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생의 체형인식, 자아존중감, 식생활에 관한 남녀 비교 연구

        김정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5

        본 연구는 최근의 외모지상주의 경향과 관련하여 문제시 되고 있는 체형인식의 실태를 파악하고, 자아존중감과 식생활을 조사하여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함으로써 청소년기 남녀 중학생들의 체형인식과 자아존중감, 식생활은 성별에 따라 서로 어떤 연관성과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 비교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 대상은 경기도 부천 지역에 소재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1, 2, 3학년 남녀 학생 1,030명으로, 2008년 7월 14일부터 7월 2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 56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Social Science) V.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체격을 기준으로 RBW를 계산해 본 결과 3/4이 정상체중에 속하였고 과체중 9%, 비만 7%로 나타났다. 평균 RBW는 현재와 희망, 남여 모두 정상에 속하였으며, 여학생의 희망 RBW가 좀 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자신을 좀 더 비만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남학생에 비해 좀 더 마른 체형을 이상체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 차이 역시 여학생이 현저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저체중 집단에서는 오히려 남학생의 격차가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자각체형을 현재의 비만도와 비교했을 때 상당부분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나타나 자신의 체형을 왜곡하여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대체적으로 여학생의 체형불만족 경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만도 집단별로 자아존중감 점수에 차이가 나타나 저체중 집단이 가장 높았고, 비만 집단이 가장 낮았다. 특히 남학생의 경우 저체중, 정상, 과체중, 비만의 순서로 자아존중감 점수가 낮았다. 성별 차이는 저체중 집단에서만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아존중감 점수가 높았다. 넷째, 비만인 여학생의 식생활태도 점수가 가장 낮아 가장 좋지 않은 식생활태도 경향을 보였으나, 식생활태도 기준에 미흡한 학생들의 대부분은 저체중 혹은 정상체중인 것으로 나타나 좋지 못한 식생활태도는 비만도와 관계없이 발생하는 현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식이장애 역시 비만도에 따라 남녀 학생 간 차이가 있었으나, 정상체중 집단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차이를 보여 식생활에 문제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식이장애로 진단된 학생은 전체의 3.5%로 낮은 수치이나, 여학생의 82.6%, 남학생의 69.3%가 저체중 혹은 정상체중인 것으로 나타나 식생활태도와 마찬가지로 비만도 분포에 관계없이 식이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남학생의 체형인식 요인은 자아존중감 요인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자아존중감 요인은 식생활 요인 중 식생활태도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체형인식 요인은 자아존중감, 식생활 요인 모두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자아존중감 요인은 남학생과 마찬가지로 식생활 요인 중 식생활태도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유의수준에는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남녀 학생 모두 체형인식 및 식생활 요인은 자아존중감과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체형인식 요인 중 체형만족과 식생활 요인 중 식생활태도가 자아존중감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남학생은 식생활태도에서 좀 더 높은 유의수준이, 여학생은 체형만족과 식생활태도 모두에서 매우 높은 유의수준이 나타났으나 체형만족의 수치가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남학생은 식생활태도, 여학생은 체형만족이 자아존중감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론은 체형인식과 식생활은 자아존중감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남녀 학생은 모두 체형인식이 부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지며 식생활태도 역시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식이장애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좋지 못한 식생활태도나 식이장애 의 경우 비만여부에 관련 없이 전체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인 만큼 더욱 주의가 요망된다. 여학생의 경우 비만도에 상관없이 자각체형과 이상 체형 간에 차이가 컸으나, 남학생의 경우에는 저체중 집단 학생의 경우에서 여학생보다 더 큰 격차가 나타나 저체중 학생에 대한 체형인식 교육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체형에 민감하다는 보편적 통념과는 달리 남학생 역시 정도는 다르지만 사회 전반적인 마른 체형에 대한 선호에서 자유롭지 못한 경향을 찾아볼 수 있었다. 이전까지의 체형인식과 관련한 교육 프로그램들이 여학생, 특히 여고생이나 여대생에게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면 대상을 확대하여 여학생만을 위한 것이 아닌 남자 중학생이나 남자 고등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들을 위해 올바른 신체상 정립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자아존중감이 형성되는 시기인 중학생 시기의 학생들에게 자기 체형에 대한 가치관과 기준을 올바르게 정립하고 바람직한 체형 형성을 위한 방법들을 제시, 지도함으로써 자아존중감을 높여줄 수 있는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adolescents' perceptions of body image that had recently surfaced as a social issue in relation to their self-esteem and dietary lives. The subjects include 1,030 seventh-, eighth-, and ninth-grade boys and girls attending a middle school in Bucheon, Gyeonggi Province. A survey was taken from July 14 to 21, 2008. Data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of 56 items were analyzed with the SPSS. V. 12.0 program. The research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3/4 of the subjects' belonged to normal weight, and 9% were overweight, and 7% were obese based on their RBW. Ddesired RBW of the girls' was lower than boys'. Second, About half(57%) of the subject perceived their body image correctly, and 28% perceived body image as heavier than their actual body figure. The girls perceived body image as heavier a little bit more than the boys and regarded a slenderer body shape as an ideal one than the boys. The differences were more apparent among the girls, but the gap turned out to be wider among the underweight boys. And there was a considerable mismatch between their perceived body shapes and current obesity, which indicates that their perceptions of their own body shapes were distorted and that the girls tended to be more dissatisfied with their body shapes.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self-esteem scores among the obesity groups with the underweight group scoring the highest points and the obese group the lowest points. The underweight boys scored the highest points, being followed by the normal-weight boys, overweight boys, and obese boys in the order. Gender differences were only found in the underweight group with the boys scoring more self-esteem points than the girls. Fourth, the obese girls scored the lowest points in terms of dietary life and thus tended to have the worst dietary attitude. A lot of the students that didn't meet the dietary attitude of good criteria were also underweight or normal-weight, which means that regardless of obesity bad attitude can happen. The 3.5% of the subjects were diagnosed as eating disorders, and eating disorders can take place regardless of obesity just like bad dietary attitude. Fifth, the boys' body perception factors were correlated with their self-esteem factors, which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ttitude toward dietary life among the dietary life factors. The girls' body perception factors were in correlations with their self-esteem and dietary life factors. Just like the boys, their self-esteem facto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ttitude toward dietary life among the dietary life factors. And sixth, the body perception and dietary life factors were correlated with self-esteem in both boys and girls. Body satisfaction among the body perception factors and dietary attitude had the biggest impacts on their self-esteem. Correlations were also observed in the boys' attitude toward dietary life and the girls' body satisfaction and dietary attitude, which suggests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body satisfaction was a little bit higher and that dietary attitude had greater influences on the boys' self-esteem and body satisfaction on the girls' self-esteem. The results led to a conclusion that body perception and dietary life were correlated to self-esteem. The more negative body perceptions both the boys and girls had, the less self-esteem they had and the worse dietary life they showed. The girls were more likely to develop an eating disorder than the boys. In particular, bad dietary attitude and eating disorder turned out to happen regardless of obesity, which calls for more attention. There were big gaps between the girls' perceived body shapes and ideal body shapes regardless of obesity. The underweight boys showed even bigger gaps than the girls, which suggests that there should be changes to the body perception education targeting underweight students. Contrary to the general thought that girls are more sensitive to body shape than boys, there were tendencies to imply that boys were not free from the widespread preference for a slender body shape in society. The educational programs about body perceptions so far focused on girls, especially high school girls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future, they need to include middle and high school boys in developing such program so that all students regardless of gender can get some help to establish the right body image.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in helping middle school students, whose self-esteem is being formed, develop the right values and standards for their body shapes and enhance their self-esteem by suggesting and instructing ways to make desirable body shapes.

      • Examining differential effects of high impact practices on career aspiration of students in STEM majors by gender

        진선미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7 국내석사

        RANK : 248618

        4차 산업혁명시대 도래와 더불어 과학기술인력의 육성 및 지원이 주요한 국가적 화두가 되는 시점에 여성의 이공계 진로기피 및 이탈현상 심화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사안이 되었다. 이공계 전공 여학생들이 전공이탈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여성의 학습적 특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이공계 전공의 학문적 특징과 그로 인한 여학생의 부정적인 전공교육경험을 들 수 있다. 특히, 여학생의 부정적 전공교육경험은 여학생의 이공계진로분야 진출선택과 진로성취대한 열망을 저하시킴으로써 이공계전공 여학생의 이공계 이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공계 여학생의 전공교육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학생들의 교육경험 및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High Impact Practices (HIPs) 도입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Chickering & Gamson, 1987; Kuh, G. D., & Vesper, N., 1997). 특히, 여학생의 학습적 특징에 주목하며 HIPs가 남녀학생의 교육경험에 각기 다른 효과가 있을 것이라 보았다. 예컨데, 여성은 상호작용, 학습자료에 대한 맥락적 이해, 교수의 지지와 인정을 통해 지적발달을 이루는 특징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elenky et al., 1986). 이러한 여성의 학습적 특징에 대한 이해를 반영한 HIPs는 이공계전공 여학생의 교육경험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고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사회인지진로이론을 토대로 여성의 학습적 특징을 반영한 HIPs를 적용함으로써 남학생뿐만 아니라 여학생의 진로포부를 증진시키는 데에 효과적일 수 있을 것이라 보았다. 연구의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글로벌고등교육센터에서 2012년 4월부터 6월까지 수집한 ‘대학성과와 대학생활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에 포함된 표본은 38개 대학의 이공계전공 2,101명의 3,4학년이다. 또한 여성의 학습적 특징을 반영한 HIPs가 남녀 학생의 진로포부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남녀 분석을 따로 실시하였으며, 학생들이 속한 대학의 특징이 학생개인의 진로포부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알아보기 위하여 다층모형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학생간 상호작용통한 학습의 하위요소인 수업외 동료학우들과의 상호작용은 남녀학생 진로포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여학생에게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론수업은 여학생의 진로포부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내용의 연계성은 남녀학생 진로포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여학생에게 더욱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교수 지지의 하위요소인 교수멘토링은 남녀모두의 진로포부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지만 남학생에게 더욱 크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친화적교육의 중간성과인 학업적 자아효능감은 남녀학생의 진로포부와 긍정적 관계를 보였다. 또한 대학간의 다른 특성으로 인하여 학생의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남학생보다 여학생에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여학생의 진로포부에 정적 영향을 미친 대학특성 요인으로 비수도권 위치, 사립대학, 교육중심대학, 대학원생 비율이 있다. 대학원생 비율은 남학생의 진로포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진학첫세대 여학생일수록 진로포부가 낮아졌으며, 4학년 남학생이 3학년 남학생보다 진로포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남녀학생의 긍정적 학습경험을 고려하고 여학생의 학습적 특징을 반영한 이공계 전공교육을 통해 여학생의 진로포부를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이공계 전공 교수의 역할, 대학의 역할, 그리고 여성 과학기술인 육성을 위한 정책 개선에 대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has become an urgent matter that many women leave the STEM pipeline after undergraduate education in Korea. One of the major causes of this phenomenon is female students’ negative experiences with the education in STEM majors at college, which consequently decrease their career aspiration in the fields of STEM. Thus, this study intended to bring renewed attention to High Impact Practices (HIPs) which are known to be effective to improve colleg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and student outcomes (Chickering & Gamson, 1987; Kuh & Vesper, 1997). More importantly, this study shed light on gender differential effects of HIP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women’s learning, including learning by interaction with others, making contextual relationships with learning materials, and receiving teachers’ support and acknowledgement of their talents (Belenky et al., 1986). This study also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HIPs on the career aspirations of students in STEM majors, using the theoretical lens of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 HIPs, which are expected to have gender differential effects on the career aspirations of students in STEM majors, consist of three domains: learning by peer interactions (out of class interaction, discussion, and team projects), content relevance, and faculty support (faculty recognition and faculty mentorship). To test effects of these HIPs, this study used a sample of 2,101 third and fourth year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STEM at 38 universities. The sample was collected from the National Survey on College Student Experiences and Learning Outcomes conducted by the Center for Global Higher Education in Korea from April to June, 2012.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was used for the analysis. Summarizing the results, first, in terms of learning by peer interaction, out of class interactions positively influenced the career aspirations of both genders but had a stronger influence on female students. Discussion was only effective for female students, and team projects did not show significant influence. Second, content relevance was effective for both genders yet more influential to women. Third, in the domain of faculty support, only faculty mentorship was positively linked to career aspirations of both genders, but it had greater influence on male students. In addition, academic self-efficacy, an intermediate outcome of the study,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s’ career aspirations for both gender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were found to differentially influence students’ career aspiration by gender. Institutional factors tha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women’s career aspirations were location (non-metropolitan), type (private), mission (teaching-oriented), and graduate-undergraduate ratio. Other personal and college experience variables that are notable to mention ar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female students’ first generation status and career aspiration; and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male students’ year in college and career aspir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IPs can have gender differential effects on developing career aspirations of students in STEM majors. Thus, when implementing HIPs, a gender-conscious perspective is necessary, particularly in STEM major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also provides implications about the roles of faculty members in STEM majors an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policies on fostering women in STEM.

      •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독거여부의 조절효과: 남녀노인 비교를 중심으로

        이현주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237

        본 연구는 남녀노인의 집단을 구분하여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독거여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선행연구에서 사회적 지지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인 측면보다 주관적으로 인지한 기능적인 측면이 삶의 만족도에 더 큰 설명력을 가진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노인의 가장 크고 중요한 사회적 지지체계가 가족임을 감안할 때 노인의 독거상태가 사회적 지지와 상호작용을 통해 어떻게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나아가 노인은 성별에 따라 축적되어 온 경험 및 가치관의 상이함으로 심리 사회적 특성 및 삶의 질 등 다른 특성을 나타내고 있어 남녀노인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5차 본조사 및 부가조사 자료를 활용하였고, 분석대상은 65세이상 노인 4,039명이다. 분석방법은 SPSS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 통해 삶의 만족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주효과 및 사회적 지지와 독거여부의 상호작용항을 단계적으로 투입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는 남성노인이 여성노인보다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남녀노인 모두 독거여부에 따라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연령은 성별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으나 학력, 주관적 건강상태, IADL, 주관적 경제상태 만족도는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남성노인과 여성노인 모두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지는 변수는 주관적 경제상태 만족도로 나타났다. 셋째, 남성노인과 여성노인 모두 사회적 지지 중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정보적 지지는 삶의 만족도와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독거여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남성노인의 독거상태는 삶의 만족에 유의하지 않았고, 여성노인의 독거상태는 삶의 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독거여부가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지 살펴본 결과 남성노인은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에 대해 독거여부가 조절효과를 가지며, 평가적 지지에 대해서는 독거여부의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성노인의 모든 영역에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남녀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독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특히 사회적 지지의 기능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성별 및 독거여부에 따라 삶의 만족도는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어 각 집단의 특성별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성노인의 경우 독거여부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에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남성노인의 경우 독거상태가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에 조절효과를 보이고 있어 독거남성노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역별 지원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living alone. In the previous studies, social support was identified 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it was reported that the more subjectively perceived functional aspect had a greater explanatory power on life satisfaction than the structural aspect of social support had.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oldest and most important social support system is the fami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the elderly living alone affects life satisfaction through social support and interaction. Furthermore, the elderl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such a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life, because of differences in experiences and values ​​that have been accumulated according to gender. This study utilized the 5th main survey and additional survey data of the National Elderly Security Panel Survey.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4,039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For the analysis, SPSS was us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by using the one-way distribution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lderly m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than in elderly women one. Both elderly men and women showed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whether they lived alone. Second, in the relationship of demographic factors to life satisfaction, age had different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but satisfaction of educational attainment, subjective health status, IADL,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were positive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It shows a positive effect. The most explanatory variable for both men and women was subjective satisfaction with economic status. Third, in both elderly men and women, emo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evaluation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ut information support was not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ving alone and life satisfaction, elderly men living alone was not significant in life satisfaction, and elderly women living alone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 influence of living alone regulates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the elderly men have a moderating effect on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But control of living alone on evaluation support was found to be ineffective.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in all areas of elderly women.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living alone on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f elderly men and women on life satisfaction, and especially focused on the functional aspects of social support. The results showed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gender and living alone, confirming the necessity of approaching each group's characteristics. For elderly women, living alone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case of elderly men, the status of living has a moderating effect o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to support social support for elderly men living alone.

      •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남.여 비교 : 진주시지역의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양남석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업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237

        국문초록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남·여 비교 - 진주시지역의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 본 연구는 진주시 지역에서 활동하는 여성과 남성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참여동기와 자원봉사활동 업무관련요인 그리고 보상요인이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비교함으로써 자원봉사자들을 효과적으로 관리ㆍ조정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진주시 지역에서 사회봉사단체, 사회복지시설 및 기관, 의료기관 등에서 활동하는 자원봉사자 중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무성의하게 답한 9부를 제외한 241부(여성141명, 남성100명)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 21.0 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과 남성 전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업무인식도, 이타적 동기, 일 적절성, 비공식적 보상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여성의 전체 만족도에 업무인식도, 비공식보상, 이타적동기 순으로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러나 남성의 전체 만족도에 어떠한 요인도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하위만족도 차원에서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참여동기를 이타적동기와 이기적동기로 구분하여 이타적동기의 여성은 경험욕구, 사회적 책임욕구, 사회적 인정욕구 차원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 만족도 차원 중에서 이타적동기 중 경험욕구가 가장 높은 베타 값을 나타났다. 그리고 하위 만족도 차원에 미치는 영향은 이기적동기가 유일하게 여성의 경험욕구 차원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하위만족도의 업무인식도에서는 여성은 사회적 접촉 욕구 차원과 성취욕구 차원, 사회적 책임욕구 차원, 타인의 기대부응 차원, 사회적 교환 욕구 차원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접촉 차원에서 가장 높은 베타 값을 보였다. 그러나 남성의 업무인식도를 유일하게 사회적 교환 욕구 차원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하위만족도의 업무적절성을 일 적절성과 업무환경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일 적절성은 여성의 경우 타인의 기대부응 차원과 사회적 접촉 욕구 차원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 적절성은 타인의 기대부응 차원에서 가장 높은 베타 값을 보였다. 남성은 타인의 기대부응 차원에서 유일하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하위 만족도에서 보상요인을 비공식보상과 공식보상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여성의 비공식보상은 사회적 인정욕구차원, 사회적 책임욕구 차원, 사회적 접촉욕구 차원, 경험욕구 차원에 영향을 미치며 비공식보상을 가진 자원봉사자들이 보상에 대한 욕구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공식 보상은 사회적 인정욕구 차원에서 가장 높은 베타 값을 보였다. 그러나 남성의 비공식보상은 경험욕구 차원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베타 값을 보였다. 그리고 공식적보상의 여성은 유일하게 사회적 교환욕구 차원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보였으며, 남성은 공식적보상은 유일하게 사회적 인정욕구 차원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참여동기, 업무관련요인, 보상요인에 따라 전체 만족도는 물론이고 하위차원 만족도에서도 여성과 남성의 차이가 많으므로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만족감을 느끼고 효과적으로 자원봉사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관에서는 자원봉사자에 대한 개별적인 관심과 적절한 관리방법들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는 진주지역과 특정기관에서 봉사활동을 하는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므로 일반화에 한계를 갖는다.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하여 전국적 단위에서 또 장애인, 노인, 병원, 학교 등의 광범위한 자원봉사활동 분야로 넓혀서 봉사활동을 하는 자원봉사자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