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용교수행동 유형에 따른 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자의 학습 몰입도 및 학습만족도

        김혜련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무용 교수행동유형에 따른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의 학습몰입도 및 학습만족도를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 표집방법은 비확률 추출법(non-probability sampling)중에서도 판단표본 추출법을 사용하여 설문지를 배포하고 150부를 회수하여 분석에 적합한 13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신뢰도분석(Reliabilityanalysis),빈도분석(FrequencyAnalysis), 상관분석(CorrelationAnalysis),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신뢰도(Cronbach's a)는 0.6 이상으로 신뢰할 수 있으며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고등학교 무용 교사의 무용 교수행동유형과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자의 무용수업 학습몰입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무용 교수행동유형 중 연습과 지시행동이 높을수록 학습과정통합 몰입에 영향을 받는다. 학습과제몰입, 학습행동사고통합, 자기몰입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둘째, 예술고등학교 무용교사의 무용 교수행동유형과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자의 학습만족 관계를 분석한 결과 무용 교수행동유형 중 연습과 지시행동이 높을수록 학습만족과 무용 환경만족이 높았다. 또한 무용교수행동 유형 중 긍정적 보상행동이 높을수록 실력향상 만족이 높았다. 무용교수행동 유형 중 권위적 행동이 높을수록 교사의 교수만족이 높았다. 자아성취감에는 교수행동 유형이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자의 무용수업 학습몰입과 학습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습몰입 중 학습과제몰입, 학습과정통합, 자기몰입이 높을수록 학습만족이 높았다. 학습몰입 중 학습과제 몰입, 학습과정통합, 자기몰입이 높을수록 교사의 교수만족이 높았다. 학습몰입 요인 중 학습과제몰입, 학습과정통합, 자기몰입이 높을수록 자아성취감 만족이 높았다. 학습몰입 중 학습과제몰입, 자기몰입이 높을수록 실력향상 만족이 높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leaning flow and satisfaction of dance majors in the arts high school according to dance teacher’s behavioral types. Dance majors in the arts high school in Seoul were selected for the study.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determining sampling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138 questionnaires among 150 were used.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over Cronbach's 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behavioral types of dance teachers in the arts high school and learning flow of dance majors, when the practice and instruction behavior of teachers were high, it had an effect on learning process integration flow. But, it did not have an effect on learning task flow, learning behavioral and thinking integration, and self-flow. Second, as to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behavioral types of dance teachers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dance majors, when the practice and instruction behavior of teachers were high, it had a high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dancing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when the positive reward behavior among the teachers’ teaching behaviors was higher, performance development satisfaction was high. When the authoritative behavior among the teachers’ teaching behaviors was higher, the teaching satisfaction of teachers was high. Self-achievement did not have a great impact on instructing behavior types. Third, as to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learning flow and satisfaction of dance majors, when task flow, task process integration and self-flow among learning flow were higher, learning satisfaction was high. When task flow, task process integration and self-flow among learning flow were higher, teacher’s teaching satisfaction was high. When task flow, task process integration and self-flow among learning flow were higher, self-achievement was high. When task flow and self-flow among learning flow were higher, performance development satisfaction was high.

      • 고등학교 영어 교사의 교수유형에 대한 인식연구

        김소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민용성(2004)의 교수유형분석도구를 사용하여 우리나라 고등학교 영어 교사들의 교수 유형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수 유형을 함께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소재에 있는 20개의 고등학교의 123명 교사와 학생 865명으로, 교사와 학생 집단으로 나누어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설문조사에 대한 연구 결과는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Duncan사후 검정을 실시하였고, 일원배치분산분석의 기본 가정인 분산의 동질성이 위배된 경우에는 Welch와 Brown-Forsythe 동질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교수 유형 선호도를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교수 유형으로 성별, 교직경력, 담당 학년과 관계없이 질문형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촉진형, 동기부여형, 안내형의 순서대로 나타났다. 동시에 두 가지 이상의 교수 유형이 한 교사에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둘째, 학생들의 교수 유형 인식으로는 성별에 관계없이 교사를 질문형으로 생각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1학년과 2학년 학생은 교사를 질문형으로 생각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고, 3학년은 교사를 안내형으로 생각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다. 셋째, 교사와 학생의 교수 유형 인식에서 안내형과 촉진형을 제외한 다른 7가지 교수 유형에서 인식 차이를 보이며, 이 가운데서 질문형, 중재형, 동기부여형이 교사와 학생의 인식에서 가장 많은 차이가 있었다. 교사집단은 학생 집단에 비해 질문형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학생 집단은 교사 집단에 비해 중재형과 동기부여형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넷째, 학생들의 교수 유형 선호도에서 학년에 관계없이 설명형의 교사를 선호하며, 반대로 1, 2학년 학생은 촉진형 교사를 선호하지 않고, 3학년은 중재형 교사를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성별에 따른 변인으로는 남학생은 설명형과 학습지원형의 교사를 선호하고, 여학생은 설명형을 선호하였으며, 반대로 남녀 학생 모두 촉진형을 선호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교사들은 수업 중에 질문을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교사들은 적절한 형태의 질문사용에 대한 주의 깊은 인식이 요구된다. 둘째, 2학년 교사들은 중재형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2학년 학생들의 학습 수준에 비해 학습 내용의 난이도가 갑자기 어려워짐에 따라 나타나는 것으로, 교사들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학습 수준을 고려하여 학생을 지도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학생들은 교사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칭찬과 격려, 동기 유발과 같은 교사 행동영역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기억하고, 교사들은 다양한 학습 상황에 있어 학생들에게 긍정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넷째, 교사는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수 유형과 선호하지 않는 교수유형을 인식하고 현재 자신의 교수유형에 대한 반성적 성찰과 학생들의 능동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지도방법을 탐구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업 환경을 고려하여 개발된 민용성(2004) 교수유형분석도구를 사용하여, 기존에 연구되지 않은 영어 교사들의 교수 유형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가 가지는 인식을 연구하였으며,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수 유형과 비교하여 우리나라 영어 수업의 모습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보다 다양한 학년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영어 교사들의 교수 유형의 후속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총체적인 영어 교사들의 교수 유형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teaching styles and the students’ perceptions of those styles. Moreover, the study identified students’ preferences for teaching styles.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Professor type analysisi tools’, which were made by Dr. Yong Sung Min, a Professor of Korean society. The study surveyed 123 English teachers and 865 students in 20 high schools in Seoul and Kyungido for 5 months. SPSS for Windows 21.0 was used to identify the teaching styles among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The compatibility of analyed teaching style clusters was checked using the t-test, One-way ANOVA, Duncan test, and Welch & Brown-Forsyth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teaching styles are questioning styles across all distinct groups gender, grade, and teaching experience. The next was facilitating, motivating, and guidance styles in order. In addition, several teachers have more than two teaching styles at the same time. Second,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perceive their teachers’ teaching styles as questioning styles. Students in first grade and second grade perceive their teachers’ teaching styles as questioning styles, but third graders perceive their teachers’ teaching styles as guidance styles. Third, teachers and students differently perceive the seven teaching styles, which are objective attaining style, explaining style, questioning style, mediating style, learning management style, motivation style, and learning style. Among them, teachers highly perceive the questioning style, while students highly perceive the mediating and motivation styles. Fourth, students across all grades most prefer explaining style but least prefer facilitating style. Male students prefer explaining style and learning assistance style, while female students prefer explaining style. First grade students prefer explaining style and learning assistance style. Second and third grade students prefer explaining style. In addition, students in first grade least prefer facilitating style, and students in third grade least prefer mediating style. Drawing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to improve appropriate English teachers’ teaching styles in Korea. First, teachers need to consider appropriate question types in order to elicit natural interaction and students’ longer responses. Second, second grade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difficulty gap between the textbook and second graders’ proficiency. Third, teachers need to recognize that most students highly perceive teachers’ positive behaviors such as compliment and encouragement so teachers try to respond positively to the students’ efforts in the class. Fourth, teachers should note that most students prefer teachers’ explaining style and least prefer facilitating style so teachers should take time for self-examination for their teaching style and explore proper teaching styles to encourage students’ achievement.

      • 무용교사의 교수유형이 무용전공학생의 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맹세민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예술고등학교 무용교사의 교수유형에 따른 학생의 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8228;분석함으로서 교수유형이 학생의 학습목표와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아울러 학생들의 학년별, 전공별, 경력별 및 일주간연습빈도, 일일연습시간에 따른 목표지향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0년도 현재 서울·경기·충남·강원·전북·경남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예술고등학교의 무용전공 학생으로 임의 표집을 이용하여 총 394명을 표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Chelladurai and Saleh(1978)가 개발한 스포츠 지도자 행동 검사지(leadership scale for sports: LSS)를 기초로 윤익선(1999)이 ‘유도집단 특성에 따른 지도자의 지도행동 유형 분석’에서 사용한 설문지에서 무용교육에 해당하는 교수유형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학습목표지향성 관련 요인은 Ames and Archer(1988)의 목표지향 척도를 유희정(1997)이 번안하여 요인분석을 거처 정리하고 강상민(2002)이 중학생의 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연구에서 사용했던 설문지 중 학습목표지향성 부분을 사용하였으며, 성취목표지향성 관련 요인은 Midgley 등(1998)이 학습자들이 갖게 되는 성취목표 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성취목표지향성 검사지를 이윤희(2003)가 번안한 설문지로 초안을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적용된 통계기법은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했으며, 통계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sion 12.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년, 전공, 무용경력, 일주간연습빈도 및 일일연습시간에 따른 학생 학습목표지향성, 성취목표지향성, 목표지향성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목표지향성은 개인적 특성과 관계없이 무용을 전공하는 학생 모두가 학습하는 과정에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무용교사의 교수유형과 학생 목표지향성간의 관계는 훈련 및 지시행동, 사회적 행동, 민주적 행동 유형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용전공 학생들이 반복적인 연습, 동작의 변화, 새로운 동작의 습득으로 이어지는 훈련이 기술을 향상 시키고 최대의 효과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무용전공 학생의 목표지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용교사는 훈련 및 지시행동 유형을 발휘하여 학생을 지도해야 할 것이며, 이 유형의 단점인 이해능력과 학습과정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도록 보완하여 적절히 활용, 학생지도를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적 행동, 민주적 행동유형도 적절히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무용교사의 교수유형과 학생 학습목표지향성의 관계는 훈련 및 지시행동 유형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용전공 학생들은 새로운 동작, 반복적 연습, 동작의 변화를 습득하는 것에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만큼 훈련과 지시를 통해 단계적으로 연습을 행하고 연습을 행하지 않더라도 신경에서 기억으로 남겨져 지속될 수 있음에 학습목표지향성을 높게 지각하는 데 주요한 교수유형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교사들은 무용전공 학생의 학습목표지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올바른 신체의 정렬과 역학에 대한 지식, 워밍업으로부터 복잡한 동작으로의 발전, 좋은 연습 습관에 대한 강조, 올바른 교정 등 고려하여 훈련 및 지시행동 유형을 발휘하여 학생을 지도해야 할 것이다. 넷째, 무용교사의 교수유형과 학생 성취목표지향성의 관계는 사회적 행동, 훈련 및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유형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용교사가 무용기술만이 아닌 그 이상에 초점을 두고 깊은 정신적 탐구와 춤의 인식을 수반하고 개인의 능력 개발에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였을 때 학생들의 성취목표를 달성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의 수준 및 개성에 초점을 맞추고 적절한 행동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좋은 학습 분위기가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a teaching type on learning objectives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students by comparing&#8228;analyzing the influence on goal orientation of students according to a teaching type of a dancing master of an Arts High School.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clarify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goal orientation according to the grade, major, career and practice frequency for a week, and daily practice time of students. The research target is students majoring in dancing of Arts High Schools that were located in Seoul, Gyeonggi, Chungnam, Gangwon, Jeonbuk, Gyeongnam regions as of 2010, and a total of 394 students were sampled by using random sampling. As a tool used in the present research, Yoon Ik-sun(1999) used a questionnaire of a teaching type corresponding to dancing education among the questionnaire used in 'coaching type analysis of a coach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a guided group' based on the leadership scale for sports(LSS) developed by Chelladurai and Saleh(1978). Also, Yoo Hee-jung(1997) translated a goal-oriented scale of Ames and Archer(1988) on the learning goal orientation-related factors and arranged after passing through factor analysis, and Gang Sang-min(2002) used a learning goal orientation part among a questionnaire used at relations research among goal orientation, self-adjustment learning and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draft was written with a questionnaire translated by Lee Yoon-hee(2003) through a questionnaire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at was developed by Midgley et. al. (1998) in order to measure achievement goal propensities of learners. The suitab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question content of the written questionnaire was reviewed and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and then it was completed as a questionnaire suitable for the present research. As the statistical techniques applied for analysis of collected material, the frequency analysis,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and it was verified in a significance level of P??.05, and the statistical program of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sion 12.0 was utiliz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and was analyzed. The present research deduced the following conclusion through a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 like this. First, all of learning goal orientati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goal orientation of students according to a grade, major, dancing career, practice frequency for a week and daily practice time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This showed a trend in a course that all students majoring in dancing learn regardless of an individual propert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a teaching type of a dancing master and goal orientation of student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raining and directed behaviors, social action and democratic behavior patterns. It is thought that the training connected to repetitive practice, change of a motion and learning of a new motion of students majoring in dancing improves skills and affects maximum effects and influence. In order to enhance goal orientation of students majoring in dancing, a dancing master should teach students by showing training and directed behavior patterns, and should guide students by complementing and properly utilizing this, in order that the comprehension and meaning of a learning course, which are demerits of this type can be discovered. Also, a dancing master should properly utilize social action and democratic behavior pattern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a teaching type of a dancing master and learning goal orientation of student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raining and directed behavior patterns. It is thought that as students majoring in dancing most focus on learning new motions, repetitive practice and change of motions, they stepwise practice through training and directions, and even if they don't practice, it remains as a memory in the nerves and can be continued, so it means that the major teaching type is to make students recognize learning goal orientation highly. Accordingly, in order to enhance learning goal orientation of students majoring in dancing, teachers should coach students by showing training and directed behavior patterns while considering knowledge on right alignment and dynamics of the body, development to complex motions from warming-up, emphasis on good practice habits and right correction, etc. Fourth, it appear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 teaching type of a dancing master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student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ocial action, training and directed behaviors and democratic behavior patterns. It is thought that when a dancing master focuses on a goal more than dancing techniques, goes with deep spiritual search and recognition of dancing and provides a proper environment for individual ability development, i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accomplishment of an achievement goal of students. Accordingly, teachers should focus on a level and personality of students and try to make good learning atmosphere through proper action and positive interaction.

      • 중등학교 과학 교사의 교수유형에 따른 학생의 과학 불안도

        서유선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등학교 과학 교사의 교수유형을 분석하고, 과학 교사의 교수유형에 따른 학생의 과학 불안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전국의 중등학교 과학 교사 174명을 대상으로 교수유형 설문지를 실시하여 교수유형이 어떻게 분포되는지 알아보았으며, 전국의 중등학교 학생 2122명을 대상으로 교수유형에 따른 과학 불안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중등학교 과학 교사의 교수유형은 전문가형이 가장 많았으며, 제공자형, 촉진자형, 허용자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수유형에 따른 학생의 과학 불안도는 전문가형에서 가장 높게, 허용자형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과학 불안 범주별 교수유형에 따른 과학 불안도는 과학적 원리 수행, 과학에 대한 평가, 개인적 특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학생 성별 교수유형에 따른 과학 불안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학교급별 교수유형에 따른 과학 불안도는 중학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 초등수학영재교사의 영재 수학수업과 일반 수학수업에서의 교수유형 비교 분석

        유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초등수학영재교사를 대상으로 영재 수학수업과 일반 수학수업에서의 교수유형을 비교하고 그 차이를 분석하여 서로 다른 두 수업에서의 교사의 교수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교사들이 인식하는 본인의 교수유형과 실제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수유형이 일치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수학영재교사들의 영재 수학수업과 일반 수학수업에서 자신의 교수유형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수학영재교사가 실시하는 영재 수학수업과 일반 수학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수유형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등수학영재교사의 영재 수학수업과 일반 수학수업에서의 교수유형에 대한 인식과 실제는 일치하는가?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 2017학년도 서울 소재 초등학교 영재교육기관의 초등수학영재교사 중 영재 수학수업과 일반 수학수업에서의 지도 학년군이 동일한 교사 6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Grasha(1996)의 교수유형 진단도구를 수정 보완한 임규연 외(2010)의 교수유형 검사 도구를 의미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설문 결과를 통계 프로그램으로 분석한 뒤, 전체 설문 결과와 교수유형이 일치하는 교사 1인을 선정하여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사례연구에 사용된 분석틀은 Grasha의 교수유형과 역할에 따른 교사 행동 및 태도를 참고하여 제작 및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한 교수 유형 인식 분석 결과와 실제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수유형 분석 결과 모두 영재 수학수업과 일반 수학수업에서의 교수유형에는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영재 수학수업과 일반 수학수업에서의 교수유형에 대한 인식과 실제는 일치하지 않았다. 이에 인식과 실제가 일치하지 않는 이유를 찾고자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수학영재교사가 인식하는 영재 수학수업과 일반 수학수업에서의 교수유형은 차이가 있었다. 영재 수학수업에서는 위임자와 촉진자의 교수유형을 지닌 교사가 많았으며, 일반 수학수업에서는 역할 모델과 전문가 교수유형을 지닌 교사가 많았다. 이를 통해 교사들이 영재 수학수업에서는 학생 활동 중심의 수업을 하며, 반대로 일반 수학수업에서는 교사의 예를 따라하게 하거나, 문답식으로 핵심 내용을 확인하며 수업을 하고자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수학영재교사가 실시하는 영재 수학수업과 일반 수학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수유형은 차이가 있었다. 사례연구 결과 영재 수학수업에서는 촉진자와 전문가 교수유형이, 일반 수학수업에서는 전문가와 엄격한 교수자 교수유형이 주로 나타났다. 실제 영재 수업에서는 교사가 학생에게 학습 활동을 완전히 위임하기보다 전체적인 학습 방법 및 절차의 틀은 교사가 제시하고, 그 안에서의 학생들의 학습활동에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수업이 진행되었다. 일반 수학수업에서는 교사가 정해 놓은 학습 방법에 따라 순차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졌으며, 학생의 오답에 대해서는 바로 부정적인 피드백을 하는 방향으로 수업이 진행되었다. 셋째, 초등수학영재교사의 영재 수학수업과 일반 수학수업에서의 교수유형에 대한 인식과 실제는 일치하지 않았다. 영재 수학수업에서 A교사가 인식하는 교수유형은 위임자 교수유형이었으나, 실제 수업에서는 촉진자 교수유형으로 일치하지 않았다. 일반 수학수업에서도 A교사가 인식하는 교수유형은 역할 모델 교수유형이었으나, 실제 수업에서는 전문가 교수유형으로 역시 일치하지 않았다. 교수유형의 인식과 실제가 달랐다는 것을 통해 교사 스스로 생각하는 교수·학습 상황에서의 본인의 교수유형이 실제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수유형과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초등수학영재교사는 서로 다른 학생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교수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구하는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styles between math classes for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For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A.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styles in math classes for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B.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styles shown in math classes for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C. Is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styles in math classes for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match in practice?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61 teachers of elementary teachers were surveyed. For testing instruments, the investigator used the Diagnostic Tool for Teaching Styles by Lim Gyu-Yeon et al. (2010), which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Diagnostic Tool for Teaching Styles of Grasha (1996). After analyzing the survey results, a case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one teacher who matched the survey results and teaching style.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teacher’s teaching styles through survey and teaching styles in the actual class showed differences in two classes. However, the perceptions and actualities of teaching styles in math classes for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did not match. Therefore, interview was conducted to find out why the perception and reality did not match.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teaching styles in math classes for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were different. In math classes for gifted students, there were many teachers with teaching styles of delegator and facilitator. In math classes for non-gifted students, there were many teachers with teaching styles of personal-model and expert.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teachers' in math classes for gifted students are focusing on student activities and teachers' in math classes for non-gifted students are focusing on students to follow the examples of teachers’ and answer the question. Second, the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styles shown in math classes for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are different. In math classes for gifted students, teaching styles of facilitator and expert were mostly found. In math classes for non-gifted students, teaching styles of expert and formal authority were mostly found. In math classes for gifted students, instead of completely delegating learning activities to students, the lessons were taught by teachers and the autonomy of students in the learning activities. In math classes for non-gifted students, the learning was done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learning method set by the teacher. Third, the perception and the reality of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styles in math classes for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did not match. In math classes for gifted students, teacher A’s perceptions of her teaching style was a delegator, but in practice, her teaching style was a facilitator. In math classes for non-gifted students, teacher A’s perceptions of her teaching style was a personal model, but in practice, her teaching style was an expert. The fact that the perception of teaching style was different from the actual teaching style showed that his or her type of teaching was different from the type of teaching in the classroom. Finally, elementary teachers should be abl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students and study to ensure effective teaching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 유형과 학습 양식 관계 연구

        김정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 유형을 분석하고 학습양식을 파악하여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 유형과 학습 양식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 초등교사 14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과학 교수 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Van Tilburg와 Heimlich(1990)가 개발한 Teaching Belief Scale(TBS)을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보안하여 완성한 정재훈과 김영신(2011)의 과학 교수 유형 검사지를 수행하였다. 학습양식을 알아보기 위해 Felder와 Soloman (2001)의 ILS 검사지를 김은애(2011)가 번역한 ILS 검사지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유형과 학습양식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한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 유형은 전문가형, 제공자형, 허용자형, 촉진자형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가형, 제공자형의 비율이 높았는데 이는 학생 참여 점수와 학생 이해 점수가 보통과 낮음에 있는 결과로써 초등교사가 과학을 가르칠 때 교사 주도의 수업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런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 유형은 성별과 문․이과 출신과 같은 개인적인 변인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초등교사의 학습양식은 감각적, 시각적, 활동적, 전체적 학습양식이 많았다. 이는 배움의 과정에 있는 학생의 학습양식 분포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는데 이로 보아 학습양식은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한 번 형성된 학습양식은 쉽게 변하지 않고 고착화 될 수 있음을 생각하게 된다. 남녀별 학습양식은 감각/직관적 차원과 순차 전체적 차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문․이과별 출신에 따라서는 감각/직관적 차원, 시각/언어적 차원, 순차/전체적 차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 유형과 학습양식간의 관계를 확인해 보니 과학 교수 유형의 4가지가 학습양식의 4가지 차원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 유형은 초등교사가 가진 학습양식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남녀 성별 및 문․이과 출신에 따른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 유형과 학습 양식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초등교사에게 효과적인 과학 지도를 위한 교수 방법 선정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학생들에게 수업과정에서 느끼는 배움의 기쁨을 주기 위해 자신이 가진 과학 교수 유형을 고집하기보다는 다양한 교수 방법을 익히고 배우는 자세가 중요하며, 수업 제재와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교수법을 활용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야 할 것이다.

      • 대학교양무용의 교수유형이 흥미도, 친밀감 및 무용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윤경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대학교양무용의 활성화와 교수유형이 흥미도, 친밀감 및 무용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연구하였다. 이는 대학교양무용 수업을 통한 학생들의 흥미도, 친밀감, 무용소비행동 등의 변화는 어떠한지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목적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조사 방법을 통한 양적 연구와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교양무용 강좌가 개설되어 있는 서울,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중 서울 4개교, 경기도 4개교 총 8개교를 임의 선정하였다. 대학교양무용 수업에 참가경험이 있는 대학생 500명을 표집을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유효 응답자 408명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 상관분석,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심층면담의 피면담자는 교양무용 수업에 참가경험이 있는 일반 대학생 8명을 선정하였다. 양적 연구결과, 학생들의 배경적 특성에 따른 흥미도, 친밀감, 무용소비행동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무용소비행동이 높고, 학년이 낮을수록 무용소비행동이 높으며 예체능 계열이 인문계열, 자연계열 보다 흥미도, 친밀감, 무용소비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용경험이 있으며, 교양무용 수강 강좌 수가 많은 학생일수록 무용소비행동이 높으며 현대무용, 재즈를 교양무용으로 수강하는 학생들이 친밀감, 무용소비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대학교양무용 수업에서의 교수유형이 무용에 대한 흥미도와 친밀감 및 무용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교수유형은 흥미도와 친밀감 및 무용소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밀감은 무용소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양적 연구결과를 보완하는 질적 연구의 심층면담결과, 대학교양무용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흥미와 재미, 성취감, 표현활동, 스트레스 해소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만한 대인관계, 세밀한 지도방법, 자유로운 수업분위기를 통하여 친밀감의 변화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교양무용 수업에서 무용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 문화적 활동에 대한 관심의 변화를 경험하며 학생들의 무용소비행동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대학교양무용 수업에서 교수의 수업방법은 학생들의 흥미도, 친밀감, 무용소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교수는 학생들의 재미와 호기심을 유발하여 단순히 움직임에만 그치는 것이 아닌, 자신만의 창작력, 독창성을 기반으로 하여 무용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심어주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함이 부각되었다. 따라서 교수는 무용수업 시간에 배운 동작을 응용하여 창작할 수 있게 유도함으로써 지속적인 무용 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교수와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친밀감을 형성하고 실제적으로 학생들의 학습능력, 잠재능력 개발에 도움을 주며 무용학습효과를 증진하는데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effect of activation and professor types in university elective dance courses on interest, intimacy, and dance consumer behavior. It included the goal to analyze in detail the shifts of interest, intimacy, and dance consumer behavior among th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y elective dance course. To achieve the goal, quantitative research through survey and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further interview were combined. The subjects were randomly selected, among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or Gyeonggi-do, from 4 universities in Seoul and 4 in Gyeonggi-do which open university elective dance. 500 students with the experience of attending a university elective dance course were selected for sampling and the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valid questionnaires of 408 respondents, used for final analysis.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addition, the subjects for the further interview consisted of 8 common university students with the experience of attending a elective dance course. The quantitative research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est, intimacy, and dance consumer behavior regarding the background trait of the subjects. In detail, the result showed higher level of dance consumer behavior in female than in male, and higher in lower grade and in the respondents with dancing experience and more courses attended. And it suggested higher level of interest, intimacy, and dance consumer behavior in Art and Athletic Department than in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 In addition, the students attending contemporary dance and jazz classes as a elective dance course showed high level of intimacy and dance consumer behavior. The investigation on the effect of professor types in university elective dance on interest, intimacy and dance consumer behavior indicated that teaching metho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hree items and intimac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dance consumer behavior. To conclude, the study allows us to find that the professor types in university elective dance plays a critical role in influencing interest, intimacy and dance consumer behavior of students in a positive way. The findings suggested that dance professors should focus on impressing new awareness of dance upon students, based on their own creativity and originality, rather than simply triggering their fun and curiosity. It means that dance professors should seek for a teaching method to enable students to continue dance activity by leading them to apply the movements they learn in class to new ones. Therefore, it might be said that teaching method is more critical than any other factor in establishing intimacy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through interactions, helping them develope their learning capability and potentials, and enhancing the effect of learning dance.

      • 영어교사의 교수유형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현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teaching styles of English teachers and to determine how teachers' teaching styles in English classes affect students' learning attitudes in English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se analyses in this study were 102 English teache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and 144 middle school students in Iksan, Jeonbuk province.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available in SPSS for Windows 15.0 program were employed to identify the teaching styles among English teachers. In addition, the compatibility of analyzed teaching style clusters was checked by using the One-Way ANOVA and Scheffe. The 144 student subjects were also asked to respond to the Lidert type scales that measured their perceptions of their own teachers' teaching styles. Then, the student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y perceived their two teachers: one group that saw their teachers' teaching positively, that is, those who were one standard deviation from the mean of all components of teaching and the other group that considered their teachers' teaching quite negatively. The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English teachers' teaching styles may be classified into four: proficiency-based instruction style (49), achievement-based instruction style (37), affect-based instruction style (9) and Autonomous learning-vased instruction style(7). The result from the student data indicated that the more positively the students perceived their teachers' instruction positively, their self-assessments of their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their attention to English learning, their desire to learn and their achievement motivation tended to go higher. In order to investigate which style of a teacher affects students' English learning attitude positively among the above mentioned teacher styles, One-Way ANOVA and post hoc test (Scheff壹一) concerning a group of recognizing English teacher as each style strongly were administered. As a result, the learning assistance teaching sty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p<.05 level, compared with the level-guidance style. According to these results of this study, English teacher as learning assistance teaching style, was to be more affirmative in achievement motivation element of English learning attitude.

      • 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수업능력 및 수업방법 유형 분석과 영향요인 탐색

        장재홍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Analyzing types of instruction is a starting point for improving teachers' instruction. It is important for the teacher to know own's teaching behavior and proper teaching method and to reflect own's instructional behavior due to the fact that its direct relationship to teaching effectiveness and professionalism. In particular,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is because teachers' types of instruction ar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such as student achievement, learning attitude, values, and self󰠏concept and so on. This study analyzed teachers' types of instruction based on instructional ability and method. Classifying teachers' types of instruction based on instructional ability and method means to identify it with a focus on teachers' instructional behavior shown in classes. And such research gives teachers an opportunity to identify the various mechanisms used to teach in class. It was also necessary to identify the types of instruction from perceptions of the students, not the teachers. This is not only because there is a wide gap between view of teachers' own perception and students' one, but also because analyzing the student's perception of teachers is able to evaluate their classes objectively and practically. In addition,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eachers' types of instruction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analyze the types of instruction characteristics and the factors at a same time. It will also help to identify the actual effects of policies and systems for improving teachers' instruction. For this study, we conducted ‘Multilevel Latent Profile Analysis’ to identify the teachers' instruction recognized by the students based on instructional ability and method. Through this way,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eachers' types of instruction and expects to provide guidelines for improvement of teachers' instructional ability and method.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used the panel data to identify the types of instruction and utilized instructional ability and method as tools for classifying the types of instruction. In addition, statistical significance is confirmed by dividing into the teacher level and the school level which affect the types of instruction. This can provide a way to improve teachers' teaching at a teacher󰠏level, school󰠏level instruction. Assuming that improving instruction has positive effects,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as many as possible. Through this study, it is suggested to improve the instruction method for types of instruction. Moreover, this study tried to offer improvements by finding out the group that shows instructional proble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types of instruction were classified into four latent profiles: 'active instruction type' with a high level of instructional ability and method, 'general instruction type' occupying almost half of research subjects, 'passive instruction type', which has a low level of 'instructional skill', 'student understanding', 'level reflection', 'lecture method' and tends to prefer 'teacher󰠏centered lecture' rather than 'questioning method', and 'lack of student understanding type', which has a low level of all instructional ability and method, and the lowest level of 'student understanding'. Second, the level of 'subject knowledge' was high, but the level of 'student understanding' was very low in all types. Especially, in case of 'lack of student understanding type', the difference was bigger than other types of instruction. Third, all types of instruction are common, teacher󰠏centered instructional method is more highly perceived than learner󰠏centered instructional method. This means that the teacher's instructions are performed by teacher󰠏centered instruction rather tha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instruction. Fourth, 'active instruction type' and 'general instruction type' teachers used more 'questioning method' than 'lecture method', whereas 'passive instruction type' used these at similar levels. Fifth, 'discussion learning method', one of the learner󰠏centered instructional method, was perceived the highest by all types and 'discovery learning method', 'inquiry learning method', and 'cooperative learning method' followed behind. Especially, 'active, general and passive instruction type' showed significantly low level of 'cooperative learning method'. The conclusions of analyzing teacher level factors that affect the teachers' types of instruction recognized by the student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types of instruction, 'lack of student understanding type' and 'passive instruction type' need to improve teacher efficacy and teaching satisfaction for improving their instructions. In particular, teacher efficacy is important regardless of types of instruction because teacher efficacy has an influence on classifying 'general instruction type' and 'active instruction type'. Secon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operate with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instruction of 'passive instruction type'. Unlike other types of instruction, teacher cooperation affected the classification of 'passive instruction type' and 'active instruction type'. Cooperative interaction with colleague teachers can help teachers who are passive in instruction to take part in their instructions more actively. Third, the expansion of the teachers' decision󰠏making authority does not affect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It rather negatively influenced on separating 'lack of student understanding type' from 'active instruction type'. In addition, 'passive instruction type' has the highest decision authority, which means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eachers' decision making authority and teachers' instructional expertise is weak. Fourth, it is necessary to reduce teachers' workload in order to improve the 'passive instruction typ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work burden of 'passive instruction type' because there is a considerable differences in pressure that they feel as compared with 'active instruction type' and 'general instruction type'. Fifth, teachers' individualized assessment did not have any effect on the classification of types. In the case of 'active instruction type', the degree of teachers' individualized assessment was the lowest, and 'passive instruction type' was the highest. This means that it is difficult for instruction to improve through teachers' individualized assessment. The conclusions of analyzing school level factors that affect the teachers' types of instruction recognized by the student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class size has a impact on the classification of 'active instruction type' and other three types. This implies that reducing students per class would be necessary to make use of instructional ability and method actively. Second, 'school life satisfaction level', 'school climate', an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oes not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types. Also, analysis of difference on instructional types shows no significant mean change. This means that 'school life satisfaction level', 'school climate', an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e no effect on improvement of teachers' instruction directly. Third, the results of an examination of the type with a high level of parent's participation are listed in order: 'active instruction type', 'general instruction type', 'passive instruction type', 'lack of student understanding type'. And the lower instructional ability and method, the more parents' participation could affect improvement of instruction.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instruction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instruction should be changed to learner󰠏centered instruction in order to improve the instructional ability of 'interaction with students'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 Based on the systematically selected and organized learning contents, teachers should induce participation through active interactions among learners such as discussion and cooperative learning. Second, it is necessary to activate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order to improve instructional ability and method. To be more specific, the reconstruction could be implemented by rebuilding the performance standards for each subject and by organizing and integrating them. Third, voluntary cooperation among teachers is essential to improve instructional ability and method. By performing and evaluating 'curriculum reconstruction' together, teachers can improve their instructional expertise. On the basis of research results, the administrativ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help keep an appropriate level of decision making authority for teachers' instruction improvement and to help reduce workload for continuous efforts. In addition, the reduction of workload should lead to increase the preparation of teachers' instruction and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Second, the school climate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hould play a role as 'catalysts' for improving instruction. Administrative system must be able to help teachers make efforts to improve instruction, encourage cooperation among them, and try to create a school climate in which teachers are actively engaged in improving their own instruction. Third, the school instruction culture should be changed more open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through instructional sharing with other teachers. And for parent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tudent's growth process in order to build a trustworthy relationship. 수업유형을 확인하는 것은 교사의 수업개선을 위한 첫 출발점이다. 교수자가 자신의 수업유형 및 이에 적합한 교수법을 인식하고, 이를 자신의 교수 행위에 비추어 성찰해 보는 과정은 교수효과성 향상 및 교수전문성 발전과 직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교사의 수업유형은 학생의 학업성취뿐만 아니라 학습태도, 가치관, 자아개념 등 학생의 제반 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에서 이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교사의 수업유형을 수업능력 및 수업방법을 준거로 하여 확인하였다. 특히 교사의 수업능력과 수업방법에 따른 수업유형 분류는 수업과정에서 보이는 교사의 수업행동 유형에만 초점을 두어 확인해 본다는 특징이 있으며, 수업상황에서 보이는 다양한 수업능력 및 수업방법을 복합적으로 확인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업유형의 확인을 교사가 아닌 학생들이 인식한 내용을 토대로 확인할 필요가 있는데, 실제 교사 스스로의 수업에 대한 인식과 학생의 인식은 다를 뿐만 아니라 학습의 주체인 학생의 인식에 대해 확인함으로써, 더 객관적이며 실제적인 교사의 수업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교사의 수업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것은 각 수업유형의 특징과 영향요인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다. 특히 교사의 수업개선을 위해 지적되고 있는 많은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과 제도들의 실제적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해 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수업유형을 수업능력 및 수업방법을 준거로 하여 다층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 전반의 수업유형 특징과 각 세부 유형별 특징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수업능력 및 수업방법 개선을 위한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기존 선행연구들과 달리 대규모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생의 수업인식을 통한 교사의 수업유형을 확인하고자 하며, 실질적인 수업개선을 위해 수업능력 및 수업방법을 준거로 수업유형을 분류하고자 한다. 또한 수업유형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수준, 학교수준 영향요인을 다층으로 나누어 확인함으로써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며, 이를 바탕으로 교사수준 학교수준의 수업개선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학교현장에서 수업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 하에 시행되는 많은 영향요인들에 대해 점검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각 수업유형에 따른 수업개선책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수업능력과 수업방법 정도가 낮은 교사 집단의 문제점을 확인하여 필요한 개선책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수업유형은 총 4개의 잠재프로파일 형태로 분류되었다. 구체적으로 수업능력 및 수업방법 관련 모든 지표변수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는 ‘적극적 수업형’, 연구대상의 절반 가까이 속한 유형인 ‘일반적 수업형’. 교사의 교과지식 정도에 비해 수업기술, 학생이해, 수준반영 지표변수가 낮으며, 발문법보다는 강의법이 더 높은 ‘소극적 수업형’. 모든 지표변수에 대해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으며 학생이해 지표변수가 가장 낮은 ‘학생이해 부족형’이다. 둘째, 모든 수업유형에서 수업능력 지표변수인 ‘교과지식’은 높게 나타났으나, ‘학생이해’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특히 수업유형 중 ‘학생이해 부족형’의 경우 그 차이가 다른 수업유형보다 크게 나타났다. 셋째, 모든 수업유형에서 공통적으로 학습자 중심의 수업방법보다는 교수자 중심의 수업방법을 더 높게 인식하였다. 이는 수업유형에 관계없이 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수업이 학습자 중심의 수업방법보다는 교수자 중심의 수업방법을 통해 진행되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적극적 수업형’과 ‘일반적 수업형’교사는 강의법보다는 발문법을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소극적 수업형’은 다른 유형들과 달리 발문법과 강의법을 비슷한 수준에서 사용하였다. 다섯째, 학습자 중심 수업방법의 경우 모든 수업유형에서 공통적으로 학생들의 인식 중 토의법이 가장 높았으며 발견학습 및 탐구학습, 협동학습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적극적·일반적·소극적 수업형’은 협동학습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학생이 인식한 교사의 수업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수준 요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유형 중 ‘학생이해 부족형’과 ‘소극적 수업형’은 수업개선을 위해 교사효능감과 교직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특히 교사효능감은 ‘일반적 수업형’과 ‘적극적 수업형’을 나누는 데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교사효능감은 수업유형에 관계없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소극적 수업형’의 수업개선을 위해 교사 간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다른 수업유형들과 달리 교사협력은 ‘소극적 수업형’과 ‘적극적 수업형’을 분류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수업에 소극적으로 임하는 수업유형의 교사에게 동료교사와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능동적으로 임하게 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셋째, 교사의 의사결정권한 확대는 수업개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오히려 ‘학생이해 부족형’의 경우 ‘적극적 수업형’과의 차이를 분류하는데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소극적 수업형’이 의사결정권한이 가장 높았다는 점에서, 교사의 의사결정권한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간의 연계성이 떨어짐을 의미한다. 넷째, ‘소극적 수업형’의 수업개선을 위해 업무부담을 경감시켜줄 필요가 있다. ‘소극적 수업형’의 경우 업무부담 정도가 ‘적극적 수업형’, ‘일반적 수업형’과 상당한 차이 보이기 때문에, ‘소극적 수업형’의 업무부담을 줄여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다섯째, 교사별 평가는 교사의 수업유형 분류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극적 수업형’의 경우 교사별 평가 반영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소극적 수업형’의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교사별 평가를 통한 수업개선의 효과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학생이 인식한 교사의 수업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수준 요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규모는 ‘적극적 수업형’과 다른 수업유형들을 분류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적극적인 수업능력과 수업방법을 구사하기 위해서는 학급규모의 감축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학교만족도, 학교풍토, 학교장 변혁적 지도성은 교사의 수업유형을 분류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수업유형에 따른 평균값 차이에서도 유형별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학교만족도, 학교풍토, 학교장 변혁적 지도성이 교사의 직접적인 수업개선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점을 시사한다. 셋째,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율이 높은 수업유형은 ‘적극적 수업형’, ‘일반적 수업형’, ‘소극적 수업형’, ‘학생이해 부족형’순으로 나타났으며, 수업능력 및 수업방법 정도가 낮은 수업유형일수록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가 수업개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연구 결론을 바탕으로 수업개선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과의 상호작용과 학생 이해에 대한 수업능력 개선을 위해서는 교사의 수업이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교사는 체계적으로 선정되고 조직된 학습내용을 바탕으로 토론, 협동학습과 같은 학습자간의 적극적인 상호 활동들을 통하여 능동적 참여를 이끌어 낼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의 수업능력과 수업방법 개선을 위해 교육과정 재구성을 활성화해야 한다. 다양한 교과의 성취기준을 재구성하여 융합적으로 조직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학습자 중심의 수업방법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 재구성과 더불어 수업능력 및 수업방법 개선을 위해서는 교사들의 자발적인 협력이 필수적이다. 교사들은 수업연구를 통해 교육과정 재구성을 함께 할 수 있으며 이를 함께 실행하고 평가한다는 점에서 수업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영향요인 탐색 결론을 바탕으로 행정적, 제도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수업개선을 위한 의사결정권한의 적정 수준 유지와 업무경감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업무경감이 교사의 수업준비와 수업능력 개발로 이어지기 위한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둘째, 학교풍토와 학교장 변혁적 지도성은 수업개선을 위한 촉매제 역할을 해야 한다. 교사들이 수업개선 문제에 힘쓸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할 것이며 교사 간의 협력을 장려하고 교사들이 수업개선에 적극적으로 임하는 학교풍토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학교 수업문화를 개방적으로 바꾸어야 한다. 교사 간 수업교류를 통해 수업에 대한 협력적 체계를 만들며, 학부모에게는 학생의 발달과정을 확인시켜 신뢰로운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 AHP기법을 활용한 한국전통무용 이수자의 교수행동특성 연구

        권영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jor patterns of teaching methods in instructing traditional Korean dance and to in particular the key expressive movement factors and to prioritize and conclude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facto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having pedagogies and expressive methods documented and the traditional Korean dances preserved and thereby to contributing to the smooth succession and developing traditional Korean danc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objective, 23 successors of the traditional dances were selected as study objects. The study theme of examining teaching methods of the Korean dances and expressive movement patterns were resolved by employing a quality research method of studying documents, depth interviews and through meetings with experts. The conclusion of prioritization and relative importance of teaching methods of Korean dances and expressive movement patterns derived from quality study were verified through the Expert Choice 2000 program and the AHP analysis method.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made through employments of the above-mentioned procedures and methods. First of all, the teaching methods of instructors of the traditional Korean dance can be classified into 4major levels; educational level, artistic level, traditional level and re-choreography. These four are detailed to produce a total of 14 elements in all. The educational level sub-classifies to 4 pursuits of educational effect, feed-back, teaching methodsand manifestation of inner desire. The artistic level is sub-classified to 4 levels of pursuit of beauty, elegance, artistry and empathy. The traditional level is sub-classified to 3 levels of pursuit of identity, succession of tradition and pursuit of lamentation. The re-choreography is sub-classified to 3 levels of pursuit of understanding of rhythm, breathing and understanding of movement. Second, the teaching patterns of expressive movements of the instructors of the traditional Korean dances can be classified into 3 expressions of objective, linguistic and movement. These three patterns of movement are again sub-classified as follows. The objective expression is classified to 3; animals and plants,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non-livings and the linguistic expression is sub-classified into 4; colloquial, dialect, humor, emphasis and repetitive dialogue method and the movement expression is sub-classified into 3; mimicking the behaviors of others, exaggerated gesture portrayal and unconscious behaviors. Thus, a total of 10 elements were derived.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uccessors of the traditional Korean dances considered the traditional element the most important element then artistry, educational then the re-choreography of the 4 categories of the teaching patterns. Of the sub-categories, it was found that the pursuit of succession of the tradition from the traditional level, pursuit of artistry from the artistry level, manifestation of inner desire from the educational level and understanding of breathing from the re-choreography we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element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successors of the traditional Korean dances considered movement expression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the expressive movement teaching method and then in the order of linguistic and objective. Of the sub-categories, it was found that exaggerated gesture portrayal from movement behavior, emphasis and repetitive dialogue method from linguistic and comparison to the natural environment from the objective we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elements from the expressive movement element. In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the successors of the traditional Korean dances put most emphasis on the traditional element when teaching Korean dances and exaggerated gesture portrayal was most employed in the expressive method to achieve the educational effect. However, one is able to see that the pedagogy of traditional Korean dance does not consider single element but rather flexibility is shown for educational effectiveness complexly considering various elements. 이 연구는 한국전통무용 지도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주요 교수유형은 무엇이고 특히 중요하게 반영하는 표현행동유형은 무엇인가를 규명하고 각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는 한국전통무용의 교수유형 및 표현양식의 기록 및 보존적 측면 그리고 한국전통무용의 원활한 계승적 측면과 발전 방향을 확보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전통무용 이수자 2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한국전통무용의 교수유형 및 표현행동유형의 요인을 규명하는 연구 문제는 문헌고찰과 심층면담, 전문가 회의 등을 통한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해결하였다. 질적연구를 통해 규명된 한국전통무용의 교수유형 및 표현행동유형 각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도출은 Expert Choice 2000 프로그램을 이용한 AHP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러한 절차와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한국전통무용 이수자들의 교수유형은 교육적 차원, 예술적 차원, 전통적 차원, 재안무적 차원의 4가지 차원으로 크게 분류되었다. 이러한 4가지 차원은 또다시 세부 소항목으로 분류되었는데, 교육적 차원은 교육적 효과성추구, 피드백 추구, 지도법 추구, 내적욕구발현 등의 4가지 차원으로, 예술적 차원은 아름다움 추구, 풍류 추구, 예술성 추구, 감정이입 추구 등의 4가지 차원으로, 전통적 차원은 정체성 추구, 전통계승성 추구, 한(恨)추구 등의 3가지 차원으로, 재안무적 차원은 장단이해 추구, 호흡이해 추구, 동작이해 추구 등의 3가지 차원으로 총14가지 요인을 도출 하였다. 둘째, 한국전통무용 이수자들의 교수표현행동유형은 사물적 표현, 언어적 표현, 행동적 표현의 3가지 표현으로 크게 분류 되었다. 이러한 3가지 표현행동유형은 또다시 세부 소항목으로 분류되었는데, 사물적 표현은 동·식물, 자연환경, 물건(무생물)등의 3가지 요인으로, 언어적 표현은 비속어, 방언, 유머, 강조 및 반복화법 등의 4가지 요인으로, 행동적 표현은 타인행동 묘사, 과장된 몸짓행동 묘사, 무의식적 행동 등의 3가지 요인으로 총 10가지 요인을 도출 하였다. 셋째, 한국전통무용 이수자들은 한국전통무용 교수유형의 4가지 대항목요인 중에서 전통적 차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다음으로 예술적 차원, 교육적 차원 그리고 재안무적 차원 순으로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한국전통무용의 전통적 차원 중에서는 전통계승성 추구를, 예술적 차원 중에서는 예술성 추구를, 교육적 차원 중에서는 내적욕구발현 추구를, 재안무적 차원 중에서는 호흡이해 추구를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전통무용 이수자들은 교수표현행동유형의 3가지 대항목요인 중에서 행동적 표현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다음으로 언어적 표현, 그리고 사물적 표현 순으로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행동적 표현에서는 과장된 몸짓행동 묘사를, 언어적 표현에서는 강조 및 반복화법을, 사물적 표현에서는 자연환경에 대한 비유를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한국전통무용 이수자들은 전통무용교수시 전통적 차원을 가장 강조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교육의 효과성을 위한 표현방식으로는 행동적 표현인 과장된 몸짓행동 묘사가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한국전통무용 교수행동에서는 어느 하나의 요인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교육의 효과성을 위한 유연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