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자 청소년의 잔반에 대한 인식과 식사행동 및 학교급식 교육의 관련성

        진혜린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10 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Dongducheon, Gyeonggi Province,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leftover food and the eating behavior that affects the remaining food. The dietary behavior of male adolescents, the preference of meals, the level of leftover meals, and the demand for dietary education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249 people (60.7%) said they were "concentrating on their meals in place" as the main meal behavior during lunch, There were 98 middle school students (57.6%) and 151 high school students (62.9%). As for the factors that affect eating behavior, "friends" were the highest with 68 middle school students (40.0%) and 104 high school students (43.3%). Seventy-nine middle school students (46.5%) and 76 high school students (31.7%) made meals at home every day, and middle school students made meals more than four days a week or at home every day than high school students. (p<0.05). 113 middle school students (66.5%) and 175 high school students (72.9%) responded that they received food and behavior education at home, Most of - 51 - the educators were parents, and 65 middle school students (57.5%) and 108 high school students (61.7%) practiced after education. Out of 10, middle school students scored 5.75 points and high school students scored 5.91 points, which was not high with a total of 5.84 points. Among the preferred recipes in the school lunch menu,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red stir-fried meat and high school students preferred grilled and jeon recipes, In the case of fish and seafood,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 soup, stew, and soup, and high school students prefer the recipe for fried food (p<0.01). Lunch is left "once or twice a week," and the main ingredients left are vegetables, with 74 middle school students (43.5%) and 90 high school students (37.5%). 85 middle school students (50.0%) and 133 high school students (55.4%) were trying not to leave any leftovers, 56.5%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45.4% of high school students said they tried to eat food they didn't like, 30.0%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42.9% of high school students said they "do not eat at all" (p<0.05), It was foun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food compared to high school students. Fifty-two middle school students (30.6%) and 85 high school students (35.4%) said they had received education on reducing the balance of lunch, and 116 middle school students (68.2%) and 155 high school students (64.6%) said they needed education. The cognitive score for food waste was 4.26 point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4.57 points for high school students out of 10, which was low at 4.44 points overall. The higher the food behavior score and food waste recognition score, the mor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at they tried not to leave food behind and recognized that a day without leftover was needed (p<0.001). The difference between male teenagers' eating behavior, the number and reason for leaving leftover food, and the degree of effort to reduce leftover food, is that the higher the food behavior score, The higher the level of awareness of food waste, the better the behavior of school lunch when there was educational experience in diet and environment at home and school, and the less leftover was left.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chools are related to the formation of proper eating habits and leftover food for students By providing education on the environment and food waste, students will have desirable eating behavior in school meals, It guides you to continuously practice the behavior of reducing the residue Education for parents should also be activated so that they can have proper nutritional knowledge and a balanced diet so that they can provide education on diet and environment at home. Key words : school meals,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food waste, food behavior, dietary education 본 연구는 경기 일부 동두천지역의 남자 중·고등학생 410명을 대상으로 잔반 에 대한 인식과 잔반에 영향을 미치는 식사 행동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실시 하였다. 남자 청소년의 식행동, 급식의 기호도, 급식의 잔반 수준, 식생활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점심급식에서 주로 하는 식사행동은 ‘제자리에서 식사에 집중함’이 249명 (60.7%)으로 높았고, 중학생이 98명(57.6%), 고등학생이 151명(62.9%)이었다. 식 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친구들’인 경우가 중학생 68명(40.0%), 고등학 생 104명(43.3%)으로 가장 높았다. 가정내 식사방법은 ‘매일 집에서 만들어 먹 음’이 중학생 79명(46.5%), 고등학생 76명(31.7%)으로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주 4일 이상 또는 매일 집에서 식사를 만들어 먹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p<0.05). 중학생 113명(66.5%), 고등학생 175명(72.9%)이 가정내에서 식행동교 육을 받았다고 응답하였으며, 교육자는 대부분 부모님이었고, 교육 후 중학생 65명(57.5%), 고등학생 108명(61.7%)이 실천하고 있다고 하였다. 식행동 점수는 10점 만점에 중학생은 5.75점, 고등학생은 5.91점으로 평균 5.84점으로 높지 않 았다. 학교 점심급식 메뉴에서 선호하는 조리법 중 육류의 경우 중학생은 볶음, 고등학생은 구이 전의 조리법을 선호했으며, 어류와 해산물의 경우 중학생은 국 찌개 탕을 선호하고, 고등학생은 튀김의 조리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p<0.01). 점심급식은 ‘주 1∼2회’ 남기며, 주로 남기는 식재료는 채소류로, 그 이유는 ‘맛이 없어서’가 중학생이 74명(43.5%), 고등학생이 90명(37.5%)으로 가 장 높게 나타났다. 중학생 85명(50.0%), 고등학생 133명(55.4%)은 잔반을 남기 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으며, ‘싫어하는 음식을 먹어보려고 노력함’에 중학 생은 56.5%, 고등학생은 45.4%로 나타났고, ‘전혀 먹지 않는다’는 중학생이 30.0%, 고등학생이 42.9%으로 나타나(p<0.05), 중학생이 고등학생에 비해 식품 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점심급식의 잔반 줄이기에 대해 중 학생 52명(30.6%), 고등학생 85명(35.4%)은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했으며, 점심급식 잔반줄이기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중학생 116명(68.2%), 고등학생 155명(64.6%)이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인지 점 수는 10점 만점에 중학생은 4.26점, 고등학생은 4.57점으로 평균 4.44점으로 낮 게 나타났다. 식행동점수와 음식물쓰레기 인지 점수가 높을수록 음식을 남기지 않으려 노력하였고, 잔반 없는 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그 차이는 유의 하였다(p<0.001). 남자 청소년들의 학교 점심급식 시 나타나는 식사행동과 잔반 을 남기는 횟수 및 이유, 잔반을 줄이기 위한 노력정도의 차이는 식행동점수가 높을수록,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가정과 학교에서의 식생 활 및 환경에 대한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학교 점심급식의 행동이 양호하였 고, 잔반을 적게 남기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중·고등학생의 청소년들에게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올 바른 식습관 형성 및 잔반과 연관되는 환경 및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교육을 실 시하여 학생들이 학교급식에서 바람직한 식사행동을 하고, 잔반 줄이기 행동을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가정에서도 식생활과 환경에 대한 교 육을 할 수 있도록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도 활성화되어야 하겠다. 주요어: 학교급식, 중학생, 고등학생, 급식잔반, 음식물쓰레기, 식행동, 식생활교육

      • 청소년들의 능동적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연극놀이 접근방법 : 17, 18세 남자청소년을 중심으로

        강등원 한국예술종합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17, 18세 남자청소년들의 외형적인 신체 변화 이후 자기 자신을 향한 시선을 민감하게 인식하며 생기는 자기 검열로 인해 주체성이 저해되는 문제를 탐구하고자 했다. 허구 세계에서 자신과 비슷한 시기의 인물을 구축하면서 인물의 삶의 문제를 직면하고 체득된 지식이 남자청소년들에게 어떤 변화와 성장을 가져오는지 살펴보고 이를 중심으로 능동적인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연극놀이 접근방법을 분석할 것이다. 본 연구의 질문은 필자의 경험에서 출발했다. 연극놀이를 경험하며 주변 시선의 두려움을 벗어나는 것이 자기인식과 관련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주체성을 회복할 수 있었다. 필자는 비슷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을 만나며 연극놀이의 경험을 통해 주체적인 힘을 찾게 해주고 싶었다. 그 이후 파일럿 과정을 통해 그 대상이 신체 변화를 겪고 있는 남자청소년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연극놀이의 예술적 경험을 통해 주체성을 회복하고 변화의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능동적인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접근방법의 연구를 시작하였다. 2018년 7월부터 연극만들기, 과정드라마, 인물구축, 인물탐색을 중심으로 총 4번의 파일럿 과정에서 수정과 보완을 거쳐 본 프로젝트까지 도달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남자청소년들의 특성, 환경 조건, 접근방법에 유의미한 발견을 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본 프로젝트를 실행하게 되었다. 본 프로젝트는 17, 18세 남자청소년 6명과 진행했다. 실행 초반 남자청소년 참여자는 주변 사람들의 반응에 민감하고 주체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기 어려워했다. 그러나 참여자들의 경험과 허구 경험이 연결되면서 참여자는 타인 앞에서 자신을 드러내는데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으며, 연극적 상상의 촉발과 극적 세계로 확장을 통해 자신의 상상을 공동체 안에서 합의된 극적 세계를 제안하고 만들어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허구 인물의 삶을 살아내기를 경험하면서 연극적 상상을 현실에 겹쳐내어 허구 인물의 관점을 가지고 직면한 삶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체적으로 도전해나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같은 시기의 허구 인물을 구축하고 체험하는 과정은 참여자의 상상이 서로 연결성을 가지고 맥락 안에서 연극적 상상을 촉발했다. 연극적 상상은 현실의 정체성을 초월하여 극적 세계를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하며 동시에 극적 세계의 자신을 발견하게 하였다. 이는 타인의 시선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던 참여자가 주체적으로 발견하고 시도할 수 있는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이를 통해 연극적 상상이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을 발견했다. 또한, 온라인 환경에서 연극놀이의 한계와 리더가 가진 협력적 관계 형성의 한계를 경험하며 극적 몰입을 가능하게 하는 환경의 중요성과 협력적 관계에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남자청소년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연극놀이 접근방법 연구가 외부적 시선으로 인해 자신의 주체성을 충분히 발휘할 기회를 얻지 못하는 청소년들에게, 그리고 청소년과 함께 능동적인 경험을 하고자 하는 많은 리더에게 하나의 가능성으로 제시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explores the issue of compromised subjectivity in male teenagers aged 17-18 due to heightened self-censorship as they become self-conscious and overwhelmed by the views of others following physical maturation. The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changes and growth experienced by male teenagers after they establish a self-like figure in a fictional theatrical world and strive to resolve problems the figure faces in it and to analyze an approach that promotes teenagers’ active participation in drama. This study was inspired by my own personal experience. Through my own participation in drama, I discovered that self-understanding is deeply related to the cultivation of the ability to overcome self-consciousness about the views of others. This realization served as a watershed for me to regain my subjectivity in the real world. I decided to meet teenagers who had similar difficulties and let them find their own subjectivity through drama experience. Through the study’s pilot sessions, I came to realize that male teenagers undergoing physical maturation, in particular, experience similar difficulties. Thus, I decided to proceed with this study in order to seek ways to help them regain subjectivity and achieve personal growth through the artistic experience of drama. From July 2018, a total of four pilot sessions were conducted on the drama of “play making,” “process drama,” “collective character,”and “Hot-seating.” The project was finally executed after a series of refinements based on findings from the sessions, including traits unique to male teenagers,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so on. The project involved six male teenagers aged 17-18. In the early stages, the participants remained highly sensitive to other people’s opinions and responses and found it difficult to express their own thoughts. However, they gradually began to articulate their thoughts with greater confidence by projecting themselves onto the made-up persona in the fictional world and build a dramatic world on the solid foundation of their imagination supported and nurtured within their group. Furthermore, by living the life of the made-up persona and projecting their dramatic imagination onto the real world, they became capable of taking on their everyday challenges and realizing breakthroughs. Based on progress made by the participants,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an optimal approach that enables real-world participants to bring together their imagination, build a dramatic world upon such interconnected imagination, and thereby actively participate in a drama. This helped me realize once again the instrumental role of dramatic imagination in freeing participants of a drama from the limits of reality and the importance of the perspectives and mindsets of individual group leaders in driving such imagination. The fact that approaches centering on dramatic imagination enable teenagers’ active participation holds great significance for areas related to children and youth. I sincerely hope that the outcomes of this study will expand horizons for teenagers who feel discouraged and daunted by the views of others, as well as those seeking to promot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eenagers.

      • 남자 청소년의 고교시절 기숙사생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정호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고등학교 시절을 가족과 함께 하는 삶이 아닌, 가족과 떨어져 기숙사에서 생활하는 남자 고등학생이 또래들과의 집단생활 속에서 무엇을 경험하며, 그 경험이 자신의 삶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된 연구이다. 남자 고등학생의 기숙사에서의 삶을 세밀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교시절을 기숙사에서 살아낸 그들의 직접적인 경험이야기를 듣고 이해하는 것을 통해서 가능할 것이다. 자신들의 살아낸 경험을 연구자와의 만남을 통해 다시 이야기하면서 참여자들의 경험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기에, 남자청소년의 기숙사생활 경험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연구방법으로 Clandinin &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는 소수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기에 참여자가 누구냐에 따라 연구의 질과 방향이 달라진다. 또한 연구자와 참여자간의 라포(rapport) 수준에 따라 참여자들의 이야기가 달라지고 이것은 곧 연구 결과와도 직결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렇기에 참여자 선정부터 신중하게 접근하고자 노력했으며, 연구 참여자와의 공동 연구라는 생각을 잊지 않고 진행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의 참여자로 연구 주제와 관련해 풍부한 자료를 그들의 이야기로 생생하게 제공해 줄 수 있는 2명을 선정하였으며, 2016년 10월 21일부터 2017년 4월 25일까지 약 6개월에 걸쳐 참여자들의 이야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Clandinin & Connelly가 제안하는 내러티브 탐구 절차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특히 시간성, 사회성, 장소의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을 염두에 두고 자료 분석 과정을 진행했다. 본 연구는 남자 청소년의 고교시절 기숙사에서의 경험이 어떠하며, 또한 그 경험이 그들의 삶에 어떠한 의미인지를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진행하였으며, 그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먼저 첫 번째 참여자인 중모의 이야기는 <중모가 살아온 길>을 통해 ‘학교에서 유명한 아이’, ‘꿈이 생기다’로 재구성되어 중모의 고등학교 입학 전까지의 삶을 담아냈다. 그리고 <중모의 기숙사 생활>을 통해 ‘엄마 없는 공간에서 엄마를 그리다’, ‘내 안 깊숙이 들어온 존재, 친구’, ‘꿈을 위한 도약’으로 재구성 되어 중모의 고등학교 기숙사 생활 동안의 이야기를 담아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기숙사, 그 후>를 통해 ‘기숙사가 남긴 흔적’, ‘그땐 그랬지..’, ‘엄마 밥이 최고죠’라는 것으로 재구성 되어 중모의 고등학교 기숙사 생활을 마친 이후의 삶이 중모에게 어떤 의미인지를 담아내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두 번째 참여자인 태수의 이야기는 <태수가 살아온 길>을 통해 ‘외로움을 몰랐던 외로운 아이’, ‘왜? 수많은 물음표를 던지다’, ‘독립에 대한 갈망’의 재구성을 통해 태수의 고등학교 입학 전까지의 삶의 이야기를 담아냈고, 이어서 <태수의 기숙사 생활>을 통해 ‘나만의 시간 나만의 공간’, ‘6명의 샘플’, ‘첫 경험, 그 낯설고도 짜릿한’의 재구성을 통해 태수의 고교시절 기숙사 생활에 대해 담아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기숙사, 그 후>를 통해 ‘또 다른 시작을 맞이하는 공간’, ‘낯설지만 적당한 가족의 자리를 찾아가다’, ‘한 걸음 성큼 내딛다’라는 재구성 작업을 통해 태수의 기숙사 생활을 마친 이후, 태수에게 있어 기숙사에서의 생활이 어떤 의미였는지에 대해 담아내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두 명의 참여자의 살아 온 이야기를 <살아온 길>, <기숙사 생활>, <기숙사, 그 후>의 세 단계로 구분하여 큰 형식으로는 시간 순으로 재구성 하여 결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두 명의 참여자의 이야기를 통해 연구자가 해석한 남자 청소년의 고교시절 기숙사 생활 경험의 의미는 <홀로서기의 시작>, <관계를 배워가는 현장>, <위기를 마주해야 하는 공간>, <가족의 재발견>이라는 제목으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실제로 참여자의 경험과 연구 결과의 순서와는 결코 일치하지 않으며, 큰 주제 안에서도 결과에 제시한 순서와 참여자의 경험과는 일치하지는 않는다. 또한 본 연구의 참여자의 기숙사 생활 경험과 다른 고등학교 기숙사 생활을 하고 있는 수많은 청소년들과의 경험은, 그 경험의 수만큼 다양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나마 고교시절 기숙사에서 생활하는 청소년들의 삶을 경험하여, 그들의 삶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이 이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겠다. 앞으로도 청소년에 관한, 나아가 가족과 떨어져 기숙사에서 또래들과 집단생활을 하고 있는 청소년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지속되길 바라며, 본 연구에서는 확인하지 못한 중도에 기숙사 생활을 포기한 학생들, 혹은 여자 기숙사에서 생활하는 여자 청소년들의 기숙사 생활 경험 이야기에 대해서도 후속 연구로 진행되어지길 제언하는 바이다. 주요어 : 내러티브 탐구, 남자청소년, 고교시절, 기숙사생활

      • 형제자매폭력이 남자청소년의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자녀상호작용의 조절효과 : 혼합연구방법을 중심으로

        강민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형제자매폭력의 피해가 남자청소년들의 학교폭력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이에 대한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이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양적분석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질적조사를 진행하여 앞선 결과를 보완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양적분석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청소년복지연구팀의 ‘청소년의 가정생활 및 학교생활에 관한 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남자청소년 58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질적조사는 양적분석 결과를 도출한 후, 2008년 4월부터 2008년 5월까지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하는 학교에서 재학 중인 남자청소년 6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남자청소년들의 형제자매폭력 피해는 전체 32.0%의 발생률로 나타나고 있고, 이 중 경미한 폭력은 25.3%, 심각한 폭력은 20.0%의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형제자매폭력에 대해 허용적인 사회적 분위기에 의한 결과로 보인다. 이에 더해 형제자매폭력을 실제로 당하고 있는 남자청소년들이 폭력으로 인해 부정적인 감정을 갖게 되거나 분노를 경험하고 있다는 진술을 하여, 형제자매폭력이 청소년들에게 무의미한 사건은 아님을 증명하였다.둘째, 남자청소년들의 부모와의 상호작용 실태를 살펴보았다. 각 하위영역 중 부모와의 활동공유 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단순 평균 비교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지만, 남자청소년들의 실제 생활에서도 부모와 함께 할 수 있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했을 뿐 아니라 시간이 있어도 부모 혹은 자녀가 함께 하려는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어 실질적으로도 남자청소년 자녀와 부모 사이의 물리적, 정서적 괴리감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셋째, 학교폭력태도의 실태는 형제자매폭력의 종류에 따라, 부모-자녀상호작용의 높고 낮음에 따라 학교폭력태도의 평균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우선 형제자매폭력의 종류에 따라서는 남자형제로부터의 폭력이 여자형제로부터의 폭력에 비해 학교폭력태도의 평균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질적조사에서도 형을 갖고 있는 남자청소년들의 폭력태도가 높다는 것이 확연히 드러남으로써 앞선 양적결과를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부모-자녀상호작용의 높고 낮음에 따라서는 부-자녀상호작용에서 통제행동(역)을 제외하고는 모든 하위차원에서 학교폭력태도의 평균차이가 유의하게 났으나, 모-자녀상호작용에서는 자녀의견존중과 비일관적태도(역)에서만 유의하게 차이가 났다.넷째, 형제자매폭력에 대해 부-자녀상호작용과 모-자녀상호작용이 학교폭력태도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모-자녀상호작용만이 남자청소년의 학교폭력태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와 관련하여 심층인터뷰에서 남자청소년들은 아버지가 형제자매가 싸우는 것을 잘 모른다든지, 알아도 깊이 관여를 하지 않는다고 진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부-자녀상호작용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가 아버지의 무관심 때문인지, 아버지보다는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이 상대적으로 효과가 있기 때문인지는 추후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형제자매폭력에 대한 개입을 제공함과 동시에 남자청소년과 부모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도입시켜 남자청소년들이 학교폭력에 대한 허용적이고 왜곡된 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se the influence of sibling violence experiences on male adolescent's attitudes toward school viole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child inter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In addition, the outcomes of quantitative analysis were supported by qualitative research. For quantitative analysis, the data of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adolescent's family and school' conducted by Kim(2007) has been utilized. Totally, 581 male adolescents were analysed.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done with data from interviews implemented with 6 male adolescents attending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Kyungki-Do from April 2008 to May 2008.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First, 32.0% of male adolescents experienced sibling violence. In detail, 25.3% of male adolescents were exposed to insignificant violence and 20.0% experienced severe one.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high level of experiencing sibling violence is attributed to societal atmosphere of tolerating it. According to the interviews, they felt negative emotion and anger and this tendency is worsening.Second, the interaction between male adolescents and parents were examined. Mean score of shared activity showed the lowest level among the factors in the scale. Even though simple comparison of mean score was done, this result reflected the reality. The male adolescents spent small amount of time with parents. In addition, even if they have had time to spend together, they rarely had will to share their activity. This result shows that level of dissonance in physical and emotional state is high.Third, the mean score of attitudes toward school violence was examined in regard to types of sibling violence and level of parent-child interaction. First, sibling violence by brothers influenced more than by sisters on the attitudes toward school violence. The mean score of brothers was larger than sister's significantly. The result of qualitative data also supported the quantitative outcome. Second, as the level of father-child interaction changed, the mean scores of attitudes toward school violence varied except for the factor questioning controled behaviors. The factor about inconsistent attitude was the only one showed significant result with the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child.Fourth, moderating effect of father-child interaction and mother-child inter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ibling violence and attitudes toward school violence was tested with regression model. According to the outcome, mother-child interaction was the only variable decreasing the attitudes toward school violence among male adolescents(p< .05). Male adolescents stated that fathers tend not to realize sibling violence or to interrupt sibling's relationship. More scrutinized researches need to be done to find more valid variable explaining the quantitative result.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bove, the research suggested implications in regard to social work. Implication intends to introduce interventions for sibling violence and programs facilitating interaction between male adolescents and parents to alleviate the levels of attitudes permitting school violence.

      • 성폭력 피해경험 남자청소년들의 학교적응 향상을 위한 연구 :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기통제, 친구관계성을 중심으로

        홍기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1

        남성의 성폭력 피해에 대한 논의는 사회적 편견 속에 금기시 되어왔다. 성폭력 피해가 연이어 보고되는 계기로 남자청소년에 대한 성폭력 피해조사가 병행되기 시작했으나 이들에 대한 연구는 실태조사 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남자청소년들의 구별되는 특성을 파악하고, TSL과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하여 학교적응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여 이들을 학교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 차원의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SL이론은 감사(Thank), 사과(Sorry)와 용서, 사랑(Love)의 표현이 개인 간의 유대를 강화하여 의사소통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이론이다 (김재엽, 2014). 자기결정성이론은 인간의 기본심리 욕구인 자기결정성요인, 즉 자율성․유능성․관계성에 대한 욕구의 만족을 통하여 주관적 안녕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이론으로서, 자기결정성요인의 동기를 유발시키는 사회적 환경요인을 탐색한다 (Deci & Ryan, 2002).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환경요인으로 TSL을 표현하는 정도에 따른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주관적 안녕으로 학교적응을 적용하여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자기결정성요인인 자기통제(자율성, 유능성)와 친구관계성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을 위해 연세대학교 가족복지 연구팀의 ‘2015 전국 청소년 실태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먼저 2,036명을 연구 대상으로 성폭력 피해경험 남자청소년들의 특성 및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다음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374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델을 활용하여 성별에 따른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성폭력 피해경험 남자청소년들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자기결정성요인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청소년들에 대한 성폭력 피해경험은 모든 유형에서 여자청소년들에 대한 성폭력 피해경험과 같거나 높은 정도의 빈도와 강도로 발생했다. 둘째,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남자청소년들의 학교적응(t=2.450, p<.05), 부모자녀 의사소통(t=2.670, p<.001), 자기통제(자율성, 유능성)(t=3.880, p<.001)는 성폭력 피해를 경험하지 않은 남자청소년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셋째,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자기결정성요인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모형을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아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남자청소년들도 여자청소년들과 같은 영향정도의 경로로 모형에 따라 학교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성폭력 피해경험 남자청소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는 자기통제(자율성, 유능성)를 매개해서는 6.4%(p<.001), 그리고 친구관계성을 매개해서는 2.4%(p<.001)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통하여 성폭력 피해경험 남자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 방향을 모색하였다. Due to social prejudice, male sexual violence is often treated as a taboo subject. Continuous reports of sexual violence have prompted investigations into adolescent male victims of sexual violence. However, more research is needed. Therefore, this study set out 1) to identify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s of adolescent male victims of sexual violence, 2)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factors that affect school adaptation based on the TSL and self-determination theories, and 3) to suggest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improve the school adaptation of male sexual violence victims. The TSL theory contends that the expression of “Thanks,” “Sorry and forgiveness,” and “Love” can strengthen the bond between individuals, and thereby promote communicati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suggests that the satisfaction of self-determination factors—namely,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can promote subjective well-being. It involves a search for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promote self-determination factors. In this study,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was used as a social environmental factor, while school adaptation was used as a subjective well-being indicator. Data from the 2015 National Youth Survey of South Korea conducted by Yonsei University's Family Welfare Research Team were used in the analysis. First, 2,036 adolescent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es of adolescent male victims of sexual violence. Second, 374 adolescent victims of sexual violence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model that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ffects school adaptation by mediating self-control(autonomy, competence) and adolescent peer relationships(relatedness). Last, the indirect effects of male victims’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school adaptation were verified.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exual violence on adolescent male victims occurred at the same or higher frequency and intensity than that on adolescent female victims for all types of sexual violence. Second, the school adaptation (t=2.450, p<.05),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t=2.670, p<.001), and self-control (autonomy, competence - t=3.880, p<.001) of adolescent male victim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male adolescents who had not experienced sexual violence. Third, the model verification reveal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adolescent male and female victims. Finally, the indirect effects of male victims’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school adaptation were found to be 6.4% (p<.001) through self-control (autonomy, competence) and 2.4%(p<.001) through adolescent peer relationships.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 male victims were suggested based on these outcomes.

      • 변성기 남자 청소년의 가창과 합창지도 효율화 방법 연구

        최범수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71

        Male adolescents in the metamorphic stage show a sensitive reaction to singing lessons and choral lessons. As they undergo physical development due to secondary sexual characteristics, they may be embarrassed by changes in the vocal cords or have difficulties in changing voices and complain of difficulties in managing the vocal cords. Singing and choral instruction should be provided while providing accurate vocalization and breathing methods to such youths, paying attention to individual chang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eachers and students to provide effective and correct singing instruction. 변성기의 남자 청소년들은 가창 학습과 합창 수업에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2차성징에 의한 신체 발달을 겪으면서 성대의 변화에 당황하거나 목소리의 변화에 어려움을 보이며 성대 관리의 어려움을 호소하기도 한다. 그러한 청소년들에게 정확한 발성법과 호흡법을 제시하고 개인마다 다른 변화에 주의하며 가창과 합창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교사와 학생들이 효율적이고 바른 가창 지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어지기를 바란다.

      • 인터넷 게임중독이 학교폭력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응집력의 조절효과 : 폭력적 인터넷 게임을 사용하는 남자청소년을 대상으로 분석

        이선우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일반공격성모델(GAM)이론에 입각하여, 최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인터넷게임의 유해요소 중, 게임내의 폭력성에 초점을 맞추어, 남자청소년(초등학교 고학년 및 중학교 학생)들 중 폭력적 인터넷게임을 사용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게임중독이 학교폭력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와 이 관계에서 가족응집력이 조절변수로서 완충효과를 가지고 있는 지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서울 서대문구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교 2학년 130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 중, 폭력적 인터넷게임을 사용하는 남자 청소년 47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은 PASW SPSS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배치 분산분석, T검정,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계분석을 실시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인 남자 청소년들 중 인터넷 게임 비 중독집단 36.9%, 중독 잠재군 집단 56.5%, 중독집단 6.1%로 나타났다. 이는 절반이상의 남자청소년들이 인터넷게임 중독위험에 놓여 있거나 중독상태에 있어 남자청소년들의 인터넷게임 중독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근 1년 내의 학교폭력가해행동을 조사한 결과 전체학생의 절반가량이 최근 1년 이내에 학교폭력가해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세부 유형별을 살펴보면 위협협박(30.6%), 욕설폭언(38.2%)등 언어적 폭력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신체폭력도 10.3%로 나타나, 남자청소년들의 학교폭력가해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의 가족응집력의 평균은 3.19점으로 나타나 보통이상의 가족응집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터넷게임중독이 학교폭력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인터넷게임중독의 영향력을 나타내는 β값은 3.198(p<.001)로 나타나, 인터넷게임중독이 증가하면 학교폭력가해행동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족응집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먼저 Model 1에서, 가족응집력이 학교폭력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β값은 -.870으로서, 가족응집력이 학교폭력가해행동과 유의한 부적관계(p<.05)로 나타났다. 또한 Model 2에서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항의 영향력은 β=-1.117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p<.05). 즉, 인터넷게임중독이 학교폭력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응집력은 두 변인사이의 관계를 완충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폭력적 인터넷게임 사용문제 및 인터넷게임중독의 문제에 대한 국가정책적인 대안모색, 둘째 남자청소년들에 대한 폭력적 인터넷 게임중독과 학교폭력문제에 대한 다각도의 접근, 셋째 학교폭력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사례관리체제 확충과 이를 학교 내에서 전문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학교사회복지사 제도의 정착, 마지막으로 청소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요소인 가족개입의 사회적 중요성 인식확대 및 가족응집력을 높이기 위한 가족치료프로그램의 확충을 통해 학교폭력을 줄일 수 있는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 남자청소년의 컴퓨터 게임이용과 게임 중독성 및 공격성

        정유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남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이 컴퓨터 게임을 이용하는 실태 및 중독성과 공격성의 정도가 어떠한지 살펴보고, 그 이용 정도에 따라 중독성과 공격성에서 차이가 나는지를 분석하며, 이용정도와 게임 중독이 남자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중류층 거주지역에서 2개 중학교를 임의로 표집하여 중학교 남학생 511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청소년의 컴퓨터 게임 이용실태, 컴퓨터 게임 중독성, 공격성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에 의해 수집된 자료는 컴퓨터 게임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의 분포를 파악하고자 답지별로 빈도분포,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Cronbach의 α계수를 산출하였다. 컴퓨터 게임 이용 변수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여 집단의 컴퓨터 게임 중독성과 공격성의 차이검증을 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하였고, 사후검증으로서 Duncan 검증을 실시하였다. 컴퓨터 게임 이용 변수와 컴퓨터 게임 중독성 그리고 공격성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 r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컴퓨터 게임 이용 변수가 컴퓨터 게임 중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그리고 컴퓨터 게임 이용 변수와 컴퓨터 게임중독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컴퓨터 게임 이용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컴퓨터 게임을 1주일에 1회 이상 하는 학생이 대부분 이었고(91.4%), 과반수 이상이 2년이상의 경험을 갖고 있었고(56.6%) 컴퓨터 게임을 시작하게된 동기는 친구에 의해 시작했다(46.4%)는 학생이 가장 많았고, 한번 컴퓨터 게임을 시작하게 되면 1-2 시간 정도 걸린다(40.7%)는 학생이 가장 많았다. 청소년들은 온라인 게임을 선호(54.6%)하였으며, 주로 방과후 저녁(45.2%)이나 주말(48.5%)에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주일에 6번 이상 컴퓨터 게임을 하는 학생이 전체의 25%라는 사실은 컴퓨터 게임이 남자 청소년 생활의 일부로 자리잡기 시작했다는 것을 시사해 주는 것이다. 둘째, 컴퓨터 게임 중독성과 공격성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 보았다. 컴퓨터 게임 중독성 하위 요인별 평균 점수는 시간·비용의 과다투자(2.53), 통제력 상실 (2.47), 컴퓨터 게임 집착(2.45), 현실 왜곡(2.33)과 부정적 사회·정서성(2.12)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중간점수(3점)보다 전체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공격성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았더니, 총 7문항으로 구성된 공격성의 평균점수는 14.69였으며, 문항 평균은 2.09로 중간점수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즉, 컴퓨터 게임 중독성과 공격성에 있어 우려했던 것보다는 심각하지 않았으나, 조사 지역 이 지방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수도권의 경우에 다른 결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청소년의 컴퓨터 게임 이용 정도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여 컴퓨터 게임 중독과 공격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컴퓨터 게임 이용 빈도, 이용 년수, 이용 시간, 온라인 게임 선호에 따라 컴퓨터 게임 중독성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컴퓨터 게임 이용 시간에 따라 공격성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청소년의 컴퓨터 게임 이용에 있어서 컴퓨터 게임 이용 빈도가 높은 집단, 이용 년수가 긴 집단, 이용 시간이 많은 집단, 온라인 게임을 선호하는 집단이 컴퓨터 게임 중독성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중 컴퓨터 게임 이용 시간이 긴 청소년은 공격성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청소년의 컴퓨터 게임 중독성에 대한 컴퓨터 게임 이용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컴퓨터 게임 이용 시간의 영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온라인 게임 선호의 영향도 유의미했다. 즉 컴퓨터 게임을 장시간 하면 할수록 그리고 온라인 게임을 즐겨할수록 컴퓨터 게임에 중독되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다섯째, 청소년의 공격성에 대한 컴퓨터 게임 이용 변수과 중독성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컴퓨터 게임 이용이 공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컴퓨터 게임 중독성이라는 변수가 청소년의 공격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컴퓨터 게임 중독성 하위 변인 중에서 부정적 사회·정서성, 현실 왜곡, 통제력 상살아 높을 수록 공격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즉, 컴퓨터 게임을 장시간 이용하고, 온라인 게임을 선호하더라도 게임에 중독되지 않은 청소년은 공격성에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추측해 볼 수 있다. This research will show there is any relationship between computer game and male middle school student's aggression based on this thought that youth who are unbalance at mental and physical are directly influenced upon a violent computer game. The subject were conducted on 511 boys of 2 middle schools in Kwang-ju, Korea. The research us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ree parts(computer game activities, computer game addiction and aggression). Based on collected data, frequency distribution and percentage were estimated to analyze general character. Cronbach' s α coefficient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Duncan test, Pearson's -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 First, most boys(91.4%) play computer game more than one by the week. The greater part has over 2 years computer game experience. Seconds, in measuring the computer game addiction score and aggression score, in general, tend to be above the mean scores; Infatuation with computer game(2.45), Wastage of time·money(2.53), Lost of self-control(2.47), Distortion of the actual(2.33) and Negative sentiment·sociality(2.12). Third, boys who play computer game activities of high frequency was addicted the computer game more than who don't. Boys who start play earlier computer game was addicted the computer game more than who don't. Boys who spent playing long times of computer game was addicted the computer game more than who don't. Boys who likes on-line game was addicted the computer game more than who don't. Boys who spent playing long times of computer game was aggressive than who don't. Fourth, the effects computer game activities variables on computer game addiction were found significantly. Significant variables were length of time playing computer game, computer game experience period and on-line game preference. Fifth, the effects computer game activities variables and computer game addiction on aggression were found significantly. But only significant variables were computer game addiction(Negative sentiment·sociality, Lost of self-control and Distortion of the actual). Negative sentiment·sociality was the most influence variable on aggression. The order effective variables in importance was Negative sentiment - sociality, Distortion of the actual and Lost of self-control.

      • 남자청소년의 문제행동과 개인 및 가족관련 변인

        조윤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현재 고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남자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문제행동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개인적 변인과 가족관련변인(가족관계변인, 가족기능성 변인)에 따라 청소년 문제행동은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분석하여, 이러한 변인들이 청소년 문제행동에 대해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청소년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현재 청소년기에 있는 광주지역 고등학교 1,2학년 남학생 47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그 중 총 410명의 질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그리고 조사도구로는 자기보고식으로 답하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AS/PC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측정도구들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의 □계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청소년 문제행동의 일반적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개인적 변인과 가족관련 변인에 따라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GLM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으로 Duncan의 다중비교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청소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문제행동유형별 경험에 대해 살펴보면, 전체 410명 중 409명(99.8%)이 문제행동을 일으킨 경험이 있으며, 문제행동에 대한 각 하위영역에서 문제행동 경험으로 도덕적 문제행동 401명(98.8%), 음성적 문제행동 396명(96.6%), 물질적 문제행동 397(96.8%)이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공격적 문제행동은 298명(72.7%)이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문제행동의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늦은 귀가, 컨닝, 음란물 접촉, 욕설 등도 80% 이상이 경험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흡연 56.6%, 절도 68%, 구타 73.3% 등으로 비교적 높은 비율로 나타나 청소년 문제행동의 심각성을 나타내주고 있으며 가출 15.4%, 자살기도 19%, 자해행위 21.7%, 절취 21.2% 등도 비율은 낮으나 문제행동의 성격상 주목할만한 비율이라 할 것이다. 그리고 각 문제행동 유경험자의 경험 횟수 조사에서는 늦은 귀가, 음란물 접촉, 욕설 등에서 '많다'라고 응답한 빈도가 30% 이상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관련 변인에 따른 청소년 문제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를 살펴보면, 문제행동유형 모두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는 변인으로는 개인적 변인의 경우 충동성과 우울성, 성적, 학교생활만족도 이었으며 가족관계 변인으로는 형제관계, 가족기능성 변인의 경우는 건강·유능성, 표현성 이었다. 개인적 변인인 자아존중감이나 가족관계변인인 부부만족도, 부모자녀관계는 본 연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상대적으로 가족기능성 변인이 중요한 변인으로 부각되었다. 셋째, 청소년 문제행동에 미치는 주요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학교성적, 충동성, 형제관계, 가족의 건강·유능성, 가족의 표현성 등의 영향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변인들이 청소년 문제행동을 24% 설명해 주고 있다. 즉 학교성적이 나쁠수록, 충동성향이 강할수록, 형제관계가 좋지 않을수록, 가족의 건강 유능성 및 표현성이 없을수록 문제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청소년 문제행동과 개인 및 가족관련 변인에 대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청소년 문제행동의 예방 및 감소를 위해서는 현재 청소년 문제의 심각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및 개선책으로 개인의 인성교육, 가족관계의 올바른 개선 및 가족기능성 증진을 위한 개인 및 학교, 사회의 공동의 노력이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 구체적인 노력으로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인성교육 프로그램, 성적위주의 입시체계교육의 개선 및 탈피, 그리고 건강한 가족 만들기 교육 등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고, 또한 청소년 개개인의 노력도 필요하리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rends of young people's problem behavior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the young people's problem behavior,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and family related variables. I will examine the effect of young people's problem behavior. We investigated 470 boy students of high school in kwangju and 410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find final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Cronbach' s □,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GLM, Duncan Test, Pearson's r, Stepwised multiple Reger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 1. There were 409 people among 410 peoples that have experience of the problem behavior, and they have a lot of problems like this. Moral problem behaviors are 401, Sexual problem behaviors are 396, problem behaviors in material are 397, offensive problem behaviors are 298. So most of young people have the experience of problem behavior and they experienced the late coming home, cheating, sexual media, abusive languagr. Smoking is 56.6%, Stealing is 68%, Violance is 73.3%. So It showed that young people's problem is so serious and disappearance from home is 15.4%. Suicide tries is 19%, Self-injury is 21.7%, robbing is 21.2%. There are 30% over who experienced the late coming home, sexual media, travelong with girl friends without admit, abusive language. 2. As I examined the difference of the young people's problem behavior. according to the related variables, that variables that home the difference of significance are an impulse, depress, school record, satisfaction to school record, satisfaction to school life in individual variables and brotherhood's relationship in variables of family relationship, health, ability, affection expression in family functional variables. There are little difference in self-respect of individual related variables and relationship of husband-wif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s in family related variables, but family-functional variables are so significant. The most of variables except self-respect and friendship have the difference of problem behaviors in most area. But problem behavior in material has no difference in depress and satisfaction of school and offensive problem behavior has no difference in satisfaction to school record. Brotherhood-related variables is so important thing but it is not significant in problem behavior of materials and family trobles. So problem behavior of material is the lowest to relationship with family related variables. Family functional variables is distinct difference in moral problem behavior. Impulse have the most relationship to young people's problem behavior and the next is relationship of school record. Family-related variables have the most variables of health, ability and the next is brother-hood relationship, family troubles. Moral problem behavior, offensive problem behavior have high relationship. 3. There are significant of a school record, a impulse, health·ability and family expression at the effect of young people's problem behavior. Its variables is explain 24% effect. In other words, The school record is better bad, an impulse is higher, brother hood isn't better, family health·ability, expression is't lower, young people' s problem behavior is more.

      • 남자 청소년들의 신체 이미지, 완벽주의와 체형변화전략과의 관계

        박민경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resent study purport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perfectionism, and body change strategies among adolescent boys, and then, to set and verify the structural model of the body change strategies. For this research, 433 adolescent boys in the age group of 15 to 17 were selected. All respondents completed five subscales of the Body Image and Body Change Inventory(Ricciardelli & McCabe, 2000).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MPS (Hewitt & Flett, 1991) was used to assess perfectionism. Using SPSS(15.0) program, correlation analysis are employed. And these data a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7.0) program. Research results are given below. Firstly, the structure equation model that body image dissatisfaction has influence on the body change strategies by the medium of perfectionism and body image importance was proved to be appropriate. Body image dissatisfaction significantly related with body image importance and perfectionism, and body image importance and perfectionism significantly related with strategies to change weight. Secondly, this study examined the explanatory model of body image dissatisfaction, perfectionism, and body image importanc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ubtype of the body change strategies, such as strategies to decrease weight, increase weight, and increase muscle tone. First of all, the model for the strategies to decrease weight was suitable only after eliminating some variables. This model included only the path from body image dissatisfaction and body image importance to the strategies to decrease weight which are significant. Secondly, in the strategies to increase weight and increase muscle tone, the model that body image dissatisfaction uses body image importance and perfectionism as the mediate variables to reach the weight gain was suitable. Finally, we set the final model including the body change strategies (to increase weight, increase muscle tone) except for the strategies to decrease weight, the this model showed the best fit index. In conclusion,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adolescent boys who tried to use the strategy to 'decrease weight' showed different pattern with the adolescent boys who tried to use the strategy to 'increase weight' or 'increase muscle tone'. Based on these things, we suggested that the body change strategy appeared in adolescent boys might be more complicated than the strategy appeared in adolescent girls did, so the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cultur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intervention for adolescent boys. 본 연구에서는 남자 청소년들의 신체 이미지, 완벽주의와 체형변화전략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체형변화전략의 구조모형을 확인함으로써 남자 청소년의 체형변화 전략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고등학교 1, 2학년 남학생 433명이었으며, 신체 이미지 척도, 체형 변화 척도,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신체 이미지 척도는 신체 불만족과 신체 이미지 중요성을, 체형 변화 척도는 체중감소전략, 체중증가전략, 근육증가전략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신체 불만족이 체형 변화전략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신체 이미지 중요성과 완벽주의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부분 매개 효과를 가정했었다. 연구결과, 신체 불만족은 체형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 불만족이 완벽주의와 신체 이미지 중요성을 매개로 체형변화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 효과는 검증되었다. 이 과정에서 신체 불만족은 완벽주의, 신체 이미지 중요성으로 가는 경로계수가 부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완벽주의와 신체 이미지 중요성이 체형변화 전략으로 가는 경로계수는 정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신체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완벽주의와 신체 이미지 중요성 수준이 높아지며, 완벽주의와 신체 이미지 중요성 수준이 높아질수록, 체형 변화 전략을 더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둘째, 체형변화 전략을 3가지 전략으로 나누어 각각의 설명 모형을 검증해 보았다. 체중 감소전략 모형에서는, 신체 불만족이 체중감소전략으로 가는 직접 경로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완벽주의와 신체 이미지 중요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증가전략과 근육증가전략에서는 신체 불만족이 완벽주의와 신체 이미지 중요성을 매개로 체형변화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 효과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모형에 적합하게 설명되지 않았던 체형 감소전략을 제외하여 체중증가전략과 근육증가전략을 포함하는 체형변화전략으로 최종 모형을 결정하였다. 최종 모형의 적합도는 최초 설명 모형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들을 통해 체중 감소전략을 사용하는 남자 청소년들은 체중 증가 또는 근육증가전략을 사용하는 남자 청소년들과 다른 패턴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신체 불만족과 신체 이미지 중요성의 증가는 체중 감소전략과 관련이 있는 반면, 낮은 신체 불만족 수준은 체중 증가 또는 근육증가전략과 관련이 있었다. 결과들을 통해 남자 청소년의 체형변화 전략은 여자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전략보다 더욱 복잡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