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근현대문화유산의 활용방안 연구 : 서울 소재 등록문화재·미래유산을 중심으로

        신창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A Study on Utilization Plan of Modern and Contemporary Heritage: Focusing on Registered Cultural Assets and Future Heritage in Seoul This study aims to dig into the concept, scope and role of expanding heritage beyond the cultural heritage from the traditional view which has come with the modifier of the ‘brilliant’ and present the utilization plan of the cultural contents focusing on the registered cultural asset and future heritage in Seoul. Cultural heritage which was formed in the past and handed down until today has various information and values of times when it was made and used. These cultural heritages can be reviewed by dividing into the conservation value in the historical sense and the utilization value in the current sense. Generally, traditional heritage has considered historical, artistic, scientific and scenic values as important as stated in the section 1 and article 2 of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saying “it is the national, ethnic and world heritage formed artificially or naturally and it has a big historical, artistic, scientific and scenic value”, and emphasized to select important cultural assets and preserve the original form based on the conservation value. However, as recently, the trend that everything associated with our daily lives is recognized as the cultural heritage, is strengthened, the effort of considering the utilization value as well together with the conservation value contained in the cultural heritage has been required. Especially,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s have been used or utilized currently, and its scope has been extended to outputs contain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relics over time while being limited to the modern buildings at the time of introducing the registered cultural asset system in 2001 and recently it has been extended to the background (landscape), actions and stories through the future heritage policy. In addition, while the whole process ranging from the excavation to selection, retention and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is changed to the bottom-up approach led by citizen, instead of the top-down approach led by the government, the possibility of content’s utilization has been increased. In Seoul, a total of 179 registered cultural assets are distributed currently in June 2015 and it accounts 27.2% of the country. Also, currently in June 2015, there are 305 cases listed as the future heritage by the future heritage policy in 2012 and it reaches to 1000 cases if including the cases classified as the future candidate heritage. Like this, it can be seen that Seoul has a very high propor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However, the cases where modern and contemporary heritages which play an important mediator role of modern to contemporary and modern to future, are lost or damaged while not recognizing the value contained due to a poor planning have occurred until recently. Hong Nan-pa’s house was registered on the registered cultural asset in 2004 and it was the cultural heritage where the atmosphere inside the house should be emphasized saying the aura of Hong Nan-pa can be felt as the reason of registration. However, the inside original shape at the time of construction was gone and was changed to a simple exhibition and theater while the interior remarkably was renovated due to the overinterpretation on the utilization by Jongno-gu which is an owner. Of course, it is a situation that Mr. Hong Nan-pa’s aura which had been kept well until the time of registration cannot be felt now. So, this paper pointed out ‘concentrated exclusive utilization’, ‘expanded interpretation on utilization’ and ‘concentration on the physical picture’ as typical problems in the utilization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Seoul being the center of modern and contemporary turbulent period has a number of places where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s are concentrated in line or area such as Hanok concentrated area in Insadong, Hanok concentrated area in Bukchon and Jeongdong-gil in Jung-gu. However, until now, the movement of preserving and utilizing a single cultural heritage has been focused rather than the attempt of connecting and utilizing these cultural resources. And, due to the limitation of『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and the absence of the future heritage-related regulation, there has been cases rather damaging the value contained by over-estimating the utiliz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Also, the fact that it has been focused on the physical picture which has been applied to the existing registered assets, etc. without recognizing the uniqueness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which is the product of a relatively recent period was also pointed out as a problem in carrying out picturing work. As a plan overcoming the problems above and activate the utiliz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e heritage, the author presented ‘promotion of scenic utilization’, ‘enactment or amendments of relevant legislation’ and ‘memory picture work’. In order to promote the scenic utilization, ① Hanok theme scenery, ② civilization theme at the opening port period and ③ mass culture theme are presented and the culture heritage that can be connected by line and area was presented. And, the purpose of the future heritage, definition, accountability, basic planning, designation method, designation criteria, future heritage at risk, future heritage conservation committee, incentives, utilization-related details, etc. were suggested specifically by preparing enactment of 『Ordinance on Seoul’s Future Heritage Con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which can play a central role in the future heritage policy. In addition, the case that the cultural asset registered as a registered cultural asset is lost or damaged due to a distorted interpretation on the phenomenon change was tried to be prevented by presenting the decree amendment of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Lastly, the effects such as engaging citizens, active promotion, securing futuristic historical research data, etc. were tried to be created by recording not only existing physical records such as drawings, photos, histories, etc. but also emotional records such as citizens’ memories, etc. in record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which is the product of relatively near period. I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has the nature of the preliminary cultural asset where its value can be increas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while it’s underestimated compared to the registered cultural assets at the current time, the conservation of the value that the cultural heritage currently implies must be done by default and the utilization in sustainable nature should be discussed afterward. Thus, there’s a meaning of this paper in presenting specifically and in detail the legal system’s framework which is the basis for the conserv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and at the same time, proposing the promotion plan of utilization which can come in parallel together. The policy direction related to the laws of enactment and amendment plan or the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will help the registered cultural asset continuously create ambivalent effect of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and contribute the future heritage policy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onceptual expans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to developing into a more sophisticated form in the future and it’s hoped that the academic discussion and debate related to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continue based on this study. 근현대문화유산의 활용방안 연구: 서울 소재 등록문화재·미래유산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찬란한’이라는 수식어가 붙어왔던 전통적 시각의 문화유산을 뛰어 넘어 확장되어 가는 문화유산의 개념과 범위, 역할에 대해 천착하고, 서울 소재 등록문화재와 미래유산을 중심으로 문화콘텐츠적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과거에 형성되어 오늘날까지 전해져 내려오는 문화유산들은 그것이 만들어져 사용되었던 시대의 다양한 정보와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화유산들은 역사적 의미에서의 보존가치와 현재적 의미에서의 활용가치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문화유산은 『문화재보호법』 제2조 제1항에서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형성된 국가적·민족적 또는 세계적 유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학술적·경관적 가치가 큰 것”이라 명시하고 있듯이, 그것이 역사적·예술적·학술적·경관적 가치를 중히 여겨왔으며 이러한 보존가치를 기준으로 중요한 문화재를 선정하고 원형을 보존하는 것을 중시해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우리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모든 것을 문화유산으로 인식하려는 경향이 강해짐에 따라 문화유산에 담긴 보존가치와 함께 활용가치도 고려하는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근현대문화유산들은 현재에도 사용되거나 활용되고 있고, 그 범위가 2001년 등록문화재제도가 도입될 시점에 근대의 건조물로 한정되었던 것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근·현대의 동산유물이 포함된 산출물로 확장되었고, 최근에는 배경(경관), 행위, 이야기까지 미래유산 정책을 통해 확장되었다. 또한, 근현대문화유산의 발굴, 선정, 보존 및 관리, 활용에 이르는 전 과정을 행정주도인 하향식 방법(Top-Down)이 아닌 시민주도에 의한 상향식 방법(Bottom-Up)으로 변화하면서 콘텐츠적 활용 가능성이 증대되고 있다. 서울에는 2015년 6월 현재 종 179건의 등록문화재가 분포되어 있으며, 전국의 27.2%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또한, 2012년 미래유산 정책에 의해 미래유산으로 등재된 것이 2015년 6월 현재 305건이며, 미래유산 등재 후보로 분류되고 있는 것까지 포함한다면 1,000여건에 달한다. 이처럼 서울에는 근현대문화유산의 비율이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근대와 현대, 현대와 미래의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근현대문화유산은 단편일률적인 계획수립으로 내포하고 있는 가치를 인식하지 못하고 훼손 혹은 멸실되는 사례가 최근까지도 발생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홍난파 가옥을 들 수 있다. 이 가옥은 2004년 등록문화재에 등록되었으며, 등록 당시 등록사유에도 홍난파 선생의 아우라를 느낄 수 있음을 명시하고 있을 정도로 가옥 내부의 분위기가 중시되어야 할 문화유산이었다. 하지만 소유주인 종로구의 활용에 대한 확대해석으로 인해 내부가 대폭적으로 개조되면서 건립 당시의 내부 원형은 사라지고, 단순한 전시 및 공연장으로 변경되었다. 물론 등록 당시까지도 잘 간직되어 오던 홍난파 선생의 아우라도 현재로서는 느끼기 힘든 상황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근현대문화유산 활용에 있어서 ‘집중된 점적 활용’, ‘활용에 대한 확대된 해석’, ‘물리적 기록화에 집중’을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근·현대 격동기의 중심지였던 서울에는 인사동 한옥밀집지역이나 북촌 한옥밀집지역, 중구 정동길과 같이 근현대문화유산이 선적 혹은 면적으로 밀집되어 있는 장소가 다수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이런 문화적 자원들을 연계하여 활용하려는 시도보다는 단일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활용하려는 움직임에 집중되어 왔다. 그리고 『문화재보호법』의 한계와 미래유산 관련 조례의 부재로 인해 근현대문화유산 활용을 확대하여 해석하여 담고 있는 가치를 오히려 퇴색시키는 사례도 있어왔다. 또한, 기록화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비교적 가까운 시기의 산출물인 근현대문화유산의 특수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기존의 지정문화재 등에게 적용되어 왔던 물리적 기록화에만 집중하였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타개하고 근현대문화유산 활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필자는 ‘경관적 활용 도모’, ‘관련 법제도 제·개정’, ‘기억기록화 작업’을 제시하였다. 경관적 활용을 도모하기 위해서 ‘① 한옥경관 테마, ② 개항기 신문물 테마, ③ 대중문화 테마’를 제시하고 선·면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문화유산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미래유산 정책의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는 『서울특별시 미래유산 보존·관리·활용에 관한 조례』제정(안)을 마련하여 미래유산의 목적, 정의, 책무, 기본계획 수립, 지정방법, 지정기준, 위기의 미래유산, 미래유산보존위원회, 인센티브, 활용관련 사항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문화재보호법 시행령』 개정(안)을 제시하여 등록문화재로 등록된 문화재가 현상변경에 대한 왜곡된 해석으로 인해 훼손 혹은 멸실되는 사례를 막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교적 가까운 시기의 산출물인 근현대문화유산을 기록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도면·사진·연혁 등 물리적인 기록뿐 아니라 시민들의 기억 등 감성적인 기록도 병행하여 시민참여 유도, 홍보 활성화, 미래적 고증자료 확보 등의 효과를 창출하고자 했다. 근현대문화유산이 현재적 시점에서 지정문화재 등과 비교해 가치가 낮게 평가되지만 일정 기간이 경과된 후 그 가치가 증가될 수 있는 예비문화재적 성격을 띠고 있다고 한다면 그 문화유산이 현재 내포하고 있는 가치에 대한 보존은 기본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그 이후에 지속가능한 성격의 활용이 논의되어야 한다. 이에 본고는 근현대문화유산의 보존의 기초가 되는 법제도적 틀을 구체적이고, 세부적으로 제시함과 동시에 병행될 수 있는 활용 활성화 방안을 함께 제시하고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본고에서 제안하고 있는 관련 법령 제·개정 방안이나 근현대문화유산 활용 관련 정책적 방향은 등록문화재가 지속적으로 보존과 활용이라는 양가적 효과를 창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근현대문화유산의 개념적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 미래유산 정책이 추후에 보다 세련된 형태로 발전될 수 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런 필자의 연구를 바탕으로 근현대문화유산과 관련된 학문적 논의와 논쟁이 계속되기를 바란다.

      • 社會的經濟 方式을 통한 近現代文化遺産 保存·管理 및 活用 方案 硏究

        정효원 고려대학교 행정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그 가치에 대한 제대로 된 평가없이 소멸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근현대문화유산을 보존하고 관리하며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서구권에서는 비교적 오래전부터 활성화되어 운용되어 온 사회적경제 방식을 적용하면 어떨까 하는 의문에서부터 시작되었다. 필자는 사회적경제와 근현대문화유산 간의 관계를 다룬 사례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우선 사회적경제의 배경, 개념, 특징, 종류와 우리나라의 문화유산 분야 정책과 현황을 알아보고 근현대문화유산의 개념과 문화유산의 보존·관리 및 활용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사회적경제의 특징이 적용된 근현대문화유산의 보존·관리·활용 사례를 조사하여 유의미한 사회적경제 방식을 도출하였다. 이 후 도출된 사회적경제 방식이 근현대문화유산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방안으로 이해관계자 참여, 비즈니스모델 개발, 연대와 협력, 보존 가치에 대한 올바른 이해 등 네 가지로 분석 및 제언하였다. 위 방안을 찾기 위해 필자는 우선 사회적경제와 근현대문화유산이 무엇인지 알아야 했다. 이에 먼저 국내외 문헌을 조사하여 사회적경제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사회적경제는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민주적 의사결정, 연대와 협력을 통한 사회적가치 추구, 경제적가치와 사회적가치의 동시 추구, 지역사회에 기여 등의 공통된 특징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 후 등록문화재 제도에 관련된 정책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근현대문화유산 보존·관리에 있어 예산과 국민 공감대 부족으로 인한 한계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사회적경제의 특징이 근현대문화유산의 한계 개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점으로 근현대문화유산의 보존 기준에 대한 합의와 활용 방향 설정에 있어 이해관계자의 참여가 필수라는 점, 이미 활발하게 진행 중인 사회적경제가 한계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 근현대유산보전법 등 법령 제정이 이루어져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점으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사회적경제의 특징이 적용된 국내외 11개의 근현대문화유산 보존·관리·활용 사례를 조사하여 유의미한 사회적경제 방식을 도출하였다. 국내는 근대문화유산이 비교적 많이 남아있는 목포, 군산, 인천, 대구에서 이루어지는 사업을 대상으로 조사해 보았다. 국내 사례들은 대부분 근현대유산을 도시의 재활성화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그 방식에 있어서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특징을 나타냈다. 그러나 근현대문화유산 가치에 대한 진정성 있는 접근은 부족한 것으로 보였다. 국외는 일본, 영국, 독일, 미국, 세계유산 사례를 조사해 보았다. 국외는 정부, 중간지원기관, 시민이 각각의 역할을 해내는 일본의 거버넌스형 보존 방식부터 산업유산을 단계별로 체계적으로 추진한 리버풀의 근대유산 활용 방식 등 각 국가마다의 특징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필자는 이러한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근현대문화유산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사회적경제 방식으로 근현대문화유산 보존 가치라는 사회적가치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공감대 형성, 거버넌스 등 정부, 중간지원조직, 주민이 포함된 이해관계자 참여, 산업유산이라는 자원의 창조적·적극적·체계적 활용, 유산 보존을 위한 각 국가 상황에 맞는 사회적경제의 활용 등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사회적경제 방식과 함께 사회적경제의 특징, 근현대문화유산의 한계를 종합하여 사회적경제 방식이 근현대문화유산 보존·관리·활용에 긍정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공통 방안을 4개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 방안은 민주적 의사결정과 이해관계자 참여이다. 사회적경제는 자발적 의사를 가진 시민이 참여하여 1인1표라는 과정을 거쳐 사회적가치를 추구한다. 필자는 외암마을의 민주적 의사결정, 영국의 성숙한 시민의식이 바탕이 된 산업유산 활용 등의 사례 분석을 통해 그 방안의 유의미성을 확인하였으며, 우리나라 근현대문화유산 분야의 주민 참여를 제고하기 위해 영국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주민참여 방식을 제언하였다. 두 번째로 사회적경제조직으로서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사회적경제는 사회혁신의 측면에서 인식의 전환이 바탕이 되어 조직만의 고유한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경제적 자립을 유지한다. 본 방안은 군산의 부정적 유산의 창조적 활용, 인천 근대유산의 플랫폼 전략을 통한 융복합 활용 사례를 통해 확인한 바 있다. 필자는 더 나아가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을 분석하는 다이아몬드 플러스 모델을 우리나라 근현대문화유산 분야에 적용해 보았다. 적용 결과, 열악한 상황에 있는 문화유산 분야 사회적경제조직을 위해서는 유산 분야 전문성을 고려한 자문기관 지원, 시장 확대를 위한 타 부처 사업 연계, 다양한 경영기법 도입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세 번째 방안은 연대와 협력이다. 사회적경제의 연대와 협력 방식은 캐나다, 스페인, 영국 등에서 협동조합, 제3섹터 등의 형태로 활발히 운용되고 있으며 필자가 조사한 일본의 거버넌스형 유산 보존 방식에서도 확인된 바 있다. 우리나라 문화유산 분야에서도 (사)문화재형사회적경제연합회 등에서 연대와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나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해서는 문화재청에서 노력해야 할 것이다. 네 번째로 가치에 대한 올바른 이해이다. 근현대문화유산 가치의 중요성은 미국 지프박물관 설립 실패 사례,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사례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런데 사회적경제는 사회적가치를 추구하며 그 가치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부족할 경우 지속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근현대문화유산도 마찬가지다. 즉 근현대문화유산은 도심의 형태로 시민과 밀접한 장소에 존재하며 시공간을 아울러서 복합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 유산임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와 근현대문화유산 간의 관계를 다룬 첫 사례로서 향후 근현대문화유산의 활성화를 위한 단초를 제공하는 연구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다만 사회적경제 개념의 포괄성, 사례의 다양성으로 모든 사례를 조사하지는 못하였다. 그리고 사회적경제의 목적지향적인 특성으로 인해 보다 구체적 결론이 도출되지 못한 점은 아쉬운 측면이다. 향후 조직 형태와 특징의 범위를 축소하여 조사한다면 사회적경제조직으로서 성공하기 위한 비즈니스 모델 등 사회적경제와 근현대문화유산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way to preserve, manage, and utilize the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of Korea, which has been extinguished without proper evaluation of its value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nd applies the social economy method that has been active and operated for a relatively long time in the Western world. It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what to do. In a situation where there are few cases dealing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economy and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first of all, the background, concept,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social economy and the policy and status of Korea's cultural heritage field were investigated. I also investigated what preservation, management, utilization were and what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was. In addition, a meaningful social economy method was derived by investigating the cases of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to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conomy were applied. The social economy method derived after that was analyzed and derived in four ways: stakeholder participation, business model development, solidarity and cooperation, and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preservation as a way to positively influence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To find the above solution, I first had to know what the social economy and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are. First of all, I investigate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to find out about social econom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ocial economy has common characteristics such as participation of stakeholders and democratic decision-making, social value pursuit through solidarity and cooperation, simultaneous pursuit of economic value and social value, and contribution to local society. Afterwards, through a policy survey related to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system,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due to the lack of budget and public consensus. In addition, based on this surve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economy can affect the improvement of the limits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It was analyzed that participation of stakeholders is essential to consensus on the preservation standards for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and the utilization of directions for use. And the social economy, which is actively in progres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limits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These will have a synergistic effect only when laws such as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eritage Conservation Act are enacted. Next, a meaningful social economy method was derived by investigating 11 cases of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s at home and abroad to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conomy were applied. In Korea, projects conducted in Mokpo, Gunsan, Incheon, and Daegu where many modern cultural heritages remain. Most cases in Korea use modern and contemporary heritage as a means to revitalize the city, and in that way, they have shown creative and innovative characteristics. However, sincere access to the values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seemed to be insufficient. Overseas, we investigated Japanese, British, German, American, and World Heritage cases. Overseas, it was confirmed that each country has its own characteristics, from the governance-type preservation method of Japan in which the government,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and citizens play their respective roles, to the method of utilizing Liverpool's modern heritage systematically promoting industrial heritage in stages. Through this domestic and foreign case analysis, I analyzed and derived social economy methods that can be applied to the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field. The method is: First, a correct understanding of and consensus on the social value of preserv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Second, participation of stakeholders including the government such as governance,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and residents, Third, creative, active, and systematic use of industrial heritage resources, Fourth, the use of social economy suitable for each country's situation to preserve heritage. Finally, the social economy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economy, and the limitations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were synthesized, and four common measures that the social economy method could be positively applied to the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were presented. The first is democratic decision-making and stakeholder engagement. In the social economy, citizens with voluntary will participate and pursue social values ​​through a process of one vote per person. I confirmed the significance of the plan through case analysis such as democratic decision-making in Oeam Village and the use of industrial heritage based on the mature citizenship of the UK and proposed a UK's Community business's method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the field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in Korea,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business model to maintain sustainability as a social economy organization. The social economy is based on a shift in perception in terms of social innovation and maintains economic independence through an organization's unique business model. This measure was confirmed through the creative use of Gunsan's negative heritage and the use of convergence through the platform strategy of Incheon Modern Heritage. I further applied the Diamond Plus model, which analyzes the success factors of social enterprises, to the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field of Korea.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it was suggested that for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in the cultural heritage field, which is in a poor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an advisory institution considering the expertise in the heritage field, link business with other ministries to expand the market, and introduce various management techniques. The third option is solidarity and cooperation. Social economy solidarity and cooperation methods are being actively operated in the form of cooperatives and third sectors in Canada, Spain, and the United Kingdom, and have been confirmed in the governance-type preservation method of Japan that I investigated. In the field of cultural heritage in Korea,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ill have to make efforts to revitalize the network considering the situation where solidarity and cooperation are taking place in the Cultural Heritage Social Economy Association. Fourth is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values. The importance of the value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was confirmed through the case of the failure to establish the Jeep Museum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case of a World heritage in danger. However, the social economy pursues social value, and if there is a lack of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value, the sustainability is often poor. The same is true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In other words,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e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exists in a place close to the citizens in the form of a city center and can be expressed in a complex manner in combination with time and space. Finally, this study is the first case to deal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economy and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and I hope that it will provide a basis for revitaliz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in the future. However, not all cases were investigated due to the inclusiveness of the social economy concept and the diversity of cases. And it is regrettable that a more detailed conclusion could not be drawn due to the destination-oriented nature of the social economy. In the future, if the scope of organizational form and characteristics is reduced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conomy and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such as a business model for success as a social economy organization, will be known in detail. Key words: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modern heritage, industrial heritage,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social economy, social enterprise, urban regeneration

      • 서울 문화유산으로서 카페의 가치 연구 : 계속형 카페를 중심으로

        윤혜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95

        문화유산은 선조로부터 물려받은 자산이고, 오늘날 우리 삶의 터전이다. 문화유산은 삶과 영감의 원천으로서 우리의 삶과 문화를 창조하고 있고, 우리는 지속적으로 활용하여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한다. 이에 따라 문화유산의 활용 방안에 대한 논의들과 활용 사례를 점검하는 작업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끊임없이 지역 고유의 삶과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는 계속형 문화유산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사라짐으로 인해 가져올 가치의 상실을 점검하고 있지 못하다. 계속형 문화유산에 내재된 삶과 영감의 원천을 새로이 그리고 지속적으로 활용할 방안이 다양하게 논의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서울의 문화유산으로서, 계속형 카페들이 서울의 삶과 문화를 창조하고 지속하는 과정을 활용과정으로 보고, 활용과정에 나타난 계속형 문화유산의 가치를 조명하였다. 활용을 통하여 어떠한 가치들이 미래세대에게 이어가야 할 것인지 점검해 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미래유산에 선정된 카페들 중 원래의 기능 활용, 주요 메뉴로 커피 제공을 조건으로 3곳을 추출하였다. 연구방법은 내용분석과 참여관찰에 의하였다. 온라인‧오프라인 문헌을 중심으로 연구대상 카페의 활용 과정을 분석하였다. 현장에 대한 이해와 문헌 내용의 확인을 위하여 주말과 주중으로 나누어 현장을 관찰하였다. 내용분석은 '계속형'의 개념을 정의하고, 연구대상 카페를 서울의 계속형 문화유산 카페로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계속형 문화유산 카페의 의미를 일상‧기능, 체험‧축적, 지역문화‧지속(주체), 지역문화‧지속(매개체)와의 관계에서 파악하였다. 그리고 기능, 장소, 구성원, 공간을 도출 및 항목화하고, 지역을 포함하여, 모두 11개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 카페들은 서울의 문화유산으로서, 첫째, 서울의 삶의 공간이고, 삶의 방식을 만들고 있다. 둘째, 서울 고유의 카페로, 대체불가능한 카페로 지속하고 있다. 셋째, 서울의 계속형 카페의 가치를 추가하고 있다. 넷째, 새로운 출발로 새로운 가치를 추가하고 있다. 주요어 : 근현대문화유산, 미래유산, 계속형, 카페, 커피, 학림다방, 독다방, 카페 미네르바 Cultural heritage is an asset inherited from our ancestors and is the foundation of our lives today. As a source of life and inspiration, cultural heritage is creating our lives and culture, and we must continue to use it and pass it on to future generations. Accordingly, discussions on how to use cultural heritage and review of use cases are underway.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cultural heritage, which is constantly creating local life and culture. We are not considering the loss of value that disappearance will cause. Various ways to utilize the ‘source of life and inspiration’ inherent in the continuous cultural heritage should be discussed in various ways.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creating and sustaining the life and culture of Seoul by cultural heritage cafes in Seoul was considered as the process of utilization, and the values ​​expressed in the process were analyzed. We checked what values should be passed on to future generations through utiliz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three cafes selected for the Seoul Future Heritage on the condition that they utilize the original function and provide coffee as the main menu. The research methods are content analysi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The utilization process of the study target cafes was analyzed through online and offline literatu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site and to check the contents of the literature, the site was observed on weekends and weekdays.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y defining the concept of 'continuous type' and setting the subject cafe as a cultural heritage cafe of a continuous type in Seoul. The meaning of the cafe thus set was ident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and function, experience and accumulation, local culture and continuity (subject), and local culture and continuation (media). Then, functions, places, members, and spaces were deduced and itemized, and all were subdivided into 11 categories, including regions, and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ultural heritage cafes of Seoul are the daily spaces of Seoul and are creating a way of life. Second, cultural heritage cafes in Seoul continue to be irreplaceable cafes. Third, the value of a continuous cafe in Seoul is being added. Fourth, Seoul Cultural Heritage cafes are adding new values ​​with new beginnings. keywords :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future heritage, continuous type, cafe, coffee, Hakrim Dabang, dok-dabang, Cafe Minerva

      • 캠퍼스타운의 유·무형적 유산속성의 활용을 통한 대학문화 활성화 연구

        김나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95

        우리나라 대학 교육은 근대 개혁 이후부터 시작되었으며 한국인, 일본인, 그리고 외국 선교사들에 의해 설립된 고등교육기관들의 주도로 이루어졌다. 광복 이후, 사립 학교들이 대학으로 인가를 받기 시작했고, 소수 의 지식인 계층이 향유했던 대학 교육은 현재 대부분의 사람이 경험할 수 있는 한 가지의 문화이자 기관으로 자리 잡았다. 이에 따라 사람들의 기 억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대학문화가 정의되기 시작했으며, 대학-지역사회 사이에 영향을 끼쳤다. 캠퍼스타운, 대학 마을이자 대학가로고도 불리는 이 공간은 대학생들의 학사 일정과 캠퍼스의 위치 등의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발전했는데, 코로나 펜데믹 이후 학생들의 부재에 따른 침체를 겪으 며 단조로운 캠퍼스타운의 상권에 큰 타격을 입혔다. 코로나 종식 후, 학생들이 학교에 복귀했음에도 불구하고 캠퍼스와 캠퍼스타운의 단절은 심 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절 요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려는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는 대학문화와 캠퍼스타운의 개념에 대해 정의하고, 고찰하고자 했다. 캠퍼스타운과 대학 사이의 단절을 일으키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세 곳의 연구 대상지를 선정했는데, 연세대학교 신촌 캠퍼스,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 마지막으로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이다. 신촌 캠퍼스타운은 연세대학교를 비롯하여 이화여자대학교, 서강대학교, 홍익대학교 등 대형 종합 사립 대학교들을 대거 보유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형성 되기 시작한 캠퍼스타운이기에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했다. 두 번째 로 동아대학교는 하나의 캠퍼스가 아닌 세 개의 멀티 캠퍼스를 각 목적에 맞게 운영 중인데, 이 중에서도 부민캠퍼스는 오픈형 캠퍼스를 추구하고,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세 캠퍼스와 캠퍼스타운을 비교할 목적으로 선정 했다. 이 세 곳을 중심으로 학생들과 일반 시민들의 주 통행로, 출입구의 위치, 대중교통과의 거리 등 다양한 근거로 분석하고자 했으며, 이에 필 요한 조사를 공통 설문, 심층 면담, 공간 분석 프로그램(Space Syntax) 등 의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진행했다. 현재 우리나라 대학들은 폐쇄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캠퍼스는 대부분 주 출입구를 사용하고, 담으로 경계를 구분하여 캠퍼스타운과의 단절을 표현하고 있다. 실제로 연세대학교와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는 차량 통행 위주의 도로로 인한 보행자의 통행 위험성, 지리적인 위치 등의 이유로 학생들의 인식 조사에서도 부정적인 응답을 많이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오픈형 캠퍼스를 유지하고 있는 부민 캠퍼스의 경우에는 지역사회와 꾸준 한 교류를 진행하고 있었고, 지역주민들은 학교를 자유롭게 통행하고 있 었으며, 주 출입구가 따로 없다는 상반된 결과를 얻었다. 이에 따라 캠퍼 스타운과 대학의 단절을 해소하고, 이에 따른 정체성 확보 방안을 모색하였다. 첫 번째, 오픈형 캠퍼스 및 대학 도시 개념 도입이 필요하다. 세계 여러 유명 대학 도시 사례를 보았을 때, 대부분은 도시 계획에 관여할 만큼 중 심 공간으로 작용하고 있거나, 명확한 경계를 두지 않고서 도시와 공생하 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들은 명확한 경계를 설정하는 담이나 대형 건물들을 설치하고, 정문 외의 다른 출입구로는 쉽게 통행할 수 없다는 상반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대학과 도시는 결코 분리될 수 없는 개념이 자 집단이며, 캠퍼스타운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유명 대학 도시들을 벤 치마킹하여 그 장단점을 분석하고, 그걸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구축해야 한다. 두 번째, 차량 위주의 통행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보편적으로 학생들은 대중교통이나 도보를 이용하여 통학하는 경우가 많은데, 도로 자체는 차량 위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른 통행 문제를 해결해야 캠퍼스와 캠퍼스타운의 단절을 해소할 수 있고, 조금 더 캠퍼스를 많이 활용 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 지역 문화유산 및 대학 박물관 등의 유·무형유산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창출이 필요하다. 대학 박물관, 근현대문화유산 등의 지역 정체성을 나타내는 지역유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 학과 도시, 즉 캠퍼스타운이 활성화될 수 있는 새로운 문화콘텐츠를 창출 하여 학생과 지역주민 외에도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방문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본 연구는 대학문화를 활용한 캠퍼스타운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모색하고, 고찰하였다. 대학문화라는 정체성과 캠퍼스타운 내에 산재한 다양한 유산을 활용하는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고, 이를 정책적으로 활 용하기 위한 해외 벤치마킹 사례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이처럼 지역성 을 더욱 명확하게 정의하고, 그 특색을 강화한다면 단조로운 캠퍼스타운 을 재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Korean university education began after the modern reform and was led by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established by Koreans, Japanese and foreign missionaries. After liberation, private schools began to be approved as universities, and university education enjoyed by a small number of intellectuals has become a culture and institution that most people can experience today. As a result, the university culture that began to form in people's memories began to be defined and influenced between universities and communities. The space, also known as campus town, university village, and university district, developed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college students' academic schedules and campus locations, but suffered a slump caused by the absence of students after the COVID-19 pandemic. Even though students returned to school after the end of COVID-19, the disconnection between campus and campus town is serious. Therefor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analyzing the disconnect factors and seeking ways to do so. This study sought to define and examine the concept of university culture and campus town. Three research site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cause the disconnection between campus towns and universities: Yonsei University's Sinchon Campus, Dong-A University's Seunghak Campus, and finally Dong-A University's Bumin Campus. Sinchon Campus Town has a large number of large comprehensive private universities such as Yonsei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Sogang University, and Hongik University, and it was judged worth researching because it was the first campus town in Korea. Second, Dong-A University operates three multi-campus campuses for each purpose, not one campus. Among them, the Bumin Campus was selected to compare the three campuses and campus towns in that it pursues and maintains an open campus. Based on these three sites,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were analyzed on various grounds, such as the main passageway, entrance location, and distance from public transportation, and necessary surveys were conducted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common questionnaires, in-depth interviews, and Space Syntax. Currently, Korean universities operate closedly, and most campuses use the main entrance and border with walls to express a disconnection from campus towns. In fact, Yonsei University and Dong-A University's Seunghak Campus received many negative responses in student perception surveys due to the risk of pedestrian traffic and geographical location of roads centered on vehicle traffic. However, in the case of Bumin Campus, which maintains an open campus, it has been steadily interacting with the community, and local residents are free to pass through the school and there are no main entrances. As a result, the government sought ways to resolve the disconnection between campus towns and universities and secure identity accordingly. First, the introduction of open campus and university urban concepts is necessary. Looking at the cases of many famous university cities around the world, most of them act as central spaces or coexist with cities without any clear boundaries. However, Korean universities have a conflicting characteristic that they cannot easily pass through other entrances except the main gate by installing walls and large buildings that set clear boundaries. Universities and cities are concepts and groups that can never be separated, and in order for campus towns to be activated, famous university cities must be benchmarked to analyze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establish ways to apply them. Second, the problem of vehicle-centered traffic should be solved. In general, students often commute by public transportation or walking, but the road itself is often composed mainly of vehicles. Only by solving the resulting traffic problem can the disconnection between campus and campus town be resolved, and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make more use of campus. Third, it is necessary to create cultural contents using local cultural heritage and university museum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local heritage that shows regional identity, such as university museums and modern cultural heritage, to create new cultural contents that can revitalize universities and cities, i.e., campus town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is study explored and considered ways to revitalize campus towns using university culture. More overseas benchmarking case studies will be needed to present the identity of university culture and revitalize various heritage scattered in campus towns and utilize them as policies. By defining the locality more clearly and strengthening its characteristics, it will be possible to revitalize the monotonous campus town.

      • 산업유산 보존을 위한 문화적 정체성 활용방안 연구 : 광주광역시 일신방직공장을 중심으로

        김영화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4175

        한 세기가 채 되지 않는 짧은 근현대 역사 동안 우리나라는 급격한 산업변화 및 경제발전과 함께 일제강점기와 광복이라는 다양한 경험을 겪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우리들의 삶과 함께했던 많은 산업유산들은 낡고 버려야 하는 대상으로 여겨졌으며 경제논리에 밀려 많이 소실되었다. 비슷한 변화를 먼저 겪었던 유럽을 포함한 선진국들은 산업유산을 역사의 증거물로써 바라보는 관점이 확산되었으며 이는 가치를 재인식하기 위한 학술적 연구와 함께 도시의 고유 콘텐츠로서 활용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 후 점차 우리나라 또한 우리들의 삶과 함께 해온 유산이라는 인식으로 접근하려는 움직임이 증가되었으며, 정부와 지자체를 중심으로 관련 제도가 정비되고 사업들이 시행되었다. 문화재청에서는 지정문화재와 등록문화재라는 제도를 통해 역사적 가치가 있는 유산들을 보존하고자 하였으며 서울시에서는 문화재로 등록되지 않은 유산 중 미래가치가 있는 유산을 대상으로 보호하고자 하는 제도를 수립하였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근현대 건축물을 대상으로 외부 보존과 내부 수리를 통해 다른 기능으로 활용하는 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러한 사업으로 재건된 많은 유산들과 공간들은 현대적 재해석을 통한 기능변경이나 문화적 정체성을 보존하는 등 다양한 활용방안을 통해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소수의 유산들은 산업유산 보다는 관광아이템으로 전락하여 본래 지니고 있는 역사적 가치나 문화적 의의를 고려하지 않은 운영과 활용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더군다나 제도적 보호를 받지 못하거나 사각지대에 위치한 산업유산들은 여전히 방치되어 있으며 소실 및 노후화가 급속도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산재된 산업유산을 발굴하고 적절한 활용방안을 강구하는건 산업유산의 의미를 되새김하고 지속가능한 보존이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제도적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지만 향후 미래유산으로서 가치가 충분한 산업유산에 주목하여 역사‧문화적 가치를 연구하고 실제 지속가능한 보존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산업유산은 지역 역사의 증거임과 동시에 지역민의 삶이 함께 얽혀 문화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지역 고유의 콘텐츠로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어 보존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일제강점기와 그 이후 급격히 변화된 사회는 산업 변화와 혼란을 야기시켰고, 반강제적으로 형성되었던 산업들은 광복 이후에도 경제활동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당시 건축을 포함한 유산들은 역사를 이해하고 연구할 수 있는 증거물로서 의의가 매우 크다. 이러한 사유로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근현대 산업인 방직산업을 대표하는 유산인 일신방직공장을 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일신방직공장을 산업유산으로 보존해야 하는 가치연구와 함께 관계, 운영, 확대, 지속, 연계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산업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는 사례들을 대상으로 활용실태와 성격, 가치에 대해 분석하여 가치보존과 지속가능한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와 비슷한 사례로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공간을 중심으로 조성한 사례와 문화적 정체성을 활용해 보존한 사례로 구분하였다. 각 사례들이 활용되고 있는 현황과 특성들을 분석한 뒤 일신방직의 향후 보존방안에 대해 재구성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최근 지자체를 중심으로 산업유산이나 근현대 유산들을 대상으로 보존하기 위한 지자체 조례 및 사업들을 구상하고 있다는 점은 매우 고무적이나 아직 실질적인 제도 마련이나 방안 수립은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정권 교체나 담당자의 잦은 변경은 기존 진행되던 업무가 지연되거나 단발성으로 종료되버리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근현대 산업유산들이 공통적으로 가질 수 있는 문제점을 일신방직을 통해 찾고, 보다 지속가능하고 지역정체성 보존과 지역민 참여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일신방직과 같은 산업유산이 역사의 흔적과 동시에 지역 고유의 콘텐츠로서 보존되기 위해서는 먼저 소유자의 권리보존 방안을 위한 제도가 개선되어야 하며 지역민을 대상으로 해당 유산에 얽힌 스토리텔링, 자료 수집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함께 사회적 공감대 형성과 역사·문화콘텐츠로서 교육적 활용 등이 연계되어야 산업유산이 가치를 온전히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 문화콘텐츠로 활용 가능하다. 이는 지역 산업역사와 유산의 미처 정리되지 못했던 이야기들과 자료들을 재정리하는데 기여해 지역 역사·문화적 정체성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 역사도시경관 개념으로 바라 본 근현대건축·오픈스페이스유산 보존 현황

        주민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51391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ural heritage has been consistently under threat of destruction, and this remains true today. This phenomenon raise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how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ural heritage exists within urban environments and how it is preserved by certain concepts and institutions. To find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e research scope was narrowed down to the interior of Hanyangdoseong, where the majority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ural heritage is distributed. Field surveys and literature re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information. As the ultimate goal is to preserve not only individual buildings but also spaces and landscapes, 67 out of the 169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ural heritage sites within the research scope, which are associated with open spaces, were selected for in-depth analysis. These sites were examined using the concept of historical urban landscape, which provides a broad perspective that expands from individual buildings to the context of open spaces and the entire city, embracing change positively and managing it as a concept. The 67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ural and open space heritage sites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emphasizing 'typical preservation value factors': modern and contemporary garden-associated type,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ural integration type, and modern and contemporary urban organization maintenance type. Additionally, two types focusing on 'intangible preservation value factors' were identified: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ical commemorative type and pre-modern historical accumulation type. A comprehensive survey of these five types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ural and open space heritage provided insights into the preservation status of each heritage. Firstly, the garden-associated type strongly emphasizes typical preservation value factors due to its visually and physically recognizable spatial characteristics, allowing for immediate understanding by anyone. Most of these spaces are preserved and maintained even without institutional protection, thanks to their visible form and symbolism. While many are under institutional protection, those included in certain private domains are managed and preserved by the owners themselves. Secondly, in the case of the architectural integration type, open spaces are intricately combined with buildings, serving the purposes and demands of architectural heritage actively. The original form is maintained in the case of public use, while commercial utilization tends to involve active changes in spatial configuration and materials. Thirdly, the urban organization maintenance type showcases modern and contemporary landscapes and lifestyles collectively, representing spaces where citizens currently reside or engage in daily activities. These spaces continually adapt to modern demands, altering their spatial structures and forms. Fourthly, the historical commemorative type focuses on intangible value factors, such as events, individuals, and groups, commemorating them through objects or reenactments. Lastly, the pre-modern historical accumulation type involves the continuous preservation and changes of space usage over the modern era, revealing various layers of value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The preservation status derived from each type proved to be highly useful in comprehensively understanding the multifaceted value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ural and open space heritage. The philosophical attitude toward their preservation is steadily evolving, yet the institutional reality struggles to keep up with the pace. This study extends the discussion of urban preservation, which has traditionally centered around buildings, to open spaces and intangible elements, attributing value to their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By directly confirming the inadequacies of the current pace of extension and development of the concepts of open spaces and landscapes, the study provides implications and academic significance. The researcher criticizes the fact that the preservation system for modern architectural heritage, despite expanding conceptually and spatially, still predominantly focuses on material objects. Even at the expense of neglecting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inheritance of spaces with preservation value, many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ural and open space heritages remain in blind spots. Therefore, the following directions for dealing with spatial heritage are proposed as more prudent: First, open space heritage should be considered as a viable preservation target, not just architectural heritage. Second, recognition is needed of the intangible preservation factors and preservation subjects underlying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ural and open space heritage, supporting and discovering them for a long-term perspective. Thir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widespread empathy for the value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ural and open space heritage are necessary. These three directions serve as the first steps toward passing down our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ural and open space heritage in a desirable direction for future generations. Continued research and policy efforts are necessary for this purpose. 근현대건축유산은 지속적으로 멸실의 위기에 처해왔고, 지금도 그러하다. 이러한 현상은 과연 근현대건축유산이 도시 속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으며, 어떠한 개념과 제도에 의해서 보존되는가라는, 보존현황에 대한 근본적 의문을 불러온다.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가장 많은 수의 근현대건축유산이 분포한 한양도성 내부를 중심으로 연구범위를 한정하고, 현장답사와 문헌조사를 진행해 정보를 수집하였다. 궁극적으로 보존하고자 하는 것은 단독 건축물 아닌 공간이자 경관이므로, 연구범위 내 169개소의 근현대건축유산 중 오픈스페이스와 관계 맺고 있는 67개소를 심층분석 대상으로 설정하고, 역사도시경관 개념으로 분석하였다. 역사도시경관 개념은 개별건물에서 오픈스페이스와 도시 전체의 맥락으로 확장하는 넓은 틀의 시각을 제공하며, 변화를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관리하는 개념이다. 67개소의 근현대건축·오픈스페이스유산은 크게 ‘유형적 보존가치요소’가 강조되는 근현대정원 수반형, 근현대건축 결부형, 근현대도시조직 유지형이라는 세 가지 유형과, ‘무형적 보존가치요소’를 주요 보존대상으로 삼는 근현대사 기념형, 전근대사 축적형으로 나누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총 다섯 유형의 근현대건축·오픈스페이스유산에 대한 전수답사를 통해 각 유산의 보존현황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근현대정원 수반형은 유형적 보존가치요소가 매우 강조되는데, 이는 누구나 곧바로 인지하고 이해할 수 있는 시각적이고 물리적인 형태의 공간이기 때문이다. 대부분 그 가시적 형태와 상징성 덕분에 제도의 보호를 받지 않더라도 원형을 유지하며 보존되고 있다. 상당수가 제도권의 보호를 받고 있으나 일부 사적영역에 포함된 경우 소유주 자체적 관리하에 보존·활용되고 있다. 둘째, 근현대건축 결부형의 경우 오픈스페이스는 건축물과 마치 하나의 개체처럼 결합 되어있어 건축유산의 용도와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한다. 공익적 활용의 경우 원형이 유지되며, 상업적 활용의 경우 공간구성과 재료 등이 적극적으로 변경되는 경향이 있다. 셋째, 근현대도시조직 유지형의 경우 근현대경관과 생활상을 집합적으로 보여주는 유형으로, 대부분 시민이 현재 거주하거나 생업활동하는 공간이기에, 현대적 요구를 지속적으로 수용하며 공간구조와 형태를 변화시켜오고 있다. 넷째, 근현대사 기념형의 경우 보존의 주요대상이 사건, 인물, 집단으로 무형적 가치요소이므로, 그를 기념하는 오브제를 조성하거나, 해당 사건을 재연하는 방식을 취한다. 다섯째, 전근대사 축적형은 근대시기 결정된 공간의 용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거나 변화해오며 쌓인 다양한 층위의 가치를 입체적으로 드러내며 보존된다. 이상과 같이 도출된 유형별 보존현황은 근현대건축·오픈스페이스유산이 가진 가치를 다각도로 살펴보며 총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하였고, 이를 대하는 보존철학적 태도는 꾸준히 성장 중이나 제도적 현실은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함을 종합적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금껏 건축물 중심이었던 도시보존 논의를 오픈스페이스와 무형요소로 확장하여 보존·활용의 가치를 부여하였다는 점과, 오픈스페이스나 경관으로의 개념의 확장과 발전속도를 현실이 따라가지 못하는 부족한 현실을 현장답사를 통해 직접 확인하고 이들의 보존현황을 도출하였다는 점, 그리고 역사도시경관 개념을 특정공간이 아닌 도시단위 지역에 적용하여 실천적 접근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과 학문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구자는 근현대건축유산의 보존 제도가 개념적·공간적으로 점차 확장되어 왔지만 현실에서 작동하는 보존방식은 여전히 물질적 대상에 초점을 맞추어져 있으며, 이를 차치하고서라도 보존가치가 있는 공간의 전수조차 파악하지 못하여 사각지대에 속해있는 근현대건축·오픈스페이스유산이 많다는 점을 비판하며, 다음과 같은 방향성으로 공간유산을 대하는 것이 보다 현명함을 제안한다. 첫째, 건축유산 뿐만아니라 오픈스페이스유산 또한 충분히 보존의 대상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둘째, 근현대건축·오픈스페이스유산의 이면에 자리한 무형적 보존요소와 보존주체를 지원하고 발굴하는 것이 장기적 관점에서 바람직한 보존의 방향성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하며, 셋째, 근현대건축·오픈스페이스유산에 대한 가치의 전방위적 공감 확산이 필요하다. 위의 세 방향은 우리 도시 속 근현대건축·오픈스페이스유산을 후대에 바람직한 방향으로 전승하기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며, 이를 위한 연구와 정책이 지속적으로 이어질 필요가 있다.

      • 한국 근현대 제지기술과 정책 연구

        박근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85823

        무형유산의 한 분야인 공예 기술의 연구에 있어서, 전통과 현대의 가교역할을 한 근대, 그리고 급격한 산업화가 이루어진 해방 이후의 상황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전통 시기의 공예는 장인(匠人)이 오랜 시간에 걸쳐 터득한 경험과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간단한 도구를 사용하는 수공업이었다. 그러나 1876년 개항 이후 조선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근대화를 경험하면서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일상생활의 필수품인 종이를 만드는 제지(製紙) 분야도 예외는 아니었다. 근대문화의 발달과 지폐 제조, 신문발간 등 각종 인쇄물의 증가에 따라 종이 수요는 급증하였고, 제지업은 유망한 공업(工業)의 하나로 인식되었다. 자주적으로 근대 제지공업을 도모하고자 했던 조선 정부의 노력은 조선 후기 박지원(朴趾源), 이규경(李圭景), 이유원(李裕元) 등이 제기했던 제지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이 바탕이 되었다. 조선 정부는 부국강병과 식산흥업 정책을 추진하기 위하여 수신사(修信使)와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을 일본에 파견하였다. 이들은 당시 일본에서 다양한 원료로 증기기관을 통해 종이를 만드는 모습을 보고 조선에 기계공업을 도입하고자 하였다. 이에 1882년 470여 년 동안 관영 제지업을 담당했던 조지서(造紙署)가 폐지되었다. 장인의 손과 기술, 소도구에 의지하는 전근대적인 수공업에서 기계를 이용한 제지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1902년 전환국(典圜局) 조지소(造紙所)에서 지폐 용지를 만들게 되면서부터이다. 1904년 전환국 폐지 이후에는 인쇄국(印刷局)으로 제지사업이 인계되었고, 조지부(造紙部)를 설치하고 외국인 기사를 고빙(雇聘)하였다. 특히 1898년부터 전환국 분석기사로 근무한 후케다 신야(更田信彌)는 우리나라 근대 제지기술 교육과 정책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가 남긴 강점 이전의 제지 실태조사 관련 자료는 제지기술의 변화과정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일제 강점 이후 조선총독부는 제지업을 유망한 공업의 하나로 인식하였고, 동시에 부업으로 제지업을 장려하기 위하여 개량 정책을 시행하였다. 총독부는 기술자를 파견하여 주요 제지 산지를 조사하였고, 조선의 제지업에서 시급한 개선사항을 파악하여 개량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공업장려 보조사업으로 기술원(또는 순회교사) 배치, 강습회(講習會) 등을 개최하였다. 이 중 제지강습회는 효율성과 경제성을 중시한 개량 기술의 보급과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한편, 1912년 설립된 조선총독부 중앙시험소(中央試驗所)는 일제강점기 제지 정책의 수립과 시행에서 이론적․과학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4회에 걸친 제지시험 보고와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강습회, 실지지도 등을 통해 중앙시험소는 제지기술의 보급과 확산에도 기여하였다. 또한 1930년대 후반에는 전시(戰時) 경제체제로 전환되면서 공정가격화, 제지원료의 통제, 가격 지정이 이루어졌고, 조선지(朝鮮紙)로 명칭과 규격이 통일되었다. 이렇게 일제강점기에 시행된 제지 정책 결과, 다양한 원료의 사용, 화학약품의 응용, 도구의 개량과 기계의 도입 등 제지기술과 공정상 경제성과 효율성이 높아졌고, 제품검사를 통한 품질 개선 등 근대화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전통 제지기술의 특징인 도침(搗砧) 공정은 줄어들었고, 조선 고유의 특성과 개성이 사라지는 등 전통의 쇠퇴는 피할 수 없는 결과였다. 이 시기 제지 정책이 공급자 중심으로 진행된 측면이 있으나, 수요자(제지기술자 등)는 개량 기술에 대한 비판과 조선지의 복구를 위한 대책을 제시하면서 주체적으로 수용했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해방 이후에는 지질이 견고하고 풍미가 우수한 종이에 대해 ‘한지(韓紙)’라는 명칭이 사용되었고, 한지의 규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농촌진흥청(農村振興廳)에서는 농가의 소득 증대를 목적으로 1967년부터 농촌부업단지(農村副業團地)를 조성하여 한지 제조를 장려하였다. 1972년 상공부(商工部)에서는 경상도, 전북, 충북 지역의 한지를 수출 품목이자 지역특화산업으로 지정하였다. 그리고 1973년부터 한지를 생산하는 새마을공장이 건설되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정책은 1960년대 「문화재보호법」의 제정이다. 이를 통해 무형유산으로서 한지의 가치를 인정하고자 하는 인식이 대두되었다. 1961년 문화재보존위원회에서 무형문화재 보존 종목으로 제지기술을 선정하였고, 1962년 「문화재보호법」을 제정하여 제지기술을 포함한 무형문화재의 보존과 관리를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후 1973년 문화재관리국의 ‘한지-지장(紙匠)’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1995년에 이르러 경상북도에서 청송의 한지장을 도무형문화재로 지정하였다. 그리고 10년 뒤인 2005년에 국가무형문화재 한지장이 지정되었다. 이후 지금까지 경기도, 전북, 경남, 충북 지역에서도 한지장 지정을 통해 전통한지 기술의 전승이 이어지고 있으며, 전통한지 산업과 기술의 전승 확대를 위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한지 종목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하여 많은 분야에서 노력하고 있는 지금, 전통한지 기술에 대한 체계적인 복원과 과학적인 분석, 기술의 전승을 도모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전통한지의 실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술과 공정에 가장 많은 변화가 있었던 근대와 해방 이후의 상황을 정리하여 지금의 한지가 있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는 작업도 뒷받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한지에 대한 통시적 변화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기술과 공정에 많은 변화가 이루어진 근현대에 주목하는 이유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