성책 등이다. 여섯째, 유관기관 및 학계의 역할을 증대시켜야 한다. 민간경비의 실질적 관계기관은 경찰청, 한국경비협회, 한국경비지도사협회, 대학, 학회, 연구소 등이다. 민간경비 업무의 원활한 운용을 위해서는 상호 협력하고 관리·감독 할 수 있는 관계기관의 역할이 증대되어야 한다. 한국경비협회는 경비진단 등과 같은 주요업무들을 충실히 해 민간경비의 건전한 운영과 육성에 관한 사항들에 대해 적극 지원해야 한다. 한국경비지도사협회에서는 경비원을 직접 지도·감독·교육하는 경비지도사의 육성을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전개해 나가야 한다. 민간경비업무의 직접적 제어기관인 경찰청에서는 급성장하고 있는 민간경비업무에 비례하여 본청 및 지방청에서 근무하고 있는 담당부서 직원의 증원은 물론 부서의 역할분담을 철저히 하여, 민간경비업체가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 할 수 있도록 관리·감독해 나가야 한다. 또한 사안에 따른 체계적인 표준 매뉴얼을 확보하여 제공하는 등 경비업의 지도·운영에 관한 업무를 충실히 수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 한국 민간경비제도 정립을 위한 경비업법 개선방안

        이민형 용인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3

        안전이란 위험 발생의 원인이 제거된 상태이나 이것은 개인 혼자만의 노력으로는 이룰 수 없으며 전체 사회의 유기적 치유 활동이 선행되어야 가능하다. 즉, 범죄의 사후적 대처 보다는 범죄 예방이 국민의 안전 확보 방안으로서 최선책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활동의 구심점이 국가 공권력의 행사인데, 그 행사의 법적 기반을 둔 경찰이 전반적으로 치유하기에는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따라서 그러한 한계의 대안으로 국민 개개인의 안전 확보 활동을 민간영역에서 대행하기에 이르렀으며 이것이 바로 공경비에 대비한 민간경비이다. 공경비 한계에 따른 이러한 민간경비의 필요성은 국내뿐만 아니라 선진 외국에서도 이미 대두되어 민간경비 산업을 육성하고, 발전시켜 현재 범죄 예방에 있어서는 경찰 이상의 양적·질적 발전을 이룩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있어서 국민들은 경찰력의 한계를 인식하고는 있으나 그러한 문제점의 원천적인 해결책만을 강구하는 실정이며, 범죄 예방의 제1차적인 담당자는 국민 개개인이 아닌 경찰의 몫으로만 인식하고 국가 공권력만이 범죄 발생 억제의 최우선이라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로 인해 경찰의 양적·질적 발전만을 생각할 뿐 새로운 방안으로서의 민간경비에 대한 인식은 선진 외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이러한 국내 실정은 제도적 취지에 부합하지 못한 민간경비 산업의 현실적 수준 미달이 그 원인이며, 그에 따른 법적 기반인 현행 「경비업법」으로는 취약하기 때문이다. 선진 외국의 모델 제시에 따른 새로운 범죄 예방 활동의 수용에 있어서 현실적 운용이 민간경비 산업의 자체적 취약성으로 그 효용을 기대할 수 없기에 그러한 문제점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가 이미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개선책의 선결문제로서 민간경비제도의 기반이 되는 경비업법의 문제점 도출과 개선이 없으면 민간경비산업 자체의 제도적 실효 방안에 대한 실체법적 기반 정립과 그 시행은 요원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비록 경비업법에 대한 개선방안을 주제로 한 선행연구가 다수 존재하지만, 이들 연구의 문제점으로는 경비업법의 문제점 및 방안 모색을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위주로 전개되었다는 점이며, 문헌고찰에만 의존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경비업법에 관한 문제점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가 없었으므로 연구의 효과 내지는 실제적인 결과와는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문헌연구에만 의존하였던 선행연구와는 다른 연구방법인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즉 경비업법 전문가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할 수 있는 탐색적 기초연구인 심층면담기법을 활용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하여 내용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국내 현실에 맞는 민간경비산업의 질적 발전을 이룩하고, 한국 민간경비의 제도적 정립을 위한 경비업법의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경비업자에 대한 자격요건으로서 관련 업무에 대한 교육훈련과 직업윤리교육을 통한 윤리 측정의 객관성 확보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또한 현실적으로 이러한 요건 강화와 더불어 결격사유를 강화하여야 하고, 허가와 관련된 부당행위에 대한 행정형벌로의 처벌이 이루어지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허가를 통한 사전적 행정규제 이후에도 지속적인 감독이 이루어져야 하며, 장기적으로 독립기관 설립을 고려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경찰 조직 내 전담 부서 신설 또는 확대를 위한 관계 법령을 개정하여야 한다. 둘째, 경비원의 업무 범위를 세부적으로 정하여 급수별·유형별 국가공인자격증 취득을 유도하도록 하여야 하며, 그 방법상으로 임의규정으로 하여 업계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자격제도 관련 규정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기계경비 대응체제에 있어서 25분 도착 규정을 시설 기준으로 보고, 이에 대한 보완적 장치로 현장 확인 의무를 규정하여야 하며, 기계경비 출동차량을 긴급차량으로 명문화되어야 한다. 그리고 현장대응에 있어서는 경찰과의 연계가 될 수 있도록 치안행정상의 지원이 절실히 요구되는 바 관계기관의 업무 수행 방식에 대한 민간경비와의 협력체계가 이루어지도록 법제화 되어야 한다. 넷째, 일반경비원에 대한 교육과정을 지원 분야에 따라서 또는 경비업종에 따라서 세분화 하여 각 업무별 교육이 구분되어 이루어지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세분화 된 교육에 있어서도 이론 보다는 실기 위주의 교육 과목으로 수정되어야 하며, 특수경비원의 경우 시설별 특성에 맞는 현장실습교육을 추가하여야 한다. 그리고 경비지도사 자격에 유효기간을 두어 갱신 시마다 일정 기간에 따른 보수교육에 관한 내용을 신설하고, 그에 대한 시행관련 규정을 마련하여야 한다. 이와 더불어 경비지도사의 교육 과목 중 경비지도사 시험과 중복되는 내용은 그 시간을 줄이고, 현장실습과 관련된 교육과목의 시간을 늘려야 한다. 다섯째, 현행 경비업법상 경비업무를 기능별로 구분하여 세분화하여야 하며, 각 업무 영역에 해당하는 직무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여야 한다. 또한 교통유도업무와 민간조사업무를 경비업법에 도입하여 법제화 하여야 한다. 여섯째, 청원경찰법과의 관계에서는 양법을 통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실익이 없으며, 부분적 수정을 통하여 그 격차를 좁혀나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주택법과의 관계에서 최소한 경비원 교육과 결격사유 정도는 경비업법이 적용되도록 관련부칙이 개정되어야 한다. 일곱째, 민간경비의 공공성 확보 취지를 살리기 위해 선의의 영세업체에 대한 정부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경비원에 대한 최저임금제와 더불어 그에 대한 임금지급을 담보하기 위한 정부지원 정책이 수립되어 실행되어야 한다. Security is a state in which the cause of risk is removed but it can not be achieved by individual efforts only and requires organic, healing activities by the entire society. That is, crime prevention, rather than ex-post measures, is the best policy to protect the security of people. The focus of such activities is the exercise of state power but the police, whose legal base is state power, has limitation as a comprehensive solution, in reality. Therefore, as alternative to such limitation, private sector has been vicariously protecting the security of individual citizens, which is private security as opposed to public security. Need for such private security due to the limit of public security has already been raised in developed countries as well as in Korea and developed countries have been promoting and developing private security industry, which has achieved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 not lower than the level of police in crime prevention. However, in Korea, people recognize the limitation of police force but only search for fundamental solution for the problem. And generally Koreans regard crime prevention as primary responsibility of the police only, not of individual citizens, and think that state power is the priority solution for crime prevention. Thus, people only think about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 of police but have a low perception of private security as a new solution. The reason for such domestic reality is the low level of private security industry which fails to achieve its goals and the weakness of current ls to achBusiness Act, which is its legal foundation. In accepting new crime prevention activities according to the models of developed countries, effect can not be expected of actual operation due to the inherent weakness of private security industry, so studies are already being conducted to solve the problem. However, as precondition for improvement, without finding problems of, and improving, Security Business Act which is foundation for private security system, establishing legal foundation for effective, systematic solutions for private security industry and implementing it may have a long way to go. And, although many preceding studies exist on the improvement of Security Business Act, their problem is that they approached Security Business Act’s problems and solutions on the basis of researchers’ subjective judgment and relied on literature only. It can be said that since there was no testing tool to accurately measure the problems of Security Business Act, there was discrepancy from the effect of study or from actual result. Thus,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different from preceding studies which relied on literature only. That is, it used an in-depth interview method, an exploratory basic research which can actively collect opinions of experts on Security Business Act and through such research process, reached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achieve qualitative development of private security industry suitable for domestic reality and systematically establish private security in Korea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ult, measures to improve the Security Business Act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as qualification for security companies, measures to secure objective measurement of ethics have to be taken through education/training and job ethics education for relevant work. Also, in reality, along with such strengthening of requirements, disqualification has to be strengthened, and the law has to be amended so that administrative punishment shall be imposed for permit-related violations. And, continued supervision is still required after ex-ante administrative regulation using permit and, realistically, rather than establishing an independent agency, a department in charge within the police has to created or expanded by amending relevant laws. Second, scope of work of security guards has to be defined in detail to induce them to obtain government-certified license according to relevant level and type. Such matters have to be implemented by non-mandatory provisions and the license-related provisions have to be provided for so that autonomy of the industry can be respected. Third, the 25 minute arrival provision for mechanical equipment security response system has to be deemed based on facility standard, and duty of on-site confirmation has to be provided for as supplementary measure thereto, and vehicle for mechanical equipment security has to be specified as emergency vehicle. And, since support of public security administration is desperately needed to enable interaction with police regarding on-site response, law has to be enacted to allow cooperation system with private security in the conduct of duty by relevant agencies. Fourth, training program for general security guards has to be subdivided according to the applied field or security business type so that training shall be differentiated among the works. Also, the subdivided training program has to be revised to focus on practical, rather than theoretical, courses, and on-the job training (OJT) appropriate for each facility has to be added for special security guards. And, license for chief security guard has to have validity period so that for each renewal thereof, training requirement has to be introduced and provisions to enforce it have to be provided. Also, among the training courses for chief security guard, those overlapping with the examinations for chief security guard have to be reduced and the OJT-related courses have to be increased, in terms of amount of time. Fifth, security work under the current Security Business Act has to be subdivided according to functions thereof, and the work corresponding to each area of work has to be specified. Also, traffic inducement and private investigation have to be regulated by law by including in the Security Business Act. Sixth, regarding the relationship with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Act, integrating both Acts has no realistic benefit, so the gap has to be reduced through partial amendment. Also, regarding the relationship with Housing Act, at a minimum, relevant addendum has to be amended so that Security Business Act shall be applied to training and disqualification of security guards. Seventh, government support has to be provided to good-faith, small security companies to secure the public nature of private security, and minimum wage system for security guards and government support policies to ensure payment of minimum wages have to b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 민간경비 조직의 진정성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의 구조적관계 : 긍정심리자본,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김한진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민간경비는범죄와 테러리즘 등과 같은폭력의 재생산이 극대화되고 있는 실정에서공경비의한계를극복하며사회안전을지탱하는중요한주체로자 리매김을하게되었다.최근전세계적으로불어닥친코로나19팬데믹여파 로 민간경비는 방역분야까지도서비스를 간접적으로 확대해가고있기때문 에향후그성장세가더해갈것으로판단되어진다.최근까지민간경비산업 은 높은 이직률과 잦은 폐업으로 인한 영세성 및 과도한 경쟁, 성과중심의 조직분위기로인하여적절한리더십이발휘되지못하고있다.그러나갈수록 조직경영에있어서리더십은그어느때보다도중요하게인식되고있기때문 에 다양한 각도에서 리더십이 개발되고 있다. 특별히 현대 사회는 조직 내 공정성과투명성이강조되고있기때문에최근그에적합한리더십으로진정성 리더십이주목을받고있다. 진정성리더십이산업현장과학계에서주목 을 받게 된 가장 큰 이유에 관하여 Luthans & Avolio(2003), 이동형(2020), 이대만(2021) 등은급변하는기업환경에 대하여과거의리더십으로는조직 의 혁신과 조직시민행동을 이끌어 낼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민간경비산업의지속적인발전을위해민간경비원의진정성리더십 과긍정심리자본,조직신뢰,조직시민행동간의구조적관계를규명하고자하 였다.이연구는양적연구로써질문지법을통하여결과를도출하였다. 먼저, 측 정도구의적절성검토를위해본조사를실시하기에앞서, 예비조사를실시 하였다(2021년10월29일부터동년11월07일).예비조사를위해배부된질문 지는총120부였으나,극단치34부를제거한86부를대상으로질문지의타당 도와신뢰도를검증한후전문가회의(3명으로구성)를통해본질문지를개 발하였다.본조사는2022년1월10일부터2022년3월10일까지총3개월간 20개의민간경비업체에재직중인민간경비원을대상으로450부의질문지를 배부하였다. 질문지는코로나19 방역문제로인하여SNS로전달하는온라인 응답방식으로 진행하였다. 450부의 질문지 중에서 회수된 질문지는 400부였 으며,극단치가있는42부는제거되었다.최종적으로데이터로활용한질문지 는358부였다.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를 위하여 먼저 데이터를 코딩한후,SPSSWIN24.0과AMOS24.0등두개의통계프로그램을활 용하여일곱개의연구문제를분석하였다.이상의과정을통하여얻은연구의결과는다음과같다. 첫째, 민간경비원의진정성리더십과조직신뢰의관계를검증한결과, 진정성 리더십과 상사신뢰의관계에서 자아인식은 상사신뢰(β=.606***)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관계적 투명성또한 상사신뢰(β=.225***)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으나, 도덕적관점은 상사신뢰(β=.024)에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진정성 리더십과 동료신뢰 와의 관계에서 도덕적 관점은 동료신뢰(β=.193**)에 정(+)의 영향을 미 치고, 자아인식도 동료신뢰(β=.278**)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계적 투명성은 동료신뢰(β=.126)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 향을미치지 않는것은 나타났다.따라서<가설1>은‘부분채택’되었다. 둘째, 민간경비원의진정성리더십과긍정심리자본의관계를검증한결과, 진 정성 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도덕적 관점은 자기효능감(β =.290***)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자아인식도 자기효능감(β=.191*)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계적 투명성은 자기효능감 (β=.068)에유의한 영향을 미치지않는것은나타났다.그리고 진정성 리 더십과 낙관성의 관계에서, 도덕적 관점은 낙관성(β=.210*)에 정(+)의 영 향을 미치고, 자아인식도 낙관성(β=.363)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으나, 관계적 투명성은낙관성(β=.082)에유의한영향을미치지 않는것은나타났다. 그리고 진정성 리더십과회복력의 관계에서,도덕적 관점은 회복력(β=.350***)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인식은회복력(β=.147)에유의한영향을미치지않으며, 관계적 투명 성도 회복력(β=.074)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나타났다. 따라 서<가설2>는 ‘부분 채택’되었다.셋째, 민간경비원의 진정성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진정성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의관계에서도덕적관점은자기효능감 (β=.290***)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자아인식도 자기효능감(β=.191*)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계적 투명성은 자기효능감 (β=.068)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나타났다. 진정성 리더십과 참여적 행동의관계에서, 도덕적 관점은 참여적행동(β=.266***)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자아인식도 참여적 행동(β=.190*)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관계적 투명성 또한 참여적 행동(β=.191*)에 정(+)의 영향을 미 치는것으로나타났다.그리고진정성리더십과 정당한 행동의 관계에서, 도덕적 관점은 정당한 행동(β=.002*)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인식은 정당한 행동(β=-.094)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관계적 투명성도 정당한 행동(β=.001)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 는것으로나타났다.따라서<가설3>은‘기각’되었다.넷째, 민간경비원의 조직신뢰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조직신뢰가 이타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동 료신뢰는 이타주의(β=.427***)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상사신뢰는 이타주의(β=.054)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신뢰와 참여적 행동의 관계에서, 상사신뢰는 참여 적 행동(β=.356***)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동료신뢰도 참여적 행동(β =.321***)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신뢰와 정당한 행동의 관계에서, 상사신뢰는 정당한 행동(β=-.200**)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동료신뢰는 정당한 행동(β=-.053)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4>는‘부분 채택’되었다.다섯째,민간경비원의긍정심리자본과조직시민행동의관계를검증한결과,긍 정심리자본과 이타주의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이타주의(β=.175*)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력도 이타주의(β =.566***)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낙관성은 이타주 의(β=.027)에유의한 영향을미치지않는것은 나타났다.긍정심리자본과 참여적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참여적 행동(β=.185*)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낙관성도 참여적 행동(β=.447***)에 정(+)의 영향을 미치 - iv -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회복력은 참여적 행동(β=.087)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것은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과정당한행동의관계에서, 낙 관성은 정당한 행동(β=-.218*)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자기효능감은 정당한 행동(β=-.109)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나타났으며, 회복력도 정당한 행동(β=.155)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것으로 나타났다.따라서<가설5>는‘부분채택’되었다.여섯째, 진정성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이타주의, 참여적 행동, 정당한 행동)의 관계에서 조직신뢰(상사신뢰, 동료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 과, 진정성 리더십과 이타주의와의 관계에서 상사신뢰(β=-.030)는 간접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정성 리더십과 참여적 행동의 관계에서, 자아인식과 참여적 행동의 관계에서 상사신뢰(β=.178***)는 정(+)의 완전매개효과가 있고, 관계적 투명성과 참여적 행동의 관계에서 도 상사신뢰(β=.066*)는 정(+)의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진정성 리더십과 정당한 행동의 관계에서, 도덕적 관점과 정당한 행동의 관계에서 상사신뢰(β=.007)는 간접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 나, 자아인식과 참여적 행동의 관계에서 상사신뢰(β=.192*)는 정(+)의 완 전매개효과가 있고, 관계적 투명성과 참여적 행동의 관계에서 상사신뢰 (β=.036*)는정(+)의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나타났다.또한, 진정성 리더십의 도덕적 관점과 이타주의의 관계에서 동료신뢰 (β=.308***)는 정(+)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인 식과 이타주의의 관계에서 동료신뢰(β=.092**)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관계적 투명성과 이타주의의 관계에서 동료신 뢰(β=.042)는 간접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덕적 관점과 정당한 행동의 관계에서 동료신뢰(β=.057**)는 정(+)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고, 자아인식과 정당한 행동의 관계에서 동료신뢰(β=.082**)는 정(+)의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관계적 투명 성과 참여적 행동의 관계에서 동료신뢰(β=.037)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 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덕적 관점과 정당한 행동의 관계에서 동료신뢰(β =.182)는 매개역할을 하지 않고, 자아인식과 정당한 행동의 관계에서도 동료신뢰(β=.267)는 매개역할을 하지 않으며, 관계적 투명성과 정당한 행 동의 관계에서도 동료신뢰(β=.115)는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다.따라서<가설6>은‘부분채택’되었다. 일곱째, 진정성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자기 효능감, 낙관성, 회복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도덕적 관점과 이타 주의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β=.146***)은 정(+)의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인식과 이타주의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β=.151) 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적 투명성과 이타주의 의 관계에서도 자기효능감(β=.003)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다. 도덕적 관점과 참여적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β=.104***)은 정(+)의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인식과 참여적 행 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β=.069)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관계적 투명성과 참여적 행동의 관계에서도 자기효능감(β=.024) 은매개역할을하지않는것으로나타났다. 도덕적관점과정당한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β=.278)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고, 자아인식과 정당 한 행동의 관계에서도 자기효능감(β=.179)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 로나타났으며, 관계적투명성과정당한행동의관계에서도자기효능감(β =.056)은매개역할을하지않는것으로나타났다. 또한, 도덕적 관점과 이타주의의 관계에서 낙관성(β=.090**)은 정(+)의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인식과 이타주의의 관계에서 낙관성(β=.157***)은 정(+)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 vi -러나관계적투명성과 이타주의의관계에서 낙관성(β=.035)은매개역할을 하지않는 것으로나타났다.도덕적관점과참여적행동의관계에서낙관 성(β=.097**)은 정(+)의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인식 과 참여적 행동의 관계에서 낙관성(β=.168***)은 정(+)의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관계적 투명성과 참여적 행동의 관계에서 낙관성(β=.379)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덕적 관점과 정당한 행동의 관계에서 낙관성(β=.102)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인식과 정당한 행동의 관계에서 낙관성(β=.255)은 매개역 할을하지않는 것으로나타났으며, 관계적투명성과정당한행동의관계 에서낙관성(β=-.026)은매개역할을하지않는것으로나타났다. 또한,진정성리더십과조직시민행동의관계에서회복력의매개효과를검증 한결과, 도덕적 관점과 이타주의의 관계에서 회복력(β=.198***)은 정(+) 의 완전매개효과가있는것으로나타났으나, 자아인식과이타주의의관계 에서 회복력(β=.095)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적 투명성과 이타주의의관계에서도회복력(β=.045)은 매개역할을하지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덕적 관점과 참여적 행동의 관계에서 회복력 (β=.010***)은 정(+)의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인 식과참여적행동의관계에서회복력(β=.010)은매개역할을하지않는것 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적 투명성과 참여적 행동의 관계에서 회복력(β =.024)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덕적 관점과 정당한 행동의 관계에서 회복력(β=.015)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인식과 정당한 행동의 관계에서 회복력(β=.007)은 매개역 할을하지않는 것으로나타났으며, 관계적투명성과정당한행동의관계 에서 회복력(β=.003)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7>은 ‘부분 채택’되었다. 위의 실증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시사점은다음과같다.기업의 경영자들과 관리자들은 진정성 리더십 개발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진정성 리더십이 조직 내에서 잘 정착될 수 있도록 조직관리 측면 에서 집중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진정성 리더십을 통한 조직 내 구성원 들의긍정심리와신뢰향상에도신경써야할것이다.긍정심리가형성된 구성원은 문제가 발생하거나 역경에 부딪혔을 경우 성공의 목표를 이루 기 위하여 참고 견디며 스스로의 과업이나 관련 목표에 대한 성공 또는 성취에대하여긍정적으로동기부여를가지게된다.또한 신뢰 관계가 잘 형성되어 있는 조직의 구성원들은 의사소통의 개 방을 통한 정보교환과 공유가 활발하여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함으로써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한 협력과 협동행위를 재고할 뿐 아니라 구성원들 이 조직에 대한 굳건한 공동체 의식 함양과 조직에 대한 소속감과 신념 을가지고조직운영에자발적으로참여하게된다.따라서 조직내에서 구성원들이 서로 신뢰를갖도록 하여야할 것이다. 또한 상사에 대한 신뢰가 형성되고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행동은 조직시 민행동으로 연결되기 위해서 조직이 정서적 및 수단적지원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해줄필요가있음을알수있다. Private security overcame the limits of public security in a situation where the reproduction of violence such as crime and terrorism is maximizing, and has established itself as an important entity supporting social safety. In the aftermath of the COVID-19 pandemic that has recently swept around the world, private security is indirectly expanding its services to the quarantine field, so its growth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Until recently,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did not show properleadershipduetohighturnoverrate,smallbusinessduetofrequent closures, excessive competition, and a performance-oriented organizational atmosphere. However, as leadership is increasingly recognized as more important than ever in organizational management, leadership is being developed from various angles. In particular, since the modern society emphasizes fairness and transparency within the organization, sincerity leadership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suitable leadership. Regarding the biggest reason why authentic leadership has received attention in industry and academia, Luthans & Avolio (2003), Lee Dong-hyeong (2020), and Lee Taiwan (2021), etc.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behavior.Therefore,thisstudytriedtoinvestigatethe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of private security guard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behaviorforthecontinuousdevelopmentoftheprivatesecurity industry. As a quantitative study, the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the questionnaire method. First,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29,2021toNovember07, thesameyear)priortoconductingthis survey to reviewthe appropriateness of the measurement tool. Atotal of 1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but afterverifyingthevalidityandreliabilityofthequestionnairefor86copies with 34 extremum values ​​removed, this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roughanexpertmeeting(composedof3people).Foratotalof3months from January 10, 2022 to March 10, 2022, 4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private security guards working in 20 private security companies.Thequestionnairewasconductedinanonlineresponsemethod delivered via SNS due to the COVID-19 quarantine problem. Of the 450 questionnaires, 400 were recovered, and 42 with extreme values ​​were removed.Finally,358questionnaireswereusedasdata. In the analysis method of this study, data were first cod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collected data, and then seven research questions were analyzed usingtwo statistical programs such as SPSS WIN24.0 and AMOS24.0. The results of the study obta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trust of private security guar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boss trust, self-awareness hadapositive(+)effectonbosstrust(β=.606***),andItwasalsofound that transparency in supervis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trust in superiors (β=.225***), but moral perspectiv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rust in superiors (β=.024).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peer trust, moral perspective has a positive (+) effectonpeertrust(β=.193**),andself-awarenessalsohasapositive(+) effect on peer trust (β=.278**). However, it was found that relational transparencydidnothaveastatisticallysignificanteffectonpeertrust(β =.126).Therefore,<Hypothesis1>was‘partiallyaccepted’.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private security guar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self-efficacy, the moral point of view had a positive (+) effect on self-efficacy (β =.290***). , self-awareness also appear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self-efficacy (β=.191*), but relational transparenc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elf-efficacy (β=.068).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ptimism, moral perspective has a positive(+)effectonoptimism(β=.210*),andself-awarenessalsohasa positive (+) effect on optimism (β=.363). However, it was found that relational transparenc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optimism (β=.082).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resilience, moral perspectiv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resilience (β=.350***), but self-aware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silience (β =.147). It was found that relational transparenc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resilience (β=.074). Therefore, <Hypothesis 2> was ‘partially accepted’.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private security guards, the moral point of vie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self-efficacy has a positive(+)effect on self-efficacy (β=.290***), Self-awareness was also found to have a positive(+)effect on self-efficacy (β=.191*), but relational transparenc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elf-efficacy (β=.068). In the relationshipperspective has a positive (+) effect on participatory behavior (β =.266***), and self-awareness also has a positive (+) effect on participatory behavior (β=.190*). +), and relational transparency was also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participatory behavior (β =.191*).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ity leadership and legitimate behavior, the moral point of view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legitimate behavior (β=.002*), but self-awareness was significant in the legitimate behavior (β=-.094). It was found that relational transparenc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legitimatebehavior(β=.001).Therefore,<Hypothesis3>was‘rejected’.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security guards'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on altruism. As a result, peer trust was positive (+ ), but boss trus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ltruism (β =.054).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rust and participatory behavior, boss trust had a positive (+) effect on participatory behavior (β=.356***), and peer trust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participatory behavior (β=.321***).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rust and legitimate behavior, trust in superior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legitimate behavior (β=-.200**), whereas peer trust had a negative effect on legitimate behavior (β=-.053). was found to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refore, <Hypothesis4>was‘partiallyaccepted’.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private security guar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ltruism,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altruism (β=.175*). It was found that resilience also had a positive (+) effect on altruism (β=.566***), but optimism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altruism (β=.027).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articipatory behavior, self-efficacy had a positive (+) effect on participatory behavior (β=.185*), and optimism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participatory behavior (β =.447***). It was found to have a (+) effect, but resili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articipatory behavior (β=.087).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egitimate behavior, optimism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legitimate behavior (β=-.218*), but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gitimate behavior (β=-.109).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effect, and resili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egitimate behavior(β=.155).Therefore, <Hypothesis 5>was ‘partiallyaccepted’.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private security guar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ltruism,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altruism (β=.175*). It was found that resilience also had a positive (+) effect on altruism (β=.566***), but optimism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altruism (β=.027). In the relationship between - 183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articipatory behavior, self-efficacy had a positive (+) effect on participatory behavior (β=.185*), and optimism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participatory behavior (β =.447***). It was found to have a (+) effect, but resili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articipatory behavior (β=.087).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egitimate behavior, optimism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legitimate behavior (β=-.218*), but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gitimate behavior (β=-.109).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effect, and resili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egitimate behavior(β=.155).Therefore, <Hypothesis 5>was ‘partiallyaccepted’. Six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supervisor trust, peer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ltruism, participatory behavior, and legitimate behavior), superior trust (β)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altruism =-.030) showed no indirect effect. Howev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participatory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wareness and participatory behavior, boss trust (β=.178***) had a positive fully mediating effect, and relational transparency and participatory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of , it was found that boss trust (β=.066*) had a positive (+) fully mediating effect.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legitimate behavior, boss trust (β = .007) did not have an indirect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perspective and legitimate behavior, but boss trust (β = .007)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wareness and participatory behavior .192*) had a positive (+) full mediating effect,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transparency and participatory behavior, boss trust (β=.036*) was foundtohaveapositive(+)partialmediatingeffect.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ral perspective of authentic leadership and altruism, peer trust (β=.308***)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peer trust (β)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wareness and altruism =.092**) showed a completely mediating effect. Howev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transparency and altruism, peer trust (β=.042) was found to have no indirect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perspective and legitimate behavior, peer trust (β=.057**)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peer trust (β=.082**)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wareness and legitimate behavior. ) was shown to play a complete mediating role of positive (+). Howev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transparency and participatory behavior, peer trust (β=.037) was found to have no mediating effect. And peer trust (β=.182) does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perspective and legitimate behavior, and peer trust (β=.267) does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wareness and legitimate behavior, and relational transparency It was found that peer trust (β=.115)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ev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d legitimate behavior.Therefore, <Hypothesis 6>was ‘partiallyaccepted’. Seven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efficacy, optimism,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lf-efficacy (β=.146***)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perspective and altruism wa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 full mediating effect, b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wareness and altruism, self-efficacy (β=.151) did not appear to play a mediating role,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transparency and altruism, self-efficacy did not play a role. Efficacy (β=.003) did not appear to play a mediating role. Self-efficacy (β =.104***)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fully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perspective and participatory behavior, b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wareness and participatory behavior, self-efficacy (β= .069)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and self-efficacy (β=.024)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transparency and participatory behavior.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β=.278)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perspective and legitimate behavior, and self-efficacy (β=.179)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wareness and legitimate behavior.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β=.056)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transparencyandlegitimatebehavior.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perspective and altruism, optimism (β=.090**)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fully mediating effect, and optimism (β=.157**)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wareness and altruism. *)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partial mediating effect. However, it was found that optimism (β=.035)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transparency and altru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perspective and participatory behavior, optimism (β=.097**)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full mediating effect, and optimism (β=.168)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wareness and participatory behavior ***)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 completely mediating effect. However, it was found that optimism (β=.379)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transparency and participatorybehavior.Optimism(β=.102)didnotplayamediating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perspective and legitimate behavior, andoptimism(β=.255)didnotplayamediatingroleintherelationship between self-awareness and legitimate behavior. It was found that optimism (β=-.026)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relationaltransparencyandlegitimatebehavior. Also,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resilience (β=.198***)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perspective and altruism has a positive (+) full mediatingeffect. Howev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wareness and altruism, resilience (β=.095) did not appear to play a mediating role,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transparency and altruism, resilience (β =.045)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appear. And resilience (β =.010***)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perspective and -participatory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full mediating effect, but resilience (β=. 010)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and resilience (β=.024)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transparency and participatory behavior. And it was found that resilience (β=.015)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perspective and legitimate behavior, and resilience (β=.007)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wareness and legitimate behavior. and resilience (β =.003)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transparency and legitimate behavior. Therefore, <Hypothesis 7> was ‘partially accept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aboveempiricalresearchresultsareasfollows. Corporate managers and managers should be interested in developing authentic leadership and should focus on organizational management so that authentic leadership can be well established within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improving the positive psychology and trust of members within the organization through sincere leadership. When a problem arises or adversity arises, members with a positive mentality endure to achieve the goal of success and have positive motivation for success or achievementoftheirowntaskorrelatedgoals. In addition, members of an organization with a well-established trust relationship actively exchange and share information through open communication, effectively solving problems, and not only rethinking cooperation and cooperative actions to achieve the organization's goals, but also helping members to understand the organization They will voluntarily participate in organizational management with a strong sense of community and a sense of belongingandbeliefintheorganiz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members within the organization trust each other.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organization needs to actively support emotional and instrumental support in order to form trust in the superior and to lead the voluntaryactionsofmembersintoorganizationalcitizenshipbehavior.

      • 민간경비원의 감정노동과 감정부조화 및 고객지향성의 관계

        이솔지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민간경비원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감정노동, 감정부조화, 고객지향성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고 감정노동이 감정부조화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며 나아가 이들 세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3년 1월 15일부터 3월 15일까지 서울·경기소재 민간경비업체 종사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유의표집법을 활용하여 경호·경비 유형별(시설경비, 신변호보, 기계경비, 호송경비, 특수경비) 70부씩 총350명을 추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분석에 사용된 사례수는 308명이다. 설문지의 타당도는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신뢰도는 Cronbach's α=.600 이상으로 나타났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통계기법은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증, F검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분석을 통한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경비원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감정부조화, 고객지향성의 차이가 있다. 둘째, 민간경비원의 감정노동은 감정부조화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민간경비원의 감정노동은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민간경비원의 감정부조화는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감정노동은 감정부조화을 통하여 고객지향성에 간접적 영향을 미친다. 감정부조화는 감정노동과 고객지향성을 매개하는 변수이다.

      • 민간경비제도에 관한 법적 연구

        이제혁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민간경비란 경비업무를 행하는 개인이나 단체 또는 영리기업이 특정 의뢰인으로부터 보수를 받고,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위해로부터 개인의 이익이나 생명 및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경비 및 안전에 관련된 서비스 행위를 하는 것을 말한다. 한반도는 테러 및 북한의 도발과 등의 위협과 지진에 의한 자연재해의 위험이 현존하기 때문에 국가안보와 재난방지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부각되고 있다. 경찰력으로 모든 위협을 제거하기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개인 뿐 아니라 국가중요시설 등도 민간경비에 보안을 의존하고 있으며, 경비산업은 해마다 성장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처한 모든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경찰과 민간경비의 협력을 통한 범죄예방과 위험방지 체계를 공고히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민간경비의 현실은 이원적 체계로 나뉘어 세계적·국가적 위험방지는 고사하고 경찰의 통제와 관리의 대상으로 여겨지고 있다. 현재 민간경비제도는 「경비업법」과「청원경찰법」으로 나뉘어 이원적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경비업무의 수행, 관리감독, 경찰과의 협조 등 많은 부분에서 문제가 되고 있으며, 민간경비의 범죄예방과 위험방지라는 공적역할의 수행과 경비업의 질적 성장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국가중요시설 경비제도 개선계획에 따라 청원경찰을 대체하기 위한 특수경비원제도가 도입되어, 현재 청원경찰의 업무는 모두 민간경비로 전환되고 있다. 하지만 민간경비원의 권한과 그 한계가 「경비업법」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고, 경찰청의 경비사무도 민간경비와 청원경찰을 분리하여 관리하는 등 비효율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청원경찰제도는 남북분단과 휴전이라는 대한민국의 특수한 상황 속에서 만들어진 외국에서는 그 유래를 찾기 힘든 독특한 제도이다. 청원경찰의 현실과 특수경비원이 도입된 목적 고려했을 때 청원경찰제도는 유지되기 어렵다. 따라서 「경비업법」과 「청원경찰법」의 통합과 민간경비 전담기구의 설치 및 경찰과의 민관협력을 통해 민간경비가 가진 범죄예방과 위험방지라는 공적기능을 공고히 하고, 민간경비제도가 발전할 수 있도록 정부와 경찰 그리고 경비업계의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한 때라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국가안보와 재난방지를 위해 민간경비가 중요시되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법제도와 민간경비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써 개별 법령에 의한 민간경비의 업무 및 공적기능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법제도적 대응을 반성하고 한국의 민간경비가 경찰과 함께 범죄예방과 위험방지 활동을 주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Private security means that an individual, an organization, or a profit-making company that executes security affairs conducts service activities related to security and safety receiving remuneration in order to protect personal interests, life and property from various risks that may arise from a certain client. Lately, the importance of national security and disaster prevention is becoming more prominent than any other times on the Korean Peninsula because of the threats such as terrorism and North Korea's provocation and the risk of natural disasters caused by earthquake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remove every threat by police force alone, not only individuals but also important national facilities depend on private security for their security and thereby security industry is growing year by year. In order to cope with all the risks in the Republic of Korea, it is necessary to consolidate crime prevention and risk prevention system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police and private security. However, the private security in the Republic of Korea hascurrently a dualistic system and is regarded only as an object of police control and management rather than the organization to prevent global and national danger. Since the current private security system is divided into two by the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and the 「Registered Security Guard Act」, many problems have been rising in many aspects such as the execution of security affairs, supervision and cooperation with the police. Therefore, they pose obstacles for crime prevention role of private security, public role of risk prevention and qualitative growth of security business. In accordance with a plan for improving the security system ofmajor national facilities, a special security guard system has been introduced to replace private police. Currently, all the duties of private police officersare being turned into those of private security. However, the authority and limitations of private security guards are not specifically set forth in the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and the security works at the National Police Agencyalso show ineffective aspects such as managing private security and private police separately. The private police system, which was created in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Republic of Korea with the division of the South and the North and the cease fire, is a unique system that is difficult to find in other countries than the Republic of Korea. When considering the reality of the private police and the purpose of introducing special security guards, the private police system is difficult to maintain. Therefore, this study asserts that it is the time to strengthen the public function of crime prevention and risk prevention by private security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and the 「Registered Security Guard Act」, the establishment of an exclusive private security service and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with police, and to have in-depth discussionsabout the matters among the government, police, and security businesse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private security system. Through examining the problems of the legal system and the private security in the current era where the private security is important for the national security and disaster prevention, this paperintends to point out that the legal system’s responses that did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uties and public functions of private security by individual laws, and to propose ways to lead the crime prevention and risk prevention activities together with the police.

      • 한국 민간경비 교육훈련제도의 실태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이성근 용인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사회가 급속히 변화하면서 발생되는 각종 사회병리현상들로 인하여 국민 개개인의 생명과 재산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는 이 시점에 범죄의 위협에 대응하고 있는 경찰은 국가공권력의 최일선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사회질서를 유지하며, 국내외의 다양한 정세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하는 역할까지 기대되는 실정에 있다. 그러나 열악한 근무환경과 부족한 예산으로 인하여 이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고, 이런 이유로 국민들은 자신의 비용을 부담하고서라도 민간경비의 탄생을 가져오게 되었다. 우수한 자질을 갖춘 경비원을 고용했다 하더라도, 사회가 급격히 변화하고 과학기술이 급진적으로 발전하며, 각종 사회법령이 시시각각으로 변화하고 있으므로, 경비원의 직무를 능률적이고 책임감 있게 완수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교육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의 민간경비 현황을 파악하고, 민간경비 교육훈련의 전반적인 사항에 대하여 파악하여 현재 시행중인 제도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진단하는 데 있다. 더욱이, 민간경비 분야의 선진국인 미국과 일본, 호주의 제도와 비교함으로써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하였으며, 연구를 함에 있어 두 가지 제한점을 갖는다. 첫째, 민간경비 교육훈련제도에 관한 연구로 선진국 중에 미국과 일본, 호주의 제도에 한정하여 조사하였다. 둘째, 한국과 미국, 일본, 호주의 사회현상에 따른 민간경비 교육훈련제도의 변화를 시대에 있어서 모든 교육과정을 보편화하여 정의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 사회적 관점에서 공동화 이론, 이익집단 이론 이고 경제적 관점에서 수익자부담 이론, 경제 환원론과 행정적 관점에서는 민영화 이론이 민간경비산업의 이론적 배경으로 고찰하고 한국과 미국, 일본, 호주의 민간경비산업의 현황과 교육훈련제도에 대해 비교한 후 문제점을 고찰하였으며 그 고찰을 바탕으로 한국 민간경비 교육훈련제도 발전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질적인 교육훈련 강화 및 제도개선을 위해 교과과정 개편과 교육훈련 시간을 조정해야 하고 일반경비원 신임교육은 임용 전 교육으로 대체해야 하며 직무교육도 분기별로 전환해야 하고 지역별 전문교육훈련기관을 설치해야 한다. 둘째, 경비지도사의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셋째, 전문경비원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넷째, 현장중심의 교육훈련을 실시해야 한다. 다섯째, 경비원 고용방법을 개선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민간경비 수준은 아직 미국, 일본, 호주의 수준에 이르지 못하였지만 지속적인 발전을 하고 있다. 급변하는 시대상황과 민간경비의 전문화가 요구되는 현 시점에서 교육훈련도 고객의 요구에 부흥하기 위해 전문화된 경비원을 양성시켜 교육하여야 할 것이다. Due to the present social pathology in today's rapidly changing society, people's desire for the protection of their lives and property has been increasing.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police, facing the criminal menace on the front line of national public power, are not only expected to protect people's lives and wealth but to keep public order and to cope positively with various situation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ountry. However, they cannot be well prepared to deal with the matters because of the coarse working conditions and insufficient budget, which gives rise to create the private security system at the personal cost. Even though a superior guard is hired, a specialized educational training is needed to execute his/her duty efficiently and responsibly because our society changes so quickly, the scientific technology develops so rapidly, and every kind of social situations varies momentari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s and whole considerations about the private security educational system in Korea, and to find the problems of current operating system. Furthermore, the ways of its improvement are also suggeste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systems of the United States, Japan and Australia which are the developed country in the field of private security. The literature survey of my research has two limits. First, it is limited to the educational systems of only three advanced countrie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Australia. Second, it is difficult, therefore, to generalize in progressing of educational training system for all periods. For theoretical background, the vacuum theory and interest group theory in social viewpoint, the profit-oriented enterprise theory and economic reduction theory in economical viewpoint, and the private management in administrational viewpoint are discussed. Problems of the current educational program in Korean private security business are analyzed by comparing Korean system to those of the United States, Japan and Australia. As a conclusion, several suggestions to improve the Korean system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in order for the improvement of its system and the substantial enhancement of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reorganization of course work and re-coordination of training schedule should be carried out. The training for the newly appointed general guard is to be replaced by the education prior to his/her formal appointment. On-the-job training should be performed every three months, and the specialized organizations for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by regions. Second, the

      • 민간경비조직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신뢰, 직무열의 매개효과

        우상엽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급변하는 현대사회 속에서 민간경비가 고객의 안전욕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조직관리 차원에서 민간경비 조직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와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신뢰와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토대로 변수들 간의 관계를 추론하여 일곱 개의 연구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신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신뢰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다섯째, 직무열의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여섯째, 신뢰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와 고객지향성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적 영향은 어떠한가?, 일곱째, 직무열의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와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미치는 매개적 영향은 어떠한가? 이 연구의 문제를 검증하고자 이 연구에서는 예비조사(2021년 04월 28일∼05월 27일)를 실시하였으며, 예비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 회의를 실시하여 설문문항의 내용타당도 및 신뢰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조사(2021년 06월 21일부터 07월 28일)는 800명의 경비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최종적으로 762부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 SPSS 24.0, AMOS 24.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사용한 분석기법은 빈도분석(Frequencies Analysis)·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s)·상관관계 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공변량 구조분석(Covariance Structur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는 Baron and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효과 검증절차에 따라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Bootstrap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공변량 구조분석에서 모델의 적합도 판정은 적합도 지수(Χ2, df, p-value, RMR, GFI, CFI, TLI, RMSEA)가 기준치에 부합한지 확인하는 절차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경비원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는 신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의 정서적 유대감을 제외한 전문성, 충성심, 공헌은 동료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의 전문성, 충성심, 정서적 유대감, 공헌은 모두 조직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간경비원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는 직무열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의 정서적 유대감과 공헌은 활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문성과 충성심은 활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의 공헌은 헌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문성, 충성심, 정서적 유대감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민간경비원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는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의 정서적 유대감과 공헌은 서비스 충족, 고객욕구 충족, 고객욕구 파악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문성, 충성심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민간경비원의 신뢰는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동료신뢰와 조직신뢰는 모두 서비스 충족, 고객욕구 충족, 고객욕구 파악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민간경비원의 직무열의는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활력과 헌신 모두 서비스 충족, 고객욕구 충족, 고객욕구 파악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민간경비원의 신뢰는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와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동료신뢰는 충성심과 서비스 충족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하고, 공헌과 서비스 충족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헌과 고객욕구 충족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문성과 고객욕구 파악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 역할을 하고, 공헌과 고객욕구 파악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민간경비원의 직무열의는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와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활력은 공헌과 서비스 충족, 고객욕구 충족, 고객욕구 파악의 관계에서만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헌신 또한 공헌과 서비스 충족, 고객욕구 충족, 고객욕구 파악의 관계에서만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분석된 결과에 따라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직적인 조직구조를 개선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민간경비조직은 수직적인 구조 속에서 위계질서를 중시해 왔다. 이 연구결과에 따르면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조직신뢰 뿐만 아니라 동료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더 이상 획일적인 방식으로 조직을 리드해 가기 보다는 리더가 각 구성원 개인에 대한 특성과 자질을 파악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지원하는 형태로 접근하는 태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자율적인 직무환경과 신뢰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지지하는 바와 같이 리더와 구성원 간의 신뢰가 높으면 조직구성원 간 상호 협동과 이타적인 행동이 높아짐으로써 조직의 가치를 높이고자 하는 의지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연구는 한계 몇 가지와 함께 후속연구도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첫째, 전국 55개의 민간경비업체에 근무하는 경비원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였지만, 민간경비는 신변보호업무, 시설경비업무, 호송경비업무, 기계경비업무, 특수경비업무 등 다섯 가지 업종으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업종별로 구분하여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조직관리적 차원에서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모색하여 적용하면 효용성 가치가 더 높아질 것이라고 판단된다. 둘째, 이 연구에서 리더와 구성원간 교환관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다른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그러나 민간경비 현장에서는 리더와 구성원을 명확하게 구분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장소와 상황에 따라 대리 직책을 가진 직원이 리더가 되기도 하고, 반대로 현장상황에 따라서는 구성원이 리더가 되기도 하는 등 리더와 구성원의 역할이 모호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역할모호성 때문에 이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셋째, 이 연구는 민간경비조직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연구문제를 추출하고 가설을 검증했다. 이를 위해서 연구가설을 7개로 구성하였다. 세부 가설까지 포함하면 총 25개의 가설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연구대상자에 대한 집단별 차이분석 등 세부적인 내용까지 분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넷째, 이 연구는 양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민간경비원이 인식하는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신뢰,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규명하였다.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와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신뢰와 직무열의 외에도 다양한 매개변수 또는 조절변수 등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매커니즘으로 변수 간에 관계가 드러날 수 있다. 다섯째, 코로나 19로 인해 민간경비업체별로 접근이 제한되어 온라인 설문으로 대체하였다. 그러나 독단으로 떨어져 단독으로 근무하는 아파트경비원의 경우 리더-구성원의 관계가 덜 이루어질 것을 감안하여 이번 설문은 아파트경비를 담당하는 경비원은 주요 설문대상에서 배제하는 등 편의표집방식을 채택하였다. 상기와 같은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새로운 민간경비 시장에 주목하고 추가 연구가 되었으면 한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provide services to effectively satisfy customers' safety needs in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customer orien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member exchange(LMX) and customer orientation of the private security organizations at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thusiasm. To this end, seven research questions were dealt with by infer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First, how does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LMX) affect trust? Second, how does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LMX) affect job enthusiasm? Third, how does the leader-memember exchange relationship affect customer orientation? Fourth, how does trust affect customer orientation? Fifth, how does job enthusiasm affect customer orientation? Sixth,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on LMX and customer orientation? Seventh,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job enthusia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LMX) and customer orientation? To verify the problems of this study, a preliminary survey(April 28-May 27, 2021) was conducted in this study, and expert meetings were hel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urvey to increase the conten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urvey questions. And in the main survey(June 21st to July 28th, 2021),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800 security guards, and 762 copies were finally collected as the data of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statistical program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analysis techniques used for data analysis ar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For mediating effects,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three-step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procedure of Baron and Kenny(1986). And Bootstrap and Sobel Test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And in the Covariant Structural Analysis, the fit of the model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to check whether the fit indices(Χ2, df, p-value, RMR, GFI, CFI, TLI, RMSEA) met the standard,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05.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LMX) of private security guard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rust. Specifically, professionalism, loyalty, and contribution, excluding the emotional bond of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LMX), have a positive(+) effect on peer trust, and the professionalism, loyalty, emotional bond, and contribution of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LMX).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Second,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LMX) of private security guard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enthusiasm.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emotional bonding and contribution of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LMX) had a positive(+) effect on vitality, but professionalism and loyalt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vitality. And the contribution of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LMX)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mmitment, but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ism, loyalty, and emotional bonding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ird,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LMX) of private security guard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bond and contribution of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LMX) had a positive(+) effect on service satisfaction, customer needs satisfaction, and customer needs understanding, but professionalism and loyal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However, in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LMX) showed a nega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Fourth, the trust of private security guard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and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both peer trust and organizational trust had positive(+) effects on service satisfaction, customerneeds satisfaction, and customer needs understanding. Fifth, it was found that the job enthusiasm of private security guard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Specifically, both vitality and commitment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service satisfaction, customer needs satisfaction, and customer needs understanding. Sixth, the trust of private security guards was found to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LMX) and customer orientation relationship(LMX). Specifically, peer trust was shown to play a ful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yalty and service satisfaction,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ibution and service satisfaction, an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ibution and customer needs satisfaction. And it was found that it played a ful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ism and customer needs understanding, an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ibution and customer needs understanding. Seventh, the job enthusiasm of private security guards was found to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LMX) and customer orientation.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vitality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ibution and service satisfaction, customer needs satisfaction, and customer needs understanding, and commitment also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ibution and service satisfaction, customer needs satisfaction, and customer needs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policy alternative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vertical organizational structure should be improved and voluntary participation should be allowed. Private security organizations have emphasized hierarchical order in a vert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not only organizational trust but also peer trust. This means that rather than leading the organization in a uniform way, it is necessary for the leader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and qualities of each member and to approach them in a way that supports what they need. Second, it is necessary to form a trusting relationship with an autonomous work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s supported by previous studies, when the trust between the leader and members is high, mutual cooperation and altruistic behavior among members within the organization increase, thereby increasing the will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if the security guard's enthusiasm for the job increases in an autonomous atmosphere, the consciousness of voluntarily loyal to the organization increases. In addition,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and the need for follow-up studies. First, a sample was drawn from security guards working at 55 private security companies nationwide, but private security is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personal protection, facility security, convoy security, machine security, and special security.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utility value will be higher i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s sought and applied at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level by classifying the results by industry. Second, in this study, the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and members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ther variables was established and verified. The point is that the roles of leaders and members are ambiguous,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situation, an employee with a deputy position may become a leader, and on the contrary, a member may become a leader depending on the field situation. Because of this role ambiguity, there may b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rd,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LMX) of private security organizations on customer orientation, research questions were extracted focusing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the hypothesis was tested. For this purpose, seven research hypotheses were composed. Including detailed hypotheses, a total of 25 hypotheses are established, so there is a limit to analyzing even detailed contents such as group-specific difference analysis for study subjects. Fourth, in this study, by applying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in terms of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the effect on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LMX) and customer orientation perceived by private security guards was investigated,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and job enthusiasm. In the relationship of leader-member exchange(LMX) and customer orient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can be revealed through various mechanisms by various parameters or control variables, in addition to trust and job enthusiasm. Fifth, access was restricted by private security companies due to COVID-19, so it was replaced with an online survey. Among them, in the age distribution of security guards, the response rate of those in their 60s and older was low at 7.2%, which is believed to be because most private security companies, not apartment security guards, tend to hire young workers as security guards. However, online responses may be insufficient for those in their 60s or older because they are unfamiliar with the use of devices such as computers or mobile phone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contents, it is hoped that additional research will be conduct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new private security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