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의 국제교류 현황과 활성화 방안 : 강원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허인의 강원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9628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quo and problems of intemational exchanges and to present a program for activating exchange program between abroad and domestic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thi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KNU) is employed as the case study for this research. The reason that I take KNU for an example is that KNU can be a model more than the average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cale. The matehals for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relevant papers, the research papers, the matehals issu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ficial documents of KNU, and so on. In a part of the status quo and problems of intemational exchanges, I looked into the exchange result between foreign universities and KNU, the intemationalization of educational cooperation, academic books and joumals, and professors, students and staff. The first and foremost plan for activating exchange programs is to instill the members of relevant institutions consciousness of intemationalization. Holding the seminars and public lectures can be considered as the effective ways for this object. Second, it is necessary to revise and complement the regulations limiting the activating of the students exchange program and to introduce the full-time professorship who is in charge of this kind of program. Third, it is needed to steadily carry out various projects for developing the exchange program. Fourth, it is thought that improving the wide-range condition for intemational students, establishing and expanding the exclusive department or section, the newly constructing of the apartment for foreign professors and the dormitary for foreign students. In interviews with foreigners staying at KNU, they expressed a strong complaint about the housing facilities. This inconveniences are of no doubt judged as one of the factors who will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intemational exchange program. Lastly, a Korean language school is needed to offer foreigners an opportunity to leam the Korean language as well as Korean culture. Chunchon, where KNU is located in, is predicted to have a great deal of demand. In conclusio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cannot be attained in a day, It is thing that we should proceed to do with the drastic input of necessary men and a firm strategy. KNU has been and will every efforts to be one of the prestigious universities up to the 2010 as a part of a long-term plan. And the Division of International Affairs which was established 3 years ago If the plans presented in this research is put into practices, it is experted that the fruitful international exchanges can be pushed ahead.

      • 전문계고교 산학협력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 경남 거제공업고

        오준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33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ways of promoting school-to-work career program in vocational high schools. This study involved Geoje Technical High School in Gyeong-nam ; this school was awarded two great prize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2007 - the most specific school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he best 100 curriculum school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A survey was conducted on participants to find out how they take satisfaction in this program in this school. The survey shows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is program on the whole but not with a after-school course for promoting basic learning ability, a field trip and a part of work-study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s ; First, It was helpful the demand of industries is reflected in school curriculum, in-work training and programed learning. But teachers' dutyburden, monetary difficulties and teachers' right for organization of school curriculum should be worked to solve. Second, crash course of expert workers and specialists makes students have sound attitude toward their lives and vocations. Third, students work on positive lines in club activities of skill training but not in after-school courses for promoting basic learning ability. Teachers should help students appreciate how basic subjects be urgently needed in their future jobs. Fourth, in-work training of school-to-work career program raise several points. co-enterprises do not give students an opportunity to train technical skills because in-work training put in practice every other week. Inflexible school curriculum and heavy duty lay a big burden on teachers. But most of participants are satisfied with in-work training program at training laboratory in their school donated from co-enterprises. And field trips laying stress on on-the-spot study and visits of inspection are not effective for students from the educational standpoint. Fifth, high school-to-college articulation program is not achieving its goals effectively. This program should conduct not once a year but at stated periods for deepening students´ skill and knowledge. Sixth, participants of school-based enterprise take satisfaction in its program. For more educational and steady run, the government should give financial and executive support to school-based enterprise and should reduce teacher's big burden for its run. And School should give more students an opportunity to take part in manufacturing and practicing in it. Teachers should made more educational program of on-the-job training. Seventh, the recall system to help graduates in their employment obtained the desired results. School should try to run this system effectively with the database for graduates. Eighth, most members of Geoje technical high school believed their school meet with much recognition from society. More excellent students are admitted into this school every year.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among graduates shows a favorable trend every year. In conclusion, if the government gives financial and executive support to school-to-work career program in vocational high schools, this program has great possibilities. It is necessary for vocational high schools to have flexible right of organizing their school curriculum for this program. And the government should try to reduce teacher's big burden for its run. 이 연구는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으로 시행하고 있는 전문계고등학교의 산학협력 특성화 지원 사업과 학교기업제도 운영이 전문계고등학교 교육의 활성화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전문계고등학교 참여자들의 만족도와 인식 변화를 조사 분석하였다. 사례 연구는 학교기업 「거공테크」를 운영하고, 산업체협약에 의한 특성화사업 지원 학교로 선정된 경남 거제공업고등학교를 대상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위한 여건조성과 산학협력 프로그램과 학교기업 운영사례를 분석하고, 참여자의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하여 전문계고교 활성화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방법은 참여자의 인식과 만족도를 알아 보기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산업체의 요구를 반영한 학교교육과정의 탄력적 운영과 현장 맞춤식 실무 교육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과 학습 자료 개발은 산학협력 기업을 요구하는 맞춤식 기능?기술인 육성에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교사들의 과중한 업무 부담, 학습 자료 개발에 따른 재정적 지원,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권 확보 등의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다. 둘째, 전공분야 실무 능력 심화를 위한 전공분야 특강, 초청인사 특강 등은 산업체가 요구하는 기본 생활 태도와 직업관 확립에 큰 도움이 되었다. 학교 교사들의 수업 틀에서 벗어나 산업 현장의 전문가, 산학겸임 교사, 저명인사의 특강이 학생들에게는 새로운 정보와 간접 경험의 시간을 제공한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학생들이 전공 동아리 활동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전공에 대한 기량과 실무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기본교과 학습활동 참여는 저조한 편이다. 전문계고등학교 교육이 실무 중심의 기능?기술 교육만을 강조하여 기본 교과 학습이 소홀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넷째, 산학협력 파견교육은 부정적인 인식이 많았다. 협력업체는 격주제 단위로 실시되는 파견교육에 대하여 업무의 연속성 부족, 학생의 집중력 저하 등을 이유로 전문기능 업무보다는 단순 노동에 배치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 대해 부정적이었다. 또한, 교직원들의 과중한 업무 부담, 학교교육과정의 시수 확보에 대한 어려움, 학생들의 현장 근무에 대한 부담감 등을 해소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협력업체가 학교에 산학협력관을 설치하고 실습 기자재를 제공함으로써 학교 안에서 실시하는 산학협력관 프로그램에 대해 협력업체와 교직원, 참여 학생의 만족도는 매우 높았다. 학교 교육과정 운영과 체계적인 현장 실무교육에 어려움이 있는 산학협력 파견교육보다는 지역의 협력업체가 학교에 시설투자를 하여 산학협력관을 운영함으로써 기업이 요구하는 기능인을 확보할 수 있고, 교직원보다 접근이 용이한 공간에서 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확대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단순한 견학이나 시찰 중심의 산업체 체험학습은 산업체와 사전에 교육 프로그램을 공유하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대학연계교육은 일회성의 형식적인 교육보다는 취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는 현장 실무능력을 심화하고, 진학을 원하는 학생들에게는 보다 전문화된 지식과 실습을 제공할 수 있는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학교기업은 참여자가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나 전문계고교 학교기업의 경우는 지속적인 물량 확보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학교기업의 매출액을 중심으로 평가하여 지원금을 교부하기보다는 기본운영경비를 국가에서 장기적으로 지원하여 학교기업이 사회?경제적 측면보다는 교육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어 많은 학생들이 직접 생산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내실 있는 운영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교육적 성과를 거두고, 참여 교사와 학생들에 대한 과중한 부담을 해소하는 방안도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이 직접 생산활동에 참여하여 실무 경험과 직업 체험을 할 수 있는 학교기업을 활용한 현장실습 프로그램도 적극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일곱째, 졸업생 리콜제에 대해서는 모두가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학교가 지역의 평생교육센터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행?재정적 지원과 졸업생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보다 적극적인 운영이 필요하다. 여덟째, 전문계고등학교는 정부가 지속적으로 행?재정적 지원을 하고, 현장 맞춤식 탄력적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자율권이 확보된다면 전문계고등학교의 미래가 긍정적이다. 연구대상 학교는 대다수의 학교 구성원이 학교 이미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매우 좋아졌다고 느끼고 있으며, 고등학교 입학 전형에서 합격점과 경쟁률이 매년 높아지고 있다. 졸업생의 진로도 대학 진학률이 점차적으로 낮아지고, 취업률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전문계고등학교에서 바람직한 현상일 것이다.

      • 정서지능을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미술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 전문상담사와 협력 개발을 중심으로

        박가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정서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미술 교과의 내용에서 전략적으로 정서적으로 유의미한 학습 요소를 추출하고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미술교육의 목적과 더불어 정서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미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정서지능’, ‘정서지능과 미술교육’에 대한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본교의 전문상담사와 협력하는 형태로 정서지능을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학급 단위 미술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계획하였다. 미술교육프로그램의 계획안과 활동지를 개발한 후 실제 미술 수업 현장에 적용하였으며 울산 U 초등학교의 4학년 21명을 대상으로 총 10회기에 걸쳐 연구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적용 전후에 실시한 정서지능 검사를 통계분석하고, 수업 결과물, 교사 관찰지, 소감문 등의 자료를 통해 미술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상담사와 협력 개발한 정서지능 기반의 미술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교 4학년 학급의 전체 정서지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전문상담사와 협력 개발한 정서지능 기반의 미술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교 4학년 학급의 정서 인식 및 표현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전문상담사와 협력 개발한 정서지능 기반의 미술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교 4학년 학급의 감정이입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넷째, 전문상담사와 협력 개발한 정서지능 기반의 미술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교 4학년 학급의 정서의 사고 촉진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전문상담사와 협력 개발한 정서지능 기반의 미술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교 4학년 학급의 정서 활용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여섯째, 전문상담사와 협력 개발한 정서지능 기반의 미술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교 4학년 학급의 정서의 조절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일곱째, 전문상담사와 협력 개발한 정서지능 기반의 미술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교 4학년 학급의 미술 표현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본 연구는 전문상담사와 담임교사가 협력하여 정서지능 기반의 미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기존의 정서지능 관련 미술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연구자 중심으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졌던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전문상담사와 담임교사 각각의 전문성이 공유되는 ‘협력 개발’의 연구 형태를 시도하여 개발 과정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학교 정규 교육과정 상의 미술 교과 단원 재구성을 통해 학급 단위 아동 전체의 정서 교육 효과를 꾀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기존의 정서 기반 미술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주로 정규 교육과정 외적으로, 소규모 집단 단위로 이루어진 것과 달리, 본 연구는 학교 미술 교육과정의 재구성을 통해 학급 아동 전체의 정서지능 영역과 미술 교과 교육 상의 목표를 성취하도록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아동의 정서 행동 문제로 인하여 학급 운영을 고민하는 교사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추후 학급 아동의 정서지능과 관련한 미술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경험적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지역교육협력사업의 운영 성과 분석 : 강원 행복교육지구 사업을 중심으로

        유종훈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3343

        이 연구는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에서 운영하는 지역교육협력사업 중 행복교육지구를 중심으로 사업 운영 성과를 분석하여 강원 지역교육협력사업의 운영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행복교육지구는 2015년부터 강원 지역 혁신 학교의 확장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다른 지역의 혁신교육지구를 벤치마킹하여 도입되었다. 행복교육지구는 아동과 청소년의 전인적 성장을 위하여 온마을 돌봄 배움터를 제공하고,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 학교와 지역사회가 유기적으로 소통하는 협력체계를 구축하며, 학교와 마을을 넘나들면서 함께 성장하는 교육생태계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강원특별자치도 지역교육협력사업의 변화 양상과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강원특별자치도 지역교육협력사업의 성과와 한계는 무엇인가? 셋째, 강원특별자치도 지역교육협력사업의 운영 방향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프로그램 논리 모형과 CIPP 평가 모형의 요소를 결합하여 ‘CIPP 기반 논리 모형’을 설정하였다. ‘CIPP 기반 논리 모형’은 상황, 투입, 활동, 산출, 결과 단계로 구분하였다. 상황 단계에서는 사업 수혜자의 특성과 요구들을 분석하였다. 투입 단계에서는 사업에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이나 서비스와 같은 투입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활동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나오는 행동들을 살펴보았다. 산출 단계에서는 사업을 통해 직접 얻은 결과를 측정하고 해석하였다. 결과 단계에서는 사업의 효과를 요인 간의 관계에서 간접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한 자료로 먼저, 변화 양상과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의 마을교육공동체 운영 계획서와 10개 지역의 2~4개년 간 행복교육지구 운영 계획서, 자체 평가 보고서를 분석하였다. 행복교육지구 운영 계획서는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주제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행복교육지구 사업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분류하였다. 또한 2022년 기준 행복교육지구 4년차 운영 지역을 대상으로 벌인 교육공동체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ANOVA), 단순 회귀분석과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유 서술형 응답은 단어 단위로 나눈 후 이원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행복교육지구 사업 초기에는 사업의 목적과 방향과 무관하거나, 교육지원청 고유 업무를 프로그램으로 구성하기도 하였다. 그러다 사업이 정착되고, 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가 나타나며 지역 밖의 활동을 지역 안에서 하는 활동으로 전환하고, 프로젝트 수업,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동들이 지역과 융합하는 양상을 보였다. 행복교육지구는 기관 중심으로 추진이 되어, 기관 중심의 하향식 정책 집행 양상을 보였다. 이런 까닭으로 지역 주민에게 행복교육지구 사업의 목적, 철학이 제대로 공유되지 못하는 문제를 보였다. 또한, 인적, 물적 자원이 취약하여 지역 주민의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어려운 특징이 있다. 행복교육지구의 운영 성과를 분석한 결과 첫째, 상황 및 투입 단계에 나타난 요소로는, 교육공동체는 도전 정신과 자기 주도성 역량을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데 필요한 역량이라고 생각하였다. 우리 마을에 만들어지기를 바라는 프로그램으로는 학생은 ‘체육·문화·예술 활동’을, 다른 구성원들은 ‘친구와 잘 지내기, 바른 인성 갖기 활동’을 원하였다. 자율 서술형 응답에서는 문화예술과 수업을 융합하고, 마을 환경과 관련한 낱말들이 군집을 이루었다. 프로그램의 운영은 일과 시간에 학교 안에서 하기를 선호하였다. 행복교육지구 운영 계획을 분석하여 토픽모델링 기법을 활용해 4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주제는 ‘문화예술과 진로 교육으로 청소년 역량 강화’, ‘청소년·교사 동아리 활동 운영’, ‘수업과 연계된 다양한 지역(마을) 학습’, ‘돌봄과 연계된 공동체 협력’이다. 둘째, 활동 단계의 성과를 분석한 결과 행복교육지구 프로그램은 ‘수업과 연계된 다양한 지역(마을)학습’ 형태의 프로그램이 많았으며, ‘돌봄과 연계된 공동체 협력’ 형태의 프로그램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교육지구 사업 이해에 대해서는 학부모가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을 보였으나, 교원, C지역, 읍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인식을 보였다. 지역 교육이 얼마나 특화되었는지 생각하는 정도는 교원과 50대 이상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반족하였다. 교육공동체 간 소통 정도는 학부모는 상대적으로 잘 안된다고 생각하였고, 거주기간이 1년 미만인 사람은 상대적으로 잘 된다고 생각하였다. 셋째, 산출 단계 성과 분석 결과 참여했던 프로그램, 앞으로 계속 운영하기를 희망하는 프로그램 모두 ‘수업과 연계된 다양한 지역(마을) 학습’이 제일 높았다. E군의 경우 ‘돌봄과 연계된 공동체 협력’과 관련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비율보다 1순위로 계속 운영되기를 희망한 비율이 약 5배가량 높게 나왔다. 교원, 50대 이상, C지역, 1년 미만 거주한 사람은 학교 교육과정과 행복교육지구 프로그램이 연계가 잘 된다고 생각하였다. 행복교육지구 사업 전반에 대하여는 교원, 50대 이상, A, C, E지역, 거주기간이 1년 미만인 사람이 상대적으로 더 만족하였다. 넷째, 결과 단계의 성과를 분석한 결과 ‘청소년·교사 동아리 활동’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운영을 희망하는 사람, ‘지역사회 이해 및 주인의식’이 중요한 가치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전반적으로 행복교육지구 사업에 대하여 더 만족하였다. 사업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독립변인들은 약 72.7%의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그 중 ‘교육자원’ 영역이 전체 사업 효과에 42.8%의 설명력을 보여주어 사업 효과에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이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희망하는 프로그램 예산이 전체 사업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교육자원’과 ‘사업 효과’의 관계에서 정적으로 조절하는 효과를 보였고, ‘학생 전출입 비율’은 ‘지역 특화’와 ‘사업 효과’의 관계에서 정적으로 조절하는 효과를 보였다. 마을 발전을 위한 건의로 ‘학교 교육과정과 마을 교육 활동 간의 연계성 강화’가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다. 자유 서술식 응답으로는 다양한 체험과 수업을 진행하는 그룹, 문화 시설을 이용과 관련한 그룹, 학교와 연계하여 참여하고 홍보를 바라는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강원 지역교육협력사업의 운영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강원특별자치도의 특례를 활용한 지역교육협력사업 관련 법률의 제정, 교육 경비 보조금을 활용한 사업 운영, 학교 기반 및 평생교육 기반의 마을교육공동체 형성, 정책 집행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지역교육협력사업의 지속성과 안정성을 보장하여야 한다. 둘째, 읍·면·동 단위 지역공동체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읍·면·동 행정복지센터가 중심이 되고, 시·군청은 지역 교육브랜드를 큰 틀에서 기획하고, 교육지원청과 협의하여 프로그램 운영 방향을 구상하는 역할을 하여야 한다. 이를 지원하는 중간 지원조직은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 전문관제도를 활용해 TF제 또는 부서제로 확장한 다음, 지역교육협력센터로 분리해 민간으로 이양하는 단계를 점진적으로 거쳐서 운영할 수 있다. 지역교육협력사업은 지역의 교육브랜드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지역의 마을 선생님과 공공·문화체육시설과 같은 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를 위한 교육과정 지원단을 구성하고, 지역의 수요가 높은 돌봄 활동을 중심으로 돌봄공동체를 조성하고 지원하는 사업을 하여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와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이 논문은 강원 지역의 지역교육협력사업 중 행복교육지구 사업을 중심으로 성과를 분석하였기 때문에 다른 지역교육협력사업 또는 행복교육지구와 유사한 사업에 적용이 어려울 수 있다. 성과를 분석하는 단계에서 사회적, 맥락적 접근을 시도하고 결과 단계의 분석을 하였으나 간접적인 접근에 그쳤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피기 위한 질적 연구나 결과 단계를 확인하기 위한 미시적 접근의 분석 방법을 더 탐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Gangwon regional education cooperation projects by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ject, focusing on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among the regional education cooperation projects operated by Gangwon State Office of Education. Since 2015,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Project has been introduced by benchmarking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s’ in other regions in the process of seeking to expand ‘Innovative Schools’ in Gangwon State.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is a project to provide a whole village care learning center for the holistic grow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in which the education office, local governments, schools and communities communicate organically, and create an educational ecosystem that grows together across schools and villages. The research question was set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region educational cooperation projects in Gangwon State? Second, what are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Gangwon State regional education cooperation project? Third, what is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education cooperation project in Gangwon State? To analyze and solve research problems, first, a 'CIPP-based logical model' was established by combining the elements of the program logic model and the CIPP evaluation model to analyze performance. The 'CIPP-based logical model'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steps: situation, inputs, activities, outputs, and outcomes. The situation stag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project beneficiaries. In the input stage, input factors such as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r services required for the project were analyzed. The activity stage looked at the actions that emerged during the program. In the output stage, the results obtained directly through the project were measured and interpreted. In the outcome stage, the effect of the project was analyzed indirect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s data for this study, first, the Gangwon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fice of Education's village education community operation plan,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operation plan for two to four years in 10 regions, and self-evaluation report were analyzed to analyze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operation plan derives topics using topic modeling techniques and classifies programs operated by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project based on this. 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t-test and ANOVA,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interaction effect using a survey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conducted in the fourth year of the Happy Education District as of 2022. Open-ended responses were divided into words and analyzed using binary network analysis. At the beginning of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project, regardless of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the project, the unique task of the Office of Education was organized as a program. Then, as the project was settled and the COVID-19 virus outbreak appeared, activities outside the region were converted into activities within the region, and project classes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were fused with the region.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was promoted centered on institutions, showing a top-down policy execution pattern centered on institutions. For this reason, the purpose and philosophy of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project were not properly shared with local residents.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operate programs that meet the needs of local residents due to weak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first, as a factor that appeared in the situation and input stage, the educational community considered the spirit of challenge and self-direction competency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As a program that we want to be created in our village, students wanted to "sports, culture, and art activities," while other members wanted to "get along with friends and have the right personality." As an open-ended responses, culture and arts and classes were fused, and words related to the village environment formed a cluster. They preferred to run this program in school during work hours. Four topics were derived using topic modeling techniques by analyzing the operation plan of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The topics were "Strengthening youth competency through culture and arts and career education," "Operating youth and teacher club activities," "Learning various regions (villages) linked to classes," and "Community cooperation linked to car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the activity stage,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program had many programs in the form of ""Learning various regions (villages) linked to classes," and the least in the form of "Community cooperation linked to care." Parents showed relatively low awareness of understanding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project, but relatively high awareness in teachers, C area, and ‘eup(town)’ area. The degree of thinking about how specialized local education was relatively high among teachers and those in their 50s or older. Parents thought that the degree of communication between educational communities was relatively poor, and those with a residence period of less than one year thought it was relatively good. Third, as a result of the performance analysis at the output stage, 'learning various regions (villages) linked to classes' was the highest in all programs that participated in and programs that hoped to continue operating in the future. In the case of E area, the percentage of people who wished to continue operating as the first priority was about five times higher than the percentage of participating in programs related to "Community cooperation linked to care." Teachers, those in their 50s or older, C area, and those who lived in less than a year thought that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program were well linked. Regarding the overall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project, teachers, those in their 50s or older, A, C, E areas, and those with a residence period of less than one year were relatively more satisfied. Fourth, as a result of the outcome stage performance analysis, those who wished to run programs related to "Youth and teacher club activities" and those who thought "Community understanding and ownership" were important values were generally more satisfied with the Happiness Education District projec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ject effectiveness, the independent variables showed about 72.7% explanatory power. Among them, 'educational resource' showed 42.8% of the overall project effectiveness, indicating that local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had a large impact on the project effectiveness.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the desired program budget to the total project budget" showed a static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resources" and "project effect," while "the ratio of student transfer" showed a static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specialization" and "project effect." As a suggestion for village development, 'strengthening the link between school curriculum and village educational activities' showed the highest response. Open-ended responses could be divided into groups that conduct various experiences and classes, groups related to the use of cultural facilities, and groups that participate and promote in connection with school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Gangwon Regional Education Cooperation Project is as follows. First, the continuity and stability of local education cooperation projects should be guaranteed through the enactment of laws related to local education cooperation projects using special cases of Gangwon State, the operation of projects using subsidies for education expenses, the formation of a school-based and lifelong education-based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an integrated approach to policy enforcement. Secon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local community at the ‘eup/myeon/dong’(town) level, the ‘eup/myeon/dong’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should be at the center, and the ‘city/gun(county)’ offices should plan local educational brands in a large framework and consult with the Education Support Office to devise the direction of program operation.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can expand to the TF system or department system by utilizing the specialist officer system centered on local governments, and then gradually transfer them to the private sector by separating them to local education cooperation centers. Local education cooperation projects shall operate local educational brands and programs, systematically manage resources such as local village teachers and public and cultural sports facilities, form a curriculum support group for connection with the school curriculum, and create and support care communities centered on caring activities with high local demand. Based on this, an organic working relationship with schools can be established. Since this paper analyzes the performance of regional education cooperation projects in Gangwon State, it may be difficult to apply it to other regional education cooperation projects or projects similar to ‘Happiness Education Districts Projects’. In the stage of analyzing performance, a social and contextual approach was attempted, and the result stage was analyzed, but it was only an indirect approach. It is necessary to further explore qualitative research to examine this in more detail or analysis methods of a microscopic approach to confirm the stage of outcome.

      • 국제체험학습으로 APEC 에듀테인먼트 교류 프로그램에 관한 성찰적 사례 연구

        김상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33327

        This study aims to study a case of APEC Edutainment Exchange Program(called AEEP hereafter) as a model for international experiential learning. Started from one of APEC education projects, its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international cooperative research consisting of researchers from 11 countries. And it has a theoretical background from experiential learning, blended learning, project-based learning and Edutainment. This research focused on its development process, design principles and implementation process from its beginning stage to the present for over 10 years based on related literactures and participants’ reflection from experiencing AEEP as experts, program managers and mentoring teachers. The first stage to review its development process aims at historical review with thick description in a macro level point of view with international educational cooperation based on APEC. In this stage, the researcher reviewed previous studies to define development of AEEP and conducted a in-depth interview a AEEP developer. As a results,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AEEP features in cooperative agreement and research based on international education cooperation, continued support from governments and expert organization and continuous diffusion through research and development with various implementation models. In next stage, the researcher verified the design principles on the program’s model structure and the model components using content analysis with related literactures and in-depth interview. In addition to comprehensive redefinition of the principles and its components, experts’ opinions were also collected and reflected in the process of elaborating the program’s model. Among the eight design principles of AEEP, experiential learning focused on its concept and process, online focused blended learning, project-based learning with play and learners self directedness, and systemic support from international community were have marked as a strong points. In the third stage, the researcher has reviewed the implementation stages of AEEP with selected 5 cases from 2006 to 2014.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the importance of advance preparation of participants in blended learning, mentoring system to provide facilitators for learners in experiential learning in a globalized condition, need for on and offline learning support tools and systemic support based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community consisting of PPP(public-private partnership). By means of the three stages mentioned above, this study has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s to improve the program as a model for international experiential learning. 세계화·정보화라는 시대적 흐름과 함께 글로벌 인재에 대한 정책 그리고 해외교육체험에 대한 개인적 요구에 따라 한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의 학생들이 교육을 위해 해외로 이동하고 있다. 이른바, 교육을 목적으로 한 국제적 이동성(mobility)이 급증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청소년들이 참여하는 국제 활동은 국제교류, 해외봉사, 해외문화체험, 연수, 국제캠프, 해외 탐사 등 다양한 이름으로 수많은 종류의 프로그램들이 시행되고 있고, 참여 연령 또한 기존 대학생과 고등학생은 물론, 중학생, 심지어 초등학생들에게 확산되고 있다(김옥순, 2011; 신인순, 김옥순, 2012; 김영환, 이지연, 김상미, 한혜진, 2014). 그러나 이토록 현장의 요구와 양적 확산에 비해, 체계성과 전문성의 부족, 단순 체험과 관광 중심의 상업적 상품으로의 변질 그리고 사후 지속성을 고려하지 않고 행사 위주의 일회성 교류에 그치고 있다는 문제점들이 지속적으로 반복되고 있어 질적 개선에 대한 비판 역시 높다(박선영, 2012; 박진규, 2004; 오해섭, 김진화, 2005; 이장현, 2007; 윤철경, 이민희, 박선영, 박숙경, 신인순, 2011; Kim et al., 2009). 이와 함께 관련 연구 동향을 보면 청소년들이 참여하는 국제 활동에 대한 인식과 개념도 최근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전에는 정부, 학교 및 기관, 개인들이 국제화와 세계화에 대응하기 위한 ‘교외 활동’으로 ‘교류’와 ‘활동’에 한정하는 협의적 개념이었다면, 최근 연구에서는 단순한 외연적 활동이 아니라 ‘체험’을 중심으로‘학습’의 관점에서 접근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즉, 청소년을 학습자로, 활동을 학습으로, 단순 교류가 아닌 복합적이고 체계적인 체험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김상미, 김영환, 2014; 이선미, 2013; 윤철경 외, 2011; 정윤경, 2013). 즉,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국제 상황에서의 체험적 교육적 활동은 이제 국제체험학습이라는 체계적인 개념적 틀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국내형 체험학습과 달리 ‘국제’라는 거시적 수준의 특성을 포함한다. 교사와 학생 중심으로 교실이나 학교, 넓게는 지역 커뮤니티까지 포함하는 국내 체험학습과 비교할 때, 국제체험학습은 교수·학습에 필요한 제반 준비나 시행 과정이 훨씬 복잡하고, 교수자와 학습자, 그리고 국내외 다양한 이질집단이 학습 설계와 사전 준비, 실행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운영자 또는 교수자에게는 다소 높은 전문성과 역량이 요구된다. 또한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체험하는 장소와 대상 및 학습 내용이 낯설고, 사용하는 기본 언어와 학습 도구에 제약이 있을 수 있으므로 상황과 활동 목적에 따라 예측할 수 없는 많은 변수와 고려해야 할 위험 요인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국제체험학습은 일반적인 교실 학습 상황이나 국내 체험학습에서 나아가 국제라는 거시적 환경과 관련 요인들의 특성들을 분석하여 반영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해외 직접 체험이 높은 비용과 위험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더욱더 전문적이고 효과·효율적인 실행이 요구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청소년 국제 활동에 대한 현장에서의 요구와 실천이 확대되고, 체험학습의 관점으로 인식이 전환되면서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수학습이 필요한 시점이나 이에 대한 연구와 개발은 극히 부족하였다. 그간 국제체험학습에 국내 연구는 현황 분석(강영배, 2006; 신태진, 2011; 배성근, 이희숙, 정제영, 2011; 정윤경, 2013)이나 프로그램 개발(최성우, 2005; 정지언, 김영환, 이지연, 2012), 그리고 실행 및 효과성 분석(김옥순, 2008; 이승재, 2008; 염수경, 2009; 이창호, 김연우, 2012; 김진호, 2013) 등 개발과 실행 중심의 연구로 편중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김상미, 김영환, 2014). 따라서 현재까지의 연구는 국제 상황에서의 체험이라는 관점에서 이론적 연구가 부족하였고, 다양한 유형의 청소년 국제 교육이 실천되고 있음에도 체계적인 교수·학습 모형 개발에의 시도도 미비하였다. 이로써 일회성으로 실시되는 여러 프로그램들의 특성을 분석하고, 적용에 따른 효과성 연구가 있으나 보다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모형과 이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도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고자 최근에는 참여자의 경험과 이들이 인식하는 국제 체험의 효과와 가치에 대한 질적 연구(이황원, 2011; 김지만, 김예란, 2013; 이선미, 2013; 유숙영, 2013; 조문영, 2013; 김민정, 2014; 박경이, 2014; 안지민, 2014)가 실행되었으나, 이들 연구조차 국제체험학습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면밀히 검토하지는 못하였고, 프로그램을 개발·실행하는 전문가와 실천가들의 경험을 포함하지 않고 있어 교수학습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접근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청소년 대상 국제체험학습에 대한 연구는 국제라는 특수한 상황에서의 체험학습이 가지는 특성들을 교육학적 관점에서 보다 면밀히 관찰하고 기술할 필요가 있으며, 증가하고 있는 현장의 요구와 실천을 고려하여 모형을 체계화하거나, 다양한 상황과 조건을 고려하여 현장 적용과 실행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제시할 필요가 있겠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국제체험학습으로서 APEC 에듀테인먼트 교류 프로그램(APEC Edutainment Exchange Program, 이하 AEEP) 사례에 주목하고, 이 프로그램의 설계와 개발 과정, 그리고 약 10년간의 지속적인 실천 과정에 나타나는 특징들이 무엇인지를 선행 연구 및 AEEP 전문가·현장 실천가들의 경험적 성찰 내용을 통해 면밀히 분석하여 국제체험학습으로 보다 발전적이고 확산 적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모형이 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제체험학습 사례로서 연구 대상인 AEEP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AEEP는 APEC이라는 국제 수준의 협력체를 기반으로 개발·실행됨으로써 국제교육협력의 특성이 포함된 국제체험학습 실천 모델이다. APEC 회원국의 교육 행정가와 학자들이 참여하는 2005년 APEC 미래교육포럼에서 참여 회원국 대표들은 청소년 교류를 확대하기 위한 미래 교육 모형의 개발과 실행을 합의하였고, 이듬해 개최된 포럼에서는 구체적인 개발 방향을 탐색하고 국제공동연구팀을 구성하였다(Kim, 2007). 이를 통해 2007년 한국의 국제교육사업 전문 수행기관의 주도로 체계적 국제공동연구기 실행되었고, 문헌 검토, 사례 연구, 국내외 전문가 인터뷰를 포함하는 연구 절차를 거쳐 AEEP의 개념적 특징과 실행 절차 모형을 개발, 2008년 APEC 교육재단의 지원 사업으로 선정되어 최초 시범 적용되었다. 이후 교육부의 행·재정적 지원과 국제 교육사업 전문 수행기관에 의해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실행되고 있으며, 초기에는 APEC 기반 국제교육협력 커뮤니티인 알콥(APEC Learning Community Builders, 이하 ALCoB)이 주요 대상이었으나 최근에는 국내외 학교, 지자체, 교육관련 기관, 기업과의 연계를 확대하며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따라서 AEEP의 개발과 실천 과정은 단일 교사나 학교, 기관에 의한 것이 아니라, 국내외 다양한 영역의 구성원이 참여한 국제협력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AEEP의 특징은 국제라는 거시적 수준에서의 교육 활동이 어떻게 설계되고 개발되었으며, 실천 과정에서 어떠한 특징들이 나타나는지 살펴볼 수 있는 유의미한 사례가 될 것이다. 둘째, 국제체험학습에 관한 개념적 논의가 부족하고, 체계적인 모형 개발과 적용이 미흡한 현 시점에서, 연구 대상인 AEEP는 체험학습을 포함하여, 블렌디드 러닝, 이러닝, 프로젝트 기반 학습, 에듀테인먼트 등 교수·학습 측면의 다양한 이론들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설계 원리와 절차적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AEEP는 앞서 지적되고 있는 문제점, 즉 단기간, 피상적인 단순 교류와 방문, 관광 중심이라는 청소년 국제 활동의 단점을 보완하고자(전영국, 2016), 체험학습 이론에서 핵심 원리를 탐색하고(김영진, 김영환, 김영선, 2007; 김영환, 김영진, 손 미, 정지선, 2008; 김영환, 김지원, 김영진, 2008), 웹 기반 블렌디드 러닝(김영환, 이지연, 이승진, 이현아, 김병근, 정지선, 2009)과 팀 프로젝트 학습(정지언, 2011)을 접목하였으며, 에듀테인먼트 요소인 자기주도성, 놀이, 몰입, 협력 등을 포함하여 핵심 요소와 절차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2008년 이후 현재까지의 현장 적용 과정에서 웹 활용 체험학습 기반 국제교류(김영환 외, 2011), 프로젝트 학습 기반 국제 교류(정지언, 2011), 스마트 기기 활용 문화 체험(한혜진, 2012), 대학생 진로 체험(박경민, 2014), 초·중 대상 다문화 교육(김영환 외, 2013) 등 현장 요구에 따라 다양한 대상과 목적, 활동유형에 적용하였고, 이에 대한 과정과 결과들이 참여자의 관점에서 연구 결과로 나타나 있다. 따라서 AEEP는 국제체험학습의 핵심 원리들을 10년 이상 지속적으로 적용함과 동시에, 다양한 유형의 프로젝트로 확산 적용하면서 누적된 경험들을 통해 변화·개선시켜 나가고 있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관련 문헌과 참여자 경험들을 토대로 이러한 실천 과정을 추적하고, 국제체험학습으로 AEEP의 강점과 개선해야 할 점에 대해 성찰해 보는 것은 향후 한단계 발전된 연구와 실천을 위한 시작점이 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국제체험학습으로 AEEP 사례를 선정하고, 개발 과정과 설계 원리, 실천 과정을 분석 단위로 설정하여 개발 단계에서부터 최근의 적용에 이르기까지 10년 이상 지속된 AEEP의 변화 과정과 여기서 나타나는 특징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보다 발전적인 국제체험학습 프로그램이 되기 위한 AEEP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연구는 AEEP라는 단일사례를 대상으로 선행 문헌과 현장 전문가·실천가들 대상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국제체험학습 개별 사례의 상황과 맥락, 특수성에 대해 보다 질적으로 면밀히 관찰하고자 하였으며, 프로그램 개발, 실천 현장 및 연구에 참여한 이들의 총체적 경험을 종합하고 개선을 위한 성찰 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는 성찰적 사례연구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단일 사례 분석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 일반화하기에 충분하지 않지만, 국제체험학습으로 AEEP에 제시된 이론과 실천적 측면을 최대한 많은 다양한 자료원과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다수의 AEEP 실행 프로젝트 중시기와 주제, 대상, 목적에서 서로 다른 실행 사례들을 분석 대상에 포함함으로써 특수한 개별 상황과 맥락 속에서도 강조되고 있는 보편적 특성이 무엇인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제체험학습에 관한 개념적 틀을 제공하여 향후 다양한 후속 연구에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전문가와 운영자, 참여 교사들의 경험을 통한 자기 성찰과 개선에 대한 아이디어를 반영하고 있어 실질적으로 국제체험학습 프로그램을 설계·운영하는 현장 실천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기후변화 관련 국제 협력 교육 프로그램 전후 대학생들의 기후변화와 친환경 행동에 대한 인식 변화 분석

        양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27

        본 연구는 인류가 직면한 기후변화의 위협이 세계 곳곳에서 영향을 미치고 이런 변화의 가장 큰 요인이 인류의 활동이라는 것이 명백하게 입증된 현실 속에서, 환경에 대한 인식,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이 단순히 심각하다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실질적으로 환경에 도움이 되는 행동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으로 기후변화와 관련된 국제 협력 교육 프로그램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친환경 행동 인식이 프로그램 전후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국제 협력 교육 프로그램의 어떤 부분이 이런 변화에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기후변화 관련 국제 협력 교육 프로그램인 ESD Campus Asia Program in Korea 는 총 6일에 걸쳐서 40시간 정도 진행되었으며, 주요 내용은 기후변화를 중심으로 이에 대한 과학적, 사회학적, 철학적, 교육학적 이해와 토의 및 한국 전통문화 체험, 서울 에너지 드림센터 방문, 시민환경단체 탐방으로 이루어졌다. 한국 4명, 일본 3명 총 7명의 대학생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연구자가 프로그램 모든 과정에 참여관찰자로 참여하였고, 연구 참여자들이 프로그램 과정에서 최종 발표 자료와 참여 일지를 산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전과 후에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고, 프로그램 이후엔 개인별 인터뷰도 진행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는 기술 통계를 통해 전체적인 경향을 파악하는 데 이용하였고, 이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 친환경 행동 인식의 전반적인 변화를 보았다. 개인 인터뷰, 참여일지와 최종 발표 산출물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하여 참여자들의 특성과 유형을 조사하였다.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은 기후변화의 전반적인 이해, 기후변화 교육, 기후변화 대응, 기후변화의 과학적 이해, 위험인식, 국제 협력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친환경 행동 인식은 친환경 교통수단 이용 등의 개인적 행동과 환경단체 활동 참여 등의 집합적 행동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친환경 행동 인식이 프로그램 적용 후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기후변화를 다양한 관점으로 바라보며 기후변화 교육의 필요성, 과학적 이해도, 국제 협력에 대한 인식, 위험 인식 모두 크게 증가하였다. 친환경 행동 인식 같은 경우, 개인적 행동과 집합적 행동 모두 증가하였으며, 특히 집합적 행동 인식은 프로그램에서 진행한 환경단체 활동 참여가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후변화 종합지수 중 친환경 행동 인식과 관련된 기후변화 필요지수와 실천 수준에 대한 파악을 목적으로 하는 기후변화 행동지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인식 조사에서와 마찬가지로 실천 수준을 나타내는 기후변화 행동지수보다 인식을 나타내는 기후변화 필요지수가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이 더욱 확대되고, 대상도 다양화되어야하며, 국제 협력 프로그램 역시 더욱 활성화되어야한다. 이런 교육 프로그램이 확대되고 활성화 될수록 더 많은 시민들이 환경에 도움이 되는 실천에 함께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It is a clearly proven reality that the threat of climate change confronting humanity has an impact all over the world, and that the greatest factor in such change is human activity. Within such reality, this study focused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climate change as a way to lead not only to environmental awareness and climate change awareness being merely serious, but to practically beneficial actions for the environment. Hence this study focused on how the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alte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s well as analyzing which parts of the international cooperative education program influenced such changes. The ESD Campus Asia Program in Korea, an international cooperation education program related to climate change conducted in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bout 40 hours over a total of 6 days. The main contents consisted of scientific, sociological, philosophical, and pedagogical comprehension and discussion about climate change, experiencing traditional Korean culture, visiting the Seoul Energy Dream Center, and visiting civic environmental groups. A total of 7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4 from Korea and 3 from Japan. The researcher participated as a participant observer in all processes of the program. Research participants calculated the final presentation data and participation diary during the program process. Furthermore, a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the program. The survey results were used to grasp the overall tren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hrough this, the alterations in the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of the study participants and the overall change in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were observed.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articipants were investigated through personal interviews, participation diaries,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final presentation output. The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was analyzed by classifying it into overall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education on climate change, response to climate change, scientific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risk recognition,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was analyzed by classifying into individual actions such as the use of eco-friendly transportation and collective actions such as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group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of the study participants generally augmente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Looking at climate change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the necessity of climate change education, scientific understanding, recognit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awareness of risks have all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case of awareness of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both individual and collective behaviors increased.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collective behavioral recognition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participation of environmental group activities conducted in the program. Second, among the comprehensive climate change indexes, the climate change behavior index, which aims to identify the need for climate change and the level of practice related to environmentally friendly behavior awareness, in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as in most perception surveys, the climate change needs index, which represents awareness, was higher than the climate change behavior index, which represents the level of action. Based on this research,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should be further expanded and the subjects should be diversified. International cooperation programs should also become more active. As such educational programs expand and become more active, it is believed that more citizens will be able to participate in practices that benefit the environment.

      •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웹기반 협력교수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우정한 대구대학교 2003 국내박사

        RANK : 233327

        For providing qualitative inclusion service to all students,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their competence to do the cooperative teaching(co-teaching). However, lack of understanding about knowledge and skills related to co-teaching,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has difficulty in implementing effective inclusive education in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and validate of web-based teachers inservice program on co-teaching for effective inclusion. The method of study was as follows. First, literature research and investigation research was conducted to develope teachers inservice program on co-teaching. Second, experimental research, 10 subjects were employed including 5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5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5 weeks. During this period, they had online lessons on co-teaching and interactions with program manager and inter-subjects on the web. After the web-based teachers inservice program on co-teaching was applied to teachers, the program was validated on suitability and application effectiveness. The suitability of the program was evaluated by experts council and was also examined by learners' satisfaction with web-based learning. The application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investigated by comparing subjects' pre and post-test on knowledge domain, understanding domain and contents analysis on web-based learning activities material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web-based teachers inservice program on co-teaching was developed through contents analysis, purpose establishment, contents selection and organization. The web-based teachers inservice program on co-teaching was developed through analysis, design, production, evaluation and revision of web-based teaching·learning system design model. The web-based teachers inservice program on co-teaching was consisted of 5 domains such as understanding about special education, understanding about co-teaching, co-teaching practice, practice, adaptation and social ability impro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learning elements of understanding about special domain included definition of speci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students, low related special education, diagnosis and placement, definition and management of special class.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 The learning elements of understanding about inclusion domain dealt with background of inclusion, basic definition related inclusion, inclusion effects, inclusion model, cooperation in inclusion. The learning elements of understanding about co-teaching domain included definition, characteristics, necessity and effects of co-teaching, factors of keeping co-teaching relation, co-teaching models, general·special teacher's roles and responsibilities. The learning elements of co-teaching practice domain contained co-teaching planning, curriculum modification, regular classroom organization, lesson plan, management case,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 learning elements of social ability impro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domain dealt with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about problematic behaviors, general students' understanding of disabled students, social interaction between general and disabled students. Second, in evaluation of suitability of the program, experts rated high on contents construction,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program production. The participated learners were satisfied with web-based teachers inservice program on co-teaching. From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contents construction,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production area such as information design, interaction design, motivation design, evaluation design and convenience for learners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ment of web-based instruction program. In evaluation of application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knowledge about co-teaching and inclusion was improved very much.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co-teaching, co-teachers' cooperation, all students and co-teaching implementation was changed from negative or neutral to positive attitude. From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bout co-teaching and inclusion can be improved by teachers inservice education and that the web-based teachers inservice program on co-teaching was conductive to promote co-teaching competence of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inally, this study showed that the web-based teachers inservice education is useful not only to solve programs of the present teachers inservice education such as lack of system, opportunity for inservice education and difficulty on attendance education but also to contribute improve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qualitative education.

      • 전시연계 세계시민 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강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3311

        근래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이 증진됨에 따라 세계시민으로서의 국민들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하여 한국국제협력단(KOICA)를 위시하여 여러 교육기관에서는 타 문화권에 대한 전시와 이와 연계된 수업을 통해 세계시민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KOICA지구촌체험관에서 세계시민 예술교육을 위한 전시연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및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전시연계 교육프로그램은 교육부에서 발표한 ‘2015개정 교육과정안’에 기재되어 있는 세계시민교육의 교과역량을 달성하고자 하였으며, 개발도상국의 문화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를 증진하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표한 ‘문화 공적개발원조(ODA)’의 원칙 안에서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전시연계 교육프로그램은 가족단위의 수업으로 진행되었고, 유네스코가 제시한 ‘세계시민교육 학습성과표’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성과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목한 연구문제는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전시관에서 국제개발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세계시민 예술교육은 어떠한 형태로 설계되어야 하는가?”이며, 두 번째는 “학습자는 세계시민 예술교육을 통해 실제로 세계시민교육의 학습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가?”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전시연계 교육프로그램이 ‘2015개정 교육과정안’중 미술과 교과역량인 ‘미술 문화 이해 능력’과 ‘문화ODA 시행원칙’을 반영하여 구성될 수 있었음을 보였으며, 학습자가 이를 통해 세계시민교육의 학습성과 영역 중 인지적 영역과 사회·정서적 영역에 학습성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보였다. As the status of South Korea has been rising in the global community in recent years, many educ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the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KOICA) in the nation have provid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exhibitions about other cultural areas and lessons associated with them in order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the South Korean people as global citizens. This study set out to develop and evaluate an exhibition-related educational program for the art education of global citizenship at the Global Village of KOICA. The educational program in the study was designed to help students fulfill the subject competenci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developed within the principle of "cultural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releas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o promote learners' understanding of culture in developing nations. The exhibition-related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in the study was implemented as a lesson by the family unit and assessed the learning achievements of students based on the "table of learning achievements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y UNESCO. The study focused on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In what form should art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 be designed based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t a gallery?" and second, "Can learners achieve the learning goal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art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an exhibition-related educational program could be organized to reflect the "Art Cultural Understanding Capability" one of the competencies in the art subject under the "2015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implementation principle of cultural ODA" and that such a program helped learners fulfill learning goals in the cognitive and social & emotional domains among the learning achievement domain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순환학습기반 보육교사-부모협력 증진 교사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류은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307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 learning cycle-based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childcare teacher-parent cooperation promotion and to inspect its effect.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as selected out of 20 teachers employed at a childcare center located in A-gu, B-city, Korea, while the control group was consisted of another 20 teachers with similar social and economic statuses to the former group, living in the same area.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aimed at promoting childcare teacher-parent cooperation and had its objective in trust building with parents, fostering mutual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and clarifying of their right and responsibility i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Each session followed a 5E learning cycle consisting of presentation of problem - understanding the cause - suggestion of solutions - application - evaluation. steps of pre-training - readiness - application of concept and problem solving. The entire teacher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for 16 sessions during 8 weeks. To measure childcare teacher-parent cooperation, the Caregiver-Parent Partnership Scale developed by Ware, Barfoot, Rusher, and Owen (1995) and modified by Owen, Ware, and Barfood (2000) was used after translation. The SPSS Window 25.0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Cronbach’s α was calculated for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instrument. Also,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for the test of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hile the paired t-test was employed to examine the score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both groups. As a result, the learning cycle-based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childcare teacher-parent cooperation promo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romoting childcare teacher-parent cooperati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the promotion of teacher-parent cooperation, by solving the difficulty of trust building with parents,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and clarification of their right and responsibility i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which was achieved through verification of field suitability after literature review and teacher interviews. Furthermore, this study will be a contribution to the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research in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childcare cen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