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영향평가 정책의 재설계와 지속발전을 위한 전략적 접근 연구

        최정윤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cultural impact assessment currently under way is likely to be uniformly applied because the evaluation criteria and indicators are uniformly specified and the evaluation deliberation is almost unchanged. In addition, the existing cultural impact assessments suggest a complementary point to the implementation project, but it is necessary to review whether the complementary point fully understand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In fact,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the region already borrowed an already successful example from another region. This study recognizes these problems, and analyzes and compares the existing evaluation systems in order to rethink the evaluation system needed for the region, establish the basis for the cultural policy for the people to go right and it must be applied apply the results in the cutural activities in the region. In this regards, this study firstly summarized the understanding of evaluation logic and the main points to be discussed, and than, have analyzed and studied the logic and structure of the foreign evaluation cases. In addition, this study review the Canadian and US cultural impact assessments and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and errors and effects.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assessments on other sector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in Korea, such as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Employment Assessment. The analysis of these cases led to the development of a new evaluation method. As a result, the existing cultural impact assessment is ambiguous and inclusive of the cultural reference point, so there is a concern that it will infringe freedom and naturalness when it is actually applied. It is a concern that if the culture, which is the product of spontaneous, and time and individual effort, is made up of a single scale, it will undermine the essence of culture. There should be an effort to chec the impact on the business from the policy making step to prevent discriminatory effects, and to supplement and minimize adverse impacts. In order to move forward to culture advanced countries through active investment in culture, studies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to supplement the cultural impact assessment and reduce the negative factors and maximize the positive factors. The current cultural impact assessment is just beginning and its significance has not been recognized nationally. So the people are not aware of its importance. The form of culture does not mean the direct effect based on it. In that case, many people did not understand the importance.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ultural competence evaluation, and understand the social trends based on the realistic value judgments and objective data, and contribute to the social law and legislation in a better way. The cultural competence evaluation system for a culture-rich country with a high quality of life. It should be used as an indicator. The cultural evaluation system requires following steps: establishing a DB system for cultural impact assessment, selecting target tasks through public offerings, expanding awareness of cultural impact assessment system through aggressive public relations, and actively participating in and sharing opinions through results sharing forums, and encouraging many organizations to participate. In addition, the institutional arrangements should be made to designate and operate a culture competency evaluation authority, to strengthen the authority of policy recommendations, improvement and recommendations, and to reflect the results of this systematic evaluation into the relevant policy. The uniformity of the cultural business should be avoided because it undermines the cultural diversity. If a method for collecting various opinions is sought, the competent criteria appropriate for the region will be applied, and the result suitable for the region will be obtained. 현재 시행중인 문화영향평가는 평가 기준이나 지표가 일률적으로 지정되어 있고 평가 심의도 거의 변하지 않기 때문에 자칫 일률적인 적용이 될 우려가 있다. 또한 기존에 실시된 문화영향 평가들은 시행 사업의 보완점을 제시하고는 있지만 과연 이 보완점이 그 지역의 독특한 특수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다시 검토 해볼 필요가 실제로 이미 성공한 다른 지역의 사례를 그 지역에 차용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기존의 평가 체계를 분석하고, 비교하여, 지역에 필요한 평가 시스템에 대해 다시 생각 해 보고, 국민을 위한 문화 정책이 올바르게 나아가게 되는 기초를 다지고, 이를 통하여 문화 현장에 적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의 연구에서는 먼저 평가논리에 대한 이해와 논의해야 할 주요 사항을 정리 하였다. 이미 문화적 가치에 대하여 먼저 생각한 외국의 시행되고 있는 평가의 논리와 구조를 분석, 연구하였다. 또한 캐나다, 미국의 문화영향평가 및, 환경영향평가를 다루었고, 오류와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현재 국내에서 시행되어 지고 있는 타 분야에 대한 영향 평가를 분석하기위하여 환경영향평가와 고용평가 등을 참조하였으며, 이 사례들의 분석을 통해 새로운 평가 방법의 보완점을 생각해 보았다. 그 결과 기존의 문화영향 평가는 문화에 대한 기준점이 모호하고 포괄적이어서 실제로 이를 적용할 시에는 자유성과 자연성을 침해 할 우려가 있다. 자연 발생적이고 시간과 개별적인 노력의 산물인 문화가 한가지의 척도로 이루어진다면 문화의 본질을 훼손하는 것 이라는 우려이다. 정책 입안부터 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여 차별적 영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불리한 영향이 발생 할 경우 이를 보완하고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야한다. 향후 문화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문화 선진국으로 나아가기 위하여 문화영향평가를 보완하여 부정적인 요소를 줄이고 긍정적인 요소를 극대화 하는 연구가 적극 실행되어야 한다. 지금의 문화영향평가는 막 시작하는 단계로 그 중요성이 범국가적으로 인지되지 못했다. 그러다 보니 국민들과 지역민들도 이것을 잘 인지 하지 못한 상황이다. 그리고 문화는 형태만 가지고 직접적인 효과가 바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그러다보니 그 중요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우리는 문화역량 평가가 가지는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현실적인 가치판단과 객관적인 자료에 의거하여 사회적 흐름을 잘 파악하고 이해하여 더 좋은 방향으로 사회 법규와 법제정에 도움을 주어 삶의 질이 높은 문화강국으로 가는 지표로 삼아야 할 것이다. 문화영향평가의 DB시스템을 구축하며, 대국민 공모를 통한 대상과제를 선정하고, 적극적인 홍보를 통하여 문화영향평가 제도에 대한 인식을 확대하고, 결과 공유포럼 등을 통해 적극적인 공유와 의견을 수렴 하며 참여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를 마련하여 많은 단체들이 참여 할 수 있게 유도해야 한다. 또한 문화 역량평가 책임기관을 지정, 운영하고, 정책제언 및 개선과 권고의 권한을 강화하여, 평가 결과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문화 사업의 획일화는 문화의 다양성을 훼손하기 때문에 지양해야 한다. 다양한 의견수렴을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진다면 지역에 맞는 기준이 적용 될 수 있을 것이고, 그 지역에 맞는 결과가 도출 될 수 있을 것이다.

      • 문화산업 진흥을 위한 정부 정책 평가 지표로써의 BSC 활용 연구 : 문화융성 정책을 중심으로

        김관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9711

        Korea’s per capita income is $27,561. So, GNI(Gross National Income) of Korea has increased by 4.0% compare to last year. With a growing of people’s income, moreover the desire for basic survival, eager for enhancing of life quality is rising. Also, this is extended to consume for cultur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aid ‘Culture is medium of making virtuous circulation between country development and people’s happiness at the same time precondition of realization of people living. Since 1994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ade cultural industry department and they have been managing Korean cultural business. And then, the year of 1997, cultural business industry became main industry of Korea and culture technology was selected one of the future growth engines industry of Korea in 2001. At 2002, The big success of KBS TV drama ‘Winter Sonata’ at Japan settled the word “Korea wave” fully. “Winter Sonata” make another economic benefit through implementing OSMU(One Source Multi Use) marketing such as OST, musical, animation, game business and so on. Korean government draw up more and more budget and concentrate to the cultural industry because of its high economic value added. However, cultural business has intrinsic limitation such as high economic comsumer elasticity. For example some underdeveloped countries and foundations that people’s basic right to live level is low, cultural industry can’t have meaning as tool for creating economic value added. Moreover, political issues or historical factors could be threaten to the cultural industry. The representative example is Chinese Anti-Korea phenomenon derived from THAAD. 2013, the 13th Korean president transition team announced 5 government object, 21 implement plan, 140 government project. about government vision “people’s happiness and the new age of hope” Government set up their project for cultural policy as “Creative education and cultural life” strategies for it as “education for making dreams come true” “training expert and making system for lifelong study” “Culture for finding myself, establishement culture for everyone” Using web crawling and survey, this thesis analyze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through recognition path from the core business “The day being culture” one of the 4 government administration keynote “culture flourish” The survey part is set up with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aid. Data from 2014 to 2016 of survey is about gender, job and so on. This thesis uses those data as as basic tool for evaluate policy effectiveness. And the result of this survey is as follows. 1. Result of survey analysis - Business status There are 1,616 of movie theater, stage, sport stadium, museum, art museum. Through 2016 October’s survey data, degree of awareness is 57.8% and participation rate is 43.3% So, cultural activities are settled in people’s daily life. - The path of recognition “The day being culture” * media(TV/Radio/Newspaper etc.) 28.6% * Internet(Naver, Daum etc.) 22.4% * Surrounding people(Friend, Family, Peer etc.) 20.2% - The experience and satisfaction of “The day being culture” * Degree of satisfaction 2014 : 28.4% → 2016 : 43.3% * Age specific experience : twenty(56.0%) from fifteen to nineteen(53.7%), Students(54.9%) * Regional, Age, type of job specific experience(Doesn’t experince) : Kangwon/Jeju(64.3%), forty(66.4%), Own business (72.4%), inoccupation(69.4%) - Program of “The day being culture” * Watching movie(75.6%), Musical, Play, Music concert etc.(19.0%), Museum/Art museum(16.0%), Busking/Outdoor performance(15.4%), Cultural properties(9.3%), Regional and local art organization program(8.0%), Sports event such as baseball and football etc.(7.4%), library(4.9%) - Participants’ satisfaction of “The day being culture” Real participants’ degree of satisfaction is 5.78 over 7(86.6%). So, programs of “The day being culture” is generally competent with the participants. On the other hand, unsatisfied participants are 1.8% over entire participants. There is somewhat development in this result. Unsatisfaction is lower 0.2% and satisfaction is higher 8.6% than 2014. 2. Result of data analysis from Web crawling - “The day being culture” keyword quantity of mention Internet cafe and blog’s in line with “The day being culture” keyword mention quantity has growing 9.25% since 2014. From 2014 1. to 2015, recognition rate grew 9% and From 2015 to 2016, it grew 9.5% at “The day being culture” posting statistics data result. - Level of awareness “The day being culture” One of the most mentioned key word is ‘small music concert(60%, 425,609), Youth culture picnic(20%, 146,331), Youthful micro phone(9%, 62,684), Local based specific program(8%, 55, 287), Dong Dong Dong culture playground(3%, 24,205) - “The day being culture – Cultural facilities” keyword quantity of mention Since “The day being culture” produced, “Cultural facilities” keyword quantity of mention is grow 19%(4,207,731) at 2014 compare to 2013. Moreover other keyword quantity of mention had risen like this. Movie(49%), Cultural properties(14%), Stage(13%), Library(8%), Art museum(7%) etc. So, all key words related to the cultural assets generally had risen. - “The day being culture” press reports analysis A Type of press reports and internet newspaper about “The day being culture” can classify as public relations, gallery, movie, performance, cultural properties, sports, library, lecture, cultural facilities, criticism and so on. The most commonly detected field of public relations is performance(687), PR(502), gallery(323), cultural facilities(245), library lecture(155), movie(149) are followed. Result for type analysis is classified as “affirmative”, “denial”, “Not mentioned”. Result is as follows “Not mentioned”(78%, 16,110), “denial”(8%, 1,652), “affirmative”(14%, 2,892) Government’s cultural policy is very important because of the power of influence of cultural industry. In order to achieve policy goal, vision, implementation strategy and plan, policy should get right evaluation. Until now, cultural policy evaluation has limitations that offering ex-ante alternatives to achieve next government’s changing policy objectives through former government’s integrated data. Therefore next government’s ex-post study that analysis for result from policy implementation will be insufficient. For those reason, cultural industry policy should be evaluated by qualified tools that linked with ex-ante and ex-post study along policy change. As a result, BSC(Balanced Scorecard) will be great deals to evaluate cultural policy. Most of organizations use financial index such as sales volume, operating profit, or net earnings to evaluate results. However, such indexes, it is hard to know what kind of strategy project are linked with each other and how those projects produce the results. Moreover, financial indexes are past data that delivered by accounting standard. So it can’t guarantee future result. BSC surely more suitable to the commercial enterprise but a point of view that continuing achievement the organization’s vision and mission, essential of BSC is also match well with the non profitable organization. Therefor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hould make individual key performance index(KPI) in line with the government projects derived from analysis of vision, mission, specific project, strategy. Four field of BSC, that is to say ‘learning and growing’, ‘inside business process’, ‘customer’s point of view’. Moreover considering their cause and effect, and combination structur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hould make core successful factor(CSF) and Strategy maps. Through these process, BSC will be important tools for policy evaluation out of qualitative analysis and quantitative analysis and future cultural planning. This thesis has limitations as follows because of unprecedented advanced research. First, it needs more specific and scientific approach to the CSF and KPI of four field Second, it needs to discuss among government-affiliated organization, department, individual about integration of BSC (Balanced Score Card) Third, first of all, it needs to continue research about BSC(Balanced Score Card). However, this thesis, on the basis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vision and mission, analyze the existing evaluation system pivot on the six strategy projects and point the limitation of existing evaluation system. Foundation of existing public organization’s BSC examples, through the analyzing for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policy materials, broadcasting materials,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s cultural policy materials,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s data, this thesis is the first Korean research for the cultural contents policy using the BSC. So through this thesis, future Korean government can continually apply this research result. This is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2017년 우리나라 국민소득 1인 2만 7,561달러로 전년대비 4.0% 국민총소득(GNI)이 증가 하였다. 국민들의 소득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기본적 생존에 관한 문제가 해결된 이후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고 이는 곧 문화에 대한 소비 증대로 이어져왔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는 국가 발전과 국민 행복의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매개체이며 인간다운 삶의 실현을 위한 전제 조건”이라 명시하였다. 1994년 문화체육부 내 문화 산업국이 창설되어 문화 산업에 대한 국가적 차원에서의 관리가 본격화 되었다. 이후 1997년 문화산업이 21세기 주력 산업으로 자리 잡았으며 2001년 미래를 견인할 차세대 성장 동력산업 중 하나로 CT(Culture Technology)를 선정했다. 그러한 정책들과 더불어 2002년에는 KBS에서 제작, 방영된 ‘겨울연가’가 일본을 통해 큰 성공을 거두게 되면서 ‘한류’라는 표현이 본격적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겨울연가는 거기에 그치지 않고 OST와 뮤지컬, 애니메이션, 게임 등으로의 OSMU(One Source Multi Use)마케팅을 펼쳐 추가적인 수익을 거두기도 했다. 이처럼 문화산업의 경제적 가치가 높아지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면서 정부는 문화산업과 관련한 정책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고 관련분야의 정책 예산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문화산업은 그 특성이 가지고 있는 내재적 한계로 인해 외부 변수로 인한 경제적 탄력도(Elasticity)가 매우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의 기본적 생존권이 보장되지 아니한 국가, 또는 환경에서는 문화산업이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 수단으로써의 성격을 갖기 어렵다. 또한 정치적 이슈나 역사적인 사실관계로 인해 산업의 생태계 자체가 위협받을 수도 있다. 최근의 사드 배치문제에 따른 중국의 ‘혐한’ 현상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4대 국정기조의 하나인 “문화융성(文化隆盛)”의 핵심 사업으로 ‘문화가 있는 날’을 분석함으로써 문화정책의 인지 경로와 인지도 그리고 이용자 조사에 의한 참여도와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설문조사와 웹 크롤링(Web crawling) 방법을 활용했다. 설문조사는 문화체육관광부의 도움을 받아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간의 전국단위, 성별, 직업 등 이용자들의 데이터 ‘문화가 있는 날 인지도 조사’ 데이터를 받아 정책의 실효성을 평가 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설문조사 분석에 의한 결과 첫 번째, 사업 현황. 사업에는 동참하고 있는 시설은 2017년 현재 1,616개의 문화시설로 영화관, 공연장, 스포츠경기장,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다양한 문화행사가 개최되고 있으며 2016년 10월 조사에 따르면 인지도 57.8%, 참여율 43.3%를 달성함으로써 문화 활동이 국민의 일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두 번째, ‘문화가 있는 날’국민 인지 경로. 인지 경로는 ‘언론보도를 통해(TV/라디오/종이신문 등)’라는 응답이 28.6%, ‘인터넷을 통해(Naver, Daum 등, 22.4%), 그 외 ‘주변 사람을 통해(친구/가족/동료 등)' (20.2%)로 나타났다. 세 번째, ‘문화가 있는 날’이용 경험 및 만족도. 2014년 조사 28.4%에서 14.9% 증가하여 2016년 43.3%로 조사 되었다. 이용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20대'(56.0%), ‘만15-19세’(53.7%), ‘학생’(54.9%)에서 특히 높은 비율을 보이는 반면, ‘비경험’ 응답은 ‘강원/제주’(64.3%), ‘40대’(66.4%), ‘자영업’(72.4%), ‘무직’(69.4%)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네 번째, ‘문화가 있는 날’이용자 참여 프로그램. 영화 관람(75.6%), 공연장에서 뮤지컬, 연극, 음악 등 공연’(19.0%), ‘박물관/미술관 등 전시’(16.0%), ‘길거리, 공원 등 야외 공연’ (15.4%), ‘고궁 등 문화재’(9.3%), ‘지역재단 및 지역 내 예술단체 관련 프로그램(공연 및 체험 등) 참여’(종합 8.0%), ‘프로야구, 축구 등 스포츠 경기’(7.4%), ‘도서관 2배 대출’ (종합 4.9%) 등으로 국민들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문화가 있는 날’이용자 만족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참여자에 한하여 만족도에 대한 조사의 결과는 7점 만점의 평균은 5.78점(86.6%)으로 문화프로그램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불만족’한다는 응답은 1.8%로 조사 되었으며 지난 2014년 8월 조사 대비 관람 ‘불만족’ 응답은 -0.2% 개선되었으며, ‘만족’ 응답이 8.6% 증가하였다. 2. 웹 크롤링(Web crawling) 데이터 분석에 의한 결과 첫 번째, ‘문화가 있는 날’ 통합 키워드 언급 량. 인터넷 카페 및 블로그의 ‘문화가 있는 날’ 키워드 100% 일치 언급 량 성장률은 2014년 1월 이후, 매년 평균 9.25%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문화가 있는 날' 포스팅(posting) 통계 데이터를 이용한 이용자 인식 분석결과 2014년을 기준으로 2015년도에 9% 성장률이 있었으며, 2016년 또한 전년대비 9.5%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년 평균 9.25%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두 번째, ‘문화가 있는 날’프로그램 인지도. 기획 프로그램 중 사용자 언급 량이 가장 높은 키워드는 ‘작은 음악회’(60%, 언급 량 425,609건)였고, 청소년 문화 나들이(20%, 146,331건), 청춘 마이크(9%, 62,684건), 지역거점 특화 프로그램(8%, 55,287건), 동(洞)!동(童)!동(動)! 문화 놀이터(3%, 24,205건)로 추출 되었다. 세 번째, ‘문화가 있는 날’문화시설 언급 량. ‘문화가 있는 날’ 시행 이후, 2014년에는 2013년 대비 문화시설에 대한 언급이 19% 증가한 4,207,731건으로 영화관 49%, 박물관 29%, 문화재 14%, 공연장 13%, 도서관 8%, 미술관 7% 등 모든 문화시설에서 언급 량이 증가하였다. 네 번째, ‘문화가 있는 날’언론보도 내용 분석. ‘문화가 있는 날’ 언론보도 인터넷 기사의 내용의 유형은 종합․홍보, 전시관, 영화, 공연, 문화재, 스포츠, 도서관, 강연, 문화시설, 평론, 기타 등으로 분류 되었으며, 가장 많은 홍보한 기사의 분야는 공연(678건)이었으며, 홍보(502건), 전시관(323건), 문화시설(245건), 도서관강연(155건), 영화(149건) 순으로 보도자료 건수가 추출되었다. 유형별 분석은 “긍정, 부정, 언급 없음”으로 3가지 내용 유형별 인식에 대한 분석한 결과 ‘언급이 없는 기사’는 총 78% 16,110건, ‘부정적 기사’를 다루고 있는 내용(8%) 1,652건, ‘긍정적 기사’를 다루를 있는 내용(14%) 2,892건으로 조사 되었다. 문화산업은 그 파급력이 깊고 넓은 만큼 그것을 뒷받침해주는 국가의 문화정책이 매우 중요하다. 정책목표(policy goal)와 비전(vision)을 달성하기 위한 추진전략과 추진과제의 달성이라는 관점아래 정책은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올바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까지 문화 정책 평가는 이전 정부의 임기를 거쳐 집적된 데이터를 통해 향후의 정부에서 바뀌게 될 정책의 시행에 앞서 정책 사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사전적(ex-ante)대안을 제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차기 정부로 넘어가게 되면 정책시행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는 사후적(ex-post) 연구는 상당히 미흡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문화 산업정책에 대한 평가는 정책변화에 따른 사전적, 사후적 연결고리가 접합되어 검증된 평가 도구(Tool)를 통해 평가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BSC(Balanced Score card : 균형성과평가표)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평가 도구로써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대부분의 조직이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매출액이나 영업이익 또는 당기순이익 등의 재무 지표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지표들은 어떠한 전략과제들의 유기적으로 접목되어 나타나게 된 결과인지 알아내기 어렵다. 또한 재무적 지표는 회계기준이란 것에 의해 작성된 과거의 데이터이며 이는 미래의 결과를 보장하지 않는다. 물론 BSC가 영리기업의 성과평가에 더 어울리는 지표임에는 틀림없으나, BSC는 조직이 가지고 있는 비전과 미션의 지속적 달성이라는 측면에서 그 본질이 비영리 기업에도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문화체육관광부의 비전과 미션, 단계별 전락에 따른 세부 과제, 조직 내 외부의 분석을 통해 도출된 국정과제와 부합하는 각각의 핵심성과지표를 마련하고 BSC에서 제시하는 4가지 영역 즉, 학습과 성장, 내부 프로세스, 고객 관점 등의 인과관계와 결합구조를 통해 재무적 지표와의 전략체계도(Strategy Maps)를 만들고 그에 내재된 핵심성공요인과 핵심성과지표(KPI)를 만들어내는 것으로써 향후 문화 정책 평가 연구에 있어 정량적, 정성적 평가에서 벗어나 문화산업 정책을 계획함에 있어서도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가 전무한 실정에서 처음 연구되었기에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BSC의 4가지 관점에 해당하는 핵심성공요인과 핵심성공지표의 구분 값에 대한 과학적 접근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두 번째, 각 산하기관, 조직별, 개인별 BSC의 통합 논의가 필요하다. 세 번째, BSC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의 비전과 미션을 토대로 제시된 6가지 항목의 전략과제를 중심으로 기존 평가 체계를 분석하였고 제시된 평가지표들에 대한 한계점을 지적하였다. 기존 공공부문 BSC구축 사례를 바탕으로 문화체육관광부의 정책 자료와 보도자료, 한국문화연구원의 문화정책 연구자료, 한국콘텐츠진흥원의 발표자료 등을 통해 우리나라 최초의 문화 콘텐츠 관련 정책기관 BSC구축 연구로써 향후의 정부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문화체육관광부의 BSC구축에 대한 첫 발을 내딛은 연구라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 부천시 생활문화축제사업 문화영향평가 연구 : - 다락 축제를 중심으로 -

        송석환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10

        본 연구의 목적은 부천시 생활문화축제사업의 문화적 영향 측정을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16년 시행된 다락축제의 수행자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110부를 준비하여 98부가 회수되었지만 내용이 불성실한 9부를 제외한 9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의 방법은 문화향유 8문항, 표현 및 참여 4문항 등 28개 문항에 대하여 ANOVA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정책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천시 생활문화축제사업은 2015년 123개 팀에서 2016년에는 183개 팀이 참가하는 등 지역 문화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가 된다. 둘째, 부천시 생활문화축제사업의 경우 자발적 참여와 지방자치단체가 사업 보조금을 부담하고 있어 부천시의 재정지원의 한계로 인하여 사업의 발전성 및 지속성 여부가 불투명한 상태이다. 셋째, 부천시 생활문화축제사업의 지속성을 위해서 지방자치단체 관계자와 시민단체 등이 참석하여 재정의 안정적 확보 방안 등 다양한 대책을 마련해 사업진행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역문화와 관련 지식 홍보, 지역문화축제사업 현장에 지역민 참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생활문화축제사업의 긍정적 효과 극대화를 위해 부천시와 지역주민이 공유할 수 있는 지원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부천시 생활문화축제사업의 문화적 영향 측정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면서 설문조사의 대상을 수행단체로 한정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를 수행단체는 물론 지역주민과 전문가의견도 수렴하는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cultural impact of Bucheon City Life Culture Festival project.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performers of the festival in 2016. A total of 110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and 98 copies were collected. The analysis method was ANOVA analysis for 28 items including culture enjoyment 8 items, expression and participation 4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anticipated that the Bucheon Lifestyle Culture Festival will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local culture by joining 123 teams in 2015 and 183 teams in 2016. Second, in case of Bucheon Citizens' Life Culture Festival, voluntary participation and local governments are paying subsidies. It is unclear whether the development and sustainability of the project is due to the limited financial support of Bucheon City. Third, for the sustainability of Bucheon City's life culture festival business,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civic groups should attend to improve various ways to secure the financial stability. Also, it is necessary to promote local culture and related knowledge, and to develop local participation program at the local culture festival business site. In order to maximize the positive effects of the festiva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that can be shared by Bucheon City and local res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ltural impact of Bucheon City Living Culture Festival and to limit the scope of the questionnaire. Therefore, in future research, it will be necessary to evaluate the subjects to collect the opinions of the local people and experts as well as the executing organizations.

      • 유산영향평가의 국내 도입에 관한 연구 : 공주 제2금강교 건립을 위한 유산영향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박혜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3343

        Heritage Impact Assess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HIA), so-called Cultural Heritage Impact Assessment or World Heritage Impact Assessment, is a method of assessing how development activities affect heritage, focusing on cultural heritage. This is a relatively recent international and compromise assessment of the long-standing discussion of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The heritage impact assessment as the first attempt in Korea took place in the new construction of the Gongju Second Geumgang-gyo Bridge. The HIA is not considered as a complete and absolute process. Rath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esults and interpretations of the heritage impact assessment may vary depending on the relative value of the heritage and the circumstances that surround the heritage. Thu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overall evaluation process of the heritage impact assessment before introducing it in Korea. In particular, the expansion of the heritage concept and the change i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s inevitably affected the emergence of the heritage impact assessment. In 2011, the International Council for Monuments and Sites (ICOMOS) afforded a guideline on heritage impact assessment for world heritage sites in constant discussion between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that emerges in heritage sites. As such, the application of a heritage impact assessment to development activities that provided directly or indirectly changes for cultural heritages is an internationally accepted evaluation approach. However, unlike overseas situations where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there is no domestic research. The discussion of the heritage impact assessment began in Korea after the rejection of the "20. Construction of the Second Geumgang-gyo Bridge around Gongsanseong Fortress" reviewed by the 12th historic site subcommittee of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 in 2018.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 judged that the project to build the 2nd Geumgang-gyo Bridge would undermin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Gongju City, and then recommended that the Gongju City Government should conduct a heritage impact assessment; therefore, the Gongju City Government carried out a heritage impact assessment for the construction of the 2nd Geumgang-gyo Bridge. This study intends to give the basic understanding of the HIA through the first domestic case of the heritage impact assessment before it was introduced in Korea in earnest. To this end, the international discussion process of the heritage impact assessment was reviewed by analyz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aforementioned heritage impact assessment and the "Guideline for Heritage Impact Assessment for World Cultural Heritage (2011)" By analyzing the various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construction of the second Geumgang-gyo Bridge and the development process and results of the heritage impact assessment in detail, the seven-step methodology was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the plan, and then this thesis points out the need to introduce the heritage impact assessment in Korea and the practical problems that arise during the introduction process. "Conservation", which means historic sites or buildings "well protected and maintained," and "Development", which means making useful, growing, and progressing, they may conflict with each other. However, the cultural heritage's preservation in a dynamic modern society should exist together with sustainable consensus between those two positions at the same time. Not only do we find the clue through the heritage impact assessment,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but we hope that it will further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active discussions such as the application limit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HIA. 유산영향평가(Heritage Impact Assessment)는 문화유산영향평가, 세계유산영향평가라고도 불리며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개발행위가 유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평가방법이다. 이는 오래전부터 계속된 ‘개발’ 과 ‘보존’의 논의에 대한 비교적 가장 최신의 국제적이고 절충적인 평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유산영향평가는 국내에서 공주 제2금강교 건설과 관련해 최초로 시행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유산영향평가는 완전하고 절대적이라고는 볼 수 없다. 오히려 유산의 상대적 가치와 유산을 둘러싼 상황에 따라 유산영향평가의 결과 및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따라서 국내에 유산영향평가를 도입하기에 앞서, 유산영향평가의 등장배경과 전반적인 평가과정에 대하여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문화유산의 개념 확장과 보존관리방안의 변화는 유산영향평가의 등장에 필연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세계유산을 둘러싼 보존과 개발의 지속된 논의 끝에 2011년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세계문화유산을 위한 유산영향평가 지침을 마련하게 되었다. 이처럼 문화유산에 직·간접적으로 변화를 가하는 개발행위에 대한 유산영향평가의 적용은 국제적으로도 통용되는 평가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국외의 상황과는 다르게, 국내의 연구는 전무하다고 볼 수 있다. 국내에서 유산영향평가의 논의가 시작된 것은 2018년도 문화재위원회 제12차 사적분과위원회에서 심의한 ‘20. 공주 공산성 주변 제2금강교 건설’의 부결 이후이다. 제2금강교 건립사업이 공산성의 역사문화환경을 저해할 것이라고 판단한 문화재위원회는 공주시에 유산영향평가를 시행할 것을 권고했고, 이에 현재 공주시는 ‘제2금강교 건립을 위한 유산영향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 유산영향평가가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전, 국내 최초의 유산영향평가 사례를 통해 유산영향평가의 기초적인 이해를 돕고자 시작되었다. 이를 위하여, 앞서 언급한 유산영향평가가 등장하게 된 이론적 배경과 『세계문화유산을 위한 유산영향평가 지침(2011)』을 분석하여 유산영향평가의 국제적 논의과정을 고찰하였다. 특히, 제2금강교 건립 사업을 둘러싼 여러 정황과 유산영향평가의 전개과정 및 결과를 자세히 분석하여, 유산영향평가의 국내 도입 필요성과 도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실적 문제들을 지적해 이에 대한 대안으로 7단계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잘 보호하고 간수하여 남김’이라는 의미를 지닌 ‘보존과 유용하게 만듦, 발달하게 함, 발전하게 함’ 등의 의미를 지닌 개발은 서로 상충될 수 있으나, 역동적인 현대사회에서의 문화유산 보존은 그 사이의 지속가능한 합의점을 잘 찾아내어 공존해야 함이 분명하다. 본 연구의 주제인 유산영향평가를 통해 그 실마리를 찾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유산영향평가의 한계 및 발전방향 등 활발한 논의를 위한 발판이 되기를 기대한다.

      • 원자력 안전문화 영향지수 평가방법론 개발

        한기윤 한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33343

        안전문화는 발전소 운영에 있어 원자력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발전소 종사자들의 태도와 행동으로 정의가 된다. 스리마일섬 사고, 체르노빌 사고, 후쿠시마 사고 등 여러 원전 중대사고의 사고검토보고서에 의하면 조직의 취약한 안전문화가 사고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발전소 조직의 강건한 안전문화 형성은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기존의 안전문화 평가방법은 설문, 인터뷰, 관측 등에 의한 평가방법으로 안전문화 평가 주기가 매우 길고 비용적 측면에서도 비효율적이며 평가의 일관성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또한 안전문화가 발전소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설명하지 않기 때문에 취약한 안전문화에 의한 발전소 위험도의 변화를 측정할 수가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는 새로운 안전문화 평가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새로운 안전문화 평가모델인 안전문화 영향평가모델(SCIAM)은 객관적인 발전소 데이터에 근거한 안전문화 평가방법론과 안전문화가 발전소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는 방법론으로 구성되어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안전문화 영향평가모델은 안전문화 영향지수(SCII)를 사용하여 발전소의 안전문화 수준을 나타내고 새로운 노심손상빈도인 상대적인 노심손상빈도의 증가율(RCDF)을 사용하여 안전문화가 발전소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안전문화 영향평가모델의 복잡한 수식을 풀기위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안전문화 영향평가모델을 참조원전에 적용해본결과 IAEA의 노심손상빈도에 대한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참조원전의 안전문화 영향지수를 7.5이상으로 유지해야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안전문화 영향평가모델은 강건한 안전문화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여 발전소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문화재 현상변경 허가심의를 위한 영향평가 기법 개발 연구

        백준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27

        With the occurrence of multiple development projects affecting the cultural property environment, deliberation for the act of alteration of the cultural property and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areas has continuously been made. In the deliberation process,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changes caused by development projects should be reviewed. However, the deliberation process only was established and the deliberation data preparation methods, influencing factors, analysis items, and evaluation methods after the alteration have not been established yet. This study aimed to draw cultural heritage impact assessment plans for realistic and effective deliberation on permission to alteration of cultural heritage. To this end, it compared system-specific operation and evaluation cases and draw introductory elements appropriate for cultural property impact assessment. Based on the drawn evaluative items, it selected Magoksa Temple, world heritage and a temple holding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s actual target areas and experimented cultural heritage impact assessment after development and then verified the effectiveness. Our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made a comparison between the deliberation on permission to alteration of cultural heritag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landscape deliberation, and heritage impact assessment applied to world heritage sites, which were carried out in Korea and drew 9 assessment items that were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for cultural property impact assessment. Among which, the minutes on the historic cultural heritage that had received the most deliberation on permission for cultural heritage alteration for the recent five years were reviewed before selecting the landscape related items. It also included the water systems that were considered to be highly influential on noise and alteration that would occur in construction and living environment into evaluative items. Finally, it selected landscape, noise, and water system as evaluative items appropriate for cultural property impact assessment and set analysis standards. Second, it provided a criteria for setting landscape control points by considering the cultural heritage for landscape evaluation. It also provided preliminary landscape control point selecting methods by analyzing cumulative visual range and visibility with ArcGIS Pro. It manufactured a wireframe with Rhinoceros 3D and analyzed the cultural property development impact based on the present-situation photos. Finally, it used photograph composition techniques and made a simulation before and after development project and by doing so, could identify the impact of development projects on cultural heritage realistically. Third, it presented receiving point selection methods by considering the subjects who would enjoy cultural heritage. Noise level was measured in the fields with a noise measuring apparatus. For noise impact assessment, topography and building modeling was manufactured with SoundPLAN and then equipment noise source and road noise source were entered before manufacturing a noise map for construction and operation. Based on this, noise change in receiving point depending on alteration could be predicted and the points for which reduction measures would be needed could be identified. Fourth, terrain model was manufactured with a digital topographic map having the highest precision of 1:5,000, which digitalized the topography of the whole country. It was found in water stream analysis that when defining river by setting the critical value at 20,000, this condition was identified to be appropriate for reviewing changes. By using such a method, fluvial landform change after development could be predicted. This study presented analysis items and methods necessary for evaluating the impact on cultural heritage after the altera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drew the items assessing the impact on cultural heritage for deliberation on permission to alter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simultaneously went through the actual investigation process, for example field investigation and simulation tool use and provided the methods that could be used in practice. However, it still has limitations in that it did not provide the verification methods for precision in detailed methods and mechanical error in landscape analysis. It also could not consider the changing landscape in four seasons. Moreover, it could not set the level or grade of acceptable changes clearly. To apply into actual fields, complementary researches are needed on precise investigation method for overcoming such errors and grade setting methods. 문화재 환경에 영향을 끼치는 개발사업 등이 다수 발생하면서 문화재 및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에 대한 현상변경 행위의 심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심의 과정에서 개발사업에 의한 경관변화, 디자인 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심의 절차만 마련되어 있을 뿐 심의 자료의 작성, 현상변경에 따른 영향 요인, 분석항목, 평가방법 등은 정립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실효성 있는 문화재 현상변경 허가심의를 위한 문화재 영향평가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제도별 운영과 평가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문화재 영향평가에 적합한 도입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평가항목을 세계유산이자 다양한 환경인자를 보유한 공주 마곡사를 실제 대상지로 설정하여 개발에 따른 문화재 영향평가를 실험함으로써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에서 시행되는 문화재 현상변경 허가심의, 환경영향평가, 경관심의와 세계유산에 적용되는 유산영향평가의 비교 분석을 통해 문화재의 영향평가에 적합하다고 판단한 9개의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이 중에서 최근 5년간 문화재 현상변경의 허가심의가 가장 많았던 사적 문화재의 회의록을 검토하여 경관에 관련된 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공사 및 생활환경에서 발생 가능한 소음과 현상변경에서 영향이 크다고 판단한 수계를 평가항목에 포함하였다. 최종적으로 경관, 소음, 수계 3개를 문화재 영향평가에 적합한 평가항목으로 선정하여 분석 기준을 설정하였다. 둘째, 경관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문화재 특성을 고려하여 조망점을 선정하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ArcGIS Pro를 이용하여 누적가시도와 가시권분석을 통해 예비조망점을 선정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Rhinoceros 3D를 이용하여 와이어프레임 제작 후 현황 사진과 중첩하여 문화재의 개발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진합성기법을 이용하여 사업 전·후를 시뮬레이션함으로써 개발사업이 문화재에 끼치는 영향을 사실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문화재의 향유주체를 고려한 수음점의 선정방법을 제시하였다. 현장에서 소음측정기를 이용하여 소음도 현황을 측정하였다. 소음의 영향평가를 위해 SoundPLA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지형 및 건물 모델링을 제작한 후 장비 소음원과 도로 소음원을 입력하여 공사 및 운영 시 소음지도를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현상변경에 따른 수음점의 소음 변화를 예측하고 비교하여 저감 대책이 필요한 지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넷째, 전국의 지형을 디지털로 제작한 최고 정밀도인 1:5,000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지형모델을 제작하였다. 수계 분석에서 임계값을 20,000으로 설정하여 하천을 정의하였을 때 변화를 검토하는데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개발에 따른 하천 변화의 예측이 가능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문화재의 현상변경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는데 필요한 항목과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문화재 현상변경 허가심의를 위한 문화재 영향을 평가하는 항목의 도출과 함께 현장조사와 시뮬레이션 도구 등을 통해서 실증 과정을 거쳐 실무에서 사용 가능한 방법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경관의 분석에서 세부 방법의 정밀도 및 기계적 오류 여부 등을 검증하는 방법을 제시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또한, 사계절의 경관 변화 고려, 수용 가능한 변화의 수준이나 등급의 설정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했다. 실무 적용을 위해서 이러한 오류의 극복을 위한 정밀한 조사방법, 등급의 설정 등에 대한 보완 연구가 필요하다.

      • 석조문화재 주변 사면재해영향평가연구

        석재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3311

        매년 많은 인적 물적 피해를 산출하고 있는 사면재해의 심각성을 인지하여 국내외 여러 기관에서 사용 중인 총 14개의 사면재해영향 평가표의 분류인자를 분석하여 중복되거나 유사한 인자들을 통합하고 사용빈도와 가중치 분석을 통해 토사 및 암반사면에 대해 총 32개의 인자들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다시 지형요인, 지반 및 지질요인, 식생 및 기타요인, 기상요인으로 4대분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석조문화재 주변 사면재해영향 매뉴얼을 만들었으며, 이 매뉴얼의 적합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석조문화재가 많이 밀집되어 있는 경상북도 경주 남산 일대의 사면에서 직접적인 사면평가를 통해 재해위험도를 예측하고 평가하였다. In this study, fourteen Landslide Hazard Classification Tables are constructed to analyze the landslide hazard assessment. Landslide Hazard Classification Tables were constructed by sampling from possible causes of slope failure near the stone relict. The characteristic of the rainfall is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 of the landslide hazards. It was set in high grade in the soil and rock slope estimated table. Grades have been lowered in unified slope length and degree factors in relatively high graded soil slope. Similarly, the grade balance of each factor in rock slope was controlled by reducing the grades of joint direction, spacing and state of the water. In this way, to reach the suitability of factor analysis table for landslide hazard assessment, the hazard assessment analysis for soil and rock slope near the stone relict around the Gyeong-Ju, where many stone relict are placed resulted to be suitability for hazard assessment analysis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 the appropriate solution is presented to each grade in the landslide hazard assessment grade divided in the slope of each relict.

      • 세계유산 보존 방안 연구 : 국내·외 문제유형 비교를 통한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최주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3276

        우리나라의 유산이 1995년 처음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된 이후 2022년 현재 13건의 문화유산과 2건의 자연유산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그 동안 세계유산의 보존관리를 위하여 세계유산센터에서 주관하는 2번의 정기보고(Periodic Reporting)가 실시되었으며 현재 3차 정기보고가 진행 중이다. 이렇게 세계유산에 대한 보존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아직도 국내의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세계유산 등재를 통하여 각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역량을 과시하고 관광자원화를 도모하기 위해 수많은 기관들이 세계유산 등재를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유산의 등재보다 등재 후의 보존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면서, 현재까지 등재된 유산의 보존관리 현황과 보존관리 체계에 대해 점검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세계유산 등재 관련 국내·외 제도의 현황을 파악하고, 세계유산 등재 당시의 보존관리 계획과 등재 후의 보존관리 현황을 비교하여 세계유산 등재 이후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보존관리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 등재된 세계유산을 대상으로 등재신청서와, 자문기구 평가서, 결정문, 보존현황보고서 등을 분석하였다. 세계유산 제도와 보존관리 계획 및 현황을 분석한 결과 세계유산 등재 후 보존관리를 위해 실시하고 있는 보존관리 시스템은 국제 기준과 국내 제도로 구분된다. 국제기준은 ‘보존상태 모니터링’, ‘세계유산협약 이행에 관한 정기보고’, ‘유산영향평가’가 있으며, 국내 제도로는 ‘환경영향평가’,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영향검토’, ‘문화재 정기점검 및 특별점검’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보존관리 체계가 시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제가 발생되어 위험에 처한 유산 목록에 오른 세계유산은 2022년 현재 기준 52건이다. 이 유산들을 기준으로 보존관리 문제가 발생한 유형은 세 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자연재해 및 사회문제 발생유형, 두 번째, 보존관리 역량 부족 유형, 세 번째, 개발압력에 따른 유산 가치 훼손 유형이다. 첫 번째, 자연재해 및 사회문제 발생유형은 당사국의 보존관리 체계나 역량의 문제가 아닌 불가피하게 발생 된 외부 요인으로 인해 유산에 위험이 발생한 경우이다. 이 경우는 전체 세계유산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유형이나 우리나라에서는 지진이 발생한 경주지역에서 일부 우려되는 유형이다. 두 번째, 보존관리 역량 부족 유형은 불가피하게 발생한 외부 요인이 아닌 당사국의 역량 부족에 따른 내부 요인으로 인해 유산이 위험에 처한 경우이다. 세 번째, 개발압력에 따른 유산 가치 훼손 유형은 등재 당시에는 위협요인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나 경제개발과 산업화로 인해 유산구역 및 완충구역에 개발행위가 일어나면서 유산이 위험에 처한 경우이다. 이 유형은 전체 세계유산에서는 최근 나타나기 시작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세계유산센터 차원의 개선방안과 국내 세계유산 보존관리 개선방안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세계유산센터 차원의 보존관리 개선방안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하면 자문기구 평가의 준용과 권고의 이행, 등재신청서 이행여부 상시점검, 정기보고 실사단 파견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세계유산 보존관리 개선방안은 유산영향평가 제도 의무화, 모니터링 구역 확대 및 데이터베이스 체계 구축, 세계유산 보존관리 전문기관 일원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세계유산은 인류가 함께 보호하고 미래세대에게 물려줘야할 중요한 자산이다. 따라서 이제는 세계유산의 등재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본래 세계유산협약의 목적인 ‘세계유산의 보호’ 즉 보존관리에 역량을 집중해야할 때이다. Since the first inscription of the World Heritage List in 1995, 13 Korean cultural heritages and two natural heritages have been listed as World Heritage as of 2022. Meanwhile, two Periodic Reports were submitted to the World Heritage Center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orld heritage. The process of preparation of the third Periodic Report is currently underway. Although the importance of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World Heritage has been increased, many local-level governments have been trying to inscribe heritages of their region to the World Heritage list to display their cultural capabilities and promote tourism.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rather than the inscription of the World Heritage, and attempt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and its system of listed World Heritage. In accordance with the study,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ystems related to World Heritage inscriptions were identified, and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at the time of World Heritage registration and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tatus after inscription were compared. To this end, World Heritage inscription dossier, advisory bodies' evaluation documents, World Heritage Convention decisions, and conservation status reports were analyzed. Result of analysis of the World Heritage system and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s and current status shows that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after the World Heritage inscription is divided into international and domestic standards. International standards include "monitoring the state of conservation of World Heritage", "Periodic Reporting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and "heritage impact assessment,". Domestic standards includ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 protection zone impact assessment", and "heritage regular and special inspections". Despite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ystem, 52 world heritage sites have been listed as "In-Danger" as of 2022. Based on these heritages, the types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roblem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types: occurrence of natural disasters and social problems, lack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capabilities, and damage to the value of World Heritage due to development pressure. First, the occurrence of natural disasters and social problems occur when there is a risk of miscarriage due to inevitable external factors, not problems of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ystem or competency of the state parties. This case is the most common type in the World Heritage. In South Korea, Gyeongju Historic Areas can be related to this type, where the earthquake occurred. Second, the lack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capabilities is when the heritage is at risk due to internal factors caused by the lack of capabilities of the state parties, not the inevitable external factors. Third, the damage to the value of World Heritage due to development pressure is not the threat at the time of registration, but as development activities occur in heritage and buffer zones, the heritage can be at risk. The third type has recently begun to appear in all World Heritage sites, and it occupies the largest proportion of heritage risk type in South Korea. Measures to solve these risks were presented by dividing the enhancement plan at the World Heritage Center level and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orld Heritage in South Korea. The World Heritage Center's three major measures to improv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are expected to require the acceptance of the advisory bodies' evaluation, implementation of advisory bodies' recommendations, regular inspection of the recommendation completion, and dispatch of a regular report inspection team. The plan to improve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orld Heritage sites in Korea will require mandatory heritage impact assessments, expansion of monitoring areas, establishment of a database system, and unification of specialized institutions for world heritag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World Heritage is an important asset that mankind should protect together and pass on to future generations. Therefore, rather than focusing on the inscription of the World Heritage, it is time to focus on the 'conservation of the World Heritage', which is the original purpose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 가치기반의 근대역사문화공간 관리 및 계획에 관한 연구

        전재학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67759

        그간 가치에 대한 인식이 확장되면서, 유산의 물리적 측면에서 비롯되는 유형적 가치에서, 유산의 사용, 유산과 공동체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나는 연관성, 의미 등 무형적 가치의 중요성 또한 커져왔다. 이에 따라 과거를 보여주는 증거로서 물리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오래된 기념물에서, 직접적으로 사용되고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는 자원으로까지, 유산으로서 인식되고 보존되어야 할 대상의 종류와 범위 역시 지속적으로 확장되어 가고 있다. 이는 단순히 유산의 물리적 특성을 동결적으로 보존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가치에 기반을 두어 유산에 나타나는 변화를 합리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유산 관리 경향으로 이어졌다. 국내에서도 역시 문화재의 범주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선·면단위 등록문화재제도를 통한 근대역사문화공간 재생활성화 사업, 역사문화권 정비사업 등, 문화재를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하고 있다. 특히 선·면단위 등록문화재제도는 완화된 현상변경 규제, 구조의 변경 등을 통해 자유로운 활용이 가능한 등록문화재의 특성을 이용하여 문화재를 지역 활성화의 핵심적인 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제도이다. 다만 등록문화재의 경우, 활용함에 따라 물리적 특성에 대한 변화가 수반되기 때문에, 문화재 가치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변화 사이의 균형이 필요하다. 국내에서의 문화재 보존·관리 및 활용은 ‘원형유지’원칙을 기본적인 대원칙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등록문화재의 원형이 가지는 가치와 이를 잘 드러내는 속성을 훼손시키지 않는 동시에, 유용한 자원으로서 활용하기 위한 변화를 어느 정도로 수용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근대역사문화공간의 경우, 사람이 직접적으로 사용하고 생활하는 공간을 문화재로서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관리는 단순히 공간과 문화재의 물리적 원형을 유지하기 위한 접근방식보다는, 변화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관리할 것인지에 대한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면단위 등록문화재는 원형유지의 관점 보다는 합리적인 변화관리의 관점에서 관리되어야 하며, 관리계획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전제로 삼고자 한다. 이를 전제로 가치에 기반을 둔 적절한 변화관리가 어떻게 관리계획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을지 고찰해보고, 실질적인 변화관리를 위해, 관리 과정에 있어 문화재에 대해 제안되는 변화가 문화재의 가치와 속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평가과정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As the perception of value has expanded, the importance of intangible and non-physical values, such as the use of heritage, associations, and meanings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heritage and community, has also grown. Accordingly, the types and scope of objects to be recognized and conserved as heritage are also continuously expanding, from old monuments as evidence of the past to resources directly used and contributing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ciety. This led to a tendency to manage heritage management to reasonably manage the changes that appear in heritage based on value, rather than simply preserv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heritage in a frozen image. In Korea, the category of cultural properties continues to expand, and it is intended to conserve and manage cultural properties such as Modern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 rehabilitation projects through the Line-Area-Based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System or Historical and Cultural Zone Maintenance Project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domestic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system, unlike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it is subject to relaxed regulations on changing the status quo, and the focus is on utilization for various use through structural changes. The Line-Area-Based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System is a system that aims to use cultural properties as a key resource for regional revitalization by using these characteristics. However, in the case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since changes in physical characteristics are accompanied, a balance between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y values and changes of the physical state for utilization is necessary. The dominant principle of con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cultural properties in Korea is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 Therefore, in the case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t is necessary to judge to what extent to accept changes to utilize them as useful resources while not undermining the value of the original form of cultural properties and the attributes that reveal and deliver those values well.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odern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 which is registered and managed as Line-Area-Based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s a means of revitalization of region by conserving and utilizing the space and the cultural properties within the space which are directly used and lived as cultural properties by people, its management should take a rational approach to managing changes rather than just an approach of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Line-Area-Based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should be conserved and managed based on a value-based rational change management approach rather than based on an approach of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 and such a change management approach should be guided and implemented through a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of cultural properties. On this premise, I would like to examine how appropriate change management based on value can be achieved through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s, and suggest that the impact assessment process of how changes proposed for making use of cultural properties affect the value and attributes of cultural properties should be included.

      • 문화예술의 가치 및 효과 제고를 위한 문화예술지원 심의기준 및 평가기법 연구

        최미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51407

        Demand for improving efficiency and promoting responsibility in the use of public funds is a global trend. The arts and culture field is not an exception.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 principle of public interest and pursuit of efficiency often conflict with the intrinsic value of arts and culture. Such a dilemma is clearly revealed in arts and culture support programs. Given the reality of Korea's arts and culture circle whose growth is heavily dependent on the government and public funds, the future direction of the government's support for the sector may have a significant potential impact on the landscape of the field. In this context, support projects that do not create values in arts and culture have a potential to cause harm not only to the field but also to the public in general, the ultimate beneficiaries of such projects. Korea's arts and culture circle had no experience in measuring the value and effects of arts and culture activities with its own consistent standards. Without proving their value and benefits, it is very difficult to deepen and expand discussions about them. Improving such support programs is not simply about upgrading the process of support projects, project structure, 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but about understanding the spreading effect of the value and effects of arts and culture, as well as about establishing paradig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pgrade the effectiveness of arts and culture support projects by advancing review criteria to select those project which can create more value and effects and by adopting effective measurement techniques in the respect of the creation of more value and effects. Through such efforts, it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maximiz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ulture and Art Promotion Fund. This study dealt with the Culture and Art Promotion Fund supplementary project operated by the Arts Council Korea and analyzed whether the project is based on the structure through which the effects of arts and culture can be achieved in terms of the creation of value and effects. In the second chapter, this study examined previous researches on values, effects, and influences of arts and culture and suggested a framework that divides effects into two categories: individual effects including mental and health, cognitive and interpersonal ones and social effects including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ones based on the framework of individual and community impacts by Josua Guetzkow. Then in the third chapter, to see the effect creation of arts and culture, the Culture and Art Promotion Fund supplementary project operated by the Arts Council Korea was analyzed in terms of its screening and evaluation standards. Comparing Korea's case with the National Endowments for the Arts (NEA)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Arts Council England (ACE) of the U.K., this study pointed out that Korea's case is insufficient in creating values and effects in culture and art, and the needs to be changed in the fourth chapter. Based on such findings, this study finally suggested a strategic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for improving values and effects of arts and culture. It examined various theoretical discussions about evaluation and suggested that elaborate evaluative tools well-matched to the framework of individual and social effects discussed in chapter 1 are needed. It suggested Quality Adjusted Life Years(QALY) for mental and health effects; Audience Attitude Survey for cognitive and interpersonal effects; Economic Impact Analysis(EIA), Cognitive Valuation Methods(CVM), Choice Modelling(CM) and Travel Cost(TC) for economic effects; and Narrative Methods for cultural and social effects. By doing so, I hope the study could contribute to maximizing value and effects of arts and culture to the individuals and the public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responsibility in the use of public funds for arts and culture in Korea. 공공기금 사용에 있어서 효율성과 책임성을 제고해야한다고 하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다. 이는 문화예술분야도 다르지 않다. 하지만 공공성의 원칙과 효율성의 추구는 문화예술 고유의 가치와 종종 상충되며 이러한 딜레마는 문화예술 지원사업에서 잘 드러난다. 정부와 공공기금에 크게 의존하는 우리나라 문화예술계의 현실에서 문화 예술 지원의 향방이 문화예술계의 지형을 결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종 수혜자의 입장에서 가치와 영향을 창출하지 못하는 문화예술 지원사업은 문화예술계 뿐 아니라 공공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우리 문화예술계는 자체적으로 일관된 기준을 가지고 문화예술의 가치와 효과를 측정해 본 경험이 없다. 하지만 가치와 효과에 대한 입증 없이 문화예술에 대한 논의를 심화시키고 확대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지원사업을 개선하는 것 역시 단지 사업절차나 사업구조의 개선, 프로그램 개발의 관점이 아니라 문화예술의 가치와 영향에 대한 이해와 이에 대한 패러다임 정립의 문제이다. 이 논문의 목표는 전략적 성과창출의 관점에서 문화예술 지원사업의 심사와 평가 부분에서 가치 창출 방식을 고도화하여 문화예술을 통해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먼저 심의기준을 개선하여 가치와 효과 창출이 가능한 프로젝트를 선별할 수 있게 하고, 효과 측정기법을 도입하여 사업의 효과와 영향을 측정하여 사업 성과를 입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의 가치와 효과를 창출하는 지원사업으로 개선하여 기금 사용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대상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예진흥기금 보조사업으로 심의와 평가 부분에서 문화예술의 가치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구조인지 분석한 후, 개선안을 제시하여 사업의 기능 및 역할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 문화예술의 가치와 효과, 영향에 대한 국내외 선행 연구를 살펴본 뒤, 문화예술의 영향을 정리한 제시한 조슈아 게츠코우(Joshua Guetzkow)의 분석틀을 바탕으로 문화예술의 효과를 정신 및 신체적 효과, 인지적 효과, 대인관계 효과를 포함하는 개인적 효과와 경제적 효과, 문화적 효과, 사회적 효과를 포함하는 사회적 효과로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문화예술의 가치와 효과 창출의 관점에서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수행하는 문예진흥기금 보조사업의 심의와 평가부분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같은 부분을 중심으로 미국의 예술진흥기금(National Endowments for the Arts, NEA), 영국 예술위원회(Arts Council England, ACE)의 문화예술 지원사업과 비교를 통해 문예진흥기금 보조사업의 문화예술의 가치와 효과 창출 부분이 미흡하며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5장에서 문예진흥기금 보조사업을 통한 문화예술 가치와 효과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문화예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사업을 선정할 수 있는 심의기준안을 제시하였다. 그런 다음 지원사업에 걸맞는 정교한 평가모형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평가기법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였다. 특히 2장에서 논의한 문화예술 효과 분석틀에 따라 정신 및 신체적 효과는 수명가치추정법, 인지적 효과와 대인관계 효과는 관람자태도조사, 경제적 효과는 경제적 영향분석법, 임의가치측정법, 선택모형법, 여행비용측정법, 문화적 효과 및 사회적 효과는 기술기법으로 측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을 통해 문화예술 지원사업의 심의기준을 고도화하고 평가기법을 도입하여 문화예술이 개인과 사회에 미칠 수 있는 가치와 영향을 극대화하고, 공공기금의 기능과 역할을 다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