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생태소양 증진 미술수업에 관한 연구

        박진경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기후변화 시대에 인간과 자연의 공존과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해 개인의 생각과 행동 양식뿐만 아니라 문제 원인을 찾으며 생태 행동 실천을 공유하고 확산하는 생태전환교육이 필요하다. 학생들이 생태계와 자연환경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깨닫도록 돕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처럼 생태전환교육은 생태소양 함양으로 지속가능한 생활 및 보호를 촉진하기 위한 동일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생태전환 미술교육이 초등학생들의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생태소양 이론에 근거하여 검증하고 생태소양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영역 증진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1, 2학년 통합교육 대상으로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생태소양 증진 미술교육 수업을 구안하였고, 서울시 마포구에 있는 M초등학교 생태전환 미술교육을 받지 않은 총 38명 연구 대상을 선정하였다. 2023년 2월 말부터 11월 말까지 약 9개월에 걸쳐 생태전환 미술교육을 실시하였다. 수업의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와 학습결과물을 종합하여 수업 적용 전과 적용 후의 양적인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도구 생태소양의 하위 영역인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행동적 영역 태도에 관계된 설문지 15문항을 리커트척도 5단계로 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사전과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8.0 통계처리를 이용하여 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또한 학생의 수업 행동 관찰 및 학습 창조물에 대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생태소양 이론을 적용하여 생태전환 미술교육을 실시한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태도 점수를 검증한 결과 생태소양의 하위영역인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행동적 영역에서 p<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생태소양 이론에 근거한 생태전환 미술교육 수업 활동이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태도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정량적인 결과 외에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태도의 변화를 알기 위해 작품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업 바탕으로 학생들은 기후변화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고 지속적인 삶을 위해 미래를 위해 어떻게 대응 할 것인지를 인식하며, 생명의 소중함과 지구 보호에 관심을 두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생태소양 이론에 근거한 생태전환 미술교육은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다양한 탐구활동을 하면서, 인간과 자연의 상호 협력하여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행동적 영역인 생태소양을 갖추어 생태 시민을 양성하며 긍정적인 효과를 얻었다고 사료된다. In the era of climate change,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is needed to find not only individual thoughts and behavioral styles, but also problem causes, and to share and spread ecological behavior practices. It focuses on helping students understand and respect the ecosystem and natural environment, and realiz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impact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As such,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has the same goal to promote sustainable living and protection by cultivating ecological literacy. This study aims to verify ecological transformation art education based on the theory of ecological literacy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promot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reas of ecological literacy. To this end, an art education class for promoting ecological literacy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was devised for integrated education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a total of 38 research subjects who did not receive ecological conversion art education at M Elementary School in Mapo-gu, Seoul, were selected. From the end of February to the end of November 2023, ecological transformation art education was conducted for about 9 months. To find out the effect of applying the class, the questionnaire and learning outcomes were combin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quantitative changes before and after class application. Fifteen questions related to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ttitudes, which are sub-areas of ecological literacy of the experimental tool, were organized and used in five stages on a Likert scale, and pre and post-test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a t-test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8.0 statistical processing class,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05. In addition, data on students' instructional behavior observation and learning creations were use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attitude score for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which conducted ecological transformation art education by applying ecological literacy theor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t the p<.05 level in the sub-areas of ecological literacy, affective, and behavioral areas, and it was verified that ecological and transition art education class activities based on ecological literacy theory had a positive effect on cultivating attitude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In addition to quantitative results, a 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changes in attitudes toward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Based on the class,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recognized the seriousness of climate change, recognized how to respond for the future for a lasting life, and became interested in the importance of life and protection of the planet. In summary, it is believed that ecological transformation art education based on ecological literacy theory has had a positive effect by cultivating ecological citizens by cooperating with humans and nature to have ecological literacy, which is a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domain, while conducting various exploratory activities to cope with climate change

      • 광역도시의 기후변화대응계획 지표 개발 및 평가 : 인천광역시와 울산광역시를 대상으로

        채정은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등 환경문제가 글로벌 아젠다가 되고 있다. 지난 100년간 전 세계 평균기온은 0.74℃상승하였고, 현재와 같은 상황이 지속된다면 21세기 말까지 지구평균 기온은 최대 6.4℃상승하게 될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 발리 로드맵에서 교토의정서 이후의 새로운 온실가스 감축 의무 및 기후변화 정책에 관해 2009년 12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리는 제15차 당사국 총회까지 협상을 통하여 구체적인 결과를 보고하도록 규정하였다. 우리나라는 의무감축국에서 제외되었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우리나라는 Post-2012 체제에서는 의무감축국이 될 가능성이 크다. 2008년 8월 이명박 정부가 ‘녹색성장’이라는 슬로건을 제시하게 되면서 국가와 지자체들은 보다 적극적으로 기후변화 대응 방안을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대응계획수립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기 때문에 계획의 적합성과 실효성을 검증받지 않은 유사한 정책과 프로그램들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를 대비한 계획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선 기후변화 대응계획 부문을 크게 완화, 성장, 적응 세 영역으로 나누어 기존연구와 해외 선진 사례들을 바탕으로 지표를 도출하였다. 지표의 중요도 설문을 통한 요인분석 결과 도출된 요인은 자원순환, 행정기반, 에너지 효율화, 녹색교통 체계, 자동차 이용 억제, 환경 부문, 녹색기술 경영, 안전기반, 안전대비 정보 구축의 총 9개이다. 또한 도출된 계획지표를 통해 최근 기후변화대응계획을 수립한 광역지자체를 대상으로 계획 수립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평가의 전문성을 높이기위해 전문가들에 의한 설문에 의해 평가가 이루어졌다. 평가 결과 기후변화 대응 목표에 충분하지 않은 계획들과 명확하고 구체적이지 않은 계획들은 낮은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는 광역지자체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계획의 방향설정에 기여하고자 지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지표들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기 때문에 활용도가 높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기후변화대응 측면의 북한 전력인프라 협력방안 연구 : SDGs 이행과 개발협력을 중심으로

        신지윤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727

        North Korea is trying to internalize and implement UN SDGs as National Development Goals. There has been a growing need to consider ways to cooperate with North Korea to improve North Korea's power infrastru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limate change response. North Korea wants to adopt a sustainable power supply policy that promotes economic growth and inhibits carbon emissions. South Korea seeks cooperation measures that can ultimately contribute to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while promoting its energy transition goal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power infrastructure cooperation plans at a practical level that can be mutually positive. In North Korea's development cooperation research, the need to cope with the new trend of integration of climate change response and development cooperation has evolved. The multilateral development cooperation method is the most likely to implement the power infrastructure cooperation project in North Korea. In order for South Korea not to lose its leading role in the process of Korean peninsula development project, an accurate understanding and response to the mechanism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s required. This paper has the following differences from previous studies on North Korean power infrastructure cooperation. First, this paper links not only the perspective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but also a wide range of issues such as carbon neutrali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joint response to the global climate crisis. Second, this study focuses on the need for a cooperative plan that can be accepted by both South and North Korea. Third, this paper focuses on presenting practical alternatives by combining the research on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with the power supply plan. Fourth, this study reflects the recent economic changes in the global renewable energy market and climate finance, and analyzes North Korea's carbon emissions, which had hardly been attempted before. North Korea is a power-deficient country and has a carbon-high energy supply structure that relies absolutely on coal. Since 1990, carbon emissions have decreased along with the deepening of energy shortages, but the carbon intensity is relatively high. As stated in its NDC it is a country that can rapidly increase its emissions in the future along with economy growth. In other words, renewable energy-based power grid construction is virtually the only sustainable power generation solution because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and power shortages must be resolved in a way that meets climate change response goals at the same time. Inter-Korean cooperation measure for North Korea's electricity supply was deriv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o see if the 'priority of power-related policies shown in North Korea's Conditional NDC' and 'the plan for supplying power to North Korea that could be suggested from the South Korea's point of view' correspond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ethod of supplying electricity to North Korea is: First, the supply of small-scale renewable energy for households without connecting central grids; Second, support for power system maintenance and repair corresponding to the reduction of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oss rates, which North Korea has placed at the top of its policy priority; and third, establishment of a utility-scale, renewable energy-based independent power grid that corresponds to North Korea's long-term natural energy growth strategy. In the long run, the need to connect the Northeast Asian Supergrid may be highlighted to overcome the stability problem of power grid operation in the process of expanding renewable energy in Korea. Connecting the power grid with North Korea is the first step, and improving North Korea's power infrastructure would be a prerequisite. In order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climate change response cooperation project to be carried out in North Korea, the second half of the paper analyzed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mplementation system based on cases. In the process of promoting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cceptability within North Korea is one of the important constraints. It must be determined whether the North can accept the power infrastructure cooperation plan from the perspective of climate change response. The will for green cooperation can be read from the designation of North Korea's 'Gangryong Green Demonstration District. As seen in the trial and error of the UNDP, the North Korean project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local finance. As evidenced by the experiences of Deokdong Farm and Hanns Seidel, it is necessary to design a project centered on the lives of the residents. An flagship project that Korea has presented while declaring green ODA is the complex financial package, which includes the entry of Korean companies into the local market. Inter-Korean cooperation plans could be designed with the power system transfer, market creation, and long-term entry of Korean companies into North Korea. For global case analysis, Vietnam, Mongolia, and Uzbekistan were selected as peer countries based on income level and carbon emissions standards. Implications were drawn for North Korea by selecting and analyzing four GCF projects being promoted in these countries. It was confirmed that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to North Korea from a long-term perspective, such as the industrial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program, are being conducted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GCF in response to the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In the last part of this study, it was proposed to organize a tentative name of the ‘Korean Peninsula Sustainable Development Committee’ to promote ‘Korean Peninsula Green New Deal Filot Project: Joint Development of 20MW Solar Power Plant in Gangryong Green Demonstration District’. 북한은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UN SDGs)를 국가 목표로 내재화하여 이행하려 하고 있다. 북한 전력인프라 개선을 위한 남북한 협력방안을 기후변화대응 차원에서 고민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북한은 경제성장을 추진하는 동시에 온실가스배출을 억제하는 지속가능한 전력공급방식을 채택해야 한다. 한국은 에너지 전환을 동시에 추진하면서 북한을 활용하는, 궁극적으로 남북경협에 기여할 수 있는 협력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즉 상호간에 긍정적일 수 있는 실용적 차원의 전력인프라 협력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북한 개발협력 연구에 있어 기후변화대응과 개발협력 통합이라는 새로운 흐름에 대처해야 할 필요성도 커졌다. 북한과 협력사업은 다자간 협력방식이 유력한데, 한국이 주도적인 역할을 잃지 않기 위해서 국제개발협력 메커니즘에 정확한 이해와 대처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기존 북한 전력인프라 협력방안 선행연구들과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첫째, 남북경협만의 관점이 아닌 한반도 탄소중립, 글로벌 기후위기에 공동대응과 같은 광범위한 이슈로 연계를 시도했다. 둘째, 남북이 모두 수용할 수 있는 협력방안이어야 함에 주안점을 둔 연구이다. 셋째, 전력공급 방안에 추진체계 연구를 결합해서 실천적인 대안 제시에 주력하고자 했다. 넷째, 글로벌 재생에너지 시장과 기후금융의 최근 경제적 측면의 변화를 반영하려 했고, 마지막으로 기존에 시도가 거의 없었던 북한의 탄소배출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북한은 전력 부족 국가이고 석탄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탄소 다배출 에너지 공급구조를 가지고 있다. 1990년 이래 탄소배출량은 에너지 부족 현상 심화와 함께 감소해왔지만, 탄소집약도는 상대적으로 높아 NDC에 밝혔듯이 향후에 배출량이 빠르게 증가할 수 있는 국가이다. 즉, 기후위기대응 완화(mitigation) 차원에서 에너지효율성 향상이 필요한데, 국가 전력난까지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재생에너지 기반 전력망 구축이 사실상 유일한 지속가능발전 솔루션이다. 북한 전력공급 관련 남북한 협력방식은 ‘북한의 조건부 국가감축목표(Conditional NDC)에 나타난 전력관련 정책의 우선순위’와 ‘한국 입장에서 제안 가능한 북한에 전력공급 방안’이 상응하는 지 비교분석을 통해 도출했다. 연구결과, 북한에 전력공급 방식은 첫째, 인도적 지원 성격으로 단기적으로 실현 가능한 가정용 소규모 재생에너지 공급, 둘째, 북한이 정책 선호순위 최우선에 배치한 송배전 손실률 축소와 상응하는 전력시스템의 유지 및 보수에 대한 지원, 세 번째, 북한 내부의 장기 자연 에네르기 성장 전략에 상응하는 유틸리티 스케일의 재생에너지 기반 독립형 전력망 구축 방안을 제안했다. 장기적으로는 한국의 재생에너지 확대 과정에서 전력망 운영 안정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동북아 슈퍼그리드 연계 필요성이 부각될 수 있다. 북한과 전력망 연계는 그 첫 걸음이고 북한 전력 인프라 개선이 선행요건이다. 북한에서 진행될 기후변화대응 협력사업에 시사점을 찾기 위해, 논문의 후반부는 국제개발협력 추진체계를 사례 중심으로 분석했다. 남북경협 추진과정에서 북한 내부의 수용성은 중요한 제약요건 중에 하나이다. 기후변화대응 관점의 전력인프라 협력방안을 북측이 수용할 수 있을 지 여부를 판명해야 한다. 북한의 강령녹색시범구 지정에서 그린협력에 대한 의지를 읽을 수 있다. 북한 사업은 UN DP의 시행착오에서 읽히듯 현지 금융에 대한 이해, 덕동농장, 한스자이델의 경험에서 우러나듯 주민 삶을 중심에 둔 프로젝트 설계가 중요하다. 한국이 그린 ODA를 천명하며 제시한 모범적인 프로젝트는 복합금융 패키지인데, 한국 기업의 진출까지 포함한 구조이다. 전력시스템의 이식과 시장 창출, 장기적으로 한국 기업의 현지 진출까지 염두에 둔 남북한 협력방안을 설계해야 한다. 글로벌 사례 분석을 위해 소득과 탄소배출량 기준으로 베트남, 몽골, 우즈베키스탄을 비교 대상국가로 선정했다. 이들 국가에서 추진되고 있는 GCF의 프로젝트 4개를 선정ㆍ분석하여 북한에 시사점을 도출했다. 산업체 에너지효율향상 프로그램같이 북한에도 장단기 관점에서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이 개도국 기후위기대응 차원에서 GCF의 주관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마지막 부분에선 가칭 ‘한반도 지속가능발전위원회’을 구성하여 ‘한반도 그린뉴딜 시범사업: 강령녹색시범구 20MW급 태양광발전소 공동개발’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 지방정부 정책집행과정의 정형성과 적응성에 관한 연구 : 기후변화대응책을 중심으로

        설선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6

        WEO(WEO, World Energy Outlook)2012는 IEA(IEA, International Energy Agency)가입국의 에너지정책이 세계 에너지 시스템의 지속가능성을 이끌어내지 못하는 한계점을 지적하고 있다. 특히 에너지정책은 에너지 효율성 증대와 기후변화대응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수립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기존 정책이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우리나라 기후변화대응은 국내외 에너지 문제에 따른 국가경쟁력의 취약성 극복과 기후변화협약의 효과적 수행을 위하여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차원의 정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그러나 최근 정부의 녹색성장정책 가운데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과제들이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지 못함으로써 기후변화대응책은 정지 상태에 머물러 있다. 현 정부의 국정과제 98, 99에서 기후변화의 대응과 적응문제를 명시한 점에서도 알 수 있듯이 국가 기후변화대응책을 위한 평가와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기후변화대응책의 정부 간 정책집행과정을 집행변수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집행과정 가운데 발생하는 정형성과 적응성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버먼(Berman)의 정책집행 유형의 이론적 시각에서 지방정부 정책집행 과정의 정형성과 적응성 분석하였다. 정형성은 기후변화대응책이 갖고 있는 정책의 특수성에 따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정책집행과정에서 나타나는 중앙정부 중심의 집행형태 혹은 이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지방정부의 정책 행태를 의미하고 적응성은 정책집행과정에서 나타나는 지방정부만의 독립적인 정책집행 형태로 정의된다. 연구대상은 기후변화대응책이다. 공간적 범위는 광주광역시이며 시간적 범위는 2008년부터 2013년까지이다. 연구범위는 정책을 구성하는 기본 법률과 정책목표 그리고 집행조직의 체제이다. 분석은 버먼(Berman)이 제시한 정형성과 적응성의 분류기준과 이 기준에 명확성을 보완해주는 매즈매니언과 사바티어(Mazmanian & Sabatier)의 정책집행변수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정부 정책집행과정을 정형성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 발생하였다. 1)정책에 대한 종합적 이해부족, 2)중복성이 짙은 장기계획의 법제화, 3)단시간에 이루어진 정책변동으로 인한 비구조화 상황 발생, 4)통합적 조직체계의 불완전성, 5)집행과정 평가를 위한 기본데이터의 비체계성. 둘째, 지방정부 정책집행과정을 적응성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 발생하였다. 1)지역성을 고려한 정책집행기관의 구조적 체계 확립, 2)유관기관들의 적극적인 참여, 3)지역의 대표사업 개발 등 독립적인 집행 체제.

      • 전자산업 분야의 저탄소 경영체제 평가 연구

        전상연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6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world economy has dramatically developed. The carbon dioxide absorption has reached its peak for 2010 and the consumption of CO2 by Mother Nature will decrease. Afterward, acceleration of global warming will be easily anticipated. As a consequence of global warming, the ecosystem will affected in negative ways, food resource will become scarce, sea levels will rise that will be threatening elements to the world of society. Due to the seriousness of global warming, the burdens for advanced countries, as a member of the world community, is becoming more evident to implement strict actions towards the reduction in greenhouse gases. For the developing countries, the implementation of voluntary reduction is also important. As part of the government’s initiative, it is a mandate for the industry to make its performance report meet the requirements of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within target allotment. As risk assessment and the regul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has been introduced, it will certainly an affect on the result of the sustained industrial growth and its financial outcome for a short period of time. This study shows that the International agreement that a number of nations made in relation to global warming and the nation policy that they take action against the agreement. The Japanese and Korean companies in the electronics industry are examined and the analytical data on low-carbon management is also provided in this research. There is a suggestion to the companies how low-carbon management should be efficiently implemented in this report. The levels of the assessment models are based on primary factors of the climate change calibrated by the investment institute and the government body. One model is chosen for assessing overall management in both Japanese and Korean companies over the climate change response.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evaluation, the outcome is that the degree of low-carbon management for the Korean company is lower than the Japanese company’s by 9.4 points and 70% of the items are inferiority overall. The Korean company is at the disadvantage when compared to the Japanese company in the area of decent activity, such as creating new green business, reduction in greenhouse gases, and reduction in emission of CO2.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domestic electronics companies to adopt the method of well-structured low-carbon management by responding to global warming and apply them to their business practices. 산업혁명 이후 세계경제는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었으나 개발위주 정책으로 전세계는 연간 약 280억톤의 이산화탄소가 대기로 배출되는 반면 산림, 해양과 같은 자연계 흡수량은 110억톤으로 매년 170억톤이 대기권에 축적되고 있고, 2010년을 정점으로 자연계에서 흡수량이 줄어들어 지구온난화는 더욱 가속화 될 전망이다. 이로인해 생태계파괴, 수자원부족, 식량자원 감소, 해수면 상승등 다양한 위협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 인식 확산에 따른 선진국의 온실가스 감축 의무 이행과 개도국 자발적 감축목표 공표등 국가별부담이 가시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정부는 온실가스 중기감축 실행계획 수립,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시행, 온실가스 영향평가등 기후변화 대응체계 개선과 병행하여 산업계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할당 및 보고 의무를 법제화 하였다. 이러한 온실가스 규제대응 리스크가 본격적으로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단기 재무성과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되지만 저탄소경영에 대한 표준화된 대응 지침이 없어 기업별 전략적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대응과 관련된 국제적인 논의과정과 국가별 대응 정책 및 기후변화가 전자산업에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국내 연구기관과 global 리서치 및 투자기관에서 시행중인 기후변화 대응 주요 평가 지표들을 기반으로 최적화된 평가모델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global 한국 및 일본 전자산업 대표기업을 대상으로 저탄소 경영 추진현황을 평가하고 효과적인 대응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금번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한국기업의 저탄소경영 수준이 일본기업에 비해 평균 9.4점(100점 만점기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전체14개 항목중 과반수이상인 10개 항목에서 열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후변화와 관련된 신규 비즈니스 창출과 온실가스 저감성과, 탄소집약도 관리등 체계적인 기후변화대응 활동이 취약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트랜드를 반영한 총체적인 기후변화대응 체제 평가를 바탕으로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 탄소경영 전략수립 및 성과모니터링, 탄소시장 참여와 신규 기후변화 비즈니스 창출등 체계적인 저탄소 경영체제 구축이 시급히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 기업의 지배구조 특성과 기후변화대응 전략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민미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725

        본 연구에서는 우리기업이 당면한 국내외 기후변화대응 요구에 필요한 경영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업의 지배구조 특성을 이사회 중심의 내부 지배구조와 이해관계자 중심의 외부구조로 구분하고, 기업의 조직경계를 기준으로 기후변화대응 전략을 내부 전략과 외부전략으로 구분하여 이들이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후변화대응전략이 기업의 지배구조와 성과 사이에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종업원 수 200인 이상의 상장회사(코스피, 코스닥)에 근무하는 업무 담당자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우수한 내부지배구조 속성과 외부지배구조 속성 모두는 기후변화대응 내부전략과 외부전략 각각에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내부 지배구조는 독립적이고, 전문성이 높을수록 기후변화대응 전략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외부 지배구조는 내부지배구조와 달리 이전 연구가 많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OECD 기업지배구조 원칙과 한국의 지배구조 모범규준을 중심으로 속성을 정의하고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는 대리인 문제를 바라보는 기업의 지배구조 측면에서도 내부와 외부 지배구조 속성 모두가 기후변화대응 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에 따라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우수한 기후변화대응 내부전략과 외부전략은 기업의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에 각각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경영전략이 기업의 사회적책임(CSR)이자 기업의 경제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기업의 기후변화대응 전략은 기업의 지배구조 속성과 성과 사이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의 지배구조의 구성원들의 특성과 행동, 의사결정이 전략으로 구현된 결과일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업의 우수한 지배구조와 기후변화대응 전략이 기업 성과에 기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2021년부터 시작되는 파리협정 하 글로벌한 신기후체제에서 우리기업이 나아갈 경영전략에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기후변화대응 전략은 이사회 중심의 내부 지배구조의 구성원 뿐 만이 아니라 외부 지배구조의 구성원인 시민들과의 견고한 관계 유지의 중요성이 설명되었다는 점에서 기업이 시민사회의 일원임을 확인하는데도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 기후와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제주지역 노루 서식처 변화와 최적 관리 방안

        이동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95

        생물다양성은 서식처 변화, 기후변화, 자연자원의 과잉 사용 등에 영향을 받으며, 그 중 서식처 변화는 생물다양성의 가장 큰 위협 요인으로 평가된다. 제주도는 한라산, 곶자왈, 오름 등의 자연환경과 7,800여 종의 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이 높은 지역이다. 그러나 개발에 따른 서식환경의 변화와 서식면적의 감소, 기후변화 등으로 생물다양성이 감소 추세에 있다.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야생생물의 서식처 축소 및 생물다양성 감소, 야생생물 서식여건을 악화시킬 것이다. 더욱이 기후변화에 따라 생물종의 생존과 번영에 있어 필수적인 환경 조건이 변하게 될 것이다. 특히, 토지이용변화는 기후변화를 야기하는 주요 요인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하여 필수적인 요소이다. 제주도 야생생물 중 대표적 포유류인 노루(Capreolus pygargus tianschanicus)는 멸종위기에 놓였다가 노루 살리기 운동을 통하여 개체수가 증가하였다. 현재는 적정 개체수로 관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제주도에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기후변화가 진행된다면 노루의 서식공간이 점차 축소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50년까지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지역 노루의 서식환경변화를 예측, 분석하고, 제주도의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노루 서식처 변화를 예측하여 향후 관리방향을 제시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노루의 서식환경변화를 분석하고자 노루의 서식에 영향을 미치는 기온과 겨울철 극한기후지수인 결빙일수를 활용하여 RCP 4.5, 8.5 시나리오별 서식환경변화를 분석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서식처의 공간적 변화를 파악하고자 RCP 4.5, 8.5 시나리오와 현재의 토지이용변화 추세 시나리오별 2050년까지의 토지이용변화를 예측 분석하였다. 토지이용변화 예측을 위하여 사회경제적 요소를 반영할 수 있고 예측정확도가 높은 Dyna-Conversion of Land Use change and its Effect(Dyna-CLUE) 모형을 활용하였다. 토지이용변화 예측 결과를 토대로 노루 서식처의 양적 변화를 파악하고자 시나리오별 시기별 수용능력을 도출하였으며, 노루 서식처의 질적 변화를 파악하고자 토지이용지도 기반으로 서식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Integrated Valuation and Environmental Services and Tradeoffs(In-VEST) 모형을 활용하였다. 시나리오별 기후변화에 따른 서식환경변화와 서식처의 양적, 질적 변화 결과를 토대로 제주도를 세분화하여 공간별 관리방향을 제시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서식환경 변화 분석결과, RCP8.5 시나리오가 4.5 시나리오보다 같은년도를 비교했을 때 최고기온 및 최저기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시나리오에서 점차 시간이 지날수록 기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루 서식 관점에서는 점차 여름철 서식여건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여름철에 기온이 낮은 산간지역 중심으로 서식할 것으로 예상된다. RCP4.5 시나리오가 8.5 시나리오보다 같은년도를 비교했을 때 결빙일수가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시나리오에서 점차 시간이 지날수록 결빙일수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빙일수가 줄어듦에 따라 영하의 기온과 폭설빈도도 적어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노루 서식 관점에서 오히려 산간지역의 서식환경이 양호해짐에 따라 중산간 지역으로의 이동이 적어질 것으로 예상되나 산간지역 내 서식을 위한 종간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경쟁에 밀린 개체가 중산간 지역으로 이동하여 서식할 것으로 예상된다. 토지이용변화 예측 결과, 모든 시나리오에서 도시화 지역은 증가하고 농업지역은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 분석되었다. RCP8.5 시나리오가 4.5 시나리오에 비해 도시화지역 면적 증가량이 많은 것으로 예측, 분석되었다. 현재의 토지이용패턴이나 현재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유지한다면 도시화는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자연지역은 현재 많은 지역이 법적 보호지역으로 지정, 관리되고 있어 면적이 유지되고 있으나, 보호지역을 해제하고 개발을 허용한다면 제주도 내 자연지역은 급속히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용능력 예측 결과, 자연지역의 면적이 유지됨에 따라 서식가능공간도 유지됨으로써 모든 시나리오에서 수용능력이 유지,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 분석되었다. 서식처 질 예측 결과, 모든 시나리오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체적으로 서식처 질이 낮아지는 것으로 예측, 분석되었다. 산간지역보다 해안지역의 서식처 질이 낮고 감소폭이 컸다. 산간지역은 한라산을 중심으로 서식처 질이 높게 유지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보호지역 지정 유무에 따른 서식처 질 변화를 분석한 결과, 보호지역 내의 서식처 질이 높고 시간이 지나도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보호지역으로 지정, 관리됨에 따라 서식처 질이 높게 유지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RCP4.5 시나리오가 8.5 시나리오에 비해 서식처 질이 상대적으로 높게 예측, 분석되었다. 이는 온실가스 저감정책을 시행함으로써 서식처 질 하락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노루 서식처의 질적 하락을 막기 위해서는 보호지역의 지정 및 유지관리가 필요하며, 온실가스 저감정책을 적극 실현할 필요성이 있다. 기후변화 및 수용능력, 서식처 질 변화 결과를 토대로 제주도를 시군, 고도, 읍면동을 기준으로 공간을 세분화하여 관리 방향을 설정한 결과, 제주도 전체적으로는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한라산 중심의 서식처 관리가 필요하며, 현재의 서식처 총량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인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분산되어 있는 서식처에 대하여 연결성을 강화하는 등의 서식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관리가 필요하다. 제주시는 산간지역과 중산간지역의 경우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한라산 중심의 서식처 관리가 필요하며, 현재의 서식처 총량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서식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관리가 필요하다. 해안지역의 경우, 기존 서식처의 훼손을 최소화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유도하는 관리가 필요하다. 서귀포시도 제주시와 마찬가지로 산간지역과 중산간지역의 경우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한라산 중심의 서식처 관리가 필요하며, 현재의 서식처 총량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서식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관리가 필요하다. 해안지역의 경우, 기존 서식처의 훼손을 최소화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유도하는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지역 노루의 서식환경변화 및 서식처의 양적, 질적 변화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노루의 서식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에 대응할 필요성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와 같은 모델링 기법을 도시계획 및 환경보전계획 수립 시 적극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도시 내 자연환경 관점에서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향후 40-50년의 장기적인 토지이용변화를 예측하고 도시 내 핵심종의 서식처 변화를 예측, 분석함으로써 생물의 지속가능한 서식 관점에서 장기적인 도시 및 환경보전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Biodiversity is affected by habitat change, climate change, and excessive use of natural resources, among which habitat change is evaluated as the greatest threat to biodiversity. Jeju Island is a region with high biodiversity and ecosystems inhabited by natural environments such as Mt. Halla, Gotjawal, and Oreum, as well as 7,800 species. However, biodiversity is on the decline due to changes in habitat environment, decrease in habitat area, and climate change following development. If development continues, it will reduce habitats for wildlife, reduce biodiversity, and worsen wildlife habitat conditions. Moreover, climate change will change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essential for the survival and prosperity of species. In particular, land use change is a major factor causing climate change and is an essential factor for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The roe deer(Capreolus pygargus tianschanicus), a representative mammal of Jeju Island's wildlife, is on the verge of extinction, but its population has increased through the roe deer conservation movement. Currently, efforts are being made to manage the appropriate number of individuals. If development continues in Jeju Island and climate change progresses, the habitat space of roe deer will gradually decrease. Accordingly, this study predicted and analyzed changes in the habitat environment of Jeju roe deer in accordance with climate change until 2050, predicted changes in habitats of roe deer in Jeju Island according to land use change in Jeju Island, and suggested future management directions.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 in habitat environment of roe deer due to climate change, the change in habitat environment for each RCP 4.5 and 8.5 scenario was analyzed using the temperature that affects the habitat of roe deer and freezing days, which is an extreme climate index in wint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atial change of habitats due to climate change, the RCP 4.5 and 8.5 scenarios and the current land use change trend scenarios were predicted and analyzed for land use change until 2050. For the prediction of land use change, a Dyna-Conversion of Land Use change and its Effect (Dyna-CLUE) model that can reflect socio-economic factors and has high prediction accuracy was used. Based on the predicted results of land use change, the capacity for each scenario was derived to analyze the quantitative change of the roe deer habitat. The Integrated Valuation and Environmental Services and Tradeoffs (In-VEST) model, which can evaluate the quality of habitats based on land use maps, was used to analyze the qualitative changes of the roe deer habitat. Based on the results of temperature change according to climate change by scenario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 in habitats, management directions for each space were presented. As a result of temperature chang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s were higher in the RCP8.5 scenario than in the RCP4.5 scenario, and the temperature gradually increased with time in all scenarios. From the point of view of roe deer inhabiting, it is expected that the habitat conditions will gradually deteriorate in summer,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inhabit in mountainous areas with low temperatures in summer. When the RCP4.5 scenario was compared to the RCP8.5 scenario in the same year, freezing days was found to be longer, and in all scenarios, freezing days gradually decreased as time passed. As freezing days decreases, subzero temperatures and frequency of heavy snow are expected to decrease. From the viewpoint of roe deer habitat, it is expected that the migration to the middle-mountainous regions will decrease as the habitat environment in the mountainous regions improves. However, as competition between species for habitat in mountainous regions intensifies, it is expected that individuals who are pushed by competition will migrate to and inhabit mid-mountain regions. As a result of predicting land use change, it was predicted and analyzed that urbanized areas increased and agricultural areas decreased in all scenarios. The RCP8.5 scenario was predicted and analyzed to have a larger increase in the area of urbanized areas than the 4.5 scenario. Urbanization is expected to accelerate further if the current land use pattern or current GHG emissions are maintained. Natural areas are currently being designated and managed as legal protected areas, so the area is maintained. However, if the protected areas are released and development is allowed, the natural areas in Jeju Island are expected to decrease rapidly. As a result of the capacity prediction, it was predicted and analyzed that the capacity will be maintained and increased in all scenarios as the natural area is maintained. As a result of the habitat quality prediction, it was predicted and analyzed that the overall habitat quality decreased over time in all scenarios. The habitat quality of the coastal area was lower than that of the mountainous area, and the amount of decline was large. It has been shown that the quality of habitats in and around Mt. Halla can be maintained hig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in the quality of habitats according to the designation of protected areas, it was analyzed that the quality of habitats within the protected area was high and maintained over time. This shows that the quality of habitat can be maintained high as it is designated and managed as a protected area. The RCP4.5 scenario was predicted and analyzed with relatively higher habitat quality than the RCP8.5 scenario. This showed that the decline in habitat quality can be reduced by implementing a greenhouse gas(GHG) reduction poli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and maintain a protected area in order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roe deer habitats, and to actively implement GHG reduction policies. Based on the results of changes in temperature, capacity, and habitat quality, the management direction for the Jeju roe deer habitat was established. In Jeju Island as a whole, it is necessary to manage habitats centered on Mt. Halla in preparation for climate change, and management to maintain the total amount of habitats as much as possible is needed.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management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habitats, such as minimizing human interference and reinforcing connectivity to distributed habitats. In the mountainous and mid-mountainous areas of Jeju City, it is necessary to manage habitats centered on Mt. Halla, and management to maintain the total amount of habitat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management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habitats. Coastal areas need management to minimize damage to existing habitats and induce sustainable development. Seogwipo City also needs the same management as Jeju City. Through this study, changes in habitat conditions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s in habitats of Jeju roe deer according to climate change could be identifi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to cope with climate change in order to maintain the habitat status of the roe deer. There is a need to actively utilize modeling techniques such as this study when establishing urban planning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s. By using modeling techniques to predict and analyze changes in habitats of key species in cities, long-term urban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s for the stable inhabitation of wildlife can be established.

      • 기후변화대응 국가연구개발사업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 DEA/Malmquist를 활용한 Quadrant 모형을 중심으로

        한수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95

        기후변화는 전 세계적인 문제로 인식되어 왔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사회는 다양한 정책과 협약을 통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결정과정을 거쳐 기후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가 주요한 해결책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유엔기후변화협약체결, 교토의정서, 파리협약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한국 정부 역시 세계적인 연구개발 투자 흐름에 따라 기후 분야에 대한 정부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기후 분야 연구개발 목표의 공공재성은 정부의 주도하에 추진되어야만 투자가 가능했기 때문에, 당위성이 강조되었으며 효율성에 대한 고려는 어려웠다. 하지만 기후 분야 정부투자가 강조된 지 10여 년이 지난 현재, 불확실성이 큰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결정이다. 또한 기후 분야 연구개발에 대한 정부투자는 여전히 필요한 상황으로 트랜드에 따른 투자전략보다는 효율성 제고를 통한 예산배분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20년까지 추진된 국가연구개발사업 내 기후기술 분류체계에 따라 분류되었던 과제 82,029개를 대상으로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국가연구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진행된 효율성 연구는 보통 특정 사업 또는 특정 기관에서 수행한 과제를 분야의 대표성으로 간주하고 연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본 연구는 대상 분야를 전수적인 관점에서 정제함으로 대상이 명확화되었으며, 무엇보다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을 대상으로 한 첫 효율성 평가이자, 횡단면분석이라는 것 뿐만 아니라, 10년 이상의 장기시계열 데이터를 통한 효율성과 생산성의 분석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을 기반으로 기후 분야 연구개발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단계로는 정태적 효율성 분석과 맘퀴스트에 기반한 동태적 생산성 분석을 실시하고 두 가지 결과를 통합한 Quadrant 모형을 제시함으로 DMU를 유형화하여 효율성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DEA 모형의 타당성 검증으로 토빗회귀분석을 통해 효율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기후기술을 DMU(Decision making unite)로 분석한 결과, 기후기술의 연구개발 효율성은 가변규모수익을 기준으로 64%가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효율적인 DMU는 24개로 전체 대비 13.4%이며, 규모수익 기준으로 IRS 상태인 DMU가 110개 달했다. 이 의미는 투입요소가 증가함에 따라, 산출량은 투자대비 산출량이 급격히 늘어날 수 있는 상태로 전체 효율성이 더 높아질 수 있는 상태이다. 결국, 기후에 대한 재원투자는 여전히 더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실제로 기후 분야의 투자증가율은 연평균 12%로 전체 연구개발 투자증가율 6%보다는 높지만, 전체 내 기후 비중으로 보면 최근 5년간 13%대로 정체 수준이다. 현재까지 공격적인 투자를 이끌어 왔지만 앞으로도 기후 분야는 투자가 더 필요한 분야로 볼 수 있다. 연도별 특징으로 보면, 2015-2017 사이의 효율성 평균이 높고, 효율적인 DMU의 발생 건수도 높았다. 실제로 그 시기는 파리협약과 미션이노베이션 선언 등으로 청정에너지 공공부문의 투자에 대한 중점적인 지원이 약속되었고, 민간의 참여를 이끌기 위한 여러 가지 전략이 다양하게 나온 시기이기도 하다. 기후 분야에 세계적인 이슈가 집중됨에 따라 연구의 효율성이 높았졌던 것은 그만큼 정책적 관심이 연구성과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기술별 효율성 특징으로는 다분야중첩이 가장 높았고, 기후변화예측모니터링,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높은 효율성이 관찰되었다. 다분야중첩 분야는 융합적인 성격의 기술로 투자에서는 특정부처의 주도도 없고, 서로 다른 기술을 융합함으로 새로운 목적을 달성하는 기술이다. 다분야중첩에서 효율성이 높았다는 사실은 협력연구와 융합연구 관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연구기획 시 참고할 만한 사항이다. 다만 산림육상은 타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효율성이 저조하게 분석되었다. 연도별 규모수익 역시 모두 DRS 상태로, 현재 산출변수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투입이 되고 있다는 의미이므로 비효율의 원인이 기술적인 측면에 있는 것을 감안하고 정책적 지원방향 설정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동태적 분석인 맘퀴스트 생산성분석 결과, 지난 12년간의 기후기술의 연구개발 생산성은 1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변화의 요인으로 기술효율성변화(TEC)의 11% 증가가 주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생산에 있어서 비효율적인 부분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내부적 효율성을 증대되어 생산성이 향상된 것을 말한다. 기후기술은 투자 초기만 하더라도 CCUS, 수소 등 생소한 기술로, 일각에서는 현실성 없는 기술로 간주하여 투자에 부정적이기도 했다. 하지만 그간의 지속적인 투자는 기후기술의 확산을 이끌었고, 이 부분이 생산성 향상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것은 연구결과로써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정태적 결과와 동태적 결과를 통합함으로 Quadrant 모형에 14대 기후기술을 4가지로 유형화하여 배치하였다. 결과적으로 다분야중첩과 에너지 수요 기술은 정태적 효율성과 동태적 효율성을 동시에 갖춘 DMU로서 다른 DMU의 벤치마킹 대상이 될 수 있으며, 반면, 신에너지, 비재생에너지, 해양수산연안 기술은 정태적 효율성과 동태적 효율성이 모두 낮은 DMU로 효율성 개선의 목표가 된다. 이 결과를 토대로 2020년 DMU를 대상으로 요소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기후 분야 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토빗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비를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연구원수는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원수가 1단위가 늘어날 때마다 효율성이 떨어지는 결과로 나타났다. 총 연구비가 효율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연구개발 예산 심의과정에서 일반적으로 기존의 성과가 많은 곳에 연구비가 추가적으로 더 배정되고 그렇지 않은 곳에 보다 적게 배정되는데, 기본적인 통념과 반대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기술별로 살펴봤을 때, 기술별로 유의미한 변수의 차이는 컸다. 연구원수와 논문, 특허는 대부분의 기술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측정되었고, 사업화 변수는 단 4개의 기술에서만 유의미한 변수로 측정되었는데, 이 결과는 기후기술별로 연구개발 효율성 증진을 위해서는 다른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첫째, 기후 분야의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최초의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효율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지난 12년간의 투자와 성과를 다양한 DEA 모형을 활용함으로 정태적 분석, 동태적 분석, Quadrant분석을 실시함으로 다양한 각도에서 기후 분야의 연구개발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둘째, 기후 분야의 연구개발은 장기간 투자가 되고 있지만, 여전히 투입요소의 확대가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인 시사점이 크다고 생각되며, 앞으로 연구개발의 관리로 기후 분야의 효율성을 확대함에 따라 기술혁신을 통한 탄소중립 또한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는 기후기술의 비효율성을 기반으로 거시적인 전략을 제안했다. 한정된 인력과 예산으로 다수의 국가 연구를 수행하는 정부 입장에서는 수행하는 과제에 대한 비효율성의 파악을 기초로 연구개발을 기획함에 따라 자원의 효율적 배분에 기여 할 것이다.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facing a significant challenge with climate change, and efforts are underway to address this through the policy-making process of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the Kyoto Protocol, and the Paris Agreement. As part of the solution, there is a focus on implementing policies and investing in R&D for climate technology. This includes the Korean government's investment in the climate sector, which contributes to global R&D investment flows.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climate R&D as a public good, it becomes challenging to assess the efficiency of such investments without government initiatives. As we are now over a decade into emphasizing government investment in the climate sector, it is crucial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R&D projects that have been funded thus far. The study covers 82,029 project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limate Technology Classification in national R&D projects from 2008 to 2020. Previous efficiency studies analyzing national R&D projects have only considered a single or number of projects for a particular field, conducted by specific organizations. However, the uniqueness of the findings in this study lies in its comprehensive analysis of all national R&D projects in the climate sector. This study also stands out as the first assessment of efficiency in national R&D projects addressing climate change. Notably, it evaluates efficiency and productivity not only through cross-sectional analysis but also through a long-term time series spanning over 10 years. This study examines the efficiency of R&D in the climate sector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As a first step, static efficiency analysis and dynamic productivity analysis based on Malmquist were conducted. A quadrant model was then presented, integrating the two sets of results, to categorize DMUs and propose measures for enhancing efficiency. Lastly, to validate the reliability of the DEA model, we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efficiency through Tobit regression analysis. The time series reveals a notable increase in average efficiency and a significant number of efficient DMUs from 2015 to 2017. This period coincid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Paris Agreement and the Mission Innovation Declaration, which involved substantial support for public sector investment in clean energy and the adoption of diverse strategies to involve the private sector. The observation that research efficiency was particularly high during a time when global focus was directed towards the climate sector implies that policy attention has an impact on research performance. The Malmquist Productivity Analysis, which is a dynamic analysis, reveals a 17% increase in R&D productivity in climate technology over the past 12 years. The primary driver of this change was identified as an 11% improvement in Technical Efficiency Change (TEC), which signifies the enhancement of productivity through increased internal efficiency over time in previously inefficient aspects of production. In the initial stages of investing in climate technologies, certain technologies like CCUS and hydrogen were considered unrealistic by some, leading to negative investment sentiment. However, sustained investment efforts have facilitated the diffusion of climate technologies, validating the study's finding that this diffusion is the primary source of productivity gains. By integrating the static and dynamic results, the Quadrant model classifies the 14 climate technologies into four types of DMUs. Consequently, DMUs such as multi-sector overlap and energy demand technologies exhibit both static and dynamic efficiency, making them potential benchmarks for other DMUs. On the other hand, DMUs like new energy, non-renewable energy, and marine and coastal technologies demonstrate low levels of both static and dynamic efficiency, indicating areas for improvement. Building upon these findings, we propose specific improvement targets for DMUs in 2020, categorized by element. Finally, a Tobit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fficiency of climate R&D projects. The results indicate that all variables, except research expenditure, have a significant impact. Surprisingly, the number of researchers has a negative effect on efficiency. These findings challenge the conventional wisdom that suggest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expenditure and efficiency. Such findings hold significant policy implications. In the current funding structure, where better-performing research tends to receive more funding, policymakers should carefully select indicators to guide budget allocation in the climate sector. Particularly, it is necessary to explore prioritization indicators for highly specialized R&D based on technology. However, when considering specific technologies, there are substantial differences in significant variables. Variables such as researchers, publications, and patents were significant across most technologies, while commercialization was only significant for four technologies. This suggests the need for tailored strategies to enhance R&D efficiency across different climate technologies. The study holds several important implications. Firstly, it represents the first comprehensive and long-term analysis of efficiency in climate R&D projects. By employing static analysis, dynamic analysis, and quadrant analysis utilizing various DEA models, the efficiency of climate R&D has been evaluated from diverse perspectives. Secondly, the findings of the R&D efficiency analysis indicate that despite long-term investments, the climate sector still has potential to enhance efficiency by expanding input factors. This reaffirms the rationale behind investing in the climate field. Third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inform government budget allocation decisions. By identifying the sources of inefficiency in R&D, we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that contribute to the effective allocation of limited manpower and budgetary resources in government R&D efforts.

      • 기후변화대응 에너지 자립형 도시의 계획체계에 관한 연구

        김강민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95

        Global warming by greenhouse gases, threat of ecosystem by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and exhaustion of the natural resources are key problems today with many discussion and climate change convention. Led by advanced countries, efforts have been made to reduce greenhouse gases from building unit to urban aspect for applying building and urban planning. The studies on urban planning for climate change in Korea have been mainly focusing on carbon mitigation and adaptation. But, it is hard to confirm the application and its effect on the complicated relation between urban activity and carbon emission. Apart from climate change, cities confront 21st century energy exhaustion along with the increase of energy consumption and limited fossil energy resources. Accordingly, urban planning must focus on energy perspective to respond climate change and energy problem effectively. This study aimed to set up energy self-sufficiency urban planning system responding climate change by reducing fossil energy consumption and carbon emission, and to suggest effective application method. This study has 3 levels. First, it defines energy self-sufficient city responding climate change theoretically. Second, it set up planning system of Energy Self-sufficient city responding climate change and deduced planning elements. Third, 3 level analysis was to be carried out to confirm the adaptability of energy self-sufficiency urban planning system. The 1st analysis employed ANP method to check relative importance of planning areas. In the 2nd level,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study was carried out to figure out the application status of planning element. And questionnaire survey to specialists were made to figure out the detail availability of the plan in the 3rd level.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to introduce effective energy self-sufficiency urban planning system. ① Definition of energy self-sufficiency city responding climate change Energy self-sufficiency city is for responding climate change and energy problems and defined by integrating climate change city and sustainable energy. Energy self-sufficiency city responding climate change applies self-sufficiency from fossil energy, use of renewable energy, energy reduction and effective use and physical area applies dispersive concentration space structure. It is a city applied by circular metabolism for its resource and energy. To explain the city’s structure and principle, it is reshaped by energy view of urban circular metabolism. In an urban circular metabolism, it interpreted structural aspects of input, output and consumption in terms of energy to reset Energy Input, Energy Consumption, and Energy Management. Energy supply means the input, and applies maximization of renewable energy production and transformation to renewable energy. Energy consumption applies effective use of energy and energy resource and restriction of fossil energy use to reduce overall energy consumption. Energy control is a process between input and consumption which is set as energy efficiency by effective management and use of energy and stabilization of energy supply and demand ② Planning system The structure and principle of energy self-sufficiency responding climate change is defined in an energy aspect, and the relation with physical and environmental urban aspect must be explained. It examined the energy planning in principle and structural aspect, and related urban planning in terms of application to set planning system by considering mutual relation. Establishment of Planning aspect Previous studies on sustainable energy were examined in terms of energy, and this study employed Abdeen Mustafa Omer’s “Exergy-based optimal energy model” for its high relevancy with urban planning as it expanded residential environment considering economical and social aspects. Omer’s “Energy supply”, “Energy values”, Energy constrains, “Energy destruction minimization’ and “Energy uses” was reset as “Energy supply”, “Energy control”, “Energy environment”, “Energy loss” and “Energy demand”. To figure out urban planning system, it examined previous studies on urban planning responding climate change, and urban planning for energy reduction. The urban planning aspects were described in Land use, Green Transportation, Green·Blue Network, Waste, Green community, Resource Recovery, Energy and Green Building. It found out complicated interaction between energy aspect and urban aspect and attempted to reset planning aspect of urban level in introducing planning elements for the city Introduction of Planning elements To figure out planning elements, it examined previous studies in dividing building and city. In the building, it introduced energy saving building related green home, ZeSH(zero energy solar house and passive house). In a city level, it introduced planning elements from previous studies on energy saving city and climate change responding city. There are three processes in introducing planning elements. First, it checked relevance with carbon, and removed low relevant planning aspects. Second, it described application of planning elements and effect in terms of energy. Third, it reclassified hierarchy in planning, planning element and specific element by considering energy planning aspects and urban level planning aspects. Total 102 planning methods were reclassified in 11 planning aspects of Renewable energy (8), Energy recovery (3), Transportation (16), Land use (6), Green community (8), Water(11), Waste(8), Ecosystem(10), Green IT(8), Architecture(17) and Housing(6). Interview with specialists were carried out to review planning elements and planning system. Through specialist interview, it described the final planning elements into 5 planning aspects of Energy supply, Energy demand, Energy environment, Energy loss and Energy control, into 11 planning section in Renewable energy production, Energy recovery, Landuse, Green community, Microclimate, Water, Waste, Green IT, Architecture and Transportation, and 31 planning elements and 94 detail elements. ③ Availability analysis of planned system 3 level Availability of planning system was analyzed to apply planning system and elements into practice. Level 1 analysis: relevance of planning section and analysis of relative significance ANP method was applied to introduce priority of application according to relative significance of planning section. As ANP method has to construct network to show interrelation between elements, 1st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o figure out interrelation. By considering mutual relevance, it introduced relative significance of planning aspects in the 2nd questionnaire survey by pair comparison between elements. Level 2 analysis: Analysis of availability of planning element To figure out availability of planning elements, it analyzed advanced case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Case study aimed to figure out planning elements of normal application, and to understand trend of recent application of planning elements. Accordingly, it was analyzed by dividing into planning cases and implementing cases. Planning cases included Dongtan, Sejong City and Marsdar, and implementing cases included Hammarby, Malm? and BedZed. Level 3 analysis: Availability analysis of detail elements Questionnaire survey to specialists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domestic availability. Detail availability was evaluated by 3-point Likert-type. By dividing new city and existing city, it examined effects of physical and natural environment, and economic technical and social aspects. The evaluated detail elements were to be reflected in the application. ③ Conclusion Conclusion of level 1 analysis First, planning aspects have complicated correlation. As building has relatively high correlation, it has to consider in planning application. Integrated approach method is required for high correlated relationship in the period of planning: between building and Green IT; among Architecture, Landuse, and Transportation; Renewable energy production, Energy recovery, and Waste. Second, it introduces relative significance with Energy environment(0.291853), Energy demand(0.258706), Energy supply(0.18950), Energy control(0.141945), and Energy loss(0.116997). Third, the priority according to relative significance in planning section was found in Building (0.190889), Landuse(0.166998), Renewable energy production (0.111856), Microclimate (0.109447), Network (0.082668), Energy recovery(0.077644), Water (0.075031), Transportation (0.068817), Green IT(0.059277), Waste (0.041966) and Green community (0.015408). Conclusion in level 2 analysis First, it was integrated in 31 element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planning elements applied to the advanced cases analysis included architectural design system, passive system, active system, bicycle/pedestrian system, eco-friendly means of transportation,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construction, mixed use development, supporting system, housing plan, green space, rainwater harvesting system, water use efficiency, minimization of waste, water recycle for fuel, monitoring, solar PV, solar heat, biomass and waste energy. Second, planning elements expected to be generalized are railway station sphere, control, smart grid, wind power, fuel cell, waste heat and waste water. Conclusion in level 3 analysis First, when availability of detail elements was checked by planning aspect (new city/ existing city) is checked, the availability was found in the order of Energy environment (2.48, 2.25), Energy demand (2.47/2.24), Energy loss (2.38/2.08), Energy control (2.29, 2.04) and Energy supply (2.03/1.82). Second, when availability of 90 detail elements was analyzed that were introduced by energy self-sufficiency urban planning responding climate change, the grade of availability was confirmed per detail elements. 31 detail elements were evaluated to be excellent and good grades (excellent application, and good application), 54 detail elements had partial availability with revision and modification (modified availability), and 1 element was classified as low availability (support availability). When it was applied to existing cities, 8 elements were to be excellent and good grades, 69 elements had partial availability with revision and modification, and 4 elements were classified to be support availability grade. Synthesis of analysis The followings were found by comparing the 3 level analyses. First, it expected high effective for active introduction of energy environment that is easy for availability and high relative significance and modification. Second, relative high relevant building, land use and renewable energy production are high relevance with other planning section. Therefore, it needs prior consideration in the planning. Third, detail elements that are currently applied or to be applied sooner are classified as priority introduction, priority review and modified review grades. Accordingly, when introducing energy self-sufficiency urban planning responding climate change is made, different grades of detail elements can be set up. ④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future task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oncept of energy self-sufficiency city responding climate change, the set up planning system and analyzing the availability for an efficient applicati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reset carbon based urban plan into energy perspective. Second, it raises efficiency as it deals with specific detail elements in planning for its analysis of relative significance, application status, and availability. Third, it sets up strategic direction to introduce energy self-sufficiency city by classifying detail elements of available possibility into new cities and existing cities. However, this study is on qualitative analysis and quantitative effect must be considered too. And it ends up with availability evaluation of detail elements, and therefore needs strategic introduction according to classification and detail element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targeted to generalized domestic cities for energy self-sufficiency urban planning responding climate change, the approach and strategy are required to be specified according to types of application.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deduce specific strategy according to necessary detail elements in applying the review of quantitative verification. Together with this, it is recommended to carry out a study to construct strategies by types of specialty of targ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