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교사의 음악 교수내용지식(PCK) 인식 수준과 음악 교수불안 요인 조사

        이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현직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음악 PCK 및 교수불안에 관한 조사를 통해 초등교사가 음악 수업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과 실질적인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초등학교 교사의 음악 교수역량 강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현직 초등학교 교사 1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음악 교수내용지식(PCK)의 인식 수준과 음악 교수불안 정도를 파악하였다. 이후 음악 교수내용지식(PCK)의 형성과 교수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인 경험 및 정서적인 요인 등) 배경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교수불안 정도가 낮은 교사 3명과 높은 교사 3명을 선정하여 개별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의 음악 교수내용지식(PCK) 인식 수준과 교수불안 정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 음악 교수내용지식(PCK) 인식 수준 및 교수불안 정도를 살펴보면, 초등교사들은 음악 교과를 지도하는데 필요한 음악교육에 대한 이해와 교수역량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음악 교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배경에 따른 음악 교수내용지식(PCK) 인식 수준 및 교수불안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5년 미만의 저경력 교사의 경우 모든 하위 영역에서 PCK 인식 수준은 가장 낮고, 교수 불안 평균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 교수내용지식(PCK)의 형성에 있어서 교사의 과거 음악 학습 경험은 가르치는 방식의 기초가 되었으며, 교사 양성과정에서 익힌 교과 지식과 교수 지식은 실제 수업 실행 경험을 통해 교수내용지식(PCK)으로 정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악 교수 불안의 배경 요인애는 교과 내용 지식의 부족에 따른 자신감 결여, 아는 것을 가르치기 위한 교수 지식 부족, 컨설팅 및 동료 장학 기회 부족으로 반성적 실천의 부재, 음악 수업의 실패 경험과 낮은 교수 효능감으로 인한 학습된 무기력 등이 있었다. 다섯째, 음악 교수내용지식(PCK) 수준과 교수 불안의 정도를 Pearson's 상관관계분석으로 측정한 결과, 음악 교수내용지식(PCK)의 인식 수준과 교수불안의 정도는 높은 수준의 부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즉 음악 교수내용지식(PCK) 인식 수준이 높은 교사는 음악 교수불안이 낮게 형성되어 있는 반면, 음악 교수내용지식(PCK) 인식 수준이 낮은 교사는 음악 교수불안이 높게 형성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 음악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초등 교원 양성 교육과정 및 현직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 과학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가 초등교사의 과학교수태도 및 교수불안에 미치는 영향

        박정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태도 및 교수불안에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과학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 성별 및 고등학교 시절의 전공이 초등교사의 교수태도 및 교수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입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설문 대상은 부산-울산광역시 소재의 초등학교 교사이다. 검사도구는 초등교사의 과학흥미 및 호기심 검사를 바탕으로 과학교수태도, 과학교수불안 설문지를 사용하여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 3가지와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고등학교 시절 문/이과의 선택은 과학교수태도 및 과학교수불안에 영향을 미쳤다. 고등학교 시절 이과를 선택한 교사들이 문과를 선택한 교사보다 현장에 나와서 과학교수태도가 더 긍정적이고 과학교수불안이 더 적었다. 과학과목을 수능에서 선택하여 공부한 경험이 과학교수태도와 과학교수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성별이 초등교사의 과학교수태도 및 과학교수불안에 영향을 미쳤다. 여교사 보다 남교사가 과학교수태도에 긍정적이였으며 과학교수불안이 더 낮았다. 어린시절부터 성별에 따른 여러 사회적 통념 및 학습방법, 흥미의 차이가 과학교수태도와 과학교수불안에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과학 호기심을 흥미형 호기심,결핍형 호기심, 과학호기심으로 나누었을 때, 과학교수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개인적 흥미와 과학 호기심이였다. 또한 과학교수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개인적 흥미였다. 사전경험과 사전지식에 의해 생기는 개인적 흥미는 과학교수태도를 긍정적으로 만들고, 과학교수불안은 낮춰주었다.

      • 초등학교 영재담당교사의 교수불안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 낙관성과 자기위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형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재담당교사를 대상으로 교수불안, 창의적 교수행동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며, 교수불안과 창의적 교수행동의 관계에서 낙관성과 자기위로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인천, 경기, 충북, 울산, 전남, 경북, 부산교육청 소속 영재교육을 담당 및 운영하고 있는 교사와 영재학생을 지도하는 영재학급강사 204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에 의해서 처리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전반적인 자료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자료의 이상치, 정규성을 검토하며 각 변인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각 변인별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는 Cronbach's Alpha를 검토하였다. 교수불안, 낙관성, 자기위로 능력, 창의적 교수행동 간의 관계를 검토하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측정모형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분석을 통하여 측정모형의 전반적 적합도를 구하였고, 각 잠재변인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비표준화 경로계수의 C.R(Critical Ratio)을 통해 경로계수의 유의성을 판단하였다. Ping(1966)의 2단계 방법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낙관성과 자기위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불안은 창의적 교수행동과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불안과 낙관성은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위로 능력과도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수불안은 다른 변인들과 모두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관성과 자기위로 능력과의 관계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으며 창의적 교수행동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위로 능력과 창의적 교수행동과의 관계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낙관성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이르는 경로와 교수불안과 낙관성의 상호작용에서 창의적 교수행동에 이르는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조절효과는 없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셋째, 교수불안과 자기위로능력, 교수불안과 창의적 교수행동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자기위로 능력과 창의적 교수행동의 상관은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교수불안에서 창의적 교수행동에 이르는 경로, 자기위로 능력에서 창의적 교수행동에 이르는 경로는 부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재담당교사들이 교수불안으로 인해 창의적 교수행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초등학교 영재담당교사들에게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기제 중 낙관성과 자기위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통해 영재담당교사의 교수불안에 대한 정확한 원인과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상담이나 표준화된 프로그램 제공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영재담당교사의 교수불안을 파악한 후에는 교수불안을 조절하여 창의적 교수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요인과 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 또한 초등학교 영재담당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 컨설팅 기회를 확대해야 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 유아교사의 교수불안이 목표중심 자기조절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현유리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교수불안과 목표중심 자기조절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유아교사의 교수불안과 교사효능감에 관계에서 목표중심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여부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유아교육 및 보육 현장에 근무하는 만 3-5세의 유아교사이다. 모바일 설문지를 눈덩이 표집(snowball sampling)을 사용해 배포하여 그 중 220부를 회수하였고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20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및 SPSS Process macro, t-test, ANOVA, 부트스트래핑, 회귀분석 및 상관분석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교수불안과 목표중심 자기조절이 교사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목표중심 자기조절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도 확인하였다. 즉, 유아교사의 교수불안이 높을수록 목표중심 자기조절의 수준을 감소시키고 그로 인해 교사효능감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교수불안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과정에서 목표중심 자기조절이 매개하는 직접・간접 경로를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교사효능감에 대한 유아교사의 교수불안과 목표중심 자기조절의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유아교사의 교수불안을 낮추고 목표중심 자기조절을 증진시킬 지원과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ing anxie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goal-focused self-regulation and teacher efficacy. A mobil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snowball sampling of 208 early childhood teachers engag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SPSS Process macro, t-test, ANOVA, bootstrapping, regression,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specific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eaching anxie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s a direct and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 efficacy and also indirect effects were confirmed on goal-focused self-regulation. By confirming the influence of teaching anxie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goal-focused self-regulation and teacher efficacy, this study found that i t is necessary to have support and efforts to reduce the teaching anxie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omote goal-focused self-regulation.

      • 초등교사의 수학 교수불안과 수학 교수효능감 및 상호관계 분석

        김용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2

        교사의 심리적 요인은 학생의 수학효능감과 수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수학교육에 있어 중요한 영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개인 변인과 수학 교수불안, 수학 교수효능감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 수학 교수불안과 수학 교수효능감을 이루는 하위 요인들 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수학 교수불안이라는 심리적인 요인이 수학을 지도할 때 교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수학 교수불안은 낮추고 수학 교수효능감은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교사의 전공과목, 교직 경력, 담당 학년에 따라 수학 교수불안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초등교사의 전공과목, 교직 경력, 담당 학년에 따라 수학 교수효능감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초등교사의 수학 교수불안과 수학 교수효능감 사이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특별시 관내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초등교사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라 수학 교수불안과 수학 교수효능감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으며, 검사 결과를 Microsoft Excel과 SPSS-Statistics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4,5,6학년 담당 교사, 교직경력 5년 이상 교사, 수학 이외의 교과를 전공한 교사의 수학교수불안이 그 반대의 경우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2,3학년 담당 교사, 교직경력 5년 미만 교사, 수학 교과 전공 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이 그 반대의 경우보다 더 높았다. 셋째, 초등 교사의 수학 교수불안과 수학 교수효능감 사이에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수학 교수불안의 하위 변인인 ‘수학 수업의 효율성’과 수학 교수효능감의 하위 변인인 ‘교수학적 내용지식에 대한 신념’이 가장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라 수학 교수불안과 수학 교수효능감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수학 교수불안을 많이 느낄수록 수학 교수효능감이 낮아졌다. 교사의 수학 교수불안은 교사의 교수효능감뿐만 아니라 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교사들이 수학 교수불안을 느끼는 원인을 정확히 파악한 후, 그것을 낮출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 초등교사의 뇌 선호도와 미술교수 불안과의 관계성 연구

        장윤경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1

        초록 초등교사의 뇌 선호도와 미술교수 불안과의 관계성 연구 본 연구는 초등학생 및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뇌 선호도를 조사, 현재의 좌뇌 편향적 교육과정이 뇌 선호도 및 선호 교과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하고, 교사의 뇌 선호도와 미술교수 불안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대구 경북 지역 초등학교 3학년 학생 478명, 초등교사 131명을 대상으로 뇌 선호도 진단검사와 미술교수 불안측정도구를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초등학생의 뇌선호도는 좌뇌선호형 31.1%, 우뇌선호형 37.8%, 양뇌선호형 31.1%로 고르게 분포되었으나, 초등교사는 좌뇌선호형이 58.8%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은 뇌 선호유형에 관계없이 체육, 미술 교과를 선호하였지만 초등교사는 뇌 선호유형과 관계없이 국어, 수학 교과를 선호하였고 국어, 수학, 사회 교과 교수를 선호하였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의 미술교수 상태불안은 2.99, 특성불안은 2.62, 미술교수 불안은 2.80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성별, 미술 전공 여부, 미술교과 연구회 경험, 미술 관련 연수 경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초등학교 교사의 미술교수 상태불안 및 미술교수 특성불안, 미술교수 불안은 좌뇌선호형 교사가 가장 높았다. 특히 교사의 미술교수 특성불안은 우뇌선호형과 좌뇌선호형 교사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학교 교육을 통해 초등학교 교사들은 좌뇌적 사고에 익숙해졌으며, 학생의 학습 선호 교과와 교사의 교수 선호 교과 간의 불일치가 생겼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좌뇌선호형 교사가 미술교수 불안 정도가 높은 이유는 미술과 같은 예술교육의 부재로 좌뇌에 비해 우뇌적 기능을 충분히 학습하지 못하였고, 미술을 좌뇌적 사고로 해석하고자 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좌우뇌 기능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교육과정 및 체계적인 미술 연수를 통해 초등교사의 미술교수 불안을 감소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초등교사 뇌 선호도, 미술교수불안

      • 유아 교사의 교수불안과 교사-유아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전문성 발달의 조절효과

        이혜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교수불안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전문성 발달의 조절효과를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유아교사의 연령, 경력, 학력에 따른 교수불안, 교사-유아 상호작용, 전문성 발달의 차이는 어떠한가? 1-1. 유아교사의 연령에 따른 교수불안, 교사-유아 상호작용, 전문성 발달의 차이는 어떠한가? 1-2. 유아교사의 경력에 따른 교수불안, 교사-유아 상호작용, 전문성 발달의 차이는 어떠한가? 1-3. 유아교사의 학력에 따른 교수불안, 교사-유아 상호작용, 전문성 발달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2. 유아교사의 교수불안,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전문성 발달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3. 유아교사의 교수불안과 교사-유아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 발달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하는 만3, 4, 5세 담당 유아 교사 200명으로 유아교사의 교수불안, 교사-유아 상호작용, 전문성 발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부의 자료를 데이터 분석에 활용 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9.0 프로그램으로 기초통계, 신뢰도, 일원변량분석(ANOVA),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한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연령에 따라 전문성 발달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경력에 따라 교수불안에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교사의 학력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불안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전문성 발달에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교수불안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며, 교수불안과 전문성 발달 간의 상관관계도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전문성 발달의 상관관계는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셋째, 유아교사의 교수불안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서 전문성 발달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수불안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전문성 발달의 조절 효과의 중요성을 살펴본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즉, 질 높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위해 중요한 요인은 유아교사의 낮은 교수불안과 전문성 발달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는 유아교사의 교수불안과 전문성 발달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교사와 유아 간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향상시켜 유아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길 바란다.

      • 초등수학영재 지도교사의 교수불안 분석

        김연흠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 재산의 가치와 효용성이 높아지는 미래 사회에서 국가의 발전을 책임질 영재들의 교육을 담당할 영재 지도교사의 중요성에 주목, 이에 따라 초등수학영재 지도교사들이 수학영재수업과 관련하여 느끼게 되는 교수불안 요인을 알아보고, 교수불안 요인에 따른 해소방안을 마련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수학영재 지도교사의 교수불안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초등수학영재 지도교사의 교수불안 요인에 따른 해소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시 교육청 및 서울시 단위 학교에서 초등수학영재 지도교사를 하고 있거나 한 경험이 있는 교사 5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57명의 연구대상에게 김상일(2013)이 제작한 검사지와, 김리나(2015)가 개발한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수불안 측정도구’의 문항을 참고하여 완성한 ‘초등수학영재 지도교사의 교수불안 분석을 위한 검사지’를 투입하여 설문을 실시했으며, 설문 결과 교수불안도가 높게 나타난 5인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수학영재 지도교사들이 교수불안을 느끼게 되는 요인을 영역별로 살펴보면, 교수불안을 느끼게 되는 가장 큰 요인은 교수불안도가 평균 3.32점인 ‘수업에 대한 태도’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은 ‘나는 더 좋은 수업을 만들고 싶다는 아쉬움이 많이 든다’이며, 수업에 대한 아쉬움으로 인해 불안감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외의 교수불안을 느끼게 만드는 요인은 ‘평가’ 영역이 평균 3.24점, ‘학습 지도 계획 수립’ 영역이 평균 3.00점, ‘교수·학습 방법’ 영역은 평균 2.79점, ‘학습 지도 내용’ 영역 은 평균 2.45점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수학영재 지도교사들이 다양한 교수불안 요인을 해소하기 위해 개인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해소방안은 영재 관련 연수 이수 또는 영재교육 대학원 진학, 영재 수업 참관, 영재교육 관련 사이트 방문 및 영재교육 관련 도서 탐독 등이었으며, 사회·국가적으로 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해소방안은 동일기관 내 영재 수업 및 학생들에 대한 누가기록체제 마련 및 소통의 시간 마련, 산재되어 있는 영재교육 관련 사이트의 통합 및 체계화, 영재 수업 실습 제도 및 영재 지도교사 간 멘토-멘티 제도 마련 등이었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초등수학영재 지도교사들이 영재 수업을 준비하고 진행하면서 교수불안을 느끼게 되는 요인은 학습 지도 계획 수립, 평가, 수업에 대한 태도 영역에서 특히 심하게 나타났으며, 교수불안 요인을 해소하기 위해 필요한 방안으로는 다양한 것이 제시되었다. 초등수학영재 지도교사의 교수불안 요인 해소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이에 관한 꾸준한 연구가 진행되어 초등수학영재 지도교사의 교수불안이 해소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xiety in gifted education of mathematics and to present anxiety resolution methods. For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A. What is the factor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xiety in gifted education of mathematics? B. What is the resolution method to relie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xiety in gifted education of mathematics? The survey target for this study were 57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teaching gifted students in mathematics. The subjects of interview were 5 teachers who had high anxiety. The study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most anxious factor is ‘Attitude toward classes for gifted in mathematics’ with average anxiety point 3.32. Many teachers said that they want to develope their classes. Secondary anxious factor of teachers’ anxiety in gifted education of mathematics is ‘evalution’ area. Another anxious factors are ‘teaching plan’ area, ‘teaching-learning method’ area, ‘teaching contents’ area. Second, the solution method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ifted education of mathematics are trying to solve various factors of teaching anxiety are completing training about gifted education or graduate school for gifted education, visiting gifted class, visiting website related gifted education. And the social and national needs to resolve the anxiety are preparation of record system and communication time in the same institution of gifted education, site integration and systematization of various websites related gifted education, the gifted class practice system, mentor-mentee system for gifted and talented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eachers' anxiety about preparing and teaching for gifted classes of mathematics in elementary school were found especially in the areas of planning, evaluation, attitude toward classes. A variety of suggestions are needed to solve the problem. This study suggests the dducation department and nation have to prepare the ways to solve the teaching anxiety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ifted education of mathematics and if those methods are prepared, it is expected that the teaching anxiety will be solved.

      • 창작영역에 대한 예비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및 교수불안 연구

        황민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0

        본 연구의 목적은 창작영역에 대한 예비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및 교수불안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예비음악교사가 실제 교육 현장에서 질 높은 창작 수업을 하기 위해 함양해야 할 부분을 파악하여, 교원양성기관에서의 창작 교육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사범대학교 및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예비음악교사 103명이며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는 SPSS 29.0을 통하여 분석 처리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음악교사의 창작영역에 대한 교수내용지식은 비교적 평균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의 경우 교육과정 지식이 가장 높은 응답 수준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교수법 지식, 환경맥락 지식, 내용 지식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 사항 중 전공, 음악 창작영역 관련 강의 수강 경험, 음악 창작 수업 진행 경험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예비음악교사의 창작영역에 대한 교수불안 또한 비교적 평균 수준으로 나타났다. 교수내용지식과 마찬가지로 일반적 사항 중 전공, 음악 창작영역 관련 강의 수강 경험, 음악 창작 수업 진행 경험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교수내용지식과 교수불안 모두 교원자격증 취득 기관, 교생 실습 경험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음악교사의 창작영역에 대한 교수내용지식이 교수불안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수내용지식 하위영역의 경우, 내용 지식을 제외한 나머지 교육과정 지식, 환경맥락 지식, 교수법 지식은 교수불안에 유의한 수준의 영향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예비음악교사의 창작영역에 대한 교수내용지식과 교수불안이 비교적 평균의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이때 교수내용지식과 교수불안 모두 전공, 음악 창작영역 관련 강의 수강 경험, 음악 창작 수업 진행 경험 등의 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전체 교수내용지식이 교수불안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에 비해, 교수내용지식 하위영역의 경우 내용 지식을 제외한 나머지 교육과정 지식, 환경맥락 지식, 교수법 지식은 교수불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교육과정 전반에서 창의성이 주목받음에 따라 음악 교과에서도 창작영역이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음악교사는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을 위해 창작 수업을 활성화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교원양성기관에서의 음악 창작 교육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를 바란다. 또한 이를 통하여 예비음악교사가 창작영역에 대한 전문성과 자신감을 갖고 훗날 실제 교육 현장에서 질 높은 음악 창작 수업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nd teaching anxiety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in music creative classes, aiming to identify areas that need to be cultivated for pre-service music teachers to conduct high-quality music creative classes on actual teaching. Consequently,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materials that enable more effective music creative education with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o achieve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03 pre-service music teachers enrolled in nationwide Colleges of Education and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9.0. Summarizing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is: First, the PCK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in music creative classes showed a relatively average level. Among the sub-domains, curricular knowledge exhibited the highest response level, followed by pedagogical knowledge, contextual knowledge, and content knowledge in that order. Addition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ased on factors such as major, experience in attending courses related to music creative classes, and experience in conducting music creative classes. Second, pre-service music teachers' teaching anxiety in music creative classes also showed a relatively average level. Similar to PCK,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based on factors such as major, experience in attending courses related to music creative classes, and experience in conducting music creative class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based on the institution granting(anticipated) Teacher Certification or teaching practicum experience in both PCK and teaching anxiety. Third, the overall PCK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impact on teaching anxiety in music creative classes. However, among the sub-domains of PCK, apart from content knowledge, other curricular knowledge, contextual knowledge, and pedagogical knowledge did not exert a significant influence on teaching anxiety.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PCK and teaching anxiety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in the music creative classes are relatively at an average level. Both PCK and teaching anxie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variables such as major, experience in attending courses related to music creative classes, and experience in conducting music creative classes. Moreover, while the overall PCK negatively influenced teaching anxiety, sub-domains of PCK, excluding content knowledge, were found not to significantly impact teaching anxiety. With creativity gaining attention across the educational curriculum, the emphasis on the creative domain in music education is evident. Consequently, music teachers need to activate creative classes to foster students' creativity. Through this research, it is hoped that music creative education with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can be more effective. Additionally,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catalyst for pre-service music teachers to gain expertise and confidence in creative domain, enabling them to conduct high-quality music creative classes in future actual teaching.

      • 초등과학영재 담당 교사의 과학교수불안 실태 분석

        김상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0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영재 담당 교사의 과학교수불안 실태와 그 불안 요인을 연구하여 초등과학영재 담당 교사들의 과학교수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인천과 김포지역 초등과학영재 담당 교사 6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과학교수불안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는 Spielberger가 제작한 STAI (State Trate Anxiety Inventory)를 Westerback이 예비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과학적 상황으로 수정한 S-STAI(Science-State Trait Anxiety Inventory)로서 이를 과학영재교육에 맞게 수정하였으며, 일반과학수업과 과학영재수업에 대해 비교하여 응답할 수 있도록 구성 하였다. 그리고 과학영재수업 불안 요인 측정 검사지는 FSAI(Factor of Science Anxiety Inventory)를 과학영재교육에 맞게 학습 지도 계획 수립, 학습 지도 내용, 교수 학습 방법, 교수 학습에서의 교사 역할, 평가 영역, 평가 방법의 영역으로 수정하였다. 취합된 검사지는 교사 변인에 따른 각 집단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 독립표본 t검정 및 일원 변량 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과학영재 담당 교사가 과학영재수업에서 느끼는 과학교수불안은 전체적으로 일반과학수업에서 느끼는 과학교수불안보다 높으며 성별, 연령, 일반 교육 경력, 출신 고등학교 계열, 대학교 및 대학원 전공, 영재 연수 이수 여부, 과학 영재 교육 경력, 영재 관련 연구회 활동 등 개인의 배경 변인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또한, 초등과학영재 담당 교사가 과학영재수업에서 느끼는 과학교수불안은 남교사 보다 여교사가, 영재 교육 경력이 많은 교사보다 영재 교육 경력이 적은 교사가 과학영재수업에서 느끼는 과학교수불안도가 높다. 둘째,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불안 요인은 활동지 및 학습 자료 제작, 새로운 과학 정보, 실험 학습, 실험 관찰 결과의 기록 지도, 탐구 능력의 평가, 토론에 대한 평가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과학교수불안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성별, 경력 및 과학계열 전공 여부 등의 개인별 특성에 맞춘 차별화된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사 연수 및 영재교육관련 연구회를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여교사 및 저경력 영재 담당 교사에 대한 추가적이고 집중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활동지 및 학습 자료 제작, 새로운 과학 정보, 실험 학습, 실험 관찰 결과의 기록 지도, 탐구 능력의 평가, 토론에 대한 평가 등의 사항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science teaching anxiety among elementary science gifted resource teachers and the factors of their anxiety in an effort to seek ways of relieving elementary science gifted resource teachers of science teaching anxie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4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science gifted education in the regions of Incheon and Gimpo. One instrument to assess their science teaching anxiety was Westerback's S-STAI(Science-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which modified Spielberger's STAI(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to sui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tific setting. This inventory was again modified in this study to be suitable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and let respondents compare general science instruction with science gifted instruction. The other instrument used to evaluate the factors of science teaching anxiety was the FSAI(Factor of Science Anxiety Inventory), which was modified in this study to cover educational planning, the content of learning guida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eacher roles, evaluation domain and evaluation method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gifted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to look for connections between the variables of the selected teach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s that they belonged to, and paired- samples t-test,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science teaching anxiety of the elementary science gifted resource teachers, they felt more teaching anxiety in gifted classes than in general classes on the whol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at regard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general education experience, the track of their high schools, major at college and graduate school, experience of taking gifted education training courses, science gifted education experience and workshop activities related to gifted education. And the teachers who were female and who had less experience in gifted education felt more teaching anxiety in science gifted classes. Second, the factors that made them feel anxiety about science gifted instruction were the production of activity paper and learning materials, new science information, experimental learning, teaching how to record the results of experiment or observation, evaluation of inquiry process skills and evaluation of discussi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 that in order to lighten science teaching anxiety, differentiated science gifted education training courses tailored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such as gender, career and major should be provided, and the organization of gifted education workshops is required. Specifically, it's required to offer more intensive assistance for female and less-experienced gifted resource teachers. Besides, teachers should be well backed up in terms of the production of activity paper and learning materials, acquisition of new science information, experimental learning, teaching how to record the results of experiment or observation, evaluation of inquiry process skills and evaluation of discu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