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분야 국제개발협력 전문가 역량모형 개발

        이승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mpetency clusters, competency elements and competency indicators which are required for the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experts in order for them to play their role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or achieving this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elements are the competencies required from an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expert composed of? (2) What i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competencies that is required from an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expert? This study wa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a mainly three-stage procedure: collecting the competency model-related data and then drawing up a draft based on that collected data; validating the contents of the competency model and evaluating the importance of the competency items; and finally determining the actual competency model. The first stage, ‘Drafting of the Competency Model Stage’ aims at development of a theoretical competency model for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experts. In this stage, the researcher reviewed previous studies to define concepts of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experts’ competencies. As a result, the competency model structure was devised and the model’s components were conceptualized. The draft competency model consists of 3 competency clusters, a total of 9 competency elements and 41 competency indicators. In the second stage, ‘Validation of Competency Model Contents’, the researcher validated the contents of the theoretical model for an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expert’s competencies through a panel of 17 experts, thereby temporarily determining the competency items for an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expert. For this stage the researcher verified the degrees of validity on the respective definitions of the model structure and the model components using questionnaires in a three-round Delphi survey. In addition to comprehensive redefinition of the competency structure and its components, experts’ opinions were also collected and reflected in the process of elaborating the competency model. In conjunction to this, each component of the competency model was evaluated in order to verify relative importance between the competency items. In the third stage, ‘Finalizing the Competency Model’, the researcher has reviewed and finalized the competency model as developed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By means of the three stages mentioned above, this study has completed the formation of a competency model for an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expert composed of 3 competency clusters, 10 competency elements and 44 competency indicators, thereby presenting insights on relevant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의 교육협력 실태와 인식분석

        김종오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정부의 지방자치, 지방분권에 대한 개헌 논의, 누리과정 등 교육복지 수요의 급증, 마을교육공동체 확대 등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 간 교육협력이 중시되고 있다. 현행 교육행정과 일반행정이 분리된 상황에서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의 원활한 교육협력은 교육과 지역발전 나아가 미래 국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기제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으로 지방교육자치, 일반자치와 교육자치의 관계,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의 연계협력 등을 조사하고 광주광역시교육행정협의회 등 교육협력 업무에 대한 실태조사 및 광주광역시교육청, 광주광역시 교육협력 업무담당자 심층면담을 하여 바람직한 교육협력방안을 모색하였다. 교육협력 제도인 교육행정협의회, 지역교육행정협의회, 교육협력관 등 기구의 실태와 교육협력사업 등 기능적 실태, 각급학교 교육경비보조금 등 재정적 실태조사와 교육협력에 대한 인식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면담조사 결과, 교육협력 제도 운영이 원활한 교육협력관계에 일정 기여한 긍정적 측면이 있지만 관행적이고 형식적인 운영을 벗어나 활성화되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그리고 그 주원인이 교육청은 지방자치단체에, 지방자치단체는 교육청에 있다는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 간 교육협력에 대한 선행 연구와 광주광역시교육청의 실태조사 및 면담분석 결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교육협력에 대한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의 인식과 마인드의 전환을 위한 소통과 연수, 주기적인 교류 등이 요구된다. 특히 시와 자치구에서는 그간 수동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미래 주역들을 함께 키운다는 자세로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원활한 교육협력을 위한 제도 개선으로 교육행정협의회와 지역교육행정협의회의 경우 운영실적과 시․도 평가를 연계하는 방안의 도입과 교육협력관 제도의 활성화가 시급하며 교육협력관 직제를 부교육감 직속으로 상향조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마을과 학교의 바람직한 교육협력 모델 창출을 위해 학교시설복합화 정책의 확대와 마을교육행정협의회와 연계하여 마을교육공동체 사업 활성화가 필요하다. 넷째, 지방자치단체 법정이전수입은 징수단계에서 교육금고로 이체하도록 관련 법 정비를 제안하고 지방자치단체 비법정이전수입과 교육경비보조금이 확대될 수 있도록 무엇보다 기관장과 직원들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기관장 교차 강의, 워크숍 등 지속적인 교류와 소통이 필요하다.

      • 캄보디아 교육개발협력을 위한 토대 연구 : 고등교육에서의 ICT 활용을 중심으로

        이민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캄보디아의 고등교육에서의 ICT 활용 현황 및 사례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과 전략 방안에 대해 교육개발협력 차원에서 논의한다. 최근 캄보디아 정부는 급격한 임금 상승과 질 낮은 노동력에 의한 국제노동시장의 캄보디아 경쟁력 약화를 우려하여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일환으로 고등교육발전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1975~1979년 크메르 루즈 집권 시절 완전히 파괴된 캄보디아 고등교육 시스템 및 기관은 MDGs를 거치며 양적 성장은 이루었으나, 급격한 팽창을 감당하지 못해 질적인 측면은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는 캄보디아 고등교육의 실태가 결국 개발도상국 교육이 가지고 있는 전형적인 문제점이라고 판단하며, ICT를 가장 효율적인 문제 해결 수단으로 인식한다. 교육 ICT 활용에 앞서 캄보디아 고등교육 시스템 및 고등교육기관 현황에 대해 조사하고, 캄보디아 전반에 걸친 ICT 활용 수준과 현황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교육개발협력 차원에서 캄보디아 고등교육에 대해 어떠한 지원이 이루어져왔는지 스위스와 한국의 개발협력 사례를 언급한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인 국제사회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캄보디아 고등교육에서의 ICT 활용에 장벽이 되는 요소들을 다차원적으로 분류하고, 이에 대응하는 전략을 캄보디아 정부와 교육개발협력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cases of ICT utilization in Cambodia's higher education. Furthermore, it discusses the consequential problems and strategic measures based on the terms of the Educ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EDC). Recently, the Royal Government of Cambodia (RGC) has begun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as part of its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olicy. This is due to having concerns about the weakening of Cambodia's competitiveness in the international labor market in view of the sharp rise in wages and low-quality labor. The higher education system and institutions in Cambodia were completely destroyed during the Khmer Rouge from 1975 to 1979. Ergo achieving quantitative growth through MDGs, but the quality of education remains low because the RGC could not afford to handle the rapid expansion. The data from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condition of higher education in Cambodia, like other developing countries, has typical problems in education. In addition, it recognizes ICT as the most efficient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Prior to discussing the use of educational ICT, the study will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higher education system an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EIs). It will also analyze the level and current status of ICT utilization throughout the country. This moreover refers to some cases of development cooperation by Switzerland and Korea on what support has been made for higher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EDC. Lastly, the study classifies the multi-dimensional barriers for the use of ICT in higher education in Cambodia, this is despite the ongoing global support. The suggestion is that some strategies are to be divided into two parties: the RGC and the EDC.

      • 한국의 개발도상국 직업교육 개발협력사업 교육성과 영향요인 분석 : 한국국제협력단 지원 방글라데시 직업교육 개발협력사업을 중심으로

        강민종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 문 초 록 한국의 개발도상국 직업교육 개발협력사업 교육성과 영향요인 분석 : 한국국제협력단 지원 방글라데시 직업교육 개발협력사업을 중심으로 강 민 종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행정전공 주제어 : 국제개발협력, 직업훈련, 방글라데시, 교육성과, 한국국제협력단 오늘날 가속화 되어가는 세계화와 이로 인한 상호연계성 및 상호의존의 심화는 국가와 지역적 경계를 초월하는 전 지구적 과제로서의 빈곤과 개발에 대한 인식의 개선으로 이어졌다. 산업화를 원하는 많은 개발도상국의 경우 과거 우리가 성공적으로 추진한 경험이 있는 산업화 지향의 직업교육 및 전문기술 교육지원에 대한 개발협력사업 지원 요청이 있으며, 직업교육분야는 우리나라가 개발도상국을 지원하는 데 있어서 지원 효과를 크게 제고할 수 있는 분야이다. 특히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직업교육 개발협력 사업은 개발도상국의 국가발전에 필요한 인력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직업교육기관 설립 및 역량강화 사업을 지원하고 우리나라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며 개발도상국과의 우호협력 관계를 구축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방글라데시에서 진행된 직업교육 개발협력사업을 대상으로 개발협력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을 시도하고자 한자. 개발협력 활동에만 중점을 두었던 기존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지원사업에 따른 교육성과와 문제점을 고찰함으로써 한국이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정책과 제도를 갖춘 공여국으로 거듭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한국의 무상원조 수행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에서 진행하고 있는 개발도상국 개발협력 사업의 계획, 진행, 사후관리에 있어 국제적 개발협력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직업교육 개발협력 사업 정책에 대한 방향을 수립하는데 연구 결과가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TVE-Based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 -Focused on KOICA’s TVE-Based Development Project[s] in Bangladesh- Kang, Min-Jong Department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Key Word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Technical & Vocational Education (TVE), Bangladesh, Educational Outcome, KOICA This essay deals with TVE-based development project[s] provided by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particularly looking at the outcome of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VET) in Bangladesh as a case-study.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has been accelerating and the interdependence between countries has been deepened, whilst making the issues of poverty reduction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work on globally. Many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Bangladesh, have seen Korea’s success story of economic and industrial development with close eye keeping on the development of TVET sectors and have requested the assistance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and profess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ectors. Taking this in consideration, this essay will look at the way and the extent in which the KOICA’s ODA has enhanced the pace and the outcome of the development project especially in the field of TVE-based projects. More particularly, the essay will deal with the case of TVET in Bangladesh for elucidating and/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KOICA’s systematic development policy and approach ahead by looking at the educational outcome and problems in previous TVE-based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 학교협동조합을 통한 학생 창업동아리와 지역자원의 교육협력 사례 연구

        고낙원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지역문제 해결을 위해 창업동아리 학생들과 지역민이 학교협동조합을 형성하는 과정, 교육협력의 주체가 학교 단위에서 지역 단위로 옮겨가는 과정을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교육 협력 경험이 학생과 지역민의 학교와 지역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동아리가 학교협동조합을 통해 탄광테마카페를 창업한 계기 및 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창업동아리와 지역자원의 협력을 통한 탄광테마카페 운영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셋째,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창업동아리, 지역민, 청년몰의 협력이 학교와 지역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 이 연구는 S고등학교 학교협동조합 설립과 지역 청년몰 내 탄광테마카페 창업·운영 과정에 참여한 교사 1명, 학생 1명, 지역 주민1명, 청년몰 단장 1명을 연구의 대상자로 삼아 면담을 진행하고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고등학교 창업동아리와 학교협동조합의 설립계기는 지역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현실화하는 것이었다. 지역문제 해결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탄광테마카페’를 제안하였고 제안 현실화를 위해 김철 교사, 송민식 학생 중심의 학생 창업동아리를 창설하였다. 창업동아리는 창업 공모전을 통해 설립자본을 확보하였다. 이후 상업활동과 교육활동을 병행할 수 있는 지속성 있는 점포 유지를 위해 지역민인 장소영 대표가 합류하였으며 학교협동조합을 설립하였다. 이 과정에서 조합 설립의 복잡한 절차, 창업 가능한 지역 장소 물색의 어려움을 겪었다. 김정미 청년몰 단장은 학생들이 제안한 아이디어로 만든 카페가 입점하면 청년몰 홍보에 득이 된다고 보았기 때문에 창업관련 교육 및 창업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입점 조건을 제시하였고 학교협동조합은 이를 수락하며 지역 청년몰 내에 탄광테마카페를 창업하게 된다. 둘째, 학교협동조합을 통한 탄광테마카페는 학교 내부가 아닌 지역사회에 안착하여 경제성을 창출하고 지속적으로 교육사업을 유지, 확대하는 것을 목적으로 운영되었다. 탄광테마카페는 감동을 주는 연탄라는 뜻을 담은 상호명으로 운영을 시작하였다. 학교 내가 아닌 지역시설에서 운영되는 카페였기에 사업의 중심이 학교에서 지역민인 장대표에게 옮겨가게 되었다. 김교사는 사업 지속성을 위해서는 지역민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협력의 주도권이 학교에서 지역민으로 옮겨가는 과정에서 큰 갈등이 생기지 않았다. 교육사업 역시 점차 장대표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탄광테마카페는 사업의 수익 일부를 학생 진로교육, 지역사회 연계교육, 교육기부등에 활용하였으며 장대표는 교육사업의 범위를 지역 단위로 넓혀갔다. 탄광테마카페는 S읍 청년몰의 핵점포가 되어 청년몰 홍보 및 소비인구 유입의 큰 역할을 하였으며 이로 인해 S읍 청년몰 역시 언론으로부터 성공 사례로 평가받게 되었다. 탄광테마카페는 운영 과정 중에 카페 테마 아이디어 도용으로 인한 타 점포나 지역 기업과의 갈등이 있었으며 교육사업의 지속성에 있어서 학교협동조합이 적합한지에 대한 고민도 생겨났다. 장대표는 지역 기업과의 갈등 해결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 하였으며 학교협동조합을 넘어 교육사업이 가능한 지역중심 사회적협동조합 설립을 추진하였다. 셋째, 창업동아리와 지역자원의 협력을 통한 카페 창업 경험은 학교와 지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지역 학생들은 자신들의 생각이 지역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되었으며 지역 학교들이 진로탐색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실천적 지식의 가치를 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창업동아리 학생들은 학교를 의미있는 진로 탐색교육이 가능한 학생주도적 공간으로 바라보게 되는 인식의 변화를 겪었다. S읍 청년몰은 청소년 장학센터와 업무협약을 맺고 청년상인을 통해 진로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장대표를 포함한 여러 청년상인이 지역교육지원청에 마을선생님으로 등록되었다. 카페 운영과 교육사업을 주도한 장대표는 점차 마을교육활동가로 성장하였으며 이는 교육협력 경험이 농산어촌 지역에서 우수한 마을교육활동가를 양성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탄광테마카페의 지속적인 교육기부는 지역사회에 교육기부의 필요성을 환기시켰으며 지역민들이 지역을 떠난 청년들이 지역으로 돌아오게 하는 방법을 고심하도록 만들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 세 가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째, 지역에 대한 분석과 협력 참여 주체의 가치공유는 성공적인 지역-학교 협력의 기반이 되었다. 둘째, 지역-학교 협력이나 학교협동조합 운영 과정의 지속성을 위해 주도권이 지역민에게 점차적으로 이양되야 함을 인정해야 주체간의 갈등을 예방하고 운영의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셋째, 협력 지속성을 위해서는 지역민의 경제성 보장이 필수적이며 교육협력을 통한 경제성 보장의 사례를 지역사회와 지역민이 접하였을 때 학교와 협력하고자 하는 지역자원의 수가 늘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관 주도의 지역-학교 협력 프로그램 계획 탈피 및 교육정책, 지역경제활성화 정책을 포함한 지역분석 선행, 지역-학교 협력의 활성화를 위한 관련 절차 간소화 및 행정적 지원, 지역-학교 협력에 있어서 지역민의 경제성 보장 고려를 제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지역-학교의 교육협력 경험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협력의 주도권이 학교 중심에서 지역 중심으로 옮겨가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교육협력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 사례를 살펴보고 학교와 지역의 교육협력을 활성화할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실제적이고 지속적인 교육협력 방안과 교육제도와 지역 활성화 제도의 상생적 운영을 고민해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o solve regional problem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ocess of forming a school cooperative between students of start-up clubs and local resources, and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subject of educational cooperation from the school level to the regional level.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experience of educational cooperation has affected the perception of students and locals about schools and regions and to draw implication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ason and process of the start-up club establishing a coal mine theme cafe through a school cooperative? Second, how does the coal mine theme cafe operate through cooperation between start-up clubs and local resources? Third, what are the effects of cooperation between start-up clubs, local residents, and youth malls to solve local problems on schools and regions? This study conducted and analyzed interviews with one teacher, one student, one local resident, and one youth mall leader who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School Cooperative and the start-up and operation of a coal mine theme cafe in the local youth mall.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the S High School start-up club and school cooperative was to realize solutions to local problems. Through the local problem-solving project class, students proposed a ‘coal theme cafe’ and created a start-up club. The start-up club later established a school cooperative with the joining of local representative CEO Jang. Kim, head of the Youth Mall, suggested conditions to reduce start-up-related education and start-up-related costs because she believed that entering a cafe made with ideas suggested by students would benefit from promoting the youth mall, and the school cooperative accepted this and started a coal mine theme cafe in the local youth mall. Second, the coal mine theme cafe through the school cooperative was operated with the aim of creating economic feasibility and continuing to maintain and expand educational projects by settling in the community, not inside the school. coal mine theme cafe started operation under in Youth mall.. Since it was a cafe operated by local facilities, not within the school, the center of the project shifted from the school to the local representative Jang. The education project was also gradually centered on CEO Jang. coal mine theme cafe adhered to the operation method of using some of the profits of the project for student career education, community-linked education, and educational donation, and CEO Jang expanded the scope of education projects to a regional level. coal mine theme cafe key tenant of the Youth Mall and played a major role in promoting the youth mall and introducing the consumer population, and the Youth Mall was also evaluated as a successful case by the media. Third, the experience of starting a cafe through cooperation between start-up clubs and local resourc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chools and regions. Local students became confident that their thoughts could change the community, and it became an opportunity for local school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and the value of practical knowledge. Youth Mall has signed a business agreement with the Youth Scholarship Center to provide career education through youth merchants. CEO Jang gradually grew into a village education activist, showing that his experience in educational cooperation can be a way to cultivate excellent village education activists in rural areas. Based on this, the following three things were discussed. First, the analysis of the region and the value sharing of the participants in the cooperation became the basis for successful regional-school cooperation. Second, it wa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initiative should be gradually transferred to local residents for regional-school cooperation or continuity of the school cooperative operation process to prevent conflicts between subjects and secure continuity of opera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local resources that wanted to cooperate with the school increased when the local community and local residents encountered cases of economic security through educational cooper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suggested to consider breaking away from the government-led regional-school cooperation program plan and educational policies, regional analysis, including regional economic revitalization policies, simplification of related procedures and administrative support to revitalize regional-school cooperation, and guarantee economic feasibility of local residents in regional-school cooperation.

      • 지역교육협력사업의 운영 성과 분석 : 강원 행복교육지구 사업을 중심으로

        유종훈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에서 운영하는 지역교육협력사업 중 행복교육지구를 중심으로 사업 운영 성과를 분석하여 강원 지역교육협력사업의 운영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행복교육지구는 2015년부터 강원 지역 혁신 학교의 확장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다른 지역의 혁신교육지구를 벤치마킹하여 도입되었다. 행복교육지구는 아동과 청소년의 전인적 성장을 위하여 온마을 돌봄 배움터를 제공하고,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 학교와 지역사회가 유기적으로 소통하는 협력체계를 구축하며, 학교와 마을을 넘나들면서 함께 성장하는 교육생태계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강원특별자치도 지역교육협력사업의 변화 양상과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강원특별자치도 지역교육협력사업의 성과와 한계는 무엇인가? 셋째, 강원특별자치도 지역교육협력사업의 운영 방향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프로그램 논리 모형과 CIPP 평가 모형의 요소를 결합하여 ‘CIPP 기반 논리 모형’을 설정하였다. ‘CIPP 기반 논리 모형’은 상황, 투입, 활동, 산출, 결과 단계로 구분하였다. 상황 단계에서는 사업 수혜자의 특성과 요구들을 분석하였다. 투입 단계에서는 사업에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이나 서비스와 같은 투입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활동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나오는 행동들을 살펴보았다. 산출 단계에서는 사업을 통해 직접 얻은 결과를 측정하고 해석하였다. 결과 단계에서는 사업의 효과를 요인 간의 관계에서 간접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한 자료로 먼저, 변화 양상과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의 마을교육공동체 운영 계획서와 10개 지역의 2~4개년 간 행복교육지구 운영 계획서, 자체 평가 보고서를 분석하였다. 행복교육지구 운영 계획서는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주제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행복교육지구 사업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분류하였다. 또한 2022년 기준 행복교육지구 4년차 운영 지역을 대상으로 벌인 교육공동체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ANOVA), 단순 회귀분석과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유 서술형 응답은 단어 단위로 나눈 후 이원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행복교육지구 사업 초기에는 사업의 목적과 방향과 무관하거나, 교육지원청 고유 업무를 프로그램으로 구성하기도 하였다. 그러다 사업이 정착되고, 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가 나타나며 지역 밖의 활동을 지역 안에서 하는 활동으로 전환하고, 프로젝트 수업,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동들이 지역과 융합하는 양상을 보였다. 행복교육지구는 기관 중심으로 추진이 되어, 기관 중심의 하향식 정책 집행 양상을 보였다. 이런 까닭으로 지역 주민에게 행복교육지구 사업의 목적, 철학이 제대로 공유되지 못하는 문제를 보였다. 또한, 인적, 물적 자원이 취약하여 지역 주민의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어려운 특징이 있다. 행복교육지구의 운영 성과를 분석한 결과 첫째, 상황 및 투입 단계에 나타난 요소로는, 교육공동체는 도전 정신과 자기 주도성 역량을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데 필요한 역량이라고 생각하였다. 우리 마을에 만들어지기를 바라는 프로그램으로는 학생은 ‘체육·문화·예술 활동’을, 다른 구성원들은 ‘친구와 잘 지내기, 바른 인성 갖기 활동’을 원하였다. 자율 서술형 응답에서는 문화예술과 수업을 융합하고, 마을 환경과 관련한 낱말들이 군집을 이루었다. 프로그램의 운영은 일과 시간에 학교 안에서 하기를 선호하였다. 행복교육지구 운영 계획을 분석하여 토픽모델링 기법을 활용해 4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주제는 ‘문화예술과 진로 교육으로 청소년 역량 강화’, ‘청소년·교사 동아리 활동 운영’, ‘수업과 연계된 다양한 지역(마을) 학습’, ‘돌봄과 연계된 공동체 협력’이다. 둘째, 활동 단계의 성과를 분석한 결과 행복교육지구 프로그램은 ‘수업과 연계된 다양한 지역(마을)학습’ 형태의 프로그램이 많았으며, ‘돌봄과 연계된 공동체 협력’ 형태의 프로그램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교육지구 사업 이해에 대해서는 학부모가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을 보였으나, 교원, C지역, 읍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인식을 보였다. 지역 교육이 얼마나 특화되었는지 생각하는 정도는 교원과 50대 이상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반족하였다. 교육공동체 간 소통 정도는 학부모는 상대적으로 잘 안된다고 생각하였고, 거주기간이 1년 미만인 사람은 상대적으로 잘 된다고 생각하였다. 셋째, 산출 단계 성과 분석 결과 참여했던 프로그램, 앞으로 계속 운영하기를 희망하는 프로그램 모두 ‘수업과 연계된 다양한 지역(마을) 학습’이 제일 높았다. E군의 경우 ‘돌봄과 연계된 공동체 협력’과 관련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비율보다 1순위로 계속 운영되기를 희망한 비율이 약 5배가량 높게 나왔다. 교원, 50대 이상, C지역, 1년 미만 거주한 사람은 학교 교육과정과 행복교육지구 프로그램이 연계가 잘 된다고 생각하였다. 행복교육지구 사업 전반에 대하여는 교원, 50대 이상, A, C, E지역, 거주기간이 1년 미만인 사람이 상대적으로 더 만족하였다. 넷째, 결과 단계의 성과를 분석한 결과 ‘청소년·교사 동아리 활동’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운영을 희망하는 사람, ‘지역사회 이해 및 주인의식’이 중요한 가치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전반적으로 행복교육지구 사업에 대하여 더 만족하였다. 사업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독립변인들은 약 72.7%의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그 중 ‘교육자원’ 영역이 전체 사업 효과에 42.8%의 설명력을 보여주어 사업 효과에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이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희망하는 프로그램 예산이 전체 사업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교육자원’과 ‘사업 효과’의 관계에서 정적으로 조절하는 효과를 보였고, ‘학생 전출입 비율’은 ‘지역 특화’와 ‘사업 효과’의 관계에서 정적으로 조절하는 효과를 보였다. 마을 발전을 위한 건의로 ‘학교 교육과정과 마을 교육 활동 간의 연계성 강화’가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다. 자유 서술식 응답으로는 다양한 체험과 수업을 진행하는 그룹, 문화 시설을 이용과 관련한 그룹, 학교와 연계하여 참여하고 홍보를 바라는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강원 지역교육협력사업의 운영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강원특별자치도의 특례를 활용한 지역교육협력사업 관련 법률의 제정, 교육 경비 보조금을 활용한 사업 운영, 학교 기반 및 평생교육 기반의 마을교육공동체 형성, 정책 집행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지역교육협력사업의 지속성과 안정성을 보장하여야 한다. 둘째, 읍·면·동 단위 지역공동체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읍·면·동 행정복지센터가 중심이 되고, 시·군청은 지역 교육브랜드를 큰 틀에서 기획하고, 교육지원청과 협의하여 프로그램 운영 방향을 구상하는 역할을 하여야 한다. 이를 지원하는 중간 지원조직은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 전문관제도를 활용해 TF제 또는 부서제로 확장한 다음, 지역교육협력센터로 분리해 민간으로 이양하는 단계를 점진적으로 거쳐서 운영할 수 있다. 지역교육협력사업은 지역의 교육브랜드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지역의 마을 선생님과 공공·문화체육시설과 같은 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를 위한 교육과정 지원단을 구성하고, 지역의 수요가 높은 돌봄 활동을 중심으로 돌봄공동체를 조성하고 지원하는 사업을 하여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와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이 논문은 강원 지역의 지역교육협력사업 중 행복교육지구 사업을 중심으로 성과를 분석하였기 때문에 다른 지역교육협력사업 또는 행복교육지구와 유사한 사업에 적용이 어려울 수 있다. 성과를 분석하는 단계에서 사회적, 맥락적 접근을 시도하고 결과 단계의 분석을 하였으나 간접적인 접근에 그쳤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피기 위한 질적 연구나 결과 단계를 확인하기 위한 미시적 접근의 분석 방법을 더 탐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Gangwon regional education cooperation projects by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ject, focusing on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among the regional education cooperation projects operated by Gangwon State Office of Education. Since 2015,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Project has been introduced by benchmarking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s’ in other regions in the process of seeking to expand ‘Innovative Schools’ in Gangwon State.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is a project to provide a whole village care learning center for the holistic grow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in which the education office, local governments, schools and communities communicate organically, and create an educational ecosystem that grows together across schools and villages. The research question was set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region educational cooperation projects in Gangwon State? Second, what are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Gangwon State regional education cooperation project? Third, what is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education cooperation project in Gangwon State? To analyze and solve research problems, first, a 'CIPP-based logical model' was established by combining the elements of the program logic model and the CIPP evaluation model to analyze performance. The 'CIPP-based logical model'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steps: situation, inputs, activities, outputs, and outcomes. The situation stag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project beneficiaries. In the input stage, input factors such as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r services required for the project were analyzed. The activity stage looked at the actions that emerged during the program. In the output stage, the results obtained directly through the project were measured and interpreted. In the outcome stage, the effect of the project was analyzed indirect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s data for this study, first, the Gangwon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fice of Education's village education community operation plan,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operation plan for two to four years in 10 regions, and self-evaluation report were analyzed to analyze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operation plan derives topics using topic modeling techniques and classifies programs operated by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project based on this. 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t-test and ANOVA,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interaction effect using a survey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conducted in the fourth year of the Happy Education District as of 2022. Open-ended responses were divided into words and analyzed using binary network analysis. At the beginning of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project, regardless of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the project, the unique task of the Office of Education was organized as a program. Then, as the project was settled and the COVID-19 virus outbreak appeared, activities outside the region were converted into activities within the region, and project classes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were fused with the region.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was promoted centered on institutions, showing a top-down policy execution pattern centered on institutions. For this reason, the purpose and philosophy of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project were not properly shared with local residents.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operate programs that meet the needs of local residents due to weak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first, as a factor that appeared in the situation and input stage, the educational community considered the spirit of challenge and self-direction competency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As a program that we want to be created in our village, students wanted to "sports, culture, and art activities," while other members wanted to "get along with friends and have the right personality." As an open-ended responses, culture and arts and classes were fused, and words related to the village environment formed a cluster. They preferred to run this program in school during work hours. Four topics were derived using topic modeling techniques by analyzing the operation plan of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The topics were "Strengthening youth competency through culture and arts and career education," "Operating youth and teacher club activities," "Learning various regions (villages) linked to classes," and "Community cooperation linked to car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the activity stage,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program had many programs in the form of ""Learning various regions (villages) linked to classes," and the least in the form of "Community cooperation linked to care." Parents showed relatively low awareness of understanding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project, but relatively high awareness in teachers, C area, and ‘eup(town)’ area. The degree of thinking about how specialized local education was relatively high among teachers and those in their 50s or older. Parents thought that the degree of communication between educational communities was relatively poor, and those with a residence period of less than one year thought it was relatively good. Third, as a result of the performance analysis at the output stage, 'learning various regions (villages) linked to classes' was the highest in all programs that participated in and programs that hoped to continue operating in the future. In the case of E area, the percentage of people who wished to continue operating as the first priority was about five times higher than the percentage of participating in programs related to "Community cooperation linked to care." Teachers, those in their 50s or older, C area, and those who lived in less than a year thought that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program were well linked. Regarding the overall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project, teachers, those in their 50s or older, A, C, E areas, and those with a residence period of less than one year were relatively more satisfied. Fourth, as a result of the outcome stage performance analysis, those who wished to run programs related to "Youth and teacher club activities" and those who thought "Community understanding and ownership" were important values were generally more satisfied with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projec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ject effectiveness, the independent variables showed about 72.7% explanatory power. Among them, 'educational resource' showed 42.8% of the overall project effectiveness, indicating that local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had a large impact on the project effectiveness.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the desired program budget to the total project budget" showed a static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resources" and "project effect," while "the ratio of student transfer" showed a static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specialization" and "project effect." As a suggestion for village development, 'strengthening the link between school curriculum and village educational activities' showed the highest response. Open-ended responses could be divided into groups that conduct various experiences and classes, groups related to the use of cultural facilities, and groups that participate and promote in connection with school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Gangwon Regional Education Cooperation Project is as follows. First, the continuity and stability of local education cooperation projects should be guaranteed through the enactment of laws related to local education cooperation projects using special cases of Gangwon State, the operation of projects using subsidies for education expenses, the formation of a school-based and lifelong education-based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an integrated approach to policy enforcement. Secon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local community at the ‘eup/myeon/dong’(town) level, the ‘eup/myeon/dong’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should be at the center, and the ‘city/gun(county)’ offices should plan local educational brands in a large framework and consult with the Education Support Office to devise the direction of program operation.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can expand to the TF system or department system by utilizing the specialist officer system centered on local governments, and then gradually transfer them to the private sector by separating them to local education cooperation centers. Local education cooperation projects shall operate local educational brands and programs, systematically manage resources such as local village teachers and public and cultural sports facilities, form a curriculum support group for connection with the school curriculum, and create and support care communities centered on caring activities with high local demand. Based on this, an organic working relationship with schools can be established. Since this paper analyzes the performance of regional education cooperation projects in Gangwon State, it may be difficult to apply it to other regional education cooperation projects or projects similar to ‘Happiness Education Districts Projects’. In the stage of analyzing performance, a social and contextual approach was attempted, and the result stage was analyzed, but it was only an indirect approach. It is necessary to further explore qualitative research to examine this in more detail or analysis methods of a microscopic approach to confirm the stage of outcome.

      • 미얀마 교육개발협력에 관한 연구 : ICT활용 교육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이안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미얀마의 교육개발협력의 일환으로 교육 ICT 활용 문제점을 알아보고 활성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얀마는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군사정부 이후 문민정부로 전환하면서 정부 차원의 교육개혁을 진행하였다. 교육개발협력 분야에서 ICT는 개발도상국과 저개발국가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핵심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국제기구는 1990년대 후반부터 테크놀로지 기반 인프라 구축, 응용 분야 개발, 인적자원개발 등에서 ICT 분야의 지원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 미얀마 교육부는 접근가능한 양질의 교육이 학생들에게 중요함을 강조하고 교육 전반에 걸쳐 ICT를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얀마의 교육제도 및 정책, ICT 인프라에 대해 조사하고, 교육개발협력차원에서 ICT 활용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미얀마의 전반적인 ICT 활용 수준과 현황을 분석하였다. 미얀마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원을 ICT 활용 교육개발협력 사례를 통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교육개발협력에서 교육ICT 활성화 전략으로 미얀마 정부의 국민 전체의 ICT 접근성 제고를 위해 소수민족, 산간지역 거주민, 장애인 및 소외계층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활성화 전략을 도출하였다.

      •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와의 교육협력 방안 연구

        이상훈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 교육자치제도는 교육행정과 일반행정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즉 시·도교육감 아래 지역교육청이 교육행정을 맡아하고, 지방자치단체장은 교육행정에 대한 권한이 거의 없어 교육행정과 일반행정이 분리된 구조이다. 이러한 현행 교육자치제하에서 각 이해관계에 따라 이기적인 입장을 취하는 경향이 없지 않아 많은 갈등이 발생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배경으로 교육행정과 일반행정의 갈등, 교육협력의 개념 및 필요성, 교육협력 제도의 현황 및 문제점 등을 조사하고, 대전광역시교육청 및 대전광역시청 교육협력 담당부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교육협력 방안을 모색하였다. 교육청과 자치단체간 원활한 교육협력을 위하여 그동안 교육협력관 제도, 교육행정협의회 제도, 교육지원조례 제도 및 교육정책협의회 제도 등이 기 제도화 되었으며, 최근에는 교육특별보좌관 조직 제도 및 교육재정부담금의 전출에 관한 조례 제도 등으로 까지 발전하고 있다. 현재 이러한 제도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자 설문조사 결과 교육협력관 제도 강화 방안, 교육협력 실적을 기관평가에 반영하는 방안, 교육협력관에 전문직 포함 여부, 교육특별보좌관 제도 도입 여부 등은 교육청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시청에서 교육청으로 전출금 지급시 구체적시기 및 금액규모를 조례로 정하는 문제는 양 기관이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양 기관간 상호협력정도를 묻는 질문에 교육청은 시청보다 상호협력이 부족하다고 인식을 하고 있다. 이는 시청에서 교육청으로 주는 법정전출금에 대한 시청의 이해부족 및 적기에 전출금을 주지 않고 있음에 기인한다. 상기와 같은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교육협력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협력 관련 제도개선 방안으로 법정전입금이 적기에 지원되지 않음에 따른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강제규정으로 법정전입금을 징수단계에서부터 교육금고로 자동이체되는 방향의 제도 개선을 제시하였다. 둘째, 교육협력 활성화 방안으로 양 기관간 갈등의 예방과 해결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의사소통의 핵심기술 등 갈등관련 직무교육이나 사이버교육을 매년 1회 이상씩 양 기관 전체 직원들이 의무적으로 이수하게 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청과 시청의 교육협력 실적을 기관평가에 반영하여 양 기관간 상호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협력관 역할 강화 방안으로 시청 소속 교육협력관도 교육청에 파견 근무하고, 교육청 소속 교육협력관에는 전문직도 포함하여 학생교육 관련 문제에도 중점을 둘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간 교육협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형기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Recentlytheimportanceofeducationautonomyincreasesmoreand more.Futhermoremanypeoplebelievethatthedevelopmentoflocal district is closely related to that of localeducation as well.Of course,economy isthemostimportantfactortopreventpopulation exodus in the district.Buteducation as wellas economy is very important factor. So many efforts to improve the education cooperation between local education administration institutes and localgovernmentsarebeingdone. Thepurposeofthisstudyistofindthewaytoactivateeducation cooperation between local education administration institutes and localgovernments. To attain this purpose,first,this study makes an analysis of presentsituation ofeducation cooperation between localeducation administration institutes and localgovernments.Second,this study investigates into the recognition levelofofficials abouteducation cooperation job in two institutes.Third,this study suggests the morebetterway to improveeducation cooperation on thebasisof theresultexaminedbeforehand. Present analysis of education cooperation includes general investigation ofthe way education cooperation is practically being done between local education administration institutes and local governments now.This study divides localgovernmentinto wide area (Do)and smallarea (Si; Kun),investigating into present cooperation situation,analyzing the outcome and the controversial point in education cooperation,and finally tried to suggest the desirablemodelineducationcooperation. To analyzetheofficials'recognition abouteducation cooperation,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680 officials in localgovernments andlocaleducationadministrationinstitutes. In light of research process summarized, conclusions of this researchareasfollows. First,mutualunderstanding aboutauthority and duty to improve education cooperation between local education administration institutesandlocalgovernmentsmustbeenlarged,establishingright purposeofeducationsupport. Second,reform and fractionation abouteducation cooperation must bedonetocarryouteffectivecooperationjob. Third, the exclusive responsibility department of education cooperationmustbeexpandedmorethannow. Fourth, the more effective and concrete method to activate educationadministrationcounciltopracticallydiscusslocaleducation problemsmustbedevised. Fifth,theenactmentand reform ofeducation supportordinancefor local administration institutes to aid education administration instituteslegallymustbemadeinadministrationinstitute. Sixth,theofficialstohelpeducationcooperationmustbedispatched each otherto do more effective education cooperation to different administrationinstitute. Seventh,the system to increase education investmentsteadily in administrationinstitutemustbeestablished. Eighth,close cooperation system with localadministration councils andlocalcivilsocietiesmustbesetup. Ninth,the concrete plan to activate education cooperation in local educationadministrationinstitutesmustbemade. Finally,the program to strengthen the relation oftwo institutes mustbe performed,forexample,regularmeeting fordealing with currenteducation problems,co-workshop to discuss a variety of education problemsand to form new partnership in two institutes, cafe to communicate good opinions abouteducation cooperation in cyberspaceetc. 이 연구는 본격적인 교육자치시대를 맞이하여 시·도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 상호간 ‘운영측면’에서의 교육협력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시·도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간 교육협력 현황을 분석하고, 교육협력 업무에 대한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 구성원들의 인식수준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시·도교육청과 시·도청 집행기관 상호간 ‘운영측면’에서의 교육협력 개선 방안을 탐색해보았다.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간 교육협력 현황 파악은 교육협력 방식에 대한 개황조사 및 광역차원과 시·군차원으로 구분하여 상호간 협력 현황을 실증적으로 파악하여 그동안의 성과와 문제점을 정리해 보았으며, 지방자치단체가 장학숙 운영 등 교육사업을 직접 시행하는 사례나 교육청에 대한 법적전출금 사용협의 등 상호간 보다 진전된 논의가 필요한 부분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한편, 교육협력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전북지역 교육청(도 및 지역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도 및 시·군)에 근무하는 공무원 680명을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조사내용은 ㉠지방교육 경쟁력에 대한 인식과 ㉡상호간 교육협력 현황에 대한 인식과 ㉢교육협력에 대한 요구사항 등이다. 조사결과, 공무원들은 ㉠거주지역 지방교육에 대한 소외감이 상당히 크며, 지방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의 사회·경제적 기반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래서 구성원들은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간 교육협력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이며, 아직 교육협력관계가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특히, 교육예산지원과 장학·행정사무분야의 정보교환 및 협력이 더욱 필요함을 지적하였고, 시·군청 교육지원부서 근무자들의 경우 시군의회의 예산승인 및 정보취득상의 어려움, 지역교육청의 협조부족 등이 교육지원사업 추진시의 어려운 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지방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과 사회·경제적 기반을 연계·강화하여야 하는데, 그 방안으로는 실질적 협의강화를 통해서 지방자치단체 교육투자의 효율성을 제고해야 하고, 지역의 기업·학계·사회단체, 지방정부(교육청, 일반자치단체)간의 상시협력지원체제를 구축할 필요를 느끼고 있었다. 일반자치단체 공무원들은 사교육비 절감을 위해서 지역주민이 원하는 사업이라면 교육청의 참여·협조가 없어도 일반자치단체가 독자적인 교육사업 추진이 가능하다는 입장도 10% 이상을 차지했다. 두 단체간 서로의 입장과 요구사항 등을 정기적으로 다룰 수 있는 교육행정협의회 등 의사소통 채널가동에 대해서는 입장을 같이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구성원 상호간 협력마인드 향상 등을 위해 합동워크숍, 교육전문가·시민사회단체·공무원패널 합동토론회, 숙박형 합동워크숍 개최, 관련공무원 사기진작책 강구 등 시·도교육청 차원에서의 교육협력 활성화계획을 수립·시행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교육지원조례 제정에 대해서는 전체의 3/4이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었으나, 대통령령인 교육경비보조규정에서 인건비미해결단체에 대해 교육경비 지원을 제한하고 있는 점이 조례제정의 제약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상의 분석결과들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은 교육협력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상호 일정한 권한과 의무에 대한 공유를 확대하고 교육지원에 대한 목적을 올바로 정립해야 한다. 둘째, 교육·학예관련 사무에 대한 개편 및 세분화가 필요하다. 셋째,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에 교육협력 전담부서를 확대설치 해야 한다. 넷째, 법제화된 지방교육행정협의회를 실제적으로 활성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다섯째, 지방자치단체 교육지원조례의 제·개정 확산이 필요하다. 여섯째, 기관 상호간 교육협력(지원)관의 교차파견이 필요하다. 일곱째, 일반자치단체 예산의 교육투자 안정적 확대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여덟째, 기초지방의회와의 긴밀한 협력관계 구축이 필요하다. 아홉째, 지역의 시민사회단체와 연계하는 등 사회적 기반구축이 필요하고 교육청 차원의 교육협력활성화계획 시행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관계공무원간 연계 강화방안이 시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국제개발협력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은혜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Korea undergoes a complete transfiguration from the beneficiary of aids to donor just in a generation. Korea is the only one country which grows from the world’s poorest country to donor of aids. We strengthen the position of intermediate nation in international society by joining the line of donor. But according to the statistics by OECD about ODA of member states of OECD DAC in 2011, we did not accomplish the goal of ODA last year. The low rate of ODA provision of KOREA directly shows the necessity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education and suggest improvement in it through this analysis. To achieve this goal,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books, papers, reports and data about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education lik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development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also refers to the literature like related books, websites and reports about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education, which is done at various NGO, KOICA, Training institute of KOICA ODA and International Private Development Cooperation Council.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education in Korea is relatively short. And we do not consider the necessity or importanc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education as an important thing. The member states of OECD/DAC recogniz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education as means of realizing global social justice in interdependent global society. We should cooperate with them in area of policy making and education through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This study argues that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regular course. Especially, the department of Society should give major coverage to it, to foster the disposition as democratic citizens, who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s, society, nation and mankind. We can foster global citizens who pursue peace, cooperation and coexistence of mankind crossing the boundaries of countries by mak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education the regular course in school.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inforcement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education will raise the international status of Korea and have a positive impact on development to advanced donor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