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청호 유역에 대한 물의 사회적 서비스 평가체계

        김한솔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774

        물복지란 국민들이 사회경제적이나 지역적으로 발생하는 차이로 인한 영향을 받지 않고 모두 건강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대전광역시와 충청북도의 식수, 생활용수 및 공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는 대청호 역시 물복지의 실현을 위한 물의 사회적 서비스 관리가 필요하다. 국내에서 3번째로 규모가 큰 대청호는 대전광역시와 충청북도의 식수, 생활용수 및 공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이에 대청호의 물 공급 및 이용을 위한 물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청호 유역을 대상으로 물의 사회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분석을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지표를 산정하고 각 지표에 따른 결과 분석을 위하여 과거 10년 동안의 기초 데이터를 수집 후 SPSS를 통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하천 변화 정도에 대한 지역별 현황을 나타내었다. 물의 사회적 서비스에 대한 기초자료는 WAMIS 및 시군의 상하수도통계데이터를 통해 GIS로 면적을 분할하여 지류하천의 유역면적을 산정하였다. 기초자료를 기반으로 왜곡된 자료의 정규성 확보 및 표준화를 수행하고,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적합성 검토를 통해 최종 지표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지표에 대해 연구에 맞는 가중치를 산정하여 비교 후 최종 가중치를 선정하여 지수 산정 및 등급화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물복지 실현을 위한 물의 사회적 서비스 평가 방법론과 평가 결과를 제시하였다. 특히 물의 사회적 서비스 평가 등급에 대한 결과를 통해 체계적인 통합물관리제도의 정착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대청호 유역과 유사한 환경적 요인을 갖춘 하천에 대한 물관리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물의 사회적 서비스 평가는 하천환경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하천의 가치 보전과 개발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하천 기본계획 수립 시 기초정보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social evaluation of water on Daecheong Lake watershed. Daecheong Lake, the third largest Lake in Korea, supplies drinking water and industrial water to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Chungcheongbuk-do Province. Definition of the water welfare is to ensure that all citizens can receive healthy water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difference which socioeconomics or regionally occur. For this evaluation, indicators were calculated through preliminary studies and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according to each indicator,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SPSS after collecting basic data for the past 10 years. The results deriv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e status of each region regarding the degree of alteration in rivers. For basic data on the social services of water, the watershed area of the tributary stream was calculated by dividing the area with GIS through WAMIS and the statistical data of municipal water supply and sewage. Securing and standardizing the normality of distorted data based on basic data, after factor analysis using the SPSS program, the final index was calculated through suitability review. After calculating and comparing the weights, which are suitable for research, for the calculated indexes, the final weights were selected, and index calculation and grading were performed. Finally, the methodology of evaluation for social services of water and the evaluation results for realizing water welfare were presented. The results of evaluation grades for social services of water, it was made to help the settlement of a systematic integrated water management system. Also, a water management application plan for rivers with environmental factors similar to Daecheong Lake watershed was presented. The evaluation for social services of water through this study will help to minimize the negative impact of conservation of river value and development by continuously monitoring changes in river environment.

      • 물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한 칠예 콘솔 개발에 관한 연구

        이수경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759

        물은 무형(無形), 무색(無色)의 물질로 물이 존재하는 환경과의 관계에서 그 물리적 한계와 형태가 결정된다. 이러한 물의 무정형성(無定形性)은 신비함으로 무한한 상상력을 이끌어 내기도 한다. 또한 물은 고유의 색이 없기 때문에 주위의 환경을 있는 그대로 투영(投影)하여 그투영(投影)된 물체의 색상이 물의 색상으로 나타난다. 거울의 역사는 수면위에 비춰진 자신의 모습을 보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그런 점에서 물과 거울은 주위의 환경을 비추어 반영하는 투영성이라는 공통점을 갖는다. 이 연구에서는 물과 거울이 가진 투영성에서 동기를 얻어, 물의 투영성이 자연의 모습을 반영하듯 거울이 물의 모습을 담는 형상을 조화롭게 구성하여 콘솔이라는 장식 가구의 형식을 빌려 실내 공간에 배치하고자 하였다. 또한 거울부분과 오브제로 구성된 콘솔의 형태는 주위의환경에 의해 변화되는 물의 흐름을 모티브로 하여 조형화하고자 하였다. 본 작품 연구의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작품의 주된 모티브인 물의 흐름과 물의 투영성(投影性)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상징에 대해 조사하여 작품을 이미지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작품의 모티브가 되는 폭포, 비, 바다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흐름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흐름에 본 연구자의 감정을 이입하여 작품으로 구체화하였다. 특히 작품의 거울부분에서 오브제로 이어지는 물 이미지의 흐름이 유기적인 조화를 이루게 하여 물에서 느껴지는 유동성과 풍성함이 작품에 잘 나타나도록 표현하였다. 둘째, 현대의 생활공간에서 주로 사용되는 콘솔의 형태와 역할에 대해 조사하여 작품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직선과 곡선의 간결한 형태로 거울의 기능을 가진 콘솔을 제작하여 주거공간에서 비어 있는 벽면을 장식할 수 있게 하였다. 작품의 구조는 벽에 부착된 거울부분과 바닥에 놓이는 오브제로 구성하여 실내 공간에 배치하고자 하였다. 셋째, 자연 도료인 옻칠을 사용하여 옻칠의 내구성, 방부성, 방충성 등의 장점을 살려 자연친화적 가구를 만들고자 하였다. 또한 옻칠로 물에 비춰진 자연의 계절을 색상으로 나타내었고, 나전(螺鈿)의 끊음질과 난각(卵殼)의 할패법(割貝法)을 사용하여 물의 흐름을 문양으로 표현하였다. 작품은 목심저피칠기법(木心紵彼漆技法)과 건칠기법(乾漆技法) 공정을 통하여 제작하였다. 생활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상적 자연요소인 물의 가시적 현상을 연구자의 주관으로 색다르게 재해석하여 표현함으로써 새로운 칠예콘솔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실내 공간에 배치된 콘솔에서 물이 내포하고 있는 자연의 생명력과 포용력을 찾고, 그를 통해 정신적 여유로움을 누리게 하고자 하였다. Water, a shapeless and colorless material, and the physical limitations and shapes of water are established by the relations of its existing environment. The formlessness, which is one of unique characters of water mystifically brings out unlimited imaginations. Without having its own color, water absorbs the color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color of the material reflected on the water becomes color of water. The history of mirrors started on the reflection of our own figure on the surface of water. Therefore water and a mirror share the commonness of visualiz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reflecting it. This study motivated from the reflection of water and mirrors try to arrange interior of the console by using the formation of decorative furniture decorate the interior as the absorbing character of water shows the surrounding features on the surface. The features of console, which is consisted of mirror and object is being modeled by motivation from the flow of water that is chang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summed up as the followings. Firstly, The art work was imaginated by using the flow of water, the main motive and from the study of the reflecting characteristics and symbolism of water and the unique flows of waterfalls, rain, and ocean that are the motives of the art work are analysed. In addition, the art work was shaped with the researcher's imaginative empathy to the flow of each element. Especially, the fluidity and the abundance of water to be well expressed by harmonizing the mirror to the image of water being flowed with object. Secondly, by studying the form and role of Console, which is mainly used in today's living space,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of the artwork was brought forth and by producing console with functions of the mirror that is shaped of straightness and curves decorate the empty walls of living space. The structure of the artwork consists of the mirrors attached on the walls and the object placed on the floor is mounted in the living space. Lastly, the environment-friendly furniture was intently built by using the natural lacquer Ott with its advantages such as durability, antisepsis and mothproofing. As well as that, the color of four seasons of nature reflected on the surface of water was expressed by lacquer Ott and by using Halpaepeop (shell spiriting) of egg shell and Kkeuneumjil (cutting) of abalone shell, the flow of water was visualized by pattern. The artwork was produced in the process of Moksimjupichil technique and Geonchil technique. I tried t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new lacquer artwork console by my own interpretations of the reflecting character of water, a common natural element and from the console placed in the interior space, it searches the nature's vitality and tolerance of water and the intention to enjoy the spiritual indulgence with them.

      • ‘물’을 주제로 한 Debussy의 『물의 반영(Refle^ts dans l`eau) 』과 Ravel의 『물의 유희(Jeux d`eau)』에 관한 비교 연구

        이지원 同德女子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726

        20세기의 현대 음악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던 인상주의 음악은 프랑스의 미술, 조각, 시문학에서 발생한 운동과 더불어 나란히 발전하였다. 독일 낭만주의 음악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난 인상주의는 새로운 양식과 기법을 개발시켰는데, 이 시기 예술의 특징은 색채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물체에서 받은 인상을 암시적으로 표현하는데 있었다. 결국 이러한 새로운 시도는 음악에서 음을 소재로 하여 색채적인 새로운 표현방법을 구사하게 하였다. 그 당시 회화와 문학의 예술사조에서 영향을 받아서 인상주의 음악을 형성한 대표적인 작곡가로는 클로드 드뷔시(Claude Achille Debussy, 1862∼1918)와 모리스 라벨(Maurice Ravel, 1875∼1937)이 있다. 이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자기만의 독특한 작곡 기법을 서로 다른 형태의 인상과 분위기로 창조하였다. 이와 같이 선율이나 형식의 명확성 대신에 순간적인 인상을 강조하는 색채적 음악이나 이국적 리듬 등이 음악에 나타나는 인상주의 음악은 낭만주의 음악에서 현대 음악에 이르는 중요한 역할을 했고, 여기에서 인상주의 대표적 작곡가인 드뷔시와 라벨은 인상주의적인 어법을 독특한 음악으로 만듦으로써 공헌을 하였다. 그리고 인상주의 예술가들은 사물을 사실 그대로 표현하기보다는 자연의 변화에 따른 연상되는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했는데, 드뷔시와 라벨 또한 변화하는 사물을 자연 속의 '물'이라는 소재를 통해 인상주의 어법으로 표현하였다. 드뷔시는 물에 대한 인상을 자신이 생각한대로 색채적으로 표현한 반면 라벨은 물에서 느껴지는 순수한 이미지만을 표현했다. 본 논문에서는 인상주의의 시대적 배경, 회화, 문학과의 관계를 살펴본 후 인상주의 음악의 특징들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드뷔시와 라벨의 선율, 리듬, 화성, 형식 등의 인상주의 기법들을 알아보고, 이들의 양식을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이 두 작곡가의 '물'을 주제로 한 대표적 작품인 드뷔시의 『물의 반영(Refle^ts dans l'eau)」과 라벨의 『물의 유회(Jeux d'eau)」의 작품배경을 알아보고, 그들만의 음악어법이 작품에서 어떻게 쓰였는지 분석 하여 연구하였다. 그래서 '물'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두 작곡가의 음악적 관점들을 비교하여 그들 자신이 나타내고자 했던 특징적인 기법들을 작품 속에서 효과적으로 표현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mpressionistic music, which significantly influenced contemporary music in the 20th century, was in tune with the movements that also ruled painting, sculpture, and poetry in France. Such impressionism was a rea`ction to German romantic music. It developed new styles and techniques, which were characterized by colorful portrayals and suggestive depictions of the impressions on objects. This new attempt in music led to a new, colorful way of portrayal, with sound as its main material. At that time, the school of thought in literature and painting influenced impressionistic composers, including Claude Achille Debussy (1862∼1918) and Maurice Ravel (1875∼1937). They created their own unique compositional techniques through different forms and moods that influenced each other. Impressionistic music was characterized by colorful melodies or exotic rhythms that emphasized momentary impression rather than clear melodies or formats. While romantic music evolved into contemporary music, Debussy and Ravel translated impressionistic depiction into a unique form of music. Impressionistic composers tried to portray images associated with changes in nature, instead of depicting objects as they appeared. Debussy and Ravel portrayed water by using the compositional techniques of impressionism. Debussy depicted impression about water as colorfully as he felt them, whereas Ravel portrayed pure images associated with wat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take a look a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impressionism, painting, and literature by examining the features of impressionism. It was also aimed at figuring out the compositional techniques of Debussy and Ravel in terms of melody, rhythm, harmony, and form, and how they differed in styles. It examined the background of Debussy's "Refle^ts dans l'eau" and Ravel's "Jeux d'eau", the most representative pieces of the two composers with water as the theme, delving into how their unique ways of depiction were applied in their music. It also sought to compare how Debussy and Ravel interpreted water in their music, so that it can effectively help performance with the unique and contrasting compositional techniques.

      • 세척제(TCE)의 비중을 고려한 자연휘발방지와 작업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정민기 부산가톨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78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세척제인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 TCE)의 비중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관리방법과 작업환경 개선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현재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세척제는 주로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 TCE)과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 M.C)이다. 이중 TCE를 주로 많이 쓰이는데 인체에 유해할 뿐 아니라 휘발성도 높아 작업환경에 유해한 물질이다. 이러한 세척제의 물리적 성질을 확인해보면 TCE의 비중은 1.4642, M.C의 비중은 1.3266이다(안전보건공단, 2013).이는 기준 물질인 물의 비중이 1인 것을 고려한다면 물과 같이 있을 경우 물층 보다 아래에 층을 이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여 TCE세척제 위에 물을 부어 자연 휘발 방지와 작업환경 개선을 하고자 함이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서 실제로 산업현장에서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 TCE)을 이용하여 취급하는 공정을 최대한 재현하려했으며 그러기 위해 물이 담겨진 초음파 세척기를 이용하였고 그 안에 일정량(30ml)의 TCE를 담은 비이커를 넣어 초음파 세척기를 가동하였다. 그리고 자연 휘발되는 TCE의 양을 일정한 시간대(5분, 10분, 20분, 30분, 40분)별로 측정 한 다음, TCE의 표면에 물의 양을 달리하여 12ml, 20ml, 50ml, 70ml로 점차 물의 양을 늘려가며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물이 주입되기 전 100% TCE만 자연 휘발했을 때의 분석치보다 미량의 물이 주입되었을 때(12ml 또는 20ml) 휘발되는 TCE량이 더 많음을 알 수 있었고 측정시간이 길어질수록 그 차이는 점점 커져 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50ml의 물을 주입했을 때는 TCE의 표면을 충분히 덮을 수 있었고 이때 측정한 분석결과 현저하게 TCE 발생량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0ml의 물을 주입 했을 때 보다는 70ml를 주입했을 때 발생량이 줄어들었고 측정시간이 길어질수록 발생량은 확연히 줄어든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물론 각 실험을 마치고 다음 실험하기 전, 흄 후드를 가동시켜 공기를 신선한 공기로 치환하였고 초음파 세척기내의 물의 온도를 맞추기 위해 새로운 물로 교환하였으며 측정 시 온도와 습도를 지속적으로 점검하며 실험하였다. TCE 표면 위에 표면장력보다 큰 중력의 물을 주입하였을 경우 TCE의 자연 휘발을 막을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불필요한 세척제의 손실을 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TCE 관리를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며 좀 더 쾌적한 작업환경 개선이 가능하다. 결 론 물이 TCE를 완전히 덮지 못하였을 때는 물을 채우지 않은 상태보다 TCE 휘발량이 더 많았으며 물이 TCE를 완전히 덮은 상태(물의 량이 50 ml부터)에서는 측정 시간이 길어질수록 휘발량이 급격히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면 물의 비중을 이용한 TCE 자연 휘발 방지와 작업환경 개선은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 만화를 활용한 중학교 물의 순환 학습에서 학업성취도 및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문은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78

        이 연구의 목적은 물의 순환 단원에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만화활용 수업을 실시하여 학업성취도 및 과학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중구 소재 D중학교 3학년 5개반 178명이었으며 2개반 71명은 통제반으로 3개반 107명은 실험반으로 하였다. 통제반은 교과서 중심의 수업을 실시하였고, 실험반은 만화자료 중심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물의 순환 단원에 적합한 만화자료를 개발하고, 기존의 만화를 변형 가공하여 각각 9차시에 걸쳐 수업자료로 투입한 후 수업 전ㆍ후의 학업성취도와 과학 태도에서의 변화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과학 태도는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교과에 대한 흥미, 과학 학습동기, 과학적 태도의 4개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만화 활용 학습은 학업성취도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과학 태도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과학 학업성취도에서 만화를 활용한 실험반은 남녀 모두 통제반보다 점수가 높게 나왔다. 특히 학업성취도 하위 수준의 학생들과 남학생들에게 학업성취도에서 좀 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통제반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물의 순환 수업 후 실험반과 통제반의 학생들은 과학 태도가 유의미하게 많이 향상되어 두 반간에 통계적으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과학 학습동기는 실험반이 통제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과학 태도는 실험반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교과에 대한 흥미, 과학 학습동기면에서 적극적 긍정으로의 변화비율이 높았고 적극적 부정으로의 변화비율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반면, 통제반은 물의 순환 단원 수업 후 과학 학습동기가 오히려 감소하였다. 통제반은 과학적 태도에서만 학업성취도 중ㆍ하위 수준의 학생들에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상위 수준은 실험전보다 오히려 감소하였다. 실험반의 학업성취도 중위 수준의 학생들에게는 과학 태도의 모든 범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고, 실험반 하위 수준의 학생들에게는 과학 학습동기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그러나, 성취도 상위 수준 학생들의 과학 태도는 실험반과 통제반 모두 실험처치 전보다 낮아졌고, 하락 폭은 통제반에서 더욱 컸으나 반 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학업성취도에서도 비슷하였다. 성취도 중위 수준의 학생들은 만화 활용 수업으로 과학 태도면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일어났지만 성취도 점수는 비슷하여, 과학 태도 향상이 성적 향상으로 직접 연결되지는 않았다. 만화 활용 학습은 교사 설명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학생 스스로 생각하고 활동하는 시간이 늘어나 특히 학업성취도 중ㆍ하위 수준의 학생들의 학습 흥미를 높여, 집중력, 자신감, 이해력을 높혀 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였다. 만화 활용 수업은 좀더 많은 사고의 기회를 갖게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고, 더 많은 흥미를 일으키며 학습을 자율적 분위기로 변화시켰으며 지루함을 줄일 수 있게 하였다.또한 수업에 활용된 만화 자료 중 개념만화는 교사가 학생들의 오개념, 즉 증발조건, 포화, 습도, 응결등에 대한 다양한 생각을 유형별로 단시간내에 파악하게 하는데 매우 효과적이었기 때문에 진단평가 자료로 사용하는 것도 의미 있을 것이다. 만화활용 수업은 과학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기여하였으나 성취도 중위나 상위 수준 학생의 개념 학습에 있어서는 토론 시간의 부족과 조 편성에서 조원으로부터 지적인 보상을 받을 기회가 적어, 강의수업을 받은 통제반보다 유리하지는 않아 성취도 점수에서 좀 더 좋은 성과를 내기는 어려웠다. 만화 자체만으로 학생의 개념 변화가 일어나게 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으나 말이나 글로써 자료를 제시하는 것보다 만화는 학습 흥미를 높이고 이해를 높여주는 자기주도적 학습매체로써 학습능력을 키우는데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학생의 능력과 성별에 따른 만화 수업의 효과는 다른 분야에서 좀 더 연구될 필요가 있다.

      • 물의 운동감 화예조형 표현연구

        임명숙 수원대학교 미술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의 물 이미지를 대상으로 하여 그 이미지를 조형언어로 표현하고 결과 분석함으로써 화훼식물에 의하여 표현된 형태의 조형적 특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물 이미지의 기하곡선, C커브, S커브, 말린 커브, 와선의 형태를 기본 구조로 하고 곡선형태의 특성과 나선형태의 동적 특성을 강조하여 표현한다. 물의 운동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특성을 추출하여 식물재료에 의한 곡선운동과 음향, 영상효과와 같이 수평구조 또는 수직구조, 나선구조로 운동감, 방향감, 속도감, 통일감 등을 표현하였다. 표현한 작품을 공간과 양감, 질감, 색채, 운동 등을 관점으로 하여 작품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곡선과 명료한 나선운동의 공간과 양에 의하여 반복 구성된 수평과 수직구조의 나선 형태는 무한히 선회하는 지속성과 더불어 확장성과 영상효과로 그에 따른 조형효과를 극대화 하였다. 철봉과 철근, 꽃과 잎에 의한 다양한 양의 형성과 더불어 질감의 대비 효과에 의하여 생동감이 강조되었으며 동일색의 색채조화에 의한 단순하고 소박한 색채 조화와 다양한 색채의 혼합에 의하여 강하고 화려하며 경쾌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나선운동의 속도변화나 나선구조에 의하여 구심성의 효과가 강조되고 안정된 균형을 이루므로 나선운동에 의한 통일성 있는 상승효과를 창출하였다. 빛, 영상, 음향, 기법을 적용하여 물을 분출시킴으로 실제운동에 의하여 시간성이 도입되어 4차원의 작품으로 공간을 확장하였다. 동적 특성을 강조하고 물이미지의 곡선 형태를 대상으로 하여 물의 운동에 따라 변화하는 다양한 곡선 이미지로 표현 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ress images of water images of the nature in visual language and to investigate the results and to inspect formative features of forms expressed by flowering plant. The water image had basic structure of geometric curve, C curve, S curve, wrap curve and spiral, etc to lay emphasis on features of curve as well as dynamic features of spiral. The work extracted a variety of forms depending upon water movement to express curve movement by plant material, horizontal structure, vertical structure and spiral structure such as sound and image effect to describe movement, direction, speed and unity, etc. The study examined formative features of the work from point of view of space massiveness, texture, colors and movement, etc.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space and massiveness of curve as well as clear spiral movement constructed spiral form of not only horizontal structure but also vertical structure to continue unlimited turning and to maximize visual effects by expansion and images. The iron bar, reinforcing bar, flowers and leaves, etc formed a variety of massiveness to lay emphasis upon vividness by contrast effect of texture and to harmonize simple colors by color harmony of same color and to express strong, splendid and light effects by mixture of various kinds of colors. The work laid emphasis on centrality effects by either speed changes of spiral movement or spiral structure to keep stable balance and to create multiplier effect that was uniform by spiral movement. The work applied light, image, sound technique to spout water and to introduce time by actual movement and to expand space by 4D work. The work laid emphasis on dynamic features to make use of curve of water image and to express a variety of curve images that made change in accordance with water movement.

      • 헤르만 헤세의 소설에 나타난 물의 상징 : 『수레바퀴아래서』『클라인과 바그너』『싯다르타』『유리알유희』를 중심으로

        송은경 충남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46

        Das Wasser ist von Peter Camenzind bis zum Glasperlenspiel ein wesentlicher Bestandteil der Werke Hermann Hesses. In dieser Arbeit werde ich Wassersymbolik bei Hesse bezu¨glich des Ertrinkens von Hauptfiguren untersuchen, das in seinen Romanen oft vorkommt. Deutsche Mystik, Psychoanalyse von C. G. Jung und die Weisheit von Lao-tze werden behilflich sein. Hesse fa¨ngt als Naturlyriker seine literarische Karriere an, aber nach dem ersten Weltkrieg vera¨ndert er sich zum Dichter, der den Werdegang des Menschen untersucht. Die Hauptifiguren seiner meisten Werke sind a¨hnlich wie Bru¨der: sie fu¨hren vom Erwachen durch die Verzweiflung zu Gnade und Erlo¨sung. Hesse hat diesen Prozeβ der Selbstverwirklichung des Menschen "die Stufen der Menschwerdung" genannt und seine Theorie daru¨ber im Aufsatz Ein Stu¨ckchen Theologie vero¨ffentlicht. Nach Hesses Vorstellung beginnt die Menschwerdung mit der Stufe der Unschuld, einem verantwortungslosen Vorstadium wie man es etwa in der Kindheit erlebt. Die zweite Stufe entspricht der ernsthaften Konfrontation mit Konflikten wie sie dei Gegensa¨tze von Gut und Bo¨se, durch Forderungen der Kultur, der Moral, der Religion der Menschheitsideale fassen. Diese Stufe endet Hesses Ansicht nach unwieigerlich mit Verzweiflung, na¨mlich mit der Einsicht, daβ es eine Verwirklichung der Tugend, ein vo¨lliges Gehorchen, ein sattsames Dienen nicht gibt. Diese Verzweiflung fu¨hrt nun entweder zum Untergang oderzur Erlo¨sung auf der dritten Stufe. Auf der dritten Stufe spielen Mutter, Eva, Sterne, Musik und Wasser eine sehr wichtige Rolle. Das Ende Hesses Romane ist auch a¨hnlich und ha¨ngt oft mit Wasser zusammen. Vor allem bedeutet Wasser Reinigung, Wiedergeburt und die U¨berwingung der Gegensa¨tze und kommt im Zusammenhang mit dem Tod der Hauptfigur vor. Das Ziel Hesses, der sein ganzes Leben lang ein Suchender war, ist in die ewige Welt hineinzugehen, wo Zeit und Raum u¨berwunden ist. Das Wasser ist fu¨r ihn das gesegnete Element, in dem die Ewigkeit erlebt wird. Die Hauptfiguren in Hesses Romnen erleben eine Art von unio mystica im Wasser. Wie Hans in Unterm Rad und Klein in Klein und Wagner. Hans Giebenrath fu¨hlt Friede und Ruhe im Wasser, Klein fu¨hlt sich Gott nahe im Augenblick des Ertrinkens. Siddhartha lernt die Weisheit des Lebens durch den Fluβ kennen. Er erreicht das Nirwana durch die Erkenntnis der Gleichzeitigkeit. Am Fluβ lernt Siddhartha, daβ alle Su¨nde schon die Gnade in sich tra¨gt, alle kleinen Kinder schon den Greis in sich haben, alle Sa¨uglinge den Tod, alle Sterbenden das ewige Leben. Er liebt Alles und hebt die Ka¨mpfe mit dem Schicksal auf. Knecht geht in den eiskalten See und dinigt sich mit der Natur und geht in die unsterbliche Welt. Die Bedeutung des Wassers bei Hesse erweitert und vertieft sich. Wenn Siddhartha aufmerksam diesem Fluβ, diesem tausendstimmigen Liede lauscht, vernimmt er das Ganze, die Einheit. In Narziβ und Goldmund zeigt Hesse die Natur-und Geisteswelt als eine zweistimmige Melodie. Narziβ und Goldmund gehen verschiedene Wege und im letzten Augenblick des Lebens sorgt sich Goldmund darum, daβ Narziβ ohne Mutter sterben wird. Goldmund glaubt daran daβ Wasser das Meer ist, in das wir flieβen mu¨ssen, und daβ sein Reiseziel die Wiederkehr zu seiner Mutter ist. Knechts Ertrinken in Glasperlenspiel bedeutet Opfer, Vollendung und Wiedergeburt. Wie der Name Knecht bedeutet, la¨βt er den kleinen Tito durch seinen Tod zum Dienst erwachen. Tito fu¨hlt sich an des Meisters Tode mitschuldig und die Ahnung, daβ diese Schuld ihn selbst und sein Leben umgestalten und viel Gro¨βeres von ihm fordern werde. Titos Seele entspricht diesem Beruf und in diesem Augenblick u¨bertra¨gt Knecht sein Leben an Tito. Das Glasperlenspiel wird ewige Lebenskraft haben. Wie oben untersucht, hat das Wasser in Hesses Werken die folgende Bedeutung. Erstens das Wasser bedeutet den Ursprung des Lebens und alles Geschaffenen. Zweitens, das Wasser bedeutet Reinigung und Buβe. Durch Wasser wird altes Leben gereinigt und neues Leben wird geboren. Drittens, Wasser bedeutet Weisheit. Das Wasser in den Romanen Hesses symbolisiert die Einheit, die alle Gegensa¨tze und Konflikt aufhebt, das Zuru¨ckkehren in den Ursprung, in die Ewigkeit, die Zeit und Raum u¨bersteig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