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지역의 초미세먼지(PM2.5) 농도와 호흡기계 및 순환기계 질환의 영향 연구

        황수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우리나라 수도권 지역의 미세먼지(PM10) 농도는 개선 추세인 반면,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증가 추세로 전국적으로도 2015년부터 시행된 연간 대기환경기준(25㎍/㎥)을 대부분 지역에서 초과하고 있다. 초미세먼지는 미세먼지와 달리 폐포까지 직접 침투하여 폐질환, 심근경색, 순환기계 장애 등을 유발하고 조기사망 위험 증가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작용하는 등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하여 2013년 WHO에서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호흡기계 및 순환기계 질환 환자 발생에 영향을 주는지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13년까지 3년 동안 4개 지역(인천시 옹진군 백령도, 서울시 은평구, 대전시 중구, 광주시 북구)의 초미세먼지 농도와 호흡기계 및 순환기계 질환 환자수를 조사하고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초미세먼지 농도가 50㎍/㎥ 미만인 날과 이상인 날을 기준으로 하여, 초미세먼지 발생 기간경과에 따른 호흡기계 및 순환기계 질환의 평균 환자수 차이에 대한 상관성 분석결과 호흡기계 질환은 대전시 중구에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그 외 3개 지역은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순환기계 질환은 4개 지역 모두에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초미세먼지 농도와 호흡기계질환 전체의 상관성은 4개 지역 모두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순환기계질환 전체는 대전시 중구(=0.094)에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인천시 옹진군 등 나머지 3개 지역은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각 질환별 상관성은 급성 상기도 감염군은 4개 지역 모두에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난 반면, 급성 심근경색증은 4개 지역 모두에서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초미세먼지 농도와 기상상태를 함께 고려한 상관성 분석결과 호흡기계질환 전체는 인천시 옹진군(=0.275)에서, 순환기계질환 전체는 대전시 중구(=1.867)에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그 외 지역은 두 질환 모두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초미세먼지 농도만를 기준으로한 경우와 비교할 때 상관성을 보인 지역이 호흡기계 질환은 감소하였으나, 순환기계 질환은 동일하게 나타났다. 넷째, 초미세먼지 농도와 호흡기계 및 순환기계 질환 환자 발생 패턴의 상관성은 호흡기계 질환은 4개 지역 모두에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순환기계 질환은 인천시 옹진군을 제외한 3개 지역에서 일부 개별 질환이 상관성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초미세먼지 농도와 호흡기계 및 순환기계 질환 환자 발생의 상관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초미세먼지 개선정책 추진 시 환경보건 부분과 연계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이번 연구에서는 지역별 특성, 환자의 진료형태, 연령?성별 등을 고려하지 않아 연구에 한계가 있었다. 향후 연구대상 지역 및 기간을 확대하고 조사 자료를 세분화 하여 초미세먼지 농도가 인체에 미치는 건강영향을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the trend of the concentration of PM10 is decreasing in metropolitan areas of Korea. As the trend of the concentration of PM2.5 is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in most areas of Korea exceeds the Atmosphere Environmental Standard(25㎍/㎥) which has been conducted since 2015. PM2.5 is dangerous due to the direct effect on pulmonary alveoli, which may cause diseases such as lung conditions, myocardial infarction and the circulatory illness. Also, PM2.5 might be leading causes of premature death was classified as a category 1 carcinogen by WHO in 2013.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e the effect of the concentration of PM2.5 on respiratory diseases and circulatory diseases in urban areas. The concentration of PM2.5 was measured and the number of patients with a respiratory system and a circulatory system was examined in 4 districts; Ongjin-gun, Incheon, Eunpyeong-gu, Seoul, Jung-gu, Daejeon, Buk-gu, Gwangju from 2011 to 2013 .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based o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concentration and the number of patients. First, the study was examined on the days which were divided into two classes; one with the concentration of PM2.5 below 50㎍/㎥ and the other with that of 50㎍/㎥ or above. The average numbers of the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and circulatory diseases were calculated on the days by the lapse of time. In respiratory diseases, the result indica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PM2.5 and the average numbers of the patients in only Jung-gu, Daejeon but there were no corelation in the rest 3 districts. Also,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PM2.5 and the numbers of the patients with the circulatory diseases in all districts. Seco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PM2.5 and respiratory disease was found in 4 districts. In circulatory disease cases,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only Jung-gu, Daejeon but the concentration of PM2.5 was not correlated with the diseases in the rest of districts. According to diseases, in particular,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PM2.5 and acute upper respiratory infections was found in the 4 districts. In contrast,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PM2.5 and acute myocardial infarction was found in the districts. Third, Considering the weather condit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and whole respiratory diseases in Ongjin-gun, Incheon. In a case of circulatory diseases,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Jung-gu , Daegu. Those two kinds of diseases were not correlated with the concentration of PM2.5 in the rest of districts. In the analysis of considering the weather condition, the number of correlated districts with respiratory diseases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s with only the concentration of PM2.5.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correlated districts with circulatory diseases indicated the same as the results without the weather condition. La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PM2.5 and the patterns of causing patients with two types of diseases, the respiratory diseases were not related with the concentration of PM2.5 in the 4 districts. In the case of circulatory system, some circulatory diseases were related with the concentration of PM2.5 in 3 districts except Ongjin-gun, Incheon.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concentration of PM2.5 influenced on the respiratory disease and the circulatory diseases. It suggested that the policy improvement of PM2.5 be considered with the Environmental Health sector. There was limitation which was not considered on this study such as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type of medical treatments, age and sex. The Future study is needed to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examine the effect of concentration PM2.5 on the diseases by extending the areas in research and subdividing the methods.

      • 미세먼지 차단 안티폴루션 화장품에 대한 시장분석 및 브랜딩전략

        김선영 충북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초미세먼지는 대부분 자동차 배출가스, 산업공정, 도로 등에서 날리는 먼지 등 인위적 요인에 의해 배출되는 것이 대부분으로 상기 초미세먼지의 크기는 보통 머리카락 직경에 비해 20분의 1보다 더 작은 매우 미세한 입자이기 때문에 호흡을 통해 인체로 들어가는 경우, 코나 기관지에서 걸러지지 않고 폐까지 도달, 침착해 폐의 기능을 약화시키거나, 또는 모세혈관을 타고 혈액에 침투해 심혈관계 질병을 유발시키기도 하며, 피부의 모공을 통해 침투함으로써 아토피를 포함한 각종 피부질환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초미세먼지가 피부를 통해 인체 내로 침투하여 각종 질환을 일으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초미세먼지 차단용 안티폴루션 화장품을 개발이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조영태외 1명(2014), 초미세먼지차단용크림개발> 초미세먼지가 인체 피부의 모공을 통해 인체 내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다공성 광물질, 인체 무해한 광촉매 및 청각 추출물을 피부 크림 제조에 이용함으로써, 광물질에 의한 초미세먼지 흡착 작용과, 광촉매에 의한 항균작용과 해조류 추출물에 의한 피부 보호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초미세먼지 차단용 기능성 크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국내외시장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개발된 초미세먼지차단용 안티폴루션 화장품의 시장 진입과 장착을 위한 브랜딩 전략 수립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Microdust is discharged by artificial factors such as automobile exhaust gas, industrial processes, and road dust. Because the size of the microdust is very fine, smaller than one-twentieth of the diameter of the hair, the dust reaches the lungs without being filtered from the nose or bronchus during breathing, which settles down and weakens the function of the lungs. It can also penetrate the blood vessels and cause cardiovascular disease. Penetrating through the pores of the skin causes various skin diseases including atop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ti-pollution cosmetics for blocking microdust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microdust from penetrating into the human body through the skin and causing various diseases. In this study, the domestic and global markets were analyzed and the branding strategy for entering and installing the market for anti-pollution cosmetics for dust blocking was investigated.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control of a new market and promotion of sales growth and development of companies by using strengths as a leader with a goal for the preemption of new fields of functional anti-pollution cosmetics through competitive market research and brand development of anti-pollution cosmetics for microdust blocking, which can effectively block the inflow of microdust into the human body through skin by adsorption of fine dust by porous minerals and photocatalysts.

      • 공공 디지털 정보의 융합 : 미세먼지 농도와 IPTV VOD 시청량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박문호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Recently, the fine particulate matter problem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our society. In some field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effect of fine particulate matter on outdoor activities. However, research on indoor activities has not been conducted ye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approach the relationship between fine particulate matter and indoor activities. We will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and VOD viewing volume on IPTV, the most representative indoor leisure activities. In this study, 340 days were used as a sample and daily IPTV VOD viewing volume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sub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PPV, PPM, and SVOD. The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was reflected in the research model as a key independent variable. Control variables that can affect the daily VOD viewing volume included precipitation, temperature, temperature^2, holidays, IPTV subscribers, and main broadcasting viewership variable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gression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all three product types, PPV, PPM and SVOD. Specifically, the correlation between PPV, PPM and SVOD viewings increased 1.0%, 0.4%, and 0.4% for each 10㎍/㎥ increase in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Considering that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variable is 29㎍/㎥, this is a considerable vari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PPV 2.5 times larger than that of PPM and SVOD can be interpreted as a compensatory buying behavior that compensates for the loss and frustration caused by the limited outdoor activities due to fine dust. The first academic implication is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fine particulate matter, which is a social concern, and IPTV VOD viewing volume. It is hoped that research on how fine particulate matter affect people's overall indoor activities could expand the scope. The second academic implication is that the intention is to combine the data from various sources to derive the research results to confirm the value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As a practical implication,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promotion considering the fine particulate matter. The relationship between fine particulate matter and indoor activity approached in this study is an area that has not been studied so far, at least to the researcher's knowledge. Attempting to find new research topics and areas is not bad and interesting, but above all, there is a limit to the lack of certainty resulting from the lack of prior research. 최근 미세먼지 문제가 우리 사회의 가장 핵심적인 이슈 중 하나로 떠올랐다. 일부 분야를 중심으로 미세먼지 농도가 야외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실내 여가활동에 대한 연구는 아직 진행되지 않고 있다. 사람들이 야외 여가활동 제약에 따른 대체재로서 실내 여가활동을 추구할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미세먼지와 실내 여가활동의 관계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통계청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TV 시청행위를 대표적인 실내 여가활동으로 규정하고, 능동적인 의사 선택과 쌍방향 소통이 원활한 IPTV VOD 서비스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콘텐츠 분야 연구들이 ‘콘텐츠 대 콘텐츠’의 관점에서 경쟁우위요소를 살펴본 것과 달리, ‘일(Daily) 대 일(Daily)’의 관점에서 경쟁우위요소를 찾고자 하였다. 340개일을 표본으로 하여, 일별 IPTV VOD 시청량을 종속변수로 삼았다. 종속변수는 PPVㆍPPMㆍSVOD의 세 가지로 세분화하여 결과를 살펴보았다. 미세먼지 농도를 핵심 독립변수로 연구모형에 반영하였으며, 일별 VOD 시청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통제변수로 강수량, 기온, 기온 제곱, 공휴일 여부, IPTV 가입자 수, 본방송 시청률 변수를 포함시켰다. 독립변수들은 제각기 환경ㆍ기후ㆍ일반ㆍ콘텐츠 속성을 감안하여 고려한 것들이다. 설정한 변수들을 바탕으로 다중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미세먼지 농도와 IPTV VOD 시청량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PPVㆍPPMㆍSVOD의 3개 상품 유형 모두에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예측했던, 미세먼지 농도가 실내 여가활동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정에 대해 그 가능성이 충분함을 확인시켜준 결과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세먼지 농도가 10㎍/㎥ 증가할 때마다 PPVㆍPPMㆍSVOD 시청건수가 각각 1.0%, 0.4%, 0.4% 증가하는 상관관계를 확인했으며, 이는 변수의 표준편차가 29㎍/㎥인 점을 감안하면 적지 않은 변동 폭이다. PPV의 상관계수가 PPMㆍSVOD보다 2.5배 크게 나타난 현상은, 미세먼지로 외출 및 야외활동이 제약됨으로써 생긴 상실감ㆍ좌절감을 추가 지불행위를 통해 보상하려는 보상구매(compensatory buying) 행동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첫 번째 학술적 시사점은 사회적 관심사인 미세먼지 농도와 IPTV VOD 시청량의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이다. 미세먼지 농도가 사람들의 실내 여가활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세먼지 농도가 사람들의 실내 활동 전반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가 살펴보는 연구로 그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두 번째 학술적 시사점은, IPTV 사업자, 한국환경공단, 기상청, 통계청, 법제처 등 의도적으로 다양한 출처의 데이터를 결합시켜 연구성과를 도출함으로써 다학제 연구의 의의와 가치를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미세먼지 농도를 고려한 프로모션 전략을 운영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접근한 미세먼지 농도와 실내 여가활동의 관계라는 범주는, 적어도 연구자가 아는 한 아직까지 연구가 없었던 영역이다. 새로운 연구주제와 영역을 찾아나선 시도 자체도 나쁘지 않고 흥미로운 일이지만, 무엇보다 선행연구 부재로부터 기인하는 확실성 부족이라는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었다.

      • 미세먼지로 인한 야외활동 위험인식 변화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자전거 이용객을 대상으로

        김보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level of Particulate Matter Risk Perception (PMRP), which has recently been considered as a lifestyle health risk, is serious. The government's action guidelines for PM risk concentration are recommended, and as media reports accumulate, the anxiety associated with Outdoor Activities (OA) and its direct impact on health is increasing. Despite these PM issues, the public desire for OA, such as play, physical education, and outdoor recreations, is increasing.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to obtain a comprehensive perspective regarding the PMRP and the public’s OA, thereby, adding to the conf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ing process of PMRP, reflecting social demands, formation of PMRP concerning the PM concentration, public opinion, and policy. It also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MRP and Outdoor Activity Satisfaction (OAS), and analyzed the difference in OAS between bikers and non-bikers. The scop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es in the PMRP and its effects on the OAS. To identify the change in PMRP, raw data were collected from a bicycle on-line community and were transformed through pre-processing and cleaning. Finally, Social Network Analysis (SNA) was applied. Additionally, the PM concentration, public opinion, and policies affecting the change of PMRP were identified, and their association with the PMRP was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MRP and OAS was verifi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s Model (SEM), and the differences in OAS were analyzed using the SEM and revised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ISA). The main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SNA, perceived PM in the bicycle community was found to change negatively. Besides, as the PMRP increased, OA was determined by PM concentration rather than by environmental factors (e.g. rain or cold). Because indoor cycling was more monotonous than outdoor cycling, some bikers turned to other indoor exercises(e.g. yoga or weight training). In this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PMRP was influenced by inaccurate PM concentration, distrust in government policies, and unverified excessiv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edia. Second,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hanges in the PMRP, the changes in PM concentration, the number of media reports, and government polic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people have felt PMRP in PM figures felt during OA, rather than the national -average or daily-average figures presented by the WHO. Longer the generation time of PM 2.5 and more PM that was visually and cognitively experienced, more the public's PMRP increased. The number of media reports related to PM was found to be similar to that of PM posts and influenced PMRP the most. Since controversies act as a trigger for PMRP, we suggested risk communication among the public and shareholders. The PM policies delivered by the government can be highly associated with the public’s PMRP,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delivery process. This means that the spread of information or ripple effect can be very large because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guidelines or regulations by the government. However, the government considered the process of forming PM policies only after the winter season because of severe PM concentration and negative feedback from the public. In the future, PM policies should establish policy goals in stages rather than as a vicious circle formed and extinguished by public controversy or media influence. Based on the social needs and scientific solutions, rational PM management policies and regulations among stakeholders should be discussed. Third, PMRP is higher when people have no interest or trust in Public Opinion and Policies (POP) related to PM; the health risk perception increased while OAS decreased. More the interest of people in forming the POP, higher is the OAS. In other words, lower the environmental impact, higher the person’s interest level that positively affects the PM health risk perception, which consequently has a positive effect on OAS. Fourth, OAS had more negative effects on the non-bikers than the PM health risk perception of the entire sample. For non-bikers, the most enjoyable OA in the presence of the PM effect was found to be social satisfaction through social interaction with others. When the PM level was unsafe, they were meaningless to OA. Fifth, for the bikers, the PM health risk perception negatively affected the OAS; however, it was rejected because the level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though there was a PM effect, items in OAS of bikers were more varied than non-bikers. It is interpreted that it is insensitive to health risks due to various preexisting satisfactions and plays a role of self-defense for outdoor cycling, even though the PM level is unsafe. Considering the above,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PM health risks experienced by the bikers with high outdoor satisfaction. Additionally, there must be a risk communication process or promotion process that helps recognize the PM; social consensus through step-by-step discussion is also required.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this study, research on OA type or various occupation groups exposed to PM should be conducted. Particularly, if continuous long-term studies through time-series data accumulation are combined, the changes in PMRP and OA can be studied more comprehensively. 최근 생활형 건강위험으로 논란이 되는 미세먼지 위험인식이 심각한 수준이다. 정부의 미세먼지 위험농도에 따른 행동지침이 권고되고, 언론보도가 누적되면서 건강과 직결된 야외활동의 불안감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 이슈에도 불구하고 놀이, 체육, 야외교육 등 야외활동을 갈망하는 대중들의 욕구 또한 상승하고 있다. 하지만 미세먼지 위험인식이나 야외활동만족에 관한 종합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사회적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미세먼지 위험인식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도출된 미세먼지 농도수치, 여론, 정책과의 관계에서 미세먼지 위험인식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미세먼지 위험인식 변화가 야외활동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계를 규명하고, 야외활동 유형별 차이를 분석하여 건강위해성과 야외활동만족도간 딜레마를 겪고 있는 자전거 이용객들의 사회적 보호방안과 관련 정책 등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미세먼지 위험인식 변화를 파악하고, 이러한 변화 속에서 형성된 미세먼지 위험인식이 야외활동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 것으로 구분된다. 미세먼지 위험인식 변화는 기존의 설문조사 방식을 벗어나 다양한 사람들의 생각을 수집하고자 자전거 커뮤니티 내 게시글인 카페글과 댓글을 수집하고, 빅데이터 사전정제작업을 거친 후 사회네트워크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미세먼지 위험인식 변화에 영향을 주는 미세먼지 농도수치, 여론, 정책 간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러한 요소들이 어떻게 미세먼지 위험인식에 관여하는지 분석하였다. 미세먼지 위험인식과 야외활동만족도 관계규명은 구조방정식을 통해 검증하였고, 야외활동 유형별 차이는 구조방정식을 통한 인과관계 검증과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한 야외활동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네트워크분석결과 자전거 커뮤니티 내에서 체감하는 국내 미세먼지 인식은 시기별로 부정적으로 변화되고 있었다. 또한 미세먼지 위험인식 글이 증가하면서 비나 추위보다 미세먼지 애플리케이션이나 언론에서 제공되는 미세먼지 등급에 따라 야외활동 여부가 결정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회원들의 일부가 실내 자전거운동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을 보였지만 야외보다 단조로운 운동특성상 요가나 헬스와 같은 다른 유형의 실내운동으로 전환되는 움직임도 파악되었다. 이 과정에서 미세먼지 농도수치의 부정확성이나 정부나 정책의 불신, 미검증된 언론의 과도한 정보로 인한 논란으로 미세먼지 위험인식이 가중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위의 결과를 토대로 미세먼지 위험인식 변화와 시기별 미세먼지 농도, 언론의 미세먼지 보도건수, 정부의 미세먼지관련 정책 등과 비교·분석하였다. 미세먼지 위험인식을 변화시키는 데 있어 미세먼지 농도수치는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시간이 길어질수록, 시각적·인식적으로 체험되는 미세먼지가 많아질수록 논란이 심화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미세먼지관련 언론보도건수는 미세먼지 게시글과 가장 유사하게 상승, 하락하는 패턴으로 나타났고, 미세먼지 위험인식을 변화시키는데 가장 큰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 미세먼지 위험인식의 기폭제로 작용하여 논란이 확산될 수 있기에 언론의 주요 역할과 대중과의 사회위험 소통을 위한 위험커뮤니케이션 역할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정부의 미세먼지관련 정책은 미세먼지 농도가 심각한 겨울철과 여론의 질타가 집중된 다음 정책이 형성되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여론에 반응성을 높인 단기 전략의 정책은 형성과 소멸의 악순환을 반복하며 미세먼지 위험인식 형성에 관여될 수 있다. 실제 정부 혹은 지자체의 지침이나 규제를 통한 정보전달은 확산력이나 파급력이 클 수 있기 때문에 사회적 요구와 과학적 해법에 근거한 합리적인 미세먼지 관리정책 및 규제방안이 논의되어져함을 제안하였다. 셋째, 전체 표본을 대상으로 한 구조방정식 결과 미세먼지 여론이나 정책에 관심이 적을수록, 미세먼지 여론이나 정책을 신뢰할수록 건강위험인식은 높아지지만 이렇게 형성된 건강위험인식은 야외활동만족도에 부적(-) 상관관계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미세먼지 여론이나 정책에 관심이 많을수록 야외활동만족도에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미세먼지에 대한 본인의 관심수준이 높을수록, 주변영향을 적게 받을수록 미세먼지 건강위험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이는 결국 긍정적인 야외활동만족도에 기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자전거 비이용객의 구조방정식 결과는 전체 표본의 미세먼지 건강위험인식보다 야외활동만족도에 더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미세먼지 영향이 있을 때 충족되는 야외활동만족도의 대부분은 사회적 교류를 통한 사회적 만족도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세먼지 수치가 안전하지 않을 때 야외활동 그 자체에 큰 의미를 두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반면 자전거 이용객의 경우 미세먼지 건강위험인식이 야외활동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은 미치나 신뢰수준이 유의하지 않아 기각되는 결과로 도출되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수정된 중요도·만족도 분석결과 자전거 이용객의 경우 미세먼지 영향이 있더라도 충족되는 야외활동만족도 항목이 비이용객에 비해 더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는 기형성된 다양한 만족도로 인해 건강위험인식이 둔감해지고, 미세먼지 영향이 있더라도 자전거활동을 하는 것에 대한 자기방어기제가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와 고찰을 통해 주목할 것은 미세먼지 취약계층뿐 아니라 야외활동만족도가 높은 계층의 눈높이에서 체감되는 미세먼지의 위험을 인지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야외활동 유형에 따라 체계적으로 연구된 건강상의 위해성 정보나 관련 교육이 필요하다. 그리고 총체적·유기적으로 미세먼지를 인식하도록 돕는 정부나 언론의 위험커뮤니케이션 과정이나 홍보가 선행된 후 단계별 토의를 통한 사회적 합의가 요구된다. 향후 본 연구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전거활동뿐 아니라 다양한 야외활동 유형별 또는 미세먼지 노출로 우려되는 직업군에 대한 연구가 보완될 필요가 있다. 특히 시계열적 자료축척을 통한 지속적인 장기연구가 병행된다면 보다 종합적인 시각에서 미세먼지 위험인식 변화나 야외활동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미세먼지의 입경별 위해 분석 방법 비교 연구

        김진용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최근 미국과 유럽 등 선진 외국에서는 대기오염으로 인한 사망률 및 유병율의 증가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 많은 연구에서 대기오염의 가장 중요한 오염원으로 자동차를 들고 있고, 특히 입자상 물질에 대한 유해성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대기중의 미세먼지 연구는 나노 크기의 매우 작은 입경으로 인한 영향 및 인체 위해 증폭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는 미세먼지중 입경이 100㎚ 이하의 극미세입자는 마이크로 크기의 입자에 비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된 표면적으로 인해 오염물질의 부착 및 체내세포와의 반응성이 높아질 수 있으며, 작은 크기로 인해 체내 및 세포내 유입이 용이하여 심혈관계 질환 및 발암 유발 가능성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존의 역학적 접근법이나 함유성분을 이용한 위해성평가 방법론은 입자 크기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본 논문은 입자상물질의 입경별 위해분석을 위하여 역학적 연구결과에 따른 농도-반응 평가와 함유 물질별 용량-반응평가, 세포의 독성에 의한 용량-반응평가 방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극미세입자와 같은 입경별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인체 위해성평가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 PM10 및 PM2.5과 사망률과의 상관성 연구 결과에 의해 도출된 농도-반응 함수를 이용한 조기 사망률을 추정하였고, 입경별 미세먼지(PM10, PM2.5 및 PM1.0)에 함유된 중금속류와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농도 기반에 따른 독성 위험값 및 초과발암위해도를 추정하였다. 또한 미세먼지의 입경별(PM10, PM2.5 및 PM1.0) 세포내 활성산소 발생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용량-반응 값을 추계하여 인체 위해도를 추정하였다. 이와 같은 3가지 미세먼지의 입경별 인체 위해도 추정 방법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미세먼지의 입경별 위해도를 추정하기 위해 서울 신촌 도로변에서 2007. 12. ~ 2009. 12. 기간동안 10㎛ 이하의 먼지를 10단으로 분리하여 포집했고, 이를 이용하여 계절 및 차량 소통량 등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측정기간동안 도로변 극미세입자는 0.18~0.32㎛와 1.8~3.2㎛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낸 이산형 분포를 보였으며, PM10의 평균 농도는 38.3㎍/㎥, PM1.0의 평균 농도는 21.9㎍/㎥ 로 측정되어 PM10중 PM1.0의 기여율은 약 53% 수준이었고, 특히 0.1~1.0㎛ 분포의 입경은 차량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농도가 높아졌다. 입경별 미세먼지에서 분석한 16종의 중금속(P, S, Cl, Ti, V, Ni, Cu, Zn, Se, Ba, Pb, Ca, Fe, Na, Al, K)중 미세먼지에 함유되어있는 대표적인 오염물질인 6종의 전이금속(Ti, V, Ni, Cu, Zn, Fe)중 가장 많은 함유율을 보인 Fe와 전신독성 및 생식·발육독성을 나타낼 수 있는 Ni, 전이금속은 아니나 자동차 배출가스를 오염원으로 가진 오염물질중 하나인 Pb에 대한 계절적 변화 및 교통 소통량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Ni은 0.18㎛이하의 입경에서, Pb은 0.32~3.2㎛ 입경에서, Fe은 0.18㎛ 이하의 입경과 1.0~10㎛ 입경에서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Ni는 0.56~1.0㎛, Pb는 0.1~1.0㎛의 입경에서 교통량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난 반면, Fe의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교통량에 따른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otal PAHs 오염도는 PM10의 경우 80.50ng/㎥, PM2.5의 경우 63.25ng/㎥로 분석되었고, PM10과 PM2.5중 개별 PAH 물질의 농도 패턴은 대체로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모두 Benzo[a]pyrene 이 가장 높은 함유율을 보였다. 포집된 미세먼지를 PM10과 PM2.5, PM1.0 으로 구분하여 역학적 방법을 통해 조기 사망율을 산출한 결과, 조사 대상 지역의 PM2.5 평균농도(28.5㎍/㎥)로 인한 호흡기계 질환 사망률은 년간 10만명당 약 342명이었으며, PM10 평균농도(38.3㎍/㎥)로 인해서는 년간 10만명당 약 246명인 것으로 나타나 PM10에 비해 PM2.5로 인한 조기 사망률이 약 1.4배정도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세먼지중 니켈과 납의 독성위험값은 모두 1.0 이하로 PM10 > PM2.5 > PM1.0의 순이었으며,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초과발암위해도는 PM10이 5.6×10-6, PM2.5이 4.8×10-6, PM1.0이 2.6×10-6로 추정되어 함유성분에 대한 위해성평가는 입경별 영향보다는 미세먼지의 질량에 따른 영향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독성평가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BMDL10은 PM10이 72㎍/㎖, PM2.5가 39㎍/㎖, PM1.0이 24㎍/㎖로 추정되어 산화적 스트레스의 발생 확율은 PM10이 1.4배, PM2.5가 1.9배, PM1.0이 2.1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미세먼지의 함유성분에 의한 위해성 추정법은 극미세입자의 특성적 영향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역학적 방법론을 통한 접근법은 입경이 작은 미세입자의 독성영향이 크게 나타나 입경별 특성을 반영할 수 는 있었으나, 다양한 입경에 대한 기초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PM1.0 및 PM0.1 등의 극미세입자에 대한 평가는 어려운 제한점이 있었다. 또한 세포독성평가의 입경별 위해도 추정은 극미세입자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독성영향과 질병 발생간의 명확한 기전이 확립되지 않아 유사영향에 대한 불확실성을 초래할 수 있는 제한점이 있었다. 따라서 향후 나노입자 등의 매우 작은 입경의 극미세먼지에 대한 건강 영향 평가를 위해서는 기존의 성분분석에 의한 위해성평가보다는 질병 발병이 아닌 다소 초기증상이기는 하지만 ROS 측정과 같은 세포독성평가를 접목하는 것이 보다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 미세먼지 발생 시 유아실외활동에 대한 유아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실태

        김경수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부모와 교사의 미세먼지 관련 지식, 미세먼지 발생 시 유아실외 활동에 대한 인식 정도를 비교하고, 실외활동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부모와 교사의 미세먼지에 대한 지식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부모와 교사의 미세먼지 발생 시 유아실외활동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미세먼지 발생 시 유아실외활동 지도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방법은 설문 조사이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유아부모 348명과 어린이집 교사 262명으로 총 610명이다. 자료 분석은 i-Statistics 2.01을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와 백분율, 독립표본 t검증(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및 Scheffé 사후 검증, 교차분석(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세먼지에 대한 유아부모와 교사의 지식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사는 부모보다 미세먼지에 대해 더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두 집단 간 지식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어 일반적 배경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경우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미세먼지에 대한 지식이 월등히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한 미세먼지 교육경험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지식이 많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교사의 경우는 평가인증 경험이 있는 집단, 미세먼지 교육경험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미세먼지 발생 시 실외활동에 대한 유아부모와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t검증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외활동 계획 및 준비에 대해서 부모는 교사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미세먼지 발생 시 실외활동 운영에 대해 부모는 교사보다 모두 높은 수준의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미세먼지 발생 시 대체활동 계획 및 운영에 대해 부모가 교사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어 일반적 배경에 따른 인식 차이 결과이다. 부모의 경우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ANOVA) 결과, 실외활동 계획 및 준비에 대한 인식은 부모들의 성별, 보내는 어린이집의 설립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미세먼지 발생 시 대체활동 계획 및 운영에 대한 인식은 부모들의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사의 경우는 실외활동 계획 및 준비, 운영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미세먼지 발생 시 대체활동 계획 및 운영에 있어서만 학력, 담임 연령 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미세먼지 상황에서 유아교사의 실외활동 지도실태이다. 먼저 미세먼지 발생 시 실외활동 계획 및 준비에 대해 빈도와 백분율, 검증 결과 대다수 교사가 주제를 고려하여 교육계획안 작성 후 실외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활동 계획 여부는 평가인증 경험 유무와 미세먼지 교육 경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실외활동을 위한 교사들의 미세먼지 농도 점검 방식은 스마트폰 미세먼지 앱(Application; 이하 앱)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미세먼지가 ‘보통’인 날 교사들이 중요하게 챙기는 것으로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 기구’가 가장 많았다. 이어 미세먼지 발생 시 실외활동 운영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먼저 대부분의 교사들은 실외활동을 미세먼지 농도 ‘보통’ 이상이면 한다고 하였다. 미세먼지 ‘나쁨 ’시에는 ‘대체활동을 한다.’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다. 실외활동 중 교사들의 미세먼지 농도 점검에 대한 응답으로는 ‘실외활동 중 1회 이상 점검한다.’ 비율이 가장 높았다. 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서는 미세먼지 교육경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야외학습 중이나 소풍지에서 미세먼지 농도 ‘나쁨’인 경우 교사들의 대처방안으로는 ‘주변의 실내 활동으로 대체한다.’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미세먼지로 인한 실외활동의 대체활동 운영 분석 결과이다. 첫째, 미세먼지로 실외활동이 대체활동으로 바뀐 비율은 ‘50%이상’이 가장 많았다. 둘째, 대체활동 운영 시 교사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는 ‘유아들의 흥미’였다. 셋째, 대체활동 공간에서 미세먼지 방지 방법으로는 대부분의 교사(84.9%)가 ‘공기청정기 가동’이라고 하였다. 넷째, 미세먼지 발생 시 실외활동 운영의 어려움으로 교사들이 가장 많이 꼽은 것(47.1%)은 ‘부모들의 염려와 불안’이었다. 이런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크게 세 가지 점을 논의하였으며, 추후 연구 과제로 2가지를 제안하였다.

      • 이온 성분 분석 및 배출원 할당을 통한 울산지역 미세먼지 (PM_(10))의 저감 방안 연구

        김지태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울산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대기환경자동측정소에서 제공하고 있는 미세먼지 (PM_(10)) 자료를 바탕으로 울산시의 미세먼지 변화를 파악하였다. 또한 울산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4 지역을 선정하여 미세먼지 (PM_(10)) 포집을 실시하였다. 선정된 지역은 주거 밀집 지역으로 무거동, 시내 중심 지역으로 삼산동, 산업 지역으로 부곡동, 도시 배경 지역으로 배내골이다. 이들 지역에서 미세먼지 (PM_(10))를 포집한 후, 각 지역별 미세먼지 농도를 파악하고 미세먼지 내에 존재하는 오염 물질, 특히 이온 성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온 성분에 대한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를 통하여 배출원을 파악한 후, 미세먼지의 발생 특성에 따라 이들의 저감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근 3 년간 대기환경자동측정소 자료를 바탕으로 울산시의 미세먼지 (PM_(10)) 농도를 분석한 결과, 2006년도에 51.7 ㎍/㎥, 2007년도에 52.8 ㎍/㎥, 그리고 2008년도에 54.0 ㎍/㎥로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들 값은 모두 국가 미세먼지 농도 기준치인 50 ㎍/㎥를 초과하고 있었다. 8 stage Cascade Impactor로 분석된 미세먼지 크기별 농도 분포 결과에서는 모든 지역에서 초미세먼지 (PM_(2.5))의 비중이 50% 안팎으로 높게 나타났다. PM_(2.5)의 농도도 미국의 기준치인 15 ㎍/㎥를 훨씬 넘는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각 지역에서 포집된 미세먼지 (PM_(10))의 연간 평균 농도는 시내 중심 지역인 삼산동에서 68.4 ㎍/㎥, 주거 밀집 지역인 무거동에서 46.0 ㎍/㎥, 산업 지역인 부곡동에서 52.1 ㎍/㎥, 도시 배경 지역인 배내골에서 34.9 ㎍/㎥로 나타났다. 각 지역 미세먼지 내의 이온 성분을 분석한 결과, 모든 지역에서 황산염 (SO₄^(2-)), 질산염 (NO₃-), 암모늄 이온 (NH₄+)이 주된 성분을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배출원 할당을 실시한 결과, 이들 성분의 가장 주된 요인은 도로교통에 의한 비산먼지와 산업으로부터의 배출에 의한 영향이었다. 따라서 울산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저감을 위해서는 도로비산먼지 발생 감소와 산업 활동에서의 대기오염물질 배출 저감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d concentrations of PM10 obatined from air pollution monitoring systems which are operated by the local government of Ulsan. This study also obtained PM10 samples using a high-volume sampler from selected 4 sampling sites which are a residential, downtown, industrial, and background areas. This study analyzed ionic species (Na+, NH₄+, K+, Mg²+, Ca²+, Cl-, NO₃-, SO₄^(2-)) in PM_(10) and attempted to assign sources of PM using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of ionic species and other PM components. The concentrations of PM10 from air pollution monitoring stations were 51.7, 52.8, and 54.0 ㎍/㎥ in 2006, 2007, and 2008, respectively, which shows an increasing trend. The annual average concentrations of PM10 obtained from the 4 representative sampling sites by a high volume sampler were 68.4, 46.0, 52.1, and 34.9 ㎍/㎥ at downtown, residential, industrial, and background areas, respectively. Sulfate SO₄^(2-), nitrate (NO₃-), and ammonium (NH₄+) were the major ionic species of PM_(10). These ionic components mainly are from anthropogenic sources such as industrial activities and vehicle emissions. PM_(10) in Ulsan has also a large amount of secondary PM components. Emission reduction strategies for industrial and mobile sources should be considered for improvement of PM_(10) levels in ambient air in Ulsan.

      • 대학 캠퍼스의 미세먼지(PM2.5, PM10 및 TSP)농도 분포에 관한 연구

        이한솔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순천향대학교 캠퍼스 내의 실내․외 여러 장소에서 초미세먼지(PM2.5)와 미세먼지(PM10) 및 총부유분진(TSP)의 농도를 측정하여 실내․외 대기환경의 오염도 평가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 습득에 목적을 두었다. TSP 측정은 중량법을 이용하는 TSP 샘플러(TISCH Environmental, USA)를 사용하였고 PM2.5 및 PM10 측정은 광산란법을 이용하는 Dust TrackⅡ장비(Model 8530, TSI, USA)를 사용하였다. 실외의 경우, TSP 및 PM2.5의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 장소는 순천향대학교 내 중심적 위치인 공대 옥상에서 측정하였으며, 초미세먼지(PM2.5) 농도를 1년 동안 월별로 측정한 결과, 가을부터 초봄(10월~3월)까지 높게 나타났으며, 여름철(6월~8월)에 낮게 측정되어서 국내 선행 일반 연구 결과와 거의 일치하였다. 측정된 초미세먼지 농도 중, 1월이 가장 높았고, 6월이 가장 낮았다. 1월, 10월, 11월 및 12월에는 대부분 35 μg/m3 를 초과하였다. 총부유분진(TSP) 농도를 1년 동안 측정한 결과, 초미세먼지(PM2.5)의 월별 농도분포와 비슷하였으며, 1월에 가장 농도가 높았고 모두 100 μg/m3 이하로 측정되었다. 실내의 경우, PM10과 PM2.5의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실내 측정 장소는 SRC 7곳, 휴게실 6곳, 대형 강의실 6곳, 공대 내 센터 4곳, 학과사무실 4곳, 연구실 4곳, 실험실 5곳, 강의실 4곳 및 컴퓨터실 2곳으로서 총 42곳을 선정하였다.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대부분(39곳) 일반 다중이용시설 일반기준 50 μg/ m3 아래였다. 기준농도를 초과했던 3곳 중, SRC 무용실 및 음악실의 경우, 밀폐된 공간에서 환기를 자주 시키지 않아서 측정값이 높게 나온 것으로 보인다. 특정 학과사무실의 경우 측정 시간에 유동인구가 많았고, 프린트 복사 작업이 많아서 높게 나온 것으로 보인다. 미세먼지(PM10) 농도는 실내 5곳 모두 기준농도(100 μg/m3) 아래였다.

      • 미세먼지 시민 인식 설문조사 분석 및 설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보람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미세먼지는 최근 시민들에게 대기환경에 큰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미세먼지의 고농도 발생일수가 점차 증가하면서 미세먼지 예·경보 발령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시민들에게 미세먼지는 중대한 대기오염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렇게 미세먼지가 지속적으로 이슈가 됨에 따라 다양한 설문조사들이 진행되고 있고, 그로 인해서 미세먼지에 대한 시민 인식을 파악할 수 있는 조사 결과들이 나오고 있다. 현재까지 진행된 미세먼지에 대한 시민인식조사 설문조사는 그 목적성과 거리가 먼 설문 항목 및 편향적 질문으로 인하여 객관성이 낮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는 평가가 있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객관적 결과 분석의 오류를 예방하고자 각 항목의 문제점을 객관화시킨 데이터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시민인식 설문조사에서 문제가 제기되는 항목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앞서 진행된 미세먼지 시민 인식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객관적 분석에 필요한 사항들을 알아보았다. 각 설문조사의 항목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설문 문항 작성 시 고려 사항을 파악한 후 각 항목에 대한 분석 점수를 리커트 척도를 활용하여 진행하였으며, 그에 따른 분석 결과를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 데이터에서 활용한 설문조사들은 온라인 설문조사와 대면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대부분 설문조사 항목들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진행되어 대면 설문조사에서 나타낼 수 있는 심도 깊은 설문 조사 응답에 한계점으로 나타났다. 미세먼지 시민 인식과 같은 설문조사에 있어서 시행되고 있는 정책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향후 정책 입안을 위하여 관련 설문 문항들에 대한 분석도 진행하였으나 대부분의 분석 문항들은 폐쇄적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설문 문항을 통해 정확한 결과 해석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런 문제 분석을 통해 새롭게 개발한 설문조사 항목들을 활용하면 시민 의식을 조사하기 위한 수준 높은 설문조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에서 2020년 사이에 진행된 미세먼지와 관련된 시민 인식을 조사한 설문조사 8가지 문항을 각 설문 문항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분석 지표에 따라 분석 결과의 기준을 최우수 점수를 10점 기준으로 우수 : 8점, 보통 : 6점, 미흡 : 4점, 매우 미흡 : 2점, 해당 문항과 관련이 없거나 항목으로 존재하지 않을 경우 : 0점으로 평가하였으며 각 분석 척도를 활용함으로써 객관성을 가진 결과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었다. 정확한 통계 분석을 위하여 사실적 문항을 제외하고 ‘미세먼지에 관한 설문 문항’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의 미세먼지 시민 인식 조사의 객관적 결과를 얻는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미세먼지 정책과 정책의 참여도에 대한 설문 문항을 정책 종류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추후 미세먼지와 관련된 정책 문항을 객관적으로 판정할 수 있는 설문 항목을 개발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지속할 필요성이 있다는 사실을 본 연구를 통하여 판단할 수 있었다. 현재까지 미세먼지에 대한 시민 의식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조사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한 내용으로 관련 내용 분석을 통해 시민 의식을 분석하기 위한 설문조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주로 연구내용으로 하였다. Fine dust is recently recognized as a big factor in the air environment by citizens. As the number of days of occurrence of high level of fine dust is gradually increasing, the fine dust warning and high level forecast is being issued, and accordingly, fine dust is recognized as a serious air pollutant by citizens. As fine dust continues to become an issue, various surveys have been conducted, and as a result, survey results are coming out that can express citizens' perceptions of fine dust. The public perception survey on fine dust conducted so far have produced results with low objectivity due to questionnaire items and biased questions that were far from their purpose. They have been analyzed through objective data. In order to analyze the items that were raised in the citizen perception survey, the items necessary for objective analysi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previously conducted fine dust citizens’ perception survey. As a method for analyzing each questionnaire item, considerations were identified for writing the questionnaire, and the analysis score for each item was evaluated using the Likert scale,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thoroughly reviewed for deriving proper conclusions. The surveys used for this study were conducted through online and face-to-face surveys, and most survey items were conducted through online surveys, so the in-depth survey responses could not be obtained. It could be considered that the exact item analysis could be accomplished based on only objective survey results. When conducting a survey such as citizens' perception of fine dust, the related questionnaire items were also analyzed to formulate policies to reduce fine dust and the policies being implemented. Most of the analysis items however, consisted of closed questions. Through this questionnaire, it c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only partial results that are difficult to use as an accurat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By using the newly developed survey items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problems, it could be sai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analyze the highlevel and real results of the survey to investigate civic consciousness. Eight questions in a survey that investigated citizen perceptions related to fine dust conducted between 2014 and 2020 were analyzed according to each question. Point, Out of 10 points for the best score : 8 points, Average: 6 points, Poor: 4 points, Very poor: 2 points, No related questions: 0 points. By using each analysis scale, it was possible to produce result data with objectivity. By accurate statistical analysis, it will contribute to obtaining objective results of future citizen perception surveys on fine dust by excluding factual questions. In addition, there remains a need to continue a research to develop questionnaire items that can objectively determine policy items related to fine dust in the future by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policy types and policy partici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