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건강상태와 두피ㆍ모발상태 및 관리 행동

        최지연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341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건강상태와 두피ㆍ모발상태 및 관리 행동에 관계 연구하여 직무스트레스가 건강상태, 두피ㆍ모발상태, 두피ㆍ모발관리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봄으로써 직무스트레스의 원인을 파악하고 현대인들의 건강한 두피ㆍ모발을 유지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해결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는 서울, 경기 지역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으로 수집된 최종 642부의 자료를 SPSS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에 적용된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빈도 분석한 결과, 성별은 ‘남자’가, 연령은 ‘30∼40대’가, 결혼여부는 ‘기혼’이, 학력은 ‘대학교(재학생포함)’가, 직업은 ‘전문/기술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근무경력은 ‘10년 이상’이, 근무시간은 ‘8∼9시간 미만’이, 수면시간은 ‘6∼8시간 미만’이, 월 수입은 ‘100∼200만 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두피상태는 ‘정상’이, 모발상태는 ‘손상모발’이, 모발개수는 ‘보통이다’가, 모발 굵기는 ‘보통이다’가, 샴푸의 종류는 ‘일반샴푸’가, 샴푸 시간은 ‘아침’이, 샴푸 횟수는 ‘1일 1회’가, 두피 문제점은 ‘탈모’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리 장소는 ‘미용실’이, 관리 이유는 ‘예방차원에서’가, 관리 지출은 ‘5만 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건강상태, 두피ㆍ모발상태, 두피ㆍ모발관리 행동의 각 차원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업무과다’, ‘대인관계’, ‘근무환경’, ‘업무특성’, ‘조직체계’의 다섯 가지 차원으로, 건강상태는 ‘심리적 불안정’, ‘신체적 저하’, ‘사회성 저하’의 세 가지 차원으로, 두피ㆍ모발상태는 ‘모발약화’, ‘두피약화’의 두 가지 차원으로, 두피ㆍ모발관리 행동은 ‘관리실천’, ‘관리인식’, ‘관리효과’의 세 가지 차원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기준으로 조사대상을 군집화하기위해 군집분석과 분산분석 결과, 집단 1은 ‘조직체계형’으로, 집단 2는 ‘근무환경형’으로, 집단 3은 ‘대인관계형’으로, 집단 4는 ‘업무특성형’으로, 집단 5는 ‘업무과다형’으로 명명하였다. 넷째, 직무스트레스 유형에 따른 건강상태와 두피ㆍ모발상태, 두피ㆍ모발관리 행동 차이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부분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직무스트레스가 건강상태와 두피ㆍ모발상태, 두피ㆍ모발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건강상태가 두피ㆍ모발상태, 두피ㆍ모발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두피ㆍ모발상태가 두피ㆍ모발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직무스트레스가 건강상태, 두피ㆍ모발상태, 두피ㆍ모발관리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직무스트레스가 건강상태와 두피ㆍ모발상태 및 관리 행동 각 변인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입증할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와 원인을 파악하여 현대인들의 건강한 두피ㆍ모발을 유지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해결방안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 조선후기 毛髮管理法에 관한 문헌적 고찰 : <閨閤叢書>를 중심으로

        박은향 東亞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33326

        조선후기 여성 실학자 빙허각 이씨에 의해 저술된 여성백과대사전인 <규합총서>에는 모발관리법뿐 아니라 모발의 상태를 통해 여성의 貴賤, 吉凶 등의 女性相을 판단하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빙허각 이씨의 생애와 <閨閤叢書>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 책에 기록된 모발관리법을 중심으로, 사용된 재료를 발췌하여, 예로부터 전해져온 本草學 및 傳統醫書 등 관련 문헌을 통해 재료가 지닌 藥理的 效能 및 모발관리법, 모발상태에 따른 貴賤, 吉凶을 판단하던 관점과 의의를 고찰, 규명하였다. <규합총서>에 기록된 모발관리법의 기록을 18-19세기 빙허각 이씨가 생존하던 조선후기 사회상을 비롯해 모발관리를 위해 사용되던 재료적 효능과 모발관리가 필요한 시대적 요구 및 관점을 문헌을 통해 고찰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규합총서>를 저술한 빙허각 이씨 생애는 청의 문물을 많이 접하고 이를 조선사회와 실제적 삶에 적용 실천해나가려던 실학자, 고증학자들에 둘러쌓여 성장하였으므로, 그의 진보적 시각 역시 이 저술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었다고 본다. <규합총서>는 저술목적과 의도가 당시 사회를 주도하고 있던 남성이 아닌 여성 독자를 염두에 둔 백과사전으로서, 고대부터 전해진 중국을 비롯한 동양문헌의 다양하고 전문적인 지식이 남성들의 전유물이었다면, 빙허각은 이를 당시 여성들도 전문지식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한글로 기록하였다는 점에서 진보적인 시각이었다고 본다. 빙허각이 영향을 많이 받은 가학과 여자임에도 불구하고 당시에는 보기드물게 그의 총명을 살려준 가문의 사람들로 인해서, 당시 여성들의 주생활이었던 의식주와 관련된 실생활의 지식과 지혜가 학문적으로 정립되었으니, 본 연구의 주 분석대상이 되는 모발 관리법 역시 이의 결실이었다고 본다. 둘째, <규합총서>에 기록된 모발관리법에는 이용후생의 실학사상이 깊이 반영되어 있다고 본다. 모발관리법에 사용된 재료를 보면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서 신분과 빈부차이 없이 누구나 쉽게 채취해서 응용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빙허각의 실제적으로 임상체험을 거치고 검증된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그뿐 아니라 모발관리법에 소개된 재료인 구기주를 비롯한 기타 모든 재료는 모두 고대부터 각종 의서에 기록된 藥理작용이 강한 재료로서, 주 효능을 보면 解毒․解熱․排毒․血液循環, 頭瘡, 惡瘡, 皮膚病, 부스럼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이를 바르거나 복용하기도 하였으니, 이상적 모발뿐 아니라 몸을 건강하게 만들어 주는 효능을 가지고 있었으니, 단순히 모발관리법을 뛰어 넘어서 의약학적 지식을 실생활 활용의 실학적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셋째, <규합총서>에 기록된 모발관리법에는 조선후기 사회가 추구하던 북학사상이 깊이 반영되어 있다고 본다. 빙허각의 가문은 연행을 다녀온 자들이 많아 淸 文物에 일찍이 눈을 열고 있었고, 청에서 서적 수입도 많이 해서 조선후기 사회를 대표하는 장서가들이 많았는데, 북학을 적극 수용하던 정조는 조선의 기존 체는 지키되 북학을 용으로 적극 받아들이자는 관점을 가지고 있었으니, 정조의 스승이었던 시조부 서명응은 초대 규장각의 제학을 지내면서 조선후기 북학사상의 사회적 확산과 방향성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키쳤고, 중국농서를 바탕으로 조선실정에 맞는 백과사전을 저술한 자로 유명하다. <규합총서>에서 모발관리법 부분을 보면, 소개된 재료와 방제법이 거의 대부분 관련 내용과 효능이 중국문헌과 일치하고 있고, <규합총서>란 서명도 중국서명을 본받아 지은 것이며, 당시 청에서 유행하던 고증학적 저술태도를 그대로 본받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모발관리법의 재료를 사용하던 방제법을 보면 약간의 차이점을 볼 수 있는데, 빙허각의 저술배경과 태도를 보면 반드시 실제로 체험한 것을, 꼭 소개해야 할 내용만 선별하여 기록하였다고 볼 때, 이는 중국문헌을 참조하였지만 조선실정에 맞는 것만 선별하여 소개했다는 것을 볼 때, 북학을 체가 아닌 용으로 받아들이던 시조부 서명응의 저술태도와 같은 맥락을 보이고 있었다. 넷째, <규합총서>에 기록된 모발관리법과 모발상태에 관한 기록에는 조선 후기 사회가 가지고 있었던 여성에 대한 유교적 관점인 남존여비사상이 잘 반영되어 있었다. 조선후기는 유교가 강화되면서 사회제도 전체가 변화되자 여성생활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으니, 제도적 측면에서 여성의 신분이 비하되었던 것은 물론, 결혼한 여성은 가문의 혈통을 잇는 아들 생산이 최고의 업무였다. 따라서 귀천길흉의 구분을 모발상태로 본다는 것은 단순히 관상학적 접근은 아닌 것이, <동의보감>등의 의서에는 인체 내부기관의 건강여부가 모발에 그대로 드러나서, 건강한 모발을 가진 여성이 아들을 잘 낳을 확률이 크다는 관점이 성립되므로, 건강하고 이상적인 모발을 갖기 위하여 동원된 모발관리법은 아름다움에 앞서 건강한 여성상으로 만들기 위함에 그 의의가 더 큰 비중을 두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규합총서>에 기록된 모발관리법은 조선후기 사회가 직면하고 있었던 국내외 상황에 따른 정치적․경제적, 이에 따른 가치관의 변화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모발관리법이 보기에 아름다운 모발로 변화시키기 보다는 재료가 가진 약리적 작용을 이용해서 건강한 몸을 회복시켜 나가는데 더 큰 의의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ost dominating the cosmetic market of this country are functional and hair cosmetics. The former goods are used to make the skin finer by giving whitening and wrinkle-free effects. While, the latter are used to make hairs healthier, darker, shinier and thicker by preventing hair loss and managing hairs and the scalp in a clinical way. Keeping pace with the trends of well-being, recently, traditional cosmetic methods and materials, which are safe and suitable for body characteristics of Korean people, are being actively researched and developed. Accordingly, cosmetic goods whose main ingredients are from herbs of Oriental medicine, natural, vegetable or fermented are being actually and actively developed.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identified materials for hair-care which are described in <Gyuhapchongseo>, an encyclopedia for women written based on the practical science of the late Joseon period. Then the researcher examined pharmacological effects of the materials by reviewing some ancient botanical and medical books, which still remained, and investigated the hair -care method of the late Joseon period and how people of the same period judged others' present social position and fortune of the future in accordance with hair state. Presumedly, the method of hair Clinic used in the late Joseon period, or 18th and 19th century is closely related with social situations of that time. Findings from the researcher's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above mentioned metho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ingheogak Lee referred to lots of books published in Ch'ing in writing <Gyhapcheongseo>. For example, Cosmetic materials and the methods and effects of their use which are described in the encylopedia are same as those which are introduced by medicinal prescriptions contained in <Bonchogangmok>,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hair clinic method of the late Joseon period was probably affected by that of the chinese nation. Fourth, Binheogak Lee wrote <Gyuhapcheongseo> in such way as in documental archeology, While drawing lots of contents from related literatures released in Joseon and Ch'ing, in other words, the author made tests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ents were true before publishing them in the encylopedia. Second, the method of hair Clinic used in the late Joseon period was much influenced by one of the ideologies pursued based on the practical science of that time, or "yiyonghusaeng' which means the promotion of public welfare. <Gyujhapchongseo> was written in the Korean alphabet, or Hangeul, so it could make even women easily obtain their wanted knowledge. Materials for hair treatment introduced by the encylopedia were things which were easily found and obtained by even grassroots people of the late Joseon period. Those materials were all effective in improving the health of the scalp and the body, indicating that they were chosen according to pursuits by the practical science of that time, especially "yiyonghusaeng". Third, the fact that in the late Joseon period, women's present social position and fortune of the future were judged based on their hair state suggests that at that time, healthy women were seen as a better candidate of wife. In the late Joseon period, delivering a son who can carry on his family line was the top priority of women. At that time, women who were healthy enough to deliver lots of children, especially son were considered as the best candidate of wife. In the late Joseon period, thus, the use of women's hair state as a primary criteria for their social position and fortune was not a phrenological approach, but a move to determine whether women were healthy or not.

      • 대학생의 두피, 모발관리 상태 및 생활습관이 탈모에 미치는 영향

        박희영 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3277

        A survey was performed among a group of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alp-care, hair-care and life style on the hair-loss. Out of 250 survey set distributed, 183 were recovered and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It was shown that 52% of the analyzed individuals were appealing hair-loss. Some correlations between the extent of hair-loss and scalp conditions such as excessive dandruffs, itchiness, greasiness and inflammations of scalp area were observed. Individuals with hair-loss had the tendency of having higher intake of coffee, alcohol and instant foods as well as higher cigarette-smoking rates. In addition, a certain amount of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hair-loss and the use of pain shampoo products.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t seems crucial to keep scalp and hair clean and maintain their hygiene in general and to have balanced life style in order to prevent hair loss among young adults.

      • 아로마 두피마사지를 병행한 탈모관리프로그램이 모발 및 두피상태에 미치는 영향

        배귀자 창신대학교 특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00575

        Effect of a Hair Loss Management Program Concurrently Incorporating Aroma Scalp Massage on Hair and Scalp Conditions Gwi Ja Bae Graduate School of Welfare Culture, Changshin University Department of Cosmetology Objective of research : Conducting a hair loss management program concurrently incorporating aroma scalp massage, we aim to analyze the effects on changes in hair condition(hair thickness, hair density) and scalp condition(oil, moisture, the amount of dead skin cells, pore status, scalp surface). The objective i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marketing of a hair loss management program. Research method :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recruited through a recruitment announcement, and 16 adult men and women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finally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criteria. In adults in their 20s to 50s, homogeneity tests were conducted by dividing them into 8 experimental groups(Aroma scalp massage parallel hair loss management program) and 8 control groups(general hair loss management program). From June 19, 2023, to August 13, 2023,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8 weeks at the B skin scalp management room located in K city.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managed using a hair stylus, shampoo, MTS(micro polyhedron needle), and scalp serum after scalp scaling, and the experimental group additionally performed a scalp massage for 15 minutes using aroma. Before management, 4 weeks management, and 8 weeks management, hair and scalp conditions at the same location were measured, differences by period and group were analyzed, and subjective satisfaction of subjects was evaluated after 8 times of management. For data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covariance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6.0. Results of research :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changes in hair condition after manage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management period and between groups in hair thickness and hair densit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in scalp condition after management,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oil and moisture after 4 weeks and 8 week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reduction in the amount of dead skin cells was significant in both groups after 4 and 8 weeks.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as notably reduced after 8 weeks, a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after 8 weeks. Pore status and scalp surfac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4 weeks and 8 weeks in both group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ird, as a result of the subjective satisfaction evaluation of the subject after management, both groups had a high rating of 4.3 points or higher in the areas of heat sensation, itchiness, dead skin cells, sebum, and acne in the scalp condition,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hair condition, the experimental group(4.88) had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control group(4.38) in terms of hair loss during shampooing, and the overall satisfaction(4.88) and willingness to receive care(4.5) were also higher. Conclusion : The 8-week hair loss management program proved effective in enhancing hair conditions, including oil, moisture, the amount of dead skin cells, pore condition, and scalp surface. Especially, the hair loss management program incorporating aroma scalp massage demonstrated greater efficacy in improving keratin amount compared to the regular hair loss management program. The participants expresse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hair condition and a stronger intention to undergo future treatments. Therefore, actively incorporating aroma scalp massages into hair loss management programs could be beneficial for improving scalp conditions and boosting customer satisfaction. Key word: Aroma Scalp Massage, Hair Loss Management Program, Hair Condition, Scalp Condition 아로마 두피마사지를 병행한 탈모관리프로그램이 모발 및 두피상태에 미치는 영향 배 귀 자 창신대학교 복지문화대학원 미 용 예 술 학 과 연구 목적: 아로마 두피마사지를 병행한 탈모관리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모발상태(모발 굵기, 모발 밀도) 변화와 두피상태(유분, 수분, 각질량, 모공상태, 두피표면) 변화에 미 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탈모관리프로그램의 개발 및 마케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연구 참여자는 모집공고를 통해 모집되었으며,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선 정 기준에 부합하여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성인 남녀 16명을 최종 선정하였 다. 20대∼50대 성인을 대상으로 실험군(아로마 두피마사지 병행한 탈모관리프로그램) 8명과 대조군(일반 탈모관리프로그램) 8명으로 구분하여 동질성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2023년 6월 19일부터 2023년 8월 13일까지 K시에 위치한 B피부 두피관리실에서 주 1 회 8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두피스케일링 후 스티머, 샴푸, MTS(미세다륜침), 두피 세럼을 사용하여 관리하였으며, 실험군은 추가로 아로마를 활 용하여 15분간 두피마사지를 시행하였다. 관리 전, 4주 관리 후, 8주 관리 후 동일한 위치의 모발과 두피상태를 측정하고 시기별, 집단별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8회 관리 후 대상자의 주관적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6.0을 활용하여 독립표 본 t-검정, 빈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관리 후 모발상태 변화를 분석한 결과, 모발 굵기와 모발 밀도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관리 시기에 따른 차이와 집단 간 차이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 타나지 않았다. 둘째, 관리 후 두피상태 변화를 분석한 결과, 유분과 수분은 두 집단 모두 4주 후, 8 주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각질량은 두 집단 모두 4주 후, 8주 후 유의하게 감소했고 집단 간 차이는 8주차 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 며 실험군이 유의하게 감소했다. 모공상태와 두피표면은 두 집단 모두 4주 후, 8주 후 유의하게 감소했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관리 후 대상자의 주관적 만족도 평가 결과, 두피상태에서 열감, 가려움, 각질, 피지량, 여드름(뾰루지) 항목에서 두 집단 모두 평점 4.3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집 단 간 차이는 없었다. 모발상태는 샴푸 시 탈모량에서 실험군(4.88)이 대조군(4.38)보다 만족도가 높았으며 전체적인 만족도(4.88)와, 향후 관리 받을 의향(4.5)에서도 만족도가 더 높았다. 결론: 8주간의 탈모관리프로그램은 유분, 수분, 각질량, 모공상태, 두피표면 등 모발상 태 개선에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아로마 두피마사지를 병행한 탈모관리프로그램은 일 반 탈모관리프로그램보다 각질량 개선에서 더 효과적이었고 대상자의 탈모량 감소에 대한 만족도와 향후 다시 관리받고 싶다는 의향이 높았다. 따라서 두피상태의 개선과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탈모관리프로그램에 아로마 두피마사지를 적극적으로 활용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핵심주제어: 아로마 두피마사지, 탈모관리프로그램, 모발상태, 두피상태

      • 아로마를 이용한 두피스케일링이 모발과 두피 상태에 미치는 영향

        박소연 창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00574

        연구 목적: 아로마를 이용한 두피스케일링을 실시하여 모발의 변화(모발 굵 기, 모발 밀도)와 두피의 변화(수분, 유분, 각질량, 혈관노출, 모공상태, 두피표 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 대상자는 연구 참여자 모집광고로 모집하였고, 연구목적 을 이해하고 선정 기준에 부합된 자발적 연구 참여에 동의자 20명을 최종 선 정하였다. 20∼50대 성인을 대상으로 실험군(아로마 첨가 두피스케일링) 10명 과 대조군(일반 두피스케일링) 10명을 구분하여 동질성 검증을 실시, J시 M두 피관리실에서 2022년 8월 7일부터 2022년 9월 30일까지 8주간, 주 1회 총 8회 20분씩 두피스케일링을 실시하였다. 실험군에 사용된 아로마는 레몬, 로즈마 리, 라벤더이며 G사의 샴푸, 스케일링제, 토닉을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관리 전, 4주 관리 후, 8주 관리 후 동일한 위치의 모발과 두피상태를 측정하였으며 시기별, 집단별 차이를 분석하였고, 8회 관리 후 대상자의 주관적 만족도를 평 가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최종 분석하였다. ix 연구 결과: 첫째, 실험군과 대조군의 관리 후 모발의 변화에 대하여 시기별 차이와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 한 결과, 모발굵기는 시기별 차이와 두 집 단 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모발밀도의 시기별 차이는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나 두 집단 간의 차이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4주 후, 8주 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실험군의 모발밀도가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관리 후 두피의 상태에 대하여 시기별 차이와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수분은 4주, 8주 후 유의하게 증가, 유분은 4주, 8주 후 유의하게 증가, 각질량은 4주, 8주 후 유의하게 감소, 혈관노출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모공상태는 4주, 8주 후 실험군의 모공상태 값이 유의하게 줄었고, 두피표면의 4주, 8주 후 두피표면 값이 유의하게 줄어들었고, 두 집단 간의 차이는 8주차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실험군이 유의하게 줄어들었다. 셋째, 관리 후 대상자의 주관적 평가 결과, 두피상태에서 실험군이 유의하게 높았고, 모발상태는 실험군이 모발의 힘, 샴푸 시 탈모량, 잔머리량의 만족도 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주관적 만족도는 관리 후 전반적인 만 족도, 향후 관리 의향에서 실험군이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 8주간의 두피스케일링은 두드러지는 개선효과로는 미흡하나 아로마를 첨가한 지속적인 두피스케일링은 모발밀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 고, 수분, 유분 증가, 각질량 감소, 모공, 두피표면의 상태개선으로 건강한 모 발과 두피 트러블 감소 및 두피의 상태 개선에 효과적일 수 있다. 아로마를 첨가한 두피스케일링 활용하여 두피와 모발 상태 유지와 개선하고자 하는 고 객의 만족도를 높여줌으로써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활용해 볼 수 있다. 주요어: 스케일링, 두피관리, 아로마, 모발 상태, 두피 상태 Objective of research : This research was Conduct scalp scaling using aroma to analyze the effect on hair changes (hair thickness, hair density) and scalp changes (moisture, oil, amount of keratin, blood vessel exposure, pore condition, scalp surface) and basic data want to provide. Research metho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recruited through an advertisement for recruitment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a total of 20 people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met the selection criteria were divided into 10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aroma-added scalp scaling) and 10 people in the control group (general scalp scaling). A total of 8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rom August 7, 2022 to September 30, 2022 at the city M scalp care office. The same location was measured before care, after 4 weeks care, and after 8 weeks care, and subjective satisfaction of the subject was evaluated after 8 care times. The collected data was finally analyzed using the 75 SPSS 26.0 program. Results of research :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hair changes after car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air thicknes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hair dens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condition of the scalp after care, in both groups, the moisture and oil content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amount of dead skin cells significantly decreased.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8 weeks. Third, as a result of the subjects' subjective evaluation after car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 in both the scalp condition and the hair condition, and the overall subjective satisfaction of the hair condi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even in the care. Conclusion : Scalp scaling for 8 weeks is insufficient in terms of noticeable improvement, but continuous care with the addition of aroma can be effective for healthy scalp and hair by improving scalp condition. By using scalp scaling with aroma added, you can actively use it in the program by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customers who want to maintain and improve the condition of the scalp and hair. Key words : Scaling, scalp care, aroma, hair condition, scalp con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