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대인관계 유능성,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권애경 국립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회복탄력성, 대인관계 유능성, 임상실습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학과 재학생 중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206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해당기관의 승인을 얻어 2023년 9월 1일부터 9월 12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대학생활적응은 정은이와 박용한(2009)이 개발한 도구, 회복탄력성은 양영희 등(2015)이 개발한 도구, 대인관계 유능성은 Buhrmester 등(1988)이 개발한 도구를 한나리와 이동귀(2010)가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한 도구,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Beck & Srivastava (1991)가 개발한 도구를 김순례와 이종은(2005)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생활적응은 5점 만점에 평균 3.51점이었으며,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74점, 대인관계 유능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45점,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평균 2.67점이었다. 2. 대학생활적응은 간호학 선택동기(t=-3.51, p=.001), 전공만족도(F=22.88, p<.001), 지난 학기 성적(F=5.67, p=.004), 주관적 건강상태(F=8.20, p<.001), 주관적 경제상태(F=12.46,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회복탄력성은 간호학 선택동기(t=-2.95, p=.004), 전공만족도(F=26.70, p<.001), 지난 학기 성적(F=3.78, p=.025), 주관적 건강상태(F=18.36, p<.001), 주관적 경제상태(F=11.49,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인관계 유능성은 간호학 선택동기(t=-3.47, p=.001), 전공만족도(F=6.57, p=.002), 주관적 건강상태(F=4.23, p=.016), 주관적 경제상태(F=17.21,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학년(t=-3.88, p<.001), 간호학 선택동기(t=3.81, p<.001), 전공만족도(F=5.42, p=.005), 주관적 건강상태(F=12.56, p<.001), 주관적 경제상태(F=4.19, p=.01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회복탄력성(r=.72, p<.001), 대인관계 유능성(r=.57,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임상실습 스트레스(r=-.30, p<.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복탄력성(=.55, p<.001), 전공만족도(=-.15, p=.005), 대인관계 유능성(=.15, p=.036)으로 나타났으며, 본 모형에 의해 설명되는 총 설명력은 54.0%이었다. 이상을 통해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회복탄력성, 전공만족도, 대인관계 유능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전공만족도, 대인관계 유능성을 증진시키는 전략은 대학생활적응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analyze college life adjustment, resili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college life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6 nursing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who understood and agreed to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12, 2023, with approval from the relevant institution. The research tool was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tool for college life adjustment by Jung & Park (2009), the tool for resilience by Yang et al. (2015), the tool for interpersonal competence by Buhrmester et al. (1988) were validated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by Han & Lee (2010). and the tool for clinical practice stress by Beck & Srivastava (1991)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 & Lee (2005).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Win version 27.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for college life adjustment was 3.51 points out of 5 points. The average score of resilience was 3.74 points out of 5 points. The average score of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3.45 points out of 5 points. The average score of clinical practice stress was 2.67 points out of 5 points. 2. College lif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as shown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nursing selection motivation (t=-3.51, p=.001), major satisfaction (F=22.88, p<.001), last semester grades (F=5.67, p=.004), subjective health status (F=8.20, p<.001),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F=12.46, p<.001). Resili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as shown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nursing selection motivation (t=-2.95, p=.004), major satisfaction (F=26.70, p<.001), last semester grades (F=3.78, p=.025), subjective health status (F=18.36, p<.001), subjective economic status (F=11.49, p<.001), Interperson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as shown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nursing selection motivation (t=-3.47, p=.001), major satisfaction (F=6.57, p=.002), subjective health status (F=4.23, p=.016),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F=17.21, p<.001). Clinical practice str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as shown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grade (t=-3.88, p<.001), nursing selection motivation (t=3.81, p<.001), major satisfaction (F=5.42, p=.005), subjective health status (F=12.56, p<.001),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F=4.19, p=.016). 3. College life adjustmen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r=.72, p<.001)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r=.57, p<.001),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clinical practice stress (r=-.30, p<.001). 4. College life adjustment was shown to be influenced by resilience (β=.55, p<.001), major satisfaction (β=-.15, p=.005),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β=.15, p=.036). The power of explanation for this modal was 54.0%. It was found that 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nfluenced college lif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Therefore, strategies to improve the 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will improve college life adjustment.

      • 대학생의 시간압박감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함영애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대학생활 적응은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건강한 이행과 이후의 사회생활 적응에 기초가 되기 때문에 대학생의 중요한 과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대학생은 학업, 진로와 취업, 고용불안, 이성 관계 등 다양한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으며,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시간부족을 느끼고, 시간압박감에 시달리고 있다. 대학생의 시간압박감과 스트레스는 우울, 불안의 유발, 행복의 감소뿐만 아니라, 대학생활적응의 어려움을 야기 시킬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활 적응에 시간압박감과 스트레스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5개 대학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30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데이터 클리닝 작업 후, 신뢰도 검증,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t검증 및 ANOVA를 실시하였고, 대학생의 시간압박감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시간압박감, 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의 전반적인 수준을 살펴보면 시간압박감은 평균 3.29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는 평균 3.13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은 평균 3.11로 나타나 모두 5점 척도의 중앙값인 3.0보다 높았다. 따라서 대학생의 시간압박감, 스트레스, 대학생활 적응은 보통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는 정서적응이 평균 3.21로 나타나, 평균 3.08인 학업적응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시간압박감, 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압박감은 수면시간과 통학시간, 시간사용만족수준과 주관적 경제생활수준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수면시간이 적을수록 통학에 걸리는 시간이 많을수록, 시간사용만족수준이 낮을수록 그리고 주관적 경제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시간압박감을 많이 받고 있었다. 스트레스는 시간사용만족수준과 주관적 경제생활수준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시간사용만족수준이 낮을수록 주관적 경제생활수준이 낮을수록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었다. 대학생활적응은 스마트 폰 사용시간과 시간사용만족수준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스마트 폰 사용시간이 적을수록 시간사용만족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을 잘하고 있었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학업적응에는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시간사용 만족수준이 정서적응에는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수면시간이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시간압박감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시간압박감과 스트레스는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학업적응에는 스트레스가 부적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정서적응에는 시간압박감과 스트레스가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시간압박감과 스트레스는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효과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는 시간 관리에 대한 프로그램개발 및 교육, 다양한 정책들을 강구하여 시간압박감과 스트레스를 낮추고, 잘 관리함으로 시간압박감과 스트레스가 유용한 자원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요어 : 대학생활 적응, 시간압박감, 스트레스 Adaptation to college lif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chievements in one's life as a milestone for the transition from an adolescent to an adult and the adaptation to the society in the future. However, college students are exposed to the variety of strain such as studies, further education, getting jobs, employment instability, and relationships. As college students are in need for more essential time as time goes by, they feel time pressure, running out of time. The sense of time pressure and stress that college students experience are expected to be the main causes of not only depression, anxiety, and lack of happiness, but also difficulty in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spect the influence of time pressure and stress on college students an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effective adaptation of college life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research, three hundred one college students attending any of 5 four-year-course universities in Daegu and Kyungsangbukdo participated in the survey. After the result of the survey underwent the data cleaning, it went through reliability test,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At last, multiple regression has been done to comprehend the influence of time pressure and stress on college students. The main results are following; First, according to the overall standard of time pressure,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time pressure on college students was shown little higher than normal. In general, as subordinate groups college students experienced the shortage of time, sleep deprivation, lack of leisure activity, and deprivation of their personal time. The level of stress was little higher than normal. The highest was the stress about further education and getting jobs; and, the lowest was the stress about relationships. In between, there were the stress about mental/emotional problem and financial problem. It showed the stress about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little higher than normal. As a subordinate group, emotional adaptation was little higher than adaptation to school performance. Secon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n time pressure,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time pressure was shown the meaningful difference depending on hours of sleeping, hours taking to commute to school, satisfaction level in time usage, and subjective financial level. Indeed, the less hours of sleeping, or the longer it takes to commute to school, or the lower satisfaction to time usage, or the higher subjective financial level, the more time pressure the college student felt. Stress had the meaningful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atisfaction to time usage and subjective financial level. The lower satisfaction level in time usage or the lower subjective financial level, the more stress that they felt.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had the meaningful difference depending on the hours of smart phone usage and satisfaction level in time usage. The less they use their smart phones or mobile phones or the higher satisfaction to time usage, the better they adapt to college life. As a subordinate group, adaptation to school performance showed meaningful results depending on hours of smart phone usage and the satisfaction on time usage; and, emotional adaptation showed meaningful results depending on hours of smart phone usage and hours of sleeping. Third, time pressure and stress had negative influence on college students to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As subordinate groups, adaptation to school performance was negatively influenced by hours of sleeping and stress but positively influenced by hours of school performance. Emotional adaptation was negatively influenced by time pressure and stress.

      • 정신분열병을 가진 대학생의 생활경험

        성경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을 가진 대학생의 생활경험과 이들의 생활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대학생활의 적응을 밝히기 위한 탐색적 연구와 생활경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한 사례연구로 실시되었다. 서울 Y대학병원과 경기도 A대학병원에서 정신분열병 진단을 받고 정신과 외래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대학생 21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전체 자료수집기간은 2002년 6월부터 11월까지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개발한 정신분열병을 가진 대학생의 생활경험 질문지와 표준화된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내용분석법과 기술적 통계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경험에 대해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면접자료는 내용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25개의 주제가 나타났고 이는 6개의 생활경험으로 범주화되었다. 정신분열병을 가진 대학생의 생활경험은 가족관계 경험 범주에서는 전체 21명중 대화결여가 12명으로 가장 많이 경험되고 있었고 접촉부족 9명, 지지 9명, 갈등관계는 8명이 경험하고 있었다. 친구관계 경험 범주에서는 친구관계에서의 외로움이 12명으로 가장 많이 경험되고 있었고, 친구사귀기 어려움 11명, 친구관계로부터의 퇴행이 10명이었으며, 친밀감추구를 경험하는 대상자가 9명, 친구관계의 편안함을 경험하는 경우가 7명이었다. 학교생활경험 범주에서는 학업수행의 어려움을 경험하는 경우가 1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학교생활에 대한 의욕상실을 경험하는 경우가 12명, 동료로부터의 고립감 9명, 학업지속의 절실함 8명, 학업성취에 대한 만족이 6명이었다. 그리고 일상생활경험 범주에서는 균형있는 생활양식을 유지하는 경우가 8명이었고, 일상에 대한 흥미상실 7명, 현실감각상실 5명 순으로 경험되고 있었다. 사회적 역할수행 경험 범주에서는 역할수행에 대한 무력감을 경험하는 경우가 11명으로 가장 많았고, 자존감 증진 6명, 사회에 대한 소속감이 3명 순으로 경험되고 있었다. 정신병 경험 범주에서는 정신질환자로서의 인식거부나 정신질환으로 인한 좌절감을 각각 12명이나 경험하고 있었고, 현실로부터의 왜곡감도 7명이나 경험하고 있었다. 그러나 정신질환에 대한 긍정적 수용을 경험하는 경우가 8명, 정신질환자로서의 새로운 정체감 정립을 경험하는 경우가 5명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또한 경험의 빈도를 분석한 결과 총 424건의 생활경험빈도가 나타났다. 전체 생활경험중 학교생활경험의 빈도가 23.6%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가족관계경험 22.2%, 친구관계경험 21.9%, 정신병 경험 20.5% 순이었으며, 일상생활경험과 사회적 역할수행 경험은 각각 6.1%와 5.7%로 적게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전체 생활경험중 가족관계 경험에서는 대화 결여(40건)를 가장 많이 경험하고 있었고 다음이 갈등관계(23건), 지지(19건), 접촉 부족(12건)순이었다. 친구관계 경험에서는 외로움(27건)을 가장 많이 경험했고, 친구사귀기 어려움(22건), 친구관계로부터 퇴행(19건), 친밀감 추구(17건), 친구관계의 편안함(8건)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생활 경험에서는 학업수행의 어려움(46건)을 가장 많이 경험했고, 다음으로 학교생활에 대한 의욕상실(23건), 동료로부터의 고립감(12건), 학업성취에 대한 만족(10건), 학업지속의 절실함(9건)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상생활 경험에서는 일상에 대한 흥미상실(9건), 현실감각의 상실(9건), 균형있는 생활양식 유지(8건)순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역할수행 경험에서는 역할수행에 대한 무력감(11건), 자존감 증진(8건), 사회원으로의 소속감(5건)순으로 경험의 빈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신병 경험에서는 정신질환으로 인한 좌절감(27건)을 가장 많이 경험하고 있었고, 현실로부터의 왜곡감(22건), 정신질환자로서의 자기인식에 대한 거부(21건)순으로 나타났으며, 정신질환자로서의 새로운 정체감 정립(9건)과 정신질환에 대한 긍정적 수용(8건)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정신분열병을 가진 대학생의 생활경험은 부정적인 경험이 323건(76.4%)으로 긍정적인 경험 101(23.6%)보다 훨씬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즉 정신분열병을 가진 대학생의 생활경험은 모든 영역에서 정신병과 발달기적 특성 및 욕구가 맥락을 이루며 경험되고 있었는데 그들은 정신병으로 인해 가족관계부터 아르바이트나 여가생활까지 삶 전체가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었다. 특히 정신분열병을 가진 대학생들은 학업수행이나 친구관계의 어려움으로 학교생활을 지속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한편 8명의 사례로부터 확인한 정신분열병을 가진 대학생들의 생활경험 유형은 대학생활 과정중에 상태가 좋아지고 있는 대상자와 상태가 나빠지고 있는 대상자가 있었으며 또한 상태가 좋아졌다가 나빠지기를 반복하는 대상자들이 있었다. 이들 중 정신병의 상태가 좋아지고 있는 3명의 대상자는 공통적으로 가족의 지지, 친밀감 추구, 정신질환에 대한 긍정적 수용, 학업성취에 대한 만족을 경험하였는데 이들은 자신의 전공에 만족해하며 학업을 잘하고 있거나 학업 스트레스가 감소된 것이 특징이었다. 즉 전공이 쉬워서 학업수행에 어려움이 없거나 적성에 맞고, 부모의 기대에 대한 부담으로부터 벗어나면서 학업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경험을 하였다. 또한 이들은 이성친구나 친한 친구와의 관계가 잘 유지되고 있었고, 동아리, 환우, 학교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병을 이해 받음으로써 관계의 편안함을 경험했다. 그리고 정신질환에 대한 긍정적인 수용과 정신질환자로서의 새로운 정체감 정립을 경험하면서 상태가 좋아지고 있었다. 반면 상태가 나빠지는 과정에 있는 3명의 대상자는 공통적으로 가족과 대화결여, 학교생활에 대한 의욕상실, 친구사귀기 어려움, 정신질환으로 인한 좌절감, 학업수행의 어려움, 친구관계에서의 외로움, 일상에 대한 흥미상실을 경험하였다. 즉 이들은 가족과 대화가 결여되고, ,학교생활에 의욕이 없으며, 전공이 너무 어려워서 학업수행의 어려움을 경험하거나 친구가 없어서 외로움을 경험하였다. 또한 일상생활에 대한 흥미를 상실하여 아무것도 하지 않고 나태하게 하루를 보내면서 점점 정신병의 상태가 나빠지고 있었다. 한편 굴곡과정에 있는 대학생 2명의 공통적인 생활경험 주제는 상태가 나빠지는 과정에는 학교생활에 대한 의욕 상실, 친구관계에서의 외로움, 정신질환자로서의 자기인식 거부, 정신질환으로 인한 좌절감이 있었고, 상태가 좋아지는 과정에는 친밀감 추구, 정신질환에 대한 긍정적 수용이 있었다. 또한 여러 가지 생활경험 유형에 있는 모든 사례연구 대상자들이 공통적으로 정신질환으로 인한 좌절감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분열병을 가진 대학생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이용하여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정신분열병을 가진 대학생들은 학업적 적응과 사회적 적응의 정도가 일반대학생보다 낮았으며,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범주간 상관관계 분석에서 정신분열병을 가진 대학생은 대학생활적응에 있어서 학업적적응과 사회적 적응간에 상관관계(p<.002)가 가장 많았고, 학업적 적응과 대학만족(p<.007), 사회적 적응과 개인 및 정서적 적응(p<.040)순으로 상관관계가 있었다. 성별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정도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4개의 하위범주와 총대학생활적응 점수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총대학생활 점수에서는 순위검증(Mann-Whitney Test)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유병 기간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정도에서는 대학에의 만족도를 제외하고는 유병 기간이 짧은 경우에 대학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사회적 적응은 유병 기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재학상태별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개인 및 정서적 적응을 제외하고는 모두 재학생의 적응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정신분열병을 가진 대학생의 생활경험은 정신분열병과 발달기적 특성 및 욕구가 맥락을 이루며 대부분의 경험이 부정적으로 경험되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발달기적 특성을 고려한 중재방안으로써 정신병을 긍정적으로 수용하여 새로운 정체감을 정립하고 친밀감을 경험하게 하며, 학교생활을 통해서 긍정적인 생활경험을 할 수 있도록 중재함으로써 이들이 정신병을 극복하고 정상적으로 학교생활을 해나가도록 도울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는 정신분열병으로 부터의 회복을 촉진하는 방안이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life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with schizophrenia, to evaluate their adjustment of college life. The research method included in-depth interviews,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case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June to November, 2002 at two university hospitals. The participants were 21 college students with schizophrenia. Content analysis revealed twenty five themes and six categories. Six categories and respective themes are as follows : interaction experience with family(contact deficiency, verbal interaction deficiency, conflict, support), interaction experience with friends(loneliness, difficulty making friends, withdrawal from friends, comfortable feeling with friends, seeking intimacy), experience of school life (difficulty with academic performance, motivation loss of school life, feeling of isolation, satisfaction with academic performance, urgent need for continuing academic performance), experience of everyday life (loss of interests, loss of feeling of reality, keeping balanced life style), experience of social role performance (powerlessness, enhancing self-esteem, sense of belonging as a social member), and experience of a mental illness (denial of self-recognition as a mental illness patient, despair due to mental illness, feeling of deterioration, accepting a mental illness, attaining new identity as a mental illness patient). Most participants reported more negative life experiences than positive ones. Most of them frequently reported difficulties were difficulties in academic performance and in making friends.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with eight participants are as follows: They showed three life experience patterns during the course of college life. These patterns were the recovering course, deteriorating course, and fluctuating course. Three participants in the recovering course encountered the common themes of family support, seeking intimacy, satisfaction with academic performance, accepting a mental illness, and attaining new identity as a mental illness patient. Three participants in the deteriorating course encountered the common themes of verbal interaction deficiency, difficulty making friends, loneliness, difficulty with academic performance, motivation loss of school life, loss of interests, and despair due to mental illness. Two participants in the fluctuating course encountered the common themes of motivation loss of school life, loneliness, denial of self-recognition as a mental illness patient, and despair due to mental illness during deteriorating course, but they also encountered the common themes of seeking intimacy, positively accepting mental illness during the recovering course. And all of the case study participants reported the common theme of despair due to mental illness. On the subscales for college adjustmen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djustment and social adjustment(p<002), academic adjustment and satisfaction of college(p<.007), and social adjustment and individual adjustment(p<.040). On the total score for college adjustment, the scores for academic adjustment and social adjustment were lower than general students. On degree adjustment to college, women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men. In the area of social adjustment, students who had the disease for less than fifty month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students who had the disease for longer than fifty months. In conclusion, throughout most of their lives the students in this study have met negativeness in both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needs.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expanding basic knowledge about college students with schizophrenia. It supports the need for intervention programs that meet their actual experience according to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needs.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ho were in the recovery course are especially relevant to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 군 전역 복학생의 대학생활적응지원을 위한 긍정심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연구

        김동하 건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ositive psychology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college adjustment of returning student after military service, and to verify its effect on college adjustment(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attachment to colleg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self-efficacy, hope, ego-resilience, optimism). Based on the three model of Seligman and Rashid(2018), previous study review about college adjustment after military service, and result of needs survey, the program consisted of 8 session was developed. Session 1 to 3, which correspond to the first stage of positive psychotherapy, included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the miliary service experience as a strength. The second stage of positive psychotherapy from the session 4 to 6 was structured so that returning student after military service could have a balanced view of their worries and fear about college adjustment. The third stage of positive psychotherapy, from the session 7 to 8, consisted of designing the meaning and goals of college life by using the strength and balanced perspectives obtained through the 1 stage, 2 sta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returning students after military service who had been discharged within one years. Ten people were randomly assigned to each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2 subjects were dropout according to the exclusion and dropout criteria. 18 subjects respond to college adjustment scale and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cale pre, post, three weeks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verify program effectiveness. First, the mann-whitney test was used to determine pre-homogeniety between two groups. Second, wilcoxon’s ranking sum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rank sum among pre-post and pre-3 weeks later in two groups. Third, wilcoxon’s signed rank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signed ranking according to the pre-post and pre-3 weeks later within the group of two groups. Also, cohen’s effect size test was used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 of wilcoxon’s signed rank test. Forth, the pattern of group change in the dependent variable according to the session was confirmed based on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by researcher’s session records and observations, group member’s result of interaction and mentions, and satisfaction survey.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pre-homogeneity test between the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o the homogeneity of the groups was verified. Second, in the comparison of rank sum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f the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erm of overall college adjustment and its sub-variable, and among them, overall college adjustment and attachment to college maintained its effect until the 3 weeks later. Third, social adjustment and self-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igned rank between pre-post tes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effect of self-efficacy was maintained unitl 3 weeks later.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post test in the control group, and self-resilience rather declined 3 weeks later. As a result of cohen's effect size analysis on the pre-post 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social adjustment and self-efficacy were shown large effect size, and the overall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ptimism, and hope were shown medium effect size. 3 weeks later, social adjustment and self-efficacy were shown large effect size, and the overall college adjustment and academic adjustment were shown medium effect size. Forth, as a result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articipants were shown positive group changes in the pattern of change in the dependent variable according to the session. As a result of satisfaction survey analysis was shown positive evaluation in all ques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ised a program that can be practically used in psychological counseling for the college adjustment of returning students after the military services. Second, this study were used various media for activate the participant motivation to participate, and the detailed program development process was included. Third, this study complemented the limitation of previous study by conducted bot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quantitative analysis. Fourth, this study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theor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implemented to preventive approach from serious problems occur by supporting college adjustment of returning students after military services, and suggested related guideline and dire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군 전역 복학생의 대학생활적응지원을 위한 긍정심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것이 군 전역 복학생의 대학생활적응(학문적 적응, 사회적 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 긍정심리자본(자기효능감, 희망, 자아탄력성, 낙관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프로그램은 선행연구 및 요구도 조사를 실시한 이후, Seligman과 Rashid(2018)의 긍정심리치료 3단계에 기반하여, 총 8회기로 구안하였다. 긍정심리치료 1단계는 1회기에서 3회기까지로, 군 복무 경험을 강점으로 재창조하는 과정이 포함되었다. 긍정심리치료 2단계는 4회기에서 6회기까지로, 군 전역 복학생들이 지닌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걱정과 두려움에 대해 균형잡힌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긍정심리치료 3단계는 7회기와 8회기로, 1, 2단계를 통해 얻은 강점과 균형잡힌 시각을 활용하여 대학생활에 대한 의미와 목표를 설계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복학한 지 1년 이내의 군 전역 복학생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배정하였고, 그 중 제외 및 탈락기준에 따라 2명을 제외하였다. 18명의 참가자에게 대학생활적응 척도와 긍정심리자본 척도를 사전, 사후, 종료 후 3주 후 간격으로 실시했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했다. 첫째, 집단 간 사전동질성을 파악하기 위해,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했다. 둘째, 두 집단 간의 사전-사후, 사전- 3주 후의 순위합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Wilcoxon의 순위합 검정을 실시했다. 셋째, 두 집단의 집단 내 사전-사후, 사전-3주 후에 따른 부호순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Wilcoxon의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했다. 또한, Wilcoxon의 부호순위 검정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Cohen의 효과크기 검정을 실시했다. 넷째, 연구자의 회기기록과 관찰내용, 집단원의 회기 내 반응, 프로그램 진행 도중 언급된 내용, 만족도 조사지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회기에 따른 종속변인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동질성 검증 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두 집단의 동질성은 검증되었다. 둘째, 사후검사의 집단 간 순위합 차이비교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대학생활적응 전체와 그 하위변인 모두가 유의미하게 높았고, 대학생활적응 전체와 대학에 대한 애착의 효과성은 3주 후 검사 때까지 유지되었다. 셋째, 실험집단의 사회적 적응과 자기효능감은 사전-사후 검사의 부호순위 차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자기효능감의 효과는 3주 후 검사 때까지 효과가 유지되었다. 반면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3주 후에는 오히려 자아탄력성이 유의미하게 하락하였다. 실험집단의 사후검사에 대한 코헨의 효과크기 분석 결과, 사회적 적응과 자기효능감이 큰 효과크기, 긍정심리자본 전체와 희망, 낙관성이 중간 크기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3주 후 검사에서는, 사회적 적응과 자기효능감에서 큰 효과크기, 대학생활적응 전체와 학문적 적응에서 중간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넷째, 내용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회기에 따른 종속변인 변화양상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만족도 조사는 모든 문항에서 긍정적 평가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군 전역 복학생의 대학생활적응지원을 위한 심리상담에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구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대상자들의 적극적 참여를 위한 영상, 미술활동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였으며,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수록하였다. 셋째, 내용분석과 양적분석 모두 진행하여,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였다. 넷째, 긍정심리이론을 바탕으로 한 본 연구는 군 전역 복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지원하여, 심각한 문제로 이행되는 것을 막는 예방적인 접근을 실시하였고, 관련된 지침과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것에서 의의를 지닌다.

      • 외국인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요인에 관한 연구 : 몽골 유학생을 대상으로

        체벨마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 중 몽골 유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전반적인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적응을 위한 지원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몽골 유학생 중 어학연수생과 교환학생, 학부생, 대학원생을 모두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유효한 212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SPSS for Windows 20.0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몽골 유학생의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결혼여부, 종교, 건강상태, 동거가족, 한국어 능력, 영어능력, 학업과정, 등록금 및 생활비 조달방법, 체류기간) 중 5개의 특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몽골 유학생의 문화적 요인(t=4.388, p<.001), 경제적 요인(t=3.378, p<.001), 언어적 요인(t=2.657, p<.001)은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모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요인에 대하여 살펴보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언어적 요인 외에 문화적, 경제적 요인이 대학생활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는데 의의가 있다. 더불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좀 더 좋은 유학 환경을 제공하고, 더 많은 유학생 유치를 위해서는 결과적으로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e following research is to understand what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adapting to the campus life to mainly Chinese and Mongolian international students. Along with finding out the overall factors of adjustment that will point out the direction for support. Data was collected by carrying out surveys by International Mongolian language course students, exchange students,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e final analyzed the 212 survey’s data by using SPSS for windows 20.0 version program.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firstly, out of the many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tional Mongolian students (Gender, age, marital status, religion, health status, family living together, Korean proficiency, English proficiency, academic courses, tuition and living expenses, supply method of money, duration of stay) five characteristics seem to have importance in adapting to the campus life. Secondly, International Mongolian student’s cultural factor (t=4.388, p<.001), economic factor (t=3.378, p<.001), language factor (t=2.657, p<.001) each affected a positive influence in adjusting to the campus life The following research examined the influential factors to international foreign students adapting to the campus life, and researching how the research subject’s personal characteristic, language factor, culture and economic factor influences campus life itself has significance. Furthermore, to provide a better study environment and to attract more international foreign students, consequently we must propose the importance of proceeding international foreign student’s adaption of the campus life.

      • 대학생의 변혁적 리더십,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만족도와 취업전략의 관계

        김민주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급속한 사회변화에 따른 무한경쟁시대에 취업에 대한 심리적 압박감은 높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변혁적 리더십과 취업전략의 일반적 수준을 파악해 보고,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만족도와 취업전략의 수준을 파악해 본 후 대학생들의 변혁적 리더십,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만족도가 취업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변혁적 리더십, 자기효능감, 대학생활만족도, 취업전략의 일반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변혁적 리더십, 자기효능감, 대학생활만족도, 취업전략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대학생의 변혁적 리더십, 자기효능감, 대학생활만족도, 취업전략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가? 넷째, 취업전략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변인, 자기효능감, 대학생활만족도, 변혁적 리더십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에 소재한 대학생 19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해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WIN 19.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산술평균, 표준편차, 신뢰도 계수,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고 , t-검정과 일원분산 분석(one-way ANOVA), Scheffe의 사후검정,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변혁적 리더십,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만족도와 취업전략의 일반수준을 살펴보면, 자기효능감 수준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변혁적 리더십, 취업전략 순으로 높았다. 대학생활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영역 별로 살펴보면, 개별적 배려가 가장 높았고 카리스마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전략의 수준은 하위영역 별로 살펴보면, 취업계획이 다른 영역에 비해 가장 높았고 경력개발, 관리행동, 적극적 행동에 있어서는 미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변혁적 리더십, 자기효능감, 대학생활만족도, 취업전략의 차이를 살펴보면, 변혁적 리더십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성적에 따라서는 ‘카리스마, 지적자극, 개별적 고려’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동기부여’ 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대학생의 심리적 변인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성적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취업전략에 있어서는 하위영역 중 경력개발과 관리행동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취업계획, 정보탐색, 적극적 행동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성적에 따른 취업전략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유형인 카리스마, 동기부여, 지적자극과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으며 개별적 고려와는 상관을 보이고 있지 않다. 대학생활만족도는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유형인 카리스마와 동기부여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으나, 지적자극이나 개별적 고려와는 상관을 보이고 있지 않다.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만족도, 취업전략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자기효능감은 취업전략의 하위유형인 취업계획, 정보탐색, 경력개발, 관리행동, 적극적 행동과는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다. 대학생활만족은 취업전략의 하유유형인 취업계획, 정보탐색, 경력개발, 관리행동, 적극적 행동과는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다. 변혁적 리더십과 취업전략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유형인 개별적 고려는 취업전략의 하위유형인 관리행동과 적극적행동에 유의한 상관을 보이고 있지 않았고 개별적 고려는 취업전략의 하위유형 전체에 유의한 상관을 보이고 있지 않았다. 이것을 제외한 그 외 변혁적 리더십 하위유형은 취업전략에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취업전략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변인, 자기효능감, 대학생활만족도, 변혁적 리더십과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봤을 때 취업전략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기효능감, 대학생활만족도, 동기부여, 성별, 지적자극, 개별적 고려와 유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상으로 본 연구 통해 대학생의 변혁적 리더십 수준이 취업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자기 효능감과 대학생활만족도가 취업전략에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는 대학생이 실제로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드물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으로 추정이 된다. 변혁적 리더십은 개인보다는 조직에서 필요한 영향력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대학교 교육에서는 변혁적 리더십 보다는 셀프 리더십으로 초점이 맞춰져 학생들이 접할 기회가 없기 때문이다. 변혁적 리더십을 개인에 초점을 맞추면 자신의 목표와 비전이 잘 성취될 수 있도록 관계면에서 이끌어 간다면 긍정적 역할에 충분히 반영된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된다면 대학생 시기에 교육을 통해 학업과 취업에 대한 전략을 더 효율적으로 세워 새로운 시대에 자기 영향력을 잘 발휘하면서 성숙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have high psychological pressure of employment in the age of limitless competition according to rapid social chang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general 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loyment strategy of college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level of self-efficacy,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ategy, then to verify h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lf-efficacy,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affect employment strategy. Detailed study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would the general 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lf-efficacy,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ategy of college students be like?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lf-efficacy,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ateg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Third, is there a correlation amo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lf=efficacy,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ategy of college students? Fourth, what would the effect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self-efficacy,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employment strategy be like? Study objects to carry out these study problems are 197 college students in Jeollanam-do. Questionnaires were handed out to them and were collected, so were used as final analysis materials. SPSS WIN 19.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of the study, and frequency, percentage, arithmetic mean, standard deviation, reliability coefficient, an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alculated. T-test, one-way ANOVA, Scheffe's post test, and pha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fulfilled. The gist of study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f the general 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lf-efficacy,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ategy of college students is examined, self-efficacy has the highest level, and it is high in the order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loyment strategy. College life satisfaction has the lowest level. If sub-area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re examined, individual consideration is the highest, and charisma is the lowest. If the level of employment strategy is examined by sub-areas, employment plan is the highest, and it is unripe in career development, administrative behavior, and active behavior. Second, if a differ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lf-efficacy,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ategy is examined depending on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gender. On grad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risma, intellectual stimulus,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motivation.' In addition, a psychological variable of college students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gender and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grade. In employment strategy, career development and administrative behavior of sub-area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on gender,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mployment plan, information search, and active behavior. Employment strategy on grade does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self-efficacy show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harisma, motivation, and intellectual stimulus that are sub-typ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ut does not show a relationship with individual considera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charisma and motivation that are sub-typ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ut does not show a relationship with intellectual stimulus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If a correlation among self-efficacy,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ategy is examined, self-efficacy show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mployment plan, information search, career development, administrative behavior, and active behavior that are sub-types of employment strategy. College life satisfaction show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mployment plan, information search, career development, administrative behavior, active behavior that are sub-types of employment strategy. If a correlation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loyment strategy is examined, individual consideration that is a sub-typ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oes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dministrative behavior and active behavior that are sub-types of employment strategy, and does no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whole sub-types of employment strategy. Except for this, other sub-typ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how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mployment strategy. Fourth, when relative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self-efficacy,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employment strategy is examined, it is verified that self-efficacy, college life satisfaction, motivation, gender, intellectual stimulus,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strategy. The study determined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vel of college student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strategy but self-efficacy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have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strategy. It is presumed that this phenomenon is showed because an opportunity that college students really sh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rare. Because it is thought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influence needed to organization rather than individual, college education does not focus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ut focuses on self-leadership so there is no opportunity that students learn. I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ocuses on individual and is led in a relationship to achieve own goal and vision well, it is fully reflected in a positive role. If so, in a new era, college students can grow into mature adults, showing their influence well, by establishing a strategy of study and employment more efficiently through education while in college.

      • 대학생활 적응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김정화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eer orientation on special identity between special purpose college students who have more career paths and general university students. With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students to improve their career identity by identifying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career identity of college students. To achieve this study purpose, first, the difference of career identity in the college life adaptation between special purpose college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students was investigate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identity was examined. Finally, the effect of college life adaptation of college students on career identity was examined.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university students in Daejeon city and college students from Korea agricultural and marine engineering who entered special - purpose colleges. Except for 21 which have missing items, the results of the final analysis based on 249 data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 - variables between general university and special purpos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college life adaptation. For different gender, male is higher than female in terms of the college life adaptation, and in terms of college life adaptation between students who served in the military and students who didn’t serve in the military, the former is higher than the latter. This is because special purpose college has few female students and the dropout rate is high. In other words, the remaining female students up to grade 3 have a firm belief in their career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ident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udents' own understanding of career identity for college characteristics, comprehension of job information, and competence self – efficacy. For different gender, it was found that female students had higher occupational identity than male students in their understanding and competence confidence except for the understanding of job information on college identity and the students who served in military had higher occupational identity in all the sub variables. Third, the influence of college life adaptation on the career identity between special purpose college and general university students showed weak negative relationship in both students' own understanding, understanding of job information, and ability confid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identity of general university students showed a weak negative linear relationship with students' own understanding, understanding of occupational information, and ability confidence. These results show that, despite the fact that college life is good at university life, it is out of the basic common knowledge that a good career identity will well be formed, and it shows that the anxiety and confidence in career are inferior. As a result of affecting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identity of special purpose universities and general university students, in college life adaptation of special purpose university, self understanding variable of career identity has negative influence on social adaptation and personal emotional adjustment, and understanding of job information and ability confidence variable have negative influence on personal emotional adjustment. In the college life adaptation of general college students, academic adjustmen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ir understanding of career identity, and in the self efficacy variable of the job identity, the college environment adaptation variable had a negative influence. In Understanding career information of career identity, the regression model was established, but its influence was negligibl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 test itself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gardless of special universities and general universities, freshmen were more likely to adapt to school life than their reservists, but their career identity was high. Recognizing that the adaptation of school life is high, but reserves with a low degree of career identity are not able to reflect their grades in reality through various social experiences. It is presumed that studying hard does not lead to a good job. while It seems that the reservists are aware that due to various social experiences, their academic achievements are not enough to reflect reality. This reflects social reality and it can be deduced because I feel a sense of distance from my major and career choices as I enter college without having to choose and experience a career that meets my interests and abilities during fierce competition and oppressive adolescence . It is necessary to improve various career education programs and young students' counseling programs to suit their current situation. keyword : College life adaptation, Career identity 본 연구에서는 진로가 정해진 특수목적대학과 그에 비해 진로가 유동적인 일반대학교 학생들이 대학생활적응에 따라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확인하여 학생들의 진로정체감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대학별 대학생활적응과 진로정체감의 차이를 규명하였고, 둘째, 대학별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진로정체감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대학별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전시에 거주하는 일반대학교 대학생들과 특수목적을 가지고 있는 전문대학에 입학한 한국농수산대학교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응답문항 중 다섯 문항 이상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21명의 결과를 제외한 249명의 설문을, 독립표본 t검증으로 차이를 분석하였고, 이변량상관분석으로 관계를, 중다회귀분석으로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대학과 특수목적대학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살펴보면 하위변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대학환경적응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은 모든 하위변인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대학생활적응이 나타났으며, 군복무 여부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은 모든 하위변인에서 군필자가 미필자 보다 대학생활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특수목적대학의 경우 여성의 수가 적고 중도 탈락률이 많은 특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즉 3학년까지 남은 여학생의 경우 그들의 진로에 대한 확고한 신념이 있기 때문이다. 둘째, 각 대학별로 대학생활적응과 진로정체감의 관계를 알아보면 대학특성에 따른 진로정체감에 대하여 학생자신의 이해, 직업 정보의 이해, 능력자신감 하위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성별에 따른 진로정체감은 직업정보의 이해를 제외한 학생 자신의 이해, 능력자신감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직업정체감을 갖고 있음이 나타났고, 군복무 여부에 따른 직업정체감에서는 모든 하위변인에서 미필자가 군필자에 보다 직업정체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목적대학과 일반대학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은 학생자신의 이해와 직업정보의 이해, 그리고 능력자신감에서 모두 약한 부적(-)관계가 나타났다(r=-.286~.482). 일반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진로정체감의 관계는 학생자신의 이해와 직업정보의 이해, 그리고 능력자신감에서 모두 약한 부적(-)선형관계가 나타났다(r=-.282~.503). 특수목적대학과 일반대학생의 대학생활정응과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특수목적대학의 대학생활적응은 진로정체감이 자신의 이해변인은 사회적응과 개인정서적응에서, 직업정보의 이해와 능력자신감 변인은 개인정서적응에 부정적 영향력을 미쳤다. 일반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서는 진로정체감의 자신의 이해변인에서 학업적응이, 직업정체감의 능력자신감변인에서는 대학환경적응변인이 부정적 영향력을 미쳤다. 그러나 진로정체감의 직업정보의 이해 변인은 회귀모형이 성립되었으나 그 영향력은 극히 미미하고, 중다회귀분석내 t검증자체에서 유의미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대학생활적응을 잘하면 진로정체감도 잘 형성될 것이라는 기본적인 상식을 벗어나, 대학생활을 잘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진로에 대한 불안과 확신이 떨어지는 것을 반증하는 결과로 보여 진다. 특수대학과 일반대학을 막론하고 신입생들은 학교생활적응이 예비역보다 못하지만 진로정체감이 높았고, 대학생활적응은 높지만 진로정체감이 다소 낮은 예비역들은 여러 사회경험을 통해 자신의 성적이 현실로 반영되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을 인식한다. 그러므로 열심히 공부한다고 좋은 직장과 연결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 추정된다. 이는 사회적 현실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입시 위주의 치열한 경쟁과 억압적인 청소년기에 본인의 흥미와 능력에 맞는 진로를 선택하고 경험하는 과정 없이 대학에 진학하다보니 자신의 전공과 직업선택에 괴리감을 느끼기 때문이라고 추론 할 수 있다. 청소년시기에 충분한 진로 탐색과 경험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진로교육프로그램과 학생들의 현 실정에 맞는 실질적인 대학 진학 상담프로그램의 개선이 필요하다. 주제어 : 대학생활적응, 진로정체감

      • 대학생의 성인애착, 사회적 지지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김경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부모 및 친구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상대적 관계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학생들이 대학생활에서 호소하는 어려움을 애착, 친구 및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관련시켜 이해할 뿐만 아니라 보다 효율적인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성별에 따라 성인애착, 부모 및 친구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 적응 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2. 성인애착과 부모 및 친구의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성인애착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 4. 부모 및 친구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5. 성인애착, 부모 및 친구의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 적응의 상대적 관계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4개의 대학에 재학 중인 남, 여 대학생 총 428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성인애착은 자기보고식 성인애착 척도(Revised Adult Attachment Scale; RAAS)를 사용하였고, 사회적 지지는 1985년 박지원에 의해 개발된 사회적 지지 척도를 김연수(1995)가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대학생활 적응은 대학생활적응척도(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SACQ)를 사용하였다. 성별과 성인애착, 사회적지지, 대학생활 적응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고, 성인애착, 부모와 친구의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에 대한 요약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성인애착, 부모 및 친구의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 적응에서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 적응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애착, 사회적 지지의 모든 변수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는 남학생이 여학생의 평균점수보다 더 높았고,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응은 여학생이 남학생의 평균점수보다 더 높았다. 둘째, 성인애착과 부모 및 친구의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에서는 성인애착의 하위요인 중 친밀은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친구의 사회적 지지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존은 부모의 사회적 지지 하위요인 중 평가적 지지나타났구의 사회적 지지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은 사회적 지지의 모든 요인에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애착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성인애착의 하위요인 중 친밀과 불안은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애착의 하위요인 중 친밀은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요인 중 학업적응, 사회적응, 대학환경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안은 사회 적응, 개인정서 적응, 대학환경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 및 친구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부모의 사회적 지지 중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질, 평가적 지지는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응과 대학환경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구의 사회적 지지 중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는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요인 중 학업 적응과 대학환경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성인애착, 부모 및 친구의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 적응과의 상대적 관계성에서는 성인애착의 하위요인 중 친밀과 불안이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부모의 사회적 지지는 정보적 지지, 친구의 사회적 지지는 평가적 지지와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성인애착, 부모 및 친구의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친밀은 부모 및 친구의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이며, 부모 및 친구의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활 적응에 각각 다른 영역에서 영향을 미치며, 부모의 사회적 지지보다 친구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더 많은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혀냄으로써, 대학이라는 환경에서 관계하는 사회관계망을 통하여 얻게 되는 지지가 대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지방캠퍼스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요인 연구

        변강희 건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지방캠퍼스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실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여 이들의 건강한 발달을 도모하고자 유용한 자료를 확보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지방캠퍼스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이론적 근거를 기술하였다. 그리고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의 의미있는 요인들을 산출하여 조사하였다. 산출된 독립변인은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지방캠퍼스 대학생활 변인 그리고 사회적 지지 변인으로 구분하였다. 조사측정도구는 사회적 지지 척도와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지 척도는 박지원(1985)이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대학생활적응 척도는 Baker&Siryk(1984)가 개발한 척도를 현진원(1992)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충청북도 충주에 있는 K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 여 대학생 477명을 조사연구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WIN(Ver 12.0)을 이용하였으며, 평균 및 표준편차에 의한 배경변인별 사회적 지지 및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 및 F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하였고, 또한 인구사회학 배경, 지방캠퍼스 대학생활, 사회적 지지를 투입변인으로 하는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별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대학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학생은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면에서 높은 적응도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상대적으로 여학생이 대학생활적응 수준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급변하는 사회의 흐름에 맞춰 여학생의 대학생활적응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거주형태 요인이 대학생활적응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통학을 하는 학생보다 기숙사나 자취, 하숙을 하는 학생이 대학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 결과는 상대적으로 통학을 하는 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도가 낮다는 것을 뜻하며, 통학에 대한 어려움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통학생들은 학업적응, 사회적응, 대학환경적응면에서도 낮은 적응도를 나타낸 결과를 보면 알 수 있다. 통학생이 안전하고 편리한 대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동아리 활동 경험의 여부에 대하여 대학생활적응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동아리 활동을 하는 학생이 하지 않는 학생보다 대학생활적응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동아리 활동의 경험이 있는 학생이 학업적응, 사회적응, 대학환경적응면에서도 높은 적응도를 나타냈다.이러한 동아리 활동 경험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사회적 지지영역 중 교수 지지에 대하여 대학생활적응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수의 지지가 학업적응, 사회적응, 대학환경적응면에서도 높은 적응도를 나타냈다. 지방캠퍼스 대학생들에게 교수와의 상호작용이 활성화되어 대학생활적응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This paper has aimed to examine how college students from local campus adapt themselves to campus life and the influence factors and secure useful data to lead them to a right direction. For this, theoretical background has been described through a preliminary study on how college students from local campus fit in the campus life. To find out the influence on their adaptation to the campus life, furthermore, significant factors that were estimated from the preliminary study have been examined. The calculated independent variables have been classified into social-demographic variable, local campus-life variable and social support variable. For survey, social support scale and campus life adaptation scale were used. In terms of the social support scale, the one developed by Ji-WonPark(1985)inhisstudy‘Work for Development of Social Support Scale’ has been used. In terms of the campus life adaptation scale, on the contrary, the scale developed by Baker&Siryk (1984) and adapted by Jin-Won Hyeon (1992) was used. The survey was conducted against 477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from ‘K’ University in Chungju, Chungcheongbuk-do.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Ver. 12.0). To investigate cognitive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and campus life adaptation by background variable in terms of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F-test have been perform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mpus life adaptation was analyzed based 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o investigate the campus life adaptation which takes socio-demographic background, local campus life and social support as input variables, on the contrar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 has turned out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were better than female students in terms of adaptation to campus life. Specifically, male students were excellent in social adaptation, personal emotional adaptation and adaptation to campus environment, which in turn means that female students are relatively poor at adapting themselves to campus life. Therefore, it’s necessary to improve female students’ adaptation to campus life. Second, difference in adaptation to campus life was observed in terms of type of housing. According to the survey, students who live in a school dormitory or a studio apartment or in lodgings near the school were much better than those who commute to campus in terms of adaptation to campus life, which in turn means that those who commute are not good at fitting in campus life. In fact, commuting students showed a poor level in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and adaptation to campus environment. In other words, it’s necessary to elaborate a plan to help commuting students enjoy a safe and comfortable campus life. Third, difference in adaptation to campus life was also observed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f club activities. Those who had club activities were excellent in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and adaptation to campus environment, compared to the students who didn’t. In sum, it’s necessary to facilitate club activities. Fourth, it has turned out that faculty support had a great impact on students’ adaptation to campus life in the category of social support. In particular, students with a professor’s support showed high level in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and adaptation to campus environment. Therefore, the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should be promoted to improve students’ adaptation to campus life.

      •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대학생활적응, 자기효능감,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상대적 영향력 연구

        김유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through practical researches after extracting important variables during the period of college students as a developmental stage of early adulthood based on social phenomenon and previous studies an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suggest the intervention and educational plans to help to prepare the career prepa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ach variable influencing the career preparation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and overprotectiveness)’ as a main variable which was expected to influence college students to be independent, self-controlling, sound minded workers and citizens, ‘adaptation to college life’,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this study, junior and seni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ere selected, 6 large universities having the colleges of natural sciences · engineering and humanities · social sciences located in southern Gyeonggi region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the data of 506 college students were finally analyzed. As a study tool,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onsisting of ‘caring’ and ‘overprotectiveness’, adaptation scale consisting of ‘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adaptation scale to college life consisting of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individual-emotional adaptation’, and ‘college environment adaptation’, the career preparation for college students consisting of ‘information collecting activities’, ‘tool preparation activities’, and ‘target achievement activities’ were appli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2.0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proces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were conducted. First, what kind of correlation is observed in the career preparation for college students, overall self-efficacy, a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and overprotectiveness)? Mother’s car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self-efficacy an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ther’s overprotectivene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 self-efficacy,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highest variable correlation was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s a dependent variable followed by self-efficacy, mother’s caring, and mother’s overprotectiveness. Second, how much is the influence of overall self-efficacy,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and overprotectiveness)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model I applying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showed the explanation of 18.2%, model II adding self-efficacy showed 26.8%, and model III adding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showed the explanation of 28.6%.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subordinate factors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adaptation of college life, self-efficacy, a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first, model I for information collecting activities showed the explanation of 16.8%, model II was 26.2% increased by 9.4% in comparison with model I. The explanation of model III little increased to 27.5%. Second, model I for the variable of tool preparation activities showed the explanation of 12.7%, model II was 16.4%, and model III was 20.4%. Third, the explanation of model I for the variable of target achievement activities was 13.6%, model II was 21.6%, and model III was 22%. Third, with regard to the results, does self-efficacy mediate the influence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and overprotectiveness)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 overprotectiveness) had a direct influence and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 overprotectiveness)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does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 overprotectiveness) mediate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under the influence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mother’s rearing attitude (caring / overprotectiveness)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partially medicated. Finally, the period of college students is an important time to choose the career suited to the aptitude and interests and practice the decision and through the study, mother’s rearing attitude, self-efficacy, an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were important variables that influenced in the career preparation for college students. However, since this study is limited to junior and senior college students in southern Gyeonggi region, it failed to represent the whole college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up researches in various perspectives, considering a variety of variables related to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and the career development for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성인초기의 발달단계인 대학생 시기에 중요한 변인들을 사회현상 및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추출한 후,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력을 갖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해 진로준비행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입 방향 제시 및 교육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독립적이고, 자율적이며, 심신이 건강한 직장인 및 시민으로 발달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되는 주요변인‘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 및 과보호)’, ‘대학생활적응’,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을 중심으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각 변인들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인문·사회계열을 전공하는 3,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경기 남부에 소재한 자연·공학 및 인문·사회계열 단과대학이 모두 설치 되어있는 대규모 대학 6 곳을 목표 모집단으로 선정하였고, 총 506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로 하위요인이 ‘돌봄’과 ‘과보호’로 구성된 어머니의 양육태도척도,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로 구성된 자기효능감척도,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 ‘대학환경적 적응’으로 구성된 대학생활적응척도와 ‘정보수집활동’, ‘도구구비활동’, ‘목표달성활동’으로 구성된 대학생 진로준비행동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Pearson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중다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일반적 자기효능감,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 및 과보호)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어머니의 돌봄은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진로준비행동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과보호는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진로준비행동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종속변인인 진로준비행동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변인은 대학생활적응이었으며, 다음으로 자기효능감, 부모의 돌봄, 부모의 과보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어머니 양육태도(돌봄 및 과보호)의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분석 결과는 대학생활적응만 투입한 모형Ⅰ은 18.2%의 설명력을 나타낸 반면, 자기효능감이 더해진 모형Ⅱ는 26.8%,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더해진 모형Ⅲ의 설명력은 28.6%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진로준비행동 하위요인들과 대학생활적응, 자기효능감,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영향력를 탐색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첫째로는 정보수집활동 변인에 대한 모델Ⅰ의 설명력은 16.8%, 모델Ⅱ의 설명력은 26.2%로 모델Ⅰ보다 9.4%가 높아졌다. 또 모델Ⅲ의 설명력은 27.5%로 소폭 증가하였다. 둘째로 도구구비활동 변인에 대한 모델Ⅰ의 설명력은 12.7%로 나타났으며, 모델Ⅱ에서는 16.4%, 모델Ⅲ에서는 20.4%로 나타났다. 셋째로 목표달성활동 변인에 대한 모델Ⅰ의 설명력은 13.6%, 모델Ⅱ는 21.6%, 모델Ⅲ은 22%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 및 과보호)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를 하는가? 에 대한 검증 결과,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과보호)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과보호)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과보호)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학생활적응이 매개를 하는가? 에 대한 검증결과,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과보호)는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대학생활적응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생 시기는 자신의 적성과 관심에 적합한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사항을 실행하여야하는 중요한 시기이며, 부모의 양육태도,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력이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이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경기남부에 위치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대학생만을 대상으로 한 제한된 연구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대학생을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부모의 양육태도 및 대학생 진로발달과 관련한 다양한 변인들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여러 각도의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