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습 과제 실제성(authenticity)인식 수준이 성취도와 동기에 미치는 영향 : 멀티미디어 원격 학습을 중심으로

        김나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7

        정보 사회는 컴퓨터와 정보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급속한 물질적 성장과 변화를 겪고 있으며, 그에 따른 하위 체제들의 변화가 가속화되어 가고 있다. 반면에 산업 사회의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형성되었던 교육 체제는 상위 체제의 변화를 따르지 못하고 있어 산업 사회에서 유효하던 ‘지식과 기술의 습득, 이해 그리고 실질적 활용’이라는 교육의 목표가 정보 사회에서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정보 사회에 걸맞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구성주의(Constructivism) 패러다임이 논의되고 있다. 구성주의란 한마디로 앎의 이론(theory of knowing)이라 할 수 있다. 구성주의 패러다임에서의 지식은 학습자가 실제적인 학습 과제를 수행하며 구성해 나가는 것이며, 교육의 초점은 교수(instruction)에서 학습(learning), 즉 학습자 중심의 교육으로 변환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런 구성주의 패러다임을 교육에 적용시킬 때 강조되는 특징은 맥락성을 포함한 학습 과제의 실제성(authenticity)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학습 과제의 실제성은 구성주의적 학습환경을 설계할 경우, 또는 이미 설계된 특정 교육환경이 과연 구성주의적 학습환경을 활용한 것인지 아닌 지의 여부를 분석, 판단하는 이론적 기준이 되고 있다. 또한 구성주의 패러다임에서의 지식은 학습자가 실제적인 학습 과제를 수행하며 구성해 나가는 것이며, 교육의 초점은 교수(instruction)에서 학습(learning), 즉 학습자 중심의 교육으로 변환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도 불구하고 구성주의 패러다임이 현장에서 실행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어, 우리 교육은 여전히 학생 중심이 아닌 교사 중심으로 운영·평가되고 추상적인 개념의 암기 중심 교육으로 진행되고 있어 학습자의 동기 저해가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 패러다임에 기본을 두어 발전된 인지적 유연성 이론(Cognitive Flexibility Theory)에 근거한 멀티미디어 원격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 과제에 대한 실제성(authenticity) 인식 수준이 학습 성취도와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학습자 중심의 구성주의적 학습 과제 설계와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세부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습 과제의 실제성 인식 수준이 학습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2. 학습 과제의 실제성 인식 수준이 학습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에 따른 세부적인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1. 학습 과제의 실제성 인식 수준이 높고 낮음에 따라 학습 성취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1-1. 학습 과제의 실제성 인식 수준이 높고 낮음에 따라 전반적인 학습 성취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1-2. 학습 과제의 실제성 인식 수준이 높고 낮음에 따라 실제적이고 맥락적인 문제 상황 준거에서 측정된 학습 성취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1-3. 학습 과제의 실제성 인식 수준이 높고 낮음에 따라 논리적이고 정확한 풀이 과정 준거에서 측정된 학습 성취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학습 과제의 실제성 인식 수준이 높고 낮음에 따라 학습 동기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1. 학습 과제의 실제성 인식 수준이 높고 낮음에 따라 전반적인 학습 동기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2. 학습 과제의 실제성 인식 수준이 높고 낮음에 따라 주의력 영역에서 측정된 학습 동기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3. 학습 과제의 실제성 인식 수준이 높고 낮음에 따라 관련성 영역에서 측정된 학습 동기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4. 학습 과제의 실제성 인식 수준이 높고 낮음에 따라 자신감 영역에서 측정된 학습 동기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5. 학습 과제의 실제성 인식 수준이 높고 낮음에 따라 만족감 영역에서 측정된 학습 동기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으로 1998년 현재 중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남학생 26명, 여학생 25명으로 구성된 총 51명의 학습자를 선정하였다. S기업의 인지적 유연성 이론에 근거한 멀티미디어 원격 학습 프로그램인 ‘W 프로그램’의 중학교 1학년 수학 과목에서 현재 중학교의 수학 진도를 기준으로 학교에서 배우지 않은 4개의 학습 과제를 선정하여 전문가의 실제성 인식 수준을 평가한 후, 실제성 인식 수준이 가장 높고 가장 낮게 평가된 학습 과제 각 1개씩을 본 연구의 학습 과제로 선정하였다. 연구 도구로 사용된 학습 과제에 대한 학습자의 실제성 인식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Petraglia(1998), Roelof & Terwel(1997)의 연구 결과를 참조하고 전문가의 검증과 신뢰도 검사를 통해 연구자에 의하여 평가 도구가 개발되었으며, 학습 성취도 문제와 학습 성취도 측정 도구는 Bednar et al.(1992b), Jonassen(1992), McLellan(1993), Petraglia(1998)의 논문과 김민경(1997), Simon & Schifter(1991)의 평가 척도를 참조하고 전문가의 검증을 통해 연구자에 의해 개발되었다. 동기 측정 도구는 김서영(1997)의 논문에서 사용된 Keller(1987)의 The Course Interest Survey 번안 설문지를 수정하여 전문가의 검증과 신뢰도 검사를 실시한 후 사용하였다. 연구 절차로 우선 전문가가 4개의 학습 과제에 대하여 실제성 인식 수준을 평가하여, 실제성 인식 수준이 높게 평가된 학습 과제 1개(2.꼭지점과 변으로 이루어진 도형)와 낮게 평가된 학습 과제 1개(1.입체도형의 부피와 겉넓이)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2개의 학습 과제를 학습자가 학습한 후, 학습자의 실제성 인식 수준 및 학습 성취도와 동기를 측정하였으며, 수학교사인 내용 전문가 2명이 학습 성취도를 평가 준거에 따라 채점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 방법은 종속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고, 유의도 수준 .05에서 가설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과제의 실제성 인식 수준이 높고 낮음에 따른 학습 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학습 성취도와 실제적이고 맥락적인 문제 상황 준거의 학습 성취도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논리적이고 정확한 풀이 과정 준거의 학습 성취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과제의 실제성 인식 수준이 높고 낮음에 따른 전반적인 학습 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t = -3.412, p< .05), 구성주의적 준거인 실제적이고 맥락적인 문제 상황 준거의 학습 성취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t = -4.538, p< .05), 수학적 준거인 논리적이고 정확한 풀이 과정 준거의 학습 성취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t = -1.750, p< .05). 준거별로 상이한 이런 결과는 본 연구의 학습 성취도 평가 준거가 구성주의적 준거와 수학적 준거로 구성되어 있기에 가능한 결과이며, 구성주의적인 학습은 반드시 구성주의적인 방식으로 평가되어야 의미 있는 학습 결과를 볼 수 있다는 Bednar et al.(1992b)의 주장을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단순하고 비맥락적인 계산 준거에 해당하는 수학적 준거에서 학습 성취도의 차이가 없다는 점은, 인지적 유연성 이론의 교수전략이 구조화된 단순한 지식 영역보다는 비구조화된 지식 영역에서 더 효과적이라는 Spiro et al.(1992)의 주장을 지지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런 결과들은 선행연구들(최정임, 1996; Bransford, 1988; McDavit, 1994)과도 맥락을 같이 하는 것으로, 구성주의 특징인 실제성과 맥락성을 적용한 교수방법이 학습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들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둘째, 학습 과제의 실제성 인식 수준이 높고 낮음에 따른 학습 동기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학습 동기와 4가지 학습 동기 영역(주의력,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과제의 실제성 인식 수준이 높고 낮음에 따른 전반적인 학습 동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t = -3.399, p< .05), 영역별로 각각 주의력 영역(t = -3.162, p< .05), 관련성 영역(t = -2.548, p< .05), 자신감 영역(t = -2.851, p< .05), 만족감 영역(t = -2.339, p< .05)에서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학습자는 실제성 인식 수준이 높은 학습 과제에서 인식 수준이 낮은 학습 과제보다 높은 학습 동기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결과들은 구성주의적인 교수법을 사용한 집단의 학습 동기가 더 높다는 선행연구들(김민경, 1997; Lopez, 1991)과 일치하는 것으로 실제성은 실제적이라는 이유만으로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Petraglia(1998)의 주장과도 그 맥락을 같이 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 결과 멀티미디어 원격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들의 학습 과제 실제성 인식 수준에 따라 학습 성취도와 동기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들이 실제성이 낮다고 인식한 학습 과제의 경우보다 실제성이 높다고 인식한 학습 과제에서 학습 성취도와 동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현재 교육되고 있는 학습 과제들을 구성주의적 입장에서 실제적인 학습 과제(authentic task)로 재구성한다면 지금보다 더 높은 학습 성취와 동기유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교수 설계자들은 학습 과제 설계 시에 교수자 입장이 아닌 학습자 입장에서 학습 과제의 실제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주의 학습 이론의 다양한 전략들을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인지적 유연성 이론에 근거한 멀티미디어 원격 학습 프로그램을 학습자가 학습한 후 성취도를 평가하였을 때, 구성주의적 준거로 평가한 경우에는 학습 과제의 실제성 인식 수준이 높고 낮음에 따른 학습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단순한 수학적 준거로 평가한 경우에는 학습 성취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들이 구성주의 패러다임에 입각한 학습 과제를 학습한 후에는 구성주의적 평가 방식으로 학습 성취도를 측정하여야 정확한 학습 성취 결과를 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구성주의적 학습 이론에서 평가를 학습의 한 과정으로 포함하고 있는 점을 보면 이런 연구 결과들이 의미하는 바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진정한 의미의 구성주의적 학습을 위해서 교수 설계자들은 구성주의적 교수 방법의 수업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용 가능한 평가 방안을 개발하여, 실제 교육 현장에서 일반 교사들도 쉽게 구성주의적 평가 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학습 과제 실제성 인식 수준이 학습 성취도와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분리하여 살펴보았다. 따라서 앞으로 이 두 가지 종속변인의 관련성을 고려한 학습 성취도와 동기간의 상관 관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장기적인 학습 기간을 두고 학습 과제의 실제성이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와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도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As computers and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 rapidly, progression toward an information society has brought about great changes to all aspects of modern society. Unfortunately,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a remnant of the past industrial society, does not keep up with these changes in society. The goal that education attempted to achieve in the past was to understand and utilize the knowledge and skills which one had learned. However, this is a goal that can no longer be achieved in today's information society. For today's world a new education paradigm suitable for current and future needs is required. Constructivism shifts the core of education from instruction to learning. We consider constructivism as an alternative paradigm for our education and compare it to objectivism which is the past paradigm in the industrial society. One of the most distinctive features of constructivism is the authenticity of the learning activities. Nevertheless, there are difficulties in applying constructivism to our educational field, due in part to instruction methods that are not student-centered but teacher-centered. Thus, the problem arising from the use of traditional text-based materials of the past paradigm is that students may lose their achievement and motivation to stud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of tasks on a learner's achievement and motivation. In this regard, the following questions will be addressed: 1.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he learner's achievement of the task of the high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and that of the task of the low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1-1.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he whole of the learner's achievement of the task of the high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and that the task of the low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1-2.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he learner's achievement by an authentic and context situation standard of the task of the high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and that of the task of the low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1-3.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he learner's achievement by a logical and correct solving process standard of the task of the high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and that of the task of the low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2.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he learner's motivation of the task of the high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and that of the task of the low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2-1.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he whole of the learner's motivation of the task of the high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and that of the task of the low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2-2.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he learner's motivation of an attention part of the task of the high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and that of the task of the low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2-3.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he learner's motivation of a relevance part of the task of the high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and that of the task of the low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2-4.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he learner's motivation of a confidence part of the task of the high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and that of the task of the low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2-5.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he learner's motivation of a satisfaction part of the task of the high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and that of the task of the low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To examine the learner's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achievement, and motivation of two tasks, 51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were selected. Mathematics was the course chosen for this study. The learning material provided to the study group is W program of the multimedia distance learning program, which was based on the Cognitive Flexibility Theory by S company. Outlined below is the procedure that was followed in conducting this study. First, the experts evaluated the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of four tasks. Second, the learners evaluated the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of two tasks (the task of the highest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and the task of the lowest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among four tasks evaluated by the experts. Third, the learners examined their achievement and motivation for two tasks (the task of the highest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and the task of the lowest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among four tasks evaluated by the experts. Conclusion 1.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hole of the learner's achievement ( t = -3.412, p< .05 ), and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rner's achievement by the authentic and context situation standard ( t = -4.538, p< .05 ) between the task of the high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and the task of the low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rner's achievement by the logical and correct solving progress standard ( t = -1.750, p< .05 ) between the task of the high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and the task of the low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2.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hole of the learner's motivation ( t = -3.399, p< .05 ), and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rners motivation of an attention part ( t = -3.162, p< .05 ), a relevance part ( t = -2.548, p< .05 ), a confidence part ( t = -2.851, p< .05 ), and a satisfaction part ( t = -2.339, p< .05 ) between the task of the high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and the task of the low authenticity perception level. From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1. The instructional designers and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to replace the learning task based on objectivism with the authentic tasks based on constructivism for learners. 2. The practical evaluation methods on constructivism which facilitate the ease of use, have to be designed for learners to study the authentic tasks with instructional strategies on constructivism. 3. The constant and profound studies for the relation of learners achievement and motivation on constructivism will have to be continued by instructional designers even though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constructivism in our educational field.

      • 부정적 피드백 상황에서 동기성향에 따른 과제 선택 경험이 과제 흥미에 미치는 영향

        김서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부정적 피드백 상황에서 과제선택경험의 유무가 과제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동기성향(도전 성향, 안전 성향)에 따른 개인차 비교로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의 초등학교 5학년 아동으로 선택경험 유무에 따른 2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이 이루어졌는데 선택집단 55명, 할당집단 51명, 총 106명이다. 각각의 집단에 2회 20분씩 실험을 위해 들어가 수업을 진행하였다. 첫번째 수업에서는 동기 성향 검사지(봉미미 외, 2012)를 사용하여 개인차 변인을 도전과 할당으로 나누었고, 선택권의 유무를 조작한 글짓기 과제 수행을 하도록 하였으며, 과제 수행 이후에는 Ryan(1982)의 흥미/즐거움 하위요인 문항을 이정숙(2012)이 한국어로 번안한 문항 흥미검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2교시 후 두 번째 수업에서는 첫 번째 과제수행에 대한 부정적 피드백을 동일하게 제공하고 다시 글짓기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1회 수업 때 사용한 동일한 흥미검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에는 SPSS 12.0k for Window를 사용하였으며,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위한 Cronbach’s α, 동기성향 별로 각 집단 간 흥미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 각 집단 내 또는 집단 간 처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 흥미는 선택권의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동기성향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26). 또한 선택경험과 동기성향의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부정적 피드백 상황에서 도전성향과 안전성향집단은 선택권 유무에 상관없이 흥미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부정적 피드백 전 후로 측정한 흥미의 변화 폭에 대해 동기성향과 선택/할당 조작 조건간의 삼원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p=.042). 호기심이 많고 새로운 일에 도전하려는 성향을 지닌 도전성향의 학습자가 안전성향의 학습자보다 과제 흥미가 더 높았다. 그러나 선택권에 따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그 원인으로는 문화적 차이, 과제 특성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부정적 피드백 제시 후 선택권의 유무나 동기성향에 따라 흥미의 차이가 없는 원인에 대해서 외부적인 통제감과 스트레스, 불안 및 과제의 반복 제시 등이 부정적 피드백 제시 후에 측정한 흥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추측하였다. 그러나 부정적 피드백을 받기 전과 후의 흥미의 변화 폭에 대해 동기성향과 선택/할당 조작 조건간의 삼원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으며, 선택-도전집단, 할당-도전집단 두 집단의 흥미변화 그래프와 선택-안전 집단, 할당-안전 집단 두 집단의 흥미 변화 그래프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개인차 변인 중 하나인 동기성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내재동기를 높일 수 있는 학습과제를 구성하고 선택권을 부여하며, 학생들의 내재동기를 촉진하는데 도움이 되는 피드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과제지향 훈련 방법이 뇌졸중 환자의 앉은 자세 균형과 몸통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손유현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세 가지 과제지향 훈련 방법이 뇌졸중 환자의 앉은 자세 균형, 몸통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2018년 8월부터 10월까지 뇌졸중 환자 25명을 마비측 과제지향 훈련군 8명, 비마비측 과제지향 훈련군 8명, 양측 과제지향 훈련군 9명씩 세 군으로 나누어 마비측 과제지향 훈련, 비마비측 과제지향 훈련, 양측 과제지향 훈련을 적용하는 방법으로 주 3회 30분씩 총 6주간 비동시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마비측 과제지향 훈련군에서 앉은 자세 균형 중 몸통 조절 능력, 앉은 자세 균형 중 앉은 자세 압력 이동 변화 시 앞쪽, 왼쪽, 오른쪽 방향, 마비측 몸통 근활성도는 척추세움근,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비마비측 몸통 근활성도는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활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비마비측 과제지향 훈련군에서 앉은 자세 균형 중 앉은 자세 압력 이동 변화에서 앞쪽, 왼쪽, 오른쪽 방향, 마비측 몸통 근활성도와 비마비측 몸통 근활성도에서 척추세움근,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활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양측 과제지향 훈련군에서 앉은 자세 균형 중 몸통 조절 능력, 앉은 자세 균형 중 앉은 자세 압력 이동 변화에서 앞쪽, 왼쪽, 오른쪽 방향, 마비측 근활성도와 비마비측 몸통 근활성도에서 척추세움근,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활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과제지향 훈련군 간 앉은 자세 균형 중 몸통 조절 능력 변화 비교 시 양측 과제지향 훈련군이 다른 군과 비교하여 가장 변화량이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과제지향 훈련군 간 앉은 자세 균형 중 앉은 자세 압력 이동 변화 비교 시 앞쪽 방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양측 과제지향 훈련군이 마비측 과제지향 훈련군보다 변화량이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과제지향 훈련군 간 마비측 몸통 근활성도 변화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비마비측 몸통 근활성도 변화 비교 시 배바깥빗근 활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양측 과제지향 훈련군이 비마비측 과제지향 훈련군보다 변화량이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뇌졸중 환자에게 과제지향 훈련을 시행한 결과 모든 군에서 앉은 자세 균형과 몸통 근활성도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고 마비측 과제지향 훈련과 비마비측 과제지향 훈련에 비하여 양측 과제지향 훈련이 가장 도움이 되는 중재 방법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ree types of task-oriented training on stroke patient’s sitting balance and trunk muscle activity. 25 strok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8 members for 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group, 8 members for non-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group and 9 members for bilateral task-oriented training group from Aug. to Oct, 2018 and also, the 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non-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and bilateral task-oriented training were applied for 30 minutes, 3 times a week for 6 weeks in total non-simultaneously. As the results of researc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unk muscle activity in the sitting balance in the 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group and also, in the changes of movement of sitting posture pressure in the sitting balance, especially toward the forward, left and right side. Whi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rector spinae muscle, external oblique muscle, internal oblique muscle for the paretic side trunk muscle activit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ternal oblique muscle and internal oblique muscle for the non-paretic side trunk muscle activity(p<.05). In the non-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s of movement of sitting posture pressure, especially toward the forward, left and right side in the sitting balance. Also,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rector spinae muscle, external oblique muscle and internal oblique muscle activity for both paretic side trunk muscle activity and non-paretic side trunk muscle activity(p<.05). In the bilateral task-oriented training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unk control ability in the sitting balance and also, in the changes of movement of sitting posture pressure in the sitting balance, especially toward the forward, left and right side. Also,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rector spinae muscle, external oblique muscle and internal oblique muscle for both paretic side trunk muscle activity and non-paretic side trunk muscle activity(p<.05). When comparing the trunk control ability in the sitting balance between task-oriented training groups, the bilateral task-oriented training group had great change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other groups(p<.05). When comparing the changes of movement of posture pressure in the sitting balance between task-oriented training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orward side(p<.05), while the bilateral task-oriented training group had greater change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group(p<.05). When comparing the changes of paretic side trunk muscle activity between task-oriented training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und(p>.05), whi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ternal oblique muscle activity, when comparing the changes in non-paretic side trunk muscle activity. Also, the bilateral task-oriented training group had greater chang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non-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group(p<.05). After conducting the task-oriented training to the stroke patients, all groups showed positive results in the sitting balance and trunk muscle activity and furthermore, the bilateral task-oriented training was the most helpful intervention method, compared to the 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and non-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 공적과제수행에 있어 공사협력에 관한 공법적 연구

        김유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공적과제수행에 있어 공사협력에 관한 법적 논의의 기초로서 우선 공사협력의 개념은 ‘공적과제수행에 사인이 사적 주체성을 보유하여 참가함으로써 국가와 사회가 취하는 분업적 과제수행 방식’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그 용어의 면에서도 공사협력이 적절하다. 다음으로 공적과제의 개념에 대하여는 ‘개별 관련자의 이익에 상응하는 활동영역’이라는 임무개념에 기초할 때 ‘공익에 부합하는 활동영역’으로 정의된다. 또한 국가임무개념은 공적과제 가운데 헌법상 근거를 갖춘 것이다. 사인화는 현대국가가 공적과제를 수행함에 있어서 사인의 참가를 일반화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사인화의 결과 국가와 사적 주체가 구축한 분업적 협력 체제가 공사협력이다. 공사협력에 관한 법적 문제로서 사인화의 한계로서 논의되는 핵심임무개념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현대국가에서 공사협력이 일반화된 현상은 국가가 과제수행에 있어서 사적 주체를 활용하는 방식선택의 차원으로 이해되는 것이고, 다만 국가에 유보된 강제력은 과제수행에 동원되는 수단으로서 과제 자체와는 구별된다. 따라서 임무에 따라 배타적으로 국가가 직접 수행하여하는 과제란 없고 단지 과제에 따라 사인화의 정도를 달리할 수는 있다. 이제는 ‘어떤 과제가 사인화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보다는 ‘공사협력에 의한 공적과제수행에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협력의 관계자가 부담하는 책임은 무엇인가’가 문제되며, 특히 행정법학의 역할은 공사협력 구도에서 국가의 책임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법적 쟁점 가운데 첫 번째로 과제수행 사인화로 분류할 수 있는 민간위탁의 근거규정상 일반규정의 흠결 문제를 검토한다. 정부조직법상 행정권한의 민간위탁과 달리 지방자치법은 행정권한의 위임 및 위탁에 관한 규정과 같은 일반적 규정이 없다. 이에 따라 하위규범으로서 해당 조례나 규칙도 없는 경우 개별 지방자치단체의 내부적인 판단에 따라 관련 사무를 처리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공사협력의 관계자가 부담하는 책임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는 공적과제로 밝혀진 대상사무의 범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적과제의 달성 수준이 충족될지 여부는 수탁자의 능력과 신뢰성에 의존하므로 과제담당사인인 수탁자의 선정과 계약방법을 명확히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법적 명확성은 공적과제수행에 있어서 협력에 참가한 사인과 공적 주체, 즉 국가 내지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하는 책임의 범위와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민영교도소법상 대상사무와 수탁자선정 기준과 위탁계약 해지사유 등 불확정 개념의 문제와 관련하여 교정행정이 사인화할 수 있는 국가과제인지 여부와, 교정행정 민간위탁의 법적 근거로서 민영교도소법은 정부조직법 등이 정하는 민간위탁의 대상사무 범위와 충돌하는 것은 아닌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사협력 구조에서 교정행정의 민간위탁에 관한 대상사무의 범위와 위탁계약 해지 등 중요사항 결정의 기준은 성과의 확보와 사인에 대한 감독 그리고 국가에 의한 환원 조치를 예정한 것이므로 이와 같은 국가의 책임의 측면에서 현행 민영교도소법이 충실한 규정을 갖추고 있는지 검토되어야 한다. 우선 교정행정도 사인화할 수 있는 공적과제이며, 민간위탁에 관하여 정부조직법 등이 민간위탁의 대상으로 ‘국민의 권리·의무와 직접 관계되지 않는 사무’를 들고 있는 것과 달리, 민영교도소법은 국민의 권리·의무와 관계되는 자유형의 집행에 대한 민간위탁이 가능함을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개별법 사이의 관계는 일반법과 특별법의 관계 또는 규율대상을 전혀 달리하는 법률이다. 다음으로 민영교도소법상 수탁자 선정 기준과 위탁 계약의 해지사유 등 불확정 개념이 문제된다. 행정기관에게 주어진 수탁자 선정권한, 위탁계약의 해지권한은 본래 국가가 담당하던 과제로서 특히 국가가 국민의 기본권 관련적 임무를 민간위탁함에 있어서 공사협력의 구도에서 반드시 유지하여야 하는 국가의 책임이다. 따라서 수탁자 선정 기준과 위탁 계약의 해지사유는 그 요구수준과 내용이 법률로써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규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적과제수행에 협력한 사인의 손실을 보전할 책임과 관련하여 우리 전기통신사업법상 보편적 서비스 제공의무와 손실보전분담금의 문제를 검토한다. 국가과제의 수행 방식으로서 공사협력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공익실현의 목적은 포기되어서는 안 되는 공동체의 이익이라는 관점에서 국가는 보편적 서비스 제도를 통하여 통신서비스 영역에서 최종적 공적과제를 보증하는 주체로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통신서비스의 제공이 시장에 맡겨진 상황에서 공사협력의 관계당사자인 사업자들의 이해관계와 국가의 공공성 확보의 책임은 조율이 필요하다. 따라서 시장과 양립할 수 있는 보장체제의 확립이라는 관점에서 대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대안이 통신서비스 영역에서는 바로 손실보전분담금이라는 법률상 제도이다. 또한 공사협력 구조에서 책임분배의 관점에서는 보편적 서비스 제공에 따른 손실보전의 책임을 사업자들이 나누어 부담하고 국가는 기금의 조성과 분배에 대한 감독책임을 부담함으로써 제3자인 기타 사업자를 보호하고 보편적 서비스의 제공을 보증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공사협력을 둘러싼 법적 문제들을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변화된 국가책임의 문제로 귀결됨을 확인할 수 있다. 현행법상 공사협력과 관련한 법적 문제에서 각 사안이 모든 경우에 체계적이고 명확한 책임규정을 갖추고 있지는 않지만 특히 침해행정 영역에서 국가의 책임을 비교적 구체적이고 절차적으로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사무와 같이 급부행정과 침해행정이 혼재된 영역이나 통신서비스와 같은 급부행정의 영역에서는 책임 배분의 근거가 명시적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거나 책임 배분 방식에 있어서 정당성의 보완을 요청받는 상황이다. 공사협력에 의한 공적과제수행이 보편화된 상황에서 향후에도 이러한 문제의식은 지속될 것이다. 국가의 새로운 역할은 과제수행이나 재원의 확보에 사적 주체의 손을 빌림으로써 국가의 역할이 축소되고 후퇴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종전의 직접 수행해야할 과제를 띤 국가에서 공사협력의 구조를 마련하고 사인화를 유도하며 공익적 성과확보를 위해 감독하는 책임을 지는 국가로 변화된 것이다. 따라서 국가과제 유형별 사인화의 한계를 밝혀내는 작업을 반복하기 보다는 사인화 이후에도 잔존하는 국가의 책임을 구체화하고 이를 개별 공사협력의 근거법률에 일관성 있게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 쓰기 과제에 대한 초등학생 필자의 과제 표상 양상 연구 : 쓰기 전 단계를 중심으로

        김미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쓰기 과제에 대한 초등학생 필자의 과제 표상 양상을 살피는 것이 목적이다. 초등학생 필자가 한 편의 글을 쓰기 위하여 쓰기 전 단계에서 머릿속에 무엇을 어떻게 떠올리는가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때, ‘쓰기 전’이라 함은 필자가 초고를 쓰기 전까지의 단계로서 ‘계획하기’, ‘내용 생성하기’, ‘내용 조직하기’를 일컫는다. 쓰기 전 단계에서 머릿속에 떠올리는 다양한 내용을 사회인지주의 작문이론의 ‘과제 표상(Task representations)’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과제 표상이란 과제 수행자가 과제의 요구사항은 무엇이며 그것을 어떠한 절차와 전략을 사용하여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해 구성하는 심적(心的) 이미지이다(이윤빈·정희모, 2010). 학생 필자가 쓰기 과제를 읽고 머릿속에 떠올린 내용을 Carey 외(1989)가 제시한 과제 표상의 다섯 가지 핵심특질별로 나누어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학생 필자가 쓰기 과제를 읽으면서 머릿속에 떠올린 눈에 보이지 않는 그 실체의 윤곽을 포착하고자 한다. 먼저, 과제 표상의 다섯 가지 핵심특질인 내용(Content), 형식(Form), 독자(Audience), 테마(Theme), 기타목표(Other goals)로 학생 필자가 떠올린 표상의 전체적인 특징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학생 필자가 생성한 텍스트를 상·하 수준으로 나누고, 학생 필자가 쓰기 전에 떠올린 과제 표상을 비교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이다. 지역별 유층표집을 통해 전국 8개 지역, 9개 학급, 198명의 학생 필자를 표집 한다. 교육통계서비스(KESS)에 제시된 ‘지역별 학생 수 비율’을 고려하여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 소재지에 소재한 학급을 표집 하여 연구 결과의 타당성과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고자 한다. 과제 표상을 관찰하기 위한 검사 도구는 ‘쓰기 과제’, ‘자기분석점검표’, ‘면담’이다. 이론적 탐구를 바탕으로 검사 도구를 1차 구안한 후, 예비실험을 통해 타당성과 적절성을 점검하여 최종 검사 도구를 완성한다. 자료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기분석점검표의 경우 선택 문항은 기술통계의 방법으로 비율을 산정하고, 자유 문항은 개방 코딩 후 축 코딩을 거쳐 범주화한 후 비율을 산정한다. 다음으로, 면담 내용은 연구자가 전사하여 프로토콜을 생성한다. 쓰기 결과물은 교육경력 4년 이상의 초등국어교육전공 교사 3인이 분석적 평가의 방법으로 텍스트 점수를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학생 필자 198명의 점수가 이루고 있는 정규분포를 바탕으로 해당 텍스트를 상, 하 수준으로 구분하여 과제 표상의 양상을 분석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Content) 표상 시 초등학생 필자의 자기 중심성(Eco-centrism)은 쓰기 과제의 맥락 인식을 방해한다. 미숙한 필자일수록 쓰기 과제를 읽고 써야 할 내용을 떠올릴 때 쓰기 맥락을 고려하지 못하고 자신이 알고 있는 정보를 나열하는 지식-구술전략(Knowledge-telling strategy)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형식(Form) 표상 시 조직하기에 대한 학생 필자의 인지적·심리적 부담이 크다. 미숙한 필자일수록 형식 표상의 부적절함과 내용표상의 미숙함이 맞물려 나타난다. 셋째, 독자(Audience) 표상 시 쓰기 맥락에 적합한 독자를 떠올리는 것을 어려워한다. 미숙한 필자일수록 평가자로서의 교사를 예상 독자로 떠올리는 경향이 있다. 넷째, 테마(Theme) 표상 시 미숙한 필자일수록 의사소통 목적을 혼재하여 떠올린다. 다섯째, 기타목표(Other goals) 표상 시 내용(Content) 관련 목표를 가장 적극적으로 떠올린다. 미숙한 필자일수록 ‘잘 쓴 글’에 대한 기준이 오직 내용(Content)이다. 글의 조직, 표현 측면에 대한 고려가 매우 적고 ‘내용이 많은 글’, ‘주어진 분량을 채운 글’을 ‘잘 쓴 글’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쓰기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교수·학습 차원과 평가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수·학습 차원이다. 첫째, 초등학생 필자의 자기중심적 사고(Eco-centrism)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도해야 한다. 둘째, 내용 측면에 편중된 필자의 사고를 경계하며 지도해야 한다. 셋째, 형식 표상의 부적절함과 내용표상의 미숙함이 맞물려 나타날 수 있음을 염두하며 지도해야 한다. 넷째, 조직하기에 대한 학생 필자의 인지적·심리적 부담을 고려하여 지도해야 한다. 다음으로, 평가 차원이다. 첫째, 글은 평가의 대상이 아니라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임을 강조해야 한다. 둘째, ‘잘 쓴 글’에 대한 학생 필자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의의와 기대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쓰기 전 단계에서 학생 필자가 쓰기 과제를 받고 한 편의 글을 만들어내기 위하여 머릿속에 무엇을, 어떻게, 왜 떠올리고 선택했는가에 주목했다는 점과, 과제 표상의 양상을 핵심특질별·텍스트 수준별로 면밀히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 필자들이 다양한 쓰기를 수행하게 된 원인을 알 수 있는 의미 있는 단초가 될 것이다. 주요어 : 과제 표상, 핵심특질, 사회인지주의 작문이론, 쓰기 과제, 쓰기 교육 ※ 이 논문은 2020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과제 기반의 플립 러닝 한국어 말하기 교육 연구

        김세나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A Study on the Flipped Learning of Speaking in Korean focused on Task-based Language Teaching This study is focused on provision the effective way of education of speaking in Korean by developing the 'Flipped Learning model' applied to 'Task-based Language Teaching'. The flipped learning is a new system of education which students learn by watching video lectures at outside of the classroom, and perform the tasks in the classroom that used to assigned problems at outside instead. In this system, dynamic learning activities can be done creatively in the classroom by overcoming the restriction on time which was regarded as a problem in the original system. This new model, the Flipped Learning with Task-based Language Teaching will help students to speak in Korean effectively with performing more practical and communication included tasks. This study has selected ‘Nuri-Sejonghakdang’ and ‘Sejong Korean’ as an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management platform of Flipped Learning to make a guideline teaching of speaking in Korean. To design the model, this study set up tasks components and the stages of flipped learning according to pre-class, in-class, and post-class. The designed model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language teaching- learning through a systems approach and guideline has been developed with strategies to link among the stages of classes and also instructions in a detail.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has meaningful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because of provision the effective teaching guideline for foreigners to speak in Korean interactive and communicative by performing tasks.

      • 인지과제의 복잡성에 따른 정보처리속도와 지능간의 관계연구

        김이영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적 지능 연구에서 중심적으로 취급되어온 정보처리 과제들을 선별하여 그 과제들에 대한 아동들의 정보처리 속도, 즉 RT 측정치를 구하고, 그 RT 측정치와 지능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강조되는 문제는 각각의 정보처리 과제들로 부터 구해진 RT 측정치 또는 RT 관련 모수치들이 정보처리 과제의 복잡성에 따라 지능과의 상관이 증가하는 지의 여부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8명으로서 이들에게는 컴퓨터로 실시되는 주실험 과제(단순반응시간 과제, 선택반응시간 과제, 외형유사성 과제, 범주비교 과제, 의미유사성 과제)와 참고검사로서 지필검사 형식의 일반지능검사가 주어졌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RT 평균과 RT 표준편차는 정보처리 과제들의 복잡성이 증가할 수록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RT의 직선적인 증가 경향성은 각 피험자로부터 기울기와 절편을 측정하는 것을 가능케 하였다. 또 RT측정치들(전체 RT평균과 RT표준편차의 평균)은 전체지능과 모두 부적 상관을 나타냈는데 RT 평균과 지능과는 -.394(p<.01)로 유의한 부적상관을, RT 표준편차와 지능과는 -.256의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것은 지능이 높을수록 빠르게 반응하고, 집중력 있게 반응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현대 정보처리 심리학자들의 기본가정과 일반인의 직관과 부합되는 것이다. 2. RT 관련 모수치(RT 평균의 기울기, RT 평균의 절편, RT 표준편차의 기울기, RT 표준편차의 절편)중 먼저 RT 평균의 기울기는 전체지능과 그 하위검사들 중에서 산수추리(A)와 수열추리(N)에서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 그외의 지능검사 점수들과의 상관은 도형묶이(F)를 제외하고는 부적 상관을 보여 지능이 높을수록 과제 복잡성에 따른 RT의 증가가 적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RT평균의 기울기는 RT 연구자들이 가장 많은 관심을 갖는 RT관련 모수치 중의 하나인데 Jensen(1979)은 이 IQ-slope 상관값으로 r=-.41(p<.01)로 보고한바 있지만 추후 RT 연구들에서 이 상관값은 -.41에서 +.36까지의 범위로 일관성이 없었고,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155값으로 나타나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지지하였다. 또 RT 평균의 절편은 전체지능이나 그 하위검사 점수들과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모두 부적 상관을 나타냈는데 이것은 지능이 높을수록 절편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하고 절편이 낮다는 것은 반응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암시한다. RT 표준편차의 기울기는 도형묶이(F) 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전체지능과 나머지 하위검사들과는 유의하지 않은 상관을 보였다. 여기서 부적 상관이란 지능이 높을수록 RT 표준편차값이 점차 작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RT 절편의 경우 전체지능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여 지능이 높을수록 RT 표준편차의 절편이 낮아지는, 즉 지능이 높을수록 더 집중력 있게 반응하는 경향을 보였다. 3. 각 정보처리 과제들의 RT 평균과 RT 표준편차들은 그 과제들이 복잡해질수록 지능과의 상관이 점차 증가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과제들이 복잡해질수록 g의 활동을 더 요구하여 지능과의 상관이 증가될 것이라는 기대를 벗어난 것이었지만 Jensen 연구를 제외한 현대의 선행 연구들과 일치하는 것이다. 4. 지능수준에 따른 각 RT 과제의 평균차이 검증에 있어 두 지능 집단 모두 정보처리 과제의 복잡성이 증가할수록 각 과제의 RT 평균값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지능이 높은 집단이 지능이 낮은 집단보다 일관성 있게 빠르게 반응하였음을 의미한다. 또 지능수준의 주효과는 F(1,18346)=194.16, p<.01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과제의 주효과[F(4,18346)=625.60, p<.01]와 지능×RT과제간의 상호작용효과[F(4,18346)=17.49, p<.01]도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결과는 두 지능 집단의 전체 RT평균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고 5가지 과제의 전체 RT 평균들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각 RT과제에서 나타난 지능 상·하 집단의 RT평균의 차이가 5가지의 RT 과제에서 모두 다르게 나타남을 말해주는 것이다. 5. 지능의 수준에 따른 각 RT 과제의 자극의 종류에 반응하는 RT 평균과 그 차이 검증에 있어 지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모든 RT 과제의 자극의 종류에서 빠르게 반응하였다. 또한 모든 과제의 자극 종류에서 지능이 높은 사람이 지능이 낮은 사람보다 표준편차가 작게 나타나 지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더 집중력있게 반응함을 보여주었다. 요컨대 본 연구에서는 아동들의 정보처리속도, 즉 RT 측정치와 지능간의 관계를 규명할 수 있었고 아울러 RT 측정치 또는 RT 관련 모수치들이 정보 처리 과제의 복잡성에 따라 지능과의 상관이 증가하는지의 문제가 규명되었다. 본 연구에서 규명된 결과들에 의하여 RT 측정들이 지능의 순수한 측정치로서 여겨질수 있는가의 문제에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었다는데 그 의의를 들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information processing speed, that is the RT measurement value, of children for the selective tasks among information processing tasks which were dealt with in priority in the studies on cognitive intelligence, and to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T measurement value and intelligence minutely. The problem which is specially emphasized in this study is whether the correlation between intelligence and RT measurement values which are calculated from each information processing task or its related parameters increases 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information processing tasks. Testee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were 48 students in the sixth grade of primary school, and they were given main experiment tasks-a simple reaction time task, a choice reaction time task, a physical similarity task, a category matching task, a semantic similarity task-which were executed by computers and a general intelligence test of a paper and pens test type as a reference tes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of RT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RT were increased almost linearly as the complexity of information processing tasks was increased. Such linearly increasing tendency of RT made it possible to measure the slope and the intercept from each testee. And, the RT measurement values(the whole RT mean and the mean of RT standard deviation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whole intelligence, RT mea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lligence as -.394(p<.01) and RT standard devia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lligence as -.256,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student's intelligence is, the faster he/she reacts and the more concentratively he/she reacts. Such a result is coincident with the basic hypothesis of modern information processing psychologists and the intuition of ordinary people. 2. Among the parameters related with RT (the slope of RT mean, the intercept of RT mean, the slope of RT standard deviation, the intercept of RT standard deviation), above all, the slope of RT mean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whole intelligence and Arithmetic Reasoning(A) and Numerical Reasoning(N) among its subtests, and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other intelligence scores except Figure Reasoning (F), so it represented the tendency that the higher the intelligence was the less the RT attendant to task complexity increased. The slope of RT mean is one of the RT related parameters in which researchers of RT have most interest, and Jensen(1979) once reported r=-.41(p<.01) as the correlation value of IQ and this slope, but in the following RT studies the correlation values were inconsistent varying from -.41 to +.36, and i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value was -.155 supporting the results of existing studies. And, the intercept of RT mea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though not significant, with the whole intelligence and its subtests' scores,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intelligence is the lower the intercepter is, and a low intercept implies fast reaction speed. The slope of RT standard deviatio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Figure Reasoning(F), and in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whole intelligence and the other subtests. Here, negative correlation means that the higher the intelligence is the smaller the value of RT standard deviation. And, in the case of RT intercept, it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whole intelligence representing the tendency that the higher the intelligence is the lower the intercept of RT standard deviation, that is, the higher the intelligence is the more concentratively he/she reacts. 3. The correlation of RT mean and RT standard deviation of each information processing task with intelligence did not increase as the tasks got more complex. This result is out of the expectation that as the tasks get more complex they require the more activity of g increasing the correlation with intelligence, but it is consistent with modern preceeding studies except Jensen's study. 4. In the verification of mean difference of each RT task attendant on intelligence level, both intelligence groups showed the tendency that the RT mean of each task increased as the complexity of information processing task increased. This means that the higher intelligence group reacts consistently faster than the lower intelligence group. And, the main effect of intelligence lev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s F(1,18346)=194.16, p<.01, and the main effect of tasks[F(4,18346)=625.60, p<.01] and the interaction effect[F(4,18246)=17.49, p<.01)] between intelligence and RT tasks was also significant. Such results mean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whole RT means of the two intelligence groups, and there also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whole RT means of five tasks. And they say that the difference between RT means of the higher and lower intelligence groups appeared in each RT task differs from that in the other tasks among five RT tasks. 5. In the test of RT means respondent to the kind of stimulus in each RT task attendant on intelligence level and their differences, the higher intelligence group reacted faster than the lower group in the kinds of stimuli of all the RT tasks. In addition,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higher intelligence group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lower intelligence group in the kinds of stimuli of all the tasks representing that the former reacts more concentratively than the latter. To sum up, through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speed of children, that is RT measurement value, and intelligence was made clear, and besides, the problem whether the correlation of RT measurement value or RT related parameters with intelligence increases 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information processing tasks was solv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we can approach the problem whether RT measurement values can be considered as the pure measurement values of intelligence more closely ow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 효율적 과제제시와 전통적 과제제시가 Lacrosse 던지기 동작 수행과 정보 기억량에 미치는 영향 비교

        이충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효율적 과제제시와 전통적 과제제시가 Lacrosse 던지기 동작 수행과 정보 기억량에 미치는 영향 비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이 충 언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효율적 과제제시 요소들이 포함된 과제제시와 현장 수업에서의 전통적 과제제시가 학생들의 Lacrosse 던지기 동작 수행과 정보 기억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실험대상자는 I시에 위치한 P 고등학교 1학년생 90명 중 던지기 발달과정표를 통한 검사를 통해 던지기 동작에 능숙한 78명(남:39명, 여:39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대상은 과제제시 집단(남 19명, 여 19명)과 전통적 수업 집단(남 20명, 여 20명)의 2집단으로 나누었다. 실험에서 과제제시 집단은 효율적인 과제제시 요건인 간단명료한 구두설명, 완전한 동작시범, 학습단서, 구두/시각적인 리허설의 요소를 포함한 영상을 통하여 과제제시를 제공받았으며, 전통적 수업 집단은 직접 교수에 의한 1차시 수업을 통해 과제제시를 제공받았다. 학생들의 동작 수행은 2대의 비디오카메라를 통하여 정면과 측면에서 모든 수행과정이 녹화되었으며, 동작 수행 후 정보 기억량을 체크하기 위한 인터뷰 또한 핸드폰과 마이크를 사용하여 모두 녹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 간, 성별 간의 동작 수행과 정보 기억량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Mann Whitney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Lacrosse 던지기에 대한 동작 수행과 정보 기억량 비교에서 과제제시 집단이 전통적 수업 집단에 비해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 성별 간의 비교에서 동작 수행에서는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정보 기억량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간단명료한 구두설명, 완전한 동작시범, 적절한 학습단서, 구두/시각적인 리허설을 포함한 과제제시를 제공받은 학생들이 전통적 수업을 통하여 과제제시를 제공받은 학생들에 비해 동작 수행과 정보 기억량에서 우수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의 연령과 특성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과제제시의 요소들을 포함한 과제제시를 현장에서 제공하여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effective task presentation and traditional task presentation on performance of Lacrosse throwing movement and Information memory 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nd analyze the influence of effective task presentation and traditional task presentation on performance of Lacrosse throwing movement and Information Memory ability for high school freshmen. Subjects were 78 students (39 males 39 females) who had been qualified at throwing movement through process of development among all 90 freshmen students at P high school in I city, South Korea.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38 students(19 males 19 females) for effective task presentation and 40 students(20 males 20 females) for traditional task presentation. Subject students in effective task presentation received a task with a visual media including simplified verbal explanation, a demonstration of each movement, study points and factors of verbal/visual rehearsal while subject students in traditional task presentation received a task with traditional class by a professor. All performances of lacrosse throwing movement was recorded by 2 video cameras installed at front and side. After that, all subjects were interviewed in order to figure out information memory ability, which was recorded by measurer’s cell phone. This study used Mann Whitney Test to compare and analyze performance of lacrosse throwing movement and information memory ability between control groups, and sexes. This research found out that the subjects in effective task presentation showed much higher achievement in performance of lacrosse throwing movement and information memory ability than the other group’s achievement. There was an achievement gap in performance of Lacrosse throwing movement between the sexes, but not in information memory ability sec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 subjects with visual media including simplified verbal explanation, complete demonstration of each movement, study points and factors of verbal/visual rehearsal showed much higher achievement in performance of Lacrosse throwing movement and Information memory ability than the other group’s achievement. This study suggested that teachers have to help students to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by providing effective task presentation with the consideration of students’ age and characteristic.

      • 고등학생들의 생물 분류에서 나타나는 과학 학습 과제집착 유형 분석

        김원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생물 분류 과제 수행에서 나타나는 과학 학습 과제집착의 유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과제 집착 유형을 분류하기 위한 검사지를 개발하였다. 462명의 고등학생들로부터 수집한 검사지 응답 자료를 토대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의 과제집착 유형에 해당하는 5개 군집이 추출되었다. 각각의 군집에 속하는 학생들의 과제 집착 관련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사고 발성용 생물 분류 과제와 사고 발성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검사지에 응답한 462명의 학생 중 각 유형별로 6명씩, 즉 총 30명이 사고 발성 생물 분류 과제에 참여하였다. 이들 학생은 유형별 검사지 결과 각 유형별 평균 점수에 해당하는 학생들로 선발되었다. 사고 발성 프로토콜 분석 결과에 따라 각 유형의 특성을 분석하고, 각 유형에 명칭을 부여하였다. 고등학생들의 생물 분류 과제에서 나타나는 5개의 과학 학습 과제집착 유형은 각각 과제목표-과제집착형(TGC, task goal commitment), 자기목표-과제집착형(LGC, low goal commitment), 조건부과제집착형(CC, conditional commitment), 과제집착중단형(SC, suspended commitment), 과제집착지연형(DC, delayed commitment) 이다. TGC형은 과제 완성에 대한 긍정적 기대로 과제를 시작하여, 높은 수준의 과제 목표를 성취하는 것을 자신의 목표로 내재화하고, 지속적인 과제 관련 요소에 대한 집중을 통해, 높은 수준의 목표를 성취하는 유형이다. LGC 유형은 상대적으로 도달하기 쉬운 낮은 수준의 목표를 선정하고, 이 목표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과제를 수행하였다. CC형은 낮은 수준의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도달하거나, 과제 완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판단하는 경우, 중도 포기하였다. SC형은 낮은 수준의 목표를 설정하고 과제를 수행하다가, 과제 수행에 대해 부정적으로 기대함에 따라 과제를 중단하였다. DC형은 과제 시작이 지연되었고, 목표를 설정하지 않았으며, 과제 완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기대하면서 곧 과제를 중단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과제집착은 TGC 형에서 DC 형에 이르는 종적 유형화(vertical typology)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각 유형별 과제집착의 특성과 과정은 이후 과학 학습 과제집착 향상 전략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과제 집착 유형 검사지는 학습자들의 과제집착 유형을 검사하고, 과제집착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