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錦江流域 3~5世紀 環頭刀 硏究

        이보람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evolution of the swords with a ring pommel which originated from Geum river valley by assessing the properties of these swords, their form and their manufacturing processes - in addition the subsequential impact it had upon the Baekje and Mahan area. Numbers of factors were attempted to be classified based on the swords with a ring pommel identified from Geum river valley and relative comparison of these factors were also attempted in order to have them analyzed in terms of their chronological differences and also to affirm systemicity about the swords with a ring pommel. The attributes of the swords with a ring pommel focused in this study were the manufacturing processes, the pattern of guard, and (absence or presence) of ornament on the swords. There were six kind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es consisting of the way to make hilt and ring pommel portion. One of the methods to manufacture swords with a ring pommel, which seemed the earliest making style, was one body + one body (ⅠA) pattern that the portion of ring pommel, haft, and blade were made as whole body. ⅠA pattern has been mostly excavated at Jugu-Togwangmyo, Bungumyo, and Togwangmyo and it was close to the aspect of Mahan. Also, one body + connection (ⅠB) pattern, whose manufacturing processes had been retained during the longest period, has been mainly found at Bungumyo and Togwangmyo. After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es for hilt had been changed as the conversion to Baekje was gone on. Decorative swords with a ring pommel appeared while especially connection manufacturing process that separately make the portion of ring pommel and blade and connect was started. By the appearance of the decorative swords, there was remarkable feature that many kinds of products for authority such as Chinese potteries, gilt bronze hats, gilt bronze shoes, and so on were discovered with the swords at the same place. The regional aspects were shown differently at this change of manufacturing processes of the swords, and by assessing it the attribute was able to be deduced the dynamical relationship between Mahan and Baekje. The change of the pattern of guard as well as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words reflects the temporal attribute. The pattern of guard with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words generally changed as ⅠA + non-guardㆍone-guard → ⅠB+one-guard→ ⅡB+two-guard. Through this aspect of the sword with round pommel, the attributes of them are found out to have the temporal attribute and various regional aspects. Therefore, based on these analyses about the sword with round pommel, this study attempt to classify the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features and the aspect of the change of swords with round pommel. Based on historical facts as well as the aspect of the change of swords with round pommel, the sword with round pommel are classified as stage Ⅰ( 2nd centruy ~ middle 3rd century A.D), stageⅡ( middle and late 3rd century ~ middle 4th century), stageⅢ(middle and late 4th century ~ early 5th century), and stageⅣ( middle and late 5th century ~ 6th century) and subdivides regions, where the sword with round pommel are researched, as the upper basin, the middle basin, the lower basin of the Geum river, and the west coast of the Jeonbuk district to examine regional aspects. The swords with round pommel appeared in stageⅠ are generally typeⅠ with non-guard or one-guard, and does not have ornaments on the swords. The swords with round pommel in stageⅠ are normally excavated at the mound with ditch burial, mound burial and pit grave in the middle and the lower basin of the Geum river and the west coast of the Jeonbuk district. Through this aspect, stageⅠ was the time Baekje was developing into a concrete state and the groups in Mahan area seem to maintain each group's power according to each region in the Pan-Mahan area. Generally, in StageⅡ, type A and typeⅠB were found and one-guard was mostly appeared in the case of the pattern of guard. The regional aspects are differently shown and, especially, in the middle basin of the Geum river, there were little distinctions of regional aspect according to sub-regions. In view of these aspects, stageⅡ is the time Baekje advanced south and conquered groups of Mahan, which were near to, and various regional aspects appeared. It is roughly to estimate that stageⅡ is dated between middle and late 3rd century and middle 4th century A.D.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word with round pommel changed from one body pattern to connection pattern and, in the case of the pattern of guard, two-guard widely prevailed with typeⅡB in stageⅢ which Baekje progressed. In this stage, the change of burial types differently appeared according to each regions as well as the sword with round pommel and this aspect was shown in complex. In view of this aspect, stageⅢ might be interpreted that Mahan was being absorbing into Baekje and dated between late 3th century and early 5th century A.D. In stageⅣ, the quantity of excavated swords with round pommel remarkably decreased and swords were changed from swords with round pommel to the sward which were practical. The site where the sword with round pommel are excavated, is generally located in south of the Geum river. They were usually discovered as the two-guard with typeⅡB and attached Guemgu such as decoration under the ring pommel, decoration on the guard, decoration scabbard and so on. StageⅣ dated between middle and late 5th century A.D was the time the capital of Baekje was transferred to Woongjin and most groups of Mahan had been absorbed into Baekje. The burial type which swords with round pommel were excavated in StageⅣ were mostly the tombs made from stones, and this aspect shows that the reorganization of local powers was perfectly completed.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progress of the transition of Mahan and Baekje by excavated iron articles, especially the sword with round pommel. This study, however, could be judged that there is a jump to analyze the mutual relation between Mahan and Baekje according to limited data as the sword with round pommel. Because the study for the different artifacts which were excavated with the sword with round pommel was not researched, the military organization of Mahan and Baekje or the change aspect of different artifacts were not considered. Therefore, the study for the mutual relation between Mahan and Baekje will need to be concentrated by the comparative study with associated iron artifacts and the potteries which were excavated with the word with round pommel.

      • 종합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 인증제 인식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보람 호남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논문개요 종합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 인증제 인식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제출자 : 이보람 지도교수 : 하윤주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의료기관 인증제 인식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K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중 의료기관 인증제를 한번 이상 경험한 간호사로 본 연구의 취지를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것을 동의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018년 7월 16일부터 2018년 7월 31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최종분석에는 202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로 의료기관 인증제 인식은 Choi(2011)가 사용한 도구를 Kim(2015)이 수정․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고, 간호업무성과는 Ko, Lee & Lim(2007)이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37.18세로, 30~39세가 39.6%로 가장 많았으며, 결혼 상태는 기혼이 57.9%, 미혼이 42.1%이었다. 최종학력은 학사가 66.3%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석사이상이 24.3%, 전문학사가 9.4%순이었다. 평균 총 임상근무경력은 14.78년이었으며 21년 이상이 27.7%, 10년 이하가 40.6%, 11~20년이 31.7%순이었다. 평균 현부서 근무경력은 4.12년이었으며 2년 미만이 39.6%, 2~4년 미만, 4년 이상이 30.2%이었다. 근무부서는 일반병동이 52.5%로 가장 많았고, 중환자실 17.3%, 수술실 10.9%, 외래 및 기타가 19.3%순이었다. 근무형태는 3교대가 62.4% 가장 많았고, 상근 21.3%, 기타 16.3%순이었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79.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책임간호사와 수간호사이상이 20.3%이었다. 월수입은 2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이 39.6%로 가장 많았고, 300만원 이상이 40.6%, 200만원미만이 19.8%순이었다. 인증제 경험 횟수는 평균 1.89회이었으며 2회가 59.9%로 가장 많았고, 1회 25.7%, 3회 이상이 14.4%순이었다. 인증제로 인한 연장 근무 경험은 ‘있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98.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없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1.5%로 대상자 대부분이 연장 근무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2. 종합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 인증제 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2.90±0.56점이었으며, 하위영역별 평균은 인지도 3.24±0.61점, 운영성과 2.95±0.63점, 질 향상 2.83±0.68점, 구성원만족 2.57±0.66점의 순이었고, 간호업무성과는 5점 만점에 평균 3.84±0.53점이었고 하위영역별 평균은 업무수행능력 3.94±0.60점, 업무수행태도 3.83±0.58점, 업무수준향상 3.79±0.62점, 업무간호과정적용 2.20±0.38점의 순이었다. 3. 종합병원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기관 인증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F=5.32, p<.006) 최종학력(F=7.19, p<.001), 총 임상근무경력(F=11.43, p<.001), 근무형태(F=3.81, p<.024), 직위(F=-4.28,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종합병원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업무성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F=26.80, p<.001), 결혼상태(F=-4.99, p<.001), 최종학력(F=6.80, p<.001), 총 임상근무경력(F=20.55, p<.001), 현 부서근무경력(F=3.54, p<.001), 근무병동(F=4.84, p<.001), 직위(F=-6.14, p<.001), 월수입(F=22.14, p<.001), 인증제 경험 횟수(F=10.08,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종합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 인증제 인식, 간호업무성과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의료기관 인증제 인식은 간호업무성과(r=.25,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6. 종합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 인증제 인식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통제변수인 일반반적 특성만 포함된 1단계 위계에서 현 부서 근무경력이 4년 이상(B=-0.26, p<.05), 근무하는 병동이 수술실인 경우(B=0.26, p<.05) 간호업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5.225, p<.001), 통제변수가 간호업무성과를 설명하는 설명력은 27%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들이 포함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 회귀모형의 적합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10.832, p<.001), 의료기관 인증제 인식을 투입한 2단계에서 설명력은 32%로 나타나 1단계에 비하여 5.0%p(p<.001) 증가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의료기관 인증제 인식은 간호업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B=0.22, p<.001). 즉, 근무병동, 현 부서근무경력, 의료기관인증제 인식이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 의료기관 인증제 인식이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의료기관 인증제에 대해 정확한 정보 제공 및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하여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안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의료기관 인증제에 대한 인식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인증 준비에 대한 보상제도의 설계가 필요하다. 간호부서는 인증기간 동안 많은 준비를 해야 하는 부서이며, 업무가 가중되어 많은 간호사가 인증에 부정적 태도를 보이고 있으므로 인증준비에 따른 적절한 보상제도의 마련도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간호사의 경력이 높아질수록 의료기관 인증제 대한 인식과 간호업무성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간호조직의 발전과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장기 근속자에 대한 특별 관리를 위한 제도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해야 함을 시사해준다. 주요어 : 종합병원, 간호사, 인증, 인식, 간호업무성과 Abstract The Effects of General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Healthcare Accreditation on Nursing Performance Lee, Bo Ram Directed by Professor Ha, Yun Ju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Honam University Gwangju. Korea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on nurses at a general hospital to identify the effects of nurses’ perception of health care accreditation on nursing performanc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nurse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They worked in K General Hospital located in G City and had experienced health care accreditation at least once. Data collection was from July 16 to 31, 2018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Data from 202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Perception of the health care accreditation system was measured with a tool used by Choi (2011) and then revised and supplemented by Kim (2015). Nursing performance was measured with a tool developed by Ko and colleagues (2007) for nurs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WIN 25.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37.18 years, with ages in the 30–39 years range being the most common. Of the participants, 57.9% were married and 42.1%, unmarried. The final education level was most commonly a Bachelor’s degree (66.3%), followed by Master’s or higher (24.3%) and Technical Bachelor’s (Associate’s) degree (9.4%). The mean total clinical work experience was 14.78 years, with 27.7% of the participants reporting having worked 21 years or more, 40.6% having worked less than 10 years, and 31.7% having worked between 11 and 20 years. The average work experience in the current department was 4.12 years, with 39.6% having worked less than two years; 30.2%, between two and four years, and another 30.2%, more than four years. The participants’ work department was most commonly regular wards (52.5%), followed by intensive care (17.3%), operating room (10.9%), and outpatient or other (19.3%). The shift type was most commonly three shifts (62.4%), followed by full-time (21.3%) and other types (16.3%).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regular nurses (79.7%); 20.3% held a position higher that managing nurses and chief nurses. The participants’ monthly income was most commonly between KRW 2 million and 3 million (39.6%); 40.6% made more than KRW 3 million, whereas 19.8% made less than KRW 2 million. The was 1.89 times on average, with two times being the most common (59.9%), followed by one time (25.7%) and more than three times (14.4%). Nearly all (98.5%) of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had experience working extended hours owing to the health care accreditation system . 2. The perception of general hospital nurses regarding the health care accreditation system was, on average, 2.90±0.56 points out of 5. By sub-area, the averages were in the following order: 3.24±0.61 points for awareness, 2.95±0.63 points for management progress, 2.83±0.68 points for increase in quality, and 2.57±0.66 points for satisfaction with one’s team. Nursing performance was, on average, 3.84±0.53 points out of 5. By sub-area, the averages were in the following order: 3.94±0.60 points for job performance, 3.83±0.58 points for job performing attitude, 3.79±0.62 points for increase in performance, and 2.20±0.38 points for applying nursing processes. 3. The analysis results on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health care accreditation system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general hospital nurs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F=5.32, p<.006), final education level (F=7.19, p<.001), total clinical work experience (F=11.43, p<.001), shift type (F=3.81, p<.024), and position (F=-4.28, p<.001). 4. The analysis results on the differences in nursing performance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general hospital nurs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F=26.80, p<.001), marital status (F=-4.99, p<.001), final education level (F=6.80, p<.001), total clinical work experience (F=20.55, p<.001), work experience in the current department (F=3.54, p<.001), ward in which they work (F=4.84, p<.001), position (F=-6.14, p<.001), monthly income (F=22.14, p<.001), and number of experiences with the health care accreditation system (F=10.08, p< .001). 5.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orrelation between nurses’ perception of the health care accreditation system and nursing performance showed that percep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performance (r=.25, p<.001). 6. In the first-level hierarchy that included only general characteristics, which is a control variable on the effects that perception of the health care accreditation system of general hospital nurses have on nursing performance, cases of work experience in the current department being greater than four years (B=-0.26, p<.05) and ward in which they work being the operating room (B=0.26, p<.05) had a significant impact on nursing performance. Th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5.225, p<.001), and the control variable was found to explain 27% of the variance in nursing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includ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revealed that the accuracy of the final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10.832, p<.001), In the second-level that included perception of the health care accreditation system, the explanatory power was found to be 32%, which was higher by 5.0% compared with the first level (p<.001). When controlling for general characteristics, perception of the health care accreditation syste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nursing performance (B=0.22, p<.001). In other words, the ward in which they work, work experience in the current department, and perception of the health care accreditation system influenced nursing performance. These results evinced that perception of the health care accreditation system affected nursing perform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ise measures for improving nursing performance by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and systematic education on the health care accreditation system. To strengthen awareness of the health care accredit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design a compensation system for nurses preparing for accreditation. Nursing units are departments that must prepare during the accreditation period, and many nurses are showing a negative attitude toward accreditation owing to the increase in workloa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per compensation system for the preparation for accreditation. In addition, a longer nursing career was associated with better perception about the health care accreditation system and higher nursing performance, suggesting the need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for implementing special, long-term management aimed at the advancement of the nursing organization and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medical care provided. Key words: General hospital, Nurse, Accreditation, Perception, Nursing performance.

      • 지역사회 아트프리마켓의 발전방안 : 울산 '손맛장터'를 중심으로

        이보람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Improvement strategy for Art Flea Markets in the Local Society - Focused on the Ulsan ‘Sonmatjangteo’ Boram Lee Since the Hongik University Free Market in 2002, various art flea markets have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nationwide; in Seoul, Busan, Changwon, etc. An art flea market is a place where people can purchase and sell creative artwork, such as handicrafts, instead of manufactured goods. It is also a place where artists and citizens communicate through pure art skills in all generations·hierarchy·culture and original idea products, living supplies, experience, etc. Art flea markets are securing their status as a place where people can realize their daily culture·art and are also being utilized as a project for urban reproduction and vitalization in local areas. For the ‘2016 Teen Culture and Art Trend’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KCTI) chose expansion of artist communication activity, higher desire for classy art consumption, more low-price unique art fairs, daily enculturation of specialized activities, etc. This shows how much the art flea market is a project that reflects the present era. Existing studies written on art flea markets are mostly about the Hongik University Free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ind of cultural·artistic contribution that needs to be made to the Ulsan region by the ‘Ulsan Art Free Market: Sonmatjangteo.’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Sonmatjangteo’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lsan region obtain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onmatjangteo' and suggested a method to improve these problems for the development of the market. Prior to the analysis, community art, culture·art space, and governance based projects were set as the theoretical outline. Domestic art flea market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host: artist, citizen, and local government. Each category has significance as artist-centered community art, citizen-centered cultural·artistic space, and local government-centered governance project. These significances appear in a complementary or phased manner inside various correlations, and can be used as analytical data for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of art flea markets. The 'Sonmatjangteo' started off as an activity for artists. Then it established its position as a business project for urban reproduction through history·culture·art. The vision of 'Sonmatjangteo' lies in ‘spontaneous growth.’ For the 'Sonmatjangteo' to develop into a regional spontaneous culture·art project, it needs to develop into a communication space for artists, participating space for local citizens, and cooperative space for local governments. As a detailed method, it needs to induc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participating artists and increase the sense of belonging. To apply these methods, a way to sustain·maintain the quality of artists and artwork in the 'Sonmatjangteo' is required. Also, planning and promotion in various angles is needed to expand the range of citizen participation.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are also needed in order to secure fixed places for the operation of the 'Sonmatjangteo'. An operation method that considers local commercial areas and other interest groups is also needed due to the occupation of public spaces. When the 'Sonmatjangteo' secures its position as an open consultative body for local artists and turns the culture streets and its surroundings into a cultural·artistic space, it will become an independent and spontaneous place for cultural·artistic communication. Art flea markets are not a finished outcome – they are a process. Therefore, instead of being operated through one distinct method, art flea markets need to be operated in a flexible manner and the methods need to chan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 market. Art flea markets provide opportunities for cultural·artistic experience in daily lives and help share experiences for a more abundant life. These improvements can contribute to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more people can enjoy the cultural ecosystem. Keywords: Sonmatjangteo, Art Flea Market, Free Market, Community Art, Cultural·Artistic Space, Governance 국 문 요 약 지역사회 아트프리마켓의 발전방안 - 울산 ‘손맛장터’를 중심으로 이보람 2002년에 만들어진 홍대프리마켓을 시작으로 전국적으로 다양한 아트프리마켓이 창설·운영되고 있다. 아트프리마켓은 대중과 예술의 문화 장벽을 낮추고, 일상 속 예술을 실현할 수 있는 공간이다. 지역에서는 도시재생 및 도시활성화 사업을 위한 프로젝트로도 활용되고 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2016 문화예술 10대 흐름’으로 예술가의 커뮤니티형 활동 확대, 세련된 예술소비 욕구 증대와 낮은 가격대의 색다른 아트페어 증가, 전문가 놀이의 일상문화화 등을 선정했다. 이는 아트프리마켓이 현 시대성을 반영한 프로젝트임을 잘 보여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트프리마켓이 지역사회의 문화적 불모성을 극복하기 위해 어떠한 문화예술적 기여를 해야하는지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손맛장터를 운영하면서 경험한 울산지역문화의 현실을 바탕으로 ‘손맛장터’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여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손맛장터 분석에 앞서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공동체 예술, 문화예술공간, 거버넌스 기반 프로젝트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의 아트프리마켓의 문화예술적 의미를 새롭게 정리했다. 예술가, 시민, 지자체 세 차원의 참여 주체를 기준으로 예술가가 중심이 된 공동체 예술로서의 의미, 시민이 중심이 된 문화예술공간으로서의 의미, 지차체가 중심이 된 거버넌스 기반 프로젝트로서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문화예술적 의미를 활용하여 아트프리마켓의 현 위치와 나아가야할 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 손맛장터는 공동체 예술로 출범하여 시민이 참여하는 문화예술공간으로 확산되었고, 문화의 거리 조성사업을 통해 거버넌스 기반 프로젝트로 변모하며 자리매김했다. 손맛장터의 비전은 ‘자생’에 있다. 손맛장터가 지역의 자생적인 문화예술 프로젝트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예술가와 시민의 소통․참여 공간, 지자체의 협력 공간으로 발전해야한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손맛장터는 시민과 예술가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소속감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 손맛장터에 참여하는 작가와 작품의 수준을 지속·유지할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시민참여를 확대시킬 수 있는 다양한 각도에서의 기획과 홍보가 요구된다. 그리고 손맛장터의 고정된 운영 장소를 확보하기 위한 지자체와의 협력이 필요하다. 공공재 공간점유로 인한 지역상권, 다른 이해집단을 고려한 운영방식 또한 필요하다. 손맛장터가 지역예술가의 열린 협의체로서 자리잡고, 문화의 거리와 그 주변을 문화예술공간으로 바꿀 때, 손맛장터는 지역사회에서 독자적이고 자생적인 문화예술소통의 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손맛장터, 아트프리마켓, 프리마켓, 공동체 예술, 문화예술공간, 거버넌스

      • 문제행동경향에 따른 청소년 흡연자의 흡연행태 및 금연시도 관련요인 분석

        이보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risk and protective factors related to adolescents’ tobacco uptake and quitting attempts as adolescence is the period when most adult smokers develop their smoking habi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umber of smoking days in the past 30 days and quitting attempts in the past 12 months in a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n adolescents, ages 13 to 18, who have smoked at least a day during the past 30 days (N=6,307).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2014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e sample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presence of two risk behaviors (i.e., binge drinking during the past 30 days and initiation of sexual experience prior to 16 years of age) and heterogeneity of the three groups in the predictors of the outcome variables as well as on the group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Results indicate that sociodemographic and socioecolog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reasons for quitting attempts significantly differed among the three groups (p <.001). Those in the most problematic group who were engaged in both binge drinking in the past 30 days and sexual experience before 16 years showed more smoking days (p<.001) and fewer quitting attempts (p<.001) than the other two groups. For those in the most problematic group, being involved in a sports club, having nonsmoking parents, and receiving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sessions at schools were predictive of more quitting attempts (p<.01). Ease of access to tobacco product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the number of smoking days across all the three groups even in the adjusted logistic models that controlled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01).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mply that the Theory of Problem Behavior may be used to explain Korean adolescents’tobacco use and quitting behavior. Also, the results support the provision of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sessions at schools and the policy that restricts youth’s access to tobacco products as efficacious antismoking means for adolescents. 청소년의 흡연은 향후 성인기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건강위험행동이다. 청소년 흡연율을 감소시키는 것은 개인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신규 흡연자 진입을 차단한다는 점에서 향후 성인 흡연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중요한 보건학적 의의를 갖는다. 청소년의 흡연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이들의 흡연 및 금연행동과 관련 있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흡연 시작을 방지하고 이미 흡연을 시작한 청소년의 경우 니코틴중독이 심화되기 이전에 금연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청소년의 일탈 행동을 설명하는 영향력 있는 이론으로 평가받는 문제행동이론(Problem Behavior Theory)은 청소년 흡연자를 이해하고 흡연자 간의 이질성을 파악할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문제행동이론에 착안하여 청소년 흡연자를 문제행동경향을 기준으로 세부집단(고위험, 중간위험, 저위험)으로 구분하였다. 아울러, 흡연량 및 금연시도 여부에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 집단별로 흡연량 및 금연시도와 관련 있는 개인, 개인 간, 조직, 지역사회 요인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자료를 활용하여 국내 청소년 흡연자 6,307명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이 사용되었으며, 빈도, 백분율, 카이제곱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 통계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행동경향에 따라 청소년 흡연자는 다른 특성을 갖고 있었다. 고위험군은 다른 집단에 비해 남성, 고학년, 슬픔·절망감 경험, 고액의 용돈, 이른 흡연 시작, 전자담배 사용 경험, 주3회 미만의 격렬한 신체활동과 같은 특성이 있었으며, 부모의 학력이 낮은 경우, 자신의 경제상태를 가장 풍요롭거나 가장 빈곤하다고 인식하는 경우, 주변인(친구, 가족, 교사)이 흡연하는 경우, 담배를 쉽게 구매할 수 있다고 인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문제행동경향에 따라 청소년 흡연자의 금연시도 이유에는 차이가 있다. 고위험군에서는 다른 집단보다 ‘몸이 안 좋아져서’, ‘주변사람(부모님, 선생님, 친구 등)이 싫어해서’, ‘담배값이 너무 비싸서’, ‘몸에 냄새가 나서’와 같은 응답이 많았으며, 반면 중간위험군과 저위험군은 ’건강에 악영향을 줄 것 같아서‘ 금연을 시도하는 비율이 높았다. 셋째, 문제행동경향이 높을수록 흡연량이 많아 국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는 군집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문제행동경향과 상관없이 이른 흡연시작 연령, 전자담배 사용, 친한 친구의 흡연, 담배구매용이성은 흡연량을 예측하였다. 한편 흡연량 관련요인이 집단에 따라 다른 경우도 있었다. 중간위험군과 저위험군에서는 고위험군과 달리 가족의 흡연, 스포츠 활동 미참여, 고액의 용돈이 흡연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이었다. 넷째, 문제행동경향이 가장 높은 고위험 집단에서 금연을 가장 적게 시도하여 문제행동이론을 지지하였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한 후 금연시도를 예측하는 사회생태학적 요인을 살펴본 결과, 학교 흡연예방교육 경험은 유일하게 모든 집단에서 금연시도 가능성을 높이는 변인이었다. 그 밖의 사회생태학적 요인에는 문제행동경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위험군에서는 스포츠활동팀에 참여할 때, 아버지와 어머니가 비흡연자 일 때, 금연시도 가능성이 높았으며, 중간위험군에서는 약간의 스트레스 인지, 슬픔·절망감 경험, 전자담배 사용 경험, 격렬한 신체활동을 할 때 금연시도 가능성이 높아졌고, 스스로를 살찐 편이라고 생각하는 경우, 고액의 용돈을 받는 경우, 스스로 풍요롭다고 생각할 경우, 고등학교 이후에 흡연을 시작한 경우에는 금연시도 가능성이 낮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흡연자는 문제행동경향에 따라 다른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청소년의 흡연량을 감소시키고 금연시도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문제행동경향성을 반영한 맞춤형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청소년 흡연자의 흡연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지역사회 담배구매 용이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담배구매가 쉽지 않다고 느끼는 것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모든 집단에서 흡연량 감소 예측요인이었다. 따라서, 청소년이 담배를 구매하기 어려운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청소년 흡연량 감소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청소년 담배판매 규제에 대한 강도 높은 단속 및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셋째, 청소년 흡연자의 금연시도를 높이기 위해 학교 흡연예방교육은 중요하다. 금연시도 역시 문제행동경향에 따라 관련성 있는 요인이 달랐으나, 최근 12개월 내에 학교에서 흡연예방교육을 받은 경험은 모든 집단에서 금연시도를 유의하게 높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 흡연예방 교육이 1년에 1회 이상 시행되어야 하며 더 많은 청소년 흡연자가 흡연예방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되어야 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 간호사의 도덕적 용기 측정도구 K-NMCS의 타당화 연구

        이보람 한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Nurse’s Moral Courage Scale Boram Lee RN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Seoul Northern Municipal Hospital Graduate School of Nursing Science, Hallym University Seoul & Gangwon-do, Republic of Korea Younjae Oh (Supervisor) PhD, MBioeth, RN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College of Nursing, Hallym University Hallymdaehakgil 1, Chuncheon, Gangwon-do, 24252, Republic of Korea E-mail: okim1108@hallym.ac.kr/okim1108@gmail.com https://orcid.org/0000-0001-5638-323X Background Research that examines moral courage has received a great deal of attention from scholars and practitioners in recent years due to impact of moral distress experienced by nurses. Although it needs to identify the phenomenon related to moral courage among nurses, there has been little instrument to investigate quantitative aspects of moral courage among Korean nurses.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Nurses Moral Courage Scale. Research design A cross 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243 nurses from 2 general hospitals in South Korea. Ethical considerations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e Review Board of Hallym University before data collection. Results A Korean version of Nurses Moral Courage Scale was developed from construct validity evidence and included 12 items in 4 domains: compassion and true presence, moral integrity, moral responsibility, and commitment to good care. Concurrent validity was significantly teste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the variables which were moral courage, moral sensitivity, and professional moral courage. Discussion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knowledge of phenomenon of moral courage in nursing context and encourage further research to conduct a quantitative analysis in moral courage among Korean nurses by employing validated K-NMCS.

      • 소비자 맞춤 양산 의류의 시장 현황 및 고객 인식 분석

        이보람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주로 마케팅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맞춤 양산 제품에 대한 연구 중 패션 제품군에 대한 고객 인식 조사는 많지 않다. 맞춤 양산 패션 제품에 대한 고객의 구매 과정의 만족도와 구매 의사를 실증적으로 알아봄으로써 실제 맞춤 양산 패션 제품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결과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현재 국내외의 맞춤 양산 패션 제품에 대하여 사례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 사례들을 적절히 분류하기 위하여 맞춤 양산 제품들을 맞춤 속성에 의해 유형을 분류한 문헌 조사를 병행하였다. 사례 조사와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이즈 맞춤, 색상 맞춤, 디자인 구성 요소 맞춤을 맞춤 양산 패션 제품의 맞춤 속성으로 도출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여덟 가지의 맞춤 유형을 제안하였고, 맞춤형 티셔츠를 대상 품목으로 선정하여 여덟 가지의 맞춤 유형을 실제로 체험해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 툴 킷을 개발하였다. 실증 연구에서는 이 툴 킷을 이용하여 여덟 가지의 중 한 가지 맞춤 유형을 총 130명의 응답자들에게 무작위로 제공하여 이에 따른 맞춤 의류 구매 과정의 만족도와 구매 의사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고객들은 구매 과정 만족과 가격 증가, 시간 지연을 고려하지 않은 구매 과정에서 높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가격 증가나 시간 지연에 따른 구매의사에서는 다소 부정적인 반응을 보여 가격이나 시간 지연에 따른 저항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맞춤 양산 티셔츠의 경우, 세 가지 맞춤 속성은 구매 과정 만족도와 구매 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사이즈 맞춤이나 색상 맞춤은 다소 부정적인 방향으로, 디자인 구성 요소 맞춤은 긍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 집단에 따른 인식 차이는 패션에 대한 관심도와 체형의 특이성에 따라 고객의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패션에 대한 관심도가 낮은 집단과 체형의 특이성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맞춤 양산 티셔츠에 대하여 보다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consumer perception for mass customized apparel. Literature and case studies have been performed about mass customized apparel market and classification of mass customized products. Eight groups of mass customized apparel have been suggested by customizing sizes, colors, design configurations and developed simulation toolkit. It helps customer to experience mass customized t-shirts buying process for empirical test. Using the simulation toolkit, 130 participants were randomly experienced one mass customized t-shirts buying process among eight processes, and responded their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pay(WTP, buying intention) customized t-shirts. At the results, (1) consumers' process satisfaction and buying intention have been generally high not considering increased price and time delay of WTP, (2) customizing sizes and colors are negative, customizing design configurations is positive impacting on process satisfaction and WTP. (3)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with buying process satisfaction and WTP by fashion product involvement group and body type singularity group.

      • 한국형 스포츠동기 척도(SMS-K)의 타당도와 위계적 모형 검증

        이보람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국형 스포츠동기척도(The Korean Version of Sport Motivation Scale; SMS-K)는 스포츠 참여자들의 동기를 측정하는 질문지로서 동기를 구성하는 하위요인은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하여 무동기, 외적 조절, 내사 조절, 확인 조절, 통합 조절, 내적 동기의 6가지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스포츠동기척도(SMS-K)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는 단계로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본 척도가 운동선수, 일반참가자, 남성, 여성들의 스포츠 참여동기를 측정할 수 있는지 둘째, 운동수준과 성별이 상이한 집단에서 그들의 동기를 비교 하는데 사용 가능한지 셋째, 동기와 외적변인들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용이한지, 아울러 본 척도를 통해 측정된 동기의 수준이 무동기, 외적 동기, 내적 동기 세 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는지를 확인하여 타당도를 강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참여자는 국내의 대학운동선수 199명과 경쟁적인 스포츠에 참여하고 있는 대학생 175명 총 374명이며 한국형 스포츠동기척도, 삶의 만족도, 주관적 활력 질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첫째, 한국형 스포츠동기척도(SMS-K)가 운동수준(선수, 일반참가자), 성별(남성, 여성)이 상이한 집단에서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측정 불변성(measurement invariance)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운동수준, 성별에 따라서 동기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외적 변인(삶의 만족도, 활력)과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spearman의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동기를 구성하는 6가지 하위요인들 중에서 외적 조절, 내사 조절, 통합 조절, 확인 조절 요인들이 상위의 개념 외적 동기에 내포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형 스포츠동기척도(SMS-K)가 선수, 일반참가자, 남성, 여성 모두가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는 질문지로 검증되었다. 둘째, 운동수준, 성별에 따른 동기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운동선수가 일반참가자보다 외적 조절, 무동기 요인에서 높은 평균값을 나타냈고, 일반참가자가 운동선수보다 내적 동기, 통합 조절 요인에서 높은 평균값을 나타냈다. 남성이 여성보다 내적동기, 통합 조절, 확인 조절, 내사 조절, 외적 조절 요인에서 높은 평균값을 나타냈다. 셋째, 스포츠 참여동기는 삶의 만족도, 활력과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스포츠 참여동기는 삶의 만족도, 활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 동기, 통합 조절, 확인 조절, 내사 조절 요인은 삶의 만족도와 정적인 관계를 나타냈고, 무동기는 삶의 만족도와 부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내적 동기, 통합 조절, 확인 조절, 내사 조절, 외적 조절 요인은 활력과 정적인 관계를 나타냈고, 무동기는 활력과 부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통합 조절요인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합 조절, 내사 조절요인은 활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적 조절, 내사 조절, 통합 조절, 확인 조절 요인들이 상위의 개념 외적 동기에 내포되었다. 따라서 외적 동기를 일차원 및 이차원으로 볼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한국형 스포츠동기척도(SMS-K)의 타당도와 위계적 모형검증을 통한 결과를 선행연구와 자기결정성이론을 바탕으로 논의하였으며, 미래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고등학생들의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멀티미디어 CD-ROM 활용 연구

        이보람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English teachers are devoting themselves to find better methods of teaching which would improve communication skill of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ull through the limit of the existing English education and to introduce and inform the multimedia courseware which is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especially in speaking, using CD-ROM. Based on the 10th-grade students, experiment was progressed for 20 hours in 2 weeks. Through CD-ROM assisted lessons, students could have opportunities to practice speaking English and listening by themselves.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using CD-ROMs was analysed through speaking test and the concerns of changing students' attitude and interest. The results are as follow: by comparing the tests that along with the CD-ROM assisted lessons and which had taken without the CD-ROM assisted lessons, the students scored higher and students have shown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For moreover, students who were afraid to make any mistakes while they were talking in English have changed their attitude. Once they've got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they enjoyed learning, using and talking in English.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efficiency of CD-ROM has shown high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skill especially in speaking. If CD-ROM program is developed and produced by multimedia system, it would not help students to study English more effectively and find interesting but als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 And the teacher must try to help students during the class while they are studying such as giving some tips with the words and phrases which the students would learn from the class not only from CD-ROM that would be consistent with student level and learning contents. Therefore, I suggest that English teachers should consider of using CD-ROM assisted English learning and developing English education program. 영어는 국제사회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언어로 영어를 사용한 자유로운 의사소통이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영어의 실용적 가치를 보다 더 강조하며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즉, 개인차를 고려한 학생 중심의 영어교육, 의사소통 능력을 중시하는 영어교육, 활동과 과업중심의 영어교육,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력을 기를 수 있는 영어교육, 국가 발전과 세계화에 기여하는 영어교육이 바로 그것이다. 제 7차 교육과정은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영어교육의 주된 목표로 삼고 과거 교사 주도의 고전적 지식 전수 교육방법이 아닌, 세계적인 정보와 물결에 맞추어 과업중심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학생 중심의 다양한 방법을 구안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 교육과정의 목표를 바탕으로 하여 실제 의사소통 상황과 동일한 가상의 상황을 기반으로 CD-ROM을 활용한 수업을 통해 자연스럽게 영어를 학습해나갈 수 있도록 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나아가 CD-ROM을 활용한 수업 모형을 응용하여 수업 절차를 구안하고 학습자들이 컴퓨터실에서 CD-ROM을 직접 활용하여 자기 주도적, 수준별 개별 학습을 한 결과를 분석하여 그 향상도를 비교하고, 전반적인 영어 학습과 매체에 대한 학습자의 정의적인 변화 정도를 알아보아 학습자들의 언어 기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 소재의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컴퓨터실에서 CD-ROM, Tell me More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학습자 주도의 실험 수업을 20시간동안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체 제작한 평가도구를 활용 그 결과를 측정하였고 사전검사에 비해 실험수업 후 평가한 결과에서 상위집단의 학생 수가 말하기 능력의 향상을 측정하는 평가항목 마다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이 CD-ROM을 활용한 후 작성한 보고서를 토대로 하여 학생들의 영어 학습, 특히 말하기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학습 태도의 변화 등을 살펴보았다. 그 중 두르러진 것은 CD-ROM의 유의미한 말하기와 발음 반복연습을 통해 영어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었고 컴퓨터와의 상호작용으로 자신의 발음을 녹음하여 들어보고 현실감 있게 대화를 해 봄으로써 자신감과 더불어 흥미가 생기고 영어 수업시간에 대한 참여도도 향상된 것이다. 또한, CD-ROM을 이용한 수업이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강의식 주입식 수업에서 오는 지루함을 탈피하고 교사의 수업을 충분히 보조해주며 사용이 용이함으로 매우 효과적인 교수매체로 활용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개인차를 고려한 학생 개개인의 특성에 맞춘 학습이 진행되므로 이는 제 7차 교육과정 개정안의 주요 목표와도 부합한다 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영어로 의사소통을 하는 기회를 많이 가질 수 없는 우리나라의 고등학생들에게 의사소통 기능의 습득과 활용의 바탕이 되는 CD-ROM을 활용한 수업이 적극 고려되어야 하며 학습을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보완해 나갈 필요가 있다. CD-ROM을 활용한 수업을 설계할 때에는 학습자들의 동기를 높이고 흥미를 지속시킬 수 있는 방안이 같이 마련되어야 하며 교사는 프로그램의 구동이나 학습목표를 설명할 때를 제외하고는 주도적인 자세보다는 학생들의 개별적인 활동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CD-ROM을 활용한 수업을 위해서는 컴퓨터 등의 학습준비가 적절하게 갖추어진 멀티미디어 영어 학습실이 필수적이므로 이를 위해 모든 관계자와 교사들의 관심과 적극적인 대책이 있어야 할 것이다.

      • 초등학교 텃밭 가꾸기 교사 연수의 현황과 방향성 탐색 : 생물다양성 교육을 중심으로

        이보람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 대상의 학교 텃밭 가꾸기 연수의 현황과 방향성을 생물다양성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텃밭 가꾸기 연수와 생물다양성과의 관계, 그리고 생물다양성을 학교 텃밭의 토종 식물을 중심으로 어떻게 활성화시킬 수 있을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에는 연수에 경험이 많은 고경력 교사, 발령 5년차 이내의 젊은 교사, 환경교육 전공의 초등교사 등 총 9명이 참여하였으며, 자료는 면담 및 기존 연구 분석을 통해 수집되었다. 이를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텃밭 가꾸기 교사 연수는 교사의 환경 감수성 신장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해 필요하며 이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초등 교사를 위한 생물다양성 연수는 부족한 환경교육 연수 중 에서도 더욱 희귀하게 존재하며, 텃밭 가꾸기 연수도 정규적이지만 소규모이고, 그 내용도 텃밭 가꾸기의 기술 등에 집중되어 있다. 초등학교는 환경교육에 대한 기본 지식과 개념들이 여러 교과에 분산되어 있어, 교사의 의도 및 전문적 지식 없이 강조되기 힘들기 때문에, 연수를 통한 교사의 환경 감수성 신장 및 전문성 제고가 꼭 필요하고, 그러므로 초등학교 텃밭 가꾸기 교사 연수는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텃밭 가꾸기 교사 연수는 환경 감수성 및 환경 친화적 태도, 생물다양성 가치의 내재화 등으로 책임 있는 환경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환경 교육적으로 갖는 의미가 매우 크다. 지속가능한 지구 측면에서, 텃밭은 환경교육이 따로 교과목으로 있지 않은 초등학교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지속가능교육, 생물다양성 교육 등의 환경교육을 할 수 있는 훌륭한 장소이다. 텃밭 교육이 환경 교육의 좋은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의적이고 심체적인 환경 영역의 교육에도 매우 적합하다. 셋째, 환경 교육을 중심으로 한 초등학교 텃밭 가꾸기 교사 연수의 방향성 탐색을 통해 지속가능한 환경교육의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연수의 목적성·내용체제 개선·연수 방법 개선 및 교재 개발의 연수 실행 측면, 연수 정책의 행정적 측면과 제도적 측면을 고루 살펴 초등교사 대상 환경 교육을 중심으로 한 텃밭 가꾸기 연수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 제공으로 환경 교육의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환경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몇 번을 반복해도 과하지 않으나, 현재 환경교육 연수는 그 필요성에 비해 극도로 부족한 편이다. 그리고 현재 이뤄지고 있는 학교 텃밭 가꾸기 연수는 정원 가꾸기의 기술적 측면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제 그 초점을 바꿔야 할 필요가 있다. 환경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자랑하는 사람이 아닌 환경 소양인으로서의 학생 교육에 텃밭 가꾸기는 매우 적합한 수단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초등 교사들에게 환경 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텃밭 가꾸기 연수를 충실히 제공한다면, 우리는 매우 효과적으로 초등학생들에게 환경 교육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소셜미디어가 기업 스포츠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국내 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보람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인터넷과 모바일의 일반화로 ‘미디어 환경’과 ‘마케팅 환경’이 급속하게 변화함에 따라 소셜미디어(Social Media)로 대표되는 뉴미디어(New Media) 시대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로 인해 소셜미디어가 우리 사회에서 지니는 비중과 영향력은 계속해서 커지고 있으며, 기업의 스포츠 마케팅(Sports Marketing)에서 이미지 제고 및 선호도 개선을 위해 소셜미디어를 중요시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과 맞물려 학문적으로도 스포츠 마케팅과 소셜미디어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해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지만 그 역사가 짧아 현재까지는 연구의 사례가 다양하지는 않다. 또한 연구방법에 있어 ‘이용자 입장에서의 의견’에 치중하여 ‘제공자 입장에서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 제공자 입장의 의견까지 포함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안정성, 기업의 스포츠 마케팅에 대한 관심도, 기업 스포츠 마케팅에서 소셜미디어의 활용도 총 세 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대상이 될 국내 기업을 선정한 후, 선정된 기업에서 운영하는 소셜미디어를 분석하고 소셜미디어의 이용자와 담당자의 평가를 통해 소셜미디어가 기업 스포츠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한계점으로 드러난 ‘콘텐츠 이용자 입장’에 치중한 연구를 벗어나, ‘콘텐츠 이용자’와 ‘콘텐츠 제공자’의 입장을 균형 있게 반영하여 향후 연구의 연구방법에 있어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