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독교대학생들의 자아분화와 정서지능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대희 한국성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분화 정도와 정서지능 정도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실천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목적으로 자아분화와 정서지능의 하위요인들을 설명하고 그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가설을 제시하였다. 첫째, 기독교대학생들의 자아분화 및 정서지능, 취업스트레스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기독교대학생들의 정서지능과 취업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셋째, 기독교대학생들의 자기분화와 취업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넷째, 기독교대학생들의 정서지능이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섯째, 기독교대학생들의 자아분화가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여섯째, 기독교대학생들의 정서지능과 자기분화가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소재에 K·C·H 대학교 재학생들로 총 563명을 조사하였다. 총 563부 중에 15부는 미회수, 무응답과 불성실한 설문지로 판단되어 제외하였고, 548부를 분석 활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Win 20.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용된 통계 분석방법은 F-검증,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등이며, 통계의 유의확률은 .05(5%)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 계수(Cronbach’s a)를 산출하였다. 모형과 가설을 검증하는데 사용된 유효한 설문지는 총 548개로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일반적인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응답자의 특성에 따른 자아분화 및 취업스트레스, 정서지능 척도의 집단 간 차이 검증은 일원변량분석으로 구하였다. 또한 자아분화 및 정서지능,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을 탐색해 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자아분화 및 정서지능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인 효과를 탐색해 보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대학생들의 자아분화 및 정서지능, 취업스트레스의 차이가 검증되었다. 둘째, 기독교대학생들의 정서지능과 취업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가 검증되었다. 셋째, 기독교대학생들의 자기분화와 취업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가 검증되었다. 넷째, 기독교대학생들의 정서지능이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다. 다섯째, 기독교대학생들의 자아분화가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다. 여섯째, 기독교대학생들의 정서지능과 자기분화가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첫째, 기독교대학생들의 자아분화 수준과 정서지능 수준이 취업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대학생들이 자신의 자아분화와 정서지능의 수준을 높여 미래를 향한 하나님의 계획을 명확히 알도록 도와야 한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셋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취업스트레스에 대한 상담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넷째,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하여 자아분화와 정서지능을 높일 수 있는 지지 환경의 중요성을 시사하며 교회, 학교, 그리고 기독교상담분야에서 어느 정도의 책임과 의무감을 가지고 담당할 필요가 있다. 현대의 취업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자아분화 수준과 정서지능 수준 증진 프로그램은 취업에 대한 좌절감과 스트레스 환경에서 오는 심리적인 불안과 경직을 예방하며 적극적으로 문제를 극복하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진로와 취업불안의 상황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알고 소망으로 인내 할 수 있는 도움을 줄 것이다.

      • 북한이탈 대학생을 위한 기독교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 영적 멘토링을 중심으로

        정소영 장로회신학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32447

        이 논문은 북한이탈 대학생들의 남한 사회의 적응을 돕기 위한 기독교 교육적 대안으로서 남한멘토와 북한멘티의 일대일 영적멘토링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를 위해 문헌연구 및 간접적 질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선행연구 자료를 토대로 북한이탈대학생들이 겪는 남한 대학에서의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또한, 네 명의 북한이탈대학생과 한시간 이상씩의 인터뷰를 통하여 대학생활 적응상의 어려움을 더욱 현실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들의 어려움을 돕는 기독교기관현황 분석을 위해 다섯 곳의 북한이탈청소년 지원을 하는 기독교 기관 다섯곳을 방문하거나 기존자료를 토대로 각 기관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기존 기독교 단체의 평가 및 한계 등을 분석한 결과 20명에서 50명 정도의 북한이탈대학생들이 거의 전적으로 자원봉사 선생님들이 맡아 학업적인 지원을 하고 있었으며, 대부분 대학입학 이후보다는 대학을 보내주는 입학전을 위주로 도움을 주고 있다. 대학입학 이후의 학업적 지원과 학생들의 깊은 정서나 심리, 영성이나 신앙적인 부분을 돌봐주는 것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다섯 곳 중 한 곳은 일대일 멘토링 수업을 결연하고 있었으며 간접적으로 정서적인 멘토링도 병행되었으나 좀 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심리 정서적 측면에서의 멘토링은 미비한 아쉬움을 보였다. 현재, 인권의 자유와 생존의 보장을 위해서 남한으로 이주해온 북한이탈주민은 현재 3만여명에 달한다. 한편, 통일 이전에 남한사회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들은 우리에게는 곧 다가올 통일을 더욱 안정적이고 평화롭게 완성할 통일 마중물의 역할을 할 것이다. 더욱이, 북에서 남으로의 이동인구의 비율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20대와 30대의 청년층이며, 북한 이탈 대학생들의 경우 2016년말 1,300명에 달한다. 이들은 남한의 정규교육을 이수한 수준 있는 교양인으로서 장차 남과 북을 모두 이해하며 양자 사이에서 온전한 교량 역할을 할 수 있는 통일인재가 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이 탈북과정에서의 스트레스와 북한체제에서의 트라우마를 안고 있고, 건강한 자아정체성을 가지고 있지 못하며 영적으로 방황하고 있다. 또한, 남한대학생활에서 남북간의 극도의 문화적, 학업적, 관계적, 정서적, 사회심리학적인 차이로 인해 부적응상태에 처해 있으며 직간접적으로 대학생활에서 소외받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부적응 상태를 단순히 경제적, 전시적 도움만이 아니라 좀 더 장기적인 안목에서 영적, 정서적 돌봄과 지지가 필요한 상태로 파악한다. 그러므로 이들에게 필요한 적절한 기독교 교육적 대안으로서 영적멘토링을 제시한다. 제임스 로더에 의하면 인간의 영은 인간존재의 근원인 하나님의 영과 관계하며 그 안에 있을 때에 극복하지 못할 큰 상처까지도 온전히 치유될 수 있고, 더 깊은 내면의 생각을 알 수 있게 된다고 하였다. 또한, 이규민은 인간은 영,혼,육의 유기적 통합체로서 영적으로 돌봄을 받는 자의 내면적 컨텍스트에 귀를 기울여야 참된 영적지도가 가능하다고 했다. 이러한 기독교교육을 위해서 필자가 제시한 영적 멘토링은 남한의 성숙한 그리스도인 멘토와 북한이탈 대학생의 일대일 결연관계를 통해서 지속적이고 헌신적이며 영적으로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관계가 양자 모두에게 우선시 되고 체계적인 프로그램과 기도가 뒷받침 되었을 때, 드디어 성령님께서 역사하실 것이다. 점차로 북한이탈 대학생은 성령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친밀한 삼각 관계를 통하여서 영적 방황을 그치고, 건강한 자아를 찾아 남한사회에서 꿈과 희망을 가지고 살아갈 것이다. 더불어, 장차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꿈을 펼치며 통일 사역자로서의 소명도 가지게 될 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영적 멘토링을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으로 제시하고자 단기(1개월), 중기(3개월), 장기(5개월)로 나누어 세분화 시키었다. 기존 자료가 미비한 상태에서 필자는 원자료로 리처드 윈의 ‘청소년 멘토링’과 양금희 외 장로회신학대학교 남북평화연구소의 통일사역자훈련책자 ‘소원’을 사용하였다. 탈북과정에서 청소년기와 성인전기의 시기를 애매하게 흘려보낸 북한이탈대학생의 특성을 살려서 청소년기의 성장되어야 할 부분을 다룬 청소년 멘토링을 활용했고, 건강한 정체감 형성과 그리스도를 영접한 새로운 통일사역자로서의 비전을 주기 위해 연구된 ‘소원’을 활용하였다, 세 유형의 멘토링 모두 북한이탈대학생의 학업적인 부분을 지원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학업적인 부분은 각 멘토링의 자의에 맡기며 생략하기로 한다. 온전히 영적멘토링 부분만 구성하여 일주일에 한번, 90분간 만남을 가지도록 하였다. 단기멘토링은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정체성 확립을, 중기멘토링은 건강한 남한 대학생활 적응을, 장기멘토링은 건강한 자아정체감과 남한대학생활의 적응 모두에 초점을 맞추며 미래의 통일 사역자로 양성되기 위한 소명감을 부여하는것에 목적을 두었다. 특별히 장기 멘토링은 6주씩 세 부분으로 나누어 ‘나 자신과 마주하기’,‘하나님과 마주하기’,‘하나님이 주신 사명찾기’로 구성하였다. 첫째, 나 자신과 마주하며 과거와 현재의 나와 용서하고 화해하며 상처를 치유한다. 둘째, 하나님을 알아가며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정체성을 찾는다. 셋째, 온전한 그리스도인으로서 정체감을 찾은 북한이탈 대학생은 통일사역자로서의 소명을 발견하고 비전을 향해 노력하며 나아간다. 이상으로. 하나님의 소원인 남북의 통일은 기독교인들이라면 누구나 품어야 할 사명이라 할 수 있다. 더욱이, 현재 이 남한사회에 살아가는 북한이탈주민들은 통일의 마중물로서 하나님께서 보내주신 통일의 마중물이다. 이들을 남한 사회에서 건강한 시민으로 살아갈 수 있게 돕는 것과 통일 사역자로 양성하는 것은 우리 기독교인들의 중요한 과업이라 하겠다. 모쪼록 필자가 연구한 영적 멘토링의 친밀한 관계를 통하여 사람과 사람의 통일이 먼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더 나아가 많은 북한이탈 대학생들이 미래의 영적인 멘토가 되기까지 자라나기를 기대한다. This dissertation intends to study spiritual mentoring as a type of Christian Education to help the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 university students to study in South Korea. For this study, I have carried out advanced research on the difficulties which the North Korean refugee university students face in South Korea. Also, I have interviewed four Nor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to analyze the difficulties they have in South Korea more realistically. Then, I have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the five Christian organizations which support the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in South Korea. I interviewed representatives of the organizations for my studies. Also I studied their literature quite openly with the exception of one organization which imposed an embargo on their literature as they had security problems. The evaluation and limitation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They have an average of 20 to 50 students and 10 to 20 teachers per organization. Almost all the teachers are volunteers and they instruct the students by focusing on how to enter university rather than helping with university study and life. I have found two areas where support is lacking. One is in teaching support after the students enter the university and the other is pastoral support for the students' emotional, mental and spiritual life in the Christian faith. One of the five organizations is trying to do this work but their support is unsystematic and spasmodic. Today, The North Korean Refugees who have left their homes and are searching for freedom and human rights now number over 30,000 in South Korea. Moreover, the largest proportion of university students is in a youth group between the ages of twenty to thirty and comprised over 1,300 at the end of the 2016. The North Korean refugee university students are educated in South Korea to a high standard and have lots of potential to be a real talent for the reunification of Korea. However, almost all of them are wandering spiritually and do not have a healthy ego identity in South Korean life because of the stress they suffered during the process of escaping from North Korea and the North Korean systematic trauma. Also, the cultural, academic, emotional, and social psyc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have caused the students' maladjustment in South Korea and their university, where they often suffer from bullying. This study reveals that the real needs of the North Korean students not only need financial and economic support but also spiritual, caring and emotional support. Therefore, I present that 'Spiritual Mentoring' is urgently needed as an addition to the plan for the solution to Nor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maladjustment. James E. Loder, affirms that the human soul can overcome the deep hurt and unhappiness inside when it meets the Holy Spirit. Kyumin, Lee also asserts that the Spiritual Guide needs to give attention to the inner context of the human being which is the integration of the soul, spirit, and the body. The Spiritual Mentoring I present in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rth Korean student who studies at university and the South Korean Mentor who has mature Christianity. The relationship must be continuous and devoted. The Holy Spirit will work when this relationship is a priority in the life of both the student and their mentor and is supported by a systematic program and prayer. Gradually, the North Korean university student will cease spiritual wandering and will live as a healthy, well- adjusted person through the recovery achieved from the Holy Spirit centered relationship. Moreover, they could have a vision for the Korean Peninsula reunification through a ministry in Christ. I present this Spiritual mentoring as a program defining three steps: Short term mentoring (1month), Mid-term Mentoring (3months), and the Long term mentoring (over 5months). I referred to the 'Mentoring for Teenagers' written by Richard Win and 'So One - the Training Book for the North Korean Refugee Ministry' studied by Professor Ryanggumhee et al. by the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University press. The reason for the references are these: First, the Mentors need to soundly educate their teenagers. Almost all of the Nor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have missed their education as teenagers escaping from North Korea. Second, the Nor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need to form a healthy ego-identity and vision as, hopefully, a reunification ministry worker. All of the three types of the mentoring support study at the university. However, I have focused on the spiritual mentoring. The mentoring lasts for 90minutes every week. The Short term mentoring aims at forming a new identity in Christ, the Mid-term mentoring focuses on sound adjustment in the university life in South Korea. The Long term mentoring goal is to make a skilled worker for Korea's healthy reunification on the basis of the strong identity and sound adjustment in university life in South Korea. The long term mentoring is divided into three parts: 'Facing Myself', 'Facing God', and 'Finding Vision for the reunification of Korea'. Each topic continues for six weeks. To be specific, the first topic intends to forgive the past and heal the inside of the person. The second topic aims at having a new and healthy identity in Christ knowing God. Third, as a committed Christian, the North Korean university student can find and have a vision as a reunification ministry worker and live courageously in his or her own life field. In conclusion. The Reunifi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the hope of God and any Christian must have it as a vision in their mind. Moreover, the North Korean refugee who lives as our neighbour is the key person whom God sent us for the preparation for reunification. Supporting the North Korean refugees to become well adapted citizens in South Korea and educating them to become talented workers for the reunification ministry is the task to be solved for the Christian. I hope that the South and the North Koreans achieve the human reunification first through this Spiritual Mentoring. Ultimately, I hope that more North Koreans grow as a future spiritual mentors for other North Korean Refugees.

      • 기독교인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와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임영광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83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대학생 대상으로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와 감사성향 각각의 단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스트레스와 자살사고로 어려움을 겪는 기독교 대학생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상담적 개입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하나님을 믿고 있는 기독교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73부의 자료를 가지고 SPSS 25.0와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 스트레스, 하나님 이미지, 감사성향, 자살사고 간 모든 변인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 스트레스는 자살사고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하나님 이미지 및 감사성향과는 각각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였다. 또한 하나님 이미지와 감사성향은 자살사고와 각각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였다. 둘째, 생활 스트레스는 자살사고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독교 대학생들에게 생활 스트레스는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을 시사한다. 셋째,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활 스트레스 자체가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고, 생활 스트레스가 하나님 이미지를 매개로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활 스트레스 자체가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고, 생활 스트레스가 감사성향을 매개로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 대한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와 감사성향 각각의 단순 매개효과를 경험적 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둘째,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와 감사성향이 부분 매개의 검증을 통해 기독교 대학생의 자살사고에 대한 개입 방안과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기독교 대학생 상담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imple mediating effect of God's image and gratitude disposition respective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stress and suicide ideation for Christian college students. Through this, we intend to help those students by presenting basic data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suffering from stress and suicide ideation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intervention measures.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who believed in God. A total of 273 stud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using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daily life stress, God's image, gratitude disposition, and suicide ideation was analyz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Specifically, daily life stress showed a significant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suicide ideation, and the image of God and gratitude disposition showed a significant inverse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suicide ideation respectively. Second, daily life str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icide accidents, whichsuggests that daily life stress is a major factor of change influencing suicide ideationfor Christian college students. Third, God's image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stress and suicide ideation, which suggests that daily life stress itself may affect suicide ideationdirectly, or daily life stress may affect suicide ideation indirectly through God's image. Fourth, gratitude disposition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stress and suicide accidents, which suggests that daily life stressf may affect suicide ideation directly, or daily life stress may affect suicide ideation indirectly through gratitude disposi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stress and suicide ideation, each simple mediating effect of God's image and gratitude disposition was verified through empirical research. Second, it is meaningful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stress and suicide ideation, the verification of mediating roles of God's image and gratitude disposition presented intervention measures and basic data for suicide accidents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for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made.

      • 기독교대학 재학생의 역할모델에 관한 연구

        정명희 고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32351

        기독대학생들이 바른 기독교교육을 통해 바른 역할모델을 찾고 그 역할모델을 학습하고 따라가는 것이야말로 이 세상이 주는 가치관을 벗어버리고 기독교적 가치관과 세계관을 가지고 세상을 변화시키는 기독교 인재로 성장하는 길이다. 결국 대학생 시절에 바른 역할모델을 찾는 것은 세상의 가치관 속에서 방황하는 많은 기독대학생들에게 참 기독인으로 성숙하게 해 준다. 이런 의미에서 건강한 역할모델의 선정과 기독교적 세계관에 입각한 기독교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역할모델을 조사해봄으로써 그들의 가치관과 의식구조를 살펴보고, 일반대학교와 기독교대학교 두 집단 간의 역할모델을 비교 분석하여,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기독교 대학생의 하나님 이미지와 자존감의 관계

        김경탁 한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2271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하나님 이미지와 자존감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하나님 이미지와 자존감의 관계는 어떠하며 성별, 학년 그리고 신앙생활년수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또한 하나님 이미지와 관련성을 나타내는 자존감의 하위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P지역 H대학생 315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하나님 이미지 측정도구는 Lawrence(1997)의 God Image Scale 4점 척도로 평가하는 자기보고형 검사 도구를 황혜리(2003)가 번안한 72문항과 Gorsuch(1968)가 개발한 하나님 이미지에 대한 형용사 척도를 박민수(2000)가 사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존감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Coopersmith(1967)가 제작한 Self-Esteem Inventory를 강종구(1986)가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것과 Rosenberg(1965)의 Global Self-Esteem 척도를 이훈진, 원호택(1995)이 번안 사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하나님 이미지와 자존감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 남녀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하나님이미지와 자존감의 학년에 따른 차이와 신앙생활년수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ANOVA(일원변랑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하나님 이미지와 자존감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나님 이미지와 자존감의 하위요인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님 이미지의 하위요인 중 도전과 자아존중감 하위요인 중 타인관계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개인변인(성별, 학년, 신앙생활년수)에 따른 하나님 이미지와 자존감의 관계에서는 성별에 따라 자존감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나님 이미지는 하나님 형용사척도와 하나님 이미지척도 하위영역 중 영향, 임재, 섭리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서는 자아 존중감 하위영역 중 주장확신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신앙생활년수에 따라서는 자아존중감과 그 하위요인 중 지도인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나님이미지의 하위요인 중 수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기독교 묵상이 대학생들의 주의집중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철 中央大學校 2003 국내박사

        RANK : 216015

        본 연구는 타종교의 명상과 마찬가지로 기독교의 묵상이 학교장면에서 학생들에게 내면적 성숙을 통한 주의집중력을 기르고 학습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 국내에서 초등학생,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명상을 통한 실험적 연구가 많았지만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거의 없다는 점을 감안하여 기독교의 묵상이 대학생들의 학습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여 실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기독교의 묵상이 대학생의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킬 것인가? 2. 기독교의 묵상이 대학생의 학습태도 개선에 효과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천안에 소재하고 있는 C대학교의 기독교학부 학생들이 수강하는 3개 반을 임의로 선정하여 이중 2개 반은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1개 반은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였다. 2개의 실험집단 가운데 1개 집단에 대해서는 8주간에 걸친 10분 묵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다른 1개 집단에 대해서는 동일 기간 동안 5분 묵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묵상 프로그램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기존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주의집중력검사Ⅰ과 Ⅱ 및 학습태도검사Ⅰ과 Ⅱ를 개발하여 Ⅰ형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사용하였고 Ⅱ형은 실험 시작 4주후에 실시된 중간검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의집중력과 학습태도에 대하여 모두 3회의 측정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묵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반복측정설계에 대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분석에서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발생한 경우에는 사후 검증을 통하여 집단간 차이의 유형, 검사시기에 따른 효과, 집단과 검사간의 상호작용효과의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묵상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10분 묵상 프로그램이나 5분 묵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의 주의집중력과 학습태도는 실험기간동안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그러나 10분 묵상을 실시한 집단과 5분 묵상을 실시한 집단의 주의집중력 및 학습태도 점수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본 연구의 가설 I-1과 II-1을 기각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둘째, 묵상프로그램을 실시함에 따라 주의집중력과 학습태도는 지속적으로 향상되었다. 즉 10분 묵상과 5분 묵상 프로그램의 효과는 프로그램 실시 후 4주만에 실시된 중간검사와 8주만에 실시된 사후검사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본 연구의 가설 I-2와 II-2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셋째, 묵상의 시간(10분 및 5분)과 묵상 프로그램의 실시 기간(사전, 중간 및 사후검사)은 주의집중력과 학습태도에 상호작용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10분 묵상을 실시한 집단과 5분 묵상을 실시한 집단에서의 8주간에 걸친 주의집중력과 학습태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통제집단에서의 주의집중력과 학습태도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는 달리 10분 묵상을 실시한 집단에서의 주의집중력과 학습태도의 변화는 5분묵상을 실시한 집단에서의 변화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의 가설 I-3과 II-3을 지지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넷째, 묵상의 효과가 실험 실시 후 4주만에 나타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분석에서 알 수 있듯이 주의집중력과 학습태도의 거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초기 4주만에 묵상프로그램의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학교 상황에서 묵상 프로그램이 본 실험에서와 같이 체계적으로 진행될 경우 4주 만에라도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다섯째, 묵상의 효과가 중간검사 이후 후반부 4주에도 지속되는지의 여부와 관련하여 주의집중력과 학습태도에서 초기 4주에 발견된 효과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태도의 하위영역인 학교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는 초기 4주기간 동안에 5분 묵상프로그램의 효과는 없었지만 후기 4주가 지난 후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남으로써, 5분 묵상프로그램을 통하여 학교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지속적인 묵상이 실시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독교 묵상이 일반 명상과 동일하게 주의집중력 강화 및 학습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초?중?고등학생 뿐 아니라 대학생에게도 기독교 묵상의 적용 효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묵상의 시간은 주의집중력과 학습태도에 별 영향을 주지 못했지만 묵상의 지속성은 긍정적인 효과를 지니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에서 기독교 묵상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나눔의 프락시스에 기초한 기독 대학생 진로상담의 모델 연구

        박진희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199631

        Having a career upon college graduation is absolutely necessary task for the purpose of personal growth and the enjoyment of fulfilled life. Christian career counseling to help Christian college students to prepare for, adjust in and maintain healthy career is not general career counseling, but a holistic process on the ground of Christian worldview and sense of calling based on the Scrip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chor essential values of young adults’ career counseling during the period of identity formation on Christian worldview, Christian view of humanity, and biblical view on vocation, so that one can execute one’s career counseling from the practical standpoint of faith to help Christian young adults to adjust in their society as healthy members. Based on our research, we maintain that the essential purpose of Christian career counseling is ‘Change and growth for the purpose of Christian holistic maturity.’ Fo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is researcher began by surveying theoretical concepts related to career and jobs from the Christian viewpoints, and proceeded to design a Christian career counseling model based on Thomas H. Groome’s educational model of Shared Praxis. Furthermore this research will develop a career counseling model for the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by collecting, analyzing, and investigating the contents of that counselors want to deal with in Christian career counseling. These data has been collected by having interviews with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With collected data and developed model, this researcher will suggest practical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result of research. Research process and contents are as follows: In the introduction, it deals with the necessity of research, its contents, its purpose and its methodology, which all explains the overall development of this research. Chapter II categorizes theoretical concepts of career counseling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Christian career counseling for the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career development theory, identity theory, human need theory, and trait factor theory, which are all investigated, and then discusses the management system and forms of career counseling. This research anchors the essential values of Christian career counseling on Christian worldview, Christian view on humanity, biblical view on vocation, and then it discusses their characteristics from the Reformed theological point of view, which is creation, fall and redemption. This chapter examines the meaning of holistic being of Christians created according to the image of God, and the essential meaning of vocation based on the sense of calling. By exploring the integrated approach to counseling, which is at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Christian counseling and secular career counseling, this research gave consideration to the meaning and methodology of Christian career counseling from the integrated point of view. Chapter III examines the curriculum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Shared Praxis, which i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career counseling, based on which it attempts to restructure the design model of Christian career counseling. Christian career counseling based on Shared Praxis is to emphasize the young adults’ task in career as a sanctification process in order to practice a balanced life between “knowledge and life” through the praxis, that is action-critical reflection-new action. In Chapter IV this researcher, based on the needs data that have been collected from the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in receiving career counseling, in order to develop a career counseling model for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put into effect a Christian career counseling model. In order for it be in practice, this researcher suggests the direction of career counseling. For the purpose of approach of career counseling for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who are 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this chapter also deals with mai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young adult, career task, purpose and contents of career counseling from the Christian point of view. Furthermore, it examines the contents and results of interviews with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which were done in order to develop a career counseling model for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Lastly, by basing Christian career counseling modules on the Shared Praxis model, it suggests programs for each term so that one can apply career counseling according to each module by restructuring it with introductory step, recognition step, transformation step, and application step. Chapter V is a conclusion to research thesis by summarizing the thesis, added with conclusions, with limits of research and by offering additional research themes that would supplement this research for the future. Christian career counseling based on the Shared Praxis is a process in which it guides holistic change and growth with regard to the student’s career task, having accepted the overall context of Christian worldview on the program based on the Scripture. Therefore, the identity and role of a counselor is a very significant task.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career counseling program according to life developmental tasks and its application is a task that one needs to deal with in the practical field of Christian counseling. The academic approach of Christian career counseling based on Christian worldview, and integrated research on career counseling according to Christian reevaluation of secular academics are the tasks that are in need of development and complemented in the academic area of Christian couns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