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학치료 참여자 간의 공감 연구

        윤은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공감은 내가 아닌 타인의 경험 세계 속으로 들어가 타인의 심리 상태를 따라가며 느끼고 이해함으로써 타인의 감정과 정서를 선입견 없이 같이 공유하고 이를 표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심리치료 영역에서 공감은 내담자와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시키며 보다 나은 치료적 효과를 얻기 위한 기술로 중요성이 언급됨에 따라 치료자의 공감은 치료 과정에 있어서 간과해서는 안 될 치료 요소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이처럼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공감이 훈련된 치료자에게만 일어날 수 있는 심리적 작용인가에 대한 의문을 가질 수 있다.문학치료에서는 인간의 선험적이고 고유한 능력으로서의 공감을 인간관계의 하나의 형태인 문학치료집단에 활용함으로써 치유에 도움이 된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문학치료 참여자들 간에 이루어지는 공감적 상호작용에서 생성되는 공감의 의미가 어떻게 체험되고 있는지를 연구함으로써 문학치료에서 참여자 간의 공감이 갖는 치유성을 이해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문학치료에서는 참여자 간에 공감이 일어날 것인가? 둘째, 참여자 간의 공감은 다양한 치료적 요인을 촉진시킬 것인가? 이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으로 우선 심리치료 영역에서 사용되는 공감의 다양한 정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공감이 인간중심적 치료와 정신분석적 치료에서 어떻게 이해되는지 로저스와 코헛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다음으로 문학치료는 문학 텍스트를 매체로 사용하여 일차적으로 문학에 대한 공감을 통해 기억의 환기를 유도하므로 문학적 공감에 대해 살펴보고 문학을 읽는 독자로서 텍스트와 독자 사이에 일어나는 작용을 독자반응이론에 대한 짧은 고찰로 이해했다. 그리고 문학치료에서의 공감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이론에 대한 이해를 마쳤다. 연구방법은 소수사례를 대상으로 참여자의 심리, 정서적인 변화를 찾기 위해 참여자의 텍스트와 언어적 표현의 의미를 파악하고 치료자의 관찰을 토대로 한 질적 분석을 했으며 한 회기 안에서 참여자 간에 이루어지는 공감의 치료적 요소 촉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담화분석법을 사용했다. 질적 분석은 해석학적 접근을 시도했으며, Carkhuff의 대인간 상호작용 관계에서의 공감적 이해 척도를 활용하여 참여자의 공감 수준을 파악하였다. Yalom이 나눈 11개의 치료적 요인을 기준으로 하여 참여자 간의 공감이 촉진시키는 치료적 요인을 분석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문학치료에서 참여자 간에 공감이 일어나는가에 대한 연구 결과에서는 대인간 상호작용 관계에서의 공감적 이해 척도를 적용했을 때 참여자 간에는 수준3과 수준4의 공감적 이해가 주로 표현되었다. 공감은 전 과정에서 일정하게 일어나는 것은 아니며 참여자의 텍스트에 따라 공감의 정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문학 치료에서 참여자 간에 일어난 공감은 치료적 요인을 촉진시킬 것인가에 대한 연구 결과에서 첫째, 참여자 간의 공감은 참여자들에게 치료적 요인 중 보편성을 촉진시켰다. 둘째, 참여자 간의 공감은 치료적 요인 중 이타심을 촉진시켰다. 셋째, 참여자 간의 공감은 치료적 요인 중 대인관계 학습을 촉진시켰다. 넷째, 참여자 간의 공감은 치료적 요인 중 정화를 촉진시켰다. Empathy is to share the others' feelings and emotion after experiencing and understanding their world without any preconceptions. The empathy of therapists has been an essential therapeutic element. That is why it is important to build and keep up the therapeutic relationships as a skill to gain therapeutic effects in a psychotherapy field. However, there would be some questions as to whether the empathy is derived only from a trained therapist. It can help therapy when the empathy as a transcendental and unique ability of men is used in a group of literatherapy. Empathy is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in regard to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the therapist on the part of the client. There were studies about the effect of counseling, but few studies on the empathy between the clients participating in group therapy.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carry out research on the empathic interaction between the clients,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its therapeutic power. The theme of this study is, whether empathy is generated among the clients in literatherapy, and whether the empathy promotes various therapeutic factors.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diverse definitions in psychotherapy field, then concentrates on the theory of Rogers and Kohut to know how the empathy is understood in person-centered therapy and psychoanalysis therapy. Initially, literatherapy leads to the evocation of memory through the empathy of literature using literary text as media. So, this study researches both literary response of the readers via the reader-response theory and the empathy in literatherapy. The method of study is to know the meaning of client's text and verbal expression to find out his or her psychic, mental changes through a handful of cases. It uses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the therapist's observation, and discourse analysis method to grasp promote relationship of the therapeoutic factor of empathy among the clients during one session. It tries to approach hermeneutically qualitative analysis, and understand client's empathy level using the Empathic Understanding Scale of Carkhuff. And also, it uses eleven therapeutic factors of Yalom as a standard to analyze the therapeutic factors of promoting the empathy among the client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the following. When it uses the Empathic Understanding Scale of Carkhuff, an empathic understanding of level 3 and level 4 is revealed. Empathy is not regularly generated, and the level of empathy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lient's text. Next, in the study questioning whether the empathy among the clients is promoted or not, it is revealed, first, that it promotes one of the therapeutic factors. Second, it promotes altruism as a therapeutic factor. Third, it facilitates an interpersonal learning as a therapeutic factor. Fourth, it facilitates catharsis as a therapeutic factor.

      •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구이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pathy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on the level of empathy ability. The participants were 47 five year old children in total: Twenty four children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wenty three children to the control group.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empathy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education using the same picture books without the empathy education. Both groups received the education twice a week for 10 weeks. The index of empathy ability (Bryant, 1982)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children's empathy ability. The measurement was first developed by Bryant (1982), re-created by Yeon (1987), and then modified by Kim (2010). The scores of empathy ability were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to see the effect of empathy education on the level of children's empathy level.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level of empathy level than the control group. 2)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mpathy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has the lasting effect on children's empathy abi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empathy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empathy ability. Therefore, the empathy education could be a good teaching method to increase the level of children's empathy 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연구 대상은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47명으로 실험집단 24명, 통제집단 23명이다.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10주간, 주 2회씩 총 20회기의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교육활동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 유아에게는 공감교육활동 없이 실험집단과 동일한 그림책을 읽어주었다. 유아의 공감능력에 대한 측정은 Bryant (1982)가 제작한 도구를 바탕으로 연진영(1987)이 번역하고 김향미(2010)가 수정한 공감능력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독립표본 t검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교육활동을 경험한 유아가 공감능력이 더 향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교육활동은 유아의 공감능력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교육활동은 유아의 공감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공감적 이해를 위한 연극놀이: 프로그램 구성 및 유아 반응

        탁태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Creative Drama for Empathic Understanding: Program Construction and Children's Responses by Tag, Tae Ok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Park, Sun Hee, Ph.D. This study involves the construction of a creative drama program for empathic understanding and explores young children's responses to the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a creative drama program for empathic understanding as a teaching-learning method for young children and ultimately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creative drama programs appropriate for young children. The research questions formula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Question 1. How is a young children’s creative drama program for empathic understanding constructed? Question 2. How do young children respond to the creative drama program for emphatic understanding?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to October, 2017. After developing a creative drama program, the program was implemented with young children once a week for a total of 7 sessions over 7 weeks from September 1 to October 20. As for the procedure of program construction, the goal and objectives of the program were planned based on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then the content of the program was selected through the process of exploring children’s literature and video clips on Educational Broadcasting System, performing internet search and conducting expert verification by experts in creative drama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Subsequently, a teaching-learning plan was designed. Also, a total of 7 programs were organized by planning drama conventions, symbolic props, and the roles of young children and teachers as part of teaching-learning strateg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eight 5-year-old children involved in family cooperative activities at the Cooperative Childcare Center within 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in N district of S city.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o implement the program. During the program, on-site observation was performed focusing on the children’s response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peers and teachers. Each session of creative drama class was recorded in video and photographed. The transcripts of the videos, the researcher’s daily reflective journal and on-site observation record and the outcome of children’s activity were used as analysis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creative drama program was constructed as a concrete educational plan for young children’s empathic understanding. Recognizing the participating children as dynamic organic bodies of the program and setting the structuration of open-ended drama as its constructive background, the program was aimed at enabling young children to empathize with people and nature and express their thoughts and communicate them through creative drama. The specific objectives selected to realize this goal were as follows: Children know that human beings and nature coexist; children understand other people’s thoughts, emotions, situations and so on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s; children know the value of promise within a social context and observe social rules; children solve problematic situations by helping and cooperating with one another as a member of a community; children develop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peers from controlling their own emotions; and children cultivate the heart to value oneself.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composed mainly around events that take place in a forest and a wild animal hospital.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e program consisted of teaching-learning principles,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drama conventions and symbolic props as teaching-learning strategies. The teaching-learning principles incorporated in the program were the principle of play-centered content, principle of spontaneity and improvisation, principle of experience-centered content, principle of active interaction, and principle of empathic understanding.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consisted of introduction, role assignment and space organization, performing a play and finishing step. Dramatic conventions were applied as teaching-learning strategies, including mime, whole group role play, ‘Mantle of the Expert’, teacher-in-role, message delivery, and making sign and map. A symbolic props provided for the program included props for organizing the space in the wild animal hospital, props needed for children’s roles as experts, and props for the teacher as a character in the creative drama. Evaluation of the program was conducted on three levels: the children, the teacher and the program. In the program, the children played the characters who are able to give and receive help as their lives and take responsibility of their own lives, and the teacher played a character who is in need of empathic understanding. Second, the children responded to the creative drama program for empathic understanding in ways indicative of increased emotional exchanges between peers, building community, and recreation of theatrical space. The children collaborated and cooperated while solving the theatrical task given to them, and actively supported the peer who was in fear and alone within the given role. They also learned about ways to form a community and live together as member of the community, and demonstrated behaviors of recreating the theatrical spaces of forest and wild animal hospital. This study confirmed the educational usability of creative drama program for young children by constructing and implementing a creative drama program for empathic understanding and examining how young children’s respond to the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serve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drama program for empathic understanding and present theoretical basis and implications for creative drama program which can be us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공감적 이해를 위한 연극놀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는 공감적 이해를 위한 연극놀이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으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궁극적으로 유아교육현장에 적합한 연극놀이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공감적 이해를 위한 유아 연극놀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연구문제 2. 공감적 이해를 위한 유아 연극놀이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의 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2017년 4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되었고, 연극놀이 프로그램 개발 후, 9월 1일부터 10월 20일까지 7주에 걸쳐 주 1회씩 총 7회로 실행되었다. 프로그램의 구성 절차는 선행연구와 문헌 고찰을 토대로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를 계획하였고, 아동문학과 교육방송 동영상, 인터넷 검색, 연극놀이 전문가와 유아교육 전문가 검증 등의 과정을 통해 내용을 선정한 후, 교수학습 과정을 구성하였다. 또한 교수학습 전략으로서 드라마 관습과 상징적 소품 및 유아와 교사의 역할을 계획하여 총 7회의 최종 프로그램이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S시 N구에 위치한 N건강가정지원센터 공동육아나눔터 가족품앗이 활동의 만 5세 유아 8명이며, 연구자가 함께 참여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유아들의 반응과 또래와 상호작용, 유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현장관찰이 이루어졌으며, 매회 연극놀이 수업은 동영상과 사진으로 촬영하였다. 동영상의 전사본, 매일 기록된 연구자의 반성적 저널과 현장관찰기록, 유아의 활동 결과물 등이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적 이해를 위한 구체적 교육 방안으로 연극놀이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참여 유아들을 역동적 유기체로 인식하고 열려있는 드라마로서의 구조화를 구성 배경으로 한 프로그램의 목적은 연극놀이를 통해 인간과 자연에 대해서 공감하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여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해 구체적인 목표는 ‘인간과 자연이 공존함을 안다.’, ‘다른 사람의 생각, 감정, 상황 등을 타인의 관점에서 이해한다.’, ‘사회적 맥락에서 약속의 가치를 알고 사회적 규칙을 준수하여 지킨다.’,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서로 돕고 협력하여 문제 상황을 해결한다.’,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여 또래와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자신에 대해서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기른다.’로 선정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내용은 숲 속과 야생동물병원을 배경으로 일어나는 사건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과정, 교수학습 전략으로써 드라마 관습, 상징적 소품으로 구성되었다. 교수학습 원리는 놀이 중심의 원리, 자발성과 즉흥의 원리, 경험 중심의 원리, 능동적 상호작용의 원리, 공감적 이해의 원리이다. 교수학습 과정은 도입, 역할맡기 및 공간구성, 연극하기, 마무리 단계로 구성되었다. 교수학습 전략으로써 드라마 관습은 마임, 전체그룹 역할놀이, 전문가의 망토, 역할내 교사, 메시지의 전달과 간판 및 지도 만들기 등의 관습이 적용되었다. 상징적 소품으로는 야생동물병원의 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소품과 유아의 전문가적 역할을 위한 소품, 등장인물로서 교사의 소품이 지원되었다. 평가는 유아 평가와 교사 평가,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로 구분하였다. 프로그램에서 유아들은 스스로의 삶을 책임지고 살아가며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인물의 역할을 하였고, 교사는 공감적 이해를 필요로 하는 등장인물로서 역할을 하였다. 둘째, 공감적 이해를 위한 연극놀이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의 반응은 또래 간 정서적 교류의 확대, 공동체의 구성, 연극적 공간의 재창조 등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자신들에게 주어진 연극적 과업을 해결하는 동안 협력하고 협동하고, 역할 속에서 혼자되어 외롭고 두려운 또래에게 적극적인 정서적 지원을 하였다. 또한 연극 속에서 공동체를 구성하고, 공동체의 일원으로 함께 살아가는 방식에 대해서도 알아갔으며, 숲 속과 야생동물병원이라는 연극적 공간을 재창조해 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공감적 이해를 위한 연극놀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행하여 유아의 반응을 탐구함으로써 연극놀이 프로그램의 교육적 활용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공감적 이해를 위한 연극놀이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연극놀이 프로그램의 이론적 근거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부모의 공감과 중학생 자녀의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정윤지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부모의 공감이 중학생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칠 때 중학생의 또래관계가 매개하는지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 대상은 경기도와 경상남도에 소재한 중학교 학생 37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불성실한 설문지 36케이스를 제외한 334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또한 자료 분석에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상관분석과, Baron과 Kenny(1986) 방식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공감과 또래관계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가 자녀와의 관계에서 공감을 잘 해줄 때 또래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둘째, 또래관계는 자아존중감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또래관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부모의 공감과 자아존중감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공감이 높아질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모의 공감 능력 중 공감적 정서반응, 관점수용, 정서지각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의 모든 하위요인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가 자녀에게 필요한 정서적 반응을 제때 보여주고, 자녀의 관점에서 받아들이며, 그들의 감정을 잘 헤아려줄 때 자녀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넷째, 부모의 공감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또래관계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공감은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중학생 자녀의 또래관계를 통해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분매개 한다. 본 연구는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에서 부모의 공감능력이 청소년 시기에 중요한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상관관계를 통해 확인하였고 가족 요인인 부모의 공감이 중요하며 학교와 사회 환경의 요인으로 또래 관계 또한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공감이 중학생 자녀의 자아존중감의 발달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또래관계가 매개하는 유의미한 효과를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 교육과 가족 상담 개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교육프로그램 개발에도 좋은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여성 피부미용 종사자의 공감능력과 상담서비스품질,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감정조절의 매개효과

        우은주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modern centuries the advance technology of media and internet ease to access and share a profess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various subject. Accordingly, in modern information age, individuals’ preferences and desire has become relatively complex compared to the past. Thus, individuals’ expectation standards of the skin care professionals’ knowledge and service quality has become further. As a result, industry should not offer simply selling skills and services, but also considerate relationship marketing strategy to leverage customer value. The skin care professionals were perceived as “physical labor in the past”. However, in recent years, skin care professionals requir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as they are treating skin; one of the human organs and having relationship within their customers while providing skin care services. According to the relevant preceding studies, the empathic ability, counseling service quality, emotional regulation, and job satisfaction research is constantly conducting. However, the studies of the relationship of each element; ‘empathic ability’ and ‘skin care professionals’, ‘counseling service quality’, ‘emotion regulation’, and ‘job satisfaction ‘are relatively insufficient. The skin care industry has labor dependent characteristic, since it offers a therapy which physical contact with professionals and customers is inevitable. Hence, for market competitiveness, securing and controlling labor force are significa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the correlation of the elements above and provide suggestion of the way to enhance and control labor force in skin care industry. Accordingly, the verify method is based on the self-regulat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skin care professionals.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has been used to analyz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one-way variat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parametric regression. First, a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prov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ach factor.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control were derived by one factor. The quality of counseling was derived from three factors: Professionalism, Kindness and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was derived from two factors: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Second, the influence of the empathic ability on counseling service qua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represented correlation and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in factors. The influence of the emotional regulation on counseling service quality, and job satisfaction represented counseling service quality has correlation within sub-factors except environmental factors. Lastly, the mediation effect when the empathic ability influences counseling service quality and job satisfaction represents emotional regulation has a medial effect in relation of the factors of professionalism and kindness of counseling service quality, and that emotional regulation has a medial effect in relation to psychological satisfaction among the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As mentioned above, the industry is labor dependent where enhancing and securing professional labor force is crucial for profitability and competitiveness. The correlation between empathic ability, counseling quality and job satisfaction represents it is recommendable to develop training program to enhance empathic ability to develop customer responses of the labor force. It is meaningful that this paper has demonstrated the correlation between empathic ability, counseling service quality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median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to suggest industry to consider those factors for develop its labor force. 현 시대는 미디어와 인터넷의 발달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전문적인 지식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정보화 시대이다. 고객의 욕구가 다양해졌으며 단순히 기술을 팔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영마케팅이 아닌 고객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고객가치를 끌어올리는 관계마케팅이 필요하다. 소비자들의 지식과 요구하는 서비스의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 과거의 피부미용 종사자는 단순노동으로 인식되어졌지만 현대의 피부미용 종사자는 신체 기관 중 하나인 피부를 다루는 업종인 만큼 전문적인 지식을 필요로 하고 있다. 피부미용 산업은 고객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인적자원의 의존도가 높은 산업이기 때문에 기업경쟁력을 위해 전문적인 인력의 확보와 지속적인 인적자원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양한 분야에서 공감능력, 상담서비스품질, 감정조절,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가 꾸준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피부미용 산업에 관련하여 공감능력과 종사자들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고 상담서비스품질, 감정조절,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공감능력, 감정조절, 상담서비스품질,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분석하고 감정조절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피부미용 산업에서 상담이 갖는 중요성을 인지하여 피부미용 종사자의 전문성을 증진시키고, 종사자의 직무에서 오는 스트레스와 직무 불만족으로 인한 이직률을 감소시켜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검증을 위해 조사 방법으로는 피부미용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통하여 조사한 총 380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으로 사용되었고,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이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각 요인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 한 결과, 공감능력과 감정조절은 각각 단일요인으로 도출되었고, 상담서비스품질은 ‘전문성’, ‘친절성’, ‘환경성’ 세 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직무만족은 ‘심리적 만족’, ‘근무환경 만족’ 두 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공감능력이 감정조절, 상담서비스품질 그리고 감정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의 관계를 보였다. 감정조절이 상담서비스품질,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상담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환경성 요인 외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의 관계를 보였다. 셋째, 공감능력이 상담서비스품질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때 감정조절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상담서비스 품질의 하위요인인 전문성 요인, 친절성 요인과의 관계에서 감정조절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중 심리적 만족 요인과의 관계에서 감정조절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피부미용 종사자의 공감능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이용하고, 내담자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를 부각시켜 차별화된 브랜드 가치를 구축해 나가면 소비자와의 신뢰관계가 형성되어 기업의 수익 창출에 기여하고, 더 나아가 종사자들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 전문적인 인력확보와 관리를 위한 발판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피부미용 산업 경영관리의 구축과 고급인력 육성과 확보를 위해 공감능력, 상담서비스품질과 직무만족이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이에 감정조절이 가지는 매개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역할놀이를 활용한 미술 감상 수업이 공감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이은지 서울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공감은 상대방의 감정, 생각 및 상대방이 처한 상황을 이해하고 그에 알맞은 감정을 느끼는 것이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공감은 초등학습자의 문제행동 감소, 갈등해결, 학교생활 적응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공감능력은 학습자의 사회성 형성에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공감능력은 미술과의 성격 및 교과 역량과 관련이 있다. 2015 미술과 교육과정은 미술 시간에 시각 이미지를 주제로 의사소통하는 과정에서 타인과 감정과 생각을 이해, 공감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인성을 함양할 수 있다고 하였다. 미술과의 다섯 교과 역량 중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은 미술 활동 중 다른 사람의 생각과 느낌을 이해, 존중하는 능력으로 공감과 관련이 있다. 이와 같은 공감과 미술 수업과의 연관성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술 시간에 초등학습자들의 공감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역할놀이를 활용하였다. 역할놀이는 다른 사람의 역할이 되어 그 역할에 맞게 행동하는 놀이로 다른 사람이 되어 본다는 점에서 공감과 비슷한 점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할놀이를 활용한 미술 감상 수업이 공감능력 신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초등학생 2학년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초등학교 2학년 학습자 30명에게 수업을 적용하였다. 측정 도구는 기존에 있던 공감능력 검사지를 미술 감상과 관련된 내용으로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학습 모형은 류재만(2004)의 감상 학습모형을 사용하였으며 학습모형의 모든 단계에서 역할놀이를 하는 것은 여건상 어렵기 때문에 역할놀이를 활용하기 적합한 단계를 선택하여 3회기 10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을 진행하고 난 후 공감능력 사전, 사후검사지, 동영상 녹화자료, 학습지, 참여일지를 바탕으로 본 미술 감상 수업이 학습자의 공감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놀이를 활용한 미술 감상 수업은 학습자들의 흥미 유발에 도움이 된다. 학습자들의 참여일지를 분석한 결과 역할놀이를 통해 미술 감상을 하면서 흥미를 느꼈다는 반응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하여 역할놀이를 활용한 미술 감상 수업이 흥미 유발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역할놀이를 활용한 미술 감상 수업은 공감능력 신장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통계 검증 결과 공감능력 사후검사 점수는 사전검사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사후검사 평균 점수도 사전검사 평균 점수보다 상승하였다. 셋째, 인지적 공감능력 신장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인지적 공감능력의 하위요소인 감정재인, 역할 취하기의 사후점수 평균이 사전점수에 비하여 상승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사후검사 점수가 사전검사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넷째, 정의적 공감능력 신장에도 효과가 있었다. 정의적 공감능력의 하위요소인 정서적 전이, 공감적 관심의 평균 점수가 상승하였으며 사후검사 점수가 사전검사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역할놀이를 활용한 미술 감상 수업은 초등학생 2학년의 공감능력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가 앞으로 학교 현장에 적용되어 학생들의 공감능력을 향상시키고 미술 감상 수업을 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Empathy is understanding emotion and thoughts of others and their situation and feeling the appropriate emotions. According to precedent studies, empathy makes positive effect on reducing problematic behavior, resolving conflict,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elementary learners. As said, empathic ability is very important in social formation of learners. The empathic ability is related with nature and subject competency of art. The 2015 art curriculum stated that students can naturally cultivate character by understanding and empathizing with emotion and thoughts of others during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visual image as a topic in art classes. Among five competencies of art subject, ‘self-directed art learning ability’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respect thoughts and feelings of others and is related with empathy. This study focused on the link between empathy and art classes and used role-play as a way to improve empathic ability of elementary learners in art classes. It is because role-play is a game of playing someone else’s role and behaving appropriately for the role that there are similarities with empathy in terms of becoming a different pers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role-play on improving empathic ability. This study selected 2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taking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nto account and applied the class on 30 2nd grade elementary students. For measurement tool, this study reconstructed existing questionnaire of empathic ability with art appreciation related contents. Appreciation learning model of Ryu Jae-Man(2004) was used as a learning model, and conducted 3 sessions of a set of 10 classes by selecting an appropriate stage to use role-play because it is difficult of conduct role-play in every step of the learning model. After the clas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art appreciation class on improving empathic ability of learners based on pre/post questionnaire of empathic ability, video recordings, workbook, and participation journal.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role-play is helpful for arousing interest of learne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participation journal of learners, it was identified that learners felt interest while appreciating art through role-play and that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role-play is helpful for arousing interest. Secondly,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role-play had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empathic ability.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verification result, post-test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re-test scores, and average score of post-test increased more than the average score of pre-test. Thirdly, it had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cognitive empathic ability. The average post-score of taking a role which is a subfactor of cognitive empathic ability increased more than the pre-score, and post-test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test score. Fourthly, it also had effects on improving affective empathic ability. Average score of subfactors of affective empathic ability as emotional transference and empathic concern increased and post-test sco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test score. When all the results were combined, it was identified that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role-play makes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empathic ability of 2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in schools in the future to improve empathic ability of students and in conducting art appreciation classes.

      • 청소년의 긍정적 정신건강과 공감 간 관계 : 긍정·부정 정서 시나리오 과제와 감성분석을 중심으로

        이나라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ost adaptive form of empathy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mental health and empathy of adolescents.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esent a method that can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self-report tests and measure integrated empathy. To this end, this study not onl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mental health and empathy, but also explored differences in empathy according to positive mental health types and differences in positive mental health according to positive and negative empathy types. Also, emotional scenario tasks and sentiment analysis were used as empathy measurement methods, and the validity of whether this method properly measures empathy, which is universally defined in previous studies, was confirme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99 high school students (125 male students and 174 female students) in Seoul. They completed a set of questionnaires: First, in order to measure positive mental health, the Korean Version of the Adolescent Positive Mental Health Scale(Kim et al., 2020) was used. Second, in order to measure empathy, the Adolescent Empathy Scale validated by Hong and Kim(2015) was used. Third, in order to measure empathy,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Davis, 1980) was used. Fourth, in this study, emotional scenarios were developed and used to measure emotional empathy and communicative empathy of adolescents. Participants evaluated the intensity of emotions felt after reading the scenario on a 1-7 point Likert scale. In addition, as a method of measuring communicative empathy, open-ended questions were used so that expressions they want to deliver to the characters in the scenario can be freely described. For the response data collected through open-ended questions, a sentiment analysis using the KNU Korean Sentiment Lexicon (On, Park, 2018) was conducted to derive communicative empathy val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mpathy variable of adolescents measured by a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scenario task and the variable of the existing empathy scale was confirmed. As a result, positive emotional empathy and positive communicative empath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existing empathy scale variables other than personal distress. Negative emotional empath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variables. On the other hand, negative communicative empath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nly between emotional factors of the adolescent empathy scale, IRI's perspective taking, and personal distress. Second, the results of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mental health variables and empathy variables of adolescents and the results of differences in empathy according to the positive mental health type of adolescents are arranged together as follows. The cognitive factors of the adolescent empathy scal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ental well-being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the flourishin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floundering group. IRI perspective taking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ental well-being. Next, the emotional factors of the adolescent empathy scale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ositive mental health. However, positive emotional empath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ental well-being,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lso, negative emotional empath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maladjustment. In addition, the expressive factors of the adolescent empathy scal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ental well-being, and the flourishin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floundering group. IRI empathic concer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ental well-being. On the other hand, IRI fantas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the flourishin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anguishing group. The flourishing group was reported to be the highest at fantasy, but the struggling group and floundering group were higher at fantasy than the languishing group. IRI personal distres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ental well-being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maladjustment. Moreover, the flounderin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flourishing group. Third, empathy typ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empathy, and differences in positive mental health variables between types were studied. As a result, the high empath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ental well-being than the negative empathy-centered group. Also, the high empathy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an the low empathy group. Fourth, the gender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ve mental health type and the empathy type according to the level of positive and negative empathy was confirmed.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the positive mental health type. In addition,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high empathy group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but the high empathy group accounted for a much higher proportion in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And compared to male students, the proportion of the low empathy group in female students was much lowe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ttempted to us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scenario tasks and sentiment analysis as a measurement method which measures emotional and communicative empathy more objectively and encompasses various definitions of empath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 valid method by showing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xisting empathy scale variables such as the Adolescent Empathy Scale(Hong, Kim, 2015) and the Interpersonal Response Index(Davis, 1980). Secon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bility to accept perspectives of other people who are in positive and negative situations, feel shared emotions, show actions and attitudes to help others based on warm concern and caring about others, but not to be overly immersed in other people's emotions and uncontrollable."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esent the direction of intervention that can improve positive mental health as well as improve the most adaptive form of empathy in the improving empathy program. Third, in this study, positive empathy was examined with negative empathy by using emotional scenario task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being high at both of positive and negative empathy is important for positive mental health, it is expected that focusing on not only negative empathy but also positive empathy in the intervention program will increase the therapeutic effe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긍정적 정신건강과 공감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가장 적응적인 형태의 공감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자기보고식 검사의 한계를 보완하고, 통합적인 공감을 측정할 수 있는 방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정신건강과 공감 간 관계를 확인할 뿐만 아니라,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에 따른 공감의 차이, 긍정·부정 공감 수준에 따라 구분한 공감 유형 간 긍정적 정신건강의 차이를 탐색하였다. 또한 공감 측정 방식으로서 정서 시나리오 과제와 감성분석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이 방식이 기존 연구에서 보편적으로 정의하는 공감을 적절히 측정하고 있는지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기존 공감 척도 변인과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299명(남학생 125명, 여학생 174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정신건강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판 성인용 긍정적 정신건강 척도(임영진 등, 2010)를 청소년에게 맞도록 김진영 등(2020)이 타당화한 한국판 청소년용 긍정적 정신건강 척도를 사용하였다. 둘째, 공감을 측정하기 위해서 홍예영, 김유숙(2015)이 개발 및 타당화한 청소년 공감척도를 사용하였다. 셋째, 공감을 측정하기 위해서 Davis(1980)가 개발하고 박성희(2004)가 번안한 것을 조효진(2006)이 수정하여 사용한 대인관계 반응지수(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를 사용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정서적 공감과 의사소통적 공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정서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참여자가 시나리오를 읽고 느낀 정서의 강도를 1-7점 Likert 척도로 평정하도록 하였다. 또한 의사소통적 공감을 측정하기 위해 시나리오 속 인물에게 전달하고 싶은 표현들을 자유롭게 서술할 수 있도록 개방형 문항을 활용하였다. 개방형 문항을 통해 수집한 응답 자료에 대하여 KNU 한국어 감성사전(온병원, 박상민, 2018)을 활용한 감성분석을 실시하여 의사소통적 공감 값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긍정·부정 정서 시나리오 과제로 측정한 공감 변인과 기존 공감 척도의 변인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긍정 정서적 공감과 긍정 의사소통적 공감은 개인적 고통 이외의 모든 기존 공감 척도 변인과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부정 정서적 공감은 모든 변인과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정 의사소통적 공감은 오직 청소년 공감 척도의 정서적 요인, IRI의 관점 취하기, 개인적 고통 간에서만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긍정적 정신건강 변인과 공감 변인 간 상관관계와 청소년의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에 따른 공감의 차이 결과를 함께 살펴보고 공통적인 요소끼리 정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청소년 공감 척도의 인지적 요인은 정신적 웰빙과 정적 상관, 심리적 부적응과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번영 집단이 부적응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IRI의 인지적 공감 중 관점 취하기는 정신적 웰빙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다음으로, 청소년 공감 척도의 정서적 요인은 긍정적 정신건강과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긍정 정서적 공감은 정신적 웰빙과 정적 상관, 심리적 부적응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부정 정서적 공감은 심리적 부적응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 청소년 공감 척도의 표현적 요인은 정신적 웰빙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번영 집단이 부적응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IRI의 공감적 관심은 정신적 웰빙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 IRI의 상상하기는 심리적 부적응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동시에 번영 집단이 쇠약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번영 집단이 상상하기가 가장 높게 보고되었으나, 분투, 부적응 집단이 쇠약 집단보다 상상하기가 높았다. IRI의 개인적 고통은 정신적 웰빙과 부적 상관, 심리적 부적응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부적응 집단이 번영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긍정·부정 정서적 공감 수준에 따라 공감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 간 긍정적 정신건강 변인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공감 상위 집단이 부정 공감 중심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정신적 웰빙을 나타냈다. 또한 공감 상위 집단이 공감 하위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심리적 부적응을 보였다. 넷째,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과 긍정·부정 공감 수준에 따른 공감 유형의 성차를 확인하였다.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에 있어 유의한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공감 상위 집단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지만, 공감 상위 집단이 차지하는 비율이 남학생보다 여학생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에서 공감 하위 집단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낮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정서적, 의사소통적 공감을 보다 객관적으로 측정하며 다양한 정의의 공감을 포괄할 수 있는 측정 방식을 사용하고자 긍정·부정 정서 시나리오 과제와 감성분석을 시도하였다. 또한, 이 방법으로 측정한 공감 변인이 홍예영, 김유숙(2015)의 청소년 공감 척도, Davis(1980)의 대인관계 반응지수(IRI)와 같은 기존 공감 척도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결과를 통해 타당한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긍정적 정신건강에 있어 “긍정·부정 상황에 있는 타인의 관점을 수용하고, 공유된 정서를 느끼면서, 타인에 대한 따뜻한 관심과 염려를 바탕으로 도움을 주려는 행동, 태도를 보이되 상대방의 감정, 부정적인 상황에 과도하게 몰입하고 통제가 안 될 만큼 고통스러워하지 않을 수 있는 능력”이 가장 적응적인 형태의 공감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공감 향상 프로그램에서 가장 적응적인 형태의 공감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긍정적 정신건강도 함께 증진시킬 수 있는 개입의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정서 시나리오 과제를 활용함으로써 긍정 공감을 부정 공감과 함께 살펴보았다. 어느 한쪽만 높은 것이 아닌 긍정, 부정 공감이 모두 높은 것이 긍정적 정신건강에 있어 중요하다는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개입 프로그램에서 부정 공감뿐만이 아니라, 긍정 공감에 균형적으로 주목하는 것이 치료적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공감훈련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혜연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아동들에게 공감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아동의 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공감훈련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 2. 공감훈련프로그램이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인 유능성, 지도성, 방해성, 교사에 대한 애정, 불안정성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 연구대상을 선정하기 위하여 S초등학교 5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공감훈련 프로그램 참가 신청을 받았다. 이를 통해 공감훈련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아동 24명을 선정하여 무선 표집의 방법으로 각각 12명을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배정하였다. 이 연구에 적용된 공감훈련프로그램은 채현탁(1998)의 '중학생의 이타행동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한명수(2000)의 '청소년 비행 예방을 위한 공감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권정안(2000)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공감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그리고 박재룡(2001)의 '공감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문제 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등을 토대로 하여 이 연구의 목적에 맞게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상담프로그램의 실시는 연구자가 매주 2회씩 5주간에 걸쳐 총 10회기를 하였으며, 한 회기마다 60-80분씩 소요되었다. 측정도구는 공감 검사 Davis(1980)의 척도를 수정하여 상담자의 공감변화를 측정한 신경일(1994)의 공감 척도 검사를 박재룡(2001)이 아동의 이해수준을 고려하여 재수정한 것으로 총27문항이다. 사회적 능력 검사도구는 O'Mally(1977)가 개발하고 민영순(1995)이 아동용으로 수정한 것으로, 5개의 하위영역을 측정하는 총28개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처리 분석은 SPSS/PC^(+) 전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p<.01, p<.05 수준에서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훈련프로그램은 아동의 사회적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 둘째, 공감훈련프로그램은 아동의 사회적 능력의 하위영역인 유능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셋째, 공감훈련프로그램은 아동의 사회적 능력의 하위영역인 방해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넷째, 공감훈련프로그램은 아동의 사회적 능력의 하위영역인 교사에 대한 애정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면, 공감훈련프로그램은 아동의 사회적 능력을 높여주고, 그 하위요인 중 유능성, 교사에 대한 애정을 향상시키며 방해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인간소외와 따돌림 현상이 늘어나는 요즘에 공감훈련프로그램은 아동들이 타인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려는 태도를 갖게 해주고, 자신감있게 적극적으로 삶의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Sensitivity Training Program has any effect on improving children's social ability appling to children. And we set up study problems like followings to achieve this purpose. 1. Does Sensitivity Training Program have any effect on child's social ability? 2. Does Sensitivity Training Program have any effect on sub-factors of social ability such as competence, leadership, disturbance, affection on teacher, instability? To select the objects of this study, we investigated volunteers who wanted to participating in Sensitivity Training Program on fifth grade students from S elementary school. In the method of Random Sampling, we selected 24 boy students, and then organized counseling group including 12 students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nd control group including the rest of 12 students. Sensitivity Train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reorganized as resaercher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previous literatures(such as program made by Chae, Hyeon-Tak(1998), Han, Myeong-Su(2000), Kweon, Jeong-An(2000), Park, Jae-Ryong(2001)) to b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ounseling program was executed by researcher directly total 10 times for 5 weeks, two times per week, and it took 60-80 minutes per a time. Empathy ability test which Park, Jae-Ryong(2001) revised Empathy scale test by Shin, Gyeong-Il(1994) having modified Davis' scale(1980) was used as a measure instrument, and it has total 27 questions. And instrument for social ability test was made by O'Mally(1977) and revised for child by Min, Yeong-Sun(1995), and it was composed of total 28 items to measure five sub-factors We used t-test to analyze data using SPSS/PC^(+) computing program at p<.01, p<.05 significance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Sensitivity Training Program has an effect on improving children's social ability. Second, Sensitivity Training Program has an effect on improving competence which is low rank of child's social ability. Third, Sensitivity Training Program has an effect on reducing disturbance which is low rank of child's social ability. Fourth, Sensitivity Training Program has an effect on improving affection on teacher which is low rank of child's social ability. To sum up conclusion of this study, Sensitivity Training Program is effective on developing children's social ability, improving capability and affection toward teacher of sub-factors, and reducing disturbance. So, these days when A human alienation and bullying phenomenon is increasing, Sensitivity Training Program have children have attitude that We respect the another person understanding and maintain perfect relation and help them solve the problems of the life Confidently and activel.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Sensitivity Training Program is needed for us to use actively in school spot in this point.

      • 공감이 부적 정서경험과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 공감자의 우울 수준과 관계친밀도에 따른 차별적 영향 검증

        장미선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공감이 공감을 하는 사람(이하 공감자)의 우울 수준과 공감 대상이 되는 사람(이하 공감대상)과의 친밀한 정도(이하 관계친밀도)에 따라 공감자와 공감대상에 대한 부적 정서경험과 관계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공감자의 우울 수준과(고 vs. 저) 공감대상에 대한 관계친밀도를(친구 vs. 지인) 조작한 다음, 충분한 공감을 위해 공감 글쓰기 처치를 실시하였다. 총 819명의 경기 지역 C 대학 대학생을 대상으로 우울 수준을 측정하는 설문을(BDI) 실시하였고, 실험 참여를 희망한 373명 중 120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처치 전후 공감자의 부적 정서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다차원적 정서 형용사 척도를, 공감대상에 대한 부적 정서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내현적 대인반응 척도 중 대인감정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관계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Rusbult(1983)가 제작한 관계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t검증과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 글쓰기 처치 후 우울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에 비해 우울감이 더 증가하였으며, 분노감은 더 감소하였다. 특히 분노감에 경우 우울 수준과 관계친밀도 조건 간 상효작용 효과가 있었으며, 관계친밀도가 높은 친구조건에서 우울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에 비해 분노감이 더 감소하였다. 둘째, 처치 후 공감대상에 대한 대인감정에 있어 친밀도가 높은 친구조건이 친밀도가 낮은 지인조건보다 혐오/분노감과 불안/난감함, 두려움/무력감이 더 증가했다. 셋째, 처치 후 관계친밀도가 높은 친구조건에서는 관계만족도가 감소하였고 친밀도가 낮은 지인조건은 관계만족도가 증가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대한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effect on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vels of depression and closeness of the one who empathized (empathizer) with the one was empathized (target). For this purpose, depression level of empathizer (high vs. low) and closeness to the target (friend vs. acquaintance) were manipulated. Then empathic writing intervention was operated. 819 college students completed BDI to measure depression level, and 120 of them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o measure changes in negative emotion of the empathizer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Multiple Affect Adjective Check List was used; and, interpersonal feeling subscale of The Covert Interpersonal Reaction Inventory was used to measure changes in negative emotion of the target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lso, Relationship Satisfaction Scale developed by Rusbult was used. For analysis, t-test and MANOVA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with low depression level presented increased depression level and decreased feeling of anger than the group with high depression level. There was interaction effect between depression level and closeness condition on feeling of anger, and the group with low depression level showed decreased feeling of anger than the group with high depression in the high closeness condition. Second, the condition with high closeness presented increased aversion/anger, anxiety/uncertainty, and fear/ helplessness after the intervention in terms of interpersonal feeling toward the target. Third, the condition with high closeness showed decreased relationship satisfaction whereas the condition with low closeness showed increased relationship satisfaction.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공감능력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이은희 한국교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The Effect of an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on the Empathy Ability and Agg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Lee Eun-hee Major in Counsel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This study set out to devise an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it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apply it to schools in order to help to prevent school violence. The study also aimed to select empathy, which receives the greatest attention as the protection factor affecting aggression characterizing school violence offenders most, and investigate whether the application of such a program would have effects on middle school students' empathy abilities and aggression, a personal factor.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Research Question 1. What kind of effects does an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have on the empathy abil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Research Question 2. What kind of effects does an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have on the agg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Research Question 3. What kind of effects does an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have on the subareas of aggression, namely physical aggression, indirect aggression, excitability, negativity, and verbal aggression? In an attempt to answer those questions, the investigator administered an empathy abilities and aggression test to total 34 students from a seventh-grade class in S Middle School in a myeon town of C City and also from a seventh-grade class in K Middle School in a similar environment to S Middle School. The experiment group included 17 students from S Middle School that recorded low empathy and aggression scores in the pre-test, whereas the control group included 17 students from K Middle School. The students from S Middle School who made the experiment group according to the pre-test results participated in an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consisting of total eight sessions each of which lasted 45 minutes once a week.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treatments, taking usual classes. After the experiment, both the groups took a post-test on empathy and aggression. The test tools include the empathy abilities inventory based on IRI(outlook, imagination, and empathetic interest) by Davis(1980) and the inventory by Bryant(1982) translate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Park Seong-hee(1997) and the Buss & Durkee Hostility Inventory(BDHI) by Buss and Durkee(1957) translated by Noh An-yeong(1983) and re-revised by Tak An-hee. For data treatment, t-test was performed o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with SPSS WIN(Ver. 20.0)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on the students' empathy abilities and aggression.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middle school students of the experiment group increased their mean scores of empathy abilities mor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Secondly, the experiment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significantly decreased in mean scores of aggression than the control group. Finally, the experiment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physical and indirect aggression, but they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excitability, negativity, and verbal aggression at p>.05. The program failed to influence some of the subareas of aggression because there was no enough time for group activities and interactions among students as 17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ithin a limited period of time. Since the program was provided only in eight sessions, it had a difficulty affecting the desirable behavioral habituation of the students who were psychologically withdrawn or showed an apparent aggression tendency in actions. The program especially had no impacts on the reduction of aggression in such subareas as excitability, which involves getting mad easily and insulting, negativity, which involves rejecting or resisting collaboration, and verbal aggression, which involves psychological and social harm to others because they are formed by long years of habits and can be changed only through individual counseling or ongoing relationships. In short,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for improving empathy abilities and reducing aggression. Therefore, if you implement education continuously and stepwisely by developing a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including such elements as social skills, consideration, communication, conflict resolution, self-esteem, emotion regulation, and perception and coping of school violence in addition to empathy, it will help the well-formed development of middle shool students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m through the decrese in the aggression among students. 요약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공감능력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중학생 수준에 맞는 공감을 기반으로 한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을 구안ㆍ적용 후 공감능력 및 폭력의 개인적 요인인 공격성과 공격성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공감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공격성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3.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은 공격성의 하위영역인 신체적 공격성, 간접적 공격성, 흥분성, 부정성, 언어적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C시 면소재지에 위치한 S중학교와 K중학교 1학년 17명씩 총 34명의 학생에게 공감능력 검사와 공격성 검사를 실시하여, 사전검사를 통해 공감 수준이 낮고 공격성 점수가 높은 S중학교 1학년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K중학교 1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사전검사를 통해 실험집단으로 선정된 S중학교 학생에게 매주 1회씩 8회기에 걸쳐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고 평소 그대로의 수업이 유지되었다. 실험이 끝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사후에 공감 검사와 공격성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로는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Davis(1980)의 IRI(조망하기,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와 Bryant(1982)의 척도를 박성희(1997)가 번안하고 수정ㆍ보완한 공감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공격성을 측정하기 위해 Buss와 Durkee (1957)의 공격성 검사(BDHI)를 노안영(1983)이 번안하고 탁안희(2012)가 재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집단 간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공감능력의 평균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통제집단의 학생에 비하여 공격성 전체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통제집단에 비해 신체적 공격성, 간접적 공격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나, 흥분성, 부정성, 언어적 공격성은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상 연구 결과에서 공격성의 하위영역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원인을 살펴보면 제한된 시간에 1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모둠별 활동이나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 시간이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8회기 내에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있거나 행동적 측면에서 공격성향이 두드러진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행동의 습관화에 영향을 미치기에는 무리가 따른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공격성의 하위영역에서 쉽게 화를 내거나 모욕을 주는 행동의 흥분성과, 협동하기를 거부하거나 반항하는 반대 행동을 하는 부정성 그리고 상대에게 심리적, 사회적 해를 기치고자 하는 언어적 공격성은 오랜 습관으로 형성된 영역으로 개별상담이나 지속적인 관계를 통해 그 변화가 가능한 영역이라서 공격성 감소에 영향이 미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상과 같이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공감능력 향상과 공격성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공감 이외의 사회적 기술, 배려, 의사소통, 갈등해결, 자기존중감, 감정조절, 학교폭력 인식 및 대처 등의 요소를 포함한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단계적, 지속적으로 교육을 실시한다면 보다 더 학생들의 공격성을 감소시킴으로 중학생들의 전인적 발달과 긍정적인 대인관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