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남도민요 장구장단 비교 연구 : 김동준·김청만·정화영의 장구장단을 中心으로
박민성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Folk songs are traditional songs of Korea that were orally transmitted for a long period time. The role of rhythm for folk songs is very important. The rhythm not only point out the important beat in the flow of music but also maximize the music. If the music is played without the beat, the quality of music that singer, accompanist and audiences may fall. Rhythm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players. Therefore,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rhythm of musicians is very important. Among the representative pieces of Southern folk songs, Namwonsansung, Jindo Arirang and Bird Taryon will be focused to analyze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Kim Dong Jun, who w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his disciples, Kim Chung Man and Jung Hwa Young, and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Jungmori rhythm of Namwonsansung beat out the stop bean through two rhythms. Kim Dong Jun played the first rhythm strongly and the last rhythm softly, then he closed with the rhythm that shows many different melodies. As for characteristic, it is played much like the melody of the sound. There are actually many cases where the sound is followed in the music. Usually, the beat on transition is played strongly and is changed according to the flow of melody. Also, in many cases, the last beat is played in ‘Da-nun rhythm’ to be connected to the next rhythm. Kim Chung Man played the same melody twice and especially, he does not show many melodies but closes with accent on the later beat. In the ‘Da-nun rhythm’, inner sound was used a lot for pulling and slowing. Then, the concluding beat was played strongly. In other words, to watch the beat, the first and the last beat was played strongly. Jung Hwa Young played the first rhythm strongly and pointed out on the later rhythm. As a characteristic, there were many rhythms in 4 beats and 3 beats were used the most. In ‘Da-nun rhythm’, she softly rolled and knocked, followed the main melody and sometimes rolled on the last beat. Semarchi rhythm did not make up a lot of different melodies but pointed out the important beats with basic rhythm, even for simple music. It maximized the music by combining with Jungmori rhythm. Kim Dong Jun’s rhythm is played with the same rhythm but combined with Jungmori rhythm. Kim Chung Man’s rhythm does not imply many melodies but points out the important beats. As for variation, he does not combine with Jungmori rhythm but maximized the music by dividing the beat into 4 beats. Jung Hwa Young’s rhythm is similar to that of Kim Dong Jun. When playing Jung-Jungmori rhythm in Bird Taryong, all three players combined it with Gutgury rhythm. Finally, Jungmori rhythm was combined with Semarchi rhythm every time. Similarity is in ‘Da-nun rhythm’ and ‘Concluidng rhythm’ where it indicates the direction of sound and Jungmori rhythm was combined with Semarchi rhythm. This is to maximize the music by playing variation of rhythm to suit the music. Difference was that Kim Chung Man’s Semarchi rhythm was only plaed as Semarchi rhythm with only variation to Jungmori rhythm at the end. This shows that the musical interpretation could be different. Jung Hwa Young showed variations according to the main melody. For a regular 3 beats, she lead by showing many different melodies and when the melody line was complicated, she emphasized the important beats. Kim Chung Man skipped the beats when the melody is complicated and pointed out the important beats. Under Kim Dong Jun, Kim Chung Man and Jung Hwa Young have the same root but Kim Chung Man used inner sounds and pulling technique while Jung Hwa Young mainly used 3 beats to enable estimation of beats and 4 beats to play the melody line. The three players were very alike as for ‘Da-nun rhythm’ and ‘Concluding rhythm’ and focused on ‘Concluding rhythm’ rather than the principle of ‘Gi-Kyung-Kyul-Hae’. It was found that although they had the same focus, their musical interpretation was different. 민요는 오랜 세월에 걸쳐 구전되어 내려온 한국의 전통적인 민속 노래이다. 민요에서 장단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음악의 흐름에 있어 중요 박을 짚어 주기도 하며 음악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장단이 소리의 길을 알지 못하고 연주를 하면 창자나 반주자, 청중들이 느끼는 음악의 질이 매우 떨어질 수 있다. 장단은 연주자의 음악적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주하여 연주할 수 있다. 따라서 연주자의 장단 특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중요무형문화재였던 故 김동준과 그 문하에서 김청만, 정화영의 장단 비교 분석을 남도민요에 대표적인 곡 중 남원산성, 진도아리랑, 새타령을 중심으로 세 명의 연주자의 연주 특성을 연구해 보았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원산성의 중모리장단은 맺는 장단을 두 장단에 걸쳐 맺어주었다. 김동준은 앞 장단은 마지막 박을 강하게 연주하고 뒤 장단을 많은 가락을 구사하여 맺는 장단을 연주하였다. 특징으로는 소리의 선율과 같게 연주한다는 것이다. 소리를 듣고 연주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변박의 박을 강하게 짚어 주기도 하며 선율 진행에 따라 변화하는 장단이 대부분이다. 마지막 박을 다는 장단(景)으로 연주하여 다음 장단과 이어주는 경우가 많다. 김청만은 같은 가락을 두 번 연주하였고 특징은 많은 가락을 구사하지 않고 뒤 박에 강세를 주어 맺는다. 다는 장단(景)에서는 속 소리를 많이 이용하여 거두기와 느리기를 많이 사용하였다. 맺는 장단(結)은 강하게 쳤다. 즉 박자를 가늠하기 위해 첫 박과 끝 박을 강하게 연주하였다. 정화영은 앞 장단을 강하게 연주하고 뒤 장단은 박을 짚어 주었다. 특징으로는 4박을 이용하는 장단이 많으며 3분 박을 주로 사용한다. 다는 장단(景)에서 부드럽게 굴려 치는 것이 많았으며 따라 치기 즉 노랫말에 맞춰 장단을 치는 경우가 많았고 끝 박을 가끔씩 굴려 치는 장단으로 연주하였다. 세마치장단은 많은 가락을 구사하지 않고 기본 장단으로 연주하여 중요 박을 짚어 주었으며 간결하게 연주할 때에도 중요 박을 짚어 주었다. 중모리장단과 혼합하여 연주하여 음악을 더욱 극대화했다. 김동준의 장단은 같은 장단으로 연주를 진행하나 중모리장단을 혼합하여 연주하였다. 김청만의 장단은 많은 가락을 구사하지 않고 중요 박을 짚어 준다. 변형 장단으로는 중모리장단을 혼합하지 않고 박을 4박으로 나누어 음악을 극대화했다. 정화영의 장단은 김동준과 유사하다. 새타령의 중중모리장단은 세명 모두 굿거리장단과 혼합하여 연주함을 알 수 있다. 마지막 중모리장단은 모두 세마치장단을 혼합 장단으로 연주하였다. 유사점은 소리의 길을 알고 다는 장단(景), 맺는 장단(結) 부분이 매우 유사하며 중모리장단은 세마치장단과 혼합하였다. 이는 장단을 음악의 맞게끔 변형 장단을 연주 함으로써 음악을 더욱 극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이점은 김청만의 세마치장단은 세마치장단으로만 연주하였고 마지막 장단만 중모리장단으로 변주하였다. 이는 음악적 해석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노랫말에 따른 장단 변화가 정화영 명인에게서 많이 나타났다. 선율의 3분 박이 일정하게 나올 때에는 정화영은 많은 가락을 구사하여 이끌고 선율의 진행이 복잡할 때에는 중요 박을 짚어 주었다. 김청만은 선율의 진행이 복잡할 때에는 장단을 생략 후 중요 박을 강하게 짚어 주었다. 김동준 문하에서 김청만과 정화영은 뼈대는 같으나 김청만은 속 소리와 거두기를 사용하였고 정화영은 3분 박을 주로 사용하여 박을 가늠해 주었고 4박을 활용하여 선율과 같게 연주하였다. 다는 장단과 맺는 장단은 세 명의 연주자 모두 매우 유사하였고 기, 경, 결, 해의 원칙 보다 맺는 장단에 중요성을 두고 있었고 중점적인 것은 같으나 연주자 개인의 특성에 따라 음악적 해석을 달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ower Crane 설치에 따른 해상안벽 연결부위 구조적 안전성 연구
The floating quay which was built to solve lack of ship-yard quays and pe places was needed to install equipment for supporting wharf operation. capacity of equipments were determined in the range 10 ~ 14 ton. Where it determined by such as scaffolding , painting equipment & commissioning equipment etc. To prevent interference of mooring line , the crane should not be the driving function. So we decided the installation of fixed tower cranes To make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ower Crane, the floating quay was required to review the structural safety. If necessary, Conducting structural reinforcement, but the most light weight, simplified without significantly changing the current structure to be willing to work to develop ways to reinforce. the analysis will be performed by each basic load based on the Tower Crane load [Horizontal Force (T), Vertical Force (P), Maximum Bending Moment (M)] and carried out under the most severe load conditions Details of each study item described below, a) Structural safety assessment under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Floating Quay b) Stress analysis and safety assessment on the barge structure c) Determine range of structural reinforcement and structural reinforcement plan
주산기 백서에서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와 공간 기억력과의 상관관계
Studies examining changes of memory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period have been highly contradictory. It was reported that estrogen of physiological level had positive effect on memory, but high level of estrogen had negative effe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possible effect of pregnancy and parturition on spatial memory, especially in relation to levels of estrogen during the third trimester and postpartal period in rats. 25 female Sprague 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pregnant group(N=14) and control group(N=11). Changes in spatial memory during 6 weeks including third trimester and postpartal period were measured using Morris water maze. Time to reach the platform in the maze was indicator of spatial memory. Serum estrogen level was measured on 1 week before delivery, postpartal day 1., and day 14. Both groups showed gradual improvement in performance by trial days and week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But in the third trimester, pregnant group showed a trend of less achievement on 3 days of learning than control group. Serum estrogen level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groups over the 6 weeks of period. Bu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rum estrogen level on postpartum day 1 and time to reach platform on postpartum week 2, and negative relation between estrogen level on postpartum day 14 and latency to the platform on postpartum week 5. These results imply that changes in the serum estrogen level may have dual effects on the spatial learning in peripartal period. It is suggested that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might occur either by failure of rapid decrease of estrogen, immediately after parturition, or retarded restoration of estrogen in later postpartal period.
요사노 아키코의『헝클어진 머리』연구 : 性에 대한 표현과 그 심리를 중심으로
요사노 아키코(与謝野晶子: 1878-1942)는 메이지(明治) 시대의 대표 여류가인(女流歌人)으로서 그녀가 스물 두 살의 젊은 나이에 발표한 『헝클어진 머리』는 근대단가의 발판이 된 가집(歌集)이다. 이 작품에서 아키코는 요사노 뎃칸(与謝野鐵幹)이라는 사랑의 대상을 통해 결혼에 이르는 과정을 낭만적인 필치로 솔직하고 대담하게 그려내었다. 봉건적 사상이 지배적이던 시대에 발표된 이 가집은 변화를 추구하던 당시의 젊은이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그 인기의 원동력은 젊은 여성의 사랑의 감정을 관능적인 표현을 채용하여, 당시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본능적이고 정열적인 사랑을 그려내었기 때문일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연인이며 남편인 뎃칸을 향한 격정적 사랑을 노래한 이 가집의 각각의 노래에 여성의 성적 표현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여성의 심리상태에 접근해 보았다. 작가의 심리가 구체적으로 반영된 노래의 전개와 더불어 그 속에 그려진 성 표현을 통해 사랑의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 가집의 제목이기도 한 <헝클어진 머리>가 대변하는 것은 아키코 자신과 뎃칸 그 주변의 여인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복잡함이다. 한편으로는 정숙하지 못한 여성을 나타내거나 관능적 여성의 모습을 상징한다. 이러한 상징이 만들어낸 가집 속의 노래는 미묘한 고뇌의 모습을 그려냄과 동시에 유혹적이고 대담한 모습을 보여준다. 사회적으로는 『헝클어진 머리』의 발표로 인하여 남성 위주의 性에서 여성도 性에 참여하여 관계를 이끌어가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주체자의 인식전환을 모색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가집 『헝클어진 머리』는 아키코의 적극적 성에 대한 인식과 긍정적 성의 자세를 통해 여성의 성적 방향을 제시하며 자아를 구현하고 자신의 인생을 설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작품을 통해서 개인적 성에 구애받지 않고 인간의 삶의 단면을 되돌아보는 기회로서 세대를 앞서 간 한 사람의 젊은 시절의 인생을 경험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대학 교직원의 퇴직 태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생애설계의 매개효과 분석
박민성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기관에 재직하는 교직원을 대상으로 퇴직 태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퇴직 태도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생애설계의 매개 효과를 확인 및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교직원의 퇴직 태도는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대학 교직원의 퇴직 태도는 생애설계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대학 교직원의 퇴직 태도와 성공적 노화 간의 관계에서 생애설계는 매개효과를 나타내는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퇴직 태도, 성공적 노화, 생애설계에 대한 개념을 확인하고 변인 간 관계에 따른 유의미한 결과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실증적인 검증을 위하여 서울시 소재 4년제 대학에서 근무하는 40세 이상의 교직원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된 총 247부의 설문 응답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각 변인 간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는 퇴직 태도, 생애설계, 성공적 노화의 대부분의 하위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둘째, 대학 교직원의 퇴직 태도와 성공적 노화 간 생애설계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독립변인인 퇴직 태도가 매개변인인 생애설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생애설계는 종속변인인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퇴직 태도는 독립적으로도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지만, 퇴직 태도가 생애설계에 영향을 미쳐 이러한 영향이 결국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경로도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늘어나는 기대수명에 따른 퇴직자의 생존 기간 증가에 따라 평생교육 관점에서 퇴직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짐을 시사하였다. 둘째, 대학 교직원들을 대상으로 퇴직 이전 퇴직교육을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셋째, 평생교육과 연계하여 생애설계가 가능하도록 퇴직교육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넷째, 경력관리, 건강관리, 여가관리, 대인관리를 주제로 한 퇴직교육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퇴직준비 및 노인대상 평생교육을 제도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기관 종사자들의 퇴직을 준비하기 위하여 평생교육과 연계한 퇴직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퇴직자 개인의 성공적인 노후준비와 전문직 종사자들의 퇴직 이후 평생학습의 실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retirement attitude on successful aging for staff members working in university institutions, and to confirm and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life desig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ttitude and successful aging.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does the retirement attitude of university employees affect successful aging? Second, does the retirement attitude of university employees affect life design? Third, does life design have a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tirement attitude of university employees and successful aging?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concepts of retirement attitude, successful aging, and life design,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confirmed, and significant result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ere examined. For the empirical verification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by setting staff members aged 40 or older working at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the capital of South Korea, as the subject of the study. A total of 247 survey response data collected by conducting an online survey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it was verified that most sub-factors of retirement attitude, life design, and successful ag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on effect of the retirement attitude of university employees and successful aging, the retirement attitude,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ife design,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on successful aging.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tirement attitude independently affects successful aging, but the retirement attitude affects the life design, and this effect eventually affects successful aging also exists. The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uggested that the need for retirement education increases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as the survival period of retirees increases according to the increasing life expectancy.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conduct retirement education before retirement for university staff members. Third, it is necessary to support retirement education so that life design is possible in connection with lifelong education. Fourth,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tirement education on the subject of career management, health management, leisure management, and personal management. Fifth,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 plan to institutionalize retirement preparation and lifelong education for the elderl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n institutional plan to support retirement education linked to lifelong education is proposed in order to prepare for retirement of university institution worker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preparation for retirement of individual retirees and the realization of lifelong learning after retirement of professionals.
생약 복합 추출물의 인간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서의 골 분화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골다공증 또는 골질환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질을 검색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우슬(Achyranthes aspera), 홍화씨(Carthamus tinctorius), 마가목(Eleutherococcus senticosus)를 주성분으로 한 약초들을 배합하여 효소를 처리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인간유래중간엽줄기세포(human mesenchymal stem cells-hMSC)를 이용하여 생약복합추출물(NMME)의 골분화 촉진정도를 측정하였다. NMME는 hMSC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세포 독성이 없는 안전한 물질이었으며 세포 생존력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NMME는 hMSC의 광화 활성 분화를 촉진합니다. RT-PCR에 의한 오스테오칼신 및 오스테오폰틴 발현의 분.석은 NMME가 골 형성 분화 마커 유전자의 활성을 촉진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따라서, NMME는 골 형성 회복 효과, hMSC의 증식 및 분화 촉진,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골다공증 또는 골질환 예방 및 치료제의 유효 성분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박민성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9 국내석사
가상현실이란 디지털로 표현된 공간이나 기술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가상현실은 사용자가 디지털 환경에서 활동할 수 있는 공간으로 표현되기도 하며 미니홈피, 인터넷 쇼핑 등이 가상현실 매체에 포함된다. 2012년 머리에 착용하는 영상 디바이스(HMD: Head Mounted Display)인 Oculus Rift가 출시되었다. 대중에게 가상현실은 기존의 넓은 의미에서 가상 환경을 현실과 같이 체험할 수 있는 콘텐츠를 뜻하는 것으로 의미가 축소되었다. HMD의 특성상 사용자는 체감형 가상현실을 체험함에 있어 몇 가지 제약이 있다. HMD는 머리에 착용해 안구의 양안 시차로 현실감을 느끼기 때문에 시야가 완전히 차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내에서 체감형 콘텐츠를 이용할 때 이동 반경의 제약을 받는다. 또한 기존의 입력장치인 키보드, 마우스 등을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디바이스 개발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과 버튼입력을 담당하는 핸드 컨트롤러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 컨트롤러는 이동과 핸드 인터렉션, 제스처 등의 다양한 입력이 손에 집중되어 있다. 복잡한 입력을 필요로 할 때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초심자는 컨트롤러에 적응하는데 시간이 필요하며, 숙련자 또한 손에 집중된 입력에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손에 집중된 입력 중 이동 입력을 별도의 와이어리스(Wireless) 디바이스로 분리, 발에 착용하여 이동 입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를 제안한다. 자이로 센서를 사용하여 다리의 궤적을 분석해 이동 트리깅을 구현한다. 칼만 필터를 사용해 자이로 센서의 불안정한 데이터를 교정한다. 교정한 데이터는 이동평균 방식을 이용해 요동치는 값을 간략화 한다. 피험자는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장비와 기존의 입력 디바이스를 모두 사용해 동일한 실험을 진행한다. 이후 각 컨트롤러의 적응도, 필수 사용 면적, 실험 완료 시간 등을 통해 비교 검증한다. 그 결과 기존 사용자와 최초 사용자 모두에게 의미 있는 사용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디바이스가 기존 이동 입력 디바이스보다 적응도, 수행 시간 등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여줬다. 제안하는 디바이스의 적응도가 비교 디바이스보다 큰 폭으로 향상되었고, 수행 시간 또한 평균적으로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또한 필수 사용 면적은 전체 사용자 평균 17%정도 축소되었다. 본 실험을 토대로 이동 입력 분리가 체감형 가상현실 콘텐츠에 높은 접근성을 제공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이동 컨트롤러는 이후 HMD의 제스처 인식을 통한 입력방식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보여진다. Virtual reality is a word that expresses digital space. It refers to a space where users can work in a digital environment, such as mini-homepages and Internet shopping. In 2012, Oculus Rift-a head mounted display (HMD) was introduced. Therefore, the meaning of virtual reality is reduced to the content that enables users to experience virtual environment as reality in the conventional meaning. Due to the nature of the HMD, the user has some limitations in experiencing the sensory virtual reality. HMD wears on the head and it feels realistic in the binocular parallax of the eyeball, so the field of view is completely blocked. User is also restricted in the moving radius when using the sensible contents in the room. Moreover, it becomes difficult to use conventional input devices which like keyboard or mouse. the device developer provides a hand controller for hand interaction and input in the virtual space. However, this controller also has hand-focused input such as movement, hand interaction, and gestures. Beginners need time to input smoothly. Experts also have increased fatigue in the hand-focused input. In this paper, we divide the mobile input into separate wireless wearable devices. We construct a device that is mounted on the foot and inputs movement. It using the gyro sensor, analyze the trajectory of the leg to implement the movement triggering. It use the Kalman filter to calibrate the gyro sensor's unstable data. The calibrated data simplifies the oscillating value using the moving average method. The subjects perform the same experiment using both the equipment proposed in this study and the existing input device. Then, the usability of each controller and the completion time of the experiment were compared and verified. As a result, significant usability was found for both the existing user and the first user. Although there is some deviation according to the user, the device proposed in this study showed better usability and execution time than the existing mobile input device. Based on this experiment, it is confirmed that the mobile input separation provides high accessibility to the sensory in virtual reality cont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input method through gesture recognition of HMD.
박민성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얇은 쉘 구조 중에서 실린더 쉘 구조는 항공우주 분야에서 항공기 동체, 날개 및 로켓의 추진 탱크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축 방향 압축 하중을 받으며 정적 압축강도 보다 훨씬 낮은 응력에서 좌굴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실린더 쉘 구조에 대한 좌굴 하중 예측이 필요하다. 실린더 쉘 구조의 좌굴 하중을 구하는 방법으로는 실험과 유한요소법이 있다. 실험을 통해 좌굴 하중을 측정할 경우 정확한 좌굴 하중을 도출할 수 있지만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유한요소 해석의 경우 실린더 쉘 구조에 대한 모델 변경이 가능하여 다양한 실린더 쉘 구조에 대한 좌굴 하중을 예측할 수 있다. 하지만 실린더 쉘 구조의 크기와 요소 수에 따라 해석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실린더 쉘 구조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 시 형상 주기를 정의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칭 조건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실린더의 좌굴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 시 대칭 조건을 구현할 수 있는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린더 좌굴 하중 해석 시 대칭 조건을 구현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대칭 조건을 구현하기 위해 실린더의 축소 모델과 회전 스프링을 이용하였다. 축소 모델은 실린더를 30만큼 등분한 실린더 패널 형상이며 회전 스프링 강성 값은 리츠 법을 이용하여 도출하였다. 도출한 회전 스프링 강성 값과 축소 모델을 이용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와 실린더 좌굴 하중과 비교 분석하여 제시한 방법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