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른 이야기나누기 실제 /박진희

        박진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을 자기 평가를 통하여 진단하고, 이러한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라 이야기나누기 실제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위의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전문성 발달 수준이 높은 유치원 교사의 이야기나누기 실제는 어떠한가? 2. 전문성 발달 수준이 낮은 유치원 교사의 이야기나누기 실제는 어떠한가? 3. 전문성 발달 수준이 높은 유치원 교사와 낮은 유치원 교사의 이야기나누 기 실제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소재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교사 중 300명을 무선으로 표집하여 전문성 발달 수준을 자기평가를 통해 파악한 후, 상위 10%와 하위 10% 교사들 중 전문성 발달 수준 외의 다른 배경변인(기관유형, 경력, 학력, 담당학급 유아 연령 및 유아 수)이 유사하고 본 연구의 취지를 이해하는 교사 4명씩을 각각 선정하여 총 8명의 유치원 교사였다. 사례 선정을 위해 사용한 전문성 발달 수준 평가 도구는 백은주와 조부경(2004)이 개발한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 자기 평가 도구’이다. 연구 대상 유치원 교사들의 이야기나누기 실제를 알아보기 위해 이야기나누기 수업을 각각 2회씩 본인이 직접 촬영하게 한 후 총 16개 비디오테잎을 회수하였다. 이야기나누기 실제 비디오를 전사 한 후 전사본의 내용을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성 발달 수준이 높은 유치원 교사들은 ‘이야기 주제 선정’에 있어 유아들의 경험과 흥미를 고려하여 주제를 선정하였다. ‘사전 준비 및 매체 활용’에 있어서는 두 가지 이상의 매체를 사용하며 그림자료 또는 컴퓨터와 프로젝션 TV를 활용한 자료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행과정’을 살펴보면, 유아들의 흥미 유발을 위한 도입을 하지만 부연 설명이 많고, 다양한 확산적 질문이 부족하였다. 유아들의 반응에는 잘못된 반응까지도 무조건적으로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며, 유아들이 부적절한 행동을 보였을 때 지시나 명령과 같은 직접적인 언어적 통제를 사용하여 유아 행동을 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요시간 및 마무리’에서 유아들의 주의 집중 능력에 적합한 시간을 소요하였으나 수업내용을 종합하는 체계적인 마무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성 발달 수준이 낮은 유치원 교사들은 ‘이야기 주제 선정’에 있어 교사들 간에 개념이나 지식 학습을 위한 주제를 선정하거나 유아들의 경험과 연계되는 주제를 선정하는 차이를 보였다. ‘사전 준비 및 매체 활용’은 한 가지 이상의 매체를 사용하였고, 그 중 일부 유아 발달 수준에 부적절한 매체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성 발달 수준이 낮은 유치원 교사들이 선호하는 매체로는 그림자료로 나타났다. ‘진행과정’에서도 도입 부분에서 유아들의 흥미를 고려하지 않고 개념 설명으로 도입하거나 유아들의 흥미 유발을 위한 도입을 하여 교사들 간 차이를 보였다. 또한 유아들의 부적절한 행동에 대한 행동 관리 측면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적절한 행동 조정을 하지 않고 방치하거나 문제 행동과 반대되는 행동을 하였을 때 강화를 함으로써 부적절한 행동을 조정하였다. 반면 공통적으로 수렴적 질문을 사용하고, 지식을 강조하는 교사의 설명이 많으며 잘못된 반응에 대해 단서를 제공하거나 새로운 질문을 하여 하나의 정답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요시간 및 마무리’에서 전문성 발달 수준이 높은 유치원 교사들과 공통적으로 15-25분의 소요시간을 보여 유아들의 집중 능력에 적절한 시간을 소요하였으며, 흐트러진 수업분위기로 인해 급히 마무리하는 1명의 교사를 제외한 3명의 교사들은 교사주도적이며 지식위주이긴 하였으나 수업에 대한 전반적이고 종합적인 마무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른 ‘이야기 주제 선정’에 있어 두 집단의 대부분의 교사들은 유아들의 경험과 연계되고 흥미를 고려한 발달에 적합한 주제를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문성 발달 수준이 낮은 유치원 교사 2명은 사실이나 개념 학습을 위한 주제를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준비 및 매체 활용’에 있어 두 집단의 대부분의 교사들은 수업에서 한 가지 이상의 매체를 사용하며, 그림자료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프로젝션 TV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문성 발달 수준이 낮은 유치원 교사들 중 1명의 교사는 유아 발달 수준에 적절하지 않은 매체를 사용하였다. ‘진행과정’에 있어 두 집단 유치원 교사들은 ‘확산적 질문 부족’, ‘교사의 부연 설명’과 같은 공통된 특징을 보였다. 반면, 이러한 공통점 외에 차이점이 나타나기도 하였는데 ‘도입’부분에 있어 전문성 발달 수준이 높은 유치원 교사 4명과 전문성 발달 수준이 낮은 유치원 교사 2명은 유아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도입 방법을 사용하였고, 전문성 발달 수준이 낮은 2명은 유아들의 흥미를 고려하지 않고 개념 설명으로 도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차이점은 유아들이 잘못된 반응을 했을 때 전문성 발달 수준이 높은 유치원 교사들은 대부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반면에 전문성 발달 수준이 낮은 유치원 교사들은 단서를 주거나 새로운 질문을 하는 등 유아들이 바른 답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해주었다. 유아들의 부적절한 행동에 대해서 전문성 발달 수준이 높은 유치원 교사들은 4명 모두 지시나 명령과 같은 직접적인 언어적 통제를 하였다. 반면 전문성 발달 수준이 낮은 유치원 교사들 중 2명의 교사들은 소극적으로 대처하거나 방치를 하였고, 나머지 2명은 바른 행동에 대해 강화함으로써 긍정적인 방법으로 유아들의 행동을 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른 이야기나누기 실제의 진행과정에서 두 집단의 공통점을 중심으로 질적 차이가 크게 나지 않으며,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기는 하지만 두 집단 중 한 집단의 이야기나누기 수업의 질이 높거나 낮다고 말할 수 없었다. ‘소요시간 및 마무리’에 두 집단 유치원 교사들의 이야기나누기 소요시간은 대체적으로 15-25분으로 유아들의 주의집중 능력에 적합하였다. 수업의 마무리에 있어서는 전문성 발달 수준이 높은 유치원 교사 4명과 전문성 발달 수준이 낮은 1명의 교사는 공통적으로 ‘수업분위기가 흐트러짐에 따라 급하게 마무리’하는 공통점을 보였다. 반면, 전문성 발달 수준이 낮은 유치원 교사 중 1명의 교사를 제외한 3명의 유치원 교사들은 지식을 강조하긴 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수업 내용을 종합, 정리하여 체계적인 마무리를 하여 전문성 발달 수준이 높은 유치원 교사들보다 더 적절한 수업마무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서로주체적 만남을 위한 지역 축제 지원방향 연구

        박진희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mid-1990’s, era of a full-scaled local self-government was opened and many local governments made a plan for festivals as a policy project. In addition to this, the GDP of Korean people and individual desire for a better life and leisure times continued to increase as well. When such political and social factors met, the number of festivals skyrocketed. This increased number of festivals resulted in the competitions among them and some negative side effects such as commercialization of festivals, standardization and the exclusion of local people have emerged. From 1998,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as designated some of the commercial festival in tourism-wise as cultural tourism festivals and has supported them financially. However, such financial supports made a competition fiercer. Researches on commercialization of Korea’s festival were mostly conducted in liberal arts and social area. However, whether the properties of a festival -subversive meaning, dependence on the sacred and nature of enjoyment- can be applied to regional festivals in Korea remains as a question because locals that researchers have met at a festival recognized a festival as a form of welcoming guests. The fact that a festival is regarded as ‘welcoming guest’ means that local people are holding a other-directed viewpoint that emphasizes exchanges with strangers. This is a different from other festivals in overseas in which local people engage in, enjoy and become a center of. Then, What Koreans have to do to become a center of the festival, with other-directed viewpoint? What meanings and purposes should local festivals have? How to overcome negative fire backs shown from commercialized festivals?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answer at ‘intersubjectivity’ which is a philosophy of other-directed subjectivity. ‘Intersubjectivity’ is a notion that I can be what I am via a communication with others. Such a philosophy will contribute to overcome the current situation that a communication with others in a local festival is used as a mean rather than a purpose. Especially, ‘intersubjectivity communication’ pursues a spirit full of warmth, understanding and delight. When a local festival helps to find myself new, myself with neighbors and myself in the regions via ‘intersubjectivity communication’, only then the festival full of warmth would be able to emerge. The study suggest a philosophy of ‘intersubjectivity’ and ‘communication’ that is a core of it as a new purpose that suit the Korean local festivals, instead of activation of local economy and designate a supports direction on what resources are needed when such a local festival is made in which intersubjectivity communication are conducted. Intersubjectivity is a other-directed subjectivity that this study is based on a belief that economical pursuits in festivals will be eliminated when the purpose of the festival is set as ‘intersubjectivity communication’. The study i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and the flow of a festival are looked into via literature research. Second. The current status quo of Korean festivals are examined based on ‘Comprehensive Local Festival Chart 2015’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shed light on the meaning of a festival in the modern era. Third, the philosophy of Intersubjectivity is suggested as a philosophical value of which current festivals should follow, and three communications are offered for Intersubjectivity local festivals. Forth, Boseong Dahyang Festival, Boryeong Mud festival, and Doduorae Water Festival that are cultural tourism festival in 2015 were closely examined by actually visiting. With qualitative researches, the four elements that consist of a festival-origin, meaning, environment, and activity-are compared and analyzed. Fifth, a check list is made to diagnose in details on what to supports for a festival to grow as an intersubjectivity local festival and as for this, Doduorae water festival was examined. Based on results earned from it, the direction in the future is suggested. Diagnosis on a local festival via a checklist and supports direction made from the result of it will become helpful resources for professionals in various are including cultural theorist, festival organizer, communication professional and public environment designer and will be a supplemental means to resolve the current issue of the local festival. 1990년대 중반, 본격적인 지방자치 시대가 열리면서 지자체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사업으로 축제를 기획하였다. 더불어 국민소득이 증가하면서 더 나은 삶과 여가에 대한 개인적 욕구가 증가하게 되었다. 이런 정치·사회적 상황이 만나 축제의 수는 가히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축제의 증가는 같은 목적을 추구하는 축제 간의 경쟁을 초래하였고, 축제의 상업화, 획일화, 지역민 배제화 등 부정적인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1998년도부터 문화체육관광부는 관광 상품성이 있는 축제를 문화관광축제로 선정하고 축제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원은 오히려 축제간의 경쟁을 부추기고 있다. 한국 지역축제의 상업화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인문, 사회 분야에서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 분야의 축제 이론가들이 말하는 축제의 속성인 ‘전복적 의미, 신성한 것에로의 의지, 유희적 본성의 문화적 표현’을 한국 지역축제에서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가 하는 데는 의문이 남는다. 왜냐하면, 연구자가 직접 만난 지역축제 현장의 주민들은 축제를 ‘손님맞이’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축제를 손님맞이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은 주민들이 타인과의 교류를 중시하는 타자 지향적 관점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이는 외국의 여러 유명한 축제에서 주민들이 스스로 즐겁게 놀고 축제에 빠져들면서 축제의 주인이 되는 것과는 다른 양상이다. 그렇다면 타자 지향적 사고방식을 가진 한국의 지역민들은 어떻게 축제의 주인이 되어야 하는가? 현재의 지역축제는 어떤 의미와 목적을 담아야 하는가? 또한, 경제적 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지역축제에서 나타나는 부정적인 현상들은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 것인가? 연구자는 타자 지향적 주체성의 철학인 ‘서로주체성’에서 해답을 찾고자 하였다. 서로주체성은 타자와의 만남을 통해 내가 될 수 있다는 주체성의 철학이다. 이러한 철학은 지역축제에서 타자와의 만남이 목적이 아닌 수단으로 전락하고 있는 현상을 극복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특히 ‘서로주체적 만남’은 온정과 이해, 환희로 가득한 정신을 추구한다. 지역축제가 ‘서로주체적 만남’을 통해서 새로운 나의 모습, 이웃과 함께하는 나의 모습, 지역과 만나는 나의 모습을 발견할 때, 비로소 온정이 가득한 축제의 현장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축제가 목적으로 삼고 있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대신하여, ‘서로주체성’의 철학과 이 철학의 핵심인 ‘만남’을 지역축제의 새로운 목적으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대신하여 한국 지역축제에 맞는 새로운 목적인 ‘서로주체성’의 철학과 이 철학의 핵심인 ‘만남’을 제시하고, 서로주체적 만남이 이루어지는 지역축제를 만들어 갈 때, 어떤 지원이 필요한지 지원 방향을 설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로주체성은 타자 지향적인 주체성으로, 본 연구는 축제의 목적을 ‘서로주체적인 만남’으로 설정할 때, 경제적 이윤을 목적으로 하였던 축제들에서 나타나는 부정적인 현상들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전제로 한다. 연구는 다음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축제의 의미와 흐름을 짚어보았다. 둘째, 2015년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역축제총괄표’를 기준으로 한국 지역 축제의 현황을 살펴보고 현대사회에서 축제의 의미가 무엇인지 조명해 보았다. 셋째, 현재의 지역축제가 담아야 할 철학적 가치로 서로주체성의 철학을 제시하였으며 서로주체적 지역축제를 위한 3가지 만남을 제시하였다. 넷째, 오늘날의 지역축제 현상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2015년 문화관광축제인 보성다향대축제, 보령머드축제, 도두오래물축제의 현장을 축제 기간 중에 답사하고,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축제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4가지 요소인 유래, 의미, 환경, 활동을 비교분석하였다. 다섯째, 서로주체적 지역축제로 성장하기 위하여 어떤 부분들을 지원해야하는지 구체적으로 진단하고자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도두오래물축제를 점검하였고, 이를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지원방향을 제시하였다. 체크리스트를 통한 지역축제 진단표와 그 결과로 작성되는 지원방향은 문화이론가, 축제기획가, 커뮤니케이션전문가, 공공환경디자이너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며, 지역축제가 안고 있는 현안을 해결하고자 할 때 하나의 보완책이 될 것이다.

      • 삼국의 쟁패와 그 영역 변화

        박진희 단국대학교 1982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battles amomg the three dynasties(Koguryo- 高句麗 , Silla- 新羅 , Baegje- 百濟) were repeated throughout six centuries from the mid-first century till the mid-seventh century. the battles amomg them grew fiercer and fiercer century after century, and were at their height of fiercer-ness in the seventh century. specially, the battles be-tween Silla and Baegje were most frequent in the seventh century. The three dynasties expanded their territories in the course of the battles and the expansion of the territories resulted in the alterations of their boundaries. The survey of the alterations of the boundaries of the three dynasties representing the changes of their territo-ries shows the following facts. First, in the fourth cen-tury Baegje bordered Koguryo at the basin of the Yesung River( 禮成江 ) and expanded its territory greatly by occu-pying the district of Choongchung(忠淸道 ) and Julla( 全羅道 ). Second, in the fifth century Koguryo contintued to advance south and bordered Baegje and Silla at the districts of Namyang( 南陽 ), Goesan( 傀山 ), Joryong( 鳥嶺 ), Jugryong( 竹嶺 ), Youngju( 榮州 ), Chungsong( 靑松 ) and so on, and occupied the greatest territory in the course of battles against Baegje and Silla. Third, Silla expanded its great-est sphere of influence in the sixth century by possessing exclusively the area of the Han River( 漢江 ), increasing its power over the district of Hamheung Plain( 咸興平野 ), and occupying the whole province of Kyoungsang( 慶尙道 )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regions of Kaya( 加耶 ). In the course of the expansion of the territories of the three dynasties, the places where the battles were frequent or fierce became the passages of attacks or the defense lines for the dynasties concerned. The typical examples of those places(the battle lines) were the whole basin of the Yesung River for Koguryo and Baegje; the districts of Boeun( 報恩 ) and Okchun( 沃川 ), Muju( 茂朱 )and Youngdong( 永同 ), and Woonbong( 雲峯 ), Hamyang( 咸陽 )and Hapchun( 陜川 ) for Baegje and Silla; the whole basin of the Yimjin River( 臨津江 ) for Koguryo and Silla; and the district of Joryong and Jug-ryong as the passage to the north for Silla. And in the course of the battles for the expansion of the territories amomg the three dynasties, the western coastal region of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is, the region of the Han River from the area south of the down-streams of the Yesung and Yimjin River to the area north of the Bay of Ahsan( 牙山灣 ) was changed hands many times. The reason why the three dynasties Tought again and again for the occupation of the region of the Han River is that it was significant not only politically but also eco-nomically and militarily. Silla was able to unify the three dynasties because the region was finally under its occupation.

      • 카피의 '낯설게하기'를 통한 광고 크리에이티브 구성에 관한 연구

        박진희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낯설게하기’는 19세기 말에 등장한 형식주의 문학이론의 대표적인 용어이다. 하지만 현대에 이르러서는 과거의 문학이론에 국한되지 않고 광고 크리에이티브의 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기법으로 종종 사용된다. 본 연구는 러시아 형식주의자들의 ‘낯설게하기’가 현대 광고 크리에이티브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텍스트의 두껍게 읽기를 통해 살펴보고 ‘낯설게하기’가 광고 크리에이티브에 어떤 가치를 갖는지 이론을 통해 재해석하였다. 현대의 소비자에게 광고는 일상이 되어버렸다. TV를 틀면 원하든 원치 않든 광고를 보게 된다. 또한 광고는 궁극적으로 제품을 팔기 위한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소구한다. ‘낯설게하기’는 그 일상적인 광고에 돌맹이를 던진다. 문학에서의 ‘낯설게하기’가 일상어의 파괴를 통해 문학작품을 새롭게 느끼게 만든 것처럼 광고의 ‘낯설게하기’는 소비자들이 식상하게 생각했던 광고를 새롭게 느끼고 주목하게 한다. 단지, 크리에이티브만을 위한 광고기법이 아니라 소비자의 주목을 끌고 이해를 돕기 위한 형식으로서의 가치를 갖는다. 논자는 러시아 형식주의의 ‘낯설게하기’ 가 무엇인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살펴보았다. 광고는 이미지와 카피로 구성되어 있지만 ‘낯설게하기’의 근원이 문학이기 때문에 카피를 중심으로 텍스트 연구를 하였다. 따라서 광고의 ‘낯설게하기’ 유형을 문학에서 대표적으로 논의된 언어, 구성, 대상을 중심으로 세가지로 나누었다. 각 유형별 예로 든 광고는 모두 2006년에 방영된 광고이다. 논문이 쓰여진 해의 광고를 살펴보는 이유는 현대광고의 크리에이티브 경향과 구성을 해석해하는 것이 보다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주제어 : 낯설게하기, 언어, 구성, 대상, 크리에이티브, 두껍게 읽기 This study shows how the concept of "Defamiliazation" originally seen in Russian formalism literary theories in the late 19th century can be utilized to explain the modern advertising creative. This line of research question could be a valid one in that the process of transforming literature into new form through destruction of everyday language is similar to ‘unfamiliar’ technique we can find in the modern advertisements. Nowadays advertisements became a part of consumer’s life. "Defamiliazation" makes consumers to be focused on the advertisements by objecting these "ordinary" advertisements. It is found in the results of this case study that the copy strategies by making use of defamiliazation would act at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the copy language, the copy composition, and the manipulation of the object. It suggests that the modern advertising copies should be understood as a language in total, and the concept of defamiliaz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tool for analyzing the advertising strategies.

      • 가톨릭 청년세대 냉담자의 탈교회화 심층 연구

        박진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 사회에서 청년 세대 무종교인의 수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와 더불어 가톨릭교회 내에서는 청년 세대의 냉담률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무종교인의 증가와 관련하여 개신교회의 가나안 성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과 다르게 가톨릭교회의 냉담자는 무종교인의 증가현상과 연결되어 연구되고 있지 않으며, 냉담자 증가의 원인분석과 그 과정에 대한 연구 특히 청년 냉담자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가톨릭 청년세대 냉담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가톨릭 청년 세대 냉담자들의 냉담의 원인과 냉담 이후의 종교적 정체성의 재구성 과정을 살펴본다. 분석틀로 첫째, 종교적 사회화를 기준으로 교리와 세계관의 수용여부가 결정된다. 둘째, 권위주의는 냉담과 이탈을 일으키는 큰 요인이며 조직의 특수성과 문화에 따라 조직에 대한 불만 등은 항의 없이 침묵과 이탈로 나타날 수 있다. 셋째, 청년세대의 경우 무한경쟁하에서 생존의 문제가 교회의 의무나 종교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다. 넷째, 종교적 정체성은 각 개인에게 종교적 세계관을 수용하고 내면화하는 정도와 종교 활동의 긍정적 체험 여부, 교회 권위의 인정 여부에 따라 다르게 재구성한다. 연구방법으로 20대와 30대 가톨릭 청년세대 냉담자 20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개인이 교리와 세계관을 수용하는 정도, 조직과 네트워크의 적응 및 사회화정도, 행복과 위안을 추구하는 입장에 따라 냉담의 과정에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끼친다. 청년세대 냉담자들은 종교적 정체성을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째, 전통적 정체성이다. 전통적 정체성은 교회의 전통적 유산과 가치를 존중하고 따르려한다. 종교적 세계관을 수용하고 내면화하였으며, 종교 활동의 긍정적 체험 경험이 있는 충실한 신자의 형태이다. 둘째, 탈교회적 정체성으로 전통, 집단, 가족의 종교적 권위를 해체하며 제도 종교에 얽매이지 않는 입장을 갖는다. 종교적 세계관을 수용하지도 않을뿐더러 교회의 권위도 인정하지 않는 성향을 갖고 있었다. 셋째, 유동적 정체성은 전통적 정체성이나 탈교회적 정체성과 다르게 전통적 정체성과 탈교회적 정체성 사이의 유동적인 경향을 갖고 있다. 유동적 정체성은 개인적 주관 혹은 가치관에 입각할 수 있고, 사회적 공리성에 배태되어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가톨릭교회의 청년세대 냉담자를 그 대상으로 하여 탈교회화 발생 현상에 관한 심층연구를 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냉담자들이 냉담을 선택하는 이유와 과정, 그 의미의 중요성에 대해 깊이 있게 확인할 수 있으며, 종교적 정체성의 재구성과 그 변화의 역동성을 포착하였다. In Korean society, the number of young people with no religion is gradually increasing. Moreover, the proportion of unchurched believers in the young generation is increasing in the Catholic Church. However, unlike the active study of Protestant Canaan saints in relation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non-religious groups, the unchurched believers in Catholic churches were not researched in conjunction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non-religious. Even there were few studies on the cause of the increase and the process in the number of unchurched believers, especially in Catholic young adults. Therefore, this paper will conduct in-depth interviews with the unchurched believers of the Catholic young adults and examine the cause of the unchurched believing of the Catholic young adults and the process of rebuilding the religious identity after the unchurched believing. In the framework of analysis, first of all, it is decided whether to accept the doctrine and world view based on religious socialization. Secondly, authoritarianism is a major cause of unchurched believing and “exit”, and following the distinctiveness and culture, the dissatisfaction of the organization may give rise to “silence and exit” without “voice”. Third, in the case of the young, the problem of survival under limitless competi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hurch duties and religious life. Fourth, religious identity is reconstruc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egree to which each individual accepts and internalizes a religious world view, whether he or she has a positive experience of religious activities, and whether or not the church authority is recognized.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religious identity of the unchurched believers in young adults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it is traditional identity. Traditional identity respects and tries to follow the traditional heritage and values of the Church. It is a form of believers who have accepted the religious worldview, internalized, and had positive experiences in religious activities. Secondly, under the unchurched identity, unchurched believers disassemble the religious authority of tradition, group, and family and have the position not to be bound by the institutional religion. They do not accept the religious world view, but they also tend not to recognize the authority of the church. Thirdly, liquid identity has a flexible tendency between traditional and unchurched identity, which is unlike both. Liquid identity can be based on personal subjectivity or values and it may result from the exclusion of social utilitarianism. This study can be foun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has done a deep study on the phenomenon of the unchurched, targeting the unchurched believers in Catholic young adults. The reason and process and the significant meaning of the unchurched believers can be confirmed deeply, and the reorganization of religious identity and the dynamics of its change can be read.

      • 나카지마 아쓰시와 '타자'로서의 조선

        박진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나카지마 아쓰시(中島敦)와 ‘타자’로서의 조선 박진희 본 논문은 일본의 근대작가 나카지마 아쓰시(中島敦)의 작품을 통해서 그가 가지고 있었던 조선인식을 살펴보고, 그것을 통해 나카지마 문학의 윤리성을 일본 근대문학사 속에서 재조명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나카지마 아쓰시(이하 나카지마로 함)는 일본의 근대 문학자들 가운데서도 식민지 공간에 대한 체험을 누구보다 풍부하게 소유하고 있는 사람일 것이다. 그리고 그는 일본의 근대 문학의 일반적 경향성이 정한 도구로써의 식민지 ‘타자’에 대한 의견을 다른 문학자들과 달리 했던 작가 중의 한 사람이기도 하였다. 나카지마에게도 역시 아시아의 국가들은 ‘타자’로서 존재하였지만, 그 ‘타자’의 정의를 달리하고 있다는 것을 이 논문의 출발점으로 설정하고자 한다. 기존의 작가들이 아시아를, 특히 조선을 그 미개함에 비추어 일본의 우월함을 확인 받는 ‘타자’로 설정했다면, 나카지마는 오히려 그러한 일본중심적 사고에서 빠져 나와 일본과 외부(조선)의 경계에 서서 ‘자기’를 바라보는 것으로, 조선을 통해 일본의 식민지배에 대하여 스스로 성찰하고 되돌아 보게 하는 ‘타자’로서 두고 있었다. ‘자기 확인’이나 ‘자기 강화’의 도구가 아닌 ‘자기’와 ‘타자’ 사이의 갈등을 통하여 다시 ‘자기’로 돌아가, 스스로를 성찰하게 만드는 나카지마의 ‘타자’는 진정한 ‘타자’ 발견의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나카지마 문학의 특질로서 근대 일본 문학사의 윤리적 맥락에서 그가 지니고 있었던 ‘타자’에 대한 시선을 재평가하고자 하였다. 나카지마의 문학작품 중에서도 식민지 조선을 ‘타자’로 설정하고 있는 소설 세 편을 살펴보는 것에서 그의 문학의 출발점을 되짚어 보고, 일생을 ‘자기’의 추구에 목말라 있었던 그에게 있어 ‘타자’의 존재가 가지는 무게에 대해 고찰해 보는 기회로 삼을 수 있었던 것 같다. 일제의 식민통치하 절망과 고통의 시대를 살았던 조선의 모습과 조선인의 삶을 바라보는 작가의 시선을 따라가다가 보면 그들을 조명하는 것에서 방향을 되돌려 어느 샌가 자기 자신의 모습을 비추는 나카지마와 맞닥뜨리게 된다. 그리고 여태까지의 인식에서 ‘더럽고 미개’하였던 식민지 조선도 실제로는 스스로 자각하고 행동하는 의지를 가진 주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작가의 ‘타자’에 대한 인식과 자신을 철저하게 내부와 외부의 경계점에 두려고 하는 양심의 작용을 살펴볼 수 있었다. 작가로서 시류에 휩쓸리지 않고 항상 날카로운 자아의 상태로 깨어있고자 했던 그의 의지는 아직 어린 시절에 썼던 습작들에서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가 있었다. 그런 의미에서 본고에서 살펴본 나카지마의 작품군 중에서도 아주 초기의 소설 세 편에서 그가 어떤 마음가짐으로 식민지 조선의 ‘타자’와 만나고, 그것을 체험하였는가를 다루어 보는 작업에 의의가 있었다고 생각한다. 스스로 자신의 시대가 문학을 하기에는 상황이 나쁘다고 말하면서, 그럼에도 ‘전쟁은 전쟁, 문학은 문학’이라고 주장하며 굳은 심지로 문학에 전념하고자 했던 그의 투철한 문학자로서의 신념을 통해서도, 그가 문학에서 추구하고자 하였던 작가로서의 윤리를 들여다 볼 수 있었다.

      • 국어 절 접속의 의미관계 유형에 대한 연구

        박진희 서강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thesis aims mainly to classify semantic relations on clause linking in Korean and secondly to examine grammatical properties of clause linking classified under the same semantic relation type. With this approach we expect a elaborate and consistent description of clause linking in Korean. In chapter 1, I define clause linking in Korean as semantic relations between state of affairs and state of affairs. With this definition we can differentiate clause linking from adverbial clauses whose semantics is to describe and specify main clauses. Examining previous studies on clause linking in Korean I point out that there remain many questions about semantic relation and grammatical properties of clause linking. In 2nd chapter I conduct preliminary research to classify the semantic relations on clause linking. I define coordination as a type of semantic relation that is out of accordance with the syntactic structure and suggest to introduce a rule for the coordinate semantic relation on hierachical syntax. I present the differences between coordinate and subordinate semantic relations. Examining on typological studies and a scrutinazing data from Sejong corpus I argue that each of coordinate relation and subordinate one is classified into sub-semantic types and describe them in outline. In addition I suggest methodological terms, intrinsic property and extrinsic property, to describe the distinctive grammatical features of clause linking. At the end, I take a close look into illocutionary force, modality and evidentiality, the 3 typical grammatical features of clause linking. From chapter 3 to 6, I examine defining the property, sub-semantic types and distinctive grammatical feature of each semantic relation types in detail. 3 coordinate relations such as enumeration, contrast, alternatives are explored in chapter 3. Under the consideration symmetry as criterion, enumeration has conjunction and addition as its sub-semantic types, contrast has adversative and addition, and alternatives has disjunctive and preference. Enumeration is grouped by illocutionary force and modality, contrast is considered a semantic relation that expresses not undesirable consequences but the difference between linked clauses. Alternatives are organized under the criterion of free choice interpretation and inclusive or exclusive disjunction interpretation. In chapter 4, I explore temporal and background. Although they are classified as a type of subordinate relation, the semantic relation between preceding clause and following clause is weak because of the lack of necessary involvement with inference. Temporal is grouped as temporal relation and temporal background that has both temporal and background property. Background has 2 sub-semantic types, presentation that preceding clause introduces what would be described in following clause, presupposition that preceding provides foundation for what would be asserted in following clause. Presentation has a sub-semantic type which exhibits evidentiality and which is organized by intrinsic and extrinsic evidentiality properties. Chapter 5 covers concessive and conditional. Concessive is defined as a semantic relation that describes undesirable consequences and exhibits the spectrum of factuality as conditional does. Conditional sub-semantic types under the criterion of factuality are more diverse than concessive and conditional has a distinctive sub-semantic type that requires deontic illocutionary force and deontic modality. In chapter 6, I investigate causal and purposive. Causal is classified by illocutionary force, which represent the difference of three semantic domains of causal. There exists a correlation between modality and evidentiality of causal, in that the possessor of evidentiality changes depending on the type of modality. Purposive is classified by volitive and illocutionary force. The description of various constructions involved with purposive follows. Chapter 7 is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본고는 국어의 절 접속을 대상으로, 일차적으로는 선행절과 후행절이 맺는 의미관계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차적으로는 각 의미관계 유형에 속하는 절 접속의 변별적 문법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절 접속 전체를 아우르는 정교하고 일관적인 문법 기술을 기대할 수 있다. 1장의 주요 내용은 연구의 대상을 분명히 하고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연구의 목적을 분명히 제시하는 것이다. 절 접속의 개념적 속성을 사태와 사태의 의미관계로 정의하여 접속절과, 후행절의 가리키는 사태를 한정·서술하는 수식 부사절을 구분한다.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지금까지의 절 접속에 대한 연구가 통사 구조에 천착해 왔음을 지적하고, 절 접속이 나타내는 의미관계의 전체적인 구조를 정교하고 일관적으로 기술하는 데 본고의 목적이 있음을 명시한다. 2장에서는 절 접속의 의미관계 유형을 분류하기 위한 기본적 논의가 이루어진다. 대등 접속을 절 접속의 통사 구조와 의미 해석이 합치하지 않는 의미관계로 정의하고 대등 접속의 의미관계를 계층적인 통사 구조에 도입하는 의미 해석 규칙을 제안한다. 대등 접속과 종속 접속에 속하는 의미관계 유형에 대해서는 절 접속의 의미관계가 논리 정연한 의미 체계를 이루고 있다고 전제하지 않고 유형론적 연구와 국어 자료의 전면적인 검토를 통해 각 의미관계 유형들을 분류하게 된다. 이어, 각 의미관계에 속하는 절 접속의 변별적 문법 특성을 기술하기 위해 본래적 특성과 관계적 특성을 구분할 것을 제안하고 여러 의미관계 유형에서 나타나는 주요 문법적 특성인 수행력과 양태, 증거성의 개념에 대해 검토한다. 3장부터 6장에 이르는 본론에서는 각 의미관계 유형에 대해 개념적 속성과 하위 의미 유형, 문법적 특성에 대해 논의한다. 3장에서는 대등 접속의 의미관계 유형인 나열, 대조, 선택으로 나누어 살펴볼 것인데, 대칭성을 기준으로 할 때 나열은 순접과 첨가, 대조는 역접과 첨가, 그리고 선택은 이접과 선호의 유형으로 분류된다. 나열의 절 접속은 수행력과 양태, 구문적 특성을 기준으로 분류되고, 대조의 의미관계는 선행절과 후행절의 상이(相異)를 드러내는 것으로 정의하여 기대의 부정을 개념적 속성으로 하는 양보와 구분한다. 선택의 의미관계는 비현실성의 양태적 속성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하위 의미 유형인 선호는 양태 의미가 의미관계에 포함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한편, 이접의 의미관계 유형은 자유 선택과 지정 선택, 배타적 해석과 포괄적 해석의 체계를 이루고 있음을 주장하게 된다. 4장에서 살펴본 시간 관계와 배경의 의미관계는 종속 접속의 한 유형이지만, 선행절과 후행절이 시간적·문맥적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종속 접속에 비해 의미관계의 긴밀도가 약한 것이다. 시간 관계의 절 접속은 후행절을 기준으로 할 때 선행절의 시간적 위치를 나타내는 시간적 선후관계와 선행절의 시간적 위치를 나타냄과 동시에 후행절의 배경적 정보를 제공하는 시간적 배경의 하위 의미 유형으로 분류된다. 배경의 의미관계는 선행절이 후행절 명제에 대한 문맥적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정의되는데, 선행절이 후행절에서 설명할 개념이나 상황을 나타내는 제시와 후행절에 나타난 행위 내용이나 판단의 토대를 나타낼 때는 전제로 의미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한편, 배경의 절 접속 중에서 증거성을 나타내는 유형이 직접 행위와 지각의 증거성 체계를 이루고 있음을 주장할 것이다. 5장에서는 양보와 조건의 의미관계를 나타내는 절 접속에 대해 살펴본다. 양보의 의미관계는 기대 부정의 개념적 속성을 가지는데, 조건의 의미관계와 함께 사실성의 스펙트럼을 보이는 하위 의미 유형으로 분류된다. 조건의 의미관계는 사실성에 있어 양보보다 의미 유형이 더 분화되어 있으며, 다른 의미관계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독특한 유형이 있는데, 이 유형은 수행력과 양태를 포괄하는 화자의 의지적 태도가 후행절에 놓일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6장에서는 원인·이유와 목적의 의미관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는데, 원인·이유의 의미관계는 인과관계의 의미 영역 중 무엇을 표현하느냐에 따라 분류되고 이는 표면적으로는 수행력 제약으로 나타난다. 원인·이유의 의미관계와 양태, 증거성에 대한 논의의 과정에서 접속 어미가 어떠한 양태 의미를 나타내느냐에 따라 증거성의 주체가 달라지거나, 문장의 종류에 따라 증거성의 의미가 사라지는 등의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목적의 의미관계는 의도의 양태 의미와 수행력을 기준으로 분류되고 다양한 구문적 특성에 대한 기술이 이어진다. 7장에서는 본론의 내용을 요약한다.

      • 부부상담의 성과를 가져오는 치료적 요인연구

        박진희 경성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Doctoral Dissertation Abstract A study on Therapeutic Factors to contribute to Counseling Outcome in Couple Therapy Park, Jin Hee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Kyungsung University Advisor : Joo, Yong-Kook ※Advisor : Cheon, Seong-Moon This study is carried out in order to check the expert couple therapists’ empirical perception of therapeutic factors of couple therapy and to see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observed importance of therapeutic factors and the actual application of the practice. The first research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what the couple therapists considered to be the key therapeutic factors that bring about the success in couple therapy and to clarify the dimensions and clusters they use to perceive as therapeutic factors. To reach the goal of the research, we set up two questions as follow: “First, what are the therapeutic factors of couple therapy?” and “second, what are the dimensions and clusters of therapeutic factors?” For the research problems, concept mapping was chosen as the methodological approach. First step of the research was done via literature search which dealt with couple therapy successfully and after thorough contemplation focus questions and supplementary questions were structured under the supervision of a professor of counseling. Second step of the research was done via interview with 13 therapists with abundant couple therapy counseling experience. Third step was done with the major statements of the thirteen therapists and from them a total of 522 statements were extracted. A team of three experts, one of whom was a Korean language major doctor of therapy, deleted less fitting or overlapping contents, and chose 52 finalized statements that appeared from at least two therapists. In the fourth step, rating was done for conceptualizing study and the raters include 11 research participants from step 2 and 3 couple therapy experts. The raters categorized the finalized statements and rated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the actual. Using these results, in the fifth step, ALSCAL or a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system was done. ALSCAL visualizes the numbers and aspects of dimensions of perceptions that a research participant uses to perceive and rate a specific concept. As a result, two dimensions and 5 clusters appeared from the 52 statements. In the final step, the two dimensions and 5 clusters were interpret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52 statements were extracted as the couple therapeutic factors, and couple therapy experts perceived the therapeutic factors in two dimensions of ‘principle agents of therapy’ dimension and ‘therapy process’ dimension. Second, the five cluster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cluster 1 ‘therapy intervention method (10 questions, average importance = 4.33)’, cluster 2 ‘rapport formation through therapists’ attitude (11 questions, average importance = 4.28)’, cluster 3 ‘structuralization of the therapy plan (8 questions, average importance = 4.24)’, cluster 4 ‘client characteristics (14 questions, average importance = 4.39)’, cluster 5 ‘therapeutic change of the clinet (9 questions, average importance =4.60)’. Third, each statement was rated according for its importance as a therapeutic factor and cluster 5 ‘therapeutic change of the client’ was perceived to be the most important and ‘structuralization of the therapy plan’ was perceived to be the least important. However the average difference among the cluster ranged from 4.24 to 4.60 and the difference was not so big. In the second research, we looked into the disparate differences between prolonged career group and short career group i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therapeutic factors of couple therapy and the actual. For this 29 therapists of couple counseling for more than 6 years were compared to 23 therapists with less than two years in couple therapy with the importance and the actual of the therapeutic factor statements via paper or internet survey.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therapeutic factor and the actual were t-tested with paired sampl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both of the career groups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t ratings in the importance number as well as the actual, and both groups showed lower numbers in the actual than the importance. Second, IPA analysis was done according to the career. The short career group had cluster 5 in the ‘Keep up the good work’ quadrant, cluster 4 in ‘Concentrate here’ quadrant, cluster 2 and cluster 1 in ‘Low priority’ quadrant, and cluster 3 in ‘Overkill’ qudrant. The prolonged career group had cluster 5 and 3 in the ‘Keep up the good work’ quadrant, cluster 4 in ‘Concentrate here’ quadrant and cluster 2 and cluster 1 and in ‘Low priority’ quadrant. Third, IPA of short groups was placed on the Cartesian plane against that of prolonged career group, and the short career group showed importance of the therapeutic factors and the actual were placed in the ‘Concentrate here’ and ‘Low priority’ quadrants. The ‘Concentrate here’ quadrant is the area where the actual is lower than the importance, and this will serve as the bases for the future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short career group, which is of great interest to us. Finally, couple therapists verified the contents of therapeutic factors in detail with actual experience in the field and checked the factors with low actual even if the importance rating was high. This research provides the areas to improve for couple therapists and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of couple therapists. Last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 : couple therapy, concept mapping, common factors, IP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