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 아동 간호를 위한 간호대학생의 문화간호역량 증진 교육프로그램 개발

        조미진 차의과학대학교 간호대학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ADDIE 모형에 따라 다문화 아동에 대한 문화간호역량 증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문화간호역량을 분석하고 학습자의 문화간호역량 교육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설계 및 개발단계에서는 분석된 자료를 근거로 하여 ASKED 문화간호역량 모형을 적용한 총 5회의 이론 강의와 2종류의 시뮬레이션 실습으로 짜여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행 및 평가단계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다문화 아동 간호를 위한 문화간호역량 증진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일 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단계에서 문화간호역량 교육요구도 조사는 2학년 이상 재학생 7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실행 및 평가단계의 다문화 아동 간호를 위한 문화간호역량 증진 교육프로그램은 3학년 재학생 38명을 대상으로 하여 2020년 10월 30일부터 12월 18일까지 실시하였다. 개발된 교육의 적용 가능성 및 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편의표집한 3학년 38명을 대상으로 단일군 사전-사후 실험 설계를 적용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교육 전 일반적 정보, 문화간호역량 교육요구도, 문화적 역량을 조사하였으며, 교육의 효과성은 교육 종료 후 문화간호역량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문화간호역량 교육요구, 문화간호역량 조사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로 분석한다. 프로그램 참여 대상자의 사전, 사후 다문화 아동 간호역량 비교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Cronbach’s alpha 값을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크게 개발과 평가단계로 나누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습자 요구도 조사 결과 대상자의 문화간호역량 교육요구는 최대 10점에서 평균 7.70점(±1.27)으로 나타났다. 문화간호역량 교육요구의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문화적 의사소통 교육요구가 가장 높았고, 태도 및 기술, 주요개념에 대한 지식, 기본 지식, 이론과 연구에 대한 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행 후 프로그램의 타당성에 대한 평가 결과, 교육 전 문화간호역량 평균 3.27(±0.56)보다 교육 후 문화간호역량 평균은 4.44점(±0.4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12.31, p<.001). 또한, 문화적 인식(t=-3.73 р=.001), 문화적 지식(t=-10.59, р<.001), 문화적 민감성(t=-4.12, р<.001), 문화적 기술(t=-9.49, р<.001), 문화적 만남(t=-7.18, р<.001)의 5개 하위영역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성과 다문화 경험이 문화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노현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 경험이 문화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2년 5월 1일부터 2022년 12월 16일까지 수행되었고, D 광역시 및 A 시 소재의 3개 간호대학에서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200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수행되었으며,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문화간호역량은 5점 만점에 평균 평점 3.37점, 다문화 수용성은 6점 만점에 평균 평점 4.52점, 다문화 경험은 1점 만점에 평균 평점 0.48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간호역량은 학년, 평균성적, 경제 수준, 다문화인 친구 수, 다문화 교과목 수강경험, 다문화 교과목 수강 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문화간호역량은 다문화 수용성(r=.27, p<.001), 다문화 경험(r=.29,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간호대학생의 문화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문화 수용성(β=.25), 다문화 경험(β=.25), 3학년 이상(β=.24), 중간 이상의 경제 수준(β=.14)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22.6%이었다(F=12.59, p=<.001).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 경험, 학년 그리고 경제 수준이 간호대학생의 문화간호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다문화 대상자를 간호하게 될 간호대학생의 문화간호역량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multicultural experiences of nursing college student, an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ultural nursing competenc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1 to December 16, 2022 and data on 200 nursing college students currently enrolled in 3 nursing colleges situated in D Metropolitan City and A City were analyz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by SPSS/WIN 25.0 program. First, the average scores for cultural nursing competence,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multicultural experiences of the subjects were found to be 3.37 out of 5, 4.52 out of 6 and 0.48 out of 1, respectively. Second, cultural nursing competen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 average GPA, economic level, number of multicultural friends, experience of multicultural subjects, and number of multiculutral subjects. Third, cultural nursing competence are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ulticultural acceptance (r=.27, p<.001) and multicultural experiences (r=.29, p<.001). Fourth, factors influencing the cultural nursing competen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ere multicultural acceptance (β=.25), multicultural experiences (β=.25), third grade or higher (β=.24) and economic level above intermediate level (β=.14), and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22.6% (F=12.59, p=<.001).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multicultural experiences, grade and economic level are the factors of significant effect on the cultural nursing competen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cultural nursing competen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will be engaged in nursing multicultural patients following graduation in the future.

      • 모아병동 간호사를 위한 개념지도 활용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강다해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95

        This study developed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using conceptual maps, confirm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xpert group, and conducted a pre-post-design similar experimental study with an inequality control group to evaluate the effect.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 2021 to December 31, 2021 with 26 experimental group and 27 control group nurses in the Maternity and Pediatrics Unit. who experienced multicultural mothers working in a tertiary university hospital in a metropolitan city D. Using SPSS/WIN 28.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here the homogeneity test of characteristics of general was a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the homogeneity test of cultural nursing competency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as as Independent t-test, the hypothesis test was as Independent t-test. The result of the study say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took part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using the conceptual map developed by reflecting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study subjects had cultural nursing competency (t=-4.54, p<.001)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5.39, p<.001)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atisfaction with education was an average of 4.5 out of 5.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using the conceptual map was collected and applied to ward nurses, and the effect of improving cultural nursing competency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as confirmed. The result of the study says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using the conceptual map for the nurses in nurses in the Maternity and Pediatrics Unit improves the cultural nursing competency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the nurses in the Maternity and Pediatrics Unit. This program has also provided self-reflection, indirect experience, and education. Therefore, we can confirm that it is an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ultural nursing of nurses in the Maternity and Pediatrics Unit. 본 연구는 개념지도 활용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문가 집단의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고, 효과를 평가하고자 시행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설계 유사실험연구이다. 본 연구는 D광역시 소재 3차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다문화어머니를 경험하는 모아병동 간호사를 편의 표집하여 실험군 26명, 대조군 27명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8.0을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문화간호역량과 다문화수용성의 사전 동질성 검정은 Independent t-test, 가설검정은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교육요구도를 반영하여 개발된 개념지도 활용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문화간호역량(t=-4.54, p<.001)과 다문화수용성(t=-5.39, p<.001)의 총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교육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5점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아병동 간호사를 위한 개념지도 활용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모아병동 간호사의 문화간호역량과 다문화수용성이 향상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모아병동 간호사를 위한 개념지도 활용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자기성찰과 간접경험, 교육을 동시에 제공하였고 모아병동 간호사의 문화적 간호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이다.

      • 간호사의 문화간호 역량수준, 중요성 및 교육요구

        김나경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Purpose: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determine the level of cultural competency and recognized cultural competency`s importance and recognized educational needs among nurses who have experienced caring for foreign clients. Method: This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210 nurses from nineteen hospitals in whole nation land. Data collection was done January 1. to February 28, 2015. Level of cultural competency and recognized cultural competency`s importance was estimated "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CCA)" modified by Park(2011). Recognized educational needs was estimated "Blueprint for Integration of Cultural Competence in the Curriculum Questionnaire [BICCCQ]" modified by Kim(2013).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d ANOVA using SPSS/WIN version 21,0 programs. Result: Mean cultural competency level in this study was 2.69(±0.45). Cultural competency was associated with age(p=.002), hospital size(p=.003), religion(p=.003), experience of foreign residents(p=.001), foreign language classes experience(p=.019), place of nursing(p=.002), number of foreign clients(p=.001), training program (p=.0.30), satisfaction of nurse(p<.001), degree of communication(p<.001). Mean recognized cultural competency importance in this study was 3.69(±0.53). Importance is associated with age(p=.019), hospital size(p=.001), job description(p=.031), experience of foreign residents(p=.001), foreign language classes experience(p=.044), training program(p=.002), educational program in workplace(p=.041), educational material in workplace(p=.016), satisfaction of nurse(p=.018), degree of communication(p=.001). Mean recognized educational needs was 6.81(±1.32) which is associated hospital size(p=.020), experience of foreign residents(p=.002), satisfaction of nurse(p=.004), degree of communication(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educational support of cultural communication and cultural skills for nurses are needed to improve nursing quality for people from diverse cultures.

      •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윤리적 간호역량, 간호전문직관이 환자안전사건 소통하기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슬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3327

        연구목적: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사건 소통하기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대상자는 부산지역의 2개 상급종합병원에서 직접간호를 제공하는 간호사로, 자료수집은 2023년 6월 28일부터 2023년 9월 5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설문으로 일반적 특성, 환자안전사건 경험 관련 특성, 환자안전문화, 윤리적 간호역량, 간호전문직관과 환자안전사건 소통하기 인식 측정도구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7.0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환자안전사건 소통하기 인식은 4점 만점에 2.92±0.31점이었고, 연령이 30세 이상인 경우(t=-2.26, p=.024), 직접 경험한 환자안전사건에 대한 보고 경험이 있는 경우(t=2.05, p=.041)와 환자안전사건 소통하기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는 경우(t=2.58, p=.010) 환자안전사건 소통하기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연령, 환자안전사건 보고 경험 여부, 환자안전사건 소통하기에 대해 들어본 경험 여부를 통제하고 환자안전문화, 윤리적 간호역량, 간호전문직관을 투입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윤리적 간호역량(β=.30, p<.001), 환자안전문화(β=.15, p=.012)가 유의한 영향요인이었고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1.0%이었다(F=14.63, p<.001). 결론: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사건 소통하기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 의료기관은 간호사의 윤리적 간호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환자안전사고에 대해 소통하는 것이 환자안전활동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질 수 있는 환자안전문화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aimed at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among nurses in tertiary hospital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urses providing direct patient care at two tertiary hospitals in Busa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from June 28 to September 5, 2023. The research instruments comprised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perience-related characteristic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patient safety culture, ethical nursing competenc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perception of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Results: Participants' perception of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scored an average of 2.92±0.31 on a 4-point scale. Perception of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ose aged 30 and above (t=-2.26, p=.024), those with reporting experienc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t=2.05, p=.041), and those who had heard about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t=2.58, p=.010).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controlling for age, reporting experienc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and experience hearing about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revealed that ethical nursing competence (β=.30, p<.001) and patient safety culture (β=.15, p=.012)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as 21.0% (F=14.63, p<.001). Conclusion: To enhance the perception of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among nurses in tertiary hospitals, healthcare institutions should provide learning opportunities to improve nurses' ethical nursing competence. Fostering a patient safety culture that believes in the value of communication about patient safety incidents can enhance the quality of patient safety activities.

      • 임상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역량과 안전문화풍토 및 직무만족이 환자참여문화에 미치는 영향

        양경수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11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역량과 안전문화풍토 및 직무만족이 환자참여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신규간호사를 위한 학습전이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최선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33311

        병원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치료과정에서 환자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면서, 모든 구성원들이 안전에 위해가 될 수 있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이를 예방, 관리할 수 있는 전략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간호사는 업무 특성상 환자와 가장 가까이에서 24시간 간호를 제공하기 때문에 간호사의 환자안전을 위한 간호역량은 곧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을 반영하는 척도가 될 수 있으며, 간호사는 환자에게 안전한 간호를 제공할 책임과 의무를 가진다. 이러한 점에서 임상실무에서 간호사의 안전간호 역량을 높이기 위한 실무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간호대학을 졸업하고 처음 입사하게 되는 신규 간호사들은 근무하게 되는 병원의 환자안전문화를 형성하는 기초인력이 되고, 초기 업무 적응시기에 한번 습득된 지식, 태도, 기술은 반복적인 계속 교육에도 불구하고 변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환자안전에 대한 교육의 내용 및 구성은 경력이 있는 간호사들과는 구별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신규간호사를 위한 실무교육에 대한 투자와 노력이 업무성과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의 모색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특히, 안전한 의료 환경 형성의 주요 의료 인력이 될 신규간호사의 안전한 실무의 기초가 되는 기술, 지식에 대한 이해와 능력을 높이고,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 증진할 수 있는 학습전이를 높이는 교육 전략을 모색하는 방안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규간호사의 실무교육에서 적용될 수 있는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의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환자안전 뿐만 아니라 병원에서 시행되고 있는 간호사 계속교육이 실제업무에 적용되도록 하는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 나가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Holton, Bates & Rouna (2000)의 학습전이체제목록(Learning transfer system inventory [LTSI]) 모형을 신규간호사의 환자안전실무를 위한 안전간호역량을 높이는 교육맥락을 위한 개념기틀로 활용하였다. 개발된 학습전이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은 전이환경으로 제안된 피드백 및 수행지도, 개인성과 경험(긍정적 또는 부정적), 동료와 상사의 지지, 그리고 상사의 제재를 프로그램의 전이방법으로 활용하여 안전간호역량 ‘안전간호술’, ‘안전 시스템 활용’, ‘개방적 의사소통’, ‘오류 대처’, ‘환자안전문화 태도’를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총 4회의 교육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A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신규간호사로 대상자 선정기준에 의해 실험군 48명, 대조군 48명을 임의 표출하여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는 환자안전 학습전이동기, 환자안전 자기효능감, 안전간호역량, 환자안전문화 도구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Mann-Whitney U test, χ2-test,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해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습전이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신규간호사는 참여하지 않은 신규간호사보다 환자안전 학습전이동기 점수가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두 군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Z=-1.620, p=.053) 기각되었다. 2. ‘학습전이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신규간호사는 참여하지 않은 신규간호사보다 환자안전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두 군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t=-2.052, p=.022) 지지되었다. 3. ‘학습전이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신규간호사는 참여하지 않은 신규간호사보다 안전간호역량 점수가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두 군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t=-2.423, p=.009), 지지되었다. 지식, 태도, 기술영역의 안전간호역량은 지식영역(t=3.256, p=.001), 기술영역(t=2.446, p=.008)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태도영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151, p=.440). 4. ‘학습전이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신규간호사는 참여하지 않은 신규간호사보다 환자안전문화 점수가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두 군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Z=-0.018, p=.493). 세부변수인 부서 내 환자안전문화(t=-0.050, p=.480), 병원조직 환자안전문화(Z=-0.180, p=.429)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습전이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은 신규간호사의 안전간호역량을 높이는데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을 병원 실무현장에서 적용함으로서 신규간호사의 안전간호역량을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간호사의 안전간호역량을 높이고 환자안전문화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SEIPS 모델을 적용한 요양병원 환자안전결과 예측모형

        이미선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3295

        Background : In the case of nurses working in nursing hospitals, the legal manpower of nurses is lower than that of large hospitals and small and medium hospitals. Compared to many general hospitals, the level of patient safety is low, and the risk of patient safety accidents is hig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patient safety nursing and the job satisfaction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and examines the path and influence between the factors to improve of the quality of patient safety nursing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and the job satisfaction. And provide basic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s related to patient safety. Purpose: For this, Holden et al. Based on the System Engineering Initiative for Patient Safety (SEIPS) 2.0 Model of 2013,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predicting quality of patient safety nursing and job satisfaction for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was constructed, and the suitability was tested. As predictive variables of the hypothetical Model, quality of patient safety nursing, job satisfaction,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ere used as endogenous variables, fatigue, nursing information competency, job control, job demand, and patient safety culture were used as exogenous variables, and 31 measurement variables. Method: For the collection of papers, 220 nurses from 19 nursing hospitals in C-do distributed 220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January 21 to February 19, 2021, and 217 cop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excluding insufficient data.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Window 26.0 programs and AMOS 26.0 programs to test the fitness of the hypothetical Model and test the hypothesis. Results: 1.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fit of the hypothetical Model of this study are x²=798.78(p<.001), x²/df=1.98, goodness-of-fit index(GFI) .81, Turker-Lewis Index(TLI) .89, Root Mean-squared Residual(RMR) .03,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RMSEA) .07, Normed Fit Index Residual(NFI) .82, and Comparative Fit Index (CFI) .90, Parsinomous Normed-of-Fit Indexe(PNFI) .71. 2. Modification of the Model eliminates the fatigue and 2 nursing information competencies related to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ith a standardization factor(SRW) value close to 0 in order to increase the degree of fit simply through the revised Modification index (MI). The fit index was confirmed. 3.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fit index of the modified Model are x²=801.36 (p<.001), x²/df=1.98, goodness-of-fit index(GFI) .81, Tuker-Lewis Index(TLI) .89, and Root Mean-squared Residual(RM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riation of the goodness-of-fit index, showing .03,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RMSEA) .07, Normed Fit Index Residual(NFI) .82, and Comparative Fit Index(CFI) .90, tParsinomous Normed-of-Fit Index(PNFI) .72 but x²/df and Parsinomous Normed-of-Fit Index(PNFI) value increased, suggesting a revised model with better fit than the hypothetical Model . 4. Through the verification results of the revised Model, the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the job satisfaction and patient safety quality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were job demand and patient safety culture. It was confirmed that the factors were job demand and patient safety culture. Conclusions: In conclusion, job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nurses in patient safety nursing can be improved while developing and applying nursing interventions by devising measures to reduce the job demands of nurses working in nursing hospitals, improve the patient safety culture, and reduce fatigue. There must be a way to increase it.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prepare nursing intervention development in consideration of direct and indirect factors that increase the quality of patient safety nursing and job satisfaction of nursing home nurses. 본 연구는 요양병원의 환자안전결과 즉, 환자안전간호의 질과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요인들 간의 경로와 영향력을 확인하여 요양병원의 환자안전결과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고, 환자안전과 관련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Holden 등(2013)의 System Engineering Initiative for Patient Safety(SEIPS) 2.0 모델에 근거한 요양병원의 환자안전간호의 질과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예측하는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적합도를 검정하였다. 가설모형의 예측변수로는 환자안전간호의 질,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환자안전관리활동을 내생변수로, 피로, 간호정보역량, 직무통제, 직무요구, 환자안전문화를 외생변수로 하였으며, 측정변수는 31개였다. 지료수집은 충남의 19개 요양병원의 간호사 220명을 대상으로 2021년 1월 21일부터 2월 19일까지 220부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불충분한 자료를 제외한 217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6.0 프로그램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검정 및 가설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가설모형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는 x²=798.78 (p<.001), x²/df=1.98, 적합도 지수(GFI) .81, 비교준적합치(TLI) .89, 표준적합치(NFI) .82, 비교적합지수(CFI) .90, 평균제곱 잔차제곱근(RMR) .03, 근사오차 평균제곱근(RMSEA) .07, 간명표준적합지수(PNFI) .71로 나타났다. 2. 모델 수정은 수정지수(M.I)를 통해 간명하게 적합도를 높이기 위하여 표준화계수(S.R.W) 값이 0에 가까운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관련된 피로, 간호정보역량 2개를 삭제해 총 6개의 경로가 지지된 적합지수를 확인하였다. 3. 수정모형의 적합지수를 검증한 결과는 x²=801.36(p<.001), x²/df=1.98, 적합도 지수(GFI) .81, 비교준적합치(TLI) .89, 표준적합치(NFI) .82, 비교적합지수(CFI) .90, 평균제곱 잔차제곱근(RMR) .03, 근사오차 평균 제곱근(RMSEA) .07, 간명표준적합지수(PNFI) .72로 나타나 적합도 지수의 변동에는 큰 차이는 없었으나 x²(p)와 간명표준적합지수(PNFI)값이 상승하여 가설모형보다 적합도가 개선된 수정된 모형을 제시하였다. 4. 수정모형의 검증 결과를 통해서 요양병원의 환자안전간호의 질에 효과를 준 요인은 피로였고,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효과를 준 요인은 직무요구, 환자안전문화였으며, 환자안전관리활동에 효과를 준 요인은 직무통제, 직무요구, 환자안전문화였고, 이중 가장 영향력이 있는 요인은 환자안전문화였다. 위의 연구 결과를 보면 요양병원의 환자안전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피로를 감소시켜야하며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직무에 대한 요구를 감소시키고, 조직의 환자안전문화를 향상시켜야 한다. 요양병원 간호사들이 처한 업무시스템에서 환자안전관리활동을 발휘하여 환자안전간호의 질과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여 결국 조직의 환자안전결과를 향상시켜 나가야 한다. 따라서 요양병원의 환자안전간호의 질과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그에 따른 안전간호중재를 개발하는데 본 연구결과를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역량, 긍정조직문화 및 섬망간호부담이 인간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

        장재은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00575

        인간중심간호란 대상자를 개별적인 존재로 인정하고 그들의 특성과 요구를 존중하며 대상자 중심의 의사소통을 통해 돌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McCormack과 McCance의 인간중심간호 이론을 기반으로 전제 조건(간호역량), 돌봄 환경(긍정조직문화), 돌봄 과정(섬망간호부담)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울산광역시 U대학교병원 중환자실에 근무 중인 간호사 136명이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23년 6월 30일부터 7월 17일까지였다. 연구의 설문지 문항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간호역량, 긍정조직문화, 섬망간호부담, 인간중심간호로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 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피어슨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간호역량은 평균 평점 4점 만점에 2.60점, 긍정조직문화는 5점 만점에 3.77점, 섬망간호부담은 4점 만점에 2.95점이었고 인간중심간호는 5점 만점에 3.65점으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간중심간호의 차이는 없었다. 대상자의 간호역량, 긍정조직문화, 섬망간호부담 및 인간중심간호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간호역량은 긍정조직문화(r=0.27, p=.002), 인간중심간호(r=0.37,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긍정조직문화는 인간중심간호(r=.46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인간중심간호에 미치는 요인은 간호역량(β=0.27, p<.001), 긍정조직문화(β=0.39, p<.001)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인간중심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간호역량과 긍정조직문화를 확인한 본 연구 결과를 고려할 때, 인간중심 중환자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역량을 향상할 수 있도록 전문적 특성을 고려한 역량 프로그램, 다양한 자원 제공 및 인력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인간중심간호가 제공되는 돌봄 환경인 조직문화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도록 조직 차원에서 정책 및 평가 시스템의 개선과 보상 시스템이 필요하며 개인 차원에서는 조직문화 인식 개선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 중환자 간호의 증진을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주요어: 중환자실, 간호사, 역량, 조직문화, 섬망, 인간중심간호 Background: Person-centered care is to respect a person as an independent being and recognize personal traits and reaction, providing care through a person centered communication. This survey is based on a person-centered care theory by McCormack and McCance and indicates how prerequisites (nursing competency), care environment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person-centered process (strain of care for delirium) affect person-centered care of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6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units of U University Hospital in Ulsan from 30 June to 17 July in 2023. The survey asked them general characteristics, nursing competency,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strain of care for delirium and person-centered care.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28.0 program -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The study found that nursing competency of the subjects were 2.6 point out of 4,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2.95 out of 4, and person-centered care 3.65 out of 5. There were no difference in person-centered care depending o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s for correlation of nursing competency,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strain of care for delirium, and person-centered care, the subjects’ nursing competency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r=0.27, p=.002) and person-centered care (r=0.37, p<.001).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had also positive correlations with person-centered care (r=.46 p<.001). The factors affecting subjects’ person-centered care were nursing competency (β=0.27, p<.001) and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β=0.39, p<.001). Conclusion: Considering the result that factors such as nursing competency and positive organization culture affect person-centered care of subjec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fessional capabilities programs, various resources,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to improve their nursing competency. Besides, at organizational level, improvement in the policy, evaluation, and reward system should be made while trying to improve awareness of organizational culture at personal level. Based on this stud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mprove person-centered care in intensive care units. Key word: Intensive care unit, Competency, Organization culture, Delirium, Person-centered c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