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 실내공간의 혼성적(混成的)표현에서 나타나는 감성적(感性的) 특성연구 : 국내사례를 중심으로

        박영애 國民大學校 디자인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의 사회는 사회 전반적으로 탈 획일화, 이분법적 사고의 붕괴, 정보화, 세계화에 의한 다원적 경향을 나타내며, 매스 미디어의 영향으로 감각적으로 풍부해지고 자기정체성에 의한 다양한 기호의 디자인을 요구하는 혼성적 표현을 나타내는 가운데 감성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소비자와 이용자가 원하는 공간의 의미를 더하고 다양하고 풍부한 조형표현과 공간의정체성을 부여하는 공간이 대두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공간에서 주로 쓰이는 혼성적 표현을 나타내는 실내공간에서 감성적 특성을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범위는 2000년 이후 국내 잡지, 단행본에 개재된 20개의 공간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는 5장으로 분류하여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제1장에서는 이 연구의 배경과 목적 , 방법 , 관련연구논문을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혼성의 이론적 고찰과 공간 안에서 감성의 이론적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혼성을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시간적 혼성, 형태적 혼성, 공간적 혼성, 지역적 혼성 , 장르적 혼성, 재료 및 색채적 혼성으로 분류하여 내용을 도출하였고, 이전 장에서 감성의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공간에서감성을 유발하는 요소를 오감의 체험, 상징성 , 설화성, 상호작용 , 장면성과 연속성을 도출하여 혼성적 표현과 감성의 상관성을 설명하여 혼성과 감성의 밀접한 연관성을 설명하였다. 제4장에서는 위의 장들의 도출된 키워드로 국내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계화, 객관화하여 소결로 정리하였다. 제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종합하여 본 계획의 의의와 결론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혼성적 표현에서 나타나는 감성적 특성은 오감의 체험, 상징성, 설화성, 상호작용, 장면성과 연속성 중에서 장면성과 연속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설화성이 가장 낮게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감성을 부각하는 요안이 드러나는 혼성적 요인은 장먼성과 연속성의 감성요소로 혼성적 공간에서 많이 나타나며, 설화성이 미비하게 나타나고 있다. Generally Modern society presents pluralistic trends owing to escaped standardization, destructed dichotomy thought, informatization, and globalization, and also there is appearing space which provides various and affluent formative art's expression and spacial identity with sensual elements and consumers'& users' needs in the midst of affluent sense and hybrid expression requesting various tastes of designs by self identity owing to the influence of Mass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sensual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the hybrid expression of interior space, which is common in modern space, based on the domestic cases, and the scope of the study was within twenty space cases on the domestic journals and articles after 2000. This study is classified as five chapters progressed as foliowing. Chapter one explained back ground, purpose, method, and related studies. Chapter two contemplated theories about hybrid and sense in the space. Chapter three classified hybrid as time, form, space, area, genre, material and color based on the theoretical contemplation and extracted some contents. And also based on the previous theoretical research about sense, it drew experience of sense, symbolism, narration, interaction, scene, and sequence as the elements leading to sense from space and so explained correlation between hybrid expression and sense, so that describ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hybrid and sense. Chapter four analyzed, objectified, and arranged the domestic cases with the above key words, which were drawn from previous chapters, and made a short conclusion. Chapter five synthesized the content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s plan and made a conclusion. The result from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in the sensual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hybrid expression, scene and sequence were the most prominent things among the experience, symbolism, narration, interaction, scene, and sequence while the least was narration. Second, as for the hybrid factors leading to sense, material and color hybrid were Important.

      • 공간디자인 요소로서 모아레 현상 적용 가능성 연구

        김하늘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Space inducing an optical illusion by using its structural forms is called an illusive space. Since it arouses humans’ visual interest by making expanded or exaggerative expressions of space, it can express a playful space. Accordingly, expressions made through illusions in the field of space design have power to attract people’s attention through pleasure by giving people unfamiliarity and fresh sensation. As one of the phenomena in the field of illusion art, Moire Effect is an illusion created by graphic elements, through which a motion appears when fixed image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It is a motion differentiated from that of media, images and a projector through modern technologies such as Interactive and 3D projection mapping. Since Moire Effect shows an unpredictable motion with 1D elements through which a motion appears through the apparent movement when fixed objects or patterns are overlapped, not a motion appearing through images, it has power to arouse viewers’ interest and attract their attention. When investigating cases that Moire Effect has been applied to space so far, this study found some cases that it was used to attract attention to commercial facilities and establish a brand identity through facade designs with surface elements. However, this study intends to conduct experiments on the implementation of Moire Effect by overlapping spatial components like tectonic and non-tectonic elements by location, not simple Moire Effect seen in surface elements. Based on the possibility and several study models drawn through the experiments, this study will examine all the process of selecting space in an actual site and applying it to the space. Prior to the space design,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it by dividing the process into three stages,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and project execution. In the first stage, for literature review and theoretical research,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effect of illusions on space by focusing on literature where Moire Effect is applied to the fields of art and space rather than the fields of science or mathematics, and explore its applicability to space In the second stage,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Moire Effect from case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application range and effect of Moire Effect in space, based on actual spaces and artists’ works that have been built for the past 20 years. In the third stag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oire Effect,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grafting Moire Effect onto space functions and its applicability to various kinds of space, while attempting to extract the spatial strengths and characteristics of Moire Effect. After investigating Moire Effect through various cases that illusions are used in the field of art,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process and method of creating space by converting it into an formative element. It is expected that Moire Effect appearing in various kinds of space through this study will be developed and researched as a space-composing element in various images, not a temporary one in a limited space, while being implemented by the overlapping between element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people between components of space (floor, wall, ceiling and furniture, etc.), not a surface element appearing in such images as fog. 공간의 구조적 형태를 이용해 시각적 착시를 유도하는 공간을 착시공간이라 말할 수 있다. 이는 공간의 확대 또는 과장되게 표현하면서 공간에서의 지각하는 인간은 시각적으로 흥미로움을 주기 때문에 유희적 공간을 표현할 수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공간 디자인에서 착시를 이용한 표현은 사람들에게 낯섦과 신선한 충격으로 즐거움을 통해 주목성을 가지는 힘을 가지고 있다. 모아레 현상은 이러한 착시 예술의 한 분야로 나타난 현상 중 하나로 고정적인 이미지를 중첩 시켰을 때 나타나는 움직임이 나타나는 그래픽적 요소의 착시다. 이는 현재 인터렉티브, 3D projection mapping과 같은 현대적 기술을 통해 나타내는 미디어, 영상, 프로젝터로 움직임을 가하는 형태와는 차별화된 움직임이다. 모아레 현상은 영상으로 나타나는 움직임이 아닌 고정적인 객체, 패턴으로 중첩했을 때 가현운동(apparent movement)에 의한 움직임이 나타나는 1차원적 요소로 예측 불가능한 움직임을 보여주기 때문에 감상자는 흥미를 느끼고 주목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현재까지 공간에 적용된 사례를 보았을 땐 면(surface)적 요소인 파사드 디자인에 적극 사용돼 상업 시설의 주목성 및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에 사용된 사례를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선 단순한 면적 요소에서 보는 모아레 현상이 아닌 공간 내의 구축적 요소와 비구축 요소와 같은 공간 구성 요소 요소 간의 위치에 따른 중첩을 통한 모아레 현상 구현을 실험을 통해 연구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가능성과 몇 가지의 스터디 모델을 통해 실제 사이트와 공간을 정하고 적용하기까지의 과정을 연구한다. 공간 설계에 앞서 문헌연구, 사례 연구, 프로젝트 진행으로 세 단계로 나눠 연구하였다. 문헌연구 및 이론 연구에선 과학적, 수학적 분야보단 예술과 공간에 적용된 문헌들을 중심으로 착시가 공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공간 적용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사례에선 모아레 현상의 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최근 20년 이내 완공 된 실제 공간과 예술가들의 작품을 바탕으로 공간에서의 모아레 적용 범위와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프로젝트 연구에선 앞서 연구된 특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공간화 실험을 통해 공간의 기능과 모아레 현상의 착시 효과와의 접목 가능성을 다양한 공간스터디를 통해 모아레 현상이 가지는 공간적 장점과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착시를 이용한 예술을 먼저 사례를 통해 모아레 현상을 다양하게 알아보고 조형적 요소로 변환하여 공간생성 과정과 방법을 연구했다. 연구의 결과로 모아레 현상은 공간을 체험하는데 일관성 있는 공간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아레 현상의 주목성은 어프로치에 적용 가능하고 내부에선 모아레 현상을 구현하는 요소로 사용해 기능중심으로 단순하게 구성한다. 이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현상구현으로 모아레 요소로 집합된 일관성 있는 공간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적 공간체험에 있어 모아레 현상 공간은 사람과 공간이 지속적으로 관계하는 한정된 공간에 다양한 이미지 구현과 같은 효과로 유희적 체험 공간으론 바람직한 방법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를 통해 공간에 나타난 모아레 현상이 더 이상 안개와 같은 이미지로 나타나는 면적인 요소의 모아레 현상이 아닌 공간 내의 구성 요소(바닥, 벽, 천장, 계단, 가구, 등)간의 사람의 다양한 위치에 따른 요소 간의 중첩에 의하여 모아레 현상을 구현하여 한정된 공간의 고정적 이미지를 다양한 이미지로 일시적이지 않은 공간 구성의 요소로 발전 연구되는 것을 기대해 본다.

      • 대학 캠퍼스 공간운용현황 평가에 관한 연구

        이재욱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국내 구조개혁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대학 캠퍼스 공간운용현황 평가요소를 개발하는 과정으로 공간관리업무의 흐름을 분석을 통해 공간등록/정보관리, 공간배분/현황관리, 공간예약/활용, 공간운영/유지관리, 공간수요관리의 과정으로 이어지는 공간관리 단위업무를 설정하였으며, 5가지 공간관리 단위업무와 이 단위업무에서 생산되는 데이터인 공간면적, 공간용도, 교육과정, 예약정보, 수용인원 등의 데이터들 간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공용공간 활용율, 강의별 좌석 점유율, 용도별 공간 구성 비율, 1인당 점유면적(단위면적), 공간별 공유지수, 교육과정 수업 구성 비율 등의 7가지 공간운용 평가지수로 설정 할 수 있었다. 이렇게 설정된 공간운용 평가지수는 기존의 공간운용현황을 평가하게 됨으로서 공간운용의 현황을 평가할 수 있으며, 공간수요 예측 및 관리를 위한 첫 단계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공간관리 단위업무에서 생산되는 데이터가 공간운용 평가를 통해 재생산되는 새로운 정보, 즉 공간운용에 대한 지식이 업무적 상관성의 유?무에 관계없이 부서들 사이의 정보를 공유?활용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그것을 새로운 정보로 활용하여 또 다른 새로운 지식을 생산해 내는 것이다. 따라서 공간운용 평가지수는 공간운용 현황을 평가함으로서 단순한 데이터로 끝나는 것이 아닌 부서간의 공유를 통해 새로운 지식으로 축적되어 지식관리시스템의 하나로 정립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공간운용 평가지수는 C대학의 단위건물에 적용하였으나 대학 전체를 대상으로 적용한 경우와의 차이점은 적용 대상 건물 수의 확대와 계열별 구분에 따른 분석이다. 본 연구는 시스템화를 통한 평가를 진행하지는 않았지만 차후에는 대학별 정보화에 따른 행정정보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상시적으로 공간에 대한 평가를 진행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발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공간과 관련된 모든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교육과정 데이터와 연동되어 데이터를 재생산함으로서 공간의 재배분 및 시설확충, 대학경영을 지원하도록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캠퍼스 시설의 공간의 효용성을 평가함으로서 대학의 현실적 여건에 적절한 공간 활용과 공간관련 각종 의사결정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나아가서는 대학경영을 지원하게 될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 구체적인 효과로서 가장 중요한 의미는 매학기 운영되는 시간표에 따른 공간의 활용과 각종 행사 및 비정기적인 활용에 따른 공간 배정 및 사용을 평가함으로서 공간 활용의 편중을 해결 할 수 있으며, - 이러한 데이터가 수년간 축적되어 진다면 각 학과(부)의 공간의 배분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 공간 활용의 효용성이 증대되어 공간 활용율 또한 증대 될 것으로 기대되며, 새로운 시설수요에 대한 합리적인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됨으로서 시설투자와 관련되는 기획예산을 합리적으로 편성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 또한 공간운용현황에 대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평가함으로서 공간운용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part of the process to develop evaluation elements of the present situation of use of space on the university campus, in the present condition where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around the country is under progress. In this study, the space management unit business was established, that is, space registration/information management, space distribution/present status management, space reservation/use, space operation/maintenance management, and space demand management, which were all connected as one proces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low of space management business. Also, five space management unit businesses and the data produced by this unit business, space name, space scope, space use, curriculum, space reservation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persons to be admitted, were processed by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data, and seven space working evaluation index were established, which are the use rate of the space for common use, seat occupancy rate of each lecture, space composition rate of each use, the occupancy area per person (unit area), common use index of each space, and the composition rate of the classes in the curriculum. These space use evaluation index set up by this process can be used to evaluate the status of the existing space use, and this is the first step to space demand predict and management. The key in this process is that the data produced in the space management unit businesses, the new information regenerated by space use evaluation, that is, the knowledge on space use, create new knowledge by sharing and using the information among departments, which is used again to produce another new knowledge,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correlations of business. Therefore, space use evaluation index, used to evaluation the space working condition(present condition of space use), should be accumulated as new knowledge through sharing among departments, rather than being treated just as simple data, and should become one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The space working evaluation index that was suggested in this study was applied the unit buildings of C university, in which case, the differences from the case of being applied to the whole university were the extended number of buildings for application, and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each system.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by systematization was not conducted, but in the following researches, the system needs to be developed into the one where the evaluation on the space can be performed at all times through the linkage with administration information system built through information technology in university. All data related to space can be accumulated as database, and made use of to support re-distribution of space, expansion and improve of facilities, and university management by re-creating data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data. When the efficiency of the space of campus facilities are evaluated based on this study, and when proper space use for the practical conditions of universities and various decision making related to the space, and furthermore, the university management are effectively supported, the following results are expected to be made. - The most important meaning as a specific result is that the heavy use of certain space can be solved by evaluation the space distribution and use according to the space use by the class schedules of each year and the space use by different events and irregular use. - If this data is accumulated for several years, the satisfaction with the space distribution of each department can be enhanced. - It is expected that the increased efficiency of space use will also cause better space use. It can be also used as the data to make a reasonable decision on the demand for new facilities, and as the ground data to make a budget for facilities investment more reasonably. - Also, it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space use, when the data of the space working condition is regularly evaluated.

      • 공간효과를 이용한 한국의 대 중국 직접투자 결정요인과 무역효과에 관한 연구

        류병현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중국은 향후 상당한 기간 한국의 직접투자 및 무역의 최대 상대국이 될 것은 자명하며 이러한 중국을 대상으로 직접투자의 결정요인을 규명하고 또 직접투자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본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각 장의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결론적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첫째,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감소하였던 한국의 대중국 직접투자는 총액이 증가하고는 있으나 2000년대 초반의 증가세보다는 둔화되었으며 투자 지역별 업종별 변화가 일고 있다. 지역별로는 연해지역(동북, 화북, 화동) 중심에서 최근 중서부 내륙지역으로 투자처가 이동하고 있으며 업종별로는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업 중심의 투자가 연해지역에 집중되고 있다. 특히 2009∼2013년 동안 한국의 대중국 서비스 직접투자의 약 96.9%가 동북지역과 화북지역 그리고 화동지역에 투자가 집중되고 있다. 둘째, 공간패널모형을 이용한 한국의 대중국 제조업 직접투자 결정요인은 중국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경우 1인당 가 정(+)의 유의적 변수로 나타났고 공간효과 변수도 매우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역별로는 공간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공간효과 변수()가 정(+)의 유의적 변수로 나타난 곳은 화동?화남지역과 서북?서남지역이고, 부(-)의 유의적 변수로 나타난 곳은 동북?화북지역이었고 비유의적으로 나타난 곳은 중부내륙지역이었다. 이는 화동?화남지역과 서북?서남지역에서는 지역 내 투자가 상호 보완적인 것을 의미하고 동북?화북지역은 지역 내 투자가 상호 대체적인 것을 시사한다. 셋째, 서북?서남지역에서는 1인당 , (임금) (교통인프라), 공간효과 변수() 모두 정(+)의 유의적인 변수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의 대중국 직접투자가 동부 연안 중심에서 서북?서남지역으로 전환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 지역으로 진출 시 인접 성(省)의 지역 환경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넷째, 한국의 대중국 직접투자 유출액과 대중국 무역효과에 있어서 한국기업의 대중국 전체 직접투자 유출액과 총수출?수입 간의 정(+)의 단순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고, 교차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접투자가 증가하면 대략 2년 후 무역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업종별(MTI) 상관계수는 섬유류 업종을 제외하고 모든 업종에서 상관관계가 8.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업종별 직접투자와 무역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그랜저 인과관계(Granger casuality) 검정 결과 직접투자가 수출?입 모두를 유발하는 업종은 화공업이고 직접투자가 수입을 유발하는 업종은 철강?금속이며, 전자?전기는 쌍방적 정(+)의 인과관계로 나타났다. 한편 상관관계가 낮은 섬유업의 경우 상호 인과성은 통계적으로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중심으로 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대중국 직접투자의 패턴 변화와 중국 정부의 외국인투자 정책 변화에 따른 적절한 해외투자전략이 요구된다. 즉 지역별로는 동부에서 서부?내륙지역으로, 업종별로는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미세한 변동이지만 기업으로서는 철저한 맞춤형 투자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교통?인프라와 숙련노동의 미흡 등 상대적으로 열악한 투자환경을 지닌 서부?내륙지역의 투자환경과 제조업과는 다른 서비스업의 투자전략도 동시에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최근 중국 중앙정부가 지방정부의 부채를 우려하여 지방정부의 외국인투자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정책에 제동을 걸고 있다. 따라서 투자유치에 다급한 지방정부의 말만 믿고 투자를 서둘렀다가는 낭패를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둘째, 지역별 공간효과 유무에 따른 투자전략 수립을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 화동?화남지역과 서북?서남지역은 정(+)의 공간효과로 지역 내 투자가 상호 보완적이고 동북?화북지역은 부(-)의 공간효과로 지역 내 투자가 상호 대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지역에 투자 시 인접지역의 시장 수요, 노동력 이동, 산업연관 관계를 반드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끝으로 한국의 대중국 직접투자 유출액과 대중국 무역효과에 있어서 한국기업의 대중국 전체 직접투자 유출액과 총수출?수입 간에는 2년 정도의 시차를 두고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직접투자가 국제수지를 악화시키지는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철강업의 경우 직접투자가 수입을 유발하는 개연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It is obvious that China shall be Korea’s major investment and trade partner for a considerable period, and studying the determinan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in China and grasping the effect of FDI upon the trade has great implications. This study aims at resuming from the analytic result of each chapter as follows. Firstly, Korea’s FDI that has been reduced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has increased in total, but slowed down than the increasing trend at the beginning of 2000 with the business change of investment area. The investment market by region is moving from the center of offshore(northeast and north part of China, Southeast) recently to the inland region of midwest, and the investment by business is focusing from the manufacturing investment to service-centered investment upon offshore. Specially, about 96.9% of Korea’s service FDI in China has focused upon northeast and north part of China, Southeast during 2009∼2013. Secondly, the determinant of Korea’s direct investment in China’s manufacturing by using a spatial panel model when is for the whole China, and per capita was appeared to be positively significant variable with the very sensible variable of spacial effects, but the spacial effect was appeared to be differently by region. The place where the variable of spacial effect() was appeared to be positively significant variable was Southeast?Northsouth and northwest?southwest, while the place where negatively significant variable was appeared was northeast and north part of China. The place where was insignificantly appeared was the central inland region. The interregional investment means to be complementary in Southeast?Northsouth, northwest?southwest, and while the interregional investment suggests to be mutually general in northeast and north part of China Thirdly, per capita, (traffic infrastructure) and variable of spacial effects() was positively significant variable in northwest and southwest. It is estimated that Korea’s FDI in China gropes for the conversion from the center of eastern coast to northwest?southwest, and it needs to be considered the lo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neighboring province when enters in this region. Fourthly, the inflow of Korean company’s FDI in China and the positively simpl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otal export and import for the outflow of Korea’s FDI in China and the trade effect upon China were high, and the result of cross correlation analysis estimated that the trade volume was increased with the increased FDI approximately after 2 years. On the other h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y business(MTI) was high with 8.0 in every industry except textile. Finally, the result of checking granger casuality to grasp the casual relation between FDI by industry showed that the industry whose FDI causes all exports and imports is chemical industry, and the industry whose FDI causes imports is steel?metal, and electronic?electric was appeared to be bilaterally positive causal relation.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textile industry with low correlation, the reciprocal relationship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e suggestions of this research from the abov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ly, the pattern change of Korea’s FDI in China and a proper oversea investment strategy according to Chinese government’s foreign investment policy change is required. Namely, the company should try to establish a thorough customized investment strategy against a small change, by region from the east to the west and inland, and by industry from manufacturing to service. It must be considered the investment environment of the west and inland region with relatively poor investment environment including the lack of traffic-infrastructure, poor skilled labor and the different investment strategy of service industry unlike the manufacturing. Recently, China’s central government is worried about local government’s debt and puts the brakes on local government’s incentive policies of inward FDI. Therefore, the quick investment believing only local government’s emergent request may end in tears. Secondly, it is required to differentiate the establishment of investment strategy according to the spacial effects of each region. The results of research showed that the interregional investment in southeast?northsouth and northwest?southwest, was complementary due to positive spacial effects. While the interregional investment in northeast and north part of China was alternative due to negative spacial effect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take into account the market demand of neighboring region, the movement of labor force and industrial correlation when make inroads into these regions. Finally, the correlations between Korea’s total outward FDI and Korea’s total exports and imports to china are positive with a two-years lag. So it is estimated that Korean trade balances with china is surplus. However, in case of steel industry, FDI is supposed to have probability that causes trade deficits.

      • 문화공간으로서의 도시철도역사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대구 도시철도역사를 중심으로

        손창훈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도시철도역사 내 유휴공간의 문화공간으로의 활용은 침체된 도시의 활성화 전략공간으로 새롭게 조명되고 있으며, 문화·예술을 통한 문화공간은 그 지역에 연결된 문화 특성을 반영하거나, 역의 이미지를 부각시킴과 동시에 지역문화의 연장선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도시민들의 문화공간 및 문화예술적인 측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시철도역사 내 문화공간의 조성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도시철도역사 내에서 많은 공연과 전시, 캠페인 등이 이뤄지고 있으나 획일화된 전시작품과 공연, 홍보부족, 쾌적성과 흥미의 저하 등으로 인해 이용객의 수요와 요구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 인식하에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철도역사 내에서 이뤄지는 문화활동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용객 특성과 역의 유형에 따라 도시철도역사 내 유휴공간의 문화공간으로의 만족도와 선호도를 분석하여 도시철도역사 내 유휴공간의 문화공간으로의 활용방안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설문분석결과 등을 종합하여 대구 도시철도역사 내 유휴공간의 문화공간으로의 활용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이용객의 선호도와 수요를 반영하여 공연의 공급을 늘릴 필요가 있다. 둘째, 이용객 특성에 따른 다양한 유형의 공연이 필요하다 셋째, 각각의 도시철도 공간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역의 특성과 공간에 맞는 다양한 유형의 전시 작품 설치가 필요하다. 넷째, 도시철도역사 내에서 이뤄지는 문화활동들에 대한 홍보가 적극적으로 이뤄져야한다. 다섯째, 공연과 전시 등 문화활동의 질과 흥미를 높이기 위하여 엄격한 오디션과 검증절차를 거쳐 공연 및 전시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문화공간으로의 활용방안을 고려함과 동시에 지자체 및 행정기관의 다양한 정책적 지원과 지역의 문화·예술계와 도시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 체계적이고 단계적으로 역사 내 유휴공간을 변모해 나아가 대구도시철도역사 내 유휴공간이 이용객 친화적인 공간으로 거듭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구 도시철도역사를 중심으로 이용객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객관적이고 현실적인 실태파악과 함께 문화공간으로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만족도 및 선호도의 정확한 비교를 위해서는 이용객뿐만 아니라 그곳에서 활동하는 공연, 전시자 등의 추가 조사를 통한 비교연구와 함께 좀 더 나은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도시철도역사 내 유휴공간의 유형구분과 이용객 특성에 따른 도시철도역의 유형 구분 등 추가적인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utilization of urban subway station for the cultural space is under spotlight as a new strategy. The cultural space describes cultural entities which associated with the regional and local cultures and arts. More and more people are interested in cultural space because it relates with their quality of life. Further, while numerous exhibitions, performances, and campaigns being held inside of the urban subway stations, the user’s demands and requirements are getting larger in order to increase public relations, and unified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users of subway cultural space how they are satisfied with the space, performance and future policy implications. Therofore, this study provides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supply of the performances must be incorporated with users' demand. Second, more diverse performances must be provided for receivers. Third, there should be better plans for each subway stations with understanding their own characteristics. Fourth, more active public relations with the cultural activities must be implemented. Fifth, the performances and exhibitions must be selected through rigorous auditions. With the consideration on the utilizing plans of subway station as such cultural space, the local government and administrative agencies must provide diverse politic supports. Urban residents and regional artistic and cultural communities must actively participate in cutural activities. This study provide insights of utilization plan of urban subway stations for cultural spaces with case of Daegu Urban Subway Stations. However, this study has some shortfalls. The study does not conduct a survey which reflect ideas and opnions of exhibitioners and performers in the stations. Furthermore, it will be needed for additional follow-up study of the classification of unused space according to the type of subway station and the categorization of subway station by the characteristic of users.

      • 호텔로비공간의 이미지 형성요소에 관한 연구

        주미라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전반적인 사회 및 경제의 발달에 따라 증가하고 있는 호텔은 호텔 간의 경쟁 뿐 아니라, 개성적인 실내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목적적이고, 다기능적인 공간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호텔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는 로비공간은 투숙객과 부대시설 이용객들의 왕래가 가장 잦고, 호텔의 첫 인상을 부여하는 고객이 가장 먼저 접하는 최초의 공간이다. 따라서, 그 호텔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므로, 세련되고, 웅장하면서도, 아늑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개성적이면서도, 차별화된 감각적인 처리가 반드시 부가 되어야 한다고 본다.이에 본 연구는 첫째, 현재 국내 특급호텔 로비공간의 실내디자인 이미지를 파악하고, 그 공간을 구성하는 실내구성요소를 파악하려 한다. 둘째, 로비공간의 구성요소와 실내디자인 이미지와는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여, 개성적이며 차별화된 차원 높은 이미지를 위한 디자인 개발 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선행연구를 통한 문헌조사와 홍보실 취재 및 사진촬영을 위한 예비조사와, 설문조사인 본조사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의 대상으로는 로비의 기능을 충실히 하고, 실내디자인의 투자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되는 서울시내 9개 특급호텔 -하얏트 호텔, 밀레니엄 힐튼,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르네상스, 스위스 그랜드 힐튼, 워커힐 W 호텔, 임페리얼 팰리스, JW 메리어트, 조선호텔-로 한정하였다, 호텔의 로비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다음 요소로 한정하였다. 첫째, 실내구성요소 중 디자인 개념에 근거를 두고 설계함으로서 전체적인 이미지의 통일된 조화를 이루어 공간 전체를 안정화시키는 건축부분의 역할을 하는 실내마감재로 한정하였고, 둘째, 공간에 역동성과 생동감을 부여하는 극적인 효과와 미적 충족을 주는 포인트적인 액세사리 역할을 하는 그림, 조각및 조형물, 가구, 공예품등의 예술장식품으로 한정하였다.설문구성을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호텔 로비이미지를 표현하는 형용사 어휘를 추출하여, 각 호텔로비의 실내이미지 꼴라쥬 사진과 함께 설문지를 작성하고, 설문 통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12가지의 이미지 형용사를 측정도구로 한 9개 호텔에 대해 느끼는 이미지를 살펴본 결과로는 하얏트, 힐튼, 인터콘티넨탈, 스위스 그랜드 힐튼 호텔의 경우는 ‘고급스럽다’는 반응이 가장 많았으며, 라마다 르네상스는 ‘장식적인’이미지가 가장 많았으며, 워커힐 호텔은 ‘개성적인’이미지 , 아미가 호텔은 ‘고풍스러운’이미지, 메리어트 호텔은 ‘조화로운’이미지, 조선 호텔은 ‘안정적인’이미지로 나타났다..둘째, 9개 호텔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살펴본 결과로는 인터콘티넨탈 호텔은 ‘고급스러운’ 및 ‘독특한’이미지가 가장 높았으며, 아미가와 힐튼 호텔은 ‘화려한’이미지가 가장 높은 이미지로 나타났으며, 하얏트, 메리어트, 조선 호텔은 ‘안정적인’ 이미지가 가장 높았으며, W 워커힐 호텔은 ‘개성적’이미지, 라마다 르네상스호텔은 ‘장식적인’이미지, 스위스 그랜드 힐튼 호텔은 ‘자연적’인 이미지가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인 호텔의 대표적인 이미지는 대부분의 호텔이 ‘고급스러운’ 및 ‘안정적인’ 이미지로 나타났다.셋째, 9개 호텔을 통합하여 호텔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친 실내구성요소를 종합분석해본 결과로는 고급스러운이미지, 안정적인 이미지, 조화로운 이미지, 고풍스러운 이미지, 격조가 있는 이미지, 편안한 이미지는 실내마감재, 조각/조형물, 그림중 실내마감재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아기자기한 이미지, 화려한 이미지, 독특한 이미지, 개성적인 이미지, 장식적인 이미지등 차별화되고, 개성화된 포인트적인 역할을 하여 미적 감각을 극적으로 부각시킨 공간은 실내마감요소 보다는 조각/조형물과 그림, 가구, 공예 등의 예술장식적 요소가 많은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넷째, 다차원 척도분석에 의한 호텔별 이미지 분석에 의한 결과로는제1군은 라마다 르네상스?힐튼 호텔로 , 제2군은 스위스 그랜드 힐튼 호텔, 제3군은 메리어트?조선?W워커힐 호텔, 제4군은 하얏트 호텔. 제5군은 아미가?인터콘테넨탈 호텔로 묶어 각 군들간의 이미지 유사성과 비유사성을 비교한 결과는 제1군의 경우는 장식적인?웅장한‘이미지에 있어서 강한 유사성을 보이며, 다양하지도 통일감을 주지도 않는 이미지가 공통적인 특성인 것으로 나타났고, 제 2군인 스위스 그랜드 호텔의 경우 현대적인? 장식적인?다양한 이미지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고, 제 3군인 메리어트?조선 ?W워커힐 호텔의 경우 아담한?수수한 이미지에 있어서 유사성을 보였고, 제 4군인 하얏트 호텔의 경우 현대적인?장식적인?정적인 이미지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 5군인 아미가?인터콘티넨탈 호텔의 경우 정적인 이미지에 있어서 유사성을 보이며, 약간 독특한 이미지에서 강한 유사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이와같이 분석 결과로 호텔의 이미지는 전반적으로 고급스럽고 안정적인 이미지를 부여하고 있었으며, 현대적인, 화려한, 수수한, 개성적인 이미지 차이의 폭은 그렇게 넓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호텔은 공간자체의 부가가치가 상당히 높은 곳이므로, 기능적인 공간유형보다는 또 다른 이미지 공간 형성이 중요시 되는 곳이다. 고급스러운, 안정적인, 조화로운, 고풍스러운, 격조가 있는, 편안한 이미지는 인테리어 마감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고, 아기자기한, 화려한, 독특한, 개성적인, 장식적인, 자연적인 이미지형성에는 실내제반요소 중 예술장식품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즉, 이런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친 요소 중 큰 스케일의 부분인 인테리어 마감요소는 디자인 개념에 근거를 두고 설계함으로서 전체적인 이미지의 통일된 조화를 이루어 공간 전체를 안정화시키는 건축부분의 역할을 하여 호텔 로비 이미지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작은 스케일 부분인 예술장식품요소는 공간에 역동성과 생동감을 부여하는 극적인 효과와 미적 충족을 주는 포인트적인 액세사리 역할을 담당하여 그 호텔만의 차별화되고 개성적인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호텔의 첫인상을 결정짓는 로비이미지는 특정호텔에 대하여 지각하는 이미지에 의하여 선호가 좌우되며. 독특한 이미지 창출은 마케팅전략의 도구로서 호텔의 브랜드 이미지까지 영향을 미친다. 시대성에 맞는 개성화, 차별화된 로비공간에 대한 새로운 디자인 개념을 위해 호텔 이미지 형성에 있어서 다른 어떤 기능적인 공간보다도 하나의 공간에 건축적인 인테리어 요소 뿐만이 아닌 공간의 모든 요소들을 코디네이팅하는 통합적인 세부 부분간의 network 체체를 갖춘 통합성에 기반한 공간으로 만들어져야 될것이다. Hotels, which are generally increasing with the growth of society and the economy, not only require competition among themselves but also the need for an individualistic interior design development, and are expanding into multipurpose and multifunctional spaces that provide the best quality services. Especially the lobby space, located at the central section of hotels where the hotel guests and users of subsidiary facilities pass by most frequently, is the primary space that the customers first come into contact with, creating the hotel’s first impression. Therefore, since it is an important factor in deciding a hotel’s image, it seems an outstanding sensory treatment must be added to the space, one that is sophisticated and grand, yet produces a cozy atmosphere, and is unique, yet also distinguished.Therefore, this study does the following. First, it tries to grasp the interior design images of domestic five-star hotels’ lobby spaces and understand their interior composition elements. Second, its goal is to analyze what relation the interior composition elements of lobby spaces have with the hotel lobby image, discover what influence they have on it, and propose a design development direction for an individualistic and distinct, high-level image.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of preceding investigations, preliminary investigationto prepare for interviews with the public relations section and photo shoot sessions, and the main examination process, which was a survey. The subjects of study were limited to the nine five-star hotels ? Hyatt Hotel, Millennium Hilton, Grand Intercontinental, Renaissance, Swiss Grand Hilton, W Seoul Walkerhill, Imperial Palace, JW Marriott, and Chosun Hotel ? which have lobbies that faithfully perform their functions and will most likely invest actively to design their interiors. Factors that influence a hotel lobby’s image were limited to the following elements.First, they were limited to the interior finish materials, which played the architectural role of stabilizing the whole interior space through achieving a unified harmony of the overall image with constructions based on the concept of design from among the interior composition elements.Second, they were limited to artistic ornaments such as pictures, sculptures and figures, furniture, and craftwork that acted as highlighting accessories, which give aesthetic satisfaction and contrasting effects that provide movement and liveliness to space.In addition, for survey composition, adjectival words that describe the image of hotel lobbies were extra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n the surveys were created with a collage of each hotel lobby’s interior image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urvey statistics are as follows.First, the result of studying the images being expressed at the nine hotels, with twelve image adjectives being used as measuring tool, showed that in terms of images, the Hyatt, Hilton, Intercontinental, and Swiss Grand Hilton Hotels had the most responses for ‘luxurious,’the Ramada Renaissance, for ‘ornamental,’ the Walkerhill Hotel, for ‘individualistic,’ the Amiga Hotel, for ‘antique,’ the Marriott Hotel, for ‘harmonious,’ and the Chosun hotel, for ‘stable.’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presentative images of the nine hotels showed that ‘luxurious’ and ‘original’ images were the highest for the Intercontinental Hotel, ‘gorgeous’image was the highest for the Amiga and Hilton hotels, ‘stable,’ for the Hyatt, Marriott and Chosun hotels, ‘individualistic,’ for the W Walkerhill hotel, ‘ornamental,’ for the Ramada Renaissance, and ‘natural,’ for the Swiss Grand Hilton. The general representative images of the hotels turned out to be ‘luxurious’ and ‘stable’ for most hotels.Third, the result of combining the images of nine hotels and synthetically analyzing the interior components that influenced those images showed that luxurious, stable, harmonious, antique, refined, and comfortable images were most affected by the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from among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sculptures/figures, and pictures, and the spaces that made artistic sense stand out in contrast and acted as a distinct and individualistic highlighter to images, such as charming, gorgeous, original, individualistic, and ornamental images, were roles played significantly by artistic ornamental components, such as sculptures/figures and pictures, furniture, and craftwork, rather than interior finishing materials.Fourth, the result of the image analysis for each hotel using multidimensional standard analysis categorized the hotels into the following groups: the 1st group was the Ramada Renaissance ? Hilton hotels, the 2nd group, the Grand Hilton Hotel, the 3rd group, the Marriott ? Chosun ? W Walkerhill hotels, the 4th group, the Hyatt Hotel, and the 5th group, the Amiga ? Intercontinental hotel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images between each group showed the following: in the case of the 1st group, there were strong similarities in ornamental ? grand images, and images that were neither diverse nor unified turned out to be their common characteristic; in the case of the 2nd group, the Swiss Grand Hotel, it turned out to be the closest to modern ? ornamental ? diverse images; in the case of the 3rd group, the Marriott ? Chosun ?W Walkerhill Hotels, they showed similarity to graceful ? plain images; in the case of the 4th group, the Hyatt Hotel, it turned out to be the closest to modern ? ornamental ? peaceful ? solitary images; in case of the 5th group, the Amiga ? Intercontinental Hotels, they showed similarity to a solitary image, and showed a strong similarity to a somewhat original image.As can be seen from above,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hotels’images were generally expressing luxurious and stable images, and no widely varying differences showed in the modern, gorgeous, plain and individualistic images. However, because a hotel is a place where the space itself has a very high added value, it is important for the space to not just be a functional space type, but also form a different image space. It was discovered that the luxurious, stable, harmonious, antique, refined, and comfortable images were affected by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nd the formation of charming, gorgeous, original, individualistic, ornamental, and natural images was affected by artistic ornaments from among the various interior elements.Thus, the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which are a large-scale section of the elements that influence the formation of these images, act as an architectural factor that stabilizes the entire space through achieving a unified harmony of the overall image by being constructed based on design concepts, thus decisively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a hotel lobby’s image. The artistic ornamental components, which are a small-scaled section, play the role of the highlighting accessories that give contrasting effects which inject movement and liveliness into space, that give artistic satisfaction, and they influence the formation of a hotel’s distinct and unique image.For the lobby image, which creates the hotel’s first impression, its preferences are controlled by the image being expressed for the specific hotel, and the creation of an original image is a marketing tool that affects even the hotel’s brand image. For a new design concept regarding an individualistic and distinct lobby space that suits the times, in terms of forming a hotel’s image, more than any other functional space, the space must be made in such way that it will not only have interior architectural elements in a single space, but also be based on integration that possesses a network format of integrated specific parts which coordinate all the element of space.

      • SyncML를 이용한 공간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구현

        서동환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재 민간 및 공공기관에서 범용적인 공간데이터 인프라가 구축되고 이러한 공간데이터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이기종간 공간데이터의 특징을 고려한 표준화된 동기화 방식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동기화 시스템들은 공간데이터를 편집할 때 동기화에 관련된 다중 테이블의 변경 내역과 편집에 관련된 프로파일(profile) 분석, 공간 객체와 관련된 시스템 테이블의 분석과 유지보수, 바이너리(binary) 타입에 대한 관리, 트랜젝션 단위 관리와 같은 문제 때문에 공간데이터에 대한 동기화를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존 시스템들의 제약 사항과 문제점 들을 공간데이터 프로파일 및 관련 객체를 분석하여 공간 데이터 구조에 맞는 변경 데이터 감시 모듈을 개발하고, 공간데이터의 경우 공간엔진의 공간 데이터 등록정보를 활용하여 구성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으며, 바이너리 데이터 타입은 랍(lob) 타입으로 변환하여 호환성을 유지하고, 편집 완료 시점(commit 시점)을 감지하여 변경 데이터를 Change Log 테이블에 저장하였다. 또한 공간 데이터 변경이 일어나면 공간데이터 엔진의 트랜젝션 정보를 활용하여 변경데이터와 연관된 정보를 추출하고 트랜잭션 별로 Change Log 테이블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공간데이터 특징을 고려한 공간데이터 동기화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공간데이터 동기화의 효율성을 높이고, 신뢰성을 향상 시켰다. Currently in a private and public institution, with construction of general purpose spatial data infrastructure and as increasing the application of spatial data, standard synchronization process considering the features amid heterogeneous spatial data has been needed. But, as editing spatial data, the legacy synchronization systems cannot support the synchronization of spatial data, because of the problems such as profile analysis into modification details and editing of multitable related to synchronization, analysis and maintenance and repair of system table related to spatial object, management of binary type and transaction unit. In this thesis, with the restrictions and problems of legacy systems, analyzing spatial data profile and related object and developing modified data monitoring module fitting to spatial data structure, in case of spatial data, composition has been made possible as applying spatial data information registered in spatial engine, maintaining compatibility as modifying binary data type into lob type, as sensing the state of edit completion(commit), modified data has been captured in change log table. Also in case of spatial data modification, applying the transaction information of spatial data engine and fetch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modified data, classified transactions captured in Change Log table. As implementing a spatial data synchronization system considering the features of spatial data like these, the efficiency and confidence of spatial data synchronization have been raised.

      • 대형할인점 전면공간 활용실태 및 개선에 관한 연구

        현종훈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Consumer stores have shown a rapid growth since the mid 90's and at present they're the most representative retail outlets in Korea. They have a very close connection to the average Korean's everyday life. Under these circumstances, consumers are deciding to choose where to shop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s to physical environment of the store. To meet the need of users with diverse and comfortable spaces for shopping, managers of consumer stores are interested in improving the open space of the store as well as the interior design. Compared with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sumer store, the front-space hasn't been really designed to satisfy the needs of the people. Even when the front-space has been designed considering the people's desire, it is often used in different ways.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 statu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facilities of the front-spaces of consumer stores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behavior pattern of users.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propose a design guideline of the front-space, and finally to enhance the overall qualities of the facilities.

      •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시각화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공간능력과 메타인지에 미치는 효과

        이성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공간능력의 수준이 높을수록 과학 개념 이해와 학업성취도가 높고, 과학학습의 기초가 되는 과학탐구능력 신장과 창의력 향상에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 시각화 활동의 한 방법인 그리기 활동은 공간지능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며 공간지능과 그리기 표상능력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그러므로 과학 학습에 있어 공간능력의 향상이 필요하다고 본다. 학생들이 시각화 활동의 한 방법인 그리기활동을 통해 학습내용을 스스로 시각화 시키고 사고를 명료화 시키며 자신의 인지구조에 동화시키고 내면화 하여 사고력이 증가 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시각화 활동중심의 공간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 활동이 초등학생의 공간능력과 메타인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공간능력의 하위 요소로는 공간 시각화 능력, 공간 방향화 능력, 공간관계 능력이 있는데 이 연구에서는 공간 시각화 능력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교육과정 내에서 시각화 능력 요소를 투입하여 시각화 활동 중심의 공간능력 향상 교수-학습프로그램을 10차시 개발하였다. 서울특별시 소재 S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하여 1개 반은 시각화 활동 중심의 공간능력 향상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33명)으로 나머지 1개 반은 통제집단(33명)으로 선정하였다. 실험반과 통제반에 공간능력 검사지와 메타인지 검사지를 사전․사후 실시하여 두 집단 간 독립표본 t-검증으로 자료를 해석하였다. 집단 간 공간능력 사전․사후 검사결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간능력 상위집단과 하위 집단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상위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수업 전후 메타인지검사를 한 결과 실험집단에서 메타인지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p=.048)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공간능력 상위집단 간 메타인지 비교에서도 실험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p=.004) 메타인지 검사에서는 전체집단에서도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으며(p=.048) 공간능력 상위 집단 간 비교에서는 더 큰 차이의 변화가 있었다. 개발된 시각화 활동 중심의 공간능력 향상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하위 집단보다 어느 정도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 상위집단 학생들의 공간능력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으며, 메타인지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념 이해도가 낮은 학생들을 위한 시각화 활동 중심의 공간능력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학년에 따라 습득되는 지식의 양이나 경험 등이 달라지므로 학년에 따른 시각화활동 중심의 공간능력 향상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메타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