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만 5세 도담반의 실내놀이를 지원하기 위한 실행연구

        심소영 부경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lay-centered curriculum referred to in the revised nuri curriculum, and apply and implement a plan for real play practice to young children to find an appropriate support metho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9 boys, 5 girls and 1 teacher in a 5-year-olds class. According to Kemmis and McTaggart (1998) model, this research processed four stages of action. The four stages of problem identification and planning → execution → observation → reflection were used as the basic cycle and repeated until the problem was solved. The four stages of action is a process that is integrated with each other,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four stages should not be viewed as a single cycle, but must be repeated until improvement is achieved. In addition, they should have a cooperative and collective character, not individual.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the study model, the researcher practiced “waiting” to find the play that young children really want to do, and by supporting the expressed interests from the young children, indoor play centered on young children and play could be achieved. 'Waiting' has become a meaningful way for researcher to understand and positively recognize the expressive interests of young children. The researcher was able to identify the interest elements of the young children by observing the young children's play through 'waiting', and with the support of the appropriate researcher, indoor play young children are a main was achieved. Through this process,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e state of initiative and autonomous play than when children participated in play according to the previous curriculum.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the researcher did not admit learning based on the expressive interests of the young children. However, through the support for indoor play,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at young children voluntarily organize and participate in play, and it was found that the value of learning is much greater than the play planned by the teacher. In addition, with the support of the researcher's appropriate time, space, and play (materials), young children's voluntary and initiative indoor play could appear. 'Real play' and 'real learning' by young children's active participation in play appeared through appropriate support of the researcher. Through this, the researcher was able to admit the value of learning through expressive play of young children and to recognize the real owner of play was the young children. As such, the indoor play support process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young children and researcher. Young children were able to fully enjoy the play they really wanted to do, and researcher could be free from the burden of teaching something, and recognize the play young children wanted to do, and support to them according to what they want. In the future, when establishing a play support plan, the researcher will have to come up with a specific plan on whether appropriate support according to the young children's play process is appropriate, and when and in what way to support it. The researcher should be sensitive to the young children's various reactions in the play.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fants while promoting quality improvement of indoor play by providing specific directions for supporting indoor play along with understanding the play-centered curriculum.

      • 시민단체(NGO)활동가의 감정노동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활동가의 일 경험 중심으로

        심소영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노동(또는 일)의 관점에서의 NGO활동가의 활동을 감정노동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NGO활동가의 활동을 이런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 이유는 우선, 높은 도덕성을 요구받는 기존 관점에서 벗어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직업인의 관점에서 NGO활동가의 역할을 조망해 보고자 했기 때문이다. 노동의 관점에서 실제 NGO활동가들이 어떻게 NGO활동을 하고 있는가를 이해하는 것은 이후 NGO활동가 업무의 지속가능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NGO활동가의 활동을 ‘감정노동(emotional labor)’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유는 감정노동이 현대 자본주의의 대표적인 노동의 한 형태가 되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통계에 따르면, 세계적으로는 약 70%가량이 이 소비자의 감정 노동에 기반을 둔 서비스 노동에 종사하고 있으며, 한국의 경우 60%이상이 이와 유사한 업종에 종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이러한 감정노동 형태는 소비자입장에서도 매우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서비스의 한 형태가 되었기 때문이다. 즉, NGO활동가들은 이같이 감정노동 서비스에 익숙한 시민(시민인 동시에 소비자)들과 아주 일상적으로 소통해야만 하는 노동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그동안 NGO 단체중심의 인적자원 및 근무환경에 대한 연구는 있었지만, NGO활동가에 대한 일의 내용과 일의 의미, 특기 그들에 내면적 환경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기 때문에 감정노동의 틀로 이들 활동의 내적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일의 차원에서 들여다본 NGO활동가의 내적 상태에 대해 몇 가지 특징적인 부분이 발견되었다. 첫째, 대부분의 NGO활동가들은 NGO활동의 초기에 높은 수준의 도덕성과 선의를 가지고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이런 도덕성과 선의는 중장기적인 측면에서 일상적인 감정억압의 원인으로도 작용하고 있었다. 둘째, NGO활동가에서 있어서 일의 주도성(스스로 일을 계획하고, 실행하면서 주도하는 것)은 외적 보상(급여수준 등)이 크지 않은 대부분의 NGO활동의 환경에서는, 내적인 보상의 차원으로 작용하는 측면이 있었다. 그러나 이 주도성은 양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 주도성은 활동가 스스로 과도한 목표를 자발적으로 설정하게 하거나 무리한 업무수행을 유발하여 소진(burn-out)에 이르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NGO활동가들은 일(NGO활동)과 일상생활(개인생활)의 구분에 매우 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일과 개인생활이 잘 분리되지 않은 특성과 높은 수준의 도덕성(주변사람들의 NGO활동가에 대한 높은 도덕성 요구)과 NGO활동가 개인의 선의(善意)가 결합되면서, 감정억압을 매우 자주, 일상적으로 하는 원인(혹은 배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NGO활동가에게 있어서 감정표현규칙(감정노동의 기존 관점에서는 회사에서 구성원들에게 요구하고 있는 것)은 대부분 조직에서 정하는 것이 아닌, 자율적이고 스스로에게 맡겨진 어떤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다섯째, NGO활동가의 도덕적 이미지, 보상의 한 형태로서 일에 대한 주도성, 일과 생활과의 경계 모호성 등은 모두 일상적 감정억압을 하는 기제(쉽게 개인의 감정을 드러내지 못하게 하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적보상(급여수준 등)이 크지 않은 비영리조직의 경우, 내적보상 차원에서 선택하게 되는 일의 주도성과 내면행위(태도와 행동이 일치해야 한다는 감정노동 전략)에 대한 강박이, 역설적으로 소진을 일으키는 하나의 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NGO활동가의 조직에서도 어느 정도의 분명한 역할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있는 것이, 주도성으로 인한 과도한 업무나 역할에 대한 개인적 의미부여를 줄이고, 이것은 소진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즉, 대인관계에서 그 관계에 대한 감정표현규칙에 대한 가이드라인 있는 상태에서의 주도성이나 자율성을 늘려가는 방식이, 좀 더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NGO활동가의 소진을 막는 방법이라고 보여 진다. 본 연구는 주도성과 내면행위(태도와 행동이 일치해야 한다는 감정노동 전략)가 역설적으로 소진을 일으키는 하나의 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 기존의 감정노동 연구에서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또한 NGO활동가들에게 소진을 줄이는 하나의 대안적 관점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실무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regards work experiences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NGO) workers as emotional labors. It shows several noticeable findings. Firstly, the majority of NGO workers played their own role having keen senses of moralities and good intention. However there are possibilities that emphasis upon morality and good intention could lead workers to emotion suppression in daily life. Secondly, as motivations of NGO workers is derived mainly not from the extrinsic reward, but from the intrinsic reward. it turns out that NGO workers used to set up excessive goals or to overwork, the result of which would be feeling burn-out. Thirdly, NGO workers have a difficulty in distinguishing their personal life from the work, which seems to cause emotion suppression. Fourthly, the feeling display rule is determined by NGO workers themselves, not by an organization system. Lastly, the moral impression of NGO workers created by the public, motivations derived from the intrinsic reward and ambiguity between work and life, all these factors operates as a mechanism to suppress their emotion. Ironically, the obsession with taking initiative from intrinsic reward and deep acting(emotional labor strategy for attitude-behavior consistency) is a factor leading to burn-out, especially when the extrinsic rewards given to NGO workers used to be quite low. Furthermore, it is better for decreasing the level of burn-out to have a guideline determining their role clearly at work. In short, it is more stable and long-term strategy to prevent burn-out having NGO workers gain self-autonomy or initiative at work little by little under the firm feeling display rule so called guideline.

      • 부산지역 대학교 교양 음악교육 실태조사 연구

        심소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국내 대학 교양과목 중 음악교양과목의 실태파악에 일조하고자 부산소재 4년제 종합대학 총 13개의 대학교를 대상으로 교육목표, 교육과정 및 교양과정, 교과목, 교과목 개요를 바탕으로 각 대학별로 개설되어 있는 교양음악과목 및 수업방법, 학생 수와 음악학과 유무, 학생 수에 비례한 음악교양과목 수, 음악학과 유무에 따른 음악교양과목 수, 교양음악과목 구성별 비교를 통해 분석하였다. 각 학교의 음악교양과목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대학 개설되어 있는 교양음악과목은 모두 교양필수 과목이 아닌 선택과목으로 구성되어있다. 교양음악과목 현황을 살펴보면 2016학년도 기준 평균 4개의 과목이 개설되었고 적게는 1과목 많게는 10과목으로 학교별 편성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음악과목의 수업방법을 이론과 실습으로 구분해보았을 때 실습과목은 총 57과목 중 6과목으로 10%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를 보아 이론과목에 비해 실습과목의 개설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대학의 학생 수에 비례한 다수 교양음악과목 개설 현황은 고신대학교-부산교육대학교-경성대학교-동서대학교-신라대학교-부산가톨릭대학교-부산대학교-부산외국어대학교-동의대학교-부경대학교-한국해양대학교-동명대학교-동아대학교 순으로, 학생 수에 비해 교양음악과목이 가장 많이 개설되어있는 학교는 고신대학교였고, 가장 작게 개설되어있는 학교는 동아대학교로 나타났다. 넷째, 각 대학의 음악학과 유무에 따른 교양음악과목 개설현황은 음악학과가 있는 대학의 교양음악과목 개설 수는 평균 6과목이었고, 반대로 음악학과가 없는 대학의 교양음악과목 개설 수는 평균 3과목이었다. 음악학과가 있는 대학에서는 교양음악과목 수강선택의 폭이 2.3배 넓은 것으로 대학의 음악관련 학과의 유무가 교양음악과목의 개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산지역 대학교양음악교육은 주로 20C이전 서양 순수음악을 위주로 교육되고, 융·복합교육은 주로 음악대학이 있는 학교에서 개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은 분석결과로 볼 때 아래와 같은 사항들이 반영되면 더욱 효율적인 대학 교양음악교육이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첫째, 교양음악교육 또한 ‘기초 글쓰기’, ‘기초 회화’처럼 ‘기초음악이론’, ‘생활 속 음악’ 등 쉽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과목들로 개설되어 모든 학생들이 이수 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개편되었으면 한다. 둘째, 비전공자들을 대상으로 1:1 개인 레슨형식의 수업은 불가능하지만 ‘교양 합창’이나 ‘교양 합주’등 단체 음악활동과목 개설로 실질적이고 의미 있는 음악활동을 체험할 수 있게 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교육과정 상의 형식적인 개설이 아니라 학생들이 희망하는 ‘독특한 활동 혹은 체험을 할 수 있는 교양’, ‘인성을 높이고, 폭넓은 지식을 쌓을 수 있는 교양’을 고려하여 다양한 유형의 과목이 균형 있게 개설되어 학생들이 폭넓은 음악적 경험을 할 수 있게 한다.

      • 리듬체조 Stag Ring Leap 동작의 최적 모델링 연구

        심소영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리듬체조 Stag Ring Leap 동작의 최적 모델링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리듬체조 국가대표 선수 5명을 대상으로 Stag Ring Leap 동작을 3회 실시한 후 그중에서 가장 좋은 동작을 선택하여 7국면으로 구분하였다. 운동학적 변인들을 3차원 영상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얻었고, 자료처리는 K3D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과정에서 Excel(Version 7.0)을 활용하였다. 전체국면중 가장 중요한 마지막 스텝의 LFT3국면부터 최고점의 PP국면까지의 거리, 속도, 각도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LFT3국면에서 PP국면까지 수평이동거리는 114.9㎝, 수직이동거리는 58.1㎝를 이동하는 동작이 좋게 나타났다. 이상적인 Stag Ring Leap 동작의 높은 도약을 위해서는 마지막 스텝의 왼발이 지면에서 떨어질 때 신체 무게중심을 높게 유지하고, 슬관절각은 크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발구름 소요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2. 손의 이동속도는 오른손과 왼손이 LFT3국면에서 11.06㎧와 10.64㎧, LFO3국면에서 8.35㎧와 6.49㎧, PP국면에서 2.45㎧와 2.45㎧로 나타날 때 이상적이다. 상체가 Arch형을 이룰때는 손의 빠른 이동속도와 상지 견관절의 유연성, 그리고 경부와 흉․요부의 유연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3. PP국면에서의 오른쪽과 왼쪽의 각도에서 견관절각도는 259.5°와 252.8°, 슬관절각도는 77.7°와 87.1°, 고관절각도는 135.3°와 303.9°, 고관절 사이의 각도는 153.9°일 때 가장 이상적이다. 최고점에서의 가장 이상적인 동작을 위해서는 오른쪽 고관절과 슬관절의 빠른 굴곡과 왼쪽 고관절이 최대한 신전되도록 하고, 마지막 지면을 딛는 왼쪽다리 대퇴근력의 강화훈련이 요구된다. 특히 고관절 각도를 유지하기 위한 유연성과 근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4. Stag Ring Leap 동작의 보다 나은 최적 모델을 구하기 위해서는 운동학적 분석과 운동 역학적 분석이 접목될 때 최적화 모델이 정립될 것으로 보아 금후의 연구과제로 계속 되어야 할 것이다.

      • 현실치료기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상담이 여자비행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애착에 미치는 효과

        심소영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research is to prove the effect of art therapy with adaptation of real therapy on emotional regulation and peer attachment of juvenile delinquents who entered the juvenile protection education institution. The subject of study was conducted on 12 female juvenile delinquents who entered the juvenile protection education institution in A city in Gyeonggi Province. This group was commissioned by a counselor for lack of emotional regulation and peer attachment issues, and A group of six people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same group of 12 members was organized, and the other six agreed to organize the control group and conduct collective art therapy programs later. This research had been conducted at a total of 15 sessions, for 90 minutes once to two times a week, from June 2016 to August same years. The first 15 minutes consisted of homework inspection and presentation, guiding the program for 5 minutes, performing art activities for 40 minutes, and sharing feedback with each other for the remaining 30 minutes. As a measurement tool for research, quantitative analysis used that Oh Ji Hye(2010) reconstructed emotional regulation test based on research and development by Goleman(1996), Mayer(1994) and that Kim Tae Hyeong(2013) reconstructed peer attachment test based on research and development IPPA(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by Armsden & Greenberg(1987).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tested using a separate sample t-test using SPSS 24.0 to confirm that they were homogeneous. Afterwards, the experimental group stage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ith reality therapy techniques and analyzed the changes in stages. As a measurement tool for research, qualitative analysis used that the DAS(Draw-A-Story Test) was developed by Silver (1988, 2002) to see chang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a KSD(Kinetic School Drawing) developed by Prout and Phillips (1974) to see changes in peer attachment. Afterwards, the experimental group stage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ith reality therapy techniques and analyzed the changes in stages. The summary of the results obtained according to the theme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reality therapy with group art therapy of juvenile delinquents who entered the juvenile protection education program showed positive changes in emotional regulation. In comparison with the emotional regulation tests, the experimental group has increased by an average of 1.08. The experimental group had positive effects in all five areas : self-controlling and expression, emotional control and impulse control, use of self-impression,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of other people, and interpersona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rol groups. In the beginning, when negative emotions appeared, the work was not completed because of the lack of ability to work, and a fight broke out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blaming others. However, in the later,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its ability to emotional regulation, creating positive, future goals,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choices, and trust in themselves created and strengthened positive emotions. This allowed subjects to improve their emotional regulation by creating and strengthening positive emotions by selecting and implementing feasible ways to meet their needs. In addition, DAS (Draw - A-Story Test) was used for qualitative analysis of emotional regulationl. The dictionary showed aggressive or destructive emotions and lacked the ability to control them because there was no means to deal with them, but in the afterlife, negative emotions were reduced and positive. This suggests that the subjects ' emotional regulation has improved. Second, the reality therapy with group art therapy of juvenile delinquents who entered the juvenile protection education program showed positive changes in peer attachment. In comparison with the peer attachment tests, the experimental group has increased by an average of 1.49. The experimental group had positive effects in all three areas : communication, trust and aliena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rol groups. In the beginning, research subjects did not lend materials to each other, and there were fights. They also rarely spoke during the time when they exchanged feedback on homework. Later, however, they praised each other and thanked each other for distributing materials, helping friends in need, and giving feedback on assignments. This shows that research subjects have a positive effect on peer attachment by choosing and practicing what is feasible in a friendship. In addition, KSD(Kinetic School Drawing) was used for qualitative analysis of peer attachment. At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painted it out of tune with their friends. However, later, the group drew images of enjoying themselves with their friends. This shows that the subjects ' peer attachment have improv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verified that the reality therapy with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emotional regulation and enhancing peer attachment of the juvenile delinquents who entered the juvenile protection education institution. The reality therapy with group art therapy of this research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combined the reality therapy and art therapy and presented systematic and structured programs, showing effects in enhancing emotional regulation and enhancing peer attachment. As the juvenile delinquents in this research were the teenagers who entered the juvenile protection education institution in A city, it is hard to generalize the same results by applying it to all of the juvenile delinquents. In this respect, further researches should be done to generalize the results by expanding the range of the targets from different regions. 본 연구는 현실치료기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상담 프로그램이 소년보호교육기관에 입원한 여자비행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애착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A시에 위치한 소년보호교육기관에 입원한 여자비행청소년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집단은 정서조절능력이 부족하고 또래애착에 문제가 있어 상담사에 의해 의뢰되었으며, 12명의 동일 집단으로 실험에 참가하길 원하는 6명을 실험집단을 구성하였고 나머지 6명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추후에 집단미술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기로 약속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6년 6월부터 2016년 8월까지 주 1-2회 90분씩 각각 총 15회기에 걸쳐 진행하였다. 도입 15분은 약속지키기 점검 및 발표하기, 5분은 본 회기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 40분은 미술 활동을 하였고 남은 30분은 서로 피드백을 나누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를 위한 측정 도구로 양적 분석으로는 Goleman(1996), Mayer(1994 )의 연구 개발한 토대로 오지혜(2010)가 재구성한 정서조절능력검사와 Armsden & Greenberg(1987)가 제작한 애착 척도 IPPA(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에서 또래에 대한 애착을 김태형(2013)이 번안한 또래애착척도검사를 사용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하여 SPSS 24.0을 활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으로 실시하여 동질의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이후 실험집단은 현실치료기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상담 프로그램을 단계별로 실시하고 사전·사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질적 분석으로는 정서조절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Silver(1988, 2002)가 개발한 DAS(Draw-A-Story Test: 이야기그림검사)그림검사를 하였고, 또래애착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Prout와 Phillips(1974)가 개발한 KSD(Kine tic School Drawing: 학교생활화)그림검사를 실시하고 이후 실험집단은 현실치료기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상담 프로그램을 단계별로 실시하고 사전·사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치료기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상담이 소년보호입원기관에 입원한 여자비행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정서조절능력 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여 비교 검증한 결과, 정서조절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현실치료기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나타난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사후로 정서조절능력검사를 실시하고 비교해 본 결과 실험집단은 평균 1.08 향상되고 하위영역인 자기정서 인식 및 표현,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 자기정서이용, 타인정서 인식 및 배려, 대인관계 5가지 영역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통제집단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내담자들은 초기에는 부정적 정서가 나타날 때 과제 수행능력이 떨어져서 미완성하거나 대충 마무리하고 딴짓하고 부정적 정서에 대한 원인을 주변 환경에서 찾고 분노를 표출해서 내담자 간에 충돌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후기에는 자신의 정서를 안전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익혀 긍정적 정서 능력을 키우고 미래에 대한 목표를 스스로 선택하여 자신의 선택에 책임을 지며 원하는 목표를 달성할 때 내담자에 자신에 대한 믿음으로 인해 긍정적 정서가 발생하고 강화되었다. 이는 내담자들이 자신이 원하고자 하는 욕구를 이루기 위해 실현 가능한 방법을 선택하여 실천함으로써 긍정적인 정서를 일으키고 강화하면서 정서조절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서조절능력을 질적 분석하기 위해 DAS(Draw-A-Story Test: 이야기그림검사)그림검사를 사용하였는데 사전그림에서는 공격적이거나 파괴적인 정서가 보이고 이를 대처할 수단이 전혀 없어 정서조절능력이 거의 없는 반면에 사후그림에는 부정적인 정서가 감소하고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정서로 변화함으로서 정서조절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현실치료기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상담이 소년보호입원기관에 입원한 여자비행청소년의 또래애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또래애착 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여 비교 검증한 결과, 또래애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현실치료기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나타난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사후로 또래애착검사를 실시하고 비교해 본 결과 실험집단은 평균 1.49로 향상되고 하위영역인 신뢰도, 의사소통, 소외감 3가지 영역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통제집단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내담자들은 초기에는 재료가 남는데도 불구하고 전혀 빌려주지 않거나 나눠서 써야 하는 상황에서는 싸움이 일어나기도 하고 과제에 대해 서로 피드백을 나누는 시간에도 이야기를 잘 하지 않았다. 그러나 후기에는 재료를 양보하거나 과제를 수행할 때 어려운 친구가 있으면 도와주기도 하고 과제에 대해 서로 좋은 피드백을 하면서 칭찬하고 감사하는 표현도 하게 되었다. 이는 내담자들이 친구들 간의 관계에서 실현 가능한 것을 선택하여 실천함으로써 또래애착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또래애착을 질적 분석하기 위해 KSD(Kinetic School Drawing: 학교생활화)그림검사를 실시한 결과 사전그림에서는 자신만 나오거나 또래가 나오더라도 상호작용이 나오지 않은 모습이었으나 사후그림에는 대부분 또래 간에 실습이나 생활관에서 노는 모습의 상호작용이 나오며 표정도 웃으며 즐거운 모습으로 변화하여 또래애착이 향상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현실치료기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상담이 소년보호교육기관에 입원한 여자비행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애착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였고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집단미술상담 프로그램은 현실치료기법과 집단미술상담을 접목하여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정서조절능력 향상과 또래애착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이 경기도 A시에 위치한 소년보호교육기관에 입원한 여자비행청소년들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은 모든 비행청소년에게 동일한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후속 연구는 보다 다양한 지역의 비행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범위를 확대하여 결과를 일반화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기대한다.

      • 자동변속기 차량의 변속성능 시뮬레이터 개발 및 변속감 개선연구

        심소영 성균관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5속 자동변속기 차량의 모델링을 수행하고 변속성능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시뮬레이터의 성능은 시험 결과를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변속품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 5속 자동변속기의 모델링을 수행하여 1속에서 5속 각 변속단의 모델 및 1-2, 2-3, 3-4, 4-5 상향변속에 대한 유성기어계의 동적 모델을 도출하였으며 자동변속기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압력제어 밸브, 어큐뮬레이터로 구성되는 유압제어 시스템도 모델링하였다. PWM 솔레노이드 밸브는 2차 시스템과 시간지연으로 모델링하였으며 압력제어 밸브와 어큐뮬레이터의 동적 모델을 도출하였다. AMESim을 이용하여 연구대상 5속 자동변속기 차량의 변속 성능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시험 결과와 비교?검증하였다. 검증한 변속 성능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1-2 상향변속의 경우에 대하여 변속 성능 개선을 위한 주요 파라미터의 영향을 고찰하여 작동요소의 압력 형상과 관성토크와의 관계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자동변속기 설계 엔지니어가 쉽게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고 구성한 시스템의 파리미터를 수정하여 변속 성능해석에 사용할 수 있도록 각 구성요소 모델에 대한 AMESim 기반 모듈화를 구현하였다. In this paper, a 5-speed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quality simulator is developed using AMESim. The shift quality simulator is developed using the dynamic models of the engine, automatic transmission with torque converter, and vehicle dynamics and the hydraulic control system, which consists of PWM solenoid valve, pressure control valve, accumulator and actuator. Comparing the simulation results with the experiments, it is found that the simulation results by the shift quality simulator are in good accordance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which demonstrates the validity of the simulator. The shift quality simulator provides the control pressure profile, clutch/brake piston stroke, clutch/brake torque, transmission output torque, turbine speed for the given input duty signal. From the simulation, it is found that the faster the pressure build up time becomes, the larger the initial inertia torque, and the faster the pressure rising time to the return spring application point, the larger the peak to peak inertia torque, which causes the deteriorated shift quality. In addition, a module based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quality simulator is developed in order for the engineer to evaluate the shift quality in initial design phase with much flexibility and convenience. It is expected that the shift quality simulator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improve the shift quality for automatic transmission by saving time and cost in the tests.

      • 수열단원에서 전략적 게임 활용에 관한 연구

        심소영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오늘날 학교수학은 재미없고 어렵게만 느껴지는 과목으로 학습의욕 및 동기를 발현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학교수학을 쉽고 재미있게 느낄 수 있는 방법은 과연 무엇인가? 학교에서는 입시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대다수의 학생들이 수학학습의 흥미를 가지지 못하며, 창의적인 수학활동보다는 공식의 암기와 문제풀이 기능숙달 위주로 학습하기 때문에 스스로 학습하려는 의욕조차 떨어지게 된다. 그 뿐만 아니라 어떤 학습 방법이 자기 스스로에게 적절한 방법인지 모르기 때문에 수동적인 방식으로 학습을 한다. 실제 수업현장에서 교사는 학교수학 진도에만 맞춰 학생들을 지도하고 학생들은 내신점수를 따기 위해 수동적으로 교사의 지도에 따라갈 뿐이다. 그렇다면 학교수학에서 어떤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시켜야만 학생들이 수학에 대한 배움의 욕구를 발현시킬 수 있으며, 흥미와 자극을 줄 수 있을지를 고려해 볼 때, 학교수학에 전략적 게임을 접목하여 수학을 지도한다면 흥미를 가지고 스스로 학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물론 한정적인 시간 내에서는 전략적 게임을 활용하여 학교수학을 지도하는데 있어 쉽지 않은 문제점은 가지고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학생들의 동기유발 없이, 학습의 자극 없이, 학교 수학수업을 진행하다보면 분명 교사는 교수학적 계약에 의한 가르침만 있을 뿐, 진정한 수학의 배움은 사라지게 될 것이다. 이 연구 목적은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수열단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전략적 게임을 살펴보고 학생들이 전략적 게임을 통해 학교수학을 자기주도적인 방법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자하며, 수학학습의 동기부여와 학습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한 것으로 점차 이를 확대할 수 있는 방향으로 모색해 나가려 한다. 그러므로 연구방법으로는 실제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여 수열단원에서 다룰 수 있는 몇 가지 전략적 게임을 소개하여 학습의 동기유발 및 학습의욕을 고취시키고 이와 관련된 개념을 정리해 나가면서 수학교육과정을 지도하고자 한다. 이때 교사의 입장에서 학생들의 반응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관찰하고 면담을 통해서 학습의 동기유발 및 학습의욕이 향상되었는지 살펴봄으로써 학교수학 교육과정에서 전략적 게임을 다루는 것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Strategic games used in Sequence of Numbers can trigger students' motivation, having a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achievement. In order to find out their effects qualitative researches such as classroom observation and private interviews ar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