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활체육배구동호인들의 공동체의식이 팀워,집단응집력,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수연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생활체육배구 동호인들의 공동체의식이 팀워크, 집단응집력,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생활체육 배구 동호인들의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공동체의식, 팀워크, 집단응집력,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를 살펴보면, 먼저 성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서는 공동체의식의 정서적 연계, 팀워크의 지도자노력, 집단응집력의 개인매력, 문제해결능력의 대안적 해결책 및 산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유의한 차이를 보인 모든 요인에서 30-40대이상의 동호인들이 20대 동호인들 보다 보편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력에서는 공동체의식의 정서적 연계, 영향의식, 구성원 의식, 욕구와 통합의 충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의한 차이를 보인 모든 요인에서 대학원재학 이상인 동호인들이 고등학교졸업 및 대학교졸업 이하인 동호인들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월 평균 수입에서는 공동체의식의 정서적 연계, 영향의식, 구성원 의식, 욕구와 통합의 충족, 팀워크의 편등지도, 단결력, 집단응집력의 개인매력, 집단통합, 문제해결능력의 문제의 규정 및 형성, 대안적 해결책 및 산출, 해결책 실행 및 평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의한 차이를 보인 정서적 연계, 구성원 의식, 욕구와 통합의 충족, 팀워크의 편등지도, 단결력, 집단응집력의 집단통합, 문제해결능력의 문제의 규정, 대안적 해결책 및 산출에서는 100∼200만원이하와 200∼300만원이하의 동호인들보다 300∼400만원이상의 동호인들이 높게 나타난 반면, 공동체 의식의 영향의식, 팀워크의 동료애, 집단응집력의 개인매력, 문제해결능력의 해결책 및 실행평가에서는 200∼300만원이하의 동호인들이 보편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참여기간에서는 공동체 의식, 팀워크, 집단응집력,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를 살펴보면,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횟수에서는 공동체의식의 영향의식, 욕구와 통합의 충족, 팀워크의 편등지도, 동료애, 집단응집력의 개인매력, 문제해결능력의 대안적 해결책 및 산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의한 차이를 보인 모든 요인에서 주5회 이상 운동에 참여하는 동호인들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참여목적에서는 문제해결능력의 대안적해결책 및 산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에서 체력단련이나 여가생활로 즐기는 동호인들보다 건강증진을 위해 운동하는 동호인들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 배구 동호인들의 공동체의식과 팀워크의 관계에서는 공동체의식의 정서적 연계, 구성원 의식 요인이 편등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동체의식의 정서적 연계 요인이 단결력, 동료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체육 배구 동호인들의 공동체의식과 집단응집력의 관계에서는 공동체의식의 정서적 연계 요인이 개인매력, 집단통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생활체육 배구 동호인들의 공동체의식과 문제해결능력의 관계에서는 공동체의식의 욕구와 통합의 충족 요인이 문제의 규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동체의식의 정서적 연계 요인이 해결책 실행 및 산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문화공동체 사업이 공동체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성남 ‘우리동네문화공동체만들기’ 사례를 중심으로

        박수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들어 마을 주민이 만들어 가는 문화, 즉 문화 마을 만들기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마을 만들기의 주요목적은‘마을공동체 회복’에 두고 지역주민의 공동체의식 형성을 궁극적인 목표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공동체사업이 지역주민들의 공동체의식형성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며 공동체의식 형성요인(거주자특성요인, 프로그램요인, 물리적요인) 측정변수 중 공동체의식형성에 영향요인으로 작용하는 변수를 밝힘으로써 마을공동체 사업 진행시 지원 및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성남문화재단에서 추진한「우리동네문화공동체만들기」사업 사례 대상지인 성남시 중원구에 위치한 상대원동, 은행동, 도촌동 세 지역을 대상으로 살펴보고자 하며, 회귀분석을 통해 거주자특성요인, 프로그램 요인, 물리적요인에 따른 공동체의식 형성의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거주자특성요인에서는 결혼여부, 자녀연령대, 지역거주기간만이 영향관계가 있음이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요인에서는 지역적특성, 인적자원, 주체 간 협력, 사업참여 여부만이 영향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물리적요인에서는 공공접근성과 공공쾌적성 요인이 공동체의식 형성과 영향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우리동네문화공동체만들기」사업에서 지역주민들의 공동체의식형성에 가장 영향을 끼친 요인은 프로그램 요인으로 활동이라는 행위와 상호작용을 통해 역동적인 공동체 형성과정을 경험하게 하며 지역주민간의 연계망 형성과 지역이라는 기반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공유하면서 지역감이라는 요소가 공동체의식 형성을 시키는 좋은 기제로 활용된 것으로 보인다. 문화프로그램은 주민들의 접근과 참여유도가 쉬우며 주민들 간의 만남, 새로운 것에 대한 배움, 그리고 마을 변화에 대한 요구가 반영되며 문화예술 특성상 만남과 배움, 그리고 변화를 자연스럽게 실천할 수 있는 매체로 이웃과 나누는 활동으로 연결하는 것이 그리 어렵지 않다. 또한 문화예술 교육이나 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주민 간 커뮤니티 형성이 수월하게 형성되며 자연스럽게 소속감을 갖게 되고, 조금 친해지면 자신의 이야기는 물론이고, 교육, 환경, 경제, 사회 등 마을의 다양한 문제에 대해 소통하며, 교류하게 되고, 이러한 소통과 교류는 주민들의 마을 커뮤니티 형성에 큰 활력소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마을공동체가 형성되고 지속되기 위해서는 공동체의식이 있어야 하며 공동체의식은 개인이 그 공동체에 속하며 공동체의 운영 및 활동을 통하여 공동체 구성원들과 밀접한 상호작용(문화프로그램 활동)을 통해 구성원자격(연대의식)을 가지고 공동체 안에서 자기의 욕구를 충족하면서 공동체 활동에 참여하여 결국 장소에 대한 공유된 정서적 친밀감(애착)을 느끼게 되며 지속해서 마을에 정주하고자 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 합의지향 논쟁문제수업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

        김지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주로 행해지고 있는 강의식수업은 물론 대립적인 찬반토론수업 역시 민주시민성으로서의 공동체의식 함양에는 효과적으로 기여하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에 따라 치열한 토론의 과정을 거치되 합의를 지향하는 논쟁문제수업을 설계하여, 이러한 수업이 강의식수업이나 찬반대립토론수업보다 공동체의식 함양에 효과적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동안 학교 현장에서 공동체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수업 방안으로 강의식 수업이 주로 행해졌지만, 본 연구에서는 공동체의식과 논쟁수업간의 연계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공동체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논쟁수업은 대립적인 토론수업이 아닌 상호이해와 합의를 추구해야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주장의 근거를 확보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시민성으로서의 공동체의식과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공동체의식과 합의지향 논쟁문제수업간의 연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공동체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로 언급되는 보수주의적 시민성 전달에 대해 비판을 제기하였고, Oliver와 Shaver가 제안한 공공 쟁점 중심 사회과의 논의를 통해 다양성을 존중하며 사회적 결속을 이룰 수 있는 가능성을 엿보았다. 또한 논쟁수업에 있어서 상호이해와 합의 추구의 중요성과 합의지향 논쟁문제수업이 공동체의식 하위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예측하여 논의해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합의지향 논쟁문제수업을 설계하고 공동체의식의 하위구성요소로 설정한 구성원의식, 상호영향의식, 정서적 연계, 공익 추구적 태도, 사회적 참여의식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효과에 대한 요인을 밝히기 위해 개방형설문지를 실시하고, 학습자의 답변을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수업 변인에 따른 공동체의식의 함양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강의식수업, 찬반대립토론수업, 합의지향 논쟁문제수업을 비교집단 Ⅰ, Ⅱ와 실험집단으로 설정하고 각 6개 반(184명)씩, 총 18개 반(552명)을 대상으로 총 4차시에 걸쳐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합의지향 논쟁문제수업은 공동체의식의 하위구성요소인 구성원의식, 상호영향의식, 정서적 연계, 공익 추구적 태도, 사회적 참여의식 등 모든 영역에서 강의식수업이나 찬반대립토론수업보다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둘째, 찬반대립토론수업은 강의식 수업보다 상호영향의식과 사회적 참여의식을 함양하는데 효과적이었다. 개방형 질문지를 분석한 결과, 상호이해와 합의를 지향하는 논쟁수업의 방향성과 합의를 이루는 과정이 공동체의식 함양에 가장 긍정적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논쟁문제를 인식하고 학습자간에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하는 논쟁과정 또한 공동체의식 함양에 기여하였다. 공동체의식의 하위구성요소별로 영향을 준 수업과정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구성원의식은 논쟁 과정에 기여하는 의견을 제시하였을 때 형성되었으며, 상호영향의식은 의견교환을 통해 자신의 의견이 수용되고 수정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다. 또한 정서적 연계는 논쟁문제에 영향을 받는 다양한 구성원들의 입장이나 학습자들의 의견을 이해하고 수용할 때 형성될 수 있었다. 합의지향의 논쟁문제수업을 통해 형성되거나 강화된 구성원의식, 상호영향의식, 정서적 연계 등의 연대의식은 공익 추구적 태도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었다. 동일한 논쟁과정이라 할지라도 합의지향 논쟁문제수업이 찬반대립토론수업에 비해 공동체의식 함양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었던 이유는 상대방의 의견이 비판과 논증의 대상이 아닌 이해와 합의의 대상으로 다루어졌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논쟁수업의 결과 학습자들이 인식한 사회적 가치는 구체적인 덕목이 아닌 민주적 절차에 대한 과정적 측면이었다. 또한 찬반대립토론수업과 합의지향논쟁문제수업을 통해 사회적 관심과 참여, 합의를 추구하는 의사소통이 중요한 사회적 가치임을 인식한 학습자의 수는 유사하였지만, 공익 추구적 태도는 합의지향 논쟁문제수업을 실시한 학습자들의 응답이 현저히 많았다. 학습자들은 상대방의 의견을 비판하고 반박하는 대립적인 토론 수업보다 상대방의 입장과 의견을 수용하고 타인과 사회를 고려하며 합의를 추구하는 과정 속에서 공익 추구적 태도를 더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학습공동체 활동이 공동체의식을 매개로 조직유효성에 끼치는 영향 : 전라남도교육청 교육행정직 중심으로

        차대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교육행정직의 학습공동체 활동이 조직유효성에 끼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는 어떻게 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학습공동체 활동이 조직유효성에 끼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학습공동체 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끼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공동체의식이 조직유효성에 끼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학습공동체 활동이 조직유효성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는 어떻게 되는가? 연구 대상은 학습공동체 활동에 구성원으로 참여하여 경험이 있는 전라남도교육청 소속 교육행정직 공무원이고, 설문은 2021년 8월 9일부터 8월 20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총 650명 중 208명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208부 모두 유효한 표본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독립변수는 학습공동체 활동으로 설정하고 하위변수는 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그리고 관계적 영역이다. 종속변수는 조직유효성으로 설정하고 하위변수는 직무만족, 조직몰입이다. 매개변수는 공동체의식으로 설정하고 하위변수는 협력의지, 소속감이다. 통제변수는 개인 변수로 성별, 연령, 소속기관, 직급, 총경력을 포함하고, 학습공동체 활동 변수로 학습공동체 총 활동기간, 연평균 활동 횟수, 참여목적을 포함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측정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통하여 확인된 문항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 분석의 방법으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피어슨 상관 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학습공동체 활동이 조직유효성에 끼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학습공동체 활동의 하위요인 중 정의적 영역, 지적 영역 순으로 조직유효성의 하위요인인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학습공동체 활동의 하위요인 중 정의적 영역은 조직유효성의 하위요인인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습공동체 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끼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학습공동체 활동의 하위요인 중 관계적 영역, 정의적 영역 순으로 공동체의식의 하위요인인 협력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학습공동체 활동의 하위요인 중 정의적 영역, 관계적 영역 순으로 공동체의식의 하위요인인 소속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공동체의식이 조직유효성에 끼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공동체의식의 하위요인 중 소속감은 조직유효성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학습공동체 활동이 조직유효성에 끼치는 영향에 있어 공동체의식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학습공동체 활동이 조직유효성의 하위요인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끼치는 영향에 있어 공동체의식의 하위요인인 협력의지가 부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공동체 활동이 조직유효성의 하위요인인 직무만족에 끼치는 영향에 있어 공동체의식의 하위요인인 소속감이 부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학습공동체 활동이 조직유효성의 하위요인인 조직몰입에 끼치는 영향에 있어 공동체의식의 하위요인인 소속감이 완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공동체 활동이 조직유효성에 끼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전라남도교육청 소속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학습공동체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몇 가지 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 초등학생의 공동체 의식과 도덕적 특성의 관계

        이정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도덕교육은 학습자에게 바람직한 가치관을 확립하게 하고 도덕성을 함양하여 도덕적인 행동을 하게 하는 것을 그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 사회는 여러 측면에서 가치 혼란의 상태에 빠져 있어, 도덕성 상실의 시대라는 우려마저 낳고 있는 실정이다. 개인은 개인대로, 집단은 집단대로 각자의 이익 추구에 급급한 나머지 공동체적인 생활은 거의 불가능한 상태이고, 공동체의식이 실종된 것처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의 전통 문화에 담겨져 있는 윤리의식을 현대의 최첨단 정보화 사회에 접목하면서 타인과 더불어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도덕성을 함양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교육적 필요성을 바탕으로 공동체의식이 아동의 도덕적 특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초등학생의 공동체 의식 수준 차이에 대한 분석은 초등학생의 공동체 의식 수준은 5점 리커트 척도에서 3.74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 모두 평균 3점대를 보이고 있어 공동체 의식 수준은 보통이었으나 그 중 조화와 단결(M=3.94)이 가장 높았고 자발적 참여 및 의사표현(M=3.57)이 가장 낮았다. 둘째, 초등학생의 도덕적 특성 수준 차이에 대한 결과는 초등학생의 도덕적 특성 수준은 5점 리커트 척도에서 평균 3.87점으로 보통수준이었다. 하위 영역 모두 평균 3점대를 보이고 있어 보통이었으나 타인존중·배려가 3.99점, 예절이 3.91점으로 높았고 질서가 3.70점으로 가장 낮았으나 비슷한 수준이었다. 셋째, 공동체 의식과 도덕적 특성과의 관계는 공동체 의식과 도덕성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공동체 의식과 도덕성 특성과는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두 변수 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공동체 의식 수준이 높을수록 초등학생의 도덕적 특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공동체 의식의 함양이 초등학생들의 도덕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들의 도덕적 특성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갖추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첫째, 도덕과 과정에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여야 한다. 사회 질서 지키기, 가정에서 예절, 학교와 친구들 간의 예절교육과 공동체 생활 등의 다양한 도덕교육과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 둘째, 학교에서는 도덕교육과 공동체적인 활동 교육을 보다 적극적이고 심도 있게 실시하는 방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셋째, 아동들의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아동, 교사, 학부모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 즉 학교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애정을 갖고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감싸주고 아껴주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넷째,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건전한 경쟁과 협동 속에서 이루어지는 지적인 경험을 포함한 다양한 경험을 자아실현을 위한 삶의 일부로써 기꺼이 용납하는 학교 풍토가 조성되어야만 한다. 그리하여 공동체 의식 함양을 지적 학업 성취 못지않게 중요한 교육목표로 인식하여, 학교 구성원 모두가 공동체 의식의 함양을 위한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이의 도달을 위하여 아동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야 참다운 공동체 의식이 함양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ethical education is to establish values, enhance morality and ultimately encourage ethical behaviour of the learners. Nowadays, however, we are facing the crisis of values in many ways and worrying about the incoming era of moral decay. As every individual or group seeks their own interests, community life is hardly conceivable and community spirit seems missing. We should, therefore, integrate our traditional ethical consciousness with today's high-tech information society, so as to enhance our morality based upon community spirit and cooperative happiness.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effects of community spirit on the particular level of morality of the children, in terms of social and educational necessity. Firstl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consciousness level of community spirit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as estimated at 3.74 out of 5 points. Their overall level of community spirit was normal, but the area of "harmony and cooperation" was the highest ( M=3.94 ) and that of "voluntary participation and expression" the lowest ( M=3.57 ). Secondly, the level of moral characteristic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as estimated at 3.87 out of 5 points. The area of "respect for others" and that of "politeness" were the highest, respectively at 3.99 and 3.91, while the area of "order" being the lowest at 3.70. Thirdly, the so-call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analyse the relation between community spirit and mo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a very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factors, and that the higher their community spirit, the better moral characteristics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have. To enhance community spirit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proves to have effects on their moral characteristic. As a result, these prerequisites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strengthen their moral characteristics and community spirit. Firstly,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various programs of ethical process, which concerns respect of social order, politeness at home, propriety at school and amongst friends, etc. Secondly, the school should offer some measures to practice more active and more in-depth education of ethics and community activities. Thirdly, the children, teachers, parents should all endeavor to enhance the level of community spirit. That is to say, there should be some understanding and mutual respect amongst the members in the entire environment of school community. Fourth, in order to enhance community spirit, it is necessary to have a school climate that fully recognizes various kinds of experience and knowledge as part of our self-fulfilled lives. Thus, the encouragement of community spirit should be considered to be as important a goal as the scholastic achievement, in terms of enhancing the community spirit collectively. In addition, the children should be encouraged to take part voluntarily in making the community spirit strengthened.

      •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 학급 마스코트 제작을 중심으로

        홍유하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Modern society is a large community in which members form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and live together. At school, which is considered as a narrowed-down version of society, students grow by forming and interacting with various human relationships as members of the community. In that sense, the elementary school period can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step in forming the basis for assimilating to society. As members of the community, students can understand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opportunities to solve various experiences and social tasks together. In addition, it is crucial to pre-experience adapting to various social situations and cultivate a community spirit, living and cooperating in harmony with other members. Nevertheless, modern youth face difficulties developing cooperative social skills due to excessive competition and intensified individualism. This makes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cultivate a community spirit, leading to obstacles in developing competence as society members, and further to depression, lack of sociality, and psychological insecurity. Due to Covid-19, classes have been recently conducted without face-to-face interactions, which made it more difficult to make emotional exchanges. As social distancing continues to limit the scope of activities, it is time to seriously consider what we should do for the social growth of the youth and promote activities that induces active social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As such, this study developed a program to cultivate a community spirit through elementary art education, to build the foundation for “people living together”, the desired human role model of the new curriculum revised in 2015. In this sense, this paper first investigates the concept of community spirit, and the necessity of art education to cultivate it. Subsequently, a mascot design project was utilized in elementary art classes, to effectively cultivate community spirit. Mascot design is a type of visual communication, which can effectively deliver message through symbols. In addition, a mascot is special in that it is a communication method that delivers certain meanings through symbols, but also in that it expresses its symbolic meanings through motion symbols. Mascots are used in various events including sports - such as the World Cups and the Olympics, at various companies, and also for various sports teams, recently showing potential as an individual brand, connected to the public and delivering specific messages. In II-2, we walk through the basic concept of mascots, followed by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mascots, and lastly, examine the significance of designing mascots in elementary art education. Chapter III is about the planning stage of the study, where the program design reflects required criteria in cultivating students' community spirit in elementary art education. Published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were reorganized specifically for this study, by supplementing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btained. Classes were organized in which students directly design mascots, closely relating it to the objectiv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hapter IV summarizes the results of this study by implementing the program, followed by a detailed analysis and discussion on the results. Based on the principles explored earlier, instruction plans for a total of 14 sessions were designed, and classes were conducted for the 6th grade students. Class observation and research journal collection, activity sheets and impressions analysis, informal interview data analysis, an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Based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s above,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made. First, the program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community spirit.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program and analyzing qualitative data,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students formed a qualitatively deep relationship, exceeding ordinary levels of unity. In addition, the class mascot design program, focused on communic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allowed members to learn sociality during the activity process, and further suggested that the class could function as a community based on unity. Second, improvement in subjects’ understanding of visual communication could be observed. One of the objectives considered most important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communication through art. In that sense, mascot designing functions itself as a meaningful activity, and functions well as vehicle to visually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It was clearly observable that while designing the class mascots, the subjects were able to enhance an understanding of visual communication skills, one of which is emphasized as an art competency. Lastly, through the art activities, student interest showed improvement and students could acquire the true value of art activities. Through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mascot production activities, students realized that art could affect and change people's attitudes. To achieve the common goal, active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is key. The instruction plan presented in this study can further be developed and reorganized into a suitable method in school, and it could be anticipated that students naturally become interested in each other through active interaction between class members and further contribute to cultivating a better community spirit. 현대사회는 구성원들이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맺으며 함께 살아가는 하나의 큰 공동체이다. 공동체의 범위를 좁혀 학교라는 공동체 안에서 학생들은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다양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상호작용함으로써 성장해나간다. 그런 의미에서 초등학교 시기는 원만한 사회 적응의 기초를 형성하는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다양한 경험과 사회적 과업을 함께 해결하는 기회를 통해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 속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사회적 상황에 적응하는 연습을 하며 타인과 조화롭게 생활하고 협동하는 공동체의식을 함양해 나가야 한다. 그러나 현대의 청소년들은 과도한 경쟁과 개인주의의 심화로 사회성을 기르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이는 학생들이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공동체의식의 함양을 어렵게 만들고 청소년의 우울, 사회성의 부재 및 심리적 불안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최근에는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비대면으로 수업이 이루어지고, 학생들 간 접촉이 불가능해 정서적 교류를 이어가는 것이 더 어려워졌다. 지금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활동 범위에 제한이 생기는 상황이 계속되면서 청소년들의 올바른 사회적 성장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진지하게 생각해야 하는 시기이며, 동시에 공동체 활동에 어려움이 있는 상황에서 참여와 소통이 전제된 효과적인 활동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 미술교육에서 공동체의식의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인간상인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으로의 기반을 갖추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먼저 공동체의식의 개념과 공동체의식의 함양을 위한 미술교육의 필요성을 탐색하였다. 이어서 공동체의식을 초등 미술수업에서 효과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방법으로 마스코트 디자인을 활용하였다. 마스코트는 다양한 시각커뮤니케이션 종류의 하나로 기호를 통해 의미하는 바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기호를 활용한 소통의 측면에서 마스코트는 특정 의미를 전달하고 마스코트에 내포된 상징적 의미를 동작 기호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마스코트는 행사나 기업, 월드컵과 올림픽, 스포츠 팀 등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중과 연결되어 공동체의 특정 의미를 전하는 하나의 브랜드로써 잠재적 가능성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마스코트 디자인이 학생들이 공동체의식을 함양하는 데에 좋은 연구주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학급의 마스코트를 제작해보는 활동이 학생들의 공동체의식 함양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Ⅱ-2에서는 마스코트의 개념과 마스코트의 기능 및 특징, 초등미술교육에서 마스코트 제작의 의의를 살펴본다. Ⅲ장은 연구의 계획 단계로, 초등 미술교육에서 학생들의 공동체의식을 함양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능력들을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프로그램의 지도 계획을 수립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문헌연구와 기존 선행연구를 통해 얻은 시사점과 한계점을 보완하여 본 연구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였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미술교육 내용과 마스코트 디자인을 연계하여 학생들이 학급의 마스코트를 직접 제작하는 수업으로 계획하였다. Ⅳ장에서는 설계한 교육 프로그램을 직접 적용하고 그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 논함으로써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였다. 앞서 탐색한 원리를 바탕으로 총 14차시의 교수 학습 지도안을 설계하고 초등학교 6학년 한 학급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결과를 분석하는 데에는 수업 관찰 및 연구일지 수집, 활동지와 소감문 분석, 비공식적 면담 자료 분석과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를 실행하고 적용한 결과 연구자는 다음의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공동체의식이 향상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질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단순한 결속이 아닌 질적으로 깊은 관게를 형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소통과 참여를 전제로 한 학급 마스코트 제작하기 프로그램은 활동 과정에서 구성원 간 사회성을 터득하도록 하였고, 나아가 연대감에 기반한 공동체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둘째, 초등 학습자의 시각적 소통 능력에 대한 이해가 증대되었다. 연구자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시하는 미술교육의 목표 중 하나는 미술을 통한 소통이다. 그런 의미에서 마스코트 디자인은 작품 자체가 하나의 의미를 지니고, 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소통할 수 있음을 알려주는 좋은 수단으로 기능한다. 학습자들은 학급 마스코트를 제작하면서 미술교과 역량에서 강조하는 시각적 소통 능력에 대한 이해가 증대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미술 활동을 통한 흥미가 향상되고 미술 활동의 가치를 습득하게 되었다. 학생들은 마스코트 제작 활동에 참여하면서 미술이 사람의 태도를 변화시키고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공동의 목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소통과 참여가 기반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도 방안을 발전시켜 현장에 적합한 방법으로 재구성할 수 있으며, 학생들은 학급 구성원 간 적극적인 상호작용으로 자연스럽게 서로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고 나아가 공동체의식 함양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실행공동체(CoP) 활동이 공동체의식을 매개로 지식창출에 미치는 영향 : A교육서비스 기업을 중심으로

        김병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has been designed to analyze the effects that activities of the employees of A educational service company, as a Community of Practice (CoP), have on the creation of knowledge through the sense of community. In order to substanti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relationship, the following were selected as specific areas of research: (i) the impact of CoP activities on the sense of community; (ii) the mediated effect of the sense of community on CoP activities’ impact on knowledge creation ;, and (iii) the effects resulting from different control variables (i.e., headquarters and external operation sites). Employees working for A educational services company 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For quantitative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325 questionnaires having been collected from February 12 to March 5, 2018. Of these, 29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research analysis.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CoP activities, wherein the sub-variables include intellectual, defined, and relational areas. The dependent variable is knowledge creation, wherein the sub-variables consist of socialization, externalization, combination, and internalization. The parameter is the sense of community, with the willingness to cooperate and sense of belonging being its sub-variables. Finally, the control variables comprise of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period, position and work location.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including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tellectual, defined and relational areas of CoP activities were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willingness to cooperate and the sense of belonging, both of which constitute the sense of community. In particular, the defined area of CoP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ect on the sense of community. Secondly, the intellectual, defined, and relational areas of CoP activities all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ocialization, externalization, combination, and internalization aspects of knowledge creation. Among the sub-variables of CoP activities, the intellectual area demonstrated the greatest effect on the socialization and combination of knowledge creation, while the defined area had the greatest effect on externalization and internalization. The sense of community had a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creation, and parameter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P activities and knowledge creation. Most notably, the willingness to cooperate has been shown to perfectly mediate the relational area of CoP activites and the combination of knowledge creation. Lastly, the control variables showed that employees working at an external operation sites exhibit relatively more positive notions on CoP activities, sense of community, and knowledge creation, as compared with those working in the headquarters.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depending on work location, which is a control variable, there were different effects on each variable. Notably, those working at an external operation site displayed a higher sense of community and greater degree of combination and internalization of knowledge creation. Overall, this study has shown that CoP activities can help vitalize an organization's knowledge creation process through the sense of community. Learning outcomes of the CoP reinforce the community consciousness of each individual community member. As a result, the clearer his or her perception and identity of the value of CoP are, the more efficient the transition between tacit knowledge and explicit knowledge can be, both at the individual level and the group level. Furthermore,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re were relatively more positive effects on the employees working at external operation sites in terms of the processes of CoP activities, sense of community and knowledge creation, as compared with headquart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redefining the value of a corporate organization's CoP, detailed vitalization strategies, the importance of work location on CoP activities, and the direction of further research. 이 연구는 A교육서비스 기업 임직원의 CoP 활동이 공동체의식을 매개로 지식창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로는, 첫째 CoP 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둘째 CoP 활동이 지식창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셋째 통제변수로서 본사와 외부사업장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차이를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A교육서비스 기업에 근무하는 임직원이다. 양적연구 조사를 위해 설문을 통한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2018년 2월 12일부터 3월 5일까지 총 325부가 회수되었고, 이 중 자료로 활용이 가능한 292부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독립변수는 CoP 활동이며, 하위 변인은 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관계적 영역이다. 종속변수는 지식창출이며, 하위 변인은 사회화, 외재화, 결합화, 내재화를 설정하였다. 매개변수는 공동체의식이며, 하위 변인은 협력의지와 소속감으로 정하였다. 통제변수는 성별, 학력, 경력기간, 직급, 근무위치로 선정하였다. 통계적 분석 방법으로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T-TEST, 다중회귀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CoP 활동의 지적, 정의적, 관계적 영역은 공동체의식인 협력의지와 소속감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특히 CoP 활동의 정의적 영역이 공동체의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oP 활동의 지적, 정의적, 관계적 영역은 지식창출의 사회화, 외재화, 결합화, 내재화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CoP 활동의 세 개 하위요인 중 지적 영역은 종속변수인 지식의 사회화와 결합화에서 가장 큰 영향을 나타냈으며, 정의적 영역은 외재화와 내재화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공동체의식은 지식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CoP 활동과 지식창출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특히 협력의지는 CoP 활동의 관계적 영역과 지식의 결합화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부사업장 근무자는 본사에 비해 CoP 활동, 공동체의식, 지식창출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리고 근무위치에 따라 각 변수에 대한 영향에 있어 차이를 보였는데, 외부사업장은 본사에 비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더 높았으며, 지식창출의 결합화와 내재화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CoP 활동은 공동체의식을 통해 조직의 지식창출 과정을 활성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실행공동체의 학습 성과는 구성원의 공동체의식을 강화하며, CoP에 대한 구성원의 가치인식과 정체성이 명확할수록 개인 및 집단의 암묵지와 형식지 간의 변환을 원활하게 한다. 그리고 외부사업장 근무자는 본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CoP 활동, 공동체의식, 지식창출의 과정에 더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기업 조직의 CoP에 대한 가치 재정립과 구체적인 활성화 전략, 근무지에 따른 실행공동체 활동의 중요성, 그리고 후속 연구의 방향성 등을 논의하였다.

      • 결혼이주여성의 공동체의식이 지역사회 참여에 미치는 영향

        박지인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다양한 구성원이 함께 살아가는 다문화사회에서는 사회구성원으로서 결혼이주여성을 바라보는 관점의 전환이 요청된다. 사회구성원으로서의 결혼이주여성은 지역사회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고, 지역의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능동적인 주체로서의 결혼이주여성을 의미한다. 지역사회의 참여는 결혼이주여성을 비롯한 이주민들에게 자신을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인식하고 공동체의 문제를 함께 해결하려는 의식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공동체의식이 높을수록 구성원들은 공동체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공동체 발전을 위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따라서 공동체의식은 공동체를 유지시키고 발전을 위한 필수적 요소이며, 특히 다문화사회에서 결혼이주여성의 공동체의식은 사회통합을 위한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동안 결혼이주여성의 참여와 관련한 논의들은 주목받지 못하였으며, 봉사활동이나 여가 참여에 한정된 특정한 유형의 참여에 초점이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에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참여는 사회구성원으로서 지역사회의 다양한 활동과 정책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참여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논의가 확장될 필요가 있다. 또한 공동체의식은 지역에 대한 관심과 구성원으로서 참여를 촉진하는 주요한 요소로,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참여에서는 공동체의식이 함께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공동체의식이 지역사회 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인 분석을 통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결혼이주여성의 공동체의식과 지역사회참여는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친교형 참여에는 정서적 친밀감이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통제변인인 거주기간의 경우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육문화형 참여에서는 구성원의식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자녀 유무와 거주기간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민활동형 참여에서는 충족감이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통제변인인 거주기간과 한국인 실력의 경우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정책참여형 참여에서는 구성원의식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통제변인인 거주기간과 한국어 실력의 경우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투표 참여의 경우에 공동체의식의 구성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통제변인인 한국 국적은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지역사회 활동 유형에 따라 영향을 주는 공동체의식의 구성요인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이 밝혀졌으며, 결혼이주여성이 지역사회에서 구성원으로서의 의식을 가지고 있을 때 긍정적인 참여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첫째,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공동체의식의 수준을 알아보고, 공동체의식과 지역사회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이 거주하고 있는 실질적인 공간인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일상에서의 경험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이다. 셋째, 지역사회 참여의 유형을 단지 봉사활동이나 사회단체 활동만이 아니라, 다양한 의사결정 과정의 참여를 포함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정책 참여의 영역을 확장하였다는 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들의 상호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사회적 관계 형성을 위한 교류 기회의 확대가 필요하다. 거주 지역에서 한국인과 결혼이주여성이 함께 교류할 수 있는 기회의 제공은 정서적 친밀감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지역사회 참여로 확대될 수 있는 기반이 되므로 향후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한국인과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구성원의식은 교육문화 활동과 정책참여 활동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구성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이주여성이 지역사회에서 구성원으로서 소속감을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단체 활동의 참여, 특히 정책 결정 과정에서 주체자로 참여 확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사회에서 충족감이 낮은 결혼이주여성들은 오히려 시민활동형에 참여하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참여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며, 현재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들이 지역사회에서 충족되지 못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따라서 향후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의 필요를 충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In a multicultural society where diverse members live together, there needs to be a change in the way married immigrant women are viewed as members of the society. Married immigrant women as members of society means that they are active subjects who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in the local community. Community particip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s a concept that includes participation in various community gatherings and activities as well as in the process of policy-making. Married immigrant women participate in the local community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community members, express opinions on policies related to them, and play a role as members of the society through community participation. However, in discussing community particip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studies until now have focused on specific types of participation such as volunteer activities and leisure activities and are limited in that the fail to discuss married immigrant women’s participation as people directly involved in policy. Therefore, in discussing community particip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it is necessary to cover with importance their participation in the policy-making process along with their participation in other various community activities. In order to invigorate married immigrant women's community participation, what is most important is their consciousness to participate as the subject of participation with an interest in society. Sense of community refers to a sense of closeness and belonging one feels as a member through interactions with various members in the community, and further a practical consciousness that leads to participation. The higher the sense of community, the more the members are interested in the problems of the local community and actively participate in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y. It can be said that sense of community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n particular, is an important factor in forming of a sense of belonging in the country they have migrated to and in advancing toward participation in the migrant country. Therefore, in discussing marriage migrant women's community participation, sense of community should be discussed together as a major factor promoting interest in the local community and participation as membe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 sense of community has on community participation in married immigrant women. The main research question is, ‘What effect sense of community has on community participation in married immigrant women?’ The following subsidiary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considering the subdivided components of sense of community and the types of community participation. 1) What effect fulfillment of needs has on community participation (fellowship, education & culture, civic activity, policy, vote) in married immigrant women? 2) What effect membership has on community participation (fellowship, education & culture, civic activity, policy, vote) in married immigrant women? 3) What effect influence has on community participation (fellowship, education & culture, civic activity, policy, vote) in married immigrant women? 4) What effect shared emotional connection has on community participation (fellowship, education & culture, civic activity, policy,vote) in married immigrant women?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married immigrant women living in a metropolitan area, and the survey responses of 210 immigrant women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rvey response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community and community participation in married immigrant women. First, among the components of sense of community,shared emotional connection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fellowship participation. Resident period, which was considered as a control variabl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fellowship participa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low shared emotional connection with a local community and those who have been living for a long period over five years actively participate in fellowship-type activities. Second, among the components of sense of community, membership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 & culture participation. The status of children and residence period, which were considered as control variables, were also found to have negative effects on education & culture participation. Through these findings, it was confirmed that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high sense of membership and those with children and have been living for a long period over five years actively participated in education & culture activities in the local community. Third, among the components of sense of community, fulfillment of need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participation in civic activities. Residence period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considered as control variables, were also found to have negative effects on participation in civic activiti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married immigrant women who do not feel a sense of fulfillment from the local community and those who have been living for a long period over five years and have high Korean language proficiency participate actively in civic activities. Fourth, among the components of sense of community, memb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participation in policy affairs. Residence period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considered as control variables, also had negative effects on participation in policy affair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high sense of membership and those who have been living for a long period over five years and have high Korean language proficiency participate actively participate in policy affairs. Lastly, none of the components of sense of communit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vote participation, while Korean nationality considered as control variabl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vote participation. It was confirmed through these findings that married immigrant women who are permanent residents and have not acquired Korean citizenship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local election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different components of sense of community take effect depending on the type of community participation and that forming a sense of membership among components of sense of community is a major factor that influences community participation.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drawn from the research findings. First, in order to enhance the sense of shared emotional connection in married immigrant wome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ir opportunities for exchanges that form social relationship. Providing opportunities that allow married immigrant women to interact with Korean people as members living in local communities especially improves their sense of shared emotional connection and lays the foundation for them to engage in various local community activities in the fu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have civic education that can form a sense of membership in married immigrant women. Through civic education, married immigrant women are provided with information that allow them to participate in policy-making processes along with opportunities to form the identity as members of the local community. Third, policies that fulfill the needs of married immigrant women should be provided in local communities. The research findings showing that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low sense of fulfillment of needs participate in civic activities suggest that married immigrant women are not satisfied with the policies intended for them in the local communities. Therefore,local governments need to provide policies that reflect the needs of married immigrant women by expanding their participation in policy-making processes.

      • 마을공동체 사업 참여경험과 의향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 강남구 임대아파트를 중심으로

        김현아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1990년대부터 시작된 한국의 마을 만들기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주민 스스로가 해결하며, 주민조직을 만들고 마을축제를 하는 등 지역공동체의 형성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활동으로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왔다. 본 연구는 서울시 강남구의 영구임대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영구임대아파트 지역이 처한 슬럼화, 사회적 배제와 같은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마을공동체 사업의 실시 및 참여가 대안이 될 수 있는지와 마을공동체 사업이 마을주민의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분석하여 향후 영구임대아파트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마을공동체 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구임대아파트 주민들의 공동체의식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마을공동체 사업의 참여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어떠한가? 셋째, 향후 마을공동체 사업 참여 의향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위의 연구를 위해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영구임대아파트 지역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3 지역사회 욕구조사>의 양적자료를 사용하여 2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동일한 대상으로 마을공동체 사업의 진행과정 및 성과에 대하여 참여했던 마을주민과 실무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사례를 중심으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구임대아파트 주민들의 공동체의식 수준은 비교적 높은 편이며, 연령이 높고, 학력이 중졸이하이고, 거주기간이 길수록 공동체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과 거주기간을 통제했을 때 사업 참여경험과 향후 사업 참여의향이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영향력에서는 마을공동체 사업에 참여 했을수록, 향후에 참여할 의향이 있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거주기간이 길수록 공동체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징적인 것은 향후 사업 참여의향이 사업 참여경험보다 공동체의식에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나고 있다. 사례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로는 마을공동체 사업의 참여를 통해 주민들은 이웃과 소통하는 법을 알게 되었고, 이웃과의 관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으며, 지역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고 응답하여 마을공동체 사업 참여가 공동체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함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 마을공동체 사업 참여와 공동체의식 간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마을공동체 사업 참여를 통해서 공동체의식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서울시 주도 마을공동체 사업에 대한 효과성 검증과 더불어 영구임대 아파트 단지 내에서 이루어지는 사회복지 분야에서의 마을공동체 사업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Building community since the 1990s has expanded nationally in South Korea in order to form local communities and enhance the quality of living. For example, building community enabled the residents to solve their own problems that arose within the community, create community organizations, hold community festivals, etc.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the residents of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area in Gangnam-gu, Seoul in order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future village community project that reflects the local characteristic of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This study finds out whether the implementation of the village community project can be an alternative or not, and it analyzes the impacts of the village community project on the Sense of community of the residents in order to resolve the realistic problems, such as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areas become a slums and social exclusion. Therefore, this study set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to fulfill the main objective. 1) What is the Sense of community level of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residents? 2) How does the implementation of the village community project affect the Sense of community? 3) How does having the interest of implementing the village community project in the future affect the Sense of community? For the above study, the second analysis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quantitative data of <2013 Needs Assessment of the Local Community> that was conducted among the residents of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area in Gangnam-gu, Seoul. Also, the qualitative analysis on the procedures and results of the village community project was done by interviewing the residents and staff who were involved in the busines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ense of community level of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residents was relatively high. the Sense of community level was high as the residents were older, the level of education was below middle school diploma, and as the residence period was longer. Second, it has shown that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business and having the interest of implementing the village community project in the future had influenced the Sense of community when the age and the residence period were controlled. Third, the following variables affected the Sense of community in a positive way. the Sense of community had positive influence as the residents participated in the village community project, had the interest of implementing the business in the future, and as they were older, and as the residence period was longer. Distinctively, having the interest of implementing the village community project in the future had more influence on the Sense of community compared to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business. The result of the case study through the interviews is as follows. The residents had responded that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village community project, they found out how to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the neighbo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ighbors had changed positively, and that they got to know how to actively cope with the problems of the local community. It is certain that implementing the village community projec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ense of community. Above results of this study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has confirm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village community project and the Sense of community have meaningful relationship. Such result will contribute to propose various ways of fostering community spirit by implementing the village community project. Second, this study has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village community project that is led by Seoul. Moreover, the result will contribute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f the village community project that is implemented by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area in the social welfare field.

      • 학습공동체 활동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직업전문성 및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나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학습공동체 활동이 조직유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그 과정에서 직업전문성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습공동체 활동이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학습공동체 활동이 직업전문성과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직업전문성과 공동체의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학습공동체 활동이 조직유효성 간 관계에서 직업전문성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연구의 대상은 학습공동체 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부산광역시교육청 소속 지방공무원이고, 설문은 2020년 7월 27일부터 8월 24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총 260명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260부 모두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독립변수는 학습공동체 활동으로 하위변수는 지적영역, 정의적영역, 관계적영역이고, 종속변수는 조직유효성으로 하위변수는 직무만족, 조직몰입이며, 매개변수는 직업전문성과 공동체의식으로 선정하여 측정하였다. 통제변수는 개인 변수로 성별, 근무처, 직급, 근무연수를 포함하고, 학습공동체 활동 변수로 학습공동체 가입횟수, 총 활동기간, 연평균 참여횟수, 참여목적을 포함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측정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통해 확인된 문항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분석의 방법으로 빈도분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pearsomcorrelation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직업전문성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공동체 활동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학습공동체 활동의 하위요인 중 정의적 영역을 제외한 지적 영역과 관계적 영역은 조직유효성 하위요인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관계적 영역, 지적 영역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습공동체 활동이 직업전문성과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학습공동체 활동의 하위요인 중 지적 영역과 관계적 영역은 지적 영역, 관계적 영역 순으로 직업전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공동체 활동의 하위요인 중 관계적 영역은 공동체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전문성과 공동체의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직업전문성과 공동체의식은 조직유효성 하위요인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향을 미친 순으로는 직무만족에는 직업전문성, 공동체의식 순이고, 조직몰입에는 공동체의식, 직업전문성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공동체 활동과 조직유효성 간 관계에서 직업전문성과 공동체의식은 모두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직업전문성은 학습공동체 하위요인인 지적영역이 조직유효성 하위요인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완전 매개하였고, 관계적영역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동체의식은 학습공동체 하위요인인 관계적영역이 조직유효성 하위영역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독립변수인 학습공동체 활동 중 정의적영역을 제외한 지적영역과 관계적영역은 종속변수인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직업전문성은 학습공동체 활동 중 지적영역과 관계적영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그리고 공동체의식은 학습공동체 활동 중 관계적영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각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습공동체 활동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직업전문성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부산교육청 소속 지방공무원의 학습공동체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몇 가지 실천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