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地域社會福祉 向上을 위한 敎會資源 活用方案 硏究

        문정원 聖山孝大學院大學校 2007 국내석사

        RANK : 234367

        한국사회에 복음이 들어온 이래 교회는 국민들의 불우한 삶의 현장에 동참하여 왔다. 교회는 병원을 세우고, 학교를 설립하였으며, 영농기술을 보급하고, 육아원. 양로원. 장애인복지기관을 설립하는 등의 사회봉사활동을 활발히 전개 하였다. 그러나 한국교회가 사회복지를 발전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사회봉사의 사명을 소홀히 하여 왔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러한 비판은 한국교회가 전도와 교육의 사명을 수행하는데 치중한데 비하여 사회봉사의 사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미약했기 때문이다. 한국교회는 봉사활동을 활발하게 벌일 수 있는 조건들을 많이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회성장 중심의 선교에 치우쳐서 가지고 있는 막대한 자원이 사장되고 있다. 교회는 그 지역사회의 정치, 사회, 경제적인 문제와 직접적인 관련을 가진 개인들로 이루어져 있고, 이 사람들을 위하여 세워진 기관으로 지역사회 안에 있으며 지역사회의 한 부분이다. 지역사회복지의 활성화는 인력과 재정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많은 한계와 어려움이 있다. 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한 공공의 힘만으로는 부족하므로 많은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교회의 사회복지 참여가 절실히 필요하다. 교회는 교회 본연의 사명을 깨닫고, 사장되어 있는 자원을 지역사회복지 향상을 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먼저 교회와 지역사회에 대한 이론적 배경으로 교회와 지역사회복지와의 관계성, 교회복지의 필요성과 역할에 대하여, 후반부에서는 교회복지 증진을 위한 교회자원의 활용 실태와 문제점을 기술하고 교회가 지역사회복지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교회자원 활용방안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 지역사회복지증진을 위한 교회의 역할활성화 방안 : 교회자원의 활용을 중심으로

        정순봉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4367

        Korean church is prepared in many ways to take part actively in volunteer work as it has a great capacity and it is easy to mobilize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Nevertheless it has failed to do an effective and active social volunteer work. It is because the church could not make full use of the practical method of social work professionally and effectively and get out of the passive attitude and the eleemosynary mind. Therefore the social volunteer work of church, though from now on, should be approached systematically, professionally and rationally. In this respect,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community and the church once more and redefine the role of Korean church to the local community. To attain such purpose effectively,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believers' and pastors' participation in and recognition of social volunteer work with the emphasis on how to use the church resources to improve the local community welfare by analyzing the realities of church resources. It then tried to establish a desirable direction of church in the local community volunteer work, find out the role of church in the community multilaterally, and grope for a plan to activate the volunteer work. As for the method of research, theoretical knowledge was found out from the church documents and research data related to the Korean church's social volunteer work, and home and abroad books, dissertations and general research papers. The administrative data and various kinds of statistical data were used as a tool to draw out the reality and problem of church social welfare project. Followings are the reality of Korean church that uses welfare resources for the local social welfare project and related problems that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 First, the church does recognize the social welfare work, but practices insufficiently. It is absolutely because of pastors' lack of recognition. Second, the budget of church for local welfare is absolutely insufficient and it is urgent to expand it. Third, though there is much space for local social welfare in church, it is not used proper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plan of use. Fourth, even in case of practicing local social welfare, the individual church-oriented service results in overlapping or concentration on a certain service. As a measure, the possible connection with neighboring institutions should be open and the informatization is urgent to use it effectively. Fifth, the analysis of the reality of church program for local social welfare showed that the program is of small number, fixed and uniformly. Sixth, as for the reality of programs by objects, children and juvenile object of protection were given priority, scholarship project of juvenile was universal and guidance, resting place, counseling and cultural space were lacking. Mission-home, kindergarten, nursery and study room are now under operation, but project for general children is insufficient. Seventh, church does not have sufficient departments full charge of social volunteer work and its capacity of service is rather small. Individual church has a difficulty in budget operation and does not have any professional social welfare worker or, if any, little participation. Eighth, the service carried out in the church is mostly a temporal event or project limited just to the church or church welfare facility.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 professional program. Lastly, the main object of church service is mostly believers and brethren, suggesting that a coordination is necessary with other institutions in the region. Based on these findings, several proposals are presented as plans to activate the effective use of welfare resources, like human, institutional, financial, organizational and program resources. First, the church, through overall participation in society, should solve the problems of community and take charge of the practical duty to formulate local community. Church leaders should renew their own consciousness of social welfare. Secon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system of support integrating human, financial and institutional resources through the new recognition of social welfare project, informatization and organizational resources. It is also needed to establish interchurch coordination system. Third, the connection with social welfare institution should be groped for, the social welfare activity of church should be networked, and the social welfare budget of church should be expand. Lastly, professional service, effective program operation, the motivation and strengthened training of believers' social welfare activity and the supply of good quality welfare service through pastors specialized in welfare and professional workers are urgently demanded. The finding shows that though with various limits and deficiency, Korean church is prepared with very good conditions and resources to practice local social welfare project. Therefore if the church is aware of the importance of its participation in the local social welfare and gives more professional support, the local social welfare through Korean church is expected to develop surprisingly.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all the local churches should be used as a good resources for activating the local social welfare and participate in it as a tool of blessing the community it belongs to. Also it is expected to follow better researches. 한국교회는 조직적 역량이 크고 인적?물적 자원의 동원이 용이하여 봉사활동을 활발하게 벌일 수 있는 조건들을 많이 갖추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이고 활발한 사회봉사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이유는 교회가 전문적이며 효과적인 사회사업 실천방법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소극적인 태도와 자선적 방법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교회의 사회봉사활동은 이제부터라도 체계적이고 전문적이며 합리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논문은 지역사회와 교회의 관계를 새롭게 이해하고 지역사회를 위한 한국교회의 지역사회에 대한 역할을 재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교회의 자원의 실태를 분석하여 지역사회복지 증진을 위해 교회의 자원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에 역점을 두었으며 그리고 교인들과 목회자의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참여와 인식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교회의 지역사회봉사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게 하며, 지역사회에 기여할 교회의 역할을 다각적으로 찾아봄은 물론 지역사회의 봉사활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으로는 한국교회의 사회봉사와 관계된 교회문헌과 연구자료, 사회복지 사업과 관련된 국내외의 단행본, 학위논문, 일반연구논문 등에서는 이론적인 지식을 발견하였고 행정적 자료와 각종 통계자료에서는 교회사회복지사업의 실태와 문제점을 도출하는 도구로 삼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한국교회의 지역사회복지사업에 대한 교회복지자원 활용 실태와 그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활동에 대한 교회의 인식은 있으나 그 실천도에 있어서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는 목회자의 인식부족이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둘째, 교회의 지역사회 복지를 위한 예산규모가 절대적으로 미흡하여 그 확충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셋째, 교회에는 지역사회복지를 실천할 시설공간이 많이 있음에 불구하고 적절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그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넷째, 지역사회복지를 실천하고 있는 경우에도 개별 교회 중심의 서비스로 인하여 중복 또는 한 가지 서비스에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이웃 기관들과의 연계의 가능성을 열어 놓아야 할 것이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보화가 시급하다. 다섯째로 교회의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프로그램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는 우선 프로그램의 수가 적고, 고정적이며 획일적으로 실시되고 있었다. 여섯째로 대상별 프로그램의 실태를 살펴보면, 아동, 청소년보호 대상자가 우선시 되고 있으며, 청소년의 장학사업이 보편적이고, 선도, 쉼터, 상담, 문화공간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교원, 유치원, 어린이집 외에 아동공부방이 일부 실시되고 있지만 일반 아동을 위한 사업이 부족하다. 일곱째로 교회의 사회봉사전담부서가 적고 서비스 규모가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교회의 예산운영에 대한 어려움이 있고, 전문사회복지요원이 없거나 관여가 적다. 여덟째로 교회에서 실시되는 서비스는 교회 내 또는 교회복지시설 내 일시적 행사나 사업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어 전문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아홉째로 또한 교회봉사의 중심대상이 교인과 교우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지역내 타기관과의 협력체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복지자원의 활용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인적자원, 시설자원, 재정자원, 조직자원, 프로그램자원의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몇 가지 제안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의 총체적인 사회참여를 통해서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공동체를 형성해 나가는 실천적 활동을 감당해야 한다. 또한 교회지도자의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해야 한다. 둘째 사회복지사업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정보화, 조직자원을 통하여 인적, 재정, 시설자원의 통합적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지역 내 교회간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복지기관과의 연계를 모색하고, 교회사회복지활동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교회의 사회복지예산를 확충해 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전문적인 서비스와 효율적인 프로그램운영, 교인들의 사회복지활동에 대한 동기와 훈련강화, 복지전문목회자와 전문사역자를 통한 양질의 복지서비스 제공 등이 시급히 요청된다. 연구결과 여러 가지 한계와 부족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교회는 지역사회복지 사업을 실천하기에 매우 좋은 여건과 자원을 갖추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교회의 참여의 중요성을 절감하고 보다 전문적인 지지와 지원이 뒷받침되기만 한다면, 한국 교회를 통한 지역사회복지는 놀랍게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이에 본 논문을 통하여 이러한 비전을 바라보면서, 각 지역에 근거하는 모든 지역교회를 그 지역의 지역사회복지 활성화를 위한 좋은 자원으로 활용하고, 또 각 지역교회는 자신이 속한 그 지역사회를 축복하는 도구로서 지역사회복지 실천에 동참하는 역사가 일어나기를 바라며, 앞으로 더 나은 후속 연구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교회 자원봉사 프로그램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개신교회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유희순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4367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교회 자원봉사활동에 관련된 개인특성 및 기관의 관리 요인들을 파악하고, 특히 이들이 지속도 및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앞으로 교회 자원봉사활동의 지속도와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교회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인특성요인, 가족요인, 교회기관요인, 사회복지기관요인이 지속도 및 참여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중요변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과제에 따른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교회와 연계되어 자원봉사활동이 이루어지는 서울지역 사회복지관 12개소, 노인복지관 2개소의 자원봉사자, 지역사회를 위한 교회 자원봉사활동이 이루어지는 5개 교회의 자원봉사자 그리고 K구(區)교회복지연합회 소속 자원봉사회원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기기입 방식의 설문조사를 우편조사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276부의 설문지 중 무응답, 불성실한 응답 및 늦게 도착된 설문지 등으로 인해 통계자료로 활용할 수 없는 34부를 제외한 총 242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인인 지속도(봉사활동기간, 앞으로 봉사활동 가능기간)와 참여도(적극성 정도, 활동 빈도, 1회당 투입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하여 개인특성요인(성별, 연령, 결혼상태, 학력, 생활수준, 봉사활동유형, 종교적 동기, 봉사활동경험, 동료자원봉사자와의 관계,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 봉사활동의 만족도), 가족요인(가족의 이해), 교회기관요인(담당부서의 유/무, 자원봉사자 교육의 만족도, 목회자의 인식, 교회 자원봉사활동의 필요성 인식), 사회복지기관요인(배치 및 업무부여, 보수교육, 지도감독, 인정과 보상)등을 독립변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10.0 for Win을 이용하였는데,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독립변인들이 종속변인인 지속도 및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발견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1. 개인특성요인은 지속도에 정적 또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도를 예측함에 있어서 다른 어떤 변인보다도 연령이 통계적으로 가장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봉사활동경험이 많을수록, 동료자원봉사자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봉사활동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종교적 동기 중에서는 교회에서 다른 사람에게 본이 되려는 동기가 강할수록 그리고 생활수준은 낮을수록 지속도가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2. 가족요인으로 가족의 이해는 지속도에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참여도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일단 참여 후에는 개인특성요인이 통계적으로 보다 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3. 교회기관요인으로 전담관리부서의 유/무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사회복지기관요인 중에서는 배치 및 업무부여가 정적 영향을 나타내며, 보상의 만족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배치 및 업무부여는 잘 이루어질수록 지속도가 높은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보상의 만족도는 만족 수준이 낮을수록 지속도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1. 개인특성요인은 참여도에 정적 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역사회의 관심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이 많을수록, 동료자원봉사자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봉사활동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지속도와 참여도 모두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은 동료자원봉사자와의 관계인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종교적 동기 중에서 하나님이 주신 재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적 영향을 나타내지만, 그리스도인의 의무로 하는 경우와 복을 쌓기 위해서 참여하는 경우는 부적 영향을 나타냈다. 또한 전문분야 자원봉사자는 단순노력 자원봉사자보다 참여도가 낮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족요인으로 가족의 이해는 참여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자원봉사 참여도에 가족의 이해나 호응이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3. 교회기관요인 중에서는 전담관리부서의 유/무가 참여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전담관리부서가 있는 것이 교인들의 참여를 유도하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봉사활동 필요성 인식이 참여도를 높이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사회복지기관요인은 정적 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 배치 및 업무부여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지도감독이 적절히 잘 이루어질수록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보상의 만족도는 지속도와 참여도 모두에 공통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특성요인, 가족요인, 교회기관요인, 사회복지기관요인 등 모든 요인 중에서 지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개인특성요인, 가족요인, 교회기관요인, 사회복지기관요인 등 모든 요인들을 고려한 최종모델에서 지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봉사활동 경험, 동료자원봉사자와의 관계, 종교적 동기 중에서 교회에서 다른 사람에게 본이 되려고 하는 경우, 생활수준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 연령과 봉사활동 경험은 다른 어떤 변인보다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연령이 많을수록, 봉사활동경험이 많을수록, 동료자원봉사자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종교적 동기 중에서 교회에서 다른 사람에게 본이 되려고 하는 동기가 강할수록 지속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넷째, 개인특성요인, 가족요인, 교회기관요인, 사회복지기관요인 등 모든 요인 중에서 참여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개인특성요인, 가족요인, 교회기관요인, 사회복지기관요인 등 모든 요인들을 고려한 최종모델에서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종교적 동기 중에서 하나님이 주신 재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그리스도인의 의무라서, 다른 사람을 섬기는 훈련을 위해서 활동하는 경우, 지역사회의 관심, 배치 및 업무부여, 지도감독, 봉사활동의 만족도, 사회복지기관의 인정과 보상의 만족도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 지역사회의 관심과 봉사활동의 만족도, 종교적 동기 중에서 하나님이 주신 재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활동하는 경우가 다른 어떤 변인보다도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종교적 동기 중에서 그리스도인의 의무로, 다른 사람을 섬기는 훈련을 위해, 복을 쌓기 위해서 활동하는 경우와 사회복지기관의 인정과 보상의 만족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가 제시하는 실천적 함의는 교회 자원봉사 프로그램 관리 차원에서 지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녀 양육에서 어느 정도 자유로운 연령에 속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신규 모집하여 교육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존의 자원봉사자들 즉,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봉사활동을 다시 시작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교인들에게 자원봉사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여야 하며, 업무 배치에 있어서 능력과 재능을 고려하고, 또한 자원봉사자를 통한 자원봉사자 모집으로 친분이 있는 동료들과 자원봉사활동을 함께 할 수 있도록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관리함으로써 지속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하나님께서 각자에게 주신 재능이 있음을 깨닫게 하고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동기 부여를 촉진시키며, 지역사회에 당면한 각종 지역사회문제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기회 제공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효과적인 교회 자원봉사 프로그램 관리의 방향과 초점을 시사해 준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effective management plan that will raise the maintenance and participation levels of church volunteer programs for community welfare.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that certain factors have on the maintenance and participation levels-namel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volunteer work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family, church organization and community welfare center-and identifies the key variables influencing maintenance and participation level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es following from the above research thesis, a mail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evaluative questionnaire. The respondents included twelve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collaborating with local churches in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volunteer workers at two welfare centers for the elderly, volunteer workers at five churches engaged in volunteer programs for community welfare, and members of the K District chapter of the Church Welfare Union. A total of 276 questionnaires were sent out, and excluding 34 questionnaires from respondents who replied insincerely, belatedly, or not at all, and thus unusable as statistical data, a total of 242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in the final statistical analysis. In this statistical analysis, the maintenance level and the participation level have been set as dependent variables. The maintenance level is diagnosed in terms of duration of volunteer service and estimated duration of prospective volunteer service. The participation level is diagnosed in terms of degree of activeness, frequency of activity, and time spent per round of activity. With a view to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se dependent variables, the following factors have been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 personal characteristics: sex,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standard of living, volunteer work type, religious motives, volunteer work experience, relations with fellow volunteer workers, concern for community, level of satisfaction with volunteer work; (b) family: understanding of the family; (c) church organization: existence/nonexistence of a managing department, satisfactoriness of the education of volunteer workers, understanding of the clergy, recognition of the need for the church's engagement in volunteer service; (d) community welfare center: placement and assignment of duties, paid education, supervision, recognition and reward. As for the method of data analysis, SPSS 10.0 for Windows was used. A descrip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the influence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s have on the dependent variable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result of the analysis. 1.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aintenance level are as follows: (a) Personal characteristics are shown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n the maintenance level. Among all the factors, age is statistically the most significant in estimating the maintenance level. Also, it is shown that the maintenance level rises according as one has more volunteer work experience, has better relations with fellow volunteer workers, is more satisfied with volunteer work, and among religious motives, has a stronger motive to "serve as a model to others as a Christian,"and has a lower standard of living. (b) It is shown that understanding on the part of the volunteer worker's family does not have much effect on the maintenance level. It does have an effect on the participation level, but once one starts participating, one's personal characteristics become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c) As for church organization,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a specialized managing department has a negative effect. (d) Among factors related to community welfare center, placement and assignment of duties has a positive effect,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reward has a negative effect. Hence it is expected that the maintenance level will rise according as the placement and assignment of duties are more resourcefully carried out and also according as one is less satisfied with reward. 2.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articipation level are as follows: (a) Personal characteristics are shown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n the participation level. Amo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volunteer workers, the factor exert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articipation level is concern for community. It is expected that the participation level will rise according as one's concern for community is greater, one's relations with fellow workers are better, and one is more satisfied with volunteer work. Thurs one's relations with fellow volunteer workers is a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s both the maintenance level and the participation level. And among religious motives, doing volunteer work in order to "use the talents given by God"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articipation level, whereas the motives to "perform one's duty as a Christian" and "accumulate blessings" have negative effects. Furthermore, professional volunteer workers tend to have a lower participation level than amateur volunteer workers. (b) It is shown that understanding on the part of the volunteer worker's family do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articipation level. This shows that an understanding or positive response of the family is a key factor. (c) As for church organization, it is shown that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a specialized managing depart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raising the participation level. Hence it is predicted that the existence of a specialized managing department will be effective in inducing the participation of church members. Also, it is shown that recognition of the need for volunteer servic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aising the participation level. (d) Factors related to community welfare center have positive or negative effect. Among these, it is shown that placement and assignment of duties is a factor that has a very significant effect on the participation level. Further, it is shown that the more appropriately supervision is implemented,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level will be.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reward has a negative effect on both the maintenance level and the participation level. 3. Among all independent variables, the factors exert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maintenance level are as follows: Among all the factors having to do with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church organization, and community welfare center, those tha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maintenance level are age, volunteer work experience, relations with fellow volunteer workers, the religious motive to "serve as a model to others as a Christian," and standard of living. Of these variables, it is found that age and volunteer work experience are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significant effect on the maintenance level. Accordingly, it is predicted that the maintenance level will rise according as the volunteer worker is older, has more volunteer work experience, has better relations with fellow volunteer workers, and has a stronger motive to "serve as a model to others as a Christian." 4. Among all independent variables, the factors exert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articipation level are as follows: Among all the factors having to do with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church organization, and community welfare center, those tha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maintenance level are the motives to "use the talents given by God," "perform one's duty as a Christian" and "practice and serving others" concern for community, placement and assignment of duties, supervision, level of satisfaction with volunteer work, and recognition and reward by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Of these variables, it is found that concern for community and the motive to "use the talents given by God" are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significant effect on the participation level. Variables which have negative effect on the participation level are the motives to "perform ones duty as a Christian," "practice serving others" and "accumulate blessings," and recognition and reward by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have practical import in regard to planning the management of church volunteer programs. In order to raise the maintenance level of church volunteer programs for community welfa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y for volunteer workers who have prior experience in the volunteer service field to resume volunteer activity, although it is also important to recruit and train newcomers from the age group that is more or less free from the responsibilities of raising children. Also, ample opportunity should be provided to church members to engage in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In the assignment of duties, skill and talen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Volunteer workers should be involved in the recruiting process, so that they have the option of working with close colleagues. In order to raise the participation level, volunteer workers should be made to realize that each has a talent given by God, and they should be motivated to use their talents. They should also be given the opportunity to enlarge and deepen their concerns for various problems afflicting community. Th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e optimal focus and direction for the management of church volunteer programs.

      • 敎會自願奉仕 活動이 社會福祉宣敎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박미희 聖山孝道大學院大學校 2003 국내석사

        RANK : 234367

        한국 교회는 교회의 사명을 Diakonia의 입장에서 NGO의 기능으로 보는 시각의 전환과 함께 시대적인 요청에 부응하는 새로운 사회복지선교로서 교회의 모습으로 바뀌어야 할 것이다. 교회의 NGO의 기능으로서 사회적 참여와 교회사회사업실천의 발전과 사회선교를 위하여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는 시대적 현황에 따른 선교 의식을 새롭게 하고 지역사회와 유리되지 않는 노인복지에 맞는 선교 방법을 모색하여야 한다고 본다. 둘째, 교회는 교회 내 인적자원(기능별?직능별 자원봉사)과 물적자원(재정?시설)을 자세히 조사하여 노인복지를 위한 복지사업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교회 조직과 구조를 재정비하여야 한다. 세째, 교회는 지역사회를 하나님이 맡겨주신 지역공동체라 생각하고 과학적 조사와 방법으로 지역노인의 필요와 지역 상황을 파악한 후 교회의 여건에 적합한 사업을 우선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네째, 교회는 교회 재정의 10% 이상을 사회복지비로 사용하고 구역 또는 셀조직 단위로 지원대상자를 결연시켜 이들의 필요를 도울 수 있는 책임 봉사제를 실시한다. 다섯째, 각 교단은 초교파적인 차원에서 동일한 지역 안에서 연합하며 지역노인복지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교회는 교회가 속해 있는 지역에서 지역의 NGO단체들과 네트웍을 만들어 지역성 있는 목회를 해야 한다(소외된 그룹에 일차적 관심을 둔다). 일곱째, 교회의 주변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사회 조사를 통하여 이웃들의 요구를 발견하고 이에 대응해 나아갈 때, 교회가 가진 인적, 물적, 조직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거시적인 문제에 대응할 수 있다. 교회사회사업의 전문화를 위해서는 교회사회사업에 대한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본다. 여러 가지 교회지도자들에 대한 경험적 조사들을 참고하면 대다수의 목회자들은 교회사회사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사회사업은 별로 활발하지 못한 편이다. 그 가장 중요한 이유는 목회자들이 교회사회사업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는 데에 있지만 동시에 복음전도 보다 사회사업을 우선순위에 있어서 하위에 두기 때문이다. 사실 교회가 전도에 대한 우선순위와 동등하게 사회복지활동에 대한 우선순위를 인정한다면 복음사역을 담당하는 인력과 동등하게 사회사업을 담당하는 인력을 고용해야 한다. 그러나 봉사에 대한 우선순위는 전도에 대한 우선순위보다 하위에 두기 때문에 언제나 봉사적 사명은 복음전도 사역을 수행하고 난 후 남는 여력으로 하게 되는 현실을 맞이하게 되고 그 여력이란 많은 교회에서 거의 없다시피 한 것이 우리 한국교회의 형편이다. 하비 콕스는 교회의 사회적 책임과 봉사적 기능으로 Diakonia를 역설하고 있다. 교회는 사회를 섬김의 장으로 보고 인간의 복지와 사회에 대한 책임을 가지고 선교에 임할 때 비로소 한국교회에 새로운 지평이 모색될 것이다. 그리고 급변하는 시대와 사회 속에서 선교 21세기를 향하고 있는 한국기독교의 시대적 사명과 역할을 지역사회에서 연대하여 진행하고 있는 NGO 단체들과 함께 교회의 기능을 Diakonia라는 입장에서 나눔과 섬김을 통해 교회의 사회적 책임을 완수해 나아 갈 때 한국교회의 자원이 지역사회를 위해 참여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교회는 사랑과 복음의 실천으로 준비되어진 모임이기에 일반사회복지의 사람과 사람간에 수요와 공급의 차원이상의 감정적, 정서적, 영적 교감이 더욱 더 중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점이 일반 사회복지와 차이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소중한 것이 교회사회사업의 정신이며 소중한 것이라고 본다. 21세기는 정부와 민간이 더욱 협력하여 복지사회를 이루어 가야 할 것이며, 정부와 민간의 파트너쉽(partnership)은 21세기에 국가와 사회 및 민간단체 모두가 바라는 발전 방향이다. 21세기에 교회가 발전하고 살아남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는 교회가 사회복지 활동을 통해 사회에 접근하고 사회의 사람들을 교회공동체교회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선교와 사회복지는 동전의 양면과 같은 것이며 교회의 사회복지 활동을 통한 선교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노인의 문제와 욕구 충족을 위해서는 국가, 지역사회, 가족, 교회 모두 같이 보완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므로 교회의 노인 문제, 욕구 해결을 위한 사회복지참여는 바람직하고 당연하다고 본다. 가장 중요한 것은 목회자의 의식변화이다. 사회봉사를 통한 선교에 역점을 두고 교인을 훈련시키고 개 교회 주의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한국기독교의 시대적 사명과 역할을 지역사회에서 연대하여 진행하고 있는 NGO 단체들과 함께 교회의 기능을 Diakonia라는 입장에서 나눔과 섬김을 통해 교회가 자원봉사활동과 사회복지적 선교를 통한 사회적 책임을 완수해 나아 갈 때 한국교회의 자원이 지역사회를 위해 사회 참여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These days are called the age of senior citizen's society, industrialized, and the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Especially the number of senior citizens is increasing currently in advances in medical treatment and the improvement of the standard of living. From this process, some problems for the senior citizens have appeared because they are expected to retire early from a society which requires new human power in this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n order to increase Korea's competitive power in the world. As senior citizens lose their jobs early despite good health and mind, they suffer from the social restrictions, broken relationships in the nuclear family, and senesce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cial welfare in the Biblical view and the social welfar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and also to analyze the senior citizen's actual condition in Korean churches. The results suggest that not only their needs of food, clothing, and housing but also their needs to participate in the family, church, and the society should be fulfilled. Therefore, it is desirable for them to participate in the social services. It was to find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eir educational desires, their leisure activities, and their desires for social services. The result shows that they think about themselves as poor, unhealthy, and lacking pocket money. In the investigation on educational desires, the older they are, the higher the desire for participation and education is. The higher their educational ability is, the higher their preference for lectures and teaching is. The low-educated prefer the active services such as leisure activities and environment beautification. The investigation on how they spend their leisure time shows that they prefer to work around the house and do religious activities in society. However, they have difficulty because of the lack of good health and money. The investigation on desire for participation in social service shows that they are eager to participate actively. They prefer simple activities such as guiding younger generations, paper delivery, and environment beautification to hard and complicated work. Though it has still been managed autonomously, it is required to be systemized by some special religious workers. Additionally, our church facilities should be utilized as much as possible as a place for their health enhancing programs, for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society, education, and leasure. Moreover, it is recognized that new programs must be further explored by our church in various ways for senior citizens' active participation in our society. The old population has been increasing rapidly as a result of the improvement of living level and the development of health care and medical technology by virtue of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industrial technology and economic growth after the 1960s. The sharp rise of the old population is inevitably accompanied with the geriatric diseases. As the representative one of the diseases, the dementia has recently taken a sincere attention of the nation. It is the dementia that the radical treatment is impossible and chronic symptom is going on during a long period of time. Accordingly, the increase of the old patients has caused the related family much deep pain and troubles, and finally resulted in being the social problem. The possible things churches could do would be establishing a welfare center, where education, health examination, health lecture or counseling services could be provided or could function as a senior citizen club. Volunteers could be utilized to assist household chores, serve as a companion, deliver food or offer traffic services. And what old people can do to spend their time could be provided. As elderly people who go without meals are on the increase, free food services could be supplied. This study focused on utilizing methods of church resources by systematic and efficient measurements in order to enhance the welfare with regard to senior citizens. For further methods, it is mentioned as followings: The first, it is showed that the welfare for senior citizens is essentially required by The Bible. The second, there are 3 viewpoints to emphasize on the necessity for the social education with regard to senior citizens, the specific educational program and the methods for activating these education programs. Philosophic view point: Changing into the positive and optimistic attitude to their life Social view point: Teaching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according to rapid change of society, helping them to join this society, adapt, confront, and finally to be independent Private view point: Taking their requirement for learning, regaining their confidence overcoming solitude or alienation through education The third, it is given for the examples which 4 different churches perform the welfare for senior citizens. It is showed that the welfare for them can be performed in the small or middle size churches by specific education programs and this performance must be a missionary task for each church. The forth, it is showed how to systemize and perform many resources in church - manpower, financial resources, facilities, system and education programs - and it is emphasized on activation for performing the church social welfare in the near future.

      • 노인복지 향상을 위한 교회자원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충북 보은·옥천·영동을 중심으로

        임종호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4367

        본 연구는 대한민국이 2000년 7월을 기점으로 이미 고령화 사회에 이르렀으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고령사회를 대비하여, 정부의 부족한 예산으로 노인문제의 심각성을 해결하기 어려운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인복지 향상을 위한 교회자원의 활성화방안을 연구하므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노인복지사업을 모색하려는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하여 노인의 개념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노인복지의 개념을 통해서 노인복지란 노인이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면서 소속된 가족 및 지역사회에 적응하고 통합되도록 필요한 자원을 제공 하는데 관련된 공적 및 사적 차원에서의 조직적 제반활동이라는 정의와 성서에 나타난 노인복지의 필요성을 밝히며, 특히 노인 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노인의 사회교육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교육내용, 노인교육의 활성화방안을 모색하므로 ①노인자신의 생에 대한 적극적 태도를 함양하는 데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 철학적 관점 ②사회변동에 효과적으로 적응 할 수 있는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고, 급변하는 사회의 일원으로서 동참, 적응, 대처, 자립해 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사회적인 관점 ③노인 스스로가 필요로 하는 학습욕구를 반영시켜주며 교육을 통해 고독과 소외감을 극복해 나갈 수 있는 자신감을 갖도록 도와주는 개인적인 관점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셋째, 노인복지사업을 실천하고 있는 교회들을 찾아 사례를 분석하므로, 중,소형 교회에서도 실천 가능한 노인복지사업의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제안하므로 교회의 선교적 사명을 강조하고자 한다. 넷째, 교회의 무한한 잠재력인 인적자윈, 재정자원, 시설자원, 교회조직자원, 교육프로그램자원을 체계적으로 전문화하여 활용방안을 제시하여, 미래교회의 교회사회복지를 활성화하는데 중점을 두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충북, 남부지역 보은, 옥천, 영동에서 목회하는 목회자들을 조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연구자가 임의로 수정, 보완하여 작성한 문항들로 구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모는 교역자들이 노인문제에 대해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교회의 책임의식을 가지고 있어 교회의 참여와 개입이 필요하다고 공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노인복지 향상을 위해서 교회의 자원을 노인복지사업을 위해 활용한다면 적은 예산으로 많은 노인을 위한 사회봉사를 할 수 있게 되고 종교계에도 존립목적에 합당한 일이기에 크게 활성화 될 것이다.

      • 한국교회의 지역사회복지 참여방안 연구

        이향남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4367

        우리 나라에서는 종교인구가 전체 인구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종교계는 인적자원, 시설자원, 재정자원 등 다양하고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종교계는 이웃사랑과 빈민구제, 사회봉사 등을 기본 철학으로 하고 있어 사회복지의 기본이념과 상통하는 점이 많이 있다. 따라서 향후 증가하는 사회의 복지욕구를 충족시킴에 있어서 종교계의 보다 더 활발한 참여가 요구되고, 또 현실적으로 그러한 역할은 매우 핵심적일 것으로 기대 된다. 한국의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종교 인구 중에서, 기독교회가 차지하는 비중은 적지 않다. 특히, 교회는 지역 사회 안에서 그 지역 사회의 정치 - 경제 · 사회적인 문제와 직접적인 관련을 가진 개인들로 이루어진 그 지역 사회의 모든 문제와 직 -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지역 사회의 한 부분이다. 그러므로, 교회와 지역 사회를 분리해서 생각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교회는 지역 사회 안에서 일어나는 사회문제를 진지하게 다루고 그것을 해결하려는 적극적인 움직임과 프로그램을 통하여 사회악의 근절에 앞장서야 하는 것이다. 근대 사회복지의 역사에 있어서도 지역사회문제에 최초로 관심을 나타낸 집단은 기독교회였다. 영국 및 미국의 인보관의 예만 보더라도 각국의 지역사회복지에 있어서의 기독교회의 역할이 어떠했는지를 잘 알 수 있다. 특히 서구의 사회복지 선진국의 역사를 볼 때,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교회의 참여는 교회의 제도 중의 하나로 수세기에 걸쳐 유지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금세기에 들어 사회사업이 국가적인 책임이 강조되면서, 교회에 의한 민간사회복지사업의 비중 감소가 특히, 지역사회복지 분야에 있어서 더욱 현저하게 나타난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지역사회복지란 '지역'과 '사회복지'와의 합성어로 지역차원에서의 사회복지라는 의미가 있다. 즉, 지역사회복지란 지역주민의 생존(생명, 생활)을 위해 공적, 사적인 기관이 협동하고 조직화하여 생활 환경과 복지 환경을 개선하는 사회적 시책 및 방법의 체계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 지역 사회에 안에 존재하면서, 그 지역 사회의 정치 · 경제 · 사회적인 문제와 직접적인 관련을 가진 개인들로 이루어진 교회는 그 지역 사회의 모든 문제와 직 ·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지역 사회의 한 부분이다. 그러므로, 교회와 지역 사회를 분리해서 생각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문제에 대한 지역 교회의 참여는 너무나 당연한 것이며, 그 참여의 형태는 행정이나 전문종사자, 당사자 활동 등과 연계, 협조하는 가운데 여러 가지 다양한 실천 모델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커뮤니티를 만들어 가는 지역조직가로서, 또 지역사회의 소외자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자로서, 그리고 지역사회자원을 만들어 가는 사회운동의 담당자로서의 역할 등으로 구제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사회복지의 전문영역으로서의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개념을 파악하고, 지역사회복지와 교회와의 관계, 그리고 교회의 지역사회복지 참여에 대한 신학적 근거를 이론적 배경으로 점차 다양해지는 지역사회의 사회복지에 대한 욕구 증가와 그에 반응하는 현재의 한국 교회의 지역사회복지 참여의 현황과 실태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알 수 있었던 사실은, 한국교회의 지역사회복지 참여에 대한 관념적 이해도는 상당히 높은 편이었지만, 실질적인 지역사회복지 참여는 그리 활발하지 못하고, 참여하고 있는 경우에라도 그 내용의 거의가 보충적이며 잔여적인 영역에서 비전문적인 방법으로 수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더욱이,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한국교회의 이러한 비전문성은, 교회 자신이 이미 가지고 있는 좋은 자원들의 가치에 대한 평가절하로 이어지고, 이는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지역사회복지 참여가 어렵다고 하는 왜곡된 상황인식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에서는 지역사회복지의 가장 기본적인 실천 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각 지역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지역 교회의 자원을 효과적으로 동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 고를 통해 결론적으로 제시하고자 하는 방안은, 지역사회복지 참여에 대한 높은 관심과 좋은 자원 보유에도 불구하고 전문적인 실천 기술이 부족해서 지역사회복지에의 효율적 참여가 쉽지 않은 각 지역 교회들을 지역사회복지의 가장 기본적인 실천 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각 지역의 지역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 사회복지관과의 협력을 통하여 동원하는 실천적인 모델로, 교회 시설의 개방사업과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위탁사업, 그리고, 사례관리 사업과 후원금품 조성사업을 제시해 보았다. 여러 가지 한계와 부족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교회는 지역사회복지 사업을 실천하기에 매우 좋은 여건과 자원을 갖추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교회의 참여의 중요성을 절감하고 보다 전문적인 지지와 지원이 뒷받침되기만 한다면, 한국 교회를 통한 지역사회복지는 놀랍게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이에 본 고를 통하여 이러한 비전을 바라보면서, 각 지역에 근거하는 모든 지역 교회를 지역의 지역사회복지 활성화를 위한 좋은 자원으로 활용되고, 또 각 지역교회는 자신이 속한 그 지역사회를 축복하는 좋은 도구로서 지역사회복지 실천에 과감하게 동참하는 역사가 일어나기를 바라며, 앞으로 더 나은 후속 연구가 나오기를 기대하면서 글을 맺는다.

      • 지역사회복지 향상을 위한 교회자원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윤은미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34367

        Aiming to seek for a plan for utilizing church resources for the enhancement in community welfare and to offer basic materials necessary for presenting a direction that the church social work needs to advance, as a result of surveying, analyzing and considering the recognition of church social work, the recognition of utilizing church resources, and the realities of church resource, and the social-work realities within a church, targeting 297 persons including pastors for a church and consistent-position Christian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it was indicated to be high in the recognition of church social work and the recognition that the community welfare work requires the participation of a church, thereby recognizing the practice of loving neighbors as one of missions in a church, but it can be seen to be closed in opening facilities and financial resources in a church to local residents. Second, compared to the resources that a church possesses, it can be seen that the practice of social work within a church is inactive, and that the work being carried out by a church, remains in the level of temporal and simple relief work, thus the resources in a church are not well being utilized. There are the necessity of church social work, and the recognition of requiring to open and utilize church resources to the outside, but it was indicated to be lacking in the actual practice of social work, thus this can be concluded that the social work is being seen simply from the religious aspect, and rather, that it is low in the recognition of social welfare and the recognition of utilizing resourc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given summarizing plans for utilizing church resources aiming at community, as four things, those are as follows. First, it needs to be developed the social-service movement as to the whole Christians, and to be developed and utilized, to the utmost, human resources in a church through the professional volunteer education. Second, it needs to be reflected the certain ratio of the church budget in the social-service expenses, to be collected the social-work expenses through bazaar and a profitable work, and to be used the specific collections such as the object contribution, season contribution, and birthday contribution for the fund of community welfare. Third, it needs to be reinforced the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welfare system so that all the church buildings can be opened to community by introducing a public concept of a church, and can be utilized as a place of education and the leisure facilities aiming at community dwellers except the time of worshipping, and that facility resources can be meaningfully mobilized within a limit that does not cause confusion in the church function. Fourth, it needs to be activated its organization within a church by allowing Christians to participate in a plan and in the operation for church social work, to allow churches with small-scale resources to build the efficiently cooperative system between local churches, by sharing and running the welfare program by field, and to be executed a community service program by seeking for the connection with a social-welfare institution.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 향상을 위한 교회자원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교회사회사업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교회의 목회자, 항존직 교인 297명을 대상으로 교회사회사업에 대한 인식과 교회자원 활용인식, 교회자원의 실태, 교회 내 사회복지사업 실태를 조사 · 분석,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회사회사업에 대한 인식과 지역사회복지사업에 교회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의식이 높게 나타나 이웃사랑의 실천을 교회의 사명 중 하나로 인식하고 있으나 교회의 시설, 재정자원을 지역주민에게 개방하는 것에 폐쇄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교회가 보유한 자원에 비해 교회 내 사회복지사업의 실천이 저조하고, 교회가 실시중인 사회복지사업도 일시적이고 단순한 구제사업 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알 수 있어 교회의 자원이 잘 활용되지 않고 있다. 이는 교회사회사업의 필요성과 교회자원을 외부에 개방하고 활용해야 한다는 의식은 있지만 실제적으로 사회복지사업의 실천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사회복지사업을 단지 신앙적 측면에서 보고 있으며 오히려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과 자원 활용인식이 낮은 것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지역사회복지 향상을 위한 교회자원의 활용방안을 네 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교인의 사회봉사화 운동을 전개하고 자원봉사 전문교육을 통해 교회의 인적자원을 최대한 개발하고 활용하여야 한다. 둘째, 교회예산의 일정 비율을 사회사업비에 반영하고, 바자회, 수익사업을 통해 사회사업비를 모금하거나, 목적 헌금, 절기 헌금, 생일 헌금 등 특정헌금을 지역사회복지 자금으로 사용한다. 셋째, 교회의 공개념을 도입하여 모든 교회 건물을 지역사회에 개방하고 예배드리는 시간외에는 지역사회 주민들을 위한 교육과 여가시설의 장으로 활용하며 교회기능에 혼란을 초래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시설자원이 의미 있게 동원되도록 지역사회 복지체계와의 연계를 강화한다. 넷째, 교인들을 교회사회사업의 계획과 실행에 참여시켜 교회 내 자체조직을 활성화시키고, 자원규모가 작은 교회들은 분야별로 복지 프로그램을 분담 운영하여 지역교회간 효율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사회복지관과의 연계를 모색하여 지역사회봉사 프로그램을 시행한다.

      • 韓國敎會의 社會福祉資源 活性化 方案에 관한 硏究

        류은옥 東國大學校 行政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34367

        Korean Christianity has been enormously developed in human resources and in materialization, though its history of mission has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one century. Nevertheless, Christian churches today can hardly escape from the criticism that they neglected to engage themselves in the social welfare as the most essentially practical virtue, the love of neighborhood that is the nature of Christianity. The concrete countermeasure of the churches towards the social problems which become severe day by day is feeble.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they bear their basic duty that forms a symbiosis with the regional residents and shares the fraternalism in an integrated relation. This is the reason why the Christian churches exist. This research was, therefore, made with the object of analyzing the obstacle factors in which the Korean churches are not able to make the best of their resources for the activities of social welfare, even though they carry social welfare resources on a huge scale by the external growth of them, of seeking the role that they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social welfare, and of preparing their activation plan of the social welfare resources. The concrete contents of researches are as follows. In the 1st chapter, the purpose, methodology, and scope are mentioned. In the 2nd chapter, the conception of the church social welfare are, on a theoretical background, established as the practice of its social welfare and its role, function, and mission as a community are described. In the 3rd chapter, what premise should be set up for the direction of the social welfare mission of Korean churches is highlighted in order to grasp and analyze the resources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practical use of their social welfare, and the necessity of applying their resources fully, their usable resources, and the state of their applications are surveyed and analyzed. In addition, the obstacle factor that hinders the practice of their social welfare is searched. In the 4th chapter, the programs of social welfare mission towards its activation plan are screened in accordance with the need of the times in order to build the regional community. The aspects of the financial support and of the full use of human resources that come from the churches are reviewed, and the various social welfare programs are suggested through the openness of the facilities. In the 5th chapter that serves as the conclusion and proposition, the reason why Korean churches can not participate in the social welfare mission actively is summerized, the premise for the churches to receive and perform the demand of the community as a communal body of regional societies is re-highlighted, and, finally, the concrete plan for the churches to activate the social welfare resources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is proposed.

      • 교회 장애인복지사업의 실태와 목회자 인식에 관한 연구

        김두만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4335

        본 논문에 대한 연구는 한국교회가 장애인복지에 대한 문제점들을 깊이 인식하면서, 개 교회 목회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장애인복지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자료를 토대로 한국교회가 장애인복지사업에 대한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여 34문항으로 된 설문지 140부를 이메일을 통해 배부하였으나, 회수된 설문지 114부를 실제 조사에 사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v12.0 통계 프로그램방식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t-test, 분산분석(ANOVA)등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조사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 및 교회의 특성을 보면, 교단의 특성상 100%가 남자였으며, “연령”층은 40~50대의 목회자로서 20년 이하인 교회와 100명 미만의 교회가 가장 많았고, 1년 “총예산”은 1억원 미만이 대부분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장애인복지사업에 대한 목회자 인식은, 구제와 사회봉사에 대해 대체적으로 “동의”하고 있었으며, “가장 관심을 가져야 할 대상”으로는 “노인”이었다. 또한 장애인복지와 관련된 세미나 혹은 대학 또는 대학원에서 교육을 받은 목회자가 약 60%를 차지했으나, “장애인 문제”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그 이유로 “정부”의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셋째, 장애인복지사업에 대해서는, “목회자” 나 “성도” 모두가 “보통”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장애인복지사업 시행의 중요 목적”에 대해서는 “이웃 사랑의 실천”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넷째, 교회 장애인복지사업 실태 중 “실시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재정 규모가 작아서”와 “장애인이 없기 때문”이라고 조사 되었으나, 장애인복지 사업에 대해선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하고 있는 교회의 실태”를 보면, “장애인 시설방문 및 후원”과 “장애인 상담”이 대부분이었으며, “장애인복지사업 재정충당”에 대해서는 교회 안에서 해결하고자 하였지만, “장애인복지 예산비율”에 대해서는 총 예산 중 10%미만이 가장 많았다. “장애인복지사업의 진행자”에 대해서는 “목회자”와 “전담전문 직원”의 진행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장애인복지사업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는 “교회별 상황에 맞게한다”와 “교회 간 지역 간 연합활동의 필요성”을 원하고 있었다. 그 “필요요소”에 대해서는 “자원봉사 등 인력후원”과 “재정적 후원”이라는 응답과 “장애인복지사업 전문사역자와 전문부서의 필요성”에 대한 응답이 가장 많았다. 여섯째, 주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총예산과 출석교인 간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상관계수=0.830)로 나타났으며, 장애인복지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목회자의 교육정도(F=4.246, P=0.003)가 장애인복지 목회에 대한 관심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을 중심으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는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버리고 장애인복지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요구된다. 따라서 교회는 장애인을 도움의 대상이 아닌 지역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인정하고 교회의 참 모습인 이웃사랑인 예수님의 사랑을 장애인복지사업을 통해 실현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회는 장애인복지의 인식전환을 위해 목회자 교육이 요구된다. 따라서 교회는 장애인복지사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전문적인 장애인복지와 관련된 세미나의 개최 및 장애인복지 관련 강좌 실시 등을 통해 장애인복지에 대한 인식 제고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것이다. 셋째, 교회는 장애인복지의 활성화를 위하여 교회의 다양한 자원(인적자원 및 시설자원 등)들을 활용하여야 한다. 넷째, 교회는 효과적인 장애인복지의 활성화를 위하여 중・ 소형교회 간 지역간의 연합활동이 요구된다. 다섯째, 교회는 효과적인 장애인복지의 활성화를 위하여 지역적 특성에 따라 장애인들에게 꼭 필요한 다양한 실천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여섯째, 교회는 장애인복지의 활성화를 위하여 장애인을 위한 전담부서 및 전문 사역자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교회는 장애인복지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성도들의 교육과 훈련을 통해 장애인복지전문사역자로 활용하는 자세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한국교회는 장애인복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바탕으로 교회 본연의 사명을 회복하게 될 것이고, 지역사회의 장애인복지가 보다 향상되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우러져 이 땅에 기쁨과 소망이 있는 사회를 만들어 갈 것이다. On this paper the realities and problems on the welfare of the disabled, which local church pastors in Korea recognize, are studied. In addition we aimed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to activate the service for welfare of the disabled lead by Korean church. Methods for the study both the documentary research and e-mail survey containing 34 questionnaires. 140 e-mail surveys were distributed, and 114 e-mail surveys was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v12.0 program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surveyed and korean church the organization consists of 100% men, who are 30's or 40's pastors. And the most of church of the surveyed is less than 20 years and is less than 100 members. Total budget for the church of the surveyed is less than the 100 million won. Second, the surveyed pasto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elief and social service for the disabled. And the senior is considered as the people who must be concerned about. The 60% of them are attending disabled service related seminars or being educated on the college and graduate school. They recognize that the problems of the disabled service are serious, and think the reasons for the problems are the responsibility of 'gorvernment'. Third, both pastors and saints consider the disabled welfare business as a normal thing. And “the practice to love neighborhood”is thought to be the main goal of the disabled welfare business. Fourth,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disabled welfare business in churches, in spite of much concern for the business, the reason why churches do not conduct the disabled welfare business is ‘lack of finances or ‘absence of the disabled’. The methods to conduct the disabled welfare business are mostly facility visits and counseling. Churches try to cover the finances for helping the disabled by themselves. But the budget for the business is less than 10% of total budget prevalently. In many cases, pastors and professional staffs take a role as project coordinator for the business. Fifth, the surveyed thinks to activate the business has to be conducted considering church’s situation, need to be joint activities between the churches of the area. The most responses about the need factor are voluntary human resource support and financial support, specialized resource support. Sixth,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otal budget and church attendance are the most highly correlated (R2 = 0.830), and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he disabled welfare come from educational level of the pastors (F = 4.246, P = 0.003). Based on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 few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church is required to removenegative perceptions of the disabled changing awareness about the welfare of the disabled. Thus church needs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that the disabled is not the subject of helping but a member of community. And then church must try to realize the love of Jesus that is real purpose of church through the disabled welfare business. Second, pastor training is required for conversion of awareness about the disabled welfare. In order to practice church-conducting welfare business, church need to make aneffort to enhance awareness of the disabled welfare through holding professional course and seminar related to the disabled welfare. Third, the church is required to make the best use of a variety of resources (human resources and facility resources, etc.) to activate the disabled welfare. Fourth, for effective business, joint activities between small-scale and large-scale churches, and between regions are required. Fifth, a variety of necessary action programs for the disabled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Sixth, welfare experts and workers for the disabled are necessary. Therefore, church can take advantage of the saints who have an interest in the disabled welfare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Finally, based on plan of improvement about the disabled welfare issue, the Korean church’original mission will be renewed. Though improving the disabled welfare of the community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would go together in harmony, and our society will be full of joy and ho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