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情報·文化空間으로서의 公共圖書館 建設計劃에 관한 硏究 : 地域住民을 위한 所要空間 計劃을 中心으로

        한무영 弘益大學校 建設都市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831

        지역주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서비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도서관은 장서보관 관리에서 전자정보 제공에 이르기까지 시대의 흐름에 동참하며 그 개념에 있어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전산화시스템의 개발로 다양한 정보를 손쉽게 제공하며, 기존의 TEXT중심의 도서에서 전자매체를 이용한 영상, 음향,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교류등 다양한 이용자계층에 도서관은 적극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심지어는 도서관내엔 장서가 아닌 전자화시스템 구축으로 이용자가 도서관을 찾을 필요 없이 단지 가정이나, 연구실 또는 사무실에서 원하는 자료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게 되었다. 도서관은 어느 특정계층의 전유물이 아니며, 어느 누구나가 편리하게 이 용할 수 있어야 한다. 지금의 도서관은 전산화시스템구축 기반위에 지역주민의 평생 학습관 이라는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것은 지역주민 누구나 가 일생동안 정보서비스 및 문화 활동등을 도서관을 통해서 습득,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인데, 기존도서관들의 대부분은 기존시설위에 이러한 것을 서비스 할 수 있도록 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 시키며 역부족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기본적 기능을 통하여 소요공간의 구성 및 기반시설에 대한 국내도서관 및 국외도서관을 답방, 문헌자료, 인터넷 사이트 등을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취, 지금의 다소 소극적이며, 정체된 도서관이 아닌 개방된 도서관, 지역주민이 일상활동의 장으로서 정보서비스 및 문화활동을 할 수 있는 적극적인 서비스 개념의 도서관을 계획하여 도서관의 기본적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건축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각 장이 구성되어 진행되었다. 제1장 서론부분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방법 및 연구의 범위를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정보·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개념과 그 기능에 대해 조사하며, 기존도서관의 문제점과 이에 따른 해결책 방안을 모색하였다. 도서관의 역사적 배경부터 전자도서관, 가상도서관에 이르기까지 그 개념들을 정리하여 도서관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고, 도서관의 기본적 기능에 있어 서비스에 따른 기능과 그동안 공공도서관이 소홀이 다루어 왔던 문화 복지시설로서의 도서관의 기본적 기능을 연구하여 건축계획에 있어 시설부분에 반영토록 하였다. 제3장에서는 제2장의 도서관의 개념과 기본적 기능을 바탕으로 도서관의 구성요소 및 이에따른 구성요소별 계획의 지침을 설정 하였으며, 서울시 및 경기도 일부지역의 현황분석을 통하여 도서관의 이용실태와 정보화시설 의 내용, 문화 강좌 개설등을 포함한 규모를 분석하였으며, 외국의 도서관 이용자수와 비교하여 공공도서관의 건립계획의 필요성을 연구하였다. 도서관의 이용자현황을 보면 일반인과 학생의 이용률이 비슷하다. 그러나 대출 책수는 평균적으로 1인당 2.5권에도 못미치는 상황이고 보면 이용자의 절반을 차지하는 학생들이 책을 대출하기 보다는 본인들의 학습에 치중하며, 열람실이 학생들의 공부방으로 전락되었음을 알수있다. 제4장에서는 3장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보 . 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 서관을 고양시 일산구 호수 공원내에 건축계획을 하였다. 건축계획안은 우선적으로 정보서비스 공간에 대한 규모계획을 바탕으로 문화공간과 별동계획이 아닌 한 동으로 계획하였으며, 충분한 충고와 자연적 요소의 유역을 계획하였다. 더불어 이용자수와 자료의 증가에 따른 공간의 융통성을 갖기 위해 열람실공간들을 Open space로 계획하여 이용자중심의 도서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용자가 쉽게 원하는 정보를 파악할수 있고 각 공간의 동선을 원활하며, 간결하게 계획하였고, 넓은 공용공간을 두어 이용자 동선의 혼잡성을 배제하며 충분한 채광과 계획 장소의 자연적 환경조건을 체감할 수 있도록 외장재를 고려하고, 내부공간에서 외부를, 외부에서 내부공간의 행태를 조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5장은 계획지침과 시설기준, 관련법규를 바탕으로 계획된 4장의 정보·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건축계획안을 통한 공공도서관의 발전적 방향 의 이론을 제시하여 본연구의 결론을 맺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관수에 대한 평균적 인구수는 118천명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수치는 매년 도서관수의 증가와 더불어 작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외국선진국에 비할 바는 못 된다. 선진외국에서는 지역분관을 설치하여 도서관이 지역주민의 인근에 위치하여 그 활용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지역대표관 위주의 설치보다도 지역분관을 설치하여 분관 및 대표단 간의 협력망이 구성된다면 이용자인 지역주민의 활용도가 높을 것이다. 둘째, 대부분의 국내 도서관은 자료열람공간을 학생들 개인의 학습(공부)공간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것은 공공도서관의 원래 취지와도 맞지 않는 것으로 오랜 시간동안 공공도서관은 이렇게 사용되어 왔고, 도서관의 개념으로 인식되어졌다. 이제는 이러한 잘못된 개념에서 벗어나 공공도서관의 본래 취지를 되살려 정보·문화 도서관으로써 새롭게 자리매김하여 지역주민 을 위한 최상의 서비스기관이 되어야 한다. 셋째, 계획에 있어서, 입지선정은 지역주민의 유동성이 많으며, 지하철 및 버스의 교통편이 좋고 자연적 환경조건이 좋아야 한다. 본 계획지의 입지 여건은 지역주민의 휴식처인 공원내에 위치하고 주변에 지하철 및 대형상점,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는 자연 환경적 조건이 우수한곳이다. 넷깨, 계획건물 시설규모의 산정에 있어서는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에 의한 최소한 규정보다는 20%이상 상향 되어야 한다. 정보검색 공간 및 밀집서가 등을 비롯하여 시설공간의 증가가 필연적이기 때문이다. 더불어 공공도서 관이 평생학습관 개념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문화강좌교실 및 집회실등에 대한 대상인구수, 연령분포대, 참가시간대등에 대한 조사연구를 통하여 Program을 설정하고 공간규모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정보서비스부문과 문화활동부문에 있어서는 정적인 공간과 동적인 공간의 대립적인 요소로서, 각 Zone의 구분을 명확히 분리하되, 통합적 요 소로서의 계획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여섯째, 계획건물의 blass는 주변환경적 요소에 순응하며 미래지향적인 이미지가 내포되어야 하고, 폐쇄적이 아닌 개방적(open-space)인 요소들로 구성하여 지역주민의 호기심을 유발시켜 도서관을 자주 이용할 수 있도록 Design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국내의 공공도서관은 지역적인 분관을 다수 설치하며 상호 Network을 통한 협력망을 구성하여 지역주민 가까이에서 정보제공 서비스를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잘못 인식된 공공도서관의 개념을 바로잡아야 하며 공공도서관이 결코 일부의 전유공간이 아님을 새롭게 인식하도록 건물계획에 있어서 충분한 검토가 요청되어 진다. 공공도서관은 시설관리 중심에서 벗어나 지역주민을 위한 서비스 운영중심으로 정보·문화 도서관으로써의 기능을 계속적으로 확충해 나가야 하며, 내부공간 및 외부공간은 개방적으로 계획하되, 지역주민이 거리낌이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Design 이 되어야 한다. 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에 대한 봉사활동기관으로서 지역 주민들이 정보에 목말라 하기 전에 먼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서비스를 하여야 한다. 본 계획안은 정보서비스 공간과 문화강좌 공간을 한 동으로 계획하여 홀을 중심으로 동선분리 하였고, 이용자동선과 관리동선을 명확히 구분하였다. 대부분의 정보서비스공간들은 홀을 중심으로 개방되어 있고, 별도의 학습 을 위한 공간은 구성하지 않았으며, 내, 외부의 공간들을 지역사회 주민들과의 Community 형성에 주안점을 두고 계획하였다. 제시된 계획안은 공공도 서관의 다양한 발전적 해결책중의 하나의 대안임을 밝히면서, 지역주민을 위한 공공도서관 운영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A library, which aims at providing the local community with a various kind of information, advances into offering e-information aside from cataloging and managing its shelves, commensurate with the times and accordingly changes what it is meant for. It can't be controlled by any particular person and shall be accessibly available to anybody. Today it develops into a place of lifelong classroom for the community on the framework of electronic systems, which means that anyone in the community makes him(her) available to the informational services and other cultural events, etc at the library over his(her) lifetime, whereas most of the established libraries are far beyond being capable of those services and activities, causing a lot of problems and inconveniences.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rchitectural design of a library that will be able to cope with inherent drawbacks to the established libraries by structuring libraries, accessible, not inactive and unusable alike to an extent, in an active service-oriented concept to offer information services and community activities as a place of daily life for the community through pointing out problems based on making trips to local and overseas libraries and looking into and analyzing documents and Internet sites about the layout of space in need and facilities fundamental to a public library. This study is made up of as follows: Chapter 1 describes what this study is designed for, how it is carried out, and how far it covers. Chapter 2 looks into the concept and function of a public library for information and community events. Chapter 3 sets up what a library is composed of and what should be done on those components on the basis of Chapter 2, and also includes an analysis of how a library is used, what it is equipped with for information, and what programs are available on a survey of some libraries in Seoul and Kyong-gi area, and furthermore shows why an architectural plan of a public library is needed taking into account the number of people visiting a library in foreign countries. Chapter 4 proposes an architectural library for information and community programs at the lake park in Ilsan from Chapter 3. Chapter 5 develops a theory about a far-sighted public library from Chapter 4 through the proposed guidelines, facility standards, and regulations.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people to library on average is put at 118,000, and is a far cry from developed countries. Those countries have libraries extend into communities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availability of libraries. It should be, if it were not only for a library representing the community, natural that libraries be made more accessible to the community when a network is incorporated between the main library and its detachments. Second, most of local libraries are taken advantage of for space by students for schoolwork, and those libraries shall advance to best serve the community for information and cultural programs to the purpose of a public library. Third, libraries shall be planned in terms of availability, accessibility, and comfortable surroundings. Fourth, the estimated facilities of a library shall be scheduled more than 20% by the related regulations as it will be necessarily expanded for computerized information needs and overloaded she1ves. Moreover, a public library changes into a lifelong classroom, and structural design and programs at a library is correspondingly demanded by considering the number of people, age range and timetable, etc, availing themselves of programs and meeting facilities at a library. Fifth, information services and cultural programs at a library are divided as static and dynamic and also incorporated together. Sixth, a scheduled library shall be reconciling to its surroundings and be indicative of the future, and be also architecturally arranged for local people to frequent in curiosity. As presented above, a local library should be able to have local people get access to information services on the premises by branching out and building up a network among them in the community. Also, a library should be construed right in its meaning and a structural design of a library is thoroughly studied to make sure a library is open to everybody. A public library shall not be managed in terms of its facilities, but in terms of service for the community and work further for information and culture with the exterior and interior space both in an open setting, nor limited, but available to local people. As an institute for the community, a library should be able to move first forward to local people to serve before they ask for information. The information space in the proposed architectural draft is open to its lounge with no space for schoolwork in and the interior and exterior arranged for the community of local people. It is hoped that the drafted design is one of substitutes for a forward-looking library and will help manage a public library for local people.

      • 지속가능한 해양이용을 위한 생태계기반 공간관리에 관한 연구 : 한반도 주변해역을 중심으로

        이문숙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831

        Increasing demand for different marine space use is causing multiple conflicts and disputes.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from the perspective that widely-used existing marine spatial management approach is limiting the sustainable use of marine space. The ultimat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clarify that the ecosystem-based approach is the most important and propose marine spatial planning is an important tool to achieve sustainable marine use. It means that continuous utilization of marine space in the future requires integrated and holistic management principles as well as practical measures fore the realization of such management demand. Four separate but interrelated steps were taken for this study. Firstly, the study analyzed disarrayed and often tangled concepts of marine spatial managemen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marine spatial planning. The analysis also considered limitations when using the existing marine spatial management approaches. Secondly, the study investigated means and approaches used in land-space planning which has much longer history and experience in spatial management, and implications were drawn out on the marine spatial management methods. Thirdly, necessity of ecosystem-based marine spatial management was documented through case study analyses. Lastly, as a conclusion, the study presented directions and various options which can be applied to realize ecosystem-based marine spatial management in the marine water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cosystem-based marine spatial management generally encompass overall space-based actions in all human activities of usag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of marine resources for different purposes which are practiced in consideration of ecosystem and its services. It can employ available social, institutional and technical means to allow marine-use activities by human for appropriating environmental capacity and emphasizing the ecological system. Marine spatial planning is the core of such approach. The marine spatial planning has a spatial contrast to land-use planning which has long been employed the core concept of sustainable spatial management for land sector but conceptually similar in general ideas. The main point of land-use planning is based on prediction of future economic and social changes, most desired human activities are selected for the limited land space as well as determine the level of those human activities. Such planning quantitatively distributes the land spaces for reasonable land-use management, determines locations by functions, and presents evidence for operational basis for implementation and enforcement measures such as land-use regulations. In this study, implications were drawn out for marine spatial planning based on analyses concerning future prediction, space allocation planning method for the land-use planning as well as the process of planning and support system. Korea's marine space management is achieved by use-practice management policy system, and integrated coastal zone management policy system based on individual laws and regulations. These practices are limited because they lack detailed space management measures for operating spatial management, determining functional type and activity level of space based on sectoral approach. In order to overcome such limitation, introduction to ecosystem-based marine spatial management approach method is necessary for managing resource-use demand by considering human activity as part of ecosystem components. In other words, ecosystem-based marine spatial management fuses the theoretical concepts of ecosystem-based approach to marine space management, and introduces conceptual management principles and methodolog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pace management approach. In this study, such concept has been verified by analyzing the cases of ecosystem-based marine spatial planning applied in Europe, Australi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inally, core principles, application directions, and the basic process of ecosystem-based marine spatial planning are propo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in the existing and traditionally used approach in absence of specific space management measures for operating spatial management based on the sectoral approach and for determining functional type and activity level of space for the marine area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core principles of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ecosystem-based marine spatial planning for marine area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would be maintaining a healthy ecosystem, integration, trust and transparency, cooperation, and science-based. The application directions are proposed as follows : (1) providing a motivating basis and main driving groups for the planning, (2) internalizing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stakeholders within the planning system, (3) assessing environmental capacity and suitability of space utilization, (4) future prediction and rational space allocation, (5) science-based marine spatial use planning for supporting decision making, (6) elucidating relationship with the existing marine spatial management related systems, (7) implementation measures for marine spatial planning. Lastly, marine spatial planning process is presented as follows : (1) establishing goals and objectives, (2) analyzing stakeholders, (3) assessing utilization appropriateness and accommodation capacity of environment, (4) predicting future and rational allocating of spaces, (5) proposing achievable and realizable measures and selecting final options, (6) confirming the planning, (7) implementing the planning, (8) evaluating and improving the planning. The primary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study dealt with achievable and practical measures to realize and verify that the alternative to spatial management for sustainable marine use depends on application of ecosystem-based approach measures in that the concept of ecosystem-based approach is linked to 'sustainable use' principle. Another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it differentiated and elucidated disarrayed ideas of marine spatial planning into the concept of ecosystem-based marine spatial management and marine spatial planning. Concepts, procedures, and methodologies to land-use planning which is key tools of land spatial management are set as corresponding concepts of marine spatial planning and implications are drawn out and ascertained. Thus this can be used as a model in the future for specific research studies on prediction, position allocation, capacity calculation, and other concepts of marine spatial planning. In conclusion, by presenting directions for marine spatial planning for the marine areas around the Korea peninsula, this can be used as supporting material for practical policy-decision making in promoting marine spatial planning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Korea's ecosystem-based marine spatial management.

      • 식음공간의 가변적 사용을 위한 실내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박혜선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831

        경제, 사회, 문화의 변화에 따른 라이프스타일과 소비 패턴의 변화는 식음 문화의 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식음공간도 다양한 형태로 발전, 성장하고 있으며 기존의 먹고 마시기 위한 의미의 식음공간이 사람들과의 사교와 회합을 겸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바뀌면서 갈수록 다양한 사용 용도에 따른 공간의 가변적인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다양해지는 식음공간의 용도에 따른 가변적인 가변적 사용을 위한 실내 공간계획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관련 문헌 조사와 면담 조사 방법, 현장 관찰 조사를 채택하였다. 조사 대상은 서울 지역의 식사를 위주로 하는 각기 다른 입지적 특성을 가진 한식, 중식, 일식, 이탈리안식, 태국 음식점 중 다양한 용도의 사용이 계획되고 다양한 가변적 사용을 볼 수 있는 식음공간을 각각 1개씩 정한 뒤 객석 공간을 중심으로 직접 방문, 관찰과 실측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 식음공간의 공간 구성은 A, B 식음공간은 홀과 룸으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을 보였으며, C, E 식음공간은 공간을 세분화하는 구성 방법을 보였고. D 식음공간은 전체가 홀로만 구성되었다. 각 식음공간의 입지 특성은 지역적 특성과 도로와의 관계에 따라 매우 다양하였다. 고객 특성은 백화점 내 입지한 B 식음공간을 제외하고는 30∼40대 위주, 금융, 증권계, 외국계 기업 종사자가 주를 이루었으며 입지 특성에 따라 A 식음공간은 정치가, B 식음공간은 주부 등의 고객이 주를 이루었다. 2) 각 식음공간의 물리적 환경 요소에 의한 공간 구성은 마감재, 색채에 의한 구성에 의하여 가장 작은 단위로 분할되어 있었으며, 가변적 사용으로 연결되는 공간들의 마감재, 색채를 유사하게 사용하여 확장 시 한 공간으로 인식되도록 하였다. 설비 계획에 따른 구성으로는 조명 설비에 따른 구성이 가장 세분화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명 설비의 조절은 대부분 각 실별 조절을 하고 있었으며 공조 설비의 계획은 대부분이 전체를 일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향 설비의 계획은 대부분 각 구역 별 조절을 하고 있었다. 3) 각 식음공간의 용도별 특성은 입지와 공간 구성에 따라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오피스 빌딩에 위치한 A 식음공간은 주 5일제 근무의 영향으로 주중에는 일반식사와 비즈니스모임이 가장 많고 주말에는 사교모임과 행사모임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백화점 내 위치한 B 식음공간은 주부 고객이 대다수를 차지하면서 일반식사가 주 용도를 이루고 있었다. 세분화 된 공간 구성을 보인 C, E 식음 공간은 사교모임과 비즈니스 모임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전체가 개방된 공간구성을 보인 D 식음공간은 일반식사가 주를 이루었다. 용도별 사용 인원은 일반식사의 경우 2인 이하, 2-4인이 대부분을 이루었으며 사교모임과 비즈니스모임은 대부분 4-6인, 6-8인이 가장 많았다. 행사모임의 경우는 각 식음공간이 가지고 있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 12인-30이상까지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4) 각 식음공간의 용도별 공간적 요구 사항에 따른 분석은 다음과 같다. 일반식사시 타 용도에 비하여 가장 낮은 정도의 공간의 분리감과 영역성 등을 요구하였으며 디자인적 요구 사항에 대하여는 대부분 별다른 요구 사항을 필요로 하지 않았다. 사교모임시 공간적 요구 사항으로는 청각적 분리, 차단된 공간 필요에 대해 높은 요구 정도를 나타냈다. 디자인적 요구 사항에 대하여는 이미지 공간 필요에 대하여 보통 이상의 요구를 나타냈다. 비즈니스 모임시 공간적 요구 사항으로는 시각적, 청각적 분리에 대하여 매우 높은 요구 정도를 보였다. 디자인적 요구 사항에 대하여는 디자인 요소 배제의 항목에 대하여 높은 필요성을 나타냈다. 행사모임시 공간적 요구 사항으로는 각 항목에 대하여 가장 높은 정도의 공간의 분리성과 차단성을 필요로 하였다. 또한 행사를 위한 부대 공간의 필요와 인원에 따른 다양한 테이블 배치에 대하여 매우 높은 필요를 나타냈다. 5) 각 식음공간의 용도별 가변적 사용 현황은 대부분의 식음공간은 홀 공간의 경우 파티션, 스크린 등의 설치를 통하여 공간의 영역성을 확보한 뒤 테이블 배치를 통해 다양한 인원수에 따라 공간을 가변적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또한 개별 룸 공간은 각 공간 사이의 칸막이 벽을 무버블 파티션으로 설치하여 공간을 연결, 분리한 뒤 테이블 배치를 변화시켜 사용하고 있었다. 6) 식음공간의 가변적 사용에 대한 의견은 가변적 사용이 활성화되어 있을수록 식음공간 내 가변적 사용의 필요성에 대하여 높은 요구 정도를 나타내었으며 공간의 가변적 사용이 식음공간의 매출 신장과 이미지 개선에 효과가 있음으로 나타났다. 현 식음공간 내 가변적 사용의 문제점에 대하여는 공간의 청각적 차단의 어려움으로 답하여 실제 실내 계획 시 주로 시각적 차단에 초점을 맞춘 기존의 설계 관행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각 식음공간의 고객은 일반 고객조차 자신만의 공간을 갖기를 원하여 시각적, 청각적 차단이 가능한 룸 공간을 선호하였으며 따라서 실내 계획시 열린 홀 공간과 막힌 개별 룸 공간 사이의 적절한 면적 배분과 가변적인 사용에 의한 활용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식음공간을 계획 시 에는 입지에 따른 특성을 조사하여 주 고객과 주 용도를 파악한 뒤, 용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 구성과 설비 계획이 필요하다. 각 공간은 용도에 따른 요구 사항에 따라 막히거나 열리거나, 혹은 넓은 하나의 공간으로 계획되거나 세분화된 작은 공간으로 계획되거나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각적 분리에 치중하였던 관행에서 벗어나 청각적 분리가 충분히 반영된 공간 계획이 필요하며 가능하면 각각의 설비 조절 시스템 역시 세분화되어 공간의 용도에 따른 요구 사항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공간 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가변적 활용을 위한 방법은 그 필요성에 비하여 개발의 정도가 현저히 낮은 편이므로 차후 보다 활성화된 가변 시스템의 개발과 디자인이 필요하다. General changes in economy, society, culture have a huge effect on consumer's lifestyle and consumption pattern, and also, on various shapes of a restaurant. Nowadays a restaurant is a space in which people not only eat and drink but also have the social meeting and congregations. Therefore, a multi-purposed, easily changeable space is becoming necessary by the d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change of restaurant space over time and to provide guidelines for the interior design plan of multi-purpose restaurant space. The research data are based on interviews, field observations and questionnaire surve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 restaurants, which have different locations, different food items and various purpos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Generally A, B restaurants are composed of a hall and rooms. C, E restaurants are consists of many subdivided spaces. D restaurant is consists of only many hall. The location property of each restaurant is various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road and local characters. Main clients of these restaurants except B restaurant (which is located in a department store) are composed of financial specialists and businessmen working in multinational companies who are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In restaurant A, customer group consisted of many politicians, and in restaurant B, the customers were mainly housewives. 2) The space of each restaurant is firstly classified by materials and colors in a way that when each classified spaces are put together for a certain big occasion, it can look like one big space, because adjoined spaces have similar materials and colors. The lighting plan is the most basic source of division between each spaces in the facility plan. Each zone has a separate lighting facility, however, the building facility was mostly a central control system. The sound facilities were also being separately controlled by each section. 3)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atial purpose are different according to locations and space compositions. A restaurant in an office building has a lot of business meetings and dining meetings during the week while there are a lot of private parties and event meetings on the weekend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e 5-work day policy. B restaurant, in a department store, has a lot of casual dining meetings. C, E restaurants which are composed of many divided spaces mainly have private parties and business meetings, and D restaurant, having a whole, open space, mainly had casual dining meetings despite of its location near a commercially busy street. Number of members in a casual dining meeting is usually 2 (or less than 2) persons and 2-4 persons. Number of members in a private party and business meeting is mainly 4-6 persons or 6-8 persons. Number of members in an event meeting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pace. 4) Analyses of spatial requirements for each purpose of each restaurant are as follows. During a casual dining meeting, clients demand the lowest level of spatial segregation and territorial detachment while they have few demands for design requirement. At a private party, clients strongly want to have individual sound facilities and visually intercepted spaces. Also the members of a private party wanted a relatively high level of design and image qualities of the space. For a business meeting, clients strongly want to be separated auditorily and visually while they don't have a high demand on design. At an event meeting, clients wanted the highest level of auditorial and visual detachment. Also members of event meeting needed space for holding events and various table layout. 5) Analyses of various uses of a space are as follows. Most restaurants, in the case of a hall, spatial segregation was secured through setting up partitions and screens and using the space variably through table layouts. Moreover, each room settings had movable partition walls between spaces to combine and separate spaces. 6) Analytical opinions for the various spatial uses are as follows. The more the possibilities of usage variety are available, the more demand there was on the necessity of the various use of each restaurant. Therefore, the conclusion is that various use of space helps to expand sales and improve spatial image. The most difficult problem in various usage system was found to be the difficulty of auditorial separation in each space. In the end, each individual client wants to have their own spaces, and they prefer a room which is auditorily and visually separated. Consequently, interior design plan with the right allotment between open-hall and closed-rooms, and utilizingspace for various uses is important. In conclusion, in planning a restaurant space design, you first need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location, understand the main purposes, and then set up a layout and facility plan, organizing the space in a way where it is possible to be used for multi- purposes needed. Each space can be open or closed, or be used as a one big space or several subdivided spaces, according to customer demands. It is also important to overcome the general problem of focusing only on visual detachment and reflect the auditory needs in the design plan, and, if possible, each facility control system should also be divided so that each space can adopt customer needs and wants according to usage and purposes. More research and studies are needed in design and plan for variable usage systems, as the field is highly underdeveloped compared to increasing needs in the market.

      • 도시공간환경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공간환경전략계획의 특성 연구

        어상진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831

        In recent years, urban space has required integrated management and maintenance based on sustainability. The "Space Environment Strategy Plan," l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s a planned means introduced to manage urban space in an integrated manner by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ility. Even though the Spatial Environment Strategy Plan has good purpose,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how differentiated the Spatial Environment Strategy Plan is compared to other plans for place-oriented or integrated urban management. Against this backdro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lanning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Spatial Environment Strategy Plan established to fill the gap between urban planning and individual architecture. Through this, we would like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for the Spatial Environment Strategy Plan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urban spatial environment.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plans of five local governments that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Spatial Environment Strategy Plan establishment support project in 2021. The planning elements for each item of the Spatial Environment Strategy Plan were derived using the contents of the local government's Spatial Environment Strategy Plan to be analyzed as basic data,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expert AHP analysis.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expert FGI analysis,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e Spatial Environment Strategy Plan. The results of the study derived through this are as follows. First, a common feature of the Spatial Environment Strategy Plan to be analyzed is that the planned area is mainly centered on the original downtown area, which is the location of the old city or Eup and Myeo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management target of the urban spatial environment is focused on the existing downtown area, which is old or underdeveloped. Second, as a result of AHP analysis according to weight, the important planning elements of the Spatial Environment Strategy Plan for integrated space management were derived in the order of 1st-Linkage between pedestrian streets and parks and squares (.052), 2nd-Priority-creating a nature-friendly base park (.032), 3rd Place-Maintenance and connection of alleys in residential areas (.034), 4th-Walk Priority (.032), 5th-Place-Securing accessibility and diversity of public transportation (.032).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problems of the Spatial Environment Strategy Plan and the improvement plan of the Spatial Environment Strategy Plan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urban spatial environment were presented. The biggest problems of Spatial Environment Strategy Plans is that the goal of the plan is unclear and the criteria for the basis for planning are ambiguous, pointing out that the systematicity of the plan is somewhat low. In connection with this, the similarity to existing plans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has led to a lack of differentiation, and whether to secure the execution power of the actual business plan (guaranteed budget) has been raised as a question. Accordingly, measures to improve the Spatial Environment Strategy Plan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urban spatial environment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law and institution, the basis standards need to be clearly and clearly presented at some level than at the current level. Second, In terms of the planning proces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master plan that is flexible to changes in the spatial environment, and to prepare various support measures in the private sector. Third, in operation and management aspect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strengthen links with the private expert operation system and to create a cooperative support structure. 최근 도시공간은 지속가능성에 기초하여 통합적인 관리와 정비가 요구되고 있다. 국토교통부 주도하에 추진되는 ‘공간환경전략계획’은 이러한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지역 특성을 반영하여 통합적으로 도시공간을 관리하기 위해 도입된 계획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좋은 취지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소중심적 또는 통합적 도시관리를 지향하는 다른 계획들과 비교했을 때 공간환경전략계획이 얼마나 차별성이 있는 계획인가에 대해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계획과 개별 건축 사이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 수립하는 공간환경전략계획의 내용을 분석하여 계획 특성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도시공간환경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공간환경전략계획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21년 국토교통부 공간환경전략계획 수립 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된 5개 지자체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지원사업대상 지자체의 공간환경전략계획 수립내용을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공간환경전략계획의 항목별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전문가 AHP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전문가 심층 인터뷰 조사를 바탕으로 공간환경전략계획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도출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원사업대상 지자체 공간환경전략계획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특징은 계획 권역이 주로 구시가지나 읍·면 소재지에 해당하는 원도심 일대를 중심으로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도시공간환경의 관리대상이 노후하거나 낙후된 기존 도심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중치에 따른 AHP 분석결과, 통합적 공간관리를 위한 공간환경전략계획의 중요 계획요소(소분류)는 1순위-보행가로와 공원·광장의 연계(.052), 2순위-자연친화적 거점공원 조성(.037), 3순위-주거지내 골목 정비·연결(.034), 4순위-보행우선가로 지정(.032), 5순위-대중교통수단 접근성·다양성 확보(.032)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간환경전략계획의 문제점과 도시공간환경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공간환경전략계획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간환경전략계획의 가장 큰 문제는 비법정계획이라는 점에서 계획의 목표가 불분명하고 계획 수립근거의 기준이 모호하여 계획의 체계성이 다소 낮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이와 연계하여 지역 특성을 반영하는 기존 계획들과의 유사성으로 차별성이 부족하고 실제 사업계획의 실행력 확보 여부(예산 확보)가 문제로 제기되었다. 이에 따른 도시공간환경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공간환경전략계획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법·제도적 측면에서 어느 정도 수준에서 현재 수준보다 근거 기준이 명확하고 분명하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 둘째, 계획수립과정 측면에서 공간환경변화에 유연한 통합마스터플랜 수립이 필요하고, 민간영역의 다양한 지원수단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운영 및 관리적 측면에서 민간전문가 운영제도와의 지속적인 연계 강화와 협력적 지원구조를 만들 필요가 있다.

      • 전문교과 교육과정에 대응하기 위한 공업계고등학교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이상민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1

        저출산과 고령화, 전반적인 사회구조 변화로 인해 기능 및 기술인력은 점차 부족해 짐에도 불구하고 공업계고등학교 졸업생들은 취업보다는 진학률이 점차 높아지는 것이 현실이다. 기술분야의 안정적이고 질높은 인력공급을 위해서는 공업계 고등학교의 본질적인 기능회복과 정체성 회복이라는 근본적 관점에서 문제를 접근해야 하며 효율적인 기술 및 기능교육을 위해 공업계 고등학교를 위한 적정한 공간계획이 필요하다. 전문계고등학교 교육방향의 고찰을 통해 공업계고등학교 건축계획의 원칙과 방향을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공업계고등학교 건축계획에 있어서의 규모산정의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공업계 고등학교의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공간계획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범위는 사회 및 교육의 발전방향과 새롭게 개정된 7차교육과정에 의한 객관적 기준을 기본으로 한다. 또한 전문계 고등학교 중에서 공업계 고등학교로 한정하여 연구를 실시한다. 이는 과거에 비해 정체성의 위기를 겪고있는 공업계 고등학교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이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공간계획방법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필요한 다양한 공간중에서 공업계 고등학교의 교육을 위한 핵심적인 공간인 전문교과교실로 한정하여 그 규모계획에 대한 연구를 실시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문헌고찰을 통해 사회변화와 전문계고등학교의 교육방향을 분석한다. 둘째, 전문계고등학교의 교육방향과 교육과정 등의 내용을 통해 건축계획의 원칙과 방향을 추출한다. 셋째, 건축계획의 방향과 규모산출을 위한 요소와의 교차분석을 통해 전문계 고등학교의 규모산정을 위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넷째, 분석된 내용을 통해 규모산정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인자를 추출한다. 다섯째, 추출된 인자를 통해 규모산정 방법과 수식을 도출한다. 공업계 고등학교의 공간계획을 위한 교실수 산정을 위한 체계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수 산정계획에 있어서 가장 우선적으로 각 전문교과의 특성을 분석하여 필요한 공간의 종류를 결정해야 한다. 둘째, 각 전문교과를 위한 공간의 종류가 결정된 이후 각 공간별로 해당교과에 대한 수업시수를 결정해야 한다. 수업시수는 단위수의 형태로 학교별 교육과정에 명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결정해야 한다. 셋째, 학생수는 기본적으로 전공별 학년 학생수를 기본값으로 설정해야 한다. 넷째, 과목당 총 수강 학생수와 수업시 학생 그룹수에 의해 수용율을 결정한다. 수용율은 교실용량에 관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일정교실용량에 넘치는 학생수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교실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수용율 개념의 수치가 올라갈수록 많은 수의 교실이 필요하게 된다. 다섯째, 수업가능시간을 결정한다. 수업가능시간을 결정해야 하는 이유는 일정한 과목에 대한 이수시간이 있을 경우 이 과목을 일주일에 몇회정도 소화할 수 있는 가에 대한 회전율(turn over rate)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섯째, 과목별 학생이 해당과목의 수업시수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총 교실면적을 산출한다. 일곱째, 교실수는 산출된 총면적에 대한 공간의 단위면적의 비로 결정할 수 있다. 공간의 단위면적은 단위공간의 수용인원과 기자재, 여유공간 등에 의해 결정되는데 각 공간의 특성에 따른 적정 단위면적을 산출하여 이 공간이 수용할 수 있는 용량에 따라 교실수가 산출되게 된다. 여덟째, 교실수는 이용율을 통해서 보정해야 한다. 이용율은 교실이용의 여유 혹은 시간표 작성 상의 여유를 어느 정도 줄 것인지에 대한 정도를 결정하는 정도를 말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아홉째, 각 과목의 공간별 교실수가 산정이 된 후에는 타 교과를 위한 공간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공용이 가능한 실의 경우 교실수를 합산하여 결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 교과공간과의 관계 분석을 통한 유사한 교과공간에 대한 공용교실화는 공업계 고등학교 공간계획에서 매우 유용한 방법이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교실의 이용율을 높이고 보다 다양한 종류의 공간을 확보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공간계획이 가능하게 된다.

      • 복합상업시설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가든 파이브와 타임스퀘어를 중심으로

        김하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831

        상업 공간은 20세기 후반부터 U.E.C(Urban Entertainment Center)의 출현으로 소비행위 뿐 아니라 식음과 문화, 오락 레포츠 시설 등의 다양한 기능이 복합화되기 시작하면서 쇼핑과 외식, 오락, 여가생활을 원스톱으로 즐기는 ‘몰링(malling)’이 단순한 소비 트렌드를 넘어 라이프 스타일로 자리잡고 있다. 국내에서는 2000년대 후반 들어, 코엑스 몰(Coex Mall)을 시작으로 복합 상업시설의 붐을 이루고 있으며, 일부 백화점들도 복합 상업시설로 변신 중이다. 2000년 이후로 복합 상업시설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건축 계획적 측면에 관한 연구들은 국내외 사례를 바탕으로 연구의 범위가 공간적 측면, 테넌트 구성, 물리적 배치, 디자인 측면 등이 광범위하게 나열되어 있다는 한계점을 보여준다. 또한, 건축계획의 특성에 관한 연구들은 건축 계획적인 요소에 대해서 정성적인 방법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객관적인 판단을 하기 위해 정량적인 방법인 공간구문론과 V-ERAM 등의 공간 분석 툴을 활용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0년대 후반에 개장한 대표적인 활성화 사례인 장지역의 가든 파이브와 비활성화 사례인 영등포역의 타임스퀘어를 비교 분석을 하였다. 동남권 최대 유통단지를 표방하며 문을 연 가든 파이브는 정책, 사회적인 문제뿐 아니라 여러 가지 문제가 복합적인 원인으로 좀처럼 활성화된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가든 파이브의 문제점과 활성화 정도는 언론의 분석과 가게 주인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상시 거주하는 가게 주인의 인터뷰를 통해 심각성과 그들이 생각하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들을 수 있었다. 가든 파이브와 타임스퀘어의 용도구성의 비교분석을 통해 가든 파이브의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가든 파이브는 엔터테인먼트의 비율이 낮고 소비의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집객력이 높은 앵커테넌트가 2개의 관으로 집중 배치되어 쇼핑객의 흐름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향이 나타난다. 분석대상의 동선체계는 세부적으로 출입구 동선, 수직 동선, 수평동선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동선의 현황과 건축특성을 분석하고 정량적인 방법인 공간구문론과 V-ERAM을 통해 공간 구조적인 특징을 도출하였다. 가든 파이브는 소규모 상점보다 대형 앵커시설인 백화점의 전체 통합도가 높게 나타나 공간 구조적으로 백화점이 중심성이 강하고 접근성이 좋은 공간이며 타임스퀘어는 상가 몰이 백화점보다 통합도가 높아 백화점보다 상가가 접근성이 좋은 공간임을 알 수 있다. 전체적인 수직적인 순환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인 수직 동선의 경우, 가든 파이브는 개방형 코어인 에스컬레이터보다 폐쇄형 코어의 통합도가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나지만 타임스퀘어는 개방형 코어의 통합도가 모든 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수평동선의 경우, 가든 파이브의 소규모 상가와 백화점을 연결하는 부분의 통합도가 다른 동선의 통합도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집객력이 높은 백화점의 흐름이 소규모 상가까지 유도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든 파이브 지상 1층 외부 광장은 시설의 구심점에 위치하며 전체 통합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며 도시민들의 이용율이 높은 공용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지만 지하 광장은 이용율이 낮으며 전체 통합도가 낮게 나타난다. 내부 중심공간의 전체 통합도를 비교했을 때, 가든 파이브의 내부 중심공간의 통합도는 다른 동선의 통합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지만 타임스퀘어의 경우 높은 수치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추출한 활성화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을 바탕으로 건축적인 제안을 하였으며 공간구문론과 V-ERAM을 통해 분석했을 때, 기존의 도면에서의 분석값에서 변화된 수치를 보여준다. 건축적인 제안에서 그치지 않고 공간구문론과 V-ERAM을 활용하여 제안의 타당성을 증명하였다. 1) 용도구성- 2개의 동의 상부에 치우쳐 있는 앵커테넌트를 분산 배치하여 고객의 흐름을 수직·수평적으로 유도하고 관련시설의 인접 배치와 엔터테인먼트 시설을 추가하여 고객의 체류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한 제안을 한다. 2) 동선체계- 개방형 코어를 출입구와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재배치와 보이드(Void) 공간을 연계하여 개방감을 좋게 한다. 기존의 평면은 다량의 상점을 한 층에 너무 많이 배치하여서 휴식공간과 여유공간이 부족하다. 보이드 공간을 중심으로 휴식공간을 마련해주고 상점을 자유곡선형으로 재배치하여 장시간의 쇼핑을 유도한다. 또한 소규모 상점과 백화점을 연결하는 동선에 에스컬레이터를 배치하여 수평적인 연결 뿐 아니라 수직적으로 적층이 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개방형 코어인 에스컬레이터의 전체 통합도가 전 층에 걸쳐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백화점 보다 소규모 상점의 통합도가 높아지며 백화점과 소규모 상점을 연결하는 부분의 전체 통합도가 증가하였다. 3) 중심공간계획- 기존의 내부의 중심공간은 개방되지 않은 엘리베이터 홀과 넓은 공간에서 보이드와 결합된 휴식공간으로 제시하였다. 내부 중심공간이 엘리베이터 홀에서 보이드 공간과 결합된 에스컬레이터으로 바뀌면서 통합도가 증가하였으며 외부광장과 지하광장을 썬큰을 통해 연계하여 지하광장의 접근이 쉽게 하였으며 지하광장의 전체 통합도 또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복합 상업시설의 활성화에 미치는 건축적인 요인을 정량적인 툴인 공간구문론과 V-ERAM을 통해 비교분석하였으며, 문제점을 도출하고 나아가 건축적인 제안을 하였다. 최근에 개장한 대표적인 활성화와 비활성화 사례의 비교분석을 통해서 현대 복합 상업시설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정량적인 방법과 정성적인 방법을 동시에 활용하여 건축 공간구조인 측면을 보다 객관적으로 연구할 수 있었다. V-ERAM은 수직적인 분석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아뜨리움과 같은 개방된 공간 분석에 어려움이 있다. 추후에는 다양한 복합 상업시설의 사례를 본 논문에서 추출한 건축계획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정량적인 분석방법을 통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실제 이용자들의 행태조사와 만족도 조사 등을 추가하여 보다 현실적이고 객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집객효과를 위한 복합쇼핑몰 실내광장의 체험마케팅 공간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최효진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31

        국내 쇼핑몰은 소비가 목적인 전통적인 상업시설에서 최근 사회 환경변화로 쇼핑은 물론 다양한 여가활동, 문화생활을 할 수 있는 복합쇼핑몰로 개발되고 있으며 이용자들의 다양해진 요구로 인해 한 공간에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복합쇼핑몰의 실내광장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복합쇼핑몰은 최근 세계적인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온라인 쇼핑의 발달 등으로 인해 집객력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집객력 감소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소비자들에게 상품의 가격경쟁이 아닌 총체적 소비과정에서 발생하는 체험을 통해 소비자에게 긍정적 이미지를 심어주며 소비자의 만족도와 충성도를 높여주는 ‘체험마케팅’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운영 중인 복합쇼핑몰에서 상업가로, 휴식, 문화, 이벤트 기능을 포함하는 실내광장에서 체험마케팅을 계획할 때 이용자의 집객효과를 유도하기 위해 고려할 공간계획요소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 관련 문헌조사와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통한 일반적 현황파악 방법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린다. 첫째, 복합쇼핑몰 실내광장에서 체험마케팅은 집객효과에 영향을 미치며, 이용자의 긍정적 태도변화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행동을 유발하는 ‘행동마케팅’과 공간 환경을 조성하는 ‘감각마케팅’이 필요하며 이용자를 복합쇼핑몰에 더 오래 머물게 하려면 디자인, 분위기, 환경을 조성하는 ‘감각마케팅’이 필요하다. 둘째, 복합쇼핑몰 실내광장에서 ‘감각마케팅’에 효과적인 공간계획요소는 공간을 계획할 때 가장 기본으로 계획 되어야 할 청결상태, 실내온도가 효과적이며, ‘인지마케팅’에 효과적인 공간계획요소는 공간의 위치를 식별하기 좋고 이용자에게 정보제공 함으로써 호기심을 유발하는 미디어광고, 거대 그래픽광고, 조형물 등이 효과적이고 ‘행동마케팅’에 효과적인 공간계획요소는 이용자 이동의 편리성을 지원하는 주변시설과 연결, 계단,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교통과 연계, 보행통로 등이 효과적 이므로 각 체험마케팅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공간계획요소에 대한 활용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셋째, 복합쇼핑몰 실내광장에서 ‘체류시간 연장’ 집객효과는 공간의 디자인에 관련된 공간계획요소와 정보전달 기능을 하는 공간계획요소, 참여행동을 유발하는 공간계획요소와 관계있으며, ‘소비연계’ 집객효과는 쾌적한 환경조성과 관련된 공간계획요소와 참여행동을 유발하는 공간계획요소, ‘재방문의사 상승’ 집객효과는 공간의 분위기조성에 관련된 공간계획요소와 정보전달 기능을 하는 공간계획요소, 이용자의 공간인지 정보를 제공하는 공간계획요소, 참여행동을 유발하는 공간계획요소와 관계가 있고 ‘긍정적 태도변화’ 집객효과는 공간의 개방감과 분위기조성에 관련된 공간계획요소와 정보전달 기능을 하는 공간계획요소, 이용자의 보행과 이동을 지원하는 공간계획요소와 관계가 있으므로 각 집객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공간계획요소에 대한 지원과 개선을 해야 할 것이다. Because of recently social changes, domestic shopping malls have been developed from a conventional commercial facility to a shopping complex where people could experience not only shopping but also various leisure activities and cultural life, and since users demand various things, a role of indoor plaza of the complex shopping malls is getting important. However, the complex shopping malls have a problem that attraction power is being reduced due to shrinking consumer sentiment, caused by recent global economy crisis, and development of online shopping. As a solution of the problem of shrinking attraction power, as consumers could get positive images through total shopping experiences not to be involved into a price competition and customer’s satisfaction and loyalty could be raised, the ‘experience marketing’ is needed. This study has a meaningful purpose to provide data of spatial planning factor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deduce the attraction power when existed complex shopping malls is going to design the experience marketing in their indoor plaza including commercial street, rest, culture, and event function. This study selected a general status identifying method as a research method by using literature research, field investigation, and surve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is study has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marketing in an indoor plaza of complex shopping malls could influence the attraction power, and ‘action marketing’ that could cause actions and ‘sensory marketing’ that could construct space environment are needed in order to bring positive attitude changes, and the ‘sensory marketing’ that could construct space environment is needed in order to make customers stay in complex shopping malls. Second, as effective spatial planning factors for the ‘sensory marketing’, cleanliness and indoor temperature, designed as basic foundations to plan space, are effective in the indoor plaza of complex shopping malls, and as effective spatial planning factors for the ‘cognition marketing’, media advertisements, huge graphic advertisements, and sculptures, which could bring curiosity of users by helping them distinguish a location and giving them information, are effective. As effective spatial planning factors for the ‘action marketing’, connection with surrounding facilities, stairs, elevator, escalator, transport connection, and walking path, which could support convenient movements of users, are effective. Therefore, in order to reinforce each of the experience marketing, researches should find utilization methods for the effective spatial planning factors. Third, in the indoor plaza of complex shopping malls, an attraction effect of ‘extending residence time’ is related to the spatial planning factor of spatial designs, the spatial planning factor of information delivery function, and the spatial planning factor of causing participation behaviors, and an attraction effect of ‘connecting consumption’ is related to the spatial planning factor of pleasant environment and the spatial planning factor of causing participation behaviors, and an attraction effect of ‘increasing revisit intention’ is related to the spatial planning factor of making atmosphere of space, the spatial planning factor of information delivery function, the spatial planning factor of providing spatial cognition to users, and the spatial planning factor of causing participation behaviors, and an attraction effect of ‘positive attitude changes’ is related to the spatial planning factor of spatial openness and making atmosphere, the spatial planning factor of information delivery function, and the spatial planning factor of supporting user’s walking and moving. Therefore, the spatial planning factors should be supported and improved in order to make each attraction effect.

      •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기능의 박물관 공간계획 : 수원 화성박물관 계획을 중심으로

        김주영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831

        현대의 박물관은 고정된 개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개념과 역할로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즉 전시와 수장의 개념이 주를 이루면서 권위적인 모습으로 인식되던 박물관들은 현대에 들어와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대중과 접촉하고자 시도하며 그 개념 또한 다양하고 전문적으로 변화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사람들의 문화에 대한 욕구가 심화되어 가고 문화에 대한 경험이 중요한 가치로 대두되기 시작하면서 박물관의 역할 또한 단순히 전시를 제공하는 소극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대중과 함께 커뮤니케이션 하면서 보다 다양하고 흥미로운 장소로의 변화를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지방화, 세계화의 물결로 인하여 지방자치제가 실시되면서 각 지역에서는 지역의 특성과 문화를 최대한 살려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지역을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움직임이 본격화 되었으며 이러한 것은 지역문화시설과 연계되면서 더욱 구체화되기 시작하였다. 현대의 복합문화공간의 기능을 가지는 박물관은 지역사회의 환경을 활용하여 그 지역의 특성과 연계되어 독특성과 전문성을 살릴 수 있는 형태로 계획되어져야 한다. 기능적으로 획일화된 지역문화시설로서의 박물관이기 보다는 개개 지역의 역사, 환경과 연계되고 각 지역의 이미지를 살려 자부심을 살릴 수 있도록 일상 공간 내에서 생산적이고 특화된 삶의 공간으로서의 박물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나아가 지역문화를 활성화시키며 재생시키는 방법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계획은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관광지역으로 손꼽히고 있는 수원화성을 배경으로 수원화성의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지역문화를 활용할 수 있는 문화시설로서의 박물관을 계획하고자 하며, 그 공간구성에 있어서도 수원화성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침체된 지역문화를 지원하는 공간이 되고자 계획하였다. 현재 수원화성은 지역문화유산 주변의 무분별한 개발과 낙후로 인해 지역사회가 점차 침체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므로 이들을 보호, 육성하여 지역문화의 정체성을 살리고 내외적 교류를 촉진시켜 줄 수 있는 공간이 요구되어지므로 공간구성에 있어 교육시설의 기능을 강화하여 인근 학교와 연계, 낙후되어가는 주변 환경을 교육과 함께 재정비하는 계기가 되게 하고자 하였다. 또한 화성과 지역문화유산의 자연전시로 인한 전시공간의 축소와 함께 외부와 내부가 시각적인 연계성을 가질 수 있도록 순회동선을 두어 공간의 전체를 순회하면서 외부의 문화유산과 내부의 전시 및 교육자료 들을 자연스럽게 연속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계획하는 등 수원화성 지역에 맞게 특화되고 전문성 있게 계획하였다. 이상의 계획은 개개 지역의 특성과 환경에 따라 각기 다르게 응용될 수 있으나 수원화성지역을 모델로 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복합문화공간의 박물관을 계획함으로써 지역박물관의 공간계획에 있어 보다 다양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modern museum is changed against fixed concept. It is getting specialized and diversed. In other words, it doesn't have any authority. It approaches closer to people. According to our living environment, people need to experience cultures and have an interesting place for communication. People want to fill up their conditions from the modern museum. And also each region startes to develope the regional property through culture facilities. The modern museum which has a function of complex culture is planned to connect with a regional special quality Instead of region - culture facilities, museum should be a place that has regional history and images. This plan is focused on Suwon Hwa Sung appointed the UNESCO culture heritage. To preserve the culture heritage of Suwon Hwa Sung and use regional facilities from museum, it is planned. Nowadays Suwon Hwa Sung is getting worse because of indiscreeted development and regional backwardness. To make better, the reinforcement of space is demanded for region-culture development. It will be repreparated about education facilities and region-culture identity. According to the natural exhibition of region-culture heritage and Hwa Sung, it's closely connected with the inside and outside. People can recognize the outside's cultural heritage and inside's exhibition or educational references without difficulties. A plan shows basic materials of regional museum through Suwon Hwa Sung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