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에서의 교양음악교육 현황 및 학생들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박지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대학에서 교양음악교육이 갖는 의미와 본질을 살펴보고, 각 대학의 교양음악교육이 어떻게 진행되고 그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어떠한지를 파악하여 앞으로 대학에서 교양음악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부분은 문헌 조사를 통해 교양교육과 음악교육의 의미와 본질에 대해 알아보고 대학에서 음악교육이 갖는 당위성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부분은 각 대학의 교육과정관련 자료조사를 통해 교양교육과정과 음악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세 번째 부분은 설문 조사를 통해 교양음악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연구한 자료들을 통해 대학에서의 교양음악교육 현황에 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교양음악과목은 주로 선택 영역에서 행해지고 있으며 적게는 2개에서 많게는 12개, 즉 평균 6개의 음악관련 교양과목들이 개설되어 학생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교양음악과목의 개설에 있어서 각 대학의 음악관련학과의 개설 여부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각 대학의 교양음악과목의 수업 내용별 구성에 있어서는 서양음악 위주의 수업이, 수업 유형별 구성에 있어서는 ‘이해 영역’인 이론 위주의 수업이 구성되어 내용과 유형에 있어 특정 측면에 치우진 경향을 보여주고 있었다. 다음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교양음악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에 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학생들의 음악적 배경은 대다수의 학생들이 음악에 관심이 많고 음악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이었다. 둘째, 음악교육에 대해 학생들은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음악교육은 필요하며, 대학에서의 교양음악과목의 필요성을 중요시 여기고 있었다. 셋째, 수강했던 교양음악과목에 대해서는 만족하는 학생과 불만족하는 학생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음악과목에 대한 재차 수강의사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학생이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넷째, 교양음악과목이 나아갈 방향성에 대해서 학생들은 내용적 측면에서 대중음악을, 유형적 측면에서 실기 위주의 수업을 원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 및 결론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음악의 기초’나 ‘음악학 입문’과 같이 모든 음악의 근간이 되는 음악적 기초 지식을 쌓을 수 있는 음악과목을 ‘필수’ 교양 영역에 속하게 하여 모든 학생들이 필수적으로 이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음악생활을 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교양음악과목의 내용별 구성에 있어서 장르의 균형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한 장르에 치우쳐 편협한 음악적 시각을 갖지 않도록 서양음악 위주의 과목구성에서 벗어나 다양한 장르의 음악교육을 접할 수 있게 하여 폭넓은 음악적 경험을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과의 꾸준한 피드백을 통해 제대로 된 수요조사를 하여 실기 과목의 수를 늘릴 것을 제안한다. ‘부전공 악기’ 강의를 개설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실질적이고 의미 있는 음악활동을 체험할 수 있게 할 것을 제안한다.

      • 의과대학 음악교양교육의 방향에 대한 연구 : 신향의과대학을 중심으로

        펑얀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727

        대학교육은 사회 발전에 적응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양화된 사회 발전과 지식 사회의 도래, 그리고 뉴미디어 전파 시대의 배경에서 대학교육은 다양하게 발전할 것이다. 전문교육은 상대적으로 안정하게 발전한 상황에서 교양교육은 대학교육의 주목점이 될 것이다. 대학 음악교양 과정은 창의적이고 종합적인 인재를 양성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 과정은 새로운 시대를 맞아 어떻게 개선 및 추진하는지를 핵심적으로 다루었다. 본 연구는 인터넷 뉴미디어 교육 플랫폼에서 개설한 예일대학교의 《음악감상》, 미주리주립대학교의 《세계음악개론》, 닝보대학교의 《음악과 건강》세 과정을 사례로 연구의 이론적 틀을 마련하여 교육의 배경 특징, 교수방법, 평가방식 등 측면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해당 과정의 수업 패턴 특성을 밝혔다. 또한 이 과정들의 수업 모델을 의과대학 음악교양교육 실험적으로 적용하도록 하고, 실험 과정의 효과를 분석 및 평가하였다. 나아가 과목 운영 평가결과를 결합하여 의과대학 음악교양과정을 설치함에 학과 계열별의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의과대학 음악교양과정의 발전 핵심점을 짚어보고, 또한 미래 음악교양교육의 연구를 대학 교양과정 연구에 확대 발전 및 제시하였다. 이상 연구를 통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교수 활동의 조직과 실행에 있어 교사의 종합적인 역량을 향상시켜야 하며 뉴미디어 교육 패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또한, 과정 구축과 학과 발전에 있어 타인의 교육 모델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을 피하여야 하며, 객관적 조건과 배경을 결합함으로 특색 있는 음악교양교육 과정 내용 체계를 구축하고 음악이 다른 학과의 교차점을 발굴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음악교양 교육은 과정의 실용적 가치를 실현함과 학생들의 인생체험을 풍부하게 하는 것이 관건이다. 따라서 교수이념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보완하여야 한다. 이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의과대학 음악교육자 및 연구자에게 실질적인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 의과대학 음악교양교육의 발전을 위한 효과적이고 건설적인 제안을 제공하였고, 또한 대학 음악교육의 이론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확장하고자 하는 데 기여하였다. The purpose of university education is to cultivate talents who adapt to social development. With the development of a diversified society and the advent of a knowledge society, university education will inevitably develop in a diversified direction. With the relative stability of professional education, general educ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focus of university education. The university music general education course is a general education course for cultivating innovative and comprehensive talents. How to improve the curriculum education under the influence of new media education platform and technology is the focus of this article. This article takes three different types of general music courses in the online new media education platform, <Listening to Music> from Yale University, <Introduction to World Music> from Missouri State University, and <Music and Health> from Ningbo University as example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research, comprehensive analysis of curriculum background characteristics, curriculum teaching content,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Through cours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ing mode of these courses are obtained, and then the teaching mode of these courses is applied to the practice of university music general courses, and the experimental teaching is evaluated and analyzed. Combining the results of the teaching experiment evaluation, I put forward my application design plan for the general music courses in medical universities. In this way, we can discuss the key points of the current university music general curriculum education development, and promote and realize the expansion of music education research in the university general curriculum research in the era of new media. Through research, this article will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n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teaching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mprehensive ability of teachers and the use of new media education models. Second, in terms of curriculum construction and subject development, the teaching model cannot be copied. It should be combined with objective conditions and background to build a characteristic music education curriculum content system and explore music interdisciplinary points. Third, the key point of music education is to realize the practical value of curriculum educ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enriching students' life experience, so the educational concept must be continuously explored and improved. Through the research of this paper, I hope to provide some practical reference for university music educators and researchers, and provide effective and constructiv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music general courses, and continue to enrich and expand university music general education The theoretical results.

      • 중국 전통악기 고금(古琴) 연주 교양음악교육이 중국 대학생의 문화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홍우 세한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727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생의 문화정체성을 높이는 데 중국 전통악기 중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무형문화제’ 악기인 고금 연주 교양음악교육의 영향과 이 영향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확 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중국 서안, 상하이, 북경 세 개 대학에서 교양 고 금 연주 교양음악교육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을 7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를 SPSS 26.0, AMOS 26.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 고금 연주 교양음악교육이 대학생 문화정체성에 미치 는 영향, 그리고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여자 대학생 악기를 배운 경험이 있는 대학생 또는 예술전 공의 대학생들이 고금연구 음악교육, 학습몰입, 문화정제성이 더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금 연주 교양음악교육이 대학생의 문화정체성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학습몰입은 부분매 개효과를 가졌다. 연구결론: 이 연구는 대학생들이 자신의 문화적 뿌리와 현대 사회에서 의 위치를 어떻게 탐색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교육 기 관이 문화정체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진하는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주요어: 고금 연주 교양음악교육, 중국 대학생, 문화정체성, 학습몰입, 매 개효과

      • 중국 전통악기 호금(二胡) 연주 교양음악교육이 중국 대학생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정서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소 세한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727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생의 정서조절 능력을 높이는 데 있어 중국 전통 악기 중 가장 오래된 악기 중 하나인 호금의 연주를 통한 음악교육의 영향 또는 이 영향 관계에서 정서경험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중국 서안지역 4개 대학에서 호금 연주 교양음악 교육 16주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 6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수집한 데이터를 통해 대학 호금 연주 교양음악교육이 대학생 정서조 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 중에서 정서경험의 매개효과를 SPSS 26.0, AMOS 26.0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술전공의 대학생 그리고 악기를 배운 경험이 있는 학 생들의 호금 연주 교양음악교육, 정서경험, 정서조절에 있어 효과가 더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호금 연주 교양음악교육이 대학생의 정서조절 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정서경험은 부분 매개효과를 가진다. 결론: 저이러한 연구 결과는 호금 음악 연주 교양 음악교육이라는 특정 한 문화적 맥락 속에서 중국전통음악이 대학생들을 위한 교육 및 치료 프 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주요어: 호금 연주 교양음악교육, 중국 대학생, 정서조절, 정서경험, 매개 효과

      • 대학교양음악교육에 대한 연구

        양은영 숙명여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9727

        Music education corresponding to the purpose and veins of the general education course hasn’t livened up to its function and role supposed to be taken as a general music course. To this end, this text at first, assorts, compares and analyzes the contents and course of the textbook of the university general educational music course according to the subjects and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current university general music course. Secondly, it surveys about the consciousness of the general educational music university students feel and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level about the general educational music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music education and general course which will shed the light on the problems of the university general music. Thirdly, it emphasizes the necessities of the educational music course and the way the music education should lead as one of the university general educational course and to present the basic documents for the studies to develop the diverse, efficient and beneficial education. We have surveyed and investigated the general educational course of the 23 universities registered on the internet and the handbooks of the 43 universities to investigate the general education course of the university and performed a questionnaire to the university students currently taking lectures of the educational music course in the 4 university students located. According to this we think the follow should be implemented to develop it. Firstly, more systematic general education divided with the semester and grades should be done. Secondly, in-depth and professional education about the general music course should be done. Thirdly, diverse courses taking the student’s demand into consideration are required. Fourthly, appropriate materials with the development level of the society should be used Fifthly, the professor in charge of should devote time and efforts to develop a new teaching method and qualities. Sixthly, more devotion and research should continue to make an evalu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the music. Finally, the conscious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music which have played a critical role as a whole personality education are required and the research about the academic educational music course for the efficient music study and consciousness reform of the general music education as an academic. To make the above result more meaningful documents for the development of the qualities of our university music education and the whole personality education beyond the research, more concrete implementation plan and studies should continue and above all, an efficient and meaningful administration and aggressive consideration of the respective universities are imminent. 오늘날 국가적 흥망과 사회가 요구하는 인간상은 조화롭고 전인적인 인간이다. 특별히 사회 진출을 앞둔 대학생들에 있어서 창조적 지식과 함께, 풍부한 교양과 바른 인간성은 그들이 갖추어야 할 중요하고 기본적인 인간형성의 기틀이다. 이러한 교양교육을 위한 대학의 교양교육과정은 전공이수와 학점 이수를 위한 교양과목으로 전락해 버린 실정이다. 이러한 가운데 교양교육의 목표와 그 맥을 같이 하고 있는 음악교육은 교양음악으로서의 그 구실과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그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글은 첫 번째, 대학 교양 과정에서의 교양 음악의 교과과정과 교과내용을 분류, 비교, 분석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는 대학 교양 음악의 실태를 조사하고 두 번째, 현재 대학생들의 교양음악에 대한 의식을 조사하여 그들의 교양과정과 음악교육에 대한 이해, 교양음악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여 대학교양음악의 문제점을 밝히고 세 번째, 앞으로 대학 교양 과정으로서의 음악교육이 나아갈 바와 교양 음악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며, 교양 음악의 유익하고 다양하면서도 효율적인 개선 방안연구를 위한 기본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현행 대학교에서의 교양교육과정과 설문지를 통한 교과내용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조사 분석한 결과 교양과정으로서의 음악 교육에 대해 많은 학생들은 교양음악이 그들의 전인적인 품성과 정서에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며, 그 가치와 필요성을 절실히 인식했지만 교양음악과목의 질적, 양적인 저하로 그에 대한 교양음악의 만족도는 상당히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각 대학 당국의 잘못된 교육과정으로 인해 교양교육이 1학년에 편중되어 실시되고 있었고, 교과의 내용조직과 교육내용에도 많은 문제를 드러냈다. 수업 환경적인 면에서도 낙후성을 면치 못하고 있었으며, 또한 다른 과목에 비해 음악교과는 교수의 역할과 자질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시간강사에게 의존하고 있었으며, 음악교육에 대한 학문적 인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개선방안으로 첫째, 보다 체계적인 학기, 학년별의 교양수업이 이루어져야한다. 둘째, 음악교양에 대한 더 깊이 있고 전문적 교육이 실행되어져야 한다. 셋째, 학생들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다양한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 넷째, 사회의 발전수준에 맞는 적절한 기자재를 사용해야 한다. 다섯째, 가르치는 담당교수는 새로운 교수법과 자질에 대한 시간과 노력의 투자가 필요하다. 여섯째, 음악의 특성에 맞는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더 많은 투자와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인교육으로서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음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효과적인 음악의 학습을 위하여, 학문으로서의 교양음악교육에 대한 연구와 인식개혁이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가 연구에 그치지 않고 우리의 대학음악교육의 질적 향상과 대학생들의 전인교육에 의미 있는 자료가 되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행계획과 연구가 계속되어져야 하겠고, 무엇보다 각 대학들의 효율적이고 의미 있는 행정과 적극적 배려가 필요할 것이다.

      • 일반대학에서의 교양음악교육 실태조사연구(서울지역 중심으로)

        나상미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교양과목이 대학에 개설된 이래, 교양교육의 중요성을 주장하는 수많은 의견과 논문, 연구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어왔다. 그 중 필자가 논문주제와 연관하여 주의 깊게 살펴본 것은 과거로부터 현재까지의 교양교육에 대한 논문이었다. 이들 논문은 교양교육법령의 연대기적 변화, 선진국의 교양교욱, 교양교육에 대한 영향조사, 실태조사 등의 주제를 다루었는데, 특히 교양음악교육과 관련한 논문은 대부분 실태조사, 의식조사, 현황조사 등의 주제가 주류를 이루었다. 여기서 필자는 대부분의 논문들이, 연구가 행해졌던 그 ‘당시’의 음악교육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에 각 시점을 연결하는 연대기적 접근방법의 필요성, 그리고 연구자들이 그토록 한결같이 외쳤던 교양음악교육에 대한 개선점이 현재의 음악교양과목에 얼마나 반영되어졌는가의 결과정리가 필요하다고 느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소재 10개 대학의 음악교양과목을 분석하여 연도별 변천사와 각 대학의 특성에 따른 분류, 개설강의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연도별 변천사를 통해 음악교양과목을 분석한 결과, 국가의 교육관 및 시스템, 시대적 상황 등의 사회적 변인과 교육간의 밀접한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1970년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교양음악과목은 비약적으로 증가했으며 과목의 유형변화 또한 엿볼 수 있었다. 셋째, 대학의 교육인프라가 교양음악과목에 미치는 영향이 큼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종래의 구태에서 벗어난 다양한 주제접근과 수업방식의 변화, 시대에 조류에의 부응 등의 개선노력이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미약하나마 교양음악과목에 대한 개선의 흔적이 보임을 알 수 있으며, 이의 활성화를 위해 대학과 국가의 인적, 물적, 정책적 지원 및 연구, 인식의 개혁이 필수적임을 다시 한 번 상기케 된다. Since the cultural education has been established in university, many opinions, papers and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on asserting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I have chosen papers that are related to cultural educations. These paper's subjects were chronical change in education laws, cultural education in advanced countries and influence of cultural education of music. I have noticed that most of the paper is focused on the music education at the time when the paper was written. So at this point, chronical approach is needed and find out how the researcher's indication on how to improve the cultural education of music have been reflected on today's cultural education of music. In this paper, cultural education of music in 10 university of Seoul regions have been analyzed to find out chronical progress, special features among universities, contents of the cultural education of music. First, by analyzing chronical changes, social factor such as point of view of the country, system and the state of the era have close relation with the educations. Second, since 1970s the cultural education of music has been increased in size and type change. Third, the influence of infrastructure of the university on cultural education was critical. Fourth, there were efforts on improving the education by finding new approaches to subject and changing the education method. Upon these analysis, there were efforts on improving cultural education on music. To activate the improvements of cultural education of music, human, material, political support and research of the university and country is necessary.

      • 부산지역 대학교 교양 음악교육 실태조사 연구

        심소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국내 대학 교양과목 중 음악교양과목의 실태파악에 일조하고자 부산소재 4년제 종합대학 총 13개의 대학교를 대상으로 교육목표, 교육과정 및 교양과정, 교과목, 교과목 개요를 바탕으로 각 대학별로 개설되어 있는 교양음악과목 및 수업방법, 학생 수와 음악학과 유무, 학생 수에 비례한 음악교양과목 수, 음악학과 유무에 따른 음악교양과목 수, 교양음악과목 구성별 비교를 통해 분석하였다. 각 학교의 음악교양과목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대학 개설되어 있는 교양음악과목은 모두 교양필수 과목이 아닌 선택과목으로 구성되어있다. 교양음악과목 현황을 살펴보면 2016학년도 기준 평균 4개의 과목이 개설되었고 적게는 1과목 많게는 10과목으로 학교별 편성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음악과목의 수업방법을 이론과 실습으로 구분해보았을 때 실습과목은 총 57과목 중 6과목으로 10%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를 보아 이론과목에 비해 실습과목의 개설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대학의 학생 수에 비례한 다수 교양음악과목 개설 현황은 고신대학교-부산교육대학교-경성대학교-동서대학교-신라대학교-부산가톨릭대학교-부산대학교-부산외국어대학교-동의대학교-부경대학교-한국해양대학교-동명대학교-동아대학교 순으로, 학생 수에 비해 교양음악과목이 가장 많이 개설되어있는 학교는 고신대학교였고, 가장 작게 개설되어있는 학교는 동아대학교로 나타났다. 넷째, 각 대학의 음악학과 유무에 따른 교양음악과목 개설현황은 음악학과가 있는 대학의 교양음악과목 개설 수는 평균 6과목이었고, 반대로 음악학과가 없는 대학의 교양음악과목 개설 수는 평균 3과목이었다. 음악학과가 있는 대학에서는 교양음악과목 수강선택의 폭이 2.3배 넓은 것으로 대학의 음악관련 학과의 유무가 교양음악과목의 개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산지역 대학교양음악교육은 주로 20C이전 서양 순수음악을 위주로 교육되고, 융·복합교육은 주로 음악대학이 있는 학교에서 개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은 분석결과로 볼 때 아래와 같은 사항들이 반영되면 더욱 효율적인 대학 교양음악교육이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첫째, 교양음악교육 또한 ‘기초 글쓰기’, ‘기초 회화’처럼 ‘기초음악이론’, ‘생활 속 음악’ 등 쉽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과목들로 개설되어 모든 학생들이 이수 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개편되었으면 한다. 둘째, 비전공자들을 대상으로 1:1 개인 레슨형식의 수업은 불가능하지만 ‘교양 합창’이나 ‘교양 합주’등 단체 음악활동과목 개설로 실질적이고 의미 있는 음악활동을 체험할 수 있게 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교육과정 상의 형식적인 개설이 아니라 학생들이 희망하는 ‘독특한 활동 혹은 체험을 할 수 있는 교양’, ‘인성을 높이고, 폭넓은 지식을 쌓을 수 있는 교양’을 고려하여 다양한 유형의 과목이 균형 있게 개설되어 학생들이 폭넓은 음악적 경험을 할 수 있게 한다.

      • 대학교 교양과목으로 개설된 음악 관련 교과 분석 : 대전지역 대학교를 중심으로

        변서연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3343

        This study examines liberal arts and music education, based on which it comparativel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urriculums in 8 four-year universities in Daeje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include theoretical background of liberal arts and music education, legitimacy of music education as liberal arts based on the above, and cases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urriculums in universities overseas. This study then investigates the objectives of education, liberal arts curriculums and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of 8 universities in Daejeon sele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In addition,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each university are comparatively analyzed by categorizing them into four items: current state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composition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whether there is a music department, and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ie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and analyzing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each university. First, the biggest number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university was in KAIST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followed by Mokwon University, Korea Baptist Theological University/Seminary, Pai Chai University, Daejeon University, Hannam University, Hanbat National University and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AIST and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ad the highest ratio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compared to the number of students, showing about 35 times difference in terms of ratio. Second, a classification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each university by field, genre and connectivity shows that there are more courses on theory than practice, with 5.5 times more courses in Western music than Korean music. In addition, convergence courses were all in private universities. Third, a classification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regarding whether there is a music department shows that universities with a music department had 9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on average, and those without a music department had 6 courses. Universities with a music department had 1.48 times more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than those without, indicating that the existence of a music department has an effect on the number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Fourth, a classification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according to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ies shows that there are about 3 times more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private universities than national universities in general. However, there were a few exceptions in which a national university has many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or a private university has only a few, depending on its goal of liberal arts education or educational policy.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makes a few suggestions for more effective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Fir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Students will be able to more frequently receive music-related liberal arts education if such courses are included i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as the basic liberal arts courses for freshmen or a program that must be completed before graduation. Second, there must be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terms of practice and training. The portion of practice must be increased within the regular liberal arts curriculum in universities so that students can have more direct experiences with music and increase the level of interest and focus. Third, there is a need to increase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the genre of Korean music. Courses that provide simple interpretation of gugak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practical training of gugak for actual experience must be increased in order to perceive the need for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Korean music. Fourth, it is necessary to increase convergence courses with connectivity to other fields. By constantly studying convergence courses and linking them with other fields, it will be possible to lead to liberal arts education that creates values meeting the goal of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교양교육과 음악교육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전지역 8개 4년제 대학교의 음악 관련 교양교육과정의 현황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내용은 교양교육과 음악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양교육으로써의 음악교육의 당위성과 외국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음악 관련 교양과정에 대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선정된 대전지역 8개 대학의 교육목적, 교양과정, 음악 관련 교양과목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대학별 음악 관련 교양과목을 음악 관련 교양과목 개설 현황, 음악 관련 교양과목 구성, 음악과 유무, 국립대학과 사립대학의 네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각 대학별로 음악 관련 교양과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학생 수에 비례한 음악 관련 교양과목 개설 현황은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목원대학교-침례신학대학교-배재대학교-대전대학교-한남대학교-한밭대학교-충남대학교 순으로 많았으며 학생 수에 비해 음악 교양과목 비율이 가장 높은 카이스트와 충남대학교는 비율 수치가 약 35배 차이를 보였다. 둘째, 대학별 음악 관련 교양과목이 구성된 분야, 장르, 연계성의 항목에 따라 분류해보았을 때 실기보다는 이론 목적의 교양수업이 많으며 한국 음악보다 서양 음악 과목이 5.5배 더 많이 개설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융·복합 수업이 이루어지는 과목은 모두 사립대학에 개설되어 있었다. 셋째, 음악과가 존재하는가의 여부에 따른 음악 관련 교양과목을 분류해보았을 때 음악과가 있는 학교는 음악 관련 교양과목이 평균적으로 9과목 개설되어 있었고, 음악과가 없는 학교는 6과목이 개설되어 있었다. 음악학가 있는 학교가 없는 학교보다 음악 관련 교양과목이 1.48배 정도 더 많이 개설되어 있어 음악과 존재 여부가 음악 관련 교양과목 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립대학과 사립대학에 따른 음악 관련 교양과목을 분류해보았을 때 대체적으로 사립대학에 개설된 음악 관련 교양과목 수가 국립대학보다 약 3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대학마다 교양교육의 목표나 교육 정책에 따라 국립대학임에도 음악 관련 교양과목 개설 수가 많거나, 사립대학임에도 음악 관련 교양과목 개설 수가 적은 예외의 경우도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더욱 효과적인 음악 관련 교양교육이 되기 위한 몇 가지 방안들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음악 관련 교양과목 수의 증설이 필요하다. 음악 관련 교양과목을 교양 과정의 커리큘럼에 편성하여 학부의 신입생을 위한 기초 교양과목이나 졸업 전까지 이수하는 한 과정으로 선정하면 학생들이 음악 관련 교양교육을 받을 수 있는 빈도수가 많아질 것이다. 둘째, 실기 분야의 음악 관련 교양과목의 중요성을 더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대학교의 정규 교양교육과정 안에서도 실기의 비중을 늘려 학생들로 하여금 음악에 대한 직접적인 체험 기회와 관심도의 집중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한국 음악 장르의 음악 관련 교양과목을 늘려야 한다. 국악에 대한 쉬운 해설과 실제 체험해 볼 수 있는 국악 실기 과목을 늘려 한국 음악 장르의 음악 관련 교양과목의 필요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넷째, 타 영역과 연계성을 가진 융·복합 교양과목을 증설할 필요가 있다. 타 영역과 융·복합된 과목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여러 분야와 연계시킨다면 교양기초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 가치 창출적인 교양교육으로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 한·중 대학의 교양 음악교육 연구 : 6개 대학 현황 및 비교를 중심으로

        쥐롱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3342

        21세기에 접어든 오늘날, 우수하고 종합적인 소양을 갖춘 복합형 인재가 점점 더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인재 양성 과정에서 음악교육은 더욱 커다란 추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대학의 음악교육은 일정한 발전을 통해 이미 커다란 성과를 거두었지만 아직까지 충분히 성숙된 단계에 이르지 못해 대학생들의 음악교육에 대한 절실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사회주의 현대화 건설에 필요한 우수한 인재에 대한 요구 역시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대학의 교양 음악교육을 어떻게 전개할 것인지는 교육 종사자들이 당면한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국제적 시각으로 한국 대학의 교양 음악교육에 대한 발전 상황을 참조, 교육에 대한 개인적인 실무 경험을 결합하여 중국 교양 음악교육을 객관적으로 고찰하고 분석하고자한다, 또한 미흡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건의와 조치를 제시하여 더욱 적절하게 대학 교양 음악교육 활동을 지도함으로써 중국 대학 교양 음악교육의 발전을 추진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법, 설문조사법, 경험요약법, 통계학 분석 등 다양한 연구방법이 결합된 방식을 사용하여 한국의 인하대학교, 계명대학교, 경기대학교와 중국의 정주대학교, 화북수리수전대학교, 하남재경정법대학교 등 6개의 대표적인 한·중 대학의 대학생에 대한 교양 음악교육 현황 조사를 위해 1000부의 설문조사를 배포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해당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 및 분석을 통해 양국 일반 대학교 교양 음악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한국 대학의 교양 음악교육에서 중국이 참조하고 배울만한 부분을 도출하며, 이를 토대로 중국 대학의 교양 음악교육 발전을 추진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크게 3개 부분, 5개 장으로 구성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부분은 서론으로 제 1장의 내용이며, 연구의 목적과 범위, 연구의 내용과 방법 그리고 국내외 관련 연구 현황을 서술하였으며, 연구의 이론적 가치와 실제 의미를 서술하였다. 둘째 부분은 본론으로 제 2장, 제 3장과 제 4장의 내용을 포함한다. 제 2장은 한 중 양국 대학의 교양 음악교육 현황과 그에 관련한 조사이며, 설문조사는 주로 학생들의 기본 음악 교양 과정, 교양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 교양 음악 교수의 교양, 교습 시설, 과목 설치와 교재 사용 상황, 교습 내용과 교습 방법, 교내외 예술 실천 등 7가지 측면의 내용으로 구성하였고, 이에 대한 데이터 통계를 진행하였다. 제 3장은 제 2장을 기초로 한·중 양국의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한·중 양국 대학의 교양 음악교육 현황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가치 있는 결론을 도출하였고, 제 4장은 제 3장을 기초로 중국 대학교 교양 음악교육에 존재하는 문제에 대한 분석과 그 해결 방법과 전략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셋째 부분은 결론으로 제 5장의 내용이 이에 해당하며, 본 연구에 대한 총괄적 서술과 중국 대학의 교양 음악교육에 대한 전망과 미래 모습을 살펴보았다. 요컨대 대학교 교양 음악교육이 이상적인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의 조합과 협력이 필요하며, 이에는 국가 교육부의 대학교 교양 음악교육에 대한 거시적 조절, 학교 기구의 교양 음악교육에 대한 중시, 학교가 제공하는 음악교육 교습 설비 및 장소, 교양 음악교육 종사자의 종합적인 소양, 비음악 전공 학생의 음악 교양과목에 대한 태도와 취미 등이 포함된다. 대학교 음악교육은 수업만을 진행해서는 안 되고, 학교 예술 문화와 긴밀하게 연결되어야 하며, 학교 예술 활동의 전개를 통해 지루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이론 지식을 실천 활동에서 깊이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는 학생이 음악지식을 활용하게 만들고 또한 교습활동을 더욱 다채롭게 만들 수 있다. 대학교의 교양 음악교육 실시는 종합적인 교양교육을 추진하는 복잡하고 어려운 임무이며, 방대한 규모를 지닌 체계적인 프로젝트이다. 따라서 우리는 교양 음악교육 종사자로서 뜨거운 열정과 깊은 책임감으로 계속 노력하여 교양 음악교육의 새로운 국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기여해야 한다. The 21st century calls for high-quality versatile talents. In the process of training such talents, music education will play a greater role in promoting. In recent years, music teaching in Chinese universities has made great progress, but it is still immature as it can neither meet the urgent requirements of college students for music education nor meet the higher requirements of socialist modernization for talents. Therefore, how to carry out public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more effectively is an important topic for educators. The author hopes to objectively examine, analyze and perfect China’s public music education from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taking the development of public music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as a reference and combining with her own teaching practice, and put forward suggestions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so as to better guide the public music education activities in universities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public music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This paper adopts a combination of literature research, questionnaire survey, experiential summary, statistical analysis and other research methods. In view of the current situation of public music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the author issued 1,000 questionnaires to six representative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nd China, namely, Inha University, Keimyung University, Kyonggi University, Zhengzhou University in China, North China University of Water Resources and Electric Power, and Henan University of Economics and Law. Through investig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the author understands the current situation of public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in the two countries, finds out the highlights in public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in South Korea that are worthy of study by China, and thus promotes the development of public music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The paper is composed of three parts or five chapters: The first part: introduction The first part is composed of the first chapter. It illustrates the purpose and scope as well as the content and methods of the study, the research status at home and abroad, and the theoretical value and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study. The second part is the main body, composed of the second, third and fourth chapters. The second chapter is an investigation on the current situation of public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nd China. The questionnaire is mainly based on the basic music literacy of students, the understanding of public music education of students, the quality of teachers for public music, teaching facilities,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usage, teaching content and methods, and artistic practice both inside and outside universities. The survey results are statistically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n the second chapter, the third chapter compares and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public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nd China and sums up valuable conclusions from it. Based on the third chapter, the fourth chapter puts forward solutions and strategies by analyzing the problems existing in the public music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The third part is the conclusion, composed of the fifth chapter. This part makes a summary statement of the article and the prospect and assumption of public music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To sum up, it requires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from many aspects for the public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to achieve ideal effects, including: the macro-control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on the public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the importance attached by the leadership of universities to public music education; Equipment and places provided by universities for public music education and teaching; The comprehensive quality of public music educators; The attitude and interest of non-music major students towards music elective courses, etc. Public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should not only focus on classroom teaching, but also closely integrate with campus art and culture. Through the development of campus art activities, the dull and puzzling theoretical knowledge can be deeply understood. Those activities not only train students, but also enrich teaching. The implementation of public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is an arduous task and a large-scale systematic project to comprehensively promote quality education. As public music educators, we should make unremitting efforts with full enthusiasm and high sense of responsibility to make positive contributions to create a new situation of public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21世纪的今天,需要的是高素质的复合型人才,在培养这种人才的过程中,音乐教育将产生更为巨大的推动作用。近几年,中国普通高校的音乐教学已有了较大发展,但仍然处于不成熟阶段,既不能满足大学生对音乐教育的迫切要求,也不能适应社会主义现代化建设事业对人才的更高要求。因此,如何更加富有成效地开展普通高校公共音乐教育是教育工作者面临的一个重要课题.笔者希望从国际视角出发,以韩国普通高校公共音乐教育的发展状况作为参照,结合自身的教学工作实践,对中国的公共音乐教育进行客观地审视、分析和完善,提出改进的建议和措施,以便更好的指导高校公共音乐教育活动,促进中国普通高校公共音乐教育的发展。 本文采取了文献研究法、问卷调查法、经验总结法、统计学分析等多种研究方法相结合的方式,针对大学生的公共音乐教育现状,对韩国的仁荷大学、启明大学、京畿大学和中国的郑州大学、华北水利水电大学、河南财经政法大学这六所具有代表性的高校发放1000份调查问卷,通过调查比较分析,了解两国普通高校公共音乐教育的现状,找到韩国普通高校公共音乐教育中,值得中国借鉴和学习的地方,从而促进中国普通高校公共音乐教育的发展。 全文从三个部分,五个章节进行了研究: 第一部分:首论,包括 第一章节内容。阐述了研究的目的和范围、研究的内容和方法以及国内外研究现状,并阐明研究的理论价值与实际意义。 第二部分:本论,包括第二章节、第三章节和第四章节内容。第二章节是关于韩中两国普通高校公共音乐教育现状的调查。调查问卷主要从学生的基本音乐素养、学生对公共音乐教育的认识、公共音乐教师素质、教学设施、课程设置和教材使用情况、教学内容和教学方法、校内外艺术实践等七个方面的内容着手,对调查结果进行数据统计。第三章节是根据韩中两国问卷调查的结果,对韩中两国普通高校公共音乐教育的现状进行比较分析,从中归纳、提炼出值得借鉴并且有价值的结论。第四章节是通过分析针对中国普通高校公共音乐教育中存在的问题提出建议,寻找解决的方法与策略。 第三部分;结论。包括第五章内容。对文章做一个总结性的陈述以及对中国普通高校公共音乐教育的展望与设想。 总之,高校公共音乐教育要达到理想的状态,需要多方面的配合和协调,其中包括:国家教育部对高校公共音乐教育的宏观调控;学校领导机构对公共音乐教育的重视;学校为公共音乐教育教学提供的设备、场所;公共音乐教育工作者的综合素质;非音乐专业学生对音乐公选课的态度和兴趣等。普通高校公共音乐教育不能只围绕着课堂教学,要与校园艺术文化紧密结合。通过开展校园艺术活动,把比较枯燥、较难理解的理论知识在实践活动中得到深入认识和理解。这样既锻炼了学生,又丰富了教学。贯彻实施高校公共音乐教育,是全面推进素质教育的一项繁重而又艰巨的任务,是一项规模宏大的系统工程。我们作为公共音乐教育工作者要以饱满的热情和高度的责任感坚持不懈的努力,为开创高校公共音乐教育的新局面做出积极的贡献!

      • 대학교의 음악관련 교양과목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기혜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329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implications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and analyze the Liberal Arts courses focusing on music education in order to explore the direction for our advanced music education.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analyzed relevant literature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s a result of analyzing and comparing the Liberal Arts curriculums at universities, it was found that only two universities were appropriately operating their Liberal Arts courses related to music with well-organized classes in terms of region, period, and goal. Most of the Liberal Arts courses at universities were not diversified but biased, lacking the linkage with other courses.As a consequence of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by students and professors, it was concluded that the most important aspect for both students and professors was to control the number of students enrolled for each Liberal Arts subject, and they wanted to have numerous kinds of classes and differentiated courses with proper levels. In addition, they hoped to replace the old classroom facilities and the practical class with an updated curriculum.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diverse and effective classes should be organized for the Liberal Arts courses, and each classroom should consist of 40~50 students. Moreover, the classrooms which are organized according to students'' levels and practical classes, such as ''Lberal Arts Choir'' or ''Liberal Arts Orchestra'', are suggested.In addition, it is required for the universities to recruit special assistants only for classes and to support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the sound effect equipment, while developing more classes focused on music. 본 연구는 대학에서 교양교육이 지니는 의미를 살펴보고 교양교육과정을 분석하며, 그 중에서 특히 음악 교육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점검하여 앞으로 우리나라의 고등교육에서 음악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자료 분석과 설문 조사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학교별 비교·분석을 해본 결과 지역별, 시대별, 목적별 개설과목의 고른 분포를 보인 학교는 2개교에 불과하였고, 다양하지 못하고 편중된 개설과목과 연계과목 부족 등의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학습자와 교수자의 설문을 통해 공통으로 얻어낸 결과로는 수강 시 가장 시급한 개선점으로는 인원수 조절을 제일 많이 선택하였고 다양한 과목의 개설 요구와 수준별 학습, 설비교체 등을 희망하였고, 향후 개설 희망 과목으로는 ‘실기’과목을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다양하고 현실적으로 개설 가능한 과목들이 구성되고, 40~50명 내외로 수강인원을 제한하고, 수준별 분반을 권하며, ‘교양 합창’이나 ‘교양 합주’ 등의 실기과목을 개설할 것을 제안한다.또한 강의전담 조교 문제와 음향기기의 설치와 관리에 있어 행정적 조치가 보강되어야 하고, 음악의 가장 기본이 되는 분야를 좀 더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과목들이 계발되었으면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