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관상동맥질환자의 혈중 호모시스테인 분석 및 이에 영향 미치는 인자

        류경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관상동맥질환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식습관, 건강관련습관(흡연, 음주, 운동)을 조사하고, 혈중 총 호모시스테인을 분석하여 식생활습관 및 혈중 총 호모시스테인이 동맥경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관상동맥질환으로 진단 받은 환자 37명, 관상동맥질환의 위험 요인을 지닌 환자 54명과 질병이 없이 건강한 대조군 29명으로 50세 이상의 남녀 총 120명이었다. 세 군의 평균 연령은 관상동맥질환군(CAD군)이 62.9±1.3세, 동맥경화위험군(CADR군)이 58.4±0.8세, 대조군은 58.6±1.1세였다. 식이섭취실태는 식품섭취빈도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혈중 총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HPLC-Fluorescence detector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공복시 혈당 수준의 경우 남자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동맥경화위험군(CADR군)의 공복 혈당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여자에서는 동맥경화위험군(CADR군)과 대조군에 비해 관상동맥질환군(CAD군)의 공복 혈당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혈청 지질 성분의 경우, 남녀 모두 총 콜레스테롤 수준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HDL 콜레스테롤의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해 관상동맥질환군(CAD군) 또는 위험군(CADR군)의 HDL 콜레스테롤 수준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냈다. 혈청 총 중성지방의 경우, 남자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위험군(CADR)의 혈중 중성지방 수준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여성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관상동맥질환군(CAD군) 또는 위험군(CADR군)의 혈중 중성지방 수준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혈압의 경우, 남자의 경우에만 대조군에 비해 위험군(CADR군)의 수축기 혈압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혈중 총 호모시스테인 수준은 남녀 모두 관상동맥질환군(CAD군), 동맥경화위험군(CADR군), 대조군 순으로 나타났고, 남녀를 비교했을 때 여자에 비해 남자의 혈중 총 호모시스테인 수준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혈중 호모시스테인은 크레아티닌(r=0.26, p=0.0041), Waist-to-hip ratio(r=0.29, p=0.0025)와 유의적인 정의 상관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패류(r=-0.18, p=0.0542), 해조류(r=-0.21, p=0.02), 버섯류(r=-0.20, p=0.04)섭취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의 강도를 가벼운 운동, 보통 운동, 심한 운동으로 나누어 운동 습관을 비교한 결과, 남자의 경우 관상동맥질환군(CAD군)의 72.7%가 가벼운 운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조군의 60%가 심한 운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습관을 비교한 결과 식사횟수, 식사량, 고기의 기름부분 섭취, 취침전 음식물 섭취 여부 및 커피 섭취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해 동맥경화질환군(CAD군) 및 위험군(CADR군)의 식습관이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군별 섭취량에서는 남자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동맥경화위험군(CADR군)의 담황색 채소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대조군에 비해 관상동맥질환군(CAD군)의 녹차 등의 차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관상동맥질환자에서 식습관과 채소류의 섭취 감소가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상승이나 동맥경화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여겨진다. 우리나라 관상동맥질환자 및 동맥경화위험을 지닌 환자의 호모시스테인 수준에 대한 연구와 혈중 호모시스테인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 요인이나 영양 요인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Recently elevated serum total homocysteine has been proposed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oronary artery disease(CA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what the potential risk factors, serum total homocysteine, dietary behavior and intakes of nutrients, are related to induce CAD. Serum total homocysteine was determined in 37 patients with CAD, 54 patients with risk for CAD and 29 healthy subjects without evidence of coronary artery disease. Dietary intakes of nutrients were determined by a food frequency method. Serum total homocysteine levels were analyzed by a HPLC-fluorescence detection method. Total fasting blood gluco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ADR group than control group in men, and it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CAD group than CADR group and control group in women. Total triglycerid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ADR group than control group in men,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AD group and CADR group than control group in women. Total cholesterol was not significant among the three groups-CAD, CADR and control group- in men and women. Total HDL-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lower in CAD group and CADR group than control in men and women. Undesirable dietary behaviors like Irregular meal behaviors, intakes of visible fat from meat, bed time snacking and coffee consumption were more prevalent in CAD and CADR group than control. The consumption of White and yellow vegetables were lower in CADR group than control group in men. Serum total homocysteine in CAD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and was gradually lowered in risk group and control group. Also the level of total homocysteine in serum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en than women, an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AD group with smoking than non-smoking.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undesirable dietary behaviors and low consumption of vegetables could increase homocysteine in serum, and homocyteine elevation could be induce to atherosclerosis.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o establish a explicit relationship between serum homocysteine levels and other risk factors in patients with CAD in Korea

      • 관상동맥 조영 검사에서 제안한 영상 측정 방법을 이용한 선량 및 화질 분석

        서영현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scope of use of radiation equipment in the medical field is endless, and it is the most basic examination among those conducted in hospitals, and it is also receiving attention as an in-depth examination for practical treatment purposes. Therefore, research on X-ray equipment for medical support needs should be conducted from various view points. Examinations using actual X-ray equipment are evalu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ubjective image reading ability of doctors and ratiologists. This study aimed to seek a way to create and provide an optimized image for the practitioner by measuring the signal-to-noise ratio and contrast-to-noise ratio of the output image expressed on the monitor as well as the X-ray absorbed dose and incident surface dose by changing the cine imaging conditions of CAG to view coronary artery disease. This study was conducted because there was no previous research on quantitative image quality evaluation for CAG, unlike general imaging and CT imag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on image quality and dose analysis by changing the frame of cine imaging were 30 patients (19 males and 11 females) who underwent CAG at the Cardiovascular Center in Yeosu area from June 2017 to October 2017. Patients’ age range was 49-82 years (mean 65 ± 9 years), body weight 45-91 kg (mean 67 ± 8.9 kg), height 150-179cm (mean 165.1 ± 8.9 kg), and body mass index 19.5-30.5 (mean 24.5 ± 2.9). For the study on image quality and dose analysis through changes in tube current of cine imaging, data were collected from 33 patients (24 males and 9 females) who underwent CAG at the Cardiovascular Center located in Yeosu from November 2017 to March 2018. The age range was 37-76 years (mean 59 ± 10 years), body weight 53-104 kg (mean 72 ± 10 kg), height 150-185 cm (mean 166.82 ± 9.5kg), and body mass index 18.3-33.2 (mean 25.8 ± 3.2). The research method was as follows. The incident surface dose and the absorbed dose were obtained retrospectively for comparison and analysis, and the signal-to-noise ratio and contrast-to-noise ratio were measured and analyzed through the Image J program and substituted in the formula to derive the result value. In order to confirm the correlations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SPS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s of incident surface dose and absorbed dose as well as signal-to-noise ratio and contrast-to-noise ratio according to the changes in frame and tube current. As a result of research on image quality and dose analysis by changing the frame of cine imaging, the relationships with the incident surface dose and absorbed dos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shoot at 10 frames and 15 frames (p>0.05). In the relationships with the signal-to-noise ratio and contrast-to-noise ratio, the signal-to-noise ratio (3.374 ± 2.1297) and contrast-to-noise ratio (0.234 ± 0.2249) at 10 frames were lower than the signal-to-noise ratio (4.929±2.8532) and the contrast-to-noise ratio (0.391±0.3025) at 15 frames by 1.43±0.4861 in the signal-to-noise ratio and 0.132 ± 0.0555 in the contrast-to-noise ratio.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As a result of research on image quality and dose analysis by changing the tube current of cine imaging, the relationships of the group A with high tube current and group B with low tube current with the incident surface dose (A: 483.5 ± 60.1, B: 464.4 ± 39.9) and absorption dose (A: 84.3 ± 10.7, B: 81.5 ± 7)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In the relationships with the signal-to-noise ratio and contrast-to-noise ratio through Image J, the signal-to-noise ratio (5.451 ± 0.529) and contrast-noise ratio (0.411 ± 0.0432) of the image obtained by shooting the left coronary artery of group B were different from the signal-to-noise ratio (4.976 ± 0.433) and the contrast-to-noise ratio (0.459 ± 0.0431) of the image obtained by shooting the left coronary artery of group A by 0.475 ± 0.096 in the signal-to-noise ratio and -0.048 ± 0.0 in the contrast-to-noise ratio.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In the signal-to-noise ratio and contrast-to-noise ratio of the image obtained by shooting the right coronary artery, the signal-to-noise ratio (4.731 ± 0.773) and contrast-to-noise ratio (0.354 ± 0.083) of group A were higher than the signal-to-noise ratio (3.24 ± 0.368) and contrast-to-noise ratio (0.166 ± 0.033) of group B by 1.491 ± 0.405 in the signal-to-noise ratio and 0.188 ± 0.005 in the contrast-to-noise ratio. Of these, the contrast-to-noise rati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In conclusion, even when the images were taken by changing the frame at 10 and 15 frames during CAG, the incident surface dose and absorbed dose did not show a large difference. The signal-to-noise ratio and contrast-to-noise ratio increased in 15-frame shooting than in 10-frame shooting,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thought that both the patient and the practitioner will be able to reduce concerns about X-ray exposure due to 10-and 15-frame shooting, as well as concerns about image quality reduction. In CAG taken by increasing the tube current, the signal-to-noise ratio and contrast-to-noise ratio in the image of right coronary artery were increased, of which the difference in the contrast-to-noise rati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suggests that the contrast can be further improved when the coronary artery is imaged by increasing the tube current, and the clarity of the image becomes excellent by the difference of the contrast between heart shading and coronary artery. Therefore, in order to evaluate or improve the image quality of various angiographic images as well as coronary artery images, it is suggested that the image quality measurement method devi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analysis. 의료분야의 방사선 장비 사용범위는 무궁무진하며 병원에서 시행하는 검사 중 가장 기본검사임과 동시에 실질적 치료 목적을 위한 심층검사로도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의료지원 목적의 엑스선 장비는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 수행이 진행되어야 한다. 실제 엑스선 장비를 이용한 검사는 선행적으로 의사 및 방사선사의 주관적 영상 판독 능력에 따라 평가가 달리 되고 그중 관상동맥질환을 보기 위한 관상동맥 조영술의 씨네 촬영 조건 변화를 통해 모니터 상에 표현된 출력 영상의 신호 대 잡음비와 대조도 대 잡음비 및 엑스선 흡수선량과 입사 표면 선량을 측정하여 시술자에게 최적화된 영상을 묘출하여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일반 촬영 및 시티촬영과는 다르게 관상동맥 조영술에 관한 정량적 화질평가에 대한 선행 연구가 없었기에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씨네 촬영의 프레임 변화를 통한 화질 및 선량 분석 연구의 대상으로는 2017년 6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여수지역 심혈관 센터에서 CAG를 시행한 30명(남19, 여11)을 대상으로 하였고, 환자들의 연령대는 49-82세(평균 65±9세), 몸무게 45-91kg (평균 67±8.9kg), 키 150-179cm (평균 165.1±8.9kg), 체질량지수 19.5-30.5(평균 24.5±2.9)이었으며, 씨네 촬영의 관전류 변화를 통한 화질 및 선량 분석 연구의 대상으로는 2017년 11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여수에 위치한 심장 혈관센터에서 CAG를 시행한 33명(남 24, 여 9)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였고 연령대는 37-76세(평균 59±10세), 몸무게 53-104kg (평균 72±10kg), 키 150-185cm (평균 166.82±9.5kg), 체질량지수 18.3-33.2(평균 25.8±3.2) 이었다. 연구 방법으로 입사 표면 선량 및 흡수선량을 후향적으로 획득하여 비교‧분석 하였고 신호 대 잡음비와 대조도 대 잡음비는 Image J 프로그램을 통하여 영상을 측정‧분석 한 후 공식에 대입하여 결과 값을 도출하였다. 통계분석을 통한 상관관계 확인을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프레임 변화와 관전류 변화에 따른 입사 표면 선량과 흡수선량 및 신호 대 잡음비․대조도 대 잡음비의 상관관계 등을 분석하였다. 씨네 촬영의 프레임 변화를 통한 화질 및 선량 분석 연구의 결과로는 10프레임으로 촬영할 때와 15프레임으로 촬영할 때 모두 입사 표면 선량과 흡수선량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신호 대 잡음비와 대조도 대 잡음비의 관계에선 10프레임으로 촬영했을 때의 신호 대 잡음비(3.374±2.1297)와 대조도 대 잡음비(0.234±0.2249)가 15프레임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4.929±2.8532)와 대조도 대 잡음비(0.391±0.3025)보다 신호 대 잡음비 1.43±0.4861, 대조도 대 잡음비 0.132±0.0555로 낮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p>0.05). 씨네 촬영의 관전류 변화를 통한 화질 및 선량 분석 연구의 결과로는 관전류를 높게 설정한 397.2 mA 그룹과 관전류를 낮게 설정한 370.2 mA 그룹의 입사 표면 선량(A:483.5±60.1, B:464.4±39.9)과 흡수선량(A:84.3±10.7, B:81.5±7)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Image J를 통한 신호 대 잡음비와 대조도 대 잡음비의 관계에선 370.2 mA 그룹의 왼 관상동맥을 촬영해 얻은 영상의 신호 대 잡음비(5.451±0.529)와 대조도 대 잡음비(0.411±0.0432)가 A(397.2 mA) 그룹 왼 관상동맥 영상의 신호 대 잡음비(4.976±0.433)와 대조도 대 잡음비(0.459±0.0431)보다 신호 대 잡음비 0.475±0.096, 대조도 대 잡음비 -0.048±0.0로 차이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오른 관상동맥을 촬영해 획득한 영상의 신호 대 잡음비와 대조도 대 잡음비에선 397.2 mA 그룹의 신호 대 잡음비(4.731±0.773)와 대조도 대 잡음비(0.354±0.083)가 370.2 mA 그룹의 신호 대 잡음비(3.24±0.368)와 대조도 대 잡음비(0.166±0.033)보다 신호 대 잡음비 1.491±0.405, 대조도 대 잡음비 0.188±0.005로 증가된 수치를 나타냈으며 그중 대조도 대 잡음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05). 결론적으로 관상동맥 조영술 시 10프레임과 15프레임으로 변화를 주어 촬영하여도 입사 표면 선량과 흡수선량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10프레임보다 15프레임 촬영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와 대조도 대 잡음비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기에 본 논문을 통해 환자와 시술자 모두 10프레임과 15프레임 촬영으로 인한 엑스선 피폭 문제뿐 아니라 영상의 화질 감소에 관한 우려 역시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관전류를 증가시켜 촬영 한 관상동맥 조영술의 오른 관상동맥 영상 신호 대 잡음비와 대조도 대 잡음비가 증가된 수치를 보임과 동시에 오른 관상동맥 촬영 영상의 대조도 대 잡음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을 보아 관상동맥 촬영 시 관전류를 향상시켜 촬영할 경우 대조도가 한층 더 향상되어 심장 음영과 관상동맥의 대조도 차에 의한 영상의 선명도가 우수해지므로 시술자에게 보다 명확한 판독 영상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관상동맥 영상뿐 아닌 다양한 혈관 조영 영상의 화질을 평가하거나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고안한 화질 측정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할 수 있기를 제안하는 바이다.

      • Progression of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and association with traditional risk burden in asymptomatic Korean adults : the Korea initiatives on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KOICA) registry

        이지현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서론: 반복적인 관상동맥 석회화의 선별 검사는 죽상 동맥 경화증의 진행을 추적하는 방법으로 제안되었으며, 이는 과도한 관상동맥칼슘의 진행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심혈관 사건과 관련성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대규모의 한국 성인에 있어서 관상동맥 석회화의 진행과 심혈관계 위험 요인의 부담 사이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방법: 한국내 6개의 병원에서 구성된 레지스트리로부터 총 14,255 명의 무증상 한국 성인 (평균 연령: 53 ± 9 세, 84.0 %의 남성)은 광범위한 건강 연구의 일환으로 관상동맥 석회화 검사를 포함한 2회 이상의 건강검진을 시행하였고, 두 검사간 간격은 평균 3.75 ± 1.92년이었다. 관상동맥 석회화 진행은 첫번째와 두번째 시행한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의 제곱근 차이 값이 2.5 이상인 경우로 정의되었다. 위험인자 복합 점수 (위험인자 부담)는 고혈압, 당뇨병, 현재 흡연, 높은 LDL- 및 낮은 HDL- 콜레스테롤을 포함하여 개별 매개 변수를 0, 1, 2 및 ≥3의 위험인자로 구성되었다. 결과: 5,080 명의 성인(35.6 %)이 추적 기간 동안 (중앙값, 6.9세, 사분위수 범위, 5.0-8.4 세) 관상동맥 석회화가 진행되었다. 이들은 관상동맥 석회화가 진행되지 않은 사람과 비교 시 고령, 남성의 비율이 높았고, 기존에 잘 알려진 심혈관계 위험인자를 더 많이 가지고 있었다.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대부분의 심혈관계 위험인자들은 관상동맥 석회화의 진행과 독립적 관련성이 있었다. 위험인자들이 없는 군과 비교했을 때, 관상동맥 석회화의 진행은 위험인자의 수가 증가될수록 그 위험성이 더 크게 증가하였다 (P-값 <0.05). 기존 위험인자가 0, 1, 2 및 ≥3 인 성인들의 연간 관상동맥 석회화 진행률은 각각 0.5 %, 0.6 %, 0.8 % 및 0.9 %였다. 첫번째 건강검진 시행 당시 위험인자의 수와 상관없이, 두번째 건강검진 시행 시 위험 부담이 더 증가하는 경우 연간 관상동맥 석회화 진행률은 이에 따라 더욱 증가했다 (모든 P-값 <0.05). 결론: 무증상 한국 성인에서 심혈관계 위험인자들은 관상동맥 석회화 스캔으로 측정한 죽상 경화증의 진행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이러한 위험인자의 수가 더 많은 환자일수록 관상동맥 석회화 진행의 위험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연간 관상동맥 석회화 진행률은 시간이 지남에 따른 심혈관계 위험인자 수의 변화와 연관이 있었다. Introduction: Repeat coronary artery calcium (CAC) screening has been suggested as a method to track progression of atherosclerosis, which underlines that excessive CAC progression might be related with future cardiovascular events. We ai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C progression and traditional risk factor (RF) burden in a large sample of Korean adults. Methods: From a six center, single ethnicity observational registry, a total of 14,255 asymptomatic Korean adults (mean age, 53±9 years; 84.0% male) underwent two examinations, including CAC screening as part of a broader health study with an average of 3.75±1.92 years between scans. CAC progression was defined as a difference ≥2.5 between the square root (√) of the baseline and follow-up CAC scores. A composite score summed the individual parameters as 0, 1, 2, and ≥ 3 RFs, including hypertension, diabetes, current smoking, high LDL-, and low HDL-cholesterol. Results: A total of 5,080 individuals (35.6%) experienced CAC progression during follow-up (median, 6.9 years; interquartile range, 5.0–8.4 years). Most traditional cardiovascular RFs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CAC progression, and CAC progression was related to a higher RF burden compared to those without any RF (P-value < 0.05). The annualized CAC progression rate was 0.5%, 0.6%, 0.8%, and 0.9% for subjects with RFs of 0, 1, 2, and ≥3, respectively. For all subsets of risk burden at baseline, the annualized CAC progression notably increased as the risk burden increased at follow-up, compared to baseline (all P-value < 0.05). Conclusion: In asymptomatic Korean adults, cardiovascular RF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rogression of subclinical atherosclerosis, and increased risk burden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CAC progression. Furthermore, CAC progression rat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isk burden changes over time.

      • 관상학의 경험적 진화 : 학문적 변용과 현재적 유효성

        서영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istence of human being that should be encompassed for experiential evolution of physiognomy and show a new horizon for the direction of academic transformation and current validity. This study deals more in depth on the body discourse of sociology, philosophy, and psychology of human conditions,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categorization,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recreating it to empirically responsible literature, and tests its current validity. Existing physiognomy “believes” that all the future incidents in life, personality, and traits of a human being can be read through the cover of the body. It implies a deterministic view that one’s life is already decided. However, it is imprudent to decide humans’ empirical conditions simply in few categories and determine and judge personalities and traits. Empirical conditions of human can be summarized in three perspectives. First, along with the regularity in the existence of human being, there coexists an irregularity in a fortuitous and creative side. Second, while the face of human is purely personal, it is “unfinished substance” as it actively reflects the changes in social identity. Third, face of human is perceived in pieces according to the social and cultural frame, the belief and knowledge of the interpreter, and the feelings of the person. These empirical conditions of human show that physiognomic interpretations cannot be complete or conclusive. It is clear that taking existing physiognomy as the main perspective for deterministic judgment is a discourse that suppresses or distorts human’s creative area. This is not only inappropriate in the academia, but also to explain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What this physiognomic discourse indicates to “us” is to seek transformation from deterministic and conclusive judgments. The observation for experiential evolution of physiognomy suggests the following physiognomic transformation. First, physiognomy should consider the reversal structure of mind and include the possibility of change. That is because human mind does not work only in a determined way. Second, physiognomy should acknowledge the fragmental nature of human perception. The principle can only be interpreted and categorized ‘in terms of’ the recognizer. Third, physiognomy should be used as important factors to cross validate the way of acting and behaving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error. The future personality and trait deeply impacts the way one behaves in the present state. Fourth, physiognomy should have an insight that human virtue is “decided within context” and suggest in which area it can efficiently be demonstrated. Fifth, physiognomy should perceive human as “dynamic beings” that must continuously change in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suggest body and behavior corrections to interact with others. The newly created physiognomy should be empirically stable based on vertical publicness shared by human beings, and the current usability can be found in the following areas. First, physiognomy can be identified as one-sided data to figure out the nature of human. One can map out one’s future through physiognomic decisions on human tendency and character. Second, physiognomy discourse and its validity can be use as image creation data. Physiognomy evaluates and corrects physical and visual negatives, which guide the ultimate method to improve the image. These investigations will provide direct opportunities to recreate physiognomy to match our conditions and contribute to seeking empirical justice for physiognomy. Another perspective is that this observation will be a key to discovering the current value of physiognomic discourse.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관상학의 경험적 진화를 위해 포괄해야 하는 인간의 존재 양식을 검토하고, 관상학적 변용의 방향과 현재적 유효성의 지평을 보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탐구는 인간 조건에 대한 사회학ㆍ철학ㆍ심리학 분야의 몸 담론을 토대로, 관상에 대한 전통적 범주화의 한계를 지적하고, ‘경험적으로 책임 있는’ 학문으로 재구성될 수 있는 가능성과 현재적 유효성을 탐색한다. 기존의 관상학은 몸의 표지를 통해 한 인간이 삶의 과정에서 겪게 될 온갖 사건들과 성격, 기질 등을 읽어낼 수 있다고 ‘믿는다’. 그것에는 인간의 삶이 이미 결정되어 있다는 결정론적 관점이 함축되어 있다. 그러나 인간의 경험적 조건들은 단순히 인간을 몇 개의 유형으로 범주화하고, 성격과 기질 등을 확정적으로 판단하려는 시도가 그 자체로 무모한 것임을 말해준다. 인간의 경험적 조건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인간 존재에게는 법칙적 부분이 존재하지만, 동시에 우연적ㆍ창조적 국면, 즉 ‘비법칙적 부분’이 공존한다. 둘째, 인간의 얼굴은 지극히 개인적인 것이지만, 동시에 사회 정체성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반영한다는 점에서 ‘미완의 실체’로 존재한다. 셋째, 우리의 얼굴은 사회적ㆍ문화적 틀에 따라, 해석자의 믿음과 지식에 따라, 그리고 인식자 감정에 따라 파편적으로 인식된다. 이러한 인간의 경험적 조건들은 우리에게 어떤 관상학적 해석도 완전한 것일 수도 확정적인 것일 수도 없다는 점을 말해준다. 기존의 관상학은 결정론적 판단을 주된 관점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인간이 가지는 창조성의 영역을 억압하거나 왜곡할 수 있는 담론임에 분명하다. 이 점은 학문적 영역에서만이 아니라, 지금까지 밝혀진 인간 존재를 해명하는 데도 부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관상학적 담론이 ‘지금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결정적ㆍ확정적 판단을 지양한 ‘변용’을 시도해야 한다는 점이다. 관상의 경험적 진화를 위한 탐색은 다음과 같은 관상학적 변용의 방향을 제안한다. 첫째, 관상학은 마음의 반전 구조를 감안, 변화의 가능성을 포괄해야만 한다. 인간의 사고는 결정론적으로만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둘째, 관상학은 인간 지각의 파편적 본성을 인정해야만 한다. 대상은 인식자의 ‘관점에서’ 해석되고 범주화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셋째, 관상학은 오류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상법과 ‘행위’를 교차 검증의 중요 요소로 수용해야만 한다. 현재의 성품과 기질, 그리고 미래의 모습은 결국 현재의 행위에 의해 결정될 것이기 때문이다. 넷째, 관상학은 인간의 장점이 시ㆍ공간적 ‘맥락 속에서 결정’된다는 것을 깊이 통찰하고, 어떤 분야에서 효율성을 발휘할 수 있는지를 제안해야 한다. 다섯째, 관상학은 인간이 사회적ㆍ문화적 환경 속에서 지속적으로 변화해가야만 하는 ‘역동적 존재’임을 인식하고, 타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몸과 행위를 어떻게 교정해갈 수 있는지를 제안할 수 있어야만 한다. 새롭게 재구성될 관상학은 인간이 공유하는 종적 공공성에 기반을 둔 ‘경험적으로 안정된’ 것이어야 하며, 그것이 갖는 현재적 유용성은 다음의 영역들에서 찾아질 수 있을 것이다. 첫째, 관상학은 인간 성향을 파악하는 일면적 토대자료로서의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인간의 경향성과 성품에 대한 관상학적 판단을 통해 진로를 설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둘째, 우리는 이미지 형성 자료로서의 관상학적 담론의 유효성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관상학은 신체적ㆍ물리적 단점을 교정하는 도구로, 그리고 이미지를 개선하는 방법론으로서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탐색은 우리의 조건에 맞는 관상학의 재구성에 직접적 계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현실적으로는 관상학에 대한 경험적 정당화의 방식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으로 이 탐구는 관상학적 담론의 현재적 가치를 발견하는 일이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갖는다.

      • Comparison of coronary CT angiography and Tc-99m MIBI SPECT in detecting significant coronary artery stenosis

        서재승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Purpose: To compare coronary CT angiography with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using Tc-99m MIBI SPECT in detecting significant coronary artery stenosis confirmed by invasive coronary angiography.Method: Fifty five consecutive patients presented with chronic chest pain ( stable / unstable anginal chest pain or atypical chest pain ) were enrolled for last three years, who all underwent coronary CT angiography,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using Tc-99m MIBI SPECT and invasive coronary angiography within three months. Lesions with a diameter reduction of 50% or more were considered to represent significant stenosis on coronary CT angiography and invasive coronary angiography. The myocardial perfusion images were considered as abnormal by visual assessment if either fixed or reversible perfusion defects were noted. All the data of the coronary CT angiography using 16 (N=40) and 64 (N=15) row multi-detector CT and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using Tc-99m MIBI SPECT for the detection of significant coronary artery stenosis were compared with invasive coronary angiography on a per-territory and a per-patient basis.Results: Compared to invasive coronary angiography as the gold standard of reference, all the diagnostic performances of coronary CT angiography (sensitivity / specificity / accuracy / positive predictive value / negative predictive value: 97.3% / 88.9% / 94.5% / 94.7% / 94.1%) except specificity was significantly more accurate than those of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using Tc-99m MIBI SPECT (sensitivity / specificity / accuracy / positive predictive value / negative predictive value: 72.2 % / 78.9 % / 74.5 % / 86.7 % / 60 % ) for correctly classifying significant coronary artery stenosis on a per-patient basis. On a per-territory basis, coronary CT angiography correctly classified 153 out of 165 territories about if each territory had significant coronary artery stenosis or not (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ial territory / right coronary arterial territory / left circumflex coronary arterial territory ? sensitivity : 93.8/91.3/89.5%, specificity: 87/96.9/94.4%, accuracy: 90.9/94.5/92.7%, positive predictive value: 90.9/95.5/89.5%, negative predictive value: 90.9/93.9/94.4%, respectively) and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using Tc-99m MIBI SPECT correctly classified 124 out of 165 territories about if each territory had significant coronary artery stenosis or not (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ial territory / right coronary arterial territory / left circumflex coronary arterial territory - sensitivity: 50/ 78.3/ 33.3 %, specificity: 87/ 84.3/ 100 %, accuracy: 65.5/ 81.8/ 78.2 %, positive predictive value: 84.2/ 78.3/ 100%, negative predictive value: 55.6/ 84.3/ 75.5%, respectively).Conclusion: Compared with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using Tc-99m MIBI SPECT, coronary CT angiography showed better accuracy and sensitivity on a per patient basis and on a left anterior descending territory. Coronary CT angiography could be recommended first as a noninvasive and screening diagnostic test for evaluating the patients with clinically suspicious significant coronary artery stenosis. 연구목적: 침습적 관상동맥 촬영술로 확진된 유의한 관상동맥협착을 발견하는데 있어서 CT관상동맥 촬영술과 MIBI SPECT의 정확도를 비교 하고자 하였다.연구대상 및 방법: 지난 3년간 만성 안정성이나 불안정성 협심증이나 비전형적인 흉통을 주소로 내원한 55명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모든 환자는 3개월 내에 침습적 관상동맥촬영술, CT 관상동맥촬영술과 MIBI SPECT을 모두 시행하였다. 침습적 관상동맥촬영술과 CT 관상동맥촬영술에서는 유의한 관상동맥협착을 50%이상의 내경 감소로 정의하였으며 MIBI SPECT에서는 고정적이거나 가역적인 관류결손 모두를 유의한 관상동맥협착으로 정의하였다. 16열(40명)이나 64열(15명) 다절편 CT 관상동맥 촬영술과 MIBI SPECT을 이용한 심근관류영상으로 얻은 자료정보를 침습적 관상동맥 촬영술로 얻은 것과 환자를 기준으로 또 심근구역으로 나눠 각 검사의 정확성을 비교하였다.연구결과: 침습적 관상동맥 촬영술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각 환자를 기준으로 CT 관상동맥 촬영술은 (민감도 / 특이도 / 정확도 /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97.3% / 88.9% / 94.5% / 94.7% / 94.1% )이 특이도를 제외하고는 MIBI SPECT (민감도 / 특이도 / 정확도 /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72.2 % / 78.9 % / 74.5 % / 86.7 % / 60 % )보다 유의한 관상동맥협착을 발견하는데 있어서의 정확도, 민감도, 양성예측도나 음성예측도 등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정확하였다.각 심근구역을 기준으로 CT 관상동맥 촬영술은 165개 심근구역 중에 153개를 정확히 구별할 수 있었다 (좌하행관상동맥 심근구역/ 우관상동맥 심근구역/ 좌회전관상동맥 심근구역: 민감도 - 93.8/91.3/89.5%, 특이도 - 87/96.9/94.4%, 정확도 - 90.9/94.5/92.7%, 양성예측도 - 90.9/95.5/89.5%, 음성예측도 - 90.9/93.9/94.4% 각각). 각 심근구역을 기준으로 MIBI SPECT은 165개 심근구역 중에 124개를 정확히 구별할 수 있었다 (좌하행관상동맥 심근구역/ 우관상동맥 심근구역/ 좌회전관상동맥 심근구역: 민감도 - 50/ 78.3/ 33.3 %, 특이도 - 87/ 84.3/ 100 %, 정확도 - 65.5/ 81.8/ 78.2 %, 양성예측도 - 84.2/ 78.3/ 100%, 음성예측도 - 55.6/ 84.3/ 75.5% 각각).결론: 각 환자를 기준으로 유의한 관상동맥협착을 발견하는데 있어서 환자를 기준으로 또 좌하행 관상동맥구역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CT 관상동맥촬영술이 MIBI SPECT보다 더 정확한 정확도와 민감도를 보였다. CT 관상동맥 촬영술이 유의한 관상동맥협착을 의심하는 환자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비침습적인 초기 선발검사로 우선 이용할 수 있다.

      • 관상동맥질환 위험요인의 유형화 : 잠재계층 분석 활용

        주은실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위험요인들을 바탕으로 잠재계층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그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여 관상동맥질환자들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행된 연구이다. 2010년 1월부터 2015년 12월 사이 K대학병원을 내원하여 관상동맥 조영술 을 시행하고 그 결과에 의해 최종 진단명을 국제질병분류(ICD-10)에 따라 관상동맥질환(I20-25)으로 처음 진단받은 환자 2,0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의 첫 관상동맥 조영술 시 작성된 전자의무기록으로부터 추출한 자료를 이용한 이차자료 분석 연구로 SPSS 20.0(IBM, New York, USA)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과 Mplus 7.4(Muthen & Muthen, Los Angeles, CA, USA)를 이용한 잠재계층분석 방법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관상동맥질환자들은 주요 위험요인들을 통해‘흡연-음주 계층',‘이상지질혈증 위험 계층',‘대사증후 위험 계층',‘영양불균형 계층’4개의 계층으로 분류되었다. 2)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잠재계층 유형간 차이를 확인한 결과, 4개의 잠재계층은 성별, 나이, 가족력, 교육수준, 종교, 직업, 결혼유무, 보험유형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의 차이를 살펴보면‘대사증후 위험 계층'만 유일하게 여성의 비율이 높았고,‘흡연-음주 계층'은 남성의 비율이 90% 이상으로 높았다. 나이의 차이는‘흡연-음주 계층'과‘이상지질혈증 위험 계층'은 50대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대사증후 위험 계층'과‘영양불균형 계층'은 모두 70세 이상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가족력은‘흡연-음주 계층'에서 비율이 가장 높았고, 교육수준은 4계층 모두 중, 고등학교 졸업자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흡연-음주 계층'에서는 대졸 이상이,‘대사증후 위험 계층'에서는 초등학교 졸업자의 비율이 다른 계층과 비교하여 높았다. 직업의 차이는‘흡연-음주 계층'에서는 사무직이,‘이상지질혈증 위험 계층'에서는 주부가,‘대사증후 위험 계층'과‘영양불균형 계층'에서는 무직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3)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잠재계층 유형에 속할 가능성을 확인한 결과, '대사증후 위험 계층'을 기준으로‘흡연-음주 계층'에 속할 가능성을 높여주는 일반적 특성은 성별, 나이, 보험유형, 직업이고,‘이상지질혈증 위험 계층’에 속할 가능성을 높여주는 특성은 나이, 가족력, 보험유형, 직업이었다. '영양불균형 계층'에 속할 가능성을 높여주는 일반적 특성은 성별, 가족력이었다. 4) 각 잠재계층 간 관상동맥 중재술 시행여부의 차이는‘흡연-음주 계층',‘대사증후 위험 계층',‘영양불균형 계층',‘이상지질혈증 위험 계층’순서로 중재 시행율이 높았다. 본 연구는 잠재계층분석의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여 관상동맥질환자들의 유형을 ‘흡연-음주 계층’,‘이상지질혈증 위험 계층’,‘대사증후 위험 계층’,‘영양 불균형 계층’4계층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각 계층들의 특징적인 차이점들을 확인 하였고, 중재율이 가장 높았던 계층도 파악하였다. 이렇게 잠재계층분석 방법을 통해 계층을 과학적으로 분류하고, 위험 계층을 파악함으로써 관상동맥 질환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관리하는 적극적 예방정책을 세우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atent classes based on the main modifiable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oronary artery disease(CAD).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that used secondary data analysis. Data were extracted from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2,022 patients who had coronaryangiography at K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5.For data analysis, SPSS 20.0(IBM, New York, USA) and Mplus 7.4(Muthen & Muthen,Los Angeles, CA, USA) were used.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patients with CAD were divided into fourgroups; ‘Smoking-Drinking class’, ‘Dyslipidemia High-Risk class’, ‘'MetabolicSyndrome High-Risk class’ and ‘Malnutrition class’. Crosstabs analysis of the data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ge, educational level, religion, occupation,and marital status. With regard to the gender, the percentage of females in the‘Metabolic Syndrome High-Risk class’ was higher than male, and the percentage ofmales in the ‘Smoking-Drinking class’ was greater than 90%. The difference of age‘Smoking- Drinking class’ and ‘Dyslipidemia High-Risk class’ had a high proportion of50s, in contrast, ‘Metabolic Syndrome High Risk’ and ‘Malnutrition class’ had a high 85number of people aged over people of 70s. The highest educational level among all fourclasses was high school, though the ‘Smoking-Drinking class’ and ‘MetabolicSyndrome High-Risk class’ had high percentages of college and elementary graduates,respectively. Regarding occupation, the ‘Smoking-Drinking class’, mostly had ‘officejobs’, while ‘Dyslipidemia High-Risk class’ and ‘Malnutrition class’ were mostly‘unemployed’. The results of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for latent classmembership by general characteristics on ‘Metabolic Syndrome High-Risk class’ basis,the characteristics that increase the possibility to keep belong in the ‘Smoking-Drinkingclass’ are gender, age, insurance type, occupation and characteristics that increase thepossibility to belong in ‘Dyslipidemia High Risk class’ are age, family history,insurance type, occupation and ‘Malnutrition class’ are gender, family history,insurance type. In terms of the incidence of coronary percutaneous intervention, itincreased consecutively in the following order ‘Smoking-Drinking class’, ‘MetabolicSyndrome High-Risk’, ‘Malnutrition class’ and ‘Dyslipidemia High-Risk class’.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hat it identified latent classes of CAD patientsusing the applied statistical technique of latent class analysis and provided useful datafor more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in each class.

      • 토머스 머튼의 관상체험에 따른 사상적 변화 : 「명상의 씨」와 「새 명상의 씨 」의 비교연구

        권혁일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금까지 『명상의 씨』와 『새 명상의 씨』를 중심으로 머튼의 관상체험에 따른 사상적 진화를 고찰하였다. 머튼은 그의 관상체험이 깊어지면서, 관상을 삶의 차원과 사회적 차원, 그리고 우주적 차원에서 깊이 이해했다. 그것은 그의 삶을 더욱 온전하게 만들었으며, 그로 하여금 세상에서 하나님의 뜻을 구현하는 삶으로 나아가게 했다. 이러한 머튼의 사상적 진화는 오늘날 한국교회가 당면한 과제를 풀어나가는 데에 중요한 통찰을 제공해 준다. 먼저 Ⅱ장에서의 고찰에 의하면 머튼은 수도원에 들어오기 이전에도 잠재적으로 예비 관상가로서의 면모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수도원에 들어와서는 그의 관상체험이 점점 깊어져갔다. 특별히 그는 깊은 관상체험과 루이빌에서의 체험들을 통해 하나님 안에서 이웃과 세상을 발견하고 그의 생애 마지막 10여 년 동안 적극적으로 세상에 참여하는 삶을 살았다. 다음으로 Ⅲ장에서는 관상이해발달을 고찰하기 위해 『명상의 씨』와 『새 명상의 씨』를 중심으로 머튼의 관상이해를 담고 있는 주요저작들을 시기별로 살펴보았다. 『명상의 씨』를 중심으로 한 전기의 작품들에서는 머튼은 주로 가톨릭 전통의 토대 위에서 관상과 관련한 사상을 글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명상의 씨』와 『새 명상의 씨』를 잇는 전환기의 작품들은 고독과 관상생활에 대하여 포괄적인 내용이 담겨 있는 것이 특징이며, 또한 기독교 관상에 대한 독창적인 이해가 담겨있었다. 마지막으로『새 명상의 씨』를 중심으로 한 후기의 작품들에서는 머튼이 동양신비주의와의 접촉을 통해서 성숙한 관상이해를 제시했으며, 특히 관상이 세상을 실제적으로 포괄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어서 Ⅳ장에서는 『명상의 씨』와 『새 명상의 씨』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 두 작품은 배경과 특징, 그리고 구조에서 많은 차이를 가지고 있었다. 『명상의 씨』는 관상을 하나님과 나, 이웃의 정체성의 발견으로 제시하였으며, 『새 명상의 씨』는 하나님과 나, 이웃에 대한 깨달음으로서의 관상을 이야기하였다. 특히 『새 명상의 씨』는 구조와 분리를 초월한 우주적인 일치로 관상을 이해하였다. 한편 두 작품 모두 관상에 이르는 길로서 믿음과 자유, 그리스도의 신비를 제시하였다. 그런데 『명상의 씨』보다 『새 명상의 씨』에서 삶의 차원을 포괄하고 있는 심화된 이해를 가지고 있음을 보았다. 그리고 Ⅴ장에서는 앞선 장들의 논의를 토대로 『명상의 씨』와 『새 명상의 씨』의 관상이해를 중심으로 한 사상적 진화를 고찰하였다. 첫 번째로 머튼이 관상을 개념 중심으로 이해하고 표현한 데에서, 그의 관상체험이 깊어지면서 체험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이동한 것을 보았다. 두 번째로 머튼은 『새 명상의 씨』로 갈수록 분명하게 자아를 대상으로 분석하는 심리학적인 방법을 비판하며 기독교 인격주의적인 경향을 광범위하게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세 번째로 머튼은 관상을 삶과 분리된 것으로 이해하는 경향에서 관상과 삶을 통합된 것으로 제시하는 경향으로 이동하였고 실제적인 삶을 보다 중요하게 여겼다. 다음으로 네 번째로, 머튼은 초기에는 관상을 고립적으로 이해하였지만, 점차 고독 속에서의 그의 체험이 깊어짐으로 인해 『새 명상의 씨』에서는 관상과 고독을 사회적 차원으로 확장시키고, 훨씬 개방적인 사고를 가지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머튼은 가톨릭 전통에서 초교파적인 기독교 전통으로 전통의 경계가 확장되었고, 동시에 동양신비주의와의 접촉을 통해 기독교관상을 풍요롭게 하고, 모든 분리와 이중성을 초월한 우주적인 일치를 추구하였다. 다음으로 Ⅵ장에서는 머튼의 사상적 진화가 오늘날 한국교회에 주는 의미를 찾아보았다. 오늘날 한국교회가 당면하고 있는 과제 중 지성 위주의 흐름과 감정적 체험을 추구하는 흐름의 한계 극복, 주체로서의 내적 자아의 깨어남과 교회의 공동체성 회복, 삶과 신앙의 분리 극복과 생태영성의 정립, 한국사회에서의 한국교회의 정체성 확립과 구현, 초교파적인 일치와 종교다원주의에 대한 대처에 있어서 머튼의 사상이 중요한 통찰과 방향을 제공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 관상동맥 질환 가족력 여부가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 연령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민경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관상동맥 질환의 가족력 있는 집단에서 나타나는 위험요인들의 특성들을 알아보고, 가족력 여부가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 연령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1994년 7월부터 2003년 8월 까지 서울 소재 종합병원에서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여 관상동맥 질환 진단을 받은 4194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직접 interview 및 chart review, 전화 interview를 통해 고혈압 유무, 흡연 유무, 당뇨유무, 여자의 겨우 폐경 여부, 가족력 유무, 가족력 있는 가족과의 관계, 가족력 있는 가족의 수, 가족력 있는 가족의 진단명 등을 조사하였고, 입원 시 정규 혈액 검사를 통하여 지질 수준으로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혈액 응고 인자로는 Fibrinogen,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t-PA),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PAI-1), 지단백 수준으로는 Apolipoprotein Al (Apo-Al), Apolipoprotein B(Apo-B), Lipoprotein a(Lp a) 와, Homocystein을 포함시키고, inflammatory marker로 C-reactive protein (CRP)를 조사하였다. 통계 분석은 SAS Ver, 8.1을 사용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상동맥 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집단에서는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 연령이 가족력이 없는 집단에 비해 남녀 각각 약 3-4세 낮았다. 둘째, 연령을 통제하여 가족력 유무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다른 위험요인을 비교 하였을 때, 가족력이 있는 남자 군에서 키,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LDL/HDL, Apo-B가 가족력이 없는 남자 군에 비해 높았다. 셋째, 지질 수준과 흡연 등의 중요 위험 요인들이 같은 조건일 때 가족력이 있는 군에서 없는 군에 비해 관상동맥 발생 연령이 낮았다. 넷째, 가족력은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 연령을 약 4세 정도 낮추는 독립적 위험인자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남자에 있어서 가족력과 지질 수준에서 연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가족력은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 연령에 영향을 주는 독립적 요인이다. 이 연구는 앞으로 관상동맥 질환의 가족력과 연관되어 주요 유전자를 찾는 연구의 기초가 되고 관상동맥 질환의 고 위험 가족에 있어 예방 및 관리의 지침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onset age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family history of coronary heart disease. We analyzed the major risk factors in 4194 coronary heart disease patients. 247 subjects (6%) had family history of coronary heart disease(FCAD), 3947 subjects had not family history(NFCAD). The patients were diagnosed as coronary heart disease by coronary angiography at the Samsung Medical Center from Jun 1994 to Aug 2003. The mean age of the group of FCAD was significantly younger than that of the group of NFCAD. The means of Total cholesterol (TC), LDL-cholesterol, the ratio of LDL/HDL and Apo-B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of male with family history of coronary heart disease, not in the group of female. In the same condition of other risk factors (lipid profile and smoking), the onset age of coronary heart disease was lower r in the group FCAD. this study showed family history influenced onset age of coronary heart disease to be earlier for 4 year by the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In the conclusion, the group of FCAD showed significantly younger age, higher TC, LDL, LDL/HDL and Apo-B compared with those of the group of NFCAD in the male patients, suggesting a genetic predisposition related to TC and LDL metabolism especially in male patients. and family history was found to be an independent factor for earlier onset age of coronary heart disease.

      • 관상동맥질환(CAD) 검사에서 심장 전산화단층(CCTA) 촬영과 관상동맥 조영술(CAG)의 유용성 분석 : 입사표면선량(ESD)과 체질량지수(BMI) 및 조영제 양을 중심으로

        서영현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관상동맥질환을 가진 환자들은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등으로 인해 생활에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부터 급사하는 경우까지 폭넓은 위험인자를 지니고 있으므로 다양한 검사를 통해 가급적 초기에 병변을 발견해야 한다. 다양한 검사 방법 중 대표적으로 영상의학과의 CCTA(cardiac computed tomography)와 심장 혈관센터의 CAG(coronary angiography)를 이용한 검사 방법이 있으며 X선과 조영제사용이라는 공통분모를 통해 CCTA와 CAG의 ESD(entrance surface dose)와 조영제 사용량 및 BMI(body mass index)에 따른 ESD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양 검사의 유용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4년 5월부터 2016년 5월까지 본원에서 CCTA와 CAG 두 검사를 동일하게 진행한 21명(남 11, 여 10)을 대상으로 양 검사의 ESD와 조영제사용량을 비교·분석하였고, 연령대는 48-85세(평균 65±10세), 몸무게는 37.6-83.3 kg(평균 63±6 kg), BMI는 16.7-28.8(평균 23.6±2)이었다. BMI에 따른 ESD 상관관계 분석 연구에선 2012년 12월부터 2017년 3월까지 CCTA와 CAG를 각각 시행한 300명(CAG 100명, CCTA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성별은 남자 179명, 여자 121명이며, 연령대는 27-86세(평균 58.13±12세), 몸무게는 37.6-112 kg(평균 67±11 kg), BMI는 16.7-34.8(평균 24.7±2.9)이었다. 연구 방법으론 양 검사의 ESD인 전산화 단층촬영 지수 값인 CTDIvol 값과 공기 커마 값인 air kerma값을 후향적으로 획득하였고 frame 수에 따른 조영제 사용량은 실제 측정하였으며,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해 BMI와 ESD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ESD와 조영제사용량의 비교․분석에선 CAG보다 CCTA를 이용한 관상동맥검사가 X선 선량 감소를 기대할 수 있고 조영제사용량에 있어선 CAG가 CCTA보다 더 적은 양을 사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CAG에서의 frame 수 증가에 따라 조영제사용량이 늘어나므로 검사에 제한이 되지 않는 적함 한 frame 수를 선택하여 CAG검사를 할 경우 조영제 사용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MI에 따른 ESD 선량관계 분석 연구에선 BMI 증가에 따라 CAG는 선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CCTA에선 오히려 선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적절한 검사 방법 선택에 있어 BMI가 큰 환자의 경우 CAG보다는 CCTA를 시행할 경우 많은 선량 감소 효과를 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