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메타인지적 전략을 활용한 수업에서 나타난 수학적 의사소통의 특징 연구

        김지홍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시 되고 있다. 수학에서 문제의 답을 구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다양한 상황에서 수학적 용어, 기호 등을 사용하여 수학적 표현방식으로 생각을 교환하기 위한 읽고, 쓰고, 말하고 듣는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이 학습자의 사고력과 관련이 있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메타인지 수준과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메타인지적 전략을 활용한 수업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의사소통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메타인지 수준과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사이에는 관계가 있는가? 나. 메타인지적 전략을 활용한 수업 과정에 나타나는 수학적 의사소통의 변화과정에서 특징은 무엇인가? 1) 문어적 표현(쓰기, 읽기)에서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가? 2) 구어적 표현(말하기, 듣기)에서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선, 메타인지 수준과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7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검사결과를 통계적인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메타인지 수준과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메타인지적 전략을 활용한 수업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4명의 학생을 선정하여 실험수업을 하였으며, 실험수업은 6차시로 이루어졌다. 학생들의 활동 전 과정을 비디오 촬영과 음성녹음을 하고, 면담과 관찰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인지적 전략을 활용한 수업 과정에서 학생들이 나타내는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변화 및 특징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가의 결과는 메타인지 수준과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인지의 하위 요소인 인지전략, 계획하기, 자기점검의 세 요소별로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나-1)의 결과는 수업이 차츰 진행됨에 따라 문어적 표현의 쓰기에서는 수학적 언어 사용능력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읽기에서는 집중력과 이해력이 다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나-2)의 결과는 수업이 차츰 진행됨에 따라 구어적 표현의 말하기에서 일상 언어와 수학적 언어를 적절이 사용하게 되었으며, 대화에 참여도가 높아졌다. 특히, 솔직하게 틀린 내용을 이야기 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그리고 듣기에서는 점차 집중하여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고 이해하려는 모습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메타인지 수준과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사이에 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에서 ‘사고에 대한 사고’인 메타인지가 자신의 생각, 느낌 등을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메타인지를 습득함으로써 단순한 지식을 학습하는 것을 벗어나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적절히 활용하여 그것을 표현하는 의사표현 능력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 올 수 있다고 판단되어 진다. 그리고 메타인지적 전략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여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변화와 특징을 분석하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사고하는 방법을 습득해 가면서 자신의 사고를 정리하고 반성적 사고를 하게 되어 논리적인 수학적 표현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동료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반성을 하게 됨으로써 상대방의 의견을 반영하여 서로를 이해시키고 적극적으로 의사를 표현하게 된 것이다. 문제를 풀어 해답을 구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결과뿐 아니라 그 과정과 그리고 그것을 옳게 표현하여 자신의 의견을 수학적 용어를 이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메타인지는 스스로 반성하고 깊이 사고할 수 있는 기회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자신의 사고를 수학적 용어를 이용하여 표현하는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과 긍정적인 관계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한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한 다양한 교수 학습법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oday, the communication ability to express one's thoughts and opinion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lthough it is important to get correct answers in math,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to read, write, speak and listen in mathematical way using mathematical terminologies and signs is also important. This study is based on the supposition that students'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ies are relevant with their thinking 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metacognition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and then based on the results analyzing the features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detected during classes that utilize metacognitive strategy. In order to accomplish such aim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A. How is the level of metacognition is related to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B, What are the features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detected during classes that utilize metacognitive strategy 1) What features of written expression (writing and reading) are detected? 2) What features of colloquial expression (speaking and listening) are detected? A survey involving 170 second year high school students was conducted to test their levels of metacognition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metacognition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Furthermore, in order to examine the features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detected during classes that utilize metacognitive strategy, a case study was carried out. Four students were selected, and given six experimental classes. The students' entire activities were videotaped and their voices were all recorded. Besides, interviews and observations were conducted as well. In the study,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changes and features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detected during classes that utilize metacognitive strateg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answer to research question A is th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quantitativ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level of metacognition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and each of the three sub-factors of metacognition, cognition strategy, planning and self-monitoring, found th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quantitativ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and each of the three sub-factors of metacognition. The answer to research question B-1) is that as students received classes, they showed improvement in the ability to use mathematical language in writing, one of written expressions. The answer to research question B-2) is that as students received classes, they became able to properly use ordinary language and mathematical language in speaking, one of colloquial expressions, and participated in dialogue more frequently. What was especially impressive is that they frankly talked about the questions on which answered incorrectly. Besides, they made more efforts to concentrate and listen well what they were hearing to understand it.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The fact that a quantitativ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level of metacognition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indicates that metacognition, 'thoughts on thoughts,' has a positive effect on mathematical ability to express one's thoughts and feelings in mathematical way. This means that by acquiring metacognition, students do not stop at simply gaining knowledge and go further to utilize their knowledge appropriately, bringing in positive changes in their communication ability to express it. In addition, through conducting classes that utilize metacognitive strategy, the changes and features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were confirmed and analyzed. That is, while acquiring a way of thinking, students become able to arrange their thoughts, perform reflective thinking and use logical mathematical expressions. Besides, by reflecting themselves through interactions with colleagues, students come to reflect others' opinions and aggressively express their thoughts, understanding one another. Although it is important to get correct answers to questions, the process of acquiring answers and expressing one's opinions using mathematical terminologies are more important. In this regard, metacognition, which provides opportunities to reflect for oneself and think deeply, is positively related to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to express one's thoughts using mathematical terminologies. Based on this, more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on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utilize metacognitive strategy for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 메타인지 독해 전략 훈련이 영어 독해 추론력에 미치는 효과

        정민영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Effects of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y Training on English Inferential Reading Comprehension Regarding the acquisition and the use of learning strategies, metacognition - the ability to perceive and to control one's own information processing procedure- has been emphasized and the research about metacognitive strategies which involves planning, monitoring and evaluating one's learning strategies has been actively studied. Previous research shows that compared to the poor readers, skillful readers are more aware of the reading strategies they use and use metacognitive strategies more often. Based on the research, metacognitive strategies training is shown to be needed for the successful reading. This study divided the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y training into two types, embedded strategies training and detached strategies training, according to its relation to reading context and strategy explicit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wo types of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y training on student's inferential reading comprehension. First, does one type of strategy training improve students' inferential reading comprehension better than the other? Second, does one type of strategy training improve students' inferential reading comprehension depending on the complexity of the text than the other? Third, does one type of strategy training facilitate students' metacognitive strategy awareness better than the other? For the research, 30 high school students in private institute in Seoul were sampled as subject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at embedded strategy training and detached strategy training are treated respectively. The strategy training was conducted 3 times for 2 weeks. All subjects were given pre and post test and metacognitive strategy awareness questionnaire. Two students from each group were also interviewed to figure out their strategy use. The data were analysed by t-test.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that was given detached strategy training showed improvement in inferential reading comprehension. Second, th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post reading tes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group that was given detached strategy training showed improvement in low-complex questions of inferential reading comprehension test. Fourth,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given embedded strategy training showed improvement in metacognitive strategy awarenes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metacognitive strategy training detached from curriculum and reading context is effective on improving students' inferential reading comprehension. Second, metacognitive strategy training detached from curriculum and reading context is important to increase students' understanding of inferential reading context, expecially in low-complex text. Considering this, the instructor can lead the students to better perception and effective usage of reading strategies by introducing the strategies explicitly. Third, teaching metacognitive strategies within the reading context focusing on meaning can facilitate students' strategy awareness. So, to have students be aware of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and use them, it is important for the instructor to introduce new strategies within the context. 메타인지 독해 전략 훈련이 영어 독해 추론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 전략의 습득 및 사용과 관련하여 학습자가 스스로의 정보 처리 과정을 인지하고 이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인 메타인지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전략을 계획, 감시, 평가하는 메타인지 전략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특히 독해 학습과 관련하여 독해에 능숙한 학습자는 그렇지 않은 학습자에 비해 메타인지 전략을 더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성공적인 독해 학습을 위한 메타인지 독해 전략 훈련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본 논문은 전략 훈련을 통해 지문 내용과의 관련성 및 전략의 명시성에 따라 내재적 전략 훈련과 외재적 전략 훈련으로 구분하고 두 전략 훈련이 학습자의 영어 독해 추론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내재적 전략 훈련 집단은 영어 교과과정 안에서 독해 지문의 내용과 구조를 직접적으로 조작하면서 메타인지 독해 전략을 배우는 전략 훈련을 받았고, 외재적 전략 훈련 집단은 교과과정과 분리되어 독해 전략 그 자체를 배우는 전략 훈련을 받았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내재된 메타인지 독해 전략 훈련과 외재적 메타인지 독해 전략 훈련이 학습자의 독해 추론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가? 둘째, 문항의 난이도에 따라 내재된 메타인지 전략 훈련과 외재적 메타인지 전략 훈련이 독해 추론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가? 셋째, 내재된 메타인지 독해 전략 훈련과 외재적 메타인지 독해 전략 훈련은 학습자의 독해 전략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가?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사설 영어 교육 기관의 고등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 대상자를 각각 내재적 전략 훈련과 외재적 전략 훈련을 처치한 실험집단으로 나누고 2주간 3차례의 전략 훈련을 실시하였다. 사전, 사후 독해력 검사와 메타인지 인식 검사가 주어졌고, 각 집단에서 선택된 두 명의 학생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검사 결과는 독립표본과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재적 전략 훈련을 받은 집단이 영어 독해 추론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하지만 두 집단 간의 사후 독해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재적 전략 훈련을 받은 집단이 난이도 하의 독해 문항에서 독해력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내재적 전략 훈련을 받은 집단이 메타인지 독해 전략 인식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제시할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재적 메타인지 독해 전략 훈련은 학습자의 독해 추론력 향상에 효과적이다. 둘째, 외재적 메타인지 독해 전략 훈련은 난이도 하의 독해 지문에서 학습자의 추론적 독해 이해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을 고려해 볼 때, 교사는 명시적으로 전략들을 소개하면서 학생들이 독해 전략들은 인지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이끌 수 있다. 셋째, 내재된 메타인지 독해 전략을 가르치는 것은 학습자의 전략 인식을 촉진시킨다. 따라서 학습자가 전략을 인지하고 사용하게 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독해 문맥 안에서 새로운 전략을 소개하는 것이 중요하다.

      • 메타인지, 자아탄력성, 학업스트레스 그리고 학습몰입의 구조적 관계모형 검증 : 중학생을 대상으로

        정영남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메타인지와 학습몰입 간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중학교 1곳에 재학 중인 2~3학년 남녀 중학생 30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은 메타인지, 자아탄력성, 학업스트레스, 학습몰입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먼저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연구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 검증을 위해, 측정모형 검증, 연구모형의 적합성 확인, 최종모형의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인지는 학습몰입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메타인지와 학습몰입 간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학업스트레스는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메타인지와 학습몰입 간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에 비해 보다 더 강력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타인지가 자아탄력성과 학업스트레스를 거쳐 높은 학습몰입으로 이어지는 이중매개효과 또한 지지되었다. 이 결과는 메타인지는 높은 수준의 자아탄력성과 낮은 수준의 학업스트레스를 통해 중학생 시기의 학습몰입에 긍정적으로 연결됨을 시사한다. 특히, 자아탄력성과 학업스트레스란 매개변인이 투입된 뒤에도 메타인지는 여전히 학습몰입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본 결과는, 본격적으로 학습에 몰입하고 공부습관을 형성하는 중학생 시기에 메타인지의 중요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겠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학업 관련 상담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고, 아울러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current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go - resilience and academic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and learning commit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304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The survey consisted of meta - cognition, ego - resilience, academic stress, and learning commitment.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3 software. First, the correlations of the main variables were examined. Meta - cogni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go - resilience, and learning commitment. Academic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eta, ego, and learning commitment. .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main variables were as follows: First, meta-cognition significantly predicted learning commitment. Second, ego - resilience and academic stress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 - cognition and learning commitment. Ego -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more powerfu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and learning commitment than academic stress. This result suggested that meta-cognition positively linked to learning commitment through higher levels of ego - resilience and decreased academic stress. These results suggested the importance role of meta - cognition in gaining positive learning experiences during the middle school grad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effect of effective counseling interven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suggest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 메타인지의 수학교육적 활용 방안

        이은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수학교육의 목표 중 하나인 문제 해결 능력을 위해 그동안 수학교육학계에서는 수학 문제 해결에 관한 연구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러한 연구 노력은 대부분 수학 문제나 수학 문제와 유사한 문제에 대한 해결과정에 나타나는 인지적 전략이나 인지작용의 과정, 인지작용의 산물 등에 집중되어 왔다. 또, Lester(1985)는 "학생의 문제 해결력을 개선하려는 많은 연구가 실패한 것은 발견술적 기능의 개발을 지나치게 강조하였으며, 이로 인해 학생 자신의 활동을 조정하는 관리적 기능을 무시한데 그 원인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그는 학생들이 문제 해결 능력을 발달시키기 어려운 이유를 다음과 같이 들고 있다. 첫째, 문제해결의 적절한 기회가 주어지지 않기 때문이며, 이에 대한 연구는 학습자의 모든 요소를 충분히 고려하여 문제 해결에 대한 여러 경험을 갖도록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문제해결은 복잡한 인지적 행동이므로 몇 가지 수학 내용을 직접적으로 적용하는 것 이상을 요구한다. 학생 개개인이 실제로 문제에 접하게 될 때, 성공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원인에는 비인지적이거나 메타인지적인 요인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학생들의 성공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문제해결 과정을 수학 인식론적 입장에서 분석하거나 접근하는 방식 외에 개개인의 심리적인 측면을 존중하는 메타인지적 관점에서 문제 해결 행위를 분석하는 것도 필요하다.

      • 메타인지 활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정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메타인지 활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메타인지 활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메타인지 활용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문제해결과정에서 보이는 메타인지 활용 양상의 변화는 어떠한가? 첫 번째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ㄷ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 5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사전검사를 통해 동질성 여부(t(50)= .302, p>.05)를 확인하고, 실험집단(25명)에는 메타인지 활용 수업을 비교집단(27명)에는 일반적 수업을 적용하였다. 메타인지 활용 수업은 이양기(1997), 김애경(1996), 조재영(1996)의 연구를 참고하였으며, 수업활동으로 교사는 학생들의 메타인지적 사고와 활동을 안내․촉진하는 언어적 자극을 제공하며, 학생들은 의사소통을 통한 정보 및 의견 교환과 자기질문하면서 문제해결하는 연습을 하도록 하였다. 실험처치는 5주간 20차시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사 결과를 독립표본 t-검증하였다. 또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기준으로 상, 중, 하로 구분하고 사전․사후검사를 대응표본 t-검증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메타인지 활용 수업이 진행되는 실험집단에 속한 상위수준 1명, 중위수준 1명의 문제해결과정을 5주간 1주 1회씩 관찰, 면담하였다. 이 과정은 모두 녹화되었으며 Flavell(1985, 1987)과 Brown(1987)의 메타인지 분류에 따라 제작한 코딩 체제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인지 활용 수업은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상위수준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상위수준과 중위수준 학생 모두 수업을 통해 습득한 새로운 메타인지적 지식(전략)을 활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상위수준의 학생은 특히 메타인지적 기능의 활용 변화가 두드러졌는데,인지과정의 조절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점검과 평가의 활용 변화의 정도가 컸다. 넷째, 중위수준의 학생은 메타인지적 지식의 활용에 있어서 변화의 모습을 보인데 비해, 메타인지적 기능의 활용은 일관적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메타인지 활용 수업이 아동의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특히 학업성취 수준이 높은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향상에 도움을 주었음을 나타낸다. 또한 메타인지 활용 수업을 받은 학생들은 문제해결 시 메타인지의 활용에 있어 변화된 모습을 보이며, 인지능력 및 메타인지 발달 수준에 따라 활성화되는 영역에서는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메타인지적 개입을 계획․실행할 때 인지수준에 있어서의 개인차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각 개인에게 부족한 메타인지적 영역의 활성화를 도모해야 함을 시사한다.

      • 메타인지 전략 중심의 소집단 독서토론이 독서 능력 및 읽기 동기에 미치는 영향

        전상은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effects of small group reading discussion centered on metacognitive strategy on reading ability and reading moti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reading discussion based on meta-cognitive strategy affects the reading ability of small group of 10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I focused on analyzing how reading ability and reading motivation are changed through reading patterns and reading patterns in reading discussion dialogue during small group reading discu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concept of metacognition strategy as a factor to change the process of cognition and to improve the reading ability by metacognition strategy and the reading ability to promote cognitive activation by reading discussion.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meaning is composed, I explained the concept and variables of reading ability. In order to clarify the read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 investigated the study of reading instructional instruc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ading motivation,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reading level. In addition, we examined the types and effects of reading discussions, which are considered to be the core of interactive teaching and learning as a social construct. This study is an integrated model study that analyzes the read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ased on the collected 12-week reading discussion conversation data.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0 experimental group and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For the experimental group, 5 students were experimented with small group reading teaching - learning activities using meta - cognitive strategy and 5 groups were applied reading activities without reading discussion teaching - learning instruction. 4 books of literary texts and 1 volume of information texts were selected. After reading the book every week, the researchers participated in a small group reading discussion class focused on meta - cognitive strategy. The test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word - word recognition ability, background knowledge diagnosis, reading ability, and reading ability test using 'Daesung Reading Diagnosis', a non - formal diagnostic tool. The reading motivation test was developed by Wigfield & Guthrie (1997). The motivation for reading questionnaire (MRQ) was composed of four motivational reading motives among 11 motives of reading motivation. The questionnaire was deleted and 20 items were reconstructed. A variety of materi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verify the students' reading abilit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research problems set up are as follows. 1. Does the small group reading discussion centered on meta-cognitive strategy affect the read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2. Does small-group reading discussion centered on meta-cognitive strategy affect elementary students' reading ability?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tasks, 5 students in the 6th grade who attended more than 2 years in the reading class led by the researcher in Bucheon city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5 students in the 6th grade , And a reading discussion program was conducted 10 times for 4 months, 5 books for 2 times. In the first and 12th grade, 12 literacy tests were conducted because of reading ability and pre - and post - test of reading motivation. In the reading class, the experimental group taught teaching - learning through a small group reading discussion centered on the metacognition strategy, and the comparative group tri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reading discussion activity by carrying out an experimental treatment to read only books without teaching - learning i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reading ability and metacognition and reading ability,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action to reading ability and reading motiv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ading activity is related to metacognition because the influence of students' metacognitive strategi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reading ability of small group reading and discussion teaching - learning process are significant. Second, small group reading discussion focused on students 'meta-cognitive strategies influenc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ading ability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ability process and the focus of their reading ability. Third, small group reading discussion through meta - cognitive strategy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g motivation between two groups, but it was confirmed that i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Fourth, small group reading discussion instruction centered on meta - cognitive strategy could be more effective than reading ability as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메타인지 전략 중심의 독서토론이 초등학생 6학년 10명의 소집단을 대상으로 독서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메타인지 전략 중심의 소집단 독서토론 지도를 하면서 독서토론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변화 양상을 독서진단이라는 도구를 통해 독서 능력, 읽기 동기가 실증적으로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메타인지 전략이 이해력을 상승시키고 인지의 과정을 변화시키는 요인으로서 메타인지 전략의 개념을 설명하고, 메타인지 전략에 의한 독서 능력 향상 효과와 독서토론에 의한 인지 활성화를 도모하는 독서 능력을 사회적 의미구성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독서 능력의 개념과 변인을 설명하였다. 초등학생의 독서 능력을 규명하기 위한 배경으로 초등학생의 읽기 동기와 발달 특징과 읽기 수준에 맞는 독서 교수-학습 지도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였다. 또한, 사회적 구성으로서의 상호작용 교수-학습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는 독서토론의 유형과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는 12주간에 걸친 소집단 독서토론에서 상호작용하는 자료를 수집하고 진단 도구를 통해 진단하여 이를 근거로 양적, 질적으로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독서 능력을 분석한 통합 모형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0명의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 5명에게는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한 소집단 독서토론 교수-학습 활동을 실험처치 하였으며, 비교집단 5명에게는 독서토론 교수-학습 지도 없이 독서 활동만을 적용하였다. 문학 텍스트는 4권, 정보 텍스트는 1권으로 총 5권의 도서를 선정하여 본 연구자가 매주 읽은 뒤 메타인지 전략 중심의 소집단 독서토론 수업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 도구는 비형식진단 도구인 ‘대성 독서 진단지’를 사용해 단어-단어인식 능력 진단, 배경지식 진단, 낭독(묵독)능력 진단, 독서 능력 진단을 실시하였다. 읽기 동기 검사지는 Wigfield & Guthrie(1997)이 개발한 읽기 동기 질문지(MRQ: Motivation for Reading Questionnaire)이며, 읽기 동기의 11개 구인 중 본 연구자가 4개의 읽기 동기 구인으로 구성하였고, 53문항에서 중복되는 문항을 없애고 20문항으로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학생들의 독서 능력 규명에 있어서 자료를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이루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메타인지 전략 중심의 소집단 독서토론이 초등학생의 독서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2. 메타인지 전략 중심의 소집단 독서토론이 초등학생의 읽기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상의 연구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부천시에 소재한 본 연구자가 지도하는 000 독서교실에 2년 이상 다닌 6학년 5명을 실험집단으로, 독서토론 관련 학습 경험이 전혀 없거나 저학년 때만 다닌 경험이 있는 6학년 5명을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여 4개월 동안 5권의 책을 2차시씩 10회에 걸쳐 독서토론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1차시와 12차시에는 독서 능력과 읽기 동기 사전·사후 검사를 진행하여 총 12차시를 진행하였다. 독서수업 과정은 실험집단은 메타인지 전략을 중심의 소집단 독서토론으로 교수-학습 지도를 하였고, 비교집단은 교수-학습 지도가 없이 도서만 읽는 실험 처치를 해 독서토론 활동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메타인지와 독서 능력에 대한 교육적 의의 및 독서토론에 대한 의의를 살펴보고, 독서 능력과 읽기 동기에 대한 초등학생의 반응변화를 진단 및 관찰 분석하여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메타인지 전략이 소집단 독서토론 교수-학습 과정에 나타나는 특징과 독서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므로 독서 활동이 메타인지와 관련되어 있다. 둘째, 학생들의 메타인지 전략 중심의 소집단 독서토론이 독서 능력 과정에 나타나는 특징과 그들의 독서 능력의 초점이 어디에 있는지를 규명함으로써 초등학생의 독서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셋째, 메타인지 전략을 통한 소집단 독서토론이 읽기 동기에 두 집단 간의 통계적 차이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지만, 질적 분석을 통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확인하였다. 넷째, 메타인지 전략 중심의 소집단 독서토론지도가 교수-학습 자료로서 독서 능력보다 더 효과적인지 규명할 수 있었다.

      • 메타인지를 활용한 유추 활동이 초등학생의 영어 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

        최수경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Effectiveness of Analogy Activity Using Meta-cognition Strategy on Primary School Students' Word Reading and Writing in English Classro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nalogy activity on word reading and writing by using meta-cognition strategy. For the research, 42 students in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sampled as subjects. All students were given a pre-test to assess their levels for word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They were then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group B, as thd control group.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hen taught analogy activity using meta-cognition strategy on word reading and writing for 8 weeks.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were taught in routine analogy activities in word reading and writing. Then students were given a post-test which was same as the pre-test. The data statistically analysed.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were as follows; First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ost evaluation of word reading and especially writing abilities compare to the control group. This result reveals that teaching word reading and writing using analogy activity using meta-cognition strategy is more effective than general analogy reading and writing instruction. Secondly, the analogy instruction using meta-cognition strategy improved word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of transfer words. It proves the effect of phoneme-grapheme corresponding by using analogy activities using meta-cognition strategy on word reading and writing. As well as analogy strategy, direct and explicit teaching of general rules of spelling improved the word decoding and encod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suggestions and studies that are needed in the future are as follows. Firstly, elementary teachers should teach develop creative instructional materials to make the lesson interesting. Secondly, teachers need to enhance analogy and meta-cogmition strategies instruction on word reading and writing, because word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was improved after teaching analogy activity by using meta-cognition strategy. Third, teachers should focus in teach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to low level students. Lastly, it would be meaningful if there is a further study on the effects of word learning instruction on fluency and accuracy in speaking and listening. 메타인지를 활용한 유추 활동이 초등학생의 영어 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인지를 활용한 유추 활동이 초등학생의 영어 단어 읽기와 쓰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그 효과를 학습자 언어 능력 수준에 따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 노원구 소재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사전·사후 단어 읽기와 쓰기 능력 평가를 통해 동질집단으로 검증된 두 집단을 실험집단 21명, 통제집단 21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 연구는 8주 동안 주 1회 40분씩 총 8차시에 걸쳐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실험집단에는 단어 분석 과정에서 발견한 철자와 소리 관계에 대한 지식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함으로써 메타인지를 활용한 유추 활동을 지도하고 통제집단에는 단어 분석 과정에서 설명하기를 제외한 유추 활동을 지도하였다. 8차시의 수업이 끝난 후 실시된 사후 단어 읽기와 쓰기 평가 결과를 t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어 유추 활동에 대한 메타인지 전략 사용 여부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두 집단에 메타인지 전략 활용에 차이를 두었을 뿐 공통적으로 유추 활동을 지도하였기 때문에 집단 간 단어 읽기 능력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한 단어 유추 활동이 단어 읽기에서의 유추 능력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인지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소리와 철자 관계에 대한 지식을 학습자 스스로 발견하고 설명함으로써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유추 활동을 명시적이고 구체적으로 연습할 수 있었고 이것은 곧 아는 단어를 바탕으로 모르는 단어의 소리와 스펠링을 유추하는 활동을 효과적이고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셋째, 메타인지를 활용한 단어 유추 활동은 중위 집단 학생들의 읽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하위집단의 학생들에게는 유의한 향상이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 영어 기능어 학습에 제시할 수 있는 시사점과 후속 연구가 필요한 영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읽기와 쓰기 학습자에게 단어 인지 및 소리와 철자의 관계에 대한 지식 습득을 발달시키기 위해 메타인지를 활용한 유추 활동 이외에도 다양한 지도 방안을 도입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한 유추 활동이 단어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연구가 있어야 한다. 셋째, 단어 읽기나 쓰기 하위 기능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대상을 다양화하여 읽기와 쓰기에 어려움을 겪는 하위집단이나 더 연령대가 낮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같은 처치를 했을 경우의 효과 차이를 심도 있게 연구해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인지전략 자기주도학습과 메타인지전략 자기주도 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김원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전략 자기주도학습과 메타인지전략 자기주도 학습이 자기주도 학습능력 향상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을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메타인지전략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은 인지전략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보다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 정도에 상이한 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대상으로 경기도 남양주시소재 B초등학교 4학년 학생으로 실험집단 40명, 통제집단 41명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노희정(2001)이 고안한 메타인지전략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전문가의 검토를 받은 후 교수- 학습 과정안을 작성하여 사용하였으며 인지전략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은 O'Malley & Chamot(1995)가 개발한 수업모형에 Oxford(1990)가 분류한 인지전략을 투입한 교수 학습 절차를 적용하여 본 연구자가 교수-학습과정안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12주간 36차시를 적용하였으며 실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한 검사도구는 현정숙(1999b)의 자기주도학습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에 집단간 차이를 t검증하고 사후에 각 요소들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밝히기 위하여 중다변량분석(MANOVA)을 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메타인지전략 자기주도학습을 처치한 실험집단과 인지전략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을 처치한 통제집단간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사후 검사 결과 실험집단이 개방성, 긍정적 자아개념, 자율성, 내재적 동기, 창의성, 자기 평가에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가설을 긍정되었다. (P< .01) 즉, 메타인지 전략 활용 수업은 인지전략 수업보다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이다. 이는 메타인지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시키는데 유용한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이론과 일치하며 교과관련 메타인지가 일반적 메타인지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치며, 학생이 어떤 내용 영역에 대해 지식과 흥미를 많이 가질수록 그리고 영역에서의 지식이 더욱 응집력 있고 구조화 될수록 그 영역에서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은 높아진다. 그러므로 보다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습자에게 영역 특정적 지식이 확보되어야한다(Weinstein & Mayer, 1986)는 이론과 같이 사회과 교과학습에서의 영역 특정적 지식을 획득하는 과정을 통해 메타인지능력을 배우고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러므로 메타인지전략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 학습이 인지전략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보다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임이 증명되었다. ※ 이 논문은 2004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초등교육)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uch the cognitive strategy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and the meta-cognitive strategy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influence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roblem was formulated as follows: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improvement between the cognitive strategy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and the metacognitive strategy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On the basis of the problem, the hypothesis was formulated as follows: The cognitive strategy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and the meta-cognitive strategy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will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students. To verify this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40, 4th grade students and comparative group consisted of 41 4th grade students of B elementary school in Nam Yang Ju, Kyung Gi Do. The treatments were for 12 weeks(36 sessions). In this research, two different treatments were used for each of the cognitive strategy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and the metacognitive strategy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One was a revised one with the advice of the professor based on the instruction-learning procedure developed by Hwee Jung Noh(2001). The other was a produced one based on the class model developed by O'Malley & Chamot(1995) and the 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learning procedure classified by Oxford(1990). To estimate the results of the treatments,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cale developed by Jung Sook Hyun(1999b) was used.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results of pre-tests were analyzed with the t-test and the results of post-tests were analyzed with MANOVA by using the SPSS Win 10 program. The result obtained from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hypothesis was accepted(P< .01).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openness, positive self-concept, self-regulation, intrinsic motivation, creativity, and self-estimate on the metacognitive strategy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group. It accords to the theory that the metacognitive strategy is effective develop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t also accords to the theory that the more interest students have in the field related to subjects, the mor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s developed(Weinstein & Mayer, 1986). Thus, the students could learn the metacognitive ability and develop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the process of obtaining certain knowledge on the social study.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metacognitive strategy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is a more effective instruction-learning method to improv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an the cognitive strategy self-directed learing program.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Elementary Education) in February, 2004.

      • 메타인지를 활용한 미술 감상과 비평 지도방안 연구 :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김경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메타인지(meta-cognition)를 활용한 미술 감상과 비평 지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메타인지란 주변세계에 대한 자신의 지식, 경험, 자기통제, 조절, 신념, 동기, 정서, 직관 등의 인지활동을 통제하고 평가하는 반성의 정신적 작용이다. 미술작품을 감상하고 비평하는데 있어서도 중학교 연계 과정에 있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이 메타인지를 적절히 활용할 경우 사고 전략과 더불어 자기주도적인 미술 감상과 비평 능력 및 태도를 기를 수 있다. 미술작품이나 미술적 현상을 직접 보고 감상할 수 있는 환경이나 기회가 많아짐에 따라 초등학교 미술교육에서 감상과 비평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지만 교수․학습내용 및 방법, 학습의 과정, 미술용어 사용, 형식주의 감상교육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메타인지의 개념과 교육적 활용을 고찰해 봄으로써 학습자들이 감상활동을 통해 적극적으로 미술 작품과 문화를 향수하기 위한 자원을 형성함으로써 비판적이며 자기주도적인 미술 감상 및 비평 능력과 태도를 길러주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 문헌연구를 통해 메타인지 개념과 학교 교육의 연계성을 통해 교육적 활용을 탐색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초등 미술과(美術科) 감상과 비평에서 메타인지의 교육적 접근을 모색하기 위해 감상과 비평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및 현황과 한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메타인지를 활용한 실제 수업을 설계하고 수업 지도 과정과 방법을 모색하였다. Ⅴ장은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메타인지를 활용한 미술 감상과 비평 교수․학습안을 미술 수업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메타인지를 활용한 미술 감상과 비평 수업의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았다. 감상방법을 알고 비평할 수 있는 자신감을 높여 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증대되었다. 또한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하고 작품에 대한 탐색의 동기를 마련해주었으며 표현의 결과뿐만 아니라 감상 활동 과정의 중요성과 즐거움을 인식하게 되었다. 미술 작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감상과 비평 및 표현의 통합 활동을 통해 고학년의 표현 정체성 극복에 도움이 되었다. 반성적 사고를 함으로써 학생 자신의 미술 활동을 계획하고 점검하며 조절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할 수 있었고, 수업 후 생활 주변의 시각문화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는 자기주도적인 태도를 기를 수 있었다. 이처럼 메타인지를 활용한 미술 감상과 비평 수업은 표현활동과 연계하여 학생들의 생활 주변의 경험과 사물들을 재해석함으로써 감상활동에 대한 흥미와 미적 인식능력을 높일 수 있는 수업 방안이었다. 또한 미술용어에 대한 접근이 수월함에 따라 모둠별 및 개별 활동을 통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워크북을 활용함으로써 미술언어 사용이 활발하였다. 앞으로 미술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메타인지를 활용한 수업 방안이 모색되기를 기대한다.

      • 학습자의 메타인지 규제 능력 향상을 위한 코스웨어 설계 구현

        박지영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으로 정보화 사회로 바뀌어 감에 따라 웹을 교육적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개선된 학습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WBI(웹 기반 학습)은 기존의 폐쇄체제(stand-alone)의 수업에 비해 전 세계의 수많은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접근이 가능하여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지 감독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학습자는 웹 기반 수업에 참여하면서 학습자 주도적이고 학습자 속도에 맞는 학습을 진행 해나가게 된다. 자기 주도적 학습의 필요한 중요한 요소가 학습자의 자기조절능력이다. 자기조절능력(메타인지 규제 능력)이란 자신의 사고에 대한 사고 또는 인지에 대한 조절이다. □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메타인지 규제 능력 향상을 위한 코스웨어를 설계 구현 적용하여 메타인지 규제능력 코스웨어의 효용성을 검증 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코스웨어는 Pintich와 De Groot의 MSLQ(메타인지능력 검사)을 번안하여 웹으로 구현하고, 학습자의 메타인지 규제능력을 분석한다. 그리고 학습자 메타인지규제 능력 수준에 따른 메타인지 문제 내용이 제공되도록 구성한다. 코스웨어의 특징은 학습자 학습 확인 모듈을 활용해 관리자가 학습자의 문제이해도를 정확하게 파악 할 수 있도록 하였고, 메타인지 활동 검사 모듈 활용해 학습자가 자신의 시험 시 메타인지 활동 내용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메타인지 규제 능력 향상에 메타인지 규제 능력 코스웨어 시험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메타인지 규제 능력은 수학교과에서만 필요한 학문이 아니라 어떤 교과에서도 활용되는 인지능력이다. 이에 학습 코스웨어를 활용하여 향상된 메타인지 규제 능력이 다른 교과에서도 도움이 될 것이다. WBI(Web-Based Instruction) an apparently strong point over the stand-alone instruction in such a case that worldwide users can approach it freely any time and any place without supervision. The most noticeable point is that the main subject of WBI is a learner himself who searches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es. The learner of WBI can participate in it and control his own study schedule. In this kind of self stud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learner's self-regulation ability. Self-regulation ability(metacognition Regulation ability) is the conception of own thoughts and control of own perception. In this thesis, I planed, realized and applied the metacognition Regulation courseware. Through these activities I could prove the effectiveness of metacognition Regulation courseware. The courseware has adapted Pintich and De Groot's MSLQ into the web version, and analyzed learner's metacognition Regulation ability. In this courseware, metacognition questions has been made for learner's metacognition Regulation ability level. The special feature of this courseware is that the administrator can notice learner's understanding of questions precisely with study-notify-module and the learner can notice his own metacognition activities with metacognition activities test module. After this test, I could draw the conclusion that metacognition Regulation courseware test has a positive effect on metacognition Regulation ability impr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