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마을만들기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효율적 운영방안 연구 : 경기도 (수원, 안양, 고양) 사례를 중심

        이상욱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을만들기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효율적운영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마을만들기에 대한이론적 고찰, 국내·외 마을만들기 우수 모범사례, 기초자치단체 단위의중간지원조직의 현황과 조례분석 및 기초자치단체의 중간지원조직의 운영현창에 대한 내용을 토대로 연구·분석하였다. 제2장에서는 마을만들기에 대한 이론적 고 찰을 통해 마을만들기 개념및 현황을 조사하였고 또한 마을만들기 유형과 방향 등을 통하여 마을만들기 개념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마을만들기와 도시재생의 차이점과 우리나라 보다 마 을만들기가 먼저 도입된 영국, 벨기에, 프랑스, 일본 등의 해외 국가별 중간지원조직은 마을 공동체 문제를 극복하는데 요구되는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정부, 전문가와 협력 파트너쉽 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살펴 보았다. 제3장에서는 국내 마을만들기 성공 사례로 서울특별시 성북구 장수마을,종로구 연남동 주변 일대와 경기도 수원시 팔달문 못골시장 주변과 강원도춘 천시 서면 박사마을 충남 아산시 마을만들기, 전북 완주군 신봉마을 마을만들기 등의 도시별 중간지원조직의 사례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외사례로는 일본 오이타현 다케타, 미국 시애 틀 등의 타 도시에 모범이 되는우수 성공사례를 고찰하였다. 제4장에서는 기초자치단체(수원 시, 안양시, 고양시)의 마을만들기 중간지원조직의 목적과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기초자 치단체의 규정인 조례 현황과 선정 및 조례의 내용분석을 통해 부족한 점을 개정·보완할 수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즉, 상기 문제점에 관한 공감대 형성 목적의 홍보 마케팅 전략과 시·군 의 투자유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자율성 및 독립성 확보 및 마을만들기 지원센터의 위상 증진, 고용 불안정과 인력확보 부족, 현장 사례 및 데이터를 기반 조사연구·정책 제안 그리고 마을만들기에 관한 시민 공감대 형성 및 주민역량 강화 등이 요구되고 주민자치 역량에 최적 화된 교육 커리클럼 지원, 주민주도 모니터링 지원과 역량강화에 필요한 전문가 지원, 주민이 참여하는 조사와 주민자치 역량강화를위한 사업비, 경비 항목 등을 제안할 수 있다. 제5장에서 는 기초자치단체의 중간지원조직의 효율적 운영 방안을 제시함으로서 현재 당면하고 있는 과제와 개선·보완 사항을 분석·고찰함으로서 본 연구 목적인 마을만들기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 원조직의 효율화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마지막 6장에서는 마을만들기 중간지원조직의 효 율적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요약으로 첫째, 마을만들기 자생력 부족을 극복할 중간지원조직의 운영방안과 둘째, 인지도 높은 마을만들기의 브랜드화이다. 셋재, 특정 지역별로및춘화된 마 을만들기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효과적인 운영방안 등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첫째, 주민참여가 가장 활발한 마을만들기 성숙기에 중간지원조직의 적극적인 사업추진 방향을 제시를 하지 못하는 등의사업 운영상의 부족함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둘째, 본 연구에서 중간지 원조직의 효과적 운영방안을 다각적으로 제시하였으나, 원활을 기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주민 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 셋째, 적극적 주민참여를유토하는 설득력 있는 포토폴리오 만큼 실질적인 혜택을 보장하고 마지막으로 사업 종료 후 해당 성과를 지속·발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청사진을제시해야 한다. 본 연구가 마을만들기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의 지표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intermediate supportorganization for revitalizing village development.It provides efficient operation. To this end, in this study, theoreticalconsiderations on village development, cases of domestic and overseasadvanced villages, the status and ordinance analysis of the intermediatesupport organizations in the local government unit, and the intermediatesupport organizations of the local governments are conducted. Research and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operating status of the company. In Chapter 2, the concept and current status of village developmentwere investigat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villagedevelopment, and the concept of village development was summarizedthrough the types and directions of village development, In addition, thedifferences between village making and urban regeneration and theinterim support organizations of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UK,Belgium, France, and Japan, where village building was introducedearlier than Korea, work together with the government, experts andexperts for local community revitalization required to overcome thevillage community problem. We looked at how cooperative partnershipswere utilized.Chapter 3 describes the successful cases of village-making at homeand abroad. I looked. Creating a domestic villageExamples include Jangsu Village in Seongbuk-gu, Seoul, aroundYeonnam-dong, Jongno-gu, around Motgol Market in Paldalmun,Suwon-si, Gyeonggi-do, and Dr. Seomyeon in Chuncheon- si,Gangwon-do, and Asan Village in Chungcheongnam-do,Cases of interim support organizations for town development inSinbong Village, Wanju-gun, Jeollabuk-do were examined. In addition,overseas, excellent cases of domestic and overseas success werereviewed through advanced countries such as Taketa, Oita Prefecture,Japan and Seattle, USA.Chapter 4 examines the purpose and current status of thevillage-making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governments (Suwon, Anyang, and Goyang).of the local In addition,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vise and supplement shortcomings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selection ofordinances, which are regulations of local governments, and thecontents of ordinances. In other words, Public relations marketingstrategies for the purpose of forming a consensus on the above issues,attracting investments from cities and counties, securing autonomy andindependence to solve problems, enhancing the status of the villagedevelopment support center, job instability and lack of manpower, fieldcases and data Based on research and policy proposals, the formationof a civic consensus on village building and strengthening of residentcapacity are required, and support for an educational curriculum optimized for resident autonomy capabilities, support for resident-ledmonitoring and expert support for capacity building, and surveys inwhich residents participate and project expenses and expense items forstrengthening residents' autonomous capacity.In Chapter 5,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intermediate supportorganiz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was presented, and by analyzingand examining the current challenges and improvement andsupplementation pl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efficient method of the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for thevitalization of village development. .In the last chapter 6 As a summary of the study on the effectiveoperation plan of the village development intermediate supportorganization, first, the effective operation plan of the intermediatesupport organization to overcome the lack of self-sufficiency for villagedevelopment and second, the internationally recognized villagedevelopment brand. Third, there is an effective operation plan of an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for the creation of a customizedvillage for each specific reg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middle support organization lacks inproject development in which residents participate at a time whenresident participation is the most active in the mature villagedevelopment period. However, active cooperation between thegovernment and residents is required to facilitate this. Third, it isnecessary to guarantee practical benefits as much as a persuasive portfolio that induces active resident participation, and finally, Present aspecific blueprint that can sustain and develop the performance after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It is expected that several related studieswill be published after this study,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serve as an indicator of the effective operation plan of the intermediatesupport organization for the vitalization of village development.

      • 마을만들기 추진과정의 성과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이상훈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서울휴먼타운’시범사업이 완료된 서원마을과 ‘성북구 도시아카데미’를 통해 다양한 마을만들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정릉1동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한 후, 마을만들기 추진과정의 성과 및 효과를 분석하여 마을만들기 사업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지에서 진행된 ‘서울휴먼타운’의 주민워크샵 과정과 ‘성북구 도시아카데미’의 교육프로그램 과정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결과물을 정리하는 등 마을만들기 사업의 계획과정을 분석하였다. 둘째, 서원마을에서 추진하였던 주민워크샵과 정릉1동에서 진행했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효과 및 한계를 파악하였고, 최근까지 추진했던 마을만들기 사업추진과정의 성과 및 한계를 대상지별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심층인터뷰의 결과를 객관화하고 유형화하여 마을만들기 사업추진과정의 성과 및 효과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마을만들기 사업의 개선방향은 사업추진단계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사업의 준비단계에서는 첫째,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는 워크샵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 기획의 초기단계에서부터 지역 내 주민리더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해야 한다. 둘째, 주민워크샵의 기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지역 내 이해관계자간의 신뢰감을 확고하게 형성해야 한다. 셋째, 성과위주의 시범사업에서 벗어나 지역 내 주민이 공감하는 지속적인 마을만들기로 전환해야 한다. 그리고 사업의 추진단계에서는 첫째, 원활한 마을만들기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단계적이고 유동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주민대표·전문가·행정가의 연대를 통한 사업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마을만들기 사업지원을 위한 행정지원체계를 보다 합리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업의 완료단계에서는 첫째, 마을만들기 사후관리를 위해 민·관이 주도하는 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둘째, 마을만들기 사업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단계별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사업을 통해 개선된 마을의 지속적인 운영 및 관리를 위한 관련지침을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는 질적 분석 방법(qualitative analysis)을 채택하여 마을만들기 사업추진과정에 대한 성과 및 효과를 정석적으로 평가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또한, 자료기술(data description)과 자료분석(data analysis)을 통하여 마을만들기 사업의 개선방향을 사업추진단계별로 도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향후 진행될 마을만들기 사업과 주민교육프로그램에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마을공동체 만들기 조례 분석

        노주은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핵가족화와 더불어 1인 가구의 비율이 증가하고, 인간관계가 파편화됨에 따라 개인의 사회적 관계망은 점차 축소되고 있다. 더욱이 지역주민들 간의 교류가 줄어들고, 지역에 대한 유대감과 친밀감이 사라지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고독사와 복지 사각지대와 같은 문제들이 사회화되어도, 개인들의 고군분투나 행정 및 정책적 개입 이상의 해결방안이 도출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단순 공공 개입만으로는 지역문제를 모두 아우르는 것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 궁극적인 해결책을 지역, 즉 마을과 주민으로 보았다. 마을공동체를 만드는 것은 마을과 주민의 단순한 결합 이상의 준비와 진행, 의미가 필요하다. 마을공동체 만들기는 중앙 행정에서부터 시작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경우 행정적ㆍ재정적 지원과 사업 평가의 기반이 되는 것이 마을공동체 만들기 조례이다. 다만 과거의 조례에서 정의되었던 방향성은 현재 사업 주체인 주민들에게 내재화되기는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특히 사업의 효과성과 지속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마을 내 사회복지적인 이해와 행동 또한 필수적이라고 보았으며, 조례상에서도 그러한 개념이 명시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관련 조례를 분석하여 사회복지적인 시각을 통해 현 상황에 맞는 개념을 명시하며, 지속적인 사업을 추진하고 마을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있어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내 지원조례 중 12건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주요 요소들을 구조화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조례의 세부적인 내용을 유형별로 살펴보았고, 우수 마을공동체의 조례를 같은 방식으로 분석함으로써 연구 대상과의 차이점과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또한 사업 관련 활동가 및 전문가의 인터뷰를 통해 현재 사업과 조례에 필요한 요소들을 현장의 목소리로 살펴볼 수 있었다. 마을공동체 만들기 관련 조례는 마을과 주민 중심으로 성공적인 사업을 이끌어갈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이 된다. 이에 본 연구가 향후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 진행에 있어 긍정적 변화의 시작이 되기를 바란다.

      • 마을만들기 주민교육 프로그램의 특성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배선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도시계획은 수립과정에서부터 지자체, 주민, 시민단체 등 다양한 사회구성원들의 참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무관심과 참여기회 부족으로 오랜 시간동안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하향식 체계로 추진되어 왔다. 이로 인해 도시계획과 개발은 해당 지역과 주민들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채 진행되어 다양한 문제점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도시계획 및 마을만들기에서 주민참여의 중요성과 함께 도시계획에 대한 주민들의 전문지식과 이해 부족으로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가정 하에, 주민들이 직접 마을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스스로 해결방안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을만들기 관련 주민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다양한 교육이 지속적으로 제공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문헌자료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주민참여와 마을마들기의 관계, 마을만들기 주민교육 프로그램의 개념을 분석하고, 일본, 미국, 영국 등 해외사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마을만들기에서 주민참여와 주민교육 프로그램의 연계성을 입증하였다. 다음으로 현재 계획·완료된 주민교육 프로그램들을 대상으로 분석항목에 맞춰 특성을 분석하였고, 실제로 프로그램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전 연구들과는 달리 중앙정부, 지자체, 시민단체 등 3가지 유형의 주최에서 진행한 교육프로그램들을 대상으로 교육내용이나 방법 측면에서 다양한 형태가 나오고 있음을 분석하고, 기획 및 운영자의 시각에서 문제점을 바라보아 실질적인 개선방향 및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단계별 주민역량강화를 통한 농촌마을만들기의 효과와 만족도 연구 : 전라북도 진안군을 대상으로

        이원주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전라북도 진안군의 마을만들기를 대상으로 주민의 단계적 역량 개발에 초점을 맞춘 마을만들기 시스템이 주민인식실태 및 주민역량변화에 어떤 효과를 주었으며 마을만들기 사업에 만족스러운 결과를 낳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함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을 1-2-3-4단계를 거치며 단계별 주민역량강화를 시행한 마을들(A그룹)과 바로 4단계로 진입한 마을들(B그룹)로 나누고 이들 그룹의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마을만들기에 대한 인식과 역량변화 그리고 만족도를 설문지를 통해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계별 주민역량강화를 통해 농촌 마을만들기를 시행한 A그룹이, 바로 상위 단계로 진입한 B그룹보다 마을만들기에 대해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계속해서 시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A그룹이 B그룹보다 개인적 차원, 대인적 차원, 사회적 차원 모두에서 마을만들기 역량이 더 커졌다고 스스로 판단하였다. 아울러 마을만들기 사업에 대한 만족도 또한 A그룹이 B그룹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성공적인 농촌 마을만들기를 위한 대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A그룹이 보다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공익과 공동체 의식을 높이는 1,2단계 사업을 우선적으로 실시한 후, 상위 단계인 일자리 및 소득증대 사업으로 진입하는 것이 보다 안정적인 방법일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사업의 참여횟수의 증가와 주민역량의 변화는 비례하는 것으로 사료되므로, 주민들의 마을만들기 참여기회를 높이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농촌 마을의 특성상 마을리더(이장 등)의 영향이 큰 점을 고려하여, 역량이 좋은 리더를 세울 수 있도록 유도하고, 리더를 육성하는 교육을 더 강화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개인적 차원의 역량의 변화 측정에서 자기자각과 권리의식 항목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점을 고려해 볼 때, 역량 향상을 위해 1단계 사업 중 주민주도 마을경관 및 환경개선사업, 2단계 사업 중 우리 마을 보물(자원) 찾기와 마을지도 그리기 프로그램, 3단계 사업 중 주민들의 끊임없는 학습과 토론 작업, 주민교육 참여 횟수 등을 증가시키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대인적 차원의 역량의 변화 측정에서 문제해결 능력과 대처기술 항목에 대한 평가가 상대적으로 낮았다는 점에서 1단계 사업 중 마을 내 취약지역 정화 및 녹화사업, 2단계 사업 중 주민들의 창의적 아이디어가 반영된 다양한 마을 환경 개선 사업, 3단계 사업 중 주민 스스로 중장기 마을 계획도 작성과 수립(마을지도작업+외부컨설팅+주민합의중시) 사업의 활성화를 우선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여섯째, 사회적 차원의 주민역량의 변화에서 낮은 결과의 사회의식과 기여·보상 항목의 역량향상을 위해서는 자부담이나 자원봉사, 현금기부 등의 중요성에 대해 꾸준히 설명하고,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지속적으로 유도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munity design system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resident’s stepwise capabilities on the current status of resident recognition and changes of resident capability and investigate if there were satisfactory results of community design business. The subject of research was divided into villages strengthening stepwise resident capability (A group) and villages entering the fourth stage rightly (B group) through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tages. And, recognition and capability changes and satisfaction of community design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by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A group conducting rural community design through the stepwise resident capability strengthening recognized more positive community design than B group and they thought that it should be continuously fulfilled. The second, A group judged that there were bigger community design capabilities in terms of the levels of individuality, human relations and social politics than B group. In addition, A group showed higher satisfaction for community design business than B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alternatives for rural community design more successfully were drawn. The first, if considering that A group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s, it’s more stable method to fulfill the first and second stage business improving public awareness and community awareness firstly and enter the higher stage, jobs and income improving business. The second, it’s considered that the number of participation in business is proportional to the changes of resident capability, so it’s judged to be effective to improve residents’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community design. The third, it’s judged to be effective to consider the great effect of village lead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village, lead to elect the leader with good capabilities and strengthen the education cultivating leaders. The fourth, if considering that self-awareness and right awareness were relatively low in the measurement of capability changes from the level of individuality, it’s judged to be effective to improve resident-leading business of community landscape and environment enhancement of the first stage business, our community treasures (resources) finding and community map drawing of the second stage business, resident’s continuous studying and discussion and resident educational participation of the third stage business for the improvement of capabilities. The fifth, the evaluation of problem-solving ability and treatment technology were relatively low in the measurement of capabilities and changes from the level of human relations. So, it’s judged to be effective to promote firstly purification of community’s vulnerable area and green business of the first stage business, various improvements of community environment reflected by resident’s creative ideas of the second stage business, resident’ writing and establishment of middle and long-term community planning (community mapping + external consulting + emphasis on resident agreement) of the third stage business for the vitalization of business. The sixth, to improve the capability of low social awareness and contribution/compensation in the changes of resident capability at the level of social politics, it should be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explain an importance of self-burdening, volunteer service, cash donation, etc. continuously and induce volunteer and active participation continuously.

      • 지속적 마을만들기의 운영·관리에 관한 연구 : 농촌 마을규약을 중심으로

        송승현 성균관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1990년대 문민정부의 출범과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지방자치 주도하의 지역특성화 사업을 통한 주민 참여형 마을만들기 사업이 나타나게 된다. 강원도의 새농어촌마을만들기는 주민이 참여하여 마을 특성화 사업을 통해 마을 환경을 개선하고 소득증대를 같이 이루어 나가기 위한 최초의 농어촌 운동이 있었으며, 2000년에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부차원의 움직임이 활성화되면서 행정과 더불어 주민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주민 스스로 그 지역을 관리 운영할 수 있는 주민자치 시스템 및 제도가 나타나고 확산되기 시작한다. 이후 많은 마을만들기가 진행되지만 지속적인 운영이 이루어지지 않아 사업 완료 후에 사라지는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마을만들기를 진행함에 있어 사업위주의 실적을 내기위한 진행으로, 사업 완료 후 마을 만들기의 주체인 주민이 운영과 관리에 대한 인식의 부족과 사전 주민간의 약속의 부재가 원인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을만들기의 지속적인 운영·관리를 목적으로 마을만들기가 진행 중이며 주민약속(마을규약)이 존재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사례지역을 선정하고, 사례지역의 마을만들기 운영·관리에 대한 사업추진 현황과 마을 규약의 내용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살펴보고 해법의 실마리를 제시해 보았다. 첫째, 마을 주민의 지속적인 마을만들기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공유가 있어야 한다. 초기 마을만들기에 참여하는 주민들은 사업을 통해 마을의 시설의 개선과 환경의 개선을 생각하며 주민의 직접적인 참여에 대한 생각을 가지고 있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마을만들기는 일회성의 환경개선 사업이 아닌 보다 점진적이고 의미 있는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마을의 문제에 대한 주민의 공동적인 인식이 필요하다. 둘째, 마을만들기 주민 조직을 구성,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마을만들기의 사업추진에서나 운영·관리 부분에서 주민조직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직 안에서 마을의 미래상이나 목표를 세워 주민들이 만들어 나가는 방향으로 주민과 마을조직이 협력하여 진행할 때 마을만들기가 지속될 수 있다. 셋째, 계획, 조성된 마을 공동의 시설, 체험프로그램의 적절한 운영이 요구된다. 마을의 환경이 바뀌었다고 해서 그 시설이 계속 유지될 수는 없다. 또한 하나의 시설이 그 기능을 계속 유지하면서 이용이 된다는 보장도 없다. 체험 프로그램 또한 진행하는 사람 수의 부족이나 부재에 대한 대책이 없다면 마을만들기는 지속될 수 없다. 시설의 운영이나 프로그램의 관리에 있어서 주민들 간의 의논을 통한 약속을 가지고 향후 마을만들기를 진행해 나가야 한다. 넷째, 마을만들기 지원행정의 유지·관리에 관한 기반 조성이 필요하다. 아무리 주민이 관심을 가지고 참여를 한다고 하여도 사업을 지원해 주는 행정의 관심과 도움이 없이는 지속적으로 운영·관리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주민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문가의 활동에 대한 지원과 더불어 주민공모사업 및 지자체의 환경정비사업의 연계와 같은 사업의 지원이 필요하다. In 1990, after departure of civilian government and enforcement of municipal corporation, the community participation 'Maul-Mandulgi' comes out that leading municipal corporation through region characterized enterprise. In 2000, government activity was revitalize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ivil autonomy system and rules come out and spread, for that residents can part in and manage those area. Many 'Maul-Mandulgi' was well advanced since then. But it coming up disappear case studies after the enterprise has ended because sustainable management doesn't operate. This is the movement for accomplishment in process of the 'Maul-Mandulgi'. It is caused by absence of promise between residents and lack of recognition about maintance·management after the project. This study observed the case region that Maul-Mandulgi was in progress for the purpose of sustainable maintenance and management, and finally suggested the solution for the problems which was evolved out of analysis on the condition and the agreement of the case. First, residents must have cognition share about durable needs of the "Maul-Mandulgi". residents participating the "Maul-Mandulgi" often think that institution of the town and environment improve through only the project not residents's direct participation. To operate the "Maul-Mandulgi" for a way used for gradual progress not once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co-recognition of residents about problems of the town needs. Second, it needs 'Maul-Mandulgi' residents organization and sustainable interest. The residents organization is important that promote and manage the project. 'Maul-Mandulgi' can keep going when dwellers and residents organization are cooperated with village vision. Third, it needs pertinent management for experience program and public facilities. Public facilities isn't sustainable in spite of the village environment would change. Also, there is no guarantee that the facilities are used to keep that function. 'Maul-Mandulgi' can't be sustained if it doesn't have measure about alternated people to manage the program. It will have to progress the future 'Maul-Mandulgi' with agreement through the consultation between residents. Forth, it needs the basis composition about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Maul-Mandulgi' supporting administration. It is difficult that the residents manage and maintain the facility even if people have interest about the project and they take part in the activity without government's interests and help. It is important the support of professional activity which can help the residents. And it needs backup of project connected with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public subscription.

      • 국내 벽화마을만들기의 성공요건 분석

        조윤미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1990's, The effort of the area unit that was going to make a city has begun to appear in the country. The mural village in the more than 60 reason occurred in the country by afterward. After 2006 when a public art project of the government began in the time when the mural village occurred in earnest, The method used universally is paint. It has easiness to be easy to demand popularity and materials used universally. For the mural's paint depending on the place and use of the road, an average life cycle is only limited to 3 to 4 years. Currently, it is the time when new mural villages are occurring in spite of the outstanding matter of mural not to be cleared. A general flow for the making of mural village, It is necessary to watch precedents well how it develops through various examples in the future. The study of the book for mural village occurring successively in the future for the purpose of generally showing the success matter which I can apply. It is contains about a progress process, the cooperation subject, inhabitants participation, persistence. It is inflected in the mural village. This study is regarding the mural villages in Korea, with the surveying period starting from 1 Jan.1990 until this data collection time of 31 May 2011. Mural village's case study was done by taking a look at primarily 'mural town' to be generally recognized in Korea. The cases were classified by the occurrence and maintenance of mural village, according to the type. In-depth case study was proceeding with selecting the typical case of each type. First of all, we examined the appearance background regarding by whom, from when and for what and the progress of the on-going status, along with the change after the mural village and the future plans. Thru in-depth case study, we found out the Haenggung-dong case in Suwon, Gyeonggi-do, had a variety of production processes, filling with related body's activities positively and being in operation continuously. By the depths example analysis, An outbreak stage, A progress stage, I was able to find the following fact through a common point to appear at a management stage posthumously and causation. First, in order to continuously conduct an operation of the creation of mural town, internal factors of occurrence are important. In case of mural village by village residence and local facilities. it remained 100% persistence. Second, Ability for practice of the village leader is important in the making of mural village. Even though there were village leaders, the participation type of residents in creating the mural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erson like passive, normal and active respectively. Third, if there was a program for visitors, the follow-up actions was done. It was general for village residents to suffer the inconvenience by noise from the visitors or privacy infringement. Simply photo shooting only in coming to the village caused those problems. But in case of any follow-up events such as training, experience and other events for visitors, village has been managed. Domestic mural towns are still occurs. In making the mural village, the following points should be considered. First, it occurs by external factors, it is important to discover potential element of the village leader that can serve in a town. And with a discovery, it need to support village leaders which are empowered and raised. occurred by internal factors, most of the village leaders are the ones from artists. If it does not find a potential element by external factors, the role of village leaders could be given using the residency program, it has a limitation due to the fixed period of time and a non - deep understanding of the town. Second, the program for visitors at the mural village must be accompanied. There are a lot of people at Mural site for the purpose of projecting the village. Being accompanied by a program for visitors mean that there must be a community center which the program proceed at, and existence of linked programs. This make the village to be managed continuously even after mural village was created. Third, the local government's support and interests is important. There is a big difference of follow-up management depending on local government's involvement, even though same type of government-led project. This mean municipalities have the power of action to expand or to link with other business, not as part of the beauty business in the town. We need to go on the business focusing on the dual approach in case of internal occurrence of mural town with external support and collaboration, while external occurrence with finding internal potential elements and bringing up. Considering this, we can control the reckless occurrence of the mural villages and expect the existing mural village to be grown up in the near future. 1990년대, 국내에서는 도시를 가꾸려는 지역단위의 노력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후로 국내에는 60여 곳 이상의 벽화마을이 발생하였다. 벽화마을이 본격적으로 발생한 시기는 정부의 공공미술프로젝트가 시작된 2006년 이후이며,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 방법은 페인트이다. 페인트벽화의 경우, 보편적으로 사용된다는 대중성과 재료를 구하기 쉽다는 용이성을 가지고 있다. 장소 및 도료의 사용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평균수명은 3-4년에 불과하다. 현시점은 계속해서 벽화마을이 발생하고 있는 시기이며, 이전에 발생된 마을벽화들에 대해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는 시기이다. 이에 벽화마을만들기에 대한 총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다양한 사례를 통해 향후에 어떻게 발전해나가고 있는지 전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향후에 계속해서 발생하는 벽화마을에 대해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성공요건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생요인 별로 진행과정, 협력주체, 주민참여, 사후관리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어 벽화마을이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경우 단계별로 필요한 항목들을 살펴볼 수 있고, 향후 계획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황에 맞게 이를 활용해볼 수 있다. 연구는 1990년 1월 1일부터 자료 수집을 완료한 2011년 5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 국내에서 발생된 벽화마을 사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벽화마을 사례조사는 1차적으로 국내에 '벽화마을'이라고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곳을 개괄적으로 살피는 것부터 시작되었다. 사례들은 벽화마을의 발생과 지속성에 따라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심층사례분석은 각 유형의 대표사례를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어느 주체로부터, 언제, 무슨 이유로 벽화마을이 발생하게 되었는지 등장배경과 벽화마을조성의 진행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성 이후의 변화와 향후계획들을 살펴보았다. 심층사례분석에서는, 발생단계, 진행단계, 사후관리단계에서 나타나는 공통점 및 인과관계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벽화마을만들기가 지속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내부적 발생요인이 중요하다. 내부적으로 마을주민이나 지역시설에서부터 벽화마을이 발생한 경우, 100% 사후관리가 이루어져 단발적인 조성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관리되었다. 둘째, 벽화마을만들기에 있어 마을리더의 실행능력이 중요하다. 벽화마을만들기 진행시, 마을리더가 존재하더라도 주민참여형태는 소극, 보통, 적극으로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방문객에 대한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경우 사후관리가 이루어졌다. 방문객에 대한 프로그램은 주로 커뮤니티센터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벽화마을은 대부분 방문객으로부터 마을의 소음이 발생하거나 사생활이 노출된다는 불편함을 겪는다. 단순히 벽화마을로 출사를 오는 방문객들만 존재할 경우 위와같은 문제들만을 동반시킨다. 그러나 방문객에 대한 프로그램, 교육, 체험 및 부대행사가 존재할 경우 마을은 계속해서 관리되어졌다. 국내 벽화마을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벽화마을을 만듦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사항이 고려되어야한다. 첫째, 외부적인 요인으로 발생했을 경우, 마을 내에 마을리더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잠재요소를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발견과 더불어 마을리더를 육성하고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내부적인 요인에서 발생한 마을리더의 경우 대부분 예술가출신의 사람들이다. 외부적인 요인에서 잠재요소를 발견하지 못할 경우,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마을리더의 역할을 부여할 수도 있지만, 일정기간이 정해져있고, 마을을 깊이 이해하고 있지 못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둘째, 벽화마을을 찾는 방문객을 위한 프로그램이 수반되어야한다. 벽화마을은 출사를 목적으로 방문하는 사람들이 많다. 방문객을 위한 프로그램이 수반된다는 것은 계속해서 프로그램을 진행시킬 수 있는 커뮤니티 센터나 연계된 활동들이 존재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벽화마을이 만들어진 이후에도 계속해서 마을을 관리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셋째, 지자체의 지원과 관심이 중요하다. 같은 형태의 정부주도형 프로젝트라고 할지라도 지자체가 관여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사후관리에 있어 큰 차이를 보였다. 지자체는 벽화마을을 단순히 미관사업의 일환으로 그치지 않고, 다른 사업과 연계시키거나 확대시킬 수 있는 실행력을 지니기 때문이다. 내부적으로 벽화마을이 발생했을 경우 외부적인 지원과 협력에 대해, 외부적으로 발생했을 경우 내부적인 잠재요소를 발견하거나 육성하는 것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양단 간으로 진행해야한다. 이것을 고려한다면 무분별하게 발생하는 벽화마을의 발생을 제어하고, 발생한 벽화마을에 대해서는 보다 성장된 모습을 기대해 볼 수 있겠다.

      • 마을만들기가 주민의 지역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심화섭 동국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을만들기 프로그램의 궁극적인 목적인 지역의 주민생활환경 개선과 더불어 지역공동체의 부활의 성과가 발생하였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마을만들기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우선 강화해야 할 마을만들기의 속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질문을 설정하였다. 첫째, 마을만들기의 어떤 속성이 주민의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마을만들기 사업 수행 경험여부에 따라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떻게 다른가?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례분석과 계량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조례(법령)분석과 문헌분석을 통해 마을만들기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분석 등의 문헌연구를 통해 변수를 선정하여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측정하였다. 즉, 주민의 공동체의식을 종속변수로하고, 마을만들기 사업주체의 역할인식, 마을만들기 자원에 대한 인식, 마을만들기 사업 추진에 대한 인식, 그리고 마을만들기 사업성과에 대한 인식을 독립변수로 하는 가설을 설정하고 가설의 검증을 위해 회귀모형을 구축하였다. 설문조사는 2016년 6월 3일부터 6월 23일까지 3주일간 총 3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241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첫째, 사례분석결과, 마을만들기의 추진주체는 주민 또는 행정으로 구분된다. 다만, 행정이 주도하고 주민이 참여하는 유형을 적용하는 사례가 상대적으로 빈번하였으며, 마을만들기 사업을 연간단위 공모형식으로 추진함으로써 사업의 지속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주민의 욕구를 모두 수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다음으로, 마을만들기의 추진에서 주민리더의 대표성의 확보는 사업추진이 경직되지 않으며, 유연성을 강화하여 효과적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요건으로 분석되었다. 도시의 공동주택단지의 마을만들기에서 주민리더의 선정은 선거를 통해 선출된 동대표 또는 동대표회의 의장으로 하는 것이 주민의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다. 또, 마을만들기 추진에서 주민이 주도하고 행정이 지원하는 유형의 사업은 마을만들기 사업을 통해 지역의 사회적 경제가 활성화되고, 사회적 경제의 주체들간의 네트워크 구축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증분석결과,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마을만들기의 속성은 사업주체의 역할에 대한 인식(β=0.245, p<.001), 자원에 대한 인식(β=.203, p<.05), 사업추진에 대한 인식(β=222, p<.05), 그리고 사업성과에 대한 인식(β=285, p<.05) 등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마을만들기 사업을 수행한 경험이 없는 주민들의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원에 대한 인식(β=0.245, p<.001)이 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occurrence of not only the living condition improvement of the residents, but also residents’ community resurrection by the community building program. The additional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the properties of the community build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such studies, it was set up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hich properties of the community building affect the sense of community? Depending on whether the community building program implementation experience how different factors affect the sense of community residents? Qualitative analysis and quantitative analysis are applied for the study questions. The literature review including the (local) Acts and the survey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dependent variables and independent variables set.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attachment, identity, social interaction, and fulfillment. The dependent variables are role perception of community building program subject(CPS), cognition of resources(COS), cognition to promote community building program(PCP), and cognition of the community building program performance(CPP). As results of case study, the entities of community building are mainly administrative(local government) and residents. It is dominant that the administrative led and residents were involved. The administrative carries forward with public contests which has some limitation to accept residents needs, and to make sure the sustainability. In addition, Ensuring, the representativenesss of the leaders in promoting community building program is the requirement to achieve the ultimate purpose. Furthermore, the type of what the resident led and administrative(local government) supports is more effective to invigoration of the social-economy rather than the other type. As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there are the variables which affect to the sense of community. The CPS affects to the sense of community(β=0.245, p<.001). Also the COS affects to the sense of community(β=.203, p<.05). The PCP affects to the sense of community(β=222, p<.05), and the CPP affects to the sense of community(β=285(p<.05).

      • 도·농통합형 마을만들기에 관한 연구

        최용감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e past, various rural development plans were provided by the Korean government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rural economy which was severely hit by the Korean Civil War. The reconstruction of the rural economy was an important policy of the government, since the level of dependence on the traditional farming industry was high at that time. It started as a regional social development plan. As a result, various types of farming development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the living environment were executed. However, the dual development method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nd the industrial development have caused the population movement from the rural area to the urban area. Also, due to the aging state of the rural area and the lack of population in the rural area, the gap between the two areas has become greater. As a result, the problems of the rural area have come to the fore in the society. Therefore, the government has set the topic of the 'balanced social development for living together' as the prior objective of the government. Regarding the urban housing policy, 12 national tasks have been provided. Such issues as the "Improvement of the Living Standard and the Participatory Welfare" and the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for the Future" are suggested, in order to reflect the social request for the resolution of such problems as the balanced development among different regions and the qualitative housing gap. In 1990s, the development plans for the life in the farming villages were actively promoted, providing the plans for each farming village. The village construction program executed by each government department is based on the activation of the farming village, but it seems that the level of dependence on the income sources other than the farming activities, which include agricultural tourism and experience, is high. Also,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villages which execute such a plan and those which do not execute it. However, since such a plan is separately executed by each department, there is a possibility of duplication for investment. Even if the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villages has been executed, continuous management and operation have not been executed properly.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case of disappearanc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method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urban-rural integrated farming villages as a part of the continuous attempt rather than as a part of the short-term business method. First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rural area for the settlement of the residents and the people moving into the farming villages. Such house projects as the country houses and the new farming and fishing towns are executed for the settlement of the people moving from the urban area to the rural area.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ense of awareness among the residents due to quality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people from the urban area and the local residents in the same place for settlement. Second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village suitably and naturally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village by utilizing the community that has been established in the lifestyle of the people living in the rural area. It is necessary to lead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people by discussing the current issues of the farming village and provide various ideas through the community activities among the residents. Al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operation system for businesses. Thirdly, for the activation of the rural society, the government executes various projects including the strategy for inducing resid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urban-rural farming village. As the range of businesses becomes diversified, the problems caused by the conflicts and confusion among different departments occur. Every department executes the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a village. Through such a plan, it is reported that the government spends too much of the budget for the duplicated investment in the farming villag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such a problem and analyze the conditions of the farming village systematically. Also, it is necessary to install the institution which can manage the business suitably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village. 과거 우리나라는 6.25전쟁으로 인해 피폐해진 농촌경제의 재건을 위해 다양한 농촌개발이 시도되었다. 전통농촌산업의 의존도가 높았던 당시에 농촌의 재건은 국가의 주요정책으로 시행되었다. 지역사회개발사업으로 시작하여 정주생활권개발등 다양한 형태의 농촌개발이 이루어 졌으나. 도시와 농촌의 이분적인 개발방식과 산업의 발전으로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의이동과 농촌의 고령화 및 농촌인구의 정체로 인해 농촌과 도시의 격차는 갈수록 벌어지기 시작하여 농촌의 문제가 사회적으로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지난 정부는 ‘더블어 사는 균형발전 사회’를 국정목표로 하여 우선과제로 선정하고 12개 국정과제로 도시주택정책과 관련하여 "참여복지와 삶의 질 향상" 과 "미래를 열어가는 농어촌"을 제시하여 지역간 균형개발과 주택의 질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였다. 1990년대에 와서 본격적인 농촌생활환경정비 계획이 추진되면서 농촌마을단위의 계획들이 추진되었다. 정부의 각 부처별로 시행되는 마을만들기는 농촌의 활성화를 목표를 두고 있지만, 농촌관광‧체험 등과 같은 농외소득의 의존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시행되는 마을과 마을간의 차별성이 미비하게 나타나며, 각부처별로 시행되다보니 중복투자의 가능성이 높다. 마을만들기가 진행되었지만 지속적인 관리‧운영이 이루어지지 않아 사업이 완료된 이후에 사라지는 사례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마을만들기가 단기적인 사업수단이 아니 지속가능한 마을만들기의 일환으로 도‧농통합형 농촌마을만들기의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첫째, 농촌주민과 이주민을 위한 농촌정주공간의 형성이 필요로 한다. 전원주택 및 농어촌뉴타운사업 등은 대부분 도시민이 농촌에 정착 할 수 있도록 시행되는 사업으로 같은 정주공간에 속하는 도시민과 원주민의 주거환경의 질로 인한 주민과의 이질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농촌지역주민과의 주민들의 생활 속에서 구축된 커뮤니티를 활용하여 자연스럽고 지역여건과 맞는 마을만들기가 형성되어야 한다. 커뮤니티를 통한 주민 공감대는 마을의 현안을 논의하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등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사업체관의 협의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셋째, 정부는 농촌사회의 활성화를 위하여 도시민 유치전략 및 농촌마을만들기 등 다양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사업이 다양화 되면서 각 부처들간 마찰 및 혼동으로 인한 문제점을 발생하고 있다. 각각의 부처들 마다 각각의 마을만들기 사업을 시행하여 농촌마을에 중복투자 등 예산을 낭비의 비난을 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농촌마을여건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마을여건에 맞는 사업을 총괄 관리할 수 있는 기구를 설치해야 할 필요가 있다.

      • 농촌 마을만들기에 따른 마을 사회와 주민 일상의 재구성 : :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마령 1리 사례연구

        이은아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경상북도 안동시 마령1리(이하 맛재마을)를 대상으로, 마을만들기 사업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체들의 실천과 일상 재구성을 살피고 있다. 이를 위해, 맛재마을의 현실적인 농촌 문제와 이에 대응하기 위한 지자체와 주민의 실천 양상을 정리하고, 재편된 마을 사회와 주민의 일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초점을 맞춘 것은 사업 과정과 이후 변화한 주민들의 일상과 새로운 움직임이었으며, 이를 민속지적으로 기술·분석하고자 했다. 고령화와 인구감소 등에 직면한 맛재마을은 신체적 노화, 역할과 소득 감소 등의 문제를 겪고 있었다. 또한, 지리적으로 고립된 ‘농촌’ 공간에서 한정적인 여가를 보내며 무료한 일상을 살아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민들은 자발적으로 마을만들기 사업을 실천하였다. 이후 맛재마을에는 해체된 마을 집단의식을 강화하거나, 주민 일상의 무기력함을 해소하는 등의 농촌 문제 일부분을 해결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마을만들기 사업 과정에서 관찰되는 주체들의 자율적 실천과 일상 변화는 민속학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맛재에서는 마을만들기를 통해 마을 사회와 주민들의 일상이 재구성되었다. 마을만들기 사업은 농촌 문제를 능동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주민의 실천 계기가 되었지만, 한편으로는 마을 구성원 간의 분화를 일으키는 갈등 소재가 되었다. 그러나 마을만들기 사업이 그들의 삶과 문화에 활력을 주는 등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게 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 연구는 현재의 맛재마을이 마을만들기 사업을 통해 주민들의 일상이 다양하게 재구성됨을 보여줌과 동시에, 마을 사회의 변화 양상을 설명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사례는 마을만들기 사업에 따른 농촌 주민의 다각적인 변화를 이해하는 데에 일정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