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육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임파워먼트 매개효과

        박미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의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수창의성의 관계에서 교사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교사 임파워먼트, 그리고 교수창의 성은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을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3.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수창의성의 관계에서 교사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부산과 경남 소재 민간, 법인 및 국공립, 그리고 직장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4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보육교사의 배경변인과 관련된 문항과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측정도구, 교사 임파워먼트 측정도구, 교수창의성 측정도구 등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수거된 설문지 중 결측치를 제외한 총 452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먼저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주요 변수들 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SPSS 21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사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Process Macro 4번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연령이 40대 이상인 집단에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을 높게 인식하고 교사의 임파먼트와 교수창의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력은 대학교 졸업인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하여 교사 임파워먼트가 높았고, 교사 경력이 4∼9년 이상으로 경력이 많은 집단이 교사 임파워먼트와 교수창의성이 높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배경변인,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교사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들을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에 의하면, 교사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 중 자기결정성이 교수창의성을 예측하는 가장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원장의 이타적 소명, 교사의 의사결정, 원장의 조직의 청지기 정신, 그리고 교사의 연령순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 임파워먼트는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의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주고, 이것이 최종적으로 교수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원장이 적극적으로 서번트 리더십을 발휘하여 교사에게 임파워먼트 해야 함을 의미한다.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 미래에 적합한 인재의 역량으로 창의성이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에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교수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의 임파워먼트에 대해 분석한 연구로 의의가 있으며, 교사의 교수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원장 및 교사교육에 주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교사 임파워먼트가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윤현이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19

        A. The purpose of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mpower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Under the hypothesis that openness degree of teacher empowerment influence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this paper also focused on proposing basic materials on teacher empowerment to establish the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improvement of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each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perceptions in teacher empowerment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sex, degree, scholarship, career, degree, school level, school size, region)?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perceptions i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sex, degree, scholarship, career, degree, school level, school size, region)?. Third, are there any effect of teacher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eacher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sex, degree, scholarship, career, degree, school level, school size, reg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mpower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eachers? B. The methods of study For this study, review of the literature relevant to this area and the survey with questionnaire were employed.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two parts: The first part SPES(School Participant Empowerment Scale) were based on used the questionnaire for measuring of teacher empowerment made by Short and Rinehart, the second part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eveloped by Kim, Chang Geol to measur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amples of this study were 434 teachers working in Seoul, Daejeon, Kyunggi and Chungchung,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win10.0 program and treated on the means of calculating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F)-test, multiple regress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C.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the teacher empowerment concerned 3.21 on 5 point-scale and in terms of sub-variables, the item of self efficacy marked 3.59 which was the highest and the item of decision making marks 2.79 which was the lowest. Second, the average score of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ncerned 3.54 on 5 point-scale and in terms of sub-variables, the item of the teaching production marked 3.63 which was the highest and the item of organizational adaptation marked 3.43 which was the lowest. Third,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empower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positive effect. D. Conclusions Base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iven; First, teacher empowerment was differently perceived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 background. Male-teachers, head teachers, teachers with long career, teachers with high degree and teachers with middle size 32-42 classes had more empowerment than there counterparts. Accordingly, proper educational countermeasure must be prepared for the teacher lower perceiving teacher empowerment. That was, they seems to participate more eagerly than the others about school administration. Second, teachers was differently perceive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 background. Head teachers, long career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ers with middle size 32-42 classes were more highly perceived. That was, they were more participated in school administration than the others. Third, this result showed that teacher empowerment is a major variable to improve th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rincipals must try to improve the teacher empowerment and should encourage teachers to empower.

      • 유아교육기관에서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교사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이승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0

        Effects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eachers' Empowerment 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eachers' empowerment 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teachers working for private kindergartens and children's houses. T-test and F-test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empowerment, while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leadership and teachers' empowerment. Further,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eachers' empower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ow much differently would the teachers perceive their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ir own empowerment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Teachers' perceived empowerment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ype of institution, number of the class and their status; kindergarten teachers, those working for the institutions with 7 classes or more and senior teachers felt more empowered than children's house teachers, those working for the institutions with 6 classes or less and junior teacher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perceived empowerment differed more or less on age, academic background or career length, but not significantly in overall terms.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uncil of the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June, 2011. After all, the factors affecting teachers' empowerment were type of institution, number of classes and their status. In particular, such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s house principals are more obliged to demonstrate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o respond more effectively to the changing early childhood educational environment. Second, what effects woul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e on teachers' empowerment? It was found that among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actors, charisma (β=.498 P< .001) and powerful leadership (β=.217 P < .05) had significant effects on teachers' empowerment; the effects of charisma were greatest among all. Hence, in order to empower teachers more effectively, principals are requested to have a charismatic leadership and a powerful one. Conclusion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effects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eachers' empowerment 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can be concluded as follows; First, 'charisma' among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actors was most highly correlated with teachers' professionalism, a factor of their empowerment. Hence, in order to help teachers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it is deemed essential for principals to improve their charismatic leadership. If teachers should be more empowered by principals' charismatic leadership, empowered teachers would serve to reinforc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result would be a synergic effect. Therefore, principals should demonstrate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ore positively and thereby, help teachers empowered to achieve the goal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its rapidly-changing environment. Second, since it was found that among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actors, 'charisma' and 'powerful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s on teachers' empowerment, it is expected of principals as role-models for teachers to make efforts to be respected and trusted by teachers. When principals should play a pivotal role with a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and motivation, teachers would be more empowered to help achieve the goal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및 거래적 리더십,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성애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목적은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및 거래적 리더십,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조직몰입 및 혁신행동의 차이는 있는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및 거래적 리더십,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 및 혁신행동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및 거래적 리더십, 임파워먼트및 조직몰입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와 인천지역의 공․사립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하고 있는 유아교사 3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 Sashkin(1992)의 연구도구를 유아교육기관에 맞게 재구성한 강영숙(2014)의 연구도구를 사용하였다. 원장의 거래적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서 Bass(1985)의 연구도구를 수정보안한 최광현(2003)의 연구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를 측정하기 위해 Short와 Rinehart(1992)의 SPES (School Participation Empowerment Scale)를 이철수(2007)가 수정보완한 연구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조직몰입을 측정하기 위해 Allen과 Mayer(1990)가 개발한 조직몰입 척도(ACS: Affective Commitment Scale, CCS: Continuance Commitment Scale, NCS: Normative Commitment)를 권순오(2001)가 번안하고, 강지영(2009)이 수정보완한 연구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혁신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Janssen(2000)의 IWB 검사지(Innovative Work Behavior Scale)를 번안하여 타당화한 성민정(2019)의 연구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연구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조직몰입 및 혁신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과 Scheffé 검증을 시행하였다. 또한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및 거래적 리더십,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 및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및 거래적 리더십,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는 교사의 배경변인 중 학력, 재직경력, 직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유아교사의 조직몰입은 교사의 배경변인 중 연령, 학력, 재직경력, 직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유아교사의 혁신행동은 교사의 배경변인 중 학력, 재직경력, 직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및 거래적 리더십, 교사의 임파워먼트, 조직몰입, 혁신행동 간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하위요인이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임파워먼트 하위요인 중 자기효능감과 영향력이 혁신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이 혁신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보다 임파워먼트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유아교사의 혁신행동을 증진 시키는 주요 변인으로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이 영향력이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 중 교사의 임파워먼트가 상대적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교사의 혁신행동이 조직에서 부여받는 권한과 교사의 내면적 파워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 중 자기효능감과 영향력이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으로 유아교육기관에서는 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영향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근무환경 조성과 체계적인 연수 프로그램 제공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불어 교사의 혁신행동은 다양하게 급변하는 교육현장에서 유연히 대처할 수 있는 교사의 역량 중 하나이므로, 국가 정책차원에서 이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장기적 계획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후속연구를 통해 유아교사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제안한다. The Effects of Director's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ir Innovative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director's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ir innovative behavior. To achieve the purpose as such,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Research questions 1. Are there difference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novative behavior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irector's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ir innovative behavior? Research question 3. What are the effects of the director's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ir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324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Gyeonggi and Incheon regions. In this study, to measure the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Kang's (2014)'s research tool made by reconstructing Sashkin's (1992)'s research tool to fi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as used. To measure the director's transactional leadership, Choi (2003)'s research tool made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Bass's (1985)'s research tool was used. To measure the empower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rt and Rinehart (1992)'s School Participation Empowerment Scale (SPE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Lee (2007) was used. To measur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scales (ACS: Affective Commitment Scale, CCS: Continuance Commitment Scale, NCS: Normative Commitment) developed by Allen and Mayer (1990), translated by Kwon (2001),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ang (2009) was used. To measure the innovative behavio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earch tool of Seong (2019) made by translating and validating Janssen (2000)'s Innovative Work Behavior Scale (IWB) was used.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and Cronbach's α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individual research tools. One-way ANOVA and Scheffé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novative behavior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In additio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irector's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novative behavio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ve effects of the director's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ir innovative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mpower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working experience, and position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Seco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background, work experience, and position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Third, the innovative behavio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working experience, and position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Fourth,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all of the director's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s' empower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novative behavior. Fifth, it was found that sub-fact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innovative behavior, and concretely, among the sub-factors of empowerment, self-efficacy and influence had positive effects on innovative behavior. Sixth, it w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innovative behavior, and the effect of empowerment on innovative behavior was relatively greater than tha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e above study results, it has been proven that teacher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influential as major variables that promote innovative behavio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f them, the teacher's empowerment was found to have relatively larger influence, suggesting that teacher's innovative behavior is related to the authority granted by the organization and the teacher's inner power. Among the sub-factors of empowerment, self-efficacy and influence are factors that affect innovative behavior, suggesting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create a working environment and provide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so that teachers' self-efficacy and influence can be strengthened. In addition, since teacher's innovative behavior is one of the teachers' ability to respond flexibly in the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field, the necessity of discussing a long-term plan to promote it at the national policy level is raised.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rough follow-up studies, studies on various variables affecting the innovative behavio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carried out.

      •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희정 우석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32447

        <국문 초록>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들 간에는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완주군 소재 32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188명이었고,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임파원먼트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임동호(2008)가 Thomas & Velthouse(1990)의 임파워먼트 인지구성요인의 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고,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최은희(1997)가 Jorde-Bloom(1988)의 유치원 직무만족 측정도구(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 ECJSS)를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은 평균 3.66점으로 나타났으며, 임파워먼트 하위 구성요인별로 살펴보면, 의미성(4.22), 역량(3.65), 자기결정력(3.60), 영향력(3.16)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수준의 평균은 3.49점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의 하위 구성요인별로 살펴보면, 원장님과의 관계(3.80), 동료와의 관계(3.79), 근무환경(3.60), 직무자체(3.47), 보수(2.77)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임파워먼트 차이에 대한 검증결과, 보육교사자격증(F=4.571, p<.01), 근무기관의 유형(F=5.979, p<.01), 보수(F=3.051, p<.05)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별, 연령, 결혼여부, 학력, 근무경력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091, p<.05). 반면에 성별, 결혼여부, 학력, 보유자격증, 기관유형, 근무경력, 보수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43, p<.001). 또한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하위요소 간의 상관관계는 동료와의 관계(r=.36, p<.001), 직무자체의 특성(r=.36, p<.001), 원장님과의 관계(r=.33, p<.001), 근무환경(r=.21, p<.01), 보수(r=.16, p<.05)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임파워먼트의 하위변인인 의미성이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t=5.025, p<.001). 그러나 임파워먼트의 하위변인인 역량, 자기결정성, 영향력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n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of Day Care Center Teachers' Empowerment Lee, Hee Jeong Dept. of Child Welfare Graduate School Woosuk University Supervisor Professor Ha, Seung Min This study aims at looking into an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of day care center teachers' empowerment, a kind of important media in offering child-care services at day care center, and at looking into what causal relations they have. On the purpose of attaining the aims, this study performed a questionnaire, target at 188 day care center teachers serving at 32 day centers located in Wanju-gun, Jeollabuk-do. On the purpose of looking into empowerment level, this study used a scale that Lim Dong Ho(2008) revised and supplemented Thomas Velthouse's empowerment measurement tool, and on the purpose of looking into day care center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a scale that Choi Eun Hi(1997) revised and supplemented Jorde-Bloom(1987)'s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ECJSS).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ings. First, day center teachers' empowerment level was 3.66 points in average. The teachers' subsidiary constituent factors were semanticity (4.22), capacity(3.65), self-determination(3.60), and influence(3.16) in average. Second, the average of day care center teachers'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level was 3.49 point. Job satisfaction subsidiary constituent factors were relation with directors(3.80), relation with co-teachers(3.79), service circumstances(3.60), job itself(3.47), wages (2.77) in order. Third, this study investigated empowerment difference, depending on demo-sociological traits of day care center teachers. It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depending on teachers' qualification (F=4.54, p<.01), organization type(F=5.979, p<.01), and wage(F=3.051, p<.05). But it was not meaningful statistically, depending on sex, age, academic history, and career. Fourth, this study analyzed job satisfaction difference, depending on demo-sociological traits of day care center teachers. It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depending on ages(F=0.91), p<.05). It didn't show a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depending on sex, teachers' marriage, academic history, qualification, organization type, organization type, career, and wage. But it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depending on age(F=3.091, p<.05). Fifth, this study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day care center teachers'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found that the teachers'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r=.43, p<.001). The correlation between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in order of relation with co-teacher(r=.36, p<.001), job itself's trait(r=.36, p<.001), relation with director(r=.33, p<.001), service circumstance(r=.21, p<.01), and wage (r=.16, p<.05). Sixt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day care center teachers'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and found out that semanticity, a subsidiary factor of empowerment,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statistically(t=5.025, p<.001). But, the subsidiary factors of empowerment, capacity and influence on self-determination, didn't have an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 교사가 지각한 영·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김상경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및 수도권에 재직하고 있는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 36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연구의 도구는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저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 김지은(2011)이 개발한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설문지를 일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영·유아 교사의 임파워먼트에 관한 설문지는 박희경(2014)의 도구를 다시 유아교육기관에 맞게 일부 용어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설문 자료의 통계처리는 SA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영·유아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인식과 영·유아 교사 임파워먼트에 대한 인식은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영·유아 교사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국·공립 어린이집과 학급 규모가 너무 크거나 작지 않은 집단의 영·유아 교사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경력이 많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에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으므로 유아교육기관 원장은 고 경력, 고 연령 영·유아 교사, 저 학력 영·유아 교사들에게 보다 적극적으로 리더십을 발휘하여 유아교육기관 운영의 효율성과 질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에 대해 다소 낮은 인식을 보이는 영·유아 교사들에게는 마음을 열 수 있는 효과적인 리더십의 구현 전략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둘째 영·유아 교사가 지각한 임파워먼트는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력과 연령, 경력이 높을수록, 임파워먼트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유아 교사가 많은 경험과 현장경험을 통해 임파워먼트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연령과 경력이 놀아질수록 스스로 임파워하는 능력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영·유아 교사에게 근무환경이 개선되지 않은 채 임파워먼트만을 요구하는 것은 무리이겠으나, 교사 임파워먼트는 기관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선행적으로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의식이므로 영·유아 교사 스스로도 노력해야 하며, 유아교육기관 원장은 민주적인 분위기에서 영감적 동기부여 및 지적 자극과 개별적 배려를 통해 임파워먼트를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교육연수 프로그램을 담당기관이나 지자체 등에서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유아교육기관 안에서 교사의 중요성 등을 상기시키고 영·유아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영·유아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와의 관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임파워먼트 하위변인인 의사결정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하위변인의 영감적 동기와 개별적 배려와의 상관관계가 높았으며, 임파워먼트 하위변인 중 자율성은 리더십의 하위변인의 지적 자극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초·중등학교기관과 다른 유아교육기관만의 특수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작은 조직 안에서 원장은 영·유아 교사에 대한 일방적인 명령이 아닌 영·유아 교사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이를 기관 운영에 반영하여 영·유아 교사들도 유아교육기관의 일원으로서 소속감과 효능감을 느끼고 더 나아가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영·유아 교사의 임파워먼트 증진을 위해서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중요함을 강조할 수 있으며, 원장은 변혁적 리더십을 통하여 영·유아 교사들에게 의사결정의 기회와 자율적인 환경을 제공해주어 스스로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리더로서 미래 지향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경영전략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또한 영·유아 교사들이 학급 운영과 원 경영에 자율적으로 참여하게 하기위한 지적 자극이 유아교육기관 원장이 발휘해야 할 리더십의 덕목임도 시사한다. 넷째, 유아교사가 지각한 변혁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 사이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하위변인 중 영감적 동기는 임파워먼트 하위변인의 의사결정에, 개별적 배려는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감적 동기와 개별적 배려가 교사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를 결과를 통해 원장의 영감적 동기부여와 개별적 배려는 영·유아 교사를 임파워링 시키며, 이는 곧 유아교육기관을 이끌어 가는데 원장의 리더십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주고 있다 할 것이다.

      •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가 성취동기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수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지각하는 임파워먼트가 교사의 성취동기, 직무성과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 가지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와 성취동기, 직무성과는 어떻게 달라지는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지각하는 임파워먼트가 성취동기 및 직무성과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가 성취동기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임파워먼트와 성취동기, 직무성과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한 후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하고자 선행연구를 통해 신뢰도가 검증된 설문지들을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10개 초등학교의 교사 200명을 무선 표집으로 조사하여 우편으로 송부 및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194부 중에서 결측치가 있거나 한 가지 번호로만 응답한 불성실한 응답지 2부를 제외하고 192부의 설문지 응답 결과를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i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자세한 통계처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배경 변인에 따른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와 성취동기, 직무성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차이검증(t-test or ANOVA)을 하였다. 그리고 집단 간 평균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면 그 차이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Scheffe의 사후검정을 수행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임파워먼트, 성취동기, 직무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가 교사들의 성취동기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Simple regression analysis)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전반적인 경향성을 알아본 후, 이 과정에서 초등교사라는 교직의 특수성 및 조직 풍토를 반영한 생생한 자료를 얻기 위해 심층 면담을 하였다. 이는 설문조사의 결과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더 나아가 교직 생활에서 성취동기 및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현 실태에 대한 개선의 실마리를 찾게 되었다. 연구문제에 대한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먼트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배경 변인은 보직 여부, 교사경력, 학교 규모의 세가지로 나타났다. 그리고 집단 간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교사경력의 경우, 교사경력이 늘어날수록 임파워먼트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규모가 작을수록, 보직 교사인 경우 임파워먼트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취동기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배경 변인은 학교 규모로 나타났다. 그리고 집단 간 평균을 비교한 결과 학교 규모가 작아질수록 성취동기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무성과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배경 변인은 교사경력, 학교 규모의 2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집단 간 평균을 비교한 결과 교사경력이 늘어날수록 직무성과를 높게 인식했다. 또한, 학교 규모가 작을수록 직무성과가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임파워먼트와 임파워먼트 하위요인인 자기효능감, 자율성, 의사결정과 성취동기와는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임파워먼트와 직무성과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인 자기효능감, 자율성, 의사결정 요인과 직무성과 간에도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임파워먼트는 성취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파워먼트의 하위변인들도 성취동기의 하위변인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임파워먼트가 직무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파워먼트의 하위변인들도 직무성과의 하위변인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임파워먼트가 교사들의 성취동기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교직 내의 성취동기를 자극하는 방안의 실마리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배경 변인별로 임파워먼트와 성취동기와 직무성과에 대한 인식에는 5년 이하의 저 경력 교사와 20년 이상의 고 경력교사의 임파워먼트 지각 차이가 크게 있었다. 따라서 저 경력 교사의 임파워먼트를 높일 방안 중 하나로 고 경력 교사와 저 경력 교사의 멘토링제 활성화로 이를 보완하여야 한다. 멘토링제가 활성화된다면 고 경력 교사가 저 경력 교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을 좀 더 높여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임파워먼트와 그 하위요인인 자기 효능감, 자율성, 의사결정은 초등 교사들의 성취동기 및 직무성과에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앞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의 성취동기를 높이고 직무성과를 실질적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초등 교사들이 인식하는 임파워먼트의 중요성에 대해 학교 구성원 모두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그리고 임파워먼트와 성취동기, 직무성과 간의 관련성을 지각하며 학교 조직을 민주적이고 수평적으로 운영하여 조직의 잠재적 내부 동력을 높여야 한다. 셋째, 임파워먼트, 성취동기, 직무성과는 학급 규모가 작은 학교일수록 높은 경향을 보인다. 이는 단위 학교의 업무 할당으로 인해 작은 학교에서 협업 하고, 구성원 간 소통이 많이 필요한 이유로 추측된다. 교육목표에 대한 함의를 통해 협업과 소통능력이 중요한 학교 구조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동료 교사들 간에 자발적인 공유와 협력을 통해 임파워먼트와 성취동기, 직무성과를 높여줄 수 있을 것이다.

      •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교사효능감, 교직헌신도가 전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안정은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447

        ABSTRACT This study has its purposes to look into differences in advancement of professional aspects according to social and demographical factors for children’s education and also look into how empowerment of children’s teachers, teachers’ efficacy and educational job’s level of contribution affect advancement of professionalism. For these purposes, I have collected data from 311 children’s teachers via systematic questionnaire who are working at Kyeonggi and Incheon Province. First of all, such questionnaire in this study have used a tool that Kim Jun Hee(2007) translated and revised SPES(School Participant Empowerment Scale) that is empowerment assessment scale within school environment which had been developed by Short and Rinehart(1992) to assess empowerment. Second, this study used a scale to verify reliability which Shin Hye Young(2004) revised and verified based on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TEBI) that was developed by Enochs and Riggs(1990) to measure teachers‘ efficacy. Third,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that Shin Hee Lee(2011) has partly revised and supplemented well being matched with children’s education based on Commitment to Teaching Questionnaire(CTQ) that was developed by Noh Jong Hee(2004) in order to measure commitment to teaching. Fourth, this study also used “Self-evaluation tool for nursing teacher” that are developed by Baek Eun Joo, Cho Bu Kyeong(2004) in order to measure advancement of professionalism. Data collected by this study was used by a program named SPSS WIN 20.0 and this study has performed t-verification, ANOVA, Scheffé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for analysis purposes. Results of this study are shown as following.First, such result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against marital status, academic background, paycheck and career from executing advancement of professionalism based on children‘s teachers‘ social and demographic variables whereas such difference didn‘t appear. When it comes to marital status, married teachers are proved to recognize empowerment and commitment to teaching higher than unmarried teachers. In addition, in terms of academic background, this study showed that a children’s teacher with higher academic background recognized empowerment and commitment to teaching highly and also those who receive higher paycheck recognized empowerment and commitment to teaching highly. In terms of career, it shows that a teacher with higher career recognized empowerment and commitment to teaching highly.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empowerment, teachers’ efficacy and commitment to teaching have correlation with growth of children teachers’ professionalism. In other words, the higher children teachers’ empowerment and their efficacy becomes and the more positively they recognize commitment to teaching, the level of growth for professionalism has been proved to be higher. Third, after I looked into sub variables for advancement of professionalism and relative influences which affects advancement of overall professionalism, it's proved that empowerment, teachers’ efficacy and commitment to teaching have affected advancement of professionalism meaningfully. As results from looking into sub-factors for each variable, self-efficacy that is sub-variable for empowerment, teacher’s individual efficacy that is sub-variable for teachers’ efficacy, educational and passionate love that is sub-variable for commitment to teaching are proved to be meaningful. In case of knowledge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that are sub-factors for advancement of professionalism, self-efficacy and influential power that is sub-factor for empowerment, teacher’s individual efficacy that is sub-factor for teachers’ efficacy, educational and passionate love that is sub-factor for commitment to teaching are proved to have influences. When it comes to advancement of self-understanding that is sub-factor for advancement of professionalism, decision making that is sub-factor for empowerment, professionalism and passionate love that is sub-factor for commitment to teaching are proved to have influence whereas decision making, position and autonomy that are sub-factor for empowerment, and educational love that is sub-factor for commitment to teaching are proved to have influence. With these results, it’s verified that children’s teacher’s empowerment, such teachers’ efficacy and commitment to teaching have affected advancement of professionalism. I expect that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hildren’s teachers’ advancement of professionalism who are working at children’s education sites. 국 문 초 록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전문성 발달의 차이를 살펴보고,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교사효능감, 교직헌신도가 전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 인천지역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 31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용된 질문지는 첫째, 임파워먼트를 측정하기 위해 Short와 Rinehart(1992)가 개발한 학교환경 내의 임파워먼트 평가 척도인 SPES(School Participant Empowerment Scale)를 김정희(2007)가 번안·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둘째,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Enochs와 Riggs(1990)에 의해 개발된 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 검사도구(Sciense Teaching Efficacy Belicf Instument: STEBI)를 기초로 하여 신혜영(2004)이 수정하고 신뢰도 검증을 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셋째, 교직헌신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노종희(2004)가 개발한 교직헌신 질문지(Commitment to Teaching Questionnaire: CTQ)를 기초하여 신희이(2011)가 유아교사에 맞게 일부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넷째, 전문성 발달을 측정하기 위해 백은주, 조부경(2004)이 개발한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 자기평가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t검정, ANOVA, 사후검정(Scheffé),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전문성 발달 실행에서 결혼여부, 학력, 급여, 경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연령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미혼인 교사보다 기혼인 교사가 임파워먼트, 교직헌신도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력에 따라서는 유아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임파워먼트, 교직헌신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급여에 따라서는 유아교사의 급여가 많을수록 임파워먼트, 교직헌신도를 높게 인식하였다. 경력에 따라서는 유아교사의 경력이 많을수록 임파워먼트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교사효능감, 교직헌신도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가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직헌신도를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전문성 발달 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전문성 발달 하위요인과 전문성 발달 전체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임파워먼트, 교사효능감, 교직헌신도가 전문성 발달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인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본 결과 전문성 발달 실행 전체에서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의 자아효능감, 교사효능감 하위요인의 교사의 개인 효능감, 교직헌신도 하위요인의 교육애, 열정애가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전문성 발달 하위요인인 지식과 기술발달의 경우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인 자아효능감, 영향력이, 교사효능감 하위요인인 교사의 개인 효능감이, 교직헌신도 하위요인인 교육애, 열정애가 전문성 발달 하위요인인 자기 이해발달의 경우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인 의사결정이, 교직헌신도 하위요인인 전문의식, 열정애가, 전문성 발달 하위요인인 생태적 발달의 경우 임파워먼트 하위요인인 의사결정, 지위, 자율성이, 교직헌신도 하위요인인 교육애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교사효능감, 교직헌신도가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들이 전문성 발달의 필요성에 대해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A 초등학교에서 교사 임파워먼트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최승천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32447

        최근 들어 국내의 교육계에는 국가주도의 학교변화가 아닌 단위학교가 주체가 된 학교변화 개념이 대두되었고, 이와 함께 현장중심 학교변화를 위한 다양한 관심과 시도를 모색하며, 여러 방향으로 연구를 하게 되었다. 학교의 변화와 개혁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자발적인 변화와 개혁의 의지가 매우 중요하며, 교사들을 학교변화를 위한 능동적인 조직 구성원으로서 인식하고 이에 교사 임파워먼트를 강조하여야 한다. 그러나 학교변화와 교사 임파워먼트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과정보다 성과나 현상에만 그 초점을 맞추거나 개념과 원리를 이야기하는 연구가 주를 이룬다. 학교변화는 실제적인‘과정’과 그러한 과정 속에서 이루어지는 교사들의 임파워먼트 경험과 상호작용이므로 이들의 모습을 밝혀줄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현재 단위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변화의 한 방향으로 임파워먼트의 과정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일상적 경험을 살펴보고, 이를 심층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즉 단위학교에서 교사 임파워먼트는 어떠한 과정과 경험을 통해 구현되고 있는가에 본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그 중에서도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초등학교의 학교모델로서 현재 교사 임파워먼트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A초등학교’를 본 연구의 참여지로 선정하여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중심의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A초등학교 교사들의 임파워먼트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이다. A초등학교의 일상적인 모습 속에서 나타나는 교사 임파워먼트‘과정’과 그에 따른 교사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해 보고 교사 임파워먼트와 관련이 깊은 현상을 중심으로, 현상에서 나타나는 구성원 간의 임파워먼트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상호작용과 맥락을 최대한 자세히 밝혀보고자 하였다. 둘째, A초등학교 교사 임파워먼트 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무엇인가이다. A초등학교의 교사 임파워먼트 실행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여러 사례들을 보다 심도 깊게 분석해보고, 이러한 특징이 일어나게 된 영향요인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영향요인은 각각의 특성에 따라 기반요인과 촉진 요인, 그리고 방해요인으로 구분하여, 기술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교사 임파워먼트 과정에서 나타나는 핵심적 특징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셋째, A초등학교 사례를 통해 볼 때, 구조적 차원과 개인 심리적 차원에서 교사 임파워먼트의 가능성과 한계는 무엇인가이다. A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위의 두 연구문제의 결과 및 논의를 바탕으로 단위학교에서 구조적 차원과 개인 심리적 차원에서 교사 임파워먼트 실행의 가능성과 한계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특별히 교사 임파워먼트 실행의 가능성과 한계를 구조적 측면과 심리적 측면에서 분석해 보려고 한다. 선행연구 논의에서 교사 임파워먼트 실행의 두 측면이 구조적 측면과 심리적 측면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 두 측면이 실제 교사 임파워먼트 실행 과정에서는 어떻게 나타나며, 또한 이 두 측면의 어떤 요소들이 교사 임파워먼트 실행의 가능성과 한계로 작용하는지를 밝혀 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Ⅱ장에서는 먼저 임파워먼트에 대한 개념적 정리를 시도하였다. 교사 임파워먼트의 관점을 학교변화의 관점에 관한 논의들과 함께 살펴보고, 교사 임파워먼트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 이와 관련된 선행논의들을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정리들을 바탕으로 임파워먼트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교사 임파워먼트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특징과 의의, 한계를 찾아내고, 한계점을 통해 본 연구의 의의를 정리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수행된 사례연구가 무엇인지를 먼저 살펴보고, 본 연구에서 수행한 자료수집과 자료 분석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며, 이와 함께 연구의 참여지인 A초등학교에 대한 배경적 특징과 그에 대한 설명을 하고자 하였다. Ⅳ장에서는 A초등학교의 교사 임파워먼트 과정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로 1년간의 학교의 변화 여정 모습은 ‘교장이 시작하다’ , ‘넘겨주기 ’, ‘교사들의 소용돌이’ , ‘자리잡기’ , ‘부딪치기’ , ‘열매’모습 등으로 나타났다. Ⅴ장에서는 A초등학교에서 교사 임파워먼트 과정의 특징으로 임파워먼트 과정의 촉진요인으로 리더십 요인과 교사 문화요인을 구분하여 그 특징을 찾아보았으며 이와 함께 방해요인 또한 살펴보았다. Ⅵ장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해서 선행논의들을 토대로, 교사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주는 여러 특성들을 교사 임파워먼트의 실행 가능성, 그리고 한계로 구분하여 해석해보고자 한다. 즉 Ⅴ장까지의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기존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못했던, 단위학교 내 교사 임파워먼트에 대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현장 맥락에서의 영향요인들을 도출 하여, 조직 구조적 차원과 개인 심리적 차원에서의 교사 임파워먼트 가능성과 한계를 찾아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단위학교 내 교사 임파워먼트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핵심적 결과는 교사 임파워먼트 실행 과정에서는 ‘작용’과 ‘반작용’이 공존하고 있으며 단위학교에서 교사 임파워먼트의 성공적으로 실행 될 수 있도록 촉진 요인을 맥락적으로 밝혀준 것이다. 즉 교사 임파워먼트는 촉진요인과 동시에 방해 요인도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구조적 차원과 함께 개인심리적 차원의 다차원적으로 가능성과 한계를 밝혔다. 또한 교사 임파워먼트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교장의 리더십은 핵심 요소이며, 교사 임파워먼트 과정에서 교장에게는 자율과 통제의 균형 감각을 필요로 한다. Recently, as the term of school change has been on the rise as the concept of school-based bottom-up school reform, not state-dominated in the domestic educational world, change schools have received a high attention and profile as the major model of domestic school change. There are various expectations and concerns over that, but the existing researches on teacher impowerment in school change up to now have mostly focused on only performance and phenomenon rather than process, or talked about concept and principle. School change is not an incident but a process, so we need researches investigating the actual‘process’and the interaction of the member's experiences occurring in the process. Based on this critical fact, I focused on the process and experience through which school change is not an incident but a process, so we need researches investigating the actual‘process’and the interaction of the member's experiences occurring in the process. Based on this critical mind, I focused on the process and experience through which school change is operated among teacher impowerment in this study. I selected the elementary school that level which the precedent studies have rarely handled and ‘A elementary school’with strong spontaneity the participant location for this study, and conducted case study focused on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ing. The main subjects for inquiry may be classified into two: First, “What is the process of teacher impowerment in A elementary school?”, which is a subject for inquiry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teacher impowerment in A elementary school; I tried to examine what experience the school members have in what process, what conflicts and difficulties they suffer, what efforts they make to solve these problems, and what results those efforts bring. Second, “What is the influences factor during process of teacher impowerment in A elementary school?, which is a subject for inquiry to find out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process of teacher impowerment of A elementary school; I tried to explore what characteristics the process of teacher impowerment has, Third, what meaning those characteristics have impower teacher in the school, and what influences these characteristics have on the teacher impowerment and the members. And through various theories and precedent studies I tried to interpret and discuss about how these characteristics work on the teacher impowerment, on the basis of the teacher impowerment process of A elememtry school based on these two subjects and on the basis of phenomena and results appeared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 impowerment process. For this, attempted conceptual arrangement of teacher impowerment first, in chapter II. At first, I examined the teacher impowerment point of view with discussions about school change point of view, and investigated what meaning the teacher impowerment has, on the basis of the precedent discussions. And to find out what characteristics the teacher impowerment, subject for this study, has, I arranged: through what introduction background, focusing on what domain and on the basis of what concept, the innovation teacher impowerment is operated. Lastly, based on this arrangement, I reviewed precedent studies on the teacher impowerment, found out characteristic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precedent studies on the teacher impowerment, and arranged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through these limitations. In chapter III, first I investigated what the case study carried out in this study is, described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and data analyses, and explained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eacher impowerment, the participant location for this study. In chapter IV, I attempted analysis of the process of teacher impowerment in A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ne-year process of teacher impowerment was largely classified into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levels, interacting in many ways and making teacher impowerment. The process of this teacher impowerment management in showed 6 steps:‘beginning of principal delegation’, ‘eddy’, ‘settlement’, ‘bump’ and ‘fructify’. In chapter V, I analyzed characteristics and its meaning of the process of teacher impowerment in A elementary school. The process of teacher impowerment has a characteristic of ‘boost factor’ and ‘obstacle’. and boost factors have two factor which is ‘leadership factor’ and ‘cultural factor’that coexistence of action and reaction’. They coexisted giving and taking influence each other during teacher impowerment. The school members have given their best to dedicate the existing school education and structure in the process of teacher impowerment. In chapter VI, I analyzed the teacher impowerment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 above as the concept of ‘possibility and limitation’ and discussed. Consequently, the process of teacher impowerment in A elementary school was the processes of ‘action’ and ‘reaction’ two valu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 impowerment. The main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psychological factors have a major impact on process of teacher impowerment as well as structure factors and two values is cycle each other. Also‘leadership factor’ and ‘cultural factor’ coexist of‘boost factor’ is mixed and usually do not clearly separate in order to get more successful results in teacher impowerment, do work two value together. Finally, leadership is important during teacher impowerment process, the school principal should be keep a sense of proportion between autonomy and regulation in the process of teacher empowerment. . Teacher impowerment are needed to change school at any co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