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의 도덕성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또래관계의 차이

        권주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아동의 도덕성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또래관계의 차이 The Difference of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nd Peer Relationships by Their Level of Morality 교육심리 및 상담전공 권 주 임 지 도 교 수 조 규 판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도덕성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또래관계의 차이를 밝히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도덕성 수준에 따라 학업성취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아동의 도덕성 수준에 따라 또래관계에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 시내에 소재한 두 개의 초등학교5∼6학년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61명의 자료를 제외한 155명의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아동의 도덕성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서울대학교 도덕심리 연구소에서 2004년에 개발한 K-DIT를 사용하였으며, 또래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홍옥순이 개발한 자료를 김태희가 수정한 또래관계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학업성취도는 2012학년도 2학기 중간고사 시험 중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의 T점수의 평균을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아동의 도덕성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또래관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도덕성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 즉 아동의 도덕성 수준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변인으로 도덕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높이기 위한 가정과 학교의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아동의 도덕성 수준에 따른 또래관계에는 차이가 없다. 아동의 도덕성 수준이 높을수록 또래관계가 훨씬 우호적일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도덕성과 또래관계에 관한 더 많은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주요어: 도덕성 수준, 학업성취도, 또래관계

      • 2000년대 전·후 중국의 복식도덕성 변화 비교에 관한 연구

        조일근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1949년 이후 지속적인 변화와 발전을 보여주고 있는 현대 중국 복식을 도덕성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 이후 빠른 속도로 발전했으며, 2000년대부터는 세계화 흐름에 동참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외부와의 활발한 문화접촉은 중국의 전통적 도덕관념에 많은 변화를 제공하였고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중국 복식에도 많은 영향을 주기 시작하면서 일반 중국인의 복식도덕성의 개념과 인식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2000년대는‘한 자녀 갖기 운동’으로 태어난 아이들이 성인이 되어 사회에 진출하기 시작한 시기이다. 이들은 디즈니의 캐릭터와 더불어 애니메이션과 NBA 스포츠를 즐겨보면서 성장한 세대이며 자기들이 원하는 옷차림을 하며 간섭을 거부하고 자신의 가치를 뽐내는 세대적 특성을 지녔다. 경제적 측면에서 중국은 질적·양적으로 성장했으며,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개최하면서 사회문화적인 발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복식도덕성의 의미에도 변화가 있었음을 추정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복식도덕성 변화의 흐름과 그 원인의 본질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면서 2000년대 전·후의 중국 사회문화적 변화 속에서 중국인의 복식도덕성에 미친 영향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은 복식도덕성의 세부적인 판단의 기준이 되는 범주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도덕성 평가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2000년대 전·후의 중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이 중국인의 복식도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중국 대도시의 번화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유행에 민감하고 시대적 특성을 가지는 중국여성의 복식스타일이다. 시간적 범위는 1949년부터 2019년까지이며, 이를 2000년을 기준으로 전·후로 나누어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시각적인 정보는 패션잡지에 실린 일반인 스트리트 뷰 사진과 웨이보(微博), 위챗(微信) 등 관련 웹사이트를 참조하였다. 제1장에서는 시대의 흐름에 따른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중국인이 지각하는 복식도덕성에 대한 변화 양상을 살피기 위한 .연구 배경과 목적과연구의 범위와 연구목적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는 것으로 도덕성과 2000년 전·후 사회문화적 특성과 복식도덕성의 개념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복식도덕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복식도덕성의 판단 기준이 되는 구성요인을 도출하였다. 제3장에서는 1949년부터 1999년까지의 기간 동안 중국 복식의 변화 양상을 스트리트복식을 대상으로 복식도덕성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쳤던 사회문화적 맥락을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2000년대 이후 중국 복식에 나타난 변화를 스트리트 복식을 대상으로 복식도덕성의 하위요인 별로 살펴보았으며, 이에 영향을 미쳤던 사회문화적 맥락을 분석하였다. 제5장에서는 3장과 4장에서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복식도덕성의 구성요인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제6장에서는 연구결과의 요약과 함께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들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1949년 이후 중국 복식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건국 이전의 상황과 연계된 전통적 사상과 현대의 변화된 가치관에 따른 복식도덕성의 변화를 연구 범위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복식도덕성의 이해는 복식 주체인 소비자를 떼어놓고는 생각할 수 없으나 본 연구는 실증적 연구방법으로써 직접 중국 대도시의 번화가에서 연구자가 직접 촬영한 자료를 바탕으로 복식도덕성을 분석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문헌연구에만 의존하였다. 실제 도덕성 판단에 대한 통찰이 부족하다는점을 밝힌다. 향후 연구에서는 전문가 인터뷰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를 진행한다면 보다 더 깊이 있는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중국인의 복식도덕성과 미적 의식의 변화를 볼 수 있는 동시에 중국의 현대화 과정에서 나타난 복식도덕성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중국의 복식도덕성의 패러다임을 이해하고, 중국 복식의 발전방향을 예측하는 후속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looked at modern Chinese doubles in terms of morality, showing continuous change and development since 1949. China has developed rapidly since its reform and opening in 1978, and has joined the globalization trend since the 2000s. In this process, active cultural contacts with the outside world provided many changes to China's traditional morality and began to affect Chinese doubles in sociocultural contexts, resulting in changes in the concept and perception of the doubles morality of ordinary Chinese people. The 2000s were a time when children born into the "One Child Movement" began to enter society as adults. These are generations who grew up enjoying animation and NBA sports, along with Disney characters. They have the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of being dressed as they want, refusing to interfere, and showing off their On the economic front, China grew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nd confirmed its sociocultural development when it hosted the 2008 Beijing Olympics. In this atmosphere, we can assume that there has also been a change in the meaning of doubles morality. Thus, the researcher carried out the research by analyzing what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on the double morality amid the social and cultural changes in China, both before and after the 2000s, while questioning the nature of the change in the nature of the Chinese people. The progress of this study discussed morality from the point of view of desire, and formed a category that serves as the basis for detailed judgement of double morality. and explor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moral assessment judgments. Specifically,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of China before and after the 2000s were analyzed to see how the Chinese people's doubles morality was affected. The scope of this study is the doubles style of Chinese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sensitive to trends and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easily encountered in the bustling streets of China's metropolis. The time range is from 1949 to 2019, which was divided into two periods, one before and the other as of 2000. This study was center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visual information was referred to the public street view photos in the double-book magazine and related websites such as Weibo and WeChat. Chapter 1 presented research scope and research problems to examine the pattern of changes in the doubles morality in which the Chinese are perceived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In Chapter 2,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morality and doubles morality were analyzed by examin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doubles morality, the detailed components of doubles morality are derived. Chapter 3 looked at the pattern of changes in Chinese doubles during the period from 1949 to 1999 by subcomponents of doubles morality in street doubles, and analyzed the sociocultural contexts that had affected them. In Chapter 4, the changes shown in Chinese doubles since the 2000s were examined by subcomponents of doubles morality in street doubles, and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hat influenced them were analyzed. In Chapter 5, based on the discussion discussed in Chapters 3 and 4, we analyzed the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doubles morality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Chapter 6 provides a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as well as suggestions for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future studies. This study aims to derive sociocultur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change of doubles morality as shown in China's modernization process, while at the same time seeing the change of doubles morality and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Chinese people, and through these studies we hope to be the basic data of follow-up research to understand the paradigm of doubles morality in China and to predic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hinese doubles.

      • 도덕성과 규범성에 대한 자연주의적 설명

        양승철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전통적인 윤리학들에 대한 무어의 ‘자연주의적 오류’라는 비판으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윤리적 자연주의 논쟁’을 다룬다. 무어가 도덕성이란 자연적인 속성일 수 없다는 주장을 제안한 이후로, 자연주의 논쟁의 장은 규범성과 근거에 대한 자연주의 논쟁으로까지 점점 더 확장되었다. 이 논문은 도덕성과 규범성, 근거에 대한 비자연주의적 입장을 비판했다. 비환원적이고 비자연적인 근거 개념이 우리가 근거에 대하여 기대하는 설명적 역할을 전혀 할 수 없기 때문에 근거를 자연주의적인 개념으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하고, 따라서 근거 함축적인 의미의 규범성은 자연적인 속성이다. 규범성이 자연적 속성이라면, ‘도덕성이 지닌 규범성이 비자연적이므로, 도덕성 또한 자연적일 수 없다.’라는 도덕성에 대한 비자연주의적 논증 역시 불가능하다. 무엇보다도 비자연주의적 관점들이 설득력을 잃는 결정적인 이유는, 그것들이 자신들의 존재론과 인식론 사이에서 일관성을 잃기 때문이다. 그것들은 도덕적 속성과 사실들이 실재한다고 주장하면서도, 그 실재성을 입증할 적절한 인식론을 제시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도덕성과 규범성에 대한 자연주의적 관점을 지지했다. 이 논문은 규범성과 행위 인도적인 영향력을 구분했다. 규범성이란 참인 규범적 주장에 존재한다고 간주되는 속성이고, 행위 인도적 영향력이란 그러한 규범적 주장들이 실제로 행위자에게 미치는 영향력이다. 이 논문의 관점 상에서 결론적으로 “해야만 한다.”라는 종류의 규범적 주장은 특정한 대상이 객관적인 목적, 목표, 가치평가 기준으로 상정될 경우에 그것을 성취하거나 달성시킬 최선의, 혹은 유리한 수단이라는 점에 대한 보고 혹은 표현이다. 이때 도덕성은 그 주장의 객관적인 목적, 목표, 가치평가 기준으로 상정될 수 있는 대상이며, 실제로 보편적인 사람들에게 일상적으로 가장 빈번하게 목적으로 상정됨으로써 거의 언제나 행위 인도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대상이다. 이 논문은 이 논문이 제시한 규범적 사실의 존재론에 대하여 비판받을 여지가 있다는 한계를 지니며, 이 논문이 제시한 비자연주의에 대한 비판은 명확한 비자연주의적 인식론이 제공될 경우에 논파될 것이라는 한계를 지닌다. 그러나 이 논문은 도덕성과 규범성이 현실에 미치는 실제적인 영향력을 구분하고 참 혹은 거짓으로 판명될 수 있는 종류의 도덕적 주장과 규범적 주장을 제시함으로써 그 속성들에 확고한 형이상학적 지위를 부여하기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유의미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issue of Ethical Naturalism which started from the critique of Moore's 'the Naturalistic Fallacy' on traditional ethics. After Moore suggested that morality cannot be regarded as a natural property, the debate on ethical naturalism has expanded to the naturalistic debate on normativity and reason. This paper criticized the non-naturalistic views on morality, normativity, and reason. It is reasonable to regard reason as a naturalistic concept, since the conception of irreducible and non-natural reasons can not at all explain the explanatory role which we think reasons would play. Therefore, normativity in the 'reasons-implying' sense is a natural property. It is also impossible for non-naturalistic arguments about morality to suggest that morality is non-natural because the normativity of morality is non-natural when normativity is a natural property. Above all, the crucial reason for non-naturalist views to lose plausibility is that they cannot keep consistantcy between their ontology and epistemology. They argue that moral properties and facts are real but do not seem to be able to give a proper epistemology to elucidate the reality of moral properties and facts. In conclusion, this paper supports the naturalist view of morality and normativity. This paper distinguishes between normativity and action-guiding influences. Normativity is a property that is considered to exist in the true normative claims while action-guiding influences are the influences that normative claims actually have on agents. On the view of this paper, the conclusion is that the kind of normative claims like "ought to do" reports or expresses that the action is the best or favored means to accomplish or achieve when a certain object is postulated as an objective goal or evaluative measure. Then, morality is an object that can be assumed as objective goal, end or evaluative measure of claims, and is almost always the object that has action-guiding influences because it is assumed most frequently to be the purpose for common people. The argument of this paper is limited in that there is room for criticism on the ontology of the normative facts presented here, and also in that the critique of non-naturalism presented in this paper will be dismissed if a clear non-naturalist epistemology is provided. Still,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s to assign a firm metaphysical status to morality and normativity by distinguishing the action-guiding influence of them on agents and providing moral and normative claims of a naturalistic kind that can be proved to be true or false.

      • 도덕성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월슨의 도덕성 요소를 중심으로

        김범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윌슨의 사람의 개념을 기초로 한 도덕교육론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아동들의 도덕성을 증진시키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등학교 6학년 도덕과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도덕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아동들에게 도덕적 행동을 하도록 하는 데 있다. 그러나 실제 수업에서는 교실이라는 제한된 장소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그들에게 도덕적 행동을 할 수 있는 능력, 즉 도덕성을 함양시켜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도덕적 행동의 전제 조건인 도덕성 함양을 위한 도덕교육의 주제는 도덕성이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도덕성 함양을 위한 교육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그것은 도덕성이 인지적 측면, 정서 감정적 측면, 행동적 측면으로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어 이를 통합적이고도 조화롭게 다루어야 하기 때문이다. 올바른 도덕성 함양을 지향하고 있는 현행 7차 도덕과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우리의 도덕 교과서가 아동들이 흥미롭게 받아들일 만한 방식으로 덕목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사고를 자극하는 자료로서 미흡한 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수학습 방법에 있어서도 대개는 미리 정해진 덕목이나 가치를 중심으로 교사의 일방적인 설득과 주입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학생들에게 도덕적 원리에 따라 합리적인 사고를 거쳐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가 어렵다. 도덕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질적으로 수준 높은 자료가 필요함에도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도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행 도덕교육의 난점을 해결해 줄 수 있는 도덕교육론으로 사람의 개념에 기초한 4범주 15요소로 구성된 윌슨의 도덕성 이론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가 제시하는 도덕성 요소 목록은 도덕성의 세 측면이 통합적이면서도 조화롭게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가 도덕적 삶과 도덕적 문제해결의 방법론으로도 작용한다. 윌슨은 도덕성을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사고의 절차로 보고 있다. 즉 그의 도덕성요소 목록은 이해관계가 발생한 문제사태에서 순간이 어떤 감정에 이끌리지 않고 이성을 사용해 옳은 답을 찾는 절차이다. 도덕적인 사람은 자신의 신념과 행동에 합리적인 사람이다. 다른 도덕 교육 학자들과는 달리 윌슨은 아동·학생들에게 도덕교육의 주제가 도덕성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도덕성이 무엇인지를 직접적으로 교수해야 한다고 말한다. 윌슨이 정의하는 도덕성은 두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도덕적 사태에서 도덕적 문제를 합리적이고 자율적으로 해결하는 방식과 절차를 의미하는 '사고의 형식'의 도덕이며, 다른 하나는 자신의 삶을 의미 있고, 가치 있게 사는 방식을 의미하는 '삶의 형식'의 도덕이다. 전자는 다른 사람의 이익과 관련된 공적 도덕, 즉 대인간 도덕 영역과 관련되는 좁은 의미의 도덕이며, 후자는 자아이상, 개인적 관계 등의 사적 도덕 영역과 관련되는 넓은 의미의 도덕이다. 그는 도덕교육은 '사고의 형식'의 도덕에서 출발하라고 한다. '사고의 형식'의 도덕을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제시한 것이 윌슨의 도덕성 요소이다. 도덕성 요소에 관한 각 범주의 내용은 다른 사람을 나와 동등하게 고려하기, 사람들의 정서감정을 인지하기, 사실적 지식과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기, 도덕적 문제를 인식, 사고 판단하여 행동하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가 말하는 도덕적으로 교육된 사람이란 이러한 도덕성 요소를 갖추고 있는 사람으로 이러한 도덕성 요소를 계발하여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절차적 규칙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도덕교육의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덕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현행 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도덕교육론으로 통합적, 체계적, 논리적이라고 할 수 있는 윌슨의 도덕성 요소 이론과 이에 기초하여 남궁달화가 새롭게 구안한 '기본적 도덕과 교육과정'을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초등학교 6학년 아동들의 도덕성을 증진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윌슨의 도덕성 요소에 기초한 4개 생활영역의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자가 개발한 자료의 부족한 점이 개선되고 나머지 단원의 교수학습 자료도 개발되어 도덕과 수업에서 아동들의 도덕성 증진을 위한 수준 높은 교수학습 자료로 활용되어 도덕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좋은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crease children's morality by applying theories of moral education based on Wilson's concept of human beings to elementary school practice. With this in mind, the researcher worked out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moral education class of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ultimate purpose of moral education consists in helping children to morally behave themselves. In fact, activities in a limited space of classrooms aim to equip them with abilities to morally behave. That is, the end of moral education is to cultivate morality through class. In this context, the subject of moral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morality, the requisite of moral behavior, should be morality. However, the cultivation of morality is far from being easy. It should be integrative and harmonious for morality is complicatedly composed of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s. The current 7th moral-education curriculum designed to cultivate right morality leaves much to be desired. The 7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highlights 20 principal value virtues, setting 10 virtues by grade in consideration of class and ranks. But it is the way such virtues are presented that is as important as virtues presented by the curriculum. Korean books on good citizenship fail to interest children and to stimulate students' thinking process.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eachers engage in lopsided persuasion and cramming by focusing on predetermined virtues and value. This method doesn't help students to go through free thinking, choice and rational thinking process, failing to enable them to live in this various and complex society. Teachers are supposed to help them to cultivate abilities to choose on their own on the basis of rational thinking process according to moral principles. The educational purpose of a nation lies in that of its curriculum. The value of moral-education curriculum cannot be acknowledged until it is put into practice in educational field. Moral education includes not only subjects but also life guidance. Although all the teachers engage in moral education, their methodologies show differences. Such differences in the ways of teachers' moral education are related to disrespect for and inconsistency of moral education, and likely to bring confusion to the behaviors of students. If one is to blame once-a-week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one fails to realize the insufficiency of class sessions for moral education. Currently the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are a far cry from acting as a facilitator to encourage moral judgement and to stimulate intelligent activities. Besides, teachers have difficulties for lack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o use in class. It takes a variety of quality materials to achieve the goals of moral education, but the reality of moral education has much room for improvement. It is necessary that various materials including fables dealing with moral problems should developed. Although there are a lot of scholars whose moral education theories can solve the problems with the current moral education, this researcher finds Wilson's theory on moral education the most appropriate one. 15 moral factors in four categories based on Wilson's concepts of human beings consist of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ones in harmony and on a integrative basis and act as the methodologies of solving moral problems as well as moral life. Wilson regards morality as rational and logical thinking process. He says that morality refers to procedures without becoming too emotional to find right answers. Moral man is the person whose belief and behavior are rational. Unlike other scholars, he claims that the subject of moral education is morality and that teachers should teach students what morality is. His morality can be divided into two. One is the morality of thinking mode, which means the methods and procedures of solving moral problems in a rational and self-regulatory way in moral situations. The other means the morality of life mode meaning the ways of living a meaningful life. The former is morality in a narrow sense related to interpersonal moral province, or public morality connected with others' interest. The latter is morality in a broad sense related to private moral province such as self-ideal and individual relationship. He says that moral education should begin with morality in a thinking mode. It is his morality factors that suggest morality in a thinking mode in a logical and conceptual way. He suggests his moral factors in four categories and in 15 factors. The four categories include considering others on an equal basis, recognizing the feeling of others, acquiring factorial knowledge and social skills, recognizing moral problems and acting after thinking and judging. Wilson says that morally educated persons are possessed of moral factors and that the end of moral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to develop such moral factors and to think according to the rule of rational and logical procedures. With a view to achieving the goals of moral education, this study takes a look at the problems with the current 7th curriculum, Wilson's theory on morality factors deemed to be integrative, systematic and logical and to be able to solve the problems and newly devised basic morality curriculum based on the theory. The researcher developed four life-area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based on Wilson's morality factors for the use of class so that the sixth graders may be helped with the enhancement of morality.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shortcomings of this material will be improved and used as high-quality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improvement of students' morality and that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other units will be developed.

      • 도덕성 개념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연구

        강봉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도덕성의 개념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범주화하고 그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그리고 개념도를 통해 확인된 도덕성 개념에 대해 학생들이 인식하는 중요도와 수행도를 실증적으로 조사하고 그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도덕교육적 함의를 이끌어내는 것이다. 도덕성은 학문적 분야나 강조하는 입장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지만 일반적으로 도덕성은 도덕적 품성을 의미한다. 도덕적 품성이란 성격에서 이끌어지는 행동을 사회규범에서 파악한 것을 의미한다. 즉 도덕성은 선하고 악한 행동 및 인격에 대한 개인적 혹은 사회적 기준이며 그러한 기준을 따르는 자질을 의미한다. 그동안 도덕성과 관련된 연구는 사람들의 도덕성 진단에 초점을 맞추고 요소별로 그 수준을 측정하는 데에 관심을 기울여 왔다. 하지만 실제로 사람들이 도덕성을 무엇으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명히 밝히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개념도 분석법을 사용하여 고등학생의 도덕성 개념 인식을 확인하였다. 1차 연구에서는 353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도덕성의 개념을 조사한 후 통합 과정을 거쳐 50개의 진술문으로 정리하였다.정리된 진술문은 고등학생 32명의 유사성 분류 작업을 통해 범주화되었고, 다차원척도법과 계층적 군집분석을 통해 ‘배려와 존중’, ‘예의와 모범’, ‘자기조절과 성숙’, ‘원칙과 의무’, ‘정의감과 공공선’의 5개의 범주로 구분되었다. 2차 연구에서는 중요도와 수행도 조사를 통해 학생들이 전반적으로 도덕적 실천의 측면에서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다고 인식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덕교육에의 함의를 세 가지 제시하였다. 첫 번째로 학생들이 개인적인 도덕성 보다는 타인지향적인 도덕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지적하고, 정직함이나 진실함과 같은 개인적 도덕성의 강조와 자기배려와 타인배려의 조화를 위한 교육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두 번째로 중요도와 수행도 비교에서 학생들이 실천과 봉사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지만 수행에 있어서는 매우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도덕적 민감성과 책임의식의 강화를 위한 교육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세 번째로 학생들이 도덕성을 보편적인 가치의 측면에서보다는 인습적인 측면에서 진술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우리가 추구해야 할 보편적 가치에 대한 개념 학습 및 반성적 사고를 통해 스스로 개념을 형성하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함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도덕성의 개념을 통해 그들이 자신만의 기준을 가지고 있다기보다 타인에 의해 많이 좌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덕이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의미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도덕적 판단과 행동이 자기 자신에게서 비롯되어 이루어졌을 때 지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덕교육은 학생들이 삶의 과정에서 어떻게 도덕적 발달을 이루어 가는지를 질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들의 현재 도덕성을 진단하고 앞으로 그들에게 필요한 도덕성이 무엇인지 예측하면서 도덕성의 의미와 도덕교육의 내용을 재개념화 해야 한다.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도덕성이 학교폭력 가해·피해에 미치는 영향 : 마키아벨리즘과 정의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유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ual Mediation Effects of Machiavellism and justice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ity and perpetration/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76 upper-grade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in Daegu city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ith SPSS 25.0 and AMOS 23.0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grade, academic grades, fathers’education, mothers’education or economic status in morality, Machiavellism, justice sensitivity, and perpetration/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morality, Machiavellism, justice sensitivity, and perpetration/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Machiavellism and perpetration/victimization of offline-school viol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justice sensitivity and perpetration of school viol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petrator sensitivity and victimization of cyber viol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ictim sensitivity and victimization of cyber violence were not significant. Third, morality had an indirect effect on perpetration/victimization of cyber violence through Machiavellism. And morality had an indirect effect on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through perpetrator sensitivity, observer sensitivity, and victim sensitivity. This study revealed that morality, Machiavellism, and justice sensitivity need to be considered to reduce perpetration/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f cyber violence. More specifically, the results highlight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Machiavellism and justice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ity and perpetration/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레스트(Rest, J.)의 4구성요소에 근거한 초등학생 도덕성 진단 검사 도구 개발

        안희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도덕성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진단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013년에 레스트(Rest J. R.)의 4구성요소 모형(감수성, 판단력, 동기화, 품성화)에 기반하여 개발한 ‘청소년 도덕성 진단 도구’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용 진단 도구를 개발하였다. 즉, 청소년 도덕성 진단 도구의 이론적 토대와 측정 요인을 근거로 하여 초등학생의 사고와 경험 사례에 부합하는 스토리와 문항을 개발한 것이다. 처음에 총 6개의 스토리를 개발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3개의 스토리로 단축하였고, 다시 본조사를 통해 2개의 스토리로 최종 확정하였다. 2차례에 걸친 설문조사는 2014년 6월부터 12월에 걸쳐 서울지역 9개 초등학교 4, 6학년 81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 대상 초등학교 선정은 거주지의 유형에 따라 아파트 지역 3개교, 주택지역 3개교, 아파트․주택 혼합지역 1개교를 임의로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스토리 2개에 대하여는 도덕적 판단력을 제외한 3개의 도덕성 구성 요소별로 2개의 측정 요인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도덕 동기화, 도덕 품성화, 도덕 감수성 순서대로 요인 타당도가 높게 나타났다. 문항 신뢰도에서도 도덕 동기화, 도덕 품성화는 모두 .8 이상이었으며 도덕 감수성은 .7 수준으로 모두 높게 나타났다. 본 진단 도구 개발의 의의는 도덕성의 인지, 정의, 행동적 요소를 통합한 초등학생용 도덕성 진단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초등학생의 도덕성 발달 수준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진단 도구는 학생 개인에게는 자신의 도덕적 강점과 약점을 스스로 확인함으로서 자기 주도적 인성교육의 동기를 갖도록 하며, 담임 교사에게는 학년 및 성별에 따른 도덕성 발달 경향과 특징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효과적인 학교폭력예방 및 인성교육 수립에 도움을 줄 것이다. 그리고 교육당국은 일관된 형식의 진단 도구의 사용으로 초등에서 중·고등학생에 이르기까지 도덕성 발달의 전체적인 경향과 특징을 파악하고 비교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 도덕성 4요소 이론에 기초한 선택형 문항 개선 방안

        이경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도덕과의 평가방법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면서 그 연구가 미흡하였던 선택형 문항에 대한 연구이다. 도덕과 교육의 목표는 ‘자율적이고 통합적인 인격 형성’, ‘도덕적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마디로 도덕성을 함양하는 것인데 이 도덕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하느냐가 도덕교육과 평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이다. 소크라테스 이래 콜버그(L. Kohlberg)에 이르기까지 윤리학계에서는 도덕적 판단력이 도덕적 행동을 낳는 도덕성을 가름하는 것이라는 믿음을 가져왔으나, 오늘날에는 도덕적 판단력은 도덕적 행동을 낳는 일부분이며 다른 요소들에 의해 도덕적 행동 여부가 달려있다는 논리가 더 타당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바로 레스트(J. R. Rest)라는 학자에 의해 주장된 도덕성 4요소이론이 그것인데 레스트는 도덕적 사고 외에 도덕적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도덕성 요소이론을 제시하며 도덕성을 통합적으로 발달시키는 교육을 강조한다. 4요소는 ‘도덕적 감수성(moral sensitivity)’ ‘도덕적 판단력(moral judgement)’ ‘도덕적 동기(moral motivation)’ ‘도덕적 품성(moral character)’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레스트의 도덕성 4요소 이론을 기초로 하여 도덕과의 선택형 평가문항을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항 제작의 준거로 삼은 것은 나바에즈(D. Narvaez)가 제시한 것으로 ‘도덕 전문가’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숙련한 ‘윤리적 기술’들이다. 이는 레스트의 4구성요소 모델을 토대로 하여 교실에서 인격을 함양할 수 있도록 제안한 것이지만 평가 요소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담고 있다. 문항의 제작은 두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는데 한 번은 중학교에서 실행된 총괄평가의 도덕과 평가문항 중 개선의 여지가 있는 문항들을 골라 도덕성 4요소 이론에 기초한 문항으로 개선하였다. 그리고 다른 한 번은 이를 통해 도덕성 4요소와 그 하위요소들을 보다 골고루 평가할 수 있도록 2012년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 따라 중영역별로 한 문항씩 새로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도덕성 요소이론에 기초한 선택형 문항으로의 개선 및 제작의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첫째, 도덕성 4요소 측정 문항의 제작을 위해서는 대부분 도덕적 판단력이 포함되는 문항의 제작이 필수적이다. 둘째, 도덕적 감수성에 기초한 문항의 경우에는 비교적 문항 제작이 수월하나, 도덕적 품성의 경우 용기나 인내와 같은 구성요소에 대한 측정이 자칫하면 지․행 분리 답변을 유도할 가능성이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급적 다른 도덕성 요소들도 함께 측정할 수 있는 정교한 문항 제작의 기술이 요구된다. 셋째, 도덕성 요소에 기초한 문항 제작을 위해서는 그에 알맞은 예시문이 필수적이며 문항 제작에 앞서 수업과 연계하여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예시문은 평가 내용에 부합하면서도 교과서에 등장하지 않고, 학생들의 삶과 밀접하면서현실의 도덕적 문제들에 대한 성찰을 하도록 하는 내용이어야 한다. 도덕성 요소이론에 기초한 문항 제작은 결국 좋은 평가문항을 만드는 것이다. 도덕과의 좋은 문항이라는 것은 도덕과의 목표를 잘 달성하였는지를 확인하여 도덕성을 측정하는 것이다. 레스트의 도덕성 4요소 이론은 도덕적 행동을 설명해주는 가장 체계적인 이론이며 동시에 도덕성에 대한 가장 측정 가능한 접근 방법으로 도덕과 평가의 타당성과 평가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줄 수 있는 이론적 바탕이 될 수 있다. 도덕성 요소이론은 앞으로 도덕과의 평가방안을 개선하는 데도 도움을 줄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도덕과의 목표를 설정하고 교육과정을 편성하는 데도 많은 영향을 끼칠 것이다.

      •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윤승환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와 도덕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청소년들에게 바른 도덕성을 심어줄 수 있는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중학생의 도덕성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도덕성은 중학생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 416명이며, 청소년의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 도덕성에 대한 측정도구를 포함하여 질문지를 구성하고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 분석 및 표준다중회귀분석을 식시하였다. 연구 결과,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와 도덕성은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를 온정/수용적 양육태도, 거부/제재적 양육태도, 허용/방임적 양육태도로 나누고 도덕성을 도덕지능으로 대체하여 그 하위요소로 공감 능력, 분별력, 자제력, 존중, 친절, 관용, 공정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성별에 따라 부모의양육태도 지각과 도덕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온정/수용적일 수록 도덕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도덕성의 성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도덕성의 하위 요인 중 공감만이 여학생이 높게 나왔다.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공감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도덕성과의 관계를 확인하여 중학생의 도덕성 발달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도덕성에 대한 성리학적 고찰

        김현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도덕성은 통념상 개인의 인격, 인성 등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이는 명확하게 표현해내기 어려운데, 형식과 내용, 인지·정의·행동 등 이를 파악할 수 있는 기준마저도 다양한 실정이다. 그러나 중요한 점은 그 기준을 무엇으로 삼든지, 그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 몇 가지 측면들 모두가 통합적으로 고려되어야만 ‘도덕성’이라는 하나의 개념을 온전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형식과 내용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먼저 내용으로서 도덕성은 개인의 도덕적인 말과 행동을 가리킨다. 도덕성을 일종의 내용으로 전제하는 경우, 도덕교육은 교화나 훈계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1920년부터 1930년대 미국의 공립학교에서 주로 채택하던 방식인데, 1920년대 말 발표된 Hartshorne과 May의 ‘인격교육 연구(1928-1930)’(Character Education Inquiry)에 의해 그 한계점이 드러났다. 그것은 바로 교화와 실천의 괴리이다. 즉 교화는 학생의 실제적 행동 변화를 이끌지 못한다. 덧붙여, 교화의 내용인 덕목은 이를 선정하는 주체에 따라 상이하다는 점에서 가치 상대주의의 위험을 내포한다. 이와 다르게 Kohlberg(이하 콜버그)는 도덕성을 일종의 형식으로 파악하여 도덕교육에 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콜버그 이론에서의 도덕성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갖는 보편적인 것으로, 일정한 단계에 따라 발달해 간다. 즉 도덕성이란 일종의 선험(先驗)적 형식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도덕성 발달의 최종단계에 이르면 당위나 정의(justice)적 측면에 근거하여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콜버그식 도덕교육은 사고과정 즉, 도덕성의 형식을 발달시키는 것에 중점을 두며, 예컨대 교사가 학생에게 도덕적 판단이 요구되는 문제 상황을 제시하고 그 스스로 판단하도록 질문하는 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콜버그의 이론은 도덕성의 형식 발달에 편중된 나머지, 도덕적 형식의 발달과 그 실천 간의 관련을 분명히 하지 못했다. 콜버그 스스로 심리학자의 오류라고 일컬었듯이, 형식이 발달함에 따라 그 단계에 걸맞은 도덕적 행동이 저절로 실천될 것이라고 결론내린 것이다. 이러한 통찰을 토대로 그는 후기에 도덕성의 형식과 내용 모두를 함양할 수 있는 교육방식을 제시하기도 했다. 한편 이러한 접근 방식은 도덕성의 두 측면을 별개의 것으로 구분하여, 마치 도덕성이라는 한 가지 개념이 절반은 내용으로, 나머지 절반은 형식으로 이루어졌다는 오해를 일으킨다. 따라서 도덕성의 개념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 측면이 맺는 관련을 고려한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성리학은 이러한 통합적 접근을 가능케 하는 대안적 이론이다. 성리학 이론에 의하면, 개인의 마음을 포함한 세상 만물에는 경험적 수준으로 표현되기 이전의 무엇이 논리적으로 상정된다. 따라서 성리학적 관점은 곧 경험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수준과 경험적으로 인식하기 어려운 수준의 중층구조를 이루며, 이를 토대로 만물을 파악한다. 특히 경험적으로 인식하기 어려운 수준-혹은 형이상학적 수준-을 일컬어 미발의 표준, 理, 性 등으로 표현하는데, 이는 교육의 사태에서 심성이 함양되는 그 순간을 밝혀냄으로써 더욱 분명해진다. 중층구조의 관점에 의하면 개인의 마음은 형이상학적 수준의 마음인 性과 경험 수준의 마음인 情으로 구분된다. 마음은 교육 사태에서 개인이 경전 즉, 경험적 수준에서의 교과를 마주하면서 보다 역동적으로 운동할 수 있게 되는데, 형이상학적 수준에서의 마음인 性이 형이상학적 수준의 中 혹은 미발의 표준과 수직으로 맞닿으며 운동하고, 경험적 수준에서의 마음인 情은 이러한 性과 수평으로 맞닿으며 운동하게 된다. 정리하면 개인은 교과를 공부하며 형이상학적 수준의 교과 즉, 교과 그 자체(理)를 대면함으로써 마음의 부단한 운동을 통해 심성을 획득 혹은 회복해나간다. 나아가 경험적 수준의 마음인 情은 부단히 운동하는 性과 접촉하면서 동시에 꾸준히 수평적으로 운동하므로, 심성으로서의 도덕성 함양을 토대로 그 실천까지 가능해진다. 다만 이때의 교과공부는 교과를 경험하는 것만이 아니라, 공부를 하는 매 순간 마음이 움직여, 자신의 한계를 깨닫는 동시에 자신을 포함한 세계를 통찰해가는 것이다. 따라서 교과공부는 나열된 지식의 암기를 넘어서, 반성적 사고와 만물에 대한 통찰을 가능하게 하므로 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Morality is generally a concept that refers to the individual's personality or his character. Although it is hard to clearly define the morality, there are various criteria such as form and content, recognition·heart·behavior to define the morality. In terms of form and content, morality as a content refers to the polite expression and behavior of an individual. If moral education is based on this perspective, moral education is carried out in a way of edification and discipline. Unlike this traditional approach, Kohlberg has presented a new perspective on moral education through his theory, understanding morality in a form. In his theory, morality is universal. It can be developed at a certain stage and one can judge a situation based on the justice finally. According to this perspective, moral education is carried out in a way of questioning. However, both of these approaches have the same limitation that divides two aspects of morality separately, so it leads us to the misunderstanding that single concept of morality are half-form and the other half-content. In order to better to understand the morality, all aspects are taken into account in an integrated perspective. The Neo-Confucian theory is an alternative theory that presents an integrated perspective on morality. In view of this, everything in the world, including an individual's mind, can be explained in an empirical level and metaphysical level, so it is possible that the empirically unrecognizable level of the world(理) and the unrecognized level of the human mind(性) is bound by one(一理), that is, the standard of a metaphysical level. Therefore, this theory may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by clarifying the moment of mind cultivation in an educational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