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중매체의 폭력성과 청소년 기독교교육

        홍은 이화여자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오늘날 청소년들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들이 삶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는 대중매체의 폭력성의 실태를 점검하는 과정을 통해 이러한 문화적 바탕위에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기독교교육의 방향이 무엇인지를 폭력을 지양하는 생명사상의 기반 위에서 찾아보고자 하는 글이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은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문화의 물결속에서 이전과는 또 다른 그들만의 모습을 만들어간다. 이들을 일컫는 대표적인 명칭은 영상세대 또는 N세대이다. 영상세대로서의 청소년은 눈으로 보는 자극적인 것에 익숙해져있으며 명제적으로 사고하기보다는 이미지로 느끼는 세대이다. N세대로서의 청소년들은 컴퓨터와 있는 시간이 많고 이 인터넷이라는 공간을 통해 사람을 사귀고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고 다양한 정보를 모으는 세대이다. 영상세대 또는 N세대라 불리우는 오늘날의 청소년들의 가치관은 합리적이고, 다양한 의견을 존중하는 다원성을 가지고 있으며 같은 것을 거부하고 각자의 개성을 중시하는 가치관을 지향한다. 또한 이시기의 신앙발달의 특성은 아직은 인습적인 틀 속에 있지만 이 시기에 만나는 사람들, 접하는 매체 등을 통해 자신만의 정리된 신앙관을 추구하는 과도기적인 단계 속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청소년들이 접하는 대중매체의 특성 중 본 논문에서는 요즘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폭력성의 실태를 살펴본다. 이전의 육체적 폭력만을 폭력으로 규정하던 것에서 한단계 더 나아가 그 범위가 언어폭력, 코믹폭력 등 암시적 폭력에까지 확대된 대중매체 특히 텔레비전 속의 폭력의 정의를 바탕으로 2001 한해동안 우리나라 공중파 방송사의 뮤직비디오, 연예오락 프로그램, 교양 보도 프로그램 등에서 나타나는 폭력의 예를 방송위원회 심의결과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대중매체의 폭력성이 청소년 기독교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주제가 되는 이유를 대중매체의 폭력성이 청소년에게 끼지는 영향력, 즉 폭력을 단순히 그대로 모방하게 되는 점, 모방을 넘어서 이를 바탕으로 또 다른 폭력을 만들어내고 자신의 폭력 경험과 연관지어 재해석하는 점, 폭력에 둔감해 짐으로 현실에서 폭력행사에 대한 죄책감에 무뎌지는 점 등을 들어 설명한다. 다음으로 대중매체의 폭력성이라는 현실적인 문제위에서 청소년 기독교교육의 기반이 될 수 있는 폭력을 지양하는 생명사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생명의 특징은 크게 네가지로 이야기 될 수 있다. 첫째는 변화의 과정으로서의 생명으로 생명은 머물러 있는 존재가 아니라 또 다른 하나의 가능성을 향해 끊임없이 변화되어 가는 존재라는 것이다. 둘째, 이러한 변화의 중심은 생명 그 자체, '스스로 함'이라는 점이다. 누구에 의해서도 아니라 자신의 변화에 스스로가 주인이 되는 점을 강조함으로서 생명의 변화가 가지는 자발성의 특징을 드러낸다. 셋째, 하나님과의 관계속에서 생명을 보면 이는 하나님과 하나로서의 생명을 말할 수 있다. 바로 생명 안에 하나님이 거하시고 생명의 변화의 과정속에 함께 하나님이 활동하는 것이다. 넷째 생명은 생명자신 뿐 아니라 다른 생명을 귀히 여기는 공동체를 지향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와같은 생명사상을 바탕으로 한 청소년 기독교교육의 방향은 먼저 대중매체의 문제점으로부터 출발한 내용이니만큼 청소년의 삶의 자리로서의 대중문화에 대한 시각을 어떻게 가지고 교육을 할 것인가의 문제가 중요하다. 대중문화가 가지고있는 문제점만을 부각하여 무조건 나쁘고 멀리해야 할 것으로 보는 기존의 이분법적인 문화이해를 극복하고 교육의 열린 장으로 문화를 이해하는 청소년기독교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둘째로는 변화의 과정이면서 주체인 생명, 즉 교육의 주체로서의 청소년의 자리를 확고히 하며 그러한 청소년의 무한한 가능성을 살리는 상상력 교육을 제시한다. 청소년들이 접하는 대중매체는 청소년들에게 현실 이상의 것을 볼 수 있게 해주는 상상력의 새로운 기반이기도 하다. 하지만 앞서 지적한 매체속의 폭력성은 청소년들에게 파괴적 상상력을 키워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기독교교육은 이들에게 창조적인 상상력을 북돋우는 교육적 내용을 가져야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폭력의 문화에서 서로를 경시하고 개인주의화 되어있는 청소년에게 생명을 존중하는 마음을 회복시키는 공동체를 지향하는 교육을 하여야 한다. 예수의 공동체가 가지는 서로 존중하고 나누고 용서하는 공동체를 다시금 일깨우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한 공동체 교육은 N세대로서 청소년들이 사이버 공간에 형성해놓은 공동체 역시 이러한 교육의 현장의 하나가 되어야 한다. 결론에서는 이와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청소년 기독교교육이 대중매체와 연합하여 지향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며 이미 형성되어 있는 문화의 잘못된 점만을 부각하고 기피하는 것이 아니라, 기독교 청소년들이 문화를 형성하는 주체로 설수 있도록 하는 교육과 올바르게 문화를 읽도록 돕는 보다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기독교 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21세기는 문화의 시대이다. 오늘날의 문화는 다양한 관심사와 흥미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때로 본 논문에서 지적한 것처럼 폭력성과 같은 문제를 드러내기도 한다. 청소년들은 그 안에 고스란히 살아가며 그들에게서 문화를 빼앗아 갈 수는 없다. 기독교가 언제까지 그 문화의 뒷편에서 잘못만 지적하고 교회안에 갇혀서 성스럽게 예배하는 청소년이 되라고 강요할 수는 없다. 이제는 문화의 선두에서 적극적인 문화생산자의 한 주체로 설 때가 되었고, 청소년들을 이러한 주체로 교육하기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an alternative way for Christian Education to the youth, based on 'thought on life' which sublates violence, through research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and the violence of mass media which affects the youth hugely now days. The youth of 21st century are making their own world, different from the old one, in quickly changed cultural waves. They are generally called Image-generation or N-generation. As a Image-generation, the youth rather feels than thinks. They are accustomed to the sensually visual things. As an N-generation, they are spending lots of time in computer and internet. They are meeting people, communicating each other, and collecting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The youth called Image-generation or N-generation, is oriented to the sense of practical minded and pluralistic values, and they deny the uniform and standardized things, but pursue and respect people's own personalities and individualities. Their faith is in the conventional phrase and also transitional phrase now. Even if their faith is strong and conventional, they are too venerable and changeable, because they are in the transition age. They are growing and developing their own faith through their experience with people and media they are facing every day. So the media, affecting the youth more and more, should not be overlooked. I will examine the violence of media among other characteristics of media and its effect on the youth which is new challenge to the youth education. The violence of media, especially of TV, extends its effects from the direct violence of physical things to the indirect violence through language and comic situation. I will show the state of violence in TV with the reports of Broadcasting Council, which reviews music videos, entertainment show programs, and educational programs of 2001, provided by the key TV broadcasting companies. I focus specially on the violence of media in the youth Christian education because now days, the youth is daily exposed to the cruel violet scenes through media, and they are easy to be dull to its dangerousness in the real world and loose their judgment what is wrong and right. They start to copy the violent actions from the media programs, and even worse they create their own violent things based on the existed one. Their consciousness of sin will be getting faint if no one guides them nor lets them know what is wrong and why it is dangerous. I will suggest 'thought on life' as an alternatively Christian educational philosophy to the youth against the violenc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ought on life' are ; 1. Life is the transitional form. It is not a fixed form, but a being in changing continuously, pursuing another possibility. 2. In the core of its change, there is the essence being of Life, 'self-wholeness'. 'self-wholeness' reveals its spontaneousness. It is the owner of its change ,not by others, but by itself. 3. In the relation with God, Life is accord with God. God is in Life and God is in the course of Life's change. 4. Life is oriented to the community. It values life, itself and other lives. Since the youth education based on 'thought on life' is an alternative one against the youth exposed to the problems of mass media, we have to regard mass media as an main role in the life of youths. Beyond the dichotomous thought on the mass media, which only advises to avoid it, regarding it as ill and wicked things, I suggest the Christian the youth education, understanding and accepting the mass media culture in the context of open education. And then imagination education will be discussed. The imagination education opens the unlimited possibilities of youths, regards them as life, which is the subject and course of change, and confirms them as the subject of education. The mass media can be tools to show the youth the ideal world beyond the reality. But the violent aspects of mass media only grow the destructive imagination. Therefore, the Christian education must encourage the youth to have the creative imagination against destructive one. It must community based education to rebuild the spirit of life, so the youth can overcome selfishness and contempt, and restore the respect the life and each other. It is very important to restore the community spirit of Jesus, forgiving and respecting. This spirit must extend to the youth 's cyber community through Christian community education In the conclusion, I will suggest the voluntary and positive education to help the youth interpret the mass media in the right way and be the subject of it. 21st century is the age of culture. Today's culture or mass media provides us lots of information and interesting things, but it also provides many problems such as violence. the youth is, everyday, exposed to it. We can not remove it from them. We can not seize them in the church and ask them to live holy regardless with the culture, emphasizing the wicked aspects of the mass media culture. Now, it is time to be the leading subject and positive creator of the culture. We have to do our best to educate the youth to be that subject and creator of the culture.

      • 대중매체를 활용한 영어 문법 교육이 중학교 학습자의 문법 학습 효과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박혜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영어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것으로, 의사소통 능력이라 함은 언어의 유창성뿐만 아니라 정확성까지 포함한다. 제 7차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의사소통 능력뿐만 아니라 유창성과 정확성의 균형 있는 발달을 추구하여 문법 교육의 중요성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설명과 암기위주의 단순하고 수동적인 문법 교육은 문법 지식의 습득이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도움을 준다는 생각보다 오히려 문법 학습이 지루하며 재미없는 분야라는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게 되어 학습자들이 문법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수업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제 7차 교육과정은 유창성과 정확성을 동시에 기를 수 있도록 학습 경험과 활동을 극대화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교실에 도입하는 과제와 활동은 실제 의사소통과 유사하거나 실제 의사소통 상황이 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무엇보다도 수업을 효과적으로 이끌어가기 위한 창의성과 기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교사가 수업에서 시청각 자료 및 멀티미디어를 적절하게 활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또한 학습자가 어렵고 지루하다고 느끼기 쉬운 영어 문법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학습자들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교사는 다양한 수업 활동을 통하여 학습자 스스로 과업을 수행하면서 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문법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도록 다양한 수업자료를 활용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학습자들이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대중매체를 활용한 문법 수업 방안을 개발하고 이를 교실 현장에 적용하여, 대중매체를 활용한 문법 학습이 학습자의 영어 문법 능력과 영어 학습의 정의적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대중매체를 활용한 영어 문법 수업의 현장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 학습자 140명을 대상으로 총 12차시의 문법 수업을 실시하였는데, 실험집단 70명에게는 대중매체를 활용한 문법 수업을 실시하고, 통제집단 70명에게는 전통적인 방법의 교과서 중심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 모두 12주 후에 문법 능력이 향상되었으나, 실험집단의 향상도는 유의미한데 반해 통제집단의 향상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실험집단에게 적용하였던 대중매체를 활용한 영어 문법 학습이 학생들의 영어 학습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두 집단 모두 하위집단이 상위집단에 비해 문법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실험집단의 하위집단이 가장 큰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실험·통제집단의 영어 문법 및 영어 학습에 대한 정의적 측면 변화를 설문 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대중매체를 활용한 문법 수업이 학습자들의 영어 전반 및 영어 문법에 대한 흥미도, 자신감, 동기유발에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실험집단의 변화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실험·통제집단의 상·하위 수준별 집단의 태도 조사 분석 결과, 실험 이후에 두 집단 모두 전반적으로 하위집단이 영어 문법 및 영어 학습의 정의적 측면이 긍정적으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후 심화설문조사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를 대상으로 한 심화 인터뷰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팝송과 광고에 비해 영화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영화가 영상과 음성을 통해 종합적으로 의사소통의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문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심화 인터뷰에서 실험집단 학생들은 대중매체를 활용한 영어 문법 학습을 통해 문법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갖게 되었으며 무엇보다도 문법에 대한 막연함을 줄일 수 있었으며 문맥을 통해 쉽게 문법에 접근할 수 있었다고 응답함으로써 대중매체 활용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편 통제집단 학생들은 영어 문법에 대한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었으나 대부분 수업이 지루하여 흥미를 갖지 못하여 영어 전반에 대해 자신감을 잃게 되는 경향이 있었다. 넷째, 실험집단에 대한 연구자의 관찰일지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한 수업진행 담당교사의 관찰일지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은 수업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문법 학습에 대한 동기가 강하게 유발되었음을 알 수 있으나 통제집단은 대체로 수업을 지루해하거나 흥미를 갖지 못하여 문법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이 되지 않았으며 문법 설명을 어려워하여 수업참여도가 낮았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중매체를 활용한 영어 문법 수업이 영어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이 지루해하고 어려워하는 문법 학습을 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대중매체가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통합적 학습의 자료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도록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와 관련된 다양한 활동들을 종합적으로 개발한다면 영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ultimate aim of English education is to develop communication competence which includes not only language fluency but also language accuracy. The 7th curriculum, as student-centered curriculum for the expansion of autonomy and creativity, focuses not only on the ability to communicate but on balanced growth in fluency and accuracy. However, mechanical and passive grammar instruction centered on explanation and memorization causes that learners are not interested in the class, even though they recognize an importance of the grammar learning. The 7th curriculum, therefor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aximazing the use of activities and experience that simulate authentic communication within the classroom which help develop simultaneously both fluency and accuracy. It also recommends that multimedia and visual tools be used appropriately for the educator needs the creativity and skill to effectively lead his/her class. Moreover, for it is imperative that the learner's interest and motivation is encouraged despite uninterest and boredness easily felt toward the study of grammar, various classroom activities should be utilized to encourage autonomic methods of learning English grammar. This study looks at the ways of developing grammar instruction methods which junior high students may take interest to and applies these methods to classroom. It also takes a look at how effective the instruction methods using massmedia tools are, and how to utilize them. For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here 70 out of 140 grade 9 students(experimental group) were taught English grammar using massmedia tools in 12 classes and the rest(control group) were in a class which focused on textbook explanations for the same time period. The main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 Firstly,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better grades in grammar than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meaning that the massmedia tools were in fact effective. Also, the degree of enhancement in grades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meaning that the massmidea tool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Particularly, lower-proficiency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better results than others. Secondly, it was found, through a questionnaire on the affective aspects toward the class methods on both groups, that even though there was no meaningful statistical rise in interest, confidence, or motivation toward learning of grammar, the experimental group's answers reflected generally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class. Thirdly, analysing further questionnaires and interviewing students in both groups,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much preferred the class with various massmedia tools and said that they acquired renewed interest and confidence toward English grammar. Furthermore, researchers' and teachers' observational diary o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how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two classes, which shows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interest during class where was the control group found the grammar explanation difficult to follow and had apparently lost interest. As the above study results suggest, the use of massmedia in English grammar instruction is effective and productive in promoting learning of grammar and affective aspects for English learning. Further, if massmedia is used in whole language teaching by applying them to the teaching of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they can make major contributions to the ultimate aim of English instruction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 and cultivating advanced intellectual ability.

      • 대중매체를 통한 일반인의 춤인식에 관한 소고

        김소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8703

        92년이 춤의 해로 지정되어 여러 가지 다채로운 행사가 열렸으나, 현재 춤 예술의 공연상황은 종전과 별다를 바 없이 춤계 자체내의 행사수준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대체로 춤 공연이 일반 대중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 그 요인으로 대두된다. 현재 일반인의 춤에 대한 인식은 춤이 특별한 대중적 관심이나 지적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며, 이는 일반인이 춤을 자신과는 거리가 먼 별개의 예술이라고 인식하고 있다는 데에 기인한다. 이러한 거리감을 좁히기 위해 가장 적절한 것은 현대의 일반인들이 춤예술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대중적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한 수단으로서 현대의 대중매체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먼저 대중매체가 춤에 대한 기사 및 방송 프로그램에 할애하는 시간과 편성내용을 TV방송 5사의 95년도 5월과 10월의 편성표와 EBS의 '예술의 광장'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분석하고, 5대 일간지에서 95년도 1년 동안 120일분의 신문기사를 분석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설문지를 통해 일반인들이 대중매체에서 춤을 얼마나 자주 접하며, 춤에 대한 인식 및 대중의 관심은 어느 정도인지를 조사하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춤의 활성화에 있어서 대중 매체의 개선 방안을 연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에서 신문의 문화예술 기사를 보는 일반인들은 47.4%, TV를 통해 춤을 접한 사람들은 90.3%에 이르나, 그 동기를 보면 주관적 관심보다는 우연히 춤을 시청하거나 타의에 의해 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이들에게 춤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자발적으로 가질 수 있는 동기 유발 및 기회를 제공해야만 한다. 그 방법의 하나로 춤예술의 수용에 있어서 소극적인 TV와 신문매체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개선해 나가면서, 춤에 관한 관심과 관련기사 및 방송의 비중을 적극적으로 늘린다면, 춤문화는 일반인의 생활 가까이 에서 친근하게 자리잡게 될 것이며, 일반인들이 자연스럽게 춤을 접하고 춤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게 될 것이다. 그럼으로써 문화로서의 춤예술은 보다 많은 일반인의 관심과 폭넓은 관객의 수용 속에서 분명하고 확고한 사회적, 문화적, 예술적 가치와 위상을 정립시켜야 한다. Although various dance events have been actively programmed particularly since 1992 which was designated as "Year of Dance", today's condition of dance art performances is little better beyond the events organized by the dance circle. There seems to be many causes for such poor dance performances, but the most plausible one conceived may be people's poor concern about dance. In other words, the general public perceive that the dance cannot attract people's special or intellectual interest and therefore, that dance is an art placed for from their living. In order to correct such a misunderstanding, the modern mass media should be more positively used because they may allow people to get access to the unfamiliar dance easily and thereby be interested in it. With such a basic conception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surveying people's perception of dance through mass media. To this end, the programs of 5 local TV companies designed for May and October, 1995 and the EBS program "Hall of Art" were analyzed, while the articles of 5 major local dailies carried for 120 days in 1995 examined. Based on this analysis, people's perceptions of dance were surveyed through a questionnaire. Lastly, summing up all these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reform measures to promote dance using the mass media were explored. It was disclosed through the survey that 47.4% of the sample people read the culture or art columns of the newspapers, and that 90.3% of them have seen the dance performances on TV. However, they did not proceed to watch the performances, but happened to see them or were force to do so. In consideration of such a low public recognition of dance, they should be more motivated or given opportunities to be interested in dance. One of the ways to awaken people of the dance is to encourage our local mass media to organize more dance programs or increase their ratio of dance programs drastically. If so, our dance culture will be place nearer the public, and thereby, people will have more natural opportunities to get access to the art, and finally will be reawakened of the dance. All in all, the art of dance as a culture should be established as clearer and more solid social, cultural and artistic component of our community amid people's applauds and higher concern.

      • 전문계 남자고등학생을 위한 대중매체 활용 성의식 증진 프로그램 개발

        이은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xecute a Sexual Consciousness promotion program using mass media with the target of specialty high school boys and verifying how it affects sex awareness. The problems established to accomplish the purpose are as follows. It is to clarify the following. First, what should be the contents of Sexual Consciousness promotion program using mass media? Second, how does a Sexual Consciousness promotion program using mass media affect specialty high school boys? Based on the research questions, we hypothesized “The experimental group to whom the mass media based sexual consciousness promotion program is applied will show a significant change in their sexual consciousnes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r subject of study, 2 of the same major junior classes in specialty high schools located in Chungcheongnamdo town were selected, each forming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o verify the hypotheses,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the mass media based sexual consciousness promotion program and carried out post-test twice(Monday and Friday) a week from September 8st to October 11rd during discretionary activities, and the control group carried out post-test without any program. For the test tool, 'Sex Psychology Test for High School' created by Park Young-Suk and Chun Young-min (2002) was used. The Sexual Consciousness promotion program is based on the systematic counsel program development model of Park In-Woo(1995) which is frequently us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recent adolescent counsel programs, and We surveyed the subject students’ needs of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program and composed the contents of learning, and then made a survey on the validity of mass media for utilizing the contents through the material development team of the Association of Chungnam Health Teachers to which the present researcher belongs. by referring to High-school students' sexual self-determination program applying actual therapy(Kang Dul-sun, 2005), Reality of school sex education (Lee Jung-Ok, 2002), and a Healthy sex happy life (Park Hyo-Jung and 3 others, 2007). and Statistical result data was analyzed using Mixed ANOVA with SPSS 12 for Windows, and in order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s on reliability of quantitative results, periodic experience reports of the groups and observations by counselors were analyzed and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mass media based sexual consciousness promotion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ual consciousness from the control group. In analysis by the sub area of sexual consciousness, the experimental group’s ‘sexual knowledge’ and ‘sexual impuls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trol group, but ‘sexual attitud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ossible reasons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exual attitude’ were that the researcher suggested healthy and conservative sexual behaviors in consideration that the subjects were high school students but today’s adolescents perceive sexual behavior to be a part of a natural and normal relation and that the present program provided education on sexual attitude only through five sessions while a systematic long term approach is necessary for changing the students’ attitude.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exual knowledge’ and ‘sexual impulse’ probably because the contents of the program met the subjects’ level of educational needs such as dating, pregnancy and contraception, sexual impulse, and sexual behavior that are necessary in the experiences of daily life, and because the subjects’ participation was motivated by various teaching methods including the use of mass media, discussions, self exposure, and OX puzzles rather than simple lectures. In addition, w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counseling diary in each session and the group members’ reports on their experience in sub areas to supplement quantitative analysis. In the results as well, the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the students’ sexual consciousness. The proposals for further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male students at a vocational high school at a town in Chungcheongnamdo, its results have a limitation in being generalized. Thus, subsequent research needs to make comparative analysis according to school type including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Second, among the sub areas of sexual consciousness, change in sexual attitude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ccordingly, systematic in depth research is necessary to change students’ sexual attitude. Third, arrangement of environment to carry out small educations for open sexual experience and smooth progress is required, and study that applies the program with the target of small groups is necessary.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계 남자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대중매체 활용 성의식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성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 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중매체 활용 성의식 증진 프로그램은 어떤 내용으로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대중매체 활용 성의식 증진 프로그램은 전문계 남자고등학생의 성의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가설은 ‘대중매체 활용 성의식 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성의식에 유의한 변화를 나타낼 것이다.’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남 면지역에 소재하는 전문계 고등학교 2학년 동일 전공 2개 학급을 선정하여 한 학급은 실험집단에 다른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은 9월 8일부터 10월 11일까지 1주에 2회씩(월, 금) 재량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대중매체 활용 성의식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프로그램 처치를 하지 않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도구는 박영숙, 전영민(2002)이 개발한 ‘고등학생용 성의식 검사’를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이 연구는 최근 청소년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박인우(1995)의 체계적인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조사, 분석, 설계, 구안 및 적용의 과정을 거쳤으며, 연구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교육내용에 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주요 학습내용으로 구성하여 본인이 소속한 충남보건교사회 자료개발팀을 대상으로 회기별로 활용하고자 하는 대중매체의 타당성에 대한 요구조사를 거쳤다. 프로그램의 구성은 현실요법을 적용한 고교생의 성적자기결정프로그램(강둘순, 2005)과 학교 성교육의 실제(이정옥, 2002), 건강한 성 행복한 삶(박효정 외, 2007)을 참고하였다. 자료처리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양적 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담자의 회기별 상담일지를 통한 관찰내용 및 집단원의 하위영역별 경험보고서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중매체 활용 성의식 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성의식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변화를 나타냈으며, 성의식의 하위영역별로 분석해 보았을 때 실험집단의 ‘성지식’, ‘성충동성’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성태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성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연구자가 연구대상에게 지향하는 성태도와 연구대상이 갖는 성태도가 맞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추정하며, 태도의 변화를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접근이 필요한 데 반해 본 프로그램에서 성태도는 5회기라는 충분하지 않은 성교육이 제공되었기 때문으로 추정한다. 그러나 ‘성지식’과 ‘성충동성’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그 이유는 프로그램의 교육내용면에서 청소년들이 일상생활의 경험에서 필요로 하는 이성교제, 임신과 피임, 성충동, 성행동 등 연구대상자의 교육요구 수준에 부합하는 알맞은 내용의 제공과 단순한 강의식이 아닌 대중매체의 활용, 토의, 자기 드러내기, ○X퍼즐 등의 다양한 교육방법으로 교육대상자의 참여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양적 분석을 보완하기 위해 살펴본 회기별 상담일지를 통한 관찰내용 및 집단원의 하위영역별 경험보고서를 분석해 본 결과 역시 프로그램이 성의식을 증진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대중매체 활용 성의식 증진 프로그램 개발로 전문계 남자고등학생이 정확한 성지식을 습득하고 올바른 성태도 확립 및 성충동 시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책임 있는 성행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충남 면지역에 소재한 전문계 남자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연구의 해석 면에서 일반화 하는 데에 무리가 있으며 후속연구에서는 인문계 고등학생을 포함하여 학교 계열에 따른 비교 분석이 가능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성의식 하위영역 중 성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이 부분을 변화시킬 수 있는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성경험 개방 및 원활한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위해 소규모의 교육이 실시될 수 있는 환경 마련이 요구되며 소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적용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대중매체 수용 정도에 따른 초등학생의 성의식의 차이

        조광연 春川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중매체 수용정도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성의식의 차이를 변인별로 조사 분석함으로써 다변하는 대중매체를 통한 바람직한 초등학생의 성 의식 형성에 기여하고 올바른 성교육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성지식 습득과 성충등 자극을 주는 주요 대중매체는 성별, 지역별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중매체의 수용정도에 따라 성지식, 성역할, 성충동, 이성교제, 성윤리는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밝히기 위해 초등학생 5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조사는 환경적 변인을 고려하여 조사 대상지역을 대도시 지역, 중ㆍ소도시지역, 농ㆍ어촌 지역으로 구분하여 조사하고 표집 대상은 5,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자의 배경변인과 지역별, 성별, 대중매체별로 분석하였고, 각 문항별 빈도분석 및 백분율을 계산하여 성별, 지역별, 대중매체별 변인과의 X^(2)검증을 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에 따른 논의점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성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비디오테이프이고 성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컴퓨터 통신이라는 사실을 인식하여 그 내용이 학생들의 신체적 성장, 성적 성장 등 발달 수준에 적합한 성 지식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적 측면에서 제작되어야 하며, 성인용 비디오 테이프의 관리와 무분별한 인터넷 사용에 대한 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하겠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건전한 성 의식 형성에 도움이 될 성 지식에 관한책자 및 영상, 인터넷 자료 등이 개발되어서 초등학생들의 무분별한 대중매체로부터 불건전한 성 의식을 형성하지 않도록 유도해야겠다. 셋째, 성 충동에 의한 성 문제의 발생을 예방하고 건전한 성 의식을 형성하도록 가정, 학교, 사회가 적극적인 자세로 성교육 방법을 모색하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넷째, 가정과의 연계교육을 통해 효과적인 성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생들이 친구나 대중매체, 인터넷 등을 통해 성적 지식을 얻고있는 현실을 직시하여 가정과 학교에서 부모와 교사들이 나서 충분한 성상담과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초등학교에서 효과적인 성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방안을 구안해야 한다. 초등학교 학년 수준에 맞는 성교육 프로그램과 남녀 학생별 지도방안을 마련하여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아울러 효과적인 성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안과 교육자료 등을 개발하여 보급함으로써 실질적인 성교육을 할 수 있는 교육체제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The study Is aimed at us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ic data of sex education, encouraging them to develop their right sex awareness as survey of differ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x awareness with the accepting degree of mass media. The following study subjects are for thls research. First, do the main mass media that is received some sex knowledge and sex instin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some differences with sex and area? Second, do sex knowledge, sex roles, sex instinct, associating with other sex, sex morality have some differences as accepting degree of mass media? For the two study subjects, 540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surveyed. They live in metropolis area, middle or small town area and farming or fishing villages area. They are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Using SPSS program, the collecting data are analyzed by background change cause of research objects, areas, sexes and many kinds of mass media. This data are to calculate percentage and frequency every questionnaire's item and also to verify as X^(2) wltn areas, sexes, and many kinds of mass media's change cause. The following results are based on the upper methods. First, video tape influenc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x knowledge and computer networking or internet surfing influences their sex instinct. With this we have to make some good sex educational videos, sexual matter, manage x-rated video film well, manage internet surfing about adult site only well. Second, we have to make some good books, videos, and internet contents about sex knowledge for ou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x awareness development. Third, to prevent ou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occurrence of sex problem cause of sex urge, to develop healthy sex knowledge for ou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ur home, school and our society have to find many methods actively. Fourth, It is necessary to have some sex education from home through school. Currently our students learn some sex knowledge from their friends, mass media, internet etc. So we have to educate sex knowledge to our students at home and school formally. Fifth, we have to find the methods of effective sex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only. To put it concretely we should prepare to educate sex education for each grade, each sex students. In addition to, we should make the syllables for effective sex education and some good data. With this we will promote the system of real sex education.

      • 대중매체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식생활 습관과 영양지식에 미치는 영향

        신언옥 인제대학교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수많은 대중매체를 접하고 또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 학령기의 아동들에게 대중매체와 식생활습관 그리고 영양지식이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재학생 28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생들이 식생활 정보를 얻는 매체로서는 전파매체가 인쇄매체보다 정보의 접근이 쉽다는 이유로 더 선호되고 있었다. 실제로 인터넷과 TV/라디오는 다양한 정보와 접근 용이성이라는 장점과 동시에 무분별한 정보의 범람 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소비자연맹(2001)에서 10대가 음료를 선택할 때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광고이미지’37.4% ‘자신의 감각에 맞는 것’35% ‘저렴한것’32.2% 과 다른연구(장현정 2000)에서 음료구매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에서 ‘TV광고’가 62.0% ‘매장에서 상황에 따른 구매’ 17.6% ‘친구의 권유’7.4%로 나타난 결과에서 보듯이 대중매체는 청소년의 식생활 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아직 정보를 선별하는 능력이 성인에 비해 부족한 학생들을 위해 올바른 정보 접근과 사용을 위한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교육의 필요성과 함께 대중매체의 공급자 역시 선별된 콘텐츠를 제공해야 한다는 책임감이 요구된다 할 수 있다. 영양지식을 확인한 설문에서 가장 정답률이 높은 문항은 우유와 멸치의 칼슘에 대한 항목으로 학교급식 및 가정에서 접근 빈도가 많은 식품에 대한 것으로 평균점수가 92점이었으며, 비만과 성인병, 기호음료의 열량문제, 열량과 식사습관과의 관계 등 에 관한 문항들은 골고루 높은 점수대로 이루었고 . 그리고 영양소의 구성과 단백질 식품 및 비타민과 질병의 관계등은 초등학교 5학년 교육과정에 있으나 정답률이 높지 않았고, 특히 정답률이 낮았던 문항의 경우는 ‘콜레스테롤’에 관한 내용이었다. 학생들이 대중매체를 통해 콜레스테롤에 대해 자주 접했을 수는 있지만 정작 그것에 대한 정확한 정의와 개념은 습득하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영양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대중매체에서 제공하는 식생활 정보 이용의 실태와 영양지식에 관한 결과에서는 공통된 내용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과 달리 다이어트와 관련한 내용에 관심이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대중매체에서 다이어트, ‘얼짱’, ‘몸짱’과 같이 외모 지상주의를 부추기는 내용들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아직 학령기 아동은 청소년기까지의 신체적인 발달을 이루기 위해 균형 잡힌 영양섭취가 필요한 시기인 만큼, 대중매체 속의 왜곡된 미의 기준에 현혹되어 영양소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도 있다. 학생들이 육체적인 건강과 더불어 올바른 미(美)의 개념을 갖고 정신적인 건강함을 갖추게 하기 위해 대중매체는 올바른 식생활정보와 더불어 올바른 가치관 형성 역시 관심을 기울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대중매체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넓은 사회적 차원에서도 고려되어야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비만도 항목에서는 남녀공통으로 매우 마른 그룹의 경우 큰 키에 대한 정보에 관심이 있는 등 자신의 몸 상태에 따라 필요로 하고 관심 있어 하는 정보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학생들이 상담이나 건강검진을 통해 몸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지식 자료망이 구축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 강원도지역에 거주하는 성인에게 대중매체를 통한 식품영양정보가 영양지식수준과 실생활활용도에 미치는 영향

        안우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건강 및 질병 예방에 있어서 식생활이 중요한 요인이 되었고,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제는 전문가가 아니어도 많은 양의 관심 정보를 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는 사회가 되었다. 대중에게 정보를 신속하고 동시에 전달하는데 있어서 대중매체는 좋은 급원이다. 대중매체를 통해 얻는 식품영양정보가 모두 정확하고 옳은 것이 아니라서 왜곡되고 틀린 정보를 믿거나 실생활에 적용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는 개인에게 건강 및 영양과 관련하여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강원도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대중매체의 식품영양정보가 영양지식수준과 실생활활용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204명에게 설문지를 돌려 일반사항과 대중매체를 통한 식품영양정보의 이용도, 실생활 활용도에 대해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일반사항에 따른 대중매체를 통한 식품영양정보 이용도와 실생활활용도의 차이를 비롯하여 대중매체를 통한 식품영양정보 이용도에 따른 실생활 활용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일반사항과 대중매체를 통한 식품영양정보 이용도에 따른 영양지식 수준, 실생활 활용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은 Scheffe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많이 사용하는 대중매체는 인터넷과 TV(방송)이었으며, 대중매체의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신뢰도와 만족도는 대체로 높았다. 만족도가 높았던 이유는 ‘실생활에서 적용하기 쉬워서’가 가장 많았고 다음이 ‘최신 정보가 많아서’ 인 것으로 보아 대중매체를 통한 식품영양정보가 실생활에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생활 활용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에 있어서도 간단하고 편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부분이었다. 관심 있는 식품영양정보는 요리 방법에 관한 것이 가장 높고, 다음이 질병 관련, 다음이 식품의 건강기능성으로 요리 레시피나 다이어트를 포함한 질병에 관련된 정보에 대해서 관심이 많았으며, 대중매체를 통해 습득한 식품영양정보를 요리와 식재료 구입과 같은 분야에서의 활용도는 여자가 더 높으나 금연, 금주를 포함하는 식생활 개선 분야에서의 활용도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매체의 식품영양정보를 접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실생활 활용도와 실생활에 적용하는 기간, 영양지식 수준이 낮았으며 대중매체의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신뢰도와 만족도가 높을수록 식생활 교육과 식생활 개선과 관련한 실생활 활용도 및 영양지식 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식단계획, 식재료 구입, 식생활 교육, 식생활 개선과 관련한 실생활 활용도와 영양지식 수준이 높았다. 이는 대중매체를 통한 식품영양정보의 정확성이 꽤 높음을 유추해볼 수 있는 결과이며, 대중매체에서 제공하는 식품영양정보를 대체로 신뢰하고, 실생활의 다양한 분야에 있어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교육수준이 낮더라도 대중매체로부터 질적인 영양교육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영양지식 수준을 높이고, 실생활에서 잘못된 정보를 응용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그러므로 앞으로도 대중매체는 대중에게 전문가로부터 인증된 설명이나 사례, 과학적 근거가 있는 올바른 정보로 영양 및 건강에 대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정부 및 언론사와의 협업을 통해 활용 방안을 계속 마련하는 노력이 요구되며, 영양 정보에 대한 전문성 있는 웹사이트를 홍보하여 잘못된 정보를 선별하고, 영양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대중매체비디오자극을 활용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여학생의 신체상과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경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대중매체비디오자극을 활용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여학생의 신체상과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중매체비디오자극을 활용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둘째, 대중매체비디오자극을 활용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여학생의 신체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대중매체비디오자극을 활용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여학생의 자기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구리시에 소재하는 1개 초등학교 6학년 여학생 130명 중에서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학생을 모집하여 실험집단 8명과 통제집단 8명으로 구성하여 실험집단에게만 총 9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인지행동치료(Cognitive-Behavioral Therapy, CBT)와 Beck(1976)의 인지치료이론, 강진령과 유형근(2004)의 학교상담프로그램의 모형을 바탕으로 문금명(2005)의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 및 김미숙(2004), 김선주(2004)의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대중매체에서 나온 각종 드라마 및 다큐멘터리, 사진자료를 2회기~7회기까지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중매체비디오자극을 활용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신체상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중매체비디오자극을 활용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자기존중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용 분석 결과에서 실험 참가자들이 전체 프로그램의 과정과 효과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살펴볼 때, 대중매체비디오자극을 활용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여학생의 신체상 및 자기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이 연구는 초등학교 여학생을 대상으로 대중매체비디오자극을 활용하여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연구로써, 대중매체로 인한 외모에 대한 지나친 편견을 갖지 않도록 하며 자신의 신체상과 자기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갖도록 하는데 좋은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대중매체비디오자극을 활용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기존의 인지행동상담 프로그램과는 달리 학생들의 주의집중과 흥미를 유발시키고, 재미있으며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학생들에게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셋째, 대중매체의 영향은 신체상 및 자기존중감 뿐만 아니라, 공격성, 폭력성, 성에 대한 태도와 가치관 등 다양한 변인들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좋은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