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지역아동센터의 사회복지기능 수행평가에 관한 연구

        이재숙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의 목적은 2004년 아동복지법 재개정으로 공부방 형태에서 지역아동센터로 탈바꿈되면서 지역아동센터가 종합적인 아동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사회복지기능이 부과된 아동복지시설로서 지역아동센터의 운영환경을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사회복지기능 수행정도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한다. 또한 사회복지기능 수행정도에 따라 지역아동센터가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성과 활성화방안을 제언해보고, 아동복지사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역아동센터로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상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지역아동센터의 사회복지기능의 수행정도는 어떠한지 파악하고 둘째, 지역아동센터의 운영환경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알아보고 셋째, 지역아동센터의 사회복지기능 수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아동센터의 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넷째, 지역아동센터의 사회복지기능 수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가정의 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는 서울 및 경인지역의 지역아동센터와 공부방의 실무자 대상으로 총 110부 중 주소불명으로 반송된 6곳을 제외한 104부 중에서 총 96부를 가지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사용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t-검증, 탐색적 요인분석,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발견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의 사회복지 프로그램 영역별로 평가한 내용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기관에서 간식과 급식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교육프로그램은 하루일과를 계획하여 프로그램 진행, 기록하기 문항에서 대부분 운영되고 있었으며, 특히, 아동 별 학습지도와 문화 활동 문항에서는 상당수 많은 기관에서 운영되고 있음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학과 자연활동이 가능한 장치와 재료문항에서는 조금 낮은 점수로 평가되어 대체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관리는 가정방문에 비해 아동·부모상담 운영, 사례관리문항에서는 높게 나타났다. 지역복지서비스는 다른 사회복지 프로그램영역인 급식활동, 교육프로그램, 사례관리, 지역복지서비스에 비해 평균점수가 상당히 낮게 나타났으며, 아동·가정 사례관리에서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지역사회의 자원을 활용 및 연계항목과 부모교육 항목이 가장 낮은 평균점수를 나타났다. 둘째, 각 영역별에서 알아본 지역아동센터의 운영환경은 시설설비 및 안전영역에서 가장 낮게 평가를 받은 항목을 살펴보면 아동의 건강관련 기록문서항목으로서 이는 아동의 건강관련 등의 개별관리가 잘 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개별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과 아동과 분리된 생활복지사만을 위한 공간이 아동복지법에 의거한 시설기준에 비해 다수 기관에서 협소한 공간에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아동센터의 시설확충 부분이 좀 더 보완되어야 함을 뒷받침 할 수 있다. 운영관리영역에서는 후원자관리, 직원보수교육, 생활복지사에 대한 평가항목이 다소 낮은 점수를 보였다. 지역 내 아동들을 보육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장애아동을 위한 교육요건은 평균 1.88로 추후 지역아동센터가 종합적인 아동센터의 장애아동을 위한 시설로서 발전될 수 있도록 시설기준이 좀 더 보완되어야겠다. 상호작용영역은 생활복지사-아동, 아동-아동, 생활복지사-생활복지사 간의 평균점수는 생활복지사-부모, 생활복지사-자원봉사자, 생활복지사-외부기관 전문가 영역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아동센터가 부모와의 활발한 상호작용, 자원봉사자 및 외부기관 전문가를 연계 및 활용하여 사회복지 기능이 좀 더 보완되어야 함을 나타나고 있다. 셋째, 지역아동센터의 요인에 따른 즉, 국가 보조금 지원현황, 지역아동센터 신고유무, 시설장의 최종학력 및 보유자격증에 따라 사회복지 프로그램, 운영환경 영역에서 분석결과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 프로그램영역에서는 급식활동, 교육프로그램, 사례관리, 지역복지서비스 문항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지역아동센터의 급식활동은 국가지원현황, 지역아동센터 신고유무에 따라 10%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가 보조금 지원받는 지역아동센터와 지역아동센터로 신고한 지역아동센터에서 급식활동이 더 잘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프로그램에서는 10% 유의수준에서 지역아동센터 신고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5% 유의수준에서 시설장의 보유자격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아동센터로 신고하거나 시설장이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소지할 경우에 교육프로그램을 더 잘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례관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지역복지서비스에서는 국가지원현황에 따라 10%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국가보조금 지원받는 지역아동센터가 지역복지서비스를 더 잘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아동센터의 운영환경은 운영관리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시설설비 및 안전의 차이항목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신고유무에 따라 10%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시설장의 최종학력에 따라 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다. 시설장의 보유자격증에 따라 1%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이러한 결과는 시설장이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소지한 경우에 시설설비 및 안전영역에서 운영이 더 잘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에서는 생활복지사-아동, 아동-아동, 생활복지사-생활복지사, 생활복지사-자원봉사자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지역아동센터 신고유무와 시설장의 최종학력에 대해 생활복지사-부모에서 10%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는 지역아동센터를 신고하지 않거나 시설장의 대학원재학 이상일 경우에 생활복지사-부모간의 상호작용이 더 잘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생활복지사와 부모간의 상호작용에서 지역아동센터가 미신고일 경우 지역사회운동에서 시작된 공부방형태로써 부모의 지속적인 참여와 관심에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생활복지사- 외부기관 전문가의 상호작용영역에서는 10% 유의수준에서 국가보조금 지원받는 지역아동센터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가보조금을 지원받음에 따라 생활복지사-외부기관 전문가의 상호작용이 더 긴밀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 및 가정의 요인을 지역아동센터의 이용아동 전체 인원수, 아동의 지역아동센터 출결현황, 아동의 보호자 중 알코올 문제로 인한 가족 수, 가족에게 학대 받는 아동이 있는 가족 수를 선택하여 사회복지 프로그램과 시설설비 및 안전, 운영관리영역에 따라 살펴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 프로그램영역에서 급식활동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교육프로그램에서 아동의 보호자 중 알코올 문제로 인한 가족 수와 사례관리에서 가족에게 학대받는 아동이 있는 가족 수에 따라 10%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증 결과 알코올 문제로 인한 가족 수가 적을수록 교육프로그램이 더 잘 운영되고 있었으며, 지역복지서비스에서는 가족에게 학대받는 아동이 있는 가족 수가 많을수록 지역복지서비스 활동은 더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 내에서 문제가 보여 지는 아동들은 교육프로그램의 활동에서는 참여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며 이를 위해 지역복지서비스를 통해 좀 더 긴밀한 사례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환경에서는 시설설비 및 안전의 차이, 운영관리에 따라 가족에게 학대받는 아동이 있는 가족 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사후 검증한 결과는 1가족 이하이거나 4가족 이상일수록 즉, 문제가정이 없거나 많을수록 시설설비 및 안전과 운영관리는 잘 갖추어진 것으로 알 수 있다. 상호작용에서는 생활복지사-아동, 생활복지사-부모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아동-아동, 생활복지사-생활복지사에서는 학대를 받는 아동의 가족 수에 따라 10%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생활복지사-자원봉사자, 생활복지사-외부기관 전문가간의 상호작용에서는 알코올 문제로 인한 가족 수에 따라 10%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사후검증 결과 학대를 받는 아동의 가족 수가 적을수록 아동간의 상호작용은 더 높았고, 생활복지사간의 상호작용은 학대를 받는 아동의 가족 수가 많을수록 상호작용이 더 긴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알코올 문제로 인한 가족 수가 많을수록 생활복지사와 외부기관 전문가, 자원봉사자 간의 상호작용은 더 긴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 내 여러 문제로 인하여 아동의 정서적, 사회적 지원 등을 위한 직·간접적인 사회복지 서비스를 지원함에 따라 생활복지사, 자원봉사자, 외부기관 전문가와 더욱 더 밀접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실천적 측면, 정책적 측면에서 연구의 함의를 도출하고 지역아동센터의 발전방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는 첫째, 지역아동센터는 아동을 양육하는 가정과 지역사회의 적극적으로 상호개입 될 수 있는 사회복지 프로그램이 실행되어야하고 둘째, 지역아동센터의 종사자는 지역사회내의 다양한 이용아동들의 가정환경과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례관리 교육과 상담기술, 사회복지실천기법 등의 교육을 통해 전문가 양성을 해야 한다. 지역아동센터에 대핸 정책적 함의는 첫째, 지역아동센터의 생활복지사와 시설장은 사회복지사 3급 이상 취득해야 하나 지역아동센터의 아동 및 가정의 사례관리와 지역사회를 조직 및 실천하기엔 역부족이므로 사회복지사 2급 이상의 전문대 졸업이상의 자격기준을 강화되어야 하고, 추후 보수교육을 통해 사회복지사를 취득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해야 하며 둘째, 지역아동센터 대부분의 기관이 시설장의 자격기준과 공간이 시설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인건비와 월세로 대부분 지출되어 프로그램의 운영비 등 아동들의 실질적인 사례관리 등의 프로그램에는 역부족이므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속적인 재정지원과 지역사회 문제를 자발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후원자 개발을 통해 부족한 재정부분을 충당하여야 하며 셋째, 정부는 시설기준에 맞춰서 지역아동센터로 신고를 하기보다는 시설확충과 최소 기준공간을 확보 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performance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to provide comprehensive child care service as well as social welfare function. Under revised child welfare law in 2004,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are now more focused on child welfare than education service. Assessment tool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to provide such welfare service. Also, suggestions are made as to the future direction for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and how to activate the center depending on its social welfare function performance. In short, it is suggested th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evolve into an institution that can assume pivotal role in child welfare initiatives. This study raised four issues; first, to address the social welfare service performance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 second, to find out operating environment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third, to identify factors relevant to social welfare service performance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and; fourth, to identity factors related with child or their family that can affect social welfare service performance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110 copies of survey material were sent out to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Kyoung-in area. Six copies were returned as the addresses were wrong. Out of 104 copies, 96 were used for this stud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one-way ANOVA, t-te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post-hoc test utilizing SPSS 12.0.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social welfare program was evaluated by categories. Most institutions were providing meals and snacks. In most institutions, education program was in place including organizing daily activity, implementing program and data-keeping. In particular, customized academic guidance and cultural activity were being implemented in most centers. However, category of equipment and material related with science and nature study and activity had slightly lower score, suggesting this category is relatively unsatisfactory. In case management category, consultation with children or parents had higher scores than home visits. Community welfare service category had considerably lower score than meal service, education program or case management.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 part with the lowest score in facility·safety category of operation environment was children’s health-related data keeping category, showing individual child’s health management was insufficient. It was also found that space was not enough to meet the legal standards. There was not enough space to store children’s individual items nor there was sufficient space reserved for welfare workers, apart from room for children. This suggests th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need to supplement facilities. In interaction category, average score of interaction between welfare worker-children, child-child, and welfare worker-welfare worker were higher than those between welfare worker-parents, welfare worker-volunteer worker and welfare worker-independent expert. Third, social welfare program’s operating environment was analyzed as to whether it was receiving government subsidy, whether center reporting system was in place, and what academic background or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the head of the center had. Results differed depending on each category such as meal service, education program, case management or community welfare service. Meal service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differed significantly at 10% significant level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government subsidy or reporting system. This shows that centers with government subsidy and reporting system had better meal service. Education program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enters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reporting system or whether the head of the center had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Center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ase managem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10% significant level in community welfare service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government subsidy. Operating environment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perating management category. In facility·safety categor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10% significant level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reporting system or what academic background the head had. Centers with head having Social Welfare Worker Certificates turned out to be better run in facility·safety category. In intera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between welfare worker-children, child-child, welfare worker-welfare worker or welfare worker-volunteer work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between welfare worker-parents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reporting system or what academic background the head had. The interaction between welfare worker- independent exper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t 10% significant level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government subsidy. It was found out that centers getting government subsidy had more close interaction between welfare workers and independent experts. Fourth, variables related with children or their families were analyzed in social welfare program category, facility·safety category and operation management category. Specific variable used in this study were total number of children in a center, a child’s attendance at the center, the number of families with alcoholic parent and the number of families with abused chil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l service in social welfare program category.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10% significant level in education program depending on the number of families with alcoholic paren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also found in case management depending on the number of families with abused child. This shows that children from problematic families had lower participation in education program, and that careful case management is required to correct this problem through community welfare service. In operating environmen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acility·safety and operating management catego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families with abused child. Post-hoc analysis on this result shows that facility·safety and operating management were better implemented in cases where there was less than one family with abused child or more than four families with abused child. In intera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elfare worker-children or welfare worker-parents. However, interaction between child-child or welfare worker-welfare worke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t 10% significant level depending on the number of families with abused child. Interaction between welfare worker-volunteer worker, welfare worker -independent exper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t 10% significant level depending on the number of families with alcoholic parent. Interaction between welfare worker-independent expert and volunteer worker grew closer as the number of families with alcoholic parent increased. This suggests that direct and indirect social welfare service to help children suffering from domestic problems can improve interaction between welfare worker-volunteer worker or independent expert.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are made as to how to draw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n practical and policy perspectives and how to improve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munity child centers should implement social welfare program that encourage active intervention of families and community. Second, welfare workers in community child centers need to be trained as professionals to solve diverse problems and challenges for children in the community through case management training, consultation training and exercise of social welfare practice techniques.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heads and welfare workers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 should obtain at least Welfare Worker Certificate III. However, this qualification is insufficient to guarantee decent case management and community organization and operation. Therefore, the qualification should get tougher, such as requiring at least Welfare Worker Certificate II or college diploma. Aggressive support is required so that the heads and welfare workers could obtain certificates even in the future through continuing education. Second, most centers are not meeting legal standards in the qualification of the head or space and face financial difficulties. That is because most revenues are spent as wages or monthly payments, leaving little money to go to welfare program. Therefore, government and local authorities should provide continued financial support or help centers find sponsors so that centers could deal with the financial situation by themselves. Third, government should help centers to secure minimum legal space and decent facilities, rather than encouraging centers to report as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upon just meeting legal standards.

      • 사회복지관 최고관리자의 리더십 행동유형과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에 관한 연구

        이영이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서울지역 사회복지관에 종사하고 있는 일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사회복지관 최고관리자들의 리더십 행동유형이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함으로써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갖는 최고관리자의 리더십행동유형을 제시하고,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최고관리자의 리더십 증진방안 수립에 기여하고자 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 수준을 측정하고, 최고관리자의 리더십 행동유형, 조직변인, 개인변인이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에 영향력을 갖는 최고관리자의 리더십 행동은 어떤 유형인지,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구별짓는 중요변인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과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지역 45개의 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기기입 방식의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287부의 설문지 중 무응답, 불성실한 응답 및 늦게 도착한 설문지 등으로 인해 통계분석에 활용할 수 없는 13부를 제외한 총 245부의 설문지를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인인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하여 리더십행동유형(비전제시가, 목표달성가, 분석가, 동기부여가), 조직특성변인(운영기간, 기관규정 및 행정절차의 명문화), 개인특성변인(인구사회학적 특성, 전문적 능력)을 독립변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0.0 for Win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빈도분석, 일원량 분산분석, 단순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관 최고관리자들은 리더십 유형을 목표달성가, 비전제시가, 동기부여가, 분석가 순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급변하고 있는 사회복지환경에서 최고관리자의 리더십이 기관의 목표를 설정하고 방향성을 제시해야 하는 목표달성가, 비전제시가일 때 이상적이라는 선행연구 이론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값이 3.537로 직무성과 수준은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최고관리자의 4가지 리더십 행동 유형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동기부여 유형만이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따라서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최고관리자는 직원들의 불평이나 문제점들을 잘 들어주고, 직원들이 직무에 대해 사명의식을 갖고 과업에 몰두할 수 있도록 그들의 가치관과 정서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셋째, 조직특성 변인과 개인특성 변인이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직의 운영기간, 기관규정 및 명문화 정도의 조직특성 변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무의미하게 나타났으며, 개인특성 변인 중 연령, 학력, 실무경력, 직위, 전문적 능력 변인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령, 학력, 실무경력, 직위에 따라 직무성과에 차이가 있는 것은 임상적 경험을 통한 노하우, 책임과 권한에 따른 결과라고 추론할 수 있겠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에 영향력을 가지는 변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최고관리자의 리더십유형, 조직특성변인, 개인특성변인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직무성과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전문적 능력과 연령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기관을 운영하는 리더의 자질이나 능력 또는 조직특성 보다는 사회복지사 자신이 갖고있는 전문적 능력과 연령이 높을수록 직무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높을수록 직무성과가 높다는 것은 나이가 들수록 삶에 대한지혜, 임상적 경험에서 얻은 노하우 등이 축적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에 기관에서는 실무자들이 사회복지관련 교육이나 세미나 등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보다 많이 제공함으로써 전문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가 높은집단과 낮은집단을 구별짓는 중요변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문적 능력이 높은 사회복지사들은 관리자의 리더십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전문적 능력이 낮은 사회복지사들에겐 관리자의 리더십 중 특히 동기부여형의 리더십이 가장 큰 영향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그러나 4가지 유형의 리더십 변인 보다 사회복지사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전문적 지식이나 기술이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에 보다 강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좀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직무성과가 낮은 집단의 경우에는 전문적 능력과 동기부여형의 리더십유형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나, 직무성과가 높은 집단의 경우에는 전문적 능력과 비전제시가 유형의 리더십이 긍정적인 영향을, 동기부여가 유형의 리더십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복지사들이 전문적 지식이 높은 경우에는 자신의 일에 대한 자부심과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바, 비전을 제시하는 등의 리더십은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나, 상세하게 챙기고 보살피는 리더십은 오히려 사회복지사들이 부담스럽고 간섭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으로 추측되어 진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최고관리자들은 기관의 생산력을 극대화시키고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기관운영에 관련된 새로운 방향성만을 제시하고 사회복지사들이 자신의 전문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leadership styles of the administrator who has a biggest influence on the staff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an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leadership improvement plan of the administrator for the improvement of the staff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by grasping how the influence of the leadership styles of community welfare center administrator on the staff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is with the general social workers working at community welfare center in Seoul. For this objective, this research measured the level of the staff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and investigated what the influences of the leadership styles of the administrator, the organization factor, the individual factor on the staff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are, what the styles of leadership of the administrator having an influence on the staff performance are, what the important factor differentiating the high staff performance group and the low staff performance group is. The research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through the analysis. The administrators of community welfare center use the leadership styles as task master, motivator, analyzer by order, and this supports the foregoing research theory which is ideal when the leadership of the administrator in social welfare environment rapidly changing is task master and vision setter. Firstly, as for the level of the staff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its average value is 3.537 of full score 5, we can know that the level of staff performance is high.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 of four leadership styles of the administrator on the staff performance, only the style of the motivator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taff performance. Thirdly,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 of organization trait factor and the individual factor on the staff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is as follows. The effect of the running period of organization and the organization trait factor like the organization regulation, and its degree of express provision on the staff performance was shown insignificant, and the age, scholarship degree, career, position, professional ability factors among the individual trait factors were proven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multiple recurrence analysis by setting the leadership styles of the administrator, the organization trait factor, and the individual trait factor as the independent factor and the staff performance as the dependent factor in order to know the factors having an influence on the staff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as for the factors having an influence on the staff performance, only the professional ability and age were prove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it was proven that the staff performance is high as the professional ability and the age which the social workers have are higher rather than the quality, the ability or the organization trait of leader who manages the organization. Finally,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important factor differentiating the high staff performance group and the low staff performance group is as follows. The social workers having a high professional ability are little influenced by the leadership of the administrator, and the social workers having a low professional ability are much influenced especially by the leadership of the style of motivator among the leaderships of the administrator. However, it was proven that the professional knowledge or technique which the social workers have has stronger influence on the staff performance than the leadership factor of four styles. Through the result above, I think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administrator only suggests the new direction related to the center running, and sufficiently provides the opportunity to improve the professional ability of social workers in order to maximize the productivity of the center and to raise the staff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교회 자원봉사 프로그램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개신교회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유희순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교회 자원봉사활동에 관련된 개인특성 및 기관의 관리 요인들을 파악하고, 특히 이들이 지속도 및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앞으로 교회 자원봉사활동의 지속도와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교회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인특성요인, 가족요인, 교회기관요인, 사회복지기관요인이 지속도 및 참여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중요변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과제에 따른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교회와 연계되어 자원봉사활동이 이루어지는 서울지역 사회복지관 12개소, 노인복지관 2개소의 자원봉사자, 지역사회를 위한 교회 자원봉사활동이 이루어지는 5개 교회의 자원봉사자 그리고 K구(區)교회복지연합회 소속 자원봉사회원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기기입 방식의 설문조사를 우편조사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276부의 설문지 중 무응답, 불성실한 응답 및 늦게 도착된 설문지 등으로 인해 통계자료로 활용할 수 없는 34부를 제외한 총 242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인인 지속도(봉사활동기간, 앞으로 봉사활동 가능기간)와 참여도(적극성 정도, 활동 빈도, 1회당 투입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하여 개인특성요인(성별, 연령, 결혼상태, 학력, 생활수준, 봉사활동유형, 종교적 동기, 봉사활동경험, 동료자원봉사자와의 관계,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 봉사활동의 만족도), 가족요인(가족의 이해), 교회기관요인(담당부서의 유/무, 자원봉사자 교육의 만족도, 목회자의 인식, 교회 자원봉사활동의 필요성 인식), 사회복지기관요인(배치 및 업무부여, 보수교육, 지도감독, 인정과 보상)등을 독립변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10.0 for Win을 이용하였는데,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독립변인들이 종속변인인 지속도 및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발견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1. 개인특성요인은 지속도에 정적 또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도를 예측함에 있어서 다른 어떤 변인보다도 연령이 통계적으로 가장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봉사활동경험이 많을수록, 동료자원봉사자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봉사활동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종교적 동기 중에서는 교회에서 다른 사람에게 본이 되려는 동기가 강할수록 그리고 생활수준은 낮을수록 지속도가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2. 가족요인으로 가족의 이해는 지속도에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참여도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일단 참여 후에는 개인특성요인이 통계적으로 보다 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3. 교회기관요인으로 전담관리부서의 유/무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사회복지기관요인 중에서는 배치 및 업무부여가 정적 영향을 나타내며, 보상의 만족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배치 및 업무부여는 잘 이루어질수록 지속도가 높은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보상의 만족도는 만족 수준이 낮을수록 지속도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1. 개인특성요인은 참여도에 정적 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역사회의 관심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이 많을수록, 동료자원봉사자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봉사활동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지속도와 참여도 모두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은 동료자원봉사자와의 관계인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종교적 동기 중에서 하나님이 주신 재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적 영향을 나타내지만, 그리스도인의 의무로 하는 경우와 복을 쌓기 위해서 참여하는 경우는 부적 영향을 나타냈다. 또한 전문분야 자원봉사자는 단순노력 자원봉사자보다 참여도가 낮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족요인으로 가족의 이해는 참여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자원봉사 참여도에 가족의 이해나 호응이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3. 교회기관요인 중에서는 전담관리부서의 유/무가 참여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전담관리부서가 있는 것이 교인들의 참여를 유도하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봉사활동 필요성 인식이 참여도를 높이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사회복지기관요인은 정적 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 배치 및 업무부여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지도감독이 적절히 잘 이루어질수록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보상의 만족도는 지속도와 참여도 모두에 공통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특성요인, 가족요인, 교회기관요인, 사회복지기관요인 등 모든 요인 중에서 지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개인특성요인, 가족요인, 교회기관요인, 사회복지기관요인 등 모든 요인들을 고려한 최종모델에서 지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봉사활동 경험, 동료자원봉사자와의 관계, 종교적 동기 중에서 교회에서 다른 사람에게 본이 되려고 하는 경우, 생활수준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 연령과 봉사활동 경험은 다른 어떤 변인보다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연령이 많을수록, 봉사활동경험이 많을수록, 동료자원봉사자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종교적 동기 중에서 교회에서 다른 사람에게 본이 되려고 하는 동기가 강할수록 지속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넷째, 개인특성요인, 가족요인, 교회기관요인, 사회복지기관요인 등 모든 요인 중에서 참여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개인특성요인, 가족요인, 교회기관요인, 사회복지기관요인 등 모든 요인들을 고려한 최종모델에서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종교적 동기 중에서 하나님이 주신 재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그리스도인의 의무라서, 다른 사람을 섬기는 훈련을 위해서 활동하는 경우, 지역사회의 관심, 배치 및 업무부여, 지도감독, 봉사활동의 만족도, 사회복지기관의 인정과 보상의 만족도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 지역사회의 관심과 봉사활동의 만족도, 종교적 동기 중에서 하나님이 주신 재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활동하는 경우가 다른 어떤 변인보다도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종교적 동기 중에서 그리스도인의 의무로, 다른 사람을 섬기는 훈련을 위해, 복을 쌓기 위해서 활동하는 경우와 사회복지기관의 인정과 보상의 만족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가 제시하는 실천적 함의는 교회 자원봉사 프로그램 관리 차원에서 지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녀 양육에서 어느 정도 자유로운 연령에 속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신규 모집하여 교육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존의 자원봉사자들 즉,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봉사활동을 다시 시작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교인들에게 자원봉사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여야 하며, 업무 배치에 있어서 능력과 재능을 고려하고, 또한 자원봉사자를 통한 자원봉사자 모집으로 친분이 있는 동료들과 자원봉사활동을 함께 할 수 있도록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관리함으로써 지속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하나님께서 각자에게 주신 재능이 있음을 깨닫게 하고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동기 부여를 촉진시키며, 지역사회에 당면한 각종 지역사회문제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기회 제공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효과적인 교회 자원봉사 프로그램 관리의 방향과 초점을 시사해 준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effective management plan that will raise the maintenance and participation levels of church volunteer programs for community welfare.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that certain factors have on the maintenance and participation levels-namel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volunteer work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family, church organization and community welfare center-and identifies the key variables influencing maintenance and participation level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es following from the above research thesis, a mail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evaluative questionnaire. The respondents included twelve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collaborating with local churches in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volunteer workers at two welfare centers for the elderly, volunteer workers at five churches engaged in volunteer programs for community welfare, and members of the K District chapter of the Church Welfare Union. A total of 276 questionnaires were sent out, and excluding 34 questionnaires from respondents who replied insincerely, belatedly, or not at all, and thus unusable as statistical data, a total of 242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in the final statistical analysis. In this statistical analysis, the maintenance level and the participation level have been set as dependent variables. The maintenance level is diagnosed in terms of duration of volunteer service and estimated duration of prospective volunteer service. The participation level is diagnosed in terms of degree of activeness, frequency of activity, and time spent per round of activity. With a view to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se dependent variables, the following factors have been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 personal characteristics: sex,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standard of living, volunteer work type, religious motives, volunteer work experience, relations with fellow volunteer workers, concern for community, level of satisfaction with volunteer work; (b) family: understanding of the family; (c) church organization: existence/nonexistence of a managing department, satisfactoriness of the education of volunteer workers, understanding of the clergy, recognition of the need for the church's engagement in volunteer service; (d) community welfare center: placement and assignment of duties, paid education, supervision, recognition and reward. As for the method of data analysis, SPSS 10.0 for Windows was used. A descrip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the influence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s have on the dependent variable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result of the analysis. 1.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aintenance level are as follows: (a) Personal characteristics are shown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n the maintenance level. Among all the factors, age is statistically the most significant in estimating the maintenance level. Also, it is shown that the maintenance level rises according as one has more volunteer work experience, has better relations with fellow volunteer workers, is more satisfied with volunteer work, and among religious motives, has a stronger motive to "serve as a model to others as a Christian,"and has a lower standard of living. (b) It is shown that understanding on the part of the volunteer worker's family does not have much effect on the maintenance level. It does have an effect on the participation level, but once one starts participating, one's personal characteristics become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c) As for church organization,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a specialized managing department has a negative effect. (d) Among factors related to community welfare center, placement and assignment of duties has a positive effect,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reward has a negative effect. Hence it is expected that the maintenance level will rise according as the placement and assignment of duties are more resourcefully carried out and also according as one is less satisfied with reward. 2.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articipation level are as follows: (a) Personal characteristics are shown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n the participation level. Amo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volunteer workers, the factor exert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articipation level is concern for community. It is expected that the participation level will rise according as one's concern for community is greater, one's relations with fellow workers are better, and one is more satisfied with volunteer work. Thurs one's relations with fellow volunteer workers is a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s both the maintenance level and the participation level. And among religious motives, doing volunteer work in order to "use the talents given by God"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articipation level, whereas the motives to "perform one's duty as a Christian" and "accumulate blessings" have negative effects. Furthermore, professional volunteer workers tend to have a lower participation level than amateur volunteer workers. (b) It is shown that understanding on the part of the volunteer worker's family do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articipation level. This shows that an understanding or positive response of the family is a key factor. (c) As for church organization, it is shown that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a specialized managing depart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raising the participation level. Hence it is predicted that the existence of a specialized managing department will be effective in inducing the participation of church members. Also, it is shown that recognition of the need for volunteer servic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aising the participation level. (d) Factors related to community welfare center have positive or negative effect. Among these, it is shown that placement and assignment of duties is a factor that has a very significant effect on the participation level. Further, it is shown that the more appropriately supervision is implemented,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level will be.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reward has a negative effect on both the maintenance level and the participation level. 3. Among all independent variables, the factors exert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maintenance level are as follows: Among all the factors having to do with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church organization, and community welfare center, those tha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maintenance level are age, volunteer work experience, relations with fellow volunteer workers, the religious motive to "serve as a model to others as a Christian," and standard of living. Of these variables, it is found that age and volunteer work experience are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significant effect on the maintenance level. Accordingly, it is predicted that the maintenance level will rise according as the volunteer worker is older, has more volunteer work experience, has better relations with fellow volunteer workers, and has a stronger motive to "serve as a model to others as a Christian." 4. Among all independent variables, the factors exert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articipation level are as follows: Among all the factors having to do with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church organization, and community welfare center, those tha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maintenance level are the motives to "use the talents given by God," "perform one's duty as a Christian" and "practice and serving others" concern for community, placement and assignment of duties, supervision, level of satisfaction with volunteer work, and recognition and reward by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Of these variables, it is found that concern for community and the motive to "use the talents given by God" are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significant effect on the participation level. Variables which have negative effect on the participation level are the motives to "perform ones duty as a Christian," "practice serving others" and "accumulate blessings," and recognition and reward by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have practical import in regard to planning the management of church volunteer programs. In order to raise the maintenance level of church volunteer programs for community welfa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y for volunteer workers who have prior experience in the volunteer service field to resume volunteer activity, although it is also important to recruit and train newcomers from the age group that is more or less free from the responsibilities of raising children. Also, ample opportunity should be provided to church members to engage in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In the assignment of duties, skill and talen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Volunteer workers should be involved in the recruiting process, so that they have the option of working with close colleagues. In order to raise the participation level, volunteer workers should be made to realize that each has a talent given by God, and they should be motivated to use their talents. They should also be given the opportunity to enlarge and deepen their concerns for various problems afflicting community. Th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e optimal focus and direction for the management of church volunteer programs.

      •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조직 몰입과 직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개인 및 조직특성에 관한 연구

        신혜정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소재 종합사회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 및 사회복지사의 ‘개인특성’과 ‘조직특성’이 사회복지사 개인의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 향상 전략을 수립 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92개 종합사회복지관 중 계통적(체계적) 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46개 기관을 선정하였고 2003년 10월 7일부터 11월 7일까지 한 기관 당 4∼8명씩, 총 368명의 사회복지사들에게 우편발송이나 직접방문을 통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배포한 전체 설문지들 중 총 237부를 회수하여 64.4%의 회수율을 나타내었으며 이중 설문내용이 부실한 설문 1부를 제외한 총 23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 ‘직무성과’ 및 ‘실천효과성검증능력’의 수준은 5점을 만점으로 했을 때 ‘직무성과’가 3.50점, ‘실천효과성 검증능력’이 3.41점, ‘조직몰입’이 3.06점으로 나타나 ‘직무성과’와 ‘실천효과성 검증능력’에 비해 ‘조직에 대한 몰입이나 헌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특성’에 따른 ‘조직몰입’, ‘직무성과’ 및 ‘실천효과성검증능력’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 ‘조직몰입’은 직위가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연봉이 높을수록 그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직무성과’는 응답자의 직위가 높을수록, 사회복지관련 기관에서의 재직기간이 길수록, 연봉이 높을수록, 응답자가 행정·관리직일수록 그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실천효과성 검증능력’은 기혼일수록, 직위가 높을수록, 사회복지관련 기관 재직기간이 길수록, 연봉이 높을수록, 생활수준을 높게 인식할수록 그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무특성’에 따른 ‘조직몰입’, ‘직무성과’, ‘실천효과성 검증능력’을 살펴본 결과 업무수행에 있어서 ‘자율성의 부여’와 ‘업무중요성’의 정도가 높아질수록 ‘조직몰입’이 증가하였고 ‘자율성의 부여’, ‘업무에 있어서의 피드백 교환’, ‘과업중요성’이 높아질수록 ‘직무성과’가 증가하였다. 또한 ‘자율성의 부여’와 ‘과업중요성’이 높아질수록 ‘실천효과성 검증능력’이 증가하였다. 넷째, ‘조직특성’에 따른 ‘조직몰입’과 ‘직무성과’ 수준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자율적이고 협동적인 조직 분위기’가 조직에 보다 헌신하고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협동적인 조직분위기’와 ‘성취적인 조직분위기’에서 ‘직무성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동적인 조직분위기’와 ‘성취적인 조직분위기’가 ‘실천효과성 검증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직몰입’에 따른 ‘직무성과’와 ‘실천효과성 검증능력’의 변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 ‘정서몰입’과 ‘규범몰입’의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성과’가 증가하였다. 또한 ‘규범몰입’ 수준이 높아질수록 ‘실천효과성 검증능력’ 수준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과 ‘직무성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직무특성’ 중 ‘자율성’과 ‘과업중요성’이 ‘조직몰입’을 높이는 중요한 변인이므로 사회복지사들이 자신의 업무를 계획하고 추진하는데 있어서 자율성을 충분히 부여하여야 한다. 둘째, ‘직무특성’ 중 ‘자율성’, ‘과업중요성’ 및 ‘피드백’이 ‘직무성과’를 높이는 중요한 변인으로 밝혀졌으므로 ‘직무성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사회복지사들의 자율적인 업무추진을 보장하고 업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며 사회복지사들로 하여금 자신이 수행한 업무의 효과에 대한 명확한 정보를 얻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주관적 조직특성’인 ‘조직풍토’ 중 ‘자율적 조직풍토’와 ‘협동적 조직풍토’가 ‘조직몰입’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사업 본연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율적이고 협동적인 조직 분위기’가 보장되어야만 한다. 그렇게 될 때 비로소 사회사업의 전문직으로서의 정체성과 가치는 확립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주관적 조직특성' 중 '협동적이고 성취적인 조직풍토'가 '직무성과'와 '실천효과성 검증능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협동적이며 성취감을 경험할 수 있는 조직분위기 조성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를 증대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정서몰입'과 '규범몰입'이 높을수록 '직무성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에 대한 감정적 애착심'이 많아 '조직과 개인간의 적극적인 감정적 결속'이 높을수록, '조직에 대한 책임감'과 '조직에 남아있어야 한다는 의무감'이 높을수록 '직무성과'가 높아진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 향상을 통하여 업무에 있어서 '직무성과'를 증대하여야 할 것이다. 여섯째, '규범몰입'이 높을수록 '실천효과성 검증능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구성원의 조직에 대한 책임감에 근거한 몰입이 '실천효과성 검증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사들의 ‘조직몰입’ 수준을 보다 강화하여 ‘실천효과성 검증능력’을 증대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es for the strategy to promot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by analys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the effec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among social workers at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To achieve above research purpose, the samples of 368 social workers(4~8 cases per agency) were selected from 46 agencies among 92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with the systematic sampling method. Organized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by mailing or on-site visiting survey methods from october 7 to september 7, 2003. The total of 237(64.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236 copies of them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with the exception of 1 unfaithful on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regard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performance and verification capability of practical effectiveness of social workers at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on the basis of total score of 5.00, job performance(3.50) was highest and verification capability of practical effectiveness(3.41), organizational commitment(3.06) in order. Namely, compared to job performance and verification capability of practical effectiveness, commitment and devotion to organization were lower. Second,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effec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performance and verification capability of practical effectiveness, it was found out that social workers who are advanced in their positions, salaries and have lower educational level were showing higher poin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also appeared that social workers who are advanced in their positions, salaries, have longer period in office, are in management level were showing higher points on job performance. It was found out that social workers who are married, advanced in positions, salaries, have longer period in office related to social work, are in management level, have a higher standard of living were showing higher points on verification capability of practical effectiveness. Third,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performance and verification capability of practical effectiveness, it came out that the more autonomy was given to the members and the more work importance was, the more organizational commitment appeared. It is also found out that the more autonomy was given to the members, the more feedback sharing on job appeared and the more work importance was, the more job performance appeared. It revealed that the more autonomy was given and the more work importance was, the more verification capability of practical effectiveness appeared. Forth,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It was exposed that autonomical and cooperative atmosphere improved commitment and devotion to organization. It appeared that cooperative and accomplishment oriented atmosphere improve verification capability of practical effectiveness. Fifth,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job performance and verification capability of practical effectiveness, It revealed that social workers who have more affective and normative commitment were showing high points in job performance. It is came out that verification capability of practical effectiveness improved, as normative commitment increased. Based on above survey results, a few plans for promoting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are suggested. Those suggestions are as follows : First, because autonomy and work importance are the major variables promo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the job characteristics, enough autonomy must be given to social workers when they are making plans and putting their job in motion. Second, Regarding job characteristics, it is found out that autonomy, work importance and feedback are major variables promoting job performance. Hence autonomical job driving must be insured to social workers, their recognition of work importance must be enhanced and clear information of practical effectiveness of their job must be given to them so that their job performance will improve. Third, Regarding organizational atmosphere which is one of the subjectiv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t is exposed that autonomical atmosphere and cooperative atmosphere promot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to perform proper job of social work, autonomical and cooperative organizational atmosphere must be secured. then, the identity and the value of social work as a profession can be established. Forth, it is emerged that among the subjectiv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cooperative and accomplishment oriented organizational atmosphere improve verification capability of practical effectiveness. So we have to promote social workers' job performance by furthering organizational atmosphere that making members experience accomplishment and cooperative organizational atmosphere. Fifth, it is found out that the more affectiv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are, the more job performance appears. It means that the higher emotional unity degree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the person appears, the higher responsibility degree for organization appears, the bigger a sense of duty of remaining at organization is felt, the higher job performance degree appears. Hence, we have to improve social workers' job performance at work by promoting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Sixth, it is found out that the higher normative commitment degree appears, the more verification capability of practical effectiveness appears. Namely,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responsibility for the organization influences positively promoting their verification capability of practical effectiveness. therefore, we have to strengthen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increase their verification capability of practical effectiveness.

      • 슈퍼비전 요인과 직무성과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권우희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03

        사회복지관은 보건복지부, 지자체로부터의 각종 평가와 재위탁 등으로 경쟁적인 성과위주의 운영에 초점이 맞춰져 왔다. 이는 사회복지조직의 목표가 가지는 불확실성과 모호성에 기인한 것으로 사회복지서비스에 관련된 업무를 표준화하고 성과를 측정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이다. 슈퍼비전의 목적은 클라이언트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직원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책무성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사회복지사의 책무성은 직무성과 평가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는 슈퍼비전이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말해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슈퍼비전 요인을 슈퍼바이지, 슈퍼바이저, 그리고 슈퍼비전 환경으로 보고 어떤 슈퍼비전 요인이 슈퍼바이지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혀 사회복지관 슈퍼비전의 발전을 위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49개 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각 사회복지관의 슈퍼비전을 받는 일선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다. 최종적으로 42개 사회복지관에서 289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슈퍼바이지가 인식한 슈퍼비전 요인과 직무성과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슈퍼바이지 자기효능감은 슈퍼바이지의 직무성과에 정(+)적으로 유의미(p<.001)한 영향을 주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고, 슈퍼바이저 역량은 슈퍼바이지 직무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p<.01)한 것으로 나타났다. 슈퍼비전 환경과 슈퍼바이지 직무성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슈퍼바이지, 슈퍼바이저, 슈퍼비전 환경 요인이 각기 다른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슈퍼바이지 직무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슈퍼바이지의 직무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슈퍼바이지의 근무기간(p<.01), 슈퍼바이지의 자기효능감(p<.001), 슈퍼바이저의 성별(p<.05), 슈퍼바이저의 역량(p<.01), 슈퍼비전 정책(p<.001)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슈퍼바이저가 여성인 경우의 슈퍼바이지는 슈퍼바이저가 남성인 경우의 슈퍼바이지보다 직무성과가 낮고, 슈퍼바이지의 근무기간이 높아질수록 직무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변수인 슈퍼바이지 자기효능감, 슈퍼바이저 역량, 슈퍼비전 정책은 슈퍼바이지의 직무성과에 정(+)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슈퍼바이지의 자기효능감이 높고 슈퍼바이저의 역량이 높을수록, 또한 슈퍼비전 정책 즉, 슈퍼비전 관련 규정과 슈퍼바이저 교육체계가 마련되고 슈퍼비전 지침이 개발‧활용되며, 슈퍼바이저의 직무가 명확히 기술되어 구체적인 기록체계를 바탕으로 활용되어지는 정도에 따라 슈퍼바이지의 직무성과가 향상될 것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The social welfare center has been focusing on the competitive performance oriented operation due to various evaluation and reconsignment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local government. This is of the purpose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resulting from uncertainty and ambiguity that it is a very assignment to generalize the social welfare service related work and to measure the performance. The purpose of supervision is to improve professionalism of workers to provide the best service to clients and to realize acccountability. Acccountability of social workers is achieved through job performance and evaluation. This signifies that supervision makes effect on the job performance and improvement of social workers. This study considered the supervision factor that make effect on the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as the supervisee, supervisor, and supervision environment, and identified how the supervision factor influence the job performance of supervisee to provide positiv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upervision of the social welfare center. For the questionnaire investigation, this study selected 49 social welfare centers located in Seoul-si and conducted the investigation on front-line social workers who are taking the supervision of each social welfare center. 289 copie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collected from 42 social welfare centers and used on the analysis, and conducte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a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ion factor perceived by supervisee and job performanc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pervisee factor and job performance of supervisee, it was identified that the self-efficacy of supervisee is an influencing variable that makes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performance.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or factor and job performance of supervisee, it was identified that the competence of supervisor makes positive influence on the job performance of supervisee and is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Thirdly, when the effect of supervision environment on job performance of supervisee was researched, a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ion environment and job performanc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l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with job performance of supervisee in a condition of supervisee, supervisor, and supervision environment factor each controlled the different factors, variables that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performance of supervisee were the employment period of supervisee(p<.01), self-efficacy of supervise(p<.001), gender of supervisor(p<.05), competence of supervisor(p<.01), and the supervision policy(p<.001). In other words, the job performance of supervisee with female supervisor was lower than the supervisee with male supervisor, and when the employment period of supervisee was higher, the job performance was higher as well. Main variables, the self-efficacy of supervisee, competence of supervisor, and supervision policy, were investigated to have positive influencing power on the job performance of supervisee that it was identified that the higher self-efficacy of supervise and higher competence of supervisor, the supervision policy, meaning supervision related regulation and supervisor education system are prepared and the supervision guideline is developed and utilized. Also, it was identified that the job performance of supervisee will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utilizing level based on the concrete recording system of clearing describing the work of supervisors. This research result verified that an organization preparing structuralized supervision system autonomously for supervisors to provide qualitative supervision is not an additional work invested on organizations or supervisors for external evaluation purpose any longer, but is an important item that can improve the existence of social welfare centers, responsibilities and obligations, meaning accomplishing accountability and efficacy of the social welfare centers.

      • 노인주간보호시설 이용노인의 복지욕구를 통해 본 문제점 분석에 관한 연구

        이순열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87

        국가 전체적으로 저출산과 평균수명의 연장에서 비롯되는 노인인구의 증가는 사회를 고령사회로 변화시켰고, 급증하는 노인인구에 대하여 가족에 의한 보호보다는 국가가 그 부양을 책임져야 한다는 여론이 대두대면서, ‘노인보호’에 대한 문제는 미시적 수준의 개인이나 가족의 문제를 떠나 국가 전체적인 차원에서 개입해야 하는 거시적인 문제로 떠오르면서 사회 전체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중요 문제로 거론되고 있다. 이와 같은 노인보호문제를 사회제도로써 충족시키기 위하여 선진국가들은 국가 차원의 요양보장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노인요양보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재가보호시설로 노인주간보호시설을 포함하고 있으나 노인주간보호시설에 대한 인지도와 이용률이 저조한 형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주간보호시설 이용노인의 복지욕구를 통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추구하는 연구를 시도하였다. 노인주간보호시설 종사자 및 이용노인의 복지욕구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나타난 문제점으로는 첫째, 노인의 욕구와 기능상태를 고려하여 서비스 대상자 선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반면 경제상태에 따라 대상자가 선정되고 있어 프로그램 운영에 어려움이 따른다. 둘째, 서비스 내용에 있어서도 각각 시설들마다 독자적이며 특화된 서비스가 개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의 조사대상 시설 모두 평이한 서비스 및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다. 셋째, 전문 인력과 사회복지사의 인력을 충분하게 배치하지 못하고 있어 사회복지사에 대한 기대치가 높음과 동시에 사회복지사의 업무량이 시설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많아 충분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넷째, 다양한 관련 기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유관기관을 연결하여 통합적인 행정과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조정기구의 부재로 말미암아 시설이용 정보 접근 시 제약이 따르고, 노인을 위한 각종 복지자원의 낭비와 중복투자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향후 지역사회 중심 시설이 될 노인주간보호시설의 서비스 및 프로그램을 개선함으로써 노인들의 건강 및 신체 기능상태의 안정을 도모하고 수발가족들은 수발의 경제적 부담과 신체적·심리적 피로에서 벗어나 원활한 사회경제활동을 가능하게 하여 국가 및 사회관계에서 기능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low birth rate and increased life span have fueled the growth of the elderly population, which results in turning Korean society into an aged one. The nation is increasingly requested to take the responsibility for providing care to the rapidly growing elderly population, instead of just leaving them to their families. So the protection of the elderly is emerging as one of major issues that should be handled at a national level from macro perspective, not at a personal or family level, and that is a matter of primary concern that needs an immediate attention. To address this matter through social institution, advanced countries offer national long-term elderly care services, and our country provides daycare service as part of in-home service as well. However, daycare centers are neither well-known nor used a lo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eeds of elderly users of daycare centers for welfare in an effort to identify problems with them and seek workable reform measures. A survey was conducted on daycare center employees and elderly users, and there appeared the following problems with daycare centers: First, elderly clients were selected just by their economic state, not by their needs or physical functions. That made it difficult to ensure the efficiency of programs. Second, the daycare centers investigated didn't offer unique or specialized services. Instead, their services and programs were merely plain. Third, professional personnels and social workers weren't sufficient in number. Although the elderly people had strong expectations for social workers, the social workers weren't able to satisfy them because of their heavy workload. Fourth, there were a variety of relevant organizations, but a lack of coordinating agencies that could give integrated administration service and information about them curbed the accessibility of the users to these organizations, and it was also likely to be followed by a waste of all sorts of welfare resources or overlapped investment. Daycare centers for the elderly, which will be a hub of local community, should provide improved services and programs by ironing out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o promote the health of elderly people and to ease the economic, physical and mental pressure of their family caregivers. And it will enable their family caregivers to direct more energy into themselves and to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nation.

      • 기혼 노인의 결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유시순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87

        최근 노년기 부부간의 불화로 인한 황혼이혼이 증가 추세에 있다. 노년기 부부관계가 이혼이나 별거로 인한 가정의 파탄을 초래한다면, 노인들은 생의 마지막 단계에서 절망감을 맞이하게 될 뿐 아니라 자녀들은 홀로된 부모를 각각 부양해야 하는 부양부담에 따른 부수적인 문제들도 파생되어 진다. 따라서 노년기 부부갈등 요인들을 사전에 예방하고, 부부관계를 더욱 행복하게 영위할 수 있도록 결혼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혼 노인들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노부부의 결혼만족도를 위한 노인복지정책의 방향과 실천적·정책적 대안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과제에 따른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60세 이상 유배우자 노인 255명에 대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240명에 대하여 조사를 완료하였다. 완료된 조사자료에 대하여 SPSS WIN을 이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는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요인만을 살펴보면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배우자와 한방을 사용하고 있을수록, 배우자와 별거를 하지 않을수록, 남자일수록,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심리적 요인에서는 사회적 지지망이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부부관계 요인에서는 부부간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부부간 정서적지지가 높을수록, 부부간 성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부부간 사회·여가활동을 많이 할 수록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사회심리적 요인, 부부관계 요인 등 세 가지 영역을 모두 포함한 결과를 살펴보면 부부간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부부간 정서적 지지가 높을수록, 부부간 성생활 만족이 높을수록, 성별이 남자일수록, 부부간에 사회·여가활동 참여가 높을수록, 직업이 없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부간에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배우자를 지지하고 격려해주는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개인적 특성요인, 사회심리적 요인, 부부관계요인 등 세 가지 영역을 남자노인, 여자노인으로 비교분석해 보았을 때 남자노인의 경우, 부부간 정서적 지지가 높을수록, 부부간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부부간 성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별거를 하고 있지 않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여자노인의 경우, 부부간 의사소통이 높을 수록, 부부간 정서적 지지가 높을수록, 부부간 성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각방을 사용하지 않을수록, 별거를 하고 있지 않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녀로 비교분석해 보았을 때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평균값에 대한 남·녀 비교분석에서 여자노인의 경우, 사회적 지지망과 자아존중감, 자녀와의 애정적 결속도, 성생활 만족도, 성횟수가 남자노인보다 높은 평균값을 보여주고 있는 반면, 남자노인에게서는 의사소통, 정서적지지, 성생활 중요도, 결혼만족도가 여자노인보다 높은 평균값을 나타냈다. 이상의 주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종합해 보면, 노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부간 의사소통 정도, 부부간 정서적지지 정도, 부부간 성생활 만족도, 성별, 부부간 사회·여가활동 참여정도, 직업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실천적·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부부간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이뤄질 수 있도록 부부간에 자기표현력을 키우고, 배우자의 입장에서 생각하려는 연습과, 개방적이고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이끌어낼 수 있는 부부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부부간 서로를 격려해주고 지지해줌으로써 부부간의 장점을 강화시킬 수 있는 부부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올바른 성교육이 필요하며, 잘못 알려진 노인의 성생활에 대한 인식전환뿐 아니라 사회적 편견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사회교육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시스템은 노인종합복지관, 노인회관, 노인대학뿐 아니라 정부, 시민단체, 언론매체를 활용한 홍보를 통해 노인의 성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방적인 교육여건을 마련하여 노인의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켜줘야 한다. 또한 노인의 성 상담소가 개설되어져야 한다. 넷째, 여성의 결혼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져야 할 뿐 아니라 노년기 부부교육 프로그램은 부부간의 성차에 근거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져야 한다. 다섯째, 노인종합복지관 뿐만 아니라 TV나 라디오 같은 대중매체를 통해서 노년기 부부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여가·사회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홍보가 선행되어져야 한다. 여섯째, 노년기에 경제적 생활고로 인해 생계비를 벌기위한 명목으로 직장을 다니는 노인의 경우, 대부분 공공근로나 노동·일용직과 같은 단순근로직 종사자가 많다. 정부는 취업취약계층인 고령자 고용 전담기구의 개설과 노인 창업을 지원하는 정책적인 노력을 강화시킴으로써 고용촉진과 직업고용 안정책을 개선시켜야 한다. 끝으로, 노년기 성공적인 부부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부부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을 전담할 수 있는 노인전문가가 양성되어야 하며, 교육기관의 활성화가 노인복지기관이나 노인대학 뿐 아니라 기업 및 사회교육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결혼만족도와 관련된 후속연구에서는 부부간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부부단위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근거이론을 통한 사례분석·심층면접 등의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t has recently increased to have twilight divorces of the aged or senescent due to marital troubles. If a marital relationship in old age ends up with family conflict from a divorce or separation, not only do they feel devastated in their last stage of life, but also there are incidental problems as their children may become responsible for looking after each parent. Therefore, research about the factors that improve marital satisfaction is needed to prevent the marital trouble issues of the aged for continuing better relationships. To do so, I will discus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aged and in this research I will suggest some practical and politic ideas for the aged couples as well as some welfare policies. To reinforce this theses, I have conducted interview research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ith 255 elders of which 240 were completed and this data has been tested by SPSS WIN. Firstly, when we look only at socio-demographical factors, marital satisfaction is higher for those who hav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for couples who sleep in one room and are not separated, for those who are male and for those who have better quality of life. When it comes to socio-psychological factors, marital satisfaction is higher for those who have more social support. In regards with marital relationship factors, couples who have better understanding and emotional supports with their partner, sex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leisure activities as a couple have higher marital satisfaction. Secondly, when we look at all of these 3 different areas together, that is socio-demographical, socio-psychological and the marital relationship factors, we can see that the marital satisfaction is higher for couples who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each other, emotional supports, sex life satisfaction, social leisure activities and for those who are male and without jobs. Therefore there should be efficient communication between a husband and a wife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grams to support and encourage spouses. Finally, comparison analysis between the aged female and male in individual characteristic factors, socio-psychological factors and marital relationship factors has been done as follows. For aged males, they have higher marital satisfaction with better emotional supports, understanding of their partner, sex life satisfaction an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ir partner. For aged females, they have higher marital satisfaction with better understanding and emotional supports from their partner, sex life satisfaction but without separation or using a separate room. Therefore, there does not seem to be much difference in sex comparison analysis. However, while social support, self-esteem, relational bonding with children, sex life satisfaction and the number of sexual encounters for aged females have higher average values, for aged males communication, emotional support, sex life importance and marital satisfaction have higher average values. To summarize,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bove is that the factors that affect marital satisfaction of the aged are in order of communication, emotional supports, sexual satisfaction, sex, participation of social leisure activities and jobs.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practical and politic proposals based on these findings. To begin with, couples need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and grow the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to have effective communication. They also need to practice seeing things from their spouses' perspective.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married couples is considered necessary to lead to open and effective communication. Secondly,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positively strengthen their spouses through encouragement and support. Thirdly, right sex education is necessary and not only do we need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but also consider plans to eliminate socially biased views of the sex life of the elderly. This can include social education system in welfare centers for the aged, assembly halls for the aged and colleges for the elderly. Also to have the basic human need satisfied for the elderly, we need to have an open educational environment with access to specialized sex education programs that provide correct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mature aged sex through public relations, the government, public organizations and the media. Sexual counseling centers for the aged also have to be open. Fourthly, to improve women's marital satisfaction, the aged couple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structured on sexual differences of males and females. The fifth point covered is that requirement to develop social leisure activity programs that both husband and wife can participate in at welfare centers for the aged as well as through mass media such as TV and radio. Public relations in particular need to be preceded to activate the social leisure activities through voluntary works. Sixthly. in the case of some aged people who work to cover the cost of living due to poverty and are likely to be simple laborers such as public or daily workers, the government should improve stabilization measures of their employment and work conditions. Finally, to maintain successful married life in old age, experts on the aged need to be trained to develop and take complete charge of educational programs and activation of educational organizations needs to be accomplished not only through welfare centers for the aged or colleges for the elderly but through private enterprises and social educational awareness. For the next research paper regarding marital satisfaction, the suggested subject of the study should be a married couple as a unit with focus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husband and wife wit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example case analysis and depths analysis.

      • 여성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이은혜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87

        현대의 급속한 산업화와 국가 발전 등의 변화에서 여성의 지위는 날로 신장되고 여성의 역할과 사회참여는 크게 증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장애인은 우리 사회의 주변인으로서 사회통합에 어려움을 느끼고 사회에 적응하는 데 많은 장애요소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장애인이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지역사회 내에서 적극적인 활동과 참여를 통해 자신의 삶에 행복과 안녕감을 느끼며 사회통합을 할 수 있는 요인들을 조사하여 여성장애인들에게 필요한 정책 및 서비스를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총 91명으로 서울·경기에 거주하며 장애인복지관 및 종합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여성장애인 중에서 정신장애, 지체장애, 정신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언어장애를 가진 여성장애인으로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설문조사는 기관에 의뢰하여 조사하였으며 설문지 기간은 2005년 10월 10일부터 11월 4일까지 실시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장애인의 장애유형별로는 사회통합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시각장애인이 다른 장애인보다는 지역사회참여와 접근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선행연구와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연령별로도 사회통합의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나이가 적을수록 사회통합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여부별로는 미혼인 여성장애인이 기혼인 여성장애인보다는 사회통합에 더 쉽게 접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유형별로는 사회통합에 있어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종교가 있는 집단이 종교가 없는 집단보다는 사회통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정도별로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지만 교육정도가 높아질수록 여성장애인이 사회통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여부별로는 직업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을 비교했을 때 직업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는 사회통합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장애인의 사회통합의 변수간의 상관관계에서는 개인적 특성인 자존감과 일상생활능력이 삶의 만족도, 지역사회참여, 지역사회접근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적인 특성인 가족의 지지는 삶의 만족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지지는 지역사회참여에만 영향을 미쳤을 뿐 사회적 낙인은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적 특성인 자존감, 일상생활능력, 연령, 교육정도, 직업유무, 결혼유무, 종교유무에 환경적 특성인 가족지지, 사회적지지, 사회적낙인이 사회통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삶의 만족도에서는 자존감과 일상생활능력이 영향을 미치고, 가족지지와 사회적낙인이 일상생활능력과 함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참여에서는 자존감과 일상생활능력이 각각 영향을 미치고, 일상생활능력과 사회적지지가 지역사회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접근에서는 일상생활능력이 지역사회접근에 영향을 미치고, 일상생활능력, 가족지지, 사회적 낙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여성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미치는 요인 중 일상생활능력이 사회통합의 세 하위 차원인 삶의 만족, 지역사회참여, 지역사회접근 모두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여성으로서의 가정역할과 사회인으로서의 사회역할을 하는데 있어 일상생활의 기본이 되는 기능수행의 중요함을 다시 한번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여성장애인이라 해서 특별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보다는 여성으로서의 기능과 욕구에 맞고 실질적으로 실생활에 사용할 수 있는 일상생활능력의 향상을 통해 여성장애인이 가정에서 가정역할과 사회에서 사회역할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회복지서비스가 더더욱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정책적 함의는 첫째, 여성장애인을 위한 일상생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법적인 조항을 장애관련정책에 포함시키도록 하여 여성장애인의 사회참여의 원활함은 물론 권리확보에 어려움이 없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육과 취업에 있어서 비장애인과 균등한 기회를 제공하여 여성장애인이 한 인간으로서 당당하게 살아 갈 수 있는 자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여성장애인의 원만한 결혼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족지원서비스를 개발하여 결혼생활의 어려움을 해소한다. 넷째, 여성장애인의 사회적응과 사회통합에 맞는 생애주기별 맞춤식 사회재활을 개발하여 사회통합을 하는데 적극 지원한다. 다섯째, 여성장애인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져 여성과 장애의 이중적인 고통을 가진 여성장애인들의 복지정책수립과 사회복지프로그램 등 국가와 관련단체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Although the status of women is getting higher and the role and social participation of women are increasing with the changes is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 and the rapid industrialization of the modern society, the handicapped women still feel difficulties in social integration and they have many obstacles to adjust themselves to the society because they cannot enter the main stream as peripheral peopl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for social integration while they feel happiness and well-being in their lives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as a member of the society and to identify the policies and services for the handicapped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1 female handicapped people who resid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and had mental disorder, crippled disorder, mental retardation, eyesight disorder, and hearing and speaking disorder and visited Social Welfare Center for the Handicapped or Social Welfare Complex.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the support of the institutions and the survey period was October 10 to November 4 in 2005. Majo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social integration leve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handicaps of the female handicapped people, those who had eyesight disorder had more difficulties than other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 of the previous studies.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social integration level according to the age either, however younger ones seemed to be easy to be integrated into the society and single ones seemed to have less difficulties in integration than those who had already married. Although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integration level according to religion type, those who had religion showed significantly better than those who had no religion at all. Although there was no big difference according to education, those who had better education could integrate themselves into the society better. When comparing those who were employed and those who were unemployed, the former showed better integration capability than the latter. Second, in the correlation of the social integration variables of the female handicapped people,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elf-respect, and ordinary living capabilities seemed to influence the satisfaction in life, the participation in community life and access to the community. Additionally, the support from the family which is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 made positive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in life only. The social support influenced the participation in community life only, and the social stigma did not influence social integration. Third, when the influence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elf-respect, ordinary living capabilities, ate, education, employment, marital status, and religion and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upport from the family, social supports and social stigma on the social integration level was investigated, the self-respect and ordinary living capabilities influenced the satisfaction in life, and the support from the family and social stigma seemed to mak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in life with the ordinary living capabilities. In community life participation, the self-respect and ordinary living capabilities made influence respectively, and ordinary living capabilities and social supports mad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mmunity life participation. In access to the community, ordinary living capabilities made influence on it and ordinary living capabilities, family supports and social stigma made significant influence on it. Conclusively,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female handicapped people, ordinary living capabilities made influence on the three sub-dimensions such as satisfaction in life, community life participation and the access to the community. It shows the importance of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s that are base of the ordinary life in playing the role of the woman at home and in the community. Therefore, we need to provide social welfare service to enable them to play their own roles at home and in the society through enhancing the ordinary living capabilities that suits for their functions and requirements and that they can make use of in their actual lives rather than devise special welfare services for the female handicapped people. Therefore, we could identify the followings as the meaning of this study. First, in order to enhance the ordinary living capabilities of the female handicapped people, we need to include the legislative clauses in the policies for the handicapped so that the female handicapped people can participate in social life actively and will not have difficulties in executing their rights. Second, we need to provide them with equal opportunities in education and employment so that they can live an independent life. Third, we need to develop family support service for the female handicapped people to help them resolve their difficulties in marital life so that they can maintain the marriage. Fourth, we need to support their social integration by developing customized social rehabilitation according to the life cycle which suits for their social adaptation and integration. Fifth, the gover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need to pay continuous attention to the female handicapped people who have dual difficulties (gender and handicap) and make constant efforts to mitigate their difficulties in life by establishing welfare policies and social welfare programs through continuous studies on them.

      • 가족상담에 관한 목회자들의 인식조사 연구

        하현철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87

        현대사회에서 가족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정도로 우리의 삶에 중요하게 자리잡고 있다. 그 중요성을 인식하는 만큼 문제성도 다양하며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성도들에게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렇기 때문에 목회현장에서 성도들을 상담해야 하는 목회자로서 복잡하고 다변화 하고 있는 가족의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하는 것은 무거운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가족의 중요성을 피력하면서, 1장에서는 연구배경과 목적 그리고 연구방법과 범위와 용어정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2장에서는 가족상담적 배경을 성경에 기초하여 성경 속에서 보여지는 결혼과 가족갈등 그리고 이혼에 관한 문제들을 성경인물을 중심으로 정리해 보았다. 그러면서 성경인물들의 가족상황과 가족상담의 치료적 기법을 적용해 봄으로써 가족상담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성경에서 찾아보았다. 3장에서는 본 논문의 중심 주제인 가족상담에 대한 목회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해 보았다. 가족상담에 대한 전반적인 목회자들의 인식과 전문성에 과한 분석, 그리고 목회현장에서의 가족상담에 대한 자원등에 관하여 분석해 보았다. 또 주요교단별 신학대학원의 상담 및 가족상담에 관한 교과과정도 분석해 봄으로써 신학대학원별로 상담 및 가족상담의 교육의 활성화 및 전문성등을 검토해 보았으며, 신학대학원별 교과과정에 따라 가족상담에 대한 목회자들의 인식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 살펴보면서 다시한번 신학대학원에서의 상담및 가족상담의 교과과정의 확대필요성을 다루었다. 아울러 목회현장에서 필요한 가족상담의 치료적 기법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4장에서는 본 논문의 결론을 요약하면서 나름대로의 제언을 하였다. As the importance of family is being emphasized in current society, pastors and ministers were surveyed on their perception on the need of family counseling. One hundred pastors and ministers were surveyed and the study delved into their in depth understanding of family counseling. Survey questions wer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The first questions were regarding the pastors and ministers general perception on family counseling. The second questions were based on their specific understanding on the importance of family counseling, and finally the third questions investigated the tools or methods in family counseling during actual situations. Through careful research, it can be understood that most of the pastors and ministers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family counseling, yet still lack professional family counseling. This is especially true due to the fact that each divinity school has its own curriculum and the understanding of family counseling varies from school to school that the pastors and ministers have attended. In other words, pastors with exposure to family counseling education during their time in seminary have shown a more positive perception on family counseling than others that have not. Based on this research,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observations. First, as pastors and ministers assume the role of a counselor to many, they should be obligated to possess profession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bout counseling. Second, as all those who have taken the survey have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family counseling, more emphasis and activity must be put on the relevant subject. Third, there must be more opportunities to learn more about family counseling, especially in the divinity school and there is a pressing need to extend relevant counseling subjects. Lastly, if churches have professional counselors other than the pastors and ministers, full cooperation is essential from both parties.

      • 장애인복지관의 대학생 자원봉사자 유지를 위한 관리과정에 관한 연구

        최지욱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장애인복지관에서 자원봉사활동을 유지하는데 관련된 요인들을 밝히고 각 요인들에 따라 지속의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여,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봉사시간이 유지되기 위해 필요한 효과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로 이루어졌으며 380명의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306개이며 80%의 회수율을 보였고, 연구문제를 검정하기 위해 활용된 분석방법은 모든 항목에 빈도분석(Frequency)을 사용하고 자원봉사활동 유지와 독립변인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명목변인간의 교차분석을 X2검증하였다. 연구 분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에 있어서 향후 봉사활동을 지속하고자 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의 자원봉사 활동이 아직은 수동적이고 학점 등의 이기적인 활동으로 시작되는 경우가 많지만 봉사활동 과정을 통해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일반적 특성요인 및 활동상황 요인에서는 성별, 전공, 종교 등에 따른 지속의지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학년에 따라서만 6개월 이상 지속 의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복지관을 봉사활동 장소로 택한 이유는 관련학과 전공자이기 때문이 가장 많았고 장애인에 대한 관심도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참여 동기는 이타적 동기와 이기적 동기의 차이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기적 동기와 이타적 동기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봉사활동이 필요하다 하겠다. 봉사활동 내용요인에서는 내용결정방법의 경우 대학생들 자신의 의견이 반영되는 ‘자신의 희망대로’ 혹은 ‘기관과 협의하여’ 결정하는 경우가 수동적으로 봉사활동 내용을 결정하는 경우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봉사활동 결정과정에서는 대학생들의 적성과 능력, 흥미 등이 고려된 배치가 기관과의 합의 하에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봉사활동 내용에서는 교육적 재활과 사회적 재활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 대상자와 만나는 직접적인 서비스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활동영역의 만족여부에서도 매우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에서는 직원들의 무관심과 지도부족이 가장 높게 나타나 기관 담당자는 자원봉사자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존중하며 인간적인 교류관계를 가져야 할 것이다. 셋째, 봉사활동 교육에 대한 조사에서는 교육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에 대한 만족은 지속의지와도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가장 받고 싶은 교육내용은 ‘현장실습 및 견학’의 비율이 높아 이론적인 부분보다는 경험 및 실습 위주의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자원봉사활동 지도감독의 경우 지지적인 내용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희망하는 지도감독 내용은 ‘봉사활동시 필요한 지식 기술 및 설명’으로 이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차선경(2002)의 연구와는 상반된 것으로 차선경의 연구에서는 정서적인 지원을 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학생들은 실천적인 부분에서 지도감독을 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다섯째,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인정과 보상의 경우 보상 유형에 따라 지속의지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가장 많이 받는 보상유형으로는 담당자의 칭찬과 격려 외에 식사 제공으로 나타났다. 받고 싶은 보상 유형에서는 봉사활동에 대한 의견 반영과, 자원봉사활동 분야 선택, 식사 제공으로 기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보상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여섯째,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평가의 경우 평가를 실시할수록 지속의지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평가의 만족정도와 평가형태, 평가내용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많이 실시되는 평가 형태는 ‘개인별 평가’였으며 평가내용으로는 자원봉사에 대한 의견교환 및 토론으로 정기적으로 지도자 중심의 소규모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조사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제언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경우 각 학생들의 능력과 특성, 흥미와 연령 및 그에 따른 발달단계에 적합한 내용과 방법으로 구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대학생들은 현재 직접 서비스 대상자를 접해보고 개인이나 지역사회문제해결 등에 주체가 되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현재 기관 담당자들만으로는 인력수급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소그룹을 형성하거나 대학생들간의 모임, 세미나 등을 통하여 이들의 만남을 주선하고 이를 계기로 봉사활동 프로그램 영역확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대학생들의 폭넓은 참여와 봉사활동 지속을 유도하기 위하여 봉사활동의 기획·조정은 물론 조직적으로 지원하는 전담기구 설치와 전문인력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대학에서는 대학생들의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전담 부서의 역할과 기능을 강화해야 하며 그에 따른 지원과 관리를 활성화하여 지역사회연계를 통한 교류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지원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find the factors that affect college students' decision on participating in volunteer activities in the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to test how the volunteers' decision is affected by those factors, and to suggest the effective management methodology tha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average hours of college students' volunteer activity. This research paper is based on the questionnaires that were answered by 380 volunteers who were college students. The 306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to show 80% of collection rate. Frequency analysis was used on individual questions, and X2 test was used for verifying the cross-sectional analysis between nominal factors in order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inuing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y and independent variables. The important results of this research paper are as follows: First, 'Continuing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y' showed higher frequency than 'Stop participating in volunteer activity.' The result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student volunteers attitude on volunteer activity initially from passive and only for credit to voluntary and positive by participating in volunteer activity. Second, among general characteristic factors and activity situation factor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intention of Continuing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y was found by sex, major, or religion. Only School year factor caused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intention of Continuing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y for more than 6 months. The major and the high interest of volunteers were the two main reasons for volunteers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y in welfare centers for disabled. Participation due to altruistic motive and egoistic motive showed serious degree of differences,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volunteer activity that can balance the motives. In case of choosing volunteer activity, deciding by oneself or discussing with institution showed higher frequency than passively accepting volunteer activity. The result indicates that, in the process of choosing volunteer activity, it is necessary for institutions to consider preference, ability, and interest of a volunteer and to make an agreement with the volunteer on choosing volunteer activity. Educational rehabilitation and social rehabilitation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mong volunteer activity contents, which indicates that face-to-face activities occur frequently. The satisfaction on face-to-face activities was also very high. In case of selecting not satisfied with volunteer activity, the two most frequent reasons were unconcern of staffs in charge and the absence of guidance.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institutions staffs should consider and respect volunteers opinions, and promote personal relationship with volunteers.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research of volunteer activity education, there was no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satisfaction on education and the attitude to continuing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y, in spite of existence of education program. The most attractive education program was practical training and field trip, which indicates that practical and real-world education is more effective than theoretical education. Forth, knowledge support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volunteer activity supervision part, and the content that mostly wanted was explanation of knowledge and technique required for volunteer activity. The result indicates that college students prefer the supervision in practical parts, which is not in compliance with the research result of Sunkyung Cha (2002) in which emotional support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Fifth, some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methods on volunteer activity caused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 continuing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y. The most frequent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method was praise of a staff in charge, and the second was free meal offers. The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methods that volunteers preferred were reflection of opinion on volunteer activity, right to choose the volunteer activity, and free meal. The result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for institutions to offer more various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method. Sixth, when evaluation is performed on volunteer activity, more college student volunteers showed the attitude to continuing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y and meaningful differences were caused by degree of satisfaction, evaluation methods, and contents of evaluation. As the most frequently used evaluation method and items were individual evaluation and opinion and discussion on volunteer activity, respectively, it is necessary to perform small group evaluation on periodically.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s can be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contents and process of the college students volunteer program based on the college students ability, characteristics, interest, age, and volunteer experience. College students also need the opportunity to meet the disabled directly and to participate in solving the local society problems. Because the supply of current manpower in institutions may not meet the needs of the disabled in welfare centers, in order to fulfill these needs, the volunteer program should be expanded to organize small volunteer groups, periodic meeting of college students, and seminars. Second, in order to induce wide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of college students in volunteer activity, it is required to found an responsible organization that takes whole responsibility of planning and management of volunteer activity and to induce specialized experts who actively involve in the organization. Third, the authorities in colleges should strengthen the capacity of divisions related to college students volunteer activity and support college students volunteer activity so that the interaction with local society can be more consolid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