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산 세계 모델을 사용한 무선 통신 채널의 패킷 충돌 회피 기법에 관한 연구

        진필웅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943

        우리가 환경 모델을 알고 있는 경우에는 그것으로부터 최적의 행동을 도출하는 많은 방법론들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알려지지 않은 환경에서 Planning과 같은 방법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에이전트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모델을 학습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학습된 환경 모델은 에이전트의 관찰 정보와 행동 기록을 요약하여 여러 시간 단계에 대한 보상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 입력에서 들어온 제한된 정보로부터 환경 모델을 학습하고 잠재 공간에서 믿음(Belief)에 기반하여 상상(Imagination)된 궤적(Trajectories)을 통해 최적의 행동을 학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아이디어를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시나리오로 모델링 된 가상의 통신 채널에서 최적의 데이터 송신 방법을 찾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If we know about environmental models, many methodologies are known that derive optimal behavior from its dynamics. However, exploiting methods such as Planning in an unknown environment requires the agent to learn the model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The learned model should be able to accurately predict rewards for multiple time steps by summarizing the history of the agent's observations and ac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learning environmental models from limited information from sensor inputs and learning optimal behavior through imagined trajectories based on belief in the latent space. To evaluate this method, we solve the problem of finding the optimal behavior of data transmission in virtual communication channels modeled in various scenarios.

      • 새신자 양육을 위한 모델 연구 : 상호관계적 모델 중심으로

        박미영 서울신학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943

        The main purpose of writing this thesis is to emphasize that established church members must develop interrelational models to bring up new Christians effectively rather than the established models which have been mostly hierarchical, habitual and separated between a real life and church education. So far, it is true that most Korean churches have been paying their attentions to their quantitative growth. Although many church members would stress missions, they didn't provide new Christians who were newly led into the churches with particular education but only "welcome parties for new Christians". Accordingly, I discussed these church education problems for new Christians and suggested the needs of changing the paradigms of the education. It is very essential for established church members to change their traditional education methods to new ones in order to change the old paradigms. Firstly, I suggested an integrated model which helps new Christians' lives and practice because one of the main reasons which many Korean churches are criticized from non Christians is that many Christians' lives aren't identical to God's words. In this context, I stressed that those separated lives of the Christians must be educated in the course of bringing up new Christians as the first stage of discipleship training. Secondly, I suggested an interrelational model with which teachers and new Christians make close relationships. As Martin Buber said, a relationship is interrelational. Therefore, I discussed that New Christians as learners aren't only receivers of knowledge of church education, but need to have close interrelationships with the teachers of the churches. Thirdly, I suggested a model for a faith community which is performed through small group activites. As Westerhoff Ⅲ said, new Christians not onl.y feel sympathy, but also have their self-esteems in their faith communities through realizing the essence of the communities. In this context, I suggested a cell metho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s of bringing up new Christians through various experiences in the faith communities. In addition, I suggested both a method through life stories and a method through plays to increase the relationships in order to bring up new Christians with the interrelational models. For the method through life stories, I suggested a phenomenological approach and an experience-centered approach of andragogy because these Methods are able to make new Christians understand the close relations between the biblical texts and their own lives through their real experiences and life stories. For the method through plays to increase the relationships, I suggested a method through aesthetic application, a method through poetic imagination and a method of helping life changes. The method through aesthetic application is the way to express one's own joy to only God regardless one's position or status. Established Christians must not only approve and accept that new Christians express their own pleasures in many different ways, but also let them express their pleasure freely. The method through poetic imagination can be found in a worship program. I suggested that church members can share their comforts, pleasures and healings altogether whenever they read psalms using for doxology or response readings. And for the method of helping life changes, I suggested that a play itself can be a healing. A play is not only making use of one's spare time, but also doing the role of recreation. Besides, Church teachers and new Christians can't make vertical relationships but horizontal relationships through doing many plays. New Christians who come to church for the first time have many problems. They have not only uneasiness of their lives but also their own internal sufferings which they can't say to others easily. However, new Christians will solve their own problems and cultivate the ablities to change their own lives, furthermore to change their neighbors through the interrelational models and several methods. Consequently, these models and methods for bringing up new Christians can promote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vivals of many Korean churches.

      • 구조방정식모델에 의한 관광지 선택행동 분석

        채기석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943

        관광산업은 지역의 발전에 크게 공헌할 것으로 기대되므로 관광시설, 관광자원 및 관광지의 매력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일차적으로 중요한 관건으로 제시되어지고 있고, 관광지역에의 접근성과 주유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 또한 필요한 구비조건으로 대두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관광객들의 관광지점 선택행동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관광여행 특성 조사 및 관광지점별 이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택행동 모형화를 실시하여 관광객들의 선택행동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논문은 무등산 주변지역 주요관광지점 8개소를 대상으로 관광여행자의 속성에 따른 각 관광지점별 선택률을 기초로 하여 조사되어진 data를 이용해 각 관광지점의 image 속성평가는 물론 최종관광 목적지점에 대한 항목별 평균치 검정을 수행하였으며 개별행태 Model에 의한 관광지 선택행동을 분석하였다. 무등산 주변지역 8개 관광지점에 대한 각 속성에 대한 평가치를 개개의 속성 단위로 비교해 보았을 때 8개 지점 모두 각 속성에 대한 평가치들 중 가장 높은 값을 갖는 지점을 기준으로 image 척도 평균에 대한 값으로 재구성해 본 결과, 이들 관광지의 대표적 image를 평가할 수 있었다. 기술통계분석에 의해 관광지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추출하여 Model 구성에 사용되는 변수로 설정할 수 있었다. 관광지 선택행동 Model을 구축한 결과 적합도와 Model의 적중률이 높게 나타났고, 관광여행자의 관광지 주유행동 또한 잘 설명할 수 있는 타당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LISREL 모형을 이용한 객관적인 요인에 의한 주요 관광지점의 정성적인 매력도를 고려한 관광지점 선택행동모형 구축 결과에서는 휴식의 매력도 변수를 고려한 모형의 적합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무등산 지역의 주요 관광지점 선택시 관광객들이 중요하게 고려하는 매력도는 휴식임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연장인 관광주유행동과 관련된 연구로서 지점선택 Model과 경로선택 Model 및 주어진 모든 변수를 고려한 Scheduling Model을 구축하여 종합적인 Model system 개발과 관광지점이 가진 관광자원과 매력도의 향상을 분석 평가함에 있어 보다 현실적인 대안 설정이 가능하리라 본다. The tourism industr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ourist attractions. For the reason, it is essential that the ways to improve the tourist facilities and tourist resources and to attractive tour group should be explored. The problems with regard to the accessibility to the tourist attractions and expedience of tour group during sightseeing tour are raised to the hea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attract tourists. In this paper, research on travel characteristic and image of each tourist site was conducted, in order to accurately grasp the behavior of selecting tourist site. With this as a foundation, modeling of selecting behavior to tourist site were conducted factors that influence the selecting behavior of tourist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This study sampled 8 main tourist attractions located around Mt. Mudung as subject. This study evaluated the property of the image of each subject, examined mean value of final tourist destination with the classified items, and analyzed the preference of tourists through the individual behavior model by making use of data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r preference of tour group on the basis of the way the tourists decide the sightseeing region. After the properties of the 8 sightseeing regions were compared with their individual property, the values of the properties reconstructed in terms of the highest value gave the ground to evaluate the representative image of the tourist attractions. The factors to affect the decision of tourist attractions could be investigated by means of statistical analysis and thereby the variable used in modeling could be set. The established tourist attractions decision model could achieve compatibility and explain the touring behavior of tourist. In the result of building a tourist site selecting behavior model taking into account the normal degree of attraction, based on objective factors using the LISREL model, compatibility was the highest in the model considering the variable of degree of attraction for relaxation. This proves the degree of attraction mostly considered by tourists when selecting main tourist sites of Mt. Mudung Area, is relaxation. In short, the tourist attractions decision model and scheduling model should be developed as an extended and related study ; and thereby the comprehensive model system could be developed and more available alternatives could be set in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improvement of attractiveness and tourist resources of the tourist attractions.

      • 유명인 광고모델의 속성 및 기업의 신뢰도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 자동차 광고를 중심으로

        신경화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943

        이 논문은 자동차제품에 있어서 유명인 모델의 속성(신뢰성, 매력성)과 기업의 신뢰성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이다. 광고의 정보원 효과에 관한 종래의 연구는 주로 모델의 신뢰성에 초점을 맞춰 이루어졌으며, 유명인 모델의 속성과 자동차 메이커의 기업신뢰성과의 상관관계를 살피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이뤄지지 못했다.유명인 모델의 광고효과에 대한 일관된 연구결과는 부재한 상황이며, 구매의향 차원에서는 상반된 연구결과가 나타나기도 한다. 그 이유는 기존의 연구들이 유명인 모델의 속성을 일차원적으로 살펴보았을 뿐, 다차원적인 속성에 따른 광고 효과를 평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유명인 모델도 각각의 속성 차원에 따라 제 각각의 특성을 가지고 있고, 어떤 제품과 매치되느냐에 따라 그 광고 효과는 달라지기 마련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광고 캠페인의 전개를 위해서는, 유명인 모델의 속성(신뢰성, 매력성)이 기업신뢰도와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어떠한 광고효과를 발휘하는 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자동차는 대표적인 고관여 제품으로, 기업의 신뢰도가 제품에 대한 의견형성에 주요요인으로 작용하는 동시에, 가격 및 성능, 디자인 등 다양한 속성을 고려하는 총체적인 의사결정과정을 필요로 한다. 때문에 광고에 있어 모델에 대한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편이나, 최근 들어 유명인 모델의 이미지를 제품에 일치시켜 정서적 동화 내지는 호감을 끌어내려는 의도가 빈번해지고 있어, 유명인 모델이 자동차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명확한 검증이 시기적으로 매우 유의미하다는 판단 아래,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연구문제 1> 유명인 모델의 속성과 기업의 신뢰성에 따라 자동차 광고에 노출된 소비자의 광고 태도는 달라질 것인가?<연구문제 2> 유명인 모델의 속성과 기업의 신뢰성에 따라 자동차 광고에 노출된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는 달라질 것인가?<연구문제 3> 유명인 모델의 속성과 기업의 신뢰성에 따라 자동차 광고에 노출된 소비자의 구매의도는 달라질 것인가?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25~50세 사이의 남녀 소비자 14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델 관련한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광고모델로서 상대적으로 매력속성이 높은 장동건과, 상대적으로 신뢰속성이 높은 안성기 두 명의 모델을 최종 선정하여, 두 가지 버전의 광고물을 제작하였다. 자동차 브랜드는 가상의 중국기업 <칭루이>를 설정하였고, 광고 기업의 신뢰도 정도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그 기업에 대한 가상의 CNN보도를 별도 제작하여, 실험대상자 그룹별로 해당 정보를 차별하여 노출하였다.본 실험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괄적으로, 모델의 속성 (매력성, 신뢰성)에 따른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은 반면, 광고 태도 및 브랜드 태도에서 기업의 신뢰성에 따른 광고효과 차이가 나타났다. 즉, 소비자들은 신뢰할 수 있는 기업의 광고에 더 호의적으로 반응하고,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를 더 선호한다 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자동차 메이커가 마케팅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신뢰성을 높이는데 주력하는 일이 보다 효과적이며, 신뢰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광고 효과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를 통해, 급변하는 자동차시장과 소비자들의 추이, 그에 따른 효과적인 광고는 무엇인가에 대한 이해를 확산시켜가는 동시에, 자동차 광고제작 측면에서 있어서 모델 기용여부와 관련한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기여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ttributes (reliability and attraction) of the famous advertisement models and the advertising effects of company's reliability). Preceding studies about effects of advertisement as sources of information were primarily focused on models' reliability, while few preceding studies were focused on correlation between famous models' attributes and automobile makers' business reliability.So far, preceding studies have not shown consistent results about the advertising effects of famous models, and in particular, their results were contradictory in terms of purchasing intention, probably because they reviewed famous models' attributes in a single dimension, not in multi-dimensions of models' attributes. Famous models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ir attribute dimensions, and therefore, the advertising effects would differ depending on which commodity would be matched by them. So, in order to stage effective advertising campaigns, it is deemed necessary to understand what advertising effects the famous model's attributes (reliability, attraction) would have in their correlation with company's reliability.Automobiles represent the commodities in which customers are involved highly. Thus, company's reliability acts as major factor affecting customers' opinions about the commodity, while customers need to make a total decision in consideration of price, performance, design and other various attributes. Therefore, the effects of advertising models are relatively lower, but recently, the attempt to match famous models' images to automobiles has been made frequently for some emotional assimilation or favorite emotion. Assuming that it may be necessary to clearly test famous models' effects on advertisement of automobiles, the following study points were set up;Study point 1. Would consumers'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s differ depending on famous model's attributes and company's reliability when they are exposed to automobile advertisement?Study point 2. Would consumer' attitude towards brands differ depending on famous models' attributes and company's reliability when they are exposed to automobile advertisement? Study point 3. Would consumers' intention of purchasing differ depending on famous model's attributes and company's reliability when they are exposed to automobile advertisements?In order to test the above hypotheses, the researcher sampled 140 male and female consumers aged between 25 and 50 for a questionnaire survey. After a preliminary survey of the models, the researcher sampled two models; one was Jang Dong-gun relatively highly attractive and the other was Ahn Sung-gi relatively highly reliable. Then, the researcher produced two versions of advertisements. The Chinese 'Xingrui' was selected as automobile brand. In order to analyze the advertising effects depending on advertiser's reliability, a virtual CNN report about the company was produced to be exposed to each test groups by differentiating the information.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overall terms, consumers' attitudes towards advertisement, brand or intention of purchasing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depending on models attributes (attraction, reliability), but their attitudes towards advertisement and brand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company's reliability. Namely, consumers responded more favorably to the advertisement by reliable company, while preferring the reliable brand. Hence, in order to achieve the marketing goals effectively, the automobile makers are obliged to enhance their reliability, because advertising effects are higher for more reliable companies.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will conduce to better understanding of rapidly changing automobile markets, consumers' trend and effective advertisements.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duce to effective decision makings about choice of the models for production of automobile advertisements.

      • 유명인모델 광고에서 적합성(match-up)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상황적 관여도와 인지적 반응을 중심으로

        박지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943

        본 논문은 적합성이 태도변화에 대한 영향에 관한 연구로 정교화 가능성 모형(ELM)에서 그려 본 인지반응과정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즉 고관여 상황의 중심경로인 경우와, 저관여 상황의 주변경로인 경우에 따라 적합성이 태도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상황적 관여도와 적합성 간의 유의적인 상호작용효과가 제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제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 상황적 관여도가 적합성보다 더 큰 효과를 보여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소비자가 제품을 인지하기 위해서는 정교화 가능성 모형에서 제시한 가정, '정보에 대한 동기(motivation)와 사고할 능력(ability)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본 실험결과를 통해서 재확인할 수 있다.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의 경우, 관여도보다 광고 속에 등장하는 모델이 지닌 설득적인 정보적 단서가 소비자 태도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 여기서 정보를 제공하는 설득적 단서가 바로 '적합성(match-up)'이다. 그리고 이러한 적합성은 유명인모델 속성을 매개하는 변인으로 태도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제품 광고의 유명인 모델 선정에 있어서 최우선되고 있는 유명인의 인지도 외에도 제품과 모델 간의 적합성(match-up)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왜냐하면 제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와 광고에 대한 소비자 태도 결과, 적합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가 비싼 모델료로 인해 상승해가는 제품의 물가를 낮추며 또한 참신한 광고모델 발굴의 필요성을 일깨워줄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This study explains how the match-up between celebrity endorsers and endorsered product has an effect on ads attitide, and product attitude in Elaboration Likability Model (ELM). The purpose of the study is like this: First, this study shows that the deifinition of match-up that has examined from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over the years can be explained in detail, such as the origin of, and the nature of match-up hypothesis. Second, this research demonstrates if match-up can be an effect in celebrity advertising as exeptional perciperal cues. The exeptional perciperal cues mean when a unit of information may have traveled through both the central and the perciperal route, as Petty, Cacioppo, and Schumann (1983) and Kahle and Homer (1985) pointed out. In a 2x2 experiment, endorser/product match-up and situational involvement manipulate after a value of match-up cannot be conpounded with likability by using a pretest which 35 subjects select 1 fitting endorser and 1 unfit endorser not only a same degree of likability. In the present study I manipulated two factors - celebrity endorser/product match-up (fit/unfit), and involvement (high/low) - and then measured attitudes toward ads and product. At this point I may venture 4 preditions based on ELM. Therefore I propose, H1-1: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attitudes toward product according to a different value of endoser/product match-up. H1-2: There is an important difference of attitudes toward ads depending on a different value of endorser/product match-up. H2-1: An endorser/product match-up effect has a more influence on attitudes toward product than a degree of involvement. H2-2: An endorser/product match-up effect has a more impact on attitudes toward ads than a degree of involvement. The study point to match-up as possibly being more important than involvement only if the match-up effect transfers to attitude toward ads. And the dimensions of match-up consist of appropriateness, relevance, fit, and belongingness (Till, and Busler 2000). But the result regarding attitude toward product is opposite. Effectiveness of product attitude is presented by the interaction effect of two factors-- involvement and match-up - and main effect of involvement. The findings explain why exceptional perciperal cues cannot be an argument based on EL theory.

      • 모델리스트 역량강화를 위한 실태조사 및 재교육 가이드라인 제안

        박성미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943

        This study identifies the role of modelist in the rapidly developing fashion industry, and grasps the reality of the modelist work characteristics and re-education in order to cultivate a manpower suitable for the digital age. The purpose is to propose a retraining guideline for the reflected retraining program. In order to collect the overall research data,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45 modelist engaged in domestic clothing companies. For data analysis, SPSS 25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program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domestic modelist, the proportion of the modelist observing the legal working hours was 72.2%, whereas 21% of the modelist belonging to the agent worked over 60 hours per week. Appeared. This is interpreted as an imbalance in working hours due to the large amount of work due to the nature of the agent. The modelist daily pattern production volume was found to be very irregular at a rate of 38.6%, which seems to be a factor influencing the modelist working hours per week. As for the main type of work in the modelist, it was found that the pattern CAD was mostly used in the main work at the ratio of pattern CAD 45.5% and hand pattern/pattern CAD 38.6%. As the proportion of pattern CAD work in the fashion industry is growing, it indicates the need for related education. In addition, most of the modelist are able to sew, so it was found that when the pattern is produced, the pattern is expressed. 2) As a result of the utilization of CAD programs, 93.2% of companies are using pattern CAD programs, and most fashion companies have introduced and used many pattern CAD programs. The pattern CAD program was found to be 48.8% of pattern/grading, and as a result of the satisfaction level of workers using the pattern CAD program, data management is easy, patterns can be accurately produced, and clean work is possible. It appeared to be.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not using 3D CAD programs was high at 79.5%, and the reason for the low utilization rate of 3D CAD programs was low cost and manpower issues and low business utilization in the company. As a result of the introduction of 3D CAD programs for each main task, 41.7% of manual pattern/pattern CAD workers and 25% of pattern CAD workers showed high intention to introduce pattern CAD workers. This is because the pattern CAD worker's working environment is based on the computer, and the pattern CAD file and the 3D CAD program are compatible. 3) From the difficulty of the modelist, the difficulty of the pattern making technique was the highest in the order of the contraction/stretching error of the fabric (M=3.57) and the difficulty of the material (M=3.30). The modelis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during pattern making, so it can be seen that fashion material education is necessary. The most difficult items when making a pattern were pants 29.7%, jacket/jumper 25.7%, and dress 16.3%. In the case of pattern making, stretch materials were 31.1% and knit materials 24.3%. Appeared to have difficulty. The problem of the modelist was that the workload was limited due to the heavy workload (M=3.72), and the work time was insufficient due to excessive work (M=3.47). This seems to be a factor influencing the overtime hours of the modelist. 4) As a result of the modelist retraining survey, the rate of experience with pattern training before work was high at 95.5%, and the period of pattern training was 2.38 years. After enrolling, the rate of re-education more than 4 times was 38.6% and no 36.4%, indicating that the retraining of the modelist is urgent. As for the problems of re-education by occupation,'level-level courses cannot be opened' (t=3.38, p<.01),'curriculum is not systematic' (t=2.39, p<.05),'necessary programs cannot be opened No.'(t=2.39, p<.05). The problem that the modelist and the pattern CAD company feel jointly shows that there is not much information from re-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y have many complaints about the problem that the re-education program does not lead to the next process after the iterative process is opened and the process ends. 5) The gender ratio of modelist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was 45.5% for men and 54.6% for women, with a slightly higher proportion of women, and the average age was 38. Fashion majors have a high rate of majoring in fashion at 81.4%. The number of trainees with a modelist of 45.5% over 11 years was high. The path of entry was 29.5% for acquaintances and 22.7% for job placement in academy.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incidence path is not systematic and the incidence is made in a subjective manner. 6)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odelist work and retraining demand survey, we would like to propose guidelines for training methods, curriculums, and lecture formats suitable for modeler's retraining. Training methods were divided into online and offline methods, and blended learning. Most modelist have difficulties in taking time to receive training outside of working hours. It widened the choice for re-education. The curriculum consisted of flat pattern(deepening), draping, sewing technique, pattern modification, pattern CAD, 3D CAD, fashion material, and fashion design. The lecture format was divided into seminar, demonstration/practice, and theory/practice. Key words: modelist work status, retraining survey, CAD program usage status, retraining guidelines, Online education, offline education, blended learning 본 연구는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패션산업 현장에 종사하는 모델리스트의 역할을 규명하고, 디지털화 시대에 적합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모델리스트의 업무특성 및 재교육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결과를 토대로 실무를 반영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재교육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반적인 연구 데이터 수집을 위하여 국내 의류업체에 종사하는 모델리스트 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과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 모델리스트의 업무 실태를 조사한 결과, 법정근로시간을 준수하는 모델리스트의 비율은 72.2%로 나타났으며, 이에 반해 에이전트 소속 모델리스트 21%는 주당 근무시간이 60시간 이상으로 초과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에이전트 특성상 업무 물량의 몰림으로 인하여 근무시간 불균형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모델리스트의 1일 패턴 제작량은 38.6%의 비율로 매우 불규칙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모델리스트의 주당 근무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보인다. 모델리스트의 주 업무 유형으로는 패턴 CAD 45.5%, 수작업패턴/패턴 CAD 38.6%의 비율로 주 업무에서 패턴 CAD를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 산업현장의 패턴 CAD 업무 비중이 커지고 있으므로, 관련 교육의 필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대부분 모델리스트는 봉제 작업이 가능하여 패턴제작 시 패턴을 표현하는데 부정확 부분이 있을 때 가봉을 통하여 정확한 패턴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2) CAD 프로그램의 업무 활용도 결과, 패턴 CAD 프로그램을 업체에서 이용하고 있다는 비율이 93.2%로 대부분 패션업체에서는 패턴 CAD 프로그램을 많이 도입하여 이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패턴 CAD 프로그램의 활용성으로는 패턴/그레이딩 48.8%로 나타났으며, 패턴 CAD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는 종사자의 이용 만족도 결과, 데이터의 관리가 용이하며, 패턴을 정확하게 제작할 수 있고, 청결하게 작업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D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는 비율은 79.5%로 높게 나타났으며, 3D CAD 프로그램의 이용률이 낮은 이유는 비용 및 인력문제와 업체에서의 업무활용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 업무별 3D CAD 프로그램 도입 여부 결과, 수작업 패턴/패턴 CAD 종사자 41.7%, 패턴 CAD 종사자 25%로 패턴 CAD를 다룰 수 있는 종사자의 도입 의사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패턴 CAD 종사자의 근무환경이 컴퓨터를 기본으로 하며, 패턴 CAD 파일과 3D CAD 프로그램이 호환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3) 모델리스트의 업무상 어려운 점에서 패턴제작 기술의 어려운 점은 원단의 수축/늘어짐 착오의 어려움(M=3.57)과 소재의 어려움(M=3.3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모델리스트는 패턴제작 시 소재의 특성을 반영하여 패턴제작을 하므로 패션 소재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패턴제작 시 어려운 아이템으로는 바지 29.7%, 재킷/점퍼 25.7%, 드레스 16.3% 순으로 나타났으며, 패턴제작 시 어려운 소재는 스트레치 소재 31.1%, 니트 소재 24.3%로 주로 신축성이 있는 소재가 패턴제작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리스트의 업무상 문제점은 작업량의 몰림으로 업무에 차질이 생김(M=3.72), 과다한 업무로 인한 작업시간이 부족(M=3.47)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델리스트의 초과 근무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보인다. 4) 모델리스트의 재교육 실태조사 결과, 업무 전 패턴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비율이 95.5%로 높게 나타났고, 패턴교육을 받은 기간에 대해서는 2.38년으로 나타났다. 입사 후 재교육 여부는 4회 이상 38.6%, 없다 36.4%로 없다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 모델리스트의 재교육이 시급한 상황인 것을 알 수 있다. 직종별 재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수준별 과정 개설이 되지 않음.’(t=3.38, p<.01), ‘커리큘럼이 체계적이지 않음.’(t=2.39, p<.05), ‘필요한 프로그램 개설되지 않음.’(t=2.39, p<.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모델리스트와 패턴 CAD사가 공동으로 느끼는 문제점은 재교육 기관의 정보가 많지 않고, 재교육 프로그램의 반복적 과정 개설과 과정 종료 후 다음 과정으로 이어지지 않는 문제점에 대해 많은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설문조사에 참여한 모델리스트의 성별 비율은 남자 45.5%, 여자 54.6%로 여자의 비율이 조금 더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 연령은 38세로 나타났다. 패션 전공자는 81.4%로 패션을 전공한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모델리스트의 재직 연수는 11년 이상 45.5%의 업무 경력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입사 경로는 지인 소개 29.5%, 학원에서 취업알선 22.7%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입사 경로가 체계적이지 않고 주관적인 방식으로 입사가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6) 모델리스트의 업무 및 재교육 수요조사 결과를 토대로 모델리스트의 재교육에 맞는 교육방법과 교육과정, 강의형식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교육방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방법, 블렌디드 러닝으로 나뉘었고, 대부분 모델리스트는 업무시간외 따로 시간을 내어 교육을 받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오프라인 교육방법이 꼭 필요한 교육과정을 제외하고는 온라인이나 블렌디드 러닝 교육방법으로 재교육에 대한 선택의 폭을 넓혔다. 교육과정은 평면구성(심화), 입체구성, 봉제 테크닉, 패턴수정, 패턴 CAD, 3D CAD, 패션소재, 패션디자인으로 구성하였다. 강의형식은 세미나, 시연/실습, 이론/실습으로 나뉘었다. 본 연구는 현업에 종사하고 있는 모델리스트의 의견을 바탕으로 모델리스트 재교육의 전반적인 실태를 비교 분석하여 향후 재교육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시도한 연구로 모델리스트의 재교육에 실무를 반영한 효과적인 반영과 체계적인 교육 과정을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핵심되는 말: 모델리스트 업무실태, 재교육 실태조사, CAD 프로그램 이용현황, 재교육 가이드라인, 온라인교육, 오프라인 교육, 블렌디드 러닝

      • 모델의 공신력과 기업의 공신력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 기능성화장품 광고를 중심으로

        박은숙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943

        이 연구 논문은 기능성 화장품 제품군에서 모델의 공신력과 기업의 공신력에 따른 광고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의도로 쓰여졌다. 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원(source)은 크게 제품 옹호인(모델)과 기업으로 나뉘어 질 수 있는데, 모델의 공신력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기존 연구가 많았던 반면, 상대적으로 기업이라는 정보원이 광고 및 브랜드에 대한 평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 논의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골드스미스 등(Goldsmith, Lafferty and Newell 2000)은 모빌(Mobil)이라는 석유회사 광고를 활용한 실험 연구를 통해, 모델의 공신력이 광고태도에는 직접적으로, 제품태도에는 광고태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기업의 공신력은 광고태도와 제품태도, 구매의도 각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밝혀 기업의 공신력 또한 모델의 공신력 못지않게 광고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부각시켰고, 김정현과 김자경(2002)은 저관여 제품을 대상으로 이들의 연구 모형을 국내에서 검증하여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해 내었다. 화장품은 여성들에게 있어 고관여, 감성적 제품에 속한다. 따라서 기존의 많은 화장품 광고에서는 제품의 기능적 속성보다는 유명인, 특히 연예인 모델의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정서적 동화를 이끌어내고자 하는 형태가 주류를 이루어왔고, 그만큼 모델의 중요성이 크다고 인식되어져 왔다. 따라서 화장품 광고에 관한 연구 역시 대개 유명인 모델의 공신력과 이에 따른 광고 효과에 초점을 두고 연구되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등장하여 확산되고 있는 기능성화장품의 경우, 정부기관 및 관련 업계로부터 기존의 일반화장품보다 기능적 효과가 뛰어나다고 인정받고 있고, 여성들이 구입시 제품의 효능·효과를 가장 중요시하는 등 이성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어 기존 화장품과 차별화되므로, 단순히 유명인 모델의 등장만으로 구매의도까지 유발시키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오히려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에 대한 신뢰도가 제품의 기능에 대한 신뢰도에 더 크고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질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능성화장품이라는 제품군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품 옹호인, 그 중에서도 유명 모델의 공신력과 기업의 공신력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능성화장품 제품군을 중심으로, 기존 유명 기업의 브랜드인 경우와 신규 무명 기업의 브랜드인 경우를 구분하여 유명 모델의 공신력과 기업의 공신력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모델의 공신력은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연구문제 2> 기업의 공신력은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연구문제 3> 모델의 공신력과 기업의 공신력의 영향력 중 어느 요인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인가? <연구문제 4> 유명 기업과 무명 기업의 경우, 모델의 공신력과 기업의 공신력의 영향은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문제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능성화장품의 주요 대상인 25∼54세 주부 161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무명 기업의 유명 모델 광고, 유명 기업의 유명 모델 광고 2편을 임의로 제작하여 주부들에게 광고를 보여준 다음 해당 광고에 대한 설문(모델의 공신력 및 기업 공신력,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 등 소비자 반응에 관한 항목들)을 실시하였는데,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실제로 존재하는 기업 브랜드 '태평양'과 무명의 가상 브랜드 '월드코스메틱'을 선정하였다. 본 실험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을 통해 모델의 공신력이 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결과 모델의 공신력은 광고 태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는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2>를 통해서는 기업의 공신력이 광고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기업의 공신력은 광고태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브랜드태도에는 대체로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구매의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 연구들과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연령대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기업의 공신력은 상대적으로 젊은 소비자에게 중요한 고려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가 기존 선행연구와 차별되는 또 다른 점은 광고태도가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는 점으로, 이는 기존 연구들이 저관여 제품만을 대상으로 실시된 반면 기능성화장품은 조사대상인 여성들에게 고관여 제품에 속하므로 소비자들이 구매 의사 결정에 더 신중을 기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구문제 3>을 통해서는 모델의 공신력과 기업의 공신력 중 어느 것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요인인가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광고태도에는 모델의 공신력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는 모델의 공신력보다 기업의 공신력이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태도에 대해 모델의 공신력은 광고태도를 통한 간접효과만을 지니지만, 기업의 공신력은 직접효과 및 광고 태도를 통한 간접효과를 동시에 갖는 경우가 많아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문제 4>를 통해서는 기업의 유명도에 따라 모델의 공신력과 기업의 공신력 중 상대적으로 어느 쪽이 더 중요한 요인이 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는데, 무명기업일 경우 기업 공신력이 광고 태도 및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젊은 연령층에서 그 중요도가 크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실증적 분석 결과,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는 모델 공신력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는 기업 공신력의 영향이 모델의 공신력보다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능성 화장품이라는 제품군의 속성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화장품 광고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는 어떤 기업의 제품이냐 라는 것보다 누가 모델로 출연하였느냐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되지만, 화장품 광고를 통해 브랜드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거나 구매의도까지 유발시키기 위해서는 기업의 공신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날로 성장하는 기능성화장품 제품군과 광고에 대한 이해를 높여 보다 효과적인 화장품 광고 제작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ndorser credibility and corporate credibility on advertisements; on attitude-toward-the-ad(Aad), attitude-toward-the-brand(Ab), and purchase intentions(PI). Advertisers frequently use endorsers as credible sources to influence consumers'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Endorser or spokesperson credibility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in the academic literature. In this context, endorser credibility refers to the extent to which the source is perceived as possessing attractiveness, expertise relevant to the communication topic and can be trusted to give an objective opinion on the subject. Corporate credibility-the reputation of a company for honesty and expertise- is another type of source credibility that can influence consumer reactions to ads and shape brand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Goldsmith, Lafferty and Newell(2000) showed that corporate credibility works through all of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variables, while endorser credibility works only through its impact on Aad and Aad's effects on other variables. Kim and Kim(2002) demonstrated their study in the context of 4 low involvement products in Korea, and met with the same results. Their study, however, did not test for high involvement products. This study extends their findings by using two fictitious but realistic ads in testing simulation to test a model of the simultaneous relationship among corporate and endorser credibility and measures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This study seeks to test a model of the combined effects of endorser and corporate credibility on reaction to advertising. To this end,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up; H1 : Endorser credibility influences positively on attitude-toward-the-ad, attitude-toward-the-brand, and purchase intentions. H2 : Corporate credibility influences positively on attitude-toward-the-ad, attitude-toward-the-brand, and purchase intentions. H3 : Endorser credibility and corporate credibility make different impacts on attitude-toward-the-ad, attitude-toward-the-brand, and purchase intentions. H4 : The advertising effects of endorser credibility and corporate credibility are different in the context of high and low credibility of companies. I surveyed 161 female consumers in the age of 25~54. Two advertising copies of a new brand 'Miracle' with the same model 'Kim Hee-ae' were sampled for this study in consideration of their corporate credibility: ① Ad of Taepyungyang, the most famous cosmetics company in Korea, that is assumed of more credibility, ② Ad of World Cosmetics, a not-known company, of less credibility. They rated the credibility of the ad's endorser, the credibility of the companies, and Aad, Ab, and PI.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Path analysis confirmed that endorser credibility had the most direct and strong impact on Aad, while corporate credibility had its strongest impact on Ab. The findings suggest that corporate credibil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sumers' reactions to brands, independent of the equally important role of endorser credibility. But corporate credibility did not influence on PI, and there was no direct effect on PI of Aad in comparison with the preceding studies. It might be accounted for the difference of product involvements. The difference of advertising effects depending on consumers' age was found. It was found that the older a consumer was, the advertising effect of endorser credibility was higher. In contrast, those in their 20's and 30's were affected more by corporate credibility in terms of their Ab. And the advertising effects of endorser credibility and corporate credibility were partially different in the different type of ads. Corporate credibility played more important role in consumers' reactions to ads and brands in the ad of World Cosmetics which had less credibility. From these results, we can see that endorser credibility and corporate credibility influence on Aad, Ab, and PI in a little different ways. Future studies should attempt 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l impact of both corporate credibility and endorser credibility in models containing a variety of additional constructs.

      • 모델의 시범유형이 초등여학생 배구 언더토스 기능의 습득과 파지에 미치는 영향

        신정훈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모델의 시범 유형이 초등학교 여학생의 배구 언더토스기능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배구에 대한 학습경험이 없는 초등학교 6학년 여학생 48명을 동료모델 관찰집단, 동료우수모델 관찰집단, 교사모델 관찰집단, 교사우수모델 관찰집단에 12명씩 무선 배정하여 각 집단별로 모델의 시범을 관찰하게 하고 습득단계와 파지단계의 수행결과를 집단별, 분단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습득단계는 한 분단을 10회씩 하루 2분단씩 3일간 실시하였으며, 파지단계는 습득시행 24시간 후에 모델의 시범 없이 5회씩 2분단을 실시하였다. 습득단계의 실험설계는 4개 연습집단과 6개의 분단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4×6의 요인설계로 이원분산분석을 하였으며, 파지단계는 4개의 연습집단과 2분단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4×2의 요인설계로 이원분산분석을 하였다. 통계적 자료 분석은 SPSS/PC 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동료우수모델 관찰집단이 동료모델 관찰집단보다 습득과 파지 단계에서 운동수행 결과가 더 우수하였다. 2) 교사우수모델 관찰집단이 교사모델 관찰집단보다 습득과 파지 단계에서 운동수행 결과가 더 우수하였다. 3) 동료모델 관찰집단이 교사모델 관찰집단보다 파지 단계에서 운동수행 결과가 더 우수하였다. 따라서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교사우수모델 뿐만 아니라 동료우수모델과 동료모델의 시범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demonstration type of model on the Volleyball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bjects were divided 48 6th grade girls who have never played the game before into four groups randomly assigned 12 subjects : A mate model observation group, A mate skilled model observation group, A teacher model observation group, A teacher skilled model observation group and each group observed demonstration of model and therefore analyzed the result of performance on acquisition phase and retention phase in blocked practice groups and practice groups. Every two blocked practice group performed 5 trials without demonstration of model in the retention phase 24 hours after each blocked practice group performed 10 trials ( practice two block a day ) for 3 days in the acquisition phas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two-way ANOVA and factorized as independent variable with 4 practice groups and 6 blocked practice groups for 3 day 4×6 in the acquisition phase and with 4 practice groups and 2 blocked practice groups 4×2 in the retention phase. Statistical analysis put to use SPSS/PC 10.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n the Acquisition and Retention phase of the Volleyball ability learning, a mate skilled model observation group were more effective than a mate model observation group. 2) In the Acquisition and Retention phase of the Volleyball ability learning, a teacher skilled model observation group were more effective than a teacher model observation group. 3) In the Retention phase of the Volleyball ability learning, a mate model observation group were more effective than a teacher model observation group. Therefore, it make the best use of demonstration of model not only a mate skilled but also a teacher skilled in elementary physical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