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崔晶媛 작곡 「교향시 '해'」의 분석

        최정원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63

        박 두진 시(詩), ‘해’에서의 시상을 음악에 담은 단악장의 교향시 ‘해’에서는 시의 각 연에서 표현된 해의 의미들이 악곡의 내용을 이룬다. 즉, 그 의미의 중심은 해가 해방으로 인한 새 역사의 시작을 의미하며, 모든 생명의 근원과 에너지의 원천을 뜻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 것인데, 이러한 내용들이 이 곡에서 사용된 음열의 구성 음정들, 다양한 리듬, 그리고 효과적인 악기 편성으로 표현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최 정원 작곡 「교향시 ‘해’」의 이러한 음악적 내용이 아래의 재료들을 통해 어떻게 표현되었는가가 분석되었다. 1. 형식 2. 음고재료 3. 선율적․화성적 요소 4. 박자와 리듬 5. 관현악 편성 6. 짜임새 결과로, 박 두진의 시(詩), ‘해’의 형식 및 시상의 전개가 교향시 ‘해’에서의 형식, 그리고 악상의 변화 및 전개와 어떻게 일치되었는가가 분석되어, 전 곡이 시의 내용 뿐만아니라 외형까지도 영향을 받은 ‘총체적’ 표제 음악이라는 것을 입증하였다.

      • 길 시각 이미지 연구 : 사색과 치유를 위한 도보여행 길을 중심으로

        최정원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고는 인간에게 회복의 경로로서 작용하는 길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연구이다. 한국의 자연친화적 도보여행길을 중심으로 길의 형태와 그 주변의 풍경을 사색과 치유의 이미지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길은 다양한 형태로 마을과 마을을 잇고 사람과 사람을 이어준다. 뿐만 아니라 지나간 시간 속에 담긴 이야기를 다가올 미래의 시간에 이어주기도 한다. 특히 자연 속으로 연결된 길은 걷는 사람을 자연과 이어줌으로써, 떠오르는 여러 가지 생각들을 하나의 흐름으로 이어준다. 걷는 사람은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생각들을 통해 이전의 자신과 새로운 자신을 하나로 이어나간다. 이러한 경험은 본연의 자신을 찾아 앞으로 나아갈 수 있게 만드는 힘이 된다. 길을 걷는 사람은 움직임과 생각을 통해 자신을 돌이켜 보고 사유하면서 지나가는 과정으로서의 길의 의미를 되찾는다. 느리게 길을 걸으며 그 길의 질감과 풍경과 공기를 느끼고 동물과 식물과 사람과 마주친다. 이러한 경험의 연속을 통해 자신을 들여다보고 세계를 인식함으로써 각성과 치유의 길에 이른다. 바로 그러한 길, 과정으로서의 본연적 의미를 담고 있는 길이 도보여행길이며 느리게 지나가는 길이다. 문명의 속도로 인해 잃어버린 본연의 것을 되찾을 수 있게 해주는 회복의 길이다. 본고는 길에 잠재 돼있는 내면으로 향한 길과 마음의 풍경을 작품 속에 나타내고자 하였다.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삶의 의지와 존재에 대한 행복한 감정을 일깨우고자 하였다. 그 즐거움을 적극적으로 나누기 위해 타자에 대한 관찰자의 시선이 아닌 걷는 사람의 직접적인 시선으로 그려보았다. 그림 속의 장소를 직접 마주하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이끌어냄으로써 아직 그 길을 가보지 못한 사람들과는 경험을 공유하고, 같은 경험이 있는 사람들과는 사색과 치유의 길에 대한 생각을 공감하고 싶다. 시각적 이미지, 즉 그림은 개성적인 것과 동시에 시대의 열린 창이라고 한다. 미술의 역사에 있어서 주제와 내용에 따른 대상의 변천은 시대정신과 가치관에 따라 변하고 그에 따라 미술에 대한 이해도 달라진다. 이것은 곧 미술의 주제와 내용이 지금 살고 있는 시대와 깊은 연관을 맺고 있다는 의미가 될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의 미술에 대한 해석은 이 시대에 대한 이해로서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다. 요즘 한국에서는 각 지방마다 그 특색을 살린 길 들이 만들어 지고 있다. 그 대부분은 기능적 요소의 의미를 넘어선 명상과 치유를 위한 순례길로 불리어진다. 연구자는 현대 도시인들이 관심을 갖고 선호하는 치유로서의 길에 주목해 보기로 했다. 사람들은 더 이상 길을 걷는 행위를 장소이동의 수단만으로 여기지는 않는다. 걷는 행위는 여가 활동이나 자연과의 접촉이라는 의미로서 그 가치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그 이유는 현대문명사회가 필연적으로 내포하는 빠른 속도와 현대인의 경쟁, 개발 분위기의 사회 환경과 관련 있을 것이다. 동시대의 일원인 연구자 역시 속도와 경쟁에 지친 심신을 자연 속의 길을 걸음으로써 회복시킨 경험이 있다. 연구자는 직접 경험했던 그 치유의 과정을 그림으로 전하기 위해 아날로그적 쉼과 편안함을 나눌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여러 가지 패드 드로잉, 컴퓨터 제작, 감상하는 방법까지 인터넷으로 이뤄지는 현대문명에서 물러나 고전적인 방법으로 회귀함으로써 노동의 공을 들였다. 후기에 자연을 주된 대상으로 삼은 데이비드 호크니의 풍경화와 감정을 색채로 표현하는 야수파에게서 창작의 힌트를 얻어 작업해 보았다. 연구자는 그림을 그리는 사람으로서, 그림 외에는 달리 표현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절실한 마음으로 길을 걸으며 느낀 감동을 전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길에 대한 생각과 치유의 감동을 길 그림 작업의 과정과 그림을 통해 표현하였으며 본 논문에서 순서에 따라 정리하였다. 본고는 길의 의미가 기능적 목적의 틀을 넘어선 사색과 치유가 있는 회복의 경로로서 이해되기를 바라며, 앞으로 느림을 지향하는 길이 만들어지는 데에 작은 보탬이 되기를 희망한다. This thesis study on visual image of the trekking path for meditation and healing, recovery path. This is revealed using the terrain and surrounding landscape and focus on Korea ‘s environmentally friendly trekking. The trail connects different villages in many forms while up and down, up to the top and down to the bottom. So it connects people and also connects the story from time already gone to time coming next. Especially to the trekker, it connects ideas in self, after connecting oneself with nature. From those ideas it can continue to connect yourself from past to future, and can discover your own way. So he keeps moving and is born again then it can get back the meaning which he reflect and feels himself. The trail, with the original meaning as the place and process, is the trekking path. Also the trail passes slowly, feeling the texture of landscape and atmosphere of the way, animals and plants and people cross paths, so as to look into himself, and think about the world. That is the trail of recovery for rediscovering things lost by speed from experiences. My artwork tries to express the happy emotion for Will and the presence of life with the trail toward the inside, landscape of the mind. I painted through the eyes of a person walking, not the gaze of an observer for the better to share and enjoy. So the reader can feel like they can see the place then I can share with people who haven’t visited, and empathize with people who have had the same experience. Also visual images, and illustrations are unique, as an open window to the times of the era. In the history of art the subject and transition of object with contents vary depending on the spirit and philosophy of the time. Also the understanding of art changes. So it can not be independant of the time period. A researcher had look about reasonly each area been made characterstic trails, and they have lots tension and preference as look like pilgrimage for meditation, recovery beyond just walking. In modern times, walking is not an important means for moving, but it has added more important means for activities or contection with nature. I think it is because of speed and competition, the development environment in modern society. A researcher also has experience as a member of this age, found in a natural way through the trekking to find the strength to recover from it. So I was inspired by the creative work of David Hockney’s paintings, in which nature was the main focus of his life and fauvism, which expresses emotions with color. I made an effort to return to the traditional way to break away from the modern; various pad drawings, computer production, all enjoyed on the Internet, to share the rest and comfort from analog paintings. Researchers have tried to show as much as possible the feeling from trekking with thought, which if can’t be expressed through the emotion on picture, otherwise there is no way to convey as a painter. And then I think honest self-expression, that individuality comes out of. Thinking about trail of the researcher was shown through illustration, containing all the trail artwork through the process and in this paper, I have summarized the order. Finally, I wish this thesis to make you think about the meaning of trail. For the way has contemplation and healing not destination. It also helps to create an aim to take a slow trail.

      • 청소년이 지각한 체육수업환경, 체육수업태도 및 학습몰입간의 관계

        최정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교육은 인간의 올바른 변화와 사회화를 이끌어내며, 학생이 충분히 학습할 수 있도록 적절한 학습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학생 개개인의 심리적 특성에 따라 학습결과가 긍정적이거나 또는 부정적으로 인지될 수 있기 때문에 학습 환경은 학습의 성과를 좌우하는 중요한 변인이다. 학습 환경을 형성하는데 주체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교사는, 수업을 계획하면서 수업내용이나 학생들의 참여도에 따라 학습 환경은 다양한 분위기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러한 학습 환경은 학생들이 학습에 참여하거나 몰입하게 하는 태도를 형성하는 중요한 동기가 된다. 특히, 스포츠 등의 신체 활동을 수반하는 체육 교과에서 학습 환경은 정적인 형태로 이루어진 다른 교과와는 달리 운동장이나 체육관 등 비교적 넓은 공간에서 동적인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즉각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청소년이 바람직한 체육수업태도나 학습몰입을 경험할 수 있는 체육수업환경을 제공하기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체육 수업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체육수업환경은 잠재적 내면세계를 자극할 수 있는 충분한 동인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나아가 학생들의 체육수업태도와 학습몰입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선행연구에서 유추해볼 수 있음에 따라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체육수업환경, 수업태도, 학습몰입 간의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강원도에 소재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고등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체육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600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표집방법은 비확률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595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되었거나 이중응답 등으로 사용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9부를 제외한 586부의 자료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가능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수집된 설문 자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사화 한 자료의 오류확인과 연구대상자 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을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그리고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각 요인 간의 상관관계 확인을 위해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체육수업환경은 체육수업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청소년의 체육수업태도는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청소년이 지각한 체육수업환경은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이 체육수업활동에서 긍정적인 교육적 가치 및 사회적 가치를 얻기 위해 청소년의 체육수업환경, 체육수업태도, 학습몰입이 구조적으로 작용하여 효과적인 체육수업활동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체육수업환경에서 학생들이 인지할 수 있는 심리적 환경을 도전지각환경, 위험지각환경 그리고 유능지각환경으로 구분하여 체육수업환경을 계획하거나 구성할 때 고려해야 하는 요인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체육교사는 체육 수업 중에 청소년이 인지할 수 있는 심리적 환경을 이해하고 이를 통제하거나 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학생들이 지각하는 체육수업환경에 대해 상호작용하여 학생들의 체육수업태도 및 학습몰입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체육 수업에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몰입하여 체육교육이 지향하는 학습 성과를 얻을 수 있도록 체육수업환경에 대한 실천적이고 보다 확장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해본다. Education should offer suitable learning environment where students are able to learn to the full, while bringing about right changes and socialization of humans. Results of learning may be perceived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depending on psychological traits of each student, and so learning environment must be an important variable determining the results of learning. Teachers who play a major role in establishing learning environments can, while planning the lessons, make them with diverse atmospheres according to contents of lessons or the participation degree of students. And learning environment as such could be an important motivation for the students to take part in the lessons or to be actively engaged in them. Learning environment in the subject of Physical Education, in particular - accompanied with physical atmosphere like sports - is made dynamically in the relatively wide space like school yard or a gym unlike other subjects conducted statically. Moreover,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may happen immediately and so we need to try to provide Phys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that allows youth to experience desirable Physical Education education attitude or engagement in learning. From this point of view, physical Phys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experienced by students must be a valuable factor as a motivation to stimulate their potential inner world. What’s more, it may have a direct or indirect effect on their Physical Education education attitude and engagement in learning and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s experienced by students, learning attitude and engagement in learning.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lected high school students at Gangwon-do as a population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them. And it carried out a major survey among 600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study collected 595 samples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out of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Finally 586 sheets were used for actual analysis excepting nine questionnaires that were deemed unsuitable for this study because of their insincere or improper answers. In regard to the methodology, the study conducted analysis on collected survey data using SPSS 22.0 and AMOS 22.0. It also conducted a frequency analysis in order to check any error in the transcribed data and learn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order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questions in the survey, the study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well as reliability analysis. Whil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correlations between each factors. Finally in an attempt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it carried ou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got following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First, Phys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perceived by yout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hysical Education education attitude. Second, Physical Education education attitude of yout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ngagement in learning. Third, Phys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perceived by yout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ngagement in learning. Based on these outcomes, the study learned that Phys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for youth, Physical Education education attitude and engagement in learning functioned structurally on the path of youth towards obtaining positive educational and social values. It tells us effective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are needed. And the study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offered basic data as to factors that must be considered to plan or prepare Phys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It was done by dividing psychological environments perceived by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into challenge-perceiving environment, risk-perceiving environment, ability-perceiving environment. Building on these finding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need to try to understand psychological environments that can be perceived by youth dur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control or operate these and seek methods to enhance Physical Education education attitude and engagement in learning of students by creating interactions in Phys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s perceived by students. Lastly, the study expects practical and more extended research on Phys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could be conducted actively in the future so that students could willingly take part in and be engaged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get the result of learning targeted by Physical Education education.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인생태도에 미치는 영향

        최정원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양육태도의 상관관계와 부모양육태도가 인생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부모양육태도를 예언변인으로, 인생태도를 종속변인으로, 인생태도의 자기긍정-타인긍정, 자기긍정-타인부정, 자기부정-타인긍정, 자기부정-타인부정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 전라남도에 소재한 5개 대학 중 일반대학에 재학 중인 만 18세 이상의 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주 양육자가 사망하거나 이혼과 재혼 등의 이유로 인해 함께 동거하지 않은 경우도 포함하여 실시하였다. 성별로는 남학생 94명(36.7%), 여학생 55명(63.3%)였으며, 연령별로는 20대(143명, 95.3%), 30대(5명, 3.3%), 40대(명, 1.3%) 순이었다. 결혼유무는 미혼(146명, 97.3%), 기혼(4명, 2.7%)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특징 및 주요 변인들을 알기 위해 기술 통계량을 산출하였으며, 부모양육태도와 인생태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부의 양육태도 간의 상관을 보면, 부의 긍정적인 양육태도에서는 부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모의 양육태도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과 학년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와 인생태도 점수의 차이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로 모-부정적 양육태도에서 남성, 여성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학년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와 인생태도 하위척도별 점수의 경우 모-긍정적 양육태도만이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에 따라 부-긍정적, 부-부정적, 모-부정적, 자기긍정-타인긍정, 자기긍정-타인부정, 자기부정-타인긍정, 자기부정-타인부정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부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적상관을, 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는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부모 양육태도와 인생태도와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자기긍정-타인긍정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긍정-타인부정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부정-타인긍정과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부정-타인부정과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부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자기긍정-타인긍정과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긍정-타인부정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부정-타인긍정 또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부정-타인부정에서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자기긍정-타인긍정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긍정-타인부정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부정-타인긍정 인생태도에서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부정-타인부정과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에서는 자기긍정-타인긍정과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긍정-타인부정에서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부정-타인긍정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부정-타인부정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 아버지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 아버지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의 4가지 변인이 인생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중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학년을 독립변수에 포함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자기 긍정에 차이가 있는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한 결과로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자기 긍정에 차이가 있는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양육태도에 대한 자기긍정의 인생태도 점수에서는 변인 간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아버지의 부정적인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아버지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 그리고 아버지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 집단이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 아버지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 집단이 자기부정의 인생태도 집단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아버지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 아버지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 아버지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 아버지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 그리고 아버지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 아버지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집단이 타인긍정의 인생태도 집단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아버지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 아버지의 부정적 양육태도,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 그리고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 집단이 타인부정의 인생태도 집단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주요어: 대학생, 부모양육태도, 인생태도, 자기긍정, 자기부정, 타인긍정, 타인부정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ty the correlation and the influence of parents’ fostering attitude on the life attitude. Setting the parents’ fostering attitude as the predicting variable and the life attitude as the dependent variable, it verified the relationships of I’m okay-you’re okay, I’m okay-you’re not okay, I’m not okay-you’re okay, and I’m not okay-you’re not okay of life attitude.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150 university students over 18 years old studying at general universities located in Gwanju and Jeolanam-do and cases that the main fosterers were not living together due to the death, divorce, and remarriage were included. In genders, males were 94 (36.7%) and females were 55 (63.3%) and 20s were 143 (95.3%), 30s were 5 (3.3%), and 40s was 1 (1.3%). Not married were 146 (97.3%) and married were 4 (2.7%). To find out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main variables, this study calculat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rformed correlation between parents’ fostering attitude and life attitude. To find out variables which parents’ fostering attitude influenced to life attitude, it performe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o verify the effect of I’m okay-you’re okay, I’m okay-you’re not okay, I’m not okay-you’re okay, and I’m not okay-you’re not okay of life attitude, it performed th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orrelation between fathers’ fostering attitudes, i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fathers’ fostering attitude in their positive fostering attitude. Then, in th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fostering attitude, it revealed negative correlation with mothers’ negative fostering attitude in their positive fostering attitude. Second, it verified the difference of scores in parents’ fostering attitude and life attitude according to genders and grades and it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oth in males and females in mothers’ negative fostering attitude. In addition, in case of low scores in parents’ fostering attitude and life attitude according to the grade, only the mother-positive fostering attitude ha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rade.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ther-positive, father-negative, mother-negative, I’m okay-you’re okay, I’m okay-you’re not okay, I’m not okay-you’re okay, and I’m not okay-you’re not okay. Third, the result on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fostering attitudes is as follows. fathers’ positive fostering attitud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others’ positive fostering attitude and fathers’ negative fostering attitud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others’ negative fostering attitude. And fathers’ negative fostering attitud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others’ positive fostering attitude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others’ negative fostering attitude. Fourth, the result of correlation between parents’ fostering attitude and life attitude is as follows. Fathers’ positive fostering attitud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m okay-you’re okay and I’m okay-you’re not okay. I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m not okay-you’re okay and I’m not okay-you’re not okay. Next, fathers’ negative fostering attitud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m okay-you’re okay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m okay-you’re not okay while I’m not okay-you’re not okay had a positive correlation. Mothers’ positive fostering attitud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m okay-you’re okay as well as I’m okay-you’re not okay. I’m not okay-you’re okay and I’m not okay-you’re not okay had a negative correlation. In mothers’ negative fostering attitude, I’m okay-you’re oka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and I’m okay-you’re not okay had a positive correlation. In addition, I’m not okay-you’re okay and I’m not okay-you’re not okay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4 variables such as fathers’ and mothers’ positive attitudes, fathers’ negative and mothers’ positive attitudes, fathers’ positive and mothers’ negative attitudes and fathers’ and mothers’ negative attitudes to life attitude, it performed One-way ANOVA as well as the regression analysis including grad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o the independent variable. Lastly, it checked whether there was any difference in I’m okay according to parents’ fostering attitude and found no big difference between variables. And fathers’ and mothers’ positive fostering attitudes, *fathers’ negative and mothers’ positive fostering attitudes, *fathers’ positive and mothers’ negative attitudes, and fathers’ and mothers’ negative attitud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to the life attitude of I’m not okay. Lastly, fathers’ and mothers’ negative attitudes, fathers’ and mothers’ negative attitudes, and fathers’ and mothers’ positive attitud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to life attitude of you’re not okay. Key words: university student, parents’ fostering attitude, life attitude, I’m okay, I’m not okay, you’re okay, you’re not okay

      • 고등학생의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목표지향성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정원 상명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가정환경적 특성에 따른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목표지향성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통해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 즉 목표지향성(개인요인)과 가정환경(환경요인)의 작용을 알아보고, 부모-자녀 관계에 대한 교육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가정과 학교에서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 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42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가정배경변인,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목표지향성,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경향은 일반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부모와의 효율적인 의사소통 수준이 높으며, 목표지향성의 하위영역 전체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비교적 높다.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경향은 자기조절효능감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더 높다. 둘째, 가정환경적 특성과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관계에서 부모의 학력수준이 모두 높은 경우와 높은 성적, 여학생, 일정액 이상의 소득수준에서 아버지와의 효율적인 의사소통 수준이 더 높다. 또한 가정환경적 특성의 차이가 어머니 보다는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편이다. 목표지향성에서는 전반적으로 부모의 학력수준이 높고, 학교의 수준(일반계와 외국어고)이 높은 경우 영향력이 더 크고, 수행회피목표에서는 여학생에게서만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 남녀 간의 차이가 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에서는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기조절효능감 영역에서 성적ㆍ부모의 높은 학력수준ㆍ높은 소득수준의 경우 더 큰 영향력이 있다. 한편, 학업적 자신감 수준은 성적과 소득수준이 높고 부모가 모두 있는 가족환경인 경우에 가장 높다. 셋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에서는 목표지향성이 가장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숙달목표와 수행접근목표 수준이 높을수록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매우 높다. 과제난이도 선호는 숙달목표와 상관관계가 크고, 자기조절효능감은 수행접근목표와 상관관계가 크며, 수행회피목표와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다음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자신감에서는 숙달목표의 영향력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아버지와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이 영향을 미친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은 목표지향성이 가장 크고, 그 다음은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특히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다. 아버지와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수록 고등학생 자녀의 학업적 자신감이 높아진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하여 청소년 시기에 가정에서 부모 역할, 특히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학교와 가정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접근 방법은 개인 또는 남녀 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어야 한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the effect of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adolescents, and their goal orientation on academic self-efficacy, especially among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all their family and social environments. Through this research I will provide a reasonable educational orientation in terms of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nd adolescents, and the family ambience and goal orientation, which could have an influence on academic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Also, this paper is devoted to investigating effective methods for improving the academic self-efficacy at home and school. For such purposes, a variety of data regarding background variables,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adolescents, goal orient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through which I surveyed 429 high-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oyang-si, Gyunggi-do. Following are the major results of this thesis: First of all, the female high-school students showed a higher efficiency than the male ones when it comes to th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adolescents. For the goal orientation, the girl students marked higher levels than the male counterparts; speaking of self-regulated efficiency, the former illustrated a much higher level than the latter as well. Second of all, considering the impact of higher parents' schooling, higher school records, girl students, and higher family income level, the standard of more communication with the father proved far higher in view of family environmental features and the efficiency of communication. Furthermore, the difference in family environmental factors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than mother-adolescent one. Meanwhile, goal orientation flexes its muscles in case of the overall background of higher academic career of parents, and school levels (general high schools and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Performance-avoidance goals is more influential with girl students in particular, showing discrepancies between the genders. Academic self-efficacy has far more clout in conformity with higher parents' education and income levels. while academic confidence exercises more influence in case of both parents in the family. Last, academic self-efficacy is greatly influenced by goal orientation. The higher mastery and performance-approach goals are, the higher academic self-efficacy is. It has turned out that mastery goals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ask difficulty performance, one of the sub-scales of academic self-efficacy. In addition, performance-approach goals proved to be deeply connected with self-regulated efficiency, but performance-avoidance goals were negative predictors of task difficulty performance and self-regulated efficiency. In turn, academic confidence, one of the sub-scales of academic self-efficacy, is believed to be under the influence of mastery goals and communication between fathers and adolescents. Consequently,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adolescents. In a nutshell, these study results will have meaningful implications in their own accord to provide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teaching methods in school and home alike applied differently in line with person, age and gender in a bid to improving self-regulated efficiency.

      • C57BL/6 암유발모델 쥐에 대한 선학초(짚신나물) 복강주사의 항암효과 탐색 및 약물 대사효소의 변화

        최정원 暻園大學校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암은 의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발생률이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 사망원인 중 1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들어 암에 대한 화학요법이나 수술요법에 대한 효용성과 안전성에 대한 문제들로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을 중심으로 대체의학에 대한 연구 및 임상응용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항암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선학초(짚신나물)를 C57BL/6 암 유발모델 쥐에 복강 주사하여, 효용성, 안전성, 약물기전과 대사에 대해 탐색하였다. 암에 대한 효용성을 보기 위하여 종양의 부피, 증가율,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안전성을 보기 위하여 섭취량 및 혈액검사를 실시하였다. 항암효과의 기전을 살펴보기 위하여 western blot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약물대사를 살펴보기 위하여 대사 효소인 CYP와 다중약물내성단백질인 MRP의 발현량 변화를 검사하였다. 실험결과 시험관외 실험을 통하여 식염수만을 투여한 마우스보다 선학초 추출물을 복강 투여한 마우스에서 종양의 부피, 증가율, 무게가 현저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선학초 고용량군에서 호중구 감소증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선학초의 항암효과 기전은 caspase cascade 이외의 기전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학초 복강 투여 시 약물에 관련된 대사 효소인 CYP2D22와 CYP3A11의 mRNA level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MRP1a는 선학초에 의해 발현량에 큰 변화가 있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선학초를 복강 투여 시 항암 효과는 암세포의 성장 및 부피를 억제하였으나, caspase cascade 이외에 항암효과를 가져오는 다른 조절 메카니즘을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CYP2D22와 CYP3A11에 의해 대사되는 다른 약들과 복용할 시에는 다른 약물들의 사용용량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we experimented the antitumor activity of Agrimonia pilosa LEDEB(APL) in female C57B/L mouse (in vivo). At first, to evaluate the antitumor activity of Agrimonia pilosa LEDEB., the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 from the plant on several transplantable rodent tumors were investigated. Agrimonia pilosa LEDEB(APL) inhibited the growth of LLC-bearing mouse tumor. But, Agrimonia pilosa LEDEB(APL) not induced caspase-dependent apoptosis in LLC-bearing mouse tumo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oots of Agrimonia pilosa contain some antitumor constituents. And next, we experimented the influence of anti-tumor drug on drug metabolizing enzymes. We reported that drug metabolizing enzymes- CYP2D22 and CYP3A11 of liver by drug by transcriptional level. These data suggest that APL alters drug metabolizing enzymes expression. Therefore this drug should be careful use with other drugs related with CYP2D22 and CYP3A11.

      • 고 열전도도 Mg-Sn-Ca 합금계의 합금원소 첨가 및 압출조건에 따른 미세조직 및 압출성 평가

        최정원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Mg alloys are widely used for automotive and aerospace industries due to its lightness and high specific strength. In addition, the thermal capacity of Mg alloy is lower than Al alloys and solidification and cooling is faster so it has the outstanding castability. Also, one of the greatest properties for Mg alloy is high protection heat. In case of use for LED illumination field, it is essential to improve the protection heat in order not to reduce the product-life and durability due to the rapidly increased temperature of LED for productions. However, commercial Mg alloys have a disadvantage that the value of thermal conductivity is very low compared to Al alloys though extrusion formability is great. On the other hand, thermal conductivity for pure Mg alloy is high but extrusion formability for pure Mg alloy is very poor at ambient temperature. Therefore, in this study, high thermal conductivity Mg alloys are fabricated by addition of Sn and Ca elements to pure Mg based alloy, additionally microstructure and extrusion formability are investigated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Mg-Sn-Ca ternary alloys by element addition and extrusion conditions. To compare the microstructure and extrusion formabilities of developed alloys with commercial Mg alloy, AZ31 alloys are also investigated and observed in this study. Mg-(3 or 5)Sn-2Ca alloys are composed of α-Mg, MgSnCa and Mg2Ca phases. By adding Sn contents from 3 to 5 wt.%, MgSnCa phase is increased and Mg2Ca phase is decreased respectively. Thermal conductivity of Mg-Sn-Ca ternary alloys have higher values than commercial AZ31 alloys and Mg-5Sn binary alloy. Thermal conductivity is decreased with decreasing the Ca contents from 2 to 0.4 wt.% and is increased with the 0.4 wt.% Mn addition to Mg-(3, 5)Sn-0.4Ca alloys. With increasing extrusion ram speed and temperature, surface defects occur in Mg-Sn-Ca alloys (Cracks) and commercial AZ31 alloy (Oxidation). At high ram speed (14mm/s) and temperature (350, 400, 450℃) for extrusion formability, Mg-5Sn-2Ca alloy has the most outstanding that does not have surface defects even though extrusion is carried out at high ram speed and temperature. In contrast, lots of cracks are existed in Mg-3Sn-2Ca alloy at 400℃ and for commercial AZ31 alloy has the Oxidation de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