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온작품읽기를 통한 초등 독서 지도 방안 연구

        한상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온작품읽기를 통한 독서 교육의 새로운 지도 방안을 연구 하는 데 있다. 현재의 독서교육은 읽기교육과 문학 교육 사이에서 본인의 자리 를 잡지 못하고 있으며 연구 또한 척박한 실정이다. 반면 국민들 사이에서는 독서운동이라는 말이 자연스럽게 적용될 정도로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기는 하 다. 종전의 문학· 읽기교육은 학습자들에게 읽기를 강요하거나 정해진 기능을 익히기 위한 보조자료로서의 텍스트 읽기가 우선시되었다. 이에 하나의 완성된 문학작품을 활용하여 일상생활과 학습 상황에서 필요한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독서 능력을 기르고 다양한 방향으로의 독서활동을 경험함으로써 바람직한 독 서 태도를 기르고자 한다. Ⅰ장에서는 새로운 독서지도의 필요성과 기존 연구을 살펴보았으며 Ⅱ장에서 는 이 연구의 시작점인 독서의 변화된 의미와 현행 독서의 실태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온작품읽기의 개념과 그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온작품읽기의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1절에서는 지도 방안 모 색을 위한 기본적 원리를 추출하였고, 2절에서는 지도의 방법을 구안하여 온작 품읽기의 전체 흐름을 제시하고 각 단계에서 이루어질 활동의 틀을 제시하였 다. Ⅳ장에서는 온작품읽기 활동을 실행하기 위해 1절에서는 적용대상과 방법 을 제시하고, 2절에서는 온작품읽기 활동을 통한 독서교육 계획에서 텍스트를 선정하는 기준과 선정과정, 세부지도계획을 세우고, 4회의 수업을 제시한다. 그리하여 총 10회기로 짜여진 수업에서 특징이 될 만한 4개의 수업을 구체적 으로 기술하였다. Ⅴ장에서는 온작품읽기 지도의 결과를 원리가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살펴보고 학생의 변화를 전체 설문 및 개별 학생의 쓰기 결과물과 인터뷰를 통해 확인해 본 후 온작품읽기 지도에 있어서 교사가 가졌던 고민을 정리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온작품읽기를 통해 학습자들은 작품을 읽을 때 기본적으로 필요한 읽 기 전략을 터득하게 되었다. 다른 다양한 텍스트를 만났을 때도 적용 가능한 어휘지도와 작품을 읽어가는 과정에서 배경지식을 활용하거나 앞뒤 문맥을 살 피는 등의 전략을 활용하여 다층적 의미를 읽어낼 수 있었다. 둘째, 함께 읽기의 즐거움을 알고 독서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높아졌다. 함 께 읽기는 교과서 제재에서도 자주 하던 활동이기는 했다. 온작품읽기에서는 다른 학습자와 함께 읽기의 즐거움을 나누게 되었고 학습자들은 이후 더 자주 책을 함께 읽고 싶어 했다. 셋째, 학습자들은 작품에 대해 개별적으로 의미있는 문학 작품 읽기의 경험 을 하게 되었다. 학습자들은 한 작품을 읽으면서 여러 가지 활동을 통해 깊이 있는 사고와 정서적 반응을 끌어낼 수 있었다. 넷째, 온작품읽기 활동에서는 읽기에서 자연스럽게 듣기·말하기로, 쓰기로 이 어지는 통합적 수업이 이루어졌다. 총체적 언어교육에서 주장하듯이 자연스러 운 환경에서 언어를 익힐 수 있게 하며 훈련을 한다기보다 실제로 필요한 부분 에서 그 기능을 익히고 표현할 수 있었다. 다섯째, 학습자들은 읽은 내용에 대해 분석, 종합, 평가하거나 자신의 판단을 형성하는 비판적 사유를 경험할 수 있었다. 학습자들끼리의 생각을 나누는 과 정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이는 다시 독자와 텍스트 사이의 교류를 계속해서 강화시키고 변화시켜 마침내는 자신의 관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 어 작품을 창의적으로 수용하고 생산하는 경험을 통해 학습자의 삶의 경험을 확장하는 긍정적 계기가 되었다. 온작품읽기는 문학작품을 읽을 때 기본적으로 필요한 읽기 전략을 습득하고 학습자 간의 공유 즉 대화를 통하여 서로에게 도움을 주면서 작품을 이해하는 과정이다. 교과통합을 통해 교과내용과 실제적 학습 그리고 삶 사이의 연관성 을 찾아보고, 토론 및 토의 수업을 통해 논리적이고 비판적 사고력을 함양하면 서 생각을 공유하고 나누며 학생 한 명 한 명이 서로에게 작품의 이해의 열쇠 가 되는, 결국 이러한 문학 이해 경험이 자연스럽게 글쓰기로 이어져 작품에 대한 개인의 반응이 끊임없이 확장되고 심화되는 양상을 띠게 된다. 이 의미있 는 문학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흥미가 유발되고 독자로서의 자기 인식이 개선 되어 평생 독자로서의 마음가짐을 갖게 된다. The focus of the Reading Education, to enable readers as to be qualitatively meaningful reading be read by recognizing the subject of work to internalize the work and understand the detailsBecame able to read a criticism should eventually help to build his view, associated with life. This study is now shown text on central functions in education is too much and reading curriculum of modified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acquisition of a sampling or deformation capability. The functions of one's work to the full reading and reading should naturally be obtained in the process starts at home. Safety and security, chapter II chapter, had we seen new reading through a guide of the needs and existing yeongueul changed lifestyles of the current reading and the meaning of reading and the beginning of this study. Look at the problem and saw a look at concept and its importance to read the whole work. III chapter, all the work to seek ways to read ways. Extracts the basic principles and seek guidance in Section 1, 2 Section The whole work at each step and come up with the context of reading to propose ways on the guide. Presented the framework of activities to be achieved. The chapter IV to read the whole work to implement activities, applications and proposes a method in Section 1 of Section 2 to read the whole work activity in from Reading Education, through planning text selection criteria and the recruitment process, detailed map, with a plan and the four meetings of class will be presented. So a total of 10 session organized in four sessions might be in class features specific technology. How the results of the principles implemented no idea what Jean reading the whole work in guide and the students of all changes in the questionnaires and individual students writing results and interview in agony after seeing all the work on this guide reading teachers had clearance verified. Basically, when you read the whole literature reading strategy to help, to each other and sharing or through dialogue between the learners acquire work Understanding process. The academic department through integration found the link between real life finds logical, critical thinking skills through classes and debate and discussion, to walk each one of them the key to understanding of the work of each other and understand these literary experience is naturally led to writing personal response to a work constantly expanding and deepening Stimulates the veneer. This caused interest of students by significant literary experience, and self-awareness as readers have improved mind-set as a lifelong readers.

      • ‘에밀’에 나타난 루소의 독서교육론에 관한 연구

        정지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에밀’에 나타난 루소의 독서교육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ading Education of Rousseau’s Emile 교육학과 정 지 은 지도교수 강 기 수 현대는 빠르고 복잡하게 변해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교육은 아이들이 현대사회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슬기롭게 극복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노력을 하고 있다. 그중에 하나가 바로 독서이다. 이러한 가운데 독서교육이 아동의 삶과 교육에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진지하게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에밀』에서 나타난 루소의 독서교육론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루소 교육사상의 시대적 배경과 사상적 배경을 고찰하고, 『에밀』에 나타난 루소 교육사상에 대한 전반을 이해하며, 루소의 독서교육론 분석을 통해 루소의 독서교육론의 교육적 시사점과 한계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에밀』에 나타난 루소의 교육사상은 사람들의 세계관이 바뀐 18세기, 프랑스 절대주의 말기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고 실학주의와 계몽주의를 사상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다. 그는 성선설에 입각한 아동관에 근거하여 인간다운 인간의 형성, 이성을 가꾸고 기르는 인간, 현재를 즐길 줄 아는 인간을 교육의 목적으로 삼고 아동의 발달단계를 5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에 맞는 교육내용을 전개하였으며, 자신의 감각을 중요시하는 감각교육, 인간의 내적 능력의 발현을 위해 사회적 영향을 배제하는 소극적 교육, 발달단계에 따른 순서를 지키는 자연의 교육, 그리고 경험을 통한 교육을 그 방법으로 하였다. 이러한 그의 교육사상은 독서교육론에 반영되어 있다. 그는 어린시기의 문자 교육을 반대하고 발달단계에 맞는 독서내용을 전개하였다. 유아기에는 언어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중시하고, 어린이 시기에는 특히 우화교육에 반대하였으며, 소년기에는 오직 『로빈슨크루소』읽게 하였다. 그리고 청년기에야 비로소 역사서, 인물전기, 우화, 고전을 읽게 하였다. 이를 보아 루소는 지적발달을 위한 독서가 아니라 독서를 위한 지적발달을 우선으로 하여 독서의 시기를 잡고 있으며, 독서 전에 동기를 충분히 부여하고, 읽는 동안 스스로 결론을 이끄는 능동적인 독서를 추구하고 있다. 또한 독서 후에도 책의 내용에 대해 사람들과 대화하고 그 내용을 자신의 삶에서 적용할 수 있는 태도를 중요시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루소의 독서교육은 지적발달을 재촉하는 현대의 부모에게 독서교육의 준비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정보를 쉽게 접하는 현대의 아동에게 생각하는 독서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며, 독서 후 아동의 삶에 그것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아동의 발달을 배려하며 독서교육을 체계적으로 이끌어 가는 독서지도자의 자세와 중요성을 시사한다. 지금까지 논의를 바탕으로 루소 독서 교육의 한계를 제시하면 먼저 루소는 독서의 준비성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다. 다음으로 루소는 책의 언어가 줄 수 있는 아동의 발달을 간과하였으며 끝으로 루소의 독서교육은 현대 사회의 관점에서 그것을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루소의 『에밀』은 사회적 명분이 아이들을 길들이는 현재의 교육에 대하여 진지하게 생각하는 계기를 마련해주며, 특히 아동의 발달을 고려하는 루소의 독서교육론은 현대의 아동의 삶과 교육, 그리고 독서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요어: 루소, 루소의 교육사상, 루소의 독서교육, 독서교육

      • 초등학교 독서교육에 관한 실증적 연구-경주시의 초등학교 교사 학생을 중심으로

        문태주 대구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focuses on proposal presentation of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strategies for the reading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o pursue the purpose, this research establishes research points such as recognition of reading education of student, teacher and parents, concerning about reading of student, student's actual condition of reading at home, preference subject, reading ability and activities after reading. Reading is an act of understanding and comprehending printed words, and of responding them, In other words, it provides us a lofty ideal through the process that a knowledge, understanding and integration follow in order and response as well and it makes a man absorbed in thinking, and it gets rid of much illiteracy as resource of intelligence so that it is essential to all any time,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reading is of great significance to the student being educated because his main part of reading activity comes through books. Research method is used to solve those questions, and questionnaires are given to 112 students and 119 teachers in 6 elementary schools in Kyung-ju, Kyungbuk. Accordingly, I shall conclude the study showing a plan of efficient reading education and bringing up a problem with an idea that reading education must be examined and studied In a new way. Responses of actual reading condition are analyzed by sex, location of school, grade, ages and occupational dividend, and solution is provid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induc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of reading education of students, teachers is very high. the purpose of reading is very different from preference and characteristics, all of them agree that reading is very necessary for 21st century intellectual society. Secondly, attractive circumstance is necessary to induce reading related interesting and remove obstacles in reading environment. Teacher and concerning is very necessary for the student who has reading related problems. And they should provide advice for the student to improve reading behaviors and self-reading opportunity. Thirdly, the research shows lack of reading at home because of time-spending for private academy, aptitude education, TV, entertainment machine and games participation. Fourthly, response shows that most students could take books from class bookcase or lend it from friends and teacher encourages reading. Fifthly, high rate of discontinuance when students feel uninteresting and rough reading requires advice for right reading behaviors and method. Lastly, responses on student activity after reading shows that it should be various and interesting methods. And a note relating a story needs to be take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ponses to education of reading indicates that the education of reading of elementary school will be basis of all education activities and is useful in obtaining wisdom of life forming the living attitude of future oriented being an able intellectual. In conclusion, reading provides the basis of life-time education. Read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s very necessary to fit the 21st century intellectual society.

      •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에 대한 독서 교육적 논의 : 수사학의 설득 3요소를 중심으로

        박진경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독서교육의 목표는 공동체에 기여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를 갖춘 전인적 인재를 양성하는 데 있다. 독서는 텍스트를 통해 필자와 소통을 하는 행위로부터 출발한다. 독서를 통해 학습자는 타자가 속한 세상을 경험하고, 그 안에서 공감대를 형성하며, 자신을 들여다보는 기회를 얻게 된다. 또한 학습자는 텍스트를 이해하고, 텍스트 속 등장인물들과 소통하며, 다양한 삶의 세계를 그려내는 사회적 존재로서 성장한다. 요컨대 독서교육이란 지정의(知精意)라는 인간의 총체적 능력을 길러내는 전인적 소통 과정인 것이다. 서양교육사에서 이천년이 넘는 시간동안 자리 잡고 있던 수사학은 말만 잘하게 하는 학문이 아니다. 수사학은 말과 글 그리고 생각을 모두 다루는 학문이다. 특히 수사학의 설득 3요소인 에토스로고스파토스를 독서 교육적 측면으로 이해해보면, 에토스는 텍스트를 통해 드러나는 필자의 인성이나 사회문화적인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윤리적 요소), 로고스는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의 논리성과 합리성을 판단하기 위해(인지적 요소), 파토스는 필자와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학습자의 마음을 움직이고 태도를 변화시키는 수단으로(정의적 요소) 교육되어질 수 있다. 이 3요소들은 윤리적인지적정의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통합적 교육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그러므로 소통이라는 관점에서 인간과 사회를 고찰하고 돌볼 수 있는 힘을 키워줄 수 있는 수사학은 독서교육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적합하고, 적절한 도구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독해 심화기로 능동적 독자이자, 평생 독자로서의 전환을 꾀할 수 있는 중학생을 논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2011 개정 국어과 ‘읽기’ 영역을 수사학의 설득 3요소로 분석해봄으로써 독서교육이 현행 교육과정에서 위계성과 계속성을 확보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중학교 국어과 ‘읽기’ 영역의 내용 성취 기준은 지성인성감성을 고루 함양하도록 하고 있는 학교 교육목표와는 달리 로고스 즉, ‘지성’인 인지적 요소에만 편중된 교육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물론 여기서 학교 교육의 목표는 모든 교과목의 목표가 통합발현될 때 성취될 수 있다. 하지만 국어교과 특히, 그중 ‘읽기(독서)’는 교육목표를 가장 잘 성취할 수 있는 영역이므로 학교 교육목표와 독서교육을 연계한 목표 확인은 적절하다고 여겨진다. 이에 연구자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중학교 국어과 ‘읽기’ 영역에서 정의적 요소(파토스)와 윤리적 요소(에토스)의 강화를 제안하는 바이다. 다음으로 독서교육 도구로서 수사학의 적절성과 적합성에 대한 근거로,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적용된 중학교 국어교과서를 임의 선정해 ‘읽기’ 영역의 내용 성취 기준 총 11개 항목 중, (1)과 (11) 항목에 해당하는 단원의 학습활동을 설득 3요소로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통해 보완이 필요한 설득요소인 에토스와 파토스를 강화한 학습활동의 예를 제시하였다. 독서교육과 수사학을 접목한 이러한 학습활동의 예는 미흡하나마 전인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독서교육의 가능성을 열어 주었다. The purpose of reading education is in fostering whole-hearted people with creative thinking that can contribute to the local community. Reading starts from the act of communicating with the author through the text. Through reading, the learner experiences different world’s inhabited by others, establishes empathy within these worlds and acquires the opportunity for self-reflection. The learner also matures as a social being through understanding the text, communicating with the characters that appear in the text and through visualizing diverse worlds. Thus, reading education becomes a holistic communication process that fosters holistically human ability of intellect, deliberation and meaning. Rhetoric, which has been an established field in the past two thousand years of Western educational history, is not simply an academic field that trains one to speak well. Rhetoric deals with speech, text as well as all thoughts. Understanding the aspects that can be used by reading education in rhetoric’s three fields of ethos, logos and pathos; ethos is to understand the nature or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writer through the text (ethical factors), logos is to judge the logic or rationality of what the author is trying to say (cognitive factors), and pathos is a means of emotionally moving or changing the attitudes of the learner by establishing empathy with the writer (definitive factor). These three factors can make possible an integrated education within which prevail all three ethical, cognitive and definitive factors. Thus, rhetoric, as an academic field that nurtures the ability to consider and reflect upon humanity and society from a communicative perspective, is an appropriate and proper tool to reach the objective of reading education. Thus this thesis has designated the object of research as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not only within an intensive period of improving their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but by doing so can play with the possibility of transferring into a lifelong reader. By analyzing the subject “Reading” in Korean Literature of the Korean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11 with the three factors composing rhetoric, it was possible to observe whether reading education was securing a hierarchical and continued presence within this current education curriculum.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standard of content achievement in the subject “Reading” in Korean Literature, unlike the educational purpose defined by schools for ‘a balance of intellect, human character, and sensitivity’, was in fact an educative curriculum that was heavily biased in promoting the cognitive factors contributing to logos, or otherwise put intellect. Of course, the educational goals of schools may be realized when all the different subjects are integrated as a whole. However, with Korean Literature, and in particular the subject “Reading” being a field that has the greatest potential to achieve such educative goals, it may be appropriate to reconfirm the educational goals in relation to reading education. To this, the researcher recommends the reinforcement of the factor of justice (pathos) and ethics (ethos) in the subject of “Reading” in Korean Literatu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terial. The following part discusses why rhetoric is an appropriate and proper tool for reading education, by analyzing the 3 factors of persuasive speech with the learning activities presented in the chapters corresponding to (1) and (11), out of the total of 11 categories showing the standard of content achievement in the subject of “Reading”, by randomly selecting a middle-school Korean Literature text book in which the Korean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for Korean Literature (revised in 2011), has been applied. Also, examples of learning activities in which the persuasive factors of ethos and pathos have been reinforced were suggested based upon the fact that these areas proved to be in need of complementation as result of analysis. While this study may lack in providing examples of learning activities that directly combine reading education and rhetoric, it has opened up a new potential of reading education that can realize whole-person education.

      • 독서 동기 향상을 위한 자율적 독서 교수 학습 방안 연구 : 자기결정성 이론을 중심으로

        허모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considers the key attributes of voluntary reader as the motivation for reading. There is a major purpose in developing teaching methods aimed at improving motivation for reading. The need for fostering voluntary reader is an important issue in our society that has been constantly discussed. It is being dealt with in earnest under the category of attitudes in the course of reading in Korean language courses. However, it has not been discussed effectively and systematically because the goal of fostering voluntary readership is to improve the reader's just ability. This is due to the difficulty of conceptualizing the defining ability of the emotional character, which is why the discussion of educational goals, content and methods remained abstract. Therefore, this paper conceptualized the definitional capabilities of voluntary readers as 'reading motivation' and identified the potential for improvement of reading motives against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which describes motivation from a humanistic perspective. The theory of self-determination reveals that experience in meeting the thre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autonomy, ability and relationship is the principle that causes internalization, and that these experiences are made under contextual conditions that are action-inducing. The contextual conditions that cause internalization are converging into performance-related information with behavioral guidance, which is summarized as the reason for performance, the method of performance, and the environment of performance, respectively. The performance-related information that is action-inducing can be used as educational content by having a system in the context of education, as it takes on the nature of knowledge. Based on this theoretical review, the goals, contents and methods of autonomous reading experience education aimed at improving reading motivation were developed, taking into account the system and components of reading education. Self-help reading experience education is conducted by (1) converting performance-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self-determination theory into knowledge that can be utilized in the context of reading education, (2) providing experience-oriented teaching methods, (3) achieving the educational goal of improving readers' motivation for reading. To check the effect of autonomous reading experience education, a quasi-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eliminate education by organizing a comparative group with a laboratory.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quired to teach and learn autonomous reading experience education designed against self-determination theory. In addition, groups where autonomous reading experience education is handled were organized into groups with peer-to-peer interaction (experimental group 1) and 2 because the factors of the human environment were divided into teachers' peers. Meanwhile, the comparative group was required to have a 'one-volume read carefully' class, which can be seen as a typical form of 'read a semester'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ach class was analyzed as a text factor, task factor, and interaction factor in terms of factorial desig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analyzed by covariance analysis method, which controlled the pre-sync level and looked at the pattern of changes in post-sync level.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group-specific differences in the 'purpose and value' and 'social-level' factors, and there were no group-specific differences in the 'efficacy' factors. Overall propensity was found to be the most significant improvement in motivation levels in experimental group 1 that supported autonomous reading experience education without peer interaction. The motivation level of experimental group 2 was slightly improved, but the change was not significant. In comparison groups, the motivation levels of 'purpose and value' and 'social-level' factors were also shown to be impaired after the treatment of education, rather than without education. This can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the existing argument that batting experiences hurt motivation. It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that explores the principles of education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in order to foster voluntary readership, and thus confirms the importance of autonomous experience compared to previous preceding studies in which comparison groups did not exist. In order to achieve the defining goal of reading education, the content and methods of education must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is available. The study suggests that autonomous reading experiences should be provided to foster voluntary readership. 본 연구는 자발적 독자의 핵심 속성을 독서 동기로 보는 관점에 입각하여 독서 동기 향상을 목표로 하는 교수·학습 방안을 개발하는 데에 주요한 목적이 있다. 자발적 독자 양성의 필요성은 학교 안팎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온 우리 사회의 담론이며, 국어교과 내의 읽기 영역 교육과정의 태도 범주 아래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다만 자발적 독자 양성이라는 목표가 독자의 정의적 역량 향상을 매개로 이루어지게 되는 탓에 실효성 있고 체계적으로 논의되어 오지 못하였다. 이는 정서적 성격을 띠는 정의적 역량이 개념화되기 어렵다는 점으로 말미암아, 교육 목표와 내용, 방법 마련에 대한 논의가 추상적 상태로 머물렀던 데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자발적 독자가 지니고 있는 정의적 역량을 ‘독서 동기’로 개념화하고, 인본주의적 관점으로 동기를 설명하는 자기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에 기대어 독서 동기의 향상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자기결정성 이론에서는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의 세 가지 기본 심리 욕구에 대한 충족 경험이 내면화를 일으키는 원리임을 밝히고, 이러한 경험이 행동 유도성을 지닌 맥락의 조건에 의하여 이루어짐을 밝혔다. 내면화를 일으키는 맥락의 조건은 행동 유도성을 지닌 수행 관련 정보로 수렴되며, 이는 각각 수행의 이유, 수행의 방법, 수행의 환경으로 요약된다. 행동 유도성을 지닌 수행 관련 정보는 지식의 성격을 띠는바, 교육의 상황에서 체계를 갖추어 교육 내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독서교육의 체계와 구성 요소를 고려하여 독서 동기 향상을 목표로 하는 자율적 독서 교육의 목표와 내용, 방법을 개발하였다. 자율적 독서 교육은 (1) 자기결정성 이론을 통해 수렴한 수행 관련 정보를 독서교육의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식으로 변용한 것을 교육 내용 삼아, (2) 경험중심적 교육 방법으로 제공함으로써 (3) 독자의 독서 동기 향상이라는 교육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으로 실행된다. 자율적 독서 교수·학습 방안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편성하여 교수·학습을 처치하는 준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자기결정성 이론에 기대어 설계한 자율적 독서 교수·학습 방안을 처치 하였다. 아울러 자율적 독서 교수·학습 방안이 처치되는 집단은 모둠 독후 활동이 없는 집단(실험집단1)과 있는 집단(실험집단2)으로 편성하였다. 한편 비교집단에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 이후로 실행되고 있는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전형적 수업 형태로 볼 수 있는 ‘한 권 꼼꼼히 읽기’ 수업이 교수·학습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는 사전 동기 수준을 통제하고 사후 동기 수준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는 공분산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목적 및 가치’ 및 ‘사회적 차원’ 요인에서 교육 후 평균 동기 수준이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능력에 대한 신념’ 요인에서는 집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적 경향성은 또래 간 상호작용이 없는 자율적 독서 교육을 처치한 실험집단1의 동기 수준이 가장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2의 동기 수준은 약간 향상되지만 변화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교집단의 경우, 교육을 하지 않았을 때보다 교육을 처치한 후에 ‘목적 및 가치’ 요인과 ‘사회적 차원’ 요인의 동기 수준이 손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타율적 경험이 동기를 손상시킨다는 기존의 논의와 맥을 같이 하는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자발적 독자 양성을 위해 현장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탐색해 보는 준실험적 연구로 비교집단이 존재하지 않던 그간의 선행연구에 비해, 자율적 경험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는 차별점을 지닌다. 독서 교육의 정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육 내용과 방법을 활용 가능한 형태로 구현해야 한다. 이에 이 연구는 자발적 독자 양성을 위해 자율적 독서 경험을 제공해야 함을 제안한다.

      • 국내 초등학생들의 독서 스피치 실태 분석 연구

        한세영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의 독서교육 실태 즉, 초등학생들의 독서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초등학생들이 책을 통해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고 사고력과 창의력 그리고 자기 주도적인 학습능력을 기르고 정서를 함양하여 올바른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게 하는 올바른 독서환경 구축을 위한 독서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현대사회에서의 원활한 사회생활을 위한 기초 능력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의사표현력, 즉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초등학생들의 독서활동과 독서 말하기, 즉 독서스피치를 비롯한 독서 후 활동의 활성화에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독서교육의 개선방향을 찾음으로써 아동들의 독서 활동에 흥미와 집중도를 높이고, 커뮤니케이션의 역량도 강화 할 수 있는 독서스피치의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의 독서스피치는 독서 감상문 발표, 스토리텔링, 북토크, 독서토론, 독서논술 발표 등 독서 후 발표활동을 통칭해서 정의한다. 상기의 독서스피치는 독후활동의 일환으로서, 학교교육 목표중의 하나인 학생들의 사고력, 창의력, 자기 주도 학습 능력 배양을 기르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하게 된다. 현재 각 학교에서는 여러 가지 독서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많은 독서활동들이 흥미유발과 기본적인 동기유발에 그치고 있고, 그 역시도 일반 교과에 밀려 제대로 체계적인 운영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5가지 독서스피치의 유형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에 대한 초등학교에서의 실태를 분석 연구한다. 현대는 커뮤니케이션의 시대, 자기표현의 시대이다. 자신의 의견과 지식을 말과 글로써 표현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사회생활에서도 자신을 말로써 나타내는 행위는 그 사람의 능력과 위치를 대변해주기도 한다. 따라서 어려서부터의 말하기 교육에 대한 중요성은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초등학교에서의 말하기 교육 활성화가 절실히 요구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초중고의 교육여건에서 학생들이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과목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현실에서 독서와 말하기를 접목시킨 독서스피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가 큰 교육과정이다. 가장 기본적인 사회활동이라 할 수 있는 말하기 교육을 독서와 연계하여 초등학교에서부터 습관화 시킨다면 매우 좋은 사회화 교육이 될 것이다. 독서를 통하여 내면화, 자기화 된 지식과 정보와 자신의 주장을 표현하는 독서스피치는 매우 유익하고 중요한 아동지도과목이다. 조사 결과, 우리나라의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독서 후 활동은 지극히 형식적이고 시간 때우기로 진행되어, 학생들의 독서와 그 독서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독서 표현인 독서 후 글쓰기와 독서 말하기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고 있었다. 도리어 일부 학부모들은 공교육에서 하지 않는 독서 교육을 사교육을 통해서 보충함으로써, 아동들에게 독서교육을 자발적으로 시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독서가 중요한 만큼 그 독서의 활용 역시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독서 후 활동인 독서 표현활동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하겠다. 끝으로 독서 교육 내용의 다양화를 통해 독서와 그 독서의 내용을 표현할 수 있는 유기체적인 교육시스템을 운영해야 할 것이다. 독서를 통해 받아들인 정보와 지식을 자신의 내부에서 가공하여 타인에게 말로써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은 기본이기도 하면서 또한 능력의 표현이기도 하다. 독서 감상문 발표, 스토리텔링, 북 토크, 독서 토론, 독서 논술 발표 등 다양한 독후 활동을 통해서 독서의 효과를 극대화해야 할 것이다.

      •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독서교육의 영향에 관한 연구

        조미아 成均館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유형과 독서방식에 따라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교육 기간에 따라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쓰기 중심 독서 활동 프로그램 모형과 말하기․듣기 중심 독서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비교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 4월부터 12월까지 초등학교 6학년 2개 반을 대상으로 A반은 쓰기 중심 독서프로그램 모형인 ‘Author-Reader-Inquirer Cycle’을 실시하고, B반은 말하기․듣기 프로그램중심 독서프로그램 모형인 ‘Literature Circles’를 실시하였다.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 1회차 검사, 7월에 단기 교육 사후검사, 2학기말인 12월에 장기 교육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쓰기 중심 독서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과 말하기․듣기 중심 독서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의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독서방식을 측정함으로써 각각 두 집단 간의 독서교육, 독서교육 프로그램, 독서방식, 교육 기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1) 독서교육이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독서교육을 받기 전보다 독서교육을 받은 후 어린이들의 창의력 점수는 회차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력은 단기 교육과 장기 교육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독서교육을 받기 전보다 독서교육을 받은 후 어린이들의 창의력 하위요인 각 영역은 회차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기 교육을 실시한 후에 창의력의 하위요인 12개 영역 중 8개 하위요인인 “개방성”, “독립성”, “독단적․충동적․이기적 성향”, “상상력과 환상”, “확산적 및 수렴적 사고”, “창의적 사고능력”, “호기심과 다양한 관심”, “용기”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 교육을 실시한 후에는 창의력의 하위요인 12개 영역 중 11개 하위요인인 “내재적 동기”를 제외한 “철저함․최선을 다함”, “사회적 책임감”, “개방성”, “독립성”, “독단적․충동적․이기적 성향”, “상상력과 환상”, “확산적 및 수렴적 사고”, “창의적 사고능력”, “호기심과 다양한 관심”, “근면”, “용기”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독서교육을 받은 기간에 따른 지속효과는 “창의적 성격”과 “창의적 사고”에서만 나타났으며 “창의적 동기”에서는 지속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독서교육이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을 프로그램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독서교육을 받기 전보다 독서교육을 받은 후 어린이들의 프로그램별 창의력 점수는 회차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력은 쓰기 중심의 독서교육에서는 단기 교육과 장기 교육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말하기․듣기 중심의 독서교육에서는 장기 교육에서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쓰기 중심의 단기 교육을 실시한 후에는 창의력의 하위요인 12개 영역 중 7개 하위요인인 “개방성”, “독립성”, “독단적․충동적․이기적 성향”, “상상력과 환상”, “확산적 및 수렴적 사고”, “창의적 사고능력”, “용기”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쓰기 중심의 장기 교육을 실시한 후에는 창의력의 하위요인 12개 영역 중 “근면”을 제외한 11개 하위요인인 “철저함․최선을 다함”, “사회적 책임감”, “개방성”, “독립성”, “독단적․충동적․이기적 성향”, “상상력과 환상”, “확산적 및 수렴적 사고”, “창의적 사고능력”, “내재적 동기”, “호기심과 다양한 관심”, “용기”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하기․듣기 중심의 단기 교육을 실시한 후에는 효과가 있는 하위요인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말하기․듣기 중심의 장기 교육을 실시한 후에는 창의력의 하위요인 12개 영역 중 5개 하위요인인 “사회적 책임감”, “독립성”, “상상력과 환상”, “창의적 사고능력”, “용기”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쓰기 중심의 교육을 실시한 반에서 창의력 지속효과는 “창의적 성격”과 “창의적 사고”에서만 나타났으며 “창의적 동기”는 지속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독서교육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독서교육을 받기 전보다 독서교육을 받은 후 어린이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점수는 회차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단기 교육과 장기 교육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독서교육을 받기 전보다 독서교육을 받은 후 어린이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하위요인 각 영역은 회차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 교육의 경우에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하위요인 8개 영역 중 4개 요인인 “자아개념성”, “솔선수범성”, “창의성”, “자기평가력”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기 교육의 경우에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8개 영역 중 4개 요인인 “자아개념성”, “솔선수범성”, “책임감”, “창의성”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독서교육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프로그램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독서교육을 받기 전보다 독서교육을 받은 후 어린이들의 프로그램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점수는 회차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프로그램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쓰기 중심의 장기 교육에서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쓰기 중심의 단기 교육과 말하기․듣기 중심의 단기 교육과 장기 교육 모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쓰기 중심의 단기 교육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하위요인 8개 영역 중 “자아개념성”에서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쓰기 중심의 장기 교육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하위요인 8개 영역 중 3개 하위요인인 “자아개념성”, “솔선수범성”, “창의성”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말하기․듣기 중심의 단기와 장기 교육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5) 독서방식에 따른 창의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어린이들이 주로 독서하는 방식은 통독, 묵독, 정독, 음독, 다독, 발췌독 순으로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창의력에 영향을 미치는 독서방식은 정독인 것으로 나타났다. 독서방식이 창의력에 영향을 미치는 순서는 정독, 음독, 발췌독, 다독, 묵독, 통독 순으로 나타났으며 발췌독과 통독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독서방식은 음독과 정독인 것으로 나타났다. 독서방식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순서는 음독, 정독, 묵독, 통독, 발췌독, 다독 순으로 나타났으며 발췌독과 통독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독서교육을 통하여 어린이들의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쓰기 중심의 독서교육 프로그램이 효과적이며 단기 독서교육 보다는 장기 독서교육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독을 통한 독서방식이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도서관 활용학습 등 다양한 전략적 독서교육을 통하여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실험적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2-3년 이상의 장기 독서교육이 이루어질 경우 두 학기의 장기 교육에서 단기 교육과 차이가 없었던 변인들에도 변화가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장기 교육과 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그림책 독서치료를 통한 초등학교 인성교육 : 『앙통의 완벽한 수박밭』을 중심으로

        임수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빠르게 변화하고 자극적인 매체가 가득한 현대사회에서, 심리적 안정과 치유를 목적으로 그림책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그림책은 짧고 재미있는 이야기 안에 보편적인 주제를 담아, 독자에게 삶의 통찰을 통해 인성 발달을 돕는다. 그림책은 인간 보편적인 주제를 담고 있으므로 그림책 주 독자인 영·유아기 이후에도 교육적인 가치가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인성교육에 그림책이 유용함을 밝히고, 실제 수업 방안을 제시하는 데 의의를 둔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인성교육의 방법으로 그림책 독서치료를 선정하였다. 먼저 인성교육의 정의와 내용을 분석하여 올바른 인성교육의 방향을 도출하였다. 첫째, 가치·덕목 이해와 실천 역량 신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학생이 주체로서 인성 요소를 삶과 연결해야 한다. 셋째, 인성의 세 차원-감성, 사회성, 도덕성-을 동등하게 다루어야 한다. 다음으로 올바른 인성교육을 실현할 방법으로 그림책 독서치료를 정하고, 독서치료의 일반적인 개념과 초등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발달적 독서치료에 대해 살펴보았다. 독서치료는 동일시, 카타르시스, 통찰 세 가지 원리를 통해 감정 치유와 생각·행동 변화를 이끌어 내며, 인식, 고찰, 병치, 자기적용 과정을 거친다. 또한 독서치료는 환자가 아닌 일반인의 자아실현 및 전인적인 성장에도 도움이 된다. 그림책은 글과 그림의 상호작용, 동일시 유발, 다양한 해석 가능성 등 독서치료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끝으로 인성교육의 목적과 독서치료의 자료 기준에 맞는 그림책으로 프랑스 작가 Corinne Lovera Vitali의 『앙통의 완벽한 수박밭』을 선정하여 인성교육과 독서치료 요소에 따라 분석하고 수업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초등학교 인성교육 방법으로 독서치료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밝혔다. 독서치료의 감정 정화, 통찰, 카타르시스의 원리가 초등학교 일반학급 학생들의 전인적인 발달과 자아실현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시사함으로써, 그림책이 초등학교에서 언어교육 수단으로서만이 아니라 인성교육 목적으로도 널리 활용되길 기대한다. 둘째, 인성교육을 위한 독서치료 자료로 그림책을 제안하고, 활용 가능한 수업안을 제시하였다. 선행 연구 사례가 없는 프랑스 그림책 『앙통의 완벽한 수박밭』을 글, 그림 작가와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분석하여 현대사회의 특성에 맞고 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는 그림책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자기이해를 수반하여 가치·덕목과 역량이 함께 발달하며 감성, 사회성, 도덕성 세 차원을 유기적으로 신장시키는 인성교육의 방법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가 하나의 효과적인 안이 될 수 있음을 알리고자 한다.

      • 초등학생의 영어 독서 교육을 위한 적응적 도서추천시스템 개발

        최인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사교육을 통한 선행과 COVID-19 사태로 인해 교실 내 영어 학습의 격차가 커진 상황에서 부진 학생들을 위해 학습 부담은 적으면서 효과를 낼 수 있는 효율적 개인화 학습을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독서를 통해 학습하는 영어는 흥미를 유발하고 주도적인 학습으로 효과적인 방안이지만, 자신의 흥미와 수준에 맞는 책을 고르고 개인적으로 읽어야 하기 때문에 교실 상황에서는 실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특히, 초반의 책 선택 과정은 개별적이고 주도적인 영어 독서 개발 능력을 위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부분이다. 본 연구는 진단 기반의 적응적 학습 시스템과 인공지능 추천 기술을 적용한 개인화된 영어도서 추천 시스템의 설계 원리를 개발하고, 도구를 개발하여 이에 대한 사용자 반응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영어 독서 교육은 외국인 영어 학습자들에게 학습 부담이 적고, 다양한 입력을 활용하게 하는 방법으로, 읽기 능력 향상, 흥미도, 만족도와 사교육비 절감에 효과적이며, 개별 수준과 시간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져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단체 상황에서의 어려움, 외국어에 대한 불편함으로 인한 거부감, 많은 양의 독서를 해야 하는 비효율성, 그리고 적절한 다독 지도 프로그램이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외국인 영어학습자의 영어 수준과 흥미에 적절한 도서를 고르기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온라인으로 영어 독서 교육을 지원하는 도구에 대한 연구들이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모두 연구 내에서 분석한 특정 읽기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국내 EFL 학습자와 같은 외국어 학습을 위한 일반적 영어 독서 교육 현장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영어 도서들을 활용하여 개인화된 추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영어 독서 교육을 위해서 가장 먼저 진행되어야 하는 영어읽기능력의 진단으로는 Lexile 지수와 르네상스러닝 사의 SR 지수, DIBELS, 스콜라스틱 사의 SRC 등이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외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기준으로 제시되고 있지는 않으며, 도서 추천이 목적이거나 연계 목록을 제공하지 않는다. 국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진단이 존재하지만, 아직 효과성을 일반화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본 시스템의 개발을 위해 수준별 지문을 기반으로 영어 읽기 능력 중 독해력과 어휘력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서추천시스템의 개발을 위해서는 진단된 결과를 기반으로 책을 추천할 수 있는 알고리즘과 구조가 설계되어야 한다. 적응적 학습 은 학습자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이에 맞춤화된 학습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 중 AI 기술을 활용한 적응적 학습 시스템인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Intelligent Tutor System, ITS)’은 학습자에게 선호도를 고려하여 학습 아이템과 피드백을 제시하고 이해도에 맞춰 난이도와 학습과정을 조절하는 등, 학습자와 필요한 학습 콘텐츠와 활동을 최적으로 맞춰 제시한다. Luckin 외(2016)가 제시한 학습자, 교수, 학습영역의 세가지 모형이 대표적인 설계 모형이며, 본 연구의 도서추천시스템은 ITS의 모형에 맞춰 필요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구조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한 추천 시스템은 적응적 학습을 제공하기 위해 기반이 되는 시스템으로, 학습자의 의사결정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개인화된 추천을 제공하는 지능형 시스템이다. 대표적인 추천 방식은 유사한 사용자의 정보를 활용하여 콘텐츠를 추천하는 협업 필터링 방식(Collaborative Filtering, CF), 사용자의 사용 기록을 바탕으로 하는 콘텐츠 기반 추천, 여러 가지를 혼합한 방식, 전문가가 설계한 개념과 개념망을 이용한 온톨로지 기반 추천 방식 등이 있다. 대표적인 도서 추천 시스템으로 Goodreads, Common Sense Media와 읽기 능력 개발 프로그램인 AR Reader가 있으며, 아동 도서에 대한 전문적 추천을 제공하는 연구들도 이루어졌다. 그러나 살펴본 사례들은 모두 EFL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매칭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영어 실력이 실제 모국어 학습자보다 낮은 EFL 학습자의 상황에 적합한 책을 추천하지 않았으며, 또한, 대부분의 시스템이 학습자가 시스템에 특정 요구를 입력하면 도서 목록을 제공하는 수동적인 방식으로 적응적인 시스템이 아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적 측면에서 해당 시스템에 대한 체계적 설계 과정에 대한 연구 또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영어도서추천시스템 제작을 위한 설계 원리와 지침을 개발하고, 해당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유형 1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조사하였다. 선행문헌 검토와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개발한 설계원리와 지침에 대한 전문가 타당화와 개발한 프로토타입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거쳐 최종 완성된 프로그램에 대한 현장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주요 산출물은 초등학생의 영어독서교육을 위한 도서 추천 시스템의 설계원리와 지침, 해당 시스템의 프로토타입(1-4차), 그리고 최종 완성된 시스템이다. 연구의 결과로 학습자, 콘텐츠, 교수법, 인터페이스의 4가지 영역에 대한 10가지 설계원리와 23개의 세부 지침을 개발하였다. 추천의 개인화를 위한 진단 설계, 즉각적 학습 수준 파악, 개인적 흥미 반영, 추천 기준의 다각화, 적응적 추천, 확장적 독서, 주도적 선택, 외재적 보상, 친근감 형성, 지각된 용이성의 원리를 반영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시스템은 학습자, 콘텐츠, 교수 모델, 학습자 인터페이스와 데이터 분석의 구조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가입부터 진단, 추천결과를 확인하고 도서의 저장과 관리로 마무리되는 흐름을 가졌다. 주요 기능은 진단, 추천, 도서 목록의 보관, 메인 대시보드가 있었으며, 기타 외재적 보상의 기능을 포함하여 제작되었다. 제작된 시스템에 대한 현장의 반응은 전반적으로 만족스러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진단을 어려웠다고 인식하는 학습자도 있었으나, 결과에 대한 활용이 자신에게 적절한 도서를 추천받기 위함임을 인식하여 부담스러워하기보다 문제를 푸는 과정을 즐거웠던 것으로 인식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영어 학습 기간이과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천 결과를 확인하고 마음에 드는 도서를 담는 과정에서는 다양한 추천 기준을 탐색하고 도서를 보관하고 관리하는 과정을 대부분의 학습자가 즐거워했다. 도출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초등학생 EFL 학습자를 위한 도서 추천 데이터베이스와 알고리즘을 제작하는 효과적인 방식을 제안하였으며, 학습 추천을 위한 교수적 제안과 주도적 선택이 공존하여 학습자에게 최적의 추천을 제공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외국어 학습 목적의 독서를 위해 비선호 영역과 도전적 수준의 도서 추천을 통한 확장적 독서를 유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학습자의 프로필과 영어 도서 목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서로 연계하여 개인화된 추천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행동 로그 기록을 실시간으로 반영한 적응적 추천을 구현하였다. 교육공학의 맥락에서 교수적 접근과 학습적 접근 관점을 모두 수용하여 적용한 연구로서도 의의를 가질 수 있다. Gap in English learning in the classroom has widened due to through private education and the COVID-19 distancing, It is critical to implement efficient personalized learning that can be effective while reducing the learning burden for students who need additional support. English learning utilizing books is an effective way to induce interest and lead learning. This study developed design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the English book recommendation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conducted Type 1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develop the tool, and investigated users' reactions to them. As a result, 10 design principles and 23 detailed guidelines were developed. The system was developed based on the following principles: Principle of assessment design for personalized recommendation, instant learning level identification, reflection of personal interest , diversification of recommendation criteria, adaptive recommendation, extended reading, active selection, external reward, formation of affinity, and perceived ease. The overall response of the field to the manufactured system was found to be satisfactory. Also, it was found that the user's English learning period was proportional to the proportion. Most learners enjoyed the process of exploring various recommendation criteria, storing and managing books. This study proposed an effective method of developing a book recommendation database and algorithm for elementary EFL learners, and the effectiveness of an online system that can provide optimal recommendations to learners was confirmed.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extended reading can be induced through non-preferred areas and challenging level of book recommendation for reading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purposes. The study was able to build the database of learners' profiles and English book lists, develop a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nd implement adaptive recommendations that reflect users' behavioral log records in real time.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is study accepted and applied both the instructional and the learning perspective in the context of educational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