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장인의 사회계층과 일 자유의지가 괜찮은 일에 미치는 영향 : 적극적 성격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윤지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는 사회계층이 일 자유의지를 통해서 괜찮은 일에 미치는 영향을 적극적 성격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20대, 30대 성인 직장인 369명이었으며, 한국판 괜찮은 일 척도, 경제적 제약 척도, 일 자유의지 척도, 적극적 성격 질문지를 연구 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계층과 괜찮은 일의 관계를 일 자유의지(의지, 경제적 제약, 구조적 제약)가 매개할 것이다. 둘째, 일 자유의지(의지, 경제적 제약, 구조적 제약)와 괜찮은 일 간의 관계가 적극적 성격에 의해 조절될 것이다. 셋째, 사회계층이 괜찮은 일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 자유의지(의지, 경제적 제약, 구조적 제약)의 매개효과가 적극적 성격에 의해 조절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 자유의지는 사회계층과 일 자유의지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극적 성격은 구조적 제약에 대한 일 자유의지와 괜찮은 일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계층이 구조적 제약에 대한 일 자유의지를 통해서 괜찮은 일에 미치는 영향을 적극적 성격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20대, 30대 성인을 대상으로 사회계층이 구조적 제약에 대한 일 자유의지를 통해 괜찮은 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괜찮은 일을 얻도록 돕기 위해 적극적 성격을 증진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on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class, work volition and decent work. Three hundred sixty nine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age group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instruments included K-Decent Work Scale, Economic Constraints Scale, Work Volition Scale, and Proactive Personality Scale. The research hypotheses are as follows. First, work volition(volition, economic constraints, structural constraints)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lass and decent work. Second, proactive personality will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volition(volition, economic constraints, structural constraints) and decent work. Third,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 volition(volition, economic constraints, structural constraints) in the effect of social class on decent work will be moderated by the proactive persona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ork voli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lass and decent work. Second, proactive personal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volition(structural constraints) and decent work. Third, proactive personality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volition(structural constraints) between social class and decent work. The Finding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ork volition for structural constraints of individuals in the intervention, and that proactive personality training can be effective to improve the decent work of adult workers. Limitation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유자녀 직장 여성의 '괜찮은 일(Decent Work)' 구성개념의 관계

        류한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447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five factors (Safe working condition, Access to health, Adequate compensation, Free time and rest, Organizational values) of the decent work, a central component of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with 791 working mothers in South Korea. Using a network analysis, the centrality of each factor were examined, with a graph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through network analysis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Decent Work Scale(K-DWS). In addition, the results were compared by women experiencing additional minority identities (STEM field women, migrant background women, and single-parent women (single mothers) in compared to control group (group without any additional minogiry identity). In the case of the STEM field women group, free time and rest factor were relatively disconnected from the decent work concept and existed as independent factors. It may relfect that female workers in the STEM field take it for granted that a lot of time and effort are spent due to the nature of their work, so it can be seen that free time and rest factors are not important factors of decent work. The result of the migrant women group was similar to the control group, but the centrality of the safe working condition factor was greater. It implies that migrant women are likely to perceive other factors of decent work are also satisfied when the condition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safety are satisfied, ultimately perceiving their work as decent. Finally, in the case of single-mother group, organizational values consistent with the values of family and community turned out to be the most central and influential factor in the network for decent work. This can be explain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working single-mothers because they must independently support households and work-family balance is a relatively more important group. Finally, the meaning of the network analysis resul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791명의 유자녀 여성 근로자(평균 연령 = 37.5세, SD = 5.36)를 대상으로 PWT 모델의 핵심적인 역할을 맡고 있는 괜찮은 일(Decent work)이라는 구성개념을 이루는 5가지 하위요인(안전한 근무 조건, 건강관리 지원, 적절한 보상, 자유 시간 및 휴식 보장, 조직 가치)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각 요인별로 괜찮은 일의 조건들을 충족시키는데 있어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따라 통계적 유의성을 기준으로 중심적 또는 덜 중심적인 요인으로 나누었다. 따라서 한국판 괜찮은 일 척도(K-DWS)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하위요인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시각화하였으며 문항 수준에서도 이러한 결과를 뒷받침하는지 점검해보았다. 더불어 추가적인 소수자 정체성을 경험하는(STEM 분야 여성, 이주 배경 여성, 한부모 여성(싱글맘)) 여성들을 그룹화하여 각 집단별로 괜찮은 일을 구성하는 하위요인 간의 관계를 나타낸 네트워크를 식별하고 대조군(인구통계학적 변인에서 STEM 분야, 이주 배경, 한부모 여성에 해당하지 않는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특징적으로 구별되는 부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STEM 분야 여성 집단의 경우, 자유 시간 및 휴식 요인이 괜찮은 일 구성개념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단절되어 있었으며 독립적인 요인으로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실제로 STEM 분야에 종사하는 여성 근로자들이 업무 특성상 많은 시간과 노력이 투입되는 것에 대해 어느 정도 당연히 여기게 되어, 이로 인해 자유 시간과 휴식 요인이 괜찮은 일의 중요 요인이 아닌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주여성 집단의 경우, 전반적으로 대조군 여성 집단과 비슷한 맥락이 나타났지만, 상대적으로 안전한 근무 환경 요인의 중심성이 좀 더 높아졌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이주여성 집단이 언어적, 문화적으로 낯선 환경에서 불안정한 상태에 놓여있기 때문에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안전과 관련된 요인이 충족될 때 괜찮은 일의 다른 요인들도 함께 충족되면서 자신의 일을 괜찮다(decent)고 지각하게 될 가능성을 높인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싱글맘 집단의 경우 가장 특징적인 차별점이 존재하였으며, 가족과 공동체의 가치에 부합하는 조직의 가치가 괜찮은 일에 대한 네트워크에서 가장 중심적이고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는 독립적으로 가계를 부양해야 하고 일-가정 병행이 상대적으로 더욱 중요한 집단이기에 싱글맘 여성 근로자들에게 있어 가장 핵심적인 요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분석 결과의 의미와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IT기업 종사자의 괜찮은 일과 직무만족의 관계 : 일 욕구만족, 일의 의미의 이중매개효과 및 연령의 조절된 매개효과

        유서우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는 IT기업에 종사하는 직장인의 괜찮은 일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일 욕구만족과 일의 의미가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이 관계를 연구대상자의 연령이 조절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T기업 종사자 62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총 542부의 유효한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SPSS 26.0 Process macro 모델 6와 모델 89를 사용하여 이중매개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IT기업 종사자의 괜찮은 일은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괜찮은 일은 일 욕구만족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괜찮은 일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일 욕구만족이 매개하였다. 또한 괜찮은 일은 일의 의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의 의미 또한 괜찮은 일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둘째, 괜찮은 일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일 욕구만족과 일의 의미의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하였다. 즉, IT기업 종사자의 괜찮은 일은 일 욕구만족과 일의 의미를 순차적으로 거쳐 직무만족의 증대와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때 IT기업 종사자의 연령은 일 욕구만족과 일의 의미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하게 조절하였는데, Johnson-Neyman 기법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확인해본 결과, 50세 이하의 연령(전체의 90.2%)에서 일 욕구만족과 직무만족 사이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의 의미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는 모든 연령대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령은 괜찮은 일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일 욕구만족과 일의 의미를 통한 간접효과를 조절하여, 연령에 의한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IT기업 종사자의 괜찮은 일 확보와 이를 통한 욕구 충족 및 일의 의미 수준이 직무만족의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연령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근로자 본인과 기업의 관리자 및 인사담당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의의와 본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정리하였다.

      • 상담자의 괜찮은 일(Decent Work)에 대한 여성상담자의 인식 : 개념도 방법을 중심으로

        김원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446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상담자가 인식하는 상담자의 괜찮은 일에 대한 차원과 범주를 개념도 방법을 통해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여성상담자가 인식하는 괜찮은 일의 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여성상담자가 인식하는 괜찮은 일의 차원과 범주는 무엇인가, 셋째, 여성상담자의 괜찮은 일에 대한 인식의 내용별, 범주별 중요도는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기를 희망한 상담경력 3년 이상의 여성상담자 15명이었다. 또한 진술문 종합 및 편집과 차원 및 범주명 결정을 위한 합의과정에 참여할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였다.본 연구는 개념도 방법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뷰 결과 57개의 최종 진술문이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이를 유사성에 따라 분류하였고, 각 진술문의 중요도를 평정하였다. 둘째, 유사성 분류 자료를 토대로 다차원 척도법과 계층적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2차원, 5개 범주로 구성된 개념도가 도출되었다. 2개 차원은 ‘외재적 가치-내재적 가치’차원과 ‘개인적 영역-직업적 영역’차원으로 결정되었다. 5개 범주는 ‘사생활과 편의성의 보장’, ‘자기성장 및 욕구충족’, ‘전문성과 주체성에 대한 인정’, ‘상담의 특수성을 고려한 업무지원’, ‘실리적 보상과 시설의 구비’로 명명되었다. 셋째, 중요도 평정 결과 모든 괜찮은 일 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었는데 그 중 ‘직장 내에서 내가 하는 일과 나의 역할에 대해 존중받는다.’와 ‘전문성(학력, 경력, 수련정도, 자격 등)이 반영된 급여를 받는다.’가 중요도 4.79로 가장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범주별 중요도 평정 결과 모든 범주가 평균 4.17점 이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었으며, 가장 중요도가 높은 범주는 중요도 4.40으로 ‘상담의 특수성을 고려한 업무지원’과 ‘자기성장 및 욕구 충족’이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현장에서 경험한 여성상담자의 주관적인 인식을 토대로 괜찮은 일에 대한 내용과 인식 구조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상담장면에서 치료적 도구의 역할을 하는 여성상담자의 괜찮은 일 기준이 일반적인 괜찮은 일과 어떤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결과는 여성상담자의 괜찮은 일에 관한 후속 연구들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지방대학생의 경제적 제약과 진로적응성이 괜찮은 일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적극적 성격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민서영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446

        본 연구에서는 지방대학생을 대상으로 경제적 제약과 괜찮은 일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려 하였으며, 적극적 성 격과 사회적지지가 경제적 제약과 괜찮은 일을 조절하는지 확인하였다. 이 를 위해 지방의 3개 대학의 학생 3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으며, SPSS Statistics 26과 Process macro 4.2를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제약이 졸업 후 괜찮은 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진로적응성은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적 제약과 졸업 후 괜찮은 일 인식간 관계에서 적극적 성격은 유의한 조절 역할을 하지는 못하였지만 경제적 제약과 졸업 후 괜찮은 일 인식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 다. 셋째, 경제적 제약과 진로적응성 간 관계에서 적극적 성격과 사회적 지 지는 유의한 조절역할을 하지 못하지만 경제적 제약과 진로 적응성간 관 계에서 적극적 성격은 유의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경제적 제약은 졸업 후 괜찮은 일 인식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데, 이러 한 부(-)의 효과는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경제적 제약에 의해 졸업 후 괜찮은 일 인식이 안 좋아지는 효과를 사회 적 지지가 완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 하위요인 중 에서도 정서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constraints and perceived desirability of good jobs among local university students. Additionally, we investigated whether proactive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constraints and perceived desirability of good jobs. We conducted a survey with 333 students from three local universities and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26 and Process macro 4.2.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nancial constraints were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constraints and perceived desirability of good jobs after graduation. Second, while proactive personality did not play a significant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constraints and perceived desirability of good jobs after graduation,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role. Third, although proactive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did not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constraints and career adaptability, proactive personal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constraints and career adaptability. Financial constraints had an influence on the perceived desirability of good jobs after graduation, and this effect was mitigated by higher levels of social support.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emo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 남성 상담사가 인식하는 경제적 제약과 일 자유의지가 괜찮은 일에 미치는 영향 : 적극적 성격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영지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445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상담사의 괜찮은 일에 대한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남성상담사가 인식하는 경제적 제약이 괜찮은 일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 자유의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경제적 제약이 일 자유의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적극적 성격의 조절효과와 이러한 매개효과를 적극적 성격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진행하였다. 전국의 남성 상담사 25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54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사용된 척도는 경제적 제약 척도(ECS), 한국판 괜찮은 일 척도(K-DWS), 일 자유의지 척도(WVS), 적극적 성격 척도(PPS)이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상관분석,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활용하여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괜찮은 일, 경제적 제약, 일 자유의지, 적극적 성격은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적 제약과 괜찮은 일의 관계에서 일 자유의지는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제적 제약과 일 자유의지의 관계에서 적극적 성격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마지막으로, 일 자유의지의 매개를 통해 경제적 제약이 괜찮은 일로 가는 과정에서 적극적 성격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남성상담사가 경제적 제약이 높다고 지각할 때, 자신이 상담이라는 직무와 업무를 괜찮은 일로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일 자유의지를 높이고, 상담역량 향상을 위해 적극적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상담장면에서 도울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상담 수련생이 인식하는 상담수련 특성 연구 : 괜찮은 일(decent work) 개념을 중심으로

        우예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2444

        본 연구는 상담 수련생이 ‘괜찮은 일’로서 상담수련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요인들이 필요한지, 상담 수련생 개개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들의 상담수련 특성의 적정 수준에 대한 인식을 구성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념도 연구방법을 사용하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괜찮은 일로서의 상담수련 특성이 보이는 차원과 범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괜찮은 일로서의 상담수련 특성에 대한 중요도 및 경험도의 평정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념도 연구방법에 따라 5단계의 절차를 거쳐 진행하였다. 첫째, 개념도 준비단계에서는 초점질문을 개발하고 예비연구를 진행하였으며, IRB 신청 및 승인의 과정을 거쳤다. 둘째, 아이디어 진술문 생성 및 종합·편집 단계에서는 총 16명의 2급 자격증을 준비하는 상담 수련생이 참여자로서 아이디어 진술문 생성 과정에 참여하였다. 더 나아가, 도출된 아이디어 진술문을 종합 편집하기 위하여 종합·편집팀과 다수의 논의과정을 거쳤으며, 종합·편집팀과 편집한 진술문에 대한 적정성 평가를 아이디어 진술문 생성 참여자 5인과 상담 전문가 5인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65개의 진술문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진술문은 아이디어 진술문 구조화 단계를 거치기 전 마지막으로 종합·편집팀에 의한 검토 과정을 거쳤다. 셋째, 아이디어 진술문 구조화 단계에서는 15인의 아이디어 진술문 생성 참여자가 참여하였다. 15인의 참여자는 유사성 분류 및 평정 작업을 진행하였다. 넷째, R-CMap을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R-CMap을 활용하여 포인트맵, (명명된) 클러스터 지도, 클러스터 평정지도, Go-Zone 그래프를 도출하였으며, 패턴매치의 경우 Excel을 사용하여 추가로 작성하였다. 다섯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개념도를 활용하였다. 개념도 활용단계에서는 축의 명칭을 명명하고 클러스터 명칭을 명명하였다. 또한 각 클러스터 및 진술문의 중요도 및 경험도에 대한 평정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도출된 괜찮은 일로서의 상담수련 특성의 차원과 범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두 축은 특성의 속성과 수련생의 정체성을 구분하였다. x축(1차원)은 수련과정의 특성과 관련되어 있었으며, 진술문의 내용이 사람과 관련된 것인지 구조와 관련된 것인지를 구분하는 차원으로 ‘사람: 관계적’과 ‘구조: 체계적’으로 명명하였다. y축(2차원)은 수련과정에서 수련생의 정체성을 구분하는 차원으로 수련생의 교육생(learner)으로서의 정체성과 일하는(상담하는) 노동자(worker)로서의 정체성을 구분하고 있어 ‘교육생’과 ‘노동자’로 명명하였다. 이와 같은 축 구성을 통하여 수련과정에 임하는 수련생의 정체성이 교육생과 노동자로서 각각 다르게 존재하며, 각 정체성에서 특성의 속성에 따라 무엇을 괜찮은 일로 인식하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클러스터의 경우 총 7개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명명한 클러스터는 다양한 형태의 보상, 원활한 상담업무를 위한 환경, 긍정적인 기관풍토 및 성장경험, 수련생을 존중하는 수퍼바이저, 전문성 발달을 조력하는 수련과정, 웰빙을 고려한 수련구조, 수련생 보호를 위한 법 및 체계이다. 둘째, 각 특성에 대한 중요도 및 경험도 평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일곱 개의 클러스터에 대한 중요도 평정 결과는 4.31부터 4.07까지로 제시되었다. 모든 클러스터에 있어서 ‘중요하다.’ 이상으로 평정 결과가 제시되었으며, 이를 통해 수련생들이 모든 클러스터의 특성들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다만, 중요도 평정 결과의 경우 집단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므로, 차이에 대한 해석은 유의해야할 것이다. 반면, 일곱 개의 클러스터에 대한 경험도 평정 결과는 2.08에서 3.49점으로 중요도에 비해 범위가 넓게 나타났다. 2점이 ‘보장되지 않는다.’이고 4점이 ‘보장받고 있다.’임을 고려할 때, 이와 같은 점수 분포는 대체로 수련생들이 본 연구에서 제시된 특성들에 대하여 보장받지 않는 상태임을 예상해볼 수 있다. 또한 사후분석 결과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보상이 긍정적인 기관풍토 및 성장경험, 수련생을 존중하는 수퍼바이저, 전문성 발달을 조력하는 수련과정, 원활한 상담업무를 위한 환경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형태의 보상이 다른 클러스터에 속한 특성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덜 보장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외에도, 일곱 개의 클러스터에 대한 중요도 및 경험도의 평정 결과 차이를 클러스터 평정지도, 패턴매치, Go-Zone 그래프를 활용하여 확인했다. 그래프의 활용을 통해 다음의 내용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클러스터 평정지도를 통하여 일곱 개 클러스터의 평정 결과 순위를 확인하였고, 이와 같은 중요도와 경험도의 차이는 패턴 매치 그래프를 통해서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경험도와 중요도 평정 결과의 차이를 Go-Zone 그래프를 통해 진술문 단위로 확인해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본 연구는 상담 수련생의 개인 차원에서 직업인으로서 상담사들이 어떠한 직업 문제 및 사회경제적 처우를 경험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던 실정 속에서 괜찮은 일의 다양한 대상 중 상담 수련생을 선택하고, 그 중에서도 자격증을 현재 취득하지 않은 2급 자격증 준비 수련생이 인식하는 괜찮은 일로서의 상담 수련 특성을 도출하고 확인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둘째, 본 연구는 무급 수련과정의 괜찮은 수준에 대한 논의를 발전시켰다. 기존의 논의들은 수련생들을 법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제도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지만, 이들이 주관적으로 어떠한 일의 조건을 필요로 하는지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담고 있지 않다는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급 수련과정이 지니는 괜찮은 일의 특성을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상담 수련생이 인식하는 괜찮은 일로서의 상담수련 특성의 중요도와 경험도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수련과정의 현황과 함께 수련생의 입장에서 요구되는 특성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는 의의를 지닌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방법을 실시함에 있어서 ‘괜찮은 일’의 특성에 대한 수련생의 목소리가 잘 드러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참여자의 현장성과 결과의 현장성을 높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hat factors are needed to experience counseling internships as 'decent work' based on the individual experience of counseling trainees. To this end,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counseling internships focusing on the concept of decent work using the concept mapping research method.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it derived the dimensions and clusters of the characteristics of counseling internships as decent work. Moreover,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importance and experience of counseling internships as decent work were confirmed. To this end, this study proceeded through a five-step procedure according to the concept mapping research method. First, in the concept map preparation stage, focus questions were developed, preliminary research was conducted, and IRB application and approval were performed. Second, in the stage of generating, synthesizing, and editing idea statements, a total of 16 counseling trainees preparing for level 2 certificates participated in this stage. Furthermore, to comprehensively edit the derived idea statements, several discussions were conducted with the comprehensive and editing teams. Also, the adequacy evaluation was conducted by five participants and five counseling experts. Through this process, 65 statements were finally selected. The final selected statement went through a review process by the comprehensive and editing team before going through the structuring stage. Third, in the stage of structuring idea statements, fifteen participants conducted similarity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work. Fourth,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CMap. Point map, cluster map, cluster rating map, and Go-zone graph were derived using R-CMap, and pattern match were additionally prepared using Excel program. Fifth, a concept map was us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n the concept map utilization stage, the axis and clusters were named. In addition, the evaluation results for the importance and experience of each cluster and statement were confirmed.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dimensions and categories of counseling internship as a decent work deriv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wo axes distinguished the attributes of characteristics and the identity of the trainee. The x-axis (1D) wa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ining process and was named 'Person: Relational' and 'Structure: Systematic' to distinguish whether the contents of the statement are related to humans or structures. The y-axis (2D) was named "trainee" and "worker" because it distinguishes the identity of the trainee as a learner and the identity as a worker in the internship process. Through this constru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dentities of trainees participating in the internship exist differently as trainees and workers, and what each identity perceives as a good thing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f th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a total of 7 clusters were presented. The clusters named in this study are ‘various forms of compensation, ‘environment for effective counseling service’, ‘positive institutional climate and growth experience’, ‘supervisors who respect trainees’, ‘training courses to assist in professional development, ‘training structure considering the well-being of trainees’, and ‘laws and systems to protect trainees’. Second,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importance and experience of each characteristic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importance evaluation for the seven clusters were presented as 4.31 to 4.07. In all clusters, the evaluation results were presented above 'important', an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inees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all clusters important. However, in the case of the importance evaluation resul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o the interpretation of the difference should be noted. On the other hand, the experience evaluation result for the seven clusters was 2.08 to 3.49 points, which was wider than the importance. Two points are 'not guaranteed' and four points are 'guaranteed'. Considering that, it can be expected that such a distribution of scores is generally a state in which trainees are not guaranteed the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e post-analysis, various types of reward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itive institutional climate and growth experience, supervisors who respect trainees, training courses to assist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 for effective counseling service.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importance and experience of the seven clusters was confirmed using a cluster evaluation map, pattern match, and Go-Zone graph. The following contents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use of the graph. First, the ranking of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seven clusters was confirmed through the cluster evaluation map, and such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experience could be confirmed once again through the pattern match graph. Finally, the difference between experience and importance evaluation results could be confirmed in units of statements through the Go-Zone graph. These findings have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derived and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of counseling internships as decent work recognized by trainees who have not currently obtained a class 2 certificate. Second, this study developed a discussion on the decent level of the unpaid internship. Existing discussion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established a system to legally protect trainees, but have a limitation in that they do not contain details on what conditions they subjectively need.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pproached the characteristics of decent work of unpaid internships from a psychological point of view. Thir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importance and experience of counseling internship characteristics as decent work recognized by counseling trainees, and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the training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required from the trainee's point of view. Fourth,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increase the field performance of participants and the realistic of the results by designing the voices of the trainees on the characteristics of 'decent work' in conducting the research method.

      • 대학생의 경제적 제약, 일 자유의지, 미래의 괜찮은 일 인식 사이의 관계 : 적극적 성격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정지훈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444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경제적 제약과 미래의 괜찮은 일 인식 사이의 관계에서 일 자유의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경제적 제약과 일 자유의지, 경제적 제약과 미래의 괜찮은 일 인식 사이의 관계를 적극적 성격과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Statistics 25.0과 Process MACRO 4.0를 사용하여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일 자유의지는 경제적 제약과 미래의 괜찮은 일 인식 사이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극적 성격은 경제적 제약과 일 자유의지, 경제적 제약과 미래의 괜찮은 일 인식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경제적 제약과 미래의 괜찮은 일 인식 사이에서는 조절효과가 없었지만, 경제적 제약과 일 자유의지 사이에서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의 세부 척도 중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voliton between economic constraints and future decent work perceptions for domestic college students, and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between economic constraints and future decent work percep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320 college students nationwide, and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5.0 and Process MACRO 4.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work volition completely mediates between economic constraints and future decent work perceptions. Second, proactive personality did not show a moderating effect between economic constraints and work volition, economic constraints and future decent work perceptions. Third, social support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economic constraints and future decent work perceptions, but it showe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economic constraints and work volition. Finally, among the detailed measures of social support, the moderating effect was found in emotional support, instrumental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