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윤정의 오르간과 팀파니, 합창을 위한 "Petite Mass"분석

        조윤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95

        본 논문은 조윤정의 오르간과 팀파니, 합창을 위한 “Petite Mass”를 분석한 상문 형식에 따른 악장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통상문 가사의 일부를 생략하여 일반적인 미사보다 길이가 짧다. 본 연구의 목적은 “Petite Mass”에 나타난 여러 가지 음악어법을 세부 분석하여 각 악장이 지니는 개별적 특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곡 전체구조에서 이들이 가지는 연관성을 찾아내는데 있다. 이 곡은 모두 다섯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 1악장 Kyrie는 하나의 선법에 기초를 두고 있지만, 성부구조와 악기편성에 따른 음향변화가 명확히 구분되는 부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 2악장 Gloria도 선법에 기초하여 쓰여진 곡으로, 화음의 색채와 강렬한 리듬, 지속적인 전조와 분위기 전환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악장이다. 제 3악장 Credo는 단 2도와 증 4도 등의 특정한 음정을 소재로 하여 뚜렷한 조성 없이 하나의 선율주제와 오스티나토의 반주패턴으로 전개된다. 제 4악장 Sanctus는 불규칙한 리듬이 특히 강조된 악장으로 빠른 템포와 다이나믹, 변박, 전조를 통한 극적인 효과가 두드러지는 곡이며, 제 5악장 Agnus Dei는 서정적인 선율과 화음의 색채, 조성의 변화에 중점을 둔 곡이다. 위에서 언급한 다섯 악장은 각각 다른 특성을 갖고 있지만, 이들은 제 3악장을 중심으로 하여 제 2악장과 제 4악장, 그리고 제1악장과 제 5악장이 서로 연관된 구조를 띠고 있다. 즉, 제 2악장의 중요한 음정 소재와 주제가 제 4악장에서 나타나는데, 이들은 이외에도 같은 조중심의 사용, 잦은 변박과 전조, 빠른 템포, 그리고 오르간의 full stops 사용과 팀파니가 특히 부각된 점등에서 서로 유사성을 갖고 있다. 또한 제5악장의 주제는 제 1악장의 주제를 변형한 것이며, 이들의 종결화음은 아멘 종지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논문에서는 “Petite Mass”에 나타난 여러 가지 특성을 분석하여 작곡자의 음악 어법을 살펴본다. "Petite Mass" is known as it has a shortened form. In this thesis, the unity of the work, "Petite Mass" for organ, timpani and choir by Yoon-jung Cho is considered in terms of thematic similar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musical contexts, the thematic and structural similarities are found in the individual materials of each movement. "Petite Mass" of Cho's is composed in five movements. The 1st movement, Kyrie, is written in one type of mode, has several parts with unique ornamentation due to the texture and the instrumentation. The 2nd movement, Gloria, also written in modal approach, features the abrupt alteration of the mood through the harmonic ornamentation, thrilling rhythm, and frequent modulations. The 3rd movement, Credo is issued in the interval of the melody without any particular tonality. It is developed with one melodic theme and ostinato. In the 4th movement, Sanctus, the irregularity of rhythm creates a dramatic intensity through fast tempo, dynamic, change of time signatures and modulation. The 5th movement, Agnus Dei features its lyrical melody, colorful harmony, and motion of tonality. In spite of the uniqueness of each movements, the structure of the work can be summarized into symmetrically. The major themes and issued intervals in the 2nd movement also appear in the 4th movement. The similarities can be found in terms of the adoption of tonality, frequent tempo change, and the arrangement of full stops and timpani. In addition, the theme of the 1st movement appears as an altered theme in the 5th movement, and their harmonies of termination contain the cadence of Amen. The main issue of the "Petite Mass" in this thesis is to figure out the color of the music of the composer and fill in the weaknesses to be developed through analyzing musical languages and specialties of the piece.

      • 지역 미술 교육 발전을 위한 미술관의 역할에 관한 연구 : 경기, 강원 지역 미술관을 중심으로

        조윤정 강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Art museums today have the functions of education as a public facility, exhibition and research of modern art rather than simply collecting artistic pieces and research. The current art galleries are tending to adopt educative programs in collaboration with other institutions to get in line with the demands of the public such as job training for teachers and practical study for children. However studies are required to establish an educative program that is long-term and well organized rather than a single occasion and for a limited number of applicant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hat will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local schools and art galleries. Although appreciation of art is becoming to account for a significant proportion of school art curriculum, time is serving as a major restraint i.e. one hour of appreciation of art per weeks in first and second year at middle school, two hours for third year, one hour per week for first year at high school and an option of choosing between art and music in second and third year at high school. Also the fact that using overhead projectors etc., as a means of appreciating art are associated with some limitations to art education supports the proposition made by this study. There are art galleries in Gyeonggi-do and Gangwon-do however the numbers are not significant and continuous studies are required that will reinforce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schools and the art galleries as the programs in operation are short-term. Art galleries now have the need to analyze school art curriculum with assistance from teaching staff in order to arrange for appropriate exhibitions and educative programs. In order to that to occur, securing of education experts is the first priority, in which the training should funded by the government. The education experts should also be motivated to for it to be successful. The experts should first be aware of the necessity for collaboration with art galleries and then design a new curriculum based on the art pieces and data possessed by the art galleries gathered beforehand. For additional effectiveness of art curriculum, the art galleries should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students and the art galleries themselves should offer various training programs for teaching staff. As the U.S., Germany, England and Japan were successful in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schools and art gallerie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plan appropriate for the Republic of Korea The plan comprises, firstly, developing various systemized programs that will form a connection between schools and art gallery. Secondly, education experts who will be in charge of art education will be trained for. Thirdly, the current school curriculum, which is university entrance-directed and focuses on the expression of one’s aesthetics, needs improvement for the bridging of education. Lastly, any areas of implementing the new curriculum require further support that can not be obtained by the existing associates, the government may come into play. In conclusion, as can be seen from above, the bridging process requires making of efforts by the schools and art galleries concerned along with the government when required for art education to improve in quality. Further studies dealing with various ideas in this field shall be warranted for the advancement of the education of art in Korea. 오늘날 미술관의 기능은 지금까지의 소장 작품의 수집과 연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대미술의 연구와 전시, 그리고 사회적인 공공기관으로서의 ‘교육’적 목적을 가지게 되었다. 현재의 미술관 교육은 일반 관람객들 대상의 문화 강좌, 어린이 대상 체험 교육 프로그램, 교사를 위한 직무연수 등 최근 대두되고 있는 미술관 교육의 동향에 발맞추어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기관과 프로그램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일회적으로 기획되고 때에 맞추어 선착순의 모집으로 운영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으며 효과적인 교육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적합한 방안으로 지역의 학교 미술교육과의 연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현행되고 있는 학교 미술교육의 감상 교육의 확대에 따라 미술 교과서의 감상 내용의 편성과 미술관 관람이 수행평가에 반영되는 등의 감상활동의 중요성을 인지한 약간의 변화를 이루었으나 미술교과의 수업시수가 중학교 1, 2 학년의 주당 1시간, 3학년의 주당 2시간의 편성과 고등학교 1학년의 주당 1시간, 고등학교 2, 3학년의 음악, 미술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과목으로의 편성 등으로 시간적인 제약이 따르고 있다. 또한 사진이나 슬라이드 자료를 통한 미술 작품의 감상은 직접 보고 느끼는 것과는 많은 차이를 가지기 때문에 그 한계가 있어, 제대로 된 감상 수업이 어려운 점도 이 대안의 필요성을 뒷받침해 준다. 경기지역과 강원지역에는 교육프로그램을 운영 중인 미술관이 있으나 그 수가 많지 않고 거의 일회적인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미술관과 학교 교육 간의 협력과 지속적인 연구를 필요로 한다. 미술관은 학교와의 연계를 위해 전시의 기획이나 교육 프로그램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학교 교사와의 협력을 통해 미술교과를 분석하고 그 내용을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 전문 인력의 확보가 우선시 되어야 하며 전문 인력의 수급과 양성에는 정부 차원의 지원도 이루어져야한다. 이와 함께 학교에서는 담당 교사의 적극적인 태도가 우선시 되어야한다. 먼저 교사 스스로가 미술관과의 연계 필요성에 대해 인식해야 하며 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작품과 자료에 대한 사전 정보를 가지고 교과의 운영을 계획 하여야 한다. 효과적인 미술 교과의 운영을 위하여 피교육자인 학생들의 정보를 미술관에 제공하여 주고 미술관이 제공하는 교사의 재교육 프로그램이나 직무연수 등의 프로그램을 통한 자기계발 또한 중요한 과정이다.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의 문화 선진국의 미술관과 학교 연계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사례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에 맞는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 방안으로는 첫째, 미술관과 학교 교육 연계를 위한 체계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둘째, 미술관 교육을 전담하는 교육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보편화 하여야 한다. 셋째, 연계 교육의 지원을 위해 입시위주, 표현 중심의 미술전 반의 분위기 등 교육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미술관과 학교 교육의 운영에 있어 자체적인 개선이 어려운 부분에 있어 정부의 구적 지원이 꼭 필요하다. 연구한 바와 같이 미술관과 학교 교육의 발전적인 연계 방안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미술관, 학교, 정부 등 각계의 노력이 필요하며 미술 교육의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일 것이다. 선행된 연구들과 비롯하여 이러한 연구를 통해 여러 방안이 논의됨으로서 우리나라 미술교육의 고른 발전에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 예수의 아포리즘(警句)과 하나님 나라에 관한 연구

        조윤정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예수와 그의 가르침에 대한 신앙은 일반적으로 신약성서를 기초로 하고 있다. 그러나 신약성서에 비춰지는 예수는 1세기의 역사적 예수라기보다는 ‘재구성된 예수’이다. 그것은 예수에 대한 재구성된 틀이 신약성서의 근간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예수와 그의 가르침은 줄곧 신약성서의 재구성된 이해의 범주 안에서 해석되어져 왔다. 이는 2000년 동안 기독교가 신앙하는 재구성된 예수가 역사적 예수와 많은 차이를 이룬다면 기독교의 정체성은 어디에 두어야 할까? 적어도 그동안 등안시했던 역사적 예수의 모습을 되찾아야 하는 것이 아닐까?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재구성된 틀로부터 독립되어 역사적 예수를 연구하기 위한 방도는 예수의 육성이 담긴 초기의 자료에서 근거를 찾는 것이었다. 그러한 자료로는 비유와 함께 아포리즘(Aphorism)이 있다. 비유와 아포리즘은 진정성이 있는 말씀으로서 역사적 예수에게까지 소급될 수 있는 자료이다. 이 중 비유 연구에 비해 그리 활발한 작업이 이루어 지지않은 아포리즘에 주목하였다. 예수의 아포리즘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주안점을 둔 것은 하나님 나라였다. 그것은 비유가 하나님 나라에 관한 말씀이라는 학자들의 합의와 관련되었다. 아포리즘이 비유와 함께 초기 예수 전승으로서 진정성이 있는 말씀이라면 비유에 나타나는 현상이 아포리즘에도 동일하데 나타날 것이기 때문이었다. 이에 예수의 하나님 나라가 무엇인지 아포리즘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아포리즘에 반영된 예수의 신화적 사유와 삶의 자리를 분석하여 역사적 예수의 모습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점들을 살펴봄으로서 재구성된 예수에 의해 상실되었던 역사적 예수의 모습을 되찾는 것이었다. 제 1장에서는 본 논문의 목적 및 범위 그리고 방법 및 정차를 설명하였다. 제 2장에서는 크로산(John Dominic Crossan)의 아포리즘 연구를 그의 책 In Fragments, The Aphorisms of Jesus를 중심으로 소개하였고, 예수의 아포리즘에 대한 문학적 특징을 밝히기 위해 크로산의 연구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제 3장과 제 4장에서는 예수의 아포리즘을 통해 알 수 있는 하나님의 나라를 살펴보았다. 이 작업은 아포리즘에 나타난 ‘가치’와 ‘이데올로기’의 두 측면을 중심으로 이루어 졌다. 제 5장에서는 예수의 신화적 사유와 삶의 자리를 분석하여 역사적 예수에 대한 이해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제 6장에서는 앞에서 살핀 결과들을 제시하여 아포리즘에 나타난 예수의 하나님 나라와 역사적 여수를 기독교의 신앙과 연관시켜 조망하였다. This thesis is pursues the picture of historical Jesus with Jesus' aphorisms. The aphorisms of Jesus are good sources which show the picture of historical Jesus in the first century. The last twenty years' enterprise on the historical Jesus has been marked by intensive studies of the parables and aphorisms of Jesus and the growing consensus that there were a bedrock of the Jesus tradition. Especially the Jesus seminar in the North America has confirmed that parables and aphorisms are representative authentic sayings. This thesis focuses on the materials of Jesus' aphorisms. Their function is an oral forms of speech. In form, they are short, arresting in their succinctness of expressions like exaggeration, hyperbole and paradox. In content, they are subversive teaching which is unequal to the proverb. In short, the literary characteristic of the aphorisms is provocative. Such characteristic relates to aphoristic core. The provocative teaching of the aphorism involves us not only in a treatment of the themes of the aphorisms but also in the picture of the historial Jesus. Thu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wo observations. On the one hand, it is to investigate the kingdom of God through the teaching of the Jesus' aphorisms. The kingdom of God whom Jesus did proclaim shows a radically different structure of thoughts from the Jewish social-world. That can be correlated with the problem of the value and ideology. Jesus' aphorisms would reverse conventional wisdom, The kingdom of God in the Jesus' aphorisms is new vision which is counterculture and contrast-society. This means that in the aphorisms of Jesus Jewish social-world, in which ideology of holiness is dominated, take the opposite point of the kingdom of God. Especially Jesus exchanges holy for mercy(compassion). So Jesus proposed that God be not holy but mercy. Here the mercy means "wombishness" which is the metaphor for the nurturing and protecting love, which is very different the holy related to possessing and controling image. Thus the kingdom of God that Jesus said is the merciful world, which is the mercy of God and imitatio dei for mercy. Moreover, the image of kingdom of God is unconcerned about the apocalyptic eschatology. It means that Jesus' kingdom of God is not the framework of imminent eschatology and a future act of God. Put most simpl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Jesus' aphorisms the kingdom of the God is not only the restored society but also the present act of person. On the other hand, it i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Jesus through the Jesus' theological thought and Sitz im Leben. The materials of speech and the agenda of theology in Jesus' aphorisms are the nature and human experiences. With the typical materials of wisdom literature Jesus spoke the kingdom of God. Jesus' theology is 'theology of experience', 'story-theology,' and 'theology of nature'. His discourse for the kingdom of God is not among the apocalyptic eschatology, but among the wisdom theology. Also Jesus' Sitz im Leben that could have led to the wisdom is a wandering experience. Such characteristic for this discourse shows that the aphorisms of Jesus are sayings in which Jesus appears as a teacher of kingdom, and which he speak with the wisdom from getting by wandering experience.

      • 남자청소년의 문제행동과 개인 및 가족관련 변인

        조윤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재 고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남자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문제행동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개인적 변인과 가족관련변인(가족관계변인, 가족기능성 변인)에 따라 청소년 문제행동은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분석하여, 이러한 변인들이 청소년 문제행동에 대해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청소년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현재 청소년기에 있는 광주지역 고등학교 1,2학년 남학생 47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그 중 총 410명의 질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그리고 조사도구로는 자기보고식으로 답하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AS/PC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측정도구들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의 □계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청소년 문제행동의 일반적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개인적 변인과 가족관련 변인에 따라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GLM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으로 Duncan의 다중비교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청소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문제행동유형별 경험에 대해 살펴보면, 전체 410명 중 409명(99.8%)이 문제행동을 일으킨 경험이 있으며, 문제행동에 대한 각 하위영역에서 문제행동 경험으로 도덕적 문제행동 401명(98.8%), 음성적 문제행동 396명(96.6%), 물질적 문제행동 397(96.8%)이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공격적 문제행동은 298명(72.7%)이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문제행동의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늦은 귀가, 컨닝, 음란물 접촉, 욕설 등도 80% 이상이 경험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흡연 56.6%, 절도 68%, 구타 73.3% 등으로 비교적 높은 비율로 나타나 청소년 문제행동의 심각성을 나타내주고 있으며 가출 15.4%, 자살기도 19%, 자해행위 21.7%, 절취 21.2% 등도 비율은 낮으나 문제행동의 성격상 주목할만한 비율이라 할 것이다. 그리고 각 문제행동 유경험자의 경험 횟수 조사에서는 늦은 귀가, 음란물 접촉, 욕설 등에서 '많다'라고 응답한 빈도가 30% 이상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관련 변인에 따른 청소년 문제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를 살펴보면, 문제행동유형 모두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는 변인으로는 개인적 변인의 경우 충동성과 우울성, 성적, 학교생활만족도 이었으며 가족관계 변인으로는 형제관계, 가족기능성 변인의 경우는 건강·유능성, 표현성 이었다. 개인적 변인인 자아존중감이나 가족관계변인인 부부만족도, 부모자녀관계는 본 연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상대적으로 가족기능성 변인이 중요한 변인으로 부각되었다. 셋째, 청소년 문제행동에 미치는 주요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학교성적, 충동성, 형제관계, 가족의 건강·유능성, 가족의 표현성 등의 영향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변인들이 청소년 문제행동을 24% 설명해 주고 있다. 즉 학교성적이 나쁠수록, 충동성향이 강할수록, 형제관계가 좋지 않을수록, 가족의 건강 유능성 및 표현성이 없을수록 문제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청소년 문제행동과 개인 및 가족관련 변인에 대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청소년 문제행동의 예방 및 감소를 위해서는 현재 청소년 문제의 심각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및 개선책으로 개인의 인성교육, 가족관계의 올바른 개선 및 가족기능성 증진을 위한 개인 및 학교, 사회의 공동의 노력이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 구체적인 노력으로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인성교육 프로그램, 성적위주의 입시체계교육의 개선 및 탈피, 그리고 건강한 가족 만들기 교육 등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고, 또한 청소년 개개인의 노력도 필요하리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rends of young people's problem behavior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the young people's problem behavior,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and family related variables. I will examine the effect of young people's problem behavior. We investigated 470 boy students of high school in kwangju and 410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find final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Cronbach' s □,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GLM, Duncan Test, Pearson's r, Stepwised multiple Reger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 1. There were 409 people among 410 peoples that have experience of the problem behavior, and they have a lot of problems like this. Moral problem behaviors are 401, Sexual problem behaviors are 396, problem behaviors in material are 397, offensive problem behaviors are 298. So most of young people have the experience of problem behavior and they experienced the late coming home, cheating, sexual media, abusive languagr. Smoking is 56.6%, Stealing is 68%, Violance is 73.3%. So It showed that young people's problem is so serious and disappearance from home is 15.4%. Suicide tries is 19%, Self-injury is 21.7%, robbing is 21.2%. There are 30% over who experienced the late coming home, sexual media, travelong with girl friends without admit, abusive language. 2. As I examined the difference of the young people's problem behavior. according to the related variables, that variables that home the difference of significance are an impulse, depress, school record, satisfaction to school record, satisfaction to school life in individual variables and brotherhood's relationship in variables of family relationship, health, ability, affection expression in family functional variables. There are little difference in self-respect of individual related variables and relationship of husband-wif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s in family related variables, but family-functional variables are so significant. The most of variables except self-respect and friendship have the difference of problem behaviors in most area. But problem behavior in material has no difference in depress and satisfaction of school and offensive problem behavior has no difference in satisfaction to school record. Brotherhood-related variables is so important thing but it is not significant in problem behavior of materials and family trobles. So problem behavior of material is the lowest to relationship with family related variables. Family functional variables is distinct difference in moral problem behavior. Impulse have the most relationship to young people's problem behavior and the next is relationship of school record. Family-related variables have the most variables of health, ability and the next is brother-hood relationship, family troubles. Moral problem behavior, offensive problem behavior have high relationship. 3. There are significant of a school record, a impulse, health·ability and family expression at the effect of young people's problem behavior. Its variables is explain 24% effect. In other words, The school record is better bad, an impulse is higher, brother hood isn't better, family health·ability, expression is't lower, young people' s problem behavior is more.

      • 3·4학년 사회교과서 및 지역화 교과서의 다문화 내용 특성 분석

        조윤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해 교과서 분석에 적합한 분석 준거를 고안하여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사회교과서 및 지역화 교과서의 서술 방향을 탐색해 보았다. Banks는 다문화교육이 다문화 사회의 차별과 불평등의 문제를 다루며 학생들에게 사회 문제 해결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고 말한다. 본 연구의 분석 준거는 그의 이론을 바탕으로 고안되었다. 하지만 지역화 교과서는 일반적인 다문화교육 특성을 충족하는 것만으로 지역화 교과서의 역할을 충분히 했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지역화 교과서의 특성을 충족시키면서 동시에 다문화교육 교재로써 적합성을 가질 수 있는 분석 준거를 추가적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사회교과서는 다문화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소수집단을 삽화 및 읽기 자료에 등장시켰다. 특히 교과서에는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등장하며 다양한 읽기 자료를 통하여 그들의 삶이 존중받아야 함을 이야기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교과서에 서술될 수 있는 소수 문화의 범위에는 제한이 있었으며 교과지식에서 제외된 소수집단이 인식하는 세계는 가려지고 있었다. 가족 문제, 세계화와 같이 개인·국가·제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문화 사회의 문제와 개념들을 다룸에 있어서 종합적인 관점의 사고를 할 수 있는 교과서 서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가족문제의 경우는 가족 구성원의 측면으로만 서술되어 사회적·제도적 측면의 영향력이 교과서에 서술되지 않았다. 또한 개인의 사회적·경제적 상황에 따라서 세계화를 해석하는 시각이 다양할 수 있음에도 교과서는 세계화의 긍정적 측면만 부각함으로써 세계화에 관한 다양한 관점의 해석을 이끌어 내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인 14권의 지역화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지역화 교과서에 따라 다문화 내용의 양과 서술방식에서 지역별 차이가 존재했다. 또한 사회교과서와 비교해 보았을 때 다문화 내용을 해석함에 있어서 사회교과서와 동일한 관점을 보여주는 지역화 교과서와 사회교과서와 다른 관점 및 해석을 보여주는 지역화 교과서들이 존재했다. 「우리 경상남도」는 사회교과서는 다루지 않았던 차별의 사례를 다루어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소수집단에 대한 사고 기회를 제시하였다.「함께 사는 전라북도」는 사회교과서에서 삽화로서만 등장하는 장애인을 바탕으로 단원을 재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장애인에 관한 바람직한 관점을 형성할 수 있는 사고 기회를 제시하였으며 차별의 실태와 원인을 개인·사회적 측면에 찾아보는 교육적 경험을 제공하였다. 또한 지역의 문제를 다른 세계의 유사한 사례와 함께 서술함으로써 인류 보편의 가치를 바탕으로 지역 문제의 해결책을 생각할 수 있는 학습의 경험을 제시했다. 다문화 사회의 특징을 서술할 때 지역의 다문화 사회로의 특징을 바탕으로 교과서를 서술한 지역화 교과서들도 있었다.「서울의 생활」은 서울의 외국인 군집 지역을 다루었으며「울산의 생활」은 사회교과서에 등장하지 않는 외국인 노동자를 다루었다. 하지만 사회교과서와 동일한 내용을 서술하고 사례만 지역의 경우로 가져온 지역화 교과서들이 존재했으며, 이러한 경우는 지역의 다문화 사회로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드러내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교과서와 지역화 교과서의 다문화 내용이 합리적으로 서술되기 위해서는 먼저 다문화 사회의 문제가 탐구활동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탐구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다문화 사회의 문제에 관해 사고하고 실천적인 해결방법을 고민할 수 있는 교육적 경험을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삶의 조건을 가진 사람들이 공존하는 다문화 사회에서 사회 현상을 서술함에 있어서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교과서 서술이 필요하다. 지역화 교과서는 교과서마다 다문화 내용의 서술방식 및 양이 큰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앞으로 더욱 많은 지역화 교과서에서 적극적으로 지역의 다문화 사회의 모습이 다루어져야 한다. 또한 지역화 교과서가 양질의 다문화 내용을 서술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실정에 맞추어 사회교과서의 다문화 내용을 비판적으로 해석한 후, 지역의 상황에 맞는 교과서 서술을 해야 할 것이다.

      • 멀티모달을 이용한 한국어 영상 감정인식

        조윤정 국민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2020년 코로나 대유행 이후 사회는 과도기적인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대외적인 활동이 제재되면서 익숙하고 당연하게 생각해왔던 지극히 일상적인 것들과 낯설고 생소하기만 했던 비일상적이었던 것들이 서로 뒤바뀌면서 인간의 생활 패턴이 점차 바뀌어졌다. 바뀐 패턴은 급진적인 기술의 발전을 불러일으키며 불편함을 줄여줄 편의성으로써 상용화가 되기 시작했고, 그 중 인공지능의 많은 분야와 기술들이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인공지능이라는 단어가 익숙해진 지금, 코로나로 인해 드러난 비대면 서비스들의 한계점과 앞으로 인공지능이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요구되는 사람과의 소통에서 필요한 감정을 여러 신호를 통해 분석하고 학습하는 멀티모달 기술을 이용해 감정인식하는 연구를 본 논문에서 수행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모달 한국어 영상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각각 음성과 텍스트, 얼굴 이미지를 분리하고, 음성은 Mel Spectrogram과 MFCC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특징을 추출하고, 텍스트는 BERT 기반의 한국어가 사전 학습된 KoBERT 모델을 사용하여 특징을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얼굴 이미지는 Amazon Rekognition API를 호출하여 반환된 감정 결과값을 이용한다. 이 세 개의 신호로부터 추출된 값들을 다시 융합하여 최종 감정 추론에 도달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실험 결과, 각 신호 별로 추출된 값에 다른 가중치를 부여함으로 92%의 감정인식률을 확인할 수 있었다. After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society faced a transitional change. As external activities have been limited, the human life pattern has gradually changed day by day from familiar and natural to unfamiliar and unusual ones. Accordingly, new technologies like artificial intelligence are getting attraction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the new human life pattern. Now that the word artificial intelligence is familiar, this paper intends to conduct a study on emotion recognition using multimodal technology that analyzes and learns the limitations of non-face-to-face services revealed by COVID-19 and the emotions required for communication with people to move in a better direction. In this paper, voice, text, and face images are separated using multimodal Korean image datasets, voice is extracted using Mel Spectrogram and MFCC algorithms, and text is extracted using a pre-learned Korean KoBERT model. Finally, the face image uses the returned emotion result value by calling the Amazon Rekognition API. We conduct a study that re-fuses the values extracted from these three signals to reach the final emotion inference.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achieves 92% of emotional recognition rate with different weight values to the multi-modal signals.

      • 지휘·통제 시설을 위한 美 ICAN, I3A 설계기준 한국군 적용방안

        조윤정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군의 경우 국방시설기준이 정립되어 있으나 대부분 시설위주의 설계기준에 중점을 두고 작성되어 있으며 특히 정보통신분야의 경우 세부적인 기준은 제시하지 않고 대략적인 개념설계 수준의 기준만 제시되어 있는 실태이다. 미 국방부의 경우 1990년부터 각 군이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시설기준에 대한 통합을 추진하면서 통합시설기준서(UFC : Unified Facilities Criteria) 등을 완성하여 모든 사업에 공통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도록 시설 공사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정보통신분야에서도 시설분야와 연계하여 건물내부체계는 기지통신기반 구조 설계기준(I3A : Installation, Information, Infrastructure Architecture)과 시스템에 대해서는 기지 및 캠퍼스 지역 네트워크 설계기준(ICAN : Installation and Campus Area Network)을 적용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I3A, ICAN의 기준을 위해 통합역량 UC(Unified Capability)를 정립하여 상하제대가 동일한 잣대를 통하여 전투원의 향상된 임무효율성에 중점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UC 목표와 방법을 제시하여 민간업체들로 하여금 군이 요구하는 특정한 기능을 제시하고 민간업체에서는 이를 충족하는 제품을 JITC을 통해서 시험을 통과한 후에 군에 납품되는 형태를 준수하고 있다. 이를 위해 UC와 관련된 Framework를 2~3년 단위로 최신화하여 공개하고 있다. 또한 주목되는 것은 건물내부체계는 기지통신기반 구조 설계기준(I3A : Installation, Information, Infrastructure Architecture)과 연계하여 ISCE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건축비용과 연계한 C4I비용을 다양한 과거 경험적 수치를 고려하여 자동으로 산출하여 계획예산 염출 등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방부의 정보화발전기본계획과 UCR에 관련된 문서를 비교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 특히 ISCE 프로그램을 통해서 계획예산 판단 시 필요한 도구를 반드시 선행적으로 개발필요성을 제시하고 미국 국방부에서 적용하고 있는 ICAN과 I3A 설계기준을 비교하여 한국군의 지휘∙통제 시설 및 일반/행정시설에 대한 바람직한 한국군의 설계기준선을 제시하고자 한다. 논문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 내용, 목적 및 범위를 기술한다. 제 2장 관련연구에서는 미 국방정보체계국인 DISA에서 활용하는 미 국방부의 기지 통신 기반 구조 설계지침서인 I3A와 미 국방부 기지 및 캠퍼스 지역 네트워크 설계지침서인 ICAN, 기타 미 국방 C4I분야의 관련규정에 관해 고찰 및 분석을 한다. 제 3장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국방 C4I분야의 설계기준 비교 및 한국군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제 4장에서는 결론을 맺는다.

      • 공무원단체의 쟁의행위에 관한 연구 :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윤정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거 우리나라의 공무원은 그 동안 노동자로서 지위를 갖고 있으면서도 국민 전체의 봉사자라는 명제와 특별권력 관계의 이론적 근거하에 공무원노동기본권은 물론 공무원 단체의 구성 자체를 원칙적으로 금지해왔다. 2006년 1월, 공무원의노동조합설립및운영등에관한법률이 시행되었다. 그러나 노동3권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에서 공무원단체의 활동은 극히 제한적이고 법테두리 안에서의 활동을 거부하고 있는 실정이다. 1999년 직장협의회를 거쳐 2002년 3월부터 법외노조 설립을 강행한 공무원 노동자들은 노동기본권 보장을 위해 단체행동까지 불사하고 있다. IMF경제위기 이후 구조조정이라는 자본주의 체제 자체가 가져온 변화에 맞서면서 전국공무원노조는 집단행동에 나서게 되는데 일단 시작된 집단행동은 권위적인 행정 조직문화에 대한 억눌린 불만들을 분출하고 쏟아지게 만드는 거대한 흐름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시기에 새로운 노동운동의 등장은 사회변동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현상으로 공무원노동조합의 집단행동의 발생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무원단체의 쟁의행위에 관한 연구로 공무원노조법의 탄생과 형성과정, 공무원단체의 집단행동이 나오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고, 공무원들의 구체적인 경험과 행동양식을 포착하는데 자원동원이론을 이용하여 전국공무원노조의 2004총파업을 과정적으로 분석해보려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또한 전국공무원노조의 2004총파업의 사례를 통해 공무원의 노사관계 안정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