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중 박물관 문화상품 개발 비교 연구 : 국립중앙박물관과 고궁박물관을 중심으로

        완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cultural products commercialized and developed by the museum reflect the long history of each country and serve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museum by turning intangible culture into tangible products by commercializing various cultural elements. About 1.2 million cultural products from the commercialization of National Museum of Korea were sold in 2016, with sales from online shops rising 40% on-year. In addition, the Palace Museum of China and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rere presentative museums of each country, exhibiting and selling various creative commercialization cultural products developed by the museum itself, along with artifacts from the collection to the public. Commercialization of The Palace Museum of China began developing cultural products in earnest in 2014, with sales of cultural products reaching 1.5 billion yuan(26 billion won) in 2017. just three years later. As such, museum commercialized cultural products are increasingly an important part of the museum's profits and contribute to supplementing the museum's finances.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cultural products in the commercialization of museum management is increasing day by day. In response, this study sought to develop the commercialization strategies of cultural products in museums between the two countr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mmercialization strategies of cultural products betwee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Palace Museum. To this e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ltural products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Palace Museum was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of marketing mix(4P) strategies such as product, price, place and promo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erms of products, commercialization of the Palace Museum tends to value strategies for partnerships with other companies, but commercializa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focuses on developing its own products by focusing mainly on ‘pre-planned cultural products'. In terms of price, the commercialization cultural products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re priced higher than those of the general product line. This seems to be intended to promote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cultural value differentiation of products that customers have when purchasing museum cultural products using a high-price strategy. On the contrary, commercialization of the Palace Museum is sold at a relatively low price compared to similar products on the market. This is analyzed as a strategy adopted by the Palace Museum to increase its market share. In terms of place, commercialization of the Palace Museum uses various e-commerce to sell cultural products, while commercializa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uses a strategy of focusing on sales through certain e-commerce companies In addition, the Palace Museum is located at the entrance to the main gate, bu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s offline cultural merchandise store is installed inside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terms of promotion, commercialization of the Palace Museum mainly utilizes internet social media commercialization of strategies, while also using a method of promoting a package of ‘bok-pocket' packages. On the other hand, commercializa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uses the method of developing cultural products by gathering creative ideas of people's active cultural products through a museum cultural product contest every yea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mmercialization methods of the two museums by presenting examples of commercialization of the museum's cultural products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Palace Museum, and giving new implications to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in commercialization of museums in Korea and China. 박물관이 개발한 문화상품은 각국의 오래 역사를 반영하며 다양한 문화요소로써 무형의 문화를 유형의 상품으로 전환하여 박물관의 발전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였다. 한국의 국립중앙박물관과 중국의 고궁박물관은 각국을 대표하는 박물관으로서 대중들에게 소장 유물과 더불어 박물관 자체에서 개발한 다양하고 창의적인 문화상품을 전시 및 판매하였다. 한국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상품은 2016년 한 1년 동안 약 120만 개가 판매되었고, 온라인 숍 매출은 전년 대비 40% 증가하였다. 또한, 중국 고궁박물관 2014년부터 문화상품을 본격적으로 개발하기 시작했는데 불과 3년만인 2017년 문화상품 매출액이 15억 위안(260억 원)에 달하였다. 이처럼 박물관 문화상품은 박물관 수익에서도 점차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박물관의 재정을 보충하는데 기여하는 바가 크다. 이에 따라 박물관 문화상품마케팅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립중앙박물관과 고궁박물관 문화상품 전략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양국 박물관 문화상품 발전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품, 가격, 유통, 촉진 등 마케팅 믹스(4P) 전략 분석을 통해 국립중앙박물관과 고궁박물관 문화상품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품(product) 측면에서 고궁박물관 다른 기업과 제휴 전략을 중시하는 경향이지만 국립중앙박물관 주로 ‘기획전 문화상품'을 중심으로 문화상품 개발에 치중함으로써 독자적인 상품 개발에 중점을 뒀다. 가격(price) 측면은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상품은 일반 제품의 가격대에 비해 높게 책정되었다. 이는 고가격 전략을 사용하여 박물관 문화상품을 구매하였을 때 고객들이 가지는 제품의 심리적 만족감과 문화적 가치 차별성을 꾀하려는 의도로 보여줬다. 그 와 반대로 고궁박물관은 상대적으로 시중의 유사 제품 비교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되었다. 이는 고궁박물관 시장 점유율을 늘리기 위해 채택한 전략으로 분석되었다. 유통(place) 측면에서 고궁박물관은 다양한 전자 상거래를 이용하여 문화상품을 판매하는 반면 국립중앙박물관은 특정 전자 상거래 업체를 통해 집중 판매하는 전략을 구사하였다. 또한, 오프라인 판매장의 경우 고궁박물관은 정문 출입구에 위치 하지만 국립중앙박물관의 오프라인 문화상품 점은 국립중앙박물관 내부에 설치하고 있다. 촉진(promotion) 측면에서 고궁박물관 인터넷 소셜 미디어 문화상품 개발 전략을 주로 활용하는 동시에 ‘복주머니’꾸러미 형태 판촉 방법을 구사하였다. 반면 국립중앙박물관은 매년 박물관 문화상품 공모전을 통해 사람들의 적극적인 문화상품 창의 아이디어를 모아서 문화상품을 개발하는 방식을 사용 하였다. 본 연구는 국립중앙박물관과 고궁박물관의 문화상품 사례를 제시하여 2박물관 문화상품 개발 방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한국과 중국의 박물관 문화상품 발전에 새로운 시사점을 주는 데에 의의가 있다.

      • 국립박물관의 문화다양성 연구 : -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민속박물관 전시를 중심으로

        김미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the role of national museums that have thus far upheld goals of disseminating the ethnic excellence and consolidating ethnic identity in enhancing Cultural Diversity emanating from an environmental shift of rising number of immigrants based on exhibitions held at the museums. Up to now since national independence, national museums have been serving as mediums that “boost ethnic culture.” However, South Korea, once envisioned as a “single ethnic” country, is soon about to enter a multiethnic nation as foreigners living in South Korea represent roughly 4 percent as of 2022. Meanwhile, tolerance to immigrants has witnessed a downward trend on a gradual basis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pandemic.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draw up solutions to address these social problems with a view to expanding public tolerance and inclusiveness toward these immigrants as hatred toward women,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ocially minor groups are now being spread even to the political arena. In 2006, the Korean government declared the era of multiculturalism, and a number of multicultural policies have been in place since then. Multicultural policies at its nascent stage faced rebuke that these policies were heavily focused on international family-led assimilation in patriarchal familism. In 2001, the UNESCO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was proclaimed, and the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s was signed in 2005.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developed multicultural policies with cultural diversity as Korea became an 110th country of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s in 2010 In this context, there has been growing demand worldwide for diversity and inclusiveness toward museum based on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 and discussions on new museology. In addition, the UNESCO prescribed that museum serves as “the most fundamental instrument” that performs Cultural Diversit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presented mid- to long-term visions and strategic tasks aimed to enhance cultural diversity, while recognizing a demographic shift in South Korea at forums. Since relocated to Yongsan in 2005,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reated the Asia Art section and the Special Exhibition Gallery and has held exhibitions that actively introduced foreign cultures. The Asia Art section was reshaped into the World art Gallery in 2019, and it cooperated with globally prominent museums in building the Ezypt Gallery and the Mesopotamia Gallery. A special exhibition on the theme of “stranger” was held in 2021 at the Gyeongju National Museum in active recognition of demographic changes arising from a growing number of immigrants in South Korea. As such, the scope of activities designed to improve cultural diversity has been broadened to exhibitions. Yet there is a broad consensus with regard to limitations that the planned exhibitions and special exhibitions introduced western culture in terms of internationalism and they are heavily focused on exchange with western museums. Exhibitions themed multicultural societies were only held at provincial museums until now. The stark difference between metropolitan areas and provincial areas was noted in terms of activities aimed to enhance cultural diversity such as planned exhibitions and permanent exhibitions as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s introduced some of relics at the Korean History permanent exhibitions. In 2009 and 2012,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eld planned exhibitions on the theme of multicultural family and expatriates, respectively. Beginning in 2011, the City Folk Survey has launched survey about Incheon and Wongok-dong after creating a category of “multicultural city,” and checked Geoje in the category of “business-type city.” Concerning this, this study surveyed living of multicultural and immigrant families. After investigating folk survey such as material culture, ethnicity and rituals, exhibitions on comparative culture were hel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findings, a further task to improve cultural diversity handled by national museums was presented in the conclusion part. 이 연구는 오랫동안 민족의 우수성을 확산하고 민족 정체성을 강화하는 것을 사명으로 여겼던 국립박물관이 이주민 인구 증가라는 변화를 맞아 문화다양성 증진의 역할을 어떻게 수행하는지 전시를 중심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 국립박물관은 ‘민족문화 중흥’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단일 민족’ 국가로 상상되던 한국은 2022년 기준 국내 거주 체류외국인의 비율이 약 4%로, 다민족 국가로 진입을 앞두고 있다. 반면, 코로나 19 이후 이주민에 대한 수용성이 점점 낮아지는 추세를 보인다. 이주민에 대한 수용성만이 아니라, 여성이나 장애인 등 소수자에 대한 혐오가 정치 영역까지 침투하고 있어 이들의 수용성과 포용성을 증대하는 사회적 해결 방안이 요구된다. 2006년 한국 정부는 다문화 시대를 선포하였고 관련 정책을 시행하였다. 초기 다문화 정책은 가부장적 가족주의 내에서 국제결혼 가정을 중심으로 동화주의적인 정책을 펼쳤다는 비판을 받았다. 국제적으로는 2001년 유네스코 다양성 선언이 선포되었고, 2005년 문화다양성 협약이 체결되었다. 한국은 2010년에 문화다양성 협약 비준을 계기로 다문화 정책과 문화다양성 정책이 복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런 흐름 속에서 국제박물관협의회와 신박물관학 논의를 중심으로 전세계적으로 박물관에 대해 다양성과 포용성 요구가 증대되었고, 유네스코는 박물관이 문화다양성을 수행하는 “가장 기본적 수단”이라고 명시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민속박물관도 중장기 정책이나 비전, 포럼 등에서 국내 다변화된 인구 구성과 환경을 인식하고 문화다양성을 증진하기 위한 기관의 비전과 전략과제를 제시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은 2005년 용산으로 이전 한 이후 아시아관과 특별전시실을 설치하고, 아시아와 세계 문화를 소개하는 전시를 적극적으로 개최하기 시작하였다. 2019년에는 아시아관을 세계문화관으로 개편하여 이집트실, 메소포타미아실 등을 국외 유수의 박물관과 협력으로 설치하였다. 2021년에는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이주민 증가에 따른 인구 구성 변화를 적극적으로 인식하여 ‘이방인’을 주제로 한 기획전시를 개최하였다. 이처럼 문화다양성을 증진하기 위한 활동들이 전시로 확장되고 있지만, 주로 기획전과 특별전이 국제주의적 관점에서 서양 문화를 소개하고, 서구권 박물관 교류에 편중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조선총독부박물관 시기에 수집된 유물들이 아시아관과 세계문화관의 전시실을 구성하는 주요 소장품으로 자리하고 있다는 점에서 식민지배 유산이 문화다양성의 수단으로 활용된다는 모순을 살펴볼 수 있었다. 더불어 현재까지 다문화사회를 주제로 한 전시는 지방박물관에서만 개최되었고,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한국 역사의 상설 전시에서 일부 유물로 소개하는 정도로 머물고 있어서 전시에서도 문화다양성 증진을 위한 활동이 기획전과 상설전, 중앙과 지방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립민속박물관은 2009년과 2012년 다문화 가족을 주제로 기획전시를 개최하였고, 최근 2022년 재외 동포를 주제로 전시를 열었다. 2011년부터는 도시민속조사에서 ‘다문화 도시’라는 카테고리를 만들어 인천과 안산 원곡동을 조사하였고, ‘기업형 도시’라는 범주에서 거제를 조사하였다. 이와 관련해 이주민 가구의 살림살이 조사도 진행하였다. 또 물질문화, 민족, 의례 등 민속조사를 진행하여 비교문화 전시를 개최하기도 하였다. 2012년 다문화 주제의 전시의 경우 ‘객원 큐레이터’ 제도를 도입하여 이주민 스스로가 목소리를 내도록 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하지만 전시 내용은 이주민 중 다문화 가족만을 대상으로 하여 가부정적 가족주의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두 박물관의 공통점을 도출하였다. 공통점은 다문화 사회에서 박물관의 역할을 교육에 한정하지 않고 전시 영역으로 확장하고자 한 소극적인 시도를 들 수 있다. 또, 두 박물관 모두 상설전시에서는 이주민과 관련한 주제를 거의 다루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주민 주제 전시 구성에서는 각각 이주민의 얼굴이나 낯선 외형을 강조하는 점을 공통점으로 나타났다. 위의 분석을 바탕으로 국립박물관의 문화다양성 증진을 위하여 교류협력 대상의 다양화, 이주민 다양한 정체성 조명, 다양성 증진 노력의 지속성 강화, 박물관 전시 구성 인력의 다양성 확보, 비관람객인 이주민에 대한 관심 등 다섯 가지 과제를 제시하였다.

      • 국립익산박물관 관람을 위한 어린이용 활동지 개발

        김민애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 지역 역사와 문화재에 대한 인식의 부재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역 박물관의 역할이 중요하다. 국립익산박물관은 2020년 재개관하였으나 관람객에게 하여금 지역 역사와 문화재에 관심을 두고 탐구의 자세를 갖게 하는 교육적 요소가 여전히 충분하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익산박물관 관람을 도우며 유물 리터러시를 끌어낼 수 있는 어린이용 활동지를 개발하고자 한다. 다양한 박물관 교육 매체가 개발되고 있으나 활동지는 여전히 기본적인 교육 매체로서 기능하고 있다. 국립익산박물관 관람을 위한 활동지 개발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지에 들어가는 대상으로는 국립익산박물관의 이야기를 구성하는 미륵사지와 익산, 미륵사지 석탑, 미륵사지 석탑 출토 사리장엄구, 금제사리봉영기를 선정하였다. 둘째, 각각의 전시물에 관한 국립익산박물관 단행본, 레이블, 텍스트 패널 등 전시요소를 분석하여 학습요소를 추출하였다. 각 전시물은 후퍼 그린힐의 7개 요소별 통합적 접근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관찰 → 추론 → 정보 확장 → 맥락적 이해 단계마다 후퍼 그린힐의 7개 요소 중에서 적합한 것을 뽑아 유물 읽기 방식을 적용한 각 전시물 학습 모형을 만들었다. 학습 모형 단계마다 앞서 추출한 학습요소를 선정하고, 발문을 작성하였다. 넷째, 활동지는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살펴보기 → 궁금해하기 → 알아보기 → 더 생각하기 단계로 각 과정과 어울리는 형식과 제작기법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활동지를 활용한다면 국립익산박물관을 처음 방문한 어린이도 스스로 전시물을 탐구하고 유물을 읽을 수 있는 유물 리터러시를 기를 수 있으며, 박물관을 능동적으로 탐험하고 흥미로운 장소로 인식할 수 있다. 국립익산박물관 활동지를 통해 어린이가 우리 지역 역사와 문화재에 관심을 두고 역사 학습의 즐거움을 알게 되기를 기대해본다. The role of a local museum is to help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local history and cultural heritage. Even after the reopening of Iksan National Museum, it is still void of adequate educational elements that can help people develop an exploratory attitude and be more interested in local history and cultural heritage.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worksheets for children that can facilitate a better tour of Iksan National Museum and lead to artifact literacy. Even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dia for museum education, a worksheet is thought to be one of the most basic but effective tools in education. The Iksan National Museum’s Tour (Field Trip) Worksheet for children has been developed in four stages as follows. First, for the subjects of the worksheets, the Mireuksa Temple Site in Iksan, the Stone Pagoda at Mireuksa Temple, Śarīra Reliquaries from the Stone Pagoda at Mireuksa Temple Site, and the Gold Plate with the inscription of Śarīra Enshrinement were selected. They would be organized into story form in Iksan National Museum. Second, learning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analyzing books, labels, and exhibition panels of each exhibit in Iksan National Museum. Each exhibit was analyzed using Eilean Hooper Greenhill’s 7 specific elements for analyzing museum objects. Third, this study makes use of a few appropriate elements from Hooper Greenhill’s 7 elements consisting of the following 4 stages: ‘Observation → Reasoning → Information Extension → Contextual Understanding.’ In each stage, the learning model selected what to learn of the previously extracted learning elements and create questions from them. Fourth, the worksheets were constructed with the following process on a child’s level: Seeing → Wondering → Understanding → Thinking. These worksheets were also constructed with techniques and formats that could match each phase. Using the worksheet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even children who first visit Iksan National Museum can study exhibits for themselves and develop their artifact literacy. They may actively explore the museum and see the museum as an interesting place. I expect Iksan National Museum’s worksheets to help children be more interested in local history, cultural heritage and enjoy learning history.

      • 몽골국립박물관 고객만족도 제고 방안 연구

        어용다르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Museums and their main functions have chang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historical and social changes. Today, museums moved away from heavy and closed atmosphere to cultural infrastructure beyond the original function, facilitating with various culture and education activities and customer satisfactory service to meet the customer’s needs. Considering this change in museums in the 21st century,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of Mongolian National Museum which educates culture and history of Mongolia as a representative of its nation. Surveys on customer satisfaction regarding how satisfied its customers are towards the museum and how satisfied they are with customer service such as information, exhibition/tour, amenities and guidance service were done to its visitors. Summing up the survey on the Mongolian National Museum, the most satisfactory aspect of the museum was exhibition/tour service, followed by information service prior to the visit and guidance service. The most unsatisfactory aspect was amenities. As for the improvement, the service that needed improvement the most was amenities and explanation regarding the exhibitions. Many customers indicated that information service needed an improvement in accordance with mobile and internet environment and more amount of information was needed. Regarding guidance service, customers said that there was lack of tour guides, signs and amount of information available. In terms of amenities, the museum needs to be facilitated with more amenities for exhibition and tour. The Mongolian National Museum should try to understand its customers’ needs with more depth to provide the best service and facilities to the customers in accordance with change of an age and they will need to improve with the customer service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 This study is significant since it is the first customer satisfactory survey of the Mongolian Nation Museum. I hope that related researches would be continuously done to offer higher satisfaction to Mongolian citizens and foreign visitors. 박물관은 역사의 흐름과 사회적 변화에 따라 주요 기능이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다. 과거의 무거운 분위기 그리고 패쇄적 방식에서 벗어나 21세기 박물관은 고유의 기능뿐만 아니라 문화 인프라로서의 복합문화공간으로 인식하게 됨에 따라 현재의 박물관은 대중의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박물관 고객서비스, 교육 및 다양한 문화 활동을 향유할 수 있는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21세기 박물관의 변화를 고려하여 몽골의 문화 역사를 알리고 있는 나라를 대표하는 박물관인 몽골국립박물관의 고객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몽골국립박물관 관람객들에게 ‘몽골국립박물관 관람에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는지’ ‘몽골국립박물관 고객 서비스(박물관의 정보서비스, 전시․관람서비스, 편의․휴게시설, 안내서비스)를 이용할 때 얼마나 만족하는지’에 대한 고객만족도 조사를 하였다. 몽골국립박물관에 대한 고객만족도 조사결과를 종합하면, 만족도가 가장 높은 분야는 전시관람 서비스이고, 그 다음으로 방문전 정보서비스, 안내 서비스 순으로 나타났으며 편의휴게시설 서비스에 대한 불만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사항에 대해서 살펴보면, 전시관람 서비스에서는 편의시설 부족, 전시설명 부족에 대한 개선요구가 높았다. 방문전 정보서비스에서는 정보전달방법을 인터넷 모바일 환경에 맞게 개선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았으며 더 많은 정보를 줄 것을 요구하였다. 안내서비스에 대해서는 안내원 부족, 안내 정보량 부족, 안내 표지판 부족을 개선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휴게시설 서비스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전시 관람을 위한 편의시설을 확충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몽골국립박물관이 시대 변화에 따라 관람객들에게 최고의 박물관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요구사항을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조사결과 나타난 고객서비스의 보완사항에 대한 개선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몽골국립박물관에 대한 최초의 고객만족도 조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연구가 몽골에서도 계속 이루어져서 몽골국립박물관이 몽골국민과 몽골을 찾는 외국인에게 보다 큰 만족을 줄 수 있는 박물관이 되기를 바란다.

      • 신라왕경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국립경주박물관 외부공간 전시 계획에 관한 연구

        이현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With the spread of the COVID-19 pandemic, museums doors remained shut for extended periods and the number of people gaining cultural experiences in outdoor spaces rather than enclosed exhibition halls increased. Since this experience, questions have arisen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the existing outdoor areas at public cultural facilities and their use as exhibition spaces. Domestic and foreign museums have undergoing changes such as the use of open outdoor spaces as their central area for cultural activities. This paper examines the diverse outdoor spaces and programs at museums. It also explores what visitors can uniquely experience in such outdoor spaces and the social roles that they can play. Outdoor spaces at museums need to be viewed as exhibition spaces equal to their indoor areas. Items considered to be proof against temperature or humidity, even outdoors, have been displayed there along the pathway designed to guide the flow of visitors from the entrance to the museum grounds to the indoor exhibition halls. The objects displayed in the outdoor spaces of South Korea’s national museums are valuable cultural properties every bit as significant as the objects exhibited inside. Nonetheless, these outdoor objects receive less attention owing to visitors’ low level of awareness of outdoor spaces and the one-sided viewing environment in outdoor spaces that discourages interaction.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ncourage the recognition of museums’ outdoor spaces as one of their major spatial resources. Outdoor spaces at museums should be designed to reflect the identity of the museum through the objects on display. By suggesting exhibition planning for the outdoor space of the Gyeongju National Museum through the application of visual storytelling about the culture and history of the Silla Kingdom capital, this paper attempts to highlight aspects of Silla that only the Gyeongju National Museum can display. The following are the suggested exhibition plans for the outdoor space at the Gyeongju National Museum. First, the entrance area of the Gyeongju National Museum and its visitor flow should be reorganized to connect with the Wolseong Palace Site, Wolji Pond, and Donggung Palace. In order to improve visitor access, this paper proposes the improvement of the parking lots for easier access to the museum buildings and the creation of a historic park at the museum entrance. Second, this paper suggests a “new journey” concept for the outdoor space of the Gyeongju National Museum that incorporates elements of the Silla capital and applies storytelling about the culture and history of the capital. Pagodas and stone lanterns from the Silla Kingdom can be utilized to this end. A more active utilization of the museum’s ancient resources and the installation of a rotation of durable contemporary artworks is suggested instead of the existing anchored outdoor displays in an effort to communicate with visitors. Third, the suggested exhibition plans in this paper include the construction of a new pavilion for the Sacred Bell of Great King Seongdeok in order to improve visitor convenience and expand the Gyeongju National Museum. They also include strengthening the connections among the convenience facilities on the first floor of the Silla History Gallery and other exhibition halls. Fourth, the reshaping of the central square to have it surrounded by the Silla History Gallery, Silla Art Gallery, and Wolji Gallery is suggested. The relocation of the national treasure Three-Story Stone Pagoda from the Goseonsa Temple Site and related artifacts to the central square would encourage visitors to contemplate the meanings of Silla temples and pagodas. By interconnecting the Silla History Gallery, Silla Art Gallery, Wolji Gallery, and the Treasury of the Silla Millennium, the new central square would offer visitors a space for healing and serve as a core space for the museum where visitors can linger. Fifth,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outdoor space be designed to serve not only as an outdoor museum where displays are scattered around and connected to the museum’s Treasury of the Silla Millennium (a storage facility in the Gyeongsang-do area), but also as an open rest area where visitors can commune with nature. This study on the exhibition planning for the outdoor space at the Gyeongju National Museum can be utilized as a reference for the future improvement of museum outdoor spaces. Moreover, it will suggest new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museum outdoor spaces that may have been overlooked.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박물관들은 긴 시간 휴관하게 되었고, 그동안 내부 전시실 대신 외부공간에서 문화적 체험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이러한 상 황에서 기존 공공문화시설들의 외부공간이 전시 공간으로 적절한지 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국내.외 박물관은 오픈 스페이스를 새로운 박물관의 문화 활동의 중심공간 으로 삼는 등 새롭게 변모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박물관・미술관의 외 부공간과 프로그램을 살펴볼 뿐 아니라 전시물이 설치된 박물관 내부공간을 제외하고 외부공간에서 무엇을 느낄 수 있고 그 공간의 사회적 역할은 무엇 인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박물관의 외부공간은 내부공간과 동일한 전시공간으로 살 펴볼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외부공간에서는 주로 야외에 두어도 온습도에 민 감하지 않은 전시물을 박물관 정문에서 전시실까지 배치하여 전시해 왔다. 국 립박물관의 야외 전시품들은 건축물 내부 전시실의 소장품이 지닌 가치만큼 중요한 국보급 문화재이다. 그러나 내부 전시에 비해 관람객들에게 인지도가 낮고, 상호 교감할 수 없는 일방적 환경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비해 관심을 받 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박물관 외부공간을 박물관의 중요 공간으로 새롭게 인식 하도록 하는 것이다. 박물관 외부공간 역시 전시품을 통해 박물관이 가지는 정체성의 가치를 전달 할 수 있도록 조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신라왕경 스토리텔링을 적용하여 국립경주박물관 외부공간 전시 계획을 제시함으로써 국립경주박물관만이 가진 신라의 가치를 나타내고 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국립경주박물관의 외부공간 전시 계획 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라왕경 월성지역과 월지 및 동궁과 연계하여 국립경주박물관의 도 입부 및 동선 체계를 재구성하였다. 관람객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박물관 건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주차장을 개선하고, 정문에 전이공간을 위한 역사공원을 조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신라왕경의 요소들을 이해하고 신라왕경의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국 립경주박물관 외부공간의 새로운 여정 콘셉트를 토대로 신라의 전시품, 탑과 석등을 활용하기를 제안하였다. 고정되어 있는 기존 야외 전시품이 아닌 내부 와 수장고의 소장품들을 적극 활용하고 지속가능하면서도 변화할 수 있는 현 대작품을 제안하여 관람객과의 소통을 꾀하고자 하였다. 셋째, 관람객 편의 및 국립경주박물관의 확장성을 고려하여 성덕대왕신종 의 신종각 신축과 신라역사관 1층의 관람 편의시설 및 각 전시관과의 연계를 고려한 계획을 제안하였다. 넷째, 신라역사관과 미술관, 월지관 사이의 중앙광장은 공간 성격을 재편하 고자 했다. 국보 고선사지 3층 석탑과 관련 유구들을 기존 위치에서 중앙광장 으로 이전하여 신라시대의 사찰과 탑의 사색적인 의미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국립경주박물관의 새로운 중앙광장을 통해 신라역사관과 미술관, 월지관, 신라 천년보고를 서로 연결하여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힐링공간이 되도록 하고 관람 객들이 오랫동안 머무를 수 있는 박물관 중심 공간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신라천년보고 영남권 수장 공간의 특성을 고려해 야외 전시품이 산재하는 야외 박물관이자 자연과의 특정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열린 휴식 공 간 개념으로 구성하였다. 본 국립경주박물관 외부공간 전시 계획 연구는 향후 박물관 외부공간 개선 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그동안 눈여겨보지 않았던 박물관의 외 부공간 개선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국립중앙박물관문화재단의 시스템 안정화를 위한 기반 조성 연구 : 법적 제도적 강화방안을 중심으로

        김준영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oday's museums change as an institution that embraces cultural, industrial, economic, and even political functions in addition to their social and educational functions. The tendency of user oriented management of museums implies that museums require understanding needs and expectations of general public and responding to changes of the society. Such various functions of museums and management absolutely focusing on users accompany increase of finance. However, support of the government is limited so they become paying attention to obtaining its profits. Thus, large museums in Europe and America establish and operate museum companies taking full responsibility of all sorts of commercial activities for images of museums under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s mainly before and after 1970's. In Korea, Cultural Foundation of National Museum of Korea was established in 2005 and plays a full-scale role as a museum company but unlike museums in Europe and America, without special support of the government, it only have to act within existing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 so it does not demonstrate its enough profitable activities and capabilities. Since, structurally, it cannot achieve business purposes with current condition, its existence itself may be threatened if this situation continues. The profits from the activities of museum companies are used for people not for the museum so the government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increase of the profits and seek for supporting measures. This study is motivated from such an idea. Chapter 2 will explain change of roles of museums and the importance of creation of finance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In addition, it investigates subjects and concepts of museum projects and explore their characteristics and what they should be. Chapter 3 examines and analyzes current general conditions including purposes of establishment and evaluates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of projects through current situations by project which is divided into performances, cultural products, food beverage and other projects. Chapter 4 examin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foundation and the government and taps the possibility of revising related laws as solutions to increasing finance. Moreover, it draws implications by totally examining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system of foreign museum companies. Chapter 5 suggests legal and systemic measures as well as future developments, which will epochally improve the profits of the foundation's projects, based on problems appear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s mentioned in each chapter. In other words, the measure is to change the foundation from general corporation to special corporation and for this, it is required to add a new additional article in the museum & art gallery support act, which is currently a special law. This will make performance of project purposes easy because all sorts of limitations in state property act are excluded at once and secures stabilization of the organization. Secondly, there is a measure to newly establish and operate investigation division for excavation of cultural assets. This project, which is related to general roles of museum and has publicity and profitability t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museum, is proper in the case that new areas of business is developed and extended for stable management of the foundation in the future. Finally, it also suggests the possibility of receiving fund from companies by maintaining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eum and large enterprises with an example of the U.K. Besides, Chapter 3 and 4 present small problems and implications by item in the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오늘날의 박물관은 사회교육적 기능에 더하여 문화산업적, 경제적, 심지어 정치적 기능까지 포괄하는 기관으로 변모하고 있다. 최근의 이용객중심이라는 박물관의 운영 경향은 박물관이 일반대중의 요구와 기대를 읽고 사회의 변화에 부응해야 함을 말해주고 있다. 이와 같은 박물관의 다양한 기능 수행과 이용객 절대 위주의 운영은 재정의 증가를 수반하게 되기 마련이다. 그러나 국가의 지원에도 한계가 있으므로 자체수익의 획득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구미의 대형 박물관들은 대체로 1970년대 전후로 국가의 지원 아래 자신의 박물관 이미지를 내세운 각종 상업적 활동을 전담할 박물관사업회사(Museum Company)를 설립 운영해 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문화재단이 2005년에 재단법인으로 설립되어 박물관사업회사로서의 역할을 본격적으로 수행중이나 구미의 박물관들과 달리 국가의 특정한 지원없이 기존의 법적, 제도적 틀 안에서 활동 할 수밖에 없어 충분한 수익활동과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현 상태로는 구조적으로 사업목적이 달성될 수 없으므로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기관 자체의 존립을 위협 받을지도 모른다. 박물관사업회사의 활동 결과물인 수익금은 결국 박물관이 아닌 국민을 위하여 사용되므로 국가는 수익금 증대에 각별한 관심과 지원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바로 이와 같은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본 논문의 제Ⅱ장에서는 이론적 관점에서 박물관의 역할변화와 이에 수반되는 재원조성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아울러 박물관사업의 주체와 개념을 살펴보고 특징과 당위성도 탐색한다. 제Ⅲ장에서는 설립목적을 포함한 일반 현황을 검토 분석하였으며 공연, 문화상품, 식음료, 기타사업으로 분류된 사업별 현황을 통해 그 특성과 상태를 평가하였다. 제Ⅳ장에서는 국가와의 관계성을 검토하고 재정확충의 해결방안을 관련법규의 개정으로 가능한지를 타진한다. 나아가 외국의 박물관사업회사들의 특성과 운영체계 등을 종합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한다. Ⅴ장에서는 앞의 각장에서 언급된 이론적 고찰과 현황 분석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을 토대로 국립중앙박물관문화재단의 사업수익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법적 제도적 방안과 향후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현재의 법인격인 일반법인을 특별법인으로 변경하는 방안으로 이를 위해 현행의 특별법인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상에 별도 조항을 신설 삽입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국유재산법상의 각종 제한이 일거에 배제되어 사업목적 수행이 용이해지며 조직의 안정화가 담보된다. 두번째는 문화재 발굴조사단을 신설 운영하는 방안이다. 이 사업은 박물관의 일반적 역할과 연관성이 있고 박물관의 특성인 공익성과 수익성을 갖춘 분야로 향후 기관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새로운 사업영역을 개척, 확장하는 경우에 적절한 사업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박물관과 대기업간 협조 관게를 유지하여 기업으로부터 기금을 지원받는 방안으로 영국의 예를 들어 그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외에도 제Ⅲ장과 제Ⅳ장의 현황분석 중 필요한 경우 잔잔한 문제점과 시사점을 각 항목별로 제시하였음을 첨언한다. 하루속히 국립중앙박물관문화재단의 재정적 안정을 위한 법적, 제도적 개선책이 반영되어 박물관멤버의 일원으로 자기 역량과 책임을 다할 수 있는 터전이 마련되길 바라는 것이다.

      • 초등 역사교과와 연계한 박물관 애플리케이션 분석 연구 : 국립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을 중심으로

        박정환 경인교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연구자가 개인적으로 박물관, 역사현장체험학습(신라권 유적지, 백제권 유적지, 궁궐 등)에 관심을 가지면서 시작되었다. 현장체험학습 때마다 학생들이 관람이나 학습은 뒤로 하고 스마트폰의 게임을 하거나 와이파이(WIFI)를 찾아다니며 웹서핑을 하고 음악을 내려받고 채팅을 하는 등 체험학습과 관련 없는 행동을 하는 것을 보며 학생들이 좋아하는 스마트기기를 박물관교육와 연계하면 현장체험학습이 잘 이뤄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박물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관심으로 자연스레 연결되었고, 연구 주제로 결정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 가운데 역사영역과 함께 박물관 현장체험학습이라는 부분을 스마트교육과 접목하고자 하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의 역사 부분과 함께 박물관을 선정할 필요가 있었다. 국내 박물관 가운데 유물을 가장 많이 소장한 박물관으로 시대별로 전시가 잘 이루어지는 곳이고 현장체험학습 장소로 많이 활용되며 현재 애플리케이션이 제작, 보급된 곳이라는 기준을 정하여 박물관을 선정한 곳이 바로 국립중앙박물관이었다. 연구대상을 국립중앙박물관을 선정하고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 가운데 박물관과 초등학교 사회과 역사영역 부분을 연계한 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2007 개정교육과정 초등학교 5학년 1학기 교과서에서 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를 국립중앙박물관의 애플리케이션인 <스마트투어가이드> 안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1을 대상으로 삼아 분석하였다.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학습자들이 박물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며, 부족한 부분이나 문제점에 대해서는 관련 기관들(한국관광공사, 국립중앙박물관)에 개선사항을 제안 하는 부분까지 생각한 연구였다. 그래서 사회교과서의 유물,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된 유물, <스마트투어가이드>에 제시된 유물을 비교 분석하고 이와 관련한 <스마트투어가이드>의 문제점과 함께 개선사항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우리 역사에 대한 쉬운 이해와 함께 박물관에 대한 친숙함, 그리고 접근하는데 있어 부담장벽이 낮아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그리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안된 개선사항을 관련기관들이 수정하여 더 좋은 교육적 서비스를 제공해주길 바란다. 또한 국립중앙박물관 애플리케이션 <스마트투어가이드> 뿐만 아니라 다른 박물관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누구나 쉽게 우리나라 역사, 유물에 대해 잘 알게 되어 스마트교육으로서 역사교육의 한 부분이 되길 기대해본다.

      • 국립대학교 박물관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이창선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립대학교박물관 위상이 과거보다 점차 낮아져 간다는 사실을 변명할 수 없는 현실이다. 더구나 국립대학 법인화 추진과 관련하여 각기관이 경쟁력을 강조하는 이 마당에 국립대학교박물관 기관의 존재가치를 유지하려면 소속 구성원이 활성화 방안을 찾아서 적극적으로 실천 하여야 한다. 박물관은 학예연구원, 일정한 공간(건물), 예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필수구성 요소인 인적, 시설, 재정부분에서 국립대학교박물관은 열악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현 상황에서 유물만 보관하고 있다면 박물관은 보물을 보관하는 창고로서 역할에 만족하고 말 것이다. 박물관의 기능과 역할은 조사 및 연구, 수집 및 보관, 전시․교육에 있다고 정의하고 있다. 박물관 구성원들이 자기성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실천함으로써 박물관 활성화에 시킬수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 박물관구성원이 대학 내에서의 박물관 정체성 확보를 통한 인식변화 시도와 적극적인 전시와 홍보를 통한 역할강화에 대한 구성원의 활기찬 의욕과 함께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 보아야 한다. 둘째, 박물관의 직원 가운데 운영의 주체는 학예연구원이다. 박물관을 운영할 전문 학예연구원의 사기는 박물관업무에 절대적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이들이 승진기회 및 자긍심을 살릴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국립대학교 박물관의 예산이 대부분 1년 예산으로 1억원 미만의 예산을 지원받고 있다. 유물의 구입이나 학술활동, 기획전시와 같은 활동 등을 하기에는 매우 부족한 예산이므로 박물관운영에 합리적인 예산지원이 되도록 적극 노력하여야 한다. 넷째, 먼저 전시활동의 다양화이다. 박물관이 정기전시뿐 아니라 특별전시를 가능한 한 많이 개최하여 학교 구성원이나 지역주민들로부터 존재의 의의를 찾을 때 대학당국으로부터 예산지원도 기대할 수 있다. 다섯째, 대학교박물관은 학내 구성원을 통한 원활한 교육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언제나 생각하여야 한다. 대학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박물관 문화교육은 우선 대학 내의 행사나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신입생 오리엔테이션과 같은 행사에 학생들이 몸담고 있는 지역문화에 대한 관심과 욕구를 채워줌 으로써 향후 대학생활에 있어서 대학박물관을 편안하게 활용할 수 있는 문화적 관심을 넓혀주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활동을 실천할 때 대학박물관의 존재를 대학구성원들에게 알리게 되고 더 많은 인원과 예산을 확보함으로써 국립대학교 박물관이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이라고 생각한다.

      • 국립박물관 수익사업의 활성화방안 연구 : 뮤지엄 샵(Museum Shop) 운영을 중심으로

        이진희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박물관은 왜 수익사업을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가지고 국립박물관 수익사업으로서 뮤지엄 샵 운영에 관해 연구하였다. 뮤지엄 샵 운영의 주요한 주체인 박물관이 보다 적극적으로 뮤지엄 샵을 경영하게 하는 제도와 방안을 다각적으로 연구하여 국립박물관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박물관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늘어나면서 박물관 운영비용이 급격히 증가한 20세기 이래, 정부의 지원 비율이 감소 추세로 들어서자 각 나라마다 재원을 보충하기위하여 다양한 수익사업을 펼치게 되었다. 서양에서 국립박물관 수익사업을 위한 재정지원기관에 관한 연구와 활동은 이미 1980년대부터 진행된 것에 비해, 한국에서 수익사업이 확산된 시기나 이론정립은 상당히 늦은 감이 있다. '과연 국내에서 박물관 수익사업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국립박물관의 뮤지엄 샵 현황과 문제점은 무엇인가'라는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본 논문은 뮤지엄 샵 운영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해 보고, 이를 한국의 국립박물관 수익사업에 있어서 뮤지엄 샵 운영의 문제를 국외와 비교하여 실제적으로 발전방안을 모색해보았다. 따라서 본 논문의 제Ⅱ장에서는 박물관의 운영관리와 수익사업을 이해하기 위하여 이론적 관점에서 박물관의 기능 및 역할과 변화된 박물관 운영관리 체계를 살펴본 후 박물관 운영에 있어 재원조성의 목적과 국외 박물관의 다양한 재원조성 요소 및 재정자립도를 통해 수익사업의 영역과 수익사업으로서의 뮤지엄 샵의 당위성을 고찰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운영 주체, 조직과 인력, 시설규모 및 공간구성의 세 가지 운영자원과 상품개발 및 유통에 기준을 두고 국내 뮤지엄 샵의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국외 뮤지엄 샵 운영체계의 특성과 현황을 분석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하였다. 국내의 경우,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현장조사 및 실무 담당자와의 인터뷰와 설문조사, 그리고 박물관에서 출판한 자료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지금까지의 이론적 배경과 국립박물관 뮤지엄 샵의 현황 파악을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토대로 국립박물관 뮤지엄 샵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개선되어야할 부분과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발전적 대안으로 뮤지엄 샵뿐만 아니라 국립박물관 수익사업 운영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전문화된 인력을 바탕으로 상품개발 및 유통이 이루어져야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뮤지엄 샵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상품을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등의 시설환경 개선과 관람객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서비스 개선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마지막으로는 정부의 세제 지원과 외부 후원을 확대하여 뮤지엄 샵 운영의 지원체계를 정립하도록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국립박물관들도 예전보다 수익사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하였고, 박물관 재원조성과 관람객 지향적 서비스라는 모토 아래 국립중앙박물관을 중심으로 문화재단을 설립하게 되었다. 그러나 국립박물관이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내 뮤지엄 샵은 소수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문화예술행정에서 추구하는 근본적 가치인 창조성과 향수성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수단적 가치로써 뮤지엄 샵(Museum Shop)을 운영하여 박물관의 공공서비스 기관으로서의 그 기능을 다하고 경영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는 수익증대사업의 기반을 조성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This thesis study about managing a Museum Shop which is a basic profitable business of National Museum. It is for finding answer to the question "Why should Museum Shop do profitable business?". As National Museum is a major subject to manage Museum Shop, I want to consider its role and function. Thus this thesis is for fostering the growth of National Museum. Since twenty century when social demand for museum increase and management cost of museum run up, the Government' support rate for museum is decreasing. Thus each of the countries started various profitable business to supplement lacking finances. It already started in western countries in 1980' that research and study about finance supporting organization for profitable business in National Museum. On the contrast it is a little bit late that Korea starts profitable business and set theoretical background. This thesis consider previous studies about management of Museum Shop and compare it to other studies in western countries and look for practical solution. In chapter 2 this thesis surveys the function and role of museum theoretically and examines current changed system in managing museum. It also consider why creating funds is required in managing museum. In chapter 3 this thesis understand actual condition of current domestic museum shop based on three management resource, size of facilities and formation of space. It recognize synthetically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 of museum shop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ies. It starts research to understand present situation and interview practical business and analyze it based on dates published by museum. In chapter 4 this thesis suggests some solution based on problems revealed through research for present condition of National Museum Shop. It focus on establishing effective system to control profitable business of National Museum and researching products and promoting circulation based on specialized humane resources. It suggests improving facilities circumstance such as products display and considers service improvement to develop the quality of service for audience. Finally it also suggest establishment of supporting system in managing museum shop through supporting tax system of government and expanding exterior sponsorship. National Museum in Korea has bee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rofitable business in managing museum shops. They established Cultural Committee to make finances of museum and audience-based service. There is National Central Museum in the center. However there is some domestic museum shops which are systematically managed by National Museum. This thesis asserts that we should manage museum shop to demonstrate creativity inquired cultural art administration. This thesis also asserts that we should establish the basis of profitable business for museum to function as a public service ce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