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무조건적 자기수용 : 마음챙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장유선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covert narcissism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se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8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sampled from a high school in Gyeonggi-do,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including the scales of covert narcissism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mindfulness, perceived social suppor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major variable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mindfulness and between unconditional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vert narcissism was in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se variables.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of adolescents’ covert narcissism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Mindfulness has a meaningful moderation effect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n detail, the competent people on mindfulness has lowered the negative effect of covert narcissism to decrease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This means that mindfulness prevents covert narcissism from decreasing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Third, perceived social support did not significant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made.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와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에 있는 한 곳의 고등학교 1, 2학년 408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인 내현적 자기애, 무조건적 자기수용, 지각된 사회적지지, 마음챙김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18.0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무조건적 자기수용, 마음챙김,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내현적 자기애는 이들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마음챙김이 내현적 자기애와 무조건적 자기수용과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마음챙김이 높은 집단은 내현적 자기애의 부정적 영향력을 완화시켜주어 내현적 자기애와 무조건적 자기수용과의 부적 상관에 의한 감소량이 덜하였다. 이는 내현적 자기애가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감소시키는 측면을 마음챙김이 증가함에 따라 막아주는 작용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무조건적 자기수용과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 후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 영향 :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고혜지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4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emotional clarity in the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erceived by late adolescents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f children.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surveys consisting of father and mother psychological control scale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scales, emotional clarity scale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cales targeting 461 male and female late adolescents aged 19 to 24 nationwide.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9.0 and PROCESS Macro 4.1 programs, and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was verified by performing bootstrapping.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father,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mother, and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emotional clarity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emotional clarity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father and mother, respectively,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eco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as found to be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 father and mother and the child'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 father and mother did not directly affect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ut only indirectly affected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y mediating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mother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 child'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emotional clarity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in the case of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while completely mediated in the case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The father and mother psychological control indirectly affected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y mediating emotional clarity, and father psychological control directly affected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Fourth, when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father and mother affec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f childre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emotional clarity were sequentially mediated. This suggests that psychological control of father and mother increases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y mediating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emotional clarity in order.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자녀의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19세~24세 남, 여 후기 청소년 461명을 대상으로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 척도,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정서인식명확성 척도, 정서표현양가성 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29.0과 PROCESS Macro 4.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하였고,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의 심리적 통제, 모의 심리적 통제, 정서표현양가성은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 또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은 부, 모의 심리적 통제와 각각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정서표현양가성과도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를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부, 모의 심리적 통제는 정서표현양가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으며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매개하여 정서표현양가성에 간접적인 영향만을 미쳤다. 셋째, 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에서 부의 심리적 통제의 경우 정서인식명확성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드러난 반면 모의 심리적 통제의 경우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부, 모의 심리적 통제는 정서인식명확성을 매개하여 정서표현양가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부의 심리적 통제는 정서표현양가성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넷째, 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 정서인식명확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부, 모의 심리적 통제는 무조건적 자기수용, 정서인식명확성을 차례로 매개하여 정서표현양가성을 높인다는 것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한계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 초기 성인기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우울의 관계: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최정원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708

        This study examines how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ffects depression, and whether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self-efficacy have a moderating effect.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on those in their early adulthood stages, those in their 20s and 30s, where data from 348 peopl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ub-factor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perfectionistic self promotion, nondisplay of imperfection and nondisclosure of imperfection, have positive influence on depressio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self-efficacy have negative influence on depress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as confirmed between nondisplay of imperfection and depression.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as confirmed between perfectionistic self promotion and depression. One solution for reducing depr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can be increasing the level of self-efficacy when the tendency of perfectionist self promotion, as the sub-factors of perfectionist self presentation, is high and increasing the level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hen the nondisplay of imperfection tendency is high. The potential implications for clinical application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자기효능감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20~30대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으며, 348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하위요인인 완벽주의적 자기노력, 불완전함 은폐노력-행동적, 불완전함 은폐노력-언어적은 모두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자기효능감은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불완전함 은폐노력-행동적과 우울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완벽주의적 자기노력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하위요인 중 완벽주의적 자기노력 성향이 높은 경우에는 자기효능감 수준을 높여주고, 불완전함 은폐노력-행동적 성향이 높은 경우에는 무조건적 자기수용 수준을 높여주는 것이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대학생의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도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343

        현재 국내 청년실업 문제가 장기화되고 이로 인한 각종 사회문제들이 발생함에 따라 취업스트레스와 관련한 조절·개입 가능한 여러 요인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생의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여 취업스트레스 해결 방안의 기초 자료와 대학생의 원활한 취업준비 등 취업문제에 있어서 건강한 삶이 될 수 있도록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서울, 경기, 충북지역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의 대학생 총 31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SPSS 22.0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측정,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개인특성변인에 따라 무조건적 자기수용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성별, 전공계열, 가족의 경제수준, 취업준비정도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가설 검증이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학년, 졸업 후 진로방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개인특성변인에 따라 취업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학년, 가족의 경제수준, 취업준비정도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가설 검증이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성별, 전공계열, 졸업 후 진로방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하위요인 중 존재로서 자기수용은 취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성격, 학교환경, 학업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피드백으로부터 자기수용은 성격, 학업, 취업불안 스트레스에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취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가족환경스트레스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것은 대학생의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향상이 취업스트레스 감소에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충북지역의 4년제 대학생 대상으로 한정되었기 때문에 우리나라 전체 대학생 집단을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이용한 양적 연구를 사용하였는데 불성실 응답자들 등의 한계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질적 방법을 통한 연구방법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 4년제 대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추후 연구에서는 유휴 청년층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 같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취업스트레스라는 부정성요인과의 영향을 연구했으나 추후 연구에서는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직업학적 긍정성요인과의 연구도 필요하다. 다섯째, 현재까지 대학생의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취업스트레스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무조건적 자기수용에 대한 진로·취업 프로그램의 개발, 상담에서의 적용 등 이에 대한 직업학적 활발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As the domestic youth unemployment is prolonged and various social problems arise, it is necessary to have a continuous research on various factors that can be controlled and intervened in relation to employment stres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effects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of four-year college students on employment stress and help them have a healthy life regarding employment problems such as basic data of relieving employment stress and help college students have a smooth preparation for employment. The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16 college students from four-year cours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Chungbuk provinces. The research made use of SPSS 22.0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measurement,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verify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department, economic standing of the family, and job preparation level was shown, thus the hypothesis was partly accept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reer direction after graduation. Second, the result of verify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mployment stress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family economic level and job preparation level. Therefore, the hypothesis was partially accept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major, and career direction. Third, after analyzing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ill affect employment stress', self-acceptance as a sub-factor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as seen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personality, school environment, and academic stress which are sub-factors of employment stress. the feedback shows that self–acceptance has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personality, academics, and anxiety stress over employment. As a result, it was proven that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has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all other factors except for stress from family affairs among the sub-factors of employment stress. this suggests that the improvemen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of college students acts as an important factor in reducing employment stress. The following ar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a few suggestions for subsequent future research. First, because this study is restricted to four-year college students in Seoul, Gyeonggi, and Chungbuk province, there is a limit in generalizing the entire college students in Korea. Second, this study made use of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through surveys but limits such as insincere respondents were found. Future researches will need to utilize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rd, because this study had only four-year college students as subjects, it may be meaningful for future researches to have NEET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youth as subjects of the study as well. Fourt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egative factors such as employment stress but future studies may need to investigate o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positive factors on vocation. Fifth, currently there have been only a few studies made o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employment stress of college students. Active follow-up career research i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 and employment programs for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its application on counseling.

      • 자기초점주의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효과검증

        송경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334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self-focused attention, social anxiety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For the study,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focused attention and social anxie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social anxiety. Second i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 between self-focused attention and social anxiety. For the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consisting of 3 parts, which measured self-focused attention, social anxiety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 survey study was done on 543 adults ranging from twenties to fifties who lived in Seoul, Gyeonggi-do and Gangwon-do districts. This study used a three-way ANOVA through SPSS 18.0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self-focused attention, social anxiety,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demographic factors which was proved to have influence on social anxiety through t-test and one-way ANOV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elf-focused attention, the level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gender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l anxiety. Seco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does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elf-focused attention and social anxiety. Based on this results, I suggest that when a client with self absorption which means too strict self-focused attention visits the clinic because of the social anxiety problem, counsellor should provide other effective behavioral methods as well a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until the client can easily turn his attention to other things. 본 연구에서는 자기초점주의와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대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을 확인하는 동시에, 자기초점주의가 대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대~50대 성인 543명을 대상으로 서울, 경기도, 강원도 지역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측정도구로는 자기초점주의 척도 (DSFAS), 무조건적 자기수용척도 (UAS), 대인불안척도 (ISA)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자기초점주의와 무조건적 자기수용, 그리고 대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특성, 성별 또는 최종학력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삼원변량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자기초점주의가 높을수록,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낮을수록 대인불안이 높게 나타났으며, 남자보다 여자가 대인불안을 더 많이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초점주의가 대인불안에 끼치는 영향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자기초점주의와 대인불안간의 관계를 증명한 많은 연구들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이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요인을 찾고자 한 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대인불안과의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조절요인으로 투입하였으나, 연구결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만약 상담 장면에서 대인불안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내담자가 자기몰입성향이 높다면, 상담자가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강조한다 할지라도 정서조절이 어려운 상태이므로 무조건적 자기수용만을 사용한 치료법은 대인불안상태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지 않음을 밝히며 효과적인 상담기법을 함께 사용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여자대학생의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재초점과 긍정적 재평가의 매개효과

        조혜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42

        본 연구는 여자대학생의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적 재초점과 긍정적 재평가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긍정적 재초점, 긍정적 재평가를 매개로 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주는 연구모형은 타당한가? 둘째,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적 재초점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셋째,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적 재평가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는 전국의 여자대학생 343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 도구로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긍정적 재초점 척도, 긍정적 재평가 척도,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또한 다중매개효과의 검증방법으로 팬텀변수(phantom variable)를 사용한 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개별 매개변수의 효과와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적 재초점과 긍정적 재평가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재초점은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둘째, 긍정적 재평가는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셋째,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긍정적 재초점과 긍정적 재평가를 부분매개로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모형은 타당하다. 넷째, 긍정적 재평가의 매개효과가 긍정적 재초점의 매개효과보다 더 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자대학생의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여자대학생의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긍정적 재초점과 긍정적 재평가에 각각 영향을 주어 대인관계 유능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따라서 본 연구는 여자대학생의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긍정적 재초점, 긍정적 재평가를 변인으로 채택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을 설명한 본 연구의 가설모형이 적절함을 시사한다. 또한, 여자대학생의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긍정적 재초점과 긍정적 재평가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대인관계 유능성과 관련된 변인들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이론적이며 경험적인 증거를 마련하고, 여자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향상을 위한 전략적 요인을 제안함으로써 효과적인 상담적 기초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내현적 자기애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청소년기 불안의 매개효과

        이청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342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청소년기 불안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내현적 자기애가 학교생활적응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매개효과가 있는가? 둘째, 청소년기 불안은 내현적 자기애가 학교생활적응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매개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는 D지역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여 학생 518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내현적 자기애 척도, 학교생활적응 척도,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아동・청소년 불안장애 선별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 구조 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는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청소년기 불안을 부분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둘째,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내현적 자기애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효과가 있다. 셋째, 청소년기 불안은 내현적 자기애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효과가 있다. 이는 내현적 자기애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은 물론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청소년기 불안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내현적 자기애의 부적 영향을 감소시키고 학교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증진, 발달시킬 수 있는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청소년기 불안에 잘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상담적 개입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 초기 청소년의 내현적자기애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 거부민감성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김윤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42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청소년의 내현적자기애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부민감성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기 청소년의 내현적자기애가 거부민감성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매개로하여 대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모형은 타당한가? 둘째, 거부민감성은 초기 청소년의 내현적자기애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효과가 있는가? 셋째, 초기 청소년의 내현적자기애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거부민감성은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전북, 경남, 대구, 부산의 초등학생 5~6학년 381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 도구로 대인불안 척도, 내현적자기애 척도, 거부민감성 척도,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및 AMO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되었다. 또한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토를 위해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으며, 다중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토하기 위해 Amos의 26.0의 estimand 기능을 이용하여 개별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청소년의 내현적자기애는 거부민감성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매개로하여 대인불안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거부민감성은 초기 청소년의 내현적자기애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다. 셋째,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초기 청소년의 내현적자기애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부민감성에 선행하여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효과가 있다.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내현적자기애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부민감성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영향을 함께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특히 거부민감성은 내현적자기애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보였기에 주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거부민감성에 선행하여 거부민감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대인불안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현적자기애 성향의 초기 청소년 내담자와의 상담에서 거부민감성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에 대한 개입 가능성을 환기시킴으로써 효과적인 치료적 가설과 개입 방향에 대해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성인ADHD성향과 정서문제 :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보미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42

        ADHD is prone to negative external evaluations, which leads to negative self-consciousness. Due to this negative self-consciousness, adult ADHD is more likely to cause secondary emotion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 Therefore, defining variables and their pathways that cause secondary emotional problem in ADHD is an important problem in psychotherapy in adult ADHD. The purpose of a thesis is defining the path to hostility inward equivalent to negative self-assessment, which is known to be highly relevant to depression or anxiety disorder in adult ADHD,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with variables that affect these relationships. Through an online survey, 300 general adults aged between 20 to 39 across the country were surveyed. First, the thesis analyzes a mediation effects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analyze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hostaility inwar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mediation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on the between adult ADHD tendency and hostility inward was found.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problem-focused coping style, social support-seeking coping style, and emotion-focused coping style were found, but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hopeful thinking coping styl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of this study mean that it can be helpful to increase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through psychotherapy of adult ADHD. Furthermore, problem-focused coping, social support-seeking coping, and emotion-focused coping can be effective in psychotherapy of adult ADHD when the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s not enough. 많은 선행연구에 의해서 ADHD 증상은 성인기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성인 ADHD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ADHD는 학업적, 직업적으로 어려움을 겪기 쉽고 이는 외부의 부정적인 평가로 이어져 부정적인 자의식으로 이어지기 쉽다. 이러한 부정적 자의식으로 인하여 성인 ADHD는 우울과 불안 등의 이차적인 정서 문제가 발병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ADHD의 이차적인 정서 문제를 일으키는 변인들과 이들의 경로를 밝히는 것은 ADHD의 심리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 ADHD 성향의 우울이나 불안 장애와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부정적인 자기 평가에 해당하는 내부 적대감으로 이르는 경로를 밝히고, 이러한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주목하여 변인들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온라인 설문 폼을 통해 전국의 20세~39세 사이의 일반 성인 30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성인 ADHD 척도와 차별적 정서 척도,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에 대한 응답을 수집하였다. 먼저 상관분석을 통하여 ADHD 성향과 관련이 높은 정서들을 알아보았고, ADHD 성향과 내부 적대감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 능력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후, 무조건적 자기수용 능력과 내부 적대감간의 관계에서 각각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성인 ADHD 성향은 슬픔, 화, 수치심, 수줍음, 내부적대감 등의 정서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성인 ADHD가 이러한 정서를 느낄 가능성이 크다는 그 동안의 선행 연구에서의 결과를 다시 한 번 확인한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성인 ADHD 성향과 내부 적대감과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무조건적 자기수용 능력은 총 효과의 약 18.15%를 설명하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내부 적대감간의 관계에서 각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문제 중심적 대처와 사회적지지 추구, 정서 중심적 대처방식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소망적 사고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는 성인 ADHD의 심리치료를 통해 무조건적 자기수용 능력을 높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 방식은 무조건적 자기수용 능력이 내부 적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져, 무조건적 자기수용 능력이 미치는 효과가 크지 않을 때 문제 중심적 대처와 사회적지지 추구, 정서 중심적 대처방식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개입하는 것 역시 성인 ADHD의 심리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실제-이상 자기불일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삶의 만족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정은옥 한국상담대학원 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33342

        본 연구는 실제-이상자기불일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삶의 만족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매개하는지 여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있는 20세 이상 일반인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SPSS 20.0 및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는 자료를 활용하여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구조방정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이상 자기불일치는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삶의 만족에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삶의 만족에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삶의 만족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삶의 만족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삶의 만족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경로를 통해 완전매개 하였다. 이상의 연구가 함의 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큰 사람들이 삶의 만족으로 나아가는데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완전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상담 장면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상담개입의 목표로 삼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변화시키기 쉽지 않은 변인인 개인의 성향 자체를 바꾸려고 하기 보다는 변화가 가능한 무조건적 자기수용에 초점을 두고 상담에서 내담자를 돕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지닌 내담자가 자신의 성과에 관계없이 있는 그대로 자신을 받아들일 수 있는 태도를 함양하고, 안정적이고 일관된 자기개념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다면 이들이 좀 더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라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a medi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on self-discrepanc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life satisfaction. For this study, 300 office workers include college students in entire country. The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the data obtained through this study.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tual-ideal discrepancy showe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on actual-ideal discrepancy and life satisfact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s of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o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life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mediated completely through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pathways. The implications of these study is as follow.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leads to life satisfaction. It is suggested that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should be the goal of counseling intervention in the counseling scene by verifying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It means that it is effective to help the client in counseling by focusing on the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which can be changed rather than changing the tendency of the individual which is not easy to change. In other words, if a client with a fear of negative evaluation develops an attitude acceptable to him regardless of his or her achievement and helps them to have a stable and consistent self-concept, they will be able to live a happier lif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