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캠퍼스주변지역의 물리적 환경에 관한 만족도 분석 : 연세대학교와 홍익대학교주변의 경우

        김미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연세대학교와 홍익대학교 캠퍼스 주변지역의 물리적 환경 비교에 따른 만족도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와 홍익대학교 캠퍼스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건축물관리대장과 지적도를 기준으로 시설이용특성을 비교 검토하였고 연구대상지를 이용하는 이용객을 대상으로 수행된 설문조사 자료가 이용되었다. 이러한 자료를 이용하여 두 대학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통계적인 방법으로써 T-test를 사용하였으며, 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분석을 위해 선형회귀분석(Linear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두 대상지의 시설이용현황을 분석한 결과, 일반주거지역으로써 주 용도는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다세대주택, 공동주택(연립주택), 근린생활시설, 복합시설, 기타 등으로 유사하게 분포되어 있다. 연세대학교 주변지역의 주 용도에서 다가구용 단독주택, 다세대주택, 연립주택의 비율이 홍익대학교에 비해 낮게 나타난 반면, 근린생활시설과 복합시설의 비율은 연세대학교 주변이 홍익대학교 주변 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세대학교 주변의 전체 층별 비율을 볼 때 지상1층의 비율이 가장 높고, 지상2층, 지하1층, 지상3층, 지상4층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홍익대학교 주변의 전체 층별 비율에서는, 지상1층의 비율이 가장 높고, 지하1층, 지상2층, 지상3층, 지상4층, 지상5층, 지상6층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세대학교 주변의 최고층은 지상6층인데 비해 홍익대학교 주변의 경우는 지상8층까지 이루어져, 지하철과의 연계가 개발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추론된다. 두 대학 모두 최하층과 최상층은 근린생활시설로 이용되는 공통점을 나타내었다.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연세대학교 주변의 이용자들은 대학시설로의 접근 시 편리함이 만족도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학가이미지보다 연세대학교의 특성을 느끼는 것이 연세대학교주변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홍익대학교 주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대학주변 이미지가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대학시설로의 접근시 편리함과 녹지공간 및 미적공간이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전체적인 결과를 살펴보면 연세대학교와 홍익대학교를 포함한 전체만족도의 경우에는 연세대학교보다 홍익대학교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추론되었다. 학생보다는 비 학생이 더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만족도에서는 대학시설로의 접근 시 편리성과 대학주변거리로서의 청결성, 녹지공간 및 미적공간, 대학가 이미지가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대학가 이미지’가 대학가의 전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추론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hysical environment near Yonsei University campus and Hongik University campus. As for the data, Building-Management-Register and acreage map near Yonsei University and Hongik University were selected for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facility usages in two sites. To obtain a sample for the survey study, users who dwell in two sites were selected. For making a comparative study of two university campuses, the T-test was used. Factors that influenced the satisfaction level were analyzed through Linear Regress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present facilities using conditions in two sites shows that the main conditions used in the general residential area are Individual housings consisting of one residence (often called detached), complex housing consisting of more than two residences, multi-family housing, villa, community facility, multiplex facility, and more. The percentages for the results are very similar among the seven forms. In the case of Yonsei University, the rates of detached, complex housing consisting of more than two residences, multi-family housing, and villa, were measured lower than in the case of Hongik University. However, the rates of the community facility and multiplex facility in the case of Yonsei University were higher than that of Hongik University. The resulting analysis of the composition of building stories in Yonsei University shows that the rate of 1F is highest, followed by 2F, B1, 3F, 4F, while in Hongik University, the rate of 1F is highest, followed by B1, 2F, 3F, 4F, 5F, 6F. The Highest story in Yonsei University is 6F. On the other hand, 8F is the highest story in Hongik University and it was predicted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subway system had influenced the development in this case. Both Universities have similarities in using the highest and lowest story as a community facility. Through Linear Regression, the convenience of reaching University facilities had greatly affected the satisfaction level for respondents from Yonsei University. In the case of Yonsei University, recog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Yonsei University itself had influenced the satisfaction level more than that of image of campus. On the other hand, although convenience, open space, and aesthetic space also did have an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level for respondents from Hongik University, the factor that had the most influence was the image of campus. In the total satisfaction level, Yonsei University ranks higher than Hongik University. The satisfaction levels of those who were not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tudents. Convenience, cleanliness, open space, aesthetic space, and image of campus influenced the total satisfaction levels. In particular, it was predicted that the appearance or image of a campus was a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total satisfaction level of the physical environment.

      • 대학교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표에 관한 연구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의 환경지표 연구

        권연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논문의 목적은 지속 가능한 대학 발전을 위한 방안으로 지속 가능한 지표에 대한 개발을 통하여 국내 대학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증진시키는데 있다. 대학교의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개념은 기존의 환경상태를 유지하거나 더 나은 상태로 발전하기 위해서 노력하는 대학교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대학교의 지속 가능한 발전 사례와 환경지표에 대한 선행연구 동향을 통하여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의 환경지표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원주캠퍼스의 환경지표 개발은 먼저 국외 대학과 국가 및 국제기관 등에서 실시한 환경지표 개발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대학교에 적용 가능한 지표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지표 중에서 원주캠퍼스의 쟁점조사 및 특성을 고려하여 원주캠퍼스에서 적용할 수 있는 1차 환경지표를 다시 도출하였다. 원주캠퍼스의 1차 환경지표로 도출된 목록 중에서 현재 자료조사 상태를 파악하여 2차 환경지표를 ○: 자료 조사가 이루어진 지표, △: 자료 조사가 불충분한 지표, ●: 자료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지표로 구분하여 표시하였다. 또한, 도출된 환경지표를 토대로 대상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 또한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는 대학에 적용할 수 있는 환경지표를 도출하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의 환경지표로 선정된 목록들 중에서 ○와 △로 표시된 지표들을 중심으로 실제로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해 보았다. 국내 대학에서는 최초로 시도되는 연구이기 때문에, 자료수집 및 지표간의 관계설정 등이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 앞으로 국내 대학교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자체적인 자료구축 및 지속적인 발전 노력이 수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to promot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 Universities through sustainable indicators development. The sustainable university is university whose long term prospect for continuing to exist is good. The environmental indicators development of Wonju campus was performed through literature survey about environmental indicators development and accomplishment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Korea universities. Wonju campus Environmental indicators were adopted by selecting university environmental indicators based on preceding study and then by reselecting of the presented indicators concerning about characteristic and questionnaires of Wonju campus. Finally it presented ○: data collected indicators, △: data insufficiently collected indicators, ●: data not collected indicators. Also, this study discussed evaluation grade concentrated on indicators presented ○ and △. But it is difficult to data collecting and relation establishment among indicators because it is initiated in korea. In conclusion, sustainable indicators development in korea universities needs to be continuingly conducted.

      • 의과대학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통시적 고찰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중심으로

        안신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87

        국내 의과대학 교육과정의 개편에 관한 통시적인 연구가 없으므로 이 연구는 일개 의과대학에서 1970년 이후로 진행된 교육과정의 개편을 통시적으로 고찰하여 1) 교육과정 개편 전개의 시기를 구분하고, 2) 각 시기별로 이루어진 교육과정 개편의 핵심 과제들과 특징을 설명하며 동시에 교육과정 개편 과정을 통해서 관통하고 있는 지향점을 밝히고 3) 교육과정 개편이라는 변화에 영향을 준 요인들을 규명하여 의과대학의 교육과정 개편을 선도적인 방향으로 지속할 수 있었던 이유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국내 최초의 서양의학교육기관이자 지속적으로 선도적인 의학교육 개편을 해왔다고 평가받고 있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이하 연세의대)를 선정하였다. 교육과정 개편의 내용을 필요성의 인식과 목적의 설정, 설계와 실행 및 평가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구분된 시기별로 분석한 후 비교하였다. 각 시기별 변화요인은 Kurt Lewin의 변화관리모델에 기반한 역장분석(force-field analysis)을 통해 규명하였으며, 이를 다시 통시적으로 비교하였다. 1970년 이후 연세의대에서 이루어진 교육과정 개편의 전개는 네 개의 시기로 나눌 수 있었다. 교육과정 개편의 결과로 드러난 교육과정 유형을 보면 1) 교과목중심 교육과정 시기(1, 2차, 1970-1995), 2) 장기-계통바탕 통합교육과정 시기(3차, CDP2004, 1996-2010), 3) 성과중심교육과정 시기(4차, CDP2013, 2010-현재)로 나누어지는데, 이는 연세의대가 의학교육 흐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개편을 진행했음을 보여준다. 교육과정 개편은 교육계획위원회(1, 2차 시기)와 CDP 사업단(3, 4차 시기)이 주도했다. 제1차 시기는 1970년에서 1983년까지로 관습적 의학교육에서 교육학적인 접근을 도입하였고, 교육과정과 교수 전원에 대한 심도있는 평가가 이루어진 후 그에 근거해 교육계획위원회를 개설했다. 그리고 이를 중심으로 의학교육의 목적과 목표를 제정하고 학생중심교육을 지향하며 강의시간 감축, 임상실습의 확대, 통합교육과목 도입, 선택과목 확대 및 자율시간 도입 을 결정했으나 실행과정에 한계를 노정하였다. 1984년에서 1995년까지 진행된 제2차 개편은 교육과정의 큰 틀은 유지하면서 외적요인에 대응하는 보완적 성격을 지닌다. 3차 개편은 1996년 의학교육학과 개설과 의과대학 인증평가제도 시행 이후에 CDP사업단 주도로 진행되었다. CDP2004는 1996년에서 2010년에 걸쳐 장기-계통바탕의 통합교육과정을 전면적으로 도입하면서 강의시간의 대폭 감소와 자율시간 확대, PBL과 선택과목의 확대 등 제1차 개편에서 시도했던 학생중심 교육제도를 강화하고 실행하였다. 4차 개편, CDP2013은 2010년부터 시작되었는데 학생중심, 성과바탕, 연구중심의 통합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CDP2004의 교육과정 틀을 유지하되 절대평가제도의 도입, 연구력 교육과정 및 DMH교육과정 및 학습공동체를 도입했다. 모든 교육과정이 필수와 선택으로 운영되고, 모든 학생들을 개별적으로 학습지도하는 학생중심의 교육이 강화되었다. 이처럼 1차 교육개편 이후로 현재까지 통합교육과 강의시간의 감축, 선택과목의 확대, 자율시간의 확대를 지속적으로 다루며 학생중심의 의학교육을 지향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교육계획위원회의 교육관련 기획과 실행 기능 중 실행기능은 CDP2004 이후 도입된 광혜교육위원회에 이관되었으며, 의학교육학과는 이론적 제시와 학문적 연구, 교육지원실은 행정적 지원을 이루는 구조를 구축하였다. 시기별 변화에 있어 추진요인은 외부적으로는 세계적인 의학교육의 새로운 흐름, 의학교육인증평가기준의 변화, 사회적 변화가 있었으며, 연세의대는 이에 주도적으로 반응하였다. 내부적으로는 1차 교육과정 개편에서 이루어진 심도 있는 교육 평가 이후,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와 그에 근거한 비판적 성찰이 지속되어왔다. 이러한 성찰은 연세의대의 문화적 전통이 교육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는 것이며, 국내최초로 설립된 의학교육학과에서 영입한 교육학전문가들과 협업하여 더욱 전략적으로 발전한다. 이러한 발전은 교육과정 개편이 CDP라는 구조화된 사업으로 구현되는 것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교육과정 개편에서 주된 저항요인은 교육목적을 구현함에 있어 다른 의견을 지닌 교수들과 그 교수들의 인식의 바탕이 되는 관행과 문화(미국과 한국의 비교, 교실중심의 문화, 상대평가 기반 문화)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소통과 대응과정에서의 절차적 정당성은 변화관리에서 주요한 과제였다. 이상의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통시적 고찰을 통해서 연세의대가 당대 의학교육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교육과정 개편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와 같은 변화 속에서 1차 교육과정 개편에서 도입한 학생중심의 교육을 지속적으로 지향함 또한 확인하였다. 국내 최초의 현대적 의학교육기관이라는 역사적 기원, 그리고 교육을 강조하는 문화적 전통, 이는 학생중심 교육을 지속적으로 지향하는 흐름을 이루었다. 이러한 가치지향은 여러 가지 저항요인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 개편과 개선을 위해 끊임없는 비판적 성찰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이러한 가운데 연세의대가 최초로 개설한 의학교육학과는 ‘학생중심 교육의 지향과 그를 위한 비판적 성찰’을 교육학적 전문성에 근거하여 전략적인 방안으로 모색하는 과정을 순환하게 했다. 연세의대는 이런 흐름을 통해 지속적인 교육과정 개편 및 선도적인 의학교육 제도의 도입과 창안을 이루어 올 수 있었다.

      • 대학도서관 지식관리시스템의 성공적인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 도입사례를 중심으로

        유희경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87

        The knowledge management appears as an important concept for strengthening the core competence of an enterprise in the knowledge economy era of the 21st century. Hence, enterprises’ interest is increased in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s a practical instrument of the knowledge management.Recently, the university library is transforming rapidly from the traditional library into the digital library to provide many resources of information, but confines itself to stereotypeduniform contents and temporarylimited information services. Thus, the university library should provide the knowledge information that can meet its members’ tasks and studies, and has to convert its hardware-based information services into the software-based information services reflecting its members’ inherent administrative experiences and know how. With respect to this, the university library should introduce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nd promotes the culture of knowledge sharing between the library itself and its members.This study investigates, through examining the existing studies, the necessity of the introduction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to the university library, and explores an analysis of conditions of system use and a plan for the furtherance of the system focusing on the case of Yonsei University Library’s introduction of the lectureresearch-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We have carried out, as methods of study, the analysis of log data, interviews with employees, and research with professors and lecturers from Yonsei University.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log data, we can find out that Yonsei University Library’s introduction of the lectureresearch-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has only a few effects as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because its availability ratio is low, and its active functions and provided data types have few differences from those provided by the traditional library. With respect to this, we have evaluated the lectureresearch-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partly modifying DeLone & McLean’s (1992) model for the characterization of the success in the information system. Then, we have groped for a plan for the furtherance of the system.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with respect to system properties, the lectureresearch-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needs to improve its accessibility and ease of use, and to provide user-based interface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Second, with respect to knowledge properties, the lectureresearch-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needs to increase the quality and diversity of knowledge by providing specialized knowledge by themes, and systematically collecting informalinternal knowledge and implicit knowledge to provide them.Third, for the furtherance of the lectureresearch-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on the side of strategies of knowledge management, it is desirable for the library to expand personnel responsible for services, and introduce a team-based organization consisting of knowledge-managers by themes. Especially for the furtherance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the system needs the university members’ voluntary and cooperative culture for knowledge sharing. Thus, in order to cultivate the voluntary knowledge-sharing culture, the provision of systematic compensation for evaluation is needed.Lastly, in order for the university library to effectively support virtual education, which is expected to be a main method of education in the future, the methodical connection between the university library’s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nd the virtual education system, as well as the integrated operation, is necessary. 21세기 지식경제시대에 기업의 핵심역량을 강화하는 기반으로 지식경영이 중요한 개념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식경영의 실천도구로서 지식관리시스템에 대한 기업의 관심 또한 높아져 있다.최근 대학도서관은 전통적 도서관에서 디지털 도서관으로 빠르게 변모하며 많은 정보자원들을 제공하고 있으나, 여전히 정형화되고 획일적인 컨텐츠와 일회적이고 제한적인 정보서비스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대학도서관은 대학구성원의 업무와 연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지식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현재의 하드웨어 중심적인 정보서비스에서 대학 구성원들의 내재된 실무경험과 노하우에 의한 소프트웨어 중심적인 지식정보서비스로 전환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대학도서관에 지식관리시스템이 도입되고, 대학구성원들과 도서관 간에 활발한 지식공유문화가 조성되어야 한다.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대학도서관 지식관리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국내 최초의 대학도서관 지식관리시스템인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 도입 사례를 중심으로 시스템 활용현황 분석 및 향후 시스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로그데이터 분석과 실무자 인터뷰, 그리고 연세대학교 교수와 강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로그데이터 분석 결과 현재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의 이용률은 저조한 실정이고, 활성화되고 있는 기능이나 제공되는 자료 유형 등도 전통적인 도서관 정보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해 온 것과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관련하여 DeLone & McLean(1992)이 제시한 정보시스템의 성공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 모델 중 일부를 수정하여 시스템 특성, 지식 특성, 지식경영 전략의 측면에서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을 평가하고, 향후 시스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연구 결과 첫째, 시스템 특성과 관련하여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은 접근성(Accessibility)과 편의성(Ease of Use)을 향상시키고, 커뮤니케이션 지원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둘째, 지식 특성과 관련하여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은 주제분야별 전문지식을 제공하고, 비공식내부 지식이나 암묵지 등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제공함으로써 지식의 품질과 다양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셋째, 지식경영 전략의 측면에서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향후 서비스 전담인력을 확충하고, 주제별 지식관리사서로 구성된 팀 기반의 조직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서비스의 사용을 장려하는 경영층의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지식관리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식공유를 위한 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 협력적인 문화가 요구되는데, 향후 자발적 지식공유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평가보상의 마련이 요구된다.마지막으로 대학도서관이 미래의 주된 교육방식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상교육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대학도서관 지식관리시스템과 가상교육 시스템 간의 유기적 연계 및 통합 운영이 필요하다.

      • 베트남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듣기 교재 개발 연구

        Do, Thi Quynh Hoa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71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 is developing rapidly, so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calized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Vietnamese students is very necessary. Meanwhil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Vietnamese learners were primarily conducted on marriage migrant women and the majority of research focused on teaching writing and reading. Therefor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listening textbook for Vietnamese learners in Korean major is impera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xt authenticity, the diversity of listening activities, applicability in Vietnam of Korean language listening textbooks at the intermediate level which are being used at the local university, and based on that, the study aims at developing a localized listening textbook for Vietnamese students. The study was carried out as follows. In chapter 1, the objective 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lso, a review on previous research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 and previous researches on listening textbooks is also carried out. In chapter 2, teacher and student status, curriculum, and current situation of Korean listening teaching in Danang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 Studies and Hue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 are presented In part 1 of chapter 3, the focus is on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listening, the importance of listening, listening material composition, and listening activities. In part 2 of chapter 3, ‘Yonsei Korean 3-1, 3-2’ of Yonsei University, ‘Fun! Fun! Korean 3’ of Korea University, ‘Synthetic Korean textbooks for Vietnamese 3’ were chosen as subjects of analysis, and theory-based standards of analyzing textbooks are set up. In chapter 4, textbook analyzing results are presented. Firstly, the result of analyzing 116 text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shows that all three kinds of textbooks do not have many topics suitable with students at the intermediate level, and compared with communicative situations in reality, the authenticity of listening materials is insufficient.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443 listening activities, display questions, focused questions, nonvisual questions are more than referential questions, open questions, and visual questions. Among the types of listening activities, true-false questions outnumber other kinds of questions. Thirdly, the perspective of Korean and Vietnamese contrastive linguistics and Vietnamese cultural background are not reflected in textbook A and B but are reflected in textbook C. The perspective of contrastive Korean and Vietnamese cross culture are not deeply reflected in all three kinds of textbooks. In the textbooks,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ulture of Korea and Vietnam are not presented. Instead, the textbooks only present Korean culture and then ask learners about Vietnamese culture. In chapter 5,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eachers and students of Danang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 Studies and Hue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 are analyzed. The students of two universities have a little opportunity to use Korean. 57.1% of students and 35.7% of teachers answered that they feel listening materials in the textbooks are different with reality conversation, so we can realize that more students than teachers feel the difference between textbook and reality conversation. Among the supplement point of developing textbook, teachers and students think that topic and conversation situation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Based on the result of textbook analysis, and teachers’ and students’ needs analysis, this study develops Korean language listening textbook for Vietnamese students at the intermediate level as follows. Firstly, the textbook is composed of 14 units and each unit contains 3 small topics. Each unit is composed in the order of the tittle, learning objectives, listening 1, listening 2, listening 3, grammar, vocabulary and the listening section is composed in the order of Pre-listening, While-listening, and Post-listening. Secondly,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 14 topics are chosen in the textbook which includes more situations used in Vietnam than in Korea. Thirdly, the textbook reflects the perspective of Korean and Vietnamese contrastive linguistics, Vietnamese cultural background, the perspective of contrastive Korean and Vietnamese cross culture. Especially, to attract interest and create learning motivations of students, as well as to help them understand rightly about the culture of the two countries, the textbook is composed of the conversations that compare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the cultures between Korea and Vietnam. It is different from preceding textbooks. Fourthly, it is composed of the various text types to help students communicate successfully in many situations. Fifthly, it reflects colloquial flavor concretely. Sixthly, various types of questions, types of listening activities, cognitive process are composed. Especially, visual materials that concerns with the topic ‘University life’ not only attract students’ interest but also reflect the image of reality situations, so it can help them learn well.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for Korean language listening textbook for Vietnamese students, which surveys environment of education in Vietnamese universities, analyze textbooks, and surveys the needs of teachers and students. However,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surveys a limited number of teachers and students, so what are missing from this study will continue to be researched. 베트남에서 한국어 교육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므로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현지화 교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동안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는 주로 결혼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쓰기 교육 및 읽기 교육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었다. 따라서 베트남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듣기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본고는 현지 대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중급 통합 교재 내 듣기 자료의 실제성 및 듣기 과제의 다양성, 베트남 현지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고,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현지화 듣기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1장에서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 베트남의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기존 연구 및 듣기 교재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 베트남 중부지역에 위치하는 다낭외국어대학교와 후에외국어대학교의 교원 및 학생 현황, 교육과정, 듣기 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3장 1절에서 듣기의 개념과 특성, 듣기의 중요성, 듣기 자료 구성, 듣기 과제 활동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3장 2절에서 베트남 중부지역 대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연세대학교의 ‘연세 한국어 3-1, 연세 한국어 3-2’와 고려대학교의 ‘재미있는 한국어 3’, 한국국제교류제단에서 개발된 ‘베트남인을 위한 종합 한국어 3’ 교재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기존 논의를 바탕으로 교재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4장에서 교재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어 교재의 116개의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3종의 한국어 교재는 숙달도에 적합한 주제를 잘 다루지 못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어 교재는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 비하면 실제성이 많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443개의 듣기 문항을 분석한 결과, 참조, 개방, 시각형 질문에 비해 제시, 초점, 비시각형 질문 유형의 비율이 더 많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듣기 활동 유형 가운데 ‘들은 내용 OX 하기’가 과반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대조언어학적 관점과 베트남의 문화적 배경은 A교재와 B교재에서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반면에 C교재에서 구체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한국 문화와 베트남 문화의 비교문화론적 관점은 3종의 교재에서 심도 있게 다루지 않았고, 한국과 베트남의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는 텍스트가 아니라 한국 문화에 대한 텍스트를 학습자에게 듣거나 읽게 한 후에 베트남의 문화가 어떠한지 등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데에 그친다. 5장에서 다낭외국어대학교와 후에외국어대학교 베트남인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두 학교의 학습자가 한국어 사용 환경에 노출될 수 있는 기회가 아주 적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57.1%의 학습자와 35.7%의 교사는 교재의 녹음 자료가 실제 대화와 다르다고 대답하였으므로 교사에 비해 학습자가 듣기 교재의 자료와 실제 대화의 괴리감을 더 많이 느낀 것을 알 수 있다. 교사와 학습자들이 교재에 대한 보완점 중에서 담화 주제와 상황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았다. 본고는 교재 분석 결과 및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의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베트남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듣기 교재를 다음과 같이 개발하였다. 첫째, 교재를 14개 단원으로 구성하고, 한 단원에 3개의 소주제를 제시하였다. 교재는 혼합 교수요목으로 구성하며, 각 단원의 구성은 학습 목표 → 듣기1 → 듣기2 → 듣기3 → 문법 → 어휘의 순으로 다루며, 듣기는 듣기 전 단계 → 듣기 단계 → 듣기 후 단계의 순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14개 주제를 선정하였으며 베트남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상황으로 더 많이 다루었다. 셋째, 교재에서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대조언어학적 관점, 베트남의 문화적 배경, 한국 문화와 베트남 문화의 비교 문화론적 관점을 반영하였다. 문법 설명과 단어를 베트남어로 번역함으로써 한-베 언어대조 관점을 반영하였다. 특히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고 양국의 문화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본고는 한국 문화와 베트남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는 대화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교재와의 차이점이 있다. 넷째, 학습자가 여러 가지 상황에서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유형의 텍스트를 제공하였다. 다섯째, 교재는 구어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반영하였다. 여섯째, 질문 유형, 듣기 활동 유형, 이해과정을 다양하게 다루었다. 특히 ‘대학생활’이라는 주제와 관련된 시각적 자료는 학습자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상황의 모습을 반영하므로 학습에 도움이 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현지 대학교의 교육 환경 조사, 교재 분석, 교사와 학습자의 요구조사를 실시함으로써 베트남 현지에 맞는 한국어 듣기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가 되었다는 데에 있다. 그러나 한정된 수의 교사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개발한 듣기 교재로 실제 수업을 해보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앞으로 후속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