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암석교재원의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소현숙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학교 조경은 교육적 측면에서 학교 환경교육과 학교 내 체험학습 활동의 장소이며 각종 동식물을 관찰하거나 사육하면서 자연계의 질서와 생태계를 바르게 인식하는 생명 사랑의 기초를 다지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초등학교에서 학교 교재원은 교과교육을 통해 습득된 이론적 지식을 검증하고 직접 체험을 통해 확장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서 화단과 연못, 재배원, 암석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이 독립적으로 기능하기보다 학교 내의 작은 생태계로서 기능할 때 그 교육적 가치가 배가된다고 할 수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6대 핵심 역량을 제시하고 있다. 자기 삶의 주인공으로서 자기 관리 역량을 기르고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종합하여 자신과 공동 문제를 해결하며 융합적인 주제 탐구 활동을 통해 창의적 사고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예술, 체육, 미술 등 조화로운 발달로 공감적 이해를 돕는 한편 주체적인 의사결정과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며 단체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공동체 역량을 갖추는 창의적인 삶의 태도를 기르는 교육활동을 지향하고 있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암석교재원은 주로 과학 교과의 지구과학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사회 교과에서는 암석의 산지를 우리나라의 지형과 지질학적 특징, 주된 산업과 관련지어 살펴보고 있다. 초등학교에서 습득된 기본적 지식과 탐구 학습은 중학교의 지구계와 지권의 변화로 이어지고 고등학교에서는 지구과학Ⅰ,Ⅱ로 연계되어 지식의 깊이와 폭이 넓어지고 있다. 부산시 초등학교에 조성된 암석교재원의 암석표본이나 좌대의 보존 상태는 관찰이나 탐구 활동에 충분히 이용할 수 있을 정도에 미치지 못하였고, 설명표지판에 안내된 암석 이름이나 특징 등은 나뭇잎이나 모래, 흙 등에 묻혀서 그 내용을 식별하기에 불편할 뿐만아니라 초등학생 수준에서 이해할 수 없는 전문 용어가 상당히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암석교재원이 학생들의 접근이 어려운 교사 뒤편이나 주차장 근처에 위치하였거나 높고 낮은 담장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오감을 통해 탐색하기에 매우 불편한 위치와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평균적으로 20~29개의 암석표본이 화단이나 운동장 가장자리 등에 자리 잡고 있고, 화성암과 퇴적암, 변성암 등이 전시되어 주로 과학수업 시간에 선생님과 함께 암석 관찰 등의 교과 활동에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초등학교에 조성된 암석교재원의 위치와 형태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생각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나 암석교재원을 활용한 수업이나 별도의 프로그램을 운영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암석교재원 관리나 운영은 주로 과학교사나 업무 담당자가 맡고 있으나 이것은 교사 본연의 업무인 수업 이외에 또 다른 업무가 가중되는 것이므로 교육청에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일선 학교에 제공하고, 암석교재원 관리는 학교 관리자나 교육청에서 전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이렇게 개발되어 제공되는 프로그램은 교과교육은 물론 창의적 체험활동과 같은 교과 외 교육에도 적극적으로 이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초등학교 암석교재원의 바람직한 모습은 현재와 같이 암석표본이 전시되어 있는 형태를 벗어나야 한다. 학생들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곳에 위치하고, 화석과 지층, 알갱이의 크기, 색깔 등을 관찰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담장이나 철책 등의 장애물이 없어야 하며,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 등이 무리지어 전시됨으로써 오감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체험하고 비교 관찰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12개의 국가 지질공원이 있는 부산의 지질학적 장점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지구의 생성과 변화, 역사를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암석교재원이어야 한다.

      • 학교 교재원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초·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태훈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초․중․고등학교의 교재원 현황과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학교급별 교육과정 내의 교재원 관련 내용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교재원의 규모와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구광역시교육청 관내 초․중․고등학교 내 교재원의 유무, 교재원 보유 현황, 교재원의 구성요소 현황, 교재원의 활용 사례 등을 파악하여, 둘째, 교재원의 운영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과의 관련여부를 분석한 후, 셋째, 교재원 운영의 효과 분석을 위하여 교재원의 조성 면적과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학생, 학부모 만족도 평가 및 학교폭력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넷째, 효과적인 교재원 운영을 위한 교재원의 면적과 구성요소, 적정비율을 산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교육청 관내 429개 초․중․고등학교의 교재원 관련 자료를 전화, 메일, 학교정보공시사이트 및 직접 방문하여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학교 교재원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설립별, 학교급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Scheffe의 다중범위 검정(Scheffe's multiple range test)을 통하여 p<.05에서 유의한 차이를 검정하였고 교재원 활용의 효과성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별 교재원의 보유 면적을 조사한 결과 학교교지대비 교재원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이 초등학교 0.79%, 중학교 0.16%, 고등학교 0.17%로 초등학교가 중․고등학교에 비해 학교교재원 면적 평균 비율이 약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재원의 각 구성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화단, 화분, 밭 등 식물 재배를 위한 공간이 가장 많은 규모를 차지했으며, 동물 사육을 위한 사육장과 수족관, 연못, 기상 및 지질 관찰을 위한 암석원, 백엽상, 기상대의 순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재원 활용 관련 학교급별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가 126개 주제, 중학교 6개 주제, 고등학교 4개 주제가 교재원을 활용한 교육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넷째, 초․중․고등학교의 학급당 교재원 면적과 교원능력개발평가 학생만족도, 학부모만족도, 학교폭력 심의건수와의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 결과 중․고등학교의 경우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초등학교의 경우 학급당 교재원 면적이 많을수록 학생, 학부모 만족도는 높아졌으며 학교폭력 심의건수는 낮아지는 것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별 교재원 면적과 학급당 교재원 면적의 평균을 분석해 본 결과, 학급당 교재원 면적 평균은 초등학교는 6.26㎡, 중학교는 1.23㎡, 고등학교는 1.53㎡으로 나타나, 초등학교는 교육과정 속에 나타난 교재원 관련 주제를 학습하기 위해서 보다 많은 교재원 면적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보이며, 학교급별 학급당 교재원 면적은 평균 면적 이상을 확보해야할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교재원 구성요소별 면적은 초등학교의 경우 식물재배 면적 평균이 54.15㎡, 동물사육 면적 평균이 15.57㎡, 지질․기상 관찰 면적이 5.25㎡로 3개 항목에 대한 비율은 약 7:2:1가 적정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구성요소별로 모두 1곳 이상을 갖추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중·고등학교의 경우 인성적 측면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교재원 운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초등학교의 경우 학급당 교재원 면적은 최소 3.5㎡이상, 최대 8㎡를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해 볼 수 있다. 넷째,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재원 활용 주제 수에 따라 초등학교는 더 많은 교재원 면적을 확보해야하며 중․고등학교의 경우 창의적 체험학습이나 동아리 활동과 연계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섯째, 학교 교재원 체험활동을 통해 올바른 인성 및 정서 함양, 폭력예방, 창의인재 양성과 같이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현재 마련된 교재원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과 미흡한 요소에 대한 보완책이 마련되어야한다. This study was created to develop methods and scal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Gardens based on current and operating status' and having content related to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Daegu Metropolit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irst, the research is about whether or not there is Learning Gardens in the Daegu Metropolit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present conditions and state of existing Learning Gardens and the case application for the gardens. Second, are the Learning Gardens and the educational curriculum, or textbook content, related. Third, does the Learning Gardens effect the Teacher Evaluation for Ability Development and help prevent school violence. Lastly, how to calculate the scale of composition and proportion of the Learning Gardens to be most effective in the schools. The objective and the method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and analyze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and the level of the school through identify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Learning Gardens.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data from 429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urveys conducted by phone, mail, personal visits to the school information posting system site and the schools. The research was performed by the program SPSSWIN 18.0(one-way ANOVA) and it verifi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using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The following are the key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comparing the average area of the Learning Gardens to their school's total area, we see that the elementary school Learning Gardens occupy approximately 0.79% of their school's property, while Learning Gardens at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occupy .0.16% and 0.17% of their school's area.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each composition element of the Learning Gardens presents that the space for the cultivation of plants such as the flower bed, the pots and the field has the largest size. Next is the farm for raising animals, the aquarium, the pond, the rock garden for the weather and geological observation, the instrument shelter and the weather station. Thir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presents that 126 topics in the elementary school, 6 topics in middle school and 4 topics in high school are related to the Learning Gardens. Fourth,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presents that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don't have any meaningful results. The elementary school has a result showing that students satisfaction(r=.461, p<.001)and parents satisfaction(r=.475, p<.001) are high, and school violence(r=-.244, p<.01) is low.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several recommendations could be made: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average size of Learning Gardens for each class is 6.26㎡ in elementary school, 1.23㎡ in middle school and 1.53㎡ in high school. Elementary school Learning Gardens should secure more area based on curriculum related topics and the level of the school. Second, the average area for the cultivation of plants is 54.15㎡, the average space for raising animals is 15.57㎡ and the average space for the weather and geologic observation is 5.25㎡. The proportion of these three items shows that approximately 7:2:1 is an appropriate ratio. Also, preparing more than one area for each compositional elemen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ase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various methods of operations for the Learning Gardens should be prepared by considering the school's needs. Third,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the area of the Learning Gardens with relation to each class could be made from a minimum of 3.5㎡ to a maximum of 8 ㎡. Fourth, the elementary school's curriculum topics using the Learning Gardens should secure more area. The middle and high school Learning Gardens will become more desirable to operate for creative experience learning and club activities. Lastly, methods enhancing the applicability and the supplement policies for the insufficient Learning Gardens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o have positive effects like right personality, cultivation, violence prevention and training for creative people through garden activities.

      • 대전 소재 5개 초등학교 과학 교재원의 활용 실태 사례

        강민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6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 교재원의 실태 및 활용에 관해 조사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 대상으로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5개 초등학교의 3~6학년 선생님 25명과 과학보조교사 5명을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일반학급 교사용 25문항과 과학보조교사용 4문항으로 하였고, 설문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현장 필드 노트를 작성하여 설문 내용과 비교하였으며 교재원을 활용한 교사를 면담하여 자료를 보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교재원 실태 및 관리 상태에 대한 교사 인식 설문 문항에서 교재원의 종류에 대하여 14.3%의 교사들만 정확히 인식하고 있었고, 현장 답사 결과 평균적으로 47%의 학습 자료에만 안내판이 있었다. 그리고 교재원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 불만족이 48%로 이중 종류가 다양하지 않다는 이유가 가장 많았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각 학교 교재원에 있는 교재원 학습 자료가 교육과정에 나오는 것들의 평균 25% 밖에 되지 않는 것과 관련이 있다. 둘째, 교재원 활용 빈도를 묻는 문항에 대하여 최근 1년간 교재원을 활용한 수업을 한 교사는 44%로 그중 80%가 1~2회 실시하였다. 과학 교재원을 활용한 방법은 교사마다 다른 경향을 보였고, 과학 교재원을 활용한 교사들은 교재원 활용이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셋째, 교재원의 개선방안과 관련하여 설문한 문항을 통하여 필요한 학습 자료의 구비, 교재원의 철저한 관리와 예산 확보, 교재원을 활용한 수업 안내 프로그램 마련, 교재원의 면적 확보가 요구된다. 또한 교재원 중에서 수생식물을 관찰할 수 있는 환경과 기상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각각 33%였다.

      • 초등학교 식물 가꾸기 활동을 위한 식물 교재원 조성 모형 개발

        이정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4

        이 연구는 초등학교 식물 가꾸기 활동을 위한 식물 교재원 조성 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조사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 방법으로는 식물 가꾸기 활동과 교재원 조성에 관련된 단행본, 학위 논문, 학술지, 초등학교 전학년 교과서 등을 고찰하고 이를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조사, 분석, 종합하였다. 둘째, 조사 연구 방법으로는 식물 교재원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경인지역의 초등학교, 유관 기관, 지역사회에서 33개 기관을 대상을 선정하여 식물 재배 유형에 대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고 식물 재배 유형을 분석하였다. 셋째, 교과서 식물 분석 및 식물 재배 유형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식물 교재원 열 한가지 모형을 개발하고 하위 모형을 포함한 20개 모형의 교육적 효과와 실현 가능성에 대한 전문가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 방법은 평균, 표준편차, 변량 분석 등이었으며, 통계 검증의 유의수준은 5%로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교과서 132권에 제시된 식물을 학년별로 분석한 결과, 학년별 교과서에 제시된 식물의 빈도와 종류가 일정한 기준이 없이 제시되고 있다. 둘째, 교과별로 식물을 분석한 결과 식물 가꾸기 활동은 과학, 실과, 슬기로운 생활과 많은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식물 가꾸기 활동을 위한 식물 분석 결과 1∼6학년 교과서에 제시된 식물의 종류는 311종으로 원예류와 수목류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식물 재배 유형에 대한 기초 조사 분석 결과 체계적인 식물 분석으로 교과서와 관련된 다양한 식물을 가꿀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하고, 환경 친화적인 면을 고려한 식물 교재원이 조성되도록 하며, 협동학습, 노작 체험학습 등을 할 수 있는 공간과 도구가 갖춰져야 하겠다. 다섯째, 식물 교재원 모형의 타당성 분석 결과 교육적 효과는 평균 3.94점, 실현 가능성은 평균3.44점으로 높게 나타나 개발된 식물 교재원 모형이 학교 여건에 따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모형임이 검증되었다. 여섯째, 식물 교재원 모형의 교육적 효과와 실현 가능성에 대한 교수 집단과 교사 집단 간 비교 분석 결과 두 집단의 각 2개 모형에서 유의한 차를 보였고 그 외의 모형은 유의한 차가 없었다. 일곱째, 식물 교재원 모형의 적용을 위한 교육적 효과와 실현가능성의 관계를 비교 분석한 결과 두 가지 요건을 충족시키는 효율적인 모형은 20개 모형 중 12개 모형으로 분석되어 학교에서 적용시 효과적이면서 실현 가능한 모형으로 분류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초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식물의 빈도와 종의 수가 일정한 기준 없이 제시되고 있어 초등학교 교육에 적합한 식물 및 학년 발달 단계에 맞는 식물의 종류에 대한 기준안을 마련하여 교과서 개발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식물 교재원 모형이 교육적 효과는 높으나 학교의 여건이 충족되지 않아 실현 가능성이 낮은 모형에 대해 실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제반 여건 개선이 요구된다. 셋째, 식물 교재원이 부족한 학교의 학생들이 지역사회의 식물원을 이용한 식물 관련 학습의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역사회 식물원 활용 방안 모색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와 학교의 협력 체재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초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동물을 조사 분석하고 초등학교에 적합한 모형을 제시하여 학교 현장에서 사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동물 교재원 조성 모형 개발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del for school gardens that can be used for elementary school plant caring activities. The study was conducted investigational research in order to accomplish this goal. The method of research in detail is as follows. First of all, as for the method of studying reference books, dissertations, academic papers, and textbooks of all the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at are related to plant caring activities and formation of garden for teaching. Secondly, for the method of investigational research, in order to develop a model of school garden, the study held a basic research of plant growing patterns of 33 organizations, including elementary schools, related organizations, and the community, in the Seoul-Incheon area, and analyzed the pattern of plant growing. Thirdly,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pattern of the plant growing and the plants in the textbooks, the study developed eleven models of garden for teaching, and carried out a verification from a specialist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educational effect and the possibility of actualizing the twenty models, including the models of lower ranking. The statistical method used in this research were means, standard deviation, etc. The statistical significant level ANOVA was set at 5%. The results clarifi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analyzed the plants that appear in 132, first to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ccording to each grad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frequency and kind of plants that appear in the textbooks of each grade were presented without any certain standards.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lants according to each subject, it was found that plant caring activities were closely related to subjects including science, practical arts, and sensible life. Thirdly, when each species of plants for plant caring activities were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311 species of plants that were presented in first to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more weight was place on garden plants and tree plants. Forth, as a result of basic study and analysis of the pattern of plant cultivating, it was found that we need to establish various plant caring plans that are related to textbooks by analyzing the plants systematically. We also need to make sure that garden for teaching that considers the aspect of closeness with environment will be formed, and we need to have space and tools for joint learning and learning through experiencing labor.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model of garden for teaching, the average educational effect and the average possibility of realization appeared high with 3.94 and 3.44, respectively. The developed model of gardening for teaching was verified to be a model that was chosen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school and that can be applied. Sixth, as a result of a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a group of professors and a group of teachers on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garden for teaching and its possibility of actualization,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wo of the models of the two groups. Other model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rough this result, it found that the opinion of the two groups are in accord. Seventh,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ossibility of actualization and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the garden for teaching, it was analyzed that 12 out of 20 models are the effective models that satisfy the two conditions. This broadened the range of choosing the model that can be realized and be effective when applied to school.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the recommendation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frequency and number of kind of plants presented in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re presented with no certain standard. Therefore, a standard plan of plants that are appropriate for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nd type of plants that matches the development level of each grade needs to be prepared in order for it to be used for development of textbooks. Secondly,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model of school garden for teaching is very high. However, it does not satisfy the condition of the schoo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various conditions in order to raise the possibility of actualizing even the models that have lower possibility of realization. Thirdly, the students of the schools that lack plant garden for teaching need to be given the opportunity of receiving education on plants at botanical gardens in the community. For that, establishment of a cooperation system between schools and the self-governing communities is required in order to search a plan of utilizing the botanical gardens in the community. Forth, we need to study and analyze the animals that appear in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present a model that is appropriate for elementary schools. Research also needs to be done for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forming a garden of animals, that can be raised within schools, for teaching.

      • 효율적인 교재원 운영을 위한 연구

        유연정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759

        본 연구는 일선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서 계절의 변화에 따르는 재배 식물의 선정에 어려움 없이 아무 때나 원하는 시기에 적절한 식물을 선정하여 재배함으로서 교재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식물들을 분석하고 각 식물들이 갖는 특징과 의미를 파악하여 일선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서 쉽게 심을 수 있는 교재식물에 대한 특징을 제시하고, 각 식물들의 재배시기를 조사하여 현장 교사가 계절에 맞추어 쉽게 교재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이다. 시골이 아닌 도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학생들은 식물을 관찰하는데 제한이 많다. 가까운 공원이나 학교의 정원, 화단에서 식물을 관찰하지만 그 명칭이나 특징을 알기에 쉽지 않다. 식물은 기르고 가꾸거나 관찰하는 직·간접적인 활동을 통해 공부하여야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학생들이 가장 쉽게 식물을 접할 수 있는 곳은 학교의 정원이나 화단이다. 하지만 현장 교사 또한 교과서에 수록된 식물의 특징과 재배방법, 시기에 대하여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학교 교재원의 종류와 양에 한계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린 교재 식물 중 파종기나 재식시기가 중요한 채소와 화초를 조사하고 채소 전체와 화초 중에서 파종기나 재식시기가 따로 있는 한두해살이 화초와 알뿌리화초를 중심으로 파종기나 재식시기, 수확기, 개화기 및 식물의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채소와 화초로 구분하여 파종기나 재식시기, 개화기나 수확기를 서로 비교하여 교재원에서 가꿀 식물의 선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일람표를 만들었다. 첫째, 본 연구를 위하여 초등학교 1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교과서 134권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채소는 잎줄기채소, 뿌리채소, 열매채소로 분류하였고 화초의 분류는 한 두해살이화초, 여러해살이 화초, 꽃나무, 알뿌리화초, 관엽식물, 선인장과 다육식물, 난과 식물로 분류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린 교재식물 중에서 초등학교 교재원에서 기르기 적합한 식물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채소 전체와 화초 중에서 파종기나 재식시기가 따로 있는 한두해살이 화초와 알뿌리 화초를 중심으로 한 두해살이화초 16종, 알뿌리화초 9종, 잎줄기채소 18종, 뿌리채소 6종, 열매채소 10종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셋째, 교재원에서 기르기 적합한 식물의 특징에 따라 1년을 12달, 그리고 상중하순으로 구별하여 재배시기를 조사하였다. 채소와 화초로 구분하여 파종기나 재식시기, 개화기나 수확기를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화초의 경우는 크게 봄 뿌림 화초와 가을뿌림 화초가 있다. 봄 뿌림화초 19종, 가을뿌림화초 9종의 개화시기를 조사하였고, 채소의 경우 봄에 파종하는 채소, 늦여름에 파종하는 채소, 연중 재배할 수 있는 채소로 나누어 재배시기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봄에 파종하는 채소 9종, 여름에 파종하는 채소 3종, 가을에 파종하는 채소 3종, 연중 재배할 수 있는 채소 6종의 재배시기를 표로 나타내어 교사들이 쉽게 교재원에서 재배할 수 있는 식물의 파종 및 수확 시기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재배시기를 조사한 식물을 바탕으로 교재원에서 연중 재배할 수 있도록 화초 및 채소의 재배시기를 정리하였다. 봄뿌림 화초(나팔꽃, 달맞이꽃, 루드베키아, 매리골드, 맨드라미, 백일홍, 봉선화, 분꽃, 샐비어, 채송화, 천일홍, 코스모스, 팬지, 해바라기, 글라디올러스, 달리아, 칸나, 데이지, 피튜니아)를 심고 여름, 가을에 아름다운 화초의 모습을 감상한 후 가을뿌림화초(팬지, 데이지, 피튜니아, 히아신스, 백합, 상사화, 수선화, 참나리, 튤립)을 파종하면 연중 교재원에 아름다운 화초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채소는 감자, 깻잎, 브로콜리, 우엉, 강낭콩, 고추, 호박 ,당근을 봄에 심고 여름에 수확한 후 배추, 양파, 무를 늦여름에 파종하여 초겨울에 수확한다면 사계절 연중 교재원 및 학교 텃밭에서 신선한 채소를 재배할 수 있다.

      • 인근 교재원의 식물을 활용한 환경놀이 수업 효과

        임은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94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속한 지역의 인근 교재원을 활용한 초등학교 환경놀이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 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슬기로운생활, 과학, 실과 교과서에 나타난 식물관련 내용을 분석한다. 둘째, 교과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식물활용 환경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셋째, 개발한 식물활용 환경놀이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다. 이 연구를 수행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 7차 초등학교 슬기로운 생활, 과학, 실과 교과서에 나타난 식물관련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이 세 교과에 제시된 식물관련 내용은 총 95차시이다. 식물관련 내용은 세 교과 모두에 골고루 걸쳐 분포하고 있으며 1~6학년에 걸쳐 분산되어 다뤄지고 있었다. 그러나 세 교과의 식물관련 내용은 환경교육과의 연관성이 부족하고, 교과별로 중복되기도 한다. 또한 과학에서는 자연에 대한 탐구를 통한 과학 기본 개념의 이해나 생태적 지식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실과에서는 재배 및 자원 관리 활동에 편중되어 있다. 교과서에서 환경교육적 측면에서 다루어지는 식물관련 내용은 대부분 나무와 숲을 보전하기나 식물을 아끼고 사랑하기와 같은 태도에 관한 내용으로 이러한 내용도 세 교과에 걸쳐 반복적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인근 교재원의 식물을 활용한 환경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교과서에서 다루어 주지 못하는 식물관련 내용을 보완하여 Hungerford(2002)의 환경교육의 각 목적 수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활동 내용과 놀이를 구성하였으며 식물을 직접 만지고, 느끼며 체험하는 환경놀이 활동을 통해 주변 식물에 관심을 갖고 더 나아가 환경의 소중함과 환경감수성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셋째, 개발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총 6차시에 걸쳐 수업을 실시한 결과, 수업 실시 후 실험집단의 점수가 수업 실시 전보다 생태적 지식, 환경감수성, 환경태도, 환경관심, 책임있는 환경행동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환경놀이 프로그램 적용 후 환경목적 수준Ⅰ, 환경목적 수준Ⅱ, 환경목적 수준 Ⅳ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의 효과를 검증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개발된 식물활용 환경놀이 프로그램은 다양한 환경놀이 활동을 통해 환경과 관련된 지식뿐만 아니라 환경감수성, 환경태도, 환경관심 등 환경에 대한 균형적인 가치관과 태도를 발달시키는 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놀이와 관련된 수업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증진시키고, 아동들의 수업 참여도와 만족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이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지역의 다양한 환경을 활용한 지역 환경교육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현재 대부분의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이론 중심의 지식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지역과 연계한 다양한 환경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지역 환경교육센터를 중심으로 한 인터넷 기반의 DB구축 및 정보, 자료의 공유와 교환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식물을 활용한 환경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4학년을 대상으로 그 효과를 검증하였으나 전체 각 학년에서 좀 더 다양한 주제를 다룬 환경놀이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환경소양 변인 중 생태적 지식, 환경감수성, 환경태도, 환경관심, 환경기능, 책임있는 환경행동의 변인으로 수업 효과를 검증하였으나 이 연구에 포함되지 않은 변인들을 함께 고려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