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병동 간호사의 감정노동, 소진, 이직의도 및 우울과의 관계

        정수정 한양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병동 간호사의 감정노동, 소진, 이직의도 및 우울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결과는 병동 간호사의 감정노동은 평균 3.71, 소진은 평균3.75, 이직의도는 평균 3.63, 우울은 평균 20.60점으로 나왔다. 병동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 이직의도 및 우울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감정노동이 소진과 가장 큰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직의도와도, 우울과도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성인의 자존감 유형에 따른 SNS 이용동기와 중독경향성 간 차이 : 인스타그램 이용자를 중심으로

        정수정 동신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성인의 자존감과 조건부 자존감 수준에 따른 SNS 이용동기와 중독경향성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적응적인 SNS 이용을 돕고 SNS 중독경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개입 방안을 강구하는 데 주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G시 및 J지역에 거주하는 2-30대 성인 남녀 471명을 대상으로, 자존감 척도, 조건부 자존감 척도, SNS 이용동기 척도, SNS 중독경향성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고, Hair와 Black이 제안한 2단계 군집분석을 통해 SNS 이용자들의 자존감과 조건부 자존감에 따라 군집을 나눈 후 일원변량분석과 사후검증을 통해 도출된 군집들 간에 SNS 이용동기와 중독경향성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조건부 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자존감과 조건부 자존감 수준에 따라 안정된 높은 자존감 집단, 불안정한 낮은 자존감 집단, 자존감 평균 집단, 불안정한 높은 자존감 집단의 4개 군집이 도출되었다. 셋째, 안정된 높은 자존감 집단은 SNS 이용동기와 중독경향성이 수준이 낮은 것으로, 불안정한 낮은 자존감 집단은 SNS 중독경향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불안정한 높은 자존감 집단은 SNS 이용동기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존감과 조건부 자존감이 SNS 이용동기와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개인의 심리적 요인으로서 자존감과 조건부 자존감 수준에 따른 군집을 도출하고, 각 군집의 특성에 따른 SNS 이용동기와 중독경향성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SNS 이용 및 중독경향성에 대한 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내담자의 중독경향성을 감소하고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상담 장면에 실질적인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adults use SNS adaptively and to decrease SNS addiction tendencies by analyzing differences in motivation for using SNS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according to adults’ self-esteem and contingent self-esteem. To do this, I conducted scale surveys to estimate self-esteem, contingent self-esteem, motivation for SNS use,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The respondents are 471 adults living in G city or J area, both male and female, and all of them are between twenties and thirties. I analyzed the relationship among study variables and used SPSS 22.0 for cluster analysis to verify the cluster types according to self-esteem and contingent self-esteem. Then, I conducted one-way ANOVA to explore the differences of motivation for using SNS and SNS addiction tendency by the cluster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fou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ntingent self-esteem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Second, four cluster typ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esteem and contingent self-esteem as follows. High and stable self-esteem type, low and unstable self-esteem type, normal self-esteem type, and high but unstable self-esteem type. Third, high and stable self-esteem cluster type showed low level of motivation for SNS use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low and unstable self-esteem cluster type showed high level of SNS addiction tendencies, and high but unstable self-esteem cluster type showed high level of motivation for SNS use. All of these findings come down to the fact that self-esteem and contingent self-esteem affect motivation for SNS use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This study verified the cluster types according to a personal psychological factor, self-esteem and contingent self-esteem, and found differences in motivation for SNS use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typ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counselors who consult clients experiencing problem against SNS use, so that counselors can have a way to decrease clients’ SNS addiction tendencies.

      • 다문화인을 위한 핀란드와 우리나라의 이중언어 교육정책에 관한 비교 연구

        정수정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다문화 인에 대한 핀란드와 우리나라의 이중언어 교육정책 및 실태를 비교하여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이중언어 교육정책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핀란드 종합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이중언어 교육의 현황 및 실태 그리고 우리나라의 언어교육정책은 현황은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 둘째, 핀란드의 이중언어 교육정책 실천을 위한 교육적, 사회적 및 법적 배경은 무엇인가? 셋째, 핀란드의 이중언어 교육정책이 현재 우리나라의 현재 언어교육정책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여러 학자들의 문헌과 정책 연구자료, 선행 논문과 각종 통계자료, 교육정책연구 전문기관 자료를 근간으로 조사되고 연구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다문화가정 자녀 언어교육 정책에 새로운 비전을 탐색해본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다문화 가정 언어교육 정책의 방향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다문화가정 구성원 중 부부교육을 통해서 모국어의 필요성 인식을 확산시켜야 한다. 자녀 양육자는 대부분 어머니이다. 우리나라 결혼이민자 가정의 여성의 비율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볼 때, 여성의 배우자 및 가족구성원까지도 모국어의 필요성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언어는 문화의 산물이라는 것을 알고 다문화가정 자녀에게 두 가지의 문화를 알려줄 수 있다는 자긍심을 갖도록 다문화교육이 확산되어야 한다. 셋째, 학교에서의 이중언어 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일부 시범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이중언어 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역량 있는 교사의 교육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교는 물론이고 사범대학에서도 이중언어 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for analyzing bilingual education policy for multi-cultural students in Finland and Korea. It will suggest several ways to improve Korean policy for bilingualism. There are three subjects for inquiries of finding necessary factors for educating multi-cultural students in Korea. First, What are different between language education policy of Finnish comprehensive school and that of Korea? Second, What are the educational and legal backgrounds of bilingual education in Finland? Lastly, What can be adapted through the bilingual policy of Finland? This study is based on literatures and researches of different scholars, antecedent dissertations, statistics and materials of educational policy organizations. It will search for some ideas of language education policy for multi-cultural students in Korea. Three suggestions are given as follows in this study. First, parental(conjugal) education needs to be taken precedence for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native language. A mother often plays an important role in nurturing children. The rate of women who immigrated to Korea is higher than that of men, so a husband and other family members are needed to learn the first language of their wife. Second, language is a product of one's culture, so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to raise awareness of multi culture. This approach leads multi-cultural students to take sense of pride that they can learn two different cultures at the same time. Third, Bilingual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taken important and introduced in public education. Teacher training for competent teachers should be the first priority rather than vitalizing the bilingual program in model schools. Therefore, bilingual education should be intensified in college of education as well a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생활체육 배드민턴 동호인의 대회참여 및 기량등급에 따른 여가정체성과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차이분석

        정수정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생활체육 배드민턴 동호인의 대회참여 및 기량등급에 따른 여가정체성과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고자 전국 생활체육 배드민턴 연합회에 등록된 동호인 400명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한 설문지의 자료처리는 SPSS/PC Window V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 목적에 따라 분석하였고,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생활체육 배드민턴 동호인의 성별, 연령, 직업, 학력, 결혼여부, 대회참여, 기량등급 차이에 대한 여가정체성과 심리적 행복감 차이를 검정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wo sample t-test)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은 Scheffe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생활체육 배드민턴 동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정체성은 연령에서 존중감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별, 직업, 학력, 결혼유무에 따른 여가정체성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생활체육 배드민턴 동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은 성별에서 쾌락적 즐거움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연령, 직업, 학력, 결혼유무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생활체육 배드민턴 동호인의 대회참여에 따른 여가정체성은 동일시, 정서적 애착, 존중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생활체육 배드민턴 동호인의 대회참여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은 자아실현감 및 자신감, 쾌락적 즐거움, 몰입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생활체육 배드민턴 동호인의 기량등급에 따른 여가정체성은 동일시, 정서적 애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생활체육 배드민턴 동호인의 기량등급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은 자아실현감 및 자신감, 쾌락적 즐거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study has conducted a survey on differences in leisure ident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badminton games and individual prowess targeting 400 members of the National Sports Badminton Union.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tudy purpose with SPSS/PC Window V19.0 program. Analyses on primary factor and reliability were conducted for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sults, and analysis of frequency for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factors.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leisure ident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epending on gender, age, occupation, educational background, marital status, the number of games participated and prowess of the member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arried out and then Scheffe for follow-up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ith the methods and procedures above are as follows: Firstly, as for differences in leisure identity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there were various differences in self-esteem depending on ages, while gender, occupation, educational background, marital status didn’t show any meaningful differences. Secondly, as for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hedonic enjoyment depending on gender, but no distinctions according to age, occupation and marital status. Thirdly, as for differences in leisure identity according to the member’s participation experience in badminton competitions, it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ce differences in identification, self-actualization and self-esteem. Fourthly, as for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the member’s participation experience in badminton competitions, , it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ce differences in self-realization, self-confidence, hedonic enjoyment and a sense of immersion. Fifthly, as for differences in leisure identity according to the member’s prowess,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identification and self-actualization. Sixthly, as for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the member’s prowess, self-realization, self-confidence and hedonic enjoymen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 S. Prokofiev의<첼로 소나타(Sonata for Cello and Piano in C Major Op. 119)>에 나타난 음악적 특징과 반주법 연구

        정수정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20세기의 대표적인 러시아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인 프로코피에프(Sergey Prokofiev, 1891-1953)의 유일한 첼로 소나타 작품인 <첼로 소나타(Sonata for Cello and Piano in C Major Op. 119)>의 분석을 통해 프로코피에프의 음악적 특징과 반주법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로코피에프는 유럽의 정치적, 시대적 상황에 따라 작품 활동을 하였던 지역이 변화하였기 때문에 그의 생애와 음악 시기가 활동하였던 지역에 따라 3기로 구분된다. 반면에“서정성”,“익살스러움”,“고전적임”,“혁신적임”, 그리고“모터가 달린 듯한”의 총 5가지로 분류되는 그의 음악적 특징은 시기와 상관없이 그의 작품 속에 적절하게 결합되어 나타난다. 먼저, <첼로 소나타>의 분석에 앞서 프로코피에프의 생애를 살펴보고, 그의 음악적 특징과 대표적인 작품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작품 배경을 간단히 언급하고, 그의 음악적 특징이 5가지의 요소들을 통해 어떻게 표현되는지 살펴보았으며, 그에 따른 첼로와 피아노와의 상호관계가 조화롭게 잘 어우러지는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조명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첼로 소나타>가“서정성”과 “고전적임”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는 것을 형식, 조성과 화성, 박자, 선율, 리듬과 악기의 기법, 빠르기의 변화, 나타냄 말 등의 분석을 통하여 알 수 있었고, 앞서 언급했던 나머지 특징들 역시 작품에 모두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첼로와 피아노가 서로 주제를 주고받으면서 유기적으로 연주된다는 점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작품을 연주하기 위해서는 두 연주자가 프로코피에프의 음악적 특징을 파악하고, 각자의 파트만이 아닌 전체적인 흐름에 맞게 앙상블을 이루어야 한다.

      • 초등학생을 위한 학교부적응척도 개발 및 타당화

        정수정 광주교육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학습지도는 물론 생활지도까지 담당해야 하는 초등교사를 위해 초등학생의 학교부적응 척도 개발과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학교부적응에 관한 선행연구에 대해 알아보고, 학교부적응의 구성개념을 알아본 후, 실제적인 준거 자료를 통해 모형의 적합성과 타당도를 검증하려고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연구를 2개 부문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각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을 위한 학교부적응 척도의 구성 및 요인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을 위한 학교부적응 척도는 타당한가? 연구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첫째, 아동상담심리학과 대학원에 재학중인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개방적 질문지를 실시하여 표본을 수집 후 유목 분류한 내용을 토대로 학교부적응 예비척도 80문항을 제작하였고, 제작된 예비척도를 전문가 평정을 통하여 학교부적응 척도 50문항을 개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학교부적응 척도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요인분석, 공인타당도, 재검사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부적응 예비척도 80문항을 제작하였다. 1차 제작된 예비척도 중 초등학생의 학교부적응을 평가하는데 얼마나 중요한 지표가 되는 행동인지에 대해 아동상담심리학과에 재학중인 1, 2, 3 학년 대학원생 45명 교사의 의견을 반영하여 항목별 중요도를 추출한 후 전문가 평정을 거쳐 최종 50문항의 학교부적응 척도를 개발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담임교사 60명이 각 반에서 맡고 있는 학교부적응아 2명, 학교적응아 2명을 선정하여 설문에 응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학교부적응 척도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여러 검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공격적·자기중심적행동, 수업 및 학급규범 일탈행동, 소극적·비사회적 행동, 학교활동 적극적 기피 요인을 하위요인으로 설정할 수 있었다. 타당도 분석은 120명의 학생자료를 대상으로 김혜숙 외(2009)의 ‘초등학생 문제행동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공인타당도를 구하였다.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120명의 학생자료로 검사-재검사를 하였으며, 240명의 학생자료를 이용하여 문항의 내적 합치도를 구하였다. 내적합치도는 전체 .98, 각 하위요인별로 .91~96였으며, 신뢰도는 전체적으로 .98, 각 하위요인별로 .87~.97 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생 학교부적응 행동평정척도는 비교적 타당하고, 신뢰로운 척도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a teacher's rating sca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maladjustment. 50 behavior lists were established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 from the respons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identify sub-factors of the scale, 60 teachers rated their 240 student's behavior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actor analysis. 4 sub-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result : aggressive·selfish behavior, misconduct of lesson and classroom rules, passive·unsociable behavior and positive evasion of school activities. To identify the validity of the scale, the data from 120 students were analyzed through the concurrent validity between the scale and the teacher rating scale of school maladjustment for Student Problem Behavior Checklis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Kim, et al., 2009).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 test-retest correlations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data from 120 students and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were calculared by using the data from 240 students. Followings were as the results. The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s were .87~97 according to sub-factors and was .98 in a total scale.

      • 중·고등학생들의 물리 오개념에 나타난 실체화와 대응오류

        정수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학생들이 갖고 있는 물리 개념은 과학적 개념의 관점에서 보면 일관성이 결여되고 상황 의존적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학생들의 인지 구조의 관점에서 보면 나름의 정합성과 일관성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힘과 운동, 열과 온도, 전류와 전압 등의 물리학 영역에 대한 중&#8228;고등학생들의 오개념에 관한 연구 문헌들을 조사 분석하여 물리 오개념들이 갖는 특징들을 규명하였다.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물리에 대한 오개념을 조사하고 문항에 대한 응답유형을 물리 오개념의 특징의 관점으로 분류하여 고등학생들의 물리 문항에 대한 응답 특징을 밝혔다. 중&#8228;고등학생들의 물리 개념에 관한 특징을 힘과 운동, 열과 온도, 전류와 전압 등의 영역에 대하여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8228;고등학생들의 물리에 대한 오개념의 특징은 두 가지로 사료된다. 하나는 실체화이다. 학생들은 실체가 없는 추상적 물리 개념에 저장, 소모, 흐름과 같은 물질적 속성을 부여하여 실체화하는 특징을 보인다. 다른 하나의 특징은 대응 오류이다. 두 개념이 결부된 문제 상황에서 중&#8228;고등학생들은 과학적으로 옳지 않은 개념 간 대응 관계를 설정하는 경향을 보인다. 동반과 동조, 동일시 경향이 대응 오류를 대표하는 유형이다. 중&#8228;고등학생들은 힘을 운동에 동반되는 개념으로 파악하여 운동에는 운동 방향의 힘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힘과 속력 및 질량, 열과 온도 사이에는 한 물리량의 크기 변화에 또 다른 물리량이 동조하여 변화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계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힘과 운동, 열과 온도, 전류와 전압에 대한 개념을 조사하고 학생들의 응답 내용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실체화와 대응 오류의 경향이 나타났는데, 힘과 운동 영역에서는 개념 사이의 연결과 관련된 대응 오류가 주로 나타났고 전류와 전압 영역에서는 전류의 속성에 초점을 맞춘 실체화 경향이 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의 올바른 과학 개념 형성을 위한 교수 학습 지도에서는 물리 개념의 실체화 경향성과 물리 개념의 대응 오류의 원인을 고려하여 물리 개념을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한 교육활동으로 사료된다. Students often appear to be inconsistent in the way which they apply their conceptions to different contexts, but such responses may have an internal coherence for each individual stud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characteristic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physics conceptions. For this, the literatures related to secondary school students' misconceptions about force and motion, heat and temperature and electric current and voltage were explored. And high school students' answering patterns to 26 test items were analysed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physics conceptions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 One of these is substantialization. For students, abstract concepts such as force and electric current were considered as having materialistic properties like conservation, consumption and flow. The other type is mismatching. The properties of mismatching a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wo physical quantities, formation of accompanying concepts, and identification of two distinct concepts. Students tend to set up one - to - one correspondence between concepts of which relation is inappropriate, i e. association made between the action of a force and mo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in designing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conceptual change, the characteristic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physics conception should be considered.

      • TIMSS 2011 참여 국가들의 중학교 2학년 학생특성별 교육맥락변인과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 분석

        정수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경우 TIMSS 2011에서 성취도 1위를 차지하며꾸준히 우수한 수학성취를 보이는 국가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 학생들은 사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비율이 높고 공교육보다는 사교육에 의존도가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획일화된 공교육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성취도의 배경변인을 분석하면서 동시에 학생들의 특성에 따라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학생 특성별로 어떻게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논의해보았다. 이처럼 특성별 집단연구를 하는 것은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닌 집단에 대한 다른 수준의 수업과 배려, 그들을 위한 적절한 지원을 위해 필요한 부분이다(박정, 2008).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교육맥락변인 중 수학학습시간, 가정배경,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 성취도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성취도와 교육맥락변인들과의 관계 속에서 숙제 수행시간이라는 학생특성변인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해보는 연구를 통해 공교육에서도 특성별 교수학습법을 활용하는 방안을 찾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TIMSS 2011 참여 국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수학학습시간과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1-1. TIMSS 2011 참여 국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정규 수학 수업시간과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1-2. TIMSS 2011 참여 국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주간 숙제 수행시간과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2. TIMSS 2011 참여 국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주간 숙제 수행시간으로 분류하였을 때 가정배경과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TIMSS 2011 참여 국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주간 숙제 수행시간으로 분류하였을 때 부모 학력수준과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2-2. TIMSS 2011 참여 국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주간 숙제 수행시간으로 분류하였을 때 학교위치와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2-3. TIMSS 2011 참여 국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주간 숙제 수행시간으로 분류하였을 때 학업에 대한 부모참여도와 수학 성취도의 관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3. TIMSS 2011 참여 국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주간 숙제 수행시간으로 분류하였을 때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TIMSS 2011 참여 국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주간 숙제 수행시간으로 분류하였을 때 수학에 대한 흥미와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2. TIMSS 2011 참여 국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주간 숙제 수행시간으로 분류하였을 때 수학에 대한 자신감와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3. TIMSS 2011 참여 국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주간 숙제 수행시간으로 분류하였을 때 수학에 대한 가치인식과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국제비교대상은 성취도 상위권 10개국과 하위권 10개국이며, 수학학습시간은 TIMSS에서 제시하는 정규 수학 수업시간과 주간 숙제수행시간으로 분석하였고, 가정배경은 부모의 학력수준, 학교가 위치한 지역, 학업에 대한 부모의 참여도로, 수학에 대한 태도는 흥미, 자신감, 가치인식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모든 분석은 IEA IDB Analyzer를 사용하여 TIMSS 2011에 참여한 각국의 학생들이 그 나라 학생 전체를 대표할 수 있도록 하였고, 5개의 Plausible Value값으로 주어진 학생들의 성취도 또한 IDB Analyzer를 통해 하나의 값으로 학생들의 성취도를 대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토대로 연구문제 1번, 2번, 3번을 해결하기 위해 각각 빈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분석한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 대만, 이스라엘, 튀니지, 러시아, 아랍에미리트, 그루지야 이상 7개국의 학생들이 학교에서 듣는 수학 정규 수업시간이 많을 수록 성취도가 높게 나왔다. 반면, 싱가포르, 핀란드, 레바논, 말레이시아 이상 4개국의 학생들은 수학 정규 수업시간이 많을 수록 오히려 성취도가 낮게 나왔다. 우리나라는 수학 정규수업시간과 성취도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왔다. 또한 상위권 국가들이 정규 수학수업시간과 성취도의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왔고 하위권 국가들은 비교적 상관이 낮은 것으로 나왔다. 둘째, 대한민국과 핀란드는 성취도가 높을 수록 수학숙제수행시간이 짧았고, 루마니아는 성취도가 높을 수록 수학숙제수행시간이 길었다. 성별에서 있어서 3시간 이상인 구간에서는 여학생의 비율이 더 많고 45분미만인 구간에서는 남학생의 비율이 더 많았다. 성취도 상위권과 하위권 국가들을 비교했을 때 상위권에서 숙제에 수행하는 시간이 짧은 학생들이 더 많았다. 그러나 상관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살펴 보았더니 일관성을 보이지 않아 숙제 수행시간과 성취도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왔다. 숙제 수행시간은 성취도의 배경변인이 아닌 단지 학생들의 특성일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성취도 상위권국가 중에서는 대한민국, 대만, 이스라엘, 미국 4개 국가가 45분미만일 때 상관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나 부모의 학력수준에 성취도가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다. 하위권국가 중에서는 말레이시아, 아랍에미리트, 루마니아, 터키, 튀니지, 그루지야 6개가 45분 미만에서 가장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주간 숙제 수행시간이 3시간 이상인 부류에서 상관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난 나라는 성취도 상위권에서는 일본, 홍콩, 핀란드, 영국, 싱가포르 5개 국가였고, 하위권에서는 레바논, 태국, 칠레 3개 국가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가 위치한 지역과 성취도간의 관계만 봤을 때 성취도 상위권 국가에서는 대한민국, 대만, 일본, 이스라엘, 러시아 5개 국가가 지역이 클수록 성취도가 높게 나왔다. 반면 하위권 국가에서는 칠레를 제외한 9개 국가 모두 지역이 클수록 성취도가 높게 나왔다. 성취도 상위권 국가들 중 대한민국의 숙제 수행시간이 긴 학생들이 짧은 학생들보다 학교가 위치한 지역이 커짐에 따라 성취도가 크게 상승했다. 대만의 경우는 45분이상 3시간 미만인 구간의 학생들이 가장 지역에 따라 성취도가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었다. 다섯째, 전체적으로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나타난 결과는 부모가 숙제 체크를 덜하거나 거의 안할 수록 성취도가 높게 나왔다. 그러나 대한민국과 일본, 태국은 오히려 부모가 숙제에 관여를 많이 하면 할수록 성취도가 높게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간 숙제 수행시간이 긴 학생들에게는 부모의 숙제 관여도가 성취도를 극대화시키는 데 다른 구간의 학생들보다 특히나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대만, 영국, 튀니지, 칠레는 구간마다 성취도를 극대화시키는 부모의 참여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여섯째, 성취도 상∙하위권 20개국 모두 흥미도가 높을 수록 성취도도 높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주간 숙제 수행시간별로 살펴보면, 숙제 수행시간이 긴 학생들은 흥미도가 높아질수록 다른 구간에서보다 큰 폭으로 상승함을 나타냈다. 일본과 영국도 수행시간이 긴 학생들의 흥미도를 높여주니 성취도가 극대화되었다. 대만은 우리나라와는 반대로 숙제를 짧게 수행하는 학생들에게 흥미를 높여주면 성취도가 극대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핀란드와 홍콩도 마찬가지의 결과였다. 성취도 하위권 국가들 중 칠레와 루마니아는 TIMSS 흥미도 조사에서 낮은 편에 속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숙제 수행시간이 3시간이상인 학생들의 성취도가 흥미도에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성취도 상위권 국가들 중에서 대한민국의 경우 3시간 이상 부류의 학생들에게 자신감을 높여줄수록 성취도점수가 큰 폭(200점이상)으로 상승하는 결과가 나타냈다. 일본 또한 3시간 이상인 구간의 학생들의 성취도가 자신감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었다. 대만, 홍콩, 러시아 세 국가들은 대한민국, 일본과는 반대로 45분미만으로 수행하는 학생들이 자신감을 높았을 때 성취도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성취도 하위권 국가들을 살펴보았을 때 루마니아는 45분이상 3시간 미만인 구간에서 자신감이 높을수록 성취도가 높은 반면, 칠레, 터키는 45분미만에서 자신감이 많을 수록 8성취도가 높았고, 아르메니아와 그루지야는 3시간이상인 부류 학생들의 성취도점수가 자신감이 많을수록 성취도가 높게 나왔다. 여덟째, 수학에 대한 가치인식에 대한 설문 응답에서 성취도 하위권 국가의 학생들이 성취도 상위권 학생들보다 수학에 대한 가치인식이 높았다. 대한민국은 3시간이상인 구간의 학생들이 가치인식이 높아질수록 성취도점수가 170점이상이 상승했다. 일본 또한 3시간 이상인 구간에서 가치인식이 높아질수록 130점정도 상승했다. 이에 반해, 대만과 홍콩은 모두 45분미만인 구간에서 가치인식이 높아질수록 100점, 89점의 상승을 보였다. 하위권 국가들은 대체로 가치인식과 성취도에서 일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의 결과로부터 정규 수학 수업시간과 성취도간의 관계는 나라마다 다르게 나타났으며 일본을 비롯한 7개국이 정규 수학 수업시간이 많을수록 성취도가 높게 나왔다. 우리나라는 정규 수학 수업시간과 성취도는 상관이 없었다. 이를 통해 정규 수학 수업시간을 조정하여 성취도 향상에 도움을 주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주간 숙제 수행시간과 성취도간의 관계 또한 나라마다 다르게 나타났으며 주간 숙제수행시간이 짧을수록 성취도가 높아지는 형태를 가진 국가들은 대한민국, 핀란드, 칠레 3개국으로 나타났고, 반대로 숙제수행시간이 길수록 성취도가 높아지는 형태를 가진 국가들은 싱가포르 외 6개국임을 알 수 있었다. 나라마다 숙제수행시간에 따른 성취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원인에 대해서는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문제 2의 결과로부터 가정배경은 성취도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주간 숙제 수행시간별로 분류해보면 국가마다 부모의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학교가 위치한 지역이 클수록, 학업에 대한 부모의 참여도가 높을수록 성취도가 높게 나타나는 구간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이 또한 차이의 원인을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연구문제 3의 결과로부터 수학에 대한 태도와 성취도간의 관계는 큰 상관이 있으며 흥미가 높을수록, 자신감이 많을수록, 가치인식이 높을수록 성취도는 높아졌다. 이를 주간 숙제 수행시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더니 수학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켰을 때 성취도에 영향을 받는 구간이 나라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각 나라마다 각 학생의 특성에 맞춰 성취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참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단순히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배경변인을 분석한 연구들과는 달리 성취도 상∙하위권 20개국을 비교한 것과 배경변인을 주간 숙제 수행시간이라는 학생의 특성으로 분류하여 성취도의 극대점을 찾아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정규 수학 수업시간과 성취도 사이의 상관성, 혼자 하는 수학 공부시간과 성취도 사이의 상관성, 주간 숙제 수행시간별 가정배경 및 수학에 대한 태도와 성취도 사이의 상관성 등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육정책연구가들과 수학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의 효율적인 수학학습을 위한 교육을 연구하는 교사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case of second-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s of Korea, while taking the first place in achievement degree of TIMSS 2011, Korea has settled as a nation steadily showing excellent math achievement. But, Korean students are high in the rate of participating in private education and higher in dependence degree of private education than public education. So, to supplement weak points of public education which does not consider characteristics of students, this study discussed that in what way to teach students by feature is effective while analyzing background variables of achievement degree, at the same time, by looking into the variables div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Like this, to do a group study by characteristic is a necessary part for different levels’ teaching and consideration and proper support for students (Park Jeong, 2008).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analyze relations of math learning time, family background, attitude toward math, and achievement degree of math one another among diverse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Thus, in relations between the achievement degree and the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through an analysis study focusing on the variable of students’ characteristics called homework-implementation time, it intends to be helpful for finding out ways of teaching methods by feature in public education. Study problems for this are like the next. 1. How is the relation of math studying time and math achievement degree of second-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s of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IMSS 2011? 1-1. How is the relation of regular math class time and math achievement degree of the second-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s of the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IMSS 2011? 1-2. How is the relation of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and math achievement degree of the second-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s of the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IMSS 2011? 2. When the second-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s of the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IMSS 2011 were classified based on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how is the relation of family background and math achievement degree? 2-1. When the second-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s of the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IMSS 2011 were classified based on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how is the relation of education level of their parents and math achievement degree? 2-2. When the second-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s of the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IMSS 2011 were classified based on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how is the relation of schools’ locations and math achievement degree? 2-3. When the second-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s of the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IMSS 2011 were classified based on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how is the relation of participation degree of their parents about students’ learning and math achievement degree? 3. When the second-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s of the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IMSS 2011 were classified based on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how is the relation of attitude to math and math achievement degree? 3-1. When the second-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s of the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IMSS 2011 were classified based on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how is the relation of interest in math and math achievement degree? 3-2. When the second-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s of the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IMSS 2011 were classified based on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how is the relation of confidence toward math and math achievement degree? 3-3. When the second-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s of the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IMSS 2011 were classified based on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how is the relation of value consciousness and math achievement degree? International comparison objects are top 10 and bottom 10 countries in achievement degree. Math studying time was analyzed with regular math class time and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which are suggested by TIMSS. Family background was analyzed from being divided into education levels of parents, areas where the schools are located, participation degree of parents about students’ learning. The analysis of attitude to math was processed being divided into interest, confidence, and value consciousness. All analyses were conducted by using IEA IDB Analyzer. Students of each country which participated in TIMSS 2011 were made to represent all students of the country. With five plausible values, also achievement degree of the given students was made to represent students’ achievement degree with one value through IDB Analyzer. Based on it, to solve study problem 1, 2, and 3,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 is like the following. From the result of study problem 1, the relation of regular math class time and achievement degree was presented differently per country. Seven countries including Japan were higher in achievement degree as regular math class time is more. To Korea, regular math class time was not related to achievement degree. Through this, from adjusting regular math class time, measures to help the improvement of achievement degree will be able to be considered. The relation between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and achievement degree was shown differently per nation. As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was shorter, nations higher in achievement degree were three like Korea, Finland, and Chile. Contrariwise, as homework-implementation time was longer, countries higher in achievement degree were six including Singapore. In-depth discussion is needed about the cause that achievement degree according to homework-implementation time shows differently per nation. From the result of study problem 2, it can be known that family background influences achievement degree greatly. If it is classified by each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per country, the higher were education levels of parents, the larger were areas where the schools are located, and the higher were participation rates of parents about students’ learning, it could be known that sections with high achievement degree were different. Follow-up studies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difference in diverse aspects are necessary. From the result of study problem 3, there are big relations between attitude on math and achievement degree. As interest was higher, confidence was bigger, and value consciousness was higher, achievement degree became higher. If these were examined from dividing with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when attitude on math was made to be changed, sections influenced by achievement degree appeared differently. Through these, they can be referred as ways of maximizing achievement degree fitting to properties of each student. This study has its meaning to find out the maximum point of achievement degree by comparing 20 countries in top and bottom ranks in achievement degree and classifying background variables into properties of students called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which analyzed background variables just simply influencing achievement degree. Plus, by providing information like correlation between regular math class time and achievement degree, correlation between the time of math studying lonely and achievement degree, correlation between family background per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and achievement degree, and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to math and achievement degree, it is expected that these will be helpful for research scholars of education policies and teachers who study education for efficient math learning of students at the sites of math tea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